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6459B1 - 냉장고 백플레이트 구조 - Google Patents

냉장고 백플레이트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6459B1
KR100366459B1 KR1020010000950A KR20010000950A KR100366459B1 KR 100366459 B1 KR100366459 B1 KR 100366459B1 KR 1020010000950 A KR1020010000950 A KR 1020010000950A KR 20010000950 A KR20010000950 A KR 20010000950A KR 100366459 B1 KR100366459 B1 KR 1003664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k plate
liquid
outflow
refrigerator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09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59522A (ko
Inventor
김한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Priority to KR10200100009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66459B1/ko
Publication of KR200200595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95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64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6459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2Walls defining a cabinet
    • F25D23/064Walls defining a cabinet formed by moulding, e.g. moulding in situ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너케이스와 백플레이트 사이에 충진된 발포액의 유출을 막기 위한 냉장고 백플레이트에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냉장고 백플레이트(30)와 상기 백플레이트에 형성된 다수개의 가스홀(32)과, 상기 백플레이트(30)에 일체로 성형되고, 가스홀(32)을 부분적으로 막아서 발포액(36)의 유출을 차단하는 액유출차단부재(40)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액유출차단부재(40)는 상기 가스홀(32)의 횡방향으로 막고 있는 차단막(40a)과, 상기 차단막(40a)에서 연장 성형되어 발포액(36)의 유출을 제한하는 한 쌍의 루버(40b,40c)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별도의 부품 추가 없이 발포액의 유출을 차단할 수 있다.

Description

냉장고 백플레이트 구조{Structure of Backplate for 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냉장고 백플레이트와 일체로 액유출차단부재를 형성함으로서, 냉장고 단열재로 사용되는 발포액의 유출을 간단한 구성에 의해서 차단하는 냉장고 백플레이트 구조에 관한 것이다.
냉장고는 냉동사이클의 구동에 의해서 냉기를 형성하고, 상기 냉기를 저장공간으로 공급하여, 저장공간 내의 음식물을 일정온도로 유지 보관하기 위한 냉동기기이다. 그리고, 상기 저장공간 내의 음식물을 신선하게 보관하기 위해서, 상기 저장공간은 저온으로 유지된다.
상기와 같이 냉장고 저장공간의 냉기 유출을 막고 저장공간을 일정 저온으로 유지하기 위해서, 단열재를 사용하여 저장공간과 외부와의 열교환을 차단한다.
도 1에는 일반적인 냉장고의 개략적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고의 외관을 형성하고있는 본체(2)는 인너케이스(3)와 아웃케이스(4)로 구성된다.
상기 아웃케이스(4)는 통상 철판으로 되어 있어서 외부의 충격 등으로 부터 내부를 보호한다. 상기 인너케이스(3)는 통상 ABS 수지로 되어 있고, 실질적으로 저장공간(S)을 형성한다. 그리고, 도시한 도면 부호 (10)은 백플레이트이다. 상기 백플레이트(10)는 상기 아웃케이스(4)의 배면부이다.
그리고, 상기 본체(2)와 힌지체결에 의해서 결합되는 도어(5)가 상기본체(2)의 전면에 설치된다. 상기 도어(5)는 힌지(도시 생략)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상기 저장공간(S)을 개폐한다.
상기 인너케이스(3)와 아웃케이스(4) 사이에는 단열재가 충진된다. 도어(5) 내부에도 단열재가 충진됨은 물론이다. 상기 단열재로는 일반적으로 폴리우레탄 폼(foam) 등의 발포액(16)이 사용된다. 상기 발포액(16)은 특정 촉매의 존재하에서 반응시키면 고체로 되는 열경화성 수지이다.
그리고, 상기 발포액(16)이 고체로 경화하는 과정에서 프레온 등의 가스가 유리되기 때문에, 상기 발포액(16)은 마이크로미터 단위의 셀로 구성된 발포 다공질이 된다.
도 3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백플레이트(10)의 구조가 도시되어 있고,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이다. 상기 백플레이트(10)에는 다수개의 가스홀(12)이 상기 백플레이트(10)의 상하에 걸쳐서 성형되어 있다. 상기 가스홀(12)을 통해서 상기발포액(16)의 경화과정에서 발생하는 가스가 유출된다.
그리고, 상기 백플레이트(10)의 내면(10a)에는, 상기 다수개의 가스홀(12)을 커버하도록 부직포(14)가 설치된다. 상기 부직포(14)는 발포액의 경화과정에서 발생하는 가스는 빠져 나가게 하지만, 상기 발포액(16)의 유출은 막는다.
그리고, 미설명의 도면 부호 A는 단열공간이다.
다음은,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종래 기술에 의한 냉장고 백플레이트(10) 구조의 동작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인너케이스(3)와 아웃케이스(4) 사이의 공간에 충진된 발포액(16)은,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경화되는 과정에서 가스가 발생한다. 상기 경화과정에서 발생하는 가스를 상기 인너케이스(3)와 아웃케이스(4) 사이의 충진공간에 내버려 두면, 충진해야 할 공간에는 상기 가스의 존재 때문에 미충진 공간이 생긴다.
상기와 같이 인너케이스(3)와 아웃케이스(4) 사이에 미충진 공간이 생기면 단열성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상기 경화과정에서 발생하는 가스는 상기 단열공간(A)의 외부로 유출시켜야 하는데, 상기 가스홀(12)을 통해서 상기 경화과정에서 발생하는 가스를 유출시킨다.
그리고, 상기 가스홀(12)을 통해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발포액 (16)이 발포되는 과정에서 소량의 발포액(16)도 상기 가스와 함께 유출된다. 따라서, 상기 발포액(16)의 유출을 막기 위해서 상기 부직포(14)를 상기 다수개의 가스홀(12)을 따라서 백플레이트(10)의 내면(10a)에 접착제에 의해서 부착한다.
상기 부직포(14)의 섬유사이로는 상기 가스는 유출할 수 있지만, 상기 발포액(16)은 유출할 수 없게 된다. 상기 부직포(14)를 상기 가스홀(12)에 부착하더라도 상기 발포액(16)이 전혀 유출되지 못하는 것은 아니고, 극미량의 유출은 생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성과 작용을 갖는 종래 기술에 의한 냉장고 백플레이트 구조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제기된다.
종래 기술에 의하면, 상기 가스홀(12)을 통해서 발포액(16)이 유출되는 것을 막기 위해서는 별도의 부직포(14)를 설치한다. 따라서, 상기 부직포(14)를 상기 백플레이트(10)에 별도 설치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작업공정이 필요하고, 별도의 부직포(14)에 들어가는 재료비가 필요하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 의한 냉장고 백플레이트 구조에 의하면, 제품 코스트가 높아지고, 작업공정의 수가 증가함으로, 제품 생산성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제기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재료비가 적게 들고, 작업공정을 줄여서 작업 생산성이 향상된 백플레이트를 구비한 냉장고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냉장고의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냉장고 백플레이트의 구조를 도시한 냉장고 배면도.
도 3은, 도 1의 A-A선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 백플레이트의 구조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냉장고 배면도.
도 5는, 도 3의 B-B선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본체 3 .......... 인너케이스
4 ......... 아웃케이스 5 .......... 도어
10,30 ..... 백플레이트 10a ........ 백플레이트 내면
12,32 ..... 가스홀 32b ........ 상부슬릿
32c ....... 하부슬릿 14 ......... 부직포
16,36 ..... 발포액 40 ......... 액유출차단부재
40a ....... 차단막 40b ........ 상부루버
40c ....... 하부루버 A .......... 단열공간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 백플레이트 구조는, 인너케이스와의 사이에 단열 발포액을 충진하기 위한 백플레이트, 상기 백플레이트에 형성되어 상기 단열 발포액의 발포과정에서 발생하는 가스를 외부로 유출시키기 위한 다수개의 가스홀, 그리고, 상기 다수개의 가스홀을 부분적으로 막아서 상기 단열 발포액의 유출을 방지하고, 상기 백플레이트와 일체로 성형된 액유출차단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액유출차단부재는, 상기 단열 발포액의 유출흐름이 상기 백플레이트에서 저항을 받는 루버형상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별도 부품의 추가 없이 발포액의 유출을 막을 수 있고, 간단한 구성에 의하여 발포액의 유출을 최대한 막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인 냉장고 백플레이트 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도 4와 도 5를 기초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 백플레이트의 구조를 나타내는 냉장고 배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백플레이트(30)와 상기 백플레이트의 전방(이하에서는 단순히‘전방’이라고 한다)에 위치한 인너케이스(도시 생략) 사이에는 단열재인 발포액(36)이 충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백플레이트(30)에는 상하로 걸쳐서 가스홀(32)이 일렬로 성형되어 있다. 상기 가스홀(32)을 통해서 상기 발포액(36)의 경화 과정에서 발생하는 가스가 외부로 유출한다.
상기 다수개 가스홀(32)의 각각에는 발포액(36)의 유출을 차단하는 액유출차단부재(4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액유출차단부재(40)는 상기 백플레이트(30)와 일체로 되어 있으며, 상기 가스홀(32)을 부분적으로 막고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액유출차단부재(40)는 상기 각 가스홀(32)의 중심부를 횡방향으로 막고 있는 차단막(40a)과, 상기 차단막(40a)에서 상부 전방(도 5에서는 상부 좌측 방향)으로 연장 성형되어 있는 상부루버(40b)와, 상기 차단막 (40a)에서 하부 전방(도 5에서는 하부 좌측 방향)으로 연장 성형되어 있는 하부루버(40b)로 구성된다.
상기 상부루버(40b)와 하부루버(40c)는 상기 발포액(36)이 상기 가스홀(32)로 유출되는 것을 제한한다. 그리고, 상기 상부루버(40b)와 하부루버(40c)는 상기 백플레이트(30)와 각각 경사각(θ)을 이루고 있다.
상기 다수개의 가스홀(32)의 각각은 상기 액유출차단부재(40)의 차단막(40a)에 의해서 상부슬릿(32b)과 하부슬릿(32c)으로 구획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슬릿 (32b)의 전방(도 5에서는 좌측 방향)에는 상부루버(40b)가 위치하고, 상기 하부슬릿(32c)의 전방(도 5에서는 좌측 방향)에는 하부루버(40c)가 위치한다.
그리고, 미설명의 도면 부호 A는 단열공간이다.
다음은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실시예에 의한 동작 과정을 설명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단열공간(A)에 발포액(36)이 충진되고, 상기 발포액 (36)이 경화되는 과정에서 가스가 발생한다.
상기 발포액(36)의 경화과정에서 발생하는 가스는 상기 가스홀(32)을 통해서 외부로 빠져 나간다. 상기 발포액(36)의 경화과정에서 발생하는 가스를 상기 단열공간(A)의 외부로 유출시켜야 하는 이유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이 때, 상기 가스홀(32)은 상기 차단막(40a)에 의해서 상부슬릿(32b)과 하부슬릿(32c)으로 나누어져 있으므로, 상기 가스는 상기 상부슬릿(32b)과 하부슬릿 (32c)을 통하여 각각 단열공간(A)의 외부로 빠져 나간다.
그리고, 상기 상부슬릿(32b)과 하부슬릿(32c)의 전방(도 5에서는 좌측 방향)에는 각각 상부루버(40b)와 하부루버(40c)가 위치하고 있지만, 상기 가스가 단열공간(A)의 외부로 빠져 나가는 데에는 지장을 주지 못한다.
따라서, 상기 액유출차단부재(40)가 상기 가스홀(32)을 부분적으로 막고 있더라도, 상기 발포액(36)의 경화과정에서 발생하는 가스는 상기 가스홀(32)을 통해 아무 문제 없이 단열공간(A)을 빠져 나갈 수 있다.
다음은 상기 액유출차단부재(40)가 상기 발포액(36)의 유출을 차단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액유출차단부재(40)의 차단막(40a)이 상기 가스홀(32)의 중앙부를 횡방향으로 부분적으로 막고 있기 때문에, 상기 가스홀(32)의 중앙부로는 발포액(36)이 유출하지 못한다.
그리고, 상기 가스홀(32)의 상부슬릿(32b)과 하부슬릿(32c)을 통하여 단열공간(A)을 유출하는 발포액(36)은, 상기 액유출차단부재(40)의 상부루버(40b)와 하부루버(40c)에 의해서 유출이 제한된다.
즉, 상기 상부루버(40b)와 하부루버(40c)는 상기 백플레이트(30)에 대하여 경사각(θ)을 이루고 있어서, 발포액(36)이 상기 상부슬릿(32b)과 하부슬릿(32c)을 통과하는 데 있어서, 발포액(36)의 유동에 대하여 유동부하로서 작용한다.
동시에, 상기 상부루버(40b) 및 하부루버(40c)가 상기 백플레이트(30)와 경사각(θ)에 의해서 이루는 개방홈은 매우 작기때문에, 상기 발포액(36)은 단열공간(A)의 외부로 유출하기 어렴다.
그리고, 상기 상부루버(40b) 및 하부루버(40c)가 백플레이트(30)에 대하여 이루는 경사각(θ)이 작으면 작을수록, 상기 발포액(36)은 단열공간(A)의 외부로 유출하기가 더 어려울 것이다.
그러나, 종래 기술과 마찬가지로, 상기 상부슬릿(32b)과 하부슬릿(32c)을 통해서 극미량의 발포액(36)은 유출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액유출차단부재(40)의 형상을 가스홀(32)을 횡방향으로 막는 차단막(40a)과 상기 차단막(40a)에서 연장 성형된 상부루버(40b) 및 하부루버(40c)로 형성되는 구성을 하고 있으나, 이에 한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가스홀(32)을 부분적으로 막으면서, 상기 발포액(36)의 유출을 막는 구조라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루버형상이 상기 차단막(40a)을 중심으로 상하 두 곳에 설치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으나, 가스홀(32) 전체를 루버형상으로 하여 발포액(36)의 유출을 차단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는 별도의 부재 없이 백플레이트(30)와 일체로 루버형상의 액유출차단부재(40)를 성형함으로서, 간단한 구성에 의해서 가스는 유출시키면서 발포액(36)의 유출은 차단시키는 것임을 알 수 있다.
상기의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실시예에 불과하며,동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내에서 다른 변형된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과 작용을 가지는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기대된다.
우선, 본 발명에 의한 백플레이트 구조에 있어서는, 단열재로 사용되는 발포액의 유출을 차단하기 위한 부품을 별도로 사용하지 않아도 됨으로, 부품 코스트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단열재로 사용하는 발포액의 유출을 차단하기 위한 부품을 별도로 설치하는 작업공정이 없으므로, 제품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기대된다.

Claims (1)

  1. 인너케이스와의 사이에 단열 발포액을 충진하기 위한 백플레이트;
    상기 백플레이트에 형성되어 상기 단열 발포액의 발포과정에서 발생하는 가스를 외부로 유출시키기 위한 다수개의 가스홀; 그리고,
    상기 다수개의 가스홀을 부분적으로 막아서 상기 단열 발포액의 유출을 방지하고, 상기 백플레이트와 일체로 성형된 액유출차단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액유출차단부재는, 상기 단열 발포액의 유출흐름이 상기 백플레이트에서 저항을 받는 루버형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백플레이트 구조.
KR1020010000950A 2001-01-08 2001-01-08 냉장고 백플레이트 구조 KR1003664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0950A KR100366459B1 (ko) 2001-01-08 2001-01-08 냉장고 백플레이트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0950A KR100366459B1 (ko) 2001-01-08 2001-01-08 냉장고 백플레이트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9522A KR20020059522A (ko) 2002-07-13
KR100366459B1 true KR100366459B1 (ko) 2002-12-31

Family

ID=276910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0950A KR100366459B1 (ko) 2001-01-08 2001-01-08 냉장고 백플레이트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6645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6786A (ko) * 2002-10-24 2004-05-03 주식회사 성철사 냉장고의 배리어 단열구조
CN1896654B (zh) * 2005-07-15 2010-04-28 泰州乐金电子冷机有限公司 冰箱用隔热层排气结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9522A (ko) 2002-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89612B1 (en) Cooling device with waterproof structure
ITRM950367A1 (it) Condotto di aria fredda per frigoriferi.
KR200264494Y1 (ko) 냉장고의전면중앙부구조
JP2009115368A (ja) 冷蔵庫
ITRM950366A1 (it) Frigorifero di circolazione d'aria e dispositivo di distribuzione dell'aria con alette girevoli di diverse forme.
KR100366459B1 (ko) 냉장고 백플레이트 구조
US20080115522A1 (en) Door Duct Assembly For Refrigerator
JP2009042947A (ja) 自動販売機
JPH08152254A (ja) 冷凍冷蔵庫
JP3970737B2 (ja) 冷蔵庫
KR200290174Y1 (ko) 냉장고의 증발기 커버 고정 구조
JP2009115369A (ja) 冷蔵庫
KR100308090B1 (ko) 냉장고
KR200163961Y1 (ko) 냉장고의 냉기덕트구조
JP7097996B2 (ja) ダクト及び冷蔵庫
US20080115524A1 (en) Cool air supply structure for refrigerator
JP6744383B2 (ja) 冷蔵庫
KR200340665Y1 (ko) 냉장고용 도어의 가스배출구조
KR100582085B1 (ko) 냉장고의 측벽덕트 설치구조
KR20020059525A (ko) 냉장고 도어 가스홀 장착구조
JP6955608B2 (ja) 冷蔵庫
KR100582069B1 (ko) 냉장고의 도어덕트 조립체
JP4290137B2 (ja) 冷却システム
KR100582058B1 (ko) 냉장고의 도어덕트 조립체
JP5289265B2 (ja) 冷蔵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