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71709B1 - 벤치식 회전좌석의 3점 시트벨트장치 - Google Patents

벤치식 회전좌석의 3점 시트벨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1709B1
KR100371709B1 KR10-2000-0073536A KR20000073536A KR100371709B1 KR 100371709 B1 KR100371709 B1 KR 100371709B1 KR 20000073536 A KR20000073536 A KR 20000073536A KR 100371709 B1 KR100371709 B1 KR 1003717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cable
anchor
guide rail
pull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35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44027A (ko
Inventor
이일희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735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71709B1/ko
Publication of KR200200440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40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17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170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2/24Anchoring devices secured to the side, door, or roof of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2/20Anchoring devices adjustable in position, e.g. in height
    • B60R2022/208Anchoring devices adjustable in position, e.g. in height by automatic or remote control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벤치식 회전좌석의 전방향에 대해 제공되는 3점식 시트벨트장치를 후방향에 대해서도 공유할 수 있도록 하여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 3점 시트벨트장치는 스프링에 의해서 상부앵커 및 하부앵커를 상부 가이드레일과 하부 가이드레일에 대해 고정시키는 록킹 후크와, 상부 회전판에 부착되어 있는 상부 회전판측 작동스위치와, 상부 회전판측 작동스위치와 접촉되어 좌석의 회전상태를 감지하는 좌석회전 감지스위치와, 전원 케이블을 통해 좌석회전 감지스위치로부터 전달되는 신호에 따라서 통전되어 상부 풀리 및 하부 풀리를 회전시키는 케이블 이송모터와, 일단은 상부 풀리에 감겨지고 타단은 상부 롤러에 감겨지며 중간 지점에는 케이블 이송가이드와 접촉되어 상부앵커가 상부 가이드레일을 따라서 이송되도록 하는 상부 케이블 바인더가 고정된 상부앵커 이송케이블과, 일단은 하부 풀리에 감겨지고 타단은 하부 롤러에 감겨지며 중간 지점에는 케이블 이송가이드와 접촉되어 하부앵커가 하부 가이드레일을 따라서 이송되도록 하는 하부 케이블 바인더가 고정된 하부앵커 이송케이블을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벤치식 회전좌석의 3점 시트벨트장치{THREE POINT SEAT BELT SYSTEM OF BENCH TYPE ROTATING SEAT}
본 발명은 벤치식 회전좌석의 3점 시트벨트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벤치식 회전좌석의 전방향에 대해 제공되는 3점식 시트벨트장치를 후방향에 대해서도 공유할 수 있도록 하여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벤치식 회전좌석의 3점 시트벨트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에는 프론트 시트와 리어 시트가 구비되어 있으며, RV차량과 같은 다인승 차량에는 보다 많은 열의 시트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시트는 탑승자가 앉는 부분인 시트 쿠션과 등을 기대는 부분인 시트 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 시트 백의 상부에는 머리를 기대고 쉴 수 있는 헤드레스트가 상방으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특히, RV차량의 경우, 레져 공간의 활용도를 높이고 적재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서 일시적으로 시트를 접은 상태로 운행할 수 있는 더블 폴딩시트를 비롯하여, 전후방향으로 좌석의 대향 위치를 바꿀 수 있는 벤치식 회전시트를 채용하기도 한다.
도 1은 종래의 회전식 시트를 개략적으로 보인 구성도이다. 차량의 플로어에부착되는 레그(2)상에는 시트 회전부(4)가 구비되어 있어, 이 회전부(4)를 통해서 시트를 전향좌석 및 후향좌석으로 회전 배치시킬 수 있다. 회전부(4)상에는 승객이 앉는 부분인 시트쿠션(6)과 시트백(8)이 구비되어 있다.
만일, 시트가 전향좌석(차량의 주행방향인 전방을 향하고 있는 상태)으로 배치된 경우, 승객은 3점 시트벨트를 착용할 수 있다. 즉, 전향좌석인 상태에서, 승객은 상부앵커(14)를 개재하여 리트랙터(10)로부터 인출된 벨트(12)를 버클(16)에 삽입 고정하여 3점벨트로서 이용하게 된다. 이때, 상부앵커(14)는 도면에서 좌측상단 영역에 설치 가능하며 하부앵커(15)는 좌측하단 영역에 설치 가능하다.
또한, 좌석 회전용 레버를 작동시켜 후향좌석(차량의 주행방향과 반대인 후방을 향하고 있는 상태)으로 배치된 경우, 승객은 2점 시트벨트를 착용할 수 있다. 즉, 벨트(12')를 버클(16')에 삽입하여 2점 시트벨트로서 이용하게 되며, 이때에는 3점식 시트벨트를 착용할 수 없다.
이러한 구성을 지닌 종래의 벤치식 회전좌석의 시트벨트장치는 단순히 법규 만족을 위해서 전, 후방향에 대한 벨트앵커가 제공되기는 하지만, 법규에 따른 강도조건을 만족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며 다음과 같은 문제를 지니고 있다. 즉, 3점식과 2점식 시트벨트를 모두 채용하고 있어 비용이 많이 든다. 또한, 좌석이 전방을 향하고 있을 때에 사용자가 2점식도 착용이 가능하므로 3점식에 비해 사용이 간편한 2점식을 선호하게 되므로, 안전상에 문제가 있다. 또한, 2점식 시트벨트장치의 경우 좌석에 부가되는 하중이 대략 10톤 정도로 상당히 크기 때문에 보다 강력한 벨트구조가 요구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벤치식 회전좌석이 전방을 향하고 있을 때는 물론, 후방을 향하고 있을 때에도 3점식 시트벨트를 이동시켜 공유함으로써 안전성 및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벤치식 좌석의 3점 시트벨트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벤치식 좌석에 제공된 시트벨트의 구성을 보인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3점벨트 시스템을 보인 전체 구성도,
도 3은 도 2의 Ⅲ부분 확대도,
도 4는 도 3의 선Ⅳ-Ⅳ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3점벨트 시스템이 구비된 시트의 프레임을 보인 저면도,
도 6은 도 5에 도시한 시트 프레임의 정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6, 6':시트쿠션 8, 8':시트백
12, 12':시트벨트 20:리트랙터
22,22':가이드레일 26, 46:가이드링
30, 40:앵커 34:록킹 후크
34':후크 가이드 36:케이블 바인더
38:후크 바인더 연결점 50:상부앵커 이송케이블
52:하부앵커 이송케이블 54:케이블 이송모터
60, 62:전원 케이블 66:상부 회전판측 작동스위치
70, 72:상부, 하부 회전판 80:좌석회전 감지스위치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벤치식 회전좌석의 3점 시트벨트장치는 사이드 차체의 상부 및 하부에 고정되는 상부 가이드레일 및 하부 가이드레일과, 이들 상부 가이드레일 및 하부 가이드레일을 따라 미끄럼 이동되며, 가이드링을 통해서 시트벨트가 인출 가능하게 장착되는 상부앵커 및 하부앵커와, 시트벨트의 일단이 권취되어 있는 리트랙터를 포함하는 벤치식 회전좌석의 3점 시트벨트장치에 있어서, 스프링에 의해서 상부앵커 및 하부앵커를 상부 가이드레일과 하부 가이드레일에 대해 고정시키는 록킹 후크와, 상부 회전판에 부착되어 있는 상부 회전판측 작동스위치와, 상부 회전판측 작동스위치와 접촉되어 좌석의 회전상태를 감지하는 좌석회전 감지스위치와, 전원 케이블을 통해 좌석회전 감지스위치로부터 전달되는 신호에 따라서 통전되어 상부 풀리 및 하부 풀리를 회전시키는 케이블 이송모터와, 일단은 상부 풀리에 감겨지고 타단은 상부 롤러에 감겨지며 중간 지점에는 케이블 이송가이드와 접촉되어 상부앵커가 상부 가이드레일을 따라서 이송되도록 하는 상부 케이블 바인더가 고정된 상부앵커 이송케이블과, 일단은 하부 풀리에 감겨지고 타단은 하부 롤러에 감겨지며 중간 지점에는 케이블 이송가이드와 접촉되어 하부앵커가 하부 가이드레일을 따라서 이송되도록 하는 하부 케이블 바인더가 고정된 하부앵커 이송케이블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벤치식 좌석의 3점 시트벨트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며, 도 1에서 설명한 종래의 구조와 동일부품은 동일번호로 표시한다.
먼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벤치식 회전좌석에서 전향좌석과 후향좌석 모두의 경우에 3점식 시트벨트의 착용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서는 시트의 상부와 하부 차체에 각각, 상부 가이드레일(22)과 하부 가이드레일(22')을 설치하였으며, 이들 가이드레일(22, 22')에는 각각, 상부앵커(30)와 하부앵커(40)를 설치하여 좌석의 배향에 따라서 가이드레일(22, 22')을 따라서 이동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상부 가이드레일(22) 및 하부 가이드레일(22')에 대해 상부앵커(30)와 하부앵커(40)의 록킹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록킹 후크(34, 44)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3점식 시트벨트에서는 록킹상태 해제는 수동작으로 행하는 한편, 록킹이 해제된 상태에서 시트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킨 후에는 자동으로 상부앵커(30) 및 하부앵커(40)가 시트의 이송위치로 이동되도록 하였으며, 이를 위해서 케이블 이송모터(54) 및 상부, 하부앵커 이송케이블(50, 52)을 설치하였다. 시트벨트(12, 12')의 일단은 리트랙터(20)에 권취되어 있다.
이를 구성 요소별로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도 3과 도 4에는 상부 가이드레일(22)에 설치된 상부앵커(30)의 조립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이드 차체의 상부에 고정되는 상부 가이드레일(22)에는 상부앵커(30)가 장착되어 있다. 또, 상부앵커(30)에는 가이드링(26)이 볼트(28)에 의해 고정되어 있으며, 시트벨트(12)는 가이드링(26)의 가이드홈(26a)을 따라서 인출된다. 상부앵커 이송케이블(50)에는 케이블 바인더(36)가 고착되어 있으며, 이 케이블 바인더(36)는 상부앵커(30)의 상단에 고정된 케이블 이송가이드(35)와 접촉됨으로써, 상부앵커(30)가 상부 가이드레일(22)을 따라서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록킹후크(34)는 후크 가이드(34')에 의해서 이동이 안내된다.
상세히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하부앵커(40)역시, 동일한 구조를 지닌다. 즉, 하부앵커(40)에도 록킹 후크를 비롯하여, 고정 시트벨트(17)에 연결된 가이드링(46), 록킹 후크 등이 설치되어 있다.
상부앵커(30)와 하부앵커(40)는 앵커 이송케이블(50, 52)에 의해서 상부 가이드레일(22)과 하부 가이드레일(22')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또한, 앵커 이송케이블(50, 52)의 작동을 위해서 케이블 이송모터(54)가 추가로 구비되어 있다. 이 케이블 이송모터(54)는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 케이블(60, 62)을 통해서 좌석회전 감지스위치(80)로부터 전달되는 신호에 따라서 통전되어 구동된다. 또한, 좌석회전 감지스위치(80)는 좌석의 회전시에 상부 회전판측 작동스위치(66)와 접촉됨으로써, 상기 케이블 이송모터(54)를 통전시키게 된다.
한편, 케이블 이송모터(54)에는 전원 케이블(60), (62)을 통해 상기 좌석회전 감지스위치(80)로부터 전달되는 신호에 따라서 회전되는 상부 풀리(56) 및 하부풀리(58)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부앵커 이송케이블(50)의 일단은 상부 풀리(56)에 감겨지고 타단은 상부 롤러(84)에 감겨지며 중간 지점에는 케이블 이송가이드(35)와 접촉되어 상부앵커(30)가 상부 가이드레일(22)을 따라서 이송되도록 하는 상부 케이블 바인더(36)가 고정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하부앵커 이송케이블(52)의 일단은 하부 풀리(58)에 감겨지고 타단은 하부 롤러(86)에 감겨지며 중간 지점에는 케이블 이송가이드와 접촉되어 하부앵커(40)가 하부 가이드레일(22')을 따라서 이송되도록 하는 하부 케이블 바인더가 고정되어 있다.
좌석회전 감지스위치(80)는 시트의 양 레그(2)사이에 배치되는 사각평판(2')상에 설치되어 있으며, 사각평판(2')상에는 하부 회전판(72)이 배치되어 있다. 하부 회전판(72)상의 상부 회전판(70)은 시트 쿠션 프레임(82)에 설치되어 있다.
다음에는 이러한 구성을 지닌 3점 시트벨트장치의 작동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좌석이 전방을 향하고 있는 경우에, 상부앵커(30)와 하부앵커(40)는 도 2에서 좌측상단과 좌측하단 영역에 각각 위치한다.
탑승자가 좌석을 회전하기 위해서 통상의 록킹 해제레버(도시생략)를 당기게 되면, 좌석의 고정상태가 해제되면서 탑승자는 수동으로 좌석을 후향이 되도록 회전시킬 수 있다.
좌석이 완전히 후향으로 회전되면, 상부 회전판(70)에 장착된 상부 회전판측 작동스위치(66)가 좌석회전 감지스위치(80)와 접촉되면서 전원 케이블(60, 62)을 통해서 케이블 이송모터(54)를 통전시키게 된다. 케이블 이송모터(54)의 통전으로 상부풀리(56)와 하부풀리(58)가 회전하면서 상부앵커 이송케이블(50)과 하부앵커이송케이블(52)이 감겨지기 시작한다.
상부, 하부앵커 이송케이블(50), (52)이 움직이기 시작하면 케이블 바인더(36)가 움직이면서 케이블 가이드(35)와 접촉하게 된다. 이 구간동안에 스프링(32)에 의해서 록킹되어 있던 록킹 후크(34)의 록킹상태가 해제된다. 이때, 상부앵커(30)와 하부앵커(40)는 움직이지 않는다.
케이블 이송모터(54)가 계속 작동하게 되면, 상부풀리(56)와 하부풀리(58)가 회전하면서 상부앵커 이송케이블(50)과 하부앵커 이송케이블(52)에 의해서 상부앵커(30)와 하부앵커(40)는 반대편 지정위치로 이송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일정시간(가령, 30초)이 지나면 릴레이(64)가 작동되면서 케이블 이송모터(54)를 오프시키게 되며, 그에 따라 상부풀리(56)와 하부풀리(58)의 회전이 정지됨으로써, 상부앵커 이송케이블(50)과 하부앵커 이송케이블(52)의 이송이 정지되어 상부앵커(30)와 하부앵커(40)는 더 이상 이동하지 않게 된다. 그와 동시에, 록킹 후크(34)는 스프링(32)의 탄성력에 의해서 록킹되어 상부앵커(30)와 하부앵커(40)를 구속시킨다. 이 상태에서 전향좌석으로 변경하는 경우에도 동일한 원리로 작동된다.
이상으로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부 가이드레일과 하부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송되는 상부앵커와 하부앵커를 이용하여 전향좌석 및 후향좌석 모두에서 3점식 시트벨트를 착용할 수 있기 때문에, 하중조건에 대해서도 차체가 좌석하중을 나누어 지탱하므로 강도조건에서도 매우 유리하다. 또한, 종래의 경우에는 3점식과2점식 모두 제공되어 있어 좌석에 너무 많은 벨트가 제공되므로, 승객의 승차시에 불편을 주며, 전향에 대해서는 2점식과 3점식을 모두 착용할 있어 당황하는 경우가 종종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3점식 시트벨트만 제공되므로 승객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좌석후향시에 자동으로 벨트장치가 조절되므로 작동이 편리하다. 또한, 좌석 및 차체보강을 위한 보강재를 필요로 하지 않는 등의 이점이 있다.

Claims (2)

  1. 사이드 차체의 상부 및 하부에 고정되는 상부 가이드레일(22) 및 하부 가이드레일(22')과, 이들 상부 가이드레일(22) 및 하부 가이드레일(22')을 따라 미끄럼 이동되며, 가이드링(26)을 통해서 시트벨트(12, 12')가 인출 가능하게 장착되는 상부앵커(30) 및 하부앵커(40)와, 상기 시트벨트(12, 12')의 일단이 권취되어 있는 리트랙터(20)를 포함하는 벤치식 회전좌석의 3점 시트벨트장치에 있어서,
    스프링(32)에 의해서 상기 상부앵커(30) 및 하부앵커(40)를 상기 상부 가이드레일(22)과 하부 가이드레일(22')에 대해 고정시키는 록킹 후크(34)와,
    상부 회전판(70)에 부착되어 있는 상부 회전판측 작동스위치(66)와,
    상기 상부 회전판측 작동스위치(66)와 접촉되어 좌석의 회전상태를 감지하는 좌석회전 감지스위치(80)와,
    전원 케이블(60), (62)을 통해 상기 좌석회전 감지스위치(80)로부터 전달되는 신호에 따라서 통전되어 상부 풀리(56) 및 하부 풀리(58)를 회전시키는 케이블 이송모터(54)와,
    일단은 상기 상부 풀리(56)에 감겨지고 타단은 상부 롤러(84)에 감겨지며 중간 지점에는 케이블 이송가이드(35)와 접촉되어 상기 상부앵커(30)가 상부 가이드레일(22)을 따라서 이송되도록 하는 상부 케이블 바인더(36)가 고정된 상부앵커 이송케이블(50)과,
    일단은 상기 하부 풀리(58)에 감겨지고 타단은 하부 롤러(86)에 감겨지며 중간 지점에는 케이블 이송가이드와 접촉되어 상기 하부앵커(40)가 하부 가이드레일(22')을 따라서 이송되도록 하는 하부 케이블 바인더가 고정된 하부앵커 이송케이블(52)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치식 회전좌석의 3점 시트벨트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케이블(60)에는 상기 케이블 이송모터(54)를 오프시켜 상기 상부 풀리(56)와 상기 하부 풀리(58)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릴레이(64)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치식 회전좌석의 3점 시트벨트장치.
KR10-2000-0073536A 2000-12-05 2000-12-05 벤치식 회전좌석의 3점 시트벨트장치 KR1003717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3536A KR100371709B1 (ko) 2000-12-05 2000-12-05 벤치식 회전좌석의 3점 시트벨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3536A KR100371709B1 (ko) 2000-12-05 2000-12-05 벤치식 회전좌석의 3점 시트벨트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4027A KR20020044027A (ko) 2002-06-14
KR100371709B1 true KR100371709B1 (ko) 2003-02-11

Family

ID=276797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3536A KR100371709B1 (ko) 2000-12-05 2000-12-05 벤치식 회전좌석의 3점 시트벨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7170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96762U (ko) * 1986-06-05 1987-12-14
JPH01142352U (ko) * 1988-03-25 1989-09-29
JPH038045A (ja) * 1989-06-06 1991-01-16 Fujitsu Ltd 配布情報管理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96762U (ko) * 1986-06-05 1987-12-14
JPH01142352U (ko) * 1988-03-25 1989-09-29
JPH038045A (ja) * 1989-06-06 1991-01-16 Fujitsu Ltd 配布情報管理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4027A (ko) 2002-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949209B (zh) 车辆用座椅及车辆用座椅配置结构
EP2261078B1 (en) Erroneous operation preventing device and stowable seat for vehicle
EP0936980B1 (en) Vehicle seat
US6554357B2 (en) System for releasably securing a child seat to a stowable seat
US6786510B2 (en) Single loop, four-point shoulder and lap belt system
US4702491A (en) Quick disconnect three point safety restraint system
WO2004069594A3 (en) Seat belt restraint system with double shoulder belts
US6325417B1 (en) Arrangement for safety-belt
KR100371709B1 (ko) 벤치식 회전좌석의 3점 시트벨트장치
US8251400B2 (en) Restraint system for a transportation vehicle
US10384570B2 (en) Child-seat restraint system
KR100371707B1 (ko) 벤치식 좌석의 3점 시트벨트장치
US11273791B1 (en) Seat belt structure for a vehicle
CN111284443B (zh) 车辆座椅安全带组件
JP2767626B2 (ja) シートベルトの有効拘束限界警報装置
KR100366592B1 (ko) 자동차용 회전식 시트의 시트벨트 앵커구조
JPH0239929U (ko)
KR100461139B1 (ko) 차량용 시트 벨트 버클의 구조
US5927818A (en) Traveling buckle and retractor assembly
KR100366591B1 (ko) 자동차용 이동식 시트 벨트 구조
JP3140263B2 (ja) 格納式ヘッドレスト構造
JP2014166807A (ja) 車両用乗員拘束装置
KR20240027458A (ko) 차량용 후석 시트
JP2023077036A (ja) シートベルト装置
JP2023077043A (ja) 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11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