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71717B1 - 자동차용 포그램프 하우징 장착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포그램프 하우징 장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1717B1
KR100371717B1 KR10-2000-0081144A KR20000081144A KR100371717B1 KR 100371717 B1 KR100371717 B1 KR 100371717B1 KR 20000081144 A KR20000081144 A KR 20000081144A KR 100371717 B1 KR100371717 B1 KR 1003717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bumper cover
impact
mounting structure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811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51680A (ko
Inventor
이진호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811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71717B1/ko
Publication of KR200200516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16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17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171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0408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built into the vehicle body, e.g. details concerning the mounting of the headlamps on the vehicle body
    • B60Q1/0441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built into the vehicle body, e.g. details concerning the mounting of the headlamps on the vehicle body the housing being fastened onto the vehicle body using means other than scre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18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being additional front lights
    • B60Q1/20Fog ligh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포그램프 하우징 장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포그램프 하우징을 범퍼커버에 장착함에 있어 상기 하우징이 범퍼커버와의 사이에 장착된 코일스프링에 의해 탄성 지지되도록 하고, 외부로부터 충격이 가해지면 상기 하우징이 전후방향으로 탄성 이동하여 충격을 흡수하도록 함으로써, 포그램프의 충돌성능 및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포그램프의 잦은 파손 방지로 수리비용 감소 및 상품성을 좋게 하며, 범퍼의 디자인 및 설계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차용 포그램프 하우징 장착구조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포그램프 하우징 장착구조{Mounting structure of fog lamp housing for automobi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포그램프 하우징 장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포그램프 하우징을 범퍼커버에 장착함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이 범퍼커버와의 사이에 장착된 코일스프링에 의해 탄성 지지되도록 하고, 외부로부터 충격이 가해지면 상기 하우징이 전후방향으로 탄성 이동하여 충격을 흡수하도록 한 자동차용 포그램프 하우징 장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범퍼는 차량 전후방에 설치되어 경미한 충돌시 충돌에너지를 흡수하도록 함으로써 차체와 탑승자를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한 탄성구조물이다.
상기 범퍼에는 포그램프 등의 보조전조등이 구비되어 있어 안개가 낀 상태이거나 야간운행에 도움이 되도록 하고 있다.
특히, 안개가 많은 지역에서는 뒤따라 오는 차량의 안전을 위해 포그램프의 장착이 법규로 규정되어 있다.
첨부한 도 2는 종래의 자동차용 포그램프 하우징 장착구조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포그램프(10)가 장착된 하우징(12)의 전면에서 렌즈(14)가 램프(10)를 덮고 있는 형태이며, 램프(10) 후측에는 반사경(16)이 설치된다.
종래의 하우징 장착구조에서는 하우징(12)을 범퍼커버(20)에 체결용 볼트(30) 등으로 체결하게 되므로 상기 하우징(12)은 상기 범퍼커버(20)에 완전 고정되는 구조이다.
따라서, 가벼운 충돌시에도 충격을 받게 되는 부위에 포그램프가 위치하게 될 경우 범퍼커버의 장착부가 파손되면서 램프 및 렌즈, 하우징 등이 쉽게 파손되어 진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종래의 장착구조에서는 충격테스트에서 법규를 만족시키지 못하게 되고, 잦은 파손사고 발생으로 수리비가 과다해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포그램프의 위치설정 및 범퍼설계에 많은 제약을 주게 되고, 범퍼설계시의 제약으로 범퍼의 충돌성능마저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하므로 이에 대한 대처방안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포그램프 하우징을 범퍼커버에 장착함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이 범퍼커버와의 사이에 장착된 코일스프링에 의해 탄성 지지되도록 하고, 외부로부터 충격이 가해지면 상기 하우징이 전후방향으로 탄성 이동하여 충격을 흡수하도록 한 자동차용 포그램프 하우징 장착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포그램프 하우징 장착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종래의 포그램프 하우징 장착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포그램프 12 : 하우징
12a : 하우징 체결부 14 : 렌즈
16 : 반사경 20 : 범퍼커버
20a : 범퍼커버 체결부 30 : 볼트
40 : 체결용 핀 42 : 꼬리부
42a : 돌출부 44 : 헤드부
46 : 탈거방지용 클립 48 : 코일 스프링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포그램프 하우징 장착구조는 범퍼커버 체결부(20a)와 하우징 체결부(12a)를 관통하되, 꼬리부(42)에 형성된 돌출부(42a)와 범퍼커버 체결부(20a)사이에 이탈방지용 클립(46)이 개재되고, 헤드부(44)가 상기 하우징 체결부(12a)를 지지하는 체결용 핀(40)과;
상기 범퍼커버 체결부(20a)와 상기 하우징 체결부(12a)사이에서 상기 체결용 핀(40)에 장착되어 상기 하우징 체결부(12a)를 상기 범퍼커버 체결부(20a)에서 탄성지지하는 코일스프링(48);
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포그램프 하우징 장착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포그램프 하우징 장착구조는 차량의 충돌 및 차량에 충격이 가해졌을 때 포그램프 하우징(12)이 전후방향으로 탄성 이동되면서 충돌 및 충격을 흡수하도록 한 구조이다.
상기 하우징(12)은 범퍼커버(20)에서 전후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장착되되, 체결용 핀(40)이 하우징 체결부(12a)와 범퍼커버 체결부(20a)를 관통하여 체결하고 있다.
상기 체결용 핀(40)에는 하우징 체결부(12a)와 범퍼커버 체결부(20a)사이에 코일스프링(48)이 장착되는데, 상기 코일스프링(48)이 장착됨으로써 하우징(12)은 범퍼커버(20)에서 탄성지지된 채 장착되는 것이다.
상기 체결용 핀(40)의 꼬리부(42)에는 돌출부(42a)가 형성되어 있고 돌출부(42a)와 범퍼커버 체결부(20a)사이에는 이탈방지용 클립(46)이 끼워져 체결용 핀(40)이 범퍼커버(20)에서 빠져나가지 않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외부에서 충격이 가해지면 상기 하우징(12)만 후측으로 밀리거나 상기 하우징(12)과 체결용 핀(40)이 함께 후측으로 밀리면서 포그램프의 손상을 방지하게 되고, 충격이 해제되면 스프링(48)이 그 탄성력으로 하우징(12)을 밀어내면서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게 된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포그램프 하우징 장착구조에 의하면 외부로부터 충격이 가해지면 상기 하우징이 전후방향으로 탄성 이동하여 충격을 흡수하도록 함으로써, 포그램프의 충돌성능 및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포그램프의 잦은 파손 방지로 수리비용 감소 및 상품성을 좋게 하며, 범퍼의 디자인 및 설계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범퍼커버 체결부(20a)와 하우징 체결부(12a)를 관통하되, 꼬리부(42)에 형성된 돌출부(42a)와 범퍼커버 체결부(20a)사이에 이탈방지용 클립(46)이 개재되고, 헤드부(44)가 상기 하우징 체결부(12a)를 지지하는 체결용 핀(40)과;
    상기 범퍼커버 체결부(20a)와 상기 하우징 체결부(12a)사이에서 상기 체결용 핀(40)에 장착되어 상기 하우징 체결부(12a)를 상기 범퍼커버 체결부(20a)에서 탄성지지하는 코일스프링(48);
    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자동차용 포그램프 하우징 장착구조.
KR10-2000-0081144A 2000-12-23 2000-12-23 자동차용 포그램프 하우징 장착구조 KR1003717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1144A KR100371717B1 (ko) 2000-12-23 2000-12-23 자동차용 포그램프 하우징 장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1144A KR100371717B1 (ko) 2000-12-23 2000-12-23 자동차용 포그램프 하우징 장착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1680A KR20020051680A (ko) 2002-06-29
KR100371717B1 true KR100371717B1 (ko) 2003-02-11

Family

ID=276852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81144A KR100371717B1 (ko) 2000-12-23 2000-12-23 자동차용 포그램프 하우징 장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7171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4667B1 (ko) * 2002-09-17 2005-06-13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완충기능을 갖는 프론트범퍼의 포그램프 체결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1680A (ko) 2002-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90030B1 (en) Flexible lamp mounting
KR100401793B1 (ko) 자동차용 헤드램프 장착 구조
KR100589266B1 (ko) 자동차의 헤드램프모듈의 고정구조
KR100371717B1 (ko) 자동차용 포그램프 하우징 장착구조
JP2006001344A (ja) 車両用灯具の取付構造
US10421495B2 (en) Compressible stopper behind headlamp for protecting closures against damage during a low speed collision
KR20030041394A (ko) 차량의 헤드램프 완충구조
KR102111968B1 (ko) 차량용 범퍼 어셈블리 조립구조
KR100315291B1 (ko) 자동차의 범퍼 고정구조
KR0135166Y1 (ko) 전조등이 설치된 자동차용 범퍼
KR101063223B1 (ko) 보행자 보호용 헤드램프 구조
KR100534862B1 (ko) 헤드램프 체결구조
KR200174305Y1 (ko) 급 제동시 범퍼 높이보정 시스템
KR0115986Y1 (ko) 자동차용 후방범퍼페셔 취부구조
KR20080047762A (ko) 보행자 보호용 헤드램프의 마운팅 구조
KR960002577Y1 (ko) 경승용차의 범퍼장착구조
KR20080024689A (ko) 자동차의 범퍼커버 장착구조
KR200161608Y1 (ko) 헤드 램프와 프론트범퍼 페시아의 메칭구조
KR0121961Y1 (ko) 자동차의 사이드 마크 램프
JP2002264719A (ja) ランプの取付構造
KR0115985Y1 (ko) 자동차용 범퍼 장착구조
KR100193664B1 (ko) 자동차용 범퍼
KR0123034Y1 (ko) 자동차의 차폭등
KR200161875Y1 (ko) 스페어타이어 겸용 후방미러장치(spair tire cover with rear under view mirror)
KR100568705B1 (ko) 파워 스티어링 오일 파이프의 고정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