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8576B1 - 파쇄장치가 부설된 공기압을 이용한 건조된 협잡물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파쇄장치가 부설된 공기압을 이용한 건조된 협잡물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8576B1
KR100368576B1 KR10-2000-0018885A KR20000018885A KR100368576B1 KR 100368576 B1 KR100368576 B1 KR 100368576B1 KR 20000018885 A KR20000018885 A KR 20000018885A KR 100368576 B1 KR100368576 B1 KR 1003685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ushing
dry sludge
conveying apparatus
main body
dri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188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95619A (ko
Inventor
윤창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천보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천보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천보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00-00188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68576B1/ko
Publication of KR200100956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56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85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857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3/00Conveying materials in bulk through troughs, pipes or tubes by floating the materials or by flow of gas, liquid or foam
    • B65G53/34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084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sintegrating garbage, waste or sewage
    • B02C18/0092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sintegrating garbage, waste or sewage for waste water or for garb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18Knives; Mounting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24Dr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3/00Conveying materials in bulk through troughs, pipes or tubes by floating the materials or by flow of gas, liquid or foam
    • B65G53/04Conveying materials in bulk pneumatically through pipes or tubes; Air sl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201/00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 B02C2201/06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for garbage, waste or sew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16Pneumatic conveyors
    • B65G2812/1608Pneumatic conveyors for bulk material
    • B65G2812/1616Common means for pneumatic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16Pneumatic conveyors
    • B65G2812/1608Pneumatic conveyors for bulk material
    • B65G2812/1641Air pressure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조된 협잡물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양측에 건조된 협잡물주입부(1a)(1a')가 형성되어있고 상측에 탈취구(1b)가 형성되어있는 원통형상의 외부케이싱(1c)과 상기 외부케이싱(1c)의 상단 중앙부에 설치되어있는 구동모터(1d)에 감속기(1e)가 설치되어있고 파쇄물주입부(1f)가 저부에 형성되어있는 본체(1)와 ;
상기 본체(1)의 감속기(1e)의 연결되어진 샤프트(2a)의 상, 하측에 파쇄용 블레이드(2ba)가 부착된 임펠러(2b)가 각각 설치되어진 파쇄부(2)와 ;
상기, 본체(1)와 파쇄부(2)로 이루어진 파쇄장치(3)의 파쇄물주입부(1f)인 저부가 건조슬러지이송장치(10)의 상부에 형성되어있는 호퍼(11)와 결합되어있다.본 발명은 협잡물이 탈수공정과 건조된 협잡물의 파쇄공정에 의해서 큰 덩어리의 건조된 협잡물을 잘게 분쇄시켜서 건조슬러지 이송공정인 이송장치로 유입되도록 되어있기 때문에 건조슬러지이송장치에 의해서 원활하게 이송할 수 있으며 아울러 악취발생방지 및 작업장이 불결하지 않게 되며, 공기압을 이용한 건조슬러지이송장치의 상단의 호퍼(11)에 파쇄장치의 하단부인 파쇄물주입부(1f)가 직접 플랜지결합하여 설치된 것이므로 본 발명의 장치가 차지하는 점유면적도 적게 차지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파쇄장치가 부설된 공기압을 이용한 건조된 협잡물 이송장치{Drying sludge moving apparatus use of air pressure with crushing device}
본 발명은 건조된 협잡물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협잡물, 탈수케이 크 등 고형화한 슬러지를 소정장소까지 이동시키는 건조슬러지 이송장치에서 크기가 큰 덩어리의 건조된 협잡물을 잘게 분쇄시켜서 건조슬러지 이송장치로 원활하게 주입되도록 구성함으로써 건조된 협잡물이 이송장치에 의해서 원활하게 이송될 수 있도록 한 파쇄장치가 부설된 공기압을 이용한 건조된 협잡물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대 산업사회에서는 쓰레기나 오, 폐수중에 포함되어 있는 슬러지를 탈수시켜서 고형화시킨 폐기물들이 대량으로 발생되고 있음에 따라 폐기물을 처리하는 것이 심각한 문제로 되고 있다 폐기물은 일정한 매립지에 매립하여 처리하고 있지만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는 폐기물 때문에 필요시마다 새로운 매립지를 조성하여야 할 실정이다.
그러나, 매립지 주변의 환경문제와 주민들의 반대로 매립지를 조성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한 방법으로서 상기 폐기물 하치장에 적재시키는 폐기물의 수분을 제거시킨 고형화된 폐기물을 폐기물 하치장에 운반하여 적재시킴으로서 폐기물 양을 최소화하게 되었고, 폐기물의 수분은 탈수장치에 의해서 수분을 제거하고, 수분이 제거된 슬러지를 폐기물운반차에 적재하기 위해서 벨트콘베이어나 스크루콘베이어를 이용하여 건조시킨 폐기물을 이송하는 건조슬러지 이송장치를 이용하였다. 즉, 벨트콘베이어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건조슬러지 이송장치에 의하여 수분을 제거한 슬러지를 벨트콘베이어의 상부에 올려놓게 되면 상기 벨트콘베이어가 운반차의 상부까지 이송되고, 운반차까지 이송된 슬러지는 상기 운반차에 의하여 쓰레기하치장으로 이송된다.
또한, 스크루콘베이어 역시 상기 슬러지를 탈수장치에서 운반차까지 이송하는 것으로 상기 스크루콘베이어는 쓰레기의 수분제거장치에 의하여 고형화 된 슬러지를 스크루에 의하여 슬러지를 밀게되었고, 상기 스크루에 의하여 밀린 슬러지는 계속 밀리게 되어 운반차까지 이송된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슬러지 이송장치는 그 구성이 복잡하고 설치에 어려움이 많았다. 즉, 상기 슬러지 이송장치 중에서 벨트콘베이어는 벨트를 연속으로 운반차의 상부까지 설치하여야 하는 것으로 상기 벨트는 공간이 협소한 장소에 설치하기가 어려웠으며, 상기 벨트의 경사높이가 20°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슬러지가 상승하지 못하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벨트에 의한 운반이기 때문에 벨트에서 상기 벨트의 좌우측으로 탈락되는 슬러지도 발생되었으며, 상기 탈락된 슬러지는 작업장을 불결하게 하였고, 상기 슬러지에서 악취가 발생하게 되어 주변환경을 나쁘게 하는 원인이 되었다.
또한, 스크루콘베이어인 경우에도 상기 스크루를 연속하여 설치하기에는 설치비가 상승하여 장거리인 경우에 적당하지 않은 이송장치였으며, 상기 스크루콘베이어도 45°를 초과하는 높이에서는 오히려 슬러지가 상승되지 못하고 낙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출원인이 공기압을 이용한 건조슬러지 이송장치(실용신안등록 제 156098 호)를 안출 하였는바, 상기 건조슬러지이송장치(10)는 도1에 도시한 바와같이, 호퍼(11)의 하부에 밀폐유지부 (12)를 주변에 구비한 밸브(13)를 구비하고, 건조슬러지보관부(14)의 소정부위에 상기 건조슬러지보관부(14)의 벽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공기압을 투입시키는 공기통로(17)를 형성하며, 상기 건조슬러지보관부(14)의 하부에 이송통로를 좁아지게 한 벤투리부(15)를 출구에 형성하며, 상기 벤투리부(15)에 외측으로 연결되도록 관형상의 이송통로(16)가 구성되어있고 건조슬러지보관부(14)의 하측에 구성한 보강부(18)의 외측에 지지부(19)를 구성함으로써 고형화한 슬러지를 운반차까지 높은 공기압에 의하여 이송하여 장거리 이송시에 저렴하게 이송이 가능하고 자유자재로 이송통로를 설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이송장치는 협잡물을 제외한 건조된 슬러지는 호퍼(11)를 통하여 건조슬러지 보관부(14)로 이송이 가능하나 탈수장치에 의해서 탈수된 종이, 비닐, 손수건, 옷조각등으로 되어있는 건조된 협잡물은 상기 탈수장치의 출구를 통하여 배출되면서 부풀어올라서 협잡물의 부피가 커지게 되기 때문에 호퍼의 저부를 통과할 수 없게 되어 건조된 협잡물을 원활하게 이송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종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안출한 것으로서, 큰 덩어리의 건조된 협잡물을 잘게 분쇄하여 줌으로써 협잡물이 원활하게 건조슬러지 이송장치의 호퍼를 통과하여 이송될 수 있도록 한 파쇄장치를 부설한 공기압을 이용한 건조된 협잡물 이송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파쇄장치를 부설한 공기압을 이용한 건조된 협잡물 이송장치는 외부케이싱내에 파쇄부인 임펠러가 설치된 파쇄장치가 건조된 협잡물 이송장치의 상단의 호퍼에 설치되어서 큰덩어리의 탈수, 건조된 협잡물을 잘게 파쇄하여 이송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건조슬러지 이송장치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파쇄장치가 부설된 공기압을 이용한 건조된 협잡물 이송장치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파쇄장치의 일부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파쇄장치의 횡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a : 건조된 협잡물주입부 1a' : 건조된 협잡물주입부
1b : 탈취구 1c : 외부케이싱
1d : 구동모터 1e : 감속기
1f : 파쇄물 주입부 1 : 본체
2a : 샤프트 2ba : 파쇄용 블레이드
2b : 임펠러 2 : 파쇄부
3 : 파쇄장치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파쇄장치가 부설된 공기압을 이용한 건조된 협잡물 이송장치는 도2내지 도4에서와 같이, 호퍼(11)의 하부에 밀폐유지부(12)를 주변에 구비한 밸브(13)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건조슬러지 보관부(14)의 소정부위에 공기통로(17)를 형성하며, 건조슬러지보관부(14)의 하부에 벤투리부(15)가 출구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벤투리부(15)에 외측으로 연결되도록 이송통로(16)가 구성되어 있고, 건조슬러지보관부(14)의 하측에 구성한 보강부(18)의 외측에 지지부(19)가 구성되어 있는 건조슬러지 이송장치(10)에 있어서,
양측에 건조된 협잡물 주입부(1a)(1a')가 전, 후측부에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측에 탈취구(1b)가 형성되어 있는 원통형상의 외부케이싱(1c)과 상기 외부케이싱 (1c)의 상단 중앙부에 설치되어 있는 구동모터(1d)에 감속기(1e)가 설치되어 있으며 파쇄물 주입부(1f)가 저부에 형성되어 있는 본체(1)와;
상기 본체(1)의 감속기(1e)의 축과 연결되어진 샤프트(2a)의 상, 하측에 파쇄용 블레이드(2ba)가 부착된 임펠러(2b)가 각각 설치되어진 파쇄부(2)와 ;
상기, 본체(1)와 파쇄부(2)로 이루어진 파쇄장치(3)의 파쇄물주입부(1f)인 저부가 건조슬러지이송장치(10)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호퍼(11)와 결합되어 있다.
다음에 본 발명에 따른 건조된 협잡물 이송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탈수장치에 의한 탈수공정에 의해서 탈수, 건조하여 배출되어진 건조된 협잡물을 건조슬러지 이송장치에 의한 건조슬러지 이송공정에서의 공기압에 의해서 건조슬러지를 이송하는 건조슬러지 이송방법에 있어서,
상기 탈수공정에 의해서 배출된 건조된 협잡물이 파쇄장치(3)의 양측 건조된 협잡물 주입부(1a)(1a')로 주입되게 하고 파쇄부(2)에서 잘게 파쇄되게한 후 하측의 파쇄물주입부(1f)를 통하여 배출되게 하는 파쇄공정에 의해서 파쇄된 파쇄물이 호퍼(11)로 주입되어서 이송공정에서의 공기압에 의해서 이송되어진다. 도면중 1g는 카플링, 1h는 베어링이다.
상기한 바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파쇄장치가 부설된 공기압을 이용한 건조된 협잡물 이송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파쇄장치(3)는 공기압을 이용한 건조슬러지 이송장치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감속기(1e)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파쇄용 블레이드(2ba)가 부착된 임펠라(2b)를 회전시켜 건조슬러지이송장치(10)의 호퍼(11)를 통과하기 어려운 조대한 크기의 협잡물 덩어리들을 잘게 분쇄시켜주며 분쇄된 협잡물들은 호퍼(11)를 통하여 원활하게 건조슬러지이송장치(10)의 내부에 유입되어 폐기물 운반차의 상부까지 이송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으로서,
탈수장치에 의해서 고형화 된 덩어리인 건조된 협잡물이 파쇄장치(3)의 양측 건조된 협잡물 주입부(1a)(1a')로 주입되면 파쇄장치(3)의 구동모터(1d)의 회전력에 의해서 회전하는 임펠라(2b)에 의해서 파쇄용 블레이드(2ba)가 큰 덩어리의 협잡물을 잘게 분쇄시켜서 호퍼(11)를 통하여 건조슬러지이송장치(10) 내로 유입되게 되고, 건조슬러지이송장치(10) 내로 유입되어진 잘게 분쇄된 협잡물은 컴프레서(미도시)에 의해서 발생된 공기압에 의해서 하부의 벤투리부(15) 및 이송통로(16)를 통하여 폐기물 운반차까지 이송하여 적재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협잡물이 탈수공정과 건조된 협잡물의 파쇄공정에 의해서 큰 덩어리의 건조된 협잡물을 잘게 분쇄시켜서 건조슬러지 이송공정인 이송장치로 유입되도록 되어있기 때문에 건조슬러지이송장치에 의해서 원활하게 이송할 수 있으며 아울러 악취발생방지 및 작업장이 불결하지 않게 되며, 공기압을 이용한 건조슬러지이송장치의 상단의 호퍼(11)에 파쇄장치의 하단부인 파쇄물주입부(1f)가 직접 플랜지결합하여 설치된 것이므로 본 발명의 장치가 차지하는 점유면적도 적게 차지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호피(11)의 하부에 밀폐유지부(12)를 주변에 구비한 밸브(13)가 구비되어있고 건조슬러지보관부(14)의 소정부위에 공기통로(17)를 형성하며, 건조슬러지보관부(14)의 하측 출구에 벤투리부(15)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벤투리부(15)에 외측으로 연결되도록 이송통로(16)가 구성되어 있는 건조슬러지 이송장치(10)에 있어서,
    양측에 건조된 협잡물 주입부(1a)(1a')가 형성되어있고 상측에 탈취구(1b)가 형성되어있는 원통형상의 외부케이싱(1c)과 상기 외부케이싱(1c)의 상단 중앙부에 설치되어있는 구동모터(1d)에 감속기(1e)가 설치되어있고 파쇄물주입부(1f)가 저부에 형성되어있는 본체(1)와 ;
    상기 본체(1)의 감속기(1e)의 연결되어진 샤프트(2a)의 상, 하측에 파쇄용 블레이드(2ba)가 부착된 임펠러(2b)가 각각 설치되어진 파쇄부(2)와 ;
    상기, 본체(1)와 파쇄부(2)로 이루어진 파쇄장치(3)의 파쇄물주입부(1f)인 저부가 건조슬러지이송장치(10)의 상부에 형성되어있는 호퍼(11)와 결합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쇄장치가 부설된 공기압을 이용한 건조된 협잡물 이송장치.
  2. 삭제
KR10-2000-0018885A 2000-04-11 2000-04-11 파쇄장치가 부설된 공기압을 이용한 건조된 협잡물 이송장치 KR1003685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8885A KR100368576B1 (ko) 2000-04-11 2000-04-11 파쇄장치가 부설된 공기압을 이용한 건조된 협잡물 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8885A KR100368576B1 (ko) 2000-04-11 2000-04-11 파쇄장치가 부설된 공기압을 이용한 건조된 협잡물 이송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5619A KR20010095619A (ko) 2001-11-07
KR100368576B1 true KR100368576B1 (ko) 2003-01-24

Family

ID=196633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8885A KR100368576B1 (ko) 2000-04-11 2000-04-11 파쇄장치가 부설된 공기압을 이용한 건조된 협잡물 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6857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2859B1 (ko) * 2008-09-11 2009-02-10 (주)에스앤씨 슬러지 이송 장치
KR200468173Y1 (ko) * 2013-06-25 2013-07-29 (주)에스앤씨 슬러지의 소각효율이 향상된 슬러지 처리 장치
CN104555437A (zh) * 2013-10-20 2015-04-29 宁夏嘉翔自控技术有限公司 一种大豆的气力输送系统
CN115283101A (zh) * 2022-08-26 2022-11-04 浙江物产环能浦江热电有限公司 一种用于污泥处理的具备双向输送功能的分料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86597A (en) * 1978-12-25 1980-06-30 Kurimoto Iron Works Ltd Sludge kneader
JPH078999A (ja) * 1993-06-29 1995-01-13 Hokuetsu Kogyo Co Ltd 汚泥乾燥装置
KR20000001804A (ko) * 1998-06-10 2000-01-15 김덕수 상,하수용 슬러지 처리장치
KR20000012169A (ko) * 1999-02-25 2000-03-06 김수희 슬러지건조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86597A (en) * 1978-12-25 1980-06-30 Kurimoto Iron Works Ltd Sludge kneader
JPH078999A (ja) * 1993-06-29 1995-01-13 Hokuetsu Kogyo Co Ltd 汚泥乾燥装置
KR20000001804A (ko) * 1998-06-10 2000-01-15 김덕수 상,하수용 슬러지 처리장치
KR20000012169A (ko) * 1999-02-25 2000-03-06 김수희 슬러지건조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5619A (ko) 2001-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6729B1 (ko) 음식물 및 야채 쓰레기 처리 시스템
KR100267141B1 (ko) 음식물 쓰레기의 건조 처리 방법 및 장치
KR100368576B1 (ko) 파쇄장치가 부설된 공기압을 이용한 건조된 협잡물 이송장치
KR100287790B1 (ko) 일반 폐기물을 이용한 고형 연료 제조 시스템
KR101146230B1 (ko) 스크린드럼형 음식물쓰레기의 수분조절장치
KR100300265B1 (ko) 음식물쓰레기의처리장치
KR970061794A (ko) 음식물쓰레기 및 분뇨를 퇴비화시키는 처리시스템
KR200383029Y1 (ko) 폐 오일필터 파쇄 분리장치
KR200228972Y1 (ko) 파쇄정량이송장치가 부설된 공기압을 이용한 탈수된협잡물 이송장치
KR100671955B1 (ko) 고온 열풍건조 선별 장치
KR0172570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0196970B1 (ko) 음식물 쓰레기 전처리 장치 및 그 방법
KR100418691B1 (ko) 음식물 쓰레기를 이용한 난방연료 제작방법
KR200324158Y1 (ko) 슬러지 건조장치
KR200351606Y1 (ko) 파쇄장치가 부설된 공기압을 이용한 탈수된 협잡물이송장치
JP2002018851A (ja) 移動式プラスチック類処理プラント
KR20050095969A (ko) 폐 오일필터 파쇄 분리장치
KR100403796B1 (ko) 협잡물 종합처리이송방법
KR0185120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용 자동차의 진공건조장치
JP4137291B2 (ja) 汚染物質が付着した粒状体の処理方法
KR102642031B1 (ko) 음식물 쓰레기 재활용 건조장치
KR20020089598A (ko) 폐 합성수지의 분쇄 및 분리장치
KR100465813B1 (ko) 소각열을 이용하는 슬러지 처리장치를 구비한 폐기물처리시스템
KR100453878B1 (ko) 음식물 쓰레기를 이용한 숯 제작장치 및 방법
KR950007903Y1 (ko) 쓰레기 소각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5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6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7

Year of fee payment: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