KR200417401Y1 - 볼 바퀴가 달린 예초기 지지대 - Google Patents

볼 바퀴가 달린 예초기 지지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7401Y1
KR200417401Y1 KR2020060005764U KR20060005764U KR200417401Y1 KR 200417401 Y1 KR200417401 Y1 KR 200417401Y1 KR 2020060005764 U KR2020060005764 U KR 2020060005764U KR 20060005764 U KR20060005764 U KR 20060005764U KR 200417401 Y1 KR200417401 Y1 KR 20041740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
ball
height adjustment
slide bar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576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기선
Original Assignee
구기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기선 filed Critical 구기선
Priority to KR202006000576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740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740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740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4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e.g. cutting-cylinders
    • A01D34/46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e.g. cutting-cylinders hand-guided by a walking operator
    • A01D34/47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e.g. cutting-cylinders hand-guided by a walking operator with motor driven cutters or whee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4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e.g. cutting-cylinders
    • A01D34/54Cutting-height adjustmen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4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e.g. cutting-cylinders
    • A01D34/62Other detai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Abstract

원동기의 동력을 이용해 동력전달 관의 끝 부에 있는 예초날을 회전시켜 예초작업을 할 수 있는 통상의 휴대용 예초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동력전달 관의 소정 위치에 볼 바퀴가 달린 예초기 지지대를 장치함으로써, 예초날을 사용자가 장시간 들고 있을 때 무게에 의한 피로를 줄일 수 있고, 예초날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어 잔디를 일정하게 예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예초기, 지지대, 볼 바퀴, 높이조절

Description

볼 바퀴가 달린 예초기 지지대{A ball bearing wheel of bolster for lawn mower}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볼 바퀴가 달린 예초기 지지대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볼 바퀴가 달린 예초기 지지대의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볼 바퀴가 달린 예조기 지지대를 확대하여 도시한 측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볼 바퀴가 달린 예초기 지지대를 확대하여 도시한 정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볼 바퀴가 달린 예초기 지지대의 다른 실시 예 1을 도시한 정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볼 바퀴가 달린 예초기 지지대의 다른 실시 예 2를 도시한 정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예초기 20: 동력전달 관
30: 헤드부 31: 예초날
32: 안전커버 200: 고정바
211: 제 1 높이조절 공 220: 체결구
220a: 하부 링 220b: 상부 링
300: 바퀴 고정수단 320: 슬라이드바
321: 제 2 높이조절 공 330: 바퀴 연결부
331: 나사 결합공 400: 볼 바퀴부
410: 바퀴 덮개부 411: 나사부
412a: 상부 볼트 결합공 412b: 하부 볼트 결합공
413: 상부 베어링 420: 바퀴 받침부
423: 하부 베어링 500: 바퀴 볼
600: 걸림수단 610: 걸림구
620: 제 1 판 스프링 630: 제 2 판 스프링
640: 나비 너트 650: 볼트 축
원동기의 동력을 이용해 동력전달 관의 끝 부에 있는 예초날을 회전시켜 예초작업을 할 수 있는 통상의 휴대용 예초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동력전달 관의 소정 위치에 볼 바퀴가 달린 예초기 지지대를 장치함으로써, 예초날을 사용자가 장시간 들고 있을 때 무게에 의한 피로를 줄일 수 있고, 예초날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어 잔디를 일정하게 예초할 수 있는 볼 바퀴가 달린 예초기 지지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용 예초기(10)는 농가, 묘소, 골프장 등에서 일정 시간 동안 불규칙하게 자란 잔디나 잡초의 상부 면을 일정하게 잘라 관리해 주기 위해 널리 사용한다.
이러한 휴대용 예초기(10)의 구성은 동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원동기와 동력을 전달하기 위해 원동기로부터 연결된 링크 수단을 포함하여 연장된 동력전달 관(20)이 있으며, 상기 동력전달 관(20)의 끝 부에 헤드부(30)가 있어 상기 헤드부(30)에 예초날(31)이 수평으로 고속 회전할 수 있게 연결된다.
즉, 작업자가 원동기를 등이나 어깨에 메고 동력전달 관을 손으로 잡고 예초날 조작 스위치를 이용해 헤드부에 있는 예초날을 고속으로 회전시켜 예초 작업을 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예초기는 예초날을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를 유지하면서 사용하게 되는데, 특히 미숙련자의 경우 지면과 예초날의 이격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힘들어 때로는 예초날이 지면을 파헤치거나 잔돌 등에 부딪혀 작업자가 다치게 되는 경우가 발생하고, 예초 면이 고르지 않으며, 작업자가 동력전달 관을 잡고 고속회전하는 예초날을 장시간 들고 있다 보면 팔이나 어깨에 무리가 가기 때문에 장시간 작업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원동기의 동력을 이용해 동력전달 관의 끝 부에 있는 예초날을 회전시켜 예초작업을 할 수 있는 통상의 휴대용 예초기에 관한 것으로, 동력전달 관의 소정 위치에 볼 바퀴가 달린 예초기 지지대를 장치함으로써, 예초날을 사용자가 장시간 들 고 있을 때 무게에 의한 피로를 줄일 수 있고, 예초날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어 잔디를 일정하게 예초할 수 있는 볼 바퀴가 달린 예초기 지지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원동기의 동력을 이용해 동력전달 관의 끝 부에 있는 예초날을 회전시켜 예초작업을 할 수 있는 통상의 휴대용 예초기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 관(20)의 소정 위치에 연결되어 하부로 소정길이를 갖고, 내부에 통공과 측부 상하에 일정 간격으로 제 1 높이조절 공(211)을 다수개 구비한 고정바(200)와;
상기 고정바(200)의 하부 통공에 대응되게 상하 슬라이드 되며, 측부에 상기 고정바(200)의 제 1 높이조절 공(211)과 대응되는 위치에 한 개의 제 2 높이조절 공(321)을 구비한 슬라이드바(320)와, 상기 슬라이드바(320)의 하부에서 양측으로 각각 연장되어 하부를 향하되, 하부 각각에 나사 결합공(331)을 구비한 바퀴 연결부(330)로 구비된 바퀴 고정수단(300)과;
상기 바퀴 고정수단(300)의 슬라이드바(320)의 내측에 일측이 부착된 제 1 판 스프링(620)과, 상기 제 1 판 스프링(620)의 타측에 걸림구(610)를 구비하여, 상기 걸림구(610)가 슬라이드바(320)의 제 2 높이조절 공(321)을 통해 고정바(200)의 제 1 높이조절 공(211)에 걸릴 수 있도록 탄성력이 작용하는 상태로 구비된 걸림수단(600)과;
상기 바퀴 연결부(330)의 나사 결합공(331)에 체결되는 나사부(411)를 상부에 구비하고, 하부 내측 반구 형의 내주 면에 상부 베어링(413)을 일정 간격으로 체결시키되, 하부 끝단으로부터 외부로 연장된 절곡부에 상하로 통공된 상부 볼트 결합공(412a)을 다수 개로 구비한 바퀴 덮개부(410)와, 상기 바퀴 덮개부(410)의 하부로부터 삽입하여 내주 면에 위치하여 상부가 바퀴 덮개부(410)의 내주 면에 체결된 상부 베어링(413)과 밀착하도록 구비되는 바퀴 볼(500)과, 상기 바퀴 덮개부(410)의 하부에 체결되도록 상부 끝단으로부터 외부로 연장된 절곡부에 상하로 통공된 하부 볼트 결합공(412b)을 대응되게 구비하고, 내주 면에 하부 베어링(423)을 일정 간격으로 체결시켜 바퀴 볼(500)의 하부를 받치며, 하부가 통공 되도록 구비된 바퀴 받침부(420)로 이루어진 볼 바퀴부(400)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볼 바퀴가 달린 예초기 지지대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볼 바퀴가 달린 예초기 지지대의 결합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볼 바퀴가 달린 예조기 지지대를 확대하여 도시한 측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볼 바퀴가 달린 예초기 지지대를 확대하여 도시한 정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볼 바퀴가 달린 예초기 지지대의 다른 실시 예 1을 도시한 정단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볼 바퀴가 달린 예초기 지지대의 다른 실시 예 2를 도시한 정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볼 바퀴가 달린 예초기 지지대는, 상기 동력전달 관(20)의 소정 위치에 연결되어 하부로 소정길이를 갖고, 내부에 통공과 측부 상하에 일정 간격으로 제 1 높이조절 공(211)을 다수개 구비한 고정바(200)와; 상기 고정바(200)의 하부 통공에 대응되게 상하 슬라이드 되며, 측부에 상기 고정바(200)의 제 1 높이조절 공(211)과 대응되는 위치에 한 개의 제 2 높이조절 공(321)을 슬라이드바(320)와, 상기 슬라이드바(320)의 하부에서 양측으로 각각 연장되어 하부를 향하되, 하부 각각에 나사 결합공(331)을 구비한 바퀴 연결부(330)로 구비된 바퀴 고정수단(300)과; 상기 바퀴 고정수단(300)의 슬라이드바(320)의 내측에 일측이 부착된 제 1 판 스프링(620)과, 상기 제 1 판 스프링(620)의 타측에 걸림구(610)를 구비하여, 상기 걸림구(610)가 슬라이드바(320)의 제 2 높이조절 공(321)을 통해 고정바(200)의 제 1 높이조절 공(211)에 걸릴 수 있도록 탄성력이 작용하는 상태로 구비된 걸림수단(600)과; 상기 바퀴 연결부(330)의 나사 결합공(331)에 체결되는 나사부(411)를 상부에 구비하고, 하부 내측 반원 형의 내주 면에 상부 베어링(413)을 일정 간격으로 체결시키되, 하부 끝단으로부터 외부로 연장된 절곡부에 상하로 통공된 상부 볼트 결합공(412a)을 다수 개로 구비한 바퀴 덮개부(410)와, 상기 바퀴 덮개부(410)의 하부로부터 삽입하여 내주 면에 위치하여 상부가 바퀴 덮개부(410)의 내주 면에 체결된 상부 베어링(413)과 밀착하도록 구비되는 바퀴 볼(500)과, 상기 바퀴 덮개부(410)의 하부에 체결되도록 상부 끝단으로부터 외부로 연장된 절곡부에 상하로 통공된 하부 볼트 결합공(412b)을 대응되게 구비하고, 내주 면에 하부 베어링(423)을 일정 간격으로 체결시켜 바퀴 볼(500)의 하부를 받치며, 하부가 통공 되도록 구비된 바퀴 받침부(420)로 이루어진 볼 바퀴부(400) 로 구성한다.
즉, 상기 동력전달 관(2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 작업자가 손으로 잡기 편한 원통형 금속제 관으로 제작되며 예초날(31)이 있는 헤드부(30)의 후측에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안전커버(32)가 체결된다.
상기 고정바(200)는 일정 길이를 갖는 원형의 금속제 관으로, 하부로부터 내측 상부까지 통공이 형성되어 있고, 3 개의 제 1 높이조절 공(211)이 측부에 상하로 일정 거리만큼 배열되어 있으며, 상부 끝단에는 고정을 위해 반원형의 상부 링(220b)과 하부 링(220a)의 결합으로 원형을 이루는 체결구(220)가 구비된다.
상기 고정바(200)의 형상은 원형 또는 다각으로 제작하여도 무방하며, 그 재질 합성수지재를 이용해 제작하여도 무방하나 예초기의 동력전달 관(20)과 예초날(31)이 있는 헤드부(30)의 무게 및 예초 작업의 특성상 금속제로 제작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측부에 구비된 제 1 높이조절 공(211)의 개수를 다수 개로 제작하여 더욱더 미세하게 높이 조절을 할 수 있음을 밝혀두는 바이다.
여기서, 고정바(200)의 상부에 연결된 하부 링(220a)의 일측 암 힌지는 상부에 대응되는 상부 링(220b)의 수 힌지와 체결되어 회동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힌지를 중심으로 타측이 벌려질 수 있는 구조이며, 연장되어 대응되게 맞물려 있는 타측 연장부에는, 상하 볼트 결합 공을 통해 볼트를 끼워 체결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바퀴 고정수단(300)의 상부에 있는 슬라이드바(320)는 고정바(200)의 하부 통공으로 삽입되어 상하로 슬라이드 될 수 있도록 고정바(200)의 통공과 지름을 동일하게 제작하고, 길이를 고정바(200)에 비해 소정 길이 만큼 짧게 제작하여, 고정바의 내부 끝단과 약간의 이격 거리를 갖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슬라이드바(320)의 하부 끝단에는 양측으로 대응되게 연장되다가 하부방향으로 절곡시켜 그 하부에 나사 결합공(331)을 각각 구비하여 후술 될 볼 바퀴부(400)의 나사부(411)가 끼워져 고정될 수 있는 바퀴 연결부(330)가 구비된다.
상기 바퀴 연결부(330)의 형상은 양측으로 직각으로 구성할 뿐 아니라 타원이나 그밖에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이 가능하며, 체결되는 각각의 바퀴가 서로 일정 이격 거리를 갖도록 연장되는 길이를 조절하여 제작하여야 한다.
상기 볼 바퀴부(400)는 금속재질로 구 형상을 갖는 바퀴 볼(500)의 상부에 대응되는 형상의 바퀴 덮개부(410)와, 바퀴 볼(500)의 하부를 받쳐주기 위해 바퀴 덮개부(410)와 대응되게 체결되는 바퀴 받침부(420)로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바퀴 덮개부(410)는 일정 두께를 갖고, 상부로 반구 형태를 갖도록 하는 것으로, 상부 중앙에는 나사부(411)가 일정 길이 만큼 연장되게 부착되어 있고, 바퀴 덮개부(410)의 하부 테두리에는 측방향으로 일정 길이를 갖는 절곡부를 구비하여, 상기 절곡부 상 하부로 다수개 배열되어 관통하는 상하 볼트 결합 공(412a, 412b)을 일정 간격으로 절곡부를 따라 구비된다.
또한, 상기 바퀴 덮개부(410)의 내주 면은 바퀴 볼(500)이 대응되게 삽입되 어 회전할 수 있도록 반원 형태를 갖는 것으로서, 내주 면의 상부 중앙에 일정 크기를 갖는 상부 베어링(413) 1 개가 홈에 체결되어 회동할 수 있게 구비되며, 바퀴 덮개부(410)의 중간 높이에는 상부 베어링(413) 4 개가 수평으로 일정간격을 갖는 상태로 체결된다.
상기 상부 베어링(413)의 개수와 배열을 다양하게 할 수 있으나 상기와 같은 개수와 배열로 제작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바퀴 받침부(420)는 상부가 바퀴 덮개부(410)의 하부 절곡부와 대응되는 형상을 갖도록 하여 바퀴 덮개부(410)의 상부 볼트결합 공(412a)과 동일 개수와 동일 축 선상으로 체결할 수 있도록 대응되는 하부 볼트결합 공(412b)을 구비한다.
또한, 바퀴 받침부(420)의 내주면 중앙 하부는 바퀴 볼(500)의 하부가 바닥으로 나올 수 있게 수평으로 절개된 통공부를 갖는다.
다른 실시 예 1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바(320)의 내측에 제 2 판 스프링(630)을 양단이 끊어진 상태로 원형의 링 형상으로 슬라이드바(320)의 측방향으로 감기도록 구비한 후 상기 제 2 판 스프링(630)의 일면을 걸림구(610)의 내부 일측과 일체로 부착시켜 걸림구(610)가 슬라이드바(320)의 제 2 높이조절 공(321)을 통해 고정바(200)의 제 1 높이조절 공(211)에 걸려 탄성력이 작용하는 상태로 출몰할 수 있는 구조로 제작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 2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바(200)의 일측에 구비된 제 1 높이조절 공(211)을 타측에도 동일한 개수와 높이로 대응되게 구비시키고, 이에 대응되는 위치를 갖는 슬라이드바(320)의 제 2 높이조절 공(321) 또한 양 측에 각각 대응 되게 하나로 구비한 후, 상기 고정바(200)의 외측 제 1 높이조절 공(211)을 통해 슬라이드바(320)의 양측 제 2 높이조절 공(321)을 관통하여 타측에 있는 제 1 높이 조절 공(211)의 외부로 연장된 볼트 축(650)을 구비한다.
이에, 상기 볼트 축(650)의 양측을 나비 너트(640)로 체결하여 양측이 고정된 상태로 고정바(200)와 슬라이드바(320)가 체결되며, 또다시 높이를 조절하고자 할 때에는 나비 너트(640)를 풀어 볼트 축(650)을 빼낸 후 다시 제 1, 2 높이조절 공(211, 321)에 삽입하여 조절할 수 있다.
이하, 상기한 구성의 본 고안의 기능 및 작동관계(작용)를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가 원동기를 등이나 어깨에 메고 원동기로부터 연결된 동력전달 관(20)의 손잡이부를 잡은 후 예초 하고자하는 예초 면에 볼 바퀴가 달린 예초기 지지대의 볼 바퀴부(400)를 대면 고정바(200)와 바퀴 고정부(300)의 일정 높이에 의해 예초날(31)이 지면과 일정한 높이를 갖게 된다.
이후, 사용자가 동력전달 관(20)에 구비된 예초날 작동 스위치를 이용해 헤드부(30)에 있는 예초날(31)을 고속으로 회전시킨 후, 동력전달 관(20)과 일체로 고정된 볼 바퀴가 달린 예초기 지지대의 볼 바퀴부(400)를 굴려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잔디나 잡초 등의 상부 면을 균일하게 자를 수 있다.
이때, 예초날(31)과 지면과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고정바(200)의 측부 제 1 높이조절 공(211)에 끼워진 걸림구(610)를 손으로 밀어 넣으면, 제 1 높이조절 공(211)에서 걸림구(610)가 이탈하여, 고정바(200)의 통공에 삽입된 슬라이드바(320)를 상하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 후, 슬라이드바(320)의 걸림구(610)를 제 1 높이조절 공(211)에 끼우면 바퀴 고정수단(300)이 고정바(200)에 높이가 조절된 상태로 고정된다.
여기서, 걸림구(610)가 슬라이드바(320)의 내측에 고정된 제 1 판 스프링(620)에 의해 외부로 탄성력이 작용해 빠지지 않게 된다.
따라서, 높낮이가 조절된 지지대의 볼 바퀴부(400)가 예초날(31)이 지면에 일정 거리를 갖도록 받쳐 줌으로써, 작업자가 장시간 작업하더라도 동력전달 관(20)과 예초날(31)의 무게에 의한 부담을 줄일 수 있고, 볼 바퀴가 달린 예초기 지지대에 의해 일정한 예초날(31)의 높이를 유지하면서 일정한 예초 면을 갖도록 작업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볼 바퀴가 달린 예초기 지지대에 대한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초기 날을 사용자가 항상 들고 있을 때의 무게의 부담을 덜 수 있어 용이하게 예초 작업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예초날의 높낮이 및 각도를 조절할 수 있어 잔디를 일정하게 예초할 수 있으며, 지면과 예초날을 일정한 거리를 유지시켜 예초날이 지면에 부딛혀 사용자가 다칠 위험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지지대에 볼 바퀴를 적용하여 전후좌우 방향에 상관없이 자유롭게 밀며 이동이 가능해 작업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원동기의 동력을 이용해 동력전달 관의 끝 부에 있는 예초날을 회전시켜 예초 작업을 할 수 있는 통상의 휴대용 예초기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 관(20)의 소정 위치에 연결되어 하부로 소정길이를 갖고, 내부에 통공과 측부 상하에 일정 간격으로 제 1 높이조절 공(211)을 다수 개 구비한 고정바(200)와;
    상기 고정바(200)의 통공에 대응되게 상하 슬라이드 되며, 측부에 상기 고정바(200)의 제 1 높이조절 공(211)과 대응되는 위치에 한 개의 제 2 높이조절 공(321)을 구비한 슬라이드바(320)와, 상기 슬라이드바(320)의 하부에서 양측으로 각각 연장되어 하부를 향하되, 하부 각각에 나사 결합공(331)을 구비한 바퀴 연결부(330)로 구비된 바퀴 고정수단(300)과;
    상기 바퀴고정수단(300)의 슬라이드바(320)의 내측에 일측이 부착된 제 1 판 스프링(620)과, 상기 제 1 판 스프링(620)의 타측에 걸림구(610)를 구비하여, 상기 걸림구(610)가 슬라이드바(320)의 제 2 높이조절 공(321)을 통해 고정바(200)의 제 1 높이조절 공(211)에 걸릴 수 있도록 탄성력이 작용하는 상태로 구비된 걸림수단(600)과;
    상기 바퀴 연결부(330)의 나사 결합공(331)에 체결되는 나사부(411)를 상부에 구비하고, 하부 내측 반원 형의 내주 면에 상부 베어링(413)을 일정 간격으로 체결시키되, 하부 끝단으로부터 외부로 연장된 절곡부에 상하로 통공된 상부 볼트 결합공(412a)을 다수 개로 구비한 바퀴 덮개부(410)와, 상기 바퀴 덮개부(410)의 하부로부터 삽입하여 내주 면에 위치하여 상부가 바퀴 덮개부(410)의 내주 면에 체결된 상부 베어링(413)과 밀착하도록 구비되는 바퀴 볼(500)과, 상기 바퀴 덮개부(410)의 하부에 체결되도록 상부 끝단으로부터 외부로 연장된 절곡부에 상하로 통공된 하부 볼트 결합공(412b)을 대응되게 구비하고, 내주 면에 하부 베어링(423)을 일정 간격으로 체결시켜 바퀴 볼(500)의 하부를 받치며, 하부가 통공 되도록 구비된 바퀴 받침부(420)로 이루어진 볼 바퀴부(400)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볼 바퀴가 달린 예초기 지지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바(200)는,
    일측에 동력전달 관(20)을 감싸는 원형의 체결구(220)를 구비하되, 상기 체결구(220)는 하부 링(220a)과 상부 링(220b)으로 대응되게 나누어져 있으며, 대응되는 일측은 회동 되어 벌릴 수 있도록 암수 힌지로 체결되고, 타측은 대응되게 수평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어 상하 볼트 체결공을 대응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볼 바퀴가 달린 예초기 지지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수단(600)은,
    슬라이드바(320)의 내측에 양단이 끊어진 형태의 제 2 판 스프링(630)을 원형의 링 형상으로 끼워 걸림구(610)의 일측과 일체로 연결하여, 상기 걸림구(610)가 슬라이드바(320)의 제 2 높이조절 공(321)을 통해 고정바(200)의 제 1 높이조절 공(211)에 걸려 탄성력이 작용하는 상태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볼 바퀴가 달린 예초기 지지대.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바(200)의 양측에 각각 제 1 높이조절 공(211)을 대응되게 구비하고, 슬라이드바(320)의 제 2 높이조절 공(321) 또한 양측에 각각 대응 되게 구비하고,
    상기 고정바(200)의 외측 제 1 높이조절 공(211)을 통해 슬라이드바(320)의 양측 제 2 높이조절 공(321)을 관통하여 타측에 있는 제 1 높이 조절 공(211)의 외부로 돌출되는 볼트 축(650)을 구비하며,
    상기 볼트 축(650)의 양측을 나비 너트(640)로 체결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볼 바퀴가 달린 예초기 지지대.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퀴 덮개부(410)의 상부 베어링(413)은,
    내주 면의 상부 중앙에 1개, 중간 높이에 4개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볼바퀴가 달린 예초기 지지대.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퀴 받침부(420)의 하부 베어링(423)은,
    내주 면에 4개로 구성하되 상기 바퀴 덮개부(410)의 상부 베어링(413)보다 작은 크기임을 특징으로 하는 볼바퀴가 달린 예초기 지지대.
KR2020060005764U 2006-03-03 2006-03-03 볼 바퀴가 달린 예초기 지지대 KR20041740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5764U KR200417401Y1 (ko) 2006-03-03 2006-03-03 볼 바퀴가 달린 예초기 지지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5764U KR200417401Y1 (ko) 2006-03-03 2006-03-03 볼 바퀴가 달린 예초기 지지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7401Y1 true KR200417401Y1 (ko) 2006-05-26

Family

ID=417668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5764U KR200417401Y1 (ko) 2006-03-03 2006-03-03 볼 바퀴가 달린 예초기 지지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740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1120Y1 (ko) * 2010-01-14 2012-06-21 정삼용 예초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1120Y1 (ko) * 2010-01-14 2012-06-21 정삼용 예초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06044B1 (en) Mower
US6874306B2 (en) Hand-pushed mower
US5450715A (en) Wheel assembly for grass trimmers and the like
US8973343B2 (en) Mower deck trimmer assembly
KR101106618B1 (ko) 다목적 작물수확기
US20020157368A1 (en) Wheeled vegetation trimmer
JP6746815B1 (ja) 簡易蔓切機
US7222476B2 (en) Hand-pushed mower
KR200417401Y1 (ko) 볼 바퀴가 달린 예초기 지지대
KR101692110B1 (ko) 예초기의 작업봉 걸이장치
KR200460767Y1 (ko) 주행가능한 농작물 예초기
KR200404883Y1 (ko) 예초기
US20150334917A1 (en) Free Spinning Ball Device
CA2910723C (en) Three headed cutting apparatus for attachment to a lawnmower tractor
KR20120118959A (ko) 예초기의 안전장치
JP2016010397A (ja) 草刈機および草刈機用回転刃
KR200455207Y1 (ko) 회전에 의한 원심력으로 절단체가 펼쳐지는 휨강도가 우수한 바퀴식 예초기의 안전 절단장치
KR20190000230U (ko) 예초기
CN205389526U (zh) 收割机座椅总成
KR101374399B1 (ko) 예초기용 지지롤러
JP6161963B2 (ja) 農作業機
KR200461120Y1 (ko) 예초기
KR20090002379A (ko) 이동용 바퀴가 설치된 예초기
US10874047B1 (en) String cutter with support
KR200439573Y1 (ko) 예취기용 안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