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6115A - 굴삭기용 제초기 - Google Patents

굴삭기용 제초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6115A
KR20160026115A KR1020140114039A KR20140114039A KR20160026115A KR 20160026115 A KR20160026115 A KR 20160026115A KR 1020140114039 A KR1020140114039 A KR 1020140114039A KR 20140114039 A KR20140114039 A KR 20140114039A KR 20160026115 A KR20160026115 A KR 201600261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cavator
frame
fixed frame
cutting member
shaft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40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구
Original Assignee
이영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구 filed Critical 이영구
Priority to KR10201401140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26115A/ko
Publication of KR201600261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61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835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835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A01D34/86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use on sloping ground, e.g. on embankments or in ditch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835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A01D34/9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carrying by the operato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굴삭기의 작동아암 선단부에 제초기를 장착시켜 제초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회전동력이 안정적으로 전달되어 제초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평지뿐만 아니라 사면이나 높은 위치의 잡목 등도 제거할 수 있도록 한 굴삭기용 제초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장방형으로 이루어진 고정후레임과, 상기 고정후레임의 상면 일측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굴삭기의 작동아암 선단부에 체결될 수 있도록 하는 체결부재와, 상기 고정후레임의 양측단에 하향 설치되는 지지대에 회전가능하게 회전축부가 연결되고 복수의 절단날이 드럼에 구비되어 있는 절단부재와, 상기 절단부재의 일측 회전축부에 구비된 종동풀리와 벨트 연결되는 구동풀리와, 상기 고정후레임의 상면 일측에 설치되고 구동축부는 가이드로울을 거쳐 구동풀리에 회전동력을 전달하는 회전동력부와, 상기기 회전동력부는 굴삭기의 유압원으로 부터 유압이 공급되는 굴삭기용 제초기를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굴삭기용 제초기 {Weeder for excavator}
본 발명은 굴삭기용 제초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굴삭기의 작동아암 선단부에 제초기를 장착시켜 제초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회전동력이 안정적으로 전달되어 제초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평지뿐만 아니라 사면이나 높은 위치의 잡목 등도 제거할 수 있도록 한 굴삭기용 제초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잡초나 잔디, 잡목 등을 제거하기 위한 제초작업은 엔진이 장착된 예취기 등을 손으로 들거나 등에 지고서 수작업으로 실시함에 따라 상기의 무거운 장비들에 해 작업자가 피로감을 쉽게 느끼는 것은 물론 중량물에 의해 작업의 속도가 늦어져 많은 양의 작업을 할 수 없었다.
또한 예취기를 사용할 경우 고속으로 회전하는 절단날에 의해 돌이 튕기면서 작업자의 안전사고가 다발적으로 발생되며, 단위 면적당 제초범위가 한정적이므로 넓은 밭이나, 과수원 등과 같은 곳에서는 작업능률에 한계가 있는 것이었다.
최근에는 제초기를 일반차량의 범퍼 등에 장착한 후 차량의 동력원을 이용하여 다양한 장소의 초목을 보다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한 것이 있으나, 차량진입이 불가능한 갈대밭, 목초지, 야산, 밤나무단지, 습지, 구릉지 등의 특수지역에 무성한게 번식한 잡초나 잡목 등은 제거할 수 없는 문제점이 야기되고 있는 것이었다.
이를 감안하여 제초수단을 갖는 굴삭기가 국내특허출원 10-2004-18093호로 개시되었는바, 이는 토사나 암석 등을 굴삭하는 굴삭기의 작동아암 선단부에 제초수단을 장착하여 기존의 제초차량이 진입할 수 없었던 목초지, 야산, 구릉지 등의 특수 지역에 자라난 잡초나 잡목등을 제초할 수 있도록 제안 된 것이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제초수단을 갖는 굴삭기는 제초수단의 구성이 복잡하고, 그 유지보수가 용이하지 않으며. 다양한 굴삭기의 종류나 크기에 따른 별도 규격의 제초수단을 구비해야 되고, 절단날의 회전동력이 안정적으로 전달되지 않는 등 제초능률이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복수의 절단날이 구비된 제초기 본체에 탈,부착이 가능한 체결부재를 구비하여 굴삭기의 종류 및 크기가 다른 작동아암 선단부에 간편하게 장착될 수 있도록 하고, 굴삭기의 작동유압에 의해 동력을 발생시키는 회전동력부의 구동축부에 가이드로울을 구비하여 회전동력전달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며, 제초기 본체에 체결부재를 편심 설치하여 넓은 반경에 걸쳐 제초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사면이나 높은 위치의 잡목 등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한 굴삭기용 제초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장방형으로 이루어진 고정후레임과, 상기 고정후레임의 상면 일측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굴삭기의 작동아암 선단부에 체결될 수 있도록 하는 체결부재와, 상기 고정후레임의 양측단에 하향 설치되는 지지대에 회전가능하게 회전축부가 연결되고 복수의 절단날이 드럼에 구비되어 있는 절단부재와, 상기 절단부재의 일측 회전축부에 구비된 종동풀리와 벨트로 연결되는 구동풀리와, 상기 고정후레임의 상면 일측에 설치되고 구동축부는 가이드로울을 거쳐 구동풀리에 회전동력을 전달하는 회전동력부와, 상기기 회전동력부는 굴삭기의 유압원으로 부터 유압이 공급되는 굴삭기용 제초기를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후레임의 하부는 반구형태의 커버가 구비되고, 고정후레임의 상면은 길이방향으로 양측에 받침돌부가 형성되어 체결부재 및 회전동력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체결부재는 수평판의 상면 양측에 직립된 수직지지대 사이에 체결안내봉이 구비되어 있고, 수평판의 네모서리 부분에 장착구멍이 형성되어 고정후레임의 받침돌부에 설치된 볼트에서 탈,부착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체결부재는 고정후레임의 회전동력부가 구비되는 방향에 편심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절단부재는 드럼의 외주면에 복수의 절단날이 일정간격으로 배치되고 지지대에 절단부재를 탈,부착할 수 있도록 구비하되 고정후레임과 드럼 사이의 공간부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간격조절부를 구비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간격조절부는 절단부재의 양측 회전축부를 고정후레임의 지지대에 형성된 장착안내홈을 따라 상하로 슬라이드하여 회전축부의 설치높이를 조절하여 고정하되 일측 회전축부에 구비된 종동풀리와 구동풀리를 연결하는 벨트는 장력조절로울의 고정위치를 가변설치하여 장력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굴삭기의 작동아암 선단부에 제초기를 장착시켜 제초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안정된 회전동력으로 제초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있고, 복수의 절단날이 구비된 제초기 본체에 탈,부착이 가능한 체결부재를 구비하여 굴삭기의 종류 및 크기가 다른 작동아암 선단부에도 장착이 가능하며, 제초기 본체에 체결부재를 편심 설치하여 넓은 반경에 걸쳐 제초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사면이나 높은 위치의 잡목 등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굴삭기용 제초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굴삭기용 제초기를 나타낸 전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굴삭기용 제초기에서 체결부재를 분리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굴삭기용 제초기를 나타낸 저면 사시도.
도 5 본 발명에 의한 제초기를 굴삭기의 작동아암 선단부에 체결하기 전 상태를 나타낸 전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제초기를 굴삭기의 작동아암 선단부에 체결한 상태를 나타낸 전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굴삭기용 제초기를 이용하여 높은 위치에 있는 초목 등을 제초할 때의 실시예 전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굴삭기용 제초기의 동력전달부분 일부 확대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굴삭기용 제초기에서 동력전달 벨트의 장력조절부분을 나타낸 단면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굴삭기용 제초기에서 간격조절부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에 의한 굴삭기용 제초기는, 굴삭기의 작동아암(A) 선단부에 구비된 결착구(B)에 제초기를 장착하여 굴삭기의 동력원을 이용하여 제초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본 발명의 제초기 구성은 장방형으로 이루어진 고정후레임(10)과, 상기 고정후레임(10)의 상면 일측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굴삭기의 작동아암(A) 선단부에 체결될 수 있도록 하는 체결부재(20)와, 상기 고정후레임(10)의 양측단에 하향 설치되는 지지대(13)에 회전가능하게 회전축부(33)가 연결되고 복수의 절단날(32)이 드럼(31)에 구비되어 있는 절단부재(30)와, 상기 절단부재(30)의 일측 회전축부(33)에 구비된 종동풀리(39)와 벨트(43)로 연결되는 구동풀리(41)와, 상기 고정후레임(10)의 상면 일측에 설치되고 구동축부(40)는 가이드로울(42)을 거쳐 구동풀리(41)에 회전동력을 전달하는 회전동력부(50)와, 상기 회전동력부(50)는 굴삭기의 유압원으로 부터 유압이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후레임(1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초기의 회전동력부(50) 및 절단부재(30)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치되어 회전 절단날에 의해 제초작업이 이루어도록 하는 제초기를 구성하게 된다.
고정후레임(10)의 하부는 반구형태의 커버(11)가 구비되어 절단날(32)에 의해 제초되는 절단물이 외부로 튕겨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커버(11)의 저면에 절단날(32)이 배치된 드럼(31)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회전동력에 의해 고속회전되어 절단날(32)에 의한 제초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 고정후레임(10)의 상면은 길이방향으로 양측에 받침돌부(12)가 형성되어 형태안정성을 갖도록 하면서 받침돌부(12)는 체결부재(20) 및 회전동력부(50)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는 받침대 역할을 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체결부재(20)는 도 3과 같이 수평판(21)의 상면 양측에 직립된 수직지지대(23) 사이에 체결안내봉24)이 구비되어 있고, 수평판(21)의 네모서리 부분에 장착구멍(22)이 형성되어 고정후레임(10)의 받침돌부(12)에 설치된 볼트(25)에 끼움 결합하는 구성으로 탈,부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체결부재(20)를 탈,부착하는 구성에 의해 크기 등이 다른 복수의 체결부재(20)를 구비하여 선택적으로 부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굴삭기의 종류나 크기에 따라 다른 굴삭기의 작동아암(A) 선단부에 구비된 결착구(B)에도 사용이 가능하도록 함에 있다.
또한, 체결부재(20)는 고정후레임(10)의 회전동력부(50)가 구비되는 방향에 편심되게 설치되어 무게중심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절단부재(30)의 회전반경이 커질 수 있도록 하여 작업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
즉, 굴삭기의 작동아암(A) 선단부에 구비된 결착구(B)에 제초기의 체결부재(20)를 통해 장착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제초작업을 하게 되면 도 7과 같이 굴삭기의 작동아암(A) 선단부 체결부분에서 회전동력부(50)의 반대편에 위치한 고정후레임(10)의 길이방향 끝단부가 장대한 길이로 외측방향의 멀리까지 회전반경이 놓여지도록 함으로써 굴삭기를 이동하지 않고도 작동아암(A)에 의한 제초범위를 넓게 하여 제초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절단부재(30)는 도 8과 같이 드럼(31)의 외주면에 복수의 절단날(32)이 일정간격으로 배치되어 드럼(31)이 회전하면서 절단날(32)에 의해 제초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되 제초기에 의해 제초되는 절단물의 종류 등에 따라 드럼(31)이나 절단날(32)의 크기나 형태 등이 다른 절단부재(30)를 구비한 다음 상기 절단부재(30)를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탈,부착될 수 있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절단부재(30)의 교체시에 드럼(31)이나 절단날(32)의 크기가 형태 따라 고정후레임(10)과 드럼(31) 사이의 공간부(34) 간격이 좁아져서 제초되는 절단물이 걸리게 되어 제초작업에 지장을 초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공간부(34)의 간격이 넓어지는 형태로 조절할 수 있는 간격조절부(35)를 구비한다.
상기 간격조절부(35)는 도 9 및 도 10과 같이 상기 절단부재(30)의 양측 회전축부(33)를 고정후레임(10)의 지지대(13)에 형성된 장착안내홈(14)을 따라 상하로 슬라이드하여 고정판(36)을 간격조절구멍(37)에 선택적으로 고정하여 회전축부(33)의 설치높이를 조절하되 일측 회전축부(33)에 구비된 종동풀리(39)와 구동풀리(41)를 연결하는 벨트(43)는 장력조절로울(38)의 고정위치를 가변설치하여 장력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벨트(43) 대신에 체인을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종동풀리(39)가 회전축부(33)의 상하 설치높이 조절에 의해 가변되면 구동풀리(41)와 종동풀리(39)를 서로 연결하여 동력전달이 되는 벨트(43)가 팽팽하거나 느슨해지는 것을 장력조절로울(38)에 의해 안정된 장력조절이 되어 절단부재(30)의 제초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 고정후레임 11 : 커버
12 : 받침돌부 13 : 지지대
14 : 장착안내홈 20 : 체결부재
21 : 수평판 22 : 장착구멍
23 : 수직지지대 24 : 체결안내봉
25 : 볼트 30 : 절단부재
31 : 드럼 32 : 절단날
33 : 회전축부 34 : 공간부
35 : 간격조절부 36 : 고정판
37 : 간격조절구멍 38 : 장력조절로울
39 : 종동풀리 40 : 구동축부
41 : 구동풀리 42 : 가이드로울
43 : 벨트 50 : 회전동력부
A : 작동아암 A-1 : 결착구

Claims (6)

  1. 장방형으로 이루어진 고정후레임(10)과,
    상기 고정후레임(10)의 상면 일측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굴삭기의 작동아암 선단부에 체결될 수 있도록 하는 체결부재(20)와,
    상기 고정후레임(10)의 양측단에 하향 설치되는 지지대(13)에 회전가능하게 회전축부(33)가 연결되고 복수의 절단날(32)이 드럼(31)에 구비되어 있는 절단부재(30)와,
    상기 절단부재(30)의 일측 회전축부(33)에 구비된 종동풀리(39)와 벨트(43) 로 연결되는 구동풀리(41)와,
    상기 고정후레임(10)의 상면 일측에 설치되고 구동축부(40)는 가이드로울(42)을 거쳐 구동풀리(41)에 회전동력을 전달하는 회전동력부(50)와,
    상기 회전동력부(50)는 굴삭기의 유압원으로 부터 유압이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용 제초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후레임(10)의 하부는 반구형태의 커버(11)가 구비되고, 고정후레임(10)의 상면은 길이방향으로 양측에 받침돌부(12)가 형성되어 체결부재(20) 및 회전동력부(50)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용 제초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20)는 수평판(21)의 상면 양측에 직립된 수직지지대(23) 사이에 체결안내봉24)이 구비되어 있고, 수평판(21)의 네모서리 부분에 장착구멍(22)이 형성되어 고정후레임(10)의 받침돌부(12)에 설치된 볼트(25)에서 탈,부착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용 제초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20)는 고정후레임(10)의 회전동력부(50)가 구비되는 방향에 편심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용 제초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재(30)는 드럼(31)의 외주면에 복수의 절단날(32)이 일정간격으로 배치되고 지지대(13)에 절단부재(30)를 탈,부착할 수 있도록 구비하되 고정후레임(10)과 드럼(31) 사이의 공간부(34)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간격조절부(35)를 구비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용 제초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조절부(35)는 절단부재(30)의 양측 회전축부(33)를 고정후레임(10)의 지지대(13)에 형성된 장착안내홈(14)을 따라 상하로 슬라이드하여 회전축부(33)의 설치높이를 조절하되 일측 회전축부(33)에 구비된 종동풀리(39)와 구동풀리(41)를 연결하는 벨트(43)는 장력조절로울(38)의 고정위치를 가변설치하여 장력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용 제초기.
KR1020140114039A 2014-08-29 2014-08-29 굴삭기용 제초기 KR2016002611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4039A KR20160026115A (ko) 2014-08-29 2014-08-29 굴삭기용 제초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4039A KR20160026115A (ko) 2014-08-29 2014-08-29 굴삭기용 제초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6115A true KR20160026115A (ko) 2016-03-09

Family

ID=555365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4039A KR20160026115A (ko) 2014-08-29 2014-08-29 굴삭기용 제초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2611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7721B1 (ko) * 2021-12-23 2022-06-10 주식회사 뉴제이케이 퀵커플러에 의해 착탈되는 굴삭기용 제초기
KR20230148595A (ko) 2022-04-18 2023-10-25 이태희 굴삭기용 초목 파쇄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7721B1 (ko) * 2021-12-23 2022-06-10 주식회사 뉴제이케이 퀵커플러에 의해 착탈되는 굴삭기용 제초기
KR20230148595A (ko) 2022-04-18 2023-10-25 이태희 굴삭기용 초목 파쇄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7220B1 (ko) 2중 진동형 구근작물 수확기
NZ576650A (en) Machine having swappable tools for different tasks covered by a housing rotatable to different positions for different tasks
US5353881A (en) Counter-rotating twin shaft system for gardening machines
KR101805830B1 (ko) 초목 제거 파쇄 장치
CN110073803A (zh) 一种果园多功能除草旋耕机
KR101745179B1 (ko) 굴삭기용 초목 제거장치
KR101391402B1 (ko) 킹 로터리 경운장치
KR20160026115A (ko) 굴삭기용 제초기
KR101939980B1 (ko) 굴삭기용 예초기
JP2006271310A (ja) 除草機
KR101282927B1 (ko) 트랙터용 전방형 농산물수확기
JP2013000053A (ja) 草刈作業機
KR20170046900A (ko) 굴삭기 장착형 로터리식 제초기
KR101652964B1 (ko) 굴착기 장착용 식생제거장치
KR102303174B1 (ko) 초목 제거 파쇄 장치
KR101552431B1 (ko) 굴삭기용 잡초 제초장치 및 그 장치가 구성된 굴삭기
KR20090073967A (ko) 덩굴제거장치
KR20220064134A (ko) 진동 쟁기 기능을 구비한 폐비닐 수거장치
KR102484714B1 (ko) 잡초제거장치
KR101509412B1 (ko) 수확 작물용 파쇄기
KR101486306B1 (ko) 제초 성능이 향상된 제초기
KR20150048480A (ko) 구근작물 수확장치
KR20190000230U (ko) 예초기
JP2011103844A (ja) 草刈り作業機
KR100773631B1 (ko) 휴대용 예초기 나이 론 커터 롤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