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2953B1 - 조향장치용 토크센서 연결구조 - Google Patents

조향장치용 토크센서 연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2953B1
KR100972953B1 KR1020050040983A KR20050040983A KR100972953B1 KR 100972953 B1 KR100972953 B1 KR 100972953B1 KR 1020050040983 A KR1020050040983 A KR 1020050040983A KR 20050040983 A KR20050040983 A KR 20050040983A KR 100972953 B1 KR100972953 B1 KR 1009729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cb
bobbin
housing
coil
torque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09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18696A (ko
Inventor
김지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0500409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2953B1/ko
Publication of KR200601186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86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29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29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00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steering depending on driving conditions sensed and responded to, e.g. control circuits
    • B62D6/08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steering depending on driving conditions sensed and responded to, e.g. control circuits responsive only to driver input torque
    • B62D6/10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steering depending on driving conditions sensed and responded to, e.g. control circuits responsive only to driver input torque characterised by means for sensing or determining torqu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5/00Stee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15/02Steering position indicators ; Steering position determination; Steering aids
    • B62D15/021Determination of steering angle
    • B62D15/0215Determination of steering angle by measuring on the steering colum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7Torque 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0Hous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Steering Mechanis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조향장치용 토크센서 연결구조에 대한 것으로, 발명의 주된 목적은 검출링의 보빈 둘레에 접촉단자편을 마련하고, PCB(60) 측에 탄성을 가진 접촉편을 마련하여 하우징의 일측에 PCB 케이스를 밀착하고 조립하는것 만으로 코일이 PCB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데 있으며, 더 나가서 제품 조립 공정수를 줄이고 시간을 절약하며, 불량율을 낮추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 수단은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된 입력축(21)과 출력축(22), 상기 입력축과 출력축 사이에 연결된 토션바(23), 상기 출력축 및 입력축(21)의 둘레에 마련된 검출링(30), 상기 검출링(30)의 둘레에 비접촉 되도록 보빈(40)의 속에 권선된 코일 어셈블리(50), 상기한 하우징의 일측에 조립하기 위한 PCB(60)를 포함하는 PCB 케이스(61)로 이루어진 토크센서에 있어서, 상기한 보빈(40)의 둘레에 그 내부의 코일 끝단이 연결된 단자편(41)을 마련하고, 상기한 PCB(60)에 탄성 접촉기구(70)를 마련하여 상기 PCB(60)를 일체로 하는 PCB 케이스(61)를 조립하였을 때, 상기한 탄성 접촉기구(70)가 상기한 보빈(40)의 단자편(41)에 접촉되어 연결되도록 하여서 된 것이다.

Description

조향장치용 토크센서 연결구조 {CONNECTING STRUCTURE FOR TORQUE SENSOR OF STEERING SYSTEM}
도 1은 종래의 토크센서 연결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토크센서 연결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요부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 하우징 11 : 연결구멍
21 : 입력축 22 : 출력축
23 : 토션바 30 : 검출링
40 : 보빈 41 : 단자편
50 : 코일 어셈블리 51 : 코일
60 : PCB 61 : PCB 케이스
70 : 탄성 접촉기구 71 : 스프링홀더
72 : 코일스프링 73 : 접촉부
본 발명은 자동차의 조향장치용 토크센서 연결구조에 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비접촉식 토크센서에서 입력축과 출력축의 둘레에 설치되어 회전 토크를 감지하는 검출코일 어셈블리로부터 연장되는 코일을 하우징 외부의 PCB에 연결하기 용이하도록 하는데 특징이 있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티어링 시스템은 스티어링휠을 회전시켜 바퀴를 조향시키는 것으로서, 바퀴와 노면 사이에 작용하는 마찰력에 의해 스티어링휠과 바퀴 사이의 회전비가 다르게 나타난다.
따라서, 이를 측정하여 보상하기 위해 토크센서를 구비하는데, 이 토크센서는 스티어링휠과 바퀴의 회전각도 편차를 측정하여, 측정된 편차만큼 다른 동력수단으로 바퀴를 회전시켜 차량의 안전성을 높이게 된다.
이러한 토크센서는 스티어링휠과 연결되는 입력축과, 바퀴측에 연결되는 출력축의 외측에 다수개의 검출링을 설치하고 그 외측에 코일이 권선된 보빈을 설치하여 검출링 사이의 대향 면적과 자속 변화로 인한 인덕턴스 값을 측정한다.
이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우징(10)의 내부에 마련된 보빈(40)과 그 속에 구비된 검출 코일(51)로 이루어 지는 바, 상기한 코일은 하우징(10)의 일편에 내장되는 PCB(60)로 연결하도록 되어 있다.
즉,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은 종래의 구조에서는 상기 코일(51)로부터 연장 되는 코일끝단에 삽입단자편(91)을 마련하고, 상기 PCB(60)에 커넥팅부(92)를 구비하여 상기 삽입단자편(91)을 상기 커넥팅부(92)에 삽입하여 완성하도록 되어 있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연결구조는 상기 삽입단자편(91)의 코일이 느슨하게 길어지면 안되기 때문에 비교적 짧게 연장되어 있고, 따라서 상기 하우징(10)에 PCB 케이스(61)를 최대한 근접시킨 상태에서 삽입단자편(91)을 끼워야 하기 때문에 조립작업이 매우 번거로운 단점이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조립 작업시 삽입단자편을 너무 당겨서 단선되는 경우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 보완 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발명의 주된 목적은 검출링의 보빈 둘레에 접촉단자편을 마련하고, PCB(60) 측에 탄성을 가진 접촉편을 마련하여 하우징의 일측에 PCB 케이스를 밀착하고 조립하는것 만으로 코일이 PCB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데 있으며, 더 나가서 제품 조립 공정수를 줄이고 시간을 절약하며, 불량율을 낮추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 수단은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된 입력축과 출력축, 상기 입력축과 출력축 사이에 연결된 토 션바, 상기 출력축 및 입력축의 둘레에 마련된 검출링, 상기 검출링의 둘레에 비접촉 되도록 보빈의 속에 권선된 코일 어셈블리, 상기한 하우징의 일측에 조립하기 위한 PCB를 포함하는 PCB 케이스로 이루어진 토크센서에 있어서, 상기한 보빈의 둘레에 그 내부의 코일 끝단이 연결된 단자편을 마련하고, 상기한 PCB에 스프링 끝단에 구비시킨 탄성 접촉기구를 마련하여 상기 PCB를 일체로 하는 PCB 케이스를 조립하였을 때, 상기한 탄성 접촉기구가 상기한 보빈의 단자편에 접촉되어 연결되도록 하여서 된 것이다.
이때, 상기한 탄성 접촉기구는 상기 PCB에서 돌출된 채 고정된 스프링 홀더와, 상기 스프링홀더에 내장된 코일스프링과, 상기 코일스프링 끝단에 마련된 접촉부로 이루어진 것이다.
그리고 상기한 하우징은 각각의 보빈이 가지는 단자편에 상기 탄성 접촉기구가 접촉될 수 있도록 연결구멍을 마련하여서 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동을 첨부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토크센서 연결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요부 단면도이다.
상기 도 2에서 보듯이 토크센서는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된 입력축(21)과 출력축(22), 상기 입력축과 출력축 사이에 연결된 토션바(23), 상기 출력축 및 입력축(21)의 둘레에 마련된 검출링(30), 상기 검출링(30)의 둘레에 비접촉 되도록 보빈(40)의 속에 권선된 코일 어셈블리(50), 상기한 하우징의 일측 에 조립하기 위한 PCB(60)를 포함하는 PCB 케이스(61)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해서는 하우징(10)과, 보빈(40)과, PCB(60)가 개선되고, 탄성 접촉기구(70)가 추가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보빈(40)의 둘레에 그 내부의 코일 끝단이 연결된 단자편(41)을 마련하고, 상기한 PCB(60)에 구비시킨 탄성 접촉기구(70)를 마련하여 상기 PCB(60)를 일체로 하는 PCB 케이스(61)를 조립하였을 때, 상기한 탄성 접촉기구(70)가 상기한 보빈(40)의 단자편(41)에 접촉되어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한 탄성 접촉기구(70)는 상기 PCB(60)에서 돌출된 채 고정된 스프링 홀더(71)와, 상기 스프링 홀더(71)에 내장된 코일스프링(72)과, 상기 코일스프링 끝단에 마련된 접촉부(73)로 구성하는 것이다.
또, 상기한 하우징(10)은 각각의 보빈(40)이 가지는 단자편(41)에 상기 탄성 접촉기구(70)가 접촉될 수 있도록 적당한 위치에 연결구멍(11)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보빈(40)과 그 보빈 속의 코일(51)을 내장하여 제작할 때, 상기 보빈(40) 일측 표면, 즉, 상기 연결구멍(11)을 향하는 방향의 표면에 단자편(41)이 노출되도록 제작하여 조립한다.
또 상기한 PCB(60)에는 스프링 홀더(71)를 끼우고, 그 속에 코일스프링(72)과 그 끝단의 접촉부(73)가 구비되도록 하되, 이 접촉부(73)가 상기한 연결구멍(11)을 지나 보빈(40)의 단자편(41)에 접촉될 수 있도록 제작하여 조립한다.
그리고, 상기한 PCB 케이스(61) 속으로 PCB(60)를 조립한 후, 상기 PCB 케이스(61)를 하우징(10)에 조립할 때는 상기 접촉부(73)가 상기 단자편(41)에 접하도록 방향만 맞추어 끼우고 나사체결하면 손쉽게 조립작업이 끝나는 것이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검출링의 보빈 둘레에 단자편을 마련하고, PCB 측에 탄성을 가진 접촉부를 마련하였기 때문에 하우징의 일측에 PCB 케이스를 밀착하고 조립하는것 만으로 상기 접촉부가 단자편에 접촉되어 코일이 PCB로 연결될 수 있는 것이며, 상기 구조에 따라서 제품 조립 공정수를 줄이면서 시간을 절약하고, 불량율을 낮추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3)

  1.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된 입력축(21)과 출력축(22), 상기 입력축과 출력축 사이에 연결된 토션바(23), 상기 출력축 및 입력축(21)의 둘레에 마련된 검출링(30), 상기 검출링(30)의 둘레에 비접촉 되도록 보빈(40)의 속에 권선된 코일 어셈블리(50), 상기한 하우징의 일측에 조립하기 위한 PCB(60)를 포함하는 PCB 케이스(61)로 이루어진 토크센서에 있어서,
    상기한 보빈(40)의 둘레에 그 내부의 코일 끝단이 연결된 단자편(41)을 마련하고, 상기한 PCB(60)에 구비시킨 탄성 접촉기구(70)를 마련하여 상기 PCB(60)를 일체로 하는 PCB 케이스(61)를 조립하였을 때, 상기한 탄성 접촉기구(70)가 상기한 보빈(40)의 단자편(41)에 접촉되어 연결되도록 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향장치용 토크센서 연결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탄성 접촉기구(70)는 상기 PCB(60)에서 돌출된 채 고정된 스프링 홀더(71)와, 상기 스프링 홀더(71)에 내장된 코일스프링(72)과, 상기 코일스프링 끝단에 마련된 접촉부(73)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향장치용 토크센서 연결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하우징(10)은 각각의 보빈(40)이 가지는 단자편(41)에 상기 탄성 접촉기구(70)가 접촉될 수 있도록 연결구멍(11)을 마련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향장치용 토크센서 연결구조.
KR1020050040983A 2005-05-17 2005-05-17 조향장치용 토크센서 연결구조 KR1009729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0983A KR100972953B1 (ko) 2005-05-17 2005-05-17 조향장치용 토크센서 연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0983A KR100972953B1 (ko) 2005-05-17 2005-05-17 조향장치용 토크센서 연결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8696A KR20060118696A (ko) 2006-11-24
KR100972953B1 true KR100972953B1 (ko) 2010-07-29

Family

ID=377056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0983A KR100972953B1 (ko) 2005-05-17 2005-05-17 조향장치용 토크센서 연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295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0045Y1 (ko) 2008-12-16 2013-11-2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일렉트릭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5830B1 (ko) 1999-02-10 2002-12-26 주식회사 만도 자동차의 전자식 조향장치용 회전 토오크 센서의 접점구조
KR20030023917A (ko) * 2001-09-14 2003-03-26 민용 토크센서
JP2004047799A (ja) 2002-07-12 2004-02-12 Toyota Industries Corp 接続部材及び接続構造
JP2005123098A (ja) 2003-10-20 2005-05-12 Fujikura Ltd ジョイント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5830B1 (ko) 1999-02-10 2002-12-26 주식회사 만도 자동차의 전자식 조향장치용 회전 토오크 센서의 접점구조
KR20030023917A (ko) * 2001-09-14 2003-03-26 민용 토크센서
JP2004047799A (ja) 2002-07-12 2004-02-12 Toyota Industries Corp 接続部材及び接続構造
JP2005123098A (ja) 2003-10-20 2005-05-12 Fujikura Ltd ジョイント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8696A (ko) 2006-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48742B2 (en) Electric power steering system
JP4871014B2 (ja) トルクセンサ
KR101633127B1 (ko) 토크 측정장치
US10267692B2 (en) Torque sensing apparatus having a two part housing arrangement and a plurality of protrusions on the stator holder arranged in between
US10589782B2 (en) Power steering apparatus
US20090107259A1 (en) Torque Detecting Device
JP2007024885A (ja) 航空機のホイール用タコメータ
JPS63210740A (ja) トルクセンサ
JP6215609B2 (ja) モーター
KR100397712B1 (ko) 차량용 토크센서
JP4135493B2 (ja) 回転検出センサ
KR100972953B1 (ko) 조향장치용 토크센서 연결구조
WO2008087748A1 (ja) 電動式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KR100721099B1 (ko) 토크 센서
KR100746668B1 (ko) 자동차용 조향장치의 토오크센서
EP1178319B1 (en) Speed sensor integrated into a bearing cap
KR102228936B1 (ko) 휠 속도 측정이 정밀해지는 엑슬 어셈블리
KR100365830B1 (ko) 자동차의 전자식 조향장치용 회전 토오크 센서의 접점구조
KR100746718B1 (ko) 자동차용 조향장치의 토오크센서
KR20050094954A (ko) 자동차용 조향장치의 토오크센서
KR100365834B1 (ko) 자동차용 전동식 파워스티어링 장치
KR100366711B1 (ko) 자동차용 전동식 파워스티어링 장치
KR100795048B1 (ko) 자동차용 조향장치의 토오크센서
KR20030075652A (ko) 차량용 토크센서
JP4565943B2 (ja) 回転センサ付き軸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6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