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71776B1 - 렌즈 셔터 타입 줌 렌즈 카메라 - Google Patents

렌즈 셔터 타입 줌 렌즈 카메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1776B1
KR100371776B1 KR1020000075842A KR20000075842A KR100371776B1 KR 100371776 B1 KR100371776 B1 KR 100371776B1 KR 1020000075842 A KR1020000075842 A KR 1020000075842A KR 20000075842 A KR20000075842 A KR 20000075842A KR 100371776 B1 KR100371776 B1 KR 1003717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zoom
lens group
lens
rear lens
driving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58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토다카유키
노무라히로시
아제가미가즈요시
사사키다카미츠
다바타야스시
누마코노리오
다니무라요시나리
사토다쿠마
기시모토마사아키
고사코고세이
Original Assignee
펜탁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8000365A external-priority patent/JPH09185104A/ja
Priority claimed from JP02833396A external-priority patent/JP3831439B2/ja
Priority claimed from JP03236596A external-priority patent/JP386948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03404196A external-priority patent/JP3869484B2/ja
Priority claimed from JP8034039A external-priority patent/JPH09230219A/ja
Priority claimed from JP8034038A external-priority patent/JPH09230405A/ja
Priority claimed from JP03411896A external-priority patent/JP383144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03406296A external-priority patent/JP383144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03412096A external-priority patent/JP364563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03404096A external-priority patent/JP3831440B2/ja
Priority claimed from JP03412596A external-priority patent/JP3727999B2/ja
Priority claimed from JP8034042A external-priority patent/JPH09230205A/ja
Priority claimed from JP03406396A external-priority patent/JP383144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8034823A external-priority patent/JPH09230210A/ja
Application filed by 펜탁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펜탁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1003717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17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1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by relative axial movement of several lenses, e.g. of varifocal objective lens
    • G02B7/1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by relative axial movement of several lenses, e.g. of varifocal objective lens controlled by a microcompute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08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adapted to co-operate with a remote control mechanism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02Viewfinders
    • G03B13/10Viewfinders adjusting viewfinders field
    • G03B13/12Viewfinders adjusting viewfinders field to compensate for change of camera lens or size of pictur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Focusing arrangements of general interest for cameras, projectors or printers
    • G03B3/02Focusing arrangements of general interest for cameras, projectors or printers moving lens along baseboard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46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s for zoom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ens Barrels (AREA)

Abstract

줌 렌즈 카메라는 전·후방렌즈그룹을 전체로서 광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전체유니트 이동수단, 그리고 전방렌즈그룹과 후방렌즈그룹 사이의 거리를 가변시키는 상대이동수단을 포함하고 있다. 전체 유니트 이동수단은 줌밍작동시 구동되고, 그리고 적어도 전체 유니트 이동수단 또는 상대이동수단은 촬영될 피사체에 초점을 맞추는 초점맞춤작동시 구동된다.

Description

렌즈 셔터 타입 줌 렌즈 카메라{A LENS SHUTTER TYPE OF ZOOM LENS CAMERA}
1)발명의 분야
본발명은 줌밍, 즉 줌렌즈의 렌즈구동방법과 초점맞춤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발명은 독립적으로 이동될수 있는 전방렌즈그룹과 후방렌즈그룹을 가진 줌렌즈 카메라에 관한 것이다.
2)관련된 기술의 설명
"줌렌즈" 용어는 초점을 가변시킴없이 초점길이의 가변이 성취될수 있는 렌즈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의 줌렌즈에서 카메라가 일안 리플렉스 카메라 또는 렌즈셔터 카메라인지의 여부에 관계없이 줌작동수단이 초점길이를 가변시키도록 작동될 때, 복수의 렌즈그룹은 소정된 위치관계를 갖고 이동되어 초점이 이동하지 않는다. 초점맞춤렌즈그룹은 무한대 촬영위치에 통상 위치되고, 초점작동수단이 작동될 때 초점렌즈그룹은 셔터가 해제되기 전에 피사체 초점위치로 이동한다.
하지만, 줌 콤팩트 카메라에서, 촬영될 피사체의 상이 일안리플렉스 카메라의 경우에서와 같이 줌촬영 광학시스템을 통하기 보다는 줌파인더 광학시스템을 통하여 관찰되기 때문에, 줌작동수단이 작동될 때 피사체의 상이 특정 피사체거리(즉 무한대)에서 초점맞춤되는 위치로 줌촬영렌즈를 이동시키는 것은 항상 필요하지 않는다.
하지만, 종래기술의 렌즈셔터 카메라에서 복수의 렌즈 그룹은 줌밍작동시 소정된 줌 위치를 따라 이동되고, 복수의 렌즈그룹중 하나는 즉 초점맞춤렌즈는 셔터릴리즈시 초점맞춤 상태를 얻게되는 위치로 이동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줌밍과 초점맞춤에 대한 이동 및 작동의 방법이 완벽하게 별개로 되어 있기 때문에 각각의 줌렌즈시스템 용 렌즈그룹을 위한 줌 위치를 얻도록 비선형 캠 홈을 가진 캠부재를 제공하는 것은 필수적이다. 캠부재가 주조 성형된 재료로 생산된다면, 각각의 캠윤곽을 위한 주형다이를 생산하는 것은 필수적이어서 제조비용을 증가시킨다. 또한, 캠기구를 이용한 종래의 줌렌즈 배럴에서 초점맞춤렌즈 그룹은 줌밍시 캠윤곽을 따라 이동되는 환형 셔터블록의 중앙에서 지지된다. 초점맞춤시, 초점맞춤렌즈 그룹은 피사체거리정보에 따라 환형셔터블록에 관련되어 이동된다. 초점맞춤렌즈 그룹용 전진기구(초점맞춤기구)뿐만 아니라, 셔터블레이드용 개폐기구(노출기구)를 가진 종래의 환형셔터블록은 렌즈배럴의 큰요소이어서, 이에 의해 방사방향으로 렌즈배럴의 소형화가 방해를 받는다.
적어도 전·후방 렌즈 그룹들이 독립적으로 이동가능하다면,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야기된다.
렌즈배럴의 신장을 통하여 카메라 몸체로부터 줌밍을 수행하도록 줌렌즈로 구비된 카메라에 있어서, 렌즈배럴이 카메라 몸체로 신장된 상태에 있으면, 카메라 몸체의 방향으로 강력한 외력 또는 충격이 렌즈배럴 앞면에 만들어질 때 렌즈배럴의 구동장치 또는 렌즈배럴의 손상을 방지할 목적으로 클러치와 같은 장치가 제공된다.
소정된 힘을 초과하는 외력이 렌즈배럴에 작용되면, 클러치는 카메라 몸체내로 렌즈배럴의 수축(후퇴)를 허용하여 즉 렌즈배럴의 후방이동을 허용하여 렌즈배럴 또는 렌즈배럴의 구동장치의 손상이 회피될수 있다.
전·후방 렌즈그룹으로 구비된 이안 그룹 타입의 카메라에 있어서, 전·후방렌즈그룹들 사이의 거리는 "광각" 쪽 위치에서 길고 "망원" 쪽 위치에서 짧다.
따라서, 줌밍이 후방렌즈그룹에 대한 전방렌즈그룹의 이동을 통하여 수행하는 구조물에 구비된 카메라에서 특히 "광각" 쪽 위치에서 후방렌즈그룹은 전방렌즈그룹으로부터 가장 떨어진 위치, 즉 필름에 가장 근접한 위치로 후방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줌밍을 수행하는 카메라 몸체에서 신장된 줌렌즈 타입으로 구비된 카메라에 있어서 렌즈배럴이 카메라 몸체로부터 신장되는 동안, 특히 렌즈배럴이 "망원"쪽 위치로 신장될 때, 카메라 몸체 방향으로의 강력한 외력 또는 충격이 렌즈배럴의 앞면에 만들어진다면, 렌즈배럴의 구동장치 또는 렌즈배럴은 상기된 바와같이 클러치에 의해 그 자체가 보호될수 있지만, 동시에 렌즈배럴이 카메라 몸체내로 후퇴하도록 가압받아, 전방렌즈그룹으로부터 후방으로 위치된 후방렌즈그룹이 필름과 충돌할수 있어, 후방렌즈그룹의 구동장치, 후방렌즈그룹, 또는 필름이 손상될 가능성이 있을수 있다.
외력이 렌즈배럴에 작용되면, 줌렌즈의 비고의적인 이동을 초래하여 전·후방 렌즈그룹들이 격납된 렌즈위치로부터 이동될수 있는 가능성이 존재한다. 초점맞춤이 이러한 상태에서 작동되면, 렌즈그룹이 초점맞춤위치로 이동될수 없는 경우가 있을수 있다.
또한, 외력으로 인하여 후방렌즈그룹이 소정된 위치로부터 후방으로 이동되는 사실에 불구하고, 렌즈배럴이 격납위치로 후퇴되면, 후방렌즈그룹은 다공프레임또는 필름과 충돌할수 있다.
렌즈배럴이 외력으로 인하여 이동되면 기어열과 같은 렌즈구동시스템, 리드나사 또는 캠홈 및 캠핀은 소위 "물림"을 야기할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종래의 모터의 토크하에서 렌즈를 이동시킴에 있어서 상이함이 발생할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모터의 토크가 증가될수 있지만; 모터의 크기에서 증대를 초래한다.
크기를 최소화하기 위해서 콤팩트 카메라의 줌렌즈 조립체는 복수의 동심부위 또는 스테이지들을 구비한 즉 2, 3 또는 그 이상의 스테이지로 신장되는 렌즈배럴을 가진다. 이러한 줌렌즈에서 백래쉬가 렌즈배럴을 신장시키는데 사용되는 장치 즉 모터, 기어열 등에 존재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줌밍시 백래쉬로 인하여 렌즈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은 가능하게 될 수 없다. 초점맞춤렌즈 그룹이 그러한 조건하에서 이동된다면, 초점맞춤이 성취될수 없는 가능성이 존재한다.
파워(즉 모터로 구동되는) 줌렌즈를 가진 카메라에 있어서, 렌즈가 줌밍후 정지되면 관성등으로 인하여 원하는 위치에서 렌즈를 정지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될 수 없다.
또한, 렌즈배럴이 밀어지거나 당겨짐으로 인하여 렌즈그룹이 정지(원하는) 위치로부터 이동될 수 없는 가능성이 존재한다. 이러한 경우에, 초점맞춤렌즈그룹이 이동되어 초점맞춤위치에 위치될수 없다면, 피사체는 초점을 맞출수 없게 된다.
상기한 상황으로 인하여, 줌렌즈 카메라에서 초점맞춤렌즈그룹 뿐만아니라 모든 렌즈그룹이 초점맞춤시 이동되어 모든 렌즈그룹이 원하는 초점길이위치에 확실하게 위치되어서 정확한 초점맞춤이 수행될수 있는 것은 바람직하다.
하지만, 초점렌즈그룹을 포함하는 모든 렌즈그룹이 연속적으로, 즉 한 번에 하나씩 구동되면, 긴 시간이 렌즈 그룹의 이동을 완료하고 셔터를 해제하는데, 즉 "해제시간지연"을 위해 필요되며, 여기에서 상기 시간은 해제버튼이 작동되고, 초점맞춤이 수행되고, 그리고 셔터가 작용되는 시간을 말한다. 따라서 해제시간지연이 단축된 줌렌즈 카메라를 제공하는 것은 바람직하다.
또한, 줌밍시 전체가 이동되고 후방렌즈그룹이 초점맞춤시 이동되는 종래기술의 렌즈그룹의 구조에서 렌즈그룹이 전체가 이동될 때 초점길이, 즉 필름면까지의 거리가 가변되면, 후방렌즈그룹의 초점맞춤시 이동량은 적절히 가변될 것이다.
따라서 초점조절을 위한 후방렌즈그룹의 이동양이 크게되는 초점길이범위의 부분에서 초점맞춤에 필요되는 시간은 후방렌즈그룹의 이동량이 보다 작게되는 다른 초점길이위치에서 보다 더 길다.
렌즈배럴이 격납시 카메라 몸체내로 후퇴되는 줌렌즈 카메라에 있어서, 렌즈 배럴이 가장 먼 위치로 후퇴될 때 렌즈배리어가 폐쇄되고 렌즈배럴이 촬영 가능위치로 신장될 때 렌즈 배리어가 개방되는 렌즈배리어를 제공하는 것은 바람직하다.
하지만, 전·후방 렌즈 그룹들이 별개로 이동되는 줌렌즈 배럴에 있어서, 렌즈 또는 렌즈배럴의 이동과 동시적으로 렌즈 배리어를 개폐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은 어렵다.
줌 파인더가 줌밍 프로세스에 따라 배율을 변경하는 것에 제공되는 경우에 줌 렌즈카메라의 렌즈그룹 전체가 이동된다면, 줌파인더의 배율은 초점맞춤이 수행되는 각각의 시간을 변경하여, 파인더를 통한 피사체의 관찰이 성가신 일이 되도록 한다.
발명의 개요
상기 문제들의 관점에서 본발명의 제1목적은 줌밍을 위한 것이고, 설정된 초점길이정보와 검출된 피사체거리 정보에 관한 정보에 의해서만 렌즈의 위치를 제어하는 것이 가능한 캠기구가 필요되지 않는 줌렌즈와 이 줌 렌즈를 제어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발명의 다른 목적은 짧은 시간에 초점맞춤이 가능하고, 줌밍시 렌즈그룹의 전체를 이동시키고 초점맞춤시 적어도 하나의 렌즈그룹을 또한 이동시키는 줌렌즈 카메라를 제공하고, 초점길이와 무관하게 짧은 시간에 초점맞춤이 가능한 줌렌즈 카메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발명의 다른 목적은 줌렌즈와 줌렌즈 배럴을 구동시키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인데, 여기에서 렌즈배럴이 카메라 몸체로부터 신장된 상태에서 강력한 외력 또는 충격이 렌즈배럴에 작용되어 렌즈배럴이 후퇴되도록 가압된다면, 후방렌즈그룹과 필름표면사이의 충돌로 인하여 렌즈의 구동장치, 후방렌즈그룹 또는 필름이 손상되는 것이 회피된다.
본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줌렌즈 카메라를 제공하는 것인데, 여기에서 후방렌즈그룹이 외력등으로 인하여 이동되어도 이 줌 렌즈카메라는 정확하게 초점을 맞출수 있고 렌즈 카메라 몸체 또는 필름을 손상함이 없이 렌즈를 또한 격납시킬수 있으며, 줌밍시 전·후방렌즈그룹을 전체로서 이동시키고 초점맞춤시 전·후방렌즈그룹을 독립적으로 또한 이동시킨다.
본발명의 초점맞춤후 렌즈그룹을 이전위치로 복귀시킬수 있고 줌밍 및 초점맞춤시 렌즈그룹의 전체를 이동시키는 줌 렌즈카메라를 제공하는 것을 또한 목적으로 한다.
본발명의 다른 목적은 렌즈위치를 정확하게 검출할수 있고 초점맞춤을 정확하게 또한 할수 있으며, 줌밍시 렌즈 그룹의 전체를 이동시키고 초점맞춤시 초점맞춤렌즈그룹을 또한 이동시키는 줌렌즈 카메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발명의 다른 목적은 렌즈배럴이 외력에 의해 밀어질 때 및/또는 물림이 발생할 때 렌즈배럴을 구동시킬수 있고 모터를 크게함없이 모터에 의해 렌즈배럴 또는 렌즈를 이동시키는 카메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발명의 다른 목적은 초점맞춤시 줌파인더의 배율을 가변시키지 않고 줌밍을 수행하고 렌즈그룹의 전체의 이동을 통하여 줌파인더의 배율을 가변시켜 초점맞춤시 렌즈그룹의 전체를 이동시키는 줌렌즈 카메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발명은 콤팩트한 카메라에 관하여 만들어진 것이며, 줌밍이 줌작동수단에 의하여 초점길이를 단지 세팅하는 작동이라는 개념을 가지고, 초점작동수단이 최종적으로 작동될 때 그리고 셔터가 해제될 때 전·후방렌즈그룹들 사이의 거리 또는 초점맞춤렌즈의 위치가 디자인된 초점길이와 파사체 거리에 따라 정확한 위치에 있으면 충분하다.
따라서, 본발명의 일면에서, 피사체측에서 순서적으로 배열된 적어도 전·후방렌즈그룹들을 가진 광학줌렌즈 시스템, 전·후방렌즈그룹들을 전체적으로 광축방향으로 이동시킴에 있어 이들 사이에 거리를 변경시키지 않고 이동시키는 전체 렌즈시스템 이동수단, 전·후방 렌즈그룹들을 상대적으로 이동시켜 이들 사이의 거리를 가변시키는 상대이동수단, 줌작동수단에 의해 세팅된 초점길이에 따라 시계를 가변시키는 줌파인더, 초점맞춤작동을 개시하는 초점작동수단이 제공되어 있다.
또한, 본발명의 특징은 초점작동수단이 작동될 때, 줌작동수단에 의해 세팅된 초점길이 범위의 적어도 일부에서 전체유니트 구동수단과 상대구동수단 양자를 작동시킴으로써 피사체에 초점을 맞출수 있는 것이다.
렌즈시스템에 있어서 고정렌즈는 이동가능한 전방 또는 후방렌즈그룹의 전방 또는 후방에서 제공될 수 있다. 전·후방렌즈그룹중 어느 하나가 볼록렌즈그룹 또는 오목렌즈그룹이 될 수 있다.
초점작동수단의 작동시, 초점맞춤이 전체 유니트 구동수단과 상대구동수단 양자를 이동시킴으로써 수행되면, 렌즈위치는 자유롭게 제어될수 있으며, 초점맞춤시 이동에 관한 정보의 양을 감소시키거나 또는 이동의 양을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이 제어는 쉽게 또한 만들어질수 있다. 기계적인 관점에서 백래쉬에 대한 대책이 쉽게될수 있고, 각각의 렌즈그룹의 정확한 위치들이 쉽게 얻어질수 있고, 렌즈가 격납될 때 카메라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들면 초점작동수단의 작동시 전체 유니트구동수단과 상대 구동수단의 이동량은 줌 작동수단으로부터의 초점길이 정보와 피사체 거리정보에 따라 각각 얻어진다.
줌작동수단의 작동시 전·후방렌즈그룹의 이동형태로 보아 예를 들면 단지 전체 유니트 구동수단만을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전체유니트 구동수단과 상대 구동수단 양자를 이동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어떤 경우에서든 초점작동수단의 작동시 전체 유니트 구동수단과 상대구동수단 양자가 더 구동된다.
본발명의 다른 일면에서, 피사체쪽에 위치된 이동가능한 전방렌즈그룹과 상쪽에 위치된 이동가능한 후방렌즈그룹을 가진 적어도 하나의 렌즈시스템, 전·후방렌즈그룹을 전체로서 이동시키는 전체유니트 구동수단, 전·후방렌즈그룹 사이의 거리를 가변시키는 상대구동수단, 렌즈시스템을 통하여 초점길이를 세팅하는 줌작동수단, 및 초점맞춤을 개시하는 초점작동수단이 제공한다. 본 일면은 줌 작동수단이 작동될 때 적어도 전체 유니트 구동수단을 작동시킴에 의한 전·후방렌즈그룹의 이동을 통하여 전·후방렌즈그룹을 포함하는 렌즈시스템의 초점위치를 광축 방향으로 가변시킬수 있고, 초점작동수단이 작동될 때 초점길이범위의 적어도 일부에서 전체 유니트 구동수단과 상대구동수단 양자를 작동시킴에 의해 피사체의 초점을 맞출수 있는 특징을 가진다.
초점작동수단에 있어서, 초점맞춤후 셔터를 해제하는 릴리즈스위치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실용적이지만, 초점작동수단은 릴리즈스위치와 다른 수단으로도 될 수 있다.
본발명의 또다른 일면에서, 피사체측에 위치된 볼록 전방렌즈 그룹과 상쪽에 위치된 오목후방렌즈그룹, 전·후방렌즈그룹을 전체로서 이동시키는 전체 유니트 구동수단, 전방렌즈그룹에 대한 후방렌즈그룹의 상대이동을 만들어 전·후방렌즈그룹들 사이의 거리를 가변시키는 후방렌즈그룹 상대 구동수단, 전·후방렌즈그룹들에 의해 초점길이를 세팅하는 줌작동수단, 및 초점맞춤을 개시하는 초점작동수단이 제공된다. 본일면은 초점작동수단이 작동될 때 줌작동 수단에 의해 세팅된 초점길이범위의 적어도 일부에서 전체 유니트 구동수단과 후방렌즈그룹 상대구동수단 양자를 이동시킴으로써 피사체의 초점을 맞출수 있는 특징을 가진다.
본발명의 또다른 일면에서, 피사체측에 위치된 볼록 전방렌즈그룹과 상쪽에 위치된 오목 후방렌즈그룹, 전·후방렌즈그룹을 전체로서 이동시키는 전체 유니트 구동수단, 전방렌즈그룹에 대한 후방렌즈그룹의 상대이동을 만들어 전·후방렌즈그룹들 사이의 거리를 가변시키는 후방렌즈그룹 상대 구동수단, 전·후방렌즈그룹들에 의해 초점길이를 세팅하는 줌작동수단, 및 초점맞춤을 개시하는 초점작동수단이 제공된다.
본일면은 줌작동수단이 작동될 때 적어도 전체유니트 구동수단을 작동시킴에 의한 전·후방 렌즈그룹의 이동을 통하여 전·후방렌즈그룹을 포함하는 렌즈시스템의 초점위치를 광축방향으로 가변시킬수 있고, 초점작동수단이 작동될 때 초점길이범위의 적어도 일부에서 전체유니트 구동수단과 상대구동수단 양자를 작동시킴에 의해 피사체의 초점을 맞출수 있는 특징을 가진다.
전방렌즈그룹이 볼록렌즈로서 디자인되고 후방렌즈그룹이 오목렌즈로서 디자인되어 있다면, 카메라의 전체길이는 단축될 것이다.
이러한 볼록-오목(피사체에서 순서적으로) 타입의 렌즈시스템의 줌밍위치에 있어서, 가장 짧은 초점길이 끝으로부터 가장 긴 초점길이 끝으로의 줌밍시, 양 렌즈그룹은 피사체쪽을 향하여 이동되어 이들 사이의 거리가 작아진다.
따라서, 전방렌즈그룹의 이동량은 후방렌즈그룹의 이동량보다 작아지며, 그리고 볼록렌즈가 오목렌즈의 반경보다 작은 반경을 갖고있는 방식으로 형성될수 있기 때문에 후방렌즈그룹의 상대 이동이 전방렌즈그룹에 대하여 만들어지는 구조를 만듦으로써 카메라의 소형화가 실현될수 있고, 기구가 또한 단순화될수 있다.
또한 후방렌즈그룹이 상대구동수단에 의해 이동되는 렌즈그룹으로써 디자인되면 우수한 기계적 강도를 가진 렌즈 배럴을 야기하게 된다.
본발명의 다른 일면에서, 줌렌즈 카메라는 피사체측으로부터 순서적으로 배열된 적어도 전·후방렌즈그룹들을 가진 광학줌렌즈시스템으로 구비된다.
전체 렌즈시스템 이동수단은 전·후방렌즈그룹들을 이들 사이의 거리를 변경함이 없이 전체로서 광축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제공된다. 상대 이동수단은 전·후방렌즈그룹들을 상대적으로 이동시켜 이들 사이의 거리를 가변시키도록 제공된다.
줌작동수단이 광학줌렌즈 시스템의 초점길이를 세팅하도록 제공된다.
줌 작동수단에 의해 세팅된 초점길이에 따라 시계를 가변시키는 줌파인더가 또한 제공된다. 초점작동수단은 초점맞춤작동을 개시하기 위해 제공되고, 제어수단은 줌작동수단에 의해 세팅된 적어도 하나의 초점거리에서의 초점작동수단의 작동시 전체 렌즈시스템 이동수단과 상대 이동수단 양자를 이동시킴으로써 촬영되는 피사체에 초점을 맞추기 위해 제공된다.
본발명의 다른 일면에서 줌렌즈 카메라는 피사체측으로부터 순서적으로 배열된 적어도 전·후방렌즈그룹들을 가진 광학줌렌즈 시스템으로 구비된다.
전체 렌즈 시스템 이동수단은 전·후방렌즈그룹들을 이들 사이의 거리를 변경함이 없이 전체로서 광축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제공된다. 또한 상대 이동수단은 전·후방렌즈그룹들을 상대적으로 이동시켜 이들 사이의 거리를 가변시키도록 제공된다.
광학줌 렌즈시스템의 초점길이를 세팅하는 줌작동수단이 또한 제공된다.
줌파인더는 줌 작동수단에 의해 세팅된 초점길이에 따라 시계를 가변시키도록 제공된다. 줌 제어수단은 적어도 전체 렌즈 시스템 이동수단을 이동시켜, 줌작동수단이 작동될 때 광축줌렌즈 시스템의 광축방향으로 광축줌 렌즈시스템의 초점이 가변되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고, 그리고 초점작동수단은 줌작동수단에 의해 세팅된 적어도 하나의 초점길이에서 전체 렌즈시스템 이동수단과 상대이동수단 양자를 이동시킴으로써 촬영되는 피사체에 초점을 맞추기 위해 제공된다.
본발명의 또 다른 일면에서, 줌렌즈 카메라는 피사체측으로부터 순서적으로 배열된 볼록전방렌즈그룹과 오목후방렌즈그룹을 가진 것으로 제공된다.
전체 렌즈시스템 이동수단은 전·후방렌즈그룹들을 이들 사이의 거리를 변경함이 없이 전체로서 광축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제공된다. 또한 상대 이동수단은 전·후방렌즈그룹들을 상대적으로 이동시켜 이들 사이의 거리를 가변시키도록 제공된다.
전·후방렌즈그룹을 가진 광학줌 렌즈시스템의 초점길이를 세팅하도록 줌작동수단이 또한 제공된다. 줌파인더는 줌 작동수단에 의해 세팅된 초점길이에 따라 시계를 가변시키도록 제공된다. 초점맞춤작동을 개시하는 초점작동수단과, 그리고줌작동수단에 의해 세팅된 적어도 하나의 초점길이에서 초점작동수단의 작동시 전체 렌즈시스템 이동수단과 상대이동수단 양자를 이동시킴으로써 촬영되는 피사체에 초점을 맞춤 제어수단이 또한 제공된다.
본발명의 또 다른 일면에서, 줌렌즈 카메라는 피사체측으로부터 순서적으로 배열된 볼록전방렌즈그룹과 오목후방렌즈그룹을 가진 것으로 제공된다.
전체 렌즈시스템 이동수단은 전·후방렌즈그룹들을 이들 사이의 거리를 변경함이 없이 전체로서 광축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제공된다. 상대 이동수단은 전·후방렌즈그룹들을 상대적으로 이동시켜 이들 사이의 거리를 가변시키도록 제공된다.
줌작동수단은 전·후방렌즈그룹을 가진 광학줌 렌즈시스템의 초점길이를 세팅하도록 제공된다. 줌파인더는 줌 작동수단에 의해 세팅된 초점길이에 따라 시계를 가변시키도록 제공된다. 적어도 전체 렌즈시스템 이동수단을 이동시켜, 줌작동수단이 작동될 때 광학줌렌즈 시스템의 광축방향으로 광학줌렌즈 시스템의 초점이 가변되도록 하는 줌제어 수단과, 그리고 줌작동 수단에 의해 세팅된 적어도 하나의 초점길이에 전체 렌즈시스템 이동수단과 상대 이동수단 양자를 이동시킴으로써 촬영되는 피사체에 초점을 맞추는 초점작동수단이 또한 제공된다.
본발명의 또 다른 일면에서, 줌렌즈 카메라를 위한 제어방법이 제공되는데, 이 카메라는 피사체쪽으로부터 순서적으로 배열된 적어도 전·후방렌즈그룹들을 가진 광학 줌렌즈 시스템을 가진다. 전체 렌즈시스템 이동수단은 전·후방렌즈그룹을 이들 사이의 거리를 변경함이 없이 전체로서 광축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제공된다.
상대이동수단은 전·후방렌즈그룹을 상대적으로 이동시켜 이들 사이의 거리를 가변시키도록 제공된다. 광학줌렌즈시스템의 초점길이를 세팅하는 줌작동 수단과 초점맞춤 작동을 개시하는 초점작동수단이 또한 제공된다. 이 방법은 줌작동 수단에 의해 줌렌즈의 초점길이를 세팅하는 스텝, 초점작동수단에 의해 초점맞춤작동을 개시하는 스텝, 그리고 줌작동 수단에 의해 세팅된 적어도 하나의 초점길이에서 초점작동수단의 작동시 전체 렌즈시스템 이동수단과 상대이동수단 양자를 이동시킴으로써 촬영되는 피사체에 초점을 맞추는 스텝을 가진다.
본발명의 또 다른 일면에서, 줌렌즈 카메라를 위한 제어방법이 제공되는데, 이 카메라는 피사체쪽으로부터 순서적으로 배열된 적어도 전·후방렌즈그룹들을 가진 광학 줌렌즈 시스템으로 구비된다. 전체 렌즈시스템 이동수단은 전·후방렌즈그룹을 이들 사이의 거리를 변경함이 없이 전체로서 광축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제공된다.
전·후방렌즈그룹을 상대적으로 이동시켜 이들 사이의 거리를 가변시키는 상대이동수단과 광학줌렌즈시스템의 초점길이를 세팅하는 줌작동 수단이 제공된다.
이 방법은 줌작동수단이 작동될 때 광학줌렌즈시스템의 광축방향으로 광학줌렌즈시스템의 초점이 가변하도록 적어도 전체 렌즈시스템 이동수단을 이동시키는 스텝, 그리고 촬영될 피사체에 초점을 맞추도록 줌작동수단에 의해 세팅된 적어도 하나의 초점길이에서 전체 렌즈시스템 이동수단과 상대 이동수단 양자를 이동시키는 스텝을 가진다.
본발명의 또 다른 일면에서, 줌렌즈 카메라를 위한 제어방법이 제공되는데, 이 카메라는 피사체쪽으로부터 순서적으로 배열된 볼록 전방렌즈그룹과 오목 후방렌즈그룹들을 가진다. 전체 렌즈시스템 이동수단은 전·후방렌즈그룹을 이들 사이의 거리를 변경함이 없이 전체로서 광축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제공된다.
상대이동수단은 전·후방렌즈그룹을 상대적으로 이동시켜 이들 사이의 거리를 가변시키도록 제공된다. 전·후방렌즈그룹으로 이루어진 광학줌렌즈시스템의 초점길이를 세팅하는 줌작동 수단과, 그리고 초점맞춤 작동을 개시하는 초점작동수단이 제공된다.
이 방법은 줌작동 수단에 의해 줌렌즈의 초점길이를 세팅하는 스텝, 초점작동수단에 의해 초점맞춤작동을 개시하는 스텝, 그리고 줌작동 수단에 의해 세팅된 적어도 하나의 초점길이에서 초점작동수단의 작동시 전체 렌즈시스템 이동수단과 상대이동수단 양자를 이동시킴으로써 촬영되는 피사체에 초점을 맞추는 스텝을 가진다.
본발명의 또 다른 일면에서, 줌렌즈 카메라를 위한 제어방법이 제공되는데, 이 카메라는 피사체쪽으로부터 순서적으로 배열된 볼록 전방렌즈그룹과 오목 후방렌즈그룹들을 가진다. 전체 렌즈시스템 이동수단은 전·후방렌즈그룹을 이들 사이의 거리를 변경함이 없이 전체로서 광축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제공된다.
전·후방렌즈그룹을 상대적으로 이동시켜 이들 사이의 거리를 가변시키는 상대이동수단과, 그리고 전·후방렌즈그룹으로 이루어진 광학줌렌즈시스템의 초점길이를 세팅하는 줌작동 수단이 또한 제공된다. 이 방법은 줌작동 수단이 작동될 때 광학 줌렌즈 시스템의 광축방향으로 광학줌렌즈 시스템의 초점이 가변하도록 적어도 전체 렌즈시스템 이동수단을 이동시키는 스텝, 그리고 촬영될 피사체에 초점을맞추도록 줌작동수단에 의해 세팅된 적어도 하나의 초점길이에서 전체렌즈 시스템 이동수단과 상대이동수단 양자를 이동시키는 스텝을 가진다.
본발명의 또다른 일면에서 줌렌즈 카메라는 광축방향으로 순서적으로 적어도 이동가능한 전·후방렌즈그룹들을 가진 렌즈시스템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제공되어 있다.
전체 유니트 이동수단은 전·후방렌즈그룹들을 전체로서 이동시키도록 제공된다.
상대이동수단은 전·후방렌즈그룹 사이의 거리를 가변시키도록 제공된다.
렌즈시스템을 사용하여 초점길이를 세팅하는 줌작용수단과, 그리고 초점맞춤작동을 개시하는 초점작동시간이 또한 제공된다. 초점맞춤은 다음의 3개의 모드들중 어느것에 의해 실행된다:
줌작동 수단에 의해 세팅된 초점길이 범위의 일부분에서 상대이동수단을 구동함없이 전체 이동수단을 단지 구동함에 의해 초점맞춤을 실행하는 제1모드;
제1모드에 사용된 일부분 이외의 초점길이 범위의 또 하나의 부분에서, 전체 유니트 이동수단과 상대 이동수단 양자를 구동함으로써 초점맞춤을 실행하는 제2모드; 그리고 제1 및 제2모드에 사용된 부분들 이외의 초점길이범위의 임의의 부분에서 전체 유니트 이동수단을 구동함없이 상대 이동수단을 단지 구동함으로써 초점맞춤을 실행하는 제3 모드.
초점맞춤작동이 3개의 모드를 통하여 실행되면, 초점맞춤전의 렌즈위치가 자유롭게 제어될수 있고, 또한 쉽게 제어될수 있다.
제2모드에 따라, 이것은 후방렌즈그룹의 절대 위치가 카메라 몸체에 대하여 변하지 않도록 수행될수 있다.
제1, 제2 및 제3 모드는 적어도 "광각" 쪽 위치, "망원" 쪽 위치, 또는 "광각" 쪽 및 "망원" 쪽이 아닌 중간 초점길이위치에서 줌작동수단을 통하여 초점길이가 세팅될 때 각각 실행될수 있다.
줌 작동수단은 복수의 초점길이 스테이지가 점진적으로 가변함에 따라 "광각"에서 "망원" 까지의 초점길이를 세팅한다.
본발명의 또 다른 일면에서, 적어도 이동가능한 전·후방렌즈그룹들을 가진 줌렌즈 카메라는 전·후방렌즈그룹들을 전체로서 광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전체 유니트 이동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제공된다. 후방렌즈그룹 이동수단은 전방렌즈그룹쪽으로 또는 그것으로부터 멀리 후방렌즈그룹을 이동시키도록 또한 제공된다.
렌즈위치검출수단은 전방렌즈그룹을 기준으로서 이용하여, 전·후방렌즈그룹의 위치를 검출하는데 제공된다. 렌즈위치검출수단을 통하여 검출된 렌즈위치를 저장하는 저장수단과, 그리고 전체 유니트 이동수단과 후방렌즈그룹 이동수단을 구동하여 전·후방렌즈그룹을 이동시키는 제어수단이 또한 제공된다.
노출작동전에 제어수단은 렌즈위치검출수단을 경유하여 저장수단에 의해 저장되는 전·후방렌즈그룹들의 위치들을 검출하도록 전체 유니트 이동수단을 구동시킨다.
P2837
본발명의 또다른 일면에서, 적어도 이동가능한 전·후방렌즈그룹들을 가진줌렌즈 카메라는 전·후방렌즈그룹들을 전체로서 광축방향에서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전체 유니트 이동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제공된다. 전·후방렌즈그룹들을 서로를 향하여 또는 서로로부터 멀리 이동시키는 상대이동수단과, 그리고 줌밍 작동시 전체 유니트 이동수단을 구동시키고 초점조절작동시 전체유니트 이동수단과 상대 이동수단을 구동시키는 제어수단이 또한 제공된다. 제어수단이 초점조절작동시 전체 유니트 이동수단과 상대이동수단 양자를 동시적으로 구동시킴으로써 초점조절작동을 실행한다.
P2838
본발명의 또다른 일면에서, 적어도 이동가능한 전·후방렌즈그룹들을 가진 줌렌즈 카메라는 줌밍작동시 전·후방렌즈그룹들을 전체로서 이동시키는 렌즈이동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제공되는데, 상기 렌즈이동수단은 초점조절작동시 전·후방렌즈그룹들을 독립적으로 또한 이동시킨다. 상기 렌즈이동수단은 초점조절작동시 전·후방렌즈그룹들이 이동하는데 필요되는 양에 따라 상이한 속도에서 전·후방렌즈그룹들을 독립적으로 이동시킨다.
P2841
본발명의 또다른 일면에서, 적어도 이동가능한 전·후방렌즈그룹들을 가진 줌렌즈 카메라는 줌밍작동시 전·후방렌즈그룹들을 전체로서 이동시키고 초점조절작동시 서로를 향하여 또는 서로로부터 멀리 전·후방렌즈그룹들을 이동시키는 렌즈 이동수단으로 구비된다. 전·후방렌즈그룹들이 줌밍작동시 전체로서 이동되면, 그 이동후의 위치에 따라 렌즈이동수단은 후방렌즈그룹을 전방렌즈그룹에 대하여소정된 위치로 상대적으로 이동시킨다.
P2843
본발명의 또다른 일면에서, 적어도 이동가능한 전·후방렌즈그룹들을 가진 줌렌즈 카메라는 전·후방렌즈그룹들을 전체로서 광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전체 유니트 이동수단을 가진 것으로 제공된다. 후방렌즈그룹을 전방렌즈그룹쪽으로 또는 그것으로부터 멀리 이동시키는 후방렌즈그룹 이동수단과, 그리고 적어도 전·후방렌즈그룹이 전체 유니트 이동수단에 의해 이동되기전 또는 이동된후 후방렌즈그룹 이동수단을 구동시켜 후방렌즈그룹을 초기위치로 이동시키는 제어수단이 또한 제공된다.
P2814
본발명의 또다른 일면에서, 적어도 이동가능한 전·후방렌즈그룹들을 가진 줌렌즈 카메라는 줌밍 작동시 전·후방렌즈그룹들을 전체로서 이동시키고 초점조절작동시 서로를 향하여 또는 서로로부터 멀리 전·후방렌즈그룹들을 이동시키는 렌즈 이동수단을 가진 것으로 제공된다. 해제작동시 전·후방렌즈그룹을 서로를 향하여 또는 서로로부터 멀리 렌즈이동수단은 이동시키고, 해제작동의 완료후 전·후방렌즈그룹들은 이동하여 전·후방렌즈그룹들이 해제작동에 앞서 있게 되는 위치로 복귀된다.
본발명의 또다른 일면에서, 전·후방렌즈그룹들을 가진 줌렌즈 카메라가 제공된다.
줌작동시 전·후방렌즈그룹들은 이들 사이의 거리를 가변시킴없이 이동되고,해제작동시 후방렌즈그룹은 전방렌즈그룹으로부터 멀리 이동되며, 해제작동의 완료후 후방렌즈그룹은 전방렌즈그룹쪽으로 이동되어 후방렌즈그룹이 해제작동에 앞서 있게되는 위치로 복귀된다.
P2845
본발명의 또다른 일면에서, 적어도 이동가능한 전·후방렌즈그룹들을 가진 줌렌즈 카메라는 전·후방렌즈그룹들을 광축 방향으로 전체로서 이동시키는 전체 유니트 이동수단을 가진 것으로 제공된다. 전·후방렌즈그룹들을 서로를 향하여 또는 서로로부터 멀리 이동시키는 상대이동수단과 그리고 제어수단이 또한 제공된다.
줌밍작동시 전체 유니트 이동수단은 제어수단에 의해 구동되고, 그리고 초점조절시 상대이동수단을 전·후방렌즈그룹들을 소정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제어수단에 의해 구동되며,
상기 제어수단은 전·후방렌즈그룹들을 초점맞춤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상대이동수단을 또한 구동시킨다. 전·후방렌즈그룹들을 초점조절위치로 이동된후, 제어수단은 전체 유니트 이동수단과 상대 이동수단을 역방향으로 구동시켜 전·후방렌즈그룹이 이동되기전에 있었던 위치로 전·후방렌즈그룹들을 이동시킨다.
P2839
본발명의 또다른 일면에서, 적어도 이동가능한 전·후방렌즈그룹들을 가진 줌렌즈 카메라는 전·후방렌즈그룹들을 광축방향으로 전체로서 이동시키는 전체 유니트 이동수단을 가진 것으로 제공된다. 후방렌즈그룹수단은 전방렌즈그룹으로부터 멀리 또는 그 쪽으로 후방렌즈그룹을 이동시키도록 제공된다.
렌즈위치검출수단은 전방렌즈그룹을 기준으로서 사용하여 전·후방렌즈그룹의 위치를 검출하는데 제공된다. 렌즈위치검출수단을 통하여 검출된 렌즈위치들을 저장하는 저장수단과, 그리고 전·후방렌즈그룹들을 이동시키도록 전체 유니트 이동수단과 후방렌즈그룹 이동수단을 구동시키는 제어수단이 또한 제공된다.
노출작동전에 제어수단은 전체 유니트 이동수단을 구동시켜 전·후방렌즈그룹들의 위치들을 렌즈위치검출수단을 통하여 검출하여 저장수단에 의해 그 위치들을 저장한다.
P2842
본발명의 또다른 일면에서, 적어도 이동가능한 전·후방렌즈그룹들을 가진 줌렌즈 카메라는 전·후방렌즈그룹들을 광축방향으로 전체로서 이동시키는 전체 유니트 이동수단을 가진 것으로 제공된다. 전방렌즈그룹을 기준으로서 사용함으로써 전·후방렌즈그룹들의 위치들을 전·후방렌즈그룹들이 이동하는 방향을 따라 번갈아 위치된 검출부분과 비검출부분으로 이루어지는 검출수단을 통하여 검출하는 렌즈위치검출수단과, 그리고 전체 유니트 이동수단을 구동시키는 제어수단이 또한 제공된다.
전체 유니트 이동수단이 정지되면, 제어수단은 일차로 소정 방향으로 전체 유니트 이동수단을 구동시키고, 이차로 렌즈위치검출수단이 렌즈위치를 검출한후 전체 유니트 이동수단을 구동시키고, 그리고 마지막으로 전체 유니트 이동수단을 정지시킨다.
제어수단은 전체 유니트 이동수단이 구동되면 먼저 검출부분의 방향으로 전체 유니트 이동수단을 구동시켜, 렌즈위치검출수단을 통하여 렌즈위치들을 검출한다.
P2844
본발명의 또다른 일면에서, 광축방향에서 전·후 방향으로 이동할수 있는 렌즈그룹들을 가진 줌렌즈 카메라는 렌즈그룹들을 이동시키는 렌즈이동수단과 그리고 렌즈그룹들이 제1방향으로 구동되려고 할 때, 일차로 제1방향에 역방향으로 그리고 2차로 역방향으로 구동시키는 제어수단을 가진 것으로 제공된다.
P2855
본발명의 또다른 일면에서, 적어도 이동가능한 전·후방렌즈그룹들을 전체로서 광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전체 유니트 이동수단을 가진 것으로 제공된다.
후방렌즈그룹들을 전방렌즈그룹쪽으로 또는 그로부터 멀리 이동시키는 후방렌즈그룹 이동수단과, 그리고 초점조절작동시 전·후방렌즈그룹들을 소정위치 전방으로 이동시키도록 전체 유니트 이동수단을 구동시키고 전방렌즈그룹으로부터 멀리 후방으로 후방렌즈그룹을 이동시키도록 후방렌즈그룹 이동수단을 또한 구동시키는 제어수단이 또한 제공된다. 전·후방렌즈그룹들이 소정위치보다 더 안쪽의 카메라 몸체내로의 위치에 위치되어 있으면, 제어수단은 일차로 전·후방렌즈그룹들을 앞쪽으로 이동시키도록 전체 유니트 이동수단을 구동시키고 이차로 후방렌즈그룹을 후방으로 이동시키도록 후방렌즈그룹 이동수단을 구동시킨다.
P2825
본발명의 또다른 일면에서, 적어도 이동가능한 전·후방렌즈그룹들을 가진줌렌즈 카메라는 전·후방렌즈그룹들을 전체로서 광축방향에서 전·후로 이동시키는 전체 유니트 이동수단을 가진 것으로 제공된다. 전·후방렌즈그룹들을 서로를 향하여 또는 서로로 부터 멀리 이동시키는 상대이동수단은 또한 제공된다.
줌파인더, 전체 유니트 이동수단과 동시적으로 줌파인더의 배율을 가변시키는 파인더 연동수단, 그리고 초점조절작동시 전체 유니트 이동수단과 상대이동수단을 구동시켜 초점맞춤되도록 하는 제어수단이 또한 제공된다. 초점조절작동시 제어수단을 통하여 전체 유니트 이동수단이 구동되는 양은 파인더 연동수단을 통하여 줌파인더의 배율을 가변시키지 않을 만큼의 양이다.
P2850
본발명의 또다른 일면에서, 적어도 이동가능한 전·후방렌즈그룹들을 가진 줌렌즈 카메라는 전·후방렌즈그룹들을 전체로서 광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전체 유니트 이동수단, 전체 유니트 이동수단과 동시적으로 가변가능한 배율을 가진 줌 파인더, 그리고 제어수단을 가진 것으로 제공된다.
줌밍작동시, 제어수단은 전체 유니트 이동수단을 구동시켜 전·후방렌즈그룹들을 이동시켜서 스텝들에 세팅되어 있는 복수의 스탠드바이 위치들중 하나의 위치에서 정지하도록 한다. 초점조절작동시 제어수단은 전·후방렌즈그룹들을 초점맞춤위치로 이동시키도록 소정된 양만큼 전체 유니트 이동수단을 일차로 구동시키고, 그리고 전·후방렌즈그룹들을 스탠드바이 위치로 복귀시키도록 전체 유니트 이동수단을 이차로 구동시킨다. 전체 유니트 이동수단이 초점조절작동시 구동되는 만큼의 소정된 양은 줌파인더의 배율을 가변시키지 않을 만큼의 양이다.
본발명의 또다른 일면에서, 적어도 이동가능한 전·후방렌즈그룹들을 가진 줌렌즈 카메라는 전·후방렌즈그룹들을 전체로서 광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전체 유니트 이동수단을 가진 것으로 제공된다. 전·후방렌즈그룹들을 서로를 향하여 또는 서로로부터 멀리 이동시키는 상대이동수단, 전체 유니트 이동수단과 동시적으로 가변가능한 배율을 가진 줌파인더, 그리고 제어수단이 또한 제공된다.
줌밍작동시, 제어수단은 전체 유니트 이동수단을 구동시켜 전·후방렌즈그룹을 이동시켜서 스텝들에 세팅된 복수의 스탠드바이 위치들중 하나의 위치에서 정지하게 한다.
초점조절작동시, 제어수단은 일차로 소정양만큼 전체 유니트 이동수단을 구동시키고 그 다음 상대이동수단을 구동시켜서 전·후방렌즈그룹들을 초점맞춤위치로 이동시키고 그리고 이차로 전체 유니트 이동수단과 상대이동수단을 구동시켜서 전·후방렌즈그룹들을 스탠드바이 위치로 복귀시킨다. 초점조절작동시 전체 유니트 이동수단이 구동되는 만큼의 소정된 양은 줌파인더의 배율을 가변하지 않도록 하는 양이다.
도 1은 본발명의 줌렌즈 카메라의 초점 맞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카메라의 기계적 구조의 일예를 도시한 개략도 및 블록다이아그램,
도 2는 본발명의 초점맞춤 방법에 따른 줌렌즈시스템의 일예의 구조에 대한 개략도,
도 3은 본발명의 초점맞춤 방법에 따른 렌즈 이동제어의 일예에 대한 그래프,
도 4는 본발명의 초점맞춤 방법에 따른 렌즈 이동제어의 다른 일예에 대한 그래프,
도 5는 본발명의 초점맞춤 방법에 따른 렌즈 이동제어의 다른 일예에 대한 그래프,
도 6은 본발명의 초점맞춤 방법에 따른 렌즈 이동제어의 다른 일예에 대한 그래프,
도 7은 본발명의 초점맞춤 방법에 따른 렌즈 이동제어의 다른 일예에 대한 그래프,
도 8은 본발명에 따른 줌렌즈 배럴의 부분을 도시하는 확대개략사시도,
도 9는 다른 조건에서 도 8에 도시된 줌렌즈 배럴에 대한 개략사시도,
도 10은 본발명의 줌렌즈 배럴의 일부에 대한 확대전개사시도,
도 11은 본발명의 줌렌즈 배럴의 AF/AE 셔터유니트가 제1이동배럴에 장착되어 있는 상태를 예시한 개략사시도,
도 12는 본발명의 줌렌즈 배럴의 AF/AE 셔터유니트의 주요부분들을 예시하는 전개사시도,
도 13은 본발명의 줌렌즈 배럴의 제3이동배럴의 외형에 대한 개략사시도,
도 14는 본발명의 줌렌즈 배럴의 고정렌즈배럴블록의 정면도,
도 15는 상당히 신장된 상태에서 본발명의 줌렌즈 배럴의 상부부분을 도시한 단면도,
도 16은 격납된 상태에서 필수부분들을 예시하기 위해 본발명의 줌렌즈 배럴의 상부부분에 대한 단면도,
도 17은 최대로 신장된 상태에서 필수부분들을 예시하기 위해 본발명의 줌렌즈 배럴의 상부부분을 도시한 단면도,
도 18은 격납된 상태에서 본발명의 줌렌즈 배럴의 상부부분을 도시한 단면도,
도 19는 본발명의 줌렌즈 배럴의 전체 구조에 대한 전개사시도,
도 20은 본발명의 줌렌즈 배럴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시스템에 대한 블록 다이아그램,
도 21은 본발명의 줌렌즈 배럴이 "광각" 에 근접하여 위치될때의 상태와 그리고 해제버튼이 해제되기 전의 상태를 예시한 단면도,
도 22는 본발명의 줌렌즈 배럴이 "광각" 에 근접하여 위치될때의 상태와 그리고 해제버튼이 해제된 직후의 상태를 예시한 단면도,
도 23은 카메라 몸체의 방향으로의 외력이 제1이동배럴의 앞면에 형성되어 전체의 렌즈배럴유니트가 카메라 몸체내로 들어가서 후방렌즈 그룹이 필름(F)과 충돌할때의 상태를 예시하는 단면도,
도 24는 전방렌즈그룹과 후방렌즈그룹의 이동자취들을 예시하는 개략도,
도 25는 전방렌즈그룹에 대한 후방렌즈그룹의 이동을 예시하는 개략도,
도 26은 본발명에 따른 줌렌즈 카메라의 일실시예의 일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27은 도 26에 도시된 줌렌즈 카메라의 배면도,
도 28은 도 26에 도시된 줌렌즈 카메라의 평면도,
도 29는 본발명의 줌렌즈 카메라의 제어시스템의 주요부에 대한 블록다이아그램,
도 30은 줌코드판과 브러쉬의 구조와, 그리고 본발명의 줌렌즈 카메라의 렌즈위치를 검출하는 검출수단으로서 브러쉬와 접촉상태의 줌코드의 위치를 검출하는 구조에 대한 개략도,
도 31은 브러쉬와 접촉하는 상태의 줌코드를 전압으로서 검출하는 전자회로의 일예를 예시하는 개략도,
도 32는 브러쉬와의 접촉을 통하여 얻어진 전압을 코드로 변환하는 것을 예시한 테이블,
도 33은 스트로브의 전자회로의 일예를 예시한 개략도,
도 34는 본발명의 줌렌즈 카메라의 전방렌즈그룹과 후방렌즈그룹의 이동을 예시한 개략도,
도 35는 본발명의 줌렌즈 카메라의 노출시(즉 초점맞춤시) 전체유니트 구동모터와 후방렌즈 구동모터의 이동시퀀스를 예시하는 개략도,
도 36은 본발명의 줌렌즈 카메라의 렌즈복귀시 전체유니트 구동모터와 후방렌즈 구동모터의 이동시퀀스를 예시하는 개략도,
도 37은 본발명의 줌렌즈 배럴의 후방렌즈그룹의 주변구조에 대한 전개사시도,
도 38은 본발명의 후방렌즈그룹의 초기위치 검출장치의 일예의 주요부분에 대한 평면도,
도 39는 후방렌즈그룹이 초기위치에 있을때의 상태에서 본발명의 후방렌즈그룹의 초기위치검출장치에 대한 단면도,
도 40은 후방렌즈그룹이 초기위치에 있지 않을때의 상태에서 본발명의 후방렌즈그룹의 초기위치검출장치에 대한 단면도,
도 41은 본발명의 줌렌즈 카메라의 메인 프로세스에 대한 순서도,
도 42는 본발명의 줌렌즈 카메라의 리세팅 프로세스에 대한 순서도,
도 43은 본발명의 줌렌즈 카메라의 AF 렌즈 초기화 프로세스에 대한 순서도,
도 44 및 도 45는 본발명의 줌렌즈 카메라의 렌즈격납 프로세스에 대한 순서도,
도 46은 본발명의 줌렌즈 카메라의 렌즈신장 프로세스에 대한 순서도,
도 47은 본발명의 줌렌즈 카메라의 줌 "망원" 이동 프로세스에 대한 순서도,
도 48은 본발명의 줌렌즈 카메라의 줌 "광각" 이동 프로세스에 대한 순서도,
도 49는 본발명의 줌렌즈 카메라의 촬영 프로세스에 대한 순서도,
도 50은 본발명의 줌렌즈 카메라의 메인 충전 프로세스에 대한 순서도,
도 51은 본발명의 줌렌즈 카메라의 셔터초기화 프로세스에 대한 순서도,
도 52는 본발명의 줌렌즈 카메라의 줌 코드 입력 프로세스에 대한 순서도,
도 53은 본발명의 줌렌즈 카메라의 AF 펄스 확인 프로세스에 대한 순서도,
도 54는 본발명의 줌렌즈 카메라의 AF 복귀 프로세스에 대한 순서도,
도 55는 본발명의 줌렌즈 카메라의 배리어 폐쇄 프로세스에 대한 순서도,
도 56은 본발명의 줌렌즈 카메라의 배리어 개방 프로세스에 대한 순서도,
도 57은 본발명의 줌렌즈 카메라의 줌 구동 프로세스에 대한 순서도,
도 58은 본발명의 줌렌즈 카메라의 AF 2-스테이지 신장 프로세스에 대한 순서도,
도 59는 본발명의 줌렌즈 카메라의 줌 복귀 프로세스에 대한 순서도,
도 60은 본발명의 줌렌즈 카메라의 줌 복귀 프로세스와 줌 스탠드바이 확인 프로세스에 대한 순서도,
도 61은 본발명의 줌렌즈 카메라의 촬영 충전 프로세스에 대한 순서도,
도 62는 본발명의 줌렌즈 카메라의 초점맞춤 프로세스에 대한 순서도,
도 63, 도 64, 도 65는 본발명의 줌렌즈 카메라의 노출 프로세스에 대한 순서도,
도 66은 본발명의 줌렌즈 카메라의 렌즈복귀 프로세스에 대한 순서도,
도 67은 본발명의 줌렌즈 카메라의 렌즈 구동작업 프로세스에 대한 순서도,
도 68은 본발명의 줌렌즈 카메라의 테스트기능 프로세스에 대한 순서도,
도 69는 본발명의 줌렌즈 카메라의 AF 펄스 카운팅 프로세스에 대한 순서도,
도 70은 본발명의 줌렌즈 카메라의 줌 구동체크 프로세스에 대한 순서도,
도 71은 본발명의 줌렌즈 카메라의 AF 구동 프로세스에 대한 순서도,
도 72는 본발명의 줌렌즈 카메라의 줌 펄스 카운팅 프로세스에 대한 순서도,
도 72는 본발명의 줌렌즈 카메라의 AF 구동 체크 프로세스에 대한 순서도,
도 74는 본발명의 줌렌즈 배럴의 일부에 대한 개략사시도,
도 75는 도 74에 도시된 부분에 대한 정면도,
도 76은 도 75의 상태와 상이한 상태에서 도 74에 도시된 부분에 대한 정면도,
도 77은 촬영 상태에서 전환캠의 위치에 대한 평면도,
도 78은 격납된 상태에서 전환캠의 위치에 대한 평면도,
도 79는 본발명의 줌렌즈 배럴의 일부에 대한 확대 전개사시도,
도 80은 전환캠, 회전전환부재 및 행성기어에 대한 확대사시도,
도 81은 도 80에 도시된 상태와 상이한 상태에서 전환캠, 회전전환부재 및 행성기어에 대한 확대사시도,
도 82는 도 80 및 도 81에 도시된 상태와 상이한 상태에서 전환캠, 회전전환부재 및 행성기어에 대한 확대사시도,
도 83은 촬영 상태에서 AF/AE 셔터유니트와 선형가이드부재의 외형을 예시한 개략사시도,
도 84는 격납된 상태에서 AF/AE 셔터유니트와 선형가이드부재의 외형을 예시한 개략사시도,
도 85는 도 83에 도시된 AF/AE 셔터유니트의 외형을 예시하는 개략사시도,
도 86은 도 84에 도시된 AF/AE 셔터유니트의 외형을 예시하는 개략사시도,
도 87은 본발명의 줌렌즈 배럴의 상부부분을 도시하여 렌즈배럴장치의 주요 부분을 예시하는 단면도,
도 88은 본발명의 줌렌즈 배럴의 렌즈배럴장치에 대한 전개사시도,
도 89는 본발명의 렌즈배럴장치를 도시하여 주 배럴 블레이드가 폐쇄상태로부터 개방되도록 구동되는 동안의 가압된 개구단면을 예시하는 정면도,
도 90은 본발명의 렌즈배럴장치를 도시하여 주 배럴 블레이드가 폐쇄상태로부터 개방되도록 구동되는 동안의 가압된 개구단면을 예시하는 정면도,
도 91은 본발명의 렌즈배럴장치를 도시하여 주 배럴 블레이드가 개방상태로부터 폐쇄되도록 구동되는 동안의 가압된 개구단면을 예시하는 정면도,
도 92는 본발명의 렌즈배럴장치를 도시하여 주 배럴 블레이드가 개방상태로부터 개방되도록 구동되는 동안의 가압된 개구단면을 예시하는 정면도,
도 93은 제1 이동배럴의 앞면에 제공된 렌즈배럴장치의 평면도,
도 94는 본발명의 줌 파인더로 구비된 줌렌즈 카메라에 대한 개략도로서, 전체 유니트 구동모터에서 전·후방 렌즈그룹까지의 전달장치, 줌파인더 광학시스템및 전달장치의 백래쉬에 대한 전체구조를 예시한 개략도,
도 95는 줌 렌즈 배럴의 고정부분에 대한 정면도로서, 본발명의 줌렌즈 카메라의 줌렌즈 구동장치와 줌파인더 구동장치의 연동 구조를 예시하는 정면도,
도 95a는 본발명과 결합하여 사용될수 있는 파인더 광학시스템의 사시도,
도 96은 줌렌즈 구동장치와 줌파인더 구동장치사이의 지연구동(즉 백래쉬)을 야기하도록 지연 연동 기능을 가진 2중 기어에 대한 전개사시도,
도 97은 도 96의 2중 기어에 있는 큰 피구동 기어를 도 96의 반대쪽에서 투시하여 도시한 개략사시도,
도 98은 도 96의 2중 기어의 축에 대한 단면도,
도 99는 도 96의 2중 기어에 대한 단면도,
도 100은 본발명의 줌 파인더로 구비된 줌렌즈 카메라에 대한 개략도로서, 전체 유니트 구동모터에서 전·후방 렌즈그룹까지의 전달장치, 줌파인더 광학시스템 및 전달장치의 백래쉬에 대한 전체구조를 예시한 개략도,
도 101은 본발명의 실시예에서 줌코드와 줌작동들 사이의 관계를 예시하는 전개도,
도 102는 본발명의 줌렌즈 카메라의 줌코드의 전체 구조를 예시하는 평면도, 그리고 도 103은 줌코드와 브러쉬 사이의 관계를 예시하는 확대단면도.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
본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발명에 따른 줌렌즈 카메라로 구성된 여러 요소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이 카메라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도 8 내지 도 103을 참조하여 이후에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이들이 유사 및/또는 동일 부분을 설명하고 있어도 도1에 사용된 참조번호는 다른 도면들에 사용된 것과 동일하지 않다.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줌렌즈 배럴(410)은 도 1에 도시된 부배율의 후방렌즈그룹(L2)과 정배율의 전방렌즈그룹(L1)으로 구비된다. 고정링(411)의 외주부상에는 구동링(412)이 회전적으로 지지되어 있고 그 내주부상에는 전방렌즈그룹(L1)을 지지하는 전방렌즈그룹 지지링(413)과, 그리고 후방렌즈그룹(L2)을 지지하는 후방렌즈그룹 지지링(414)들이 맞물려 있다. 고정링(411)상에는 선형안내홈(411a)이 줌렌즈 배럴(410)의 광축(OA)에 평행하게 형성되고, 그리고 전방렌즈그룹 지지링(413) 상에 제공된 방사상 핀(415)이 구동링(412)의 내주면상에 형성된 유도홈(412a)과 맞물림된다.
방사상핀(415)은 선형안내홈(411a)을 통하여 지나가서 유도홈(412a)과 맞물림한다.
구동링(412)의 외주부상에는 기어(417)가 전체 유니트 구동(전체 유니트 이동) 모터(418)의 기어(419)와 고정적으로 맞물림된다.
고정링(411)상에는 선형안내홈(411b)이 줌렌즈 배럴(410)의 광축에 평행하게 형성된다.
후방렌즈그룹 지지링(414)상에 제공된 방사상핀(420)은 선형안내홈(411b)과 맞물림한다.
전방렌즈그룹 지지링(413)상에는 후방렌즈그룹 구동(후방렌즈그룹 이동) 모터(421)와 그리고 후방렌즈그룹 구동모터(421)에 의해 회전적으로 구동되는 구동나사(422)가 제공된다. 구동나사(422)는 후방렌즈그룹 지지링(414) 상에 제공된 회전방지너트(423)와 맞물림된다.
상기 구조상의 배열에서 구동링(412)이 전체 유니트 구동모터(418)에 의해 회전적으로 구동될 때, 유도홈(412a)과 선형안내홈(411a) 사이의 관계에 따라, 전방렌즈그룹 지지링(413)(즉 전방렌즈그룹 L1)은 광축방향으로 이동한다.
후방렌즈그룹 지지링(414)(즉 후방렌즈그룹 L2)이 구동나사(422)와 너트(423)를 통하여 전방렌즈그룹 지지링(413)에 고정되기 때문에, 후방렌즈그룹 지지링(414)은 전방렌즈그룹 지지링(413)과 함께 광축방향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전체 유니트 구동모터(418)가 양 렌즈 그룹들을, 즉 전·후방렌즈그룹들을 전체로서 함께 이동시키는 것은 이해될수 있다.
한편, 구동나사(422)가 후방렌즈그룹 구동모터(421)에 의해 회전적으로 구동되면, 후방렌즈그룹 지지링(414)(즉 후방렌즈그룹 L2)은 전방렌즈그룹 지지링(413)(즉, 전방렌즈그룹 L1)에 상대적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후방렌즈그룹 구동모터(421)가 후방렌즈그룹(L2)과 전방렌즈그룹(L1) 사이의 거리를 가변시키는 모터인 것은 이해될수 있다.
전체 유니트 구동모터(418)와 후방렌즈그룹 구동모터(421)는 각각의 모터제어수단(425,426)에 의해 각각 제어되고 구동된다. 전체 유니트 구동모터(418)는 전체 유니트 구동모터(418)가 작동될 때 파인더의 시계가 가변하도록 줌파인더(427)에 또한 연결된다.
카메라의 본체에서 줌작동수단(431), 초점작동수단(432), 피사체 거리 측정 장치(433) 및 광측정수단(434)이 제공된다. 줌 작동수단(431)은 줌밍 명령, 즉 "광각" 위치로부터 "망원" 위치로 또는 그 역으로 이동시키는 명령들을 줌렌즈 배럴(410), 즉 전·후방렌즈그룹(L1, L2)에 제공한다. 줌작동수단(431)은 예를들면 모우먼테리 매카니컬 시스템에 따르는 스위치로 이루어진다. 초점작동수단(432)은 예를들면, 해제 버튼으로 이루어져 있다. 초점작동수단(432)이 절반누름(절반-스텝)으로 눌려지면, 피사체 거리측정 정보가 피사체 거리 측정 장치(433)에 입력되고, 광측정 정보가 광측정수단(434)에 입력된다. 초점작동수단(432)이 완전히 눌려지면(풀스텝), 초점맞춤작동이 개시되고, 전방렌즈그룹 지지링(413)에 장착된 셔터(436)는 셔터제어수단(435)을 경유하여 작동된다. 셔터(436)는 광측정수단(434)으로 부터의 광 측정정보출력에 따라 소정시간동안 셔터 블레이드(436a)를 개방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줌 렌즈 카메라에서 줌작동수단(431)이 작동되면, 전체 유니트 구동모터(418)는 적어도 모터제어수단(425)을 경유하여 구동되고, 전·후방렌즈그룹(L1, L2)은 전체로서 이동된다. 후방렌즈그룹 구동모터(421)는 모터제어수단(426)을 경유하여 또한 구동될수 있다. 상기 구조상의 배열을 가지고, 줌작동수단(431)에 의한 전·후방렌즈그룹(L1, L2)의 이동이 초점이 이동하지 않는다는 줌밍의 종래의 개념하에서 작동되지 않는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줌작동수단(431)이 작동되면, 다음의 2개의 모드가 이용가능하다.
즉;
1. 전·후방렌즈그룹(L1, L2)을 이들 사이의 거리를 가변시킴없이 단지 전체유니트 구동모터(418)를 구동시킴으로써 광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모드; 그리고
2. 전·후방렌즈그룹(L1, L2)을 이들 사이의 거리를 가변시키면서 전체 유니트 구동모터(418)와 후방렌즈 그룹구동모터(421) 양자를 구동시킴으로써 광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모드.
모드1에서, 줌밍작동시 피사체에 초점을 맞추는 것은 불가능하다. 하지만, 상이 촬영광학시스템을 통하여 관찰되지 않기 때문에 이것은 렌즈-셔터형 카메라에서 어떠한 문제점도 없고, 셔터가 해제될 때 단지 초점만 맞추어지기만 하면 된다.
모드2에서, 줌밍작동시, 전·후방렌즈그룹(L1, L2)들은 초점의 이동여부에 대한 고려 없이 이동되고 셔터가 해제될 때 초점맞춤(초점조절)은 전체 유니트 구동모터(418)와 후방렌즈그룹 구동모터(421) 양자를 이동시킴으로써 수행된다.
한편, 전체 유니트 구동모터(418)가 줌작동수단(431)에 의해 작동되면, 줌 파인더(427)는 구동되어 파인더의 시계가 세팅된 초점길이에 따라 변경되도록 한다.
특히, 세팅된 초점길이가 짧은 초점길이로부터 긴 초점길이로 변화함에 따라 파인더 시계(앵글)는 넓은 시계로부터 좁은 시계로 변화한다. 경로의 파인더 시계는 촬영상 크기에 상응한다. 이러한 종류의 줌 파인더는 잘 공지되어 있어 도시되지 않았다.
본발명에서 상기한 바와같이, 줌작동수단(431)이 초점길이를 세팅하도록 작동되면, 세팅된 초점길이에서 파인더시계(촬영상 부위)는 줌 파인더(427)를 통하여 관찰된다.
또한 초점작동수단(432)이 줌작동수단(431)에 의해 세팅된 초점길이범위의적어도 일부분에서 작동되면, 전체 유니트 구동모터(418)와 후방렌즈그룹 구동모터(421)는 구동되어 피사체 초점맞춤이 수행된다. 전체 유니트 구동모터(418)와 후방렌즈그룹 구동모터(421)에 의한 전·후방렌즈그룹(L1, L2)의 이동은 피사체 거리 측정 장치(433)로부터 제공된 피사체 거리정보를 사용할 뿐만아니라 줌작동수단(431)에 의해 세팅된 초점길이정보를 사용함으로써 결정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초점작동수단(432)이 전체 유니트 구동모터(418)와 후방렌즈그룹 구동모터(421) 양자를 이동시킴으로써 작동되면 렌즈들의 위치는 융통성 있게 제어할수 있는데, 즉 렌즈들의 위치는 융통성을 가진다.
이론상으로 줌작동수단(431)의 작동시, 파인더의 배율과 초점길이정보는 전체 유니트 구동모터(418) 또는 후방렌즈그룹 구동모터(421)를 구동함없이 단지 가변되고, 초점작동수단(432)이 작동될 때 전체 유니트 구동모터(418)와 후방렌즈그룹 구동모터(421) 양자는 피사체 거리 측정 장치(433)에 의해 얻어진 피사체 거리정보와 초점길이정보에 따라 동시적으로 이동되어 전·후방렌즈그룹(L1, L2)이 초점길이와 피사체 거리정보에 따라 결정된 위치들로 이동하도록 한다.
다음 설명이 전방렌즈그룹(L1), 후방렌즈그룹(L2) 및 그들의 이동에 대한 제어의 여러 예를 예시하고 있다.
테이블1은 전·후방렌즈그룹(L1, L2)들에 관한 렌즈데이타를 나타내고 도 2는 렌즈 그룹들의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렌즈데이타는 본발명에 따른 이안 그룹 타입의 줌렌즈에 적용가능한 광학시스템의 구체적인 예를 단지 나타낸다.
전방렌즈그룹(L1)은 5개의 렌즈 요소를 가진 4개의 렌즈그룹으로 이루어지고후방렌즈그룹(L2)은 2개의 렌즈요소를 가진 2개의 렌즈그룹으로 이루어져 있다.
다음의 테이블과 도면(도 3 내지 도 7)들에서, FNO 는 F의 수를, f는 초점길이를, ω는 시계의 이등분 각도를, fB는 뒤 초점거리를, ri 각각의 렌즈면의 곡률반경을, di는 렌즈들 사이의 거리 또는 렌즈의 두께를, n은 d-라인의 굴절률을, 및 ν는 Abbe의 수를 나타낸다.
테이블 1
FNO=1:3.9-10
F=39-102 (mm)
ω=28.4°-12.0°
fB =9.47-63.1 (mm)
* 회전상 대칭인 비구형 표면을 지적한다.
비구형 표면데이타:
K=0.0, A4=5.96223×10-5, A6=2.52645×10-7, A8=2.89629×10-9
회전상 대칭인 비구형 표면의 형상은 다음과 같이 표현될수 있다:
x=Ch2/{1+[1-(1+K)C2h2]1/2}+A4h4+A6h6+A8h8+A10h10+…
여기에서, h는 축선상의 높이를 나타내고,
X는 비구형 정점의 탄젠트 평면으로 부터의 거리를 나타내고,
C는 비구형 정점의(1/r)의 곡률을 나타내고,
K는 원뿔계수를 나타내고,
A4는 4차 비구형 인자를 나타내고,
A6은 6차 비구형 인자를 나타내고,
A8은 8차 비구형 인자를 나타내고,
A10은 10차 비구형 인자를 나타낸다.
줌밍에 관한 데이터는 테이블2에 나타나 있다.
테이블2에서, TL은 1차 표면에서 상표면까지의 거리를 나타내고, d1G-2G는 전·후방렌즈그룹(L1, L2) 사이의 거리를 나타낸다. TL 과 d1G-2G의 값은 무한대 거리에서 피사체에 대하여 초점이 맞는 상태를 유지하면서 줌밍할 때 제1 및 제2렌즈 그룹(L1, L2)의 절대위치들을 나타내고, 이 렌즈위치들은 종래의 줌 콤팩트 카메라에 있는 캠기구에 의해 실현된다. 특히, 줌 스위치에 의한 초점길이의 세팅시, 제1 및 제2렌즈그룹(L1, L2)은 세팅된 초점길이에 의해 판별되어 테이블2에 한정된 위치들로 이동한다.
하지만, 본발명의 줌렌즈 카메라에 따라, 줌작동수단(431)에 의한 초점길이의 세팅시, 제1 및 제2 렌즈그룹(L1, L2)은 테이블2에 한정된 위치로 이동하지 않는다.
테이블2에서 XA(f)는 전체 유니트 구동모터(418)에 의해 각각의 초점길이에서 제1 및 제2렌즈그룹(L1, L2)의 그 기준위치로부터 이동한 총이동 거리를 나타낸다.
기준위치(XA(f)=0)는 렌즈그룹들이 가장 짧은 초점길이(39mm)에서 위치되어 무한대에서 피사체에 초점을 맞출 때 렌즈그룹(L1, L2)의 위치들에 의해 한정된다.
테이블2에서, XB(f)는 후방렌즈그룹(L2)의 기준위치로부터 상대이동수단(421)에 의해 각각의 초점길이에서 제1렌즈그룹(L1)에 대한 제2렌즈그룹(L2)의 총 이동거리를 나타낸다. 기준위치(XB(f)=0)는 렌즈그룹(L1, L2)들이 가장 긴 초점길이(102mm)에서 위치되어 무한대에서 피사체에 초점을 맞출 때 제2렌즈그룹(L2)의 위치로서 한정된다.
이동거리(XA(f)와 XB(f))가 초점길이를 세팅함에 의해서만 주어지는 것이 아니라 초점작동수단(432)이 작동될때에도 주어진다는 것에 주의되어야 한다.
XA(f)와 XB(f)에서의 "0"은 기준위치를 나타낸 것이고, 모터(418,421)가 작동되기전의 렌즈그룹(L1, L2)의 스탠드바이 위치들을 언급하는 것이 아니라는 것에 주의되어야 한다.
환언하면, XA(f)와 XB(f)에서의 "0"은 초점작동수단이 작동될 때 모터(418, 421)가 구동되지 않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기계적으로 렌즈 그룹의 정확한 위치제어를 실현하기 위하여, 렌즈 그룹들이 테이블2에서 음값으로 표현되는 대기위치들(기준위치에서 대향방향으로 이동되는 위치들)에서 위치되고 대기위치에서 초점작동수단의 작동시 테이블2에 나타내어진 위치들로 이동되는 것은 바람직하다.
테이블 2
상기된 바와같이 본발명에 따른 줌렌즈 카메라에 있어서, 제1 및 제2렌즈 그룹(L1, L2)은 줌작동수단(431)과 초점작동수단(432)을 사용하여 모터(418, 421)를작동시킴으로써 검출된 피사체거리정보와 세팅된 초점길이정보에 의해 결정된 위치로 이동한다.
따라서, 스텝화된 초점길이정보와 스텝화된 피사체거리정보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렌즈위치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하고 그 저장된 렌즈위치 데이터에 따라 모터(418, 421)를 디지탈 적으로 제어함으로써 캠기구를 사용함없이 줌밍제어 및 초점맞춤제어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세팅된 초점길이정보와 검출된 피사체거리정보를 조합한 정보에 따라 모터(418, 421)를 제어하는 방법은 본발명의 범주내에 있지 않는 것이다.
다음의 설명은 모터(418, 421)(렌즈그룹L1, L2)를 제어하는 방법에 대한 5가지의 장점적인 예를 예시하고 있다. 본발명의 줌렌즈에 따라 이들 제어를 선택적으로 채용하는 것은 가능하다.
다음의 예들에서 XA는 전체 유니트 구동수단(전체 유니트 구동모터)에 의한 이동을 나타내고, XB는 상대구동수단(후방렌즈그룹구동모터)에 의한 이동을 나타내고, (f)는 초점길이의 함수를 나타내고, (u)는 피사체 거리의 함수를 나타내고, 그리고 △XA와 △XB 전체 유니트 구동수단과 상대이동구동수단에 의한 초점맞춤시의 이동을 각각 나타낸다.
즉, XAmax는 전체유니트 구동수단에 의한 줌밍 및 부가적인 초점맞춤시의 최대이동을 나타내고, XA(f)max는 전체 유니트 구동수단에 의한 줌밍시 최대이동을 나타내고, △XF(u)는 초점길이와 무관한 피사체 거리에만 근거로된 이동을 나타내고, XBmax는 상대구동수단에 의한 줌밍 및 부가적인 초점맞춤시 최대이동을 나타내고, 그리고 XB(f)max는 상대구동수단에 의한 줌밍시 최대이동을 나타낸다.
[예1]
도 3은 전·후방렌즈그룹(L1, L2)의 제1예이다.
도 3 내지 도 7에서 △XA와 △XB의 화살표의 길이는 XA와 XB의 화살표와 비교될 정도로 도시되어 있다.
본 예에서, 줌작동수단(431)에 의해 세팅된 전체초점길이범위 전역에 걸쳐 후방렌즈그룹의 상대이동(XB)과 전체이동(XA)은 다음 관계식에 의해 주어진다:
XA= XA(f)+△XF(u)
XB= XB(f)+△XF(u)
즉, XA와 XB는 초점길이와 어떠한 관계도 없이 유사한 양의 △XF(u)의 부가에 의해 한정된다. 상기양의 △XF(u)가 피사체거리(u)의 함수에 관해서 XA와 XB에 부가되면, 상표면으로부터의 후방렌즈그룹(L2)의 거리는 가변하지 않는다. 파단선(2점 쇄선)에 의해 표시된 후방렌즈그룹(L2)의 위치는 후방렌즈그룹 구동모터의 작동없는 위치를 나타낸다.
본 예에서, 가장 짧은 피사체 거리가 u=700 mm이면, f=39 mm일 때 △XF(u)=1.17이고, 그리고 f가 증가함에 따라, △XF(u)의 값은 약간 증가하지만 f=102mm일 때 △XF(u)=1.25이고 그 증가량은 매우 작다. 초점깊이를 고려하면, 줌작동수단(431)으로부터의 초점길이정보와 무관하게 피사체 거리정보에 의해서만 렌즈의 이동(즉 소정위치로의 렌즈의 이동)을 제어하는 것은 가능하다.
본 예에서, 다음의 관계식이 주어진다:
XAmax= XA(f)max+△XF(u)max
XBmax= XB(f)max+△XF(u)max
[예2]
도 4는 전·후방렌즈그룹(L1, L2)의 제2예를 도시하고 있다.
본예에서, 줌작동수단(431)에 의해 세팅된 짧은 초점길이 끝 주위에는 다음과 같은 관계식이 성립된다:
XA= XA(f)+△XA(u)
XB= XB(f)+0(즉, 피사체거리에 관하여, 후방렌즈그룹(L2)은 전방렌즈그룹(L1)에 관련하여 이동하지 않아야 한다)
다른 초점길이들에서, 다음의 관계식들이 성립된다:
XA= XA(f)+△XF(u)
XB= XB(f)+△XF(u)
본 예에서, 가장 짧은 피사체 거리가 u=700mm이면, f=39mm일 때 △XA(u)=1.72이다. 다른 초점길이에 관하여 △XF(u)값이 대략 다음과 같이 결정된다:
f=45mm일 때, △XF(u)=1.17이고;
f=70mm일 때, △XF(u)=1.20이고;
f=95mm일 때, △XF(u)=1.24이고; 그리고
f=102mm일 때, △XF(u)=1.25이다.
그러므로, 짧은 초점길이끝 주위가 아닌 다른 초점길이들에서 초점길이정보와 무관하게 피사체 거리정보만에 의해 렌즈의 위치를 제어하는 것은 가능하다.
본 예에서, 다음과 같은 관계식이 성립된다:
XAmax= XA(f)max+△XF(u)max
XBmax= XB(f)max
따라서, 후방렌즈그룹의 상대이동이 최소화될수 있다.
본 예에서 XB(f)max는 예1에 있는 XB(f)max 보다 작다.
[예3]
도 5는 전·후방렌즈그룹(L1, L2)의 제3예를 도시하고 있다.
본예에서, 줌 작동수단(431)에 의해 세팅된 긴 초점길이끝 주위에는 다음과 같은 관계식이 성립된다:
XA= XA(f)+0(즉, 피사체거리에 관하여, 전방렌즈그룹(L1)이 이동하지 않아야 한다)
XB= XB(f)+△XB(u)
다른 초점길이에서는 다음과 같은 관계식이 성립된다.
XA= XA(f)+△XF(u)
XB= XB(f)+△XF(u)
본 예에서, 가장 짧은 피사체 거리가 u=700mm이면, △XF(u)의 값은 다음과 같이 대략 결정된다:
f=39mm일 때, △XF(u)=1.17이고;
f=45mm일 때, △XF(u)=1.17이고;
f=70mm일 때, △XF(u)=1.20이고; 그리고
f=95mm일 때, △XF(u)=1.24이다.
하지만, f=102mm일 때, △XB(u)= 1.35이다.
그러므로, 긴초점 길이끝 주위가 아닌 다른 초점길이들에서 초점길이정보와 무관하게 피사체 거리정보만에 의해 렌즈의 위치를 제어하는 것은 가능하다.
본 예에서, 다음과 같은 관계식이 성립된다:
XAmax= XA(f)max
XBmax= XB(f)max+△XB(u)max
따라서, 전체 유니트 구동모터에 의한 전체이동이 최소화된다.
[예4]
도 6은 전·후방렌즈그룹(L1, L2)의 제4예를 도시하고 있다.
본예에서, 줌 작동수단(431)에 의해 세팅된 짧은 초점길이 끝 주위에는 다음과 같은 관계식이 성립된다:
XA= XA(f)+△XA(u)
XB= XB(f)+0(즉, 피사체 거리에 관하여, 후방렌즈그룹(L2)이 전방렌즈그룹(L1)에 관련하여 이동하지 않는다)
줌 작동수단(431)에 의해 세팅된 긴 초점길이 끝 주위에는 다음과 같은 관계식이 성립된다:
XA= XA(f)+0(즉, 피사체 거리에 관하여, 전방렌즈그룹(L1)이 이동하지 않아야 한다)
XB= XB(f)+△XB(u)
그리고 다른 초점길이에서는 다음과 같은 관계식이 성립된다.
XA= XA(f)+△XF(u)
XB= XB(f)+△XF(u)
본 예에서, 가장 짧은 피사체 거리가 u=700mm이면, 짧거나 긴 초점길이 끝들 주위가 아닌 렌즈의 위치가 다음과 같이 대략 결정된다:
f=39mm일 때, △XA(u)=1.72이고;
f=45mm일 때, △XF(u)=1.17이고;
f=70mm일 때, △XF(u)=1.20이고;
f=95mm일 때, △XF(u)=1.24이다; 그리고
f=102mm일 때, △XB(u)=1.35이다.
그러므로, 짧거나 긴 초점길이 끝들 주위가 아닌 다른 초점길이들에서 초점길이정보와 무관하게 피사체 거리정보만에 의해 렌즈의 위치를 제어하는 것은 가능하다.
본 예에서, 다음과 같은 관계식이 성립된다:
XAmax= XA(f)max
XBmax= XB(f)max
따라서, 양렌즈 그룹의 이동은 최소화되고 후방렌즈그룹의 상대이동도 또한 최소화된다.
[예5]
도 7은 전·후방렌즈그룹(L1, L2)의 제5예를 도시하고 있다.
본예에서, 줌 작동수단(431)에 의해 세팅된 짧은 초점길이 끝 주위에는 다음과 같은 관계식이 성립된다:
XA= XA(f)+△XA(u)
XB= XB(f)+0(즉, 피사체 거리에 관하여, 후방렌즈그룹(L2)이 전방렌즈그룹(L1)에 대항하여 이동하지 않아야 한다)
다른 초점길이들에서, 다음과 같은 관계식이 성립된다.
XA= XA(f)+0(즉, 피사체 거리에 관하여, 전방렌즈그룹(L1)이 이동하지 않아야 한다)
XB= XB(f)+△XB(f, u)
본 예에서, 가장 짧은 피사체 거리가 u=700 mm이면, 긴 초점길이 끝들 주위의 렌즈의 위치가 다음과 같이 대략 결정된다:
f=39mm일 때, △XA(u)=1.72이고;
f=45mm일 때, △XF(u)=1.90이고;
f=70mm일 때, △XF(u)=1.42이고;
f=95mm일 때, △XF(u)=1.35이다; 그리고
f=102mm일 때, △XB(u)=1.35이다.
그러므로, 짧은 초점길이 끝에서, 피사체 거리정보만에 의해 렌즈의 위치를 제어하는 것은 가능하고, 다른 초점길이에서 초점길이정보와 피사체 거리정보에 의해 렌즈의 위치를 제어하는 것은 가능하다.
본 예에서, 다음과 같은 관계식이 성립된다:
XAmax= XA(f)max
XBmax= XB(f)max
따라서, 양렌즈 그룹의 이동은 최소화되고 후방렌즈그룹의 상대이동도 또한 최소화된다.
그러나 렌즈들의 위치는 초점길이에 따라 다를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줌렌즈의 기계적 구조가 단순예로서 예시되어 있다.
여러 가지의 기계적 구조들이 실제적으로 만들어질수 있어, 본발명은 기계적 구조자체를 언급하지 않을 것이다.
상기된 바와같이, 본발명에 있는 줌렌즈 카메라를 초점맞춤하는 방법에 따라, 초점작동수단이 작동될 때, 초점맞춤은 전·후방렌즈그룹들을 전체로서 구동시키는 전체 유니트 구동수단과 그리고 전·후방렌즈그룹들 사이의 거리를 가변시키는 상대이동수단이 함께 이동되어 이에 의해 렌즈위치의 융통성 있는 제어가 용이하게 되는 방식으로 수행된다.
도 2 내지 도 7에 도시된 렌즈 구동방법 및 줌렌즈를 실현하기 위해,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가 도 8 내지 도 23을 참조하여 이제 설명될 것이다.
다음의 실시예들은 렌즈셔터 타입의 도 26에 도시된 바와같은 줌렌즈 카메라에 적용된다. 본 줌렌즈 카메라의 개념은 도 20을 참조하여 이제 설명될 것이다.
도 20은 본 줌렌즈카메라에 제공되어, 3개의 이동배럴, 즉 제1이동배럴(20), 제2 이동배럴(19) 및 제3이동배럴(16)을 가진 3-스테이지 딜리버리 타입의 줌렌즈배럴(10)을 도시하고 있다. 이안 그룹이 제공되는데, 즉 전방렌즈그룹(L1)은 정배율을 갖고 후방렌즈그룹(L2)은 부배율을 갖는다.
카메라의 본체에는 전체 유니트 구동모터제어수단(60), 후방렌즈그룹 구동모터 제어수단(61), 줌작동수단(62), 초점작동수단(63), 피사체 거리 측정 장치(64), 광측정시스템(65), AE(즉, 자동노출) 모터제어수단(66), 및 CPU(즉 중앙처리장치)(210)가 제공되어 있다.
CPU(210)는 상기 수단 또는 장치들을 제어한다.
피사체에서 카메라까지의 거리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데 사용되는 장치(64)의 특정초점맞춤 시스템이 본발명의 일부분을 형성하지 않지만, 이러한 적절한 시스템의 하나가 미국특허출원 제08/605,759(1996. 2. 22.)에 개시되어 있는데 이 특허출원의 내용이 여기에 참조로 기재되어 있다. 이러한 출원에 개시된 시스템들이 소위 "수동적인" 타입이어도 다른 공지된 자동초점 시스템들(예를들면 적외선과 삼각측량에 근거로된 능동적인 범위측정 시스템들)이 사용될수 있다. 유사하게 상기된 미국특허출원 제08/605,579호에 개시된 바와같은 광측정 시스템은 광측정 장치(65)로서 수행될 수 있다.
예를들면 카메라 몸체에 제공된 줌레버의 형태(즉 도 28에 도시된 바와같은 "광각" 줌버튼(62WB)과 "망원" 줌버튼(62TB))의 줌 작동수단(62)이 작동되면, CPU(210)는 전·후방렌즈그룹(L1, L2)을 초점길이와 초점에 관계없이 전·후방으로 이동시키도록 전체 유니트 구동 제어수단(60)에 명령을 출력한다.
다음 설명에서, 전체 유니트 구동모터 제어수단(60)(모터 25)에 의한렌즈(L1, L2)의 전·후방이동은 줌작동수단(62)이 "망원"과 "광각" 위치로 작동될 때 렌즈(L1, L2)의 전·후방이동이 발생되기 때문에 전방이동을 "망원" 그리고 후방이동을 "광각" 으로 각각 언급된다. 파인더(427: 도 1에서)의 시계의 상 배율은 가변하여 줌작동수단(62)의 작동을 통한 초점길이가 가변한다. 따라서, 촬영자는 파인더의 시계의 상배율의 가변을 관찰함으로써, 줌 작동수단(62)의 작동을 통한 세팅된 초점길이의 변화를 인식할수 있다. 또한, 줌작동수단(62)의 작동에 의해 세팅된 초점길이는 도 28에 도시된 바와같이, LCD(즉, 액정표시) 패널(224)에 지시된 값에 의해 나타내어질 수 있다.
초점작동수단(63)이 작동되면, CPU(210)는 전체 유니트 구동모터 제어수단(60)을 경유하여 구동되는 전체 유니트 구동모터(25)를 구동시키고, 후방렌즈그룹 구동모터 제어수단(61)을 경유하여 구동되는 후방렌즈그룹 구동모터(30)를 부가적으로 구동시켜, 전·후방렌즈그룹(L1, L2)이 세팅된 초점길이와 검출된 피사체거리에 따른 위치로 이동되고, 이에 의해 줌렌즈가 피사체에 초점맞춤된다.
특히 셔터릴리즈수단(63)은 해제버튼(217B)으로 구비된다.
광측정 스위치(SWS)와 릴리즈스위치(SWR)는 해제버튼(217B)과 동기화되어 있다.
해제버튼(217B)이 CPU(210)를 통하여, 절반 눌려지면(절반 스텝), 광측정 스위치(SWS)가 ON되고, 각각의 피사체 거리 측정 및 광측정 명령이 피사체 거리 측정 장치(64) 및 광측정장치(65)에 입력된다.
해제버튼(217B)이 완전히 눌려지면(풀스텝), CPU(210)는 릴리즈스위치(SWR)가 ON되도록 하고, 피사체 거리 측정 장치와 세팅된 초점길이의 결과에 따라 전체유니트 구동모터(25) 및 후방렌즈그룹 구동모터(30)가 구동되고, 전·후방렌즈그룹(L1, L2)들이 초점맞춤위치로 이동하는 초점맞춤프로세스가 실행된다. 또한 AE 모터제어수단(66)을 경유하여 AF/AE(즉, 자동초점/자동노출) 셔터유니트(21)의 AE 모터(29)(도 21 참조)가 구동되고, 셔터(27)가 작동된다. 셔터작동시, 광측정장치(65)로부터의 광측정정보출력의 입력에 따라, CPU(210)는 AE 모터(29)를 구동하여 특정시간동안 셔터(27)의 셔터블레이드(27a)를 개방한다. 본 실시예의 줌렌즈 카메라에서 셔터블레이드(27a)가 폐쇄된 직후, 후방렌즈그룹 구동모터(30)를 구동시킴으로써, 후방렌즈그룹(L2)은 그 초기위치로 전방으로 이동한다. 셔터릴리즈수단(63)은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CPU(210)에 의해 초점맞춤 프로세스를 실행하도록 전환수단을 포함하고 있다.
줌작동수단(62)이 작동되면, CPU(210)는 전체 유니트 구동모터(25)를 구동시켜, 전·후방 렌즈그룹(L1, L2)이 전체로서 함께 광축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한다.
이러한 이동과 동시적으로 후방렌즈그룹 구동모터(30)는 후방렌즈그룹 구동모터 제어수단(61)을 경유하여 또한 구동될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작동은 초점길이가 초점의 위치를 이동시킴없이 순차적으로 가변되는 줌밍의 종래 개념하에서 수행되지 않는다.
모터(29,30)는 동일하며, 그리고 정격전압(즉, 1.5V)에서 1.5g×cm의 최소의 토크를 가진 DC 모터로 구성되고; 모터(25)는 정격전압(즉 2.4V)에서 12.0g×cm의 최소의 토크를 가진 DC 모터로 구성된다.
모터(29,30)의 일예가 모터 코드 No. M-01166600 하에서 일본국의 산요세이미츠 가부시키가이샤에 의해 제조된 모터이고; 모터(25)의 일예가 모터 코드 No. M-01154200 하에서 일본국의 산요세이미츠 가부시키가이샤에 의해 제조된 모터이다.
상기 개념에 따른 줌렌즈 배럴의 실시예의 예가 도 18 및 도 19를 참조하여 이제 설명될 것이다.
본 발명에 있는 줌렌즈 배럴(10)의 전체 구조가 우선 설명될 것이다.
줌렌즈 배럴(10)은 제1, 제2, 제3 이동배럴(20, 19, 16)과, 그리고 고정렌즈 배럴블록(12)으로 구비된다. 제3이동배럴(16)은 고정렌즈배럴블록(12)의 원통형 부분과 결합되어 회전시 광축방향으로 이동한다. 제3이동배럴(16)은 그 내주부에 선형 안내배럴(17)로 구비되어 있어 회전적으로 규제를 받고 있다. 선형안내배럴(17)과 제3이동배럴(16)은 제3이동배럴(16)이 선형안내배럴(17)에 상대적으로 회전하면서 전체로서 함께 광축방향으로 이동한다. 제1이동배럴(20)은 회전이 규제받는 상태에서 광축방향으로 이동한다.
제2이동배럴(19)은 선형안내배럴(17)과 제1이동배럴(20)에 상대적으로 회전하면서 광축방향으로 이동한다. 전체 유니트 구동모터(25)는 고정렌즈배럴블록(12)에 고정된다.
AE 모터(29)와 후방렌즈그룹 구동모터(30)가 장착되어 있는 셔터 장착스테이지(40)는 제1이동배럴(20)에 고정된다. 전·후방렌즈그룹(L1, L2)들은 렌즈지지배럴(34)과 렌즈지지배럴(50)에 의해 각각 지지된다.
고정렌즈 배럴블록(12)의 내주부상에는 암형 나선체(12a), 광축(0)에 평행하게 형성된 복수의 선형 안내홈(12b)이 제공되어 있다. 노출될 필름의 일부를 한정하는 구멍(14a)을 가진 구멍판(14)이 도 18에 도시된 바와같이 제공된다.
고정렌즈 배럴블록(12)에는 방사상 방향으로 확장하여 광축방향으로 뻗어있는 기어하우징(12c)이 도 14에 도시된 바와같이 제공되어 있다.
기어하우징(12c)에는 광축방향으로 뻗어있는 구동피니언(15)이 회전적으로 유지되어 있다. 구동피니언(15)의 축(7)의 끝들은 고정렌즈배럴블록(12)에 제공된 지지중공부(4)와 그리고 기어 지지판(31)에 제공된 지지중공부(31a)에 의해 각각 회전적으로 지지된다. 구동피니언(15)의 톱니는 고정렌즈배럴블록(12)의 내주부내로 돌출하여 있다.
선형안내홈(12b)들중 하나의 바닥부 즉, 12b'에서 소정 패턴을 가진 코드판(13a)이 도 14에 도시된 바와같이 고정된다. 선형안내홈(12b')은 고정렌즈배럴블록(12)에 관하여 촬영평면의 대략 대각 위치에서 위치될수 있도록 제공된다. 코드판(13a)은 고정렌즈배럴블록의 전장을 따라(즉, 광축방향으로) 제공된다. 코드판(13a)은 고정렌즈배럴블록(12) 외측에 위치된 가요성의 인쇄배선회로기판의 부분이다.
가요성의 인쇄배선회로기판(13)상에는 광단속기(1)가 고정되어 있는데, 이 광단속기는 회전판(2)과 협력하여 전체 유니트 구동모터(25)의 회전을 검출하는 엔코더로 구성된다. 회전판(2)은 도 19에 도시된 바와같이 전체 유니트 구동모터(25)의 축에 고정된다.
제3이동배럴(16)의 내주부상에는 광축에 평행하게 형성된 복수의 선형안내홈(16c)이 제공된다. 제3이동배럴(16)의 후방끝의 외주부에는 고정렌즈배럴블록(12)의 암형나선체(12a)와 결합하는 숫형나선체(16a)와, 그리고 구동피니언(15)과 결합하는 외주기어(16b)가 도 13에 도시된 바와같이 제공된다. 구동피니언(15)은 광축방향으로 제3이동배럴(16)의 이동의 전 범위에 걸쳐서 외주기어(16b)와 결합할수 있기에 충분한 축선길이를 가진다.
선형안내배럴(17)은 그 외주부상의 후방부분에 후방끝 플랜지(17d)로 구비되어 있다.
후방끝 플랜지(17d)는 방사상 방향으로 광축선에서 멀리 돌출한 복수의 결합 돌출부(17c)를 가진다. 낙하 방지플랜지(17e)는 후방끝 플랜지(17d)의 바로 앞에 제공된다.
낙하 방지플랜지(17e)는 후방끝 플랜지(17d)의 보다 작은 반경을 가진다.
낙하 방지플랜지(17e)의 원주상 방향으로 복수의 노치(17f)가 형성되어 있다.
제3이동배럴(16)의 후방끝의 내주부에는 방사상 방향으로 광축을 향하여 돌출한 복수의 결합돌출부(16d)가 도 18에 도시된 바와같이 제공되어 있다.
결합돌출부(16d)를 노치(17f)내로 삽입함으로써, 결합 돌출부(16d)는 플랜지(17d, 17e) 사이에 위치되고 그리고 선형 안내배럴(17)의 상대회전에 의해, 결합돌출부(16d)는 선형안내배럴(17)과 결합한다. 선형안내배럴(17)의 후방 끝면에는 구멍(14a)과 대략 동일 형상인 구멍(23a)을 가진 구멍판(23)이 고정되어 있다.
고정 렌즈배럴블록(12)에 대하여 선형안내배럴(17)의 상대회전은 광축(0)에 평행하게 형성된 대응 선형안내홈(12b)과 복수의 결합돌출부(17c)와의 미끄럼 가능한 결합에 의해 규제를 받는다. 결합돌출부(17c)들중 하나, 즉 17c'(선형안내키이)는 접촉단자, 즉, 줌밍시 초점길이정보에 상응하는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선형안내홈(12b')의 바닥에 코드판(13a)과 미끄럼 가능한 접촉상태로 고정되어 있는 브러쉬(9)에 고정된다.
결합돌출부(17c')는 촬영평면에 대략 대각으로 위치되어 있다.
접촉단자(9)는 고정부분(9b)에 대략 수직이고 코드판(13a)과 미끄럼 가능하게 접촉상태에 있는 한쌍의 브러쉬(전기아마추어)(9a), 그리고 한쌍의 위치결정구멍(9b)으로 구비되어 있다(도 103 참조). 한쌍의 브러쉬(9a)는 고정부분(9b)을 경유하여 서로에 전기적으로 연속하여 있다.
도 30에 예시된 바와같이, 코드판(13a)상에는 4-타입의 전극패턴(ZC0, ZC1, ZC2 및 ZC3)이 코드판(13a)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정렬되어 제공되어 있다.
전극패턴(ZC0, ZC1, ZC2 및 ZC3)은 조합적으로 소정 패턴을 형성하여, 한쌍의 브러쉬(9a)가 미끄럼 위치에 상응하여 앞서 표시된 전극패턴(ZC0, ZC1, ZC2 및 ZC3)을 통하여 접촉하도록 코드판(13a)의 길이방향을 따라 미끄럼할 때 소정신호(즉, 전압)이 출력될수 있도록 한다.
선형안내배럴(17)의 내주부에는 복수의 선형안내홈(17a)이 광축(0)에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유도홈(17b)은 선형안내배럴(17)상에 형성되어 성형안내배럴(17)의 주위벽을 관통하여 뻗어 있다. 유도홈(17b)은 광축에 비스듬하게(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제2이동배럴(19)은 선형 안내배럴(17)의 내주부와 결합한다.
제2이동배럴(19)의 내주부에는 복수의 유도홈(19c)이 유도홈(17b)에 마주하여 경사진 방향으로 제공되어 있다. 제2이동배럴(19)의 후방끝의 외주부에는 방사상 방향으로 광축으로부터 멀리 돌출한 사다리꼴 단면 형상을 가진 복수의 종동자 돌출부(19a)가 제공되어 있다. 종동자핀(18)은 종동자 돌출부(19a)에 위치된다.
각각의 종동자핀(18)은 링부재(18a)와, 그리고 종동자 돌출부(19a)에 있는 링부재(18a)를 지지하는 중앙고정나사(18b)로 이루어져 있다.
종동자 돌출부(19a)는 선형안내배럴(17)의 유도홈(17b)과 미끄럼 가능한 결합상태로 있고, 종동자 핀(18)은 제3이동 배럴(16)의 선형안내홈(16c)과 미끄럼 가능한 결합상태로 있다. 이러한 배열을 가지고, 제3이동배럴(16)이 회전하면, 제2이동배럴(19)은 회전시 광축방향으로 선형적으로 이동한다.
제2이동배럴(19)의 내주부에는 제1이동배럴(20)이 결합되어 있다.
제1이동배럴(20)에는 그 후방외주부에 제공된 복수의 종동자핀(24)이 대응하는 내부 유도홈(19c)과 결합되어 있고, 동시에 제1이동배럴(20)이 선형안내부재(22)에 의해 선형적으로 안내된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같이, 선형안내부재(22)는 환형부재(22a), 광축방향으로 환형부재(22a)로부터 돌출한 한쌍의 안내레그(22b), 그리고 방사상 방향으로 광축으로부터 멀리 환형부재(22a)로부터 돌출한 복수의 결합돌출부(28)로 구비되어 있다. 결합돌출부(28)는 선형안내홈(17a)과 미끄럼 가능하게 결합한다.
안내레그(22b)는 제1이동배럴(20)의 내주면과 AF/AE 셔터 유니트(21) 사이에 삽입된다.
선형안내부재(22)의 환형부재(22a)는 제2이동배럴(19)의 후방에 연결되어 선형안내부재(22)와 제2이동배럴이 광축방향을 따라 전체로서 이동할수 있도록하고 또한 광축주위로 상대회전할수 있도록 한다. 선형안내부재(22)의 후방의 외주부에는 후방끝 플랜지(22d)가 방사상 방향으로 광축으로부터 멀리 돌출한 복수의 결합돌출부(28b)를 가진 것으로 제공된다. 후방끝 플랜지(22d) 앞면에는 후방끝 플랜지(22d)보다 작은 반경을 가진 낙하방지 플랜지(22c)가 제공되어 있다. 낙하 방지플랜지(22c)의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의 노치(22e)가 도 8에 도시된 바와같이 형성되어 있다.
제2이동배럴(19)의 후방의 내주부에는 방사상 방향으로 광축을 향하여 돌출한 복수의 결합돌출부(19b)가 도 18에 도시된 바와같이 제공되어 있고, 그리고 결합돌출부(19b)를 노치(22e)내로 삽입함으로써, 결합돌출부(19b)는 플랜지(22c, 22d)들 사이에 위치되고 선형안내부재(22)의 상대회전에 의해 이들은 선형안내부재(22)와 결합된다.
상기 구조를 가지고, 제2이동배럴(19)이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제1이동배럴(20)은 광축방향에서 전,후로 선형적으로 이동하지만 회전에 대해서는 규제를 받는다.
제1이동배럴(20)의 앞면에는 배리어블레이드(48a, 48b)를 가진배리어장치(35)가 장착되어 있고, 제1이동배럴(20)의 내주면에는 3개의 셔터 블레이드(27a)로 이루어진 셔터(27)를 가진 AF/AE 셔터유니트(21)가 도 12에 도시된 바와같이 결합되어 고정되어 있다.
AF/AE 셔터유니트(21)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같이 셔터장착 스테이지(40)의 외주부상에 일정각도 간격에서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고정중공부(40a)로 구비되어 있다.
복수의 종동자 핀(24)은 AF/AE 셔터유니트(21)용 고정수단으로서 작용한다.
종동자핀(24)은 제1이동배럴상에 형성된 중공부(20a)와 고정중공부(40a)에 삽입되어 고정되어 있다. 이 배열을 가지고 셔터유니트(21)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같이 제1이동배럴(20)에 체결되어 있다. 종동자핀(24)은 예컨대 접착제 또는 나사에 의해서 고정될 수 있다. 참고로, 번호 41는 제1이동배럴(20)의 전방에 체결된 장식판이다. 도 12 및 도 19에 도시된 바와같이, AF/AE 셔터유니트(21)는 셔터장착 스테이지(40), 셔터장착 스테이지(40)의 후방상에 고정된 셔터블레이드 지지링(46) 및 셔터장착 스테이지(40)에 상대적으로 이동가능한 상태로 지지되는 렌즈지지배럴(50)(즉, 후방렌즈 그룹 L2용)를 구비하고 있다. 셔터장착 스테이지(40)상에는 전방렌즈그룹(L1), AE모터(29) 및 후방렌즈 그룹구동모터(30)가 지지되어 있다. 셔터장착 스테이지(40)는 환형의 부재가(40f)가 촬영구멍(40d)을 가진 상태로 제공되어 있다. 셔터장착 스테이지(40)는 또한 환형의 부재(40f)로부터 후방으로 돌출한 3개의 레그(40b)를 구비하고 있다. 개의 슬릿은 3개의 레그 사이에 형성되어 있고 슬릿중의 2개는 선형안내부재(22)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하여선형안내부재(22)의 각쌍의 안내레그(22b)와 미끄럼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선형안내부(40c)를 포함하고 있다.
셔터장착 스테이지(40)는 AE모터(29)의 회전을 셔터(27)에 전달하는 AE기어열(45), 후방렌즈 그룹구동모터(30)의 회전을 나사축(43)에 전달하는 렌즈구동기어열(42), 가요성 인쇄회로기판(6)에 연결된 광차단기(56, 57) 및 원주방향으로 제공되고 방사상으로 형성된 복수의 슬릿을 가진 회전판(58, 59)을 지지한다. 후방렌즈 그룹구동모터(30)의 회전을 검출하는 엔코더는 광차단기(57)와 회전판(59)으로 이루어졌고 AE모터(29)의 회전을 검출하는 엔코더는 광차단기(56)와 회전판(58)으로 이루어졌다.
셔터(27), 셔터(27)의 3개의 셔터 블레이드(27a)를 피봇적으로 지지하는 지지부재(47) 및 셔터블레이드(27a)에 회전동력을 공급하는 원형구동부재(49)는 셔터장착 스테이지(40)와 셔터장착 스테이지(40)에 체결되는 셔터블레이드 지지링(46) 사이에 위치되어 있다. 원형구동부재(49)는 3개의 셔터블레이드(27a)의 각각과 각각 결합하는 작동돌출부(49a)를 등간격으로 구비하고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같이, 셔터블레이드 지지링(46)은 그 전방끝에 촬영구멍(46a)과 그리고 촬영구멍(46a) 둘레에서 등간격으로 위치된 3개의 지지중공부(46b)를 구비하고 있다. 셔터블레이드 지지링(46)의 외주에는 선형안내부(40c)로부터 노출되고 안내레그(22b)쌍의 내주면을 미끄럼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편향억제부재(46c)가 제공되어 있다.
셔터블레이드 지지링(46)의 전방에 위치된 지지부재(47)는 촬영구멍(46a)에정렬된 촬영구멍(47a)과 3개의 지지중공부(46b)에 대향한 각각의 위치에 있는 3개의 축(47b)(도 12에는 1개만 도시되어 있음)을 구비하고 있다. 각각의 3개의 셔터블레이드(27a)는 각각의 축(47b)의 일단이 삽입되는 축구멍(27b), 원하지 않는 광이 타단에서 촬영구멍(46a, 47a)에 들어가는 것을 막는 차단부분(도시안됨), 및 작동돌출부(49a)가 삽입되고 그 일단과 타단 사이에 있는 슬롯(27c)을 구비하고 있다. 지지부재(47)는 대응 셔터블레이드(27a)를 지지하는 각각의 축(47b)이 셔터블레이드 지지링(46)의 대응지지 중공부(46b)와 결합하는 방식으로 셔터 블레이드 지지링(46)에 고정되어 있다.
원형구동부재(49)의 외주에는 기어(49b)가 기어열(45)에서의 회전을 수용하기 위하여 제공되어 있다. 지지부재(47)는 3개의 축(47b)에 가까운 위치에서 원주방향으로 아치형으로 되어 있는 3개의 아크홈(47c)을 구비하고 있다. 원형구동링(49)의 3개의 작동돌출부(49a)는 3개의 아크홈(47c)을 통하여 각각의 셔터블레이드(27a)의 슬롯(27c)과 결합한다. 셔터블레이드 지지링(46)은 원형구동링(49), 지지부재(47) 및 셔터(27)를 지지하기 위하여 셔터장착 스테이지(40)의 후방으로부터 삽입되고 나사에 의해서 셔터장착 스테이지(40)상에 고정된다.
셔터블레이드 지지링(46)의 후방에는 슬라이드축(50, 51)을 통하여 셔터장착 스테이지(40)에 대해 상대 이동할 수 있도록 지지된 렌즈지지배럴(50)이 위치되어 있다. 셔터장착 스테이지(40)와 렌즈지지배럴(50)은 슬라이드축(51)에 끼워진 코일스프링(3)에 의해서 서로 떨어지는 대향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가압되며 그결과 둘사이의 유극은 감소된다. 또한, 기어열(42)에 제공된 구동기어(42a)는 축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하여 제한되며 그 내주상에는 내부나사(도시안됨)가 형성되어 있다. 한쪽 끝이 렌즈 지지배럴(50)에 고정되는 나사축(43)은 내부나사와 결합하고 구동기어(42a)와 나사축(43)으로 이루어진 이송나사구조가 제공되어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구동기어(42a)가 후방렌즈 그룹구동모터(30)에 의한 구동으로 인해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나사축(43)은 구동기어(42a)와 렌즈지지배럴(50)에 대해 전방 또는 후방으로 각각 이동하고, 즉, 렌즈지지배럴(50)에 의해서 지지된 후방렌즈그룹(L2)은 전방렌즈그룹(L1)에 상대적으로 이동한다.
셔터장착 스테이지(40)의 전방에는 각각의 모터(29, 30)에 대해서 가압되는 프레서(53, 55)가 셔터장착 스테이지(40)에 나사결합되어 있다. 모터(29, 30)와 광차단기(56, 57)는 가요성 인쇄회로기판(6)에 연결되어 있다. 가요성 인쇄회로기판(6)의 한쪽 끝은 셔터장착 스테이지(40)에 고정되어 있다. 제1, 제2 및 제3이동배럴(20, 19, 16) 및 AF/AE 셔터유니트(21)등이 조립되면 구멍판(23)은 선형안내배럴(17)의 후방에 고정되어 있다. 고정렌즈배럴블록(12)의 전방에는 원형의 낙하방지부재(33)가 결합되어 있다.
줌렌즈배럴(10)의 전방 대부분에 위치된 제1이동배럴(20)의 전방에는 종동자 배리어 블레이드와 메인 배리어 블레이드로서 각각 작용하는 배리어 블레이드(48a, 48b) 쌍을 가진 배리어장치(35)가 제공되어 있다. 장식판(41)의 후방을 향하여 환형의 판(96)이 고정되고 장식판(41)과 환형의 판(96) 사이에는 배리어 블레이드(48a, 48b)가 연결적으로 결합되어 있다. 또한, 제1이동배럴(20)의 전방에는 전방표면(20b)과 환형의 판(96) 사이에서 한쌍의 배리어 구동레버(98a, 98b)를 가진 배리어 구동링(96)이 회전 가능하게 제공되어 있다. 배리어 구동링(97)은 후방렌즈 그룹구동모터(30)의 회전 수용시 회전구동하는 배리어 연동기어(92)에 의해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배리어 구동레버(98a, 98b)를 통하여 종동자 배리어 블레이드(48a)와 함께 메인 배리어블레이드(48b)를 개방 또는 폐쇄한다.
본 발명의 상기 설명에 있어서, 줌렌즈가 2개의 그룹, 즉 전방렌즈그룹(L1)과 후방렌즈그룹(L2)으로 이루어졌지만 본 발명은 상술된 본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실기예에 있어서, 렌즈지지배럴(50)에 의해서 지지된 전방렌즈그룹(L1)과 후방렌즈그룹(L2)은 AF/AE 셔터유니트(21)의 구성요소로서 제공되며 후방렌즈 그룹구동모터(30)는 셔터유니트(21)에 장착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로 후방렌즈그룹(L2)의 지지구조 및 구동구조가 단순화되지만, 본 줌렌즈도 후방렌즈그룹(L2)을 셔터장착 스테이지(40), 원형구동부재(49), 지지부재(47), 셔터블레이드(27), 셔터블레이드 지지링(46)등으로 구비되어 AF/AE 셔터유니트(21)로부터 떨어진 부재로서 만들고 후방렌즈그룹(L2)이 셔터유니트(21)와 다른 어떤 지지부재에 의해서 지지되는 방식으로 실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줌렌즈 카메라에 있어서 전체 유니트구동모터(25)와 후방렌즈 그룹구동모터(30)의 회전에 의한 작동이 이제 설명될 것이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같이, 줌렌즈 배럴(10)이 가장 후퇴(수축)위치 즉 렌즈격납상태에 있을 때, 파워스위치가 ON되면, 전체 유니트구동모터(25)는 소량만큼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회전은 지지부재(32)에 의해서 지지된 기어열(26)을 통하여 구동피니언(15)에 전달되며, 제3이동배럴(16)이 광축방향으로 회전(신장)되기 때문에 제2이동배럴(19)과 제1이동배럴(20)은 소량만큼 광축방향으로 제3이동배럴(16)과 함께 신장되고 그결과, 카메라는 줌렌즈가 최대광각위치, 즉 광각끝에 있는 상태에서 촬영할 수 있는 상태로 있게 된다. 이때, 고정렌즈 배럴블록(12)에 대해 선형안내배럴(17)의 이동량이 코드판(13a)과 접촉단자(9) 사이의 상대 미끄럼이동을 통하여 검출되는 사실로 인해, 줌렌즈, 즉 전방 및 후방렌즈그룹(L1, L2)의 초점길이가 검출된다.
상술된 촬영가능상태에 있어서, 줌 "망원" 스위치가 ON이면, 전체 유니트구동모터(25)는 시계방향으로 구동하고 구동피니온(15)과 외주기어(16b)를 통하여 신장되는 방향으로 제3구동배럴(16)을 회전시킨다. 그러므로, 제3이동배럴(16)은 암나사체(12a)와 숫나사체(16a) 사이의 관계에 따라 고정렌즈 배럴블록(12)으로 뻗어 있으며, 동시에 선형안내배럴(17)은 고정렌즈배럴블록(12)에 대한 상대회전없이 결합돌출부(17c)와 선형안내홈(12b) 사이의 관계에 따라 전방으로 제3이동배럴(16)과 함께 광축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때에 유도홈(17b) 및 선형안내홈(16c)과의 종동자핀(18)의 동시 결합은 제3이동배럴(16)과 동일한 방향으로 그리고 상대적으로 회전하는 동안에 제2이동배럴(19)이 제3이동배럴(16)에 대해 광축방향 전방으로 이동하도록 한다. 제1이동배럴(20)은 선형안내부재(22)에 의해 선형으로 안내되는 상태 때문에 또한 종동자핀(24)의 이동이 유도홈(19c)에 의해서 안내되는 상태 때문에, 고정렌즈배럴블록(12)에 대한 상대회전 없이 제2이동배럴(19)로부터 AF/AE 셔터유니트(21)와 함께 광축방향 전방으로 이동한다. 이러한 이동 동안에, 고정렌즈 배럴블록(12)에 대한 선형안내 배럴(17)의 이동위치가 코드판(13a)과 접촉단자(9) 사이의 상대 미끄럼이동을 통하여 검출되는 사실에 따라, 줌렌즈 즉 전방 및 후방렌즈그룹(L1, L2)의 초점길이는 검출된다.
줌 "광각" 스위치가 ON일 때, 전체 유니트구동모터(25)는 반시계방향으로 구동되고, 제3이동배럴(16)은 선형안내배럴(17)과 함께 고정렌즈 배럴블록(12)내로 후퇴되는 방향으로 회전된다. 동시에, 제2이동배럴(19)은 제3이동배럴(16)의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동안에 제3이동배럴(16)내로 후퇴되고 제1이동배럴(20)은 AF/AE 셔터 유니트(21)와 함께 제2이동배럴(19)내로 후퇴된다. 상기 후퇴구동 동안에, 상기 설명된 신장구동의 경우와 같이 후방렌즈 그룹구동모터(30)는 구동되지 않는다.
줌렌즈(10)가 줌밍중에 구동되는 동안에, 후방렌즈 그룹구동모터(30)가 구동되지 않으므로, 전방렌즈그룹(L1)과 후방렌즈그룹(L2)은 전체로서 이동하여 도 15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호간에 일정한 간격을 유지한다. 줌코트판(13a)을 통하여 입력된 초점 길이는 LCD패널(224)상에 표시된다.
줌작동수단(62)에 의해서 세팅된 어떤 초점길이에서도, 해제버튼(217B)가 절반스텝 만큼 눌러질 때, CPU(210)은 피사체 거리 측정 장치(64)로부터 초점정보와 광측정장치(65)로부터 광측정 정보를 얻는다. 이러한 상태에서, 해제버튼(217B)이 완전하게 눌려지면, 미리 설정된 초점길이 정보에 대응하는 양만큼 또한 피사체 거리 측정 장치(64)로부터 피사체 거리정보에 의해서 전체 유니트 구동모터(25)와 후방렌즈 그룹구동모터(30)를 특정초점길이로 이동시키고 피사체가 초점내로 오게한다. 또한 AE모터제어수단(66)을 통하여, AE모터(29)는 광측정장치(65)로부터 얻어진 피사체 조명정보에 따라 원형구동부재(49)를 구동시키고 필요한 노출조건을 충족시키기 위하여 셔터(27)를 구동시킨다. 이러한 셔터릴리즈후에, 전체 유니트구동모터(25)와 후방렌즈 그룹구동모터(30)는 즉시 구동되고 전방렌즈그룹(L1)과 후방렌즈그룹(L2)은 셔터릴리즈전의 위치로 이동된다.
파워스위치(212)가 OFF되고 파워가 차단되면, 줌렌즈(10)는 전체 유니트구동모터(25)에 의해서 도 18에 도시된 바와같이 렌즈격납위치로 후퇴된다. 이러한 후퇴이동전에, 전체 유니트구동모터(25)는 구동되고 후방렌즈그룹(L2)은 원위치로 이동한다.
해제버튼(217B)이 완전하게 눌러졌을 때 수행되는 전방렌즈그룹(L1)과 후방렌즈그룹(L2)의 이동제어에 대해, 후방렌즈 그룹구동모터(30)는 피사체 거리 측정 장치(64)에서 얻어진 피사체 거리정보와 줌작동수단(62)에 의해서 세팅된 초점길이 정보에 대응하는 양 만큼 후방렌즈그룹(L2)을 전방렌즈그룹(L1)으로부터 멀리 후방으로 이동시킨다. 동시에,전체 유니트구동모터(25)는 피사체 거리 측정 장치(64)에서 얻어진 피사체 거리정보와 줌작동수단(62)에 의해서 세팅된 초점길이 정보에 대응하는 양만큼 전방렌즈그룹(L1)을 이동시킨다. 전방렌즈그룹(L1)과 후방렌즈그룹(L2)의 이동으로 인해, 초점길이가 세팅되고, 피사체 초점맞춤이 수행된다. 셔터릴리즈의 완료후에, 후방렌즈 그룹구동모터(30)와 전체유니트 구동모터(25)가 바로 구동되어, 양 렌즈그룹(L1, L2)이 셔터릴리즈전의 위치로 복귀되도록 한다.
줌작동수단(62)이 "광각" 위치로 작동되면, 전체 유니트구동모터(25)는 반시계방향으로 구동하고 제3이동배럴(16)은 후퇴방향으로 회전되고 선형안내배럴(17)과 함께 고정렌즈 배럴블록(12)의 실린더(11)내로 후퇴된다. 동시에, 제2이동배럴(19)은 제3이동배럴(16)의 회전과 유사한 회전으로 제3이동배럴(16)내로 후퇴되고 제1이동배럴(20)은 AF/ AE 셔터유니트(21)와 함께 제2이동배럴(19)내로 후퇴된다. 상기 후퇴구동 동안에 상술된 신장구동의 경우와 같이 후방렌즈 그룹구동모터(30)는 구동되지 않는다. 파워 스위치가 OFF되면, 줌렌즈(10)는 전체 유니트구동모터(25)를 구동시킴으로써 도 18에 도시된 바와같이 격납위치로 후퇴된다.
본 발명의 본 실시예의 줌렌즈 카메라의 줌렌즈 배럴의 특성중의 하나인 렌즈구동제어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도 24 및 도 25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도 24는 전방렌즈그룹(L1)과 후방렌즈그룹(L2)의 이동의 자취를 예시하고 있으며 도 25는 전방렌즈그룹(L1)에 비교된 후방렌즈그룹(L2)의 이동범위를 예시하고 있다.
도 24에 있어서, 선 A는 전방렌즈그룹(L1)의 자취를 나타내며, 선 B는 해제버튼이 완전하게 눌러지기 전에 후방렌즈그룹(L2)의 자취를 나타내고, 선 C는 해제버튼이 완전하게 눌러졌을 때 후방렌즈그룹(L2)의 자취를 나타낸다. 도 24에서 이해되는 바와같이, 초점맞춤시, 전방렌즈그룹(L1)과 후방렌즈그룹(L2) 사이의 거리는 "광각"쪽(즉 "W"쪽) 위치에서 더크고 "망원"쪽(즉 "T"쪽) 위치에서 더짧다.
줌작동수단(62)의 작동전 및 작동중에, 후방렌즈그룹(L2)은 도 25에 도시된바와같이 스탠드바이 위치에 위치되고 전방렌즈(L1)에 대한 일정거리가 유지된다. 해제버튼이 완전하게 눌러지면, 후방렌즈그룹(L2)은 후방으로 즉 도 25에서 우측으로 이동하여 촬영위치로 이동하며 초점맞춤이 수행된다. 후방렌즈그룹(L2)이 후방으로 이동되면, 후방렌즈그룹(L2)(즉 후방렌즈 지지배럴(50))의 초기위치(즉 기준위치)는 광센서(도시안됨)를 통하여 검출되며, 위치검출의 초기순간부터 펄스카운팅은 시작된다. 펄스카운팅이 피사체 거리 측정 장치(64)로부터 얻어진 피사체 거리정보 및 줌 작동수단(62)에 의해서 설정된 초점길이 정보에 상응하는 이동량에 대응하는 값에 도달하면, 후방렌즈 그룹구동모터(30)는 정지된다.
도 25에서 "조절범위"로서 표시된 범위는 줌렌즈배럴(10)이 "망원" 쪽에 위치되고 동시에 초점이 맞춰진 피사체가 무한대에 있을 때 초기위치로부터 펄스카운팅의 최소 값에 대응하는 범위와 동일하다. 그러므로, 후방렌즈그룹(L2)은 초기위치로부터 조정량과 같은 양만큼 전방렌즈그룹(L1)에 대해 후방으로 이동된다.
도 21은 해제버튼이 완전하게 눌러지기 전에 줌렌즈배럴(10)이 "광각" 쪽위치에 있을 때의 상태를 나타내며, 도 22는 해제버튼이 완전하게 눌러진 바로후에 줌렌즈배럴(10)이 "광각" 쪽위치 주위에 있을때의 상태를 나타낸다. 상술된 바와같이, 도 22에 도시된 상태로부터 셔터릴리즈가 완료된 후 후방렌즈 그룹구동모터(30)는 바로 구동되고 후방렌즈그룹(L2)은 전방렌즈그룹(L1)을 향하여 이동하고 도 21에 도시된 상태로 복귀된다.
도 22에 도시된 상태로부터 셔터릴리즈의 완료후에 후방렌즈 그룹구동모터(30)가 바로 구동하지 않았서, 후방렌즈그룹(L2)이 도 22에 도시된 바와같은 촬영위치에 있으면, 큰 외부힘 또는 충격이 제1이동배럴(20)의 전방을 향하여 카메라의 본체를 향한 방향으로 즉 도 22에서 우측에서 가해지면, 모든 이동배럴 즉 제1이동배럴(20), 제2이동배럴(19) 및 제3이동배럴(16)은 카메라의 본체내로 후퇴되도록 가압되며, 이 경우에 후방렌즈그룹(L2)은 필름(F)과 충돌될 수 있다. 그러므로, 필름(F) 또는 후방렌즈그룹(L2) 뿐만아니라 다른 장치도 손상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상태는 도 23에 도시되어 있다.
하지만, 본 실시예의 카메라에 제공된 줌렌즈 배럴의 렌즈구동제어에 따라, 도 22에 도시된 상태로부터 셔터릴리즈의 완료후에, 후방렌즈 그룹구동모터(30)는 바로 구동되고 후방렌즈그룹(L2)은 전방렌즈그룹(L1)을 향해 이동되고 도 21에 도시된 바와같은 위치로 복귀된다. 따라서, 상기 문제는 발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는 3스테이지 딜리버리 줌렌즈배럴에 관련되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렌즈배럴에 제한되지 않고 1스테이지, 2스테이지 또는 3스테이지 이상의 딜리버리 줌렌즈 배럴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의 줌렌즈 및 줌렌즈 배럴의 렌즈구동방법에 따라, 줌작동중에, 전방렌즈 그룹과 후방렌즈그룹은 2개 렌즈그룹 사이의 거리를 변화시키지 않고 전체로서 이동하며, 해제작동중에, 후방렌즈그룹은 전방렌즈그룹에 대해 후방으로 이동하며 해제완료후에, 후방렌즈그룹이 전방렌즈그룹을 향하여 이동하여 양그룹이 줌 작동중에 있는 초기 위치로 복귀된다. 그러므로, 렌즈배럴이 카메라의 본체로부터 신장되는 상태에서, 큰 외부힘 또는 충격이 카메라의 본체를 향한 방향으로 렌즈배럴의 전방에서 가해지고 렌즈배럴이 후퇴되도록 가해지면 후방렌즈그룹이 필름과 충돌될 수 있는 가능성은 발생하지 않으며 그러므로 필름, 후방렌즈그룹 또는 렌즈구동장치는 손상되지 않는다.
도 26 내지 도 28은 도 1 내지 도 25에 도시된 줌렌즈 배럴을 구비한 본 발명의 렌즈셔터 타입 카메라의 정면도, 배면도 및 평면도이다.
카메라 몸체(201)의 전방중심 근처에는 줌렌즈배럴(12)이 장착되어 있다. 카메라 몸체(201)의 전방면 상에는 광측정용 광수용요소(65a), AF센서 윈도우(64a), 파인더 광학시스템의 파인더윈도우(207a), 스트로브 스코픽램프(209), 및 셀프-타이머 표시램프(229)가 모두 제공되어 있다. 카메라 몸체(201)의 바닥에는 배터리 커버(202)가 제공되어 있다.
카메라 몸체(201)의 후방표면상에는 필름 카트리지를 장전 또는 제거하는 목적을 위하여 개폐하는 후방커버(203), 후방커버(203)을 개방하도록 잠금장치를 잠금해제하는데 사용되는 후방커버 개방레버(204), 초점맞춤의 결과를 나타내는 그린램프(228), 스트로브 충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레드램프(227), 아이피스(207b) 및 파워(ON/OFF) 버튼(212B)이 제공되어 있다.
도면의 좌측에 도시된 바와같이, 카메라몸체(201)의 상부표면상에는 되감기버튼(216B), LCD패널(224), 모드버튼(214B), 구동버튼(215B), 해제버튼(217B), "광각"버튼(62WB), 및 "망원"버튼(62TB)이 제공되어 있다.
도 29는 본 발명의 줌렌즈 카메라의 메인내부 구성요소의 구조를 예시하고 있다. 카메라는 제어수단으로서 사용되고 카메라의 전체기능을 제어하는 CPU(210)를 구비하고 있다.
CPU(210)는 전체 유니트구동모터 제어수단(60)을 통하여 전체 유니트구동모터(25), 후방렌즈그룹 구동모터 제어수단(61)을 통하여 후방렌즈 그룹구동모터(30), 및 AE모터제어 수단(66)을 통하여 AE모터(29)를 구동시키고 제어한다. 또한, CPU(210)는 필름이송제어수단(225)을 통하여 필름의 장전, 감기 및 되감기를 수행하는 필름이송모터(226)를 제어한다. CPU(210)는 스트로브수단(231)을 통하여 스트로브(즉 전기플래시)의 플래싱을 더 제어한다.
CPU(210)는 배터리(211)가 장전될때에 작동될 수 있고 각각의 스위치의 i/o상태(즉 ON/OFF), 즉 파워스위치(212), 후방커버스위치(213), 모드스위치(214), 구동스위치(215), "망원" 스위치(62T) "광각" 스위치(62W), 되감기스위치(216), 광측정스위치(SWS) 및 해제스위치(SWR)의 상태에 따른 기능을 실행한다.
파워스위치(212)는 파워버튼(212B)에 연결되어 있으며, 파워가 OFF일 때(배터리(211)의 파워가 차단일 때) 파워스위치(212)가 "ON"이면 파워스위치(212)는 파워를 "ON"시키며(즉 배터리(211)의 파워는 공급되며), 파워가 "ON"일때에 파워스위치(212)가 "OFF"이면, 파워스위치(212)는 파워를 "OFF"시킨다.
후방커버스위치(213)는 개방 또는 폐쇄하는 후방커버(203)에 연결되어 있으며, 후방 커버(203)의 상태변화에 따라 후방커버스위치(213)는 필름이송모터(226)를 구동시킴으로써 필름장전 처리를 실행하거나 또는 필름카운터를 리세팅한다.
모드 스위치(214)는 촬영모드를 변화시키는데 사용되며 모드버튼(214B)에 연결되어 있다. 모드스위치(214)가 "ON"일때마다, 촬영모드는 자동스트로브 플래싱모드, 강한 스트로브 플래싱모드, 스트로브 플래싱 포비딩모드, 긴노출모드, 또는 벌브모드등과 같이 변화된다.
구동스위치(215)는 다양한 구동모드 사이에서 변화되고 구동버튼(215B)에 연결되어 있다. 구동스위치(215)가 ON일때마다, 구동모드는 프레임 촬영모드, 셀프-타이머 모드, 연속촬영모드 또는 다중노출모드 등과 같이 변화된다.
"망원" 스위치(62T)는 "망원" 버튼(62TB)에 연결되어 있다. "망원" 스위치(62T)가 "ON"일 때, 전체 유니트구동모터(25)는 "망원" 쪽을 향하여 구동한다.
"광각"스위치(62W)는 "광각" 버튼(62WB)에 연결되어 있다. "광각" 스위치(62W)가 "ON"일 때, 전체 유니트구동모터(25)는 "광각" 쪽을 향하여 구동한다.
광측정스위치(SWS) 및 릴리즈스위치(SWR)는 해제버튼(217B)에 연결되어 있다. 해제버튼(217B)이 절반 눌러졌을 때, 광측정스위치(SWS)는 "ON"되며, 해제버튼(217B)이 완전하게 눌러졌을 때, 릴리즈스위치(SWR)는 "ON"된다. 해제버튼(217B)이 절반 누름과 완전누름 사이에 있는 시간동안에 광측정스위치(SWS)는 "ON" 상태로 유지된다. 광측정스위치(SWS)가 "ON"일 때, 광측정과 피사체 거리 측정은 실행된다. 릴리즈스위치(SWR)가 "ON"일 때, 피사체 거리 측정의 결과에 따라 전체 유니트구동모터(25)와 후방렌즈 그룹구동모터(30)는 구동되어, 전방렌즈그룹(L1)과 후방렌즈그룹(L2)이 피사체가 초점에 있는 위치로 이동될 수 있고 또한 AE모터(29)는 구동되어 노출프로세싱이 광측정값에 따라 실행된다. 노출이 종료된 후, 전체 유니트구동모터(25)와 후방렌즈 그룹구동모터(30)는구동하고 전방렌즈그룹(L1)과 후방렌즈그룹(L2)은 이러한 이동전에 있는 위치로 복귀된다. 필름이송모터(226)는 구동되어 필름이 한 프레임씩 감겨진다.
CPU(210)는 필름의 ISO 속도에 관한 정보를 판독하는 DX코드 정보입력수단(218), 코드판(13a)로부터 현재의 렌즈위치에 관한 정보를 판독하는 줌코드 정보입력수단(219), 줌펄스 입력수단(220), AE펄스입력수단(221), AF기준펄스 입력수단(222), 필름의 구동 및 그 구동량을 검출하는 감기펄스입력수단(223) 및 AF원위치 검출수단(232)으로 부터의 출력을 입력한다. 다수의 표시수단, 즉, 현초점길이, 촬영된 프레임수, 노출모드 등을 나타내는 LCD패널(224), 스트로브 충전상태를 나타내는 레드램프(227), 피사체 거리 측정 장치(64)로부터 초점맞춤의 결과를 나타내는 그린램프(228), 그리고 셀프-타이머의 작동을 나타내는 셀프-타이머 표시램프(229)가 CPU(210)에 연결되어 있다.
EEPROM(230)에는 AE조정에 관한 것으로서 조립시에 카메라 본래의 데이타 또는 노출모드 또는 촬영된 프레임수와 같이 촬영자에 의해서 세팅된 데이타가 저장되어 있다.
도 31에 도시된 바와같이, 줌코드 정보입력수단(전기회로)(219)은 일련으로 연결된 4개의 저항기(R0, R1, R2, R3)를 구비하고 있다. 저항기(R0)는 기준전압(Vcc)이 저항기(R3)에 적용되는 동안에 접지되어 있다. 저항기(R0)와 접지 사이에는 전극패턴(ZCO)이 연결되어 있고 저항기(R0)와 저항기(R1) 사이에는 전극패턴(ZC1)이 연결되어 있고 저항기(R1)과 저항기(R2) 사이에는 전극패턴(ZC2)이 연결되어 있고 저항기(R2)와 저항기(R3) 사이에는 전극패턴(ZC3)이 연결되어 있다.또한, CPU(210)의 변환입력포트는 저항기(R2, R3) 사이에 연결되어 있다.
제30(A)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코드판(13a)은 절연기판(13b)상에 형성된 4개의 독립전극패턴(줌코드)(ZC0, ZC1, ZC2, 및 ZC3)를 구비하고 있다. 전극패턴, 즉, 전도판(ZC0, ZC1, ZC2 및 ZC3)은 저항기(R0, R1, R2 및 R3) 사이에 각각 연결되어 있다. 접촉단자(9)는 전도부분(9b)을 통하여 서로 전도하는 한쌍의 브러쉬(9a)를 구비하고 있다.
브러쉬(9a)가 코드판(13a)을 따라 미끄럼이동가능한 접촉상태로 이동하게 형성되어 전극패턴(ZC0, ZC1, ZC2, 및 ZC3)중의 2개의 패턴이 서로 전도될 수 있다. 그러므로, 전극패턴(ZC0, ZC1, ZC2 및 ZC3)중의 2개의 패턴이 전도조합에 따라 서로 전도되면, 줌코드 정보입력수단(219)의 출력전압은 제30(C)도 및 제30(E)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변환된다. CPU(210)는 AD변환하고 이에 의해 출력전압은 디지탈 값으로 전환된다. CPU(210)는 변환된 디지탈 값을 대응 줌코드로 또한 변환시킨된다. 그 다음에 CPU(210)는 줌코드에 따른 줌렌즈의 위치를 검출한다.
제30(D)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발명의 본 실시에에 있어서 브러쉬(9a)의 접촉위치에 대응하는 전압은 7개의 줌코드, 즉 0, 1, 2, 3, 4, 5 및 6으로 변환된다.
7개의 코드의 각각은 하나의 위치를 나타내며 즉 줌코드(1)는 격납위치를 나타내고, 줌코드(2)는 "광각" 위치를, 줌코드(6)는 "망원" 위치를, 줌코드(3 내지 5)는 "광각" 위치와 "망원" 위치 사이의 중간위치를, 줌코드(0)는 격납위치와 "광각" 위치 사이의 위치를 나타낸다. 중간위치에서, 줌코드(3, 4, 5)는 그 순서로 4회 반복되며, 줌범위는 40개의 줌스텝 코드로 분할되어 코드화된다. 본 발명의 본 실시예에 있어서, 줌스텝(0)은 "광각" 쪽위치로 할당되며 줌스텝(13)은 "망원"쪽 위치로, 줌스텝(1 내지 12)은 "광각" 쪽과 "망원"쪽 위치들 사이의 위치로 할당된다.
도 31 및 도 32는 저항기(R0, R1, R2)의 값과 줌코드 정보입력수단(219)의 출력전압의 실례를 예시하고 있다.
줌펄스 입력수단(220)은 광차단기(1)와 회전판(2)으로 이루어진 엔코더를 구비하고 있다. 전체 유니트구동모터(25)의 구동축의 회전에 수반하여 회전하는 회전판(2)의 슬릿의 통로에 따라 변화되는 광차단기의 입력은 줌펄스로서 출력된다.
AE펄스입력수단(221)은 광차단기(57)와 회전판(59)으로 이루어진 엔코더를 구비하고 있다. AE모터(29)의 구동축의 회전에 수반하여 회전하는 회전판(59)의 슬릿의 통로에 따라 변화되는 광차단기(57)의 입력은 AE펄스로서 출력된다. 슬릿을 가진 회전판(59)은 완전 1회전 보다 적게 회전하도록 배열되어 있다.
AF 기준펄스입력수단(222)은 광차단기(56)과 회전판(59)으로 이루어진 엔코더를 구비하고 있다. 후방렌즈 그룹구동모터(30)의 구동축의 회전에 수반하여 회전하는 회전판(59)의 슬릿의 통로에 따라 변화된 광차단기(56)의 입력은 AF펄스로서 출력된다.
AF원위치 검출수단(232)은 후방렌즈그룹(L2)이 기준위치 즉 전방렌즈그룹(L1)에 가장 근접한 위치(즉 AF원위치)에 위치되었는지를 검출한다. 본 발명의 본 실시예에 있어서, 후방렌즈그룹(L2)의 위치는 AF원위치에 대한 AF펄스수에 의해서 제어된다. AF원위치 검출수단(232)은 광차단기(301)를 구비하고 있으며 후방렌즈그룹(L2)과 일체로 이동하는 차퍼(302)(즉 차퍼판(302a))가 광차단기(301)의 광로를 차단하는 위치는 AF원위치로서 세팅되며 광차단기(301)의 출력변화에 따라, 후방렌즈그룹(L2)은 AF원위치에 있는 것으로 검출된다.
도 33은 스트로브수단(231)의 전기회로를 예시한다.
스트로브 회로(500)는 접지단자(GND), 전압입력단자(VBAT) 및 3개의 스트로브 제어단자(STRG, CHEN 및 RLS)를 구비하고 있다. 카메라의 배터리 전압은 단자(VBAT, GND)로 공급된다. 제어단자(STRG, CHEN, RLS)는 각각 CPU(210)에 연결되어 있다. 단자(STRG)는 스트로브 플래싱신호(스트로브 트리거) 입력단자이며 정상상태에서 단자(STRG)는 레벨(L)(즉 로우)에 세팅되며, 스트로브 플래싱의 경우에 레벨(H)(즉 하이)에서의 신호가 입력된다. 단자(CHEN)에는 충전신호가 입력된다. 상태(L)에서충전은 수행되지 않는 한편 상태(H)에서 충전은 수행된다. 단자(RLS)는 충전전압출력단자이고 충전전압에 대응하는 전압을 CPU(210)의 A/D변환기로 출력한다.
배터리충전 및 충전전압의 모니터링이 이제 설명될 것이다.
상술된 바와같이, 충전은 단자(CHEN)의 레벨(H)(즉 충전신호 "ON")을 만듬으로써 수행된다. 단자(CHEN)가 레벨(H)에 있을 때, 트랜지스터(501)의 베이스의 레벨이 H로 되고 트랜지스터(501)는 ON으로 된다. 트랜지스터(501)가 ON으로 되면, 트랜지스터(502), 변압기(510)의 제1와인딩(511)과 제2와인딩(512), 및 다이오드(512)로 이루어진 전압을 변압하는 회로(즉, DC-DC 변환기)는 작동되고 커패서터(530)의 충전이 수행된다. 또한, 레벨(H)에서의 신호가 단자(CHEN)에 공급되면, 트랜지스터(573, 576)는 또한 ON으로 되고 제너다이오드(570)는 트랜지스터(576) 및 레지스터(577, 578)를 통하여 커패서터(530)의 각각의 단자에 연결되며 커패서터(530)의 충전전압이 제너다이오드(570)의 제너전압 보다 높으면, 제너전류는 흐른다.
상술한 바와같이, 충전중에 단자(CHEN)가 레벨(H)에 있을 때, 레지스터(577, 578)는 커패서터(530)의 각각의 단자에 연결되어 있으며 그때 제너다이오드(570)의 제너전압은 커패서터(530)의 충전전압으로부터 공제되고, 남아 있는 전압은 레지스터(577, 578)에 의해서 나누어지고, 이러한 전압값은 단자(RLS)로 출력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단자(RLS)에서 출력전압의 A/D변환을 만듬으로써 CPU(210)는 커패서터(530)의 충전 전압을 검출할 수 있다. 참고를 위하여, 다이오드(507)는 트랜지스터(501)가 저항전압을 초과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 다이오드이며 커패서터(503), 레지스터(504) 및 코일(513)로 이루어진 회로는 전압의 변환작동을 안정화한다.
단자(CHEN)가 레벨(L)에 있을 때, 트랜지스터(501, 502)는 OFF되고 커패서터(530)의 충전은 수행되지 않는다. 또한, 단자(CHEN)가 레벨(L)에 있을 때(즉 충전신호 "OFF"), 트랜지스터(573, 577)는 OFF되고 이상태에서, 커패서터(530)의 충전전압은 단자(RLS)로부터 검출될 수 없다.
스트로브 플래싱 작동은 이제 설명될 것이다.
커패서터(530)의 충전전압이 플래싱에 필요한 레벨이상 또는 동등에 있으면,스트로브 트리거를 단자(STRG)에 입력시킴으로써 스트로브 플래싱은 수행된다.
스트로브 트리거가 단자(STRG)에 입력되면, 즉 레벨(H)에서의 신호가 단자(STRG)에 입력되면, SCR(즉 사이리스터)은 전도상태로 있는다. 그때, 변압기(550)의 제1와인딩에 연결된 커패서터(544)의 갑짝스런 방전에 따라, 변압기(550)의 제2와인딩은 높은 전압을 가진다. 변압기(550)의 제2와인딩에서의 높은 전압은 제논튜브(560)의 트리거단자(551)에 적용되며 제논튜브(560)의 플래싱은 수행된다.
도 37 내지 도 40은 후방렌즈그룹(L2)의 초기위치인 AF원위치를 검출하는 구조를 예시하고 있다. AF원위치는 전방렌즈그룹(L1)에 근접한 후방렌즈그룹(L2)의 초기위치이다. 이 위치를 초점을 맞추기 위한 기준위치로 만듦으로써 후방렌즈그룹(L2)은 전방렌즈그룹(L1)으로부터 멀리 광축을 따라 이동한다. 파워가 "ON"일 때, 셔터릴리즈가 완료될 때, 렌즈가 격납될 때, 그리고 줌스텝(0 내지 4)과 다른 줌스텝 위치에서, 후방렌즈구룹(L2)은 전방렌즈그룹(L1)에 대해 AF원위치을 유지하기 위하여 제어되며, 줌스텝(0 내지 4)에서 후방렌즈그룹(L2)은 특정펄스값(AP1)에 대응하는 양만큼 AF원위치로부터 후방위치로 이동된다.
후방렌즈 지지배럴(50)은 광축을 따라 셔터장착 스테이지(40)를 향해 이동될 수 있도록 슬라이드축(51, 52)의 쌍을 통하여 지지되어 있다. 슬라이드축(51, 52)의 한쪽 끝은 렌즈지지배럴(50)의 외주부로부터 돌출한 축지지보스(50b, 50c)상에 고정되어 있다. 슬라이드축(51)은 셔터장착 스테이지(40)에 고정된 슬라이드베어링(51a)에 의해서 미끄럼이동가능하게 지지되도록 삽입되어 있다.
나사축(43)의 한쪽 끝은 축지지보스(50b)에 근접한 렌즈지지배럴(50)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한 축지지보스(50a)에 고정되어 있다. 나사축(43)은 회전가능하지만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지 않도록 셔터장착 스테이지(40)와 셔터(27)에 의해서 지지되는 구동 기어(42a)와 결합되어 있다. 구동기어(42a)가 후방렌즈 그룹구동모터(30)에 의해서 구동될 때, 나사축(43)은 구동기어(42a)에 대해 전후방으로 이동되며 렌즈지지배럴(50), 즉 렌즈지지배럴(50)에 의해서 지지된 후방렌즈그룹(L2)은 전방렌즈그룹(L1)에 상대적으로 이동된다. 나사축(43)과 구동기어(42a) 사이에서의 백래쉬를 방지하기 위하여, 슬라이드축(51)에 후방렌즈그룹가압 코일스프링(3)이 경사져서 슬라이드 베어링(51a)과 축지지보스(50b) 사이에 결합되어 있다. 후방렌즈그룹가압 코일스프링(3)은 셔터장착 스테이지(40)로부터 떨어진 방향으로, 즉 셔터장착 스테이지(40)의 후방을 향하여 렌즈지지배럴(50)을 가압한다. 따라서 백래쉬는 방지된다.
셔터장착 스테이지(40)의 전방, 즉 프레서(55)에는 AE원위치 검출수단(232)을 포함하고 있는 광차단기(301)와 차퍼(302)가 장착되어 있다. 광차단기(301)는 가요성 인쇄회로기판(6)에 장착되어 있으며 셔터장착 스테이지(40)상에 고정되어 있다. 차퍼(302)는 차퍼안내축(303)에 의해서 미끄럼 이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며 차퍼(302)와 프레서(55) 사이에 장착된 차퍼가압스프링(304)에 의해서 셔터장착 스테이지(40)를 향하여, 즉 광축방향에서 후방으로 가압되는 동안에 프레서(55)에 의해서 지지되는 전방 끝을 가지고 있다. 차퍼(302)는 광차단기(301)의 슬릿내에 삽입되는 차퍼판(302a)을 구비하고 있으며, 차퍼(302)가 차퍼가압 스프링(304)의힘에 의해 후방위치에 있을 때 광차단기(301)의 광로는 개방되며 차퍼(302)가 차퍼가압스프링(304)의 힘에 대향한 특정위치로 이동될 때, 광차단기(301)의 광로는 차단된다.
나사축(43)의 끝과 슬라이드축(51)의 한쪽에는 스토퍼판(306)이 잠금와셔(305)를 통하여 고정된다. 스토퍼판(306)상에 일체로 제공되어 있는 것은 차퍼(302)와 접촉하여 렌즈지지배럴(50)이 전방으로 이동될 때 차퍼(302)를 차퍼가압스프링(304)의 힘에 대항하여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차퍼프레서(306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차퍼프레서(306a)는 렌즈지지배럴(50)(즉 후방렌즈그룹(L2))이 셔터장착 스테이지(40)에 보다 근접한 소정위치에 도달할 때 차퍼(302)의 돌출부(302b)와 접촉하며, 렌즈지지배럴(50)의 더 전방이동으로 인해 차퍼프레서(306a)는 차퍼가압스프링(304)의 힘에 대항하여 차퍼(302)를 이동시킨다. 렌즈지지배럴(50)이 셔터장착 스테이지(40)에 근접한 AF원위치로 이동될 때, 차퍼(302)의 차퍼판(302a)은 광차단기(301)의 광로를 차단한다. 광차단기(301)의 출력을 체크함으로써 CPU(210)는 후방렌즈그룹(L2) 즉, 렌즈지지배럴(50)이 AF원위치에 있는지의 여부를 검출한다.
본 줌렌즈 카메라의 기능에 관하여, 다음의 설명이 도 41 내지 도 72에 도시된 순서도를 참조하여 이루어질 것이다. 프로세스는 CPU(210)의 내부 ROM내에 메모리된 프로그램을 기초로한 CPU(210)에 의해서 실행된다.
[메인 프로세스]
도 41은 본 발명에 있어서 카메라의 메인 프로세서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배터리가 카메라내에 장전되면, CPU(210)는 메인 프로세스를 시작하며 그 다음에 스탠드바이 상태에 들어가고 촬영자에 의해서 수행될 작동을 위해 대기한다.
메인 프로세스에서, 스텝(S0001)에 표시된 리세팅 프로세스(도 42)가 실행된다. 리세팅 프로세스에서 CPU(210)의 각각의 포트와 같은 하드웨어 초기화, RAM초기화, 테스트기능 프로세스, 조정데이타의 판독, 셔터초기화, AF렌즈초기화 및 렌즈격납 프로세스가 실행된다.
리세팅 프로세스의 완료후에, 스텝(S0003 내지 S0053)에서 체크는 에러플래그가 세팅 되었는지를, 되감기 스위치(216)가 ON인지를, 후방커버스위치(213)의 상태가 변화하였는지를, 파워가 ON인지를, 파워스위치(212)의 상태가 OFF에서 ON으로 변화하였는지를, "망원"스위치(62T)가 ON 인지를, "광각" 스위치(62W)가 ON인지를, 구동스위치(215)가 OFF에서 ON으로 변화하였는지를, 모드스위치(214)가 OFF에서 ON으로 변화하였는지를, 광측정스위치(SWS)가 OFF에서 ON으로 변화하였는지를, 그리고 충전명령 플래그가 세팅되었는지를, 체크하기 위하여 실행되고 그 체크결과에 따른 프로세스가 실행된다.
스텝 S0003에서, 에러플래그가 세팅되면(즉 에러플래그가 1에 세팅되면), 이것은 에러가 리세팅 프로세스에 있는 상기 프로세스의 적어도 하나에서 발생되었다는 것을 나타낸다. 에러플래그를 제거하기 위하여, 스텝(S0005 내지 S0013)으로부터 에러초기화 프로세스는 에러플래그가 제거될때까지 반복된다. 스텝(S0005)에서 CPU(210)는 스위치들중 어느 것에 대한 변화를 위하여 대기하고, 변화후에, 스텝(S0006 내지 S0009)에서, 에러플래그는 리세팅되며, 셔터초기화 프로세스(도 51) 및 AF렌즈 초기화 프로세스(도 43)는 실행 된다. 그 다음에, 스텝(S0011)에서,이것은 상기 프로세스(S0006-S0009)중에 에러플래그가 세팅되었는지에 대해 체크되며, 에러플래그가 세팅되면, 제어는 스텝(S0003)으로 복귀되고 스텝(S0005)으로부터의 프로세스가 반복된다. 에러플래그가 스텝(S0011)에서 세팅되지 않으면, 이것은 에러상태가 해결되었다는 것을 의미하며, 제어는 렌즈격납 프로세스(도 44)가 스텝(S0013)에서 실행된 후의 스텝(S0003)으로 복귀된다.
에러플래그가 제거되고, 또한 파워가 OFF되면, 스텝(S0015), 스텝(S0019), 스텝(S0023), 스텝(S0025) 및 스텝(S0029)에서, 상술된 체크는 반복되며, 즉 이것은, 되감기스위치(216)가 ON인지를, 후방커버스위치(213)의 상태가 변화되었는지를, 파워가 ON인지를, 및 파워스위치(212)가 OFF에서 ON으로 변화되었는지를 체크한다. 되감기스위치(216)가 ON일 때 또는 후방커버 스위치(213)의 상태가 변화될 때, 또는 파워스위치(212)가 OFF에서 ON으로 될 때, 다음의 프로세스가 실행된다.
스텝(S0015)에서, 되감기 스위치(216)가 ON이면, 되감기 모터는 구동되고 필름되감기가 스텝(S0017)에서 실행된다.
스텝(S0019)에서, 후방커버스위치(213)의 상태가 변화되면, 즉 후방커버가 폐쇄되거나, 개방되면, 필름카운터의 리세팅과 같은 후방커버 프로세스 또는 필름장전 프로세스가 스텝(S0021)에서 실행된다.
스텝(S0023, S0025)에서, 파워스위치(212)가 OFF에서 ON으로 변화되면 파워는 ON이되고 렌즈신장 프로세스는 스텝(S0027)에서 실행된다. 파워스위치가 ON으로 될 때 마다 CPU(210)는 파워가 OFF이면 파워를 ON시키고, 파워가 ON이면 파워를 OFF시킨다.
파워가 ON일 때, 제어는 스텝(S0023)으로부터 스텝(S0029)로 진행하고, 스텝(S0029)으로부터 스텝(S0053)으로의 프로세스가 실행된다. 스텝(S0029)으로부터 스텝(S0053)으로의 프로세스에서, 체크는 파워스위치(212)가 OFF에서 ON으로 변화되었는지에 대하여, "망원" 스위치(62T)가 ON인지에 대해서, "광각" 스위치(62W)가 ON인지에 대해서, 구동스위치(215)가 OFF에서 ON으로 변화되는지에 대해서, 모드스위치(214)가 OFF에서 ON으로 변화되었는지에 대해서, 광측정스위치(SWS)가 OFF에서 ON으로 변화되었는지에 대해서, 그리고 충전명령 플래그가 세팅되었는지에 대해서 이루어진다.
스텝(S0029)에서, 파워스위치(212)가 ON에서 OFF로 변화되면, 파워는 OFF되고 렌즈격납 프로세스(도 44)가 스텝(S0031)에서 실행된다. 렌즈격납 프로세스에서, 렌즈배럴은 격납위치로 후퇴된다.
스텝(S0033)에서, "망원" 스위치(62T)가 ON되면, 줌 "망원" 이동프로세스(도 47)는 스텝(S0035)에서 실행된다. 줌 "망원" 이동프로세스에서, 전체 유니트구동모터(25)는 렌즈신장방향으로 구동된다.
스텝(S0037)에서, "광각" 스위치(62W)가 ON되면, 줌 "광각" 이동프로세스(도 48)는 스텝(S0039)에서 실행된다. 줌 "광각" 이동프로세스에서, 전체 유니트구동모터(25)는 렌즈수축방향으로 구동된다.
스텝(S0041)에서, 구동스위치(215)가 OFF에서 ON으로 변화되면, 구동세팅 프로세스는 스텝(S0043)에서 실행된다. 상세하게 도시되지 않았지만, 구동세팅 프로세스는 프레임 촬영모드, 연속촬영모드, 다중노출모드, 셀프-타이머 모드 등으로부터 구동모드를 선택하도록 프로세스된다.
스텝(S0045)에서, 모드스위치(214)가 OFF에서 ON으로 변화되면, 모드세팅 프로세스는 스텝(S0047)에서 실행된다. 상세하게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모드세팅 프로세스는 스트로브 자동 플래싱모드, 강제 스트로브 플래싱모드, 스트로브 플래싱 방지모드, 레드 아이감소모드, 긴노출모드, 벌브모드등으로부터 노출모드를 선택하기 위하여 프로세스된다.
스텝(S0049)에서, 촬영스위치(SWS)가 OFF에서 ON으로 변화되면, 촬영프로세스(도 49)는 스텝(S0051)에서 실행된다.
스텝(S0053)에서, 충전명령 플래그가 세팅되면, 메인충전 프로세스(도 50)는 스텝(S0055)에서 실행되며, 스트로브수단(231)의 충전수단은 실행된다.
파워가 ON이면, 스텝(S0003 내지 S0055)으로 부터의 상기 프로세스는 촬영자의 작동에 따라 반복되며, 어떠한 작동도 착수되지 않으면, 스탠드바이 상태는 유지되며 즉 촬영 준비상태가 된다.
[리세팅 프로세스]
도 42는 메인프로세스의 스텝(S0001)에서 리세팅 프로세스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리세팅 프로세스에서 다음과 같은 프로세스가, 즉 CPU(210)의 각각의 포트와 같은 하드웨어초기화, RAM초기화, 테스트 기능의 부름, 조정데이타의 판독, 셔터의 초기화, AF 렌즈의 초기화 및 렌즈격납 프로세스가 실행된다.
스텝(S1101)에서, 하드웨어의 초기화 즉 CPU(210)의 각각의 포트의 레벨을초기화시키는 것이 실행되며 S1103에서 RAM의 초기화 즉 RAM을 CPU(210)에서 제거하는 것이 실행된다.
스텝(S0015)에서 테스트 기능 프로세스(도 68)가 실행되는데, 즉, 카메라의 각각의 기능은 조립동안에 또는 조립후에 컴퓨터와 같은 외부측정장치에 의해서 테스트된다.
본발명의 본 실시예의 테스트 기능 프로세스에 있어서, 테스트될 기능에 대한 명령이 외부측정장치로부터 출력되지만, 실제 프로세스는 CPU(210)에 의해서 실행된다.
스텝(S1107)에서 조정데이타는 EEPROM(230)으로부터 판독된다.
조정데이타는 노출조정값 데이터, 초점조정값 데이터 및 조리개 조정데이터를 포함하고 있다. 노출조정값 데이터는 설계 조리개값과 실제 조리개값 사이의 에러를 조정하거나 또는 상이한 투과율을 가진 상이한 렌즈로 인한 차이를 조정하며 카메라의 선적전에 저장된다. 조리개 조정데이터는 셔터블레이드의 설계 개방도와 실제 개방도 사이의 차이가 AE 모터(29)의 구동시 AE엔코더에 의해서 검출된 AE 펄스수에 대해 조정되었는지의 여부를 검출한다. 조정이 수행되면, 조리개 조정값은 조정데이터의 부분으로서 EEPROM(230)내에 저장된다.
스텝(S1109)에서, 셔터초기화 프로세스는 셔터블레이드(27a)를 완전하게 폐쇄하도록 실행된다. 본발명의 본 실시예에 있어서, 셔터블레이드(27a)의 개방이 AE모터(29)에 의해서 수행되므로, 셔터가 개방되는 동안에 배터리가 제거될수 있는 가능성이 있으며 또한 셔터가 개방되는 동안에 배터리가 장전되는 가능성이 있다.그러므로 AE 모터(29)는 셔터블레이드(27a)를 폐쇄하는 방향(셔터폐쇄방향)으로 구동되어 셔터블레이드(27a)가 초기위치 스토퍼(도시안됨)와 접촉상태로 되는 폐쇄상태로 세팅한다.
스텝(S1111)에서 AF 렌즈 초기화 프로세스(도 43)는 실행되는데, 즉 후방렌즈그룹(L2)은 가장 멀리 신장되는 초기위치로 이동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후방렌즈그룹 구동모터(30)는 전방렌즈그룹(L1)에 근접한 가장 멀리신장된 위치, 즉 초기위치로 후방렌즈그룹(L2)를 전방이동하도록 구동된다.
스텝(S1113)에서 에러플래그가 세팅되었는지의 여부가 체크되고 에러플래그가 세팅되면 제어는 그 이상의 어떤 프로세스도 실행함 없이 복귀되며 반면에 에러 플래그가 세팅되지 않으면, 제어는 스텝 S1115에서 렌즈격납 프로세스(도 44)를 실행한후 복귀한다.
렌즈격납프로세스에 있어서 배리어 블레이드(48a, 48b)는 전체 유니트 구동모터(25)를 구동시킴에 의해 카메라 몸체(201)내의 격납위치로 렌즈배럴을 후방이동시킴으로써 폐쇄된다. 에러플래그가 정상사용중에 제거되면, 렌즈격납 프로세스가 실행된다.
에러플래그가 1로 세팅되면, 렌즈의 격납(후퇴)은 후방렌즈그룹(L2)이 AF 초기화 프로세스에 있는 초기위치(즉 AF원위치)에 있는 것이 보증될수 없으므로 정지되고, 렌즈 격납프로세스가 이러한 상태로 실행되면 후방렌즈그룹(L2)이 구멍판(14)과 충돌될수 있는 가능성이 존재하여 렌즈 격납프로세스가 취소된다.
[AF렌즈 초기화 프로세스]
도 43은 AF렌즈 초기화 프로세스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AF 렌즈초기화 프로세스에서 렌즈가 격납되면 전체유니트 구동모터(25)는 시계방향으로 구동하고 후방렌즈그룹 구동모터(30)는 예증되지 않은 배리어 구동기어장치에 연결되며 전방렌즈그룹(L1)과 후방렌즈그룹(L2)은 전체유니트 구동모터(25)에 의해서 "광각" 위치로 전체로서 이동되며 그 다음에 후방렌즈그룹(L2)은 AF 원위치로, 즉 후방렌즈그룹 구동모터(30)를 구동시킴으로써 전방렌즈그룹(L1)에 가장 근접하게 될 수 있는 위치로 이동된다.
렌즈가 격납위치와 다른 어떤 위치에 있으면, 전체유니트 구동모터(25)는 시계방향으로 구동되며, 줌코드중의 하나가 검출되면 후방렌즈그룹 구동모터(30)는 구동되며 후방렌즈그룹(L2)은 AF원위치, 즉 전방렌즈그룹(L1)에 가장 근접한 위치로 이동된다. 하지만 후방렌즈그룹 구동모터(30)가 격납위치에서 배리어 구동기어 장치에 연결되고 격납위치와 다른 위치에서 후방렌즈그룹 구동기어 장치에 연결되면, 전체유니트 구동모터(25)는 후방렌즈그룹(L2)이 구동될때 전방렌즈그룹(L1)과 후방렌즈그룹(L2)을 격납위치와 다른 위치(즉 "광각위치" 또는 더 먼위치)로 이동시키도록 구동되어야 한다.
스텝(S1201)에서 전체유니트 구동모터(25)는 먼저 시계방향으로 즉 렌즈를 신장하는 방향으로 구동된다. 렌즈가 격납되면 배리어 구동장치는 배리어 구동기어로부터 분리되고 렌즈구동기어와 결합되어 후방렌즈그룹(L2)이 구동될 수 있는 상태로 있게 한다.
스텝(S1203)에서 CPU(210)는 줌코드 입력수단(219)으로부터의 전압입력에 대한 A/D 변환을 수행하고 그리고 얻어진 디지탈 값을 줌코드로 변환시킨다.
스텝(S1205)에서 CPU(210)는 변환된 줌코드를 체크하고 코드가 스텝(S1205)에서 범위(2 내지 6)내에 있으면, 전체유니트 구동모터(25)는 스텝(S1207)에서 바로 정지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줌 코드(1)는 격납위치를 나타내며 줌코드(2)는 "광각" 쪽 위치를 나타내고 줌코드(6)는 "망원"쪽 위치를 나타내고 줌코드(3,4,5)는 중간 줌 위치를 나타내며 줌코드(0)는 OFF 상태를 나타낸다. 스텝(S1201 내지 S1207)의 프로세스에서 렌즈 배럴(16, 19, 20)은 범위(2내지 6)내의 줌코드가 검출될때까지 신장된다.
스텝(S1209)에서 전체유니트 구동모터(25)가 정지되면, AF 펄스확인 프로세스(도 53)는 실행되며 후방렌즈그룹(L2)은 AF 원위치로 이동된다. AF 펄스 확인 프로세스는 후방렌즈그룹 구동모터(30)가 캠홈내로 캠종동자와 같은 기계적 구성요소가 소위 "물림"되는 것을 제거하기 위하여 정 및 역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동되는 것에 특징되어진다.
후방렌즈그룹(L2)이 AF 원위치로 이동된후 제어는 복귀된다.
[렌즈 격납프로세스]
도 44 및 도 45는 렌즈격납 프로세스의 순서도를 도시하고 있다.
렌즈 격납프로세스에서 전방렌즈그룹(L1)과 후방렌즈그룹(L2)은 격납위치로 복귀된다.
즉, 이 프로세스는 후방렌즈그룹(L2)이 후방렌즈그룹 구동모터(30)에 의해서AF 원위치로 복귀되고 그리고 렌즈, 즉 전방렌즈그룹(L1)과 후방렌즈그룹(L2)이 전체유니트 구동모터(25)에 의해서 격납위치로 구동되고 그 다음에 렌즈 배리어가 폐쇄되는 것이다.
스텝(S1301)에서 렌즈격납프로세스가 불러지면 전체유니트구동모터(25)는 시계방향으로 즉 "망원" 줌방향으로 구동된다. 스텝(S1303)에서 줌코드 입력프로세스(도 52)는 현재의 줌코드 즉 렌즈격납 프로세스가 불러지는 시간에 렌즈위치에 대응하는 줌코드가 검출될때까지 실행된다. 줌코드가 스텝(S1305)에서 검출되면, 스텝(S1307)에서 전체유니트 구동모터(25)의 구동은 정지된다. 다음에 스텝(S1309)에서 후방렌즈그룹(L2)이 AF 원위치에 있는지의 여부가 판단된다. 후방렌즈그룹(L2)이 스텝(S1309)에서 AF원위치에 있지않으면 AF 복귀프로세스(도 54)는 실행되며 후방렌즈그룹(L2)은 AF 원위치로 이동한다.
후방렌즈그룹(L2)이 AF원위치에 있지않을 때, 즉 후방렌즈그룹(L2)이 필름을 향해 돌출할 때 렌즈격납 프로세스가 수행되면, 후방렌즈그룹(L2)은 렌즈가 격납위치에 도달하기 전에 카메라 몸체의 구멍판(14)과 충돌할수 있다. 이러한 발생을 회피하는 목적으로 후방렌즈그룹(L2)은 렌즈가 격납되기전에, 즉 전체 유니트 구동모터(25)의 반시계 방향으로의 구동전에 AF 원위치로 복귀된다.
렌즈 격납 프로세스가 불러질 때 렌즈가 "광각" 쪽 위치에 위치되면 후방렌즈그룹 구동모터(30)가 후방렌즈그룹(L2)의 이동장치에 연결되지 않지만 대신에 배리어 개방장치에 연결되는 가능성이 있다. 후방렌즈그룹 구동모터(30)가 배리어 개방장치에 연결되면, 또한 동시에 후방렌즈그룹(L2)이 AF 원위치로부터 신장되면,후방렌즈그룹(L2)은 후방렌즈그룹 구동모터(30)가 구동될때에도 AF 원위치로 이동되지 않는다.
스텝(S1301 내지 S1307)의 프로세스에서 렌즈는 도 34에 도시된 바와같이 "광각"쪽 위치을 넘어서 "망원"쪽으로 일단 구동되어 후방렌즈그룹 구동모터(30)는 스텝(S1307)후 후방렌즈그룹(L2)의 구동장치에 한정적으로 연결된다.
스텝(S1311)에서 AF 복귀 프로세스에서 후방렌즈그룹 구동모터(30)를 구동시킴으로써 후방렌즈그룹(L2)이 AF 원위치에 위치되지 않은 것을 스텝(S1309)에서 판단한후, 후방렌즈그룹(L2)은 확실하게 이동될수 있다.
스텝(S1309)에서 후방렌즈그룹(L2)이 AF원위치에 위치된 것으로 판단되면, CPU(210)는 AF 복귀 프로세스(스텝 S1311)를 건너뛰고 스텝(S1312)에서 렌즈를 격납하기 위한 이동프로세스로 진행한다.
스텝(S1312)에서 "광각" 쪽으로의 렌즈의 이동은 전체유니트 구동모터(25)를 반시계 방향으로 구동시킴으로써 시작되고 스텝(S1313)에서 2초-타이머는 시작된다.
그 다음에 스텝(S1315내지 S1329)에서 2초-타이머의 종료전에 렌즈의 이동에 따라 변화하는 줌코드는 "광각"쪽 위치에 도달하는 렌즈를 검출하기 위하여 입력된다.
스텝(S1315)에서 CPU는 타이머의 시간이 종료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시간이 종료"라는 문구는 줌코드의 변화가 2초내에 검출되지 않아 렌즈의 이동이 정지된 경우를 나타낸다. 시간이 종료되지 않으면, 스텝(S1312)에서 줌코드 입력프로세스는 불러지고 줌코드는 입력된다.
줌코드가 변화되었는지의 여부가 스텝(S1323)에서 판단되고 줌코드가 변화되면, 2초-타이머는 리세팅된다. 스텝(S1323)에서 줌 코드가 변화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그 다음에 렌즈가 격납위치에 도달되었는지를 스텝(S1327)에서 판단한다.
렌즈가 격납위치에 도달하지 않으면, 스텝(S1329)에서 렌즈가 "광각"쪽 위치에 도달하는지 안하는지를 판단한다. 격납코드 또는 "광각" 코드가 검출되지 않으면, CPU(210)는 스텝(S1315)으로부터 프로세스를 반복시킨다.
상기 프로세스를 반복하는 동안에 시간이 종료되면, 스텝(S1317)에서 CPU(210)는 전체유니트 구동모터(25)를 정지시키고 에러의 발생을 나타내기 위하여 에러 플래그를 1설정하고(스텝 S1319) 렌즈격납프로세스는 종료되고 제어는 현재의 프로세스가 불러지는 위치로 복귀된다.
스텝(S1329)에서 "광각"코드가 상기 프로세스 동안에 검출되고 4초-타이머가 스텝(S1331)에서 세팅되고 카운터가 0에 리셋팅되면(스텝S1335), 스텝(S1337)으로부터 스텝(S1361)까지의 프로세스는 4초-타이머가 종료될때까지 반복된다.
여기에서 전체유니트구동모터(25)가 연속적으로 구동되는 동안, 즉 렌즈가 격납위치를 향해 "광각" 쪽 위치를 넘어 이동하는 동안에 후방렌즈그룹 구동모터(30)가 간헐적으로 구동되는 프로세스가 실행된다.
본 실시예의 카메라(1)에서 이미 설명된 바와같이, 후방렌즈그룹(L2)의 이동 및 배리어의 개폐는 후방렌즈그룹 구동모터(30)에 의해서 실행된다. 렌즈가 "광각"쪽 위치의 "망원"측에 위치되면, 후방렌즈그룹 구동모터(30)는 후방렌즈그룹(L2)의 구동장치에 연결되고 배리어 개방장치에 연결되지 않는다. 하지만, 렌즈가 "광각"쪽 위치로부터 격납위치를 향해 위치되어 렌즈가 격납될 때 배리어/렌즈 전환기어 장치는 후방렌즈그룹 구동모터(30)가 배리어 개방장치에 연결되도록 전환되어야 한다.
배리어/렌즈 전환기어장치가 이 시기에서 실패없이 배리어 구동기어의 톱니와 확실하게 결합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하여 기어의 전환이 렌즈의 이동에 따라 캠장치를 통하여 실행되게 설계되었지만, 후방렌즈그룹 구동모터(30)는 렌즈가 "광각"쪽 위치로부터 격납위치로 이동되는 동안에 구동되는데, 즉 전체유니트 구동모터(25)의 반시계 방향 구동이 시작되는 스텝(S1311)후에 후방렌즈그룹 구동모터(30)는 간헐적으로 구동되도록 설계된다.
스텝(S1337)에서 4초-타이머의 시간이 종료하는지 안하는지를 판단한다.
4초-타이머의 시간은 에러가 발생되지 않는한 종료되지 않고 N(NO) 판단은 통상 스텝(S1337)에서 이루어진다. 스텝(S1345)에서 1ms 대기한후, 카운터는 스텝(S1347)에서 증가되고 카운터의 값이 스텝(S1349)에서 100에 도달하는지 안하는지를 판단한다.
카운터의 값이 100보다 작으면, N 판단은 스텝(S1349)에서 이루어지며, 그 다음에 스텝(S1351)에서 카운터값이 스텝(1351)에서 80에 도달되었는지의 여부가 판단된다.
카운터 값이 스텝(S1351)에서 80 보다 작으면 줌코드 입력 프로세스는 불리워지고 줌코드가 스텝(S1359)에서 입력된다. 격납코드가 스텝(S1361)에서 검출되지 않으면, 제어는 스텝(S1337)로 복귀되고 이 프로세스가 반복된다. 스텝(S1351)에서 카운터의 값이 80에 도달하면, 후방렌즈그룹 구동모터(30)의 반시계방향 구동은 스텝(S1353)에서 실행된다. 카운터의 값이 100에 도달하면, 카운터는 0으로 리세팅되며 후방렌즈그룹 구동모터(30)는 스텝(S1355, S1357)에서 정지된다.
1ms의 대기시간이 스텝(S1355)에서 세팅되면, 상기 프로세스는 100ms 사이클에서 반복된다. 그러므로 카운터의 값이 0과 80보다 작은 것 사이에 있으면, 즉 "광각"쪽 코드의 검출후 80ms가 경과될때까지 단지 전체 유니트 구동모터(25)만 구동된다.
카운터의 값이 80또는 그 이상 및 100보다 작을 때, 즉 "광각" 쪽 코드의 검출후 80ms 또는 그 이상 및 100ms 보다 작게 될 때까지 전체 유니트 구동모터(25)와 후방렌즈그룹 구동모터(30) 양자가 구동된다. 카운터의 값이 100에 도달하면 즉 100ms 가 경과되면, 후방렌즈그룹 구동모터(30)가 구동정지되고 단지 전체 유니트 구동모터(25)만이 연속적으로 구동된다. 상기 프로세스가 반복되기 때문에, 전체 유니트 구동모터(25)의 구동시 후방렌즈그룹 구동모터(30)는 각각 100ms 주기에서 20ms 동안 구동된다.
4초-타이머가 종료되기전 격납코드가 검출되지 않으면, 시간은 스텝(S1337)에서 종료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격납코드는 렌즈의 이동이 어떤 이유로해서 방해 받으면 4초내에 검출되지 않으며 이러한 경우에 스텝(S1339, S1341)에서 후방렌즈그룹 구동모터(30)와 전체 유니트 구동모터(25)는 정지되고 프로세스는 에러의 발생을 나타내도록 에러를 1에 세팅하고 종료된다.
상기 프로세스 동안에 격납코드가 검출되면, CPU(210)는 스텝(S1363)에서 후방렌즈그룹 구동모터(30)을 정지시키고 또한 스텝(S1365)에서 전체 유니트 구동모터(25)를 정지시키며 배리어 폐쇄프로세스를 부름으로써 배리어를 폐쇄한후 렌즈격납 프로세스가 완료된다. 배리어 폐쇄 프로세스는 후방렌즈그룹 구동모터(30)에 의해서 렌즈 배리어를 폐쇄하는 프로세스이다.
[렌즈 신장 프로세스]
도 46은 렌즈신장 프로세스의 순서도이다.
렌즈신장 프로세스에서 카메라 상태가 스탠드바이 상태에서 파워 "ON"상태(즉 작동상태)로 변화될 때, 렌즈 배리어는 개방되고 렌즈(전방렌즈그룹(L1)과 후방렌즈그룹(L2))는 격납위치로부터 "광각"쪽 위치로 신장된다.
렌즈신장 프로세스가 불러지면 스텝(S1401)에서 배리어 개방 프로세스는 불러지고 배리어는 후방렌즈그룹 구동모터(30)를 구동시킴으로서 개방된다. 배리어 개방프로세스에 있어서, 펄스가 AF 기준 펄스 입력수단(222)으로부터 출력되지 않으면, 즉 후방렌즈그룹 구동모터(30)가 구동되지 않으면, 에러 플래그는 1로 세팅된다.
스텝(S1403)에서 에러 플래그가 배리어 개방 프로세스에서 1로 세팅되었는지의 여부가 판단된다. 에러플래그는 배리어 개방 프로세스가 정상적으로 종료되지 않으면 1로 세팅되며 이 경우에 스텝(S1405)후에 렌즈 신장 프로세스는 실행되지 않으며 제어는 복귀된다. 에러플래그는 배리어 개방 프로세스가 정상적으로 종료되면 0으로 세팅되며, 이 경우에 스텝(S1405)에서 전체 유니트 구동모터(25)는 시계 방향으로 구동되며, "망원" 방향으로 후방렌즈그룹(L2)과 전방렌즈그룹(L1)의 이동이 시작된다.
전체 유니트 구동모터(25)의 구동의 시작으로 CPU(210)는 4초-타이머를 스텝(S1407)에서 시동하고 타이머의 시간이 종료되기전에 "광각"쪽 코드의 여부(즉 렌즈가 "광각" 쪽 위치에 도달하는지의 여부)가 검출되었는지를 모니터링한다.
스텝(S1409)에서 CPU(210)는 타이머의 시간의 종료여부를 판단한다.
정상적으로, 렌즈가 렌즈신장의 시작으로부터 4초 내에 "광각"쪽 위치에 도달하면 스텝(S1409)에서의 판단은 "N"이다. 스텝(S1415)에서 줌 코드 입력 프로세스는 불러지고 스텝(S1417)에서 입력코드의 여부, 즉 렌즈위치에 대응하는 줌코드가 "망원"쪽 코드인지의 여부가 판단되며 입력코드가 "망원"쪽 코드에 있지 않으면, 스텝(S1419)에서 입력코드가 "광각"쪽 인지의 여부가 판단된다.
렌즈는 4초내에 격납위치로부터 "망원"쪽 위치로 이동한다.
따라서 4초-타이머의 시간이 종료되기전에 "망원"쪽 코드 또는 "광각"쪽 코드가 검출되지 않으면, 예컨대 렌즈의 이동이 방해를 받는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므로, 스텝(S1409)에서 시간이 렌즈이동시 종료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스텝(S1411)에서 전체 유니트 구동모터(25)의 구동은 정지되며 스텝(S1413)에서 에러플래그는 에러가 발생된 것을 나타내도록 세팅되고 렌즈신장 프로세스가 종료된다.
정상렌즈 신장프로세스에서 렌즈가 신장되면, "광각"쪽 코드가 먼저 검출된다.
스텝(S1419)에서 "광각"쪽코드가 검출되면 스텝(S1423)에서 렌즈위치의 표시기인 줌스텝은 "광각"위치에 대응하는 0으로 세팅된다.
스텝(S1425)로부터 렌즈를 정지시키기 위한 프로세스가 실행된다.
렌즈신장 프로세스가 "광각" 쪽코드를 검출함 없이 연속되면 렌즈는 결국 이동할 수 있는 범위의 끝에 도달하여 이동가능하지 않게 된다.
본 실시예의 카메라(1)에서 렌즈신장 프로세스시 렌즈는 "광각"쪽이 검출되지 않아도 계속해서 이동되며, "망원"쪽 코드가 스텝(S1417)에서 검출될 때, 렌즈의 이동, 즉 스텝(S1425)후의 프로세스가 정지된다. 렌즈가 "망원"쪽 위치에 도달되면 줌스텝은 스텝(S1421)에서 "망원"쪽 위치에 대응하는 13으로 세팅된다. 그러므로 렌즈신장 프로세스시 줌스텝은 렌즈가 "망원"쪽으로 이동될때도 렌즈위치에 대응하는 보정값으로 세팅된다.
상술한 바와같이 렌즈가 신장되고 줌스텝이 렌즈위치에 대응하도록 세팅되면, 렌즈를 정지시키기 위하여 스텝(S1425)에서 스텝(S1435)까지의 프로세스가 렌즈를 정지시키도록 실행된다. 본 실시예의 카메라에서 렌즈의 위치를 얻기위하여 줌스텝은 줌코드를 검출함에 따라 세팅되며, 하지만 렌즈가 줌코드를 검출하는 목적으로 정지되면, 브러쉬는 소정의 양만큼 "광각"쪽위치, 즉 스탠드바이 위치를 향하여 변위되는 위치에서 정지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렌즈가 줌밍 또는 초점맞춤의 목적으로 이동되면, 렌즈는 브러쉬(9a)가 줌코드와 접촉하기 위하여 이동방향이 "광각" 쪽 또는 "망원"쪽을 향하던지에 관계없이 "망원"쪽을 향해 일단 이동된다.그 다음에 줌코드는 줌코드가 입력되는 위치를 기초로한, 즉 줌코드가 입력되는 위치를 기준위치로 함으로써 줌렌즈의 이동량을 제어하는 CPU(210)에 입력된다.
스텝(S1425)에서 소정의 값을 가진 제1줌펄스(ZP1)는 줌펄스 카운터에서 세팅되며 줌구동 프로세스는 도 57에 도시된 바와같이 불러진다. 줌구동프로세스에서 전체 유니트 구동모터(25)는 시계 방향으로 즉, 전체 유니트 구동모터(25)의 회전과 동기화하여 줌펄스 입력수단(220)에 의해서 CPU(210)에 출력된 펄스의 수가 줌펄스 카운터에 세팅된 카운팅값과 동일할때까지 렌즈가 "망원"쪽으로 이동되는 방향으로 구동된다. 그 결과 렌즈는 줌코드 검출단자가 줌코드를 검출하는 위치로부터 소정의 양만큼 "광각" 위치를 향해 더 이동함에 따라 정지된다.
렌즈가 줌구동 프로세스에 의해서 이동될 때 줌코드 검출용 브러쉬가 줌코드를 지나 이동되어 "망원"측상의 비연속 부분에서 실패하지 않고 위치결정되게 하는 값은 스텝(S1425)에서 줌펄스 카운터에서 세팅되는데 제1줌펄스(ZP1)로서 사용된다. 또한, 제1줌펄스(ZP1)의 값은 다음 상태를 만족한다. 본 실시예의 카메라에 있어서, 파인더 광학시스템의 배율은 렌즈이동에 따라 변화한다. 따라서, 제1줌 펄스(ZP1)는 렌즈가 펄스의 값에 대응하는 양만큼 이동되더라도 파인더의 배율이 영향받지 않도록 세팅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셔터버튼이 눌러졌을 때 렌즈가 이동하지만 이때 렌즈의 이동량에 대응하는 줌펄스의 수는 제1줌펄스(ZP1)의 값을 초과하지 않는 값으로 세팅된다.
렌즈가 줌펄스(ZP1)에 대응하는 양만큼 이동된후, 스텝(S1429)에서 후방렌즈그룹(L2)이 AF 원위치에 위치되었는지의 여부가 판단되며 후방렌즈그룹(L2)이 AF원위치에 위치되지 않으면 즉 후방렌즈그룹(L2)이 스텝(S1429)에서 AF 원위치로부터 신장되면 AF 복귀프로세스는 스텝(S1431)에서 불러지고 후방렌즈그룹(L2)은 AF 원위치로 이동된다.
후방렌즈그룹(L2)이 AF 원위치에 위치되는 상태에서 스텝(S1433)에서 AF 2-스테이지 신장프로세스 및 스텝(S1435)에서 줌복귀 프로세스가 실행되고 제어가 복귀된다.
AF 2-스테이지 신장 프로세스는 후방렌즈그룹(L2)이 AF 원위치로부터 일정한 양만큼 신장되는 프로세스이다. 본발명의 카메라에 있어서, 촬영이 수행될 때(셔터 버튼이 완전히 눌러졌을때), 전체 유니트 구동모터(25)에 의한 전방렌즈그룹(L1)과 후방렌즈그룹(L2)의 이동에 부가하여 전방렌즈그룹(L1)과 후방렌즈그룹(L2)이 줌밍을 위해 동시에 이동된후에 후방렌즈그룹 구동모터(3)에 의한 후방렌즈그룹(L2)만의 이동은 초점맞춤과 초점길이의 조정을 위하여 또한 수행된다.
촬영에서 렌즈가 "광각"쪽 측에 있을 때 후방렌즈그룹(L2)의 이동량이 비교적크므로, 셔터버튼이 눌러지는 시점과 노출이 실제로 수행되는 시점사이의 시간차이인 릴리즈시간 지연은 더 길게된다. 릴리즈시간 지연을 짧게 하기 위하여 본발명의 카메라에서 렌즈가 후방렌즈그룹(L2)의 이동이 비교적 큰 광측에 위치될 때, 후방렌즈그룹(L2)은 사전에 소정의 양만큼 신장된다. AF 2 스테이지 신장 프로세스는 이 목적을 위하여 수행되며 렌즈가 "광각" 측상에 위치될때만 후방렌즈그룹(L2)이 소정의 양만큼 신장되는 프로세스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렌즈가 "광각"측에 있는지 없는지에 대한 판단은 줌스텝이 4보다 작은지의 여부 또는 4인지의 여부에 따라 이루어지며 이것은 후에 설명될 것이다. 스텝(S1434)에서 줌복귀 프로세스가 줌펄스(ZP2)에 상응하는 소정된 양만큼 "광각" 방향쪽으로 렌즈를 이동시킨다(후에 설명됨).
[줌 "망원" 이동 프로세스]
도 47은 줌 "망원" 이동 프로세스의 순서도를 도시하고 있다.
이 프로세스는 줌 "망원" 이동프로세스시 줌코드판(13b)과 전방렌즈그룹(L1) 및 후방렌즈그룹(L2)의 위치 사이의 관계를 도시한 도 34를 참조하여 먼저 설명된다.
줌 "망원" 이동프로세스는 렌즈배럴(16, 19, 20)이 신장되는 방향으로(즉 초점길이가 길게 되는 방향으로)으로 전체 유니트 이동모터를 구동하도록 하는, 즉 전방렌즈그룹(L1)과 후방렌즈그룹(L2)이 이들 사이의 상대적인 변화없이 전체로서 전진하도록 하는 프로세스이다.
줌 "망원" 이동프로세스에서 렌즈의 현재위치에 상응하는 줌코드는 전체 유니트구동 모터(25)를 시계방향으로 구동시킴으로써 검출된다. 줌코드가 "ON"으로 변환되는 지점은 전체 유니트구동모터(25)가 정지될 때의 기준점으로서 사용된다. 전체 유니트이동모터(25)가 이 기준점에 대한 소정된 제1줌펄스값(ZP1)만큼 렌즈를 전진시키기 위하여 시계방향으로 구동되어진 후 전체 유니트구동모터(25)는 반시계방향으로 구동된다. 전체 유니트구동모터(25)가 줌코드가 "ON/OFF"로 다시 변환하는 지점에 대한 제2줌펄스값(ZP2) 만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하여 구동되어진 후 전체 유니트구동모터(25)는 백래쉬 제거 줌펄스값(ZP3)만큼 시계방향으로구동되고, 그리고 전체 유니트구동모터(25)는 정지된다. 이 줌 "망원" 이동프로세스에 의해서 줌렌즈는 전방 전진방향으로의 백래쉬가 어느 정도로 제거되어 있는 상태로 줌코드들 사이에서 정지된다.
더구나, 본 실시예에서, 전체 유니트구동모터(25)가 정지할 때, 줌스텝이 4 보다 크지 않다면 후방렌즈그룹(L2)은 소정된 AF펄스값(AP1)에 상응하는 양만큼 수축된다.
본 실시예에서, 현 렌즈위치는 "광각" 쪽으로부터 "망원" 쪽까지 이루는 초점길이범위를 14부분으로 나누고 줌스텝(0)을 "광각" 쪽으로, 줌스텝(13)을 "망원" 쪽으로, 그리고 줌스텝(1 내지 12)을 그 사이의 초점길이로 지정함으로써 제어된다.
줌 "망원" 이동프로세스에 있어서, 스텝(S1501)에서 렌즈가 "망원" 쪽 위치에 있는지의 여부가 체크되고, 그리고 렌즈가 "망원" 쪽 위치에 있다면 망원-줌밍이 필요가 없기 때문에 제어는 복귀한다.
렌즈가 스텝(S1501)에서 "망원" 쪽 위치에 있지 않다면 스텝 S1503에서 전체 유니트 구동모터(25)는 시계방향으로, 다시 말하면 망원줌 방향으로 구동되고, 그리고 줌코드 입력 프로세스는 스텝(S1505)에서 실행되고, 그리고 줌스텝에 상응하는 현 줌 코드가 스텝(S1507)에서 검출될때까지 대기가 실행된다. 줌스텝에 상응하는 현 줌코드가 검출될 때 스텝(S1509)에서 2초-타이머는 전체 유니트구동모터(25)가 소정된 시간(즉, 2초) 동안 구동할 수 없는 상태를 검출하기 위하여 시작된다.
2초-타이머가 시작될 때 스텝(S1511)에서 시간이 종료되었는지의 여부가 체크된다. 정상작동의 경우에서 시간은 종료되지 않을 것이므로 스텝(S1513)에서 줌코드 입력프로세스가 실행된다. 그리고나서 스텝 S1515에서 줌코드가 변화되었는지의 여부가 체크되고, 그리고 줌코드가 변화되지 않았다면 "망원" 쪽 코드검출체크는 스텝(S1519)에서 직접 실행되는 한편, 줌코드가 변화되었다면 "망원" 쪽 코드검출체크는 스텝 S1517에서 2초-타이머를 다시 시작한 후에만 스텝(S1519)에서 실행된다.
전체 유니트구동모터(25)가 소정된 시간동안 구동되어진 후에도 줌코드가 변하지 않았다면 렌즈배럴이 어떤 피사체와 접촉하고 있는 것과 같은 비정상 상태가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추측된다. 그러므로 스텝(S1511, S1537 및 S1539)에서 2초-타이머를 시작한 후 2초가 경과되고 2초-타이머의 시간이 줌코드의 어떠한 가변없이 종료되면 전체 유니트 구동모터(25)는 정지 되고, 그리고 에러플래그는 세팅되고, 그리고 제어는 복귀된다.
"망원" 쪽코드가 스텝(S1519)에서 검출되지 않는다면 다음 줌코드가 스텝(S1521)에서 검출되었는지의 여부가 판단되고, 그리고 다음 코드가 검출되지 않으면 스텝(S1511 내지 S1519)의 프로세스는 반복된다. 다음 줌코드의 검출시 줌스텝은 스텝(S5123)에서 1씩 증가되고, 그리고 "망원" 스위치(62T)가 스텝(S1525)에서 ON이면 제어는 스텝(S1511)으로 복귀되고, 그리고 상기 프로세스들이 반복되는 한편, "망원" 스위치가 OFF이면 스텝(S1525)으로의 점프가 실행된다. 다시 말하면, 이 프로세스가 일단 개시되면 망원-줌밍은 망원-줌밍이 하나의 줌스텝에 의해서 실행되기전에 줌스위치(62T)가 OFF로 변환될 때에도 하나의 줌스텝에 의해서 실행된다.
스텝(S1529)으로의 점프는 렌즈가 "망원" 쪽에 도달할 때 또는 "망원" 스위치(62T)가 OFF로 변환될 때(스텝 S1525, S1529 또는 S1519, S1527, S1529) 실행된다. 이 점프가 "망원" 쪽에 도달함에 따라 실행되면 줌스텝은 스텝(S1527)에서 13으로 세팅된다.
스텝(S1529)에서, 소정된 제1줌 펄스값(ZP1)은 줌펄스 카운터에서 세팅된다.
그리고나서 스텝(S1531)에서 줌구동 프로세스 후 AF 2-스테이지 딜리버리 프로세스(스텝 S1533) 및 줌복귀 프로세스(스텝 S1535)는 실행되고, 그리고 제어는 복귀된다.
줌구동시스템에서 전체 유니트구동모터(25)는 줌펄스카운터의 값에 상응하는 양, 다시 말하면 제1줌펄스값(ZP1)에 상응하는 양만큼 시계방향으로(즉, 렌즈가 신장되는 방향으로) 구동된다.
AF 2-스테이지 신장 프로세스에서, 전체 유니트구동모터(25)가 정지될 때 줌스텝이 4 보다 크지 않다면 후방렌즈그룹(L2)은 소정된 AF펄스값(즉, AP1)에 상응하는 양만큼 수축된다. 그리고나서 전체 유니트구동모터(25)는 줌코드가 ON/OFF로 변환하는 지점에 대하여 제2줌펄스값(ZP2)에 상응하는 양만큼 반시계방향으로 구동되고, 그리고 그후, 전체 유니트구동모터(25)는 백리쉬 제거 제3줌펄스값(ZP3)에 상응하는 양만큼 시계방향으로 구동되고나서 전체 유니트구동모터(25)가 정지된다. 이 줌 "망원" 이동프로세스에 의해서, 줌렌즈는 전진방향으로의 백래쉬가 어느 정도 제거되어 있는 상태로 줌코드들 사이에서 정지된다.
줌 복귀 프로세스에서 전체 유니트구동모터(25)는 반시계방향으로 구동되고, 그리고 줌코드가 ON/OFF로 변환하는 지점에 대하여 제2줌펄스값(ZP2)에 상응하는 양만큼 반시계방향으로 더 구동된다. 그후, 모터는 백래쉬 제거 제3줌펄스값(ZP3)에 상응하는 양만큼 시계방향으로 구동되고나서 전체 유니트구동모터(25)는 정지되어 줌코드 사이의 스탠드바이 위치에서 전방렌즈그룹(L1)과 후방렌즈그룹(L2)을 정지시킨다.
[줌 "광각" 이동 프로세스]
도 48은 줌 "광각" 이동 프로세스에 대한 순서도를 도시한다. 이 프로세스는 줌코드판(13b)과 줌 "광각" 이동 프로세스시 전방렌즈그룹(L1) 및 후방렌즈그룹(L2)의 위치와 줌코드판(13b)간의 관계를 도시하는 도 34를 참조로하여 먼저 설명될 것이다. 줌 "광각"이동 프로세스에서 전체 유니트구동모터(25)는 렌즈배럴(16, 19 및 20)이 수축되는 방향(즉, 초점길이가 보다 짧게되는 방향)으로 구동되며, 즉, 전방렌즈그룹(L1) 및 후방렌즈그룹(L2)은 그들 사이의 거리를 변화시킴 없이 전체로서 수축된다.
줌 "광각" 이동 프로세스에서, 전체 유니트구동모터(25)는 먼저 시계방향으로 구동 되고, 그리고 현렌즈위치에 상응하는 줌코드가 검출되는 지점으로부터 제1줌펄스값(ZP1)에 상응하는 양만큼 더 시계방향으로 구동되어진후 반시계방향으로 구동된다. 전체 유니트구동모터(25)가 중간줌구역에서 정지될 때 모터(25)는 줌코드가 "ON/OFF"로 변환하는 지점으로부터 제2줌펄스값(ZP2)에 상응하는 양만큼 반시계 방향으로 더 구동되고나서 모터(25)는 백래쉬 제거 줌펄스값(ZP3)에 상응하는양만큼 반시계방향으로 구동되고그다음 전체 유니트구동모터(25)는 정지된다. 이 줌"광각" 이동 프로세스에 의해서 줌렌즈는 전진방향으로의 백래쉬가 어느정도 제거되어 있는 상태로 줌코드들 사이에서 정지된다.
본 실시예에서, 전체 유니트구동모터가 정지할 때 줌스텝이 4 보다 크지 않다면 후방렌즈그룹(L2)은 소정된 AF펄스값(AP1)에 상응하는 양만큼 수축된다. 그 다음 모터(25)는 줌코드가 "ON/OFF"로 변환하는 지점에 대하여 제2줌펄스값(ZP2)에 상응하는 양만큼 반시계방향으로 구동되고나서 모터(25)는 백래쉬제거를 위한 줌펄스값(ZP3)에 상응하는 양만큼 시계방향으로 구동되고, 그다음 전체 유니트구동 모터(25)는 정지된다. 이 줌 "광각" 이동 프로세스에 의해서 줌렌즈는 전진방향으로의 백래쉬가 어느정도 제거되어 있는 상태로 줌코드들 사이에서 정지된다.
줌 "광각" 이동 프로세스가 개시될 때 스텝(S1601)에서 렌즈가 "광각"(즉, "광각" 쪽) 위치에 있는지의 여부가 체크되고, 그리고 렌즈가 "광각" 위치에 있다면 줌밍이 필요 없기 때문에 제어는 복귀한다.
스텝(S1601)에서, 렌즈가 "광각" 위치에 있지 않다면 전체 유니트구동모터(25)는 렌즈가 수축될 때 백래쉬로 인하여 다음 줌코드를 지나서 이동되어질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스텝(S1603)에서 시계방향, 예를들어 망원-줌밍 방향으로 구동된다. 스텝(S1605)에서 줌코드입력 프로세스는 실행되고, 그리고 대기는 줌스텝에 상응하는 현재 줌코드가 스텝(S1607)에서 검출될때까지 실행된다. 줌스텝에 상응하는 현 줌코드가 검출될 때 전체 유니트구동모터는 정지되고(스텝 S1609), 그리고나서 반시경 방향으로 구동되고(스텝 S1611), 그리고 2초-타이머는스텝(S1613)에서 시작된다.
2초-타이머가 시작될 때 시간이 스텝(S1615)에서 종료되었는지의 여부가 체크된다. 정상 작동의 경우에 시간은 종료되지 않을 것이므로 스텝(S1617)에서 줌코드 입력프로세스가 실행된다. 그리고나서 줌코드가 스텝(S1619)에서 변했는지의 여부가 체크되고, 그리고 줌코드가 변했다면 2초-타이머는 다시 시작되고(스텝 S1621), 그리고 격납코드가 스텝(S1623)에서 검출되었는지의 여부가 체크된다. 줌코드가 스텝(S1619)에서 변화되지 않았다면 제어는 스텝(S1623)으로 진행한다. 격납코드가 스텝(S1623)에서 검출되지 않으면 "광각" 쪽 코드가 스텝(S1625)에서 검출되는지의 여부가 체크되고, 그리고 "광각" 쪽 코드가 또한 검출되지 않으면 다음 줌코드가 스텝(S1627)에서 검출되었는지의 여부가 체크된다. 다음 줌코드가 검출되지 않았다면 제어는 스텝(S1615)로 복귀하고, 그리고 스텝(S1615)으로부터 스텝(S1627)까지의 프로세스는 다음 줌코드가 검출될때까지 반복된다.
다음 줌코드가 스텝(S1627)에서 검출될 때 줌스텝은 스텝(S1629)에서 1씩 감소되고, 그리고 "광각" 스위치(62W)는 스텝(S1631)에서 ON이면 제어는 스텝(S1615)로 복귀하고, 그리고 스텝(S1615) 내지 스텝(S1631)의 상기 프로세스는 반복된다. "광각" 쪽 코드가 스텝(S1625)에서 검출되면 또는 "광각" 스위치가 OFF이면, 제어는 스텝(S1633)으로 점프하고, 그리고 이 줌복귀 프로세스는 불리어진다(스텝 S1625, S1633, S1635, S1637 또는 S1631, S1635, S1637). 스텝(S1637)에서 점프가 "광각" 쪽 코드의 검출시 실행될 때 줌스텝은 0으로 세팅된다.
스텝(S1633)에서의 줌복귀 프로세스에서 전방렌즈그룹(L1) 및후방렌즈그룹(L2)은 이들이 촬영 프로세스에서의 렌즈구동 프로세스 전에 위치되어 있는 스탠드바이 위치로 복귀된다.
스텝(S1635)에서의 AF 2-스테이지 딜리버리 신장에서 후방렌즈그룹(L2)은 AF원위치로 수축되거나 또는 현 줌스텝에 따른 값(AP1)에 상응하는 양만큼 AF원위치로 부터 수축된 위치로 수축된다.
상기 설명이 정상작동에 관한 것이지만 렌즈배럴이 강제적으로 밀어지는 등의 경우 에서, 스텝(S1623)에서 격납코드가 검출되었는지가 체크되고나서 전체 유니트구동모터(25)는 스텝(S1639)에서 정지되고, 그리고 렌즈신장 프로세스는 제어가 복귀되기 전에 스텝(S1641)에서 실행된다. 또한, 시간이 2초-타이머에서 종료되면, 예를들어 렌즈배럴이 가압되어 이동할 수 없을 때 전체 유니트구동모터(25)는 스텝(S1645)에서 정지되고, 그리고 제어는 1로 에러플래그를 세팅한 후 복귀한다.
본 줌 "광각" 프로세스에서 "광각" 스위치 체크는 현 줌코드와 다음 줌코드를 검출한 후 실행되기 때문에 광각줌밍은 이 프로세스가 일단 개시되면 줌밍이 하나의 스텝에 의해서 실행되기전에 줌 "광각" 스위치(62W)가 OFF일때에도 하나의 줌스텝에 의해서 실행된다.
[촬영 프로세스]
도 49는 촬영 프로세스에 대한 순서도를 도시하고 있다. 본 실시예의 촬영프로세스는 광측정스위치(SWS)가 ON으로 변환될때 불리어지고, 그리고 먼저 전방렌즈그룹(L1)이 스탠드바이 위치에 있는지가 체크되고, 그리고 전방렌즈그룹(L1) 및 후방렌즈그룹(L2)이 릴리즈스위치(SWR)가 ON으로 변환된 후 현 초점길이에서 초점이피사체상에 세팅되어질 위치로 이동되는 것에 특징되어 진다.
촬영 프로세스에 있어서, 스텝(S1701)에서 줌 스탠드바이 확인 프로세스는 실행되고, 그리고 전방렌즈그룹(L1)은 현 초점길이에 상응하는 스탠드바이 위치로 이동된다.
그리고나서, 스텝(S1703, S1705 및 S1707)에서, 피사체 거리 측정 프로세스가 실행되어 소정길이가 얻어지고, 광측정 프로세스가 실행되어, 피사체의 휘도가 얻어지고, 그리고 AE 계산 프로세스가 셔터속도, 구멍값 및 스트로브 플래싱이 필요한지의 여부를 결정하기 위하여 실행된다. 스트로브 플래싱은 피사체의 휘도가 자동 스트로브 플래싱 모드에서 스트로브 플래싱 레벨에 있을 때, 또는 강제 스트로브 플래싱 모드가 세팅될 때 등등에서 필요될 것이다. 스트로브 플래싱이 스텝(S1709)에서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촬영 충전 프로세스는 스텝(S1711)에서 실행되고, 그리고 촬영 충전 프로세스 동안 광측정스위치(SWS)가 OFF로 변환된다면 또는 충전타이머의 시간이 종료된다면(스텝 S1713), 제어는 복귀하는 한편 충분한 충전이 완료되었다면 스텝(S1715)에서 플래시매틱(flashmatic; FM) 작동을 실행한 후 제어는 스텝(S1717)로 진행한다. 스트로브 플래싱이 스텝 S1709에서 필요하지 않다면 제어는 스텝(S1717)로 진행하며 스텝(S1711 내지 S1715)를 뛰어 넘는다.
스텝(S1717)에서 광측정스위치(SWS)가 ON으로 변환되었는지의 여부가 체크되고, 그리고 광측정 스위치(SWS)가 OFF로 변환되면 제어는 복귀한다. 광측정 스위치(SWS)가 스텝(S1717)에서 ON이면 릴리즈스위치(SWR)의 ON으로의 변환(스텝 S1719)는 광측정 스위치(SWS)가 ON으로 있는 동안 대기된다.
릴리즈스위치(SWR)가 ON일 때(스텝 S1719), 그리고 셀프-타이머모드가 스텝(S1721)에서 세팅되지 않으면 렌즈구동계산 프로세스는 스텝(S1725)에서 실행된다. 셀프-타이머모드가 세팅되면 렌즈구동계산 프로세스는 스텝(S1723)에서 셀프-대기 프로세스후 실행되며 여기서 대기는 소정된 시간 동안 수행된다.
렌즈구동계산 프로세스에서 줌코드의 ON/OFF 전환지점에 대한 전방렌즈그룹(L1)의 이동량, 예를들어 줌펄스값과 그리고 AF원신호(AF원위치)의 전환지점에 대한 후방렌즈그룹(L2)의 이동량, 예를들어 AF 펄스값은 초점맞춤의 결과와 현 초점길이에 따라 계산된다.
그리고나서, 스텝(S1725 및 S1727)에서 렌즈구동계산 프로세스를 통하여 얻어진 전방 렌즈그룹(L1)과 후방렌즈그룹(L2)의 이동량에 따라 렌즈구동 프로세스가 실행된다. 렌즈구동 프로세스에서 후방렌즈그룹(L2)은 전방렌즈그룹(L1)과 함께 구동되고, 그리고 제어는 피사체에 초점을 맞추도록 실행된다.
렌즈의 이동이 완료될 때 스텝(S1729)에서 그린램프(228)는 셔터가 해제될 것을 촬영자에게 알리기 위하여 발광되고(즉, 전류가 그린램프를 통과하게 되고), 그리고 노출 프로세스는 스텝(S1731)에서 실행된다. 그린램프(228)는 짧은 시간동안 발광되어 유지만되고 그후 OFF로 변환된다.
노출 프로세스가 완료되어진 후 스텝(S1733)에서 렌즈복귀 프로세스는 실행되고, 여기서 전방렌즈그룹(L1) 및 후방렌즈그룹(L2)은 스텝(S1727)에서 이동에 앞서 이들이 있었던 위치로 복귀된다.
그리고나서, 스텝(S1735, S1737 및 S1739)에서 필름 와인딩 프로세스는 실행되고, 그리고 필름이 필름의 끝에 있지 않다면 제어는 복귀되는 한편, 필름의 끝이 도달되어 있다면 되감기 프로세스가 실행되고, 그리고 제어는 복귀한다.
[메인충전 프로세스]
도 50은 메인충전 프로세스에 대한 순서도를 도시하고 있다. 메인충전 프로세스는 충전 요구 플래그가 1과 같을 때 메인 프로세스(도 41)로 불리워지는 충전 프로세스이다.
스텝(S1801)에서 CPU(210)는 충전 디스에이블 타이머의 값이 0으로 세팅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충전 디스에이블 타이머는 충전이 디스에이블되는 동안 시간이 세팅된 타이머이다. 3초의 충전 디스에이블 시간은 스트로브 수단(231)의 플래시 커패서터(530)가 완전하게 충전될 때 세팅된다. 시간이 스텝(S1801)에서 충전 디스에이블 타이머에서 끝나면 스텝(S1803)에서 충전 요구 플래그는 0으로 세팅되고, 그리고 이 프로세스는 종결된다. 이러한 방식에서, 충전 디스에이블 타이머가 충전이 디스에이블되게 되는 3초를 카운트하는 동안 CPU(210)는 충전전압을 체크함없이 무조건으로 충전을 금지한다. 충전은 스트로브수단(231)의 단자(CHEN)의 레벨을 L로 세팅함으로써 중단(디스에이블)될 수 있다.
충전 디스에이블 타이머에서 시간이 종료되면 스텝 S1805에서 CPU(210)는 충전중단 플래그가 1로 세팅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하기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충전중단 플래그는 충전 프로세스가 그 완료전에 제거될 때 1로 세팅된다. 하기에 설명되어질 본 메인충전 프로세스에서, 그리고 촬영충전 프로세스에서, 충전 프로세스는 충전전압이 소정된 값에 도달할 때, 또는 충전시간이 소정된 시간(본 카메라에서, 8초)에 도달할 때 정상적으로 완료되어진다고 생각된다. 충전동안 충전이 다른 스위치 등의 작동으로 인하여 중단된다면 중단에 앞서 충전으로 소비된 시간은 소정된 시간에서, 다시말하면 8초에서 공제되고, 그리고 나머지 시간은 메모리에 저장되고 그리고 충전이 다시 시작될 때 충전전압이 나머지 시간이내 에서 소정된 값에 도달하는지의 여부가 판단된다.
그러므로, 충전중단 플래그가 1로 세팅되면 충전중단 플래그는 제거되고, 다시말하면 0으로 세팅되고, 그리고 재충전 프로세스는 메모리에 저장된 나머지 시간으로 충전타이머를 세팅함으로써 실행된다. 충전중단 플래그가 1이 아니면, 즉 충전 프로세스가 스텝(S1805)에서 중단되지 않으면 충전은 소정된충전으로, 예를들어 8초로 충전 타이머를 세팅함에 따라 실행된다.
충전을 시작하기 위하여 CPU(210)는 스텝(S1813)에서 충전신호를 ON으로 변환시킨다. 다시말하면, 충전은 스트로브수단(231)의 단자(CHEN)의 레벨이 하이(H)가 되도록 세팅함으로써 개시된다. 스트로브수단(231)상의 단자(CHEN)에서 레벨이 H인 동안에 A/D 변환은 스트로브수단(231)의 단자(RLS)의 출력으로 실행되고, 그리고 변환된 출력은 CPU(210)로 입력된다. 스텝(S1815)에서, CPU(210)는 A/D 변환된 전압값에 근거를 둔 충전전압을 체크한다. 충전전압이 스텝(S1817)에서 상한치에 도달하였다면, 스텝(S1819)에서 CPU(210)는 충전 디스에이블 타이머에서 충전 디스에이블 시간으로서 3초를 세팅함으로써 3초 동안 충전을 디스에이블하고나서, 스텝(S1821)에서, CPU(210)는 스트로브수단(231)의 단자(CHEN)에서 전압을 로우(L)로 만듦으로써 충전을 중단시킨다. 그리고나서 충전요구 플래그는 스텝(S1823)에서0으로 세팅되고 메인충전 프로세스는 완료된다.
스텝(S1817)에서 CPU가 충전전압이 상한치에 도달하지 않았다고 판단하면 스텝(S1825)에서 시간이 충전타이머에서 끝났는지의 여부가 판단된다. 시간이 충전타이머에서 종료되면 스텝(S1821)에서 충전은 스트로브수단(231)의 단자(CHEN)에서 수준을 로우(L)로 만듦으로써 중단되고, 그리고 스텝(S1823)에서 충전요구 플래그는 0으로 세팅되어 충전 프로세스의 완료를 나타낸다. 참고를 위하여, 메인충전 프로세스가 충전타이머의 시간이 끝난후 완료된다면 3초의 충전 디스에이블 시간은 세팅되지 않는다.
충전타이머의 시간이 스텝(S1825)에서 종료되지 않았다면 스텝(S1827)에서 CPU는 어느 스위치의 상태가 변화되었는지를 판단한다. 스위치들중 어느 스위치의 상태의 변화가 검출된다면 충전 프로세스는 중단되고, 그리고 작동된 스위치에 상응하는 프로세스는 우선적으로 실행된다. 그러므로, 스위치의 상태에서의 변화의 검출시 CPU(210)는 스텝(S1829)에서 OFF로 충전신호를 세팅하고(즉, 로우로 스트로브수단(231)의 단자(CHEN)에서의 레벨을 세팅하고), 그리고 스텝(S1831)에서 충전타이머에 의해서 표시된 나머지 시간은 메모리에서 저장되고, 그리고 스텝(S1835)에서 충전중단 플래그는 1로 세팅되어 충전의 중단을 나타내고 그리고 메인충전 프로세스는 완료된다. 스텝(S1831)에서 메모리에 저장된 나머지 시간과, 스텝(S1835)에서 세팅된 충전중단 플래그는 다음 메인충전 프로세스 또는 다음 촬영충전 프로세스의 실행시간에 관련되어 있다.
[셔터 초기화 프로세스]
도 51은 셔터 초기화 프로세스에 대한 순서도를 도시하고 있다. 본 실시예의 셔터 초기화 프로세스에서, 셔터(27)를 구동하는 AE모터(29)는 셔터블레이드가 스토퍼와 접촉할 때까지 셔터블레이드를 완전히 폐쇄시키도록 셔터폐쇄방향으로 구동된다.
스텝(S1901)에서, AE모터(29)는 폐쇄방향으로 셔터블레이드(27a)를 구동시키도록 반시계방향으로 먼저 구동된다. 그리고나서 스텝(S1903)에서 AE펄스 카운팅한계 타이머가 시작되고, 그리고 AE펄스 카운팅 프로세스는 AE펄스를 검출하는 동안(스텝 S1905, S1907) AE펄스 카운팅 한계 타이머에서 시간이 끝나게 될때까지 대기하도록 요구된다. AE펄스 카운팅 프로세스는 AE펄스 입력회로(221)와 조합하여 CPU(210)에 의해서 실행된다.
스텝(S1907 및 스텝 S1909)에서 셔터블레이드(27a)가 완전하게 폐쇄되고 그리고 AE 모터(29)가 구동할 수 없게 되어 있을 때 시간이 AE펄스 카운팅 한계 타이머에서 끝나게 될 것이기 때문에 AE모터(29)는 시간이 끝날 때 프리상태로 되고, 그리고 제어는 복귀된다.
상기 프로세스에 의해서 셔터(27)는 셔터블레이드(29a)가 완전하게 폐쇄되는 초기 위치로 세팅된다.
[줌코드 입력 프로세스]
도 52는 줌코드 입력 프로세스의 순서도를 도시하고 있다. 줌코드 입력 프로세스에서, 줌코드는 줌코드 정보입력수단(219)으로부터 CPU(210)의 A/D 변환단자내로 입력된 전압의 A/D 변환된 값에 근거하여 세팅된다.
스텝(S3201)에서 전압은 줌코드 정보입력수단(219)으로부터 CPU(210)의 A/D 단자내로 입력된다. CPU(210)는 입력전압의 A/D 변환된 값을 역치전압(Va 내지 Vf)과 비교하고, 그리고 이 입력전압에 상응하는 줌코드를 세팅한다. 줌코드의 세팅은 다음과 같이 실행된다.
스텝(S3203)에서, CPU(210)는 역치전압(Va)과 A/D 변환된 값을 비교한다. 입력전압의 A/D 변환된 값이 스텝(S3203)에서 역치전압(Va) 보다 크다면 줌코드는 스텝(S3205)에서 0으로 세팅되고, 그리고 제어는 복귀된다.
입력전압의 A/D 변환된 값이 스텝(S3203)에서 Va 보다 작거나 같고 스텝(S3207)에서 Vb 보다 크다면 줌코드는 스텝(S3209)에서 5로 세팅된다.
입력전압의 A/D 변환된 값이 스텝(S3207)에서 Vb 보다 작거나 같고 스텝(S3211)에서 Vc 보다 크다면 줌코드는 스텝(S3213)에서 4로 세팅된다.
입력전압의 A/D 변환된 값이 스텝(S3211)에서 Vc 보다 작거나 같고 스텝(S3215)에서 Vd 보다 크다면 줌코드는 스텝(S3217)에서 3으로 세팅된다.
입력전압의 A/D 변환된 값이 스텝(S3215)에서 Vd 보다 작거나 같고 스텝(S3219)에서 Ve 보다 크다면 줌코드는 스텝(S3221)에서 6으로 세팅된다.
입력전압의 A/D 변환된 값이 스텝(S3219)에서 Ve 보다 작거나 같고 스텝(S3223)에서 Vf 보다 크다면 줌코드는 스텝(S3225)에서 1로 세팅된다.
입력전압의 A/D 변환된 값이 스텝(S3223)에서 Vf 보다 작거나 같으면 줌코드는 스텝(S3227)에서 2로 세팅된다.
여기서, 역치전압 간의 차이가 상대적으로 큰 Vd, Ve 및 Vf에 의해서 확인된코드는 렌즈 격납위치(줌코드 = 1), "광각" 쪽 위치(줌코드 = 2) 및 "망원" 쪽 위치(줌코드 = 6)로 각각 지정되며 이것은 렌즈위치를 위한 기준점이 된다. 이와같은 방식으로, 보정 줌코드는 CPU(210)내로 입력된 전압이 전압변동으로 인하여 어느 정도 변할때에도 적어도 기준점으로서 세팅될 것이다.
[AF 펄스 확인 프로세스]
도 53은 AF펄스 확인 프로세스에 대한 순서도를 도시하고 있다. AF펄스 확인 프로세스에서 후방렌즈 그룹구동모터(30)는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으로 교대로 구동된다. 예를들어, 후방렌즈 그룹구동모터(30)의 구동동안 후방렌즈 그룹구동모터(30)가 어떤 이유로 회전할 수 없다면 후방렌즈 그룹구동모터(30)를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으로 교대로 구동함으로써 후방렌즈 그룹구동모터(30)의 회전방해의 원인이 제거되므로 후방렌즈그룹(L2)을 이동하게 한다. 본 실시예에서, 후방렌즈 그룹구동모터(30)는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으로 교대로 회전하고, 그리고 후방렌즈 그룹구동모터(30)가 소정된 양 보다 더 많이 회전되었는지를 확인한 후 후방렌즈그룹(L2)은 AF원위치로 이동된다. 이 확인이 5회 작동의 교대의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구동의 5회 작동 내에서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또는 이와 같은 확인이 만들어져도 후방렌즈그룹(L2)이 소정된 시간내에서 AF원위치로 이동하지 않는다면 후방렌즈 그룹구동모터(30)는 정지되고, 그리고 에러플래그는 1로 세팅된다.
스텝(S3301)에서 후방렌즈 그룹구동모터(30)가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으로 교대로 구동되는 최대한의 횟수를 정의하는 카운터의 값은 5로 세팅된다.
그리고나서, 스텝(S3303, S3305 및 S3307)에서 후방렌즈 그룹구동모터(30)는먼저 시계방향으로, 즉 후방렌즈 그룹이 수축되는 방향으로 구동되고, AF펄스 카운팅 프로세스는 50으로 AF펄스 카운터의 값을 세팅하면서 실행되고, 그리고 대기는 50AF펄스가 출력될 때까지 실행된다. AF펄스 카운터의 값이 50이 될 때 스텝(S3309)에서 후방렌즈 그룹구동모터(30)는 정지된다.
스텝(S3311)에서 OK플래그가 세팅되었는지의 여부가 체크되고, 그리고 OK플래그가 세팅되면, 다시말해서 50AF펄스가 출력되었다면 후방렌즈그룹(L2)이 AF원위치에 있는지의 여부가 체크된다. 후방렌즈그룹(L2)이 AF원위치에 있다면 제어는 복귀하는 한편, 후방렌즈그룹(L2)이 AF원위치에 없다면 스텝(S3331 및 스텝 S3335)에서 후방렌즈 그룹구동모터(30)는 반시계방향으로, 즉 후방렌즈그룹(L2)이 AF원위치를 향하여 이동되는 방향으로 구동되고, 그리고 500㎳ 타이머가 시작된다. 500㎳ 타이머의 시간이 끝나기 전에 후방렌즈그룹(L2)이 AF원위치에 일반적으로 도달하기 때문에 후방렌즈 그룹구동모터(30)는 정지되고, 그리고 제어는 후방렌즈그룹(L2)이 AF원위치에 도달할 때 복귀된다(스텝 S3335, S3337, S3339). 여기서, 후방렌즈그룹(L2)이 500㎳ 타이머의 시간이 끝나기 전에 AF원위치에 도달하지 않는다면 스텝(S3335, S3341 및 S3343)에서 후방렌즈 그룹구동모터(30)는 정지되고, 그리고 제어는 에러플래그를 1로 세팅하면서 복귀된다.
상기 내용은 정상적인 경우에 관한 것이지만 후방렌즈그룹(L2)이 쉽게 이동하지 않으면 다음의 프로세스가 실행된다.
스텝(S3307)에서의 AF펄스 카운팅 프로세스에서 후방렌즈 그룹구동모터(30)가 구동되어 질지라도 AF펄스가 소정된 시간동안 출력되지 않으면 이것은 후방렌즈그룹구동모터(30)가 물림 등으로 인하여 이동할 수 없는 상태로 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기 때문에 OK플래그는 제거된다. 이 경우에서 제어는 롤링 프로세스, [스텝(S3311 내지 S3313)]로 진행한다. 제어가 스텝(S3313)에 있을 때 100㎳ 동안 대기후 후방렌즈 그룹구동모터(30)는 스텝(S3315)에서 반시계방향으로 구동된다. 그리고나서 스텝(S3317, S3319 및 S3321)에서 AF펄스 카운터의 값은 50으로 세팅되고, 그리고 AF 펄스 카운팅 프로세스는 실행되고나서, 후방렌즈 그룹구동모터(30)는정지된다. AF펄스 카운팅 프로세스에서 50AF펄스가 검출될 때 OK플래그는 세팅되고, 그리고 50AF펄스가 소정된 시간내에 검출되지 않으면 OK플래그는 제거된다. 따라서, 후방렌즈그룹(L2)이 후방렌즈 그룹구동모터(30)의 반시계방향 회전동안 이동한다면 제어는 스텝(S3329)에서 이 프로세스로 진행하는 한편, 후방렌즈그룹(L2)이 이동하지 않으면 제어는 스텝(S3325)에서 이 프로세스로 진행한다.
스텝(S3325)에서 카운터는 1씩 감소되고, 그리고 카운터 값이 0이 아니면 제어는 스텝(S3303)으로 복귀하고, 그리고 스텝(S3303)으로부터 프로세스는 반복된다. 카운터의 값이 0이 되면, 즉 후방렌즈그룹(L2)이 후방렌즈 그룹구동모터(30)의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의 5회 구동을 반복할시에도 이동되지 않으면 이것은 렌즈구동시스템 자체에 어떤 형태의 장애가 발생하고 있음을 가리키는 것이기 때문에 스텝(S3341 및 S3343)에서 후방렌즈 그룹구동모터(30)는 정지되고, 그리고 에러플래그는 1로 세팅되고, 그리고 제어는 복귀된다.
[AF 복귀 프로세스]
도 54는 AF복귀 프로세스에 대한 순서도를 도시하고 있다. AF복귀 프로세스에서 후방렌즈그룹(L2)은 AF원위치로 복귀된다.
스텝(S3401 및 S3403)에서 후방렌즈 그룹구동모터(30)는 반시계방향으로, 즉 후방렌즈 그룹이 전진되는 방향으로 구동되어서 후방렌즈그룹(L2)을 AF원위치를 향하여 전진시키고, 그리고 대기는 후방렌즈그룹(L2)이 AF원치에 도달할때까지 실행된다.
스텝(S3405, S3407, S3409, S3411 및 S3413)에서 AF원위치에서 후방렌즈그룹(L2)의 도착이 광단속기(301)를 통하여 검출될 때 후방렌즈 그룹구동모터(30)의 구동은 저속 반시계방향 구동으로 전환되고, 그리고 10의 값이 카운터에 세팅된다. 그리고나서 AF펄스의 상승은 카운트되고, 그리고 이 카운터는 각 카운터에 대해서 1씩 감소되고, 그리고 대기는 카운터에서 값이 0이 될 때까지 실행된다.
스텝(S3413 및 S3415)에서 카운터에서의 값이 0이 될 때 후방렌즈 그룹구동모터(30)는 정지되고, 그리고 제어는 복귀된다. 이와같은 방식으로, 후방렌즈그룹(L2)은 AF원위치에서 확실하게 정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후방렌즈그룹(L2)이 AF원위치에 도달한 후 후방렌즈 그룹구동모터(30)의 구동은 다시 또 10펄스동안 계속된다. 이것은 후방렌즈그룹(L2)에 대한 구동펄스 카운트가 AF원신호의 전환에 근거하여 행해지므로 후방렌즈그룹(L2)은 스탠드바이 상태로 AF원위치에서 확실하게 있을 것이다.
[배리어 폐쇄 프로세스]
도 55는 배리어 폐쇄 프로세스에 대한 순서도를 도시하고 있다. 배리어 폐쇄프로세스에서 배리어는 렌즈의 격납시 폐쇄된다.
먼저, 오류가 발생할 때 개방/폐쇄 프로세스(하기에 설명됨)가 반복되는 횟수인 값 3이 카운터에 세팅된다. 본 실시예에서, 배리어 폐쇄 프로세스가 통상적으로 완료되었는지의 여부의 판단은 후방렌즈 그룹구동모터(30)가 소정된 양만큼 시계방향으로 구동되었는지의 여부, 즉 AF펄스의 소정된 수가 후방렌즈 그룹구동모터(30)를 구동하면서 카운트되었는지의 여부에 따라 만들어진다.
후방렌즈 그룹구동모터(30)의 시계방향 구동시 소정된 수의 AF펄스가 AF기준 펄스입력수단(222)으로부터 입력되지 않으면 배리어가 어떤 이유로 인하여 폐쇄될 수 없거나, 또는 배리어가 이미 폐쇄된 상태에서 배리어 폐쇄 프로세스가 실행되었다고 추측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에서, 소정된 수의 AF펄스가 후방렌즈 그룹구동모터(30)의 시계방향 구동시 카운트되지 않을 때 후방렌즈 그룹구동모터(30)는 소정된 양만큼, 즉 폐쇄된 배리어를 개방시키기에 충분한 양만큼 반시계방향으로 일단 구동되고 나서 후방렌즈 그룹구동모터(30)는 다시 시계방향으로 구동된다. 스텝(S3501)에서 세팅된 횟수는 후방렌즈 그룹구동모터(30)가 일단 반시계방향으로 구동되고나서 다시 시계 방향으로 구동되는(상기 설명됨) 프로세스의 실행횟수를 제한하는 값이다.
스텝(S3503)에서 후방렌즈 그룹구동모터는 시계방향으로 구동되고, 즉 배리어가 폐쇄 되도록하는 방향으로 구동되고, 그리고 스텝(S3505)에서 300의 값은 AF펄스 카운터에 세팅되고, 그리고 스텝(S3507)에서 AF펄스 카운팅 프로세스가 불리워진다. AF펄스 카운팅프로세스에서 스텝(S3505)에서 세팅된 AF펄스 카운터는 후방렌즈 그룹구동모터(30)의 회전과 동시적으로 AF기준 펄스입력수단(222)으로부터 CPU(210)에 출력된 펄스신호에 근거하여 감소된다.
AF펄스 카운팅 프로세스는 펄스가 소정된 시간내에서 출력되지 않을 때, 또는 감소된 AF펄스 카운터에서 카운트 값이 0이 될 때 종료된다.
AF펄스 카운팅 프로세스의 완료후 스텝(S3509)에서 후방렌즈 그룹구동모터(30)는 정지되고, 그리고 스텝(S3511)에서, AF펄스 카운팅 프로세스에서 감소되어 진후 남은 AF 펄스 카운트가 100 보다 작은지의 여부가 판단된다.
스텝(S3511)에서 AF펄스 카운터의 값이 100 보다 작다면, 즉 그 값이 AF펄스 카운팅 프로세스에서 200 또는 그이상 만큼 감소되었다면 배리어가 정상적으로 폐쇄되었다고 판단되고, 그리고 배리어 폐쇄 프로세스는 종료된다. AF펄스 카운터의 값이 스텝(S3511)에서 100 또는 그이상이면 후방그룹구동모터(30)가 어떤 이유로 인하여 회전할 수 없는 것으로 간주되고 그리고, 장애물의 제거가 일단 반시계방향으로, 그리고나서 다시 시계방향으로 후방렌즈 그룹구동모터(30)를 회전시킴으로써 시도된다. 이와같은 방식으로 장애물은 제거될 수 있다.
제어는 카운터값이 스텝(S3513)에서 카운터의 감소로 0으로 되지 않는한 스텝(S3519)으로 진행한다. 스텝(S3519)에서, 후방렌즈 그룹구동모터(30)는 반시계방향으로 구동되고, 그리고 300의 값은 AF펄스 카운터에 세팅되고, 그리고 AF펄스 카운팅 프로세스가 불리어진다. 스텝(S3523)에서 AF펄스 카운팅 프로세스의 완료후 후방렌즈 그룹구동모터(30)는 스텝(S3525)에서 정지되고, 그리고 제어는스텝(S3503)으로 복귀한다.
그리고나서 스텝(S3503, S3505, S3507 및 S3509)에서 후방렌즈 그룹구동모터(30)의 시계방향구동, AF펄스 카운터의 세팅, AF펄스 카운팅 프로세스의 실행 및 후방렌즈 그룹구동모터(30)의 정지가 이루어진다. 그리고나서 스텝(S3511)에서 AF펄스 카운터의 값에 근거하여 배리어가 폐쇄되었는지의 여부가 판단된다. 본 실시예에서, 3의 값이 스텝(S3501)에서 카운터에 세팅되어 있기 때문에 배리어가 폐쇄되지 않으면 상기 재시행 프로세스가 2회 반복된다.
상기 프로세스 동안 배리어가 폐쇄하면 스텝(S3511)에서 AF펄스 카운터의 값은 100 보다 작을 것이고, 그리고 배리어 폐쇄 프로세스가 완료된다. 게다가, 이 프로세스를 반복한 후 AF펄스 카운터의 값이 100 보다 작지 않다면 마지막 반복후 배리어가 폐쇄되어 지지 않았다고 판단되고, 그리고 배리어 폐쇄 프로세스는 1로 에러플래그를 세팅하여 오류의 발생을 나타내고 종료된다.
[배리어 개방 프로세스]
도 56은 배리어 개방 프로세스에 대한 순서도를 도시하고 있다. 배리어 개방 프로세스에서 배리어는 렌즈가 격납위치로부터 신장될 때 개방된다.
먼저, 이 프로세스의 반복 횟수인 3의 값은 스텝(S3601)에서 카운터에 세팅된다. 일반적으로, 배리어 개방 프로세스는 배리어가 폐쇄된 상태에서 불리어진다. 그러나, 배리어 개방 프로세스는 예를들어, 렌즈가 신장된 상태에서 카메라의 배터리가 교체될 때 즉 배리어가 개방될 때 배리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실행될 것이다. 배리어 개방 프로세스는 또한 어떤 장애물 때문에 배리어가 폐쇄됨이 없이 렌즈가격납될때 불리어질 수도 있다. 배리어가 이미 개방할 때 후방렌즈 그룹구동모터(30)가 배리어를 개방시키도록 구동되면 후방렌즈 그룹구동모터(30)는 배리어가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하지 않을 것이므로 AF기준펄스 입력수단(222)은 어떠한 펄스도 발생시키지 않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프로세스에서 후방렌즈 그룹구동모터(30)는 배리어를 개방시키기 위하여 먼저 구동되고, 그리고 배리어의 개방이 확인되지 않으면, 다시말해서, AF기준펄스 입력수단(222)이 CPU(210)에 펄스를 출력하지 않으면 후방렌즈 그룹구동모터(30)는 배리어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일단 구동되고, 그리고나서 배리어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다시 구동된다. 스텝(S3601)에서 카운터에 세팅된 횟수는 배리어를 일단 폐쇄한 후 다시 배리어가 개방되는 상술된 프로세스의 실행횟수를 제한하는 값이고, 이것은 처음으로 후방렌즈 그룹구동모터(30)를 구동시킬때 배리어가 개방되어져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없을 때 실행된다.
스텝(S3603)에서, 후방렌즈 그룹구동모터는 반시계방향으로, 즉 배리어가 개방하는 방향으로 먼저 구동되고, 그리고 스텝(S3605)에서 300의 값은 AF펄스 카운터에 세팅 되고, 그리고 스텝(S3607)에서 AF펄스 카운팅 프로세스는 불리어진다. AF펄스 카운팅 프로세스에서 AF펄스 카운터는 후방렌즈 그룹구동모터(30)의 회전과 동시적으로 AF기준펄스 입력수단(222)으로부터 CPU(210)에 출력된 펄스신호에 근거하여 감소된다.
AF펄스 카운팅 프로세스는 펄스가 소정된 시간내에서 AF기준펄스 입력수단(222)으로부터 CPU(210)에 출력되지 않을 때, 또는 감소된 AF펄스 카운터의 카운트 값이 0이 될 때 종결된다.
AF펄스 카운팅 프로세스의 완료후 스텝(S3609)에서 후방렌즈 그룹구동모터(30)는 정지되고, 그리고 스텝(S3611)에서 AF펄스 카운팅 프로세스에서 감소되어 진후 남은 AF 펄스 카운트가 100 보다 작은지의 여부가 판단된다.
스텝(S3611)에서, AF펄스 카운터의 값이 100 보다 작다면, 즉 그 값이 AF펄스 카운팅 프로세스에서 200 또는 그이상 만큼 감소되었다면 배리어가 정상적으로 개방되었다고 판단되어지고, 그리고 배리어 개방 프로세스가 종결된다. AF펄스 카운터의 값이 스텝(S3611)에서 100 또는 그이상이면 후방렌즈 그룹구동모터(30)가 어떤 이유로 인하여 회전할 수 없는 것으로 간주되고, 그리고 장애물의 제거가 일단 시계방향으로, 즉 배리어가 폐쇄하는 방향으로 후방렌즈 그룹구동모터(30)를 회전시키고 나서 다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시도된다. 이와같은 방식으로, 장애물은 제거된다.
스텝(S3613)에서, 카운터는 감소되고, 그리고 카운터가 스텝(S3615)에서 0으로 되지 않는한 제어는 스텝(S3619)으로 진행한다. 스텝(S3619)에서 후방렌즈 그룹구동모터(30)는 시계방향으로 구동되고, 그리고 300의 값이 AF펄스 카운터에 세팅되고, 그리고 AF펄스 카운팅 프로세스가 불리어진다. 스텝(S3623)에서 AF펄스 카운팅 프로세스의 완료후 후방렌즈그룹구동모터(30)는 스텝(S3625)에서 정지되고, 그리고 제어는 스텝(S3603)으로 복귀된다. 그리고나서 후방렌즈 그룹구동모터(30)의 반시계방향의 구동, AF펄스 카운터의 세팅, AF펄스 카운팅 프로세스의 실행 및 후방렌즈 그룹구동모터(30)의 정지가 이루어지고, 그리고 AF펄스 카운터의 값에 따라배리어가 폐쇄되었는지의 여부가 판단된다.
본 실시예에서, 3의 값이 스텝(S3601)에서 카운터에 세팅되기 때문에 배리어가 스텝(S3611)에서 개방되지 않으면 스텝(S3613 내지 S3609)의 프로세스는 스텝(S3625)을 경유하여 2회 반복된다. 배리어가 이 프로세스에서 개방하면 AF펄스 카운터는 스텝(S3611)에서 100 보다 작을 것이고, 그리고 배리어 개방 프로세스는 종결된다. AF펄스 카운터의 값이 마지막 반복후 100 보다 작지 않다면 배리어가 개방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고, 그리고 배리어 개방 프로세스는 1로 에러플래그를 세팅하여 오류의 발생을 나타내고 종결된다.
[줌구동 프로세스]
도 57은 줌구동 프로세스에 대한 순서도를 도시하고 있다. 줌구동 프로세스는 도 34에 도시된 바와같이 전방렌즈그룹(L1)과 후방렌즈그룹(L2)이 피사체 거리에서 초점맞춤되도록하기 위하여 줌펄스 카운터의 값에 상응하는 양만큼 전체 유니트구동모터(25)를 시계방향으로(즉, 렌즈가 신장되는 방향으로) 구동 및 제어하는 프로세스이다.
줌구동 프로세스에 있어서 스텝(S3701)에서 줌펄스 카운터의 값이 줌펄스의 수로서 메모리에 먼저 저장된다. 그리고나서 스텝(S3703, S3705, S3707 및 S3709)에서 줌시퀀스는 0으로 세팅되고, 그리고 전체 유니트구동모터(25)는 시계방향으로, 즉 전진방향으로 구동되고, 줌구동 체크 프로세스가 실행되고, 그리고 대기는 줌시퀀스가 5가 될 때 까지 실행되고, 그리고 제어는 줌시퀀스가 5가 될때 복귀된다.
줌시퀀스는 전체 유니트구동모터 제어수단(60)의 작동 시퀀스 상태를 확인하는 확인기이다. 0의 줌시퀀스는 줌플러스의 카운팅을 위한 기준점으로서 역할을 하는 줌코드의 전환이 검출된 것을 가리키고, 1 또는 2의 줌시퀀스는 줌펄스가 카운트되는 상태를 가리키고, 3의 줌시퀀스는 역회전 브레이크의 작동을 가리키고, 4의 줌시퀀스는 단락 브레이킹 상태를 가리키고, 그리고 5의 줌시퀀스는 개방 단자상태(비작동상태)를 가리키므로 일련의 줌구동 시퀀스의 종료를 가르킨다.
[AF 2-스테이지 신장 프로세스]
도 58은 AF 2-스테이지 신장 프로세스에 대한 순서도를 도시하고 있다. AF 2-스테이지 신장 프로세스는 렌즈의 초점길이가 변화될때 실행되고, 그리고 렌즈가 "광각"측에 위치될 때 후방렌즈그룹(L2)이 AF원위치로부터 소정된 양(AP1) 만큼 신장되는 프로세스이다.
AF 2-스테이지 신장 프로세스가 불리어질 때, 스텝(S3801)에서 CPU(210)는 후방렌즈 그룹(L2)이 AF 2-스테이지 신장 프로세스에 의해서 소정된 양만큼 신장되어 있는 상태에 후방렌즈그룹(L2)이 현재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AF 2-스테이지 신장 프로세스의 최종 실행에서 렌즈가 "광각"쪽측(예를들어, 줌스텝이 4 보다 작은)에 위치되었다면 후방렌즈그룹(L2)은 소정된 양만큼 신장되고, 그리고 2-스테이지 신장 플래그는 1로 세팅된다. 이전 AF 2-스테이지 신장 프로세스가 실행되었을 때 줌스텝이 4 또는 그이상이면 후방렌즈그룹은 신장되지 않고(AF원위치에 위치되고) 그리고 2-스테이지 신장 플래그는 0으로 세팅된다.
2-스테이지 신장플래그가 스텝(S3801)에서 1로 세팅되어 있는 상태에서 AF2-스테이지 신장 프로세스가 불리어질 때 스텝(S3805)에서 CPU는 현재의 렌즈위치에 상응하는 줌스텝이 4 보다 큰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줌스텝이 4 보다 크다면, 즉 후방 및 전방렌즈그룹(L1 및 L2)이 "망원"측에 있다면, 스텝(S3807 및 S3809)에서 AF복귀 프로세스는 이미 신장된 후방렌즈그룹(L2)을 AF원위치로 복귀시키도록 불리어지고, 그리고 제어는 2-스테이지 신장플래그를 제거하면서, 예를들어 플래그를 0으로 세팅하면서 복귀된다. 현재의 줌스텝이 4 또는 그 이하이면 후방렌즈그룹(L2)이 신장될 필요가 있을 지라도 이전 AF 2-스테이지 신장 프로세스가 실행되었을 때 후방렌즈그룹(L2)이 이미 신장되어 있기 때문에 제어는 어떠한 프로세스도 실행하지 않고 복귀된다.
2-스테이지 신장 플래그가 스텝 S3801에서 1이 아니면, 즉 플래그가 0으로 세팅되면 이것은 후방 렌즈그룹(L2)이 이전 AF 2-스테이지 신장 프로세스의 끝에서 AF원위치에 위치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경우에, 스텝(S3803)에서 CPU(210)는 줌스텝이 4 또는 그이하 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그리고 줌스텝이 스텝(S3803)에서 4 보다 크다면, 후방렌즈그룹(L2)을 신장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다시말해서 후방렌즈그룹(L2)이 AF원 위치에 남아있기에 충분하기 때문에 후방렌즈그룹(L2)의 신장은 실행되지 않고, 그리고 제어는 복귀된다. 줌스텝이 4 또는 그 이하이면, 즉 렌즈가 "광각" 측에 위치되어 있다면 후방렌즈그룹(L2)을 신장시키는 프로세스는 실행된다. 그러나, 처리 방법은 렌즈가 "광각" 쪽에 있는지의 여부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스텝(S3811)에서, 줌스텝의 값이 0인지의 여부, 다시말해서 렌즈가 "광각"쪽 위치에 위치되어 있는지의 여부가 판단된다. 렌즈가 "광각" 쪽 위치에 위치되어 있다면 후방렌즈 그룹구동모터(30)는 배리어 개방장치와 연결될 수도 있고, 그리고 후방렌즈그룹 이동장치에 연결되지 않는다. 다시말해서, 렌즈가 "광각" 쪽 위치에 위치되어 있는 상태로 후방렌즈 그룹구동모터(30)가 구동된다면 후방렌즈그룹(L2)은 구동되지 않을 것이고, 그리고 배리어의 개방/폐쇄가 대신 실행될 수 있다.
한편, 렌즈가 "광각" 위치에서 보다 오히려 "망원" 위치에 있을 때 후방렌즈 그룹구동모터(30)는 후방렌즈 그룹이동장치에 항상 연결되어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렌즈가 "광각" 쪽에서 위치되어 있지 않을 때, 즉 줌스텝이 스텝(S3811)에서 0이 아닌때 후방렌즈그룹(L2)은 AF펄스 카운터에서 소정된 값(AP1)을 세팅하고(스텝 S3823), 그리고 스텝 S3825에서 AF구동프로세스를 부름으로써 AF펄스수(AP1)에 상당하는 양만큼 AF원 위치로부터 신장되도록 될 수 있다. 후방렌즈그룹(L2)을 신장한 후 CPU(210)는 2-스테이지 신장 플래그를 1로 세팅하고, 그리고 제어는 복귀된다.
줌스텝의 값이 0일 때, 즉 렌즈가 이미 설명된 바와같이 스텝(S3811)에서 "광각" 쪽에 위치되어 있을 때 후방렌즈 그룹구동모터(30)가 배리어 개방장치에 연결되어 있을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AF 2-스테이지 신장 프로세스가 렌즈복귀 프로세스 동안 불리어지는한 후방렌즈 그룹구동모터(30)는 후방렌즈 그룹이동장치와 연결되어지도록 보증된다. 그러므로, 스텝(S3813)에서, 이 프로세스는 줌복귀 플래그에 따라 분기되고, 이 플래그는 실행되는 AF 2-스테이지 신장 프로세스가 렌즈복귀 프로세스에서 불리어졌는지의 여부를 가리킨다. 본 AF 2-스테이지 신장 프로세스가 렌즈복귀 프로세스에서 불리어졌다면 줌복귀 플래그는 1로 세팅된다. 이와같은 경우에, 스텝(S3823) 및 스텝(S3825)에서 후방렌즈그룹(L2)의 구동만이 실행된다.
한편, 본 AF 2-스테이지 신장 프로세스가 렌즈 복귀 프로세스와는 다른 프로세스로부터 불리어졌다면 줌복귀 플래그는 0으로 세팅되므로, CPU(210)는 스텝(S3815)로부터 이 프로세스를 실행할 것이다.
스텝(S3815 및 S3817)에서 CPU(210)는 줌펄스 카운터와 AF펄스 카운터에서 소정된 값(ZP1 및 AP1) 각각을 세팅하고, 그리고 스텝(S3819)에서 렌즈구동 프로세스는 불리어지고, 그리고 전방 및 후방렌즈그룹(L1 및 L2)은 전체 유니트구동모터(30)를 구동시킴으로써 줌펄스(ZP1)에 상응하는 양 만큼 먼저 이동되고, 그리고 동시에 후방렌즈(L2)는 후방렌즈 그룹구동모터(30)를 구동시킴으로써 AF펄스(AP1)에 상응하는 양만큼 이동된다. 그후, 스텝(S3821)에서의 줌복귀 프로세스에서 전방 및 후방렌즈그룹(L1 및 L2)은 전체 유니트구동모터(25)를 구동시킴으로써 값(ZP1)에 상응하는 양 만큼 복귀된다. 다시 말해서, 렌즈는 소정된 양만큼 "망원" 위치로 일단 이동되어 후방렌즈 그룹구동모터(30)가 후방렌즈그룹(L2)의 구동장치와 확실하게 결합되게 하고, 후방 렌즈그룹(L2)이 후방렌즈 그룹구동모터(30)를 구동시킴으로써 신장되게 하며, 그리고 그후, 소정된 양만큼 "광각" 위치를 향하여 전방 및 후방렌즈를 복귀시킴으로써 결과적으로 후방렌즈그룹(L2)이 "광각" 위치를 향하여 단지 이동되게 한다.
상기 설명된 바와같이, AF 2-스테이지 신장 프로세스가 끝나는 지점에서 렌즈가 "광각" 위치(즉, 줌스텝이 4 보다 큰)에 있다면 후방렌즈그룹(L2)은 소정된 양 만큼 신장되고, 그리고 2-스테이지 신장플래그는 1로 세팅된다. 렌즈가 "망원" 위치(즉,줌스텝이 4 보다 큰)에 있다면 후방렌즈그룹(L2)은 AF원위치에 위치되고, 그리고 2-스테이지 신장 플래그는 0으로 세팅된다.
[줌복귀 프로세스]
도 59는 줌복귀 프로세스에 대한 순서도를 도시하고 있다. 줌복귀 프로세스는전방렌즈그룹(L1) 및 후방렌즈그룹(L2)이 촬영프로세스에 있는 렌즈구동프로세스에서 이동되기에 앞서 위치되는 스탠드바이 위치로 복귀되는 프로세스이다. 다시 말해서, 이 프로세스에서 전체 유니트구동모터(25)는 스탠드바이 위치로 전방렌즈그룹(L1) 및 후방렌즈그룹(L2)을 복귀시키기 위하여 현재의 줌코드의 격납측에서 전환지점으로부터 제2줌펄스(ZP2)에 상응하는 양 만큼 반시계 방향으로 구동되고나서, 제3줌펄스(ZP3)에 상응하는 양 만큼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정지되어 도 34에 도시된 바와같이, 즉 렌즈구동에 있어서 어느 정도 백래쉬를 제거한다.
스텝(S3901, S3905, S3907, S3909 및 S3911)에서의 줌복귀 프로세스에서 줌펄스 메모리에 저장된 펄스수가 제1줌 펄스값(ZP1) 보다 작은지의 여부가 체크되고, 그리고 이것이 작으면 전체 유니트구동모터(25)는 시계방향으로, 즉 망원방향으로의 이동을 위하여 구동된다. 그리고나서 제1줌펄스값(ZP1)으로부터 줌펄스 메모리에 저장된 구동펄스값을 공제함으로써 획득된 펄스의 값은 줌펄스 카운터에 세팅되고, 그리고 줌펄스 카운팅 프로세스는 줌펄스 카운터의 값이 0으로 될 때까지 대기하도록 실행된다. 값이 0이 될 때, 즉 전체 유니트구동모터가 현재의 줌코드의전환지점으로부터 제1줌펄스의 값(ZP1)에 상응하는 양만큼 구동되어질 때 전체 유니트구동모터(25)는 정지된다.
이와같은 프로세스에서 렌즈가 현재의 줌코드의 "망원" 위치 전환지점의 주위에서 정지될 때 줌코드는 전체 유니트구동모터(26)에 통과 전류가 흐르게 하는 초기 스테이지 동안 불안정할 것이고, 그리고 스탠드바이 위치는 이동할 것이다. 이와같은 발생을 회피하기 위하여 전체 유니트구동모터는 제1줌펄스의 값(ZP1)에 상응하는 양만큼 시계방향으로 구동되어, 줌코드가 OFF로 확실하게 변할 것이다. 그다음, 스텝(S3913)에서, 에러 플래그가 1로 세팅되면 제어는 복귀되고, 그리고 에러플래그가 1로 세팅되지 않으면 제어는 스텝(S3915)로 진행한다.
줌펄스 메모리에 저장된 구동펄스수가 제1줌펄스수(ZP1)와 같다면 이것은 현재의 줌코드가 OFF로 변환하는 위치로 렌즈가 이미 이동되어 있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전체 유니트구동모터(25)를 구동하는 프로세스는 건너뛰게 된다.
스텝(S3915)에서 전체 유니트구동모터(25)는 반시계방향으로, 즉 "광각" 방향으로의 이동을 위하여 구동된다. 그리고나서, 스텝(S3917, S3919, S3923 및 S3929)에서 줌코드 입력 프로세스는 줌코드를 검출하도록 불리어지고, 그리고 "광각" 코드가 검출되었는지의 여부가, 격납코드가 검출되었는지의 여부가, 그리고 현재의 줌코드가 검출되었는지의 여부가 체크된다. "광각" 코드가 검출되면 렌즈 "광각" 위치는 세팅되는 한편, 격납 상태가 검출되면 전체 유니트구동모터(25)는 정지되고, 그리고 제어는 렌즈신장 프로세스(스텝 S3919, S3921 및 S3923, 또는 스텝 S3923, S3925 및 S3927)를 실행한 후 복귀된다.
현재의 줌코드가 스텝(S3929)에서 검출되면 스텝(S3931)에서 줌코드 입력 프로세스는 실행된다. 그리고나서 대기는 OFF 코드가 검출될 때까지, 즉 현재의 줌코드가 OFF로 변할 때(스텝 S3933)까지 실행된다. OFF 코드가 검출될 때 제2줌펄스 값(ZP2)은 줌펄스 카운터에 세팅되고, 그리고 줌펄스 카운팅 프로세스는 줌펄스 카운터에서의 값이 0이 될 때까지(스텝 S3935, S3937) 대기를 실행하도록 불리어진다.
스텝(S3939)에서 줌펄스 카운팅 프로세스로부터의 복귀시 전체 유니트구동모터(25)는 정지된다. 스텝(S3941, S3943, S3945 및 S3947)에서 에러플래그가 1로 세팅되었다면, 즉 줌펄스카운터에서의 값이 0으로 됨없이 복귀가 실행되었다면 제어는 어떠한 프로세스도 실행함 없이 복귀된다. 한편 에러플래그가 세팅되지 않았다면 전체 유니트구동모터(25)는 시계방향으로 구동되고, 백래쉬 제거펄스수(ZP3)는 줌펄스 카운터에서 세팅되고, 그리고 줌펄스 카운팅 프로세스는 줌펄스 카운터에서의 값이 0으로 될 때까지 대기하도록 불리어진다. 그리고나서, 스텝(S3949)에서 줌펄스 카운팅 프로세스로부터의 복귀시 전체 유니트구동모터(25)는 정지되고, 그리고 제어는 복귀된다.
따라서 줌복귀 프로세스에 의해서 전방렌즈그룹(L1)은 스탠드바이 위치로 후방으로 이동되어 현재의 줌코드의 후방쪽에지로부터 제2줌펄스의 값(ZP2)에 의해서 수축된다. 스탠드바이 위치에서 "망원" 방향으로의 전체 유니트 구동모터(25)의 회전시 백래쉬는 제거된다.
[줌 스탠드바이 확인 프로세스]
도 60은 줌 스탠드바이 확인 프로세스에 대한 순서도를 도시하고 있다. 줌 스탠드바이 확인 프로세스는 촬영 프로세스에서 불리어진 프로세스이며, 여기서 광측정 스위치(SWS)가 ON일 때 렌즈가 보정 스탠드바이 위치에 위치되어 있는지의 여부가 확인되고, 그리고 렌즈가 보정 스탠드바이 위치에 있지 않다면 렌즈는 보정 스탠드바이 위치로 이동된다. 줌 스탠드바이 확인 프로세스의 스텝(S3931) 후의 프로세스는 줌 복귀프로세스의 것과 동일하다.
줌 스탠드바이 확인 프로세스에 있어서 스텝(S4001 및 S4003)에서 줌코드 입력 프로세스는 불리어지고, 그리고 줌코드는 입력되고, 그리고 현재의 줌코드가 검출되지 않으면 렌즈가 보정 스탠드바이 위치에 있다는 것으로 간주되기 때문에 제어는 복귀된다.
현재의 줌코드가 스텝(S4003)에서 검출된다면 이것은 렌즈가 스탠드바이 위치로부터 이동되어진 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스텝(S4005)에서 전체 유니트구동모터(25)는 반시계방향으로, 즉 "광각"측으로의 이동을 위한 방향으로 구동되고, 그리고 제어는 스텝(S3931)로 진행하고, 그리고 줌코드 입력 프로세스는 실행된다. 그 다음 OFF 코드의 검출이 대기되고, 그리고 OFF코드가 검출될 때 제2줌펄스수(ZP2)는 줌펄스 카운터에 세팅되고, 그리고 줌펄스 카운팅 프로세스는 줌펄스 카운터에서의 값이 0으로 될 때까지 대기하도록 불리어진다(스텝 S3933, S3935 및 S3937).
스텝(S3939)에서 줌펄스 카운팅 프로세스로부터의 복귀시 전체 유니트 구동모터(25)는 정지된다. 스텝(S3941, S3943, S3945 및 S3947)에서 에러플래그가 0으로 세팅되었다면, 즉 줌펄스 카운터에서의 값이 0으로 됨없이 제어가 복귀되었다면 제어는 어떠한 프로세스도 실행함 없이 복귀된다. 에러플래그가 세팅되지 않았다면 전체 유니트 구동모터(25)는 시계방향으로 구동되고, 백래쉬 제거펄스수(ZP3)는 줌펄스 카운터에 세팅되고, 그리고 줌펄스 카운팅 프로세스는 줌펄스 카운터에서의 값이 0으로 될 때까지 대기하도록 불리어진다. 그리고나서, 스텝(S3949)에서, 줌펄스 카운팅 프로세스로부터 의 복귀시 전체 유니트구동모터(25)는 정지되고, 그리고 제어는 복귀된다.
상기 설명된 바와같이, 줌스탠드바이 확인 프로세스에서 전방렌즈그룹(L1) 및 후방 렌즈그룹(L2)은 스탠드바이 위치로 이동되며, 이것은 줌스텝에 상응하는 현재의 줌코드가 검출될 때 현재의 줌코드의 "광각" 측에서의 전환위치로부터 소정된 거리 만큼 수축되는 것이다.
[촬영충전 프로세스]
도 61은 촬영충전 프로세스에 대한 순서도를 도시하고 있다. 촬영충전 프로세스는 광측정 스위치(SWS)가 ON일 때 실행된 프로세스이고, 그리고 촬영 프로세스에서 스트로브 플래싱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될 때 불리어지는 충전 프로세스이다.
촬영충전 프로세스가 불리어질 때 스텝(S4101)에서 CPU(210)는 충전 디스에이블 타이머가 0으로 세팅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충전디스에이블 타이머는 충전이 디스에이블되는 동안의 시간을 재는 타이머이고, 그리고 3초의 충전시간은 스트로브수단(231)의 플래시 커패서터(530)가 도 41에 도시된 메인충전 프로세스에서 완전하게 충전될 때 이 타이머에 세팅된다. 이와같은 방식으로 충전디스에이블타이머의 시간이 끝나지 않으면(즉, 타이머값이 0이 아니면) 플래시 커패서터(530)의 충전이 디스에이블 되더라도 스트로브 플래싱은 이 커패서터(530)가 거의 완전하게 충전되기 때문에 가능하게 될 것이다. 그러므로 시간이 스텝(S4101)에서 충전디스에이블 타이머에서 끝나지 않으면 스텝(S4103)에서 충전-OK 플래그는 스트로브가 플래시될 수 있는 것을 가리키는 1로 세팅되고, 그리고 스텝(S4104)에서 충전요구 플래그는 0으로 세팅되고, 그리고 제어는 촬영충전 프로세스를 끝내면서 복귀된다.
이 시간은 스트로브수단(231)이 완전하게 충전되지 않는다면 또는 스트로브수단(231)이 완전하게 충전된 이래로 3초 또는 그 이상의 초가 지나갔다면 스텝(S4101)에서의 충전 디스에이블타이머에서 끝나지 않을 것이다. 이와같은 경우에 충전이 디스에이블되지 않기 때문에, CPU(210)는 스텝(S4102)에서 0으로 충전-OK 플래그를 세팅하고, 그리고 스텝(S4105) 후의 충전을 위한 프로세스가 실행된다.
스텝(S4105)에서, CPU(210)는 충전중단 플래그가 1로 세팅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메인충전 프로세스가 실행되어지는 동안 스위치 작동이 실행될 때 충전프로세스는 중단되고, 그리고 작동된 스위치에 상응하는 프로세스는 실행되고, 그리고 이 프로세스에서 충전중단 플래그는 1로 세팅된다.
충전중단 플래그가 0으로 세팅되면, 즉 메인충전 프로세스가 스텝(S4105)에서 중단되지 않았다면 소정된 한계시간(8초)은 충전시간을 규제하기 위하여 충전 타이머에 세팅된다. 충전중단 플래그가 스텝(S4105)에서 1로 세팅되면 충전은 다시시작될 것이기 때문에 충전중단 플래그는 삭제(0으로 세팅)되고 그리고 충전이 중단되었던 위치에서 남은 충전한계 시간의 양은 충전타이머에서 세팅된다(스텝 S4107 및 S4109). 이와같은 방식으로, 충전이 중단되더라도 소정된 충전한계 시간(8초)의 일부는 중단에 앞서 충전 프로세스에서 충전에 이미 소비될 것이다. 중단 후의 충전프로세스를 위한 충전시간이 상기 언급된 소비시간이후 남은 소정된 충전한계 시간(8초)의 일부로 세팅되기 때문에 충전은 시간이 타이머에서 종료된 상태에서 충전이 종료될 때 소정된 충전시간 동안 실행될 것이다.
충전타이머가 스텝(S4111 또는 S4109)에서 세팅된 후 CPU(210)는 레드 램프 블링크 플래그를 1로 세팅하고, 그리고 레드램프(227)는 블링크된다. 스트로브 플래시 커패서터(530)의 충전이 촬영자에 의해서 인식됨 없이 메인충전 프로세스에서 실행될지라도 촬영충전 프로세스에서의 충전이 촬영자가 셔터버튼(217)을 절반 눌러 실행되기 때문에 촬영자에게 충전이 진행중에 있는지를 통보하는 것은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 촬영 충전프로세스에서 레드램프(227)는 블링크되어 촬영자가 충전이 진행중인지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충전타이머가 세팅될 때 스텝(S4115)에서 충전신호는 ON으로 세팅되고, 즉 스트로브수단(231)의 단자(CHEN)에서의 레벨은 H가 되도록 세팅되고, 그리고 충전은 시작된다. 충전전압에 상응하는 스트로브수단(231)의 단자(RLS)의 출력은 A/D 변환을 하면서 CPU(210)로 입력된다. 스텝(S4117)에서 CPU(210)는 A/D 변환된 충전전압을 체크한다. 충전전압이 스텝(S4119)에서 스트로브 플래싱을 가능하게 하는 레벨에 이르면 스텝(S4121)에서 CPU(210)는 스트로브 플래싱이 가능하게 되는 것을가리키는 1로 충전-OK 플래그를 세팅하고, 그리고 스텝(S4123)에서 충전은 스트로브 회로(500)의 단자(CHEN)에서의 레벨을 로우(L)로 세팅함으로써 정지되고, 그리고 스텝(S4125)에서 레드램프 블링킹 플래그는 0으로 세팅되고, 그리고 레드램프의 블링킹은 정지된다. 이와같은 방식으로, 촬영자는 충전프로세스가 완료되어 있다는 것, 즉 더 이상 스트로브가 플래시될 수 없는 상태가 아닌, 다시말해서 촬영이 이제 가능하다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스텝(S4119)에서, CPU(210)가 충전전압이 스트로브 플래싱을 가능하게 하는 값에 도달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면, 스텝(S4127)에서, 충전타이머에서의 시간이 끝났는지의 여부가 판단된다. 충전타이머에서의 시간이 끝나면 스텝(S4123)에서 스트로브 회로(500)의 단자(CHEN)에서의 레벨은 충전을 정지시키도록 로우(L)로 세팅되고, 그리고 스텝(S4125)에서 레드램프 블링크 플래그는 레드램프의 블링킹을 끝내도록 0으로 세팅 된다. 이 시간이 스텝(S4127)에서 끝나면 충전-OK 플래그는 플래싱이 가능하게 되는 레벨에 충전전압이 이르지 않을 것이기 때문에 1로 세팅되지 않을 것이다.
충전타이머의 시간이 스텝(S4127)에서 끝나지 않으면 스텝(S4129)에서 CPU(210)는 광측정스위치(SWS)가 OFF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광측정스위치(SWS)가 ON이면 스텝(S4117 내지 S4127)의 프로세스는 반복된다. 이와같은 방식으로, 셔터버튼(217)이 적어도 절반 눌려지는한 충전은 충전전압이 플래싱을 가능하게 하는 레벨에 도달할때까지, 또는 충전시간(8초)이 경과될때까지 실행된다.
스텝(S4129)에서 광측정스위치(SWS)가 OFF인 것으로 판단되면, 다시 말해서셔터 버튼의 절반 눌려진 상태가 충전시 제거되면 스텝(S4131)에서 CPU(210)는 충전신호를 OFF로 만들며, 다시 말해서, CPU(210)는 충전신호를 OFF로 변화시키는데, 즉, 스트로브 회로(500)의 단자(CHEN)에서 레벨을 로우로 세팅하며, 그리고 스텝(S4133)에서 충전타이머에 의해서 표시된 남은 시간은 메모리에 저장되고, 그리고 스텝(S4135)에서 충전중단 플래그는 충전이 중단되어 있는 것을 가리키는 1로 세팅된다. 그리고나서 메인충전 프로세스에서 제거된 나머지 충전프로세스의 실행을 다시 시작하기 위해서 스텝(S4137)에서 충전요구 플래그는 1로 세팅되고, 그리고나서 스텝(S4139)에서 레드램프 블링킹 플래그는 레드램프(227)의 블링킹을 정지시키도록 0으로 세팅되고, 그리고 촬영충전 프로세스는 끝난다. 상기 설명된 바와같이, 스텝(S4133)에서 메모리에 저장된 나머지 시간과 충전중단 플래그 및 충전요구 플래그는 메인충전 프로세스의 실행시 참조가 된다.
[초점맞춤 프로세스]
도 62는 초점맞춤 프로세스에 대한 순서도를 도시하고 있다. 초점맞춤 프로세스에서, 렌즈구동계산 프로세스에서 계산된 전체 유니트구동모터 구동펄스수와 후방렌즈 그룹구동모터 구동펄스수에 근거하여 전체 유니트구동모터(25)는 시계방향으로(즉, 렌즈가 신장되는 방향으로) 구동되고, 그리고 후방렌즈 그룹구동모터(30)는 시계방향으로(즉, 후방렌즈그룹(L2)이 수축되는 수축방향으로) 구동되어 이에 의해 전방렌즈그룹(L1)과 후방렌즈그룹(L2)을 초점맞춤된 위치로 이동시킨다(도 34의 렌즈구동참조). 본 초점맞춤 프로세스는 전체 유니트구동모터(25)와 후방렌즈그룹 구동모터(30) 양자가 동시에, 즉 병행으로 구동된다.
초점맞춤 프로세스에서, 전체 유니트 구동모터(25)가 현재의 줌코드의 격납측에서 전환 지점으로부터 구동되는 렌즈구동계산 프로세스에서 계산된 줌펄스 카운터 값, 즉 펄스의 수는 스텝(S4201)에서 줌펄스 메모리에 기록된다. 줌시퀀스는 0으로 세팅되고, 그리고 전체 유니트구동모터(25)는 시계방향으로 구동되고, 그리고 구동체크 프로세스는 줌시퀀스가 1이 될 때까지, 즉 현재의 줌코드가 검출될 때(즉, OFF로부터 ON으로 변환될때)까지 대기하도록 실행되고, 그리고 줌 시퀀스가 1이 될 때 AF시퀀스는 0으로 세팅 된다(스텝 S4203, S4205, S4207, S4209 및 S4211).
후방렌즈 그룹구동모터(30)는 시계방향으로 구동되고, 그리고 AF펄스카운터에서의 값이 50 보다 작은지의 여부가 체크된다. 그 값이 50 보다 작다면 후방렌즈 그룹구동모터(30)의 제어는 저속제어(즉, 펄스폭 변조(PWM)제어)로 변환되는 한편, 그 값이 50 보다 작지않다면 제어는 줌구동체크 프로세스로 진행한다(스텝 S4213, S4215, S4217 및 S4219 또는 스텝 S4213, S4215 및 S4219).
대기는 줌 시퀀스 및 AF시퀀스가 5가 될 때까지 실행되고, 그리고 둘다가 5가 될 때, 즉 전체 유니트구동모터(25) 및 후방렌즈 그룹구동모터(30) 양자가 정지할때 제어는 복귀된다(스텝 S4219, S4221, S4223 및 S4225).
초점맞춤 프로세스에서, 전체 유니트구동모터(625)와 후방렌즈그룹구동모터(30) 양자가 동시에 구동되기 때문에 초점맞춤된 위치로 전방렌즈그룹(L1) 및 후방렌즈그룹(L2)을 이동시킴으로써 초점맞춤하는데 요구되는 시간이 단축된다.
[노출 프로세스]
도 63 내지 도 65는 노출프로세스에 대한 순서도를 도시하고 있다. 이 노출 프로세스는 릴리즈스위치(SWR)가 ON으로 변환될 때 불리어진다, 즉, 실행된다. 노출프로세스에서 셔터에 대한 보정프로세스 및 셔터 초기위치 확인 프로세스 등은 실행 되고, 그리고 셔터는 그후 노출을 실행하도록 릴리즈된다.
먼저, AE조절이 완료되었는지의 여부가 체크되고, 그리고 AE조절이 완료되지 않으면, 또는 AE조절이 완료되었더라도 AE데이타가 10Ev 보다 작으면 AE타이머 시간은 AE 계산 프로세스시 획득된 AE 데이타에 근거하여 ROM에 저장된 고정데이타 중에서 선택된다(스텝 S4301 및 S4305 또는 S4301, 스텝 S4303 및 S4305). AE조절이 완료되고, 그리고 AE데이타가 AE계산 프로세스시 획득된 AE 데이타에 근거하여 스텝(S4301, S4303 및 S4307)에서 10Ev 또는 그 이상이면 AE 타이머 시간은 리셋팅 프로세스시 판독된 조절데이타 중에서 결정된다. ROM에 있는 고정데이타는 AE데이타가 10Ev 보다 작을 때 셔터 릴리즈시간이 길어지기 때문에 AE 데이타가 10보다 작을 때 사용되어, 에러의 영향이 작을 것이며, 그리고 이 프로세스는 ROM에 있는 데이타를 사용함으로써 보다 짧은 시간으로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나서, 스텝(S4309 및 S4311)에서, 또는 스텝(S4309 및 S4313)에서 FM 조절이 완료되었는지의 여부가 체크된다. FM조절이 완료되지 않으면 FM 타이머 시간은FM 데이타에 근거하여 ROM에 저장된 고정데이타 중에서 선택되는 한편, FM 조절이 완료되면 리셋팅 프로세스시 조절데이타 판독 프로세스에서 판독된 데이타가사용된다.
타이머의 세팅이 완료될 때 스텝(S4315, S4317, S4319 및 S4321)에서 셔터 초기 위치 확인 프로세스는 실행된다. 이 프로세스에서, 즉 스텝(S4315, S4317, S4319 및 S4321)에서 AE모터(29)는 닫힘방향으로 셔터 블레이드(27a)를 구동시키도록 반시계 방향으로 구동되고, AE 펄스카운팅 한계 타이머는 시작되고, 그리고 AE펄스 카운팅 프로세스는 타이머 시간이 끝날때까지 대기하도록 실행된다. 셔터블레이드(27a)가 완전하게 차단되어, 이동불가능하게 될 때 AE모터(29)가 회전할 수 없게 되기 때문에 이 시간은 끝나게 된다.
이 시간이 끝날 때 스텝(S4323 및 S4325)에서 AE모터(29)는 시계방향으로 구동되고, 그리고 셔터는 개방방향으로 구동되고, 그리고 AE펄스 카운팅 한계 타이머 시간이 시작된다. 그리고나서 스텝(S4327, S4329 및 S4331)에서 AE펄스 카운팅 프로세스는 실행되고, 그리고 대기는 시간이 AE펄스 카운팅 한계 타이머 시간에서 끝나는지의 여부를 체크하면서 기준펄스수가 AE펄스 카운팅 프로세스에서 카운트 종료될 때까지 실행된다. 스텝(S4329, S4333 및 S4335)에서 이 시간이 AE펄스 카운팅 한계 타이머 시간에서 끝나게 되면 이것은 AE모터(29)의 회전이 어떤 이유로 인하여 방해를 받고, 셔터에러 플래그가 세팅되고, AE모터(29)가 프리상태가 되고, 즉 전류의 통과가 정지되고, 그리고 제어가 복귀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기준펄스의 카운팅이 종료되자 마자 셔터블레이드(27a)가 개방되기 시작하기 때문에 AE타이머 및 FM타이머는 시작되고, 그리고 플래시 종료 플래그는 제거된다(스텝 S4335, S4337, S4339 및 S4341).
플래시 종료 플래그가 세팅되었는지의 여부 및 플래시 모드가 세팅되었는지의 여부가 체크될지라도 스트로브가 플래시되지 않을 경우에 플래시 종료 플래그가 제거된 채로 있고 플래시모드가 세팅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대기는 시간이 AE타이머에서 끝나게 될 때까지 실행된다(스텝 S4343, S4345 및 S4347).
AE타이머의 시간이 끝날 때, 그리고 벌브모드가 세팅되지 않으면 AE모터(29)는 셔터블레이드 차단작동을 시작하도록 반시계방향으로(즉, 셔터가 폐쇄되는 방향으로) 구동되고, 그리고 AE펄스 카운팅 한계 타이머시간은 시작된다(스텝 S4371 및 S4373). 그리고나서 AF 펄스 카운팅 프로세스를 실행하는 동안 대기는 시간이 AE펄스 카운터에서 끝나게 될 때까지 실행되고, 즉 셔터블레이드(27a)는 차단되고 AE모터(29)는 정지되고, 그리고 시간이 끝날 때 AE모터는 프리상태가 되고, 그리고 제어는 복귀된다(스텝 S4375, S4377 및 S4379). 벌브모드의 경우에 AE모터(29)는 AE모터(29)를 과부하로부터 방지하기 위해서 광측정 스위치(SWS)가 ON인 동안 프리상태가 되고, 그리고 대기는 광측정스위치(SWS)가 OFF로 변환될때까지 실행된다(스텝 S4365, S4367 및 S4369).
스트로브 플래싱 모드가 세팅되면 이것은 플래싱모드가 세팅되어 있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제어는 스텝(S4349)로 진행하고, 그리고 플래싱이 진행중인지의 여부가 체크되고, 그리고 플래싱이 초기에 진행중이지 않으면 대기는 시간이 FM타이머에서 끝날 때까지 실행된다(스텝 S4349, S4351, S4347, S4313 및 S4345). FM타이머 시간이 일반적으로 AE 타이머시간 보다 짧기 때문에 이 시간은 일반적으로 FM 타이머 에서 먼저 끝나게 될 것이다. 이 시간이 FM 타이머에서 끝날때 플래싱은 시작되고, 그리고 2㎳ 타이머는 시작된다(스텝 S4351, S4353 및 S4355). 2㎳ 타이머는 스트로브의 플래싱의 완전한 종료를 위해서 대기하는 타이머이고, 그리고 이 대기시간은 2㎳로 한정되지 않고, 그리고 스트로브의 특성에 따라 다를 수 있다.
플래싱이 시작될 때 플래싱이 진행중일 것이기 때문에 대기는 시간이 2㎳ 타이머에서 끝나게 될 때까지 실행된다(스텝 S4349, S4357, S4347, S4343 및 S4345). 2㎳ 타이머의 시간이 끝날 때 플래싱은 정지되고, 플래시 종료 플래그는 세팅되고, 그리고 충전 요구 플래그는 세팅된다(스텝 S4357, S4359, S4361 및 S4363). 그리고나서 스텝(S4343 및 S4347)에서 플래시 종료 플래그는 이미 세팅되어 있기 때문에 대기는 시간이 AE 타이머에서 끝날때까지 실행된다.
[렌즈 복귀 프로세스]
도 66은 렌즈복귀 프로세스에 대한 순서도를 도시하고 있다. 렌즈 복귀 프로세스는 촬영 프로세스시 초점맞춤된 위치로 이동되는 전방렌즈그룹(L1) 및 후방렌즈그룹(L2)이 촬영 프로세스에 앞서 그 위치로 복귀되는 프로세스이다. 전방렌즈그룹(L1)은 스탠드바이 위치로 복귀되어, 현재의 초점길이를 확인하는 줌스텝에 상응하는 줌 코드의 "광각" 측 전환지점으로부터 제2줌펄스(ZP2)에 상응하는 양만큼 격납위치의 방향으로 수축된다. 후방렌즈그룹(L2)은 줌스텝이 5이상이면 AF원위치로 복귀되거나, 또는 줌스텝이 0과 4 사이일 때 AF펄스의 값(AF1)에 상응하는 양만큼 AF원 위치로부터 신장된(즉, 수축된) 위치로 이동된다.
먼저, 렌즈복귀 프로세스에서 AF복귀 프로세스는 불리어지고, 후방렌즈그룹(L2)은 AF원위치로 복귀되고, 그리고 렌즈복귀 플래그는 세팅된다. 그리고나서 AF 2-스테이지 신장 프로세스는 불리어지고, 그리고 줌코드가 5 이상이면, 후방렌즈그룹(L2)은 현재상태로 있는다. 줌코드가 4 이하이면 후방렌즈그룹(L2)은 AP펄스의 값(AP1)에 상응하는 양만큼 신장(즉, 수축)되고나서 줌복귀 플래그는 제거, 즉 0으로 세팅된다. 그리고나서 줌복귀 프로세스는 불리어지고, 그리고 전방렌즈그룹(L1)은 현재의 줌코드의 스탠드바이 위치로 이동되고, 그리고 제어는 복귀된다(스텝 S4401, S4403, S4405, S4407 및 S4409).
[렌즈 구동계산 프로세스]
도 67은 렌즈구동계산 프로세스를 위한 순서도이다.
렌즈구동계산 프로세스는 "광각" 측 전환지점(즉, ON/OFF지점)으로 부터의 줌펄스수가 AF 펄스값과 현재의 줌 스텝에 상응하는 바와같이, 전체 유니트 구동모터(25)와 후방렌즈그룹 구동모터(30)를 구동시키는 펄스수가 현재의 줌스텝과 초점맞춤 프로세스에서 얻어진 피사체거리(또는 촬영거리)를 근거로 판별되는 프로세스이다.
본 실시예의 초점맞춤 프로세스에서, 전체 유니트 구동모터(25)가 구동되는 방향은 전방렌즈그룹(L1)이 전진(신장)하는 방향이고, 후방렌즈그룹 구동모터(30)가 구동되는 방향은 후방렌즈그룹(L2)이 AF 원 위치로부터 수축하는 즉 전방렌즈그룹(L1)으로 부터 멀리 이동되는 방향이다.
본 실시예에서 초점맞춤의 3개의 모드가 실행된다.
"광각" 쪽에서 전체 초점맞춤(제1모드)이 실행되는데 여기에서 전방렌즈그룹(L1)과 후방렌즈그룹(L2)이 전체 유니트 구동모터(25)에 의해 전체적으로 이동된다.
"망원"쪽에서 후방렌즈그룹 초점맞춤(제3모드)은 단지 후방렌즈그룹(L2)만이 후방렌즈그룹 구동모터(30)에 의해 이동되는 것으로 실행되고, 그리고 "광각" 쪽과 "망원"쪽 사이에서 전방렌즈그룹 초점맞춤(제2모드)은 전방렌즈그룹(L1)과 후방렌즈그룹(L2)이 전체 유니트 구동모터(25)에 의해 이동되고, 후방렌즈그룹(L2)이 후방렌즈그룹 구동모터(30)에 의해 이동되어서 카메라에 대한 후방렌즈그룹(L2)의 절대 위치가 변경되지 않는 것으로 실행된다.
렌즈구동계산 프로세스의 스텝(S4501)에서 렌즈이동의 기준량(즉 펄스수)(2T)은 초점맞춤 프로세스를 통해서 얻어진 피사체 거리와 현재의 줌 스텝을 근거로 계산된다.
그리고나서 스텝(S4503, S4505, S4507, S4509, S4511, S4513 및 S4515)에서 현재의 줌스텝이 0(즉 "광각" 쪽)인지, 1과 12 사이(즉, "광각" 쪽과 "망원" 쪽 사이의 중간위치)인지, 또는 13(즉 "망원" 쪽)인지가 판정되고, 줌 스텝에 상응하는 펄스 계산프로세스가 실행된다. 스텝(S4505, S4507)에서 현재의 줌 스텝이 "광각" 쪽이라면 전체 초점맞춤이 실행되고, 값(a×△X2T)은 줌펄스 카운터에서 세팅되고, 값(0)은 AF 펄스 카운터에서 세팅된다. 현재의 줌스텝이 중간위치에 상응하다면, 전방렌즈그룹 초점맞춤은 실행될 것이며, 스텝(S4509, S4511)에서 값(b×△X2T)은 줌 렌즈 카운터에서 세팅되고, 값(c×△X2T)은 AF펄스 카운터에서 세팅된다.
현재의 줌 스텝이 "망원" 쪽에 상응하다면, 후방렌즈그룹 초점맞춤은 실행될 것이며, 스텝(S4513, S4515)에서 값(0)은 줌펄스 카운터에서 세팅되고, 값(△X2T)은 AF 펄스카운터에서 세팅된다. 부호 a, b, c 그리고 △X는 소정된 보상 요소이다.
펄스카운터의 세팅이 완료되면, 스텝(S4517)에서 초점길이에 따른 보정값(X2f)은 AF펄스 카운터의 값에 더해진다. 그리고나서 스텝(S4519, S4521)에서 조절데이타가 EEPROM(230)으로부터 판독되고 AF 펄스 카운터와 줌 펄스카운터에서 그 값에 더해진다.
스텝(S4523, S4525)에서 AF 2-스테이지 신장플래그가 세팅되었는지의 여부가 체크되고 그리고 이것이 세팅되었다면 후방렌즈그룹(L2)이 AF펄스의 값(AP1) 만큼 AF 원 위치로부터 이미 신장(수축)되었으므로, 값(AP1)은 AF 펄스카운터로부터 공제된다.
상기 프로세스에서, 렌즈가 현재의 초점길이에서 피사체와 초점이 맞추어지는 렌즈위치로 전방렌즈그룹(L1)과 후방렌즈그룹(L2)을 이동시키기 위한, 후방렌즈그룹 구동모터(30)의 구동펄스수와 전체 유니트 구동모터(25)의 구동펄스수의 세팅이 완료된다.
[테스트 기능 프로세스]
도 68은 테스트기능 프로세스를 위한 순서도이다.
테스트기능 프로세스는 카메라의 기능을 테스트하기 위한 프로세스이고 카메라가 측정장치에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카메라의 여러 가지 기능을 실행시키도록 불리어진다.
카메라에 측정장치를 연결하여 테스트를 수행하는 종래의 경우에 있어서, 측정장치로부터 카메라에 입력되는 명령은 미리 결정되고 소정의 프로세스가 측정장치로부터 입력된 여러 가지 명령에 따라서 카메라측에서 실행된다.
하지만, 테스트가 이러한 방식으로 실행될 때, 단지 소정의 작동만이 실행될수 있고 다른 작동은 수행될수 없다. 테스트 작동은 프로그램 준비시에 고려된 테스트 사항만을 수행할수 있으며 테스트 사항은 나중에 추가될수 없다. 본 실시예의 카메라로, 카메라를 제어하는 프로그램은 측정장치로부터 한 번에 하나의 기능을 하게 설계되어 카메라에 의해 실행되도록 되어있다.
테스트 기능 프로세스는 리세팅 프로세스가 실행될 때 리세팅 프로세스 동안에 불러내어진다. 그러므로 테스트 기능 프로세스는 배터리가 카메라에 장착될 때 측정장치(도시생략)를 카메라에 연결하므로서 실행된다.
테스트 기능 프로세스가 불러질 때, 스텝(S7101)에서 카메라에 연결된 측정장치와 카메라의 CPU(210) 사이의 핸드쉐이크는 실행되며 통신조건이 세팅된다.
핸드쉐이크 동안에 에러가 발생하면, 또는 측정장치가 카메라에 연결되지 않으면, 스텝(S7103)에서 핸드쉐이크는 실패한 것으로 간주되고 테스트 기능 프로세스는 제거되고 제어는 복귀된다. 스텝(S7103)에서 핸드쉐이크가 성공이고 통신이 가능하다면, 측정장치로부터 CPU(210)로의 명령의 입력은 가능하다(스텝 S7105).
명령데이타가 스텝(S7107)에서 테스트 기능 프로세스의 종료 표시하는 값(0)을 갖으면, 제어는 테스트 기능 프로세스가 끝남에 따라 복귀된다.
명령 데이터의 값이 0이 아니면, 불리워지게될 기능의 상부 어드레스와 하부 어드레스는 측정장치로부터 직렬 통신을 통해 수신되고(스텝 S7109, S7111) 그리고어드레스에 저장된 기능은 스텝(S7113)에서 실행된다. 필요한 테스트 사항과 관련된 프로세스는 명령데이타가 0의 값으로 수신될 때 까지 상기한 것을 반복함으로써 실행된다.
상기한 바와같이, 상세한 테스트들은 카메라 제어프로그램이 측정장치로부터 입력된 데이타에 의해 기능 유니트에서 설계되어 실행될수 있기 때문에 본 실시예의 카메라로 수행될 수 있다.
[AF펄스 카운팅 프로세스]
도 69는 AF펄스 카운팅 프로세스를 위한 순서도이다.
AF펄스 카운팅 프로세스는 AF펄스의 변화가 소정의 시간내에 검출될때마다 우선 순위세팅 AF펄스 카운터가 하나씩 감소되고 AF펄스 카운터에서의 값이 0이될 때 OK 플래그가 1로 세팅되는 그러한 프로세스이다. 펄스 카운터에서의 값이 소정의 시간내에 0이되지 않으면 OK플래그는 0으로 세팅된다.
스텝(S7201)에서 CPU(210)는 AF펄스에서의 변화가 모니터되는 동안의 시간으로서 타이머에 200ms의 시간이 먼저 세팅된다. 다음의 프로세스에서, 200ms 시간내에 AF펄스에 변화가 없다면, CPU(210)는 상기한 바와같이 OK 플래그를 0으로 세팅한다.
스텝(S7203)에서 CPU(210)는 200ms 타이머에서 시간이 종료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시간이 종료되지 않으면, 스텝(S7207)에서 AF 기준 펄스 입력수단(222)으로부터 CPU(210)로의 출력신호를 근거로하여 AF펄스에서의 변화여부가 판정된다.
AF펄스에서의 변화여부에 대한 판정은 H(하이)레벨로부터 L(로우)레벨로 그리고 그 역으로 펄스의 변화를 검출하므로써 이루어진다.
스텝(S7207)에서 AF펄스에 어떠한 변화도 없으면, CPU(210)는 스텝(S7203)으로 프로세스를 복귀시킨다. 그러므로 200ms 내에 AF펄스에서의 어떠한 변화도 검출되지 않으면, 스텝(S7203)에서 시간이 종료된 것으로 판정하고, 프로세스는 스텝(S7205)에서 OK 플래그를 0으로 세팅하고 종료된다. 다시말해서, OK 플래그는 AF펄스 카운팅 프로세스가 불리워지기전에 AF 펄스카운터에서 세팅된 값과 같은 펄스수가 AF 펄스 카운팅 프로세스의 실행동안에 검출되지 않으면 0으로 세팅된다.
CPU(210)가 스텝(S7207)에서 AF펄스에서의 변화를 검출하면 스텝(S7209)에서 타이머가 리세팅되고, 200ms의 시간이 다시 세팅되고 그리고 다시 시작된다.
스텝(S7211)에서 AF펄스에서의 검출된 변화가 AF펄스의 상승이면, 스텝(S7213)에서 AF펄스 카운터는 하나씩 감소된다. 여기에서, 카운터되는 값, 즉 후방렌즈그룹(L2)이 후방렌즈그룹 구동모터의 수단에 의해 구동되는 양에 상응하는 값은 AF펄스 카운팅 프로세스가 실행되기 전에 AF펄스 카운터에서 세팅된다. 스텝(S7215)에서 감소된 AF펄스 카운터의 값이 0이면, CPU(210)는 OK플래그를 1에 세팅하고 프로세스를 종료한다.
즉, AF펄스 카운팅 프로세스가 불리워지기 전에 AF펄스 카운터에서 세팅된 값과 동일한 펄스수가 카운트되면 OK 플래그는 1에 세팅된다.
상기한 바와같이, AF펄스 카운팅 프로세스에서, 사전에 AF펄스 카운터에서 세팅된 값과 동일한 펄스수가 AF기준펄스 입력수단(222)으로부터 CPU(210)로 출력되면 OK 플래그는 1로 세팅되고, AF기준펄스 입력수단(222)이 AF펄스카운터에서 세팅된 값과 동일한 펄스수를 CPU(210)에 출력하기 전에 펄스의 출력이 정지되면 OK플래그는 0으로 세팅된다.
[줌 구동체크 프로세스]
도 70은 줌 구동체크 프로세스에 대한 순서도를 도시하고 있다.
부가하여, 줌시퀀스와 전체 유니트 구동모터(25)의 구동상태사이의 관계가 도 35에 있는 타이밍 챠트 형태로 도시되어 있다. 줌 구동체크 프로세스는 피사체 거리에 초점을 맞추기 위하여 어느 스테이지에서 전체 유니트 구동모터(25)에 의해 렌즈의 구동이 이루어지는지 판정하고 그리고 전체 유니트 구동모터(25)의 구동제어가 어느 스테이지에서 실행되는지 판정하는 프로세스이다.
전체 유니트 구동모터(25)의 구동상태, 즉 전체 유니트 구동모터 제어수단(60)의 작동상태를 표시하는 인덱스인 줌 스퀀스(0내지 5)의 값에 따라서 줌 구동체크 프로세스가 실행되면, 이 프로세스는 스텝(S7301)에서 분기된다.
줌 구동체크 프로세스가 불리워지면, 전체 유니트 구동모터(25)가 시계방향으로 구동되고 줌 시퀀스가 0으로 세트되는 상태로 될 것이다.
스텝(S7303)에서, 줌 시퀀스의 값이 0이면, CPU(210)는 줌 코드 입력 프로세스를 부를 것이며, 줌 코드의 값이 입력된다. 렌즈가 멈추면, 줌 코드 검출을 위한 단자는 줌 코드의 "광각" 측에 위치된다. 전체 유니트 구동모터(25)가 시계방향으로 구동될 때, 줌코드 검출 단자는 소정된 렌즈 위치에 상응하는 줌 코드와 먼저 접촉한다. 줌 코드 입력 프로세스에서 입력된 줌 코드는 스텝(S7305)에서 현재의줌 코드로서 메모리에서 저장된 값과 같으면, 스텝(S7307)에서 줌 시퀀스는 1로 세팅된다.
줌코드 입력 프로세스에서 세팅된 줌 코드가 스텝(S7305)에서 현재의 줌 코드로서 메모리에 저장된 값과 다르면, 줌 시퀀스는 0을 유지하고 줌 구동체크 프로세스는 종료된다.
줌 시퀀스의 값이 1일 때, 즉 현재의 줌 코드가 검출된후, 스텝(S7311)에서 CPU(210)는 줌 펄스 입력수단(220)에 의해 줌 펄스 출력의 상승을 모니터한다.
그 다음 스텝(S7311과 스텝 S7313)에서 줌 펄스는 줌 펄스의 상승이 검출되면 단지 감소된다. 줌펄스 카운터가 스텝(S7315)에서 20보다 작게될 때, 스텝(S7317)에서 CPU(210)는 전체 유니트 구동모터(25)를 저속제어로 변환시키며, 스텝(S7319)에서 줌 시퀀스의 값은 2로 세팅된다. 스텝(S7315)에서 줌 펄스 카운터의 값이 20이상이면, 줌 스퀀스는 1에 남아있고, 줌 구동체크 프로세스는 종료된다.
그러므로, 전체 유니트 구동모터(25)가 구동을 시작할 때, 줌 펄스카운터는 현재의 줌코드를 근거로, 그리고 줌 펄스입력수단(220)에 의해 CPU(210)로 출력된 펄스에 따라서 감소된다. 줌펄스 카운터에서의 카운트가 20이 될 때까지 전체 유니트 구동모터(25)는 통상의 DC 구동에 의해 구동된다. 전체 유니트 구동모터(25)가 통상의 속도로 구동되는 동안 줌 시퀀스는 1로 될 것이다. DC 구동상태에서 구동이 계속되면, 렌즈는 전체 유니트 구동모터(25)가 멈출 때, 관성 등으로 인하여 펄스의 바람직한 수에 상응하는 양보다 많이 이동될 수 있다. 그러므로 줌 펄스 카운터가 20보다 적을 때, 전체 유니트 구동모터(25)는 저속 제어하에 놓이게 된다. 저속제어는 PWM 제어에 의해 실행된다. 전체 유니트 구동모터(25)의 구동이 저속제어로 변환될 때, 줌 스퀀스는 2로 세팅된다.
즉 줌 시퀀스가 2일 때, 전체 유니트 구동모터(25)의 저속제어동안에 줌구동 체크 프로세스가 불리워지면, 스텝(S7321)로 부터의 프로세스가 실행된다.
이러한 프로세스에서 CPU는 스텝(S7321)에서 줌펄스의 상승을 모니터하고, 스텝(S7323)에서 상승이 검출될 때 줌 펄스를 감소시킨다. 줌 펄스의 상승이 스텝(S7321)에서 검출되지 않으면, 스텝(S7323)에서의 프로세스를 뛰어넣게 된다.
전체 유니트 구동모터(25)가 저속제어하에 있는 상태에서 렌즈가 구동되는 동안 한 번에 하나씩 감소되는 줌펄스 카운트가 0이 될 때까지, 스텝(S7321과 S7323)에서의 프로세스는 줌 구동 체크 프로세스가 불리워질 때 마다 실행된다. 줌 시퀀스는 이 시기 동안 2로 유지될 것이다. 줌펄스가 스텝(S7325)에서 0이 될 때, 전체 유니트 구동모터(25)는 스텝(S7327)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구동되어 브레이킹 프로세스(즉 역 브레이크)를 실행한다. 스텝(S7328)에서 전체 유니트 구동모터(25)의 반시계 방향 구동을 시작한 후, 역 구동시간인 5 ms 의 시간이 타이머에 세팅되고, 스텝(S7329)에서 줌 시퀀스가 3으로 세팅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줌 시퀀스가 3일 때, 전체 유니트 구동모터(25)는 브레이킹을 위해 반시계 방향으로 구동된다.
줌 시퀀스가 3일 때, 줌 구동체크 프로세스가 불리워지면, 스텝(S7331)에서, CPU(210)는 전체 유니트 구동모터(25)의 반시계방향 구동시간인 5ms 의 시간이 경과하였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5ms가 경과하지 않았다면, 제어는 줌시퀀스가 3을 유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복귀된다. 5ms가 경과한후, 스텝(S7333, S7335, 및 S7337)에서 브레이킹은 전체 유니트 구동모터(25)의 단자를 단락 시킴으로써 수행되고 그리고 20ms 타이머는 시작되며, 줌 시퀀스는 4로 세팅되며 제어는 복귀한다.
줌 시퀀스가 4일 때 줌 구동 체크 프로세스가 불리워지면, 스텝(S7341)에서 CPU(210)는 줌 펄스 변화여부를 모니터한다. 즉, 브레이크가 작동되는 상태하에서 전체 유니트 구동모터(25)가 회전하는지 여부는 20ms내에서 줌 펄스가 변하는지 여부에 따라 판정된다.
CPU(210)가 스텝(S7341)에서 줌 펄스에서 어떠한 변화도 없고, 스텝(S7345)에서 20ms 타이머에서 시간이 종료된 것으로 판정하면, 스텝(S7347, S7349)에서 전체 유니트 구동모터(25)의 제어는 멈추며, 모터의 단자는 개방상태(즉, 비구동상태)로 되며 줌 시퀀스는 5로 세팅된다. 줌 펄스가 변한 것을 스텝(S7341)에서 검출하면, 20ms 타이머는 스텝(S7343)에서 다시 시작하고, 그리고 줌 펄스에서의 이전 변화후에 줌 펄스에서의 다음 변화가 20ms내에서 검출되었는지의 여부를 모니터한다. 스텝(S7345)에서 시간이 20ms 타이머에서 끝났다고 판정할때까지 줌 시퀀스가 4에 유지되어 있고 브레이크가 전체 유니트 구동모터(25)상에 작용하는 상태에서 복귀는 수행된다.
줌 시퀀스가 5일 때 줌 구동체크 프로세스가 불려지면, 순서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제어는 줌 구동체크 프로세스에서 어떠한 프로세스도 실행함 없이 복귀된다.
상기한 바와같이 줌 구동체크 프로세스에서 렌즈는 기준위치인 현재의 줌 코드의 위치로 먼저 이동된다(줌 시퀀스 = 0). 그 다음 렌즈는 줌 펄스 카운터에서의 카운터가 20이상인 동안 통상 속도로 이동되고(줌 시퀀스 = 1), 그리고 줌 펄스 카운터에서의 카운트가 20이하로 되면 저속으로 이동된다(줌 시퀀스 = 2). 줌 펄스 카운터에서의 카운트가 0이 될 때, 전체 유니트 구동모터(25)는 5ms 동안 반시계 방향으로 구동되고(줌 시퀀스 = 3), 그후 브레이킹이 전체 유니트 구동모터(25)의 단자를 단락시킴으로써 수행된다(줌 시퀀스 = 4). 전체 유니트 구동모터(25)가 완전히 멈출 때, 그 제어는 종료되고(줌 시퀀스 = 5), 그후 전체 유니트 구동모터(25)는 제어되지 않는데, 즉 새로운 값이 줌 펄스카운터에 세팅되고 줌 시퀀스가 0으로 세팅될때까지 비구동 상태가 유지된다.
[AF 구동 프로세스]
도 71은 AF 구동 프로세스에 대한 순서도를 도시하고 있다.
AF구동 프로세스는 후방렌즈그룹 구동모터(30)가 렌즈 수축 방향으로 후방렌즈그룹을 후방으로 즉 필름평면쪽으로 이동시키도록 구동되어 제어되며, 여기에서 후방렌즈그룹(L2)이 피사체 거리상에서 초점을 맞추기 위해서 후방쪽으로 움직이는 프로세스이다.
스텝(S7401)에서, AF 시퀀스는 먼저 0에 세팅된다. 스텝(S7403, S7405)에서 후방렌즈그룹 구동모터(30)는 시계방향으로 구동되는데 즉 수축방향으로 구동되며, AF펄스 카운터에서의 카운트가 50 이하인지의 여부를 체크한다. 카운트가 50미만이면, 후방렌즈그룹 구동모터(30)의 제어는 저속제어(즉 PWM 제어)로 전환되고, 카운트가 50이상이면, AF 구동체크 프로세스는 제어전환없이 불리워진다(스텝 S7405,S7407, S7409 또는 스텝 S7405, S7409). 그리고나서 스텝(S7409, S7411)에서, AF 구동체크 프로세스를 실행하는 동안 AF 시퀀스가 5가 될 때까지 대기하고 시퀀스가 5가 될 때 복귀가 실행된다.
AF 시퀀스는 후방렌즈그룹 구동모터 제어수단(61)의 작동 시퀀스의 상태를 확인하는 확인기이고 도 35 및 도 36에 도시된 바와같이, 0의 AF 시퀀스는 AF펄스의 카운팅을 근거로 AF 원 신호의 전환이 검출된 상태를 표시하고, 1과 2는 AF펄스가 카운트되는 상태를 표시하는데, 1은 DC 구동상태를 표시하고 2는 저속제어상태를 표시하며, 3은 역 브레이킹 상태를 표시하고 4는 단락 브레이킹 상태를 표시하며, 그리고 5는 개방 단자상태(비작동상태)를 표시하여 일련의 시퀀스가 종료한 것을 표시한다.
후방렌즈그룹 구동모터(30)를 구동시키는 AF펄스수가 작을 때, 후방렌즈그룹 구동모터(30)가 DC 구동에 의해 구동되면, 이 구동모터(30)를 구동시키는 AF펄스수 이상 만큼 관성등으로 인하여 후방렌즈그룹 구동모터(30)는 구동될수 있다. 그결과 AF펄스 수가 50미만일 때, 시동과 구동은 AF 시퀀스 2에서와 같은 저속에서 처음 부터 수행된다.
[줌 펄스 카운팅 프로세스]
도 72는 줌 펄스 카운팅 프로세스에 대한 순서도를 도시하고 있다.
줌 펄스 카운팅 프로세스는 줌 펄스 입력 수단(220)으로부터 출력된 줌 펄스에서의 변화가 소정의 시간내에 검출될때마다 이전에 세팅된 줌 펄스 카운터가 하나씩 감소하고 줌펄스 카운터에서의 카운트가 0이 될 때 종료되는 프로세스이다.상기한 소정의 시간내에 줌펄스에서의 변화가 검출되지 않으면, 에러 플래그는 1로 세팅된다.
스텝(S7501)에서 CPU(210)는 줌 펄스에서의 변화가 모니터되는 동안의 시간으로서 타이머에서 200ms의 시간을 먼저 세팅한다. 다음의 프로세스에서, 200ms 내에 줌 펄스에서의 어떠한 변화도 없으면, CPU(210)는 에러 플래그를 1로 세팅한다.
스텝(S7503)에서, CPU(210)는 200ms 타이머에서 시간이 끝났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시간이 끝나지 않으면, 스텝(S7507)에서, 줌펄스 입력수단(220)으로부터 CPU(210)로의 출력펄스를 근거로 줌펄스에서의 변화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줌 펄스 변화여부가 하이(H) 레벨로 부터 로우(L)레벨로 그리고 그 역으로 펄스에서의 변화를 검출하므로써 여기에서 판정된다.
스텝(S7507)에서 줌 펄스의 어떠한 변화도 없다면, CPU(210)는 스텝(S7503)에서의 프로세스로 복귀한다. 그러므로, 줌 펄스에서의 변화가 200ms 내에 검출되지 않으면 스텝(S7503)에서 시간이 끝났다고 판정되고, 스텝(S7505)에서 에러 플래그는 1로 세팅되고 제어는 복귀된다. 즉, 줌 펄스 카운팅 프로세스가 불리워지기전에 줌 펄스 카운터에서 세팅된 값과 동일수의 펄스가 줌 펄스 카운팅 프로세스를 실행시키는 시간내에서 검출되지 않으면 복귀는 에러 플래그가 1로 세팅시키면서 수행된다.
CPU(210)가 스텝(S7507)에서 줌 펄스에서의 변화를 검출할 때 스텝(S7509)에서 타이머는 200ms로 리세팅된다. 줌 펄스에서의 검출된 변화가 스텝(S7511)에서의줌 펄스의 상승이면, 스텝(S7513)에서 줌 펄스 카운터는 하나씩 감소된다. 여기에서, 카운트될 값, 즉 전체 유니트 구동모터(25)에 의해 렌즈가 구동되는 양에 상응하는 값 즉, (줌 펄스 입력수단(220)에 의해 출력된 펄스의 카운트)은 줌 펄스 카운팅 프로세스가 실행되기전에 줌 펄스 카운터에서 세팅된다. 감소된 줌 펄스 카운터에서의 카운트가 스텝(S7515)에서 0일 될 때, CPU(210)는 프로세스를 종료한다.
즉, 줌 펄스 카운팅 프로세스가 불리워지기 전에 줌 펄스 카운터에서 세팅된 값과 동일한 수의 펄스가 카운트되면 이 프로세스는 통상적으로 종료한다.
상기한 바와같이, 줌 펄스 카운팅 프로세스에서, 복귀는 줌 펄스 카운터에서 이전에 세팅된 값과 동일한 수의 펄스가 카운트되면 에러 플래그를 세팅하지 않고 실행되는 한편 줌 펄스 입력수단(220)에 의해 줌 펄스 카운터에서 세팅된 값과 동일한 수의 펄스가 카운트되지 않으면 복귀는 에러 플래그를 1로 세팅하여 수행된다.
[AF 구동 체크 프로세스]
도 72는 AF 구동체크 프로세스에 대한 순서도를 도시하고 있다.
AF 구동체크 프로세스는 후방렌즈그룹 구동모터(30)가 제어되어 후방렌즈그룹(L2)이 AF펄스카운터에서 세팅된 값을 근거로 구동되는 프로세스이다.
실행중 AF 구동체크 프로세스는 후방렌즈그룹 구동모터제어수단(61)의 작동시퀀스의 상태를 확인하는 확인기인 AF 시퀀스의 값(0내지 5)에 따른 스텝(S7601)에서 분기된다. AF 구동체크 프로세스가 처음으로 실행될 때, 후방렌즈그룹구동모터(30)는 구동되고 AF 시퀀스는 0으로 세팅된다. 도 35는 AF 시퀀스와 후방렌즈그룹 구동모터(30)의 구동상태 사이의 관계를 도시하고 있다.
스텝(S7603)에서, AF 시퀀스의 값이 0이면 CPU(210)는 AFH(즉 "AF home") 신호가 하이(H)로부터 로우(L)로 변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AFH 신호는 후방렌즈그룹(L2)이 AF 원 위치에 위치될 때 하이(H)이고 후방렌즈그룹(L2)이 AF 원 위치로부터 멀리 이동할 때 로우(L)로 변한다. 아래에 기술하는 AF 펄스 카운터를 근거로 된 후방렌즈그룹(L2)의 이동은 AFH 신호가 로우(L)로 변하는 위치를 근거로하여 실행된다. AFH 신호가 스텝(S7603)에서 하이(H)로부터 로우(L)로 변할 때, 스텝(S7605)에서, CPU(210)는 AF 시퀀스를 1로 세팅하고 제어는 복귀한다.
AFH 신호가 하이(H)로 있는 동안, 제어는 복귀되는 한편 AF 시퀀스는 0에 유지된다.
AF 시퀀스의 값이 1이면, 즉 하이(H)로부터 로우(H)로의 AFH 신호의 변화가 검출된후, 스텝(S7611)에서 CPU(210)는 AF 펄스의 상승을 모니터한다. 스텝(S7611) 및 스텝(S7613)에서, AF 펄스 카운터는 AF 펄스의 상승이 검출될때만 감소하고 스텝(S7615)에서 AF 펄스 카운터에서의 카운트가 200미만으로 될 때, 스텝(S7617)에서 CPU(210)는 후방렌즈그룹 구동모터(30)를 저속제어로 전환하고, 스텝(S7619)에서 AF 시퀀스의 값은 2로 세팅된다. AF 펄스 카운터가 스텝(S7615)에서 200이상이 되면, AF 구동체크 프로세스는 끝나고, 제어는 AF 시퀀스가 1을 유지한 상태에서 수행된다. 후방렌즈그룹 구동모터(30)의 DC 구동이 처음부터 끝까지 실행되면, 원하는 AF 펄스수는 관성 등의 영향으로 인해 초과될수 있다. 그결과 남은 AF 펄스수가 200이 되면, 후방렌즈그룹 구동모터(30)는 PWM제어를 통하여 저속으로 구동된다.
상기한 바와같이 후방렌즈그룹 구동모터(30)가 구동을 시작할 때, AFH 신호가 하이(H)로 부터 로우(L)로 변하는 지점을 근거로하여 AF 펄스 카운터는 감소되며 후방렌즈그룹 구동모터(30)의 통상의 DC 구동은 AF 펄스 카운터에서의 카운트가 200이 될 때까지 수행된다. 후방렌즈그룹 구동모터(30)의 통상의 구동이 실행되는 동안, AF 시퀀스는 1이 될 것이다. AF 펄스 카운터에서의 카운트가 200미만이 되면, 후방렌즈그룹 구동모터(30)는 저속제어 하에 구동된다. 후방렌즈그룹 구동모터(30)가 저속 제어하에 있을 때, AF 시퀀스는 2로 세팅된다.
AF 시퀀스가 2가 될 때 즉 후방렌즈그룹 구동모터(30)가 저속 제어하에 있을 때, AF 구동체크 프로세스가 불리워지면, 스텝(S7621)로부터의 프로세스가 실행된다. 이러한 프로세스에서 스텝(S7621)에서 CPU(210)는 AF 펄스의 상승을 모니터하고 AF펄스의 상승이 검출되면, 스텝(S7623)에서 줌 펄스 카운터는 감소된다. 스텝(S7621)에서 AF 펄스의 상승이 검출되지 않으면, 스텝(S7623)에서의 프로세스를 뛰어 넘게 된다.
후방렌즈그룹 구동모터(30)가 저속제어하에 있는 상태에서 후방렌즈그룹(L2)이 구동되는 동안 한 번에 하나씩 감소되는 AF 펄스 카운트가 0이 되기 전에, AF 구동체크 프로세스가 불리워질때마다 스텝(S7621, S7523)에서의 프로세스가 실행된다. 이 경우에, AF 시퀀스는 2를 유지하게 될 것이다. AF 펄스 카운트가 0이 될 때 스텝(S7627)에서 전체 후방렌즈그룹 구동모터(30)를 반시계 방향으로 구동시킴으로써 브레이킹 프로세스(즉 역 브레이크)가 실행된다. 후방렌즈그룹 구동모터(30)의반시계 방향 구동을 시작한 후, 스텝(S7628)에서 반시계방향 구동 시간인 5ms 의 시간이 타이머에서 세팅되고 스텝(S7629)에서 AF 시퀀스가 3으로 세팅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AF 시퀀스가 3일 때, 후방렌즈그룹 구동모터(30)는 브레이킹을 위해 반시계 방향으로 구동된다.
AF 시퀀스가 3일 때, AF 구동체크 프로세스가 불리워지면, 스텝(S7631)에서 CPU(210)는 5ms의 시간이 경과하였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5ms의 시간이 경과하지 않았다면 제어는 AF 시퀀스가 3을 유지한 상태에서 복귀된다. 5ms 가 경과된 후, 스텝(S7633, S7635 및 S7637)에서, 브레이킹은 후방렌즈그룹 구동모터(30)의 단자를 단락시킴으로써 작용되고 20ms 타이머는 시작되고 AF 시퀀스는 4로 세팅되며 제어는 복귀된다.
AF 시퀀스가 4일 때 AF 구동체크 프로세스가 불리워지면, 스텝(S7641)에서 CPU(210)는 AF 펄스가 변했는지의 여부를 모니터한다. 즉, 브레이크가 작용하는 상태하에서 후방렌즈그룹 구동모터(30)가 회전하는지의 여부가 20ms 내에서 AF 펄스가 변했는지 여부에 따라 판정된다.
스텝(S7641)에서 AF 펄스에서의 변화가 없고 스텝(S7645, S7647 및 S7649)에서 시간이 20ms 타이머에서 종료하였다고 CPU(210)가 판정하면, 후방렌즈그룹 구동모터(30)의 제어는 멈추고, 모터의 단자는 개방상태(즉, 비구동 상태)로 되며, AF 시퀀스는 5로 세팅된다. AF 펄스의 변화가 스텝(S7641)에서 검출되면 20ms 타이머는 스텝(S7643)에서 다시 시작되고 AF 펄스에서의 이전의 변화후에 AF 펄스에서의 다음 변화가 20ms 내에 검출되는지 여부가 모니터된다. 시간이 20ms 타이머에서 끝났다고 판정할때까지 AF 시퀀스가 4에 남아있고 브레이크가 후방렌즈그룹 구동모터(30)상에 작용하는 상태에서 복귀는 스텝(S7645)에서, 수행된다.
AF 시퀀스가 5로 될 때, AF 구동체크 프로세스가 불리워지면 순서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AF 구동체크 프로세스에서의 어떠한 프로세스도 실행하지 않고 제어가 복귀된다.
상기한 바와같이, AF 구동체크 프로세스에서, 렌즈는 AFH 신호가 로우(L)가 되는 기준 위치로 먼저 이동된다(AF 시퀀스 = 0) 후방렌즈그룹은 AF 펄스 카운터에서의 카운트가 200이상으로 되어 있는 동안 통상의 DC 구동에 의해 이동되고(AF 시퀀스 = 1), AF 펄스 카운터에서의 카운트가 200미만이 될 때, PWM 에 의해 저속으로 이동된다(AF 시퀀스 = 2). AF 펄스 카운터에서의 카운트가 0이될 때, 후방렌즈그룹 구동모터(30)는 5ms 동안 반시계 방향으로 구동되고(AF 시퀀스 = 3), 그후 브레이킹이 후방렌즈그룹 구동모터(30)의 단자를 단락시킴으로서 실행된다(AF 시퀀스 = 4).
후방렌즈그룹 구동모터(30)가 완전히 멈출 때, 그 제어는 종료되고(AF 시퀀스 = 5), 그후 후방렌즈그룹 구동모터(30)는 새로운 값이 AF 펄스 카운터에서 세팅되고 AF 시퀀스가 0으로 세팅될때까지 제어되지 않는다(비구동 상태로 들어간다).
본발명의 실시예에서 배리어 장치와 후방렌즈그룹 구동장치의 상세한 설명이 도 74 내지 도 93을 참고로 설명될 것이다.
도 87 및 도 88에서, 줌 렌즈배럴(10)의 전방에 위치한 제1이동배럴(20)의 전방에서 한쌍의 종동자 배리어 블레이드(48a)와 한쌍의 메인 배리어블레이드(48b), 다시말해서 총 4개의 배리어 블레이드로 장치된 렌즈 배리어장치(35)가 장착되어 있다.
제1이동 배럴(20)의 전방 끝에 고정된 장식판(41)의 내주부상에 환형판(96)이 고정되어 있다. 한쌍의 배리어 블레이드(48a, 48b) 양자는 장식판(41)과 환형판(96)사이에 피벗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제1이동 배럴(20)의 전방끝면(20c), 즉 제1이동 배럴(20)의 전방부분상에 형성된 내주플랜지(20b)와 제1이동 배럴(20)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과 환형판(96)과의 사이에 한쌍의 배리어 구동레버(98a, 98b)로 구비된 배리어 구동링(97)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배리어 구동링(97)은 후방렌즈그룹 구동모터(30)로 부터의 회전을 수용함에 따라 회전하는 배리어 커플링 기어축(92)을 통해 시계 방향 및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배리어 커플링 기어축(92)은 전방끝에서 구동기어(92a) 그리고 후방끝에서 피구동기어(92b)를 갖추고 있다. 후방렌즈그룹 구동모터(30)의 회전은 일정한 기어열을 통해서 피구동기어(92b)로 전달된다.
배리어 구동링(97)은 배리어 구동링에 피벗가능하게 부착된 배리어 구동레버(98a, 98b)를 통해서 종동자 배리어 블레이드(48a)와 함께 메인 배리어 블레이드(48b)를 개폐한다.
본 발명의 배리어 구동장치의 기구가 도 87 내지 도 93을 주로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4개의 배리어 블레이드중에서 단지 하나의 메인 배리어 블레이드(48b)는 예시의 목적으로 도 89 내지 도 92에서 2점 쇄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88에 도시된 바와같이 AF/AE 셔터 유니트(21)의 프레서(53)상에 형성된 중공부(111)에 대향한 위치에서(도 8 참조), 제1이동 배럴(20)의 내주 플랜지(26b)상에, 지지삽입구멍(20d)이 형성되어 있다. 배리어 커플링기어축(92)은 도 75 및 도 76에 도시된 바와같이 배리어 개구 기어열(즉, 제2 기어열)(42c)의 최종 기어(42b)와 결합하도록 피구동기어(92b)가 중공부(111)를 통해 삽입되는 상태로 지지 삽입구멍(20d)으로부터 소정의 양만큼 뻗어 있는 구동기어(92a)를 갖추고 있다.
배리어 커플링 기어축(92)의 구동기어(92a)는 도 87에 도시된 바와같이 배리어 구동링(97)의 후방면에 형성된 섹터기어(97a)와 결합된다.
상기한 구조로, 배리어 커플링 기어축(92)이 후방렌즈그룹 구동모터(30)의 회전을 수용함에 따라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때, 배리어 구동링(97)은 광축(0)에 대하여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각각 회전한다.
도 87 내지 도 89에 도시된 바와같이, 외주림의 직경이 배럴(20c)의 내주면의 직경보다 약간 작고 그 내주림의 직경이 실린더 부분(34a)의 외주부의 직경보다 약간 크게되어 배리어 구동림(97)이 형성되어 있다.
장식판(41)의 후방면에 한쌍의 피벗(도시생략)이 고정되는데, 하나의 피벗은 광축(0)에 대하여 다른 하나에 실제로 대향하여 위치해 있다.
이들 피벗은 메인 배리어 블레이드(48b)의 각각의 쌍에 각각 형성된 중공부(102)에 그리고 종동자 배리어 블레이드(48a)의 각각의 쌍에 각각 형성된 중공부(103)에 회전가능하게 끼워져 있다. 각각의 메인 피구동 배리어 블레이드(48b)는 상응하는 피벗에 대하여 상응하는 종동자 배리어 블레이드(48a)를 회전시키므로서 촬영 구멍을 개폐한다. 메인 배리어 블레이드(48b)의 쌍의 각각은 중공부(102)에 대하여 편심인 위치에서 보스(101)로 구비되어 있다. 종동자 배리어 블레이드(48a)의 쌍의 각각은 광축(0) 방향으로 후방으로 돌출한 결합 돌출부(100)로 구비되어 있는데, 이것은 메인 배리어 블레이드(48b)의 개폐작용을 따르도록 내측에 위치한 상응하는 메인 배리어 블레이드(48b)의 외부림(에지)과 결합한다.
배리어 구동링(97)의 전방벽에 축(97h, 97i)이 고정되어 있는데 하나의 축부분이 광축(0)에 대하여 다른 하나와 실제로 대향하여 위치해 있다.
배리어 구동레버(98a, 98b)의 각각은 상응하는 메인 배리어 블레이드(48b)의 보스(101)가 끼워지는 캠홈(107)(도 89에 도시됨)으로 구비되어 있다.
각각의 배리어 구동레버(98a, 98b)에 축홈(120)이 캠 홈(107)의 길이를 따라 중간 위치에 형성되어 있고, 축(97h, 97i)의 각각에 상응하는 축홈(120)이 회전가능하게 끼워져 있다.
각각의 축홈(120)은 상응하는 중공부(102) 근처에 배치된다.
배리어 구동레버(98a, 98b)는 한끝에서 결합부분(109), 그리고 다른 끝에서 결합부분(110)으로 구비되어 있다.
배리어 구동링(97)의 전방벽에서 메인 배리어 블레이드(48b)의 쌍의 중공부(102)의 쌍을 연결하는 선의 한쪽 위치에 구비된 돌출부(97e)에 토션 스프링(105)의 코일(105c)이 결합되어 있다. 토션스프링(105)은 배리어 구동레버(98a, 98b) 쌍을 통해서 개방방향으로 메인 배리어 블레이드(48b)의 쌍을가압할 목적으로 결합되고, 그 한끝(105a)은 배리어 구동레버(98a)의 한끝에서 결합부분(109)과 연결되어 있다.
토션스프링(105)과 배리어 구동레버(98b) 중의 하나 사이에서 토션스프링(105)의 힘의 방향과 반대로, 역전 레버(104)가 위치되어 있다. 배리어 구동링(97)의 전방벽에 축(97j)이 배리어 구동레버(98b)와 돌출부(97e) 사에에 고정되어 있고, 역전레버(104)는 축(97j)상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역전레버(104)는 한끝에서 결합부분(104b)을 갖추고 있는데, 이것은 토션스프링(105)의 다른끝(105b)과 결합하고, 다른끝에서 또하나의 다른 결합부분(104a)을 갖추고 있는데, 이것은 배리어 구동레버(98b)의 다른 끝 결합부분(110)과 결합된다. 소정의 위치에서 방사상 바깥쪽으로 뻗어있는 토션스프링(105)의 끝부분(105a, 105b)의 변형을 억제하기 위해서, 억제돌출부(97f, 97g)는 배리어 구동링(97)의 돌출부(97e)의 양쪽에 배치된다.
배리어 구동레버(98a, 98b)에서 각각 구비된 캠 홈(107)은 제1 걔구섹션(107a)과 제2개구섹션(107b)으로 각각 장치되어 있다. 하지만, 제1 및 제2 개구섹션(107a, 107b)은 중간 경계부분에서 단차져 있으며, 이들은 실제로 직선으로 배치되어 있다.
배리어 개방 작용동안에, 말하자면, 배리어 구동링(97)이 배리어가 완전히 폐쇄된 위치(즉, 도 89에 도시된 위치)로부터 중간 개방위치(즉 도 90에 도시된 위치)까지 회전할 때, 제1 개구섹션(107a,)은 강력한 개구섹션으로 작용하고 메인 배리어 블레이드(48b)의 쌍을 강제로 움직여서 개방 방향으로 움직이게 한다.
배리어 폐쇄 작용 동안에, 말하자면 배리어 구동링(97)이 중간 개방위치(즉 도 90에 도시된 위치)로부터 배리어가 완전히 폐쇄된 위치(즉 도 89에 도시된 위치)까지 회전할 때, 제1개구섹션(107a)은 토션스프링(105)에 의해 폐쇄방향으로 메인 배리어 블레이드(48b) 쌍을 가압하기 위해 스프링 가압섹션으로서 작용한다.
배리어 폐쇄 작용동안에, 말하자면 배리어 구동링(97)이 배리어가 완전히 개방된 위치(즉, 도 91에 도시된 위치)로부터 중간 개방위치(즉 도 90에 도시된 위치)까지 회전할 때, 제2 개구섹션(107b)은 강력한 개구섹션으로서 작용하고 메인 배리어 블레이드(48b)의 쌍을 폐쇄 방향으로 강제로 움직인다. 배리어 개방작용 동안에, 말하자면 배리어 구동링(97)이 중간 개방위치(즉, 도 90에 도시된)로부터 배리어가 완전히 개방된 위치(즉, 도 91에 도시된 위치)까지 회전할 때, 제2개구섹션(107b)은 토션스프링(105)에 의해 개방방향으로 메인 배리어 블레이드(48b)의 쌍을 가압하기 위해 스프링 가압섹션으로서 작용한다.
배리어 구동링(97)은 또한 메인 배리어 블레이드(48b)의 쌍의 중공부(102) 쌍을 결합하는 선의 다른쪽에서 배리어 커플링 기어축(92)의 회전을 수용함에 따라 배리어 구동링(97)을 회전가능하게 구동하기 위해 상기 언급한 섹터기어(97a)를 갖추고 있다.
섹터기어(97a)는 배리어 구동링(97)의 후방면에 구비된 아치형 홈(97d)의 내주부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구조를 갖춘 렌즈 배리어장치(35)는 아래와 같이 작용한다.
배리어 커플링 기어축(92)은 줌 렌즈배럴(10)이 렌즈 격납 위치에 있는 완전폐쇄위치로 한방향으로(즉, 도 89에서 시계방향) 회전하고 여러 가지 부재가 도 89에 도시된 위치에 있을 때, 배리어 구동링(97)은 섹터기어(97a)를 통해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배리어 구동링(97)의 회전동안에, 배리어 구동레버(98a, 98b)는 아래와 같이 메인 배리어 블레이드(48b)의 쌍을 각각 움직인다.
도 89에 도시된 상태에서, 배리어 구동링(97)이 배리어 폐쇄위치로부터 중간 개방쪽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때, 각각의 배리어 구동레버(98a, 98b)는 말하자면 도 89에 도시된 상태로부터 도 90에 도시된 상태로 캠 홈(107)의 제1 개구섹션(107a)을 통해서 광축(0) 쪽으로 상응하는 보스(101)를 먼저 움직인다.
배리어 구동링(97)이 동일 방향으로 더 움직일 때, 각각의 배리어 구동레버(98a, 98b)는 말하자면 도 90에 도시된 상태로부터 도 91에 도시된 상태까지 캠 홈(107)의 제2개구섹션(107b)을 통해서 광축(0)쪽으로 상응하는 보스(101)를 더 움직인다.
이러한 이동에 의해, 메인 배리어 블레이드(48b)의 쌍과 종동자 배리어 블레이드(48a)의 쌍 양자는 개방상태로 된다. 배리어 커플링 기어축(92)이 도 91에 도시된 상태로부터 반대방향(즉, 도 91에 도시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때, 배리어 구동링(97)은 말하자면, 도 91에 도시된 시계방향으로 섹터기구(97a)를 통해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그후, 메인 배리어 블레이드(48b)의 쌍과 종동자 배리어 블레이드(48a)의 쌍은 배리어 구동링이 도 89의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때 실행된 상기한 작용의 역으로의 작용을 통해서 모두 폐쇄 상태로 된다. 후방렌즈그룹 구동모터(30)의 회전이 배리어 커플링 기어축(92)을 통해서 렌즈 배리어장치(35)로 전달되는 기구가 도 74 내지 도 87을 참고로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79에 도시된 바와같이, 셔터 장착판(40)은 광축(0)에 수직방향으로 뻗어 있는 환형부분(40f)으로 구비되고 후방렌즈그룹 구동모터(30)는 환형부분(40f)의 전방면에 고정된다. 환형부분(40f)의 전방벽과 후방벽에서 후방렌즈그룹 구동모터(30)의 회전축에 고정된 피니언(30a)의 회전을 전달하는 렌즈 구동기어열(42A)와, 피니언(30a)의 회전을 전달하는 엔코더 기어열(42B)이 구비되어 있다.
엔코더 기어열(42B)은 후방렌즈그룹 구동모터(30)의 회전을 회전판(59)의 회전축(59f)(도 75)에 전달하는데 사용되는 기어열이고, 후방렌즈그룹 구동모터(30)의 회전은 항상 엔코더 기어열(42B)을 통해서 회전축(59f)에 전달한다.
더욱이 환형부분(40f)에서, 렌즈 구동기어열(42A)의 회전을 배리어 커플링 기어축(92)에 전달하여 렌즈 배리어 장치(35)의 렌즈 배리어, 말하자면 메인 배리어 블레이드(48b)의 쌍과 종동자 배리어 블레이드(48a)의 쌍이 개폐되기 위해서, 배리어 개방 기어열(42c)이 구비된다.
렌즈 기어열(42A)에서, 행성기어(93a)와 태양기어(92b)로 구성된 유성기어(93)(도 74)가 구비되어 있다. 줌 렌즈 배럴(10)이 렌즈 신장 위치로부터 렌즈 격납위치로 움직일 때, 유성기어(93)의 위치는 전환 캠(122)(도 80 내지 도 82 참조)을 통해서 도 75에 도시된 위치로부터 도 76에 도시된 위치로 전환된다. 행성기어(93a)는 도 76에 도시된 상태에서 배리어 개방기어열(42c)의입력기어(42c)와 결합되고, 행성기어(93a)는 도 75에 도시된 상태에서 나사축(43)이 결합되는 구동기어(42a)와 결합된다.
구동기어(42a)는 렌즈구동기어열(42A)의 최종 기어이다.
후방렌즈그룹 구동모터(30)가 도 75에 도시된 상태에서 시계방향 및 반시계 방향으로 구동될 때, 배리어 구동링(97)은 시계방향 및 반시계 방향으로 배리어 커플링 기어축(92)을 통하여 구동되며, 렌즈 배리어장치(35)의 렌즈배리어는 개폐된다.
부가하여, 후방렌즈그룹 구동모터(30)가 도 75에 도시된 상태에서 시계 방향 및 반시계 방향으로 구동될 때, 구동기어(42a)는 시계방향 및 반시계 방향으로 구동되고 후방렌즈그룹(L2)은 나사축(43)을 통해서 전방렌즈그룹(L1)에 대하여 이동한다.
유성기어(93)의 행성기어(93a)와 태양기어(93b)는 도 79 내지 도 82에서 확대된 형태로 도시된 바와같이 회전 전환부재(130)에 의해 지지된다.
회전전환부재(130)는 환형부분(40f)에 평행한 베이스(130a)로 구비되어 있다.
베이스(130a)의 후방면에서, 제1축(130b)이 한 끝에 고정되어 있고, 제2축(130c)이 다른 끝에 고정되어 있다. 베이스(130a)의 전방면에서, 제1축(130b)과 공동축선인 축(130f)이 한 끝에 고정되어 있고, 제2축(130c)과 거의 공동축선인 피구동축(130d)은 다른 끝에 고정되어 있다.
제1축(130b), 제2축(130c), 피구동축(130d) 그리고 축(130f)은 모두 광축(0)에 평행이다.
태양기어(93b)는 제1축(130b)에 회전가능하게 끼워지고, 행성기어(93a)는 제2축(130c)에 회전가능하게 끼워진다. 태양기어(93b)는 환형부분(40f)의 전방면에 형성된 오목한 베어링면(40h)내에 끼워지고 이 상태에서 제1축(130b)의 전방끝부분(130e)은 오목한 베어링면(40h)의 중앙에 형성된 구멍(40i)에 의해 삽입되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축(130f)은 프레서(53)에 상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가이드 중공부(도시생략)내에 회전가능하게 끼워져 있다. 상기한 구조로, 회전변환부재(130)는 제1축(130b)에 대하여 회전하고, 행성기어(93a)는 도 75에 도시된 위치와 도 76에 도시된 위치사이에 전환된다.
회전전환부재(130)의 피구동축(130d)은 프레서(53)에 형성된 가이드 슬롯(53j)으로부터 전방쪽으로 통과하여 돌출하고 프레서(53)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전환캠(122)의 중공부(122a)내에 삽입된다.
전환캠(122)은 그 중앙에서 축삽입구멍(122b)으로 구비되어 있고, 프레서(53)는 축 삽입구멍(122b)내에 회전가능하게 끼워지는 축(53i)으로 구비되어 있다.
축(53i)은 소정량만큼 축 삽입구멍(122b)보다 길며, 그 전방끝은 프레서(53)의 전방에 고정된 프레서판(55)의 구멍(55a)내에 끼워진다.
축삽입구멍(122b) 주위에서 전환캠(122)은 중공부(122a), 광축방향으로 전방으로 뻗어있는 결합핀(122c) 그리고 결합캠(122d)으로 구비되어 있다.
결합캠(122d)의 전방끝의 내부주에서 캠면(123)이 형성된다.
캠면(123)은 후방끝(123a)으로부터 전방끝(123b)까지 후방렌즈그룹 구동모터(30)쪽으로 점차 경사진 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AF/AE 셔터 유니트(21)와 선형가이드부재(22) 사이의 상대 위치가 소정의 위치로 될 때, 캠면(123)은 선형 안내부재(22)상에 구비된 안내레그(22b)중의 하나의 전방 끝에서 결합부분(22f)과 결합된다.
그러므로, 전환캠(122)의 캠면(123)과 선형안내부재(22)의 결합부분(22f) 사이에서 광축방향으로 상대 위치는 엄격하게 세팅된다.
프레서(55)와 전환캠(122)의 축 삽입구멍(122b) 사이에서 축(53i)에 끼워진 코일스프링(124)이 구비되어 있다. 전환캠(122)은 코일스프링(124)에 의해 광축 방향으로 후방으로 계속 가압된다. 더욱이, 토션스프링(125)은 프레서(53)상에 고정된 고정포스트(53k)에 끼워지고 프레서(55)의 한 끝을 고정하도록 나사(127)로 결합되어 있다.
토션스프링(125)의 한끝(125a)은 프레서(53)의 고정부분(53m)과 결합하고, 다른끝(125b)은 전환캠(122)의 결합핀(122c)과 결합한다.
전환캠(122)은 피사체측으로부터 AF/AE 셔터 유니트(21)를 볼 때 반시계방향으로 토션스프링(125)에 의해 계속 가압된다. 부가하여 회전전환부재(130)의 피구동축(130d)이 안내 슬롯(53j)을 통해 삽입되므로, 회전전환부재(130)는 또한 토션스프링(125)에 의해 동일 방향으로 가압된다. AF/AE 셔터 유니트(21)와 선형 안내부재(22)가 상호 분리된 상태에 있을 때, 전환캠(122)은 도 77에 도시된 상태로 축(53i)에 끼워지는데, 결합핀(122c)에 밀접하게 형성된 결합부분(122f)은프레서(53)에 고정된 결합돌출부(53n)와 접촉한다. 그러므로 이러한 상태에서, 전환캠(122)은 피사체측으로부터 AF/AE 셔터 유니트(21)를 볼 때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지 못하게 만들어져 있다.
이때에 전환캠(122)과 회전전환부재(130)사이의 상대위치관계가 도 80에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상태로부터 결합돌출부(53n)와 결합부분(122f)과의 결합이 코일스프링(124)의 가압력에 대하여 전방으로(즉, 도 80의 화살표 방향으로) 전환캠(122)을 움직이므로서 해제되면, 시계방향으로 회전될수 있다.
카메라의 파워가 도 83에 도시된 상태(촬영상태)에서 OFF로 될 때, 도 84에 도시된 상태, 말하자면 격납된 상태로의 변이가 실행된다.
이러한 프로세스에서 먼저 선형안내부재(22)의 결합부재(22f)은 캠면(123)의 전방끝(123b)과 접촉하며, 그리고 선형안내부재(22)와 AF/AE 셔터 유니트(21)가 더 가깝게 이동할 때, 결합부분(22f)이 광축 방향으로 전방으로 캠면(123)을 누르므로, 전환캠(122)은 전방으로 이동하고, 결합돌출부(53n)과 결합부분(122f)의 결합은 해제된다.
이때에, 전환캠(122)과 회전전환부재(130)는 도 81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대위치관계에 있게될 것이다.
그후, 선형안내부재(22)와 AF/AE 셔터 유니트(21)가 더 밀접하게 움직일 때, 전환캠(122)은 피사체측으로부터 AF/AE 셔터 유니트(21)를 볼 때 시계방향(즉, 도 81의 화살표방향)으로 회전하고 그리고 선형안내부재(22)의 결합부분(22f)에 대하여 캠표면(123)을 미끄러지게 한다.
이들 회전과 동시에 회전 전환부재(130)는 구멍(122a)과 피구동축(130d)을 통해서 동일방향으로 역시 회전하고, 이러한 회전에 의해 행성기어(93a)와 구동기어(42a)의 결합이 해제된다.
그후, 도 84에 도시된 바와같이 선형안내부재(22)와 AF/AE 셔터 유니트(21)는 서로 가장 밀접하게 될 때, 결합캠(122d)은 결합부분(22f)에 인접한 안내레그(22b)의 림(22g)을 올라탄다. 이때에 전환캠(122)은 피사체측으로부터 AF/AE 셔터 유니트(21)를 볼 때 시계방향으로 더 회전한 위치에 있게될 것이며, 동시에 회전전환부재(130)는 동일방향으로 회전하고, 피사체측으로부터 AF/AE 셔터 유니트(21)를 볼 때 시계방향으로 더 회전한 위치에 위치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행성기어(93a)는 배리어 개방기어열(42C)의 입력기어(42c)와 결합한다.
이러한 결합이 세팅될 때, 후방렌즈그룹 구동모터 제어수단(61)은 소정의 방향으로 후방렌즈그룹 구동모터(30)의 피니언(30a)을 회전시키고, 이러한 회전은 렌즈구동기어열(42A), 배리어 개방기어열(42C) 그리고 배리어 커플링 기어축(92)을 통해서 렌즈 배리어 장치(35)에 전달되고, 렌즈 배리어는 결국 폐쇄된다.
격납된 상태로부터 카메라의 파워가 ON되면, 후방렌즈그룹 구동모터 제어수단(61)이 먼저 상기한 소정의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후방렌즈그룹 구동모터(30)의 피니언(30a)을 회전시켜 렌즈 배리어 장치(35)의 렌즈 배리어를 개방하고, 그리고 줌렌즈 배럴을 신장하게 한다. 이러한 신장으로 선형안내부재(22)와 AF/AE 셔터 유니트(21)는 서로 멀리 떨어지며, 그러므로 전환캠(122)과 선형안내부재(22)의 안내레그(22b) 사이의 결합은 해제되고 도 83에 도시된 촬영상태가 세팅된다. 이러한 촬영상태에서 행성기어(93a)는 구동기어(42a)와 결합상태에 있다.
상기한 바와같이 본발명의 본 실시예에서 줌 렌즈 배럴(10)에서, 후방렌즈그룹 구동모터(30)의 회전이 특정 기어열을 통해 렌즈 배리어 장치(35)로 전달되므로 렌즈 배리어는 확실히 개폐된다.
상기 설명으로부터 이해되는 바와같이 본 발명의 본 실시예는 전체적으로 전방렌즈그룹과 후방렌즈그룹을 움직이는 전체 유니트 구동수단 마찬가지로 적어도 전방렌즈그룹과 후방렌즈그룹 그리고 전방렌즈그룹에 대하여 후방렌즈그룹을 이동시키는 후방렌즈그룹 구동수단으로 구비되어 있다. 전방렌즈그룹과 후방렌즈그룹이 소정의 위치로부터 카메라 몸체쪽으로 수축된 위치에 있을 때, 전방렌즈그룹과 후방렌즈그룹은 전체 유니트 구동수단을 구동시킴으로서 전방으로 움직이고, 그다음 후방렌즈그룹은 후방렌즈그룹 구동수단의 구동에 의해 후방으로 움직이고, 그러므로 임의의 외부의 힘이 후방렌즈그룹과 전방렌즈그룹에 렌즈수축방향으로 적용되어, 이 렌즈가 소정의 위치로 수축되면, 전방렌즈그룹과 후방렌즈그룹의 신장후에 후방렌즈그룹이 후방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후방렌즈그룹이 카메라 몸체의 구경 프레임 또는 필름과 충돌할 가능성은 없다.
더욱이, 본발명의 본 실시예에서 후방렌즈그룹 구동수단에 의해 개폐되도록 구동되는 렌즈 배리어 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부가하여 전환수단이 더 구비되어 있는데,
이것에 의해 전방렌즈그룹과 후방렌즈그룹이 격납된 위치에 있을 때 후방렌즈그룹 구동수단은 렌즈 배리어 장치와 연결되고, 후방렌즈그룹과 전방렌즈그룹이 전체 유니트 구동수단에 의해 소정의 위치로부터 뻗어 있을 때, 후방렌즈그룹 구동수단은 후방렌즈그룹과 연결된다. 전방렌즈그룹과 후방렌즈그룹이 소정의 위치에 있으면, 전방렌즈그룹과 후방렌즈그룹이 전체 유니트 구동수단에 의해 소정의 위치로부터 신장된후, 후방렌즈그룹 구동수단은 구동되어, 렌즈 배리어 장치로부터 후방렌즈그룹으로의 전환수단의 연결의 전환은 확실히 수행된다.
렌즈의 이동과 동시적으로 줌밍을 수행하기 위한 줌파인더 광학시스템에 관한 본발명의 실시예가 개시될 것이다.
도 94는 전체 유니트 구동모터(25)로부터 전방 및 후방렌즈그룹(L1, L2), 그리고 줌 파인더 광학 시스템, 말하자면 가변배율렌즈(L5)를 포함하는 시스템까지의 전달장치와 그 백래쉬의 전체 작동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전방렌즈그룹(L1)과 후방렌즈그룹(L2)은 광축(0)을 따라서 움직이므로써 줌밍되고, 가변 배율렌즈(L5)는 광축(01)을 따라 이동하므로써 배율이 변한다(상배율의 변화).
도 94는 단지 하나의 가변 배율렌즈를 도시하는 한편, 줌 파인더 광학시스템은 복수의 렌즈를 포함하여 가변배율 기능을 수행할수 있는데, 일예로서, 도 95a는 2개의 가동렌즈(L5, L6)를 개시하고 있다(부가하여, 2개 또는 그 이상의 고정렌즈가 예시하지 않았지만 파인더 광학시스템에 포함될수 있다).
본 실시예의 카메라의 촬영광학 시스템의 줌밍동안의 백래쉬는 전체 유니트 구동모터(25)의 피니언(25a)으로부터 감속기어열(26)을 통해서 구동피니언(15)으로의 기어장치(341)의 기어열 백래쉬(BL1), 구동피니언(15)으로부터 외주부 기어(16b)(즉, 제3이동배럴(16)) 그리고 고정된 렌즈배럴블록(12)을 통해서 선형안내배럴(17)로의 줌 코드 검출장치(342)의 검출백래쉬(BL2), 그리고 선형안내배럴(17)로부터 제2 이동배럴(19)을 통해서 제1이동배럴(20)로의 렌즈 배럴 신장장치(343)의 렌즈 배럴백래쉬(BL3)를 포함하고 있다.
검출백래쉬(BL2)는 전방렌즈그룹(L1)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해 브러쉬(9a)와 코드판(13a)까지의 부품이 관련되는 백래쉬이다.
줌 파인더 광학시스템의 배율변화작용의 백래쉬는 기어열 백래쉬(BL1)와 구동피니언(15)으로부터 외주부기어(16b)(즉 제3이동배럴(16)) 그리고 파인더 구동기어(334)까지 포함하는 파인더 구동장치(344)의 파인더 백래쉬(BL4)를 포함하고 있다.
기어가 회전방향을 바꿀 때 백래쉬(BL1 내지 BL4)가 발생하는 일상의 백래쉬를 포함할지라도, 검출 백래쉬(BL2)와 파인더 백래쉬(BL4)는 그 자체의 특성 백래쉬를 또한 포함하고 있다. 각각의 백래쉬의 배율은 각각의 U자형 부분의 폭에 의해 도면에 개략적으로 표시되어 있다.
도 94 및 도 34를 참조하면, 본발명의 본 실시예의 줌밍동안에 그리고 초점맞춤 동안의 작용이 설명될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파워가 ON 되는 촬영 스텐드바이 상태에서, 전방렌즈그룹(L1)과 후방렌즈그룹(L2)은 줌코드의 전환위치의 격납된 위치쪽인 스탠드바이 위치에서 멈춘다.
예를들면 줌 렌즈가 "광각" 위치로부터 "망원"위치로 줌밍될 때, 전체 유니트 구동모터(25)는 시계방향으로 구동되고 브러쉬(9a)가 줌 코드와 접촉하는 줌 코드 OFF/ON 검출위치로부터 줌 코드가 OFF 로 선회되는(즉, 소정의 줌 펄스수(ZP1)로) 위치로 시계방향으로 더 선회된후 멈춘다. 이러한 렌즈 위치는 반송위치로 한정한다. 반송위치로부터 전체 유니트 구동모터(25)는 반시계 방향으로 구동된다.
그다음 전체 유니트 구동모터(25)는 브러쉬(9a)가 현재의 줌 코드와 접촉한후, 분리되는 줌 코드 ON/OFF 검출위치로부터 제2 줌 펄스(ZP2)의 값에 의해 반시계방향으로 더 구동되고 그다음 전체 유니트 구동모터(25)는 멈춘다. 백래쉬(BL1, BL2, BL3)를 감소시킬 목적으로 전체 유니트 구동모터(25)는 제3줌 펄스(ZP3)의 값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더 구동된다. 이러한 렌즈위치는 제94(B)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렌즈 스탠드바이 위치이다.
"망원" 줌밍동안에 전체 유니트 구동모터(25)는 시계방향으로 피구동되며, 제1줌 펄스(ZP1)의 값에 의해 회전이 완성되기 전에 각각의 장치(341, 342, 343)는 백래쉬(BL1 내지 BL3)가 제거된 상태에서 작동되며, 전방 및 후방렌즈그룹(L1, L2)은 전방으로 이동한다. 전체 유니트 구동모터(25)의 회전이 제1줌 펄스(ZP1)의 값에 의해 완성될 때, 백래쉬(BL4)는 제거되고, 가변배율렌즈(L5)는 제94(A)도 에 도시된 바와같이 반송위치에 상응하는 위치로부터 이동하기 시작한다. 이러한 위치에서, 전체 유니트 구동모터(25)의 시계방향 회전동안에 "망원" 방향에서 백래쉬(BL1 내지 BL4)는 제거된다.
이러한 반송위치로부터, 전체 유니트 구동모터(25)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때, 전체 유니트 구동모터(25)의 반시계방향으로의 초기 구동 동안에 백래쉬(BL1, BL2, BL3)의 값에 의해 구동이 완성되므로, 기어장치(341), 줌 코드검출장치(342), 그리고 렌즈배럴 신장장치(343)는 전방렌즈그룹(L1)과 후방렌즈그룹(L2)을 렌즈스탠드바이 위치로 이동시킨다. 하지만, 파인더 구동장치(344)에 관하여 백래쉬는 전체 유니트 구동모터(25)의 반시계방향 구동과정에서 제거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가변배율렌즈(L5)는 전체 유니트 구동모터(25)가 반송 위치로부터 적어도 파인더 백래쉬(BL4) 이상의 값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지 않으면 이동하지 않으며, 가변배율렌즈(L5)는 제94(B)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반송위치에 상응하는 위치로부터 이송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 파인더 백래쉬(BL4)의 값은 전체 유니트 구동모터(25)의 회전값과 대략 일치하는 한편, 전방렌즈그룹(L1)과 후방렌즈그룹(L2)은 반송위치로부터 스탠드바이 위치로 이동한다.
"망원" 위치로부터 "광각"위치로 줌밍한후 렌즈가 멈출 때, 전체 유니트 구동모터(25)는 반시계 방향으로 구동되며, 브러쉬(9a)가 줌코드와 접촉하고 그리고 멀어지는 줌코드 ON/OFF 검출위치로부터 전체 유니트 구동모터(25)는 제2줌펄스(ZP2)의 값에 의해 반시계방향으로 더 구동되고 제3줌펄스(ZP3)의 값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구동되며, 결국 전방렌즈그룹(L1)과 후방렌즈그룹(L2)이 렌즈 스탠드바이 위치에 이동한후 제94(B)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렌즈 스탠드바이 위치에 멈춘다. 이러한 스탠드바이 상태는 망원-줌밍동안의 스탠드바이 상태와 동일하다.
상기한 작용을 통해서, 렌즈는 상기 렌즈 스탠드바이 위치에서 그리고 이들이 망원쪽 또는 광원쪽으로 줌밍될때와 상기 백래쉬 상태하에서 멈춘다.
초점맞춤 동안에 말하자면 촬영동안에 전방렌즈그룹(L1)과 후방렌즈그룹(L2)은 제94(C)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스탠드바이 위치로부터 피사체 거리에 따라서 "망원" 위치로 이동하고, 촬영이 완성된후 스탠드바이 위치로 복귀한다.
이동량은 줌코드 ON/OFF검출 위치에 대하여 세팅된다. 이러한 경우에, 구동펄스, 말하자면 전체 유니트 구동모터(25)의 줌 코드 ON/OFF 검출위치로부터의 펄스의 값은 제1줌펄스(ZP1)의 값을 초과하지 않을 것이다. 그러므로, 전체 유니트 구동모터(25)가 촬영동안에 소정의 양만큼 이동하면, 파인더의 가변배율렌즈(L5)는 파인더 백래쉬(BL4)로 인해서 이동하지 않으며, 그러므로 파인드의 시계는 안정되게 유지된다.
초점맞춤 동안에 구동펄스의 값이 제1 줌 펄스(ZP1)의 값보다 작을 때, 전체 유니트 구동모터(25)는 이러한 값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구동되고 그리고 반시계 방향으로 구동된다.
도 95 내지 도 99는 상 배율이 전체 유니트 구동모터(25)의 회전과 동시적으로 가변하는 줌 파인더 광학 시스템의 연동기구와 파인더 백래쉬(BL4)를 제공하기 위한 실시예를 예시하고 있다.
전체 유니트 구동모터(25)의 구동축의 회전은 구동축에 고정된 감속기어열(26)과 피니언(35a)을 통해서 구동피니언(15)에 전달된다.
구동피니언(15)은 2중 기어(331, 332)의 작은 기어(331)와 마찬가지로 제3이동 배럴(16)의 외주기어(16b)로 결합된다. 작은 기어(331)와 결합되는 큰기어(332)는 파인더 결합기어링(333)의 외주기어(333a)와 결합되고 외주기어(333a)는 파인더 광학시스템에서 가변 배율렌즈를 구동하는 파인더 구동기어(334)와 결합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전체 유니트 구동모터(25)의 회전은 구동피니언(15)으로부터 2중 기어(331, 332)와 파인더 결합기어링(333)을 통해서 파인더 구동기어(334)로 전달된다. 파인더 결합기어링(333)은 낙하방지부재(33)로부터 원통형으로 돌출한 베어링(333a)상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다음 기어(334)는 파인더 광학시스템을 구동/줌밍하기 위한 기구에 결합(직접 또는 간접)되어 있다. 하나의 이러한 연결이 제95A에 도시되어있는데, 이것은 파인더렌즈(L5, L6)를 구동하는 캠면(334b, 334c)을 갖춘 축(334a)을 구동하는 기어(334)를 도시하고 있다. 파인더구동기어(334)에 의해 구동될수 있는 대체 파인더 시스템은 참조로 상기된 일본 특허출원 평 8-365호에 개시되어 있다.
작은 기어(331)의 축(331a)은 큰 기어(332)의 축구멍(332a)에 삽입된다.
축(331a)에서 한쌍의 키이(331b)가 축중심에 대하여 대칭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축구멍(332a)에서 한쌍의 키이홈(332b)이 형성되어 한쌍의 키이(331b)가 결합될수 있다.
주변 방향으로 키이홈(332b)의 폭은 키이(331b)의 두께보다 넓게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각각의 키이(331b)가 방사상 방향으로 상응하는 키이홈(332b))의 면들중 하나와 접촉하여 큰기어(332)가 작은 기어(331)를 따라 일체로 회전하는 한편, 작은 기어(331)는 회전방향이 변할 때 한 방향으로 회전할지라도, 각각의 키이(331b)는 방사상 방향으로 상응하는 키이홈(332b)의 면들중의 하나로부터 분리되고 그리고 큰기어(332)는 회전하지 않는데, 다시말해서, 파인더 광학 시스템의 배율은 작은 기어(331)가 소정의 회전각도로 회전하고 그리고 각각의 키이(331b)가 방사상 방향으로 상응하는 키이홈(332b)의 다른면과 접촉할때까지 변하지 않는다.
이하 "지연된 결합각도" 라고 하는 소정의 회전각도는 전체 유니트 구동모터(25)가 스탠드바이 위치로부터 배당된 초점거리까지 또는 촬영동안에 초점맞춤 위치까지 렌즈를 구동할 때 작은 기어(331)의 회전각도보다 크게 세팅되어 있다.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겠지만, 예를들면 렌즈를 더 전진시키기 위해 현재의 줌 코드의 ON으로의 선회가 검출되는 지점으로부터 줌펄스의 소정의 수에 의해서 즉 제1줌 펄스수(ZP1)에 의해서, 전체 유니트 구동모터(25)가 시계방향으로 구동되어 전방렌즈그룹(L1)과 후방렌즈그룹(L2)을 전진시키는 촬영 프로세스동안에 그리고 현재의 줌 코드의 OFF로의 선회가 검출되어 전방렌즈그룹(L1)과 후방렌즈그룹(L2)을 스탠드바이 위치로 복귀시키는 지점으로부터 제2줌 펄스(ZP2)에 의해 전체 유니트 구동모터(25)가 상기 이동후 반시계 방향으로 구동되고 그리고 제2줌 펄스(ZP2)에 의해 반시계 방향으로 더 구동되는 기간 동안에 지연된 결합각도는 파인더 광학 시스템이 배율이 변하지 않도록 세팅된다.
상기한 바와같이 본발명의 본 실시예에서 전체 유니트 구동모터(25)가 초점맞춤 동안에 구동되면, 전체 유니트 구동모터(25)의 회전량이 세팅되어 줌 파인더의 가변배율렌즈(L5)는 이동하지 않으며, 파인더의 시계의 배율은 광측정 스위치(SWS)가 ON 될 때마다 매번 변하지 않으며, 그러므로 릴리즈스위치(SWR)의 가압동안에 타임지연은 더 줄어 든다.
상기 설명으로부터 이해되는 바와같이 본 실시예는 적어도 하나의 전방렌즈그룹과 후방렌즈그룹, 줌 파인더 그리고 줌밍동안에 전체로서 전방렌즈그룹과 후방렌즈그룹을 움직이도록 전체 유니트 구동 수단으로 구비되어 있으므로, 전체 유니트 구동수단은 피구동되고 그리고 전방렌즈그룹과 후방렌즈그룹은 이동하고 그다음 각각의 위상에서 세팅된 스탠드바이 위치중의 하나에서 멈춘다. 초점맞춤 동안에 전체 유니트 구동수단은 전방렌즈그룹과 후방렌즈그룹을 초점맞춤 위치로 움직이도록 구동된다.
그후, 전체 유니트 구동 수단은 전방렌즈그룹과 후방렌즈그룹을 스탠드바이 위치로 복귀시키도록 구동된다. 이러한 이동동안에 스탠드바이 위치로부터 초점맞춤 위치까지의 이동량이 초점맞춤 동안에 전방렌즈그룹과 후방렌즈그룹을 이동시킨다면 줌 파인더의 배율은 변하지 않으며, 그러므로 파인더의 시계는 사용자의 만족할만하게 구비될수 있다.
상기 설명한 실시예는 줌 코드 에러를 고려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 관한 것이다.
하지만, 아래 설명은 도 100 내지 도 103을 참조하여 줌코드 에러를 고려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관한 것이다. 부품의 전반적인 작용은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 94에 도시된 실시예와 근본적으로 동일하고 그러므로 그 설명은 반복하지 않을 것이다.
도 102 및 도 103은 줌 코드를 형성하는 브러쉬(9a)와 코드판(13a) 그리고 그 접촉상태의 확대도를 도시하고 있다. 코드판(13a)은 절연기판(13b)상에 형성된 독립적인 전극 패턴(ZC0, ZC1, ZC2, ZC3)으로 구비되어 있다. 전극 패턴(ZC0, ZC1, ZC2, ZC3)이 한정된 두께를 갖추고 있으므로, 이들은 각각의 두께에 의해서 절연기판(13b)으로부터 상승한다. 그러므로 브러쉬 부분(9a)의 만곡된 팁(9d)은 절연기판과 전극 패턴에 대하여 미끄러진다. 하지만, 전극패턴의 전환위치에서(즉, 줌 코드의 ON/OFF 전환위치), 브러쉬 부분(9a)은 팁(9d)으로부터 멀리 위치한 부분(9e) 또는 부분(9f)에서 전극 패턴과 접촉 및 분리된다. 그러므로, 브러쉬(9a)가 전극패턴(ZC0, ZC1, ZC2, ZC3)으로부터 분리 또는 접촉될 때 거리(d0)에 대한 에러량이 상승한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에서 전방렌즈그룹(L1)(그리고 후방렌즈그룹(L2))의 기준위치는 브러쉬(9a)가 전극패턴(ZC0, ZC1, ZC2, ZC3)의 필름면쪽에서 ON/OFF 선회되는 위치에 세팅될지라도 거리(d0)는 이러한 프로세스에서 고려된다.
도 101은 브러쉬(9a)의 팁(9d)에 대하여 렌즈의 위치를 예시하고 있다.
도 101 및 도 10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줌밍동안 그리고 초점맞춤동안의 작용이 설명될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파워가 ON 되는 촬영 스탠드바이 상태동안에 전방렌즈그룹(L1)과 후방렌즈그룹(L2)은 줌 코드의 전환위치의 격납된 위치보다 스탠드바이 위치에서 멈춘다. 예를들면 "광각" 위치로부터 "망원"위치로 줌밍한 후에전방 및 후방렌즈그룹(L1, L2)이 멈출 때, 전체 유니트 구동모터(25)는 시계방향으로 구동되고, 그다음 줌코드가 OFF 로 선회하는(즉, 소정의 줌 펄스수(ZP1)에 의해서) 위치에서 브러쉬(9a)가 줌 코드에 접촉하는 줌코드 OFF/ON 검출위치로부터 더 구동된후 멈춘다.
반송위치로부터 전체 유니트 구동모터(25)는 반시계 방향으로 구동된다.
그다음 전체 유니트 구동모터(25)는 브러쉬(9a)가 줌코드와 접촉하고 분리하는 줌 코드 ON/OFF 검출 위치로부터 제2줌 펄스(ZP2)의 값에 상응하는 양에 의해 반시계 방향으로 구동되고 그다음 멈춘다. 이러한 렌즈 위치는 렌즈 스탠드바이 위치이다.
"망원" 줌밍 동안에 각각의 기구(341, 342, 343, 345)는 백래쉬(BL1 내지 BL4)가 전체 유니트 구동모터(25)의 적절한 시계방향 구동에 의해 제거되고, 전방 및 후방렌즈그룹(L1, L2)이 반송위치로 이동하는 한편, 가변 배율렌즈(L5)가 도 100(A)에 도시된 바와같이 반송 위치와 상응하는 위치로 움직이는 상태로 작동된다. 이러한 위치에서 전체 유니트 구동모터(25)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때, "망원" 방향으로 발생된 백래쉬(BL1 내지 BL4)는 제거된다.
전체 유니트 구동모터(25)가 이러한 반송위치로부터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때, 전방렌즈그룹(L1)과 후방렌즈그룹(L2)은 기어장치(341), 줌코드 검출장치(342), 그리고 렌즈배럴신장장치(343)의 구동은 백래쉬(BL1, BL2, BL3)에 상응하는 양에 의해 전체 유니트 구동모터(25)의 반시계방향 구동의 초기 스테이지에서 완성되므로, 스탠드바이 위치로 움직인다. 하지만, 파인더 구동장치(344)의백래쉬는 전체 유니트 구동모터(25)의 반시계방향 구동동안에 제거되지 않을 것이다. 그러므로 렌즈 스탠드바이 위치에서 가변배율렌즈(L5)는 도 100(B)에 도시된 바와같이 구동모터(25)가 파인더 백래쉬(BL4)와 동일하게 또는 그 이상의 양에 의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때까지 가변배율렌즈(L5)가 움직이지 않을 것이므로 반송위치에 상응하는 위치로부터 움직이지 않을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파인더 백래쉬(BL4)의 양은 전방렌즈그룹(L1)과 후방렌즈그룹(L2)이 반송위치로부터 스탠드바이 위치로 움직일 때 전체 유니트 구동모터(25)가 회전하는 회전량과 대략 동일하다.
"망원" 위치로부터 "광각" 위치로 줌밍한후 렌즈가 멈출 때, 전체 유니트 구동모터(25)는 반시계 방향으로 구동되고, 그다음 브러쉬(9a)가 줌코드와 접촉되고 분리되어 전방렌즈그룹(L1)과 후방렌즈그룹(L2)이 도 100(B)에 도시된 바와같이 렌즈 스탠드바이 위치로 움직이고 멈추는 줌 코드 ON/OFF 검출위치로부터 소정의 줌펄스수(ZP2)에 의해 반시계방향으로 더 구동된다.
상기 작동을 통해서, 망원-줌밍 또는 광각-줌밍이 작동될 때 렌즈는 상기 렌즈 스탠드바이 위치에서 그리고 동일한 백래쉬 상태하에서 멈춘다.
촬영동안에 전방렌즈그룹(L1)과 후방렌즈그룹(L2)은 도 100(C)에 도시된 바와같이 피사체 거리에 따라서 "망원" 방향에서 스탠드바이 위치로부터 이동하고, 그리고 촬영 완성후에 스탠드바이 위치로 복귀한다. 이동량은 줌코드 OFF/ON 검출위치에 대하여 세팅된다. 이 경우에 전방렌즈그룹(L1)과 후방렌즈그룹(L2)의 이동량은 반송위치가 통과되지 않는 양이다. 그러므로 전체 유니트 구동모터(25)가 촬영동안에 소정의 양만큼 이동할지라도, 파인더의 가변배율렌즈(L5)는 파인더 백래쉬(BL4)로 인해 이동이 방지되며, 그러므로 파인더의 시계는 안정되게 유지된다.
상기한 바와같이, 본 실시예에서 줌밍동안에 전체 유니트 구동모터(25)는 전체로서 전방렌즈그룹(L1)과 후방렌즈그룹(L2)을 이동하도록 구동되고, 초점맞춤 동안에 전체 유니트 구동모터(25)와 후방렌즈그룹 구동모터(30)는 전방렌즈그룹(L1)과 후방렌즈그룹(L2)을 초점맞춤 위치로 이동하도록 구동된다. 그러므로 초점맞춤 동안에 전방렌즈그룹(L1)과 후방렌즈그룹(L2)은 백래쉬에 관계없이 초점맞춤 위치로 확실히 이동하고 그리고 더욱이 줌 파인더는 배율이 변하지 않을 것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한 바와같이 적어도 전방렌즈그룹과 후방렌즈그룹을 갖춘 줌 렌즈, 전방렌즈그룹과 후방렌즈그룹을 전체로서 이동시키는 전체 유니트 구동수단, 전방렌즈그룹에 대하여 후방렌즈그룹을 이동시키는 후방렌즈그룹 구동수단, 줌 파인더의 배율을 변화시키도록 후방렌즈그룹 구동수단과 함께 작동되는 파인더 연동수단, 그리고 초점맞춤 프로세스에서 초점을 세팅하도록 전체 유니트 구동수단과 후방렌즈그룹 구동수단을 구동하기 위한 제어수단으로 최소한 구비되어 있다.
제어수단이 초점맞춤 프로세스에서 전체 유니트 구동 수단을 구동하는 양이 줌파인더의 배율을 변화시키지 않을 양으로 세팅되므로, 전방렌즈그룹과 후방렌즈그룹은 초점맞춤위치로 정확하게 이동할 것이며, 한편 줌 파인더는 초점맞춤 프로세스에서 배율의 변화가 없게되어 사용자에게 만족할 만한 시계와 정확한 초점맞춤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상기된 실시예에서 전·후방렌즈그룹(L1, L2)이 셔터버튼이 완전히 누름될 때의 초점위치로 이동되어도, 전·후방렌즈그룹(L1, L2)은 셔터버튼이 절반누름될때의 초점위치로 동등하게 이동될수 있다. 이러한 배열을 가지고 해제시간지연은 감소될수 있는 한편, 이러한 배열을 가지고 렌즈그룹은 셔터버튼이 완전히 누름될 때 이동하여 배터리의 사용이 최소화 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종래의 35mm 카메라와 최근 소개된 어드밴스드 포토시스템(즉 APS) 카메라 양자에 적용가능하다.
더욱이, 본발명이 첨부된 도면과,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를 통해 특정되었지만, 이러한 실시예는 예시된 것이지 제한적이 아니며,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여러 가지 개변이 가능하다.

Claims (5)

  1. 적어도 하나의 이동 가능한 제 1 렌즈 그룹 및 이동 가능한 제 2 렌즈 그룹;
    상기 제 1 렌즈 그룹 및 상기 제 2 렌즈 그룹을 전체적으로 광축방향으로 이동시킴에 있어 이들 사이에 거리를 변경시키지 않고 이동시키는 전체 유니트 이동 수단;
    상기 제 1 렌즈 그룹 및 상기 제 2 렌즈 그룹을 상대적으로 이동시켜 이들 사이의 상기 거리를 가변시키는 상대 이동 수단; 그리고
    피구동 방향으로의 제 2 렌즈 그룹의 특정 이동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에 대비하여 상기 제 2 렌즈 그룹을 구동하여 변경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상기 상대 이동 수단을 작동하는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셔터 타입 줌 렌즈 카메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이동은 이동의 소정량 또는 이동의 소정시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상대 이동 수단을 작동하여 상기 제 2 렌즈 그룹을 구동하여 제 1 방향으로 이동하고 그리고 그 방향으로 제 2 렌즈 그룹의 특정이동이 검출되지 않을 경우를 대비하여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상대 이동수단을 작동하여 상기 제 2 렌즈 그룹을 구동하여 상기 제 1 방향의 대향 방향으로 이동하고; 그리고 상기 제어 수단은 피구동 방향으로의 이동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상대 이동 수단을 작동하여 상기 제 2 렌즈 그룹을 구동하여 상기 제 1 방향 및 상기 대향 방향으로 소정된 많은 횟수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4. 제 1 항 또는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이동을 검출하는 검출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5.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상대 이동 수단을 우선 작동하여 상기 제 2 렌즈 그룹을 구동하고 상기 제 1 렌즈 그룹 및 상기 제 2 렌즈 그룹의 후퇴위치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KR1020000075842A 1995-07-07 2000-12-13 렌즈 셔터 타입 줌 렌즈 카메라 KR1003717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5-172216 1995-07-07
JP17221695 1995-07-07
JP8000365A JPH09185104A (ja) 1996-01-05 1996-01-05 カメラの変倍ファインダ駆動機構
JP96-365 1996-01-05
JP02833396A JP3831439B2 (ja) 1996-02-15 1996-02-15 ズームレンズのレンズ駆動方法
JP96-28333 1996-02-15
JP03236596A JP3869483B2 (ja) 1996-02-20 1996-02-20 ズームファインダを備えたズームレンズカメラ
JP96-32365 1996-02-20
JP96-34041 1996-02-21
JP03411896A JP3831443B2 (ja) 1996-02-21 1996-02-21 カメラ
JP03406296A JP3831441B2 (ja) 1996-02-21 1996-02-21 ズームレンズカメラ
JP03404196A JP3869484B2 (ja) 1996-02-21 1996-02-21 ズームレンズカメラのフォーカス方法
JP96-34038 1996-02-21
JP03404096A JP3831440B2 (ja) 1996-02-21 1996-02-21 ズームレンズカメラ
JP96-34042 1996-02-21
JP96-34040 1996-02-21
JP96-34063 1996-02-21
JP8034039A JPH09230219A (ja) 1996-02-21 1996-02-21 ズームレンズカメラ
JP96-34062 1996-02-21
JP8034042A JPH09230205A (ja) 1996-02-21 1996-02-21 ズームレンズカメラ
JP96-34118 1996-02-21
JP96-34125 1996-02-21
JP03406396A JP3831442B2 (ja) 1996-02-21 1996-02-21 ズームレンズカメラ
JP96-34039 1996-02-21
JP03412596A JP3727999B2 (ja) 1996-02-21 1996-02-21 ズームファインダを備えたズームレンズカメラ
JP96-34120 1996-02-21
JP03412096A JP3645638B2 (ja) 1996-02-21 1996-02-21 ズームレンズカメラ
JP8034038A JPH09230405A (ja) 1996-02-21 1996-02-21 ズームレンズカメラ
JP96-34823 1996-02-22
JP8034823A JPH09230210A (ja) 1996-02-22 1996-02-22 レンズバリヤ機構を備えたズームレンズカメラ
JP96-43158 1996-02-29
JP4315896 1996-02-29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27190A Division KR100371773B1 (ko) 1995-07-07 1996-07-05 렌즈셔터타입줌렌즈카메라및이러한카메라를제어하는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71776B1 true KR100371776B1 (ko) 2003-02-11

Family

ID=27585630

Family Applications (9)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27190A KR100371773B1 (ko) 1995-07-07 1996-07-05 렌즈셔터타입줌렌즈카메라및이러한카메라를제어하는방법
KR1020000075843A KR100371777B1 (ko) 1995-07-07 2000-12-13 렌즈 셔터 타입 줌 렌즈 카메라
KR1020000075833A KR100371783B1 (ko) 1995-07-07 2000-12-13 렌즈 셔터 타입 줌 렌즈 카메라
KR1020000075838A KR100371780B1 (ko) 1995-07-07 2000-12-13 렌즈 셔터 타입 줌 렌즈 카메라
KR1020000075835A KR100371782B1 (ko) 1995-07-07 2000-12-13 렌즈 셔터 타입 줌 렌즈 카메라
KR1020000075840A KR100371775B1 (ko) 1995-07-07 2000-12-13 렌즈 셔터 타입 줌 렌즈 카메라
KR1020000075837A KR100371779B1 (ko) 1995-07-07 2000-12-13 렌즈 셔터 타입 줌 렌즈 카메라
KR1020000075839A KR100371781B1 (ko) 1995-07-07 2000-12-13 렌즈 셔터 타입 줌 렌즈 카메라
KR1020000075842A KR100371776B1 (ko) 1995-07-07 2000-12-13 렌즈 셔터 타입 줌 렌즈 카메라

Family Applications Before (8)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27190A KR100371773B1 (ko) 1995-07-07 1996-07-05 렌즈셔터타입줌렌즈카메라및이러한카메라를제어하는방법
KR1020000075843A KR100371777B1 (ko) 1995-07-07 2000-12-13 렌즈 셔터 타입 줌 렌즈 카메라
KR1020000075833A KR100371783B1 (ko) 1995-07-07 2000-12-13 렌즈 셔터 타입 줌 렌즈 카메라
KR1020000075838A KR100371780B1 (ko) 1995-07-07 2000-12-13 렌즈 셔터 타입 줌 렌즈 카메라
KR1020000075835A KR100371782B1 (ko) 1995-07-07 2000-12-13 렌즈 셔터 타입 줌 렌즈 카메라
KR1020000075840A KR100371775B1 (ko) 1995-07-07 2000-12-13 렌즈 셔터 타입 줌 렌즈 카메라
KR1020000075837A KR100371779B1 (ko) 1995-07-07 2000-12-13 렌즈 셔터 타입 줌 렌즈 카메라
KR1020000075839A KR100371781B1 (ko) 1995-07-07 2000-12-13 렌즈 셔터 타입 줌 렌즈 카메라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774748A (ko)
KR (9) KR100371773B1 (ko)
CN (1) CN1125361C (ko)
DE (1) DE19627473A1 (ko)
GB (1) GB230322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345984B (en) * 1996-01-26 2000-09-06 Asahi Optical Co Ltd Electronically controlled camera
US5907725A (en) * 1996-01-26 1999-05-25 Asahi Kogaku Kogyo Kabushiki Kaisha Electronically controlled camera
US5842057A (en) * 1996-01-26 1998-11-24 Asahi Kogaki Kogo Kabushiki Kaisha Camera with lens barrier apparatus
US5892999A (en) * 1996-01-26 1999-04-06 Asahi Kogaku Kogyo Kabushiki Kaisha Zoom lens barrel with shutter mounting unit
US5999748A (en) * 1996-01-26 1999-12-07 Asahi Kogaku Kogyo Kabushiki Kaisha Camera with lens barrier apparatus
GB2309603B (en) * 1996-01-26 2000-06-21 Asahi Optical Co Ltd Electronically controlled camera
JPH1056588A (ja) * 1996-08-09 1998-02-24 Olympus Optical Co Ltd 電子式撮像装置
JPH10197779A (ja) * 1997-01-06 1998-07-31 Asahi Optical Co Ltd カメラのモータ時分割駆動装置
US6122112A (en) * 1997-05-15 2000-09-19 Asahi Kogaku Kogyo Kabushiki Kaisha Lens position adjusting method for zoom lens
JPH1138305A (ja) * 1997-05-23 1999-02-12 Asahi Optical Co Ltd 3段繰出ズームレンズ鏡筒およびヘリコイド繰出式ズームレンズ鏡筒
JP3777036B2 (ja) 1997-12-16 2006-05-24 ペンタックス株式会社 ズームレンズカメラ
JP3869963B2 (ja) * 1998-12-18 2007-01-17 キヤノン株式会社 レンズ鏡筒およびこれを備えた光学機器
US6377752B1 (en) * 1998-12-24 2002-04-23 Konica Corporation Zoom camera and adjusting method for field ratio of zoom finder of zoom camera
US6853503B2 (en) 2000-09-22 2005-02-08 Pentax Corporation Eccentricity-prevention mechanism for a pair of lens-supporting rings
US6891668B2 (en) 2000-09-22 2005-05-10 Pentax Corporation Lens barrel
US6871017B2 (en) 2000-09-22 2005-03-22 Pentax Corporation Lens drive control apparatus for zoom lens system having a switching lens group
US6707620B2 (en) 2000-09-22 2004-03-16 Pentax Corporation Zoom lens mechanism
US6680804B2 (en) 2000-09-22 2004-01-20 Pentax Corporation Zoom lens mechanism
US6795251B2 (en) 2000-09-22 2004-09-21 Pentax Corporation Lens drive mechanism
US6807016B2 (en) 2000-09-22 2004-10-19 Pentax Corporation Lens barrel
US6798582B2 (en) * 2000-09-22 2004-09-28 Pentax Corporation Reduction gear mechanism
US6661586B2 (en) 2000-09-22 2003-12-09 Pentax Corporation Ring member shift mechanism and lens group shift mechanism
US6728045B2 (en) 2000-09-22 2004-04-27 Pentax Corporation Zoom lens barrel
US6657793B2 (en) 2000-09-27 2003-12-02 Pentax Corporation Lens barrel
JP2002182273A (ja) 2000-12-11 2002-06-26 Fuji Photo Optical Co Ltd ズームファインダ装置
JP2002221661A (ja) 2001-01-24 2002-08-09 Asahi Optical Co Ltd ズームレンズ系
JP3762653B2 (ja) 2001-03-22 2006-04-05 ペンタックス株式会社 多段繰出し式レンズ鏡筒
US6522482B2 (en) 2001-03-22 2003-02-18 Pentax Corporation Zoom lens barrel assembly
JP3742562B2 (ja) 2001-03-22 2006-02-08 ペンタックス株式会社 レンズ鏡筒のストッパ構造
US6522481B2 (en) 2001-03-22 2003-02-18 Pentax Corporation Cam structure for zoom lens barrel assembly
JP3679724B2 (ja) * 2001-03-22 2005-08-03 ペンタックス株式会社 ズームレンズ鏡筒
JP5032775B2 (ja) * 2006-02-17 2012-09-26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レンズ装置
US7920336B2 (en) * 2007-08-03 2011-04-05 Canon Kabushiki Kaisha Barrier mechanism and camera
CN101464683B (zh) * 2007-12-20 2011-01-05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马达运动控制系统及方法
CN103212815B (zh) * 2012-01-19 2016-02-24 昆山思拓机器有限公司 多光谱光电寻焦器
CN105607212A (zh) * 2014-10-27 2016-05-25 信泰光学(深圳)有限公司 焦距调整机构
CN109952686B (zh) * 2016-11-01 2021-01-12 日本电信电话株式会社 光放大器
CN106954011A (zh) * 2017-03-28 2017-07-14 贵州电网有限责任公司安顺供电局 拍照视野镜及拍照组件
WO2018182204A1 (ko) 2017-03-30 2018-10-0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듀얼 렌즈 구동 장치 및 카메라 모듈
CN107145028A (zh) * 2017-06-29 2017-09-08 环球智达科技(北京)有限公司 光电投射镜头模组
JP2019133009A (ja) 2018-01-31 2019-08-08 キヤノン株式会社 レンズ鏡筒および撮像装置
CN112492130B (zh) * 2019-09-12 2021-10-01 华为技术有限公司 摄像模组及移动终端
CN113311642B (zh) * 2021-05-31 2022-11-18 新思考电机有限公司 透镜驱动装置、摄像装置及电子设备

Family Cites Families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59101A (en) * 1957-09-20 1960-11-08 Bell & Howell Co Optical objective of variable equivalent focal length
JPS5119983B2 (ko) * 1972-09-20 1976-06-22
JPS50122209A (ko) * 1974-02-18 1975-09-25
US3915557A (en) * 1974-04-19 1975-10-28 Optigon Res & Dev Corp Zoom lens
AT343937B (de) * 1975-08-06 1978-06-26 Eumig Pankratisches objektiv
GB1595350A (en) * 1976-11-24 1981-08-12 Bell & Howell Co Dual macro zoom optical system
JPH0652333B2 (ja) * 1983-08-19 1994-07-06 ミノルタカメラ株式会社 ズ−ムレンズ鏡胴
US5223873A (en) * 1985-05-14 1993-06-29 Canon Kabushiki Kaisha Magnification change-over device for a camera
US5157429A (en) * 1986-05-12 1992-10-20 Asahi Kogaku Kogyo Kabushiki Kaisha Lens shutter camera including zoom lens
US5162831A (en) * 1986-05-12 1992-11-10 Asahi Kogaku Kogyo Kabushiki Kaisha Zoom lens drive system for camera
JP2505192B2 (ja) * 1987-03-10 1996-06-05 オリンパス光学工業株式会社 ズ−ム機構
JP2535013B2 (ja) * 1987-05-20 1996-09-18 コニカ株式会社 可変焦点カメラ
JPH07109469B2 (ja) * 1987-05-20 1995-11-22 コニカ株式会社 可変焦点カメラ
JP2578117B2 (ja) * 1987-06-03 1997-02-05 コニカ株式会社 可変焦点カメラ
US4974949B1 (en) * 1987-12-21 1996-06-04 Asahi Optical Co Ltd Zoom lens barrel
US5257053A (en) * 1988-06-30 1993-10-26 Asahi Kogaku Kogyo Kabushiki Kaisha Position detecting device
US5463442A (en) * 1988-08-31 1995-10-31 Canon Kabushiki Kaisha Interchangeable lens unit for use in camera system
JPH03200907A (ja) * 1989-10-04 1991-09-02 Konica Corp ズームレンズ
JP2817986B2 (ja) * 1990-02-14 1998-10-30 旭光学工業株式会社 カメラの自動撮影装置
JPH03248110A (ja) * 1990-02-26 1991-11-06 Olympus Optical Co Ltd ズームレンズ駆動機構
FR2660081B1 (fr) * 1990-03-22 1994-09-23 Asahi Optical Co Ltd Viseur et appareil photo le comportant.
JP2508115Y2 (ja) * 1990-06-13 1996-08-21 旭光学工業株式会社 ズ―ムカメラ
JP3082937B2 (ja) * 1990-11-02 2000-09-04 キヤノン株式会社 ズーム機構を有する光学機器
JP3066541B2 (ja) * 1991-01-18 2000-07-17 株式会社リコー 2群構造のズームレンズ装置
US5392159A (en) * 1991-01-18 1995-02-21 Ricoh Company, Ltd. Zoom lens device of two-lens group structure and driving device of varifocal lens of two-lens group structure
US5305038A (en) * 1991-07-30 1994-04-19 Asahi Kogaku Kogyo Kabushiki Kaisha Zoom lens camera
JP2728330B2 (ja) * 1992-01-17 1998-03-18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カメラの鏡筒位置検出装置
US5345338A (en) * 1992-03-30 1994-09-06 Minolta Camera Kabushiki Kaisha Zoom lens system for use in a copying apparatus
JPH0584908U (ja) * 1992-04-17 1993-11-16 旭光学工業株式会社 ズームレンズ鏡筒の遊び除去装置
JP3215723B2 (ja) * 1992-09-11 2001-10-09 旭光学工業株式会社 レンズ駆動装置
CN1073712C (zh) * 1992-11-30 2001-10-24 旭光学工业株式会社 具有根据焦距自动调节曝光量的装置的小型照相机
JP3435580B2 (ja) * 1993-04-30 2003-08-11 コニカ株式会社 ズームレンズ鏡胴及びカメラ
JP3371263B2 (ja) * 1993-04-30 2003-01-27 コニカ株式会社 レンズ鏡胴
JP3395015B2 (ja) * 1993-04-30 2003-04-07 コニカ株式会社 レンズ鏡胴
JP3385478B2 (ja) * 1993-04-30 2003-03-10 コニカ株式会社 カメラ
JP3298027B2 (ja) * 1993-05-10 2002-07-02 コニカ株式会社 カメラ
JP3240542B2 (ja) * 1993-12-09 2001-12-17 京セラ株式会社 ズ−ムレンズのピント調整装置
GB2309528B (en) * 1996-01-26 2000-11-22 Asahi Optical Co Ltd Camera with lens barrier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9614331D0 (en) 1996-09-04
US5774748A (en) 1998-06-30
KR100371779B1 (ko) 2003-02-11
KR100371783B1 (ko) 2003-02-11
GB2303222B (en) 1999-10-20
KR100371777B1 (ko) 2003-02-11
DE19627473A1 (de) 1997-01-09
CN1125361C (zh) 2003-10-22
KR100371781B1 (ko) 2003-02-11
KR970007462A (ko) 1997-02-21
KR100371780B1 (ko) 2003-02-11
KR100371773B1 (ko) 2003-04-10
GB2303222A (en) 1997-02-12
CN1172263A (zh) 1998-02-04
KR100371782B1 (ko) 2003-02-11
KR100371775B1 (ko) 2003-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71776B1 (ko) 렌즈 셔터 타입 줌 렌즈 카메라
KR100322852B1 (ko) 렌즈배리어장치를구비한카메라
KR100367893B1 (ko) 카메라및스트로브충전시스템
KR100367784B1 (ko) 전자 제어 카메라
KR100367891B1 (ko) 전자제어식카메라
KR100322897B1 (ko) 카메라용 노출제어장치
KR100309567B1 (ko) 카메라용노출제어장치
KR100367894B1 (ko) 카메라용노출제어장치
US5999748A (en) Camera with lens barrier apparatus
GB2309528A (en) Camera with lens barrier apparatus
JP3727999B2 (ja) ズームファインダを備えたズームレンズカメラ
GB2335505A (en) Camera zoom lens barrel control with lens position detection
GB2348710A (en) Driving lens barrier blades in a zoom camera
GB2309530A (en) Electronically controlled camera
GB2309599A (en) Charging system for a photographic flash apparatus
GB2309535A (en) Exposure controlling in a camera
GB2345983A (en) Electronically controlled camer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