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0230U - 예초기 - Google Patents

예초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0230U
KR20190000230U KR2020170003726U KR20170003726U KR20190000230U KR 20190000230 U KR20190000230 U KR 20190000230U KR 2020170003726 U KR2020170003726 U KR 2020170003726U KR 20170003726 U KR20170003726 U KR 20170003726U KR 20190000230 U KR20190000230 U KR 2019000023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driven
cutter
main body
rotational fo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37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교섭
Original Assignee
윤교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교섭 filed Critical 윤교섭
Priority to KR20201700037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00230U/ko
Publication of KR2019000023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0230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83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cutting members on endless belts or sprocket chai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01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밴드, 벨트나 체인 형태로 회전하는 커터(cutter)를 이용하여 잔디, 풀, 잡초 등의 예초물을 절단할 수 있도록 구현한 예초기에 관한 것으로, 하부 또는 전부가 개방된 케이스 형태로 형성된 본체부; 본체부의 후부 또는 상부에 고정 형성되며, 회전력을 발생시켜 전달하는 모터부; 본체부의 내부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후측에 회전 케이블을 통해 모터부와 연결 형성되어, 모터부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력에 의해 구동 회전하는 구동부; 본체부의 내부 다른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회전력을 전달받아 피동 회전하는 피동부; 밴드, 벨트나 체인 형태로 구동부와 피동부에 연결 설치되어, 구동부의 회전에 의해서 피동부로 회전력을 전달함과 동시에 회전되어 예초물을 절단하는 커터부; 및 본체부의 양측 외부면에 회동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본체부를 일정 높이만큼 지지함과 동시에 이동 가능하도록 해 주는 바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예초기{Mower}
본 고안은 예초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밴드, 벨트나 체인 형태로 회전하는 커터(cutter)를 이용하여 잔디, 풀, 잡초 등의 예초물을 절단할 수 있도록 구현한 예초기에 관한 것이다.
예초기는, 정원, 산소 또는 논두렁 등에서 자라나는 잔디, 풀, 잡초 등을 절단하는데 사용되는 기계 장치로서, 잔디, 풀, 잡초 등을 절단하여 적정의 높이만큼 유지시켜 주고 잘 성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관리 목적으로 사용되는 경우와, 쓸모없는 잡초 등을 제거하려는 목적으로 사용되는 경우의 두 가지가 있다.
이러한 예초기는, 사용자에 의해 파지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손잡이를 포함하는 연결대가, 모터나 원동기 등과 같은 동력원에 의해 회전력이 발생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회전축과 연결되고, 회전축의 하단에 결합되어 지면과 수평을 이루는 형상을 가지며 고속으로 회전되는 상태로 잔디, 풀, 잡초 등을 절단하는 커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예초기는, 커터가 노출상태로 고속 회전하면서 잔디, 풀, 잡초 등을 절단함으로써, 지면에 돌이나 자갈 등이 있을 경우에는 고속으로 회전하는 커터에 의해 돌이나 자갈 등이 파쇄되어 비산되며, 이에 신체에 가격되는 상황 등과 같은 사고를 유발하는 경우가 있었으며, 지면에 거치되는 부분이 없어 사용자에 의해 임의로 지면에서 이격된 상태로 작업을 해야 하므로 사용자의 숙달된 작동 능력뿐만 아니라 장시간 사용 시에 많은 체력이 요구된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344932호(2004.03.03 등록)는 예초기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는데, 회전력을 발생하는 동력원에 의해 회전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회전축부와; 회전축부에 결합되며, 좌우 양 끝단이 하측으로 한번 구부러지고 다시 지면과 수평을 이루도록 외측으로 구부러진 형상을 갖는 커터부와; 커터부의 회전을 방해하지 않도록 커터부를 둘러싸는 형상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며, 커터부의 회전에 따라 파쇄되는 파편의 측방향 비산을 막아주는 측면 커버부와; 측면 커버부 및 회전축부와 결합되는 연결대와; 측면 커버부의 일단부 또는 연결대에 결합되어 전후 이동을 용이하게 하는 바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잡초의 뿌리까지 완전히 절단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커터부와, 고속회전되는 커터부에 의해 파쇄되는 돌이나 자갈 등의 파편을 상방향에서 막아주는 상부커버와, 돌이나 자갈 등의 파편을 측방향에서 막아주는 측면 커버부와, 예초기의 원활한 이동을 가능하게 하며 지면과의 이격을 일정하게 유지시켜줄 수 있는 수단으로서 구비되는 바퀴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잡초의 뿌리를 절단하는 방법으로 완전한 제초작업을 가능하게 하고, 파편의 비산에 의해 인체에 미칠 수 있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며, 사용이 용이하여 숙달된 기술이 없는 작업자들도 쉽게 사용할 수 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336992호(2003.12.13 등록)는 예초기의 사용 시 진향방향에 따라 바퀴의 구름방향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바위나 나무 등과 같이 장애물이 있더라도 칼날의 진입에는 아무런 장애가 없기 때문에 장애물에 간섭을 받지 않고 예초작업을 할 수 있으며, 평탄한 지형의 잔디 혹은 잡초의 예초작업 시 보조 거치대의 바퀴를 앞뒤로 굴러가도록 위치시키면 양 바퀴에 의해 샤프트의 균형이 유지되어 한손으로 밀고 나가기만 하여도 예초작업을 손쉽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초보자들도 아무런 어려움이 없이 깔끔하고 단정한 예초작업을 할 수 있으며, 횡방향으로 예초작업을 할 경우에도 두 개의 바퀴에 의해 관형 샤프트를 지지하고, 구름 작용을 하기 때문에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고 안전한 예초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예초기의 회전칼날 지지용 거치대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굴러가도록 고정된 바퀴가 부착된 예초기용 보조 거치대에 있어서, 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칼날이 장착된 예초기의 관형 샤프트에 탈부착되어지는 고정부와; 고정부에 결합되고, 한 쌍으로 구성된 바퀴의 구름방향을 선택적으로 변경할 수 있도록 부착되어진 지지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예초기는, 대부분에 금속 재질의 딱딱한 회전 칼날을 고속으로 회전시켜 잔디, 풀, 잡초 등을 절단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회전 칼날이 잔디, 풀, 잡초 등이 아닌 돌이나 자갈 등과 같은 딱딱한 물체에 부딪히는 경우에, 회전 칼날이 파쇄될 수 있으며, 이때 파쇄된 칼날 조각이나 파편이 튀어서 장비를 고장 나게 하거나 사용자에게 위험을 가할 수 있는 단점을 가지고 있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344932호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336992호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밴드, 벨트나 체인 형태로 회전하는 커터(cutter)를 이용하여 잔디, 풀, 잡초 등의 예초물을 절단할 수 있도록 구현한 예초기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고안의 한 특징에 따르면, 하부 또는 전부가 개방된 케이스 형태로 형성된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후부 또는 상부에 고정 형성되며, 회전력을 발생시켜 전달하는 모터부; 상기 본체부의 내부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후측에 회전 케이블을 통해 상기 모터부와 연결 형성되어, 상기 모터부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력에 의해 구동 회전하는 구동부; 상기 본체부의 내부 다른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회전력을 전달받아 피동 회전하는 피동부; 밴드, 벨트나 체인 형태로 상기 구동부와 상기 피동부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구동부의 회전에 의해서 상기 피동부로 회전력을 전달함과 동시에 회전되어 예초물을 절단하는 커터부; 및 상기 본체부의 양측 외부면에 회동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본체부를 일정 높이만큼 지지함과 동시에 이동 가능하도록 해 주는 바퀴부를 포함하는 예초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구동부는, 전측에 상기 커터부가 후측으로 밀리지 않도록 하기 위한 밀림방지턱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피동부는, 전측에 상기 커터부가 후측으로 밀리지 않도록 하기 위한 밀림방지턱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커터부는, 띠톱날(band saw)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커터부는, 전방으로 칼날이 구비된 벨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커터부는, 체인 톱(chain saw)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예초기는, 상기 모터부의 하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모터부를 일정 높이만큼 지지함과 동시에 이동 가능하도록 해 주는 보조바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예초기는, 상기 모터부와 보조바퀴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모터부의 높이를 조절하여 상기 본체부의 전후방향으로의 기울기를 변화시켜 주는 높이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예초기는, 상기 본체부의 후부 상측에 고정 설치되어, 차량 연결대나 손잡이 연결대를 연결하여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거치시켜 주는 하나 또는 두 개 이상의 거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예초기는, 상기 본체부의 내부 다른 일측에 고정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피동부의 후측에 연결 형성되며, 상기 커터부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해서 상기 피동부를 좌우 이동시켜 주거나, 상기 피동부의 각도를 조절하는 피동부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본체부의 내부 일측에 형성된 홀에 외부면을 고정 형성시킨 구동베어링; 상기 구동베어링의 내부면에 관통되어 고정 형성되며, 일측이 회전 케이블을 통해 상기 모터부와 연결 형성되어, 상기 모터부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샤프트; 및 상기 구동샤프트의 다른 일측에 고정 형성되며, 전측에 상기 커터부의 일측과 연결 설치되어, 상기 구동샤프트의 회전에 의해 구동 회전하여 상기 커터부를 회전시켜 주는 구동풀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피동부는, 상기 본체부의 내부 다른 일측에 형성된 홈에 외부면을 고정 형성시킨 아이들베어링; 일측이 상기 아이들베어링의 내부면에 고정 형성되어, 피동 회전에 의해 회전하는 아이들샤프트; 및 상기 아이들샤프트의 다른 일측에 고정 형성되며, 전측에 상기 커터부의 다른 일측과 연결 설치되어, 상기 커터부가 상기 구동부와의 사이에서 회전되도록 장력을 유지시켜 줌과 동시에, 상기 커터부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력에 의해 피동 회전하여 상기 아이들샤프트를 회전시켜 주는 아이들풀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피동부는, 일측이 상기 본체부의 내부 다른 일측에 형성된 홈에 고정 형성된 아이들샤프트; 내부면에 상기 아이들샤프트의 다른 일측을 고정 형성한 아이들베어링; 및 중심부에 형성된 홀에 상기 아이들베어링의 외부면을 고정 형성하여, 상기 커터부가 상기 구동부와의 사이에서 회전되도록 장력을 유지시켜 줌과 동시에, 상기 커터부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력에 의해 피동 회전하는 아이들풀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구동풀리의 외주면을 따라 고정 형성되고, 상기 커터부의 일측과 치합 형성되어, 상기 구동풀리의 회전에 의해 구동 회전하여 상기 커터부를 회전시켜 주는 구동기어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피동부는, 상기 아이들풀리의 외주면을 따라 고정 형성되고, 상기 커터부의 다른 일측과 치합 형성되어, 상기 커터부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력에 의해 피동 회전하여 상기 아이들풀리를 회전시켜 주는 피동기어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커터부는, 일측이 상기 구동기어에 치합 형성됨과 동시에 다른 일측이 상기 피동기어에 치합 형성되어, 상기 구동기어의 회전에 의해서 상기 피동기어로 회전력을 전달함과 동시에 회전하는 체인; 및 전방 방향으로 상기 체인에 고정 형성되어, 상기 체인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어 예초물을 절단하는 복수 개의 체인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피동부조절부는, 상기 본체부의 다른 일측 내부에 형성된 공간에 서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수평으로 고정 설치된 두 개의 수평이동용 레일봉; 상하에 수평으로 형성되어 상기 수평이동용 레일봉을 삽입하기 위한 두 개의 수평홀과, 일측에 형성된 제1암나사홀을 구비하여, 상기 수평이동용 레일봉을 따라 좌우로 이동하며, 전면에 형성된 홈의 다른 일측에 형성된 제2암나사홀을 구비하는 수평이동판; 일측이 상기 본체부의 외부에 돌출 형성됨과 동시에 다른 일측이 상기 제1암나사홀에 체결 형성되어, 상기 제1암나사홀에 잠그거나 풀 때에 상기 수평이동판을 좌우로 이동시켜 주는 수평이동나사; 상기 수평이동판의 전면에 형성된 홈의 일측 상하에 연결 형성된 회동바; 상기 수평이동판의 전면에 형성된 홈에 삽입 형성되며,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회동바를 삽입하기 위한 삽입홀을 구비하며, 다른 일측의 전면에 상기 피동부를 고정 형성하여, 상기 피동부의 각도를 조절해 주는 각도조절판; 및 상기 제2암나사홀에 체결 형성되어, 상기 제2암나사홀에 잠그거나 풀 때에 상기 제2암나사홀에서 돌출된 부분이 상기 각도조절판의 다른 일측 후면을 밀어내거나 들어오도록 하여 상기 각도조절판을 회동시켜 주는 각도조절나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밴드, 벨트나 체인 형태로 회전하는 커터(cutter)를 이용하여 잔디, 풀, 잡초 등의 예초물을 절단할 수 있도록 구현한 예초기를 제공함으로써, 밴드, 벨트나 체인 형태로 회전하는 커터 자체가 탄력을 가지므로, 돌이나 자갈 등과 같은 딱딱한 물체에 부딪히는 경우에도 잘 파쇄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무리하게 딱딱한 물체에 부딪히더라도 단지 끊어지기만 하지 커터의 조각이나 파편이 발생하지 않으며, 이에 장비를 고장 나게 하거나 사용자에게 위험을 가할 수 있는 일이 발생하지 않는 효과를 가진다.
도 1 및 2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예초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있는 구동부 및 피동부를 제1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있는 구동부, 피동부 및 커터부를 제2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있는 체인과 체인날의 설치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1에 있는 피동부조절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고안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고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예초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2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예초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여기서,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예초기를 전방에서 본 도면이며,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예초기를 후방에서 본 도면이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예초기(100)는, 본체부(110), 모터부(120), 구동부(130), 피동부(140), 커터부(150), 두 개의 바퀴부(160)를 포함한다.
본체부(110)는, 하부(또는, 전부)가 개방된 케이스 형태로 형성되며, 후부 또는 상부에 모터부(120)를 고정 형성하며, 내부 일측에 구동부(130)를 회동 가능하도록 형성하며, 내부 다른 일측에 피동부(140)를 회동 가능하도록 형성하며, 양측 외부면에 바퀴부(160)를 회동 가능하도록 형성한다.
일 실시 예에서, 본체부(110)는,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구동부(130), 피동부(140), 커터부(150)를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본체부(110)는, 커터부(150)의 하부만 노출되도록 하부만 개방 형성할 수도 있다.
모터부(120)는, 본체부(110)의 후부 또는 상부에 고정 형성되며, 모터회전축과 연결되는 플렉시블 샤프트(flexible shaft)가 내부에서 회동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회전 케이블을 통해 구동부(120)와 연결 형성되며, 회전력을 발생시켜 해당 발생시킨 회전력을 구동부(120)에 전달해 준다.
구동부(130)는, 본체부(110)의 내부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후측에 회전 케이블을 통해 모터부(120)와 연결 형성되며, 전측에 커터부(150)의 일측과 연결 설치되며, 모터부(120)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력에 의해 회전(즉, 구동 회전)되어 커터부(150)를 회전시켜 준다.
일 실시 예에서, 구동부(130)는, 커터부(150)의 일측과 연결 설치되는 전측에 커터부(150)가 후측으로 밀리지 않도록 하기 위한 밀림방지턱(131)을 형성할 수 있다.
피동부(140)는, 본체부(110)의 내부 다른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전측에 커터부(150)의 다른 일측과 연결 설치되며, 커터부(150)가 구동부(130)와의 사이에서 회전되도록 장력을 유지시켜 줌과 동시에 커터부(150)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력에 의해 회전(즉, 피동 회전)된다.
일 실시 예에서, 피동부(140)는, 커터부(150)의 일측과 연결 설치되는 전측에 커터부(150)가 후측으로 밀리지 않도록 하기 위한 밀림방지턱(141)을 형성할 수 있다.
커터부(150)는, 밴드, 벨트나 체인 형태로 구동부(130)와 피동부(140)에 연결 설치되어, 구동부(130)의 회전에 의해서 피동부(140)로 회전력을 전달함과 동시에 회전되어 잔디, 풀, 잡초 등의 예초물을 절단해 준다.
일 실시 예에서, 커터부(150)는, 제1 예에 의하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띠톱날(band saw)일 수 있으며,
일 실시 예에서, 커터부(150)는, 전방으로 칼날이 구비된 벨트(설명의 편의상으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일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커터부(150)는, 체인 톱(chain saw)(설명의 편의상으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일 수도 있다.
바퀴부(160)는, 본체부(110)의 양측 외부면에 회동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본체부(110)를 일정 높이만큼 지지함과 동시에 이동 가능하도록 해 준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예초기(100)는, 밴드, 벨트나 체인 형태로 회전하는 커터부(150)를 이용하여 잔디, 풀, 잡초 등의 예초물을 절단할 수 있도록 구현함으로써, 밴드, 벨트나 체인 형태로 회전하는 커터부(150) 자체가 탄력을 가지므로, 돌이나 자갈 등과 같은 딱딱한 물체에 부딪히는 경우에도 잘 파쇄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무리하게 딱딱한 물체에 부딪히더라도 단지 끊어지기만 하지 커터부(150)의 조각이나 파편이 발생하지 않으며, 이에 장비를 고장 나게 하거나 사용자에게 위험을 가할 수 있는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예초기(100)는, 보조바퀴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예초기(100)는, 높이조절부(설명의 편의상으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조바퀴부(170)는, 모터부(120)의 하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모터부(120)를 일정 높이만큼 지지함과 동시에 이동 가능하도록 해 준다.
높이조절부는, 예를 들어 실린더, 다단 삽입 구조의 폴대 등의 형태로 모터부(120)와 보조바퀴부(170) 사이에 설치되어, 모터부(120)의 높이를 조절하여 본체부(110)의 전후방향으로의 기울기를 변화시켜 줌으로써, 예초물의 절단 높이를 변경해 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예초기(100)는, 하나 또는 두 개 이상의 거치부(180)를 더 포함할 수 있어, 손잡이에 연결 거치시켜 작업자가 직접 편리하게 예초할 수 있으며, 또한 작업자가 직접 예초할 필요 없이 차량에 연결 거치시켜 차량과 함께 이동하면서 예초할 수도 있도록 해 준다.
거치부(180)는, 본체부(110)의 후부 상측에 고정 설치되어, 차량과 연결하기 위한 차량 연결대(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나 손잡이와 연결하기 위한 손잡이 연결대(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를 연결하여 볼트 등과 같은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거치시켜 준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예초기(100)는, 피동부조절부(190)를 더 포함할 수 있어, 피동부(140)를 좌우로 이동(즉, x축 방향으로의 이동)시켜 구동부(130)와 피동부(14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팽팽하게 커터부(150)의 장력을 조절해 줄 수 있으며, 또한 본체부(110)와 대향하는 피동부(140)의 각도(전후 각도)(즉, z축 방향으로의 각도)를 조절함으로써,구동부(130)와 피동부(140)가 평형을 유지하도록 함과 동시에, 커터부(150)가 고속 회전 시에도 구동부(130)와 피동부(140)에서 이탈되지 않고 일정하게 밀착된 상태로 작동 유지해 줄 수도 있다.
피동부조절부(190)는, 본체부(110)의 내부 다른 일측에 고정 형성됨과 동시에 피동부(140)의 후측에 연결 형성되며, 커터부(150)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해서 피동부(140)를 좌우 이동시켜 주거나, 피동부(140)의 각도를 조절해 준다.
일 실시 예에서, 피동부조절부(190)는, 피동부(140)를 좌우 이동시켜 커터부(150)를 장착 또는 탈착할 수 있고 또한 커터부(150) 장착 시에 커터부(150)를 팽팽하게 커터부(150)의 장력을 유지시켜 줄 수 있다. 그리고 피동부조절부(190)는, 피동부(140)의 각도를 전후 방향으로 조절하여 커터부(150)가 구동부(130)의 전측과 피동부(140)의 전측에 일정하게 밀착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3은 도 1에 있는 구동부 및 피동부를 제1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구동부(1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베어링(132), 구동샤프트(133), 구동풀리(134)를 포함한다.
구동베어링(132)은, 본체부(110)의 내부 일측에 형성된 홀에 외부면을 고정 형성시킴과 동시에, 내부면에 구동샤프트(133)가 관통되어 고정 형성되어, 구동샤프트(133)가 회동 가능하도록 해 준다.
구동샤프트(133)는, 구동베어링(132)의 내부면에 관통되어 고정 형성되며, 일측이 회전 케이블을 통해 모터부(120)와 연결 형성되며, 다른 일측이 구동풀리(134)에 고정 형성되어, 모터부(120)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력에 의해 회전(즉, 구동 회전)되어 구동풀리(134)를 회전시켜 준다.
구동풀리(134)는, 구동샤프트(133)의 다른 일측에 고정 형성되며, 전측에 커터부(150)의 일측과 연결 설치되며, 구동샤프트(133)의 회전에 의해 회전(즉, 구동 회전)되어 커터부(150)를 회전시켜 준다.
피동부(14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이들베어링(142), 아이들샤프트(143), 아이들풀리(144)를 포함한다.
아이들베어링(142)은, 본체부(110)의 내부 다른 일측에 형성된 홈(또는, 피동부조절부(190)에 의해서 피동부(140)를 좌우로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된 라인홈)에 외부면을 고정 형성시킴과 동시에, 내부면에 아이들샤프트(143)의 일측이 고정 형성되어, 아이들샤프트(143)가 회동 가능하도록 해 준다.
일 실시 예에서, 아이들샤프트(143)의 일측이 본체부(110)에 고정 형성되는 경우에, 아이들베어링(142)은, 아이들풀리(144)의 중심부에 형성된 홀에 외부면을 고정 형성시킴과 동시에, 내부면에 아이들샤프트(143)의 다른 일측이 고정 형성되어, 아이들풀리(144)가 회동 가능하도록 해 줄 수도 있다.
아이들샤프트(143)는, 일측이 아이들베어링(142)의 내부면에 고정 형성되며, 다른 일측이 아이들풀리(144)에 고정 형성되어, 아이들풀리(144)의 회전에 의해 회전(즉, 피동 회전)된다.
일 실시 예에서, 아이들샤프트(143)는, 일측이 본체부(110)의 내부 다른 일측에 형성된 홀에 고정 형성될 수도 있다.
아이들풀리(144)는, 아이들샤프트(143)의 다른 일측에 고정 형성되며, 전측에 커터부(150)의 다른 일측과 연결 설치되며, 커터부(150)가 구동부(130)와의 사이에서 회전되도록 장력을 유지시켜 줌과 동시에 커터부(150)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력에 의해 회전(즉, 피동 회전)되어 아이들샤프트(143)를 회전시켜 준다.
일 실시 예에서, 아이들샤프트(143)의 일측이 본체부(110)에 고정 형성되는 경우에, 아이들풀리(144)는, 중심부에 형성된 홀에 아이들베어링(142)의 외부면을 고정 형성하여, 커터부(150)가 구동부(130)와의 사이에서 회전되도록 장력을 유지시켜 줌과 동시에 커터부(150)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력에 의해 회전(즉, 피동 회전)될 수도 있다.
도 4는 도 1에 있는 구동부, 피동부 및 커터부를 제2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5는 도 4에 있는 체인과 체인날의 설치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여기서, 구동부(130), 피동부(140) 및 커터부(150)는 상술한 구성요소와 유사한 구조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고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하기하도록 한다.
구동부(1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기어(135)를 더 구비한다.
구동기어(135)는, 구동풀리(134)의 외주면을 따라 고정 형성되고, 커터부(150)의 일측과 치합 형성되어, 구동풀리(134)의 회전에 의해 회전(즉, 구동 회전)되어 커터부(150)를 회전시켜 준다.
일 실시 예에서, 구동기어(135)는, 구동풀리(134)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피동부(14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동기어(145)를 더 구비한다.
피동기어(145)는, 아이들풀리(144)의 외주면을 따라 고정 형성되고, 커터부(150)의 다른 일측과 치합 형성되어, 커터부(150)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력에 의해 회전(즉, 피동 회전)되어 아이들풀리(144)를 회전시켜 준다.
일 실시 예에서, 피동기어(145)는, 아이들풀리(144)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커터부(15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인(151), 복수 개의 체인날(152)을 포함함으로써,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띠톱날보다 안정적으로 회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다 탄력적으로 예초물을 절단할 수 있다.
체인(151)은, 구동부(130)와 피동부(140)에 연결 설치되되, 일측이 구동기어(135)에 치합 형성됨과 동시에 다른 일측이 피동기어(145)에 치합 형성되어, 구동부(130)(즉, 구동기어(135))의 회전에 의해서 피동부(140)(즉, 피동기어(145))로 회전력을 전달함과 동시에 회전된다.
체인날(152)은, 전방 방향으로 체인(151)에 고정 형성되어, 체인(151)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어 잔디, 풀, 잡초 등의 예초물을 절단해 준다.
일 실시 예에서, 체인날(152)은, 구동부(130)와 피동부(140)가 바닥에 대해 수직으로 형성된 경우에 체인(151)이 구동부(130)와 피동부(140)에 수직하게 연결 설치되어, 도 5 (가)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인(151)에 대해서 90도 방향으로 고정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체인날(152)은, 구동부(130)와 피동부(140)가 바닥과 수평으로 형성된 경우에 체인(151)이 구동부(130)와 피동부(140)에 수평하게 연결 설치되어, 도 5 (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인(151)에 대해서 평행하게 고정 형성될 수 있다.
도 6은 도 1에 있는 피동부조절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피동부조절부(190)는, 두 개의 수평이동용 레일봉(191), 수평이동판(192), 수평이동나사(193), 회동바(194), 각도조절판(195), 각도조절나사(196)를 포함한다.
수평이동용 레일봉(191)은, 본체부(110)의 다른 일측 내부에 형성된 공간에 서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수평으로 고정 설치되며, 수평이동판(192)의 수평홀에 삽입되어 수평이동판(192)이 좌우로 이동 가능하도록 해 준다.
수평이동판(192)은, 상하에 수평으로 형성되어 수평이동용 레일봉(191)을 삽입하기 위한 두 개의 수평홀을 구비하며, 일측에 형성되어 수평이동나사(193)의 다른 일측과 체결되기 위한 제1암나사홀을 구비하여, 수평이동나사(193)를 잠그거나 풀 때에 수평이동용 레일봉(191)을 따라 좌우로 이동하며, 또한 전면에 형성된 홈의 일측 상하에 회동바(194)를 연결 형성하며, 전면에 형성된 홈에 각도조절판(195)을 삽입 형성하며, 전면에 형성된 홈의 다른 일측에 형성되어 각도조절나사(196)와 체결되기 위한 제2암나사홀을 구비하여, 각도조절나사(196)를 잠그거나 풀 때에 각도조절나사(196)의 돌출 부분이 나오거나 들어가도록 해 준다.
수평이동나사(193)는, 일측이 본체부(110)의 외부에 돌출 형성됨과 동시에 다른 일측이 수평이동판(192)의 제1암나사홀에 체결 형성되어, 수평이동판(192)의 제1암나사홀에 잠그거나 풀 때에 수평이동판(192)을 좌우로 이동시켜 준다.
회동바(194)는, 수평이동판(192)의 전면에 형성된 홈의 일측 상하에 연결 형성되고 각도조절판(195)의 삽입홀에 삽입되어, 각도조절판(195)이 회동되도록 해 준다.
각도조절판(195)은, 수평이동판(192)의 전면에 형성된 홈에 삽입 형성되며, 일측에 형성되어 회동바(194)를 삽입하기 위한 삽입홀을 구비하며, 다른 일측의 전면에 피동부(140)(즉, 아이들베어링(142) 또는 아이들샤프트(143))를 고정 형성하며, 다른 일측의 후면이 각도조절나사(196)의 돌출 부분에 의해서 밀리거나 들어가 피동부(140)의 각도를 조절해 준다.
각도조절나사(196)는, 수평이동판(192)의 제2암나사홀에 체결 형성되어, 수평이동판(192)의 제2암나사홀에 잠그거나 풀 때에 수평이동판(192)의 제2암나사홀에서 돌출된 부분이 각도조절판(195)의 다른 일측 후면을 밀어내거나 들어오도록 하여 각도조절판(195)을 회동시켜 준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고안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예초기
110: 본체부
120: 모터부
130: 구동부
131, 141: 밀림방지턱
132: 구동베어링
133: 구동샤프트
134: 구동풀리
135: 구동기어
140: 피동부
142: 아이들베어링
143: 아이들샤프트
144: 아이들풀리
150: 커터부
151: 체인
152: 체인날
160: 바퀴부
170: 보조바퀴부
180: 거치부
190: 피동부조절부
191: 수평이동용 레일봉
192: 수평이동판
193: 수평이동나사
194: 회동바
195: 각도조절판
196: 각도조절나사

Claims (5)

  1. 하부 또는 전부가 개방된 케이스 형태로 형성된 본체부(110);
    상기 본체부(110)의 후부 또는 상부에 고정 형성되며, 회전력을 발생시켜 전달하는 모터부(120);
    상기 본체부(110)의 내부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후측에 회전 케이블을 통해 상기 모터부(120)와 연결 형성되어, 상기 모터부(120)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력에 의해 구동 회전하는 구동부(130);
    상기 본체부(110)의 내부 다른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회전력을 전달받아 피동 회전하는 피동부(140);
    밴드, 벨트나 체인 형태로 상기 구동부(130)와 상기 피동부(140)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구동부(130)의 회전에 의해서 상기 피동부(140)로 회전력을 전달함과 동시에 회전되어 예초물을 절단하는 커터부(150); 및
    상기 본체부(110)의 양측 외부면에 회동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본체부(110)를 일정 높이만큼 지지함과 동시에 이동 가능하도록 해 주는 바퀴부(160)를 포함하는 예초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130)는,
    전측에 상기 커터부(150)가 후측으로 밀리지 않도록 하기 위한 밀림방지턱(131)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초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동부(140)는,
    전측에 상기 커터부(150)가 후측으로 밀리지 않도록 하기 위한 밀림방지턱(141)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초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부(120)의 하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모터부(120)를 일정 높이만큼 지지함과 동시에 이동 가능하도록 해 주는 보조바퀴부(17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초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10)의 후부 상측에 고정 설치되어, 차량 연결대나 손잡이 연결대를 연결하여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거치시켜 주는 하나 또는 두 개 이상의 거치부(18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초기.
KR2020170003726U 2017-07-18 2017-07-18 예초기 KR2019000023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3726U KR20190000230U (ko) 2017-07-18 2017-07-18 예초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3726U KR20190000230U (ko) 2017-07-18 2017-07-18 예초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0230U true KR20190000230U (ko) 2019-01-28

Family

ID=652669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3726U KR20190000230U (ko) 2017-07-18 2017-07-18 예초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00230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586482A (zh) * 2022-03-07 2022-06-07 重庆富牌重生农机有限公司 一种水田打浆碎草防缠草刀具优化设计机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6992Y1 (ko) 2003-09-18 2003-12-31 조재천 예초기의 회전칼날 지지용 거치대
KR200344932Y1 (ko) 2003-12-31 2004-03-19 김성구 예초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6992Y1 (ko) 2003-09-18 2003-12-31 조재천 예초기의 회전칼날 지지용 거치대
KR200344932Y1 (ko) 2003-12-31 2004-03-19 김성구 예초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586482A (zh) * 2022-03-07 2022-06-07 重庆富牌重生农机有限公司 一种水田打浆碎草防缠草刀具优化设计机构
CN114586482B (zh) * 2022-03-07 2023-11-28 重庆富牌重生农机有限公司 一种水田打浆碎草防缠草刀具优化设计机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49270B2 (en) Quick-coupling for mower blades
US4936886A (en) Wheel mounted string trimmer
US20060288679A1 (en) Fence Mower
JP5531847B2 (ja) 草刈機及び草刈用装着具
KR101926182B1 (ko) 예초기
KR101234685B1 (ko) 관리기 부착형 작물 덩굴 처리기
KR20190000230U (ko) 예초기
US3693333A (en) Lawn mower vertical cutter attachment
US3593802A (en) Edging apparatus
CN210840575U (zh) 一种果园林地树下避让式打草松土机
KR200387593Y1 (ko) 트랙터용 제초기
KR20050028231A (ko) 예초기의 회전칼날 지지용 거치대
US431836A (en) Cutting attachment for lawn-mowers
CN213404166U (zh) 一种山地用割草机
KR20160026115A (ko) 굴삭기용 제초기
KR200336992Y1 (ko) 예초기의 회전칼날 지지용 거치대
CN108934225A (zh) 一种除草松土一体机
KR200455207Y1 (ko) 회전에 의한 원심력으로 절단체가 펼쳐지는 휨강도가 우수한 바퀴식 예초기의 안전 절단장치
KR200429904Y1 (ko) 승용 농기계 연결구동용 제초기기
KR101552431B1 (ko) 굴삭기용 잡초 제초장치 및 그 장치가 구성된 굴삭기
CN209527180U (zh) 一种割草机
CN211630860U (zh) 一种重型割灌木割草机
CN211378822U (zh) 一种园林绿化新型修草机
CN218604017U (zh) 一种打草机
KR102447037B1 (ko) 과수원용 제초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