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72619B1 - 침대용슬레이트베이스 - Google Patents

침대용슬레이트베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2619B1
KR100372619B1 KR1019970702913A KR19970702913A KR100372619B1 KR 100372619 B1 KR100372619 B1 KR 100372619B1 KR 1019970702913 A KR1019970702913 A KR 1019970702913A KR 19970702913 A KR19970702913 A KR 19970702913A KR 100372619 B1 KR100372619 B1 KR 1003726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slat
spring
slats
longitud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7029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706751A (ko
Inventor
안드레아스 스튀베
볼프강 라이스트너
Original Assignee
마트라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트라 아게 filed Critical 마트라 아게
Publication of KR9707067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7067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26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26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3/00Spring mattresses with rigid frame or forming part of the bedstead, e.g. box springs; Divan bases; Slatted bed bases
    • A47C23/06Spring mattresses with rigid frame or forming part of the bedstead, e.g. box springs; Divan bases; Slatted bed bases using wooden springs, e.g. of slat type ; Slatted bed ba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3/00Spring mattresses with rigid frame or forming part of the bedstead, e.g. box springs; Divan bases; Slatted bed bases
    • A47C23/06Spring mattresses with rigid frame or forming part of the bedstead, e.g. box springs; Divan bases; Slatted bed bases using wooden springs, e.g. of slat type ; Slatted bed bases
    • A47C23/062Slat supports
    • A47C23/063Slat supports by elastic means, e.g. coil springs
    • A47C23/064Slat supports by elastic means, e.g. coil springs by elastomeric springs

Landscapes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 Springs (AREA)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 Turbine Rotor Nozzle Sealing (AREA)
  • Blinds (AREA)
  • Special Chairs (AREA)
  • Meat, Egg Or Seafood Products (AREA)
  • Bakery Products And Manufacturing Methods Therefor (AREA)
  • Non-Silver Salt Photosensitive Materials And Non-Silver Salt Photography (AREA)
  • Gloves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슬레이트 베이스는 매트리스의 지지면을 공동으로 형성하는 길이방향 지지체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상호 이격된 스프링 슬랫(3)과 함께, 침대의 길이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2개의 길이방향 지지체(1, 2)를 가진다. 스프링 슬랫은 탄성변형가능한 지지슬랫(4)을 통해 길이방향 지지체에 연결되고, 지지슬랫은 스프링 슬랫에 대하여 하측에 위치된다. 길이방향 지지체는 스프링 슬랫과 지지슬랫의 하부에 배치되고, 슬레이트 베이스의 측면모서리에 대해 중간을 향해 안쪽으로 떨어져 배치되어 있다. 하나이상의 스프링 슬랫과 하나의 지지슬랫은 각각의 경우에 대향단부(3a, 4a)에서 모서리 영역요소(6)와 함께 각각 베어링 모듈(7)에 결합된다. 지지슬랫은 길이방향 지지체로부터 스프링 슬랫 단부를 향하는 지 지슬랫의 2개의 단부영역(9, 10)보다 탄성이 큰, 길이방향 지지체사이에 위치된 탄성변형가능한 중간영역(8)을 가진다. 지지슬랫은 길이방향 지지체상에서 지지되고 지지위치에 저지요소에 의해 유지된다. 각 지지위치에서의 지지슬랫의 피봇제한은 대응하는 길이방향 지지체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가능하고, 슬레이트 베이스의 적재시의 피봇방향은 임의의 주어진 시간에 2개의 지지위치에서 반대에 있다. 모서리영역 요소는 스프링슬랫과 지지슬랫의 각 단부에 포켓형 고정수단을 가진다. 모든 고정수단은 길이방향 지지체의 길이방향에서 평행하게 배치되고 이 길이방향에서 중첩하지 않는다. 고정수단은 베어링 요소로서 설계된 양쪽을 연결하는 보호벽으로 이들 사이에 팽팽하게 연결된다. 개개의 스프링 슬랫은 모서리 영역요소내에 경사져서 유지된다. 모서리 영역요소 자체는 지지슬랫에 대해 경사가능하다. 제안된 구성으로서 우수한 안락한 수면 및 미적감각이 있는 외관을 갖는 슬레이트 베이스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침대용 슬레이트 베이스
이와 같은 슬레이트 베이스는 유럽 특허 출원 EP 0 539 644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 특허에는 길이방향 지지체에 견고하게 연결되거나 길이방향 지지체에 연결위치에서 상당한 자유도를 가지는 하측 지지요소, 또는 각각의 하측 지지슬랫이 도시되어 있다. 슬레이트 베이스로 달성할 수 있는 수면 안락함은 특별히 설계된 지지슬랫 및 이들의 길이방향 지지체로의 대응하는 고정으로 증가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길이방향 지지체에 대한 지지슬랫의 소정의 자유도만이 있도록 길이방향 지지체에 대한 지지슬랫의 고정기구를 배치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이하에 기술되는 측면 연결요소, 또는 모서리 영역요소는 대단히 중요하다. 하측 지지슬랫과 하나이상의 스프링 슬랫을 이들 단부 각각에서 연결하는 이러한 모서리 영역요소는, 개개의 스프링 슬랫의 피봇 또는 베어링 모듈에 결합된 모든 스프링 슬랫의 피봇이 길이방향 지지체의 길이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가능하도록 설계된다.
이들 길이방향의 변화는 스프링 슬랫 및 지지슬랫 양자의 편향에 기인하고, 이들은 모서리 영역요소를 통해 또는 길이방향 지지체에 베어링 모듈을 고정하는 방법에 의해 보상되어야 한다.
본 형태의 슬레이트 베이스에 있어서, 스프링 슬레이트 아래에서 횡으로 숨겨져 있는 길이방향 지지체는 슬레이트 베이스의 외관을 특정 짓지만, 모서리 영역요소대신에 열로 평행한 특별한 요소가 없다. 슬레이트 베이스가 미려한 외관을 가지도록 하기 위하여, 이들 모서리 영역요소는 가능한 한 납작하게, 또는 각각 가능한 한 낮게 구성되어, 슬레이트 베이스의 측면 모서리 영역이 상당히 가느다란 선으로 마감된다. 이와 같은 구성은 관찰자에게 자유롭게 현수된 슬레이트 베이스 또는 침대의 인상을 준다.
본 발명은 침대의 길이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된 2개의 길이방향 지지체와, 매트리스용 지지면을 공동으로 형성하는, 길이방향 지지체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배치된 복수개의 스프링 슬랫과, 스프링 슬랫이 길이방향 지지체에 연결된 스프링 슬랫에 대하여 하측에 위치된 탄성변형가능한 지지슬랫을 갖추고 있고, 길이방향 지지체는 스프링 슬랫아래에 배치되고 스프링 슬랫의 단부와 면하는 길이방향 지지체의 외측면은 스프링 슬랫 단부에 대해 저지되고 하나의 지지슬랫은 2개의 측면 모서리 영역요소와 베어링 모듈로 결합되는 침대용 슬레이트 베이스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슬레이트 베이스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II-II선에 따라 절취한 도 1에 따른 슬레이트 베이스의 단면도.
도 3은 길이방향 지지체위의 지지슬랫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2의 III부분을 상세하게 나타낸 확대도.
도 4는 지지슬랫이 절단된 이러한 장치의 측면도.
도 5는 슬레이트 베이스의 길이방향 지지체상에서 지지슬랫을 지지하기 위한 요소의 사시도.
도 6는 여러 가지 슬랫의 장치가 도시되어 있는, 도 1의 VI-VI선에 따른 슬레이트 베이스의 베어링 모듈의 부분단면도.
도 7은 도 6에 따른 모서리 영역요소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모서리 영역요소가 지지슬랫에 대하여 경사진 위치에서 도시되어 있는, 도 6에 따른 모서리영역요소의 부분단면도.
도 9는 지지슬랫용 고정수단의 고정기구를 볼수 있는 도면으로서, 도 7의 IX-IX선에 따라 절취한 단면도.
도 10은 모서리영역요소의 포켓형 고정수단내에서 경사진 위치에 있는 스프링 슬랫 단부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3의 X-X선에 따라 절취한 단면도.
본 발명의 목적은 이 기술분야에서 개선된 슬레이트 베이스를 제조하는 것에 있다.
이러한 목적은, 지지슬랫이 길이방향 지지체사이에 위치된 중앙의, 탄성변형가능한 영역을 가지며, 길이방향 지지체로부터 스프링 슬랫 단부를 향하는 지지슬랫의 2개의 단부영역보다 탄성이 크고, 지지슬랫이 2개의 길이방향 지지체위에서 지지되고 연결요소로 그 위에 유지되고, 각 경우에 지지슬랫의 피봇운동이 대응하는 길이방향 지지체로 횡방향에서 각 지지위치에서 가능하고, 피봇운동은 베어링 모듈의 2개의 측면 모서리 영역요소가 임의의 위치에 적재될 때, 지지체 측면으로부터 아래쪽으로 이동하는 효과를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해 달성된다.
슬레이트 베이스의 중간에서의 스프링 슬랫의 편향범위는 비교적 크지만, 지지슬랫의 상이한 탄성범위에 의해 슬레이트 베이스의 모서리 영역은 비교적 약한 편향만을 얻을 수 있다. 슬레이트 베이스의 모서리에 앉아있는 사람이 너무 깊게 내려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지지슬랫이 전자위에서 지지되는 위치에서 연결요소와 함께 길이방향 지지체위에서 지지슬랫의 고정, 특히 저지를 통해, 지지슬랫의 비교적 높은 탄성변형가능한 중간 영역을 통해, 상반된 피봇운동이 지지체의 위치에서 달성된다. 이러한 상반된 피봇운동은 상승되지 않으나, 하나의 측면 슬레이트 베이스모서리가 적재될 때, 동일하게 하중의 방향으로 하강되는 대향하는 측면 슬레이트 베이스 모서리에 대해 응답한다. 그러므로, 한쪽에서 하중이 작용하는 경우에, 슬레이트 베이스의 경사효과가 방지된다.
지지슬랫의 각 단부영역을 가지며, 슬레이트 베이스의 적재상태에서, 각각의 경우에 보다 근접하여 위치된 길이방향 지지체로부터 이격된 규제부재를 사용하여, 편향 특히 슬레이트 베이스의 모서리 영역의 편향이 구성부품의 파괴지점에서 일어날 수 없고, 대신에 이상적인 한계내에서 유지되는 것이 달성된다. 모서리 영역의 최대 편향은 바람직하게는 조정가능하게 배치된 고정부재와 함에 변경가능하도록설계된다. 고정부재는 각 베어링 모듈에 대해 슬레이트 베이스의 양측위에서 볼 수 있으므로, 베어링 모듈의 최대편향의 각각의 고정이 슬레이트 베이스를 따라 가능하다. 고정부재와 함께 중간 공간이 규제부재와 보다 근접하여 위치된 길이방향 지지체사이에 존재하고, 리미트스톱으로서 작용하고, 확대 또는 감소된다. 규제부재는 편향의 증가에 따라, 이후 곧바로 또는 늦게 고정부재에서 정지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고정부재는 탄성의 고무 재료로 만들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편향은 급하게 정지하지 않으나, 완만하게 멈춰진다.
길이방향 지지체상의 지지슬랫의 배치는 바람직하게는 지지슬랫으로부터 각각의 경우 길이방향 지지체위로 돌출하는 지지돌기를 생기게 하고, 돌기는 단면이 삼각형이고 길이방향 지지체의 길이방향에서 지지슬랫의 전체폭위로 연장할 수 있다. 삼각형의 지점은 이로써 길이방향 지지체를 향해 회전한다. 연결부재에 의해, 특히 지지슬랫에 작용하는 저지요소에 의해, 지지돌기는 각각 길이방향 지지체위에서 저지된다. 따라서 길이방향 지지체로부터의 지지슬랫의 상승은 불가능하다. 한편, 지지위치에서의 지지돌기의 지지점주위로의 지지체 슬랫의 피봇이 가능하다. 저지요소는 중간영역의 편향시 지지슬랫 길이의 필요한 보정은 슬레이트 베이스의 하중의 변경으로 행할 수 있다.
탄성재료로 만들어진 지지요소는 바람직하게는 지지돌기와 길이방향 지지체사이에 제공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한편 편향 소음은 방지되고, 다른 한편 길이방향 지지체에 대한 접촉위치에서의 지지슬랫의 상기 운동가능성은 이미 탄성지지체에 의해 제공된다. 지지요소는 바람직하게는 비교적 연성의 고무 또는 실리콘 재료등으로 만들어지고, 지지슬랫의 상기 지지돌기가 인출되는 노치를 가진다. 지지요소는 판형상층과 함께, 길이방향 지지체위에 놓인다.
적재되지 않은 상태에서의 슬레이트 베이스의 스프링 슬랫은 중간에서 약간상승된다. 이들은 위쪽으로 돌출한 편향 곡선을 가진다. 슬레이트 베이스의 적재시, 스프링 슬랫은 아래쪽으로 편향하고 아래쪽으로 쳐져 굽는다. 지지슬랫의 중간영역은 바람직하게는 적재되지 않은 스프링 슬랫에 대하여 오목하게 굽도록 설계된다. 지지슬랫의 곡선은 대응하여 적재되는, 아래쪽으로 편향된 스프링 슬랫의 곡선에 대응하도록 설계된다. 이와 같이 굽은 지지슬랫은 스프링 슬랫의 비교적 큰 범위의 편향을 방해하지 않는다. 그러나, 필수적인 경성의 매트리스를 향하는 정확한 규제지점을 생성하지 않고 최대편향범위를 제한한다.
전체적으로 보면, 지지슬랫은 또한 스프링 슬랫에 대해 자유롭게 휘어지고, 바람직하게는 오목하다. 그러나,지지슬랫은 파형상일 수 있다.
이들 제조공정에 따르면, 지지슬랫의 단부는 직선으로 배치되는 5cm의 직선을 가진다. 이러한 방식으로 이들 단부를 짧게함으로써 상이한 슬레이트 베이스 폭의 규제범위로 지지슬랫을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지지슬랫단부의 모서리 영역 요소로의 삽입방향은 짧게 한 후 동일하게 유지한다.
지지슬랫은 사출 성형부품, 바람직하게는 열가소성 재료로 만들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규제부재는 지지슬랫에 일체로 될 수 있다. 또한 지지슬랫을 이른바 기체 내압공정에 따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사출성형된 중공체가 생성되고, 리브가 없는 외측표면을 가진다. 이것은 먼지의 임의의 있을 수 있는 층으로서 긍정적인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각각의 모서리 영역요소는 기본적으로 하나이상의 스프링 단부와 베어링 모듈의 지지슬랫의 단부에 대한 포켓형 고정수단을 가지며, 모든 고정수단은 길이방향 지지체의 길이방향에서 평행하게 배치되고, 이 방향에서는 중첩하지 않고, 베어링 요소로서 설계되고, 모든 고정수단을 연결하는 보호벽이 설치되어 고정수단을 팽팽하게 연결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모서리 영역요소가 생성되고, 모든 슬랫 단부용 고정수단이 평행하게 배치되기 때문에, 극히 얇은 구성을 가진다.
모서리 영역 요소는 베어링 모듈을 형성하는 상호 면하고 있는 모든 슬랫 단부를 수용하여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슬랫 중 하나는 아래쪽에 위치된 지지슬랫이고, 하나이상은 위쪽에 위치한 스프링 슬랫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상호 인접하여 배치된 2개의 스프링 슬랫을 갖춘 베어링 모듈을 볼 수 있고, 아래쪽에 위치된 지지슬랫은 2개의 스프링 슬랫 사이에 배치된다. 그러나 또한 알수 있는 것과 같이, 슬랫 베이스의 상단 및 하단에 있는 모서리 영역에 대해서는 모서리 영역요소가 있고 평행하게 배치된 3개의 스프링 슬랫이 사용될 수 있고, 아래쪽에 위치된 지지슬랫은 스프링 슬랫사이의 2개의 임시공간중 하나에 배치된다.
모서리 영역요소는 스프링 슬랫 단부와 상호 면하고 있는 지지슬랫단부로 슬립가능하다. 주어진 구성으로 인해, 모서리 영역요소는 동일하게 임의의 길이방향 홈에 연결되지 않고, 슬랫단부로부터의 모서리 영역요소의 측방향으로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수단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고정수단은 스냅장치의 형태로서 설계되어 제공된다. 노치는 슬랫단부중 하나로 절단되고, 바람직하게는 지지슬랫의 단부에서 절단되고, 노치는 지지슬랫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배치되고, 노치와 리브가 결합하고, 지지슬랫용 모서리 영역요소의 고정수단상에 배치된다.
스프링 슬랫용 고정수단과 같이 포켓형으로 설계된 지지슬랫용 고정수단은 모서리 영역요소의 보호벽에 비틀림 및 벤딩시 응력이 작용하는 부재를 통해 연결된다. 연결부재는 설형상으로 설계될 수 있다. 이것은 모서리 영역 요소가 슬레이트 베이스의 길이방향에서 지지슬랫에 대해 피봇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대응하는 모서리 영역요소에 삽입된 스프링 슬랫은 또한 길이방향 지지체에 대하여 피봇할 수 있다. 모서리 영역 요소의 보호벽과 지지슬랫단부용 고정수단사이에는 지지슬랫용 고정수단인 모서리 영역요소의 피봇시 회전할 수 있는 원형 단면의 피봇리미트 스톱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스프링 슬랫의 단부를 둘러싸는 포켓으로서 설계된 스프링 슬랫중 하나를 위한 각각의 고정수단은 스프링 슬랫이 한계내에서 그 길이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내부에서 경사가능하도록 도모된다. 이것은 예를 들면 돌기가 스프링 슬랫의 중간에 대해 가압하는 , 스프링 슬랫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포켓내측에 제공되고, 스프링 슬랫의 돌기는 돌기가 리미트 스톱에 맞닿을 때까지 양측위에 서 경사가능하다. 포켓형 고정수단내측의 가요성 설형상의 스프링 요소는 고정수단에 삽입된 스프링 슬랫 단부의 측면 모서리 영역에 대해 가압하여, 이것은 응력이 작용하지 않는 상태에서 경사진 위치에 유지될 수 있다. 이것은 스프링 슬랫이 경사위치에서 모두 서로를 향하는 미려한 외관의 커버가 없는 슬레이트 베이스를 제공한다.
상기 여러가지 경사가능성은 스프링 슬랫이 최적으로 침대위에 누워있는 사람의 신체곡선에 적합하도록 한다.
고정수단, 특히 상기한 고정수단을 가지지 않는 고정수단은 슬레이트 베이스가 적재되지 않은 상태에서, 결합된 슬랫의 단부가 반드시 정지부재에 도달하도록 설계된 정지부재가 제공될 수 있다. 그러므로 슬레이트 베이스는 대응하여 파지된 베어링 모듈의 상기 임의의 위쪽으로의 편향을 일으키지 않고 측면 모서리 영역위에서 상승된다.
모서리 영역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일부품의 열가소성 재료로 제작된다. 이것은 이러한 형태의 슬레이트 베이스에 대해 필요한 안정성을 모서리 영역요소에 부여한다.
모서리 영역요소는 하나이상의 스프링 슬랫 및 베어링 모듈의 지지슬랫의 단부를 위한 포켓형 고정수단을 기본적으로 가지며, 모든 고정수단은 슬랫베이스의 길이방향 지지체의 길이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치되고 이 방향에서는 중첩하지 않으며, 모든 고정수단을 연결하는 베어링 요소로서 설계된 보호벽이 제공되고, 고정수단을 팽팽하게 연결하고, 또한 도입부에 기재된 것과 같이 이 기술상태에 따라 슬레이트 베이스위에 사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연결부재와 동일하게, 비틀림 및 벤딩시 응력이 작용할 수 있고, 지지슬랫용 고정수단이 모서리 영역요소에 연결되고, 평행하게 배치된 고정수단과 함께 모서리 영역요소의 사용을 제한하지않는다.
도 1 에는 슬레이트 베이스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2는 도1의 II-II선에 따라 절취한 부분을 포함하고, 실질적으로 슬레이트 베이스의 베어링 모듈(7)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이것은 2 또는 3개의 상측 스프링 슬랫(3)과 하측 지지슬랫(4)을 포함하고, 슬랫은 길이방향 지지체(1, 2)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연장하고, 지지체는 슬랫아래를 지나고 있다. 베어링 모듈(7)을 형성하는 모든 슬랫(3, 4)의 서로 마주보고 있는 단부(3a, 4a)는 모서리 영역요소(6)내에 유지된다.
전술한 종류의 베어링 모듈(7)은 서로 이격되어 있고 통상적으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는 길이방향 지지체(1, 2)를 따라 행으로 배치되어 있다. 모든 베어링 모듈에서 나란하게 놓여있는 스프링 슬랫(3)은 슬레이트 베이스위에 놓이게 될 매트리스의 지지면을 형성한다.
각 베어링 모듈(7)의 지지슬랫(4)은 베어링 모듈을 길이방향 지지체(1, 2)상에 견고하게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슬레이트 베이스의 구성은 길이방향 지지체(1, 2)가 스프링 슬랫하부에 배치되고 스프링 슬랫 단부(3a)로부터 슬레이트 베이스의 중간까지 횡으로 겹쳐 배치되어 있는 종류이다.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지지하단(3a)은 슬레이트 베이스의 상단과 하단 양쪽에서 길이방향 지지체(1, 2)에 고정될 수 있고, 또는 슬레이트 베이스를 삽입하기 위한 지지각이 있을 수 있다. 베드 프레임은 없고, 지지프레임을 갖춘 구성에 있어서, 길이방향 지지체는 측면에서는 보여지지 않으며, 슬레이트 베이스는 매달린 스프링 슬랫(3)의 효과를 가져다 주고, 스프링 슬랫은 모서리 영역요소(6)에 의해 횡방향에서 제한된다.
적재되지 않은 상태에서, 스프링 슬랫(3)은 약간 위쪽으로 구부러져 있고,즉 길이방향 지지체(1, 2)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스프링 슬랫(3)에 대해 하측에 있는 지지 슬랫(4)은 대체로 스프링 슬랫(3)에 대하여 오목한 곡선을 가진다.지지 슬랫(4)은 파형상으로 설계되어 있다. 지지슬랫(4)은 기본적으로 3부품으로 분할된다. 중간부분(8)은 길이방향 지지체(1)로부터 길이방향 지지체(2)로 연장하고 탄성변형가능하도록 설계된다. 중간영역에 인접하여, 각 지지슬랫(4)은 길이방향 지지체(1, 2)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하는 하나의 단부 영역(9, 10)을 각각 가지며, 각각의 경우에서 외측단(4a)은 보다 위에 있는 스프링 슬랫(3)의 단부(3a)를 향해 회전하고 모서리 영역요소(3a)에서 종결한다. 각각의 지지슬랫(4)을 위한 길이방향 지지체(1, 2)의 위에는 연결요소, 또는 고정 또는 각각 저지하는 저지요소(11)가 각각 설치되고, 길이방향 지지체(1, 2)위의 지지슬랫(4)은 견고하지는 않으나, 지지슬랫, 또는 각각 스프링 슬랫의 편향중 길이의 보상이 길이방향 지지체에 대하여 가능하고, 길이방향 지지체에 대한 횡방향에서의 지지슬랫의 피봇운동이 길이방향 지지체(1, 2)위의 지지슬랫(4)과 접촉하는 각각의 장소에서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저지요소(11)를 갖춘 길이방향 지지체(1, 2)에 지지슬랫(4)의 특히 상기한 연결장치, 및 지지슬랫(4)의 탄성변형가능한 중간영역(8)을 통해, 길이방향 지지체(1, 2)상의 지지슬랫(4)의 지지위치에서의 스프링 슬랫(3)의 로딩으로, 역방향으로의 피봇운동이 발생하고, 즉 슬레이트 베이스의 각각의 로딩으로, 모서리영역요소는 베어링 모듈(7)의 양측위에서 아랫쪽으로 이동할 수 있게 한다. 슬레이트 베이스의 로딩이 중간에서 발생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슬레이트 베이스의 단지 하나의 측면모서리가 로드되는 경우에도 관심이 있다.이로써 경사위치는 피할 수 있고, 지금까지 알려진 경사효과는 일어나지 않는다.
필요한 안정성을 슬레이트 베이스의 모서리영역에 갖도록 하고 편향영역이 과도하게 커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 지지슬랫의 중간영역(8)보다 탄성변형이 적은 지지슬랫의 2개의 단부영역(9, 10)를 설계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도 2의 화살표(14)에 의해 슬레이트 베이스의 하나의 측면모서리만의 로딩이 표시되어 있다. 화살표(12, 13)에 의해 길이방향 지지체(1, 2)위의 지지슬랫(4)의 지지위치에서의 피봇방향이 표시되어 있다. 화살표(12, 13, 14)에 의해 또한 로딩이 증가하는 모서리 영역 요소의 이동방향이 표시되어 있다.
지지 슬랫(4)의 각 단부영역(9, 10)에서, 규제부재(15, 16)는 지지체(1, 2)의 외측면(17, 18)근방에 설치된다. 좌 및 우 규제부재(15, 16)는 우측규제부재의 소정의 일부영역위에서 길이방향 지지체의 상기 외측면상에서 아래쪽으로 연장하고, 정지면은 각 규제부재위에 형성되고, 정지면은 대응하는 길이방향 지지체(1, 2)의 외측면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된다. 대응하는 베어링 모듈(7)이 적재되지 않은 상태에서, 하나의 임시공간(19, 20)은 각각 규제부재(15, 16)의 상기 정지면과 길이방향 지지체(1, 2)의 상기 외측면(17, 18)사이에 존재한다. 대응하는 베어링 모듈(7)의 적재시, 길이방향 지지체(1, 2)의 외측면(17, 18)을 향하여, 지지슬랫 지지체가 피봇하기 때문에, 규제부재(15, 16)는 이들 정지면과 함께 이동하고, 스프링 슬랫(3)과 모서리 영역요소의 소정 편향후, 길이방향 지지체(1, 2)의 외측위에 놓이게 된다. 지지위치를 중심으로 한 지지슬랫(4)의 추가의 회전은 더 이상 가능하지 않기 때문에, 따라서 편향 범위는 제한된다. 선택된 임시공간(19, 20)의 크기에 따라, 편향범위, 특히 모서리영역 요소(6)의 편향범위는 보다 크거나 작다.
부품 또는 다른 부품을 연결하는 홀더부품이 그위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위해 고정장치를 모서리 영역요소위에 설치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예를 들면 슬레이트 베이스위에 놓이는 매트리스의 횡방향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고정편(68)이 설치된다.
슬레이트 베이스위의 매트리스의 길이방향 이동을 방지할 수 있는 머리와 발쪽 고정기구가 참조부호(69)로 나타내어져 있다.
도 3 에는 길이방향 지지체중 하나위에서 지지슬랫(4)의 접촉위치가 확대되어 도시되어 있다. 도 4는 도 3의 화살표로 나타낸 IV의 방향으로부터의 이 위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저지 요소(11)의 사시도로서, 지지슬랫(4)을 길이방향 지지체에 연결하는 중심역할을 한다. 따라서 도 3, 도4 및 도 5는 이하에 함께 기술한다.
도 3에 있어서, 우측길이방향 지지체(2)는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그 위에는 지지슬랫(4)의 일부영역이 도시되어 있고, 상기 중간영역(8)은 길이방향 지지체(2)의 좌측에 있고, 지지슬랫(4)의 단부영역(10)은 길이방향 지지체(2)의 우측까지 연장한다. 지지슬랫(4)은 도시된 예에서는 플라스틱 사출부품으로서 하나의 부품으로 구성되고, 지지슬랫단부로부터 지지슬랫단부로 연속적으로 연장하는 상부리브(46)와, 필수적으로 상측리브에 평행하게 배치되고 이로부터 이격된 하부리브(45)로 구성되고, 2개의 리브는 중앙의 횡단부재(47)에 의해 전길이에 걸쳐 연결된다. 이로써, 지지슬랫(4)의 교차영역은 반드시 H형상이다. 수직방향으로배치된 또다른 재보강 리브(48)는 필요한 안정성을 보장한다. 단부영역(9, 10)보다 더욱 탄성변형가능한 중간영역(8)에서는 재보강리브(48)가 없다. 그러나 단부영역(9, 10)에는 다수가 있다. 이로써, 단부 영역(9, 10)의 탄성변형율은 중간영역(8)에 비해 작다. 도 3에 도시되어 있고, 길이방향 지지체(2)의 외측상에서 아래쪽으로 연장하는 규제부재(도 3)는 지지슬랫에 일체로 되어 있고, 하나의 부품으로서 제조된다. 길이방향 지지체(2)의 외측면(18)과 이와 평행하게 배치된 규제부재(16)의 정지면사이에는 임시공간(20)이 매우 분명하게 도시되어 있다.
부호 11로 나타낸 연결요소, 또는 각각의 저지요소는 지지요소(25), 2개의 저지볼트(42), 고정부재(21) 및 보호캡(50)이 배치된 지지체(26)를 포함한다. 지지체(26)는 길이방향 지지체를 향해 외측면(18)상에서 연장하는 보다 긴 림(28)과 길이방향 지지체(2)의 내측면위에서 연장하는 보다 짧은 정지림(29)을 갖는 U자형으로 설계된 부품이다. 2개의 상기 림을 함께 연결하고 길이방향 지지체(1)의 상측면(22, 23)위의 지지 슬랫(4)의 영역에서 연장하는 베이스측에는 바람직하게는 삽입용 사각형 개구와 홀딩(27)이 배치된다. 탄성재료, 예를 들면 고무, 실리콘등으로 만들어진 지지요소(25)는 이러한 개구를 통해 인출되어 고정된다. 지지요소(25)는 길이방향 지지체(2)와 면하고 있는 측면상에 판형 층을 가진다. 삽입개구(7)밖 위쪽으로 돌출하는 지지요소(25)의 측면은, 노치(35)가 형성되어 있고, 길이방향 지지체(2)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된 길이방향 지지체(2)에 대하여 횡방향에서 위쪽으로 굽어 있는 표면(37)을 포함한다. 노치는 실질적으로 단면이 삼각형이다. 2개의 길이방향 지지체(1, 2)의 상측면(22, 23)의 영역내에 있는지지슬랫(4)위에는 지지슬랫(4)의 장착상태에서 단지 상기한 노치(35)로 돌출하는 하나의 지지돌기(24)가 제공되어 있다. 지지체(26)는 스크루에 의해 길이방향 지지체(2)에 나사고정되고, 스크루는 고정 플랜지(28)에 고정 아이(30)를 통해 인출된다.
그 목적은 지지요소(25)위에 설치된 지지슬랫(4)을 저지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지지체(26)는 길이방향 지지체의 길이방향에 각각 하나의 안내편(44)을 가지며, 각각의 경우 안내편(44)위에 형성된 상기 삽입개구(35)에 인접하여 열장이음된 슬립 인 가이드(dovetailed slip-in guide)가 있다. 각 저지 볼트(42)중하나는 안내편(44)위에서 열장이음된 슬립 인 가이드를 따라 미끄럼가능하고, 지지 슬랫(4)을 대해 앞쪽으로 가압될 수 있다. 이것과 면하여, 각 저지 볼트(42)는 저지 돌기(43)를 가지며, 돌기는 지지슬랫(4)의 하측 리브(45)위에서 미끄럼가능하고, 이로써 지지요소(25)의 위로 굽은 표면(37)위에서 지지슬랫(4)을 저지한다.
열장이음된 슬립 인 가이드를 따라, 안내편(44)과 저지 볼트(42) 양쪽위에는 캐치수단이 배치되고, 이 캐치수단은 소정의 미끄러지는 힘의 작용시 안내편을 따라 저지 볼트의 계단식 미끄러짐만을 가능하게 한다. 캐치수단(49)은 지지슬랫을 저지하는 볼트(42)가 앞쪽으로 가압된 고정위치로부터 이들 자체를 제거할 수 있는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캐치수단(49)은 바람직하게는 미끄러지는 힘이 끄는 힘보다 작도록 설계된다. 이것은 상응하도록 성형된 이빨을 통해 달성될 수 있다.
탄성재료, 예를 들면 고무, 실리콘 등의 보호캡(50)은, 본질적으로 절단된 피라미드형상이고, 지지체(26), 저지 볼트(42)와 지지슬랫(4)의 저지 영역위에서연장한다. 보호캡(50)은 고정돌기(51)위에 고정되고, 고정돌기는 지지캠(26)의 베이스측위에 배치되고, 순수한 보호기능외에 비교적 완만하고 소음이 없게 극단적으로 탄성스프링 슬랫의 스프링 영역을 규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호캡은 스프링 슬랫(3)용 정지수단(50)이다.
지지체(26)의 고정 림(28)에는 가이드 슬롯(31)이 배치되고, 가이드 슬롯은 필수적으로 자유 림단부로부터 지지슬랫(4)을 행해 연장한다. 가이드 슬롯(31)을 따라 결합 연장부(32)가 주기적인 간격으로 배치된다. 림(28)의 자유단부와 면하고있는 가이드슬롯(31)의 단부영역은 직각으로 연장된 사각형 개구이고 이로써 고정부재(21)의 안내편(38)을 가이드 슬롯(31)으로 도입하는 기능을 갖는다. 림(28)의 단부에 남아 있는 교차편(33)은 고정부재가 가이드슬롯(31) 밖 아래로 당겨질 수 없도록 하기 위한 단부 스톱으로서 작용한다. 안내편(38)은 요부(52)내에서 안내슬롯(31)을 따라 미끄러지고, 요부는 길이방향 지지체(2)의 외측면(18)위에 인접하는 표면으로부터 림내에 만들어진다. 추가로 고정부재(21)용 2개의 가이드 리브(40)가 길이방향 지지체(2)의 외측면(18)으로부터 떨어진 림(28)의 외측면상에 제공되고, 림에는 일단 고정된 고정부재(21)의 자체적인 이동을 방지하기 위한 방해 이빨(41)이 설치되어 있다.
고정부재(21)는 본질적으로 판형상체이고, 고정부재(21)가 규제부재(16)와 길이방향 지지체(12)사이의 임시공간(20)내에서 가이드 슬롯(31)을 따라 이동될 수 있게 한다. 임시공간(20), 또는 규제부재의 피봇경로의 각각은 제한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하에서 고정부재(21)가 쐐기형으로 설계된 것을 볼 수 있고 피봇경로는 임시 공간(20)내의 고정부재의 전진을 증가시킴에 따라 감소한다. 고정부재(21)의 유리한 설계는 쐐기형대신에 3단계 설계가 스텝의 높이를 증가시킴으로써 고정스텝(39a, 39b, 39c)과 함께 선택될 때 생긴다. 가이드 슬롯내에 있는 결합 연장부(32)는 3개의 정의된 위치가 고정부재(21)에서 생기도록 상호 이격되어 있다. 이로써 슬레이트 베이스의 모서리 영역의 편향 영역은 고정부재의 삽입범위에 의존하여, 대로부터 중간크기, 소까지 단순하게 세트 또는 리세트될 수 있고, 슬레이트 베이스를 사용하고자 하는 사람의 필요성에 따라 조정될 수 있다. 고정부재는 방해하지 않으나, 대신에 부드럽고 소음이 없는 편향범위의 제한을 달성하기 위해 탄성재료, 예를 들면 고무, 실리콘 등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도 6 및 도 7에는 모서리 영역요소가 도시되어 있고, 베어링 모듈(7)을 형성하는 모든 스프링 슬랫(3)과 지지슬랫(4)의 횡방향 단부(3a, 4a)가 모서리 영역요소에 의해 결합된다. 모서리 영역요소(6)는 지지슬랫(4)의 단부(4a)를 위한 고정수단(56)과 각각 스프링 슬랫(4)의 단부(3a)를 위한 하나의 고정수단(55)이 제공되도록 설계된다. 바람직하게는 모서리 영역요소에서 지지슬랫(4)과 2개의 스프링 슬랫(3), 각각 지지슬랫의 좌 및 우에 각각 결합된다. 고정수단(55, 56)은 모서리 영역요소(6)의 길이방향에서는 중첩되지 않으며, 이러한 요소는 비교적 길지만, 높이가 낮은 납작한 외형을 가진다.
모서리 영역요소는 지지슬랫(4)의 일측면상에서, 즉 슬레이트 베이스 단부와 면하는 측면위에서, 고정수단(55)이 2개의 스프링 슬랫(3)에 대해 제공되도록 설계되어 있는 슬레이트 베이스의 상단과 하단을 상세히 볼 수 있다. 이와 같은 모서리영역요소의 구성은 도 6 및 도 7에 일점쇄선과 파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스프링 슬랫(3), 각각 지지슬랫(4)용 고정수단(55, 56)은 바람직하게는 포켓형으로 설계되고 스프링 슬랫(3)의 단부(3a), 각각 지지슬랫(4)의 단부(4a)를 완전하게 포위한다. 모든 고정포켓(55, 56)은 보호벽(57)으로서 설계된 베어링 요소와 탄성적으로 연결된다. 모서리영역에서 베어링 모듈의 측면영역과 상측를 포위하는 보호벽(57)은 슬랫(3, 4)으로부터 이격된 면상의 측벽(70)으로 완성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모서리 영역요소는 관찰자에게는 모든 외측을 향해 폐쇄된 것과 같이 보인다.
도시된 슬레이트 베이스의 형태에 있어서, 모서리 영역요소(6)는 스프링 슬랫(3)과 지지슬랫(4)의 단부(3a, 4a)위에서 단지 가압된다. 슬레이트 베이스는 길이방향 지지체와 길이방향 홈을 갖춘 어떠한 종류의 연결장치도 가지지 않는다. 이로서, 슬레이트 베이스는 모서리 영역요소(6)가 혼자의 힘으로는 횡방향으로 미끄러질 수 없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하나이상의 고정수단(55, 56)과 유지수단(58, 59)으로 고정수단에 결합된 슬랫, 바람직하게는 슬랫 단부(3a, 4a)상에서 모서리 영역요소(6)가 미끄러진 후, 혼자의 힘으로는 횡방향 미끄러짐이 더 이상 일어나지 않는 일종의 스냅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고정수단(56)과 지지슬랫(4)의 단부(4a)가 있을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고정수단(56)은 포켓까지 횡방향으로 연장하는 하나이상의 리브(59)형태의 제 1 고정수단을 가지며, 지지슬랫의 단부(4a)는 포켓(56)으로의 지지슬랫(4)의 단부(4a)의 삽입시, 리브(59)가 노치(58)와 결합함으로써 자체적으로 슬랫 단부(3a, 4a)로부터모서리영역요소(6)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연장하는 노치(58)형태의 제 2 고정수단을 가진다.
예를 들면, 상기한 종단부분(68)이 고정될 수 있는 스크루의 나사산을 수용하기 위한 눈(eye) 형태의 고정장치가 부호 67로 표시되어 있다. 스프링 슬랫(3)용 고정포켓(55)은 정지부재(64)를 가진다. 삽입된 스프링 슬랫은 슬레이트 베이스가 적재되지 않은 상태에서 정지부재까지 실질적으로 연장한다. 모서리 영역요소에서의 슬레이트 베이스의 상승시, 위쪽으로 약간 굽은 스프링 슬랫은 인장 및 길이의 확대가 있다. 이들은 정지부재상에 놓이게 되고 모서리 영역요소(6)의 위쪽으로의 임의의 상당히 중요한 편향을 불가능하게 한다.
동일하게 지지슬랫(4)용 고정요소(56)는 정지부재(65)를 가진다. 지지슬랫(4)의 단부는 상기 부착수단(58, 59)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어, 길이방향 이동이 방지된다.
도 8에는 모서리 영역 요소(6)가 도시되어 있고 내부에 유지된 스프링 슬랫은 지지슬랫(4)과 함께 고정포켓(56)에 대하여 피봇가능하도록 설계된다. 기본적으로 원형 세그멘트형 피봇 정지부재(66)는 보호벽(57)과 이 보호벽에 면하는 고정수단(56)의 포켓측면 사이에 배치된다. 이것은 모서리 영역 요소(6)가 경사져 있을때 피봇정지부재(66)를 따라 피봇정지부재에 맞닿아 있는 고정수단(56)의 측면이 회전하는 상기 피봇운동을 정의하기 위한 것이다.
고정수단(56)의 보호벽(57), 각각 측벽(70)에의 고정은 도 9에 도시되어 있다. 고정포켓(56)은 연결부재(60)로 측벽(70)에 연결되고, 연결부재는 비틀림과 만곡시 응력을 받을 수 있다. 연결부재(60)는 바람직하게는 비교적 얇은 벽을 가진 설형상부이고, 고정포켓(56)과 측벽(70)사이에서 연장한다. 도 9로부터는 탄성력이 큰 이러한 설형상부의 도움으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봇운동이 실행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더욱이 보호벽에 대한 고정포켓(56)의 길이방향은 또한 변경가능하고, 그러나, 이러한 벽은 화살표(72)의 방향에서 아랫쪽으로 굽을 수 있다. 베어링 모듈의 편향에 의존하여, 스프링 슬랫(3)의 단부(3a)와 지지슬랫(4)의 단부(4a)의 상대길이는 상호 변경할 수 있다.
스프링 슬랫(3)의 단부(3a)중 하나에 대한 각 고정포켓(55)은 스프링 슬랫의규제된 경사가 고정포켓(55)내에서 길이방향 축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가능하도록 설계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고정포켓의 단면은 스프링 슬랫단부의 단면보다 크게 설계된다. 고정포켓내에는 스프링 슬랫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된 상측돌기(61)와 스프링 슬랫의 길이방향으로 연장하고 중간에서 반드시 스프링 슬랫 단부(3a)와 맞닿는 하측돌기(62)가 설치된다. 그러므로 하측돌기(62)는 큰 각도의 개구가 있는 V형상으로 설계되고, 한쪽의 V형상의 2개의 림, 다른쪽의 보호벽(57)은 고정수단(55)내측의 스프링 슬랫(3)의 경사이동을 제한하는 작용을 한다.
스프링 슬랫(3)의 길이방향 축의 각 측면상에서 스프링 슬랫 단부(3a)가 작용하는 2개의 가요성 설형상의 고정포켓(55)내측의 스프링수단(63)은, 슬레이트 베이스의 하역상태에서 스프링 슬랫(3)이 평행하게, 서로를 향해, 경사진 상태로 놓이도록 한다.
모서리 영역 요소(6)는 바람직하게는 사출성형부품으로서 하나의 부품으로,열가소성 재료로 만들어진다.
지지 슬랫(4)의 설계, 길이방향 지지체(1, 2)상의 위치뿐만아니라. 모서리영역 요소(6)의 설계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각 부분, 특정부분을 고려한다.

Claims (20)

  1. 침대용 슬레이트 베이스에 있어서,
    기본적으로 침대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고 상호 이격되어 있는 2개의 길이방향 지지체들과,
    서로에 대해 상호 간격을 가지며, 기본적으로 길이방향 지지체에 대해 횡방향으로 배치되고 매트리스용 지지면을 공동으로 형성하는 복수개의 스프링 슬랫들과,
    스프링 슬랫들에 대해 하측에 위치되고, 탄성변형가능한 지지슬랫들로서, 이 지지슬랫을 통해 상기 스프링 슬랫이 길이방향 지지체에 연결되고, 상기 길이방향 지지체들은 스프링 슬랫들 아래에 배치되고 스프링 슬랫들의 단부들과 면하고 있는 길이방향 지지체들의 외측면들은 스프링 슬랫 단부들에 대해 저지되고, 상기 지지 슬랫들은 길이방향 지지체들(1, 2)사이에 위치된 탄성변형가능한 중간영역을 가지며, 탄성변형가능한 중간영역은 상기 길이방향 지지체들로부터 상기 스프링 슬랫 단부들을 향하는 지지슬랫들의 2개의 단부영역들보다 탄성이 큰, 탄성변형가능한 지지슬랫과,
    하나이상의 스프링 슬랫과 하나의 지지슬랫이 각각 베어링 모듈에 결합되는 2개의 측면 모서리영역요소들과,
    임의의 위치에 적재될 때 베어링 모듈의 2개의 측면모서리 영역들이 지지면으로부터 아래쪽으로 이동하도록, 지지슬랫이 2개의 길이방향 지지체들위에 고정되고, 각각의 경우 지지슬랫들의 하나의 피봇위치가 대응하는 길이방향 지지체로 횡방향에서 각 고정위치에 형성되는 연결요소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용 슬레이트 베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슬랫의 편향을 규제하기 위해 각 지지슬랫의 각 단부영역에 있는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부재는 상기 슬레이트 베이스가 적재되지 않은 상태에서 보다 근접하여 위치된 길이방향 지지체의 일측면에 대하여 이격되어 있고, 특히 슬레이트 베이스의 측면영역들중 하나의 소정 로딩으로부터 시작해서, 보다 근접하여 위치된 부재에 대한 리미트스톱(limit stop)인 길이방향 지지체에 대해 효과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용 슬레이트 베이스.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부재와 상기 리미트스톱사이의 임시공간내에 제공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리미트스톱상의 규제부재의 작용 시점은 부하의 함수로서 조정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용 슬레이트 베이스.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부재와 상기 리미트스톱사이의 임시공간내에 제공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리미트스톱상의 규제 부재의 작용 강도는 부하의 함수로서 조정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용 슬레이트 베이스.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방향 지지체들의 상기 영역내에서 지지슬랫위에 배치되고 상기 길이방향 지지체들의 상측을 향해 회전되는 지지돌기들과,
    상기 길이방향 지지체의 상측과 상기 지지슬랫의 지지돌기들 사이에 고정되는 지지 요소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침대용 슬레이트 베이스.
  6. 제 1 항에 있어서,
    하나이상의 스프링 슬랫에 대하여, 지지슬랫의 중간영역의 오목한 만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만곡부의 곡선은 적재된 스프링 슬랫의 곡선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용 슬레이트 베이스.
  7. 제 1 항에 있어서,
    하나이상의 스프링 슬랫에 대하여, 전체 지지슬랫의 오목한 만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오목한 만곡부는 파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용 슬레이트 베이스.
  8. 제 1 항에 있어서,
    길이가 2인치 이상인, 장착 및 적재되지 않은 지지슬랫의 직선상으로 배치된 지지슬랫 단부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용 슬레이트 베이스.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슬랫들의 탄성범위를 부드럽고 조용하게 규제하기 위해 각 베어링 모듈위에 하나이상의 정지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용 슬레이트 베이스.
  10. 제 1 항에 있어서,
    지지슬랫들은 사출성형부품으로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용 슬레이트 베이스.
  11. 제 1 항에 있어서,
    지지슬랫들은 열가소성 재료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용 슬레이트 베이스.
  12. 제 1 항에 있어서,
    길이방향 지지체의 길이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치되고 이 길이방향으로는 중첩하지 않는, 하나이상의 스프링 슬랫의 일단부 및 베어링 모듈의 지지슬랫의 일단부를 위한 각각 모서리 영역 요소들의 포켓형 고정수단, 및
    베어링 요소로서 설계되고 모서리 영역요소의 모든 고정수단을 연결하여 고정수단을 상호 팽팽하게 연결하는 보호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용슬레이트 베이스.
  13. 제 12 항에 있어서,
    하나이상의 스프링 슬랫과 지지슬랫의 단부위에서 미끄러질 수 있는 모서리영역요소들, 및
    슬립 온 모서리 영역요소의 측방향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해 고정수단과 상기 슬랫중 하나에 결합된 일단부위에 있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용 슬레이트 베이스.
  14. 제 13 항에 있어서, 고정수단은 스냅 장치로서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용 슬레이트 베이스.
  15. 제 12 항에 있어서,
    비틀림과 굽힘시 가압될 수 있는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이 연결부재에 의해 지지슬랫의 단부를 위한 고정수단이 상기 보호벽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용 슬레이트 베이스.
  16. 제 12 항에 있어서,
    스프링 슬랫단부를 수용하기 위한 고정수단내에 제공되고, 스프링 슬랫의 길이방향에서 안쪽으로 돌출하여 배치되는 돌기로서, 스프링 슬랫의 중간을 향하며,상기 스프링 슬랫의 길이방향에 대한 횡방향 규제범위내에서 경사가능하게 결합된 고정수단내에 스프링 슬랫을 고정하기 위한 돌기, 및
    상기 스프링 슬랫 단부의 측면 모서리 영역들위에서 가압하고 고정수단에 대해 경사질 수 없는 위치에 적재되지 않은 스프링 슬랫을 유지하기 위한 스프링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용 슬레이트 베이스.
  17.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슬랫 또는 지지슬랫용 고정수단의 각각에 정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슬랫의 모든 단부는 기본적으로 상기 슬레이트 베이스가 적재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고정수단내의 정지부재까지 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용 슬레이트 베이스.
  18. 제 12 항에 있어서,
    모서리 영역요소들은 하나의 부품으로서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용 슬레이트 베이스.
  19. 제 12 항에 있어서,
    모서리 영역요소들은 열가소성 재료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용 슬레이트 베이스.
  20. 침대용 슬레이트 베이스에 있어서,
    기본적으로 침대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고 상호 이격되어 있는 2개의 길이방향 지지체들과,
    서로에 대해 상호 간격을 가지며, 기본적으로 길이방향 지지체에 대해 횡방향으로 배치되고 매트리스용 지지면을 공동으로 형성하는 복수개의 스프링 슬랫들과,
    스프링 슬랫보다 낮은 위치에 있는 탄성변형가능한 지지슬랫으로서, 이 지지 슬랫을 통해 상기 스프링 슬랫이 길이방향 지지체에 연결되고, 상기 스프링 슬랫들 아래에 배치되고 스프링 슬랫들의 단부와 면하고 있는 상기 길이방향 지지체의 외측면들은 스프링 슬랫 단부들에 대해 저지되고, 상기 길이방향 지지체(1, 2)사이에 위치된 탄성변형가능한 중간영역을 가지며, 탄성변형가능한 중간영역은 길이방향 지지체로부터 스프링 슬랫 단부를 향하는 지지슬랫의 2개의 단부영역보다 탄성이 큰, 탄성변형가능한 지지슬랫과,
    하나이상의 스프링 슬랫과 하나의 지지슬랫이 각각 베어링 모듈에 조합되는 2개의 측면 모서리영역요소들과,
    길이방향 지지체의 길이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치되고 이 길이방향으로는 중첩하지 않는, 하나이상의 스프링 슬랫의 일단부 및 베어링 모듈의 지지슬랫의 일단부를 위한 각각 모서리 영역 요소들의 포켓형 고정수단, 및
    베어링 요소로서 설계되고 모서리 영역요소의 모든 고정수단을 연결하여 고정수단을 상호 팽팽하게 연결하는 보호벽과,
    연결요소들로서, 임의의 위치에 적재될 때 베어링 모듈의 2개의 측면모서리 영역이 지지면으로부터 아래쪽으로 이동하도록, 이 연결요소들로 지지슬랫들이 2개의 길이방향 지지체위에 고정피고, 각각의 경우 이 연결요소에 의해 지지슬랫의 하나의 피봇위치가 대응하는 길이방향 지지체로 횡방향으로 각 고정위치에 형성되는, 연결요소와,
    지지슬랫의 편향을 규제하기 위해 각 지지슬랫의 각 단부영역에 있는 부재로서, 슬레이트 베이스가 적재되지 않은 상태에서 보다 근접하여 위치된 길이방향 지지체의 일측면에 대하여 이격되어 있고, 특히 슬레이트 베이스의 측면영역중 하나가 어느 정도 로딩되기 시작할 때, 부재에 대한 리미트스톱인, 보다 근접하여 위치된 길이방향 지지체에 대해 효과를 가지는,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용 슬레이트 베이스.
KR1019970702913A 1994-11-04 1995-10-31 침대용슬레이트베이스 KR1003726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94810638A EP0710459B1 (de) 1994-11-04 1994-11-04 Lattenrost für ein Bett
EP94810638.0 1994-11-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706751A KR970706751A (ko) 1997-12-01
KR100372619B1 true KR100372619B1 (ko) 2003-06-09

Family

ID=82183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702913A KR100372619B1 (ko) 1994-11-04 1995-10-31 침대용슬레이트베이스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5774911A (ko)
EP (1) EP0710459B1 (ko)
JP (1) JP3751977B2 (ko)
KR (1) KR100372619B1 (ko)
AT (1) ATE163351T1 (ko)
AU (1) AU692933B2 (ko)
CA (1) CA2203777C (ko)
DE (1) DE59405321D1 (ko)
DK (1) DK0710459T3 (ko)
ES (1) ES2115189T3 (ko)
FI (1) FI106095B (ko)
NO (1) NO310702B1 (ko)
WO (1) WO199601400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38129B1 (fr) * 1995-09-06 1997-10-24 Turquin Jean Luc Sommier a lattes sans cadre, autocompense et procede de realisation de tels sommiers
BE1012356A3 (nl) * 1998-12-18 2000-10-03 Ls Bedding Inrichting voor het verend en op instelbare hoogte ten opzichte van een bedomranding monteren van de latten van een lattenbodem.
CH694547A5 (de) * 2000-04-03 2005-03-31 D Li Florin Baeriswyl Lattenrost für Liegemöbel.
FR2854313B1 (fr) * 2003-04-30 2005-07-29 Dispositif de suspension pour ensemble bilattes
FR2885022B1 (fr) * 2005-04-27 2007-08-03 Tournadre Sa Standard Gum Sa Dispositif de suspension de lattes de sommier
US20100064433A1 (en) * 2007-01-15 2010-03-18 Gregorio Mora Jimenez Therapeutic rest bed
PL1989973T3 (pl) * 2007-05-11 2011-05-31 Recticel Bedding Schweiz Ag Materac bazowy do łózka
PT2186445T (pt) * 2008-11-13 2016-11-07 Recticel Bedding (Schweiz) Ag Base de colchão para uma cama
EP2186444B1 (de) 2008-11-13 2013-02-27 Recticel Bedding (Schweiz) AG Untermatratze für ein Bett
US20140283302A1 (en) * 2013-03-23 2014-09-25 Uwe Horstmann Device for the insertion in bedsteads, bedding boxes or bed frames for use as a lying surface with a mattress on top of it for primarily a single person
WO2018064029A1 (en) 2016-09-29 2018-04-05 Steelcase Inc. Compliant seating structure
US11291305B2 (en) 2017-12-05 2022-04-05 Steelcase Inc. Compliant backrest
US10813463B2 (en) 2017-12-05 2020-10-27 Steelcase Inc. Compliant backrest
CN113507865A (zh) 2019-02-21 2021-10-15 斯特尔凯斯公司 身体支撑组件和用于该身体支撑组件的使用和组装的方法
CN114502039A (zh) 2019-09-18 2022-05-13 斯迪尔科斯公司 具有格架构造的身体支撑构件
US11357329B2 (en) 2019-12-13 2022-06-14 Steelcase Inc. Body support assembly and methods for the use and assembly thereof
WO2021178206A1 (en) 2020-03-02 2021-09-10 Steelcase Inc. Body support assembly and methods for the use and assembly thereof
WO2022173799A1 (en) 2021-02-10 2022-08-18 Steelcase Inc. Body support structur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663829A1 (fr) * 1990-06-27 1992-01-03 De Gelis Alain Sommier de literie.
ATE143236T1 (de) * 1991-10-28 1996-10-15 Matra Ag Lattenrost für ein bett
EP0563497B1 (de) * 1992-03-04 1996-07-31 Matra AG Matratze und Lattenros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NO972074L (no) 1997-07-01
JP3751977B2 (ja) 2006-03-08
FI971807A0 (fi) 1997-04-28
EP0710459B1 (de) 1998-02-25
US5774911A (en) 1998-07-07
AU3696395A (en) 1996-05-31
KR970706751A (ko) 1997-12-01
NO972074D0 (no) 1997-05-05
DK0710459T3 (da) 1998-09-28
ATE163351T1 (de) 1998-03-15
AU692933B2 (en) 1998-06-18
NO310702B1 (no) 2001-08-20
FI106095B (fi) 2000-11-30
WO1996014003A1 (de) 1996-05-17
ES2115189T3 (es) 1998-06-16
FI971807A (fi) 1997-05-02
JPH10508235A (ja) 1998-08-18
EP0710459A1 (de) 1996-05-08
CA2203777C (en) 2005-09-20
CA2203777A1 (en) 1996-05-17
DE59405321D1 (de) 1998-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72619B1 (ko) 침대용슬레이트베이스
US8186761B2 (en) Suspended pixelated seating structure
US6477727B1 (en) Bearing element for upholstery support for a seat or bed system
US8256043B2 (en) Support element for a cushion cover for seating and lying areas
US7396077B2 (en) Seat structure with elastic suspension
JP4499381B2 (ja) ベッド用ばね部材
KR101632047B1 (ko) 보상 위치 루프 디치 몰딩 리테이너
JP3792729B2 (ja) マットレス台の為のばね橋
US20030181838A1 (en) Progressive flexible tabs on orthotic devices
KR101213774B1 (ko) 코드 조절기
EP0604242B1 (en) A bed base structure
EP1874252A1 (en) Device for preventing decubitus
US6189596B1 (en) Structure of a driving mechanism for venetian blinds
US20100243856A1 (en) Load bearing surface
US4457351A (en) Tilt rod support for venetian blind assembly
US4809377A (en) Sheet retainer for waterbeds
EP0775269B1 (en) Improved multi-fold interlockable spring module for use in mattress foundation structures
MXPA04005753A (es) Empaque mejorado.
JP3543446B2 (ja) シャッターにおけるスラットカーテンの抜止構造
EP3865011B1 (en) Device for adjusting the stiffness of a sprung slat
KR200163868Y1 (ko) 침대용바닥판
JPS608332Y2 (ja) 天井埋込型照明器具取付装置
KR0122971Y1 (ko) 매트리스용 스프링
KR200318465Y1 (ko) 의자용 팔걸이
JP2004131028A (ja) 自動車用ウィンドモ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0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