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2169A - 슬러지건조시스템 - Google Patents

슬러지건조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2169A
KR20000012169A KR1019990007621A KR19990007621A KR20000012169A KR 20000012169 A KR20000012169 A KR 20000012169A KR 1019990007621 A KR1019990007621 A KR 1019990007621A KR 19990007621 A KR19990007621 A KR 19990007621A KR 20000012169 A KR20000012169 A KR 200000121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udge
hot air
crushing
cylindrical body
s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76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91313B1 (ko
Inventor
최택권
Original Assignee
김수희
주식회사 한틀산업
최택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수희, 주식회사 한틀산업, 최택권 filed Critical 김수희
Priority to KR10199900076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91313B1/ko
Publication of KR200000121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21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13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131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3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he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heating
    • C02F1/0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heating by distillation or evapo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heating
    • C02F1/0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heating by distillation or evaporation
    • C02F1/1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heating by distillation or evaporation using waste heat from other proc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00Preliminary treatment of solid materials or objects to facilitate drying, e.g. mixing or backmixing the materials to be dried with predominantly dry solids
    • F26B1/005Preliminary treatment of solid materials or objects to facilitate drying, e.g. mixing or backmixing the materials to be dried with predominantly dry solids by means of disintegrating, e.g. crushing, shredding, milling the materials to be dri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3/00Heating arrangements
    • F26B23/001Heating arrangements using waste hea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26Reducing the size of particles, liquid droplets or bubbles, e.g. by crushing, grinding, spraying, creation of microbubbles or nanobubb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20Sludge processing

Abstract

본 발명은, 일정량의 수분이 함유된 상태로 투입된 슬러지를 공급하기 위한 슬러지 공급수단과, 슬러지 공급수단에 의해 공급된 슬러지를 적어도 두단계 이상을 거치면서 낙하되도록 하여 초기 투입된 상태보다 적은 크기로 슬러지를 파쇄하기 위한 다단계 슬러지 파쇄수단과, 다단계 슬러지 파쇄수단을 통과한 파쇄 슬러지를 이송시켜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슬러지 배출수단과, 외부 열원으로부터 발생된 열풍을 적어도 두 개 이상 분기하여 다단계 슬러지 파쇄수단 및 슬러지 배출수단으로 유입시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열풍에 의해 다단계 슬러지 파쇄수단 및 슬러지 배출수단에 존재하는 슬러지로부터 수분을 증발시키기 위한 수분 증발수단과, 다단계 슬러지 파쇄수단 및 슬러지 배출수단을 통해 배출되는 열풍으로부터의 악취를 제거하기 위한 탈취수단과, 다단계 슬러지 파쇄수단 및 슬러지 배출수단으로부터 배출되는 열풍을 탈취수단측으로 강제 이송하기 위한 열풍 강제 이송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슬러지 건조 시스템 {SLUDGE DRYNESS SYSTEM}
본 발명은 슬러지 건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슬러지의 소각시에 사용되는 소각로에서 발생되는 열풍을 이용하여 다단계로 파쇄되어 이송되는 슬러지로부터 수분을 다단계로 증발시켜 건조시키며, 슬러지의 건조시에 발생되는 악취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하며, 건조 및 파쇄된 슬러지를 다시 소각로의 연료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슬러지 건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들어, 하수, 폐수 종말, 축산 및 분뇨 등의 처리 시설은 인구 증가, 산업 시설 증대등으로 인해 계속적으로 증설되는 상황으로써, 전술한 처리 시설에서 발생되는 슬러지(sludg)로 인해 환경 문제 측면에서 생기는 여러 가지 악영향중 슬러지를 어떻게 처리해야 할 지에 대한 것이 큰 관건으로 대두되었다.
이에, 슬러지의 처리 행태로 대부분은 육상 매립을 하거나 해양 투기를 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슬러지를 처리함에 따라 매립지 부족의 결과 및 더 나아가 슬러지에 함유된 중금속 등으로 인해 환경 오염을 유발하게 되는 문제로 인해, 향후로부터는 법적으로 매립 또는 투기를 행할 수 없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슬러지의 처리 행태를 변경하여 소각이라는 대체 방안을 적극적으로 모색하고 있다.
전술한 방법으로 슬러지를 소각하기 위해서 필수적으로 겸비해야할 조건으로, 슬러지를 건조시킨 상태에서 소각을 실시해야 한다.
여기서, 슬러지를 건조시킨다는 것은 슬러지의 수분 함량을 최소로 줄인다는 것을 의미한다.
슬러지의 수분 함량을 줄이기 위해 현재 가장 많이 보편화된것으로, 기계적 또는 물리적인 방법을 이용하여 함수를 80% 내지 90%로 탈수시킨 후에 소각을 실시하고 있다.
그런데, 소각전에 슬러지가 완전히 건조된 상태를 만들어 주어야 하나, 현재로는 탈수를 이용한 방법으로는 수분 함량을 거의 0%로 줄일수 없어, 결국에는 소각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슬러지를 소각하기 전에 소정의 건조장치를 이용하여 건조를 행한후 소각을 실시하고 있다.
전술한 건조장치는, 별도로 마련된 열원, 예를 들면, 버어너 등에서 발생되는 열풍으로 슬러지가 건조되도록 하고 있으며, 건조시 슬러지에 건조 약품을 혼합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 방식에 따르면, 슬러지의 건조에 필요한 열풍을 발생시키는 수단이 버어너등 경유등의 연료를 이용하기 때문에, 이를 가동시키는데 연료의 소모량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슬러지의 건조시에 건조장치의 외부로 슬러지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여과없이 배출하기 때문에, 환경적인 측면에서 악영향을 낳게 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슬러지의 소각시에 사용되는 소각로에서 발생되는 열풍을 이용하여 다단계로 파쇄되어 이송되는 슬러지로부터 수분을 다단계로 증발시켜 슬러지를 건조시키며, 슬러지의 건조시에 발생되는 악취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하며, 건조 및 파쇄된 슬러지를 다시 소각로의 연료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슬러지 건조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슬러지 건조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슬러지 공급수단 2 : 다단계 슬러지 파쇄수단
3 : 슬러지 배출수단 4 : 수분 증발수단
5 : 탈취수단 6 : 열풍 강제 이송수단
21a : 제 1 슬러지 파쇄수단 21b : 제 2 슬러지 파쇄수단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슬러지 건조 시스템은, 일정량의 수분이 함유된 상태로 투입된 슬러지를 공급하기 위한 슬러지 공급수단과; 슬러지 공급수단에 의해 공급된 슬러지를 적어도 두단계 이상을 거치면서 낙하되도록 하여 초기 투입된 상태보다 적은 크기로 슬러지를 파쇄하기 위한 다단계 슬러지 파쇄수단과; 다단계 슬러지 파쇄수단을 통과한 파쇄 슬러지를 이송시켜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슬러지 배출수단과; 외부 열원으로부터 발생된 열풍을 적어도 두 개 이상 분기하여 다단계 슬러지 파쇄수단 및 슬러지 배출수단으로 유입시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열풍에 의해 다단계 슬러지 파쇄수단 및 슬러지 배출수단에 존재하는 슬러지로부터 수분을 증발시키기 위한 수분 증발수단과; 다단계 슬러지 파쇄수단 및 슬러지 배출수단을 통해 배출되는 열풍으로부터의 악취를 제거하기 위한 탈취수단과; 다단계 슬러지 파쇄수단 및 슬러지 배출수단으로부터 배출되는 열풍을 탈취수단측으로 강제 이송하기 위한 열풍 강제 이송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슬러지 건조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슬러지 건조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슬러지 건조 시스템은, 일정량의 수분이 함유된 상태로 투입된 슬러지를 공급하기 위한 슬러지 공급수단(1)과, 이 슬러지 공급수단(1)에 의해 공급된 슬러지를 적어도 두단계 이상을 거치면서 낙하되도록 하여 초기 투입된 상태보다 적은 크기로 슬러지를 파쇄하기 위한 다단계 슬러지 파쇄수단(2)과, 이 다단계 슬러지 파쇄수단(2)을 통과한 파쇄 슬러지를 이송시켜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슬러지 배출수단(3)과, 외부 열원으로부터 발생된 열풍을 적어도 두 개 이상 분기하여 다단계 슬러지 파쇄수단(2) 및 슬러지 배출수단(3)으로 유입시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열풍에 의해 다단계 슬러지 파쇄수단(2) 및 슬러지 배출수단(3)에 존재하는 슬러지로부터 수분을 증발시키기 위한 수분 증발수단(4)과, 다단계 슬러지 파쇄수단(2) 및 슬러지 배출수단(3)을 통해 배출되는 열풍으로부터의 악취를 제거하기 위한 탈취수단(5)과, 다단계 슬러지 파쇄수단(2) 및 슬러지 배출수단(3)으로부터 배출되는 열풍을 탈취수단(5)측으로 강제 이송하기 위한 열풍 강제 이송수단(6)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슬러지 공급수단(1)은, 지면으로 소정 높이의 지점에 별도로 구비된 지지체(미도시)에 설치되는 것으로, 일측부로 슬러지(11)를 투입할 수 있도록 형성된 호퍼(12a)가 구비됨과 동시에 타측부에 투입된 슬러지가 배출되도록 형성된 배출구(12b)로 이루어진 원통체(12)와, 이 원통체(12)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슬러지를 배출구(12b)측으로 이송시키는 이송 스크류(미도시)와, 상기 이송 스크류를 회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모터(13)로 구성된다.
상기 다단계 슬러지 파쇄수단(2)은, 원통체(12)의 배출구(12b)에 상단부가 연통되도록 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 수직으로 설치되는 소정 직경의 원통형 본체(21)와, 원통체(12)의 배출구(12b)로부터 배출되면서 낙하되는 슬러지를 초기 투입된 상태보다 적은 크기로 1차 파쇄할 수 있도록 이 원통형 본체(21) 상측 내부에 배치되는 제 1 슬러지 파쇄수단(21a)과, 제 1 슬러지 파쇄수단(21a)에 의해 1차 파쇄된 슬러지를 낙하시켜 제 1 슬러지 파쇄수단(21a)에서 파쇄된 크기보다 적은 크기로 2차 파쇄할 수 있도록 원통형 본체(21) 하측 내부에 배치되는 제 2 슬러지 파쇄수단(21b)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원통형 본체(21)의 내부에서 낙하되는 슬러지가 두단계의 슬러지 파쇄수단(21a,21b)을 거치면서 파쇄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두단계 이상을 거치면서 슬러지가 파쇄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다단계의 슬러지 파쇄수단(2)을 거치면서 파쇄되는 슬러지의 최종 파쇄 상태는 초기 투입된 상태보다 현저하게 적은 크기로 파쇄되어, 최종적으로는 소각에 소요되는 시간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 제 1 슬러지 파쇄수단(21a)은, 도면상에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원통형 본체(21)의 상부측의 내부에 회전축(22)을 수직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회전축(22)의 외주면에 소정 각도로 트위스트된 형상으로 설치된 블레이드(미도시)를 상하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되게 설치함으로, 상기 회전축(22)의 회전시 슬러지는 상기 블레이드 사이를 낙하면서 지나갈 때, 최초 투입된 상태보다 적은 크기로 파쇄된다.
여기서, 제 1 슬러지 파쇄수단(21a)의 상기 블레이드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은 통상적으로 회전축(22)의 상단에 종동 풀리(23)를 설치하고, 별도의 구동모터(24)를 원통형 본체(21)의 상부측에 고정 설치하여 이 구동모터(24)의 모터축에 고정 설치된 구동 풀리(25)와 상기 종동 풀리(23)를 상호 벨트(미도시)로 연결 설치하여 구성한다.
제 2 슬러지 파쇄수단(21b)은, 제 1 슬러지 파쇄수단(21a)의 구성과 동일하게 구성되는 바, 더 상세하게는 원통형 본체(21)의 하부에 고정 설치되는 구동 모터(24')와, 이 구동 모터(24')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원통형 본체(21)의 하부측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22')와, 회전축(22')의 내주면에 고정 설치되어 원통형 본체(21)의 내부에서 회전되는 블레이드(미도시)로 구성된다.
슬러지 배출수단(3)은, 제 2 슬러지 파쇄수단(21a)에 의해 최초 투입된 슬러지보다 적은 크기로 파쇄된 슬러지가 자연 낙하되도록 원통형 본체(21)의 하부측에 슬러지 배출구를 형성하고, 이 슬러지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슬러지를 집수하는 집수통(미도시)을 구비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수분 증발수단(4)은, 외부 열원, 바람직하게는 열풍 가열기(41)와 다단계 슬러지 파쇄수단(2)을 구성하는 원통형 본체(21) 사이에 열풍 유입 덕트(42)를 연결 설치하여 이 열풍 유입 덕트(42)를 통해 열풍 가열기(41)로부터 발생되는 소정 온도 이상의 열풍이 원통형 본체(21)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이다.
상기 열풍 유입 덕트(42)는 원통형 본체(21)의 하부측에 연결 설치되고, 원통형 본체(21)의 상부측에는 열풍이 배출 가능하도록 열풍 배출 덕트(43)가 설치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원통형 본체(21)의 내부에 수직으로 적어도 두 개 이상 배치 설치되는 다단계 슬러지 파쇄수단(2)에 의해 파쇄된 슬러지에 함유된 수분은 원통형 본체(21)의 내부로 유입된 열풍과의 열교환 작용에 의해 증발되는 것이다.
여기서, 도면상에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원통형 본체(21)의 하부측에만 열풍 유입 덕트(42)를 설치하지 않고, 이 열풍 유입 덕트(42)로부터 다수개의 보조 열풍 유입 덕트를 원통형 통체에 분기 설치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열풍 가열기(41)는, 바람직하게 파쇄된 슬러지를 소각하기 위한 소각로를 이용할 수 있는 바, 이 소각로와 원통형 본체(21)를 상호 열풍 유입 덕트(42)로 연결 설치한다.
상기 탈취장치(5)는 다단계 슬러지 파쇄수단(2)을 구성하는 원통형 본체(21)의 열풍 배출 덕트(43)로부터 배출되는 열풍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제거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탈취장치(5)를 설치하여야 하는 이유는 슬러지의 종류에 관계가 있는 것으로, 예를 들면, 슬러지의 종류가 음식물 쓰레기, 축산 분뇨등인 경우에 심하게 악취를 발생시키게 됨으로, 이를 제거하기 위함이다.
원통형 본체(21)의 열풍 배출 덕트(43)와 탈취장치(5) 사이에는 열풍 강제 이송수단(6)이 구비되는 바, 이 열풍 강제 이송수단(6)은 열풍을 강제 배기하기 위한 배기 송풍기(61)와, 이 송풍기(61)의 일측에 상기 열풍 배출 덕트(43)가 연장되어 연결 설치하여서 된 제 1 연결 덕트(62)와, 송풍기(61)의 타측에 탈취장치(5)와 연결 설치하여서된 제 2 연결 덕트(63)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슬러지 건조 시스템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탈수장치(미도시)에 의해 수분 함량을 90%정도 탈수시킨 슬러지를 슬러지 공급수단(1)을 구성하는 호퍼(12a)에 투입한다. 호퍼(12a)에 투입된 슬러지는 구동 모터(13)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이송 스크류에 의해 원통체(12)의 내부에 이송되며, 원통체(12)의 내부에서 이송된 슬러지는 원통체(12)의 배출구(12b)에서 배출되어 원통체 본체(21)의 상부측 내부로 낙하되면서 유입된다.
이때, 제 1 슬러지 파쇄수단(21a)을 구성하는 구동모터(24)의 구동력이 구동 풀리(25), 벨트 및 종동 풀리(23)로 이루어진 동력전단수단에 의해 전달되어 회전축(22)을 회전시키게 되면, 이 회전축(22)이 회전함에 따라 회전축에 설치된 블레이드도 회전하게 된다.
한편, 원통형 본체(21)의 상부측 내부로 낙하 유입된 슬러지는 고속 회전되고 있는 상태의 블레이드에 의해 파쇄되면서 원통형 본체(21)의 하부측으로 낙하된다.
여기서, 제 1 슬러지 파쇄수단(21a)에 의해 파쇄된 슬러지의 크기는 초기 호퍼(12a)에 투입된 슬러지의 크기보다 소정 크기로 잘게 파쇄된 것이다.
이후, 슬러지는 원통형 본체(21)의 하부로 계속 낙하되어 제 2 슬러지 파쇄수단(21b)에 의해 제 1 슬러지 파쇄수단(21a)에서 파쇄된 크기보다 더욱 적은 크기로 파쇄된다.
제 2 슬러지 파쇄수단(21b)에 의해 파쇄된 슬러지는 원통형 본체(21)의 하부에 마련된 슬러지 배출구(3)를 통해 원통형 본체(21)의 외부로 완전하게 배출된다.
한편, 슬러지가 제 1, 제 2 슬러지 파쇄수단(21a,21b)에 의해 파쇄되는 과정에서, 외부에서 원통형 본체(21)의 내부로 열풍을 유입시킨다.
이 열풍이 유입되는 과정을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먼저, 열풍 가열기(41)에서 생성된 열풍은 열풍 유입 덕트(42)를 통해 원통형 통체()의 하부측으로 유입된다. 이때, 열풍 강제 이송수단(6)을 구성하는 배기 송풍기(61)의 작동에 의해 원통형 본체(21)의 하부측으로 유입된 열풍은 원통형 본체(21)의 상부측으로 강제로 소정의 속도로 상승 이동하면서 원통형 본체(21)의 상부측에 설치된 열풍 배출 덕트(43)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원통형 본체(21)의 내부로 이동되는 열풍의 이동 속도는 배기 송풍기(61)의 송풍 능력에 따라 좌우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원통형 본체(21)의 내부로 열풍이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제 1, 제 2 슬러지 파쇄수단(21a,21b)에 의해 파쇄되는 슬러지로부터 수분이 증발되는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원통형 본체(21)의 내부에서 상승 이동된 열풍에 의해 제 1 슬러지 파쇄수단(21a)에 의해 파쇄된 슬러지와 열풍은 상호 열교환 작용이 일어나게 되는데, 제 1 슬러지 파쇄수단(21a)에서 1차적으로 슬러지에서 수분이 증발되어 결과적으로 슬러지의 1차 건조가 진행되는 것이다.
1차 건조된 슬러지는 원통형 본체(21)의 하부측으로 낙하되면서 슬러지의 이동 방향과 역으로 이동하는 열풍에 의해 지속적으로 건조되면서, 원통형 본체(21)의 하부측에 설치된 제 2 슬러지 파쇄수단(21b)에 최종적으로 파쇄된다.
이때, 제 2 슬러지 파쇄수단(21b)에서는 슬러지가 일부분 건조된 상태이기 때문에 슬러지의 파쇄도 더욱 잘 이루어지게 되며, 건조 효과도 증가된다.
건조 효과가 증가되는 근본적인 이유는, 최초로 원통형 본체(21)의 내부로 최초로 유입되는 시점의 열풍의 온도가 가장 높기 때문이며, 이 지점이 제 2 슬러지 파쇄수단(21b)이 위치한 지점에 근접하여 있기 때문이다.
여기서, 제 2 슬러지 파쇄수단(21b)을 통과한 슬러지는 초기 호퍼(12a)에 투입될 상태보다 그 크기가 현저하게 작은 크기로 파쇄된 상태이며, 이 슬러지는 원통형 본체(21)의 슬러지 배출구에서 배출후 곧바로 소각을 할 수 있을 정도로 수분 함량이 현저하게 낮은 상태이다.
한편, 원통형 본체(21)의 상부측에 설치된 열풍 배출 덕트(43)에는 슬러지의 수분 증발에 소모되어 초기 열풍 유입 덕트(42)를 통해 유입될 당시 온도보다 현저하게 감소된 열풍과 배기 송풍기(61)의 송풍력에 의해 슬러지로부터 발생된 악취등이 함께 배출되어 제 1 연결 덕트(62), 배기 송풍기(61) 및 제 2 연결 덕트(63)를 통해 탈취수단(5)을 거치게 된다.
탈취수단(5)을 거치면서 열풍속에 섞인 악취는 탈취되며, 외부로 온도가 감소된 열풍만이 배출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슬러지 배출수단(3)의 구성으로 원통형 본체(21)의 하부측에 슬러지 배출구를 형성하고, 이 슬러지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슬러지를 집수하는 집수통을 구비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 슬러지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슬러지, 즉, 건조된 슬러지를 재 건조시킬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그 구성을 설명하면, 원통형 본체(21)의 하부측에 마련된 슬러지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슬러지가 투입되어 배출되도록 원통 형상으로된 소정 길이의 통체(7)와, 이 통체(7)의 내부에 배치되는 이송 스크류(미도시)와, 통체(7)의 외측에 고정 설치되는 구동 모터(71)와, 이 구동 모터(71)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이송 스크류가 회전될 수 있도록 구동 풀리(72), 벨트 및 종동 풀리(73)등으로 이루어진 동력전달수단과, 통체(7)의 슬러지 배출구에서 배출되는 슬러지를 소정 거리 이송시키는 컨베이어 벨트(8)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상기 컨베이어 벨트(8)는 미도시된 구동모터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구동롤러(81)의 회전에 의해 슬러지를 이송시키게 된다.
컨베이어 벨트(8), 구동롤러(81) 및 구동모터의 어셈블리는 소정 크기를 갖는 하우징(82)의 내부에 설치된다.
상기 하우징(82)에는 상기 통체(7)의 슬러지 배출구에서 배출되는 슬러지가 투입될 수 있도록 슬러지 투입구(82a)와, 이 슬러지 투입구(82a)를 통해 투입된 슬러지가 컨베이어 벨트(8)에 의해 이송된 후 하우징(82)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슬러지 배출구(82b)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82)의 일측에는 전술한 수분 증발수단(4)을 구성하는 열풍 가열기(41)의 열풍 유입 덕트(42)로부터 분기된 분기 덕트(9)가 연결 설치되고, 하우징(82)의 타측에는 전술한 열풍 강제 이송수단(6)을 구성하는 제 1 덕트(62)와 연결 설치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열풍 가열기(41)의 열풍은 열풍 유입 덕트(42)와 분기 덕트(9)를 통해 하우징(82)의 내부를 순환하면서 컨베이어 벨트(8)상에서 이동되는 슬러지와 열교환되어 슬러지의 수분을 대부분 증발시키는 작용을 한다. 슬러지의 수분 증발에 소모된 열풍은 하우징(82)의 내부로부터 배출되어 제 1 덕트(62)를 통해 배기 송풍기(61) 및 제 2 덕트(63)로 유입된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82)의 내부로 순환되는 열풍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해 하우징의 내부가 외부로부터 밀폐되도록 하우징(82)의 슬러지 투입구(82a)와 통체(7)의 슬러지 배출구는 기밀이 유지되도록 결합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열풍 가열기(41)로부터 발생된 열풍이 열풍 강제 이송수단(6)에 의해 원통형 본체(21)를 통과한 후에 탈취수단(5)으로 이송되도록 구성하였으나, 열풍 강제 이송수단(6)을 구성하는 배기 송풍기(61)와 탈취수단(5)을 연결하는 제 2 덕트(63)로부터 열풍 순환 덕트(10)를 분기하여 열풍 가열기(41)에 연결되도록 설치할 수 도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열풍 가열기(41)에서 발생되는 열풍의 일부를 재활용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슬러지 건조 시스템에 따르면, 첫째로, 슬러지의 소각시에 사용되는 소각로에서 발생되는 폐열의 열풍을 이용하여 다단계로 파쇄되어 이송되는 슬러지로부터 수분을 다단계로 증발시켜 소각에 필요한 함수율이 현저하게 낮게 슬러지를 건조시키게 된다. 둘째로, 슬러지의 건조시에 발생되는 악취를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셋째로, 건조 및 파쇄된 슬러지를 다시 소각로에서 열풍의 연료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Claims (2)

  1. 일정량의 수분이 함유된 상태로 투입된 슬러지를 공급하기 위한 슬러지 공급수단과;
    상기 슬러지 공급수단에 의해 공급된 슬러지를 적어도 두단계 이상을 거치면서 낙하되도록 하여 초기 투입된 상태보다 적은 크기로 슬러지를 파쇄하기 위한 다단계 슬러지 파쇄수단과;
    상기 다단계 슬러지 파쇄수단을 통과한 파쇄 슬러지를 이송시켜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슬러지 배출수단과;
    외부 열원으로부터 발생된 열풍을 적어도 두 개 이상 분기하여 상기 다단계 슬러지 파쇄수단 및 상기 슬러지 배출수단으로 유입시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열풍에 의해 상기 다단계 슬러지 파쇄수단 및 상기 슬러지 배출수단에 존재하는 슬러지로부터 수분을 증발시키기 위한 수분 증발수단과;
    상기 다단계 슬러지 파쇄수단 및 상기 슬러지 배출수단을 통해 배출되는 열풍으로부터의 악취를 제거하기 위한 탈취수단과;
    상기 다단계 슬러지 파쇄수단 및 상기 슬러지 배출수단으로부터 배출되는 열풍을 상기 탈취수단측으로 강제 이송하기 위한 열풍 강제 이송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 건조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풍 강제 이송수단에 의해 강제 이송되는 열풍의 일부를 상기 열원으로 순환되도록 하는 열풍 순환 수단을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 건조 시스템.
KR1019990007621A 1999-02-25 1999-02-25 슬러지 건조 시스템 KR1002913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7621A KR100291313B1 (ko) 1999-02-25 1999-02-25 슬러지 건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7621A KR100291313B1 (ko) 1999-02-25 1999-02-25 슬러지 건조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2169A true KR20000012169A (ko) 2000-03-06
KR100291313B1 KR100291313B1 (ko) 2001-05-15

Family

ID=195758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7621A KR100291313B1 (ko) 1999-02-25 1999-02-25 슬러지 건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91313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8576B1 (ko) * 2000-04-11 2003-01-24 주식회사 천보엔지니어링 파쇄장치가 부설된 공기압을 이용한 건조된 협잡물 이송장치
KR20030072873A (ko) * 2002-03-07 2003-09-19 주식회사한틀 유기성폐기물 건조시스템
KR100725747B1 (ko) * 2005-12-22 2007-06-08 김기태 슬러지의 탈수 건조 장치
KR101046492B1 (ko) * 2010-06-30 2011-07-04 원남희 오니 건조 장치
KR101698888B1 (ko) 2016-10-26 2017-01-24 (주)베스띠지 구이용 숯불 직화 그릴 버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1731B1 (ko) * 2017-08-19 2019-09-16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 슬러지 탈수 및 건조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8576B1 (ko) * 2000-04-11 2003-01-24 주식회사 천보엔지니어링 파쇄장치가 부설된 공기압을 이용한 건조된 협잡물 이송장치
KR20030072873A (ko) * 2002-03-07 2003-09-19 주식회사한틀 유기성폐기물 건조시스템
KR100725747B1 (ko) * 2005-12-22 2007-06-08 김기태 슬러지의 탈수 건조 장치
KR101046492B1 (ko) * 2010-06-30 2011-07-04 원남희 오니 건조 장치
WO2012002744A2 (ko) * 2010-06-30 2012-01-05 비노텍 주식회사 오니 건조 장치
WO2012002744A3 (ko) * 2010-06-30 2012-05-18 비노텍 주식회사 오니 건조 장치
KR101698888B1 (ko) 2016-10-26 2017-01-24 (주)베스띠지 구이용 숯불 직화 그릴 버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91313B1 (ko) 2001-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36985B1 (ko) 나선 축류식 열풍 건조기
KR101634233B1 (ko) 슬러지 감량화를 위한 하수처리 시스템
KR100267141B1 (ko) 음식물 쓰레기의 건조 처리 방법 및 장치
WO2002049973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rying and incineration of sewage sludge
KR101729994B1 (ko) 열매체를 이용한 저온 슬러지 건조장치 및 그 건조방법
KR0177364B1 (ko) 유.무기성 슬러지의 건조방법 및 그 장치
KR101210376B1 (ko) 하수슬러지 또는 음식물류폐기물 등과 같은 유기성 폐기물 처리를 위한 모듈형 건조장치
KR100291313B1 (ko) 슬러지 건조 시스템
WO201620310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sludge
KR100481946B1 (ko) 슬러지 처리장치
KR100289070B1 (ko) 유기성 폐기물 건조차량
KR100409230B1 (ko) 음식물쓰레기 초고속 유동 건조 및 발효장치
KR200280671Y1 (ko) 쓰레기소각로에 연계된 폐기물 건조장치
KR100923032B1 (ko) 유기성 폐기물의 처리시스템
KR200226144Y1 (ko) 소각로의 폐기물 건조 및 소각장치
KR20010000285A (ko) 열풍분사식 해쇄형 건조기 및 건조시스템
KR20030072873A (ko) 유기성폐기물 건조시스템
KR200224611Y1 (ko) 슬러지 건조시스템의 파쇄장치
KR200320823Y1 (ko) 슬러지 건조장치
KR20020043513A (ko)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다단형 슬러지 건조장치
KR100312678B1 (ko) 오니의파쇄식건조장치
KR20030054134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0331477B1 (ko) 음식 폐기물 열풍 건조기
KR200224610Y1 (ko) 슬러지 건조시스템의 파쇄장치
KR200396777Y1 (ko) 폐기물 건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30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