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5830B1 - 자동차의 전자식 조향장치용 회전 토오크 센서의 접점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전자식 조향장치용 회전 토오크 센서의 접점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5830B1
KR100365830B1 KR1019990004658A KR19990004658A KR100365830B1 KR 100365830 B1 KR100365830 B1 KR 100365830B1 KR 1019990004658 A KR1019990004658 A KR 1019990004658A KR 19990004658 A KR19990004658 A KR 19990004658A KR 100365830 B1 KR100365830 B1 KR 1003658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torque sensor
hole
torsion bar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46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55818A (ko
Inventor
전형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199900046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65830B1/ko
Publication of KR200000558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58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58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583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00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steering depending on driving conditions sensed and responded to, e.g. control circuits
    • B62D6/08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steering depending on driving conditions sensed and responded to, e.g. control circuits responsive only to driver input torque
    • B62D6/10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steering depending on driving conditions sensed and responded to, e.g. control circuits responsive only to driver input torque characterised by means for sensing or determining torqu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5/00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G01L5/22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measuring the force applied to control members, e.g. control members of vehicles, triggers
    • G01L5/221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measuring the force applied to control members, e.g. control members of vehicles, triggers to steering wheels, e.g. for power assisted ste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7Torque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Steering Mechanism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전자식 조향장치용 회전 토오크 센서의 접점구조에 대한 것으로 서, 발명의 주된 목적은 스프링에 탄설된 볼을 사용하여 접지력을 높이고, 착탈식 콘넥터를 사용하여 장착 조립이 용이하도록 하는데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한 특징적인 수단은 하우징의 중심부에 내장된 토션바와, 토션바의 외주연에 감합된 인풋 샤프트와, 상기 토션바의 끝단과 연결된 아웃풋 샤프트로써, 조향 배력장치를 구성한 후, 상기 인풋샤프트에 고정하되, 회전기판을 가진 회전부재와, 상기 아웃풋샤프트에 고정하되, 원형기판을 가진 내측 원통부재와, 상기 회전부재의 둘레에 감합된 또 다른 외측 원통부재로 이루어진 토오크 센서에 있어서, 상기한 외측 원통부재의 상면으로부터 통공을 형성한 후, 끝단에 볼을 가지는 접촉구와, 상기 접촉구를 눌러주기 위한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을 단속하기 위해 통공에 나삽한 너트로써 접촉기구부를 형성하여 상기한 볼이 원형기판의 접촉환테에 접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전자식 조향장치용 회전 토오크 센서의 접점구조{Contact point ASS'Y electronic rotary torque sensor of car}
본 발명은 자동차의 전자식 조향장치용 회전 토오크 센서의 접점구조에 대한 것으로 서, 더 상세하게는 조향 핸들을 돌렸을 때 회전 토오크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하되, 접지 단자가 볼에 의한 점접촉 상태를 가짐은 물론 와이어 연결부를 콘넥터로 구성한데 특징이 있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조향 장치에는 유압을 이용하여 조향력을 배가 시키는 방법과 모터 등의 전기 장치를 이용하여 조향력을 배가 시키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후자의 경우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조향 핸들을 돌렸을 때, 그 힘이 하우징(1) 내부의 토션바(4)와 인풋 샤프트(2)에 전달되고, 인풋 샤프트(2)에서 아웃풋 샤프트(3)로 전달되는 과정에서 회전 토오크 센서(6)가 회전 토오크를 감지하여 ECU에 전달하고, ECU에서는 그 값에 따라 모터(51)를 포함하는 배력 구동장치(5)를 구동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회전 토오크 센서(6)를 보면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인풋샤프트(2)에 고정되는 회전부재(61)와 이 회전부재(61)의 하단에 축착고정된 회전기판(62), 그리고 아웃풋샤프트(3)에 고정되는 내측 원통부재(63)와 이 내측 원통부재(63)의 상면에 부착되면서 회전기판(62)의 아래에 위치하는 원형기판(64), 또 상기 회전부재(61)의 둘레에 감합한 외측 원통부재(65)와, 외측 원통부재(65)의 저면에 부착되면서 회전기판(62)의 상측에 위치하는 또 다른 원형기판(66)으로 이루어 지며, 이때, 상기한 회전기판(62)의 저면과 상면에 접촉단자(67)가 있어 그 상,하측에 위치되어 있는 원형기판(64)(66)들의 접점에 닿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회전 토오크 센서(6)에서는 다음과 같은 단점이 지적된다.
즉, 종래에는 회전하는 회전기판(62)에 대해 접촉단자(67)가 면접촉의 상태로 접촉하기 때문에 접촉불량의 상태가 있을 수 있고, 그 탄성이 약해지거나 마모되면 접촉이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측정값에 오차가 발생하는 폐단이 있고, 견고하지 못하기 때문에 수명이 오래가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 보완하고자 안출한 것으로서, 발명의 주된 목적은 스프링에 탄설된 볼을 사용하여 접지력을 높이고, 착탈식 콘넥터를 사용하여 장착 조립이 용이하도록 하는데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한 특징적인 수단은 하우징의 중심부에 내장된 토션바와, 토션바의 외주연에 감합된 인풋 샤프트와, 상기 토션바의 끝단과 연결된 아웃풋 샤프트로써, 조향 배력장치를 구성한 후, 상기 인풋샤프트에 고정하되, 회전기판을 가진 회전부재와, 상기 아웃풋샤프트에 고정하되, 원형기판을 가진 내측 원통부재와, 상기 회전부재의 둘레에 감합된 또 다른 외측 원통부재로 이루어진 토오크 센서에 있어서, 상기한 외측 원통부재의 상면으로부터 통공을 형성한 후, 끝단에 볼을 가지는 접촉구와, 상기 접촉구를 눌러주기 위한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을 단속하기 위해 통공에 나삽한 너트로써 접촉기구부를 형성하여 상기한 볼이 원형기판의 접촉환테에 접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전자식 조향장치를 보인 단면도
도 2는 종래의 회전 토오크 센서의 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회전 토오크 센서의 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접촉기구부 위치를 예시한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요부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하우징 2 : 인풋 샤프트
3 : 아웃풋 샤프트 4 : 토션바
5 : 배력 구동장치 6 : 토오크 센서
7 : 접촉기구부 71 : 볼
72 : 접촉구 73 : 스프링
74 : 너트 75 : 콘넥터 단자
76 : 와이어 77 : 콘넥터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작용을 첨부 도면에 따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구성을 보인 요부 단면도로서 상기 인풋샤프트(2)에 고정하되, 회전기판(62)을 가진 회전부재(61)와, 상기 아웃풋샤프트(3)에 고정하되, 원형기판(64)을 가진 내측 원통부재(63)와, 상기 회전부재(61)의 둘레에 감합된 또 다른 외측 원통부재(65)로 이루어진 토오크 센서장치부분이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특징은 상기한 외측 원통부재(65)의 상면으로부터 통공(70)을 형성한 후, 끝단에 볼(71)을 가지는 접촉구(72)와, 상기 접촉구(72)를 눌러주기 위한 스프링(73)과, 상기 스프링(73)을 단속하기 위해 통공(70)에 나삽한 너트(74)로써 접촉기구부(7)를 형성하여 상기한 볼(71)이 회전기판(62)의 접촉환테(69)에 접하도록 하는데 있으며, 이들은 상기 접촉환테가 3이상 복수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서로 다른 반경의 위치에 배열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접촉기구부(7)는 접촉구(72)와 상기 너트(74)를 와이어(76)로 연결하고, 상기 너트(74)에는 콘넥터 단자(75)를 일체로 입설 형성하여 기어박스 연결용 콘넥터(77)를 쉽게 끼워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외측 원통부재(65)에 설치할 때, 볼(71)을 가진 접촉구(72)를 먼저 통공(70)속으로 넣고, 그 위로 스프링(73)을 넣은 후, 너트(74)로써 체결하면 조립이 완료되는 것이며, 사실상 접촉구(72)와, 너트(74)와, 이들 사이에 끼워질 스프링(73)과, 접촉구(72)와 너트(74)를 잇는 와이어(76)는 미리 하나의 부품으로 형성하여 조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너트(74)에서 돌출 형성된 콘넥터 단자(75)에 기어박스로 연결되는 와이어의 콘넥터(77)를 끼우기만 하면 전원이 간단히 연결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외측 원통부재(65)의 구성 및 다른 여건에 따라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접촉구(72)의 모양과 너트(74)의 모양을 달리 형성할 수 있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접촉 단자를 접촉구(72)의 볼(71)이 접촉환테(69)에 접하도록 하되, 스프링(73)에 의해 탄설되어 있도록 하였기 때문에 접촉 상태가 항상 양호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토오크 측정시 오류가 발생이 예방되는 장점을 가질 뿐만 아니라, 너트(74)와 함께 콘넥터 단자(75)를 형성하고, 여기에 콘넥터(77)를 끼워 와이어(76)를 연결하기 때문에 조립작업이 매우 간단하고 신속하여 생산성이 향상된다.

Claims (2)

  1. 하우징(1)의 중심부에 내장된 토션바(4)와, 토션바의 외주연에 감합된 인풋 샤프트(2)와, 상기 토션바(4)의 끝단과 연결된 아웃풋 샤프트(3)로써, 조향 배력장치를 구성한 후, 상기 인풋샤프트(2)에 고정하되, 회전기판(62)을 가진 회전부재(61)와, 상기 아웃풋샤프트(3)에 고정하되, 원형기판(64)을 가진 내측 원통부재(63)와, 상기 회전부재(61)의 둘레에 감합된 또 다른 외측 원통부재(65)로 이루어진 토오크 센서에 있어서,
    상기한 외측 원통부재(65)의 상면으로부터 통공(70)을 형성한 후, 끝단에 볼(71)을 가지는 접촉구(72)와, 상기 접촉구(72)를 눌러주기 위한 스프링(73)과, 상기 스프링(73)을 단속하기 위해 통공(70)에 나삽한 너트(74)로써 접촉기구부(7)를 형성하여 상기한 볼(71)이 회전기판(62)의 접촉환테(69)에 접하도록 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전자식 조향장치용 회전 토오크 센서의 접점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접촉기구부(7)는 접촉구(72)와 상기 너트(74)를 와이어(76)로 연결하고, 상기 너트(74)에는 콘넥터 단자(75)를 일체로 입설 형성하여 기어박스 연결용 콘넥터(77)를 끼울 수 있도록 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전자식 조향장치용 회전 토오크 센서의 접점구조.
KR1019990004658A 1999-02-10 1999-02-10 자동차의 전자식 조향장치용 회전 토오크 센서의 접점구조 KR1003658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4658A KR100365830B1 (ko) 1999-02-10 1999-02-10 자동차의 전자식 조향장치용 회전 토오크 센서의 접점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4658A KR100365830B1 (ko) 1999-02-10 1999-02-10 자동차의 전자식 조향장치용 회전 토오크 센서의 접점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5818A KR20000055818A (ko) 2000-09-15
KR100365830B1 true KR100365830B1 (ko) 2002-12-26

Family

ID=195740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4658A KR100365830B1 (ko) 1999-02-10 1999-02-10 자동차의 전자식 조향장치용 회전 토오크 센서의 접점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6583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78077A1 (en) 2005-12-30 2007-07-12 Korea Pneumatic System Co., Ltd Vacuum ejector pumps
KR100972953B1 (ko) 2005-05-17 2010-07-29 주식회사 만도 조향장치용 토크센서 연결구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73727A (ja) * 1983-03-22 1984-10-01 Mitsubishi Electric Corp トルク検出器
JPS62113645A (ja) * 1985-11-13 1987-05-25 Aisin Seiki Co Ltd 電気式パワ−ステアリング装置の操舵トルク検出器
KR20000019301A (ko) * 1998-09-10 2000-04-06 밍 루 자동차용 전자식 조향장치의 회전 토오크 센서
KR20000025997A (ko) * 1998-10-16 2000-05-06 밍 루 자동차용 전동식 조향배력장치의 토오크 센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73727A (ja) * 1983-03-22 1984-10-01 Mitsubishi Electric Corp トルク検出器
JPS62113645A (ja) * 1985-11-13 1987-05-25 Aisin Seiki Co Ltd 電気式パワ−ステアリング装置の操舵トルク検出器
KR20000019301A (ko) * 1998-09-10 2000-04-06 밍 루 자동차용 전자식 조향장치의 회전 토오크 센서
KR20000025997A (ko) * 1998-10-16 2000-05-06 밍 루 자동차용 전동식 조향배력장치의 토오크 센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2953B1 (ko) 2005-05-17 2010-07-29 주식회사 만도 조향장치용 토크센서 연결구조
WO2007078077A1 (en) 2005-12-30 2007-07-12 Korea Pneumatic System Co., Ltd Vacuum ejector pump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5818A (ko) 2000-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65830B1 (ko) 자동차의 전자식 조향장치용 회전 토오크 센서의 접점구조
JP2000193541A (ja) コイル組立体の固定構造及び電動式パワ―ステアリング装置
WO2004009424A1 (ja)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EP0861753A2 (en) Combination switch
US6725734B1 (en) Rotation sensor
US4603599A (en) Steering system equipped with steering wheel center pad anti-rotation mechanism
CN211663327U (zh) 支撑座总成及具有该总成的助力转向装置
KR100972953B1 (ko) 조향장치용 토크센서 연결구조
CN216202032U (zh) 一种转角传感器安装结构
JPH02175335A (ja) フリーホイールハブ
KR20100038718A (ko) 토크 센서를 구비한 전동식 조향장치
KR20010047816A (ko) 자동차용 조향장치의 랙바용 서포트 요크의 간격 측정구조
KR100397711B1 (ko) 차량용 토크감지장치
JPH0531129U (ja) スタータ
JPH0332446Y2 (ko)
KR101939393B1 (ko) 토크 마그네트 이탈 방지구조
KR100377433B1 (ko) 자동차용 전자식 조향장치의 회전 토오크 센서
US5025884A (en) Free wheel hub system
KR100199754B1 (ko) 조향핸들장착용 혼구조
KR200299031Y1 (ko) 자동차용조향장치의액티브센터필구조
KR100604081B1 (ko) 스티어링 롤 커넥터의 중립 위치 결정 구조
KR19980038266U (ko) 조향핸들의 혼 와이어링구조
KR100358996B1 (ko) 자동차용 전자식 조향장치의 회전토오크 감지구조
JP2570959Y2 (ja) タイヤ空気圧警報装置における送信機の端子接続構造
CN111086555A (zh) 支撑座总成及具有该总成的助力转向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2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