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1139B1 - 차량용 시트 벨트 버클의 구조 - Google Patents

차량용 시트 벨트 버클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1139B1
KR100461139B1 KR10-2002-0059999A KR20020059999A KR100461139B1 KR 100461139 B1 KR100461139 B1 KR 100461139B1 KR 20020059999 A KR20020059999 A KR 20020059999A KR 100461139 B1 KR100461139 B1 KR 1004611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buckle
vehicle
seat belt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99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29659A (ko
Inventor
홍성학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599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1139B1/ko
Publication of KR200400296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96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11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113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2/26Anchoring devices secured to the seat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5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 A44B11/2503Safety buck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022/1806Anchoring devices for buck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시트 벨트 버클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쿠페등의 2도어 차량의 승객이 뒷자석에 승하차시 프론트 시트를 워크인(시트백을 전방으로 회전하고, 시트를 전방으로 이동시켜 승하차 공간을 확보하는 기능)시에 레버를 작동하여 시트를 회전시켜주는 리클라이너와 버클을 케이블로 연동시켜서 버클을 시트의 안쪽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콘솔과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고, 시트백을 원위치 시키면 버클에 장착되어 있는 리턴 스프링에 의해서 버클이 자동으로 원위치되는 차량용 시트 벨트 버클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시트 벨트 버클의 구조{Structure of seat belt buckle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시트 벨트 버클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쿠페등의 2도어 차량의 승객이 뒷자석에 승하차시 프론트 시트를 워크인(시트백을 전방으로 회전하고, 시트를 전방으로 이동시켜 승하차 공간을 확보하는 기능)시에 레버를 작동하여 시트를 회전시켜주는 리클라이너와 버클을 케이블로 연동시켜서 버클을 시트의 안쪽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콘솔과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고, 시트백을 원위치 시키면 버클에 장착되어 있는 리턴 스프링에 의해서 버클이 자동으로 원위치되는 차량용 시트 벨트 버클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시트 벨트는 자동차가 충돌되는 경우 탑승자를 본래의 위치에 억제시켜 상해정도를 감소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안전장치로서, 허리를 구속하는 시트 벨트와 상체를 구속하는 숄더 벨트를 조합한 3점식 시트 벨트가 널리 이용된다.
시트 벨트에는 로드 리미터가 설치되며, 이 로드 리미터는 충돌시 벨트 착용자에 대한 시트 벨트의 압박정도를 감소시켜 흉부손상을 방지하게 되는 중요한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시트 벨트는 시트 벨트 텅과 시트 벨트 버클을 포함하며, 시트 벨트 텅에는 벨트 통과부 및 체결부가 형성된다. 상기 벨트 통과부를 관통하여 시트 벨트가 통과될 수 있게되며, 상기 체결부는 시트 벨트 버클에 체결된다.
시트 벨트 버클은 시트 쿠션 프레임에 장착되거나 또는 플로어 패널에 장착될 수 있게 된다.
도 4 는 종래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시트 벨트 버클의 구조에 따른 작동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쿠페등의 2도어 차량의 승객은 뒷자석에 승하차시 프론트 시트를 워크인(시트백(20)을 전방으로 회전하고, 시트(24)를 전방으로 이동시켜 승하차 공간을 확보하는 기능) 시켜서 사용한다.
그러나, 종래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시트 벨트 버클의 구조는 워크인(시트백(20)을 전방으로 회전하고, 시트(24)를 전방으로 이동시켜 승하차 공간을 확보하는 기능)시에 프론트 시트백(20)이 전방으로 회전될때 시트(24)의 사이드 부위에 버클(30)이 밀려나서 차량내부의 콘솔(50)에 접촉되어 시트(24)의 전방 이동을 저해하고, 콘솔(50)이 긁히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기존의 차량용 시트 벨트 버클의 구조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 것으로서, 레버를 작동하여 시트를 회전시켜주는 리클라이너와 버클을 케이블로 연동시켜서 버클을 시트의 안쪽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콘솔과의간섭을 방지하여, 워크인(시트백을 전방으로 회전하고, 시트를 전방으로 이동시켜 승하차 공간을 확보하는 기능)시에 시트 슬라이딩을 원활하게 해주고, 콘솔의 긁힘을 방지하고, 워크인후 좌석 착좌시 버클에는 리턴 스프링이 장착되어 있어서 자동으로 원위치됨으로써 용이하게 버클을 착용할 수 있는 차량용 시트 벨트 버클의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시트 벨트 버클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시트 벨트 버클의 구조에 따른 동작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시트 벨트 버클의 구조가 장착된 시트의 동작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 는 종래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시트 벨트 버클의 구조에 따른 작동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2 : 상부 브라켓 플레이트 4 : 하부 브라켓 플레이트
6 : 케이블 8 : 리터 스프링
9,10 : 고정단 12 : 이탈방지핀
14 : 힌지 20 : 시트백
22 : 시트쿠션 30 : 버클
40 : 리클라이너 50 : 콘솔
60 : 레버 24 : 시트
7 : 중공형부재 15 : 구멍
B : 볼트 42 : 랫치
본 발명은 차량용 시트 벨트 버클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시트 벨트 버클의 설치 구조는 레버(60)를 조작하여 시트를 전방으로 회전시키는 리클라이너(40)와 버클(30)을 케이블(6)로 연동시켜서 버클(30)을 시트(24)의 안쪽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콘솔(50)과의 간섭을 방지하여, 워크인(시트백(20)을 전방으로 회전하고, 시트(24)를 전방으로 이동시켜 승하차 공간을 확보하는 기능)시에 시트(24)의 슬라이딩을 원활하게 할 수 있고, 콘솔(50)의 긁힘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워크인후 좌석 착좌시 버클(30)에는 리턴 스프링(8)이 장착되어 있어서 자동으로 원위치됨으로써 용이하게 버클(30)을 착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도면을 참조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시트 벨트 버클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시트 벨트 버클의 구조 리클라이너(40)와 버클(30) 사이에 연결되어서 레버(60)의 조작에 따른 리클라이너(40) 록킹 해제 및 시트백(20) 폴딩과 동시에 버클(30)의 젖힘을 가능하게 하는 케이블(6)과,
버클(30)을 포함하며 상기 케이블(6)의 한쪽 끝이 고정되어 레버(60)의 조작에 따라 회동가능한 상부 플레이트(2) 및 이것을 힌지(14) 구조로 지지하면서 조합되는 하부 플레이트(4)와,
상기 힌지(14)에 체결되어 레버(60) 조작 해제시 회전된 상부 플레이트(2)를 원위치로 회전시키는 리턴 스프링(8)으로 이루어진 구조이다.
도 1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시트 벨트 버클의 구조는 버클(30) 내부의 상부 브라켓 플레이트(2)와 하부 브라켓 플레이트(4)는 회동가능하도록 힌지(14)로서 체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부 브라켓 플레이트(2)는 힌지(14)를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상부 브라켓 플레이트(2)와 하부 브라켓 플레이트(4)에는 각각 고정단(9,10)이 형성되어 있으며, 레버(60)와 연결된 케이블(6)은 상기 하부 플레이트(4)에 삽입 고정되어 있는 중공형부재(7)의 구멍을 통과하여 케이블(6)의 한쪽 끝이 상기 상부 브라켓 플레이트(2)의 고정단(9)에 삽입, 고정되게 된다.
이때, 상기 하부 브라켓 플레이트(4) 고정단(10)의 윗부분에는 버클(30)의 회전동작시 케이블(6)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ㄷ자형 이탈방지핀(12)이 부착되어 있다.
한편, 상기 상부 브라켓 플레이트(2)와 하부 브라켓 플레이트(4)가 힌지(14)로서 체결되는 부분에는 리턴 스프링(8)이 장착되어 있어서, 레버(60) 조작으로 힌지(14)를 회전축으로하여 회전되었던 상부 브라켓 플레이트(2)는 레버(60) 조작을 해제하면 상기 리턴 스프링(8)에 의해서 원위치로 회전하게 된다.
또한, 상기 하부 브라켓 하단에는 시트와 볼팅(B)결합할 수 있게끔 구멍(15)이 형성되어 있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시트 벨트 버클의 구조에 따른 동작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시트 벨트 버클의 구조가 장착된 시트의 동작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차량의 승객이 뒷자석에 승하차시 프론트 시트(24)를 워크인(시트백(20)을 전방으로 회전하고, 시트(24)를 전방으로 이동시켜 승하차 공간을 확보하는 기능)시에 레버(60)를 조작하면, 상기 레버(60)와 케이블(6)로 연결되어 있는 버클(30)이 시트(24)의 안쪽으로 회전하는 동시에 리클라이너(40)의 록킹상태가 해제되게 된다.
이를 좀 더 자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레버(60)와 버클(30)은 시트(24) 내부에 케이블(6)에 의해서 연결되어 있다. 상기 레버(60)를 조작하여 당기면 이와 연결되어 있는 버클(30)이 시트(24)의 안쪽방향으로 회전되어 위치하게 된다. 또한 상기 케이블(6)의 다른 한쪽 끝은 리클라이너(40)의 랫치(42)에 연결되어 레버(60) 조작에 의해 리클라이너(40)의 록킹이 해제 되면서 앞으로 회전할 수 있게끔 된다.
한편, 레버 조작에 의하여 록킹 동작이 해제 되었던 리클라이너는 레버 조작해제시 랫치 일측에 부착된 스프링에 의해서 다시 리클라이너를 록킹하게 된다.
레버(60)를 조작하여 당기면 케이블(6) 끝단이 고정되어 있는 상부 플레이트(2)는 힌지(14)를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케이블(6)은 하부 플레이트(4)에 부착되어 있는 이탈방지핀(12)과, 고정단(10)에 부착되어 있는 중공형부재(7)에 의해서 레버(60) 조작에 의해 상부 플레이트(2)가 회전된 상태에서도 일정한 간격으로 체결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간단한 레버(60) 조작으로 버클(30)을 시트(24) 안쪽으로 회전시키고, 시트백(20)을 전방으로 회전 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구조에 의한 본 발명의 차량용 시트 벨트 버클의 구조는 워크인(시트백(20)을 전방으로 회전하고, 시트(24)를 전방으로 이동시켜 승하차 공간을 확보하는 기능)시에 시트(24)의 슬라이딩을 원활하게 해주고, 시트(24) 슬라이딩시에 버클(30)에 의해 콘솔(50)이 긁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워크인후 시트(24)를 원위치로 회전시키면 시트(24) 안쪽에 회전된 상태로 있던 버클(30)은 상부 플레이트(2)와 하부 플레이트(4)를 체결하는 힌지(14)에 장착되어 있는 리턴 스프링(8)의 탄성에 의하여 원위치로 회전하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시트 벨트 버클의 설치 구조는 레버를 작동하여 시트를 회전시켜주는 리클라이너와 버클을 케이블로 연동시켜서 버클을 시트의 안쪽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콘솔과의 간섭을 방지하여, 워크인(시트백을 전방으로 회전하고, 시트를 전방으로 이동시켜 승하차 공간을 확보하는 기능)시에 시트 슬라이딩을 원활하게 할 수 있고, 콘솔의 긁힘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워크인후 좌석 착좌시 버클이 리클라이너와 연동되어 있어서 자동 원위치됨으로써 용이하게 버클을 착용 하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차량용 시트 벨트 버클의 구조에 있어서,
    리클라이너(40)와 버클(30) 사이에 연결되어서 레버(60)의 조작에 따른 리클라이너(40) 록킹 해제 및 시트백(20) 폴딩과 동시에 버클(30)의 젖힘을 가능하게 하는 케이블(6)과,
    버클(30)을 포함하며 상기 케이블(6)의 한쪽 끝이 고정되어 레버(60)의 조작에 따라 회동가능한 상부 플레이트(2) 및 이것을 힌지(14) 구조로 지지하면서 조합되는 하부 플레이트(4)와,
    상기 힌지(14)에 체결되어 레버(60) 조작 해제시 회전된 상부 플레이트(2)를 원위치로 회전시키는 리턴 스프링(8)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벨트 버클의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 플레이트(2,4)에는 케이블(6)이 부착될 수 있도록 각각 고정단(9,10)과 ㄷ자형 이탈방지핀(12)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벨트 버클의 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6)의 다른 한쪽 끝은 리클라이너(40)의 랫치(42)에 연결되어 레버(60) 조작에 의해 버클(30)의 젖힘과 리클라이너(40)의 록킹 해제를 동시에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벨트 버클의 구조.
KR10-2002-0059999A 2002-10-02 2002-10-02 차량용 시트 벨트 버클의 구조 KR1004611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9999A KR100461139B1 (ko) 2002-10-02 2002-10-02 차량용 시트 벨트 버클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9999A KR100461139B1 (ko) 2002-10-02 2002-10-02 차량용 시트 벨트 버클의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9659A KR20040029659A (ko) 2004-04-08
KR100461139B1 true KR100461139B1 (ko) 2004-12-14

Family

ID=373310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9999A KR100461139B1 (ko) 2002-10-02 2002-10-02 차량용 시트 벨트 버클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113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9487B1 (ko) * 2008-09-01 2014-02-10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회전타입 버클 유닛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73455U (ko) * 1984-10-22 1986-05-19
JPH04266552A (ja) * 1991-02-22 1992-09-22 Nissan Motor Co Ltd 後席用シートベルト装置
KR970026556A (ko) * 1995-11-13 1997-06-24 전성원 차량용 시트 벨트의 버클 당김장치
KR970035587U (ko) * 1995-12-30 1997-07-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더블폴딩 시트용 버클
KR20030083147A (ko) * 2002-04-19 2003-10-3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접이식 시트벨트의 버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73455U (ko) * 1984-10-22 1986-05-19
JPH04266552A (ja) * 1991-02-22 1992-09-22 Nissan Motor Co Ltd 後席用シートベルト装置
KR970026556A (ko) * 1995-11-13 1997-06-24 전성원 차량용 시트 벨트의 버클 당김장치
KR970035587U (ko) * 1995-12-30 1997-07-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더블폴딩 시트용 버클
KR20030083147A (ko) * 2002-04-19 2003-10-3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접이식 시트벨트의 버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9659A (ko) 2004-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81081A (en) Vehicle seat
EP2261078B1 (en) Erroneous operation preventing device and stowable seat for vehicle
US7252318B2 (en) Seat device for vehicle
EP0731761B1 (en) Five-point safety system for a seat
US8465096B2 (en) Stowable vehicle seat
KR101598722B1 (ko) 차량용 워크인 시트의 시트백 폴딩 장치
US6641218B2 (en) Seat apparatus for automobile
US6325417B1 (en) Arrangement for safety-belt
US20110043016A1 (en) Adjustable Articulating Crew Seat
RU2137628C1 (ru) Устройство подачи ремня безопасности
JP3531704B2 (ja) ガイド席を有するバス
KR100461139B1 (ko) 차량용 시트 벨트 버클의 구조
EP1285824B1 (en) Seat belt system for a vehicle
JPS629463B2 (ko)
KR102185136B1 (ko) 자동차용 워크-인 시트의 케이블 이탈 방지 장치
JPH0231967A (ja) シートスライド装置
US7618094B2 (en) Repositionable seat assembly for a vehicle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KR100622699B1 (ko) 차량용 시트의 워크인 장치
KR102446335B1 (ko) 차량용 워크-인 시트의 록킹 장치
JPH0511074Y2 (ko)
KR20220143298A (ko) 차량용 워크-인 시트의 록킹 장치
KR0158362B1 (ko) 시트백 지지겸용 안전벨트
KR100371707B1 (ko) 벤치식 좌석의 3점 시트벨트장치
JPH0714062Y2 (ja) 自動車用シートのウォークイン機構
JPH08230535A (ja) 車両のシー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1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