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71595B1 - 클러치제어시스템및클러치제어시스템의교정방법 - Google Patents

클러치제어시스템및클러치제어시스템의교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1595B1
KR100371595B1 KR1019950704343A KR19950704343A KR100371595B1 KR 100371595 B1 KR100371595 B1 KR 100371595B1 KR 1019950704343 A KR1019950704343 A KR 1019950704343A KR 19950704343 A KR19950704343 A KR 19950704343A KR 100371595 B1 KR100371595 B1 KR 1003715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ratio
control system
signal
gear
clu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7043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701756A (ko
Inventor
조나단데이빗어슐리
찰스존존스
Original Assignee
루크 레밍턴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루크 레밍턴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루크 레밍턴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9607017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7017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15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159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18Propelling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02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driveline clut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04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 B60W10/06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including control of combustion eng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1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change-speed gea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1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change-speed gearings
    • B60W10/11Stepped gea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18Propelling the vehicle
    • B60W30/1819Propulsion control with control means using analogue circuits, relays or mechanical lin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48/00External control of clutches
    • F16D48/06Control by electric or electronic means, e.g. of fluid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4Ratio selector apparatus
    • F16H59/044Ratio selector apparatus consisting of electrical switches or sens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68Inputs being a function of gearing status
    • F16H59/70Inputs being a function of gearing status dependent on the ratio establish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500/00External control of clutches by electric or electronic means
    • F16D2500/30Signal inputs
    • F16D2500/304Signal inputs from the clutch
    • F16D2500/30408Relative rotational position of the input and output parts, e.g. for facilitating positive clutch engag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500/00External control of clutches by electric or electronic means
    • F16D2500/30Signal inputs
    • F16D2500/306Signal inputs from the engine
    • F16D2500/3067Speed of the engi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500/00External control of clutches by electric or electronic means
    • F16D2500/30Signal inputs
    • F16D2500/306Signal inputs from the engine
    • F16D2500/3069Engine ignition switch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500/00External control of clutches by electric or electronic means
    • F16D2500/30Signal inputs
    • F16D2500/31Signal inputs from the vehicle
    • F16D2500/3108Vehicle spe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500/00External control of clutches by electric or electronic means
    • F16D2500/30Signal inputs
    • F16D2500/314Signal inputs from the user
    • F16D2500/31406Signal inputs from the user input from pedals
    • F16D2500/31426Brake pedal posi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500/00External control of clutches by electric or electronic means
    • F16D2500/30Signal inputs
    • F16D2500/314Signal inputs from the user
    • F16D2500/3146Signal inputs from the user input from levers
    • F16D2500/31466Gear lev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500/00External control of clutches by electric or electronic means
    • F16D2500/50Problem to be solved by the control system
    • F16D2500/501Relating the actuator
    • F16D2500/5018Calibration or recalibration of the actua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500/00External control of clutches by electric or electronic means
    • F16D2500/50Problem to be solved by the control system
    • F16D2500/502Relating the clutch
    • F16D2500/50245Calibration or recalibration of the clutch touch-point
    • F16D2500/50251During operation
    • F16D2500/5026Gear engag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500/00External control of clutches by electric or electronic means
    • F16D2500/50Problem to be solved by the control system
    • F16D2500/502Relating the clutch
    • F16D2500/50245Calibration or recalibration of the clutch touch-point
    • F16D2500/50251During operation
    • F16D2500/50263During standing stil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500/00External control of clutches by electric or electronic means
    • F16D2500/70Details about the implementation of the control system
    • F16D2500/71Actions
    • F16D2500/7101Driver alarm
    • F16D2500/7103Acoustic alar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500/00External control of clutches by electric or electronic means
    • F16D2500/70Details about the implementation of the control system
    • F16D2500/71Actions
    • F16D2500/7101Driver alarm
    • F16D2500/7104Visual alar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2061/0075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control method
    • F16H2061/0087Adaptive control, e.g. the control parameters adapted by lear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04Smoothing ratio shift
    • F16H61/06Smoothing ratio shift by controlling rate of change of fluid pressure
    • F16H61/061Smoothing ratio shift by controlling rate of change of fluid pressure using electric control means
    • F16H2061/064Smoothing ratio shift by controlling rate of change of fluid pressure using electric control means for calibration of pressure levels for friction members, e.g. by monitoring the speed change of transmission shaf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26Generation or transmission of movements for final actuating mechanisms
    • F16H61/28Generation or transmission of movements for final actuating mechanisms with at least one movement of the final actuating mechanism being caused by a non-mechanical force, e.g. power-assisted
    • F16H2061/283Adjustment or calibration of actuator positions, e.g. neutral posi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342/00Calibrating
    • F16H2342/02Calibrating shift or range mov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342/00Calibrating
    • F16H2342/04Calibrating engagement of friction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3/0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 F16H63/4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comprising signals other than signals for actuating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46Signals to a clutch outside the gearbox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Control Of Transmission Device (AREA)
  • Hydraulic Clutches, Magnetic Clutches, Fluid Clutches, And Fluid Joints (AREA)
  • Control Of Driving Devices And Active Controlling Of Vehicle (AREA)
  • Arrangement And Mounting Of Devices That Control Transmission Of Motive Fo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운전자조작 변속기어선택레바(24)의 제어하에 엔진(10)을 변속기(12)에 연결하는 차량용클러치(14)의 자동제어를 위한 클러치제어시스템이다. 제어시스템은 차량시동시의 초기 클러치 테이크-업, 각 변속기어변경에 이은 클러치 재결합, 변속기의 변속비를 변경토록 변속기어선택레바의 이동시 클러치분리와 차량의 정차시 클러치분리를 제어하는 전자제어유니트(36)를 포함한다. 또한 제어시스템은 시스템의 초기 키-온시에 동작하는 자동교정루우틴을 가지며 상기 루우틴은 시스템이 운전자의 행위(B,L,P3,R3)에 응답하고 교정루우틴의 사전에 결정된 싯점(K,N,P11,T)에서 운전자에게 시스템이 다음 교정단계로 진행토록 준비되었음을 조언한다.

Description

클러치제어시스템 및 클러치제어시스템의 교정방법.
상기 클러치제어시스템이 출원인의 유럽특허 데 0 038 113, EP 0 043 660 A, 데 0 059 035 A 및 데 0 101 220 A 및 유럽특허출원 데 0 566 595 A에 공개된다.
상기 클러치제어시스템이 조립되고 상기 클러치제어시스템을 작동하기 전에, 상기 클러치제어시스템은 교정되어야 한다. 상기 교정작업은 시간소모적인 과정으로서 차량조립라인의 생산공정에 구성하는 것이 곤란하다.
본 발명은 운전자 작동식 기어비선택레버를 제어할 때 엔진을 기어박스에 연결하며 차량클러치를 자동제어하기 위한 클러치제어시스템에 관련되고, 상기 제어시스템이 전자제어유니트를 가지며, 차량이 작동개시될 때 클러치를 초기에 분리하는 작동, 각 기어비변속후에 클러치를 연결하는 작동, 기어박스의 기어비를 변화하기 위해 기어비선택레버를 이동시킬 때 클러치를 분리하는 작동 및 차량이 정지할 때 클러치를 분리하는 작동이 상기 전자제어유니트에 의해 제어된다.
도 1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클러치제어시스템의 배열을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교정루틴(calibration routine)의 주요단계들을 도시한 플로우선도,
도 3은 기어레버의 선택위치들에 관한 교정단계들을 상세히 도시한 플로우선도.
도 4는 각 기어비에 해당하는 허용영역들을 도시한 도면.
*부호설명*
10...엔진 14.....마찰클러치
16......스로틀장치 20......릴리이즈포크
24......기어비선택레버 26....엔진속도센서
33......하중감지수단 36.....전자제어유니트
38.....유압제어유니트 50....부저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는 상기 형태의 클러치제어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운전자작동식 기어비선택레버를 제어할 때 엔진을기어박스에 연결하고, 마찰클러치의 분리 및 연결을 제어하며 자동 교정루틴을 가진 전자제어유니트를 포함하고 클러치를 제어하기 위한 클러치제어시스템이 제공되며, 상기 클러치제어시스템에 의하면, 클러치제어시스템이 교정과정의 다음 단계로 진행준비됨을 상기 교정루틴이 작업자에게 통보하고, 상기 교정루틴이
단계 E에서 상기 기어비선택레버가 배열되는 허용중립영역의 위치를 나타내는 신호,
단계 F에서 가속페달이 무부하상태일 때 스로틀장치의 위치를 나타내는 신호,
단계 M에서 가속페달이 최대부하상태일 때 스로틀장치의 위치를 나타내는 신호,
단계 G에서 마찰클러치가 구속된 상태일 때 마찰클러치의 위치를 나타내는 신호,
단계 I에서 종동실린더에 유체를 공급하고 종동실린더로부터 유체를 방출하는 솔레노이드밸브의 영점위치에 해당하는 솔레노이드밸브의 전류를 나타내는 신호 및
단계 P 및 단계 R에서 기어박스의 각 기어비에 관하여 허용중립영역에 대한 기어비선택레버위치들의 허용영역위치를 나타내는 신호 중 한 개이상의 신호를 측정하고 메모리에 저장하는 것을 포함한다.
선호되는 실시예에 의하면, 기어비선택레버가 배열되는 허용중립영역의 위치를 교정하는 단계 및 무부하상태일 때 스로틀장치의 위치를 교정하는 단계가, 마찰클러치의 구속상태에서 마찰클러치의 위치를 교정하는 단계 및 솔레노이드밸브의 영점위치에 해당하는 전류를 교정하는 단계와 동시에 진행되고, 상기 단계들이 완료된 것을 확인한 후에, 교정루틴이 작업자에게 제 1 신호를 발생시킨다.
선호되는 실시예에 의하면, 작업자에게 발생되는 제 1 신호 및 연속적으로 발생하는 신호들이 (부저와 같은 ) 경고음 또는 (경고램프와 같은 ) 시각경고작용을 포함한다.
작업자가 기어비선택레버를 중립위치로 이동시키고, 기어비선택을 위한 하중이 상기 기어비선택레버에 가해지지 않는 것을 확인하여 작업자의 의도에 따라 상기 기어비선택레버가 중립위치에 배열된 것을 확인하고, 상기 중립위치를 나타내는 신호를 측정하고 메모리에 저장하며, 측정된 중립 위치에 기초하여 중립위치에 관한 허용중립영역이 기록되어 기어비선택레버의 중립영역이 교정된다.
가속페달이 무부하상태일 때 스로틀장치의 위치에 해당하는 신호가 클러치제어시스템에 기록되어 무부하상태인 스로틀장치의 위치가 교정된다.
마찰클러치가 완전히 연결된 상태에 해당하고 종동실린더로부터 전달된 신호를 측정 및 기록하여 마찰클러치의 구속위치가 교정된다. 마찰클러치가 분리되고 솔레노이드밸브가 영점위치에 있을 때 솔레노이드전류를 측정 및 기록하여 영점위치에 해당하는 전류가 교정된다.
선호되는 실시예에 있어서, 영점위치에 해당하는 전류가 측정 및 기록되는 동안, 마찰클러치를 분리시키는 명령이 발생되는 단계가 교정루틴에 포함된다.
작업자에게 제 1신호를 발생시킨 후에, 가속페달을 충분히 밟아서 가속페달이 최대부하상태일 때 스로틀장치의 위치에 해당하는 신호를 전자제어유니트가 기록할 수 있도록, 작업자가 가속페달을 충분히 밟아야 하는 단계로 교정루틴이 이동한다. 스로틀장치의 상기 위치에 해당하는 신호를 기록한 후에, 부저 또는 경고램프가 작동하고, 작업자에게 제 2신호를 발생하여, 기어박스의 각 기어비에 대해 교정루틴이 기어비선택레버위치들의 허용영역을 교정할 준비됨을 통보한다. 작업자에게 제 2 신호를 발생한 후에, 엔진의 시동기회로가 작동한다.
지면 또는 회전도로장치위에서 차량이 주행하여, 각 전진기어들의 각 기어비에 대해 기어비선택레버위치들을 교정하기 위해 교정루틴은
기어비선택레버가 허용중립영역내에 배열된 것을 확인하고,
기어비선택레버가 이동하는 중립면의 측면을 결정하기 위하여, 작업자에 의해 끌어당겨지거나 밀리는 하중이 기어비선택레버에 가해지는 것을 감지하며,
해당 기어에 대해 레버위치들의 허용영역으로 기어비선택레버가 이동하는 것을 확인하고, 시간지연이 개시되며,
상기 시간지연이 종료할 때, 해당 기어의 선택위치내부로 기어비선택 레버가 운동하여 레버운동의 단부를 나타내는 신호가 감지되고,
기어박스내부에서 선택된 기어비를 결정하기 위하여 현재의 엔진속도 및 차량속도를 비교하며,
결정된 기어비와 기어비선택레버의 하중신호의 호환성을 확인하고,
상기 레버운동의 단부를 나타내는 신호를 기초하여, 해당 기어에 대한 레버위치들의 허용영역이 메모리내에 기록되며,
해당 기어에 대해 레버위치들의 허용영역을 교정하는 것이 완료되고, 나머지 기어들에 대한 레버위치들의 허용영역들이 교정준비됨을 통보하기 위해 (부저를 이용하여) 작업자에게 신호를 발생시킨다.
작업자에게 신호를 발생시켜, 마지막전진기어의 기어비에 대해 레버 위치의 허용영역이 교정완료됨을 통보한 후에, 기어박스에 구성된 각 전진 기어의 기어비에 대해 레버위치의 허용영역에 해당하는 유효한 신호들이 시스템에 저장된 것을 확인하고 차량속도가 (예를 들어, 60 k.p.h. 와 같은) 정해진 속도를 초과한 것을 확인하는 단계로 교정루틴이 이동한다. 상기 확인단계가 기준에 만족하면, 전진기어에 대한 레버위치의 허용영역이 교정 완료되고 작업자에게 또 다른 신호를 발생시킨다.
차량이 정진한 상태에서 후진기어에 대해 교정될 수 있기 때문에, 엔진속도 및 차량속도를 비교하는 단계를 제외하고 전진기어들의 각 기어비에 대한 교정과 동일하게 후진기어선택에 대해 기어비선택레버위치의 허용영역이 교정된다.
후진기어선택에 대해 기어비선택레버위치의 허용영역이 교정완료된 후에, 작업자에게 마지막 신호를 발생시켜 전체 교정루틴이 완료됨을 통보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운전자작동식 기어비선택레버를 제어할 때 엔진을 기어박스에 연결하고, 마찰클러치의 분리 및 연결을 제어하고 자동교정루틴을 가진 전자제어유니트를 포함하고 마찰클러치를 제어하기 위한 클러치제어시스템의 교정방법이 제공되며, 클러치제어시스템이 교정과정의 다음 단계로 진행준비됨을 상기 교정루틴이 작업자에게 통보하고, 상기 교정루틴이
단계 E에서 상기 기어비선택레버가 배열되는 허용중립영역의 위치를 나타내는 신호,
단계 F에서 가속페달이 무부하상태일 때 스로틀장치의 위치를 나타내는 신호,
단계 M에서 가속페달이 최대부하상태일 때 스로틀장치의 위치를 나타내는 신호,
단계 G에서 마찰클러치가 구속된 상태일 때 마찰클러치의 위치를 나타내는 신호,
단계 I에서 종동실린더에 유체를 공급하고 종동실린더로부터 유체를 방출하는 솔레노이드밸브의 영점위치에 해당하는 솔레노이드밸브의 전류를 나타내는 신호 및
단계 P 및 단계 R에서 기어박스의 각 기어비에 관하여 허용중립영역에 대한 기어비선택레버위치들의 허용영역위치를 나타내는 신호 중 한 개이상의 신호를 측정하고 메모리에 저장하는 것이 클러치제어시스템의 교정방법에 포함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클러치제어시스템을 구성하는 전진기어들에 관해 기어비선택레버의 모든 위치들을 교정하는 교정방법이 제공되고, 상기 교정방법에 따르면, 기어비선택레버를 중립위치로부터 각 위치로 차례로 이동시키고, 기어비선택레버를 이동시킬 때,
기어비선택레버가 이동하는 중립면의 측면을 결정하기 위하여, 작업자에 의해 끌어당겨지거나 밀리는 하중이 기어비선택레버에 가해지는 것을 감지하며,
해당 기어에 대해 레버위치들의 허용영역으로 기어비선택레버가 이동하고 상기 허용영역으로 이동할 때 및 시간지연이 개시되는 것을 확인하고,
해당 기어의 선택위치내부로 기어비선택레버가 운동하여 레버운동의 단부를 나타내는 신호가 감지되고,
기어박스내부에서 선택된 기어비를 결정하기 위하여 현재의 엔진속도 및 차량속도를 비교하며,
결정된 기어비와 기어비선택레버의 하중신호의 호환성을 확인하고,
상기 레버운동의 단부를 나타내는 신호를 기초하여, 해당 기어에 대한 레버위치들의 허용영역이 메모리내에 기록되며,
해당 기어에 대해 레버위치들의 허용영역을 교정하는 것이 완료되고, 나머지 기어들에 대한 레버위치들의 허용영역들이 교정준비됨을 통보하기 위해 작업자에게 신호를 발생시킨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제어유니트가 상기 클러치제어시스템의 교정 방법을 수행하는 자동교정루틴을 가지는 클러치제어시스템이 제공된다.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설명된다.
도 1을 참고할 때, 시동장치 및 시동장치회로 (10a)를 가진 엔진(10)이 제공되고, 마찰클러치(14)를 통해 상기 엔진이 입력축(15)에 의해 기어 박스(12)와 연결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스로틀장치(16)에 의해 연료가 엔진에 공급되고, 가속페달(19)에 의해 작동되는 스로틀밸브(18)가 상기 스로틀장치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동일하게 전자식 또는 기계식 연료주입가솔린엔진 또는 디젤엔진에 적용될 수 있다.
릴리이즈포크(20)에 의해 상기 마찰클러치(14)가 작동되고, 상기 릴리이즈포크(20)가 종동실린더(22)에 의해 작동된다. 기어비선택레버(24)에 의해 상기 기어박스(12)가 제어되고, 상기 기어비선택레버(24)가 링크(25)를 통해 기어박스(12)와 연결되며, 하중감지수단(33)을 포함하고, 작업자에 의해 상기 기어비선택레버(24)에 가해지는 하중이 상기 하중감지수단(33)에 의해 감지되고, 변속의도를 나타내는신호(Vs)가 상기 하중감지수단(33)에 의해 발생된다.
유압제어유니트(38)를 통해 전자제어유니트(36)가 마찰클러치(14)의 작동을 제어하고, 상기 유압제어유니트(38)는 종동실린더(22)의 작동을 제어한다. 기어비선택레버(24)로부터 전달되는 신호(Vs) 및 엔진속도에 비례하고 엔진속도센서(26)로부터 전달되는 신호(Ve)가 상기 전자제어유니트(36)에 입력된다. 현재의 스로틀개방크기에 비례하고 스로틀위치센서(30)로부터 전달되는 신호(Vt) 및 가속페달위치센서(19a)로부터 전달되는 가속페달위치에 관한 신호(Va)가 상기 전자제어유니트(36)에 입력된다. 현재 연결된 기어비에 해당하고 기어위치센서(32)로부터 전달되는 신호(Vg), 종동실린더(22)의 위치에 따라 변화하고 종동실린더위치센서(34)로부터 전달되는 신호(Vc), 클러치피동판속도에 비례하고 속도센서(42)로부터 전달되는 신호(Vdp)가 상기 전자제어유니트(36)에 입력되고, 상기 속도센서(42)가 실제로 입력축(15)의 속도를 감지하며, (상기 입력축(15)의 속도는 마찰클러치(14)에 구성된 피동판(40)의 속도와 동일하다. )차량속도가 피동판속도 및 연결된 기어에 의존하기 때문에, 상기 속도센서(42)가 차량속도센서로서 작동하고 차량속도센서가 속도센서(42)로서 작동한다. 따라서 일부 적용예에 있어서, 상기 속도센서(42)가 제공되지 않고, 가변저항식의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차량속도센서에 의해 제공되는 차량속도 및 기어박스의 기어비로부터 피동판속도가 계산된다.
스로틀제어기(37)가 전자제어유니트(36)에 의해 작동되어, 스로틀밸브(18)가 가속페달(19)과 독립적으로 개폐될 수 있다.
특정 차량작동상태가 발생할 때, 작업자에게 경고 또는 표시를 위해 부저(50)가 상기 전자제어유니트(36)에 연결된다. 부저(50)를 대신하거나 부저이외에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경고등이 이용될 수 있다.
목표엔진속도를 나타내는 기준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기준신호발생기가 상기 전자제어유니트(36)에 포함된다. 클러치연결제어신호(Vce)를 제공하기 위해 종동실린더위치에 관한 신호(Vc)와 오차신호가 비교되고, 오차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해 기준신호가 실제엔진속도에 관한 신호(Ve)와 비교되며, 상기 클러치연결신호(Vce)가 전자제어유니트(36)에 의해 유압제어유니트(38)로 출력된다. 제어유니트에 관한 상기 작동이 유럽특허 제 0 038 113 호 및 제 0 043 660 호에 상세히 설명된다. 전자제어유니트(36)의 제어로직에 관한 상세부분은 본 발명을 구성하지 않기 때문에, 상세히 설명하지 않고, 필요한 경우 상기 특허를 참고한다.
마찰클러치(14)를 연결 및 분리하는 제어작용이외에, 작업자가 가속 페달(19)을 작동하여 설정되는 스로틀밸브(18)의 개방상태를 우선 제어하는 것이 필요할 때, 스로틀제어기(37)를 통해 전자제어유니트(36)가 스로틀설정상태를 제어한다. 일부 적용예에서 스로틀제어기(37)가 제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 2에서 플로우선도로 도시되고) 시스템이 초기에 작동개시될 때 호출되는 자동교정루틴(calibration routine)이 전자제어 유니트(36)의비휘발성 메모리내에 구성된다.
모든 초기 제어변수값들이 전자제어유니트(36)의 비휘발성메모리내부에 기록될 때, 전자제어유니트(36)를 구성하는 나중 단계에서, 모든 교정플래그(calibration flag)들이 지워진다. 각 교정단계용 교정플래그가 제공되고, 각 교정단계가 완료될 때 상기 교정플래그가 설정된다. 전체 교정루틴이 완료될 때 " End Of the Line 플래그"(E.O.L. 플래그)로서 마스터플래그가 제공된다.
(도 2의 단계 A를 참고할 때,)시스템이 초기에 작동개시될 때, 엔드 오브라인 교정루틴이 개시되는 것을 나타내며 상기 E.0.L. 플래그가 지워진다.
(도 2의 단계 B를 참고할 때,)작업자가 기어비선택레버(24)를 중립위치로 배열하여 도 2의 교정루틴이 작동상태로 설정된다.
(도 2의 단계 C를 참고할 때,)기어비선택레버(24)가 중립위치로 배열될 때, 미리 프로그램된 허용중립영역으로 이동하였음을 교정루틴이 감지하고, 하중감지수단(33)으로 전달된 출력을 판독하여 상기 기어비선택레버(24)가 무부하상태임을 교정루틴이 확인한다. (도 2의 단계 D를 참고할 때,) 0.5 초 타이머가 작동개시되고, 타이머의 시간지연이 종료될 때, 현재 배열된 기어레버위치가 "중립위치"로서 간주된다. (도 2의 단계 E를 참고할 때,) 상기 중립위치 및 중립으로 교정된 플래그세트로부터 허용중립영역의 경계치들이 시스템에 의해 결정된다. 다음에 나머지 기어위치들이 상기 중립위치를 참고한다.
(도 2의 단계 F를 참고할 때,) 시스템에 의해 결정된 허용중립영역이 정해진 경계값내에 있다면, 가속페달위치센서(19a)로부터 페달무부하상태를 기록하여 무부하스로틀위치의 교정이 개시된다.
도 2를 참고하면, 교정에 관한 단계 C 내지 단계 F 가 진행될 때, 클러치구속위치 및 유압제어유니트(38)의 교청이 단계 G 내지 단계 I를 통해 형성된다.
상기 유압제어유니트(38)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동력유니트를 가지고, 상기 동력유니트는 전기모터구동방식의 유압펌프 및 축압기로 구성되며, 시스템의 작동개시에 의해 상기 유압펌프가 구동되고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솔레노이드작동식 유체유동제어밸브를 통해 가압유체가 상기 축압기에 의해 종동실린더(22)로 전달된다. 적합한 동력유니트의 세부구성이 출원인의 유럽특허 제 0 430 943 호에 제공된다.
단계 G를 참고할 때, 마찰클러치의 구속위치를 나타내고 중동실린더 위치센서(34)로부터 전달되는 신호를 비휘발성메모리에 기록하여 클러치구속위치가 교정된다.
정상상태를 형성하도록, 마찰클러치(14)가 완전히 분리되고 펌프가 작동하지 않을 때, 밸브의 영점위치를 구하기 위해 유체유동제어밸브의 솔레노이드에 가해져야 하는 정상전류를 나타내는 신호를 비휘발성메모리에 저장하여 유압제어유니트(38)가 교정된다.
종동실린더(22)가 마찰클러치(14)의 연결상태를 완전히 제어하기 위하여, 마찰클러치(14)가 (연결된 상태와 반대로 )분리된 상태일 때, 영점위치를 위한 상기 정상전류가 판독되어야 한다.
(도 2의 단계 H를 참고할 때,) 상기 전류신호를 구하기 위해, 마찰클러치의분리신호를 유압제어유니트(38)에 발생시키는 단계가 교정루틴에 포함되도록, 시스템이 설정된다.
(도 2의 단계 I를 참고할 때,) 영점위치에 해당하는 전류가 비휘발성 메모리에 기록된다.
(도 2의 단계 J를 참고할 때,) 중립영역, 스로틀무부하, 클러치구속 위치 및 영점위치 전류를 나타내는 허용값들이 비휘발성메모리에 저장되는 것을 확인하여, 교정루틴의 단계 C 내지 단계 F 및 단계 G 내지 단계 I의 단계들이 완료된 것을 확인한다. (도 2의 단계 K를 참고할 때,) 상기 단계들이 완료되면, 교정루틴의 단계 C 내지 단계 I 가 완료된 것을 통보하도록 부저(50)가 작동한다. (도 2의 단계 X를 참고할 때,) 이 때 교정루틴에 문제가 생겨 부저가 작동하지 못하면, 작업자는 상기 전자제어유니트(36)에 연결된 전자진단장치를 이용하여, 교정루틴중 문제가 발생한 단계를 다시 교정하기 전에, 문제가 발생한 단계를 결정하고 상기 문제를 수정해야 한다.
(도 2의 단계 L을 참고할 때,) 단계 K에서 부저가 작동한 다음에, 작업자는 가속페달(19)을 충분히 밟아서, (도 2의 단계 M를 참고할 때,) 최대 부하스로틀위치를 교정하고, 상기 교정작업동안, 최대부하스로틀위치의 제 1 출력이 메모리에 제공되고 저장된다. 사실상 전체 교정루틴이 완료될 때까지, 최대부하스로틀위치가 감시되고, 상기 제 1 출력값보다 큰 최대부하 스로틀위치가 기록되면, 상대적으로 더 큰 값이 저장된다.
(도 2의 단계 N을 참고할 때,) 메모리에 대해 상기 최대부하스로틀위치의 출력은 저장한 후에, 차량이 정지된 상태로 수행되는 정적교정부분이 완료된 것을 작업자에게 나타내기 위해, 부저(50)가 작동되고, (도 2의 단계 0를 참고할 때,) 시동기회로(10a)에 의해 엔진이 시동될 수 있다.
필요한 경우에, 상기 단계에서 교정작용이 일시중지될 수 있고, 형성된 교정작용은 시스템이 작동정지될 때까지 손실되지 않는다. 시스템의 작동이 재개되면, 상기 단계에서 시동기회로가 작동하는 동시에, 교정루틴이 개시된다.
단계 N에서 부저가 작동하면, (도 2의 단계 P를 참고할 때,) 전진기어를 위한 교정과정이 개시된다. 차량이 생산라인에서 떨어져 정지상태로부터 이동되어 기어들로 변속되거나 생산라인의 일부분을 구성하는 회전도로장치위로 이동할 때, 전진기어들의 교정과정이 제공된다. (도 2의 단계 P를 확장하는 도 3을 참고할 때) 모든 전진기어들을 위한 교정과정이 각 기어에 대해 동일하고, 하기 원리를 기초한다.
(도 3의 단계 P1를 참고할 때,) 기어비선택레버가 중립영역내에 위치하는 것을 확인하여 각 기어에 대한 교정과정이 개시된다. 중립영역내에 위치하는 것을 감지할 때, 기어비선택레버의 현재위치 또는 영역값들이 재설정되어, 시스템은 새로운 교정값들을 입력할 준비가 된다. (도 3의 단계 P3를 참고할 때,) 상기 기어비선택레버(24)가 차례로 각 기어선택위치로 이동되면, (도 3의 단계 P4를 참고할 때,) 기어비선택레버가 당겨지거나 밀리는 가를 확인하기 위해 기어비선택레버가 감시된다. (도 4를 참고할 때) 기어들이 선택되는 위치들이 허용중립영역의 양쪽측부에 구성된 기어위치센서의 중앙경로와 상기 허용중립영역이 근접하게 배열된다.
따라서 기어비선택레버(24)의 운동방향에 의존하여, 각 기어가 선택됨에 따라 기어위치센서(32)로부터 발생하는 중간, 최대 또는 최소출력이 확인된다. (도 3의 단계 P5를 참고할 때,) 특정 기어비선택레버의 위치에 대한 허용한계들에 해당하는 영역으로 이동한 것이 상기 기어위치센서에 의해 표시될 때, 마찰클러치가 연결되기 전에 (도 3의 단계 P6를 참고할 때,) 0.5 초 시간지연이 존재한다. 해당 기어에 대한 레버위치들의 허용영역으로 이동한 후에, 상기 시간지연에 의해, 작업자는 레버운동의 단부까지 상기 기어비선택레버(24)를 충분히 이동시킬수 있다. (도 3의 단계 P7를 참고할 때,) 레버운동의 단부가 기록된다. (도 3의 단계 P8를 참고할 때,) 마찰클러치가 연결된 후에, 엔진속도펄스 및 차량속도펄스들이 계수되고, 상기 펄스들의 비율이 결정된다. (도 3의 단계 P9를 참고할 때,) (생산과정동안 전자제어유니트(36)의 비휘발성메모리내부에 기록된 )대조표를 참고하여, 연결된 실제기어가 계수비율로부터 결정될 수 있다. 하중감지수단(33)으로부터 전달되고 당겨지거나 밀림상태에 관한 신호에 대하여 상기 계수비율로부터 결정된 실제기어가 확인된다. (도 3의 단계 P10를 참고할 때,) 당겨지거나 밀림상태에 관한 적합한 신호와 함께 유효한 비율이 확인되면, 해당 기어비를 선택하기 위한 레버위치의 허용영역이 상기 시스템에 의해 기록되고, (도 3의 단계 P11를 참고할 때,) 부저가 작동하여 작업자가 다음 기어선택위치로 변속되어야 하는 것을 작업자에게 통보하고, 시스템은 상기 단계 P1 내지 단계 P11을 반복할 수 있다. 상기 방법에 의해 전진기어의 모든 선택위치들이 서로 연속하여 교정된다.
전진기어의 모든 선택위치들이 교정될 때, (도 2의 단계 Q를 참고할 때,) 전진기어가 배열된 선택위치들의 교정이 돌발적인 것이 아니라 실제주행상황에서 기어레버의 운동을 나타내는 것임을 보장하기 위하여, 차량속도가 예를 들여, 60k.p.h. 와 같이 정해진 도로속도를 초과하는 것이 시스템에 의해 확인된다.
모든 전진기어들이 교정된 후에, (도 2의 단계 R를 참고할 때,) 다음 단계로서 후진기어의 선택위치가 교정된다. 차량이 정지된 상태에서 교정이 이루어지고 (도 3의 단계 P9에서) 속도비교단계가 생략되는 것을 제외하면, 후진기어의 교정은 모든 전진기어의 교정과 동일하다. 따라서 상기 단계 P1 내지 단계 P8, 단계 P10 및 단계 11 에 해당하는 단계 R1 내지 단계 R8, 단계 R10 이 후진기어에 관한 교정루틴에 포함된다.
(도 2의 단계 S를 참고할 때,) 모든 전진기어의 위치들 및 후진기어의 위치가 교정될 때, 모든 전진기어비 및 후진기어비를 위한 기어레버의 허용영역들이 시스템에 기록된 것을 상기 시스템이 확인한다. 도 4의 개략선도를 참고할 때, 5속기어박스를 위한 기어레버선택게이트가 도시되고, 모든 기어비들은 선택위치에 관해 허용영역을 가진다. (기어비 1은 허용영역 a를 가지고, 기어비 2는 허용영역b를 가지며, 기어비3은 허용영역c를 가지고, 기어비 4는 허용영역d를 가지며, 기어비5는 허용영역 e를 가지고, 후진 기어비는 허용영역r를 가진다. ) 허용중립영역(f)의 측부에서 해당 기어에 대해 상기 허용영역들이 적합하게 위치한다.
모든 전진기어들 및 후진기어에 대하여 유효한 허용영역들이 결정되고, 저장되며, 차량속도가 (예를 들어, 60 k.p.h. 와 같이)정해진 도로속도를 초과한 것을 확인하는 플래그가 설정되면, (도 2의 단계 T를 참고할 때,) 전체 교정루틴이 완료된 것을 나타내기 위해 부저가 작동한다. 다음에 (도 2의 단계 U를 참고할 때,) 시스템이 작동정지된다.
상기 설명을 참고하면, 작업자의 동작이 요구될 때 작업자에게 주기적으로 통보되며, 교정루틴은 대체로 자동진행된다. 예를 들어, 부저가 최초로 작동하면 최대부하스로틀위치를 교정하기 위하여 작업자는 가속페달을 충분히 밟아야 하고, 부저가 두 번째로 작동하면, 최대부하스로틀위치의 교정작업이 완료되고, 전진기어의 위치들이 교정되는 작업이 개시된 것이 작업자에게 통보되며, 각 기어위치에 관한 교정이 완료될 때 부저가 작동하여 작업자가 전진기어의 각 위치를 향해 차례로 변속해야 되는 것이 작업자에게 통보된다. 마지막으로 교정루틴의 단계(S)에서 확인후에 단계(T)에서 부저가 작동하여 전체 교정루틴이 완료되었음이 작업자에게 통보된다.
부저가 작동하여 작업자들에게 통보되어, 작업자 및 시스템의 필요한 상호작용이 신호화되고, 본 발명의 제어시스템이 용이하고 신속하게 교정된다.
본 발명의 주요특징에 의하면, 전진기어의 선택위치들이 교정되는 동안, 엔진속도비 및 차량속도비를 비교하여 결정된 기어비와, 기어비선택레버의 하중상태를 나타내는 신호사이의 호환성이 상기 시스템에 의해 보장된다.
선택적으로 인쇄된 지시용지 또는 전자식 진단유니트에 의해 작업자가 교정루틴을 따라 안내될 수 있고, 상기 지시용지를 통해 작업자가 체계적으로 작업하며, 상기 전자식 진단유니트가 상기 전자제어유니트(36)에 연결되고, 교정과정의적합한 시점에 진행중인 현재의 교정단계에 관한 표시를 작업자에게 제공하며, 작업자에게 요구되는 모든 동작을 표시한다. 생산라인에서 선택적으로, 상기 전자제어유니트(36)와 연결되고 작업자의 상부에 위치한 전자식 표시장치에 의해, 현재의 교정단계 및 작업자에게 요구되는 모든 동작이 작업자에게 통보될 수 있다.
교체부품들이 조립될 때, 생산라인의 상기 마지막부분동안 결정되는 교정단계들이 (부분적으로 )반복될 필요가 있다. 개별 교정단계들이 수행될 수 있지만, 개별 교정단계들을 변형하기 위해 정해진 과정 및 진단장치를 이용해야 한다.

Claims (16)

  1. 운전자작동식 기어비선택레버(24)를 제어할 때 엔진(10)을 기어박스(12)에 연결하고, 마찰클러치(14)의 분리 및 연결을 제어하여 자동교정루틴을 가진 전자제어유니트(36)를 포함하고 마찰클러치를 제어하기 위한 클러치 제어시스템에 있어서,
    클러치제어시스템이 교정과정의 다음 단계로 진행준비됨을 상기 교정 루틴이 작업자에게 통보하고,
    상기 교정루틴이
    단계 E에서 상기 기어비선택레버(24)가 배열되는 허용중립영역의 위치를 나타내는 신호,
    단계 F에서 가속페달이 무부하상태일 때 스로틀장치(16)의 위치를 나타내는 신호,
    단계 M에서 가속페달이 최대부하상태일 때 스로틀장치(16)의 위치를 나타내는 신호,
    단계 G에서 마찰클러치(14)가 구속된 상태일 때 마찰클러치(14)의 위치를 나타내는 신호,
    단계 I에서 종동실린더(22)에 유체를 공급하고 종동실린더로부터 유체를 방출하는 솔레노이드밸브의 영점위치에 해당하는 솔레노이드밸브의 전류를 나타내는 신호 및
    단게 P 및 단계 R에서 기어박스(12)의 각 기어비에 관하여 허용중립 영역에 대한 기어비선택레버위치들의 허용영역위치를 나타내는 신호 중
    한 개이상의 신호를 측정하고 메모리에 저장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제어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기어비선택레버(24)가 배열되는 허용중립영역의 위치를 교정하는 단계(E) 및 무부하상태일 때 스로틀장치의 위치를 교정하는 단계(F)가, 마찰클러치(14)의 구속상태에서 마찰클러치(14)의 위치를 교정하는 단계(G) 및 솔레노이드밸브의 영점위치에 해당하는 전류를 교정하는 단계(I)와 동시에 진행되고,
    상기 단계(E, F, G, I)들이 완료된 것을 확인하는 단계(J)후에, 단계(K)에서 교정루틴이 작업자에게 제 1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제어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단계(K) 및 단계(N, P11,T)들에서 작업자에게 발생되는 신호들이 부저(50)의 경고음 또는 시각경고작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제어시스템.
  4. 제 1항, 제 2항 및 제 3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작업자가 기어비선택레버(24)를 중립위치로 이동시키고, 기어비선택을 위한 하중이 상기 기어비선택레버(24)에 가해지지 않는 것을 확인하여 작업자의 의도에 따라 상기 기어비선택레버(24)가 중립위치에 배열된 것을 확인하고, 상기 중립위치를 나타내는 신호를 측정하고 메모리에 저장하며, 측정된 중립위치에 기초하여 중립위치에 관한 허용중립영역(f)이 기록되어 단계(E)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제어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가속페달이 무부하상태일 때 스로틀장치(16)의 위치에 해당하는 신호가 클러치제어시스템에 기록되어 단계(F)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제어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마찰클러치(14)가 연결된 상태에 해당하고 종동실린더(22)로부터 전달된 신호를 측정 및 기록하여 단계(G)에서 마찰클러치(14)의 구속위치가 교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제어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마찰클러치(14)가 분리되고 솔레노이드밸브가 영점위치에 있을 때 솔레노이드전류를 측정 및 기록하여 단계(I)에서 영점위치에 해당하는 전류가 교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제어시스템.
  8. 제 7항에 있어서, 단계(I)에서 영점위치에 해당하는 전류가 측정 및 기록되는 동안, 마찰클러치(14)를 분리시키는 명령이 발생되는 단계(H)가 교정루틴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제어시스템.
  9. 제 2항에 있어서, 단계(K)에서 작업자에게 제 1신호를 발생시킨 후에, 가속페달을 충분히 밟아서 가속페달이 최대부하상태일 때 스로틀 장치의 위치에 해당하는 신호를 전자제어유니트(36)가 기록할 수 있도록, 작업자가 가속페달(19)을 충분히 밟아야 하는 단계(M)로 교정루틴이 이동하고, 스로틀장치의 상기 위치에 해당하는 신호를 기록한 후에, 단계(N)에서 작업자에게 제 2신호를 발생하여, 기어박스(12)의 각 기어비에 대해 기어비 선택레버위치들의 허용영역을 교정하는 단계(P)가 교정루틴에 의해 진행준비됨을 통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제어시스템.
  10. 제 9항에 있어서, 단계(N)에서 작업자에게 제 2 신호를 발생한 후에, 단계(O)에서 엔진의 시동기회로가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제어 시스템.
  11. 제 1항에 있어서, 기어박스에 구성된 전진기어들의 각 기어비에 대해 기어비선택레버위치들의 허용영역을 교정하는 단계(P)가
    기어비선택레버(24)가 허용중립영역(f)내에 배열된 것을 확인하는 단계(P1),
    기어비선택레버(24)가 이동하는 중립면의 측면을 결정하기 위하여, 작업자에 의해 끌어당겨지거나 밀리는 하중이 기어비선택레버(24)에 가해지는 것을 감지하는 단계(P4),
    해당 기어에 대해 레버위치들의 허용영역으로 기어비선택레버(24)가 이동하는 것을 확인하는 단계(P5) 및 시간지연이 개시되는 것을 확인하는 단계(P6),
    상기 시간지연이 종료할 때, 해당 기어의 선택위치내부로 기어비선택레버(24)가 운동하여 레버운동의 단부를 나타내는 신호가 감지되는 단계(P7),
    기어박스내부에서 선택된 기어비를 결정하기 위하여 현재의 엔진속도 및 차량속도를 비교하는 단계(P9),
    결정된 기어비와 기어비선택레버의 하중신호의 호환성을 확인하는 단계(P10),
    상기 레버운동의 단부를 나타내는 신호를 기초하여, 해당 기어에 대한 레버위치들의 허용영역이 메모리내에 기록되는 단계(P10),
    해당 기어에 대해 레버위치들의 허용영역을 교정하는 것이 완료되고, 나머지 기어들에 대한 레버위치들의 허용영역들이 교정준비됨을 통보하기 위해 작업자에게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P11)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제어시스템.
  12. 제 11항에 있어서, 단계(P11)에서 작업자에게 신호를 발생시켜, 마지막전진기어의 기어비에 대해 레버위치의 허용영역이 고정완료됨을 통보한 후에, 교정루틴이 단계(Q)로 이동하여, 기어박스(12)에 구성된 각 전진기어의 기어비에 대해 레버위치의 허용영역에 해당하는 유효한 신호들이 시스템에 저장된 것을 확인하고 차량속도가 정해진 속도를 초과한 것을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제어시스템.
  13. 제 12항에 있어서, 엔진속도 및 차량속도를 비교하는 단계(P9)를 제외한 단계(P)의 구성단계들에 의하여, 단계(R)에서 후진기어선택에 대해 기어비선택레버위치의 허용영역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제어시스템.
  14. 제 13항에 있어서, 후진기어선택에 대해 기어비선택레버위치의 허용영역이 교정완료된 후에, 단계(T)에서 작업자에게 신호를 발생시켜 전체 교정루틴이 완료됨을 통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제어시스템.
  15. 운전자작동식 기어비선택레버(24)를 제어할 때 엔진(10)을 기어박스(12)에 연결하고, 마찰클러치(14)의 분리 및 연결을 제어하고 자동교정루틴을 가진 전자제어유니트(36)를 포함하고 마찰클러치(14)를 제어하기 위한 클러치제어시스템의 교정방법에 있어서,
    클러치제어시스템이 교정과정의 다음 단계로 진행준비됨을 상기 교정 루틴이 작업자에게 통보하고,
    상기 교정루틴이
    단계 E에서 상기 기어비선택레버(24)가 배열되는 허용중립영역의 위치를 나타내는 신호,
    단계 F에서 가속페달이 무부하상태일 때 스로틀장치(16)의 위치를 나타내는 신호,
    단계 M에서 가속페달이 최대부하상태일 때 스로틀장치(16)의 위치를 나타내는 신호,
    단계 G에서 마찰클러치(14)가 구속된 상태일 때 마찰클러치(14)의 위치를 나타내는 신호,
    단계 I에서 종동실린더(22)에 유체를 공급하고 종동실린더로부터 유체를 방출하는 솔레노이드밸브의 영점위치에 해당하는 솔레노이드밸브의 전류를 나타내는 신호 및
    단계 P 및 단계 R에서 기어박스(12)의 각 기어비에 관하여 허용중립영역에 대한 기어비선택레버위치들의 허용영역위치를 나타내는 신호 중
    한 개이상의 신호를 측정하고 메모리에 저장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제어시스템의 교정방법.
  16. 제어유니트가 제 15항의 클러치제어시스템의 교정방법을 수행하는 자동교정루틴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제어시스템.
KR1019950704343A 1994-02-05 1995-02-06 클러치제어시스템및클러치제어시스템의교정방법 KR1003715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9402252.2 1994-02-05
GB9402252A GB9402252D0 (en) 1994-02-05 1994-02-05 Clutch control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701756A KR960701756A (ko) 1996-03-28
KR100371595B1 true KR100371595B1 (ko) 2003-03-26

Family

ID=107499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704343A KR100371595B1 (ko) 1994-02-05 1995-02-06 클러치제어시스템및클러치제어시스템의교정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5626534A (ko)
EP (2) EP0949430A3 (ko)
JP (1) JPH08508816A (ko)
KR (1) KR100371595B1 (ko)
CN (1) CN1045747C (ko)
BR (1) BR9505774A (ko)
DE (1) DE69516587T2 (ko)
ES (1) ES2145904T3 (ko)
GB (2) GB9402252D0 (ko)
WO (1) WO199502107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49908B1 (fr) * 1996-06-12 1998-09-04 Valeo Dispositif de detection produisant un signal representatif de la selection et/ou de l'engagement d'un rapport de boite de vitesses
GB2315526B (en) * 1996-07-25 2001-02-14 Luk Getriebe Systeme Gmbh Method for the function monitoring of a motor vehicle gearbox and motor vehicle for use with the method
DE19639292C1 (de) * 1996-09-25 1998-04-02 Daimler Benz Ag Automatisch gesteuerte Kupplung
BR9705023A (pt) * 1996-10-12 1998-12-01 Luk Getriebe Systeme Gmbh Veículo automotor
FR2767167B1 (fr) 1997-08-04 2003-10-03 Luk Lamellen & Kupplungsbau Embrayage a friction
US6119072A (en) * 1998-01-15 2000-09-12 Deere & Company Calibration method for transmission control clutches
DE19939432A1 (de) * 1998-09-02 2000-03-09 Luk Getriebe Systeme Gmbh Automatisierte Kupplung
JP3598847B2 (ja) * 1998-10-28 2004-12-08 いすゞ自動車株式会社 クラッチ断接装置
DE10012122A1 (de) * 1999-03-15 2000-09-21 Luk Lamellen & Kupplungsbau Kupplungssteuersystem
DE19938110A1 (de) * 1999-08-12 2001-02-22 Siemens Ag Elektronisches Steuergerät für ein Kraftfahrzeug-Automatikgetriebe und Verfahren zum Abgleichen eines Positionserkennungsensors in einem elektronischen Steuergerät für ein Kraftfahrzeug-Automatikgetriebe
GB9921428D0 (en) * 1999-09-11 1999-11-10 Luk Getriebe Systeme Gmbh Automated transmission systems
JP4516652B2 (ja) * 2000-01-27 2010-08-04 アイシン・エーアイ株式会社 歯車式自動変速装置におけるセレクトゲート位置設定装置及び方法
DE10014076B4 (de) * 2000-03-22 2004-12-09 Nolex Ag Reifenluftdruck-Anzeigevorrichtung
GB2369656A (en) * 2000-11-21 2002-06-05 Luk Lamellen & Kupplungsbau Automatic transmission hydraulic actuation system having an isolating valve which prevent leaks
DE10214813A1 (de) 2001-04-11 2002-10-17 Luk Lamellen & Kupplungsbau Kraftfahrzeug
DE10236541B4 (de) * 2001-08-13 2017-09-07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Verfahren zum Betrieb eines Kraftfahrzeuges
US6840888B1 (en) * 2001-08-16 2005-01-11 Teleflex Incorporated Hydraulic-electronic control systems for marine vessels
US6651621B2 (en) * 2001-12-06 2003-11-2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Throttle valve position determination using accelerator pedal position
DE102005007273A1 (de) 2004-03-03 2005-09-22 Luk Lamellen Und Kupplungsbau Beteiligungs Kg Verfahren zur Tastpunktermittlung bei der Erst- oder Wiederinbetriebnahme der Kupplung eines automatisierten Getriebes und System hierzu
US8086329B2 (en) * 2005-05-31 2011-12-27 Borgwarner Inc. Method of actuator control
JP4285553B2 (ja) * 2007-03-20 2009-06-24 いすゞ自動車株式会社 クラッチ制御装置の流量制御弁
DE502007006382D1 (de) 2007-10-23 2011-03-10 Getrag Ford Transmissions Gmbh Verfahren zum Erreichen einer Neutralstellung einer Schaltgabel in einem Schaltgetriebe
FR2934881B1 (fr) * 2008-08-06 2010-09-03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Procede de verification du fonctionnement d'un detecteur de point mort d'une boite de vitesses d'un vehicule automobile
BRPI0823014B1 (pt) * 2008-08-28 2020-01-28 Volvo Lastvagnar Ab método e dispositivo para seleção de uma marcha de partida em um veículo
JP5485535B2 (ja) * 2008-10-29 2014-05-0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変速機用基準位置の学習方法及び車両
CN102203467B (zh) * 2008-10-29 2014-11-05 本田技研工业株式会社 变速器基准位置的学习方法以及车辆
FR2939858B1 (fr) * 2008-12-11 2010-12-03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Procede de verification du fonctionnement d'un detecteur de point mort d'une boite de vitesse d'un vehicule automobile.
DE102008063498A1 (de) 2008-12-17 2010-06-24 Audi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manuellen Greifpunktadaption
DE102011108750A1 (de) * 2010-08-09 2012-02-09 Schaeffler Technologies Gmbh & Co. Kg Kupplungs- und/oder Getriebesystem und Verfahren zum Inbetriebnehmen eines Kupplungs- und/oder Getriebesystems
US8634997B2 (en) * 2011-04-29 2014-01-21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Direct clutch control for dual clutch transmissions
EP2774822B1 (en) * 2011-11-04 2018-08-22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Vehicle control apparatus
CN104204589B (zh) * 2012-04-06 2017-03-08 丰田自动车株式会社 车辆的起步离合器控制装置
CN103075441B (zh) * 2013-01-18 2015-12-09 浙江吉利汽车研究院有限公司杭州分公司 自动变速器离合器控制方法
US9115772B2 (en) 2013-09-30 2015-08-25 Cnh Industrial America Llc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calibrating the clutches within a transmission of a work vehicle
DE102014201603A1 (de) * 2014-01-30 2015-07-30 Zf Friedrichshafen Ag Verfahren zur Verbesserung der Schaltqualität zu Beginn der Inbetriebnahme eines neuen Automatgetriebes oder automatisierten Getriebes eines Kraftfahrzeugs
KR101726182B1 (ko) * 2015-11-02 2017-04-12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엔진스톨 방지를 위한 댐퍼클러치 제어방법 및 그 장치
DE102018200835B4 (de) * 2018-01-19 2021-04-22 Zf Friedrichshafen Ag Verfahren zum Aktivieren einer zuvor definierten Aktion in einer Arbeitsmaschine
DE102018109074B3 (de) * 2018-04-17 2019-08-14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Verfahren zum Lernen von Neutral- und Gangpositionen eines Handschaltgetriebes eines Fahrzeuge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10388A (en) * 1973-08-07 1975-10-07 Nissan Motor Shifter with switches for sequentially operating a transmission and clutch
DE3313803A1 (de) * 1982-04-17 1983-11-17 Diesel Kiki Co. Ltd., Tokyo Einrichtung zum steuern eines geschwindigkeitswechselgetriebes
JPS5997325A (ja) * 1982-11-26 1984-06-05 Isuzu Motors Ltd 自動クラッチの動作位置調整方法
US4499793A (en) * 1981-11-04 1985-02-19 Transtech Industrial Corporation Automatic gear shift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25702Y2 (ja) * 1979-09-03 1984-07-27 ダイハツ工業株式会社 自動クラツチ装置
AU548876B2 (en) 1980-02-18 1986-01-09 Automotive Products Ltd. Standing-start clutch control
DE3174453D1 (en) 1980-07-08 1986-05-28 Automotive Prod Plc Clutch control system
AU552105B2 (en) 1981-02-24 1986-05-22 Automotive Products Ltd. Clutch control system
AU1725283A (en) 1982-08-11 1984-02-16 Automotive Products Plc Clutch control system
US4629045A (en) * 1983-06-30 1986-12-16 Fujitsu Limited Automatic clutch control system
US4833613A (en) * 1986-04-18 1989-05-23 Eaton Corporation Method for controlling AMT system including throttle position sensor signal fault detection and tolerance
GB8806292D0 (en) 1988-03-17 1988-04-13 Automotive Prod Plc Power hydraulic system
GB8823961D0 (en) * 1988-10-12 1988-11-16 Automotive Prod Plc Gear position sensor
US5042133A (en) * 1989-03-15 1991-08-27 Automotive Products (Usa) Inc. Testing method for electric shift control apparatus
JP2646133B2 (ja) * 1989-04-12 1997-08-25 株式会社ゼクセル クラッチ制御用データの補正方法
EP0708276B1 (en) * 1989-12-01 2000-01-19 New Holland U.K. Limited Controlled deceleration of a power shift transmission
GB9101164D0 (en) 1991-01-18 1991-02-27 Automotive Prod Plc Clutch control system
US5224577A (en) * 1992-07-09 1993-07-06 Deere & Company Calibration method for transmission control clutche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10388A (en) * 1973-08-07 1975-10-07 Nissan Motor Shifter with switches for sequentially operating a transmission and clutch
US4499793A (en) * 1981-11-04 1985-02-19 Transtech Industrial Corporation Automatic gear shifting device
DE3313803A1 (de) * 1982-04-17 1983-11-17 Diesel Kiki Co. Ltd., Tokyo Einrichtung zum steuern eines geschwindigkeitswechselgetriebes
JPS5997325A (ja) * 1982-11-26 1984-06-05 Isuzu Motors Ltd 自動クラッチの動作位置調整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949430A3 (en) 1999-12-22
CN1045747C (zh) 1999-10-20
BR9505774A (pt) 1996-02-27
CN1125924A (zh) 1996-07-03
DE69516587T2 (de) 2001-02-08
DE69516587D1 (de) 2000-06-08
GB2292592A (en) 1996-02-28
GB9402252D0 (en) 1994-03-30
EP0949430A2 (en) 1999-10-13
KR960701756A (ko) 1996-03-28
GB9519908D0 (en) 1995-11-29
GB2292592B (en) 1998-10-07
ES2145904T3 (es) 2000-07-16
US5626534A (en) 1997-05-06
EP0691906B1 (en) 2000-05-03
JPH08508816A (ja) 1996-09-17
EP0691906A1 (en) 1996-01-17
WO1995021073A1 (en) 1995-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71595B1 (ko) 클러치제어시스템및클러치제어시스템의교정방법
KR100762886B1 (ko) 클러치 제어장치
CN106286812B (zh) 用于学习双离合变速器的离合器扭矩的装置和方法
US5457633A (en) Apparatus for limiting horsepower output of an engine and method of operating same
KR920008094B1 (ko) 자동차변속기에 대한 출력속도센서 감지진단제어방법
EP0980996B1 (en) Shift controls for automated shifting manual transmissions
EP0130812B1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gear changing operation in automatic transmission
ITMI961077A1 (it) Sistema di trasmissione a cambiamento di marcia a potenza con cambiamenti di marcia
US5204816A (en) Throttle error detection logic
WO2015021997A1 (en) Method for automatic calibration of automatic transmission
CA2241338C (en) Calibration method for transmission control clutches
US6446522B1 (en) Automated transmission systems
DE19756844B4 (de) Hydrauliksteuervorrichtung eines Automatikgetriebes
CA2147289C (en) Reverse engagement interlock control
EP0834681B1 (en) Downshift control method/machine for vehicular automated mechanical transmission
JP2001304390A (ja) 同期噛合式自動変速機の制御装置
JP2009515103A (ja) 自動機械式トランスミッションと電子制御装置とを自己設定する方法
JP2003014119A (ja) パワートレイン並びにその検査方法及び検査装置
US6227062B1 (en) Transmission system electrical connector monitoring system
AU632234B2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gear box
JP2543349B2 (ja) 電子制御自動変速機の変速制御装置
JP3566748B2 (ja) 自動変速制御装置
AU653145B2 (en) Throttle error detection logic
KR20010077973A (ko) 자동화된 수동 트랜스미션의 맞물린 기어 단계를감시관리하기 위한 방법
JPH01227847A (ja) ペダルの踏込みストローク検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