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6182B1 - 엔진스톨 방지를 위한 댐퍼클러치 제어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엔진스톨 방지를 위한 댐퍼클러치 제어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26182B1 KR101726182B1 KR1020150153358A KR20150153358A KR101726182B1 KR 101726182 B1 KR101726182 B1 KR 101726182B1 KR 1020150153358 A KR1020150153358 A KR 1020150153358A KR 20150153358 A KR20150153358 A KR 20150153358A KR 101726182 B1 KR101726182 B1 KR 10172618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amper clutch
- control signal
- value
- engine
- speed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s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30000015556 catabolic process Effects 0.000 abstract 1
- 230000004059 degradation Effects 0.000 abstract 1
- 238000006731 degradation reactions Methods 0.000 abstract 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180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06010057190 Respiratory tract infections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46 fuel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70 constituent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011 modification reaction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59 sustained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14—Control of torque converter lock-up clutch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48/00—External control of clutches
- F16D48/06—Control by electric or electronic means, e.g. of fluid pressur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50—Inputs being a function of the status of the machine, e.g. position of doors or safety belts
- F16H59/56—Inputs being a function of the status of the machine, e.g. position of doors or safety belts dependent on signals from the main clutch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16—Inhibiting or initiating shift during unfavourable conditions, e.g. preventing forward reverse shift at high vehicle speed, preventing engine over speed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3/0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 F16H63/4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comprising signals other than signals for actuating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50—Signals to an engine or moto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0/00—Purposes or special featur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 B60Y2300/42—Control of clutch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0/00—Purposes or special featur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 B60Y2300/43—Control of engin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500/00—External control of clutches by electric or electronic means
- F16D2500/10—System to be controlled
- F16D2500/102—Actuato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500/00—External control of clutches by electric or electronic means
- F16D2500/10—System to be controlled
- F16D2500/104—Clutch
- F16D2500/10406—Clutch position
- F16D2500/10412—Transmission line of a vehicl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500/00—External control of clutches by electric or electronic means
- F16D2500/10—System to be controlled
- F16D2500/11—Application
- F16D2500/1107—Vehicl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500/00—External control of clutches by electric or electronic means
- F16D2500/30—Signal inputs
- F16D2500/306—Signal inputs from the engine
- F16D2500/3061—Engine inlet air flow rat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500/00—External control of clutches by electric or electronic means
- F16D2500/30—Signal inputs
- F16D2500/306—Signal inputs from the engine
- F16D2500/3063—Engine fuel flow rat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500/00—External control of clutches by electric or electronic means
- F16D2500/30—Signal inputs
- F16D2500/306—Signal inputs from the engine
- F16D2500/3067—Speed of the engin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500/00—External control of clutches by electric or electronic means
- F16D2500/30—Signal inputs
- F16D2500/308—Signal inputs from the transmission
- F16D2500/30806—Engaged transmission ratio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500/00—External control of clutches by electric or electronic means
- F16D2500/30—Signal inputs
- F16D2500/308—Signal inputs from the transmission
- F16D2500/3081—Signal inputs from the transmission from the input shaft
- F16D2500/30816—Speed of the input shaft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500/00—External control of clutches by electric or electronic means
- F16D2500/30—Signal inputs
- F16D2500/31—Signal inputs from the vehicle
- F16D2500/3108—Vehicle speed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500/00—External control of clutches by electric or electronic means
- F16D2500/30—Signal inputs
- F16D2500/316—Other signal inputs not covered by the groups above
- F16D2500/3166—Detection of an elapsed period of tim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500/00—External control of clutches by electric or electronic means
- F16D2500/50—Problem to be solved by the control system
- F16D2500/502—Relating the clutch
- F16D2500/50293—Reduction of vibr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500/00—External control of clutches by electric or electronic means
- F16D2500/50—Problem to be solved by the control system
- F16D2500/504—Relating the engine
- F16D2500/5048—Stall preventio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500/00—External control of clutches by electric or electronic means
- F16D2500/70—Details about the implementation of the control system
- F16D2500/704—Output parameters from the control unit; Target parameters to be controlled
- F16D2500/70402—Actuator parameters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댐퍼클러치 제어장치의 제어부에서 잘못된 듀티 지령값 또는 전류 지령값을 표출하는 것을 판단하여 이를 시정함으로써 엔진스톨을 방지할 수 있고, 발진력 감소를 억제할 수 있으며, 소음이나 진동의 발생을 차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댐퍼클러치 제어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엔진스톨(Engine Stall) 즉 엔진 시동꺼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댐퍼클러치의 제어가 잘못된 경우, 이를 판정하고, 시정하기 위한 댐퍼클러치 제어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자동변속기의 가장 큰 결점은 유체를 매개체로 하여 동력을 전달하기 때문에, 수동변속기에 비하여 연비가 나쁘다는 점이다. 자동변속기의 내부손실은 약 70%가 토크컨버터의 유체의 슬립에 의한 손실이며, 약 15%는 구동손실 그리고 나머지 15%는 클러치나 밴드의 미끌림에 의한 손실이다.
댐퍼클러치는 전술한 자동변속기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일정차속 이상이 되면, 토크컨버터의 펌프와 터빈을 기계적으로 직결시켜 슬립에 의한 손실을 최소화하여 연비 절감과 정숙성 향상을 도모하기 위한 장치이다.
댐퍼클러치의 작동영역은 보통 스로틀 밸브의 개도량과 차속에 따라 설정되어 있으며, 저단 및 저속 영역에서 비직결 상태로 제어되어 차량의 발진감을 높이는 반면에 직결 영역에서는 직결 제어되어 동력전달의 효율을 높인다.
한편, 댐퍼클러치에 대한 고장은 통상적으로 댐퍼클러치 제어 솔레노이드밸브(DCCSV)의 전기적인 단선/단락 또는 댐퍼클러치의 기계적인 댐퍼 해제/접속 명령시 해제/접속 불가 등이 있는데,
특히, 후자와 관련하여 댐퍼클러치를 제어하는 댐퍼클러치 제어기에 제어로직이 교체 또는 추가되거나, 작업자가 캘리브레이션을 잘못하는 경우 등에 댐퍼클러치의 직결을 명령하는 듀티 지령값 또는 전류 지령값 등의 제어신호가 오작동되어 표출되는 문제가 있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은 댐퍼클러치의 듀티 또는 전류 지령값이 오작동되어 표출되는 경우 이를 초기화하는 제어로직이 없어서 엔진 시동 직후나 저단 또는 저속 영역에서 댐퍼클러치 직결에 의한 엔진스톨(Engine Stall) 즉, 엔진 시동꺼짐 현상이 발생하거나 의도하지 않은 영역에서 직결로 인하여 발진력이 감소하는 문제가 있으며, 소음, 진동 등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일 측면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댐퍼클러치 제어장치의 제어부에서 잘못된 듀티 지령값 또는 전류 지령값을 표출하는 것을 판단하여 이를 시정함으로써 엔진스톨을 방지할 수 있는 댐퍼클러치 제어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위에 제기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한 엔진시동 직후 엔진스톨(Engine Stall) 방지를 위한 댐퍼클러치 제어방법은 키 온(Key-On)된 이후부터 엔진 크랭킹(Cranking)되기 이전까지로 정의되는 제1 시간영역에서, 댐퍼클러치 제어신호를 감지하고, 감지된 제어신호가 정상인지 판정하는 제1 시간영역 판정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엔진회전수, 차속, 스로틀밸브 개도량, 터빈회전수 및 변속단의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차량 상태정보를 검출하는 차량 상태정보 검출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시간영역에서 감지된 제어신호가 정상인지 판정한 다음, 엔진 크랭킹된 이후 시간에 대하여 정의되는 제2 시간영역에서, 댐퍼클러치 제어신호를 감지하고, 상기 차량의 상태정보를 기반으로 감지된 제어신호가 정상인지 판정하는 제2 시간영역 판정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또는 제2 시간영역 판정단계에서 감지된 제어신호를 비정상으로 판정한 경우 제어신호를 초기화하는 제어신호 초기화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제1 시간영역 판정단계에서는, 감지된 제어신호가 설정값보다 크고, 설정된 시간 동안 지속되는 경우 비정상으로 판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시간영역 판정단계에서는,
1) 감지된 제어신호가 설정값보다 크고 설정된 시간 동안 지속되는 경우 또는 2) 감지된 제어신호가 설정값보다 크고 상기 엔진회전수가 설정값보다 작은 경우 중에서 하나인 경우에 비정상으로 판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시간영역 판정단계에서 상기 변속단이 D단에 있는 경우에는 상기 차속이 설정값보다 작고, 상기 스로틀밸브 개도량이 설정값보다 작으며, 상기 터빈회전수가 설정값보다 작은 경우 비정상으로 판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신호 초기화단계에서 제어신호를 초기화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상기 변속단이 D단에 있는 상태에서, 상기 엔진회전수가 설정값보다 작고, 상기 터빈회전수가 설정값보다 작은 경우 상기 댐퍼클러치를 구동시키는 액추에이터를 오프(Off)시키는 액추에이터 오프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한 엔진시동 직후 엔진스톨(Engine Stall) 방지를 위한 댐퍼클러치 제어장치는 차량 상태정보를 검출하는 차량 상태정보 검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댐퍼클러치를 작동시키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차량 상태정보 검출부 및 상기 액추에이터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되, 키 온(Key-On)된 이후부터 엔진 크랭킹(Cranking)되기 이전에 입력받은 댐퍼클러치를 제어하는 제1 제어신호가 제1 비정상 영역에 있는 경우 상기 제1 제어신호를 초기화 제어하고, 상기 제1 제어신호가 정상인지 판정한 다음, 엔진 크랭킹된 이후에 입력받은 댐퍼클러치를 제어하는 제2 제어신호가 제2 비정상 영역에 있는 경우 상기 제2 제어신호를 초기화 제어하는 댐퍼클러치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제1 비정상 영역은 상기 제1 제어신호가 설정값보다 크고, 설정된 시간 동안 지속되는 경우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차량 상태정보 검출부는,
엔진 구동에 따른 엔진회전수를 검출하는 엔진회전수 검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가속 페달과 연동되어 개폐되는 스로틀밸브의 개도량을 검출하는 스로틀밸브 개도량 검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토크컨버터의 터빈회전수를 검출하는 터빈회전수 검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변속단의 위치를 검출하는 변속단 검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차속을 검출하는 차속 검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제2 비정상 영역은,
1) 상기 제2 제어신호가 설정값보다 크고, 설정된 시간 동안 지속되는 경우 또는
2) 상기 제2 제어신호가 설정값보다 크고, 상기 엔진회전수가 설정값보다 작은 경우 중 어느하나에 해당하거나
3) 상기 변속단이 D단에 있고, 상기 차속이 설정값보다 작으며, 상기 스로틀밸브 개도량이 설정값보다 작고, 상기 터빈회전수가 설정값보다 작은 경우 제2 비정상 영역으로 정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삭제
또한, 상기 댐퍼클러치 제어부는 상기 제2 제어신호가 초기화 제어가 안되는 경우는 상기 액추에이터를 스위치 오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초기화 제어가 안되는 경우는 실시예에 따라서는 상기 변속단이 D단에 있는 상태에서 상기 엔진회전수가 설정값보다 작고, 상기 터빈회전수가 설정값보다 작은 경우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댐퍼클러치 제어장치의 제어부에서 잘못된 듀티 지령값 또는 전류 지령값을 표출하는 것을 판단하여 이를 시정함으로써 엔진스톨(Engine Stall)을 방지할 수 있고, 발진력 감소를 억제할 수 있으며, 소음이나 진동의 발생을 차단할 수 있다.
이외에도, 본 발명의 효과는 실시예에 따라서 우수한 내구성을 가지는 등 다양한 효과를 가지며, 그러한 효과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실시예의 설명 부분에서 명확하게 확인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엔진스톨(Engine Stall) 방지를 위한 댐퍼클러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엔진스톨 방지를 위한 댐퍼클러치 제어로직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엔진스톨 방지를 위한 댐퍼클러치 제어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엔진스톨(Engine Stall) 방지를 위한 댐퍼클러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댐퍼클러치 제어방법은 키 온(Key-On)된 이후부터 엔진 크랭킹(Cranking)되기 이전까지로 정의되는 제1 시간영역에서, 댐퍼클러치 제어신호를 감지하고, 감지된 제어신호가 정상인지 판정하는 제1 시간영역 판정단계(S110);
엔진회전수, 차속, 스로틀밸브 개도량, 터빈회전수 및 변속단의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차량 상태정보를 검출하는 차량 상태정보 검출단계(S120);
엔진 크랭킹된 이후 시간에 대하여 정의되는 제2 시간영역에서, 댐퍼클러치 제어신호를 감지하고, 상기 차량 상태정보를 기반으로 감지된 제어신호가 정상인지 판정하는 제2 시간영역 판정단계(S130); 및
상기 제1 또는 제2 시간영역 판정단계(S110, S130)에서, 감지된 제어신호를 비정상으로 판정한 경우, 제어신호를 초기화하는 제어신호 초기화단계(S1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 시간영역은 엔진 크랭킹(Cranking)되기 이전에 운전자가 차량을 키 온(Key-On)만 한 경우를 의미할 수 있다. 즉, 운전자가 차량에 탑승하여 차량을 키 온한 경우에서 엔진이 크랭킹되기 전까지의 시간 구간으로서, 엔진회전수가 "0"인 구간을 의미할 수 있다.
댐퍼클러치 제어신호는 댐퍼클러치가 직결되도록 댐퍼클러치를 구동시키는 액추에이터 즉 댐퍼클러치 제어 솔레노이드 밸브(DCCSV)에 입력되는 듀티 지령값을 의미할 수 있다.
제1 시간영역은 엔진의 시동 전의 시간 구간으로서 예를 들어, 변속단이 P단 또는 N단에 위치하는 상태이며, 듀티 지령값이 입력되지 않아야 하는 구간이다. 듀티 지령값이 입력되어 댐퍼클러치가 직결되면 엔진이 크랭킹된 직후에 과부하로 엔진스톨 즉 엔진 시동꺼짐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즉, 키 온된 상태이거나 크랭킹되기 전에는 댐퍼클러치는 직결되지 않아야 하는데 댐퍼클러치 제어부가 직결을 명령하는 제어신호를 보내고 있다면 이는 댐퍼클러치 제어부의 고장으로 판정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시간영역에서 듀티 지령값이 생성되지 않도록 해야 하며, 오작동에 의하여 듀티 지령값이 비정상적으로 생성되는 경우에는 이를 판정하여 초기화하는 제어로직을 추가할 필요가 있다.
제1 시간영역에서 감지된 제어신호가 정상인지 비정상인지를 판정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실시예에 따라서 감지된 제어신호 즉 감지된 듀티 지령값이 설정값보다 작거나 설정값보다 크더라도 설정된 시간 동안 지속되지 않는 경우에 듀티 지령값이 정상적인 것으로 판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초기화 제어를 수행하지 않는다.
그러나 감지된 듀티 지령값이 설정값보다 크고, 설정된 시간 동안 지속되는 경우는 듀티 지령값을 비정상적인 것으로 판정할 수 있으며, 이 경우는 듀티 지령값을 "0"으로 초기화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듀티 지령값이 설정값인 80% 보다 작은 70%인 경우에는 정상적인 제어신호로 판정하지만, 90%이고 설정된 시간 예를 들어 5 초 이상 지속되는 경우에는 비정상적인 제어신호로 판정하여 듀티 지령값을 "0"으로 초기화 제어할 수 있다.
제2 시간영역은 엔진 시동후의 시간 구간에서 설정될 수 있다. 이 시간 구간은 엔진이 크랭킹되어 엔진회전수가 "0"보다 큰 구간이며, 이 시간 구간에서 운전자는 변속단을 D단으로 변속할 수 있다. 제2 시간영역은 예를 들어 엔진 시동후 설정된 시간 동안의 시간 구간을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설정된 시간은 차속이 저속이고 변속단이 저단인 상태가 유지되는 동안의 시간 구간을 의미할 수 있다. 즉, 저속, 저단 상태에서도 엔진 시동전과 마찬가지로 댐퍼클러치의 직결이 일어나면 엔진의 과부하로 엔진스톨이 생길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할 필요가 있다.
제2 시간영역에서 감지된 제어신호가 정상인지 비정상인지를 판정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실시예에 따라서 감지된 제어신호 즉 감지된 듀티 지령값이 설정값보다 작거나 설정값보다 크더라도 설정된 시간 동안 지속되지 않는 경우에 듀티 지령값이 정상적인 것으로 판정할 수 있고, 감지된 듀티 지령값이 설정값보다 크고, 설정된 시간 동안 지속되는 경우는 듀티 지령값을 비정상적인 것으로 판정할 수 있다. 즉, 이 판정방법은 제1 시간영역에서의 판정방법과 동일하다.
그러나 제2 시간영역은 엔진 시동 이후이므로 다른 조건을 추가적으로 고려하여 제어신호의 정상 또는 비정상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즉, 1)감지된 제어신호가 설정값보다 크고 설정된 시간 동안 지속되는 경우 또는 2)감지된 제어신호가 설정값보다 크고 상기 엔진회전수가 설정값보다 작은 경우 중에서 하나에 해당되는 경우에 제어신호가 비정상인 것으로 판정할 수 있다.
특히, 제2 시간영역에서 운전자가 변속단을 D단으로 변경한 경우에는 실시예에 따라서 차속이 설정값보다 작고, 스로틀밸브 개도량이 설정값보다 작으며, 터빈회전수가 설정값보다 작은 경우 제어신호를 비정상인 것으로 판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터빈회전수 대신에 엔진회전수와 터빈회전수의 차로 설정되는 댐퍼클러치 슬립량을 고려할 수 있으며,이 슬립량이 설정값보다 작은 경우 댐퍼클러치의 직결로 보아 제어신호를 비정상으로 판정할 수 있다.
한편, 제어신호 초기화단계(S140)에서 제어신호를 초기화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변속단이 D단에 있는 상태에서, 엔진회전수가 설정값보다 작고, 터빈회전수가 설정값보다 작은 경우에는, 댐퍼클러치를 구동시키는 액추에이터를 오프(Off)시키는 액추에이터 오프단계(S150)를 수행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엔진스톨(Engine Stall) 방지를 위한 댐퍼클러치 제어로직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댐퍼클러치 제어로직은 차량의 키 온(S201)된 직후 엔진이 크랭킹(S202)되기 전에 댐퍼클러치(D/C)의 듀티 또는 전류 지령값이 설정값보다 크고, 설정된 시간 동안 지속되는지를 확인하는 제 1시간영역에서의 판정단계(S203)를 거친다. 여기서 키 온(S201)된 직후의 변속단은 P단 또는 N단에 위치할 수 있다.
제 1시간영역에서의 판정단계(S203)에서 듀티 또는 전류 지령값이 설정값보다 작거나, 설정된 시간 동안 지속되지 않으면 댐퍼클러치의 직결이 아닌 것으로 판정하고 기존의 제어로직을 따르는 단계(S204)를 거친다.
그러나 제 1시간영역에서의 판정단계(S203)에서 듀티 또는 전류 지령값이 설정값보다 크고, 설정된 시간 동안 지속되면 댐퍼클러치의 직결로 판정하고 댐퍼클러치의 듀티 또는 전류 지령값을 "0"으로 초기화하는 초기화 제어단계(S205)를 거친다.
또한, 엔진이 크랭킹(S202)된 직후로부터 설정된 시간 동안에는 다음의 세가지 경우에 기초하여 댐퍼클러치의 직결 여부를 판정하는 제 2시간영역에서의 판정단계(S206)를 거친다.
1) 댐퍼클러치의 듀티 또는 전류 지령값이 설정값보다 크고, 엔진회전수가 설정값보다 작은 경우,
2) 댐퍼클러치의 듀티 또는 전류 지령값이 설정값보다 크고, 설정된 시간 동안 지속되는 경우,
3) 변속단이 D단에 있고, 차속이 설정값보다 작으며, 스로틀밸브 개도량이 설정값보다 작고, 터빈회전수가 설정값보다 작은 경우.
제 2시간영역에서의 판정단계(S206)에서 위 세가지 경우 중에서 어느 하나에도 해당하지 않는 경우에는 댐퍼클러치의 직결이 아닌 것으로 판정하고 기존의 제어로직을 따르는 단계(S204)를 거친다.
그러나 제 2시간영역에서의 판정단계(S206)에서 위 세가지 경우 중에서 어느 하나에 해당되면 댐퍼클러치의 직결로 판정하고 댐퍼클러치의 듀티 또는 전류 지령값을 "0"으로 초기화하는 초기화 제어단계(S205)를 거친다.
제 2시간영역에서의 판정단계(S206)와 제 1시간영역에서의 판정단계(S203)에서 각각 참조하는 설정값 및 설정된 시간은 서로 다르게 설정가능하다.
한편, 제 1시간영역에서의 판정단계(S203)와 제 2시간영역에서의 판정단계(S206) 각각에서 이어지는 초기화 제어단계(S205)를 거친 뒤에는 엔진회전수가 설정값보다 작고, 터빈회전수가 설정값보다 작은지를 확인하는 초기화 제어의 페일 확인단계(S207)를 거칠 수 있다.
초기화 제어의 페일 확인단계(S207)에서 엔진회전수가 설정값보다 크거나, 터빈회전수가 설정값보다 크면 초기화 제어가 된 것으로 판정하고 기존의 제어로직을 따르는 단계(S204)를 거친다.
그러나 초기화 제어의 페일 확인단계(S207)에서 엔진회전수가 설정값보다 작고, 터빈회전수가 설정값보다 작으면 초기화 제어가 실패한 것으로 판정하고 솔레노이드밸브의 스위치(FET)를 오프하는 스위치 오프단계(S208)를 거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엔진스톨(Engine Stall) 방지를 위한 댐퍼클러치 제어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댐퍼클러치 제어장치(300)는 차량 상태정보를 검출하는 차량 상태정보 검출부(310); 댐퍼클러치를 작동시키는 액추에이터(330); 및
상기 차량 상태정보 검출부(310) 및 상기 액추에이터(330)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되, 키 온(Key-On)된 이후부터 엔진 크랭킹(Cranking)되기 이전에 입력받은 제1 제어신호가 제1 비정상 영역에 있는 경우 상기 제1 제어신호를 초기화 제어하고, 엔진 크랭킹된 이후에 입력받은 제2 제어신호가 제2 비정상 영역에 있는 경우 상기 제2 제어신호를 초기화 제어하는 댐퍼클러치 제어부(3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제어신호가 제1 비정상 영역에 있다는 것은 제1 제어신호가 설정값보다 크고, 설정된 시간 동안 지속되는 경우를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차량 상태정보 검출부(310)는 실시예에 따라서는 엔진 구동에 따른 엔진회전수를 검출하는 엔진회전수 검출부(311); 가속 페달과 연동되어 개폐되는 스로틀밸브의 개도량을 검출하는 스로틀밸브 개도량 검출부(312); 토크컨버터의 터빈회전수를 검출하는 터빈회전수 검출부(313); 변속단의 위치를 검출하는 변속단 검출부(314); 및 차속을 검출하는 차속 검출부(31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제어신호가 제2 비정상 영역에 있다는 것은 제2 제어신호가 다음의 세가지 경우 중에서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를 의미할 수 있다.
즉, 1) 제2 제어신호가 설정값보다 크고, 설정된 시간 동안 지속되는 경우, 2) 제2 제어신호가 설정값보다 크고, 엔진회전수 검출부(311)로부터 검출된 엔진회전수가 설정값보다 작은 경우 또는 3) 변속단 검출부(314)로부터 검출된 변속단이 D단에 있고, 차속 검출부(315)로부터 검출된 차속이 설정값보다 작으며, 스로틀밸브 개도량 검출부(312)로부터 검출된 스로틀밸브 개도량이 설정값보다 작으며, 터빈회전수 검출부(313)로부터 검출된 터빈회전수가 설정값보다 작은 경우의 세가지 경우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제2 제어신호가 해당되는 경우 제2 제어신호는 제2 비정상 영역에 있다고 판정할 수 있다.
여기서 댐퍼클러치 제어부(320)는 제2 제어신호가 초기화 제어가 안되는 경우 액추에이터(330)를 스위치 오프 제어할 수 있다. 즉 댐퍼클러치 제어 솔레노이드밸브를 스위칭하는 FET를 오프 제어하여, 기계적으로 솔레노이드밸브가 오프된 상태에서 차량이 주행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연비가 낮아질 뿐이며 차량의 주행을 가능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300: 댐퍼클러치 제어장치
310; 차량 상태정보 검출부
311: 엔진회전수 검출부
312: 스로틀밸브 개도량 검출부
313: 터빈회전수 검출부
314: 변속단 검출부
315: 차속 검출부
320: 댐퍼클러치 제어부
330: 액추에이터
Claims (11)
- 키 온(Key-On)된 이후부터 엔진 크랭킹(Cranking)되기 이전까지로 정의되는 제1 시간영역에서, 댐퍼클러치 제어신호를 감지하고, 감지된 제어신호가 정상인지 판정하는 제1 시간영역 판정단계;
엔진회전수, 차속, 스로틀밸브 개도량, 터빈회전수 및 변속단의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차량 상태정보를 검출하는 차량 상태정보 검출단계;
상기 제1 시간영역에서 감지된 제어신호가 정상인지 판정한 다음, 엔진 크랭킹된 이후 시간에 대하여 정의되는 제2 시간영역에서, 댐퍼클러치 제어신호를 감지하고, 상기 차량 상태정보를 기반으로 감지된 제어신호가 정상인지 판정하는 제2 시간영역 판정단계; 및
상기 제1 또는 제2 시간영역 판정단계에서 감지된 제어신호를 비정상으로 판정한 경우 제어신호를 초기화하는 제어신호 초기화단계;
를 포함하는 엔진시동 직후 엔진스톨(Engine Stall) 방지를 위한 댐퍼클러치 제어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간영역 판정단계에서는, 감지된 제어신호가 설정값보다 크고, 설정된 시간 동안 지속되는 경우 비정상으로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스톨 방지를 위한 댐퍼클러치 제어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시간영역 판정단계에서는,
1)감지된 제어신호가 설정값보다 크고 설정된 시간 동안 지속되는 경우 또는
2)감지된 제어신호가 설정값보다 크고 상기 엔진회전수가 설정값보다 작은 경우
중에서 하나인 경우에 비정상으로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스톨 방지를 위한 댐퍼클러치 제어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시간영역 판정단계에서 상기 변속단이 D단에 있는 경우에는 상기 차속이 설정값보다 작고, 상기 스로틀밸브 개도량이 설정값보다 작으며, 상기 터빈회전수가 설정값보다 작은 경우 비정상으로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스톨 방지를 위한 댐퍼클러치 제어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 초기화단계에서 제어신호를 초기화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상기 변속단이 D단에 있는 상태에서, 상기 엔진회전수가 설정값보다 작고, 상기 터빈회전수가 설정값보다 작은 경우 상기 댐퍼클러치를 구동시키는 액추에이터를 오프(Off)시키는 액추에이터 오프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스톨 방지를 위한 댐퍼클러치 제어방법. - 차량 상태정보를 검출하는 차량 상태정보 검출부;
댐퍼클러치를 작동시키는 액추에이터; 및
상기 차량 상태정보 검출부 및 상기 액추에이터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되, 키 온(Key-On)된 이후부터 엔진 크랭킹(Cranking)되기 이전에 입력받은 댐퍼클러치를 제어하는 제1 제어신호가 제1 비정상 영역에 있는 경우 상기 제1 제어신호를 초기화 제어하고, 상기 제1 제어신호가 정상인지 판정한 다음, 엔진 크랭킹된 이후에 입력받은 댐퍼클러치를 제어하는 제2 제어신호가 제2 비정상 영역에 있는 경우 상기 제2 제어신호를 초기화 제어하는 댐퍼클러치 제어부;
를 포함하는 엔진시동 직후 엔진스톨(Engine Stall) 방지를 위한 댐퍼클러치 제어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비정상 영역은 상기 제1 제어신호가 설정값보다 크고, 설정된 시간 동안 지속되는 경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스톨 방지를 위한 댐퍼클러치 제어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상태정보 검출부는
엔진 구동에 따른 엔진회전수를 검출하는 엔진회전수 검출부;
가속 페달과 연동되어 개폐되는 스로틀밸브의 개도량을 검출하는 스로틀밸브 개도량 검출부;
토크컨버터의 터빈회전수를 검출하는 터빈회전수 검출부;
변속단의 위치를 검출하는 변속단 검출부; 및
차속을 검출하는 차속 검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스톨 방지를 위한 댐퍼클러치 제어장치.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비정상 영역은,
1) 상기 제2 제어신호가 설정값보다 크고, 설정된 시간 동안 지속되는 경우 또는
2) 상기 제2 제어신호가 설정값보다 크고, 상기 엔진회전수가 설정값보다 작은 경우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거나
3) 상기 변속단이 D단에 있고, 상기 차속이 설정값보다 작으며, 상기 스로틀밸브 개도량이 설정값보다 작으며, 상기 터빈회전수가 설정값보다 작은 경우 제2 비정상 영역으로 정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스톨 방지를 위한 댐퍼클러치 제어장치.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클러치 제어부는 상기 제2 제어신호가 초기화 제어가 안되는 경우는 상기 액추에이터를 스위치 오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스톨 방지를 위한 댐퍼클러치 제어장치.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화 제어가 안되는 경우는 상기 변속단이 D단에 있는 상태에서 상기 엔진회전수가 설정값보다 작고, 상기 터빈회전수가 설정값보다 작은 경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스톨 방지를 위한 댐퍼클러치 제어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53358A KR101726182B1 (ko) | 2015-11-02 | 2015-11-02 | 엔진스톨 방지를 위한 댐퍼클러치 제어방법 및 그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53358A KR101726182B1 (ko) | 2015-11-02 | 2015-11-02 | 엔진스톨 방지를 위한 댐퍼클러치 제어방법 및 그 장치 |
CN201610943300.2A CN107023592B (zh) | 2015-11-02 | 2016-11-01 | 防止发动机熄火的减振离合器的控制方法及其装置 |
DE102016221498.5A DE102016221498A1 (de) | 2015-11-02 | 2016-11-02 |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Steuerung einer Dämpferkupplung zur Verhinderung von Motorabwürgung |
US15/341,873 US10167909B2 (en) | 2015-11-02 | 2016-11-02 |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damper clutch to prevent engine stall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726182B1 true KR101726182B1 (ko) | 2017-04-12 |
Family
ID=585462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53358A KR101726182B1 (ko) | 2015-11-02 | 2015-11-02 | 엔진스톨 방지를 위한 댐퍼클러치 제어방법 및 그 장치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1) | US10167909B2 (ko) |
KR (1) | KR101726182B1 (ko) |
CN (1) | CN107023592B (ko) |
DE (1) | DE102016221498A1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2176265A (en) * | 1988-12-28 | 1990-07-09 | Aisin Aw Co Ltd | Electronically controlled automatic transmiss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
JPH04236846A (en) * | 1991-01-18 | 1992-08-25 | Nissan Motor Co Ltd | Control device for power transmission mechanism with lockup clutch |
Family Cites Families (1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41573Y2 (ko) | 1981-10-26 | 1989-01-13 | ||
JPH07167288A (ja) | 1993-12-17 | 1995-07-04 | Fuji Heavy Ind Ltd | 自動変速機の制御方法 |
GB9402252D0 (en) * | 1994-02-05 | 1994-03-30 | Automotive Products Plc | Clutch control system |
GB9402729D0 (en) * | 1994-02-12 | 1994-04-06 | Automotive Products Plc | Clutch control system |
GB9402730D0 (en) * | 1994-02-12 | 1994-04-06 | Automotive Products Plc | Clutch control system |
KR200150108Y1 (ko) * | 1996-12-18 | 1999-07-01 | 양재신 | 대차 고정장치 |
KR100427288B1 (ko) | 2002-01-31 | 2004-04-14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댐퍼 클러치 고장 진단방법 |
KR100569077B1 (ko) * | 2003-12-17 | 2006-04-07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자동 변속기의 변속시 감속 직결 제어방법 |
KR100836915B1 (ko) * | 2006-09-14 | 2008-06-11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자동변속기의 댐퍼 클러치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
KR101063668B1 (ko) * | 2009-02-02 | 2011-09-07 |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시스템 주식회사 | 자동차의 제동 제어 시스템 및 방법 |
KR101339234B1 (ko) * | 2011-12-09 | 2013-12-09 |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 댐퍼 클러치 제어 방법 |
US8834320B2 (en) * | 2012-01-11 | 2014-09-16 |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 Hybrid vehicle and control for a clutch engaging event |
CN104246318B (zh) * | 2012-04-23 | 2016-10-05 | 加特可株式会社 | 车辆的起步控制装置及起步控制方法 |
KR20140063199A (ko) * | 2012-11-16 | 2014-05-27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자동변속기 차량의 댐퍼 클러치 제어장치 및 방법 |
JP6111077B2 (ja) * | 2013-01-17 | 2017-04-05 | 株式会社エフ・シー・シー | 動力伝達装置 |
CN203362900U (zh) * | 2013-07-03 | 2013-12-25 | 李英杰 | 手动变速箱的离合器自动控制系统 |
-
2015
- 2015-11-02 KR KR1020150153358A patent/KR101726182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6
- 2016-11-01 CN CN201610943300.2A patent/CN107023592B/zh active IP Right Grant
- 2016-11-02 DE DE102016221498.5A patent/DE102016221498A1/de active Pending
- 2016-11-02 US US15/341,873 patent/US10167909B2/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2176265A (en) * | 1988-12-28 | 1990-07-09 | Aisin Aw Co Ltd | Electronically controlled automatic transmiss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
JPH04236846A (en) * | 1991-01-18 | 1992-08-25 | Nissan Motor Co Ltd | Control device for power transmission mechanism with lockup clutch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7023592A (zh) | 2017-08-08 |
US10167909B2 (en) | 2019-01-01 |
DE102016221498A1 (de) | 2017-05-04 |
US20170122387A1 (en) | 2017-05-04 |
CN107023592B (zh) | 2019-02-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1596086B1 (en) | Clutch torque point learning method and clutch control method | |
US8386138B2 (en) | Fastening pressure control device for starting friction element at time of controlling idle stop of vehicle | |
DE3590104C2 (ko) | ||
KR100328517B1 (ko) | 자동클러치장착자동차 | |
EP2428705B1 (en) | Motor control apparatus/method for electric oil pump | |
JP4459965B2 (ja) | 自動変速機の油温センサ欠陥検出方法 | |
US7617027B2 (en) | System for failure safety control between controllers of hybrid vehicle | |
DE19806996B4 (de) | Elektronisches Drosselsteuerungssystem und -verfahren mit einer Sensorausfallerfassungs- und Sicherheitsfunktion | |
JP4731153B2 (ja) | 自動変速機の制御装置 | |
JP4389748B2 (ja) | エンジンの制御装置 | |
JP5134663B2 (ja) | 変速機のオイル供給装置 | |
US6950736B2 (en) | Shift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of an automatic transmission | |
CN103958316B (zh) | 用于混合动力传动系统的启动策略 | |
US8467947B2 (en) | Method of operating an auxiliary electric pump | |
JP2004225574A (ja) | エンジンの自動停止始動制御装置 | |
JP4400409B2 (ja) | エンジンの制御装置 | |
JP5051007B2 (ja) | 車両駆動系のアイドルストップ解除時制御装置 | |
US6637566B2 (en) | Lock-up control device for torque converter of automatic transmission | |
US6502681B1 (en) | Clutch connection control system | |
US6619259B2 (en) | Electronically controlled throttle control system | |
JP5252171B2 (ja) | 車両用制御装置 | |
US20110319227A1 (en) | Idle stop control device for vehicle | |
US6970776B2 (en) | Communication error detecting method for bus communication network in vehicle | |
JP5437336B2 (ja) | 電動オイルポンプの制御装置 | |
EP2322399B1 (en) | Drive source stop control device for vehicl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