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8067B1 - 방적기용링의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방적기용링의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8067B1
KR100368067B1 KR1019970030704A KR19970030704A KR100368067B1 KR 100368067 B1 KR100368067 B1 KR 100368067B1 KR 1019970030704 A KR1019970030704 A KR 1019970030704A KR 19970030704 A KR19970030704 A KR 19970030704A KR 100368067 B1 KR100368067 B1 KR 1003680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forming
flange
mandrel
shaped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307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32205A (ko
Inventor
히로아키 카나이
키요히데 야규
아키라 마루타
코우지 사사하라
쯔기오 시오미
Original Assignee
카나이 주우요오고오교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8307209A external-priority patent/JP297596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8357013A external-priority patent/JP2975964B2/ja
Application filed by 카나이 주우요오고오교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카나이 주우요오고오교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199800322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22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80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80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HSPINNING OR TWISTING
    • D01H7/00Spinning or twisting arrangements
    • D01H7/02Spinning or twisting arrangements for imparting permanent twist
    • D01H7/52Ring-and-traveller arrangements
    • D01H7/60Rings or travellers; Manufacture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leaning means for ring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HSPINNING OR TWISTING
    • D01H7/00Spinning or twisting arrangements
    • D01H7/02Spinning or twisting arrangements for imparting permanent twist
    • D01H7/52Ring-and-traveller arrangements
    • D01H7/60Rings or travellers; Manufacture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leaning means for rings
    • D01H7/602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HMAKING PARTICULAR METAL OBJECTS BY ROLLING, e.g. SCREWS, WHEELS, RINGS, BARRELS, BALLS
    • B21H1/00Making articles shaped as bodies of revolution
    • B21H1/06Making articles shaped as bodies of revolution rings of restricted axial length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995Shaping one-piece blank by removing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Forging (AREA)
  • Shaping Metal By Deep-Drawing, Or The Like (AREA)
  • Spinning Or Twisting Of Yarns (AREA)

Abstract

강제(鋼製)의 링 모양의 소재를 맨드릴(mandrel)과 성형롤에 끼워 눌러, 냉간 롤링(cold rolling)에 의해 눌러 변형시켜, 상기 성형롤 및 맨드릴의 양가공면의 사이에 그 소재를 유동적으로 채워, 가공면 사이에서 두께 방향으로 압연하여 직경을 넓혀 소정치수로 가공하여, 방적기용 링으로 한다. 또, 깨어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바람직하게는, 가공량이 큰 부분을 미리 단조, 선삭, 롤링가공 등의 가공수단에 의해 얇게 한 링 모양의 소재를 사용한다. 이 제조방법에서는, 본질적으로 재료의 제거를 하지 않기 때문에, 재료수율이 좋고, 제조공정이 적기 때문에, 제조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또, 이렇게 하여 제조한 방적기용 링은, 제품표면의 특히 트래블러(traveller)와 접촉하는 플랜지(flange) 내주면(內周面)에 홈이나 선삭금이 나지 않기 때문에, 트래블러의 내마모성이 향상하며, 또 트래블러 슬라이딩 면에 금속흐름(metal flow)의 절단부가 나오는 일이 없기 때문에 링의 내피로성이 향상한다.

Description

방적기용 링의 제조방법{Production Method of a Spinning Ring for a Ring Spinning Machine}
본 발명은, 정방기(精紡機), 연사기(撚系機) 등의 방적기에 사용되는 방적기용 링의 플랜지부(flange portion), 넥부(neck portion), 중간플랜지부(support flange portion) 및 감입부(嵌入部)를 냉간 롤링(cold rolling)에 의해 일체로 형성하는 방적기용 링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방적기용 링, 특히 단일 플랜지 형태(single flange type)의 방적기용 링의 제조방법으로서는, 종래 다음의 (a-1)∼(a-6)의 공정으로 만들어지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a-1) 소재로서 표면담금질강 또는 고탄소크롬 베어링강의 파이프재 혹은 환봉(丸棒)을 사용하여, 그 소재를 절단 혹은 열간단조하여 제11도에 119로 나타내는 것과 같은 원통상(圓筒狀)의 블랭크재(blank material)를 형성한다(블랭크재 형성공정).
(a-2) 상기 블랭크재를 선반에 의해 선삭가공(旋削加工)하여 제11도에 118로 나타내는 것과 같은 소정의 형상의 방적기용 링을 형성한다(선삭공정).
(a-3) 상기 소정의 형상으로 형성한 링(118)에 담금질, 뜨임 등의 열처리를 한다(열처리 공정).
(a-4) 이어, 상기 열처리가 행하여진 링(118)의 표면을 배럴연마(barrel polishing) 등에 와해 연마한다(연마공정).
(a-5) 또, 필요에 따라, 링(118)의 적어도 링 플랜지의 표면에 도금, 코팅 등의 표면처리를 한다(표면처리 공정).
(a-6) 최후의 검사를 거쳐 제품으로서의 방적기용 링(118)을 얻는다.
또, 양쪽 플랜지 형태(double flange type)의 방적기용 링의 제조방법으로서는, 종래, 다음의 (b-1)∼(b-6)의 공정으로 만들어지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b-1) 소재로서 표면담금질강 또는 고탄소크롬 베어링강의 파이프재 혹은 환봉(丸棒)을 사용하여, 그 소재를 절단 혹은 열간단조하여 제12도에 212로 나타내는 것과 같은 원통상(圓筒狀)의 블랭크재를 형성한다(블랭크재 형성공정).
(b-2) 상기 블랭크재를 선반에 의해 선삭가공(旋削加工)하여 제12도에 213으로 나타내는 것과 같은 소정의 형상의 방적기용 링을 형성한다(선삭공정).
(b-3) 소정의 형상으로 형성한 링(213)에 담금질, 뜨임 등의 열처리를 한다(열처리 공정).
(b-4) 이어, 상기 열처리가 행하여진 링(213)의 표면을 배럴연마 등에 의해 연마한다(연마공정).
(b-5) 또, 필요에 따라, 링(213)의 적어도 링 플랜지의 표면에 도금, 코팅 등의 표면처리를 한다(표면처리 공정).
(b-6) 최후의 검사를 거쳐 제품으로서의 방적기용 링(213)을 얻는다.
이들의 종래의 방적기용 링의 제조방법에서는, 상기 (a-1)∼(a-6)의 공정으로 되는 단일 플랜지 형태의 방적기용 링의 제조방법의 경우는, 파이프재 혹은 환봉에서 제11도에 119로 나타내는 것과 같은 원통상의 블랭크재를 형성하여, 이 블랭크재를 선삭가공하여 제11도에 118로 나타내는 것과 같은 소정형상의 방적기용 링을 형성하기 때문에, 블랭크재(119)는, 그 단면 형상이 적어도 방적기용 링(118)의 단면형상을 포함하는 크기로 하지 않으면 안되며, 그 때문에, 블랭크재(119)의 중량은 방적기용 링(118)의 중량의 약 5배∼10배가 되며, 재료 수율이 대단히 나쁘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 상기(b-1)∼(b-6)의 공정으로 되는 종래의 양쪽 플랜지 형태의 방적기용 링의 제조방법의 경우는, 파이프재 혹은 환봉에서 제12도에 212로 나타내는 것과 같은 원통상의 블랭크재를 형성하여, 이 블랭크재를 선삭가공하여 제12도에 213으로 나타내는 것과 같은 소정형상의 방적기용 링을 형성하기 때문에, 블랭크재(212)는, 역시, 그 단면 형상이 적어도 방적기용 링(213)의 단면형상을 포함하는 크기로 하지 않으면 안되며, 그 때문에, 블랭크재(212)의 중량은 방적기용 링(213)의 중량의 약 4배∼6배가 되며, 역시 재료 수율이 대단히 나쁘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 이들 종래의 제조방법에서는, 특히 환봉을 열간단조하여 원통상의 블랭크재(119) 혹은 원통상의 블랭크재(212)를 형성하는 경우, 환봉을 소정의 길이로 절단하고, 이어 열간단조에 의해 소정의 원통상으로 형성하여, 그 후, 가공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구상화 소둔하여 블랭크재(119) 혹은 블랭크재(212)의 조직을 구상화시켜, 또, 열간단조시에 발생한 탄화 스케일을 제거하기 위해 숏 블라스트(shot blast)를 하여 표면의 흑피를 제거한다고 하는 각 공정을 거쳐 블랭크재(119) 혹은 블랭크재(212)를 형성함으로, 블랭크재(119) 혹은 블랭크재(212)의 제조비용이 대단히 높게 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 이들 종래의 제조방법에서는, 상기 단일 플랜지 형태의 방적기용 링의 제조방법의 경우는, 블랭크재(119)를 선반에 의해 선삭가공할 때, 예를 들면, 우선, 블랭크재(119)의 한쪽 단부를 잡고, 그 상태에서, 블랭크재(119)의 다른 쪽의 단부 외주면(外周面)을 선삭하여 링의 감입부를 형성하며, 또, 블랭크재(119)의 내주부(內周部)를 선삭하여 링의 안쪽 몸통부를 형성하고, 그 후, 블랭크재(119)를 바꾸어 잡고, 블랭크재(119)의 다른 쪽의 단부를 잡은 상태에서, 플랜지부, 넥부, 중간플랜지부라고 한 블랭크재(119)의 다른 부분을 선삭하여 방적기용 링(119)을 형성하는 것이기 때문에, 방적기용 링(118)의 형성에 적어도 2공정이 필요하며, 공정이 번잡하게 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 상기 양쪽 플랜지 형태의 방적기용 링의 제조방법의 경우는, 블랭크재(212)를 선반에 의해 선삭가공할 때, 예를 들면, 먼저, 블랭크재(212)의 한쪽 단부를 잡고, 그 상태에서 블랭크재(212)의 한쪽 끝의 외주면 및 내주면을 선삭하여, 링의 한쪽 끝의 플랜지부 및 몸통부를 선삭, 절삭등에 의해 다듬질 할 때의 다듬질 자국을 남긴 형상으로 하고, 그 후, 블랭크재(212)를 바꾸어 잡고 그 블랭크재(212)의 다른 쪽의 단부를 잡고, 그 상태에서 블랭크재(212)의 타단측의 외주면 및 내주면을 선삭하여, 링의 타단측의 플랜지부 및 몸통부를 다듬질할 때의 다듬질 자국을 남긴 형상으로하여 전체로서 대략 I자 모양으로 형성하는 거친가공을 하고, 이어서, 이와 같이 하여 대략 I자 모양으로 형성한 블랭크재의 한쪽의 단부를 잡고, 링의 플랜지부 및 몸통부를 연삭하여, 이어 블랭크재를 바꾸어 쥐고 다른 쪽의 플랜지부 및 몸통부를 선삭하여 방적기용 링(213)을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방적기용 링(213)의 형성에 적어도 4공정이 필요하여, 역시 공정이 번잡하게 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 이들 종래의 제조방법에서는, 제품이 되는 부분의 외주면을 잡기때문에 잡는 부위에 홈이 생겨, 플랜지부에 선삭금이 들어가, 그들의 홈이나 선삭금을 후공정에서 제거할 수 없는 경우가 있으며, 그러한 홈이나 선삭금이 트래블러(traveller)의 마찰에 영향을 준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 이들의 제조방법에서는, 선삭가공에 의해 블랭크재(119) 혹은 블랭크재(212)의 금속흐름(metal flow)이 절단되며, 그 금속흐름의 절단부가 플랜지부의 표면(트래블러 슬라이딩면)에 나오기 때문에, 내피로성이 저하하여, 방적기용 링의 수명이 짧게 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방적기용 링의 제조에 있어서, 재료 수율을 좋게 하고, 또 제조공정을 적게 하여, 제조비용을 저감하며, 또 제품표면에 홈이나 연삭금이 나지 않토록 하여 트래블러의 내마모성을 향상시키고, 또, 적어도 플랜지부의 트래블러 슬라이딩면에 금속흐름의 절단부가 나오지 않도록 하여 링의 내피로성을 향상시켜, 수명을 길게 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단일 플랜지 형태(single flange type)의 방적기용 링의 제조방법에 사용되는 냉간 롤링(cold rolling) 가공장치의 한 예를 나타내는 주요부 개략구성도
제2도는 제1도의 장치를 사용하는 방적기용 링의 제조에 사용되는 각종 링 모양의 소재의 단면도
제3도는 제1도의 장치를 사용하는 제조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단일 플랜지 형태의 방적기용 링의 일부 파단 단면도
제4도는 제1도의 장치에 링 모양의 소재를 배치한 가공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주요부 구성도
제5도는 제4도의 상태에서 냉간 롤링 가공을 하여, 가공이 완료한 상태를 나타내는 주요부 확대도
제6도는 본 발명에 의한 양쪽 플랜지 형태(double flange type)의 방적기용 링의 제조방법에 사용되는 냉간 롤링 가공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주요부 개략구성도
제7도는 제6도의 장치를 사용하는 방적기용 링의 제조에 사용되는 각종 링모양의 소재의 단면도
제8도는 제6도의 장치를 사용하는 제조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양쪽 플랜지 형태의 방적기용 링의 일부 파단 단면도
제9도는 제6도의 장치에 링 모양의 소재를 배치한 가공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주요부 구성도
제10도는 제9도의 상태에서 냉간 롤링 가공을 하여, 가공이 완료한 상태를 나타내는 주요부 확대도
제11도는 종래의 단일 플랜지 형태의 방적기용 링과 그 블랭크재(blank material)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일부 파단 단면도
제12도는 종래의 양쪽 플랜지 형태의 방적기용 링과 그 블랭크재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일부 파단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강제(鋼製)의 링 모양 소재를 맨드릴(mandrel)과 성형롤에 끼워 눌러서, 냉간 롤링에 의해 상기 링 모양 소재의 내주면 및 외주면을 각각 눌러 변형시켜, 플랜지부를 구비한 소정형상의 링체(體)로 성형가공하는 방적기용 링의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성형롤, 외주에, 상기 링체의 축방향 양단 및 외주부분에 대응하는 가공면을 구비하며,
또 상기 맨드릴이 외주에, 상기 링체의 내주부분에 대응하는 가공면을 구비하고,
상기 링모양의 소재를 상기 맨드릴과 상기 성형롤에 끼워 누르므로써, 그 링 모양의 소재를 눌러 변형시켜, 상기 성형롤 외주의 가공면과 상기 맨드릴 외주의 가공면과의 사이에 유동적으로 채워(fluidize in and fill), 상기 링체의 각부를 형성하며, 그때, 그들 가공면간에서 그 링 모양의 소재를 두께 방향으로 압연함으로써 직경을 확대시켜 상기 링체의 각부를 소정치수로 가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적기용 링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상기 방적기용 링의 제조방법은, 단일 플랜지 형태의 방적기용 링의 제조에 적용할 수가 있으며, 그 경우에는, 예를들면, 상기 성형롤을 그 외주면의 축방향 양쪽에 1쌍의 주벽(周壁)을 구비하여, 한쪽의 주벽에 연속하여 플랜지부 형성용 홈을 구비하고, 그 플랜지부 형성용 홈에 연속하여 넥부 형성용 돌출부(protuberance)를 구비하고, 그 넥부 형성용 돌출부에 연속하여 중간플랜지부 형성용 홈을 구비하며, 또, 그 중간플랜지부 형성용 홈에 연속하여 감입부 형성용 주면(周面)을 구비한 것으로 한다. 또, 상기 맨드릴을, 상기 플랜지부 형성용 홈과 함께 움직이는 플랜지부 형성용 홈과, 상기 넥부 형성용 돌출부와 함께 움직이는 넥부 형성용 단차부와, 상기 중간플랜지부 형성용 홈과 함께 움직이는 중간플랜지부 형성용 돌출부와, 상기 갑입부 형성용 주면과 함께 움직이는 감입부 형성용 단차부를 구비한 것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링 모양의 소재를 상기 맨드릴과 상기 성형롤에 끼워 누르므로써, 당초, 상기 맨드릴의 중간플랜지부 형성용 돌출부에 의해 상기 링 모양의 소재를 내주면 쪽에서 눌러 변형시켜 그 링 모양의 소재를 상기 성형롤의 중간플랜지부 형성용 홈과의 사이에 유동적으로 채워 중간플랜지부를 성형하고, 계속하여 상기 중간플랜지부 형성용 홈에의 유동적으로 채움과 거의 동시에, 상기 성형롤의 넥부 형성용 돌출부에 의하여 상기 링 모양의 소재를 외주면 쪽에서 눌러 변형시켜 그 링 모양의 소재를 상기 맨드릴의 넥부 형성용 단차부와의 사이에 유동적으로 채워 넥부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성형롤의 플랜지부 형성용 홈과 상기 맨드릴의 플랜지부 형성용 홈에 의해 상기 링 모양의 소재의 한쪽의 측단부를 끼워 눌러 그 측단부를 양쪽의 홈간에 유동적으로 채워 플랜지부를 성형하며, 또 대략 동시에, 상기 성형롤의 감입부 형성용 주면과 상기 맨드릴의 감입부 형성용 단차부에 의하여 상기 링 모양의 소재의 다른 쪽의 측단부를 끼워 눌러 그 측단부를 이들 주면과 단차부와의 사이에 유동적으로 채워 감입부를 성형한다. 그리고, 그때, 상기 링 모양의 소재를 두께 방향으로 압연함으로써 직경을 확대시켜, 상기 플랜지부, 넥부, 중간플랜지부 및 감입부를 소정치수로 가공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상기 방적기용 링의 제조방법은, 또, 양쪽 플랜지 형태의 방적기용 링의 제조에 적용할 수 있으며, 그 경우에는, 예를 들면, 상기 성형롤을 그 외주면의 축방향 양측에 각각 플랜지 바깥 단면 형성용 주벽(周壁)을 구비함과 등시에, 그들 각 플랜지 바깥 단면 형성용 주벽(周壁)에 연속하여 내측에 각각 플랜지부 형성용 홈을 구비하고, 그들 플랜지부 형성용 홈간에 그 성형롤의 상기 각 플랜지 바깥 단면 형성용 주벽(周壁)의 축방향 외측으로 연속하는 양측 단부의 외경보다 작은 외경을 가진 몸통부 형성용 주면을 구비한 것으로 한다. 또, 상기 맨드릴을, 그 외주면의 축방향 양측에 상기 성형롤의 각 플랜지부 형성용 홈과 함께 움직이는 플랜지부 형성용 홈을 구비함과 동시에, 그들 플랜지부 형성용 홈간에 그 맨드릴의 상기 각 플랜지부 형성용 홈의 축방향 외측에 연속하는 양측 단부의 외경보다 큰 외경을 가진 몸통부 형성용 주면을 구비한 것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링 모양의 소재를 상기 맨드릴과 상기 성형롤에 끼워 누르므로써, 당초, 상기 맨드릴의 상기 플랜지부 형성용 홈과 상기 성형롤의 플랜지부 형성용 홈으로 상기 링 모양의 소재를 눌러 변형시켜, 그 링 모양의 소재를 양 플랜지부 형성용 홈간에 유동적으로 채워 플랜지부를 성형하고, 이어서, 상기 양 플랜지부 형성용 홈간에의 유동적인 채움과 거의 동시에, 상기 맨드릴의 상기 몸통부 형성용 주면으로 상기 링 모양의 소재를 눌러 변형시켜, 그 링 모양의 소재를 양 몸통부 형성용 홈간 및 상기 양 몸통부 형성용 주면 사이에 유동적으로 채워 몸통부를 성형한다. 그리고, 그때, 상기 양 플랜지부 형성용 홈간 및 상기 양 몸통부 형성용 주면 사이에서 상기 링 모양의 소재를 두께 방향으로 압연함으로써 확경시켜 상기 플랜지부 및 상기 몸통부를 소정 치수로 가공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강제의 링 모양의 소재로서는, 바람직하게는, 미리 소둔한, 적어도 표면의 경도가 Hv 180∼Hv 250의 소둔재를 사용한다. 소둔재의 표면경도가 Hv 180- Hv 250일 때, 연성이 좋고, 연신율과 심가공성(deep drawability)이 최적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와 같은 냉간 롤링 가공에 의해 소재의 직경에 대하여 직경을 넓혀 방적기용 링을 제조하며, 본질적으로 재료의 제거를 하지 않기 때문에, 재료 수율이 좋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제조공정이 적어도 되고, 제조시의 작업 시간이 줄며, 제조비용 저감에 크게 공헌할 수가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방적기용 링은 본질적으로 선삭이 행하여지지 않기 때문에, 제품표면의 특히 트래블러와 접촉하는 플랜지 내주면에 홈이나 선삭금이 나지 않고, 트래블러의 내마모성이 향상하며, 또 본질적으로 링 플랜지부의 금속흐름이 절단되는 일 없이 연속하여 형성되기 때문에, 트래블러 슬라이딩면에 금속흐름의 절단부가 나오는 일은 없고, 따라서, 링의 내피로성이 향상하여, 수명이 길게 된다.
또, 방적기용 링의 각부의 가공량에 차가 너무 많으면, 각부의 원주방향의 늘어남에 차가 생겨, 플랜지부가 깨어진다든지, 혹은 플랜지부와 다른 부분과의 사이의 접속부에 깨어짐에 생긴다든지, 파단되는 일이 있다. 그래서, 그와 같이 각부의 가공량의 차가 큰 경우는, 제강의 링 모양의 소재로서, 미리 단조, 선삭, 롤링가공 등의 가공수단에 의해, 단일 플랜지 형태의 경우의 상기 넥부에 상당하는 부분을 다른 부위보다 얇게 한 소재, 혹은 양쪽 플랜지 형태의 경우의 상기 몸통부에 상당하는 부분을 플랜지부에 상당하는 부분보다 얇게 한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유효하며, 그렇게 함으로써 깨어짐을 방지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예를 들면, 단일 플랜지 형태의 경우는, 바람직하게는, 강제의 링 모양의 소재로서, 미리 단조, 선삭, 롤링 가공 등의 가공수단에 의해, 예를 들면, 넥부에 상당하는 부분을 다른 부위보다 얇게 한 소재를 사용한다. 또, 양쪽 플랜지 형태의 경우는, 바람직하게는, 강제의 링 모양 소재로서, 미리 단조, 선삭, 롤링가공 등의 가공수단에 의해, 예를 들면, 몸통부에 상당하는 부분을, 플랜지부에 상당하는 부분보다 얇게 한 소재를 사용한다. 또, 다른 제강의 링 모양의 소재를 사용할 수도 있으며, 예를 들면, 단일 플랜지 형태의 경우는, 외경이 방적기용 링의 중간플랜지경의 50%∼70%, 두께가 방적기용 링의 플랜지폭의 1.1배∼2.0배, 높이가 방적기용 링의 전높이의 0.8배∼1.5배의 소재를 사용하여도 된다. 이와같은 성형가공에 있어서는, 소재 외경이 최대 직경이 되지만, 확관율, 즉 소재 직경과 성형 후의 직경의 비가 너무 크면(50%보다 적으면), 중간플랜지부에 균열이 생기기 쉬우며, 너무 작으면(70%보다 크면), 제품의 형상으로 성형되지 않고 가공이 종료될 것이다. 또한, 소재의 두께가 방적기용 링의 플랜지 폭보다 얇으면, 방적기용 링의 플랜지부를 성형하는 소재가 맨드릴과 성형롤 사이에 성형된 형의 형상으로 연결되지 않고, 소정의 형상으로 성형될 수 없다. 만일, 소재의 두께가 방적기용 링의 플랜지 폭보다 너무 두꺼우면, 소재가 맨드릴과 성형롤 사이에서 넘쳐 바리(burr)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이와같은 방적기용 링의 성형에 있어서는, 맨드릴과 성형롤 사이의 소재의 유동성은 높이 방향보다 직경방향이 양호하고 늘어나기 쉽다. 이 때문에, 소재의 높이는 방적기용 링의 전체 높이보다 너무 작으면, 맨드릴과 성형롤 사이의 축방향으로 충전량이 충분하지 않고, 소정의 형상으로 성형될 수 없다. 또한, 소재의 높이가 방적기용 링의 전체높이보다 너무 크면, 소재가 맨드릴과 성형롤 사이에서 넘쳐 바리가 발생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양쪽 플랜지 형태의 경우에는, 예를 들면, 단면 1자 모양의 소재로서, 플랜지부를 형성하는 축방향 양단의 머리부의 직경방향 폭이 방적기용 링의 플랜지 폭의 1.05배∼1.5배, 몸통부를 형성하는 중간부의 두께가 방적기용 링의 몸통부의 두께의 1.1배∼1.6배의 소재를 사용하여도 된다. 환상의 몸통부의 양단에 각각 플랜지부를 구비한 방적기용 링의 성형가공에 있어서는, 소재의 두께가 방적기용 링의 플랜지 폭보다 얇으면, 방적기용 링의 플랜지부를 형성하는 소재가 맨드릴과 성형롤 사이에 형성된 형의 형상으로 연결되지 않고, 소정의 형상으로 성형되지 않으며, 또한 소재의 두께가 방적기용 링의 플랜지 폭보다 너무 두꺼우면, 소재가 맨드릴과 성형롤 사이에서 넘쳐 바리가 생기기 쉽다. 마찬가지로, 소재의 두께가 방적기용 링의 몸통부의 두께보다 얇으면, 소정의 형상으로 성형되지 않고, 소재의 두께가 방적기용 링의 몸통부의 두께보다 너무 두꺼우면, 방적기용 링의 몸통부가 직경방향으로 팽창된다는 문제가 있다. 이 때문에 양쪽 플랜지 형태의 경우 플랜지부를 형성하는 폭방향 양단의 머리부의 직경방향 폭을 상기 범위로 하고, 몸통부를 형성하는 중간부의 두께를 상기 범위로 하는 것이 좋다.
상기의 목적, 특징 및 이점을 가지는 본 발명을 첨부되는 도면에 의거하여 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제5도는, 단일 플랜지 형태의 방적기용 링의 제조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한 것으로, 이 경우, 냉간롤링 가공장치는, 제1도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소정의 링 외측형상을 가진 성형롤(101)과 소정의 링 내측 형상을 가진 맨드릴(102)로 구성하며, 맨드릴(102)은 맨드릴(102)을 끼워 성형롤(101)에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된 받이롤(112)에 의해, 성형롤(101)을 향해 강압한다.
이 예에서는, 링 모양의 소재로서는, 예를 들면 제2도(a)∼(c)에 도시하는 것과 같은 각종 형태의 것이 사용된다. 제2(a)도에 도시하는 링 모양의 소재(113A)는, 강제의 파이프재를 절단한 단면 직사각형 모양의 원통상 소재(圓筒狀素材)이며, 제2(b)도에 도시하는 링 모양의 소재(113B)는 열간가공재를 선삭, 압연 등에 의해 성형가공하여, 넥부에 상당하는 부분을 다른 부위보다 얇게 한 원통모양의 소재이며, 제2(c)도에 도시하는 링 모양의 소재(113C)는, 열간단조에 의해, 혹은,제2(a)도에 도시하는 원통모양의 소재를 냉간 롤링 가공에 의해 성형가공하여, 넥부에 상당하는 부분을 다른 부위보다 얇게 하며, 또, 중간플랜지부 및 감입부에 상당하는 부분을, 직경을 넓힌 원통모양의 소재이다.
상기 제2도(a)∼(c)에 도시하는 것과 같은 링 모양의 소재(113A, 113B, 113C)를 사용하여, 제3도에 도시하는 방적기용 링(117)을 제조한다. 이 방적기용 링(117)은, 플랜지부(117a)와, 플랜지부(117a)에 연속하는 넥부(117b)와, 넥부(117b)에 연속하는 중간플랜지부(117c)와, 중간플랜지부(117c)에 연속하는 감입부(117d)를 구비한 링체를 형성하는 것이다.
제4도는 상기 제2(a)도에 도시하는 링 모양의 소재(113A)를 사용하여, 상기 제3도에 도시하는 방적기용 링(117)을 제조하는 경우의, 냉간 롤링 가공장치의 가공부에 링 모양의 소재(113A)가 배치된 가공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제4도는 도시하는 것과 같이, 단면 직사각형 모양의 강제의 링 모양의 소재(113A)는, 맨드릴(102)에 끼워 넣어, 내주면이 맨드릴(102)에 마주보며, 외주면이 성형롤(101)에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이 상태에서 받이롤(112)을 회전시킨 상태에서 성형롤(101)을 회전시키면서 맨드릴(102)에 접근시켜 링 모양의 소재(113A)의 외주면에 꼭 누르므로써, 맨드릴(102)이 회전하여 제5도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링 모양의 소재(113A)가 맨드릴(102)과 성형롤(101)에 끼워 눌려, 플랜지부(117a), 넥부(117b), 중간플랜지부(117c) 및 감입부(117d)를 구비한 링체의 형상으로 성형가공한다. 그리고, 이와 같이 하여 플랜지부(117a), 넥부(117b) 중간플랜지부(117c) 및 감입부(117d)의 성형가공이 완료한 후, 성형롤(101)을 후퇴시켜, 소정의 형상으로 성형한 링체를 꺼낸다. 또, 냉간 롤링 가공장치는, 받이롤(112)를 회전시키지 않고 맨드릴(102)에 접촉시켜, 고정위치에서 회전하는 성형롤(101)에 접근시킴으로써 링 모양의 소재(113A)를 끼워 누르는 것과 같은 것이라도 된다.
그리고, 이 성형가공된 링체는, 필요에 따라, 플랜지부(117a)의 상면, 감입부(117d)의 하면에 연삭, 절삭 등의 다듬질 가공이 행하여지며, 또, 치수조정 처리가 행하여지고, 진원도 조정이 행하여지며, 그 후, 열처리를 하여 표면경화처리를 행하여져 완성되어, 제3도에 도시하는 방적기용 링(117)이 된다.
또, 상기 방적기용 링(117)에는, 적어도 플랜지부(117a)의 표면에 배럴연마, 버프연마(buff polishing) 등의 가공수단에 의해 연마가공을 한다든지, 내마모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도금, 코팅 혹은 금속의 확산침투 처리등의 표면처리를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성형롤(101)은, 제4도 및 제5도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그 외주면의 축방향 양측에 1쌍의 주벽(周壁)(103a, 103b)을 구비하며, 한쪽의 주벽(103a)에 연속하여 성형롤(101)의 외주면에 플랜지부 형성용 홈(104)을 구비하고, 플랜지부 형성용 홈(104)에 연속하여 넥부 형성용 돌출부(105)를 구비하며, 넥부 형성용 돌출부(105)에 연속하여 중간플랜지부 형성용 홈(106)을 구비하고 또, 중간 플랜지부 형성용 홈(106)에 연속하여 감입부 형성용 주면(107)을 구비하고 있다.
또, 상기 맨드릴(102)은, 제4도 및 제5도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성형롤(101)의 플랜지부 형성용 홈(104)과 함께 움직이는 플랜지부 형성용 홈(108)을 구비하며, 성형롤(101)의 넥부 형성용 돌출부(105)와 함께 움직이는 넥부 형성용 단차부(109)를 구비하고, 성형롤(101)의 중간플랜지부 형성용 홈(106)과 함께 움직이는 중간플랜지부 형성용 돌출부(110)를 구비하며, 또, 성형롤(101)의 감입부 형성용 주면(107)과 함께 움직이는 감입부형성용 단차부(111)를 구비하고 있다.
또, 상기 맨드릴(102)의 중간플랜지부 형성용 돌출부(110)의 단면형상은, 제5도에 도시하는 사이각(X)이 90°의 쐐기모양의 형상이 되어, 그 선단에는 평탄면이 형성되어 있으나, 이 쐐기 모양의 형상의 사이각(X)은 80°∼95°이면 되고, 또, 선단부는 곡면으로 연결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상기 성형롤(101)의 외주면의 형상 및 맨드릴(102)의 적어도 플랜지부 형성용 홈(108)의 형상은, 가공 형성되는 방적기용 링의 형상으로 대략 정확하게 부합된 형상을 가지는 것이다.
다음에, 상기 성형롤(101)과 맨드릴(102)을 구비한 냉간 롤링 가공장치에 의한 상기 단일 플랜지 형태의 방적기용 링의 가공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링 모양의 소재로서, 예를 들면 제 2(a)도에 도시하는 단면 직사각형 모양으로 원통상의 링 모양의 소재(113A)를 사용하여, 이것을 맨드릴(102)의 가공부에 끼워 넣어 배치하고, 받이롤(112)를 회전시킨 상태에서, 성형롤(101)을 회전시키면서 맨드릴(102)에 접근시켜 링 모양의 소재(113A)의 외주면에 꽉 누른다.
이렇게 하여 성형롤(101)의 회전 및 누르는 작용과 맨드릴(102)의 회전에 의해, 링 모양의 소재(113A)는 맨드릴(102)과 성형롤(101)에 끼워 눌러, 성형롤(101)의 플랜지부 형성용 홈(104), 넥부 형성용 돌출부(105), 중간플랜지부 형성용홈(106) 및 감입부 형성용 주면(107)과 맨드릴(102)의 플랜지부 형성용 홈(108), 넥부 형성용 단차부(109), 중간플랜지부 형성용 돌출부(110) 및 감입부 형성용 단차부(111)에 의해, 외주면 및 내주면이 소정의 방적기용 링의 외곽형상으로 됨과 동시에, 링 모양의 소재(113A)의 두께가 얇게 되며, 동시에 전체의 직경이 확대된다. 그리고, 제5도에 도시하는 것과 같은, 플랜지부(117a), 넥부(117b), 중간플랜지부(117c) 및 감입부(117d)를 구비한 링체의 형상으로 성형가공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하여 플랜지부(117a), 넥부(117b), 중간플랜지부(117c) 및 감입부(117d)의 형성가공이 완료된 후, 성형롤(101)을 후퇴시켜, 소정의 형상으로 성형한 링체를 꺼낸다.
그리고, 이 성형가공된 링체는, 필요에 따라 플랜지부(117a)의 상면, 감입부(117d)의 하면에 선삭, 절삭 등의 다듬질 가공이 행하여지며 또, 치수조정처리를 행하며, 진원도 조정이 행하여지고, 그 후, 열처리를 하여, 표면경화처리가 행하여져 완성되어, 제 3 도에 도시하는 방적기용 링(117)이 된다. 또, 상기 방적기용 링(117)에는 필요에 따라, 적어도 플랜지부(117a)의 표면에 배럴연마, 버프연마 등의 가공수단에 의해 연마가공이 행하여지며, 내마모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도금, 코팅 혹은 금속의 확산침투처리 등의 표면처리를 한다.
상기 가공방법에 의하면, 냉간 롤링 가공의 당초에 있어서, 링 모양의 소재(113A)는 맨드릴(102)의 중간플랜지부 형성용 돌출부(110)에 의해 내주면 쪽에서 눌러 변형함으로써, 성형롤(101)의 중간플랜지부 형성용 홈(106)과의 사이에 유동적으로 채워 중간플랜지부(117c)를 형성한다.
그 후, 대략 동시에, 링 모양의 소재(113A)는 성형롤(101)의 넥부 형성용 돌출부(105)에 의하여 외주면 쪽에서 눌러 변형하여 원주방향으로 소성 유동하여, 직경이 확대되면서 두께가 얇게되어, 맨드릴(102)의 넥부 형성용 단차부(109)와의 사이에 유동적으로 채워져 넥부(117b)를 형성한다.
또한, 대략 동시에, 성형롤(101)의 플랜지부 형성용 홈(104)과 맨드릴(102)의 플랜지부 형성용 홈(108)에 의해 링 모양의 소재(113A)의 한쪽 측단부가 끼워 눌려서 소성 유동되며, 양쪽의 홈(104, 108) 사이에 유동적으로 채워져, 감입부(117d)를 형성한다. 더욱이, 대략 동시에, 성형롤(101)의 감입부 형성용 주면(107)과 맨드릴(102)의 감입부 형성용 단차부(111)에 의해 링 모양 소재(113A)의 다른 쪽 측단부가 끼워 눌려 소성 유동되고, 이들 주면(107)과 단차부(111)와의 사이에 유동적으로 채워져, 감입부(117d)를 형성한다. 이렇게 하여, 링 모양의 소재(113A)는 두께방향으로 압연함으로써, 원주방향으로 늘어져, 그 직경이 확대하여, 소정치수의 플랜지부(117a), 넥부(117b), 중간플랜지부(117c) 및 감입부(117d)가 형성되며, 소정의 방적기용 링(117)의 형상 및 치수로 가공된다.
또, 상기 강제의 링 모양의 소재로서는, 미리 소둔한, 경도가 Hv 180∼ Hv 250의 소둔재를 사용하는 것이 좋고, 그 외경은 방적기용 링의 중간플랜지 경의 50%∼70%, 두께는 방적기용 링의 플랜지 폭의 1.1배∼2.0배, 높이는 방적기용 링의 전 높이의 0.8-1.5배로 하는 것이 좋다.
또, 상기의 예에서는, 방적기용 링의 형상을, 1공정으로 형성하고 있으나, 플랜지부의 가공량과 넥부의 가공량의 차가 너무 크면, 상기 각부의 원주방향의 늘어남에 차가 생겨, 플랜지부가 깨어진다든지하는 염려가 있기때문에, 2공정으로 형성하는 것으로서, 각각의 가공량의 차를 작게 하는 것은 가능하다. 즉, 링 모양의 소재로서는 제2(b)도 혹은 (c)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미리 단조, 선삭, 롤링가공 등의 가공 수단에 의해 넥부에 상당하는 부분을 다른 부위보다 얇게 한 형상의 링 모양의 소재(113B, 113C)를 사용하여도 되는 것이다.
제6도∼제10도는, 양쪽 플랜지 형태의 방적기용 링의 제조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한 것으로, 이 경우, 냉간 롤링 가공장치는, 소정의 링 외측형상을 가진 성형롤(201)과, 소정의 링 내측 형상을 가진 맨드릴(202)로 구성된 것이며, 맨드릴(202)은, 성형롤(201)에 의해, 맨드릴(202)을 끼워 성형롤(201)에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된 받이롤(208)을 향해 강압된다.
그리고, 이 예에서는 링 모양의 소재로서는, 예를 들면 제7(a)도 및 (b)도에 도시하는 각종 형태의 것이 사용된다. 제7(a)도에 도시하는 링 모양의 소재(209)는, 열간가공재를 선삭, 압연 등에 의해 성형가공하여, 방적기용 링(211)의 몸통부(211c)에 상당하는 중간부(209c)의 폭(t)을 방적기용 링(211)의 플랜지부(211a, 211b)에 상당하는 머리부(209a, 209b)의 폭(T)보다 얇게 한 단면 I자 모양을 가진 원통상 소재이며, 제7(b)도에 도시하는 링 모양의 소재(210)는, 열간단조에 의해, 혹은 원통상 소재로 냉간 롤링가공에 의해 성형가공하여, 방적기용 링(211)의 몸통부(211c)에 상당하는 중간부(210c)의 폭(t)을 방적기용 링(211)의 플랜지부(211a, 211b)에 상당하는 머리부(210a, 210b)의 폭(T)보다 얇게 한 단면 대략 ⊃자 모양을 가진 원통상 소재이다.
상기 제7(a), (b)도에 도시하는 것과 같은 링 모양의 소재(209, 210)를 사용하여, 제8도에 도시하는 방적기용 링(211)을 제조한다. 이 방적기용 링(211)은 축방향 양단에 상대하는 대칭배치의 1쌍의 플랜지부(211a, 211b)를 환상(環狀)의 몸통부(211C)의 양단에 구비한 링체를 형성하는 것이다.
또, 제8도에 도시하는 방적기용 링(211)은, 플랜지부(211a, 211b)의 폭(A)이 3.2mm, 몸통부(221c)의 폭(B)이 0.6mm, 높이(H)가 10mm의 경우이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은 통상 사용되고 있는 각종 치수의 것에 적용할 수 있다.
제9도는, 상기 제7(a)도에 도시하는 링 모양의 소재(209)를 사용하여, 상기 제8도에 도시하는 방적기용 링(211)을 제조하는 경우의, 냉간 롤링 가공장치의 가공부에 링 모양의 소재(209)가 배치된 가공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제9도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단면 I자 모양을 가진 강제의 링 모양 소재(209)는, 맨드릴(202)에 끼워 넣어, 내주면이 맨드릴(202)에 마주보며, 외주면이 성형롤(201)에 마주보도록 배치한다. 이 상태에서, 받이롤(208)을 회전시켜, 그 받이롤(208)이 회전하고 있는 상태에서, 성형롤(201)을 회전시키면서 맨드릴(202)에 접근시켜, 링 모양의 소재(209)의 외주면에 꽉 누르므로써, 제10도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링 모양의 소재(209)가 맨드릴(20)과 성형롤(201)에 끼워 눌러, 플랜지부(211a, 211b) 및 몸통부(211c)를 구비한 링체의 형상으로 성형가공된다. 이와같이 하여 플랜지부(221a, 211b) 및 몸통부(211c)의 성형가공의 완료된 후, 성형롤(201)을 후퇴시켜, 소정의 형상으로 성형한 링체를 꺼낸다.
그리고, 이 성형가공된 링체는, 필요에 따라, 양단의 플랜지부(211a, 211b)의 각각의 바깥 단면에 선삭, 절삭 등의 완성가공이 행하여지며, 또, 치수조정처리를 하며, 진원도 조정이 행하여지고, 그 후, 열처리를 하여 표면경화처리가 행하여져 완성되어, 제8도에 도시하는 방적기용 링(211)이 된다.
또, 상기 방적기용 링(211)에는, 적어도 양단의 플랜지부(211a, 211b)의 표면에 배럴연마, 버프연마 등의 가공수단에 의해 연마가공을 한다든지, 내마모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도금, 코팅 혹은 금속의 확산침투처리등의 표면처리를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성형롤(201)은, 제9도 및 제10도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그 외주면의 축방향 양쪽에 각각 플랜지 바깥 단면형성용 주벽(周壁)(203a, 203b)을 구비하고, 그들 각 플랜지 바깥 단면 형성용 주벽(203a, 203b)에 연속하여 내측에 각각 플랜지부 형성용 홈(204a, 204b)을 구비하며, 그들 플랜지부 형성용 홈(204a, 204b)간에 성형롤(201)의 양측 단부의 외경(D1)보다 작은 외경(d1)을 가진 몸통부 형성용 주면(205)을 구비하고 있다.
또, 상기 맨드릴(202)은, 제9도 및 제10도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그 외주면의 축방향 양측에 성형롤(201)의 각 플랜지부 형성용 홈(204a, 204b)과 함께 움직이는 플랜지부 형성용 홈(206a, 206b)을 구비하고, 그들 플랜지부 형성용 홈(206a, 206b) 사이에, 맨드릴(202)의 양측 단부의 외경(D2)보다 큰 외경(d2)을 가지고, 성형롤(201)의 몸통부(형성용 주면)(205)과 함께 움직이는 몸통부 형성용 주면(207)을 구비하고 있다.
또, 상기 성형롤(201)의 플랜지부 형성용 홈(204a, 204b)의 형상 및 맨드릴(202)의 플랜지부 형성용 홈(206a,206b)의 형상은, 가공 형성되는 방적기용 링의 형상으로 대략 정확하게 부합된 형상을 가지는 것이다.
또, 이 예에서는, 제 10도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성형롤(201)의 플랜지 바깥 단면 형성용 주벽(203a, 203b)을 각각 경사지게 하였다. 이것은 소재를 유동적으로 채우는 것을 양호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경사각도(α)는 3°∼15°로 하며, 바람직하게는 7°∼12°로 하는 것이다. 이 경우, 성형롤(201)측의 경사에 맞추어 맨드릴(202)측도 경사지게 한다. 단지, 이들의 경사는 반드시 필요로 하는 것은 아니다.
다음에, 상기 성형롤(201)과 맨드릴(202)을 구비한 냉간 롤링 가공장치에 의한 상기 양쪽 플랜지 형태의 방적기용 링의 가공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링 모양의 소재로서 예를 들면 제 7(a)도에 도시하는 단면 I자 모양을 가진 원통상의 링 모양의 소재(209)를 사용하여, 이것을 맨드릴(202)의 가공부에 끼워 넣어 배치하고, 상기 맨드릴(202)의 외주면에 근접하여 배치된 받이롤(208)을 회전시킨 상태에서, 성형롤(201)을 회전시키면서 맨드릴(202)에 접근시켜, 링 모양 소재(209)의 외측면에 꽉 누른다. 이것에 의해 맨드릴(202)은 받이롤(208)과 접촉하여 회전한다.
이렇게 하여 성형롤(201)의 회전 및 누름 작용과 맨드릴(202)의 회전에 의해, 링 모양의 소재(209)는 맨드릴(202)파 성형롤(201)에 끼워 눌러, 성형롤(201)의 플랜지부 형성용 홈(204a, 204b) 및 몸통부 형성용 주면(205)과, 맨드릴(202)의 플랜지부 형성용 홈(206a, 206b) 및 몸통부 형성용 주면(207)에 의해, 링 모양의 소재(209)의 외주면 및 내주면이 소정의 방적기용 링(211)의 외곽형상으로 됨과 동시에, 링 모양의 소재(209)의 두께가 얇게되며, 동시에 전체의 직경이 넓게 된다. 그리고, 제10도에 도시하는 것과 같은, 플랜지부(211a, 211b) 및 몸통부(211c)를 구비한 링체의 형상으로 성형가공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하여 플랜지부(211a, 211b) 및 몸통부(211c)의 성형가공이 완료된 후, 성형롤(201)을 후퇴시켜, 소정의 형상으로 성형한 링체를 꺼낸다.
그리고, 이 성형가공한 링체는, 필요에 따라, 양단의 플랜지부(211a, 211b)의 각각의 바깥 단면에 선삭, 절삭 등의 완성 가공이 행하여지며, 또 치수조정처리를 하며, 진원도 조정이 행하여지고, 그 후, 열처리를 하며, 표면경화처리를 하여 완성되어, 제8도에 도시하는 방적기용 링(211)이 된다. 또, 상기 방적기용 링(211)에는, 필요에 따라, 적어도 플랜지(211a, 211b)의 각각의 표면에 배럴연바, 버프연마 등의 가공수단에 의해 연마가공을 하며, 또 내마모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도금, 코팅 혹은 금속의 확산침투처리 등의 표면처리가 행하여진다.
상기 가공방법에 의하면, 냉간 롤링가공의 당초에 있어서, 링 모양의 소재(209)는 맨드릴(202)의 각 플랜지부 형성용 홈(206a, 206b) 및 성형롤(201)의 각 플랜지부 형성용 홈(204a, 204b)에 의해 내주면측 및 외주면측에서 눌려 변형되어, 함께 움직이는 플랜지부 형성용 홈(206a, 204b)간 및 플랜지부 형성용 홈(206a, 204b)간에 각각 유동적으로 채워져, 플랜지부(211a, 211b)를 형성한다.
그 후, 대략 동시에, 링 모양의 소재(209)는 맨드릴(202)의 몸통부 형성용 주면(207)과 성형롤(201)의 몸통부 형성용 주면(205)에 의하여 내주면측 및 외주면측에서 눌려 변형되어 원주방향으로 소성 유동되어, 직경이 넓어지면서 두께가 얇게 되어, 양 몸통부 형성용 주면(205, 207) 사에 유동적으로 채워져, 몸통부(211c)를 형성한다.
이렇게 하여, 링 모양의 소재(209)는 두께 방향으로 압연됨으로써, 원주방향으로 늘어나, 그 경이 확대하여, 소정치수의 플랜지부(211a, 211b) 및 몸통부(211c)가 형성되며, 소정의 방적기용 링(211)의 형상 및 치수로 가공된다.
또, 상기 강제의 링 모양의 소재로서는, 미리 소둔한, 경도 Hv 180∼Hv 250의 소둔재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Claims (8)

  1. 강제의 링 모양 소재를 맨드릴과 성형롤에 끼워 눌러, 냉간 롤링에 의해 상기 링 모양의 소재의 내주면 및 외주면을 각각 눌러 변형시켜, 플랜지부를 구비한 소정형상의 링체로 성형가공하는 방적기용 링의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성형롤, 외주에, 상기 링체의 축방향 양단 및 외주부분에 대응하는 가공면을 구비하며,
    또, 상기 맨드릴이, 외주에, 상기 링체의 내주부분에 대응하는 가공면을 구비하며,
    상기 링 모양의 소재를 상기 맨드릴과 상기 성형롤에 끼워 누르므로써, 그 링 모양의 소재를 눌러 변형시켜, 상기 성형롤 외주의 가공면과 상기 맨드릴 외주의 가공면과의 사이에 유동적으로 채워 상기 링체의 각부를 형성하며,
    그때, 그들 가공면 사이에서 그 링 모양의 소재를 두께 방향으로 압연함으로써 직경을 넓혀 상기 링체의 각부를 소정치수로 가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적기용 링의 제공방법.
  2. 강제의 링 모양의 소재를 맨드릴과 성형롤에 끼워 눌러, 냉간 롤링에 의해 상기 링 모양의 소재의 내주면 및 외주면을 각각 눌러 변형시켜, 플랜지부, 그 플랜지부에 연속하는 넥부, 그 넥부에 연속하는 중간플랜지부 및 그 중간플랜지부에 연속하는 감입부를 구비한 링체를 성형가공하는 방적기용 링의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성형롤이, 그 외주면의 축방향 양측에 1쌍의 주벽(周壁)을 구비하고, 한쪽의 주벽에 연속하여 플랜지부 형성용 홈을 구비하며, 그 플랜지부 형성용 홈에 연속하여 넥부 형성용 돌출부를 구비하고, 그 넥부 형성용 돌출부에 연속하여 중간플랜지부 형성용 홈을 구비하며, 또 그 중간플랜지부 형성용 홈에 연속하여 감입부 형성용 주면을 구비하고,
    또, 상기 맨드릴이, 상기 플랜지부 형성용 홈과 함께 움직이는 플랜지부 형성용 홈과, 상기 넥부 형성용 돌출부와 함께 움직이는 넥부 형성용 단차부와, 상기 중간플랜지부 형성용 홈과 함께 움직이는 중간플랜지부 형성용 돌출부와, 상기 갑입부 형성용 주면과 함께 움직이는 감입부 형성용 단차부를 구비하며,
    상기 링 모양의 소재를 상기 맨드릴과 상기 성형롤에 끼워 누르므로써, 당초, 상기 맨드릴의 중간플랜지부 형성용 돌출부에 의해 상기 링 모양의 소재를 내주면 쪽에서 눌러 변형시켜 그 링 모양의 소재를 상기 성형롤의 중간플랜지부 형성용 홈과의 사이에 유동적으로 채워 중간플랜지부를 성형하고,
    계속하여 상기 중간플랜지부 형성용 홈에 유동적으로 채우는 동시에, 상기 성형롤의 넥부 형성용 돌출부에 의하여 상기 링 모양의 소재를 외주면쪽에서 눌러 변형시켜 그 링 모양의 소재를 상기 맨드릴의 넥부 형성용 단차부와의 사이에 유동적으로 채워 넥부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성형롤의 플랜지부 형성용 홈과 상기 맨드릴의 플랜지부 형성용 홈에 의해 상기 링 모양의 소재의 한쪽의 측단부를 끼워 눌러 그 측단부를 양쪽의 홈 사이에 유동적으로 채워 플랜지부를 성형하는 동시에, 상기 성형롤의 감입부 형성용 주면과 상기 맨드릴의 감입부 형성용 단차부에 의하여 상기 링 모양의 소재의 다른 쪽의 측단부를 끼워 눌러, 그 측단부를 이들 주면과 단차부와 의 사이에 유동적으로 채워 감입부를 형성하고,
    그때, 상기 링 모양의 소재를 두께 방향으로 압연함으로써 직경을 넓혀, 상기 플랜지부, 넥부, 중간플랜지부 및 감입부를 소정치수로 가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적기용 링의 제조방법.
  3. 강제의 링 모양의 소재를 맨드릴과 성형롤에 끼워 눌러 냉간 롤링에 의해 상기 링 모양의 소재의 내주면 및 외주면을 각각 눌러 변형시켜, 환상(環狀)의 몸통부의 양단에 각각 플랜지를 구비한 링체로 성형가공하는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성형롤이, 그 외주면의 축방향 측에 각각 플랜지 바깥 단면 형성용 주벽을 구비함과 동시에, 그들 각 플랜지 바깥 단면 형성용 주벽에 연속하여 내측에 각각 플랜지부 형성용 홈을 구비하고, 그 플랜지부 형성용 홈 사이에 그 성형롤의 상기 각 플랜지 바깥 단면 형성용 주벽의 축방향 외측으로 연속하는 양측 단부의 외경보다 작은 외경을 가진 몸통부 형성용 주면을 구비하고,
    또, 상기 맨드릴이 그 외주면의 축방향 양측에 상기 성형롤의 각 플랜지부 형성용 홈과 함께 움직이는 플랜지부 형성용 홈을 구비함과 동시에, 그들 플랜지부 형성용 홈 사이에 그 맨드릴의 상기 각 플랜지부 형성용 홈의 축방향 외측으로 연속하는 양측 단부의 외경보다 큰 외경을 가진 몸통부 형성용 주변을 구비하며,
    상기 링 모양의 소재를 상기 맨드릴과 상기 성형롤에 끼워 누르므로써, 당초, 상기 맨드릴의 상기 플랜지부 형성용 홈과 상기 성형롤의 상기 플랜지부 형성용 홈으로 상기 링 모양의 소재를 양 플랜지부 형성용 홈 사이에 유동적으로 채워 플랜지부를 성형하고,
    계속하여 상기 양 플랜지부 형성용 홈 사이에 유동적으로 채우는 동시에, 상기 맨드릴의 상기 몸통부 형성용 주면과 상기 성형롤의 상기 몸통부 형성용 주면에서 상기 링 모양의 소재를 눌러 변형시켜, 그 링 모양의 소재를 양 몸통부 형성용 주면 사이에 유동적으로 채워 몸통부를 성형하며,
    그때, 상기 양 플랜지부 형성용 홈 사이 및 상기 양 몸통부 형성용 주면 사이에서 상기 링 모양의 소재를 두께 방향으로 압연함으로써 직경을 넓혀 상기 플랜지부 및 상기 몸통부를 소정치수로 가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적기용 링의 제조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강제의 링 모양의 소재로서, 미리 소둔한, 적어도 표면의 경도가 Hv 180∼Hv 250의 소둔재를 사용한 방적기용 링의 제조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강제의 링 모양의 소재로서, 미리 단조, 선삭, 롤링가공 등의 가공수단에 의해 넥부에 상당하는 부분을 다른 부위보다 얇게 한 소재의 사용한 방적기용 링의 제조방법.
  6. 제2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강제의 링 모양의 소재로서, 외경이 방적기용 링의 중간플랜지 직경의 50%∼70%, 두께는 방적기용 링의 플랜지 폭의 1.1배∼2.0배, 높이는 방적기용 링의 전체 높이의 0.8∼1.5배의 소재를 사용한 방적기용 링의 제조방법.
  7. 제3항에 있어서,
    강제의 링 모양의 소재로서, 미리 단조, 선삭, 롤링가공 등의 가공수단에 의해 몸통부에 상당하는 부분을 플랜지부에 상당하는 부분보다 얇게 한 소재를 사용한 방적기용 링의 제조방법.
  8. 제3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강제의 링 모양의 소재로서, 단면 1자 모양의 소재로서, 플랜지부를 형성하는 축방향 양단의 머리부의 직경방향 폭이 방적기용 링의 플랜지 폭의 1.05배∼1,5배. 몸통부를 형성하는 중간부의 두께가 방적기용 링의 몸통부의 두께의 1.1배∼1.6배의 소재를 사용한 방적기용 링의 제조방법.
KR1019970030704A 1996-10-31 1997-07-02 방적기용링의제조방법 KR1003680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6-307209 1996-10-31
JP8307209A JP2975963B2 (ja) 1996-10-31 1996-10-31 紡機用リングの製造方法
JP8357013A JP2975964B2 (ja) 1996-12-25 1996-12-25 紡機用リングの製造方法
JP96-357013 1996-12-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2205A KR19980032205A (ko) 1998-07-25
KR100368067B1 true KR100368067B1 (ko) 2003-05-12

Family

ID=265650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30704A KR100368067B1 (ko) 1996-10-31 1997-07-02 방적기용링의제조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038758A (ko)
EP (1) EP0839936B1 (ko)
KR (1) KR100368067B1 (ko)
CN (1) CN1086747C (ko)
DE (1) DE69713985T2 (ko)
TW (1) TW339372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8336B1 (ko) 2020-05-12 2020-09-21 주식회사 유승 방적기용 소결 링 조성물, 이를 이용한 방적기용 소결 링,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TO20010324A1 (it) * 2001-04-04 2002-10-04 Skf Ind Spa Procedimento ed apparecchiatura di rollatura a freddo per la formatura di pezzi anulari.
US7596979B2 (en) * 2007-11-01 2009-10-06 Firth Rixson Ring mill apparatus and method
US9126257B2 (en) 2011-04-04 2015-09-08 Batesville Services, Inc. Method of forming sheet metal casket shell
CN102615223B (zh) * 2012-03-30 2015-08-19 山东建筑大学 同时辗扩两个梯形截面法兰环锻件的方法
CN102688962B (zh) * 2012-05-08 2014-06-25 天马轴承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大型内台阶环件对称轧制成形方法
CN104226868B (zh) * 2014-09-24 2017-01-11 武汉理工大学 一种球阀阀体复合轧环成形方法
US10245631B2 (en) * 2014-10-13 2019-04-02 Victaulic Company Roller set and pipe elements
US10385480B2 (en) * 2016-03-10 2019-08-20 AB Carter Inc. Metallic sulfide coated travelers, methods of coating travelers, and systems for use of metallic sulfide coated travelers
CN106166590A (zh) * 2016-08-29 2016-11-30 贵州航天新力铸锻有限责任公司 磁体支撑工字形锻件的碾轧成型制造方法
CN106493520B (zh) * 2016-11-25 2018-07-17 沈阳黎明航空发动机(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薄壁弹性环的加工方法
US11278946B2 (en) * 2018-09-27 2022-03-22 Inno-Spin LLC Multi-axis roll-forming methods, systems, and products
CN116372067B (zh) * 2023-05-26 2023-08-04 山西天宝集团有限公司 一种l型法兰生产用碾环机辅助夹持装置及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28614A (en) * 1936-01-03 1938-08-30 Kobayashi Norio Ring for use in a spinning frame
DE844587C (de) * 1949-04-10 1952-07-21 Ruhrstahl Ag Vorrichtung zur Herstellung von Tiefbettfelgen
GB692399A (en) * 1951-03-28 1953-06-03 Juan Sape Roch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rings for ring spinning and doubling frames
US4016739A (en) * 1975-12-08 1977-04-12 Vladimir Viktorovich Lapin Method of shaping ring blanks
JPS6335832A (ja) * 1986-07-23 1988-02-16 Kanai Hiroyuki 紡機用リング
JPS63249724A (ja) * 1987-04-06 1988-10-17 Nippon Spindle Mfg Co Ltd 紡績用複合リングの製造方法
US4869088A (en) * 1988-07-05 1989-09-26 Kazuo Kadotani Ring shaping apparatus
JP3293242B2 (ja) * 1993-05-26 2002-06-17 村田機械株式会社 旋盤のハウジン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8336B1 (ko) 2020-05-12 2020-09-21 주식회사 유승 방적기용 소결 링 조성물, 이를 이용한 방적기용 소결 링,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839936B1 (en) 2002-07-17
DE69713985T2 (de) 2003-02-20
CN1086747C (zh) 2002-06-26
KR19980032205A (ko) 1998-07-25
TW339372B (en) 1998-09-01
US6038758A (en) 2000-03-21
CN1181427A (zh) 1998-05-13
DE69713985D1 (de) 2002-08-22
EP0839936A1 (en) 1998-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68067B1 (ko) 방적기용링의제조방법
US4055976A (en) Method of roller spinning cup-shaped metal blanks and roller construction therefor
US6105410A (en) Method for forming a hub disk and metal spinning roller for use in the forming of a hub disk
CN101500823B (zh) 轴承单元滚道环部件、轴承单元以及用于制造轴承单元滚道环部件的方法和设备
US3930396A (en) Die system for can body press
CA126732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dge preparation of spinning blanks
US343432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olling bearing races
US6019517A (en) Preformed pieces for outer and inner races of bearings
KR100302082B1 (ko) 회전단조장치
JP2001524606A (ja) 点接触による焼結金属粉末の高密度化
US5577323A (en) Method of manufactoring a race ring for a rolling bearing
US3288542A (en) Method of rolling bearing races
CN109201830B (zh) 一种防止不带底筒形件旋压过程出现翻边缺陷的方法
CN113894198B (zh) 一种高温合金筒形零件多道次扩口旋压成型工艺
JPH0139849B2 (ko)
US4016739A (en) Method of shaping ring blanks
JPH0356819B2 (ko)
US6338197B1 (en) Method of manufacturing multi-stage pulley
US1441892A (en) Cups and cones and the like
JP4383151B2 (ja) ヘリカル歯車の製造方法
US20050229372A1 (en) Method of finishing a metal preform
JP2975964B2 (ja) 紡機用リングの製造方法
JPH09159776A (ja) 加圧水型原子炉制御棒案内用ジルコニウム合金製シンブル管の製造方法
RU2002538C1 (ru) Способ закатки горловины баллона
US20030171198A1 (en) Method for producing a deep rolling roller, and deep rolling roll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22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