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4449B1 - 렌즈셔터타입의 카메라의 렌즈안내기구 - Google Patents

렌즈셔터타입의 카메라의 렌즈안내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4449B1
KR100364449B1 KR1019970001094A KR19970001094A KR100364449B1 KR 100364449 B1 KR100364449 B1 KR 100364449B1 KR 1019970001094 A KR1019970001094 A KR 1019970001094A KR 19970001094 A KR19970001094 A KR 19970001094A KR 100364449 B1 KR100364449 B1 KR 1003644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optical axis
shutter
lens group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010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62795A (ko
Inventor
히로시 노무라
가즈요시 아제가미
다카미츠 사사키
Original Assignee
펜탁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3108196A external-priority patent/JPH09222545A/ja
Application filed by 펜탁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펜탁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9700627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627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44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44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7/00Control of exposure by setting shutters, diaphragms or filters, separately or conjointly
    • G03B7/08Control effected solely on the basis of the response, to the intensity of the light received by the camera, of a built-in light-sensitive device
    • G03B7/091Digital circuits
    • G03B7/097Digital circuits for control of both exposure time and apertur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2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08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adapted to co-operate with a remote control mechanism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1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by relative axial movement of several lenses, e.g. of varifocal objective lens
    • G02B7/1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by relative axial movement of several lenses, e.g. of varifocal objective lens controlled by a microcomput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04Bodies collapsible, foldable or extensible, e.g. book typ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2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 G03B17/14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interchangeably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7/00Control of exposure by setting shutters, diaphragms or filters, separately or conjointly
    • G03B7/08Control effected solely on the basis of the response, to the intensity of the light received by the camera, of a built-in light-sensitive device
    • G03B7/10Control effected solely on the basis of the response, to the intensity of the light received by the camera, of a built-in light-sensitive device a servo-motor providing energy to move the setting memb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9/00Exposure-making shutters; Diaphragms
    • G03B9/08Shutters
    • G03B9/10Blade or disc rotating or pivoting about axis normal to its plane
    • G03B9/24Adjusting size of aperture formed by members when fully open so as to constitute a virtual diaphragm that is adjustabl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46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s for zoom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22Secondary treatment of printed circuits
    • H05K3/28Applying non-metallic protective coatings
    • H05K3/281Applying non-metallic protective coatings by means of a preformed insulating foi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ens Barrels (AREA)

Abstract

서로 인접하게 위치되어 있는 제1부재와, 렌즈그룹을 지지하고 렌즈그룹의 광축을 따라서 제1부재에 대하여 이동가능한 제2부재; 제1부재로부터 제2부재로 광축방향으로 뻗어 있고 한쪽끝이 제2부재에 체결되어 있는 제1안내축; 제1부재에 제공된 렌즈셔터; 제1광센서와 이 제1광센서와 결합된 제1회전디스크를 포함하고 있는, 렌즈셔터에 의해서 형성된 다이어프램의 크기를 검출하는 제1부재에 제공된 제1인코더; 및 제2광센서와 이 제2광센서와 결합된 제2회전디스크를 포함하고 있는, 렌즈그룹의 축방향위치를 검출하는 제1부재에 제공된 제2인코더를 포함하고 있으며, 여기서 제1및 제2회전디스크가 제1안내축이 제 1과 제2회전디스크 사이에 위치되어 있는 상태로 안내축에 인접하게 위치되어 있는 렌즈안내기구가 개시되어 있다.

Description

렌즈셔터타입의 카메라의 렌즈안내기구{LENS GUIDE MECHANISM OF A LENS SHUTTER TYPE OF CAMERA}
본 발명은 줌렌즈의 전방렌즈그룹에 대하여 광축선을 따라서 줌렌즈의 후방렌즈그룹의 이동을 안내하는 렌즈셔터타입의 카메라의 줌렌즈의 렌즈안내기구에 환한 것이다.
제2부재에 대하여 이동가능하도록 소정의 방향으로 제1부재를 안내할 필요가 있을 때 그러한 방식으로 제1부재를 안내하는 장치는 제1 및 제2부재 위로 뻗어 있는 상태로 제공될 것이다. 다시 말해서, 이 장치의 일부분은 제1부재에 직접 제공될 것이고 그 장치의 나머지 부분은 제2부재에 직접 제공될 것이다. 이와 같이 안내장치를 제공하는 경우에 제1부재 또는 제2부재중의 하나 또는 이들 부재 둘다가 제공되는 안내장치의 상응하는 부분에 대하여 작은 크기의 공간만을 가지면 제 1부재 또는 제 2부재, 또는 이들 부재 둘다는 제공되는 안내장치의 상응하는 부분에 대하여 충분한 공간을 가지도록 크게 형성될 것이다. 그러나, 이것은 제1부재 또는 제1부재의 크기, 또는 이들 부재 둘다의 크기를 증가시킨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다른 하나의 부재에 대하여 이동가능하도록 소정의 방향(예를 들어, 렌즈그룹의 광축)을 따라서 하나의 부재(예를 들어, 렌즈그룹을 지지하는 렌즈프레임)를 안내하는 렌즈셔터타입의 카메라의 공간효율적인 렌즈 안내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줌렌즈배럴의 일부분을 도시하고 있는 확대 개략 사시도;
도 2는 맞물림상태로 도 1에서 도시된 줌렌즈배럴의 일부분을 도시하고 있는 개략 사시도;
도 3은 줌렌즈배럴의 일부분을 도시하고 있는 확대 분해 사시도;
도 4는 줌렌즈배럴의 AF/AE 셔터유니트가 제1이동배럴에 장착되어 있는 상태를 예시하고 있는 개략 사시도;
도 5는 도 1, 도 2, 도 3 또는 도 4에서 도시된 줌렌즈배럴의 AF/AE 셔터유니트의 주부분을 예시하고 있는 분해 사시도;
도 6은 줌렌즈배럴의 제 3 이동배럴의 확대 개략 사시도;
도 7은 줌렌즈배럴의 고정렌즈배럴블록의 정면도;
도 8은 최대신장상태의 줌렌즈배럴의 상부부분의 단면도;
도 9는 수용된 상태의 필수적인 구성요소를 예시하고 있는 줌렌즈배럴의 상부부분의 단면도;
도 10은 최대신장상태의 도 9에서 도시된 줌렌즈배럴의 상부부분의 단면도;
도 11은 수용된 상태의 줌렌즈배럴의 상부부분의 단면도;
도 12는 줌렌즈배럴의 전반적인 구조의 분해 사시도;
도 13은 줌렌즈배럴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시스템의 블록다이어그램;
도1 4는 줌렌즈배럴의 렌즈구동기구의 분해 사시도;
도 15는 도 14에서 도시된 렌즈구동기구의 일부분의 개략 평면도;
도 16은 AF/AE 셔터유니트의 일부분의 개략 정면도;
도 17은 AF/AE 셔터유니트의 일부분의 개략 평면도;
도 18은 도 12에서 도시된 선형안내배럴의 확대 사시도;
도 19는 안에서 전방렌즈그룹을 지지하는 렌즈지지배럴과, 이 렌즈지지배럴과 나사맞물림결합되는 렌즈고정링의 상부부분의 단면도;
도 20은 도 19에서 도시된 렌즈지지배럴의 확대 사시도; 및
도 21은 도 19에서 도시된 렌즈고정링의 일부분의 확대 단면도.
상기 언급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양상에 따라 서로 인접하게 위치되어 있는 제1부재(40)와, 렌즈그룹(L2)을 지지하고 렌즈그룹의 광축을 따라서 제1부재에 대하여 이동가능한 제2부재(50); 제1부재로부터 제2부재로 광축방향으로 뻗어 있고 한쪽끝이 제2부재(50)에 체결되어 있는 제1안내축(52); 제1부재에 제공된 렌즈셔터(27); 제1광센서(56)와, 이 제1광센서와 결합된 제1회전디스크(58)를 포함하고 있는, 렌즈셔터에 의해서 형성된 다이어프램의 크기를 검출하는 제1부재에 제공된 제1인코더; 및 제2광센서(57)와, 이 제2광센서와 결합된 제2회전디스크(59)를 포함하고 있는, 렌즈그룹의 축방향위치를 검출하는 제1부재에제공된 제2인코더를 포함하고 있으며, 여기서 제1 및 제2회전디스크가 제1안내축이 제1 및 제2회전디스크 사이에 위치되어 있는 상태로 안내축에 인접하게 위치되어 있는 렌즈안내기구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제1 및 제2광센서는 광차단기이고, 각각의 제1 및 제2회전디스크는 복수의 슬릿이 구비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렌즈안내기구는 제1나사부가 형성되어 있고 광축방향으로 뻗어 있으며 한쪽끝이 제2부재에 체결되어 있는 나사축(43)을 더 포함하고 있다.
바람직하게는, 렌즈안내기구는 광축방향으로 뻗어 있고 광축방향으로 안내되어지도록 제1부재에 의해서 지지되고 한쪽끝이 제2부재에 체결되어 있는 제2안내축(51)을 더 포함하고 있으며, 여기서 제1 및 제2안내축이 광축에 대하여 서로 실질적으로 마주보게 위치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렌즈안내기구는 제1나사부가 형성되어 있고 광축방향으로 뻗어 있고 한쪽끝이 제2부재에 체결되어 있는 나사축(43)을 더 포함하고 있으며, 여기서 나사축이 제2안내축에 인접하게 위치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나사축 및 제2안내축의 다른끝은 공통지지판(306)에 의해서 지지된다.
바람직하게는, 제1안내축(52)은 제2부재가 제1부재에 대하여 나사축을 중심으로 한 회전을 방지하도록 광축방향으로 제1부재에 미끄럼이동가능하게 지지된다.
바람직하게는, 제1부재는 제1부재에 형성되고 제1부재의 방사상방향으로 내측으로 오목하게 된 지지홈(40i)을 포함하고 있으며, 여기서 제1안내축은 광축방향으로 미끄럼이동가능한 방식으로 지지홈에 끼워맞춤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부재는 다른 하나의 렌즈그룹(L1)을 지지하는 렌즈지지배럴(34)을 지지한다.
바람직하게는, 렌즈안내기구는 제1부재에 대하여 광축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제1부재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제2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는 내주상에 축방향중심에서 구멍을 포함하고 있고, 제2나사부가 제1나사부와 맞물림한 상태로 나사축에 회전가능하게 끼워맞춤되어 있는 기어(42a)를 더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라, 전방 및 후방렌즈그룹을 포함하고 있는 제1렌즈그룹에 대하여 광축을 따라서 이동하도록 후방렌즈그룹을 구동하는 후방렌즈그룹 구동기구가 구비되어 있는 줌렌즈가 제공되어 있으며 이 줌렌즈는 복수의 셔터블레이드로 이루어진 렌즈셔터를 지지하는 셔터장착스테이지(40); 후방렌즈그룹을 지지하고 광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지 않으며 셔터장착스테이지에 대하여 광축을 따라서 이동가능한 렌즈지지부재(50); 광축방향으로 제1부재로부터 제2부재로 뻗어 있고 제1안내축의 후방끝이 제2부재(50)에 체결되어 있으며 제1부재에 대하여 광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고 제1부재의 원주방향으로 이동불가능하도록 제1부재에 지지된 제1안내축(52); 광축방향으로 뻗어 있고, 광축방향으로 안내되어지도록 셔터장착스테이지에 지지되어 있고, 제2안내축의 후방끝은 렌즈지지부재(50)에 체결되어 있는 제2안내축(51); 셔터장착스테이지에 대하여 광축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셔터장착스테이지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암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는 내주상에 축선방향중심에서 구멍을 포함하고 있는 기어(42a); 수나사부가 형성되어 있고, 광축방향으로 뻗어 있고, 후방끝이 렌즈지지부재에 체결되어 있고, 기어가 암나사부가 수나사부와 맞물림상태로 나사축에 회전가능하게 끼워맞춤되어 있는 나사축(43); 제1광센서와, 이 제1광센서와 결합된 제1회전디스크를 포함하고 있는, 렌즈셔터에 의해서 형성된 다이어프램의 크기를 검출하는 셔터장착스테이지에 제공되어 있는 제1인코더; 및 제2광센서와, 이 제2광센서와 결합된 제2회전디스크를 포함하고 있는, 후방렌즈그룹의 축선방향의 위치를 검출하는 셔터장착스테이지에 제공된 제2인코더를 포함하고 있으며, 여기서 제1 및 제2안내축이 광축에 대하여 서로 실질적으로 마주보게 위치되어 있고, 그리고 제1 및 제2회전디스크가 제1안내축이 제1 및 제2회전디스크 사이에서 위치되어 있는 상태로 제1안내축에 인접하게 위치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줌렌즈는 광축으로부터 순서대로 동심으로 배열된 제1이동배럴, 제2이동배럴 및 제3이동배럴을 포함하고 있으며, 여기서 제1이동배럴은 셔터장착스테이지를 지지하고 있다.
본 발명은 동일한 구성요소가 동일한 부재번호에 의해서 표시된 첨부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아래에 설명될 것이다.
도 13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줌렌즈카메라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포함하는 다양한 구성요소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이 줌렌즈카메라의 개념은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줌렌즈카메라는 3개의 이동배럴, 즉 광축(0)으로부터 순서대로 동심으로 배열된 제1이동배럴(20), 제2이동배럴(19) 및, 제3이동배럴(16)을 가진 3단계 딜리버리 타입(신축타입)의 줌렌즈배럴(줌렌즈)(10)을 구비하고 있다. 줌렌즈배럴(10)에 있어서 2개의 렌즈그룹 즉 포지티브 파워를 가진 전방렌즈그룹(L1)과 네가티브 파워를 가진 후방렌즈그룹(L2)은 촬영광학시스템으로서 제공된다.
카메라 본체에는 전체광학유니트 구동모터제어기(60), 후방렌즈그룹 구동모터제어기(61), 줌작동장치(62), 초점작동장치(63), 대물거리측정장치(64), 광측정장치(65), 및 AE(즉, 자동노출) 모터제어기(66)가 제공된다. 피사체 대 카메라 거리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데 사용되는 대물거리측정장치(64)의 특정초점시스템이 본 발명의 부분을 형성하지 않더라도, 이러한 적당한 시스템은 1996년 2월 22일에 출원된 미합중국 특허출원 일련번호 제 08/605,759호에 개시되어 있으며 이것의 전체상세는 참고문헌으로 제출되었다. 미합중국 특허출원 일련번호 제 08/605,759호에 개시된 초점시스템은 소위 "수동"타입이며 다른 알려진 자동초점시스템(예컨대, 적외선 빛과 삼각측량에 기초한 시스템과 같은 작동범위 파인딩 시스템)이 사용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술된 미합중국 특허출원 일련번호 제 08/605,759호에 개시된 광측정 시스템은 광측정장치(65)로서 실행될 수 있다.
줌작동장치(62)는 카메라 본체상에 제공된 수동식 줌작동레버(도시안됨) 또는 카메라 본체상에 제공된 한쌍의 줌버튼(도시안됨), 예컨대 "광각" 줌버튼과 "망원" 줌버튼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줌작동장치(62)가 작동되면, 전체광학유니트 구동모터제어기(60)는 전체광학유니트 구동모터(25)를 구동시켜 초점길이 및 초점지점에 관계없이 전방렌즈그룹(L1)과 후방렌즈그룹(L2)을 후방 또는 전방으로 이동시킨다. 다음의 설명에 있어서, 전체광학유니트 구동모터제어기(60)(모터(25))에 의한 렌즈그룹(L1, L2)의 전방 및 후방운동은 줌작동장치(62)가 "망원"과 "광각 "위치로 작동될 때 렌즈그룹(L1, L2)의 전방 및 후방운동이 발생되므로 "망원"을 향한 운동과 "광각"을 향한 운동으로 각각 칭한다.
카메라 본체내에 제공된 줌파인더(67)의 시야의 상 배율은 줌작동장치(62)의 작동을 통하여 초점변화와 연속하여 변화한다. 그러므로, 촬영자는 파인더의 시약의 상배율의 변화를 관찰함으로써 초점길이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줌작동장치(62)의 작동에 의해서 설정된 초점길이는 LCD(액정 디스플레이) 패널(도시안됨)등 상에 표시된 값에 의해서 감지될 수 있다.
초점작동장치(63)가 작동되면, 전체광학유니트 구동모터제어기(60)는 전체광학유니트 구동모터(25)를 구동시킨다. 동시에 후방렌즈그룹 구동모터제어기(61)는 후방렌즈그룹 구동모터(30)를 구동시킨다. 전체광학유니트 구동모터제어기(60)와 후방렌즈그룹 구동모터제어기(61)의 구동으로 인해, 전방 및 후방렌즈그룹(L1, L2)은 설정된 초점길이와 검출된 대물거리에 대응하는 각각의 위치로 이동하며 이에따라 줌렌즈는 피사체에 초점이 맞춰진다.
특히, 초점작동장치(63)는 카메라 본체의 상부벽 상에 제공된 릴리즈 버튼(도시안됨)을 구비하고 있다. 광측정스위치와 릴리즈 스위치(둘다 도시안됨)는 릴리즈 버튼과 동조된다. 릴리즈 버튼이 절반눌러지면(절반단계), 초점작동장치(63)는 광측정스위치가 ON되도록 하고 대물거리측정과 광측정명령은 각각 대물거리측정장치(64)와 광측정장치(65)에 각각 입력된다.
릴리즈 버튼이 완전하게 눌러지면(완전단계), 초점작동장치(63)는 릴리즈 스위치가 ON되도록 하며 대물거리측정명령 및 설정된 초점길이의 결과에 따라 전체광학유니트 구동모터(25)와 후방렌즈그룹 구동모터(30)는 구동되며, 전방렌즈그룹(L1)과 후방렌즈그룹(L2)이 초점위치로 이동하는 초점작동이 실행된다. 더욱이, AF/AE (즉, 자동초점/자동노출) 셔터 유니트(전기 유니트)(21)(도 11)의 AE모터(29)는 셔터(렌즈셔터)(27)를 작동시키도록 AE 모터제어기(66)를 통하여 구동된다. 셔터작동중에, AE 모터제어기(66)는 AE 모터(29)를 구동시켜 광측정장치(65)로부터의 광측정 정보출력에 따라 특정기간의 시간동안에 셔터(27)의 셔터 블레이드(27a)를 개방시킨다.
줌작동장치(62)가 작동되면, 줌작동장치(62)는 전체광학유니트 구동모터(25)를 구동시켜 전방 후방렌즈그룹(L1, L2)을 전체로서 함께 광축(0)의 방향(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러한 운동과 동시에, 후방렌즈그룹 구동모터(30)는 또한 전방렌즈그룹(L1)에 대한 후방렌즈그룹(L2)을 이동시키도록 후방렌즈그룹 구동모터제어기(61)를 통하여 구동될 수 있다. 하지만, 이것은 초점길이가 초점지점의 위치를 이동시키지 않고 연속적으로 변화되는 줌밍의 종래개념하에서 실행되지 않는다. 줌작동장치(62)가 작동되면, 다음의 2 모드는 이용할 수 있다:
1. 단지 전체광학유니트 구동모터(25)만 구동시킴으로써 전방렌즈그룹과 후방렌즈그룹 사이의 거리를 변화시키지 않으며 전방렌즈그룹(L1)과 후방렌즈그룹(L2)을 광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모드; 및
2. 전체광학유니트 구동모터(25)와 후방렌즈그룹 구동모터(30) 양자를 구동시킴으로써 전방렌즈그룹과 후방렌즈그룹 사이의 거리를 변화시키며전방렌즈그룹(L1)과 후방렌즈그룹(L2)을 광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모드.
모드(1)에 있어서, 줌밍작동동안 초점맞춤상태는 특정거리에 위치된 피사체에 대한 항상 얻어질 수 없다. 하지만, 피사체의 상이 촬영광학시스템을 통하여 관찰되지 않고 촬영광학시스템으로부터 분리제공되는 파인더 광학시스템을 통하여 관찰되므로 이것은 렌즈셔터타입의 카메라에 있어서 문제가 되지 않으며 셔터가 릴리즈될 때에 초점이 맞춰지는 것은 충분하다. 모드(2)에 있어서, 줌밍작동동안에, 전방렌즈그룹(L1)과 후방렌즈그룹(L2)은 초점지점이 이동하던지에 상관없이 이동되며, 셔터가 릴리즈되면, 초점작동(초점조정작동)은 전체광학유니트 구동모터(25)와 후방렌즈그룹구동모터(30) 양자를 작동시킴으로써 달성된다.
초점작동장치(63)가 줌작동장치(62)에 의해서 설정된 초점길이범위의 적어도 일부분에서 작동되면, 전체광학유니트 구동모터(25)와 후방렌즈그룹 구동모터(30)는 구동되어 피사체에 초점을 맞춘다. 전체광학유니트 구동모터(25)와 후방렌즈그룹 구동모터(30)에 의한 각 렌즈그룹(L1 또는 L2)의 이동량은 대물거리측정장치(64)로부터 제공된 피사체 거리정보를 사용할 뿐아니라 줌작동장치(62)에 의해서 설정된 초점길이정보를 사용함으로써 결정된다. 이러한 방식에 있어서, 초점작동장치(63)가 작동되면, 전체광학유니트 구동모터(25)와 후방렌즈그룹 구동모터(30)양자를 작동시킴으로써 렌즈그룹(L1, L2)의 위치는 캠으로 제어되는 렌즈와 비교하여 볼 때 유연하게 제어될 수 있다.
이 실시예의 줌렌즈카메라는 또한 줌작동장치(62)의 작동동안에 줌파인더(67)의 배율과 초점길이정보만이 전체광학유니트 구동모터(25) 또는 후방렌즈그룹구동모터(30)중의 하나를 구동시키지 않으며 변화되는 상이한 방식으로 제어될 수 있다. 초점작동장치(63)가 작동되면, 전체광학유니트구동모터(25)와 후방렌즈그룹구동모터(30)는 대물거리측정장치(64)에 의해서 얻어진 초점길이정보와 피사체 거리정보에 따라 동시에 작동되어 전방렌즈그룹(L1)과 후방렌즈그룹(L2)을 초점길이 및 피사체 거리정보에 따라 결정된 각각의 위치로 이동시킨다.
상기 개념에 따른 줌렌즈배럴의 실시예는 주로 도 11과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줌렌즈배럴(10)의 전체구조가 먼저 설명된다.
줌렌즈배럴(10)은, 제1이동배럴(20), 제2이동배럴(19), 제3이동배럴(16) 및 고정렌즈배럴블록(12)을 구비하고 있다. 제3이동배럴(16)은 고정렌즈배럴블록(12)의 원통형부분(12p)과 맞물리고 그리고 회전함에 따라 광축방향으로 이동한다. 제3이동배럴(16)은 그 내주상에서 회전이 제한되는 선형안내배럴(17)을 구비하고 있다. 선형안내배럴(17)과 제3이동배럴(16)은 전체로서 함께 광축방향으로 이동하며여기에서 제3이동배럴(16)은 선형안내배럴(17)에 대해 회전한다. 제1이동배럴(20)은 그 회전이 제한된 상태로 광축방향으로 이동한다. 제2이동배럴(19)은 선형안내배럴(17)과 제1이동배럴(20)에 대해 회전하는 동안에 광축방향으로 이동한다. 전체광학유니트 구동모터(25)는 고정렌즈배럴블록(12)에 체결된다. 셔터 장착 스테이지(40)는 제1이동배럴(20)에 체결된다. AE 모터(29)와 후방렌즈그룹 구동모터(30)는 셔터 장착스테이지(40) 상에 장착된다. 전방렌즈그룹(L1)과 후방렌즈그룹(L2)은 렌즈지지배럴(렌즈지지환형의 부재)(34)과 렌즈지지배럴(50)에 의해서 각각 지지된다.
고무 등으로 이루어진 O링(70)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전방 근처에 있는 렌즈지지배럴(34)의 외주원주표면과 그 전방끝 근처에 있고 제1이동 배럴(20)과 일체로 형성된 내부 플랜지 부분(20b)의 내주 원주표면 사이에 위치되어 있다. O링(70)은 물이 제1이동배럴(20)과 렌즈지지배럴(34) 사이의 선단 끝에서 줌렌즈배럴(10)을 침입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렌즈그룹(L1)은 5개의 렌즈, 즉 대물측으로부터 상측으로, 즉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으로부터 우측으로의 이러한 순서로 제1렌즈(전단렌즈)(L1a), 제2렌즈(L1b), 제3렌즈(L1c), 제4렌즈(L1d), 및 제5렌즈(L1e)로 이루어진다.
제2렌즈(L1b)와 제3렌즈(L1c) 사이의 거리를 결정하기 위한 전방위치조정링(36)은 제2렌즈(L1b)와 제3렌즈(L1c) 사이에서 위치되어 유지된다. 위치조정링(36)의 외주표면은 렌즈지지배럴(34)의 내주표면상에 끼워진다. 또한, 제3렌즈(L1c)와 제4렌즈(L1d) 사이의 거리를 결정하기 위한 후방위치조정링(37)은 제3렌즈(L1c)와 제4렌즈(L1d) 사이에서 위치되고 유지된다. 위치조정링(37)의 외주표면은 렌즈지지배럴(34)의 내주표면상에 끼워진다. 제4렌즈(L1d)의 후방표면과 제5렌즈(L1e)의 전방표면이 서로 접합되어 제4 및 제5렌즈(L1d, L1e)가 접합 또는 합성렌즈로 형성된다. 그 원주에지를 따라 제2렌즈(L1b)의 전방원주에지(L1f)는 제1렌즈(L1a)의 후방표면과 접촉한다. 그 원주에지를 따라 제5렌즈(L1e)의 후방원주에지(L1g)는 렌즈지지배럴(34)의 후방 끝과 일체로 형성된 내측돌출플랜지(34b)와 접촉한다.
암나사부(34a)는 도 19 또는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지지배럴(34)의 전방부분의 내주상에 형성되어 있다. 제1렌즈(L1a)를 젠즈지지배럴(34)에 고정하기 위한 렌즈고정링(72)은 렌즈지지배럴(34)과 맞물린다. 이러한 배열에 있어서, 렌즈고정링(72)의 외주표면상에 형성된 수나사부(72a)는 암나사부(34a)와 정합한다. 원형맞닿음표면(72b)은 렌즈고정링(72)상에서 그 내주표면상에 형성되어 있다. 원형맞닿음표면(72b)은 렌즈고정링(72)이 렌즈지지배럴(34)과 적당하게 나사결합될 때의 상태에서 제1렌즈(L1a)의 전방표면의 원주부분(fp)과 접촉한다. 원형맞닿음표면(72b)은 원주부분(fp)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형성되어 원형맞닿음표면(72b)과 원주부분(fp)은 렌즈고정링(72)이 렌즈지지배럴(34)과 적당하게 나사결합될 때에 서로 단단하게 접촉한다.
지지링부분(34c)은 렌즈지지배럴(34)과 일체로 형성된다. 지지링부분(34c)은 암나사부(34a)로부터 렌즈지지배럴(34)의 방사상 방향으로 내측에 위치된다. 광축방향으로 뻗어있는 지지링부분(34c)의 내주표면은 제1렌즈(L1a)의 외주에지 또는 표면(op)과 접촉한다. 광축(0)에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뻗어있는 환형의 위치조정표면(34d)은 렌즈지지배럴(34) 상에서 지지링부분(34c) 바로 뒤에 형성된다. 제1렌즈(L1a)의 후방표면의 원주에지는 위치조정표면(34d)과 접촉한다. 이러한 구조에 있어서, 제1렌즈(L1a)는 원형맞닿음표면(72b)과 위치조정표면(34d) 사이에서 광축방향으로 움직이지 않게 유지되며 제1렌즈(L1a)는 지지링부분(34c)에 의해서 광축(0)에 수직인 방사상 방향으로 움직이지 않게 유지된다.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팅(72e)은 원형맞닿음표면(72b) 상에 피복된다. 코팅(72e)은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방수코팅이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Fantas Coat SF-6(Origin Denki Kabushiki Kaisha"의 일본회사에 의해서 제조된 코팅의 상표명)은 코팅(72e)으로서 사용된다. 제1렌즈(L1a)의 전방표면은 대단히 매끄럽게 형성된 반면에 렌즈고정링(72)의 원형맞닿음표면(72b)은 제1렌즈(L1a)의 전방표면과 같이 매끄럽지 않게 형성되어 있다(즉, 거친 다듬질을 하였음). 이것은 제1렌즈(L1a)가 정밀한 광학요소이므로 제1렌즈(L1a)가 렌즈고정링(72)보다 더 정밀하고 정확하게 형성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사실 때문에, 코팅(72e)이 원형맞닿음표면(72b)상에 형성되지 않으면, 실질적인 갭은 원형맞닿음표면(72b)이 렌즈고정링(72)을 암나사부(34a)와 적당하게 나사결합시킴으로써 원주부분(fp)과 적당하고 단단하게 접촉하더라도 원형맞닿음표면(72b)과 원주부분(fp) 사이에 형성되어진다. 그 결과, 물 또는 습기는 실질적인 갭을 통하여 렌즈지지배럴(34)내로 침입될 수 있다. 하지만, 이 실시예에 있어서, 코팅(72e)은 원형맞닿음표면(72b)이 원주부분(fp)과 적당하게 접촉할 때 그 표면이 원형맞닿음표면(72b)과 원주부분(fp) 사이의 이러한 갭을 형성하지 않게 하는 매끄러운 표면을 이룰 수 있도록 원형맞닿음표면(72b)에 도포된다. 따라서, 원형맞닿음표면(72b)과 원주부분(fp) 사이에 위치되고 유지되는 코팅(72e)은 원형맞닿음표면(72b)이 렌즈고정링(72)을 암나사부(34a)와 적당하게 나사결합시킴으로써 원주부분(fp)과 적당하고 단단하게 접촉하는 상태하에서 물 또는 습기가 원형맞닿음표면(72b)과 원주부분(fp) 사이의 렌즈지지배럴(34)을 침입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한다.
원형표면(72c)은 렌즈고정링(72)상에 형성되어 있다. 원형표면(72c)은 원형맞닿음표면(72b)에 연결되어 있고 방사상 방향으로 원형맞닿음표면(72b)으로부터 바로 외측에 위치되어 있다. 제1렌즈(L1a)의 외부원주표면(op)의 전방부분(즉, 제1렌즈(L1a)의 원주에지)은 렌즈고정링(72)이 암나사부(34a)와 적당하게 맞물리면 원형표면(72c)과 접촉한다. 외부원주표면(op)과 접촉하는 원형표면(72c)으로 인해, 코팅(72e)에 의해서 실현되는 원형맞닿음표면(72b)과 원주부분(fp) 사이의 방수구조는 향상된다. 즉, 제1렌즈(L1a)와 렌즈고정링(72) 사이의 고효율의 방수연결은 코팅(72e)과 원형표면(72c) 양자에 렌즈고정링(72)을 제공함으로 실현된다.
환형의 오목부분(34e)은 암사사부(34a)와 지지링부분(34c) 사이의 렌즈지지배럴(34)상에 형성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고정링(72)이 암나사부(34a)와 적당하게 나사결합되는 상태에 있어서, 렌즈고정링(72)의 후방 끝(72d)은 환형의 오목부분(34e)내에서 후방끝(72d)이 오목부분(34e)의 바닥(즉, 후단 끝)과 접촉하지 않는 상태로 위치되며 즉, 환형의 공간은 환형의 오목부분(34e)내에서 후방 끝(72d)과 오목부분(34e)의 바닥사이에 형성되어진다.
고정렌즈배럴블록(12)은 카메라 본체에 고정된 구멍판(14)의 전방에 고정된다. 구멍판(14)은 그 중심상에서 노출된 각 프레임의 제한부를 형성하는 장방형 구멍(14a)을 구비하고 있다. 고정렌즈배럴블록(12)은 원통형부분(12p)의 내주상에서 암나선체(12a)와 또한 각각이 광축(0)과 평행하게 뻗어있는 즉, 광축방향으로 뻗어있는 복수의 선형안내홈(12b)을 구비하고 있다. 선형안내홈(12b)중 하나의 바닥(즉 12b')에는 소정의 코드 패턴을 가진 코드판(13a)이 고정되어 있다.코드판(13a)은 광축방향으로 뻗어있고 실질적으로 고정렌즈배럴블록(12)의 전체길이를 따라 뻗어있다. 코드판(13a)은 고정렌즈배럴블록(12)의 외측에 위치된 가요성 프린트회로판(13)의 부분이다.
고정렌즈배럴블록(12)에 있어서, 방사상 방향으로 고정렌즈배럴블럭(12)의 원통형부분(12p)의 내주에서 외측으로 오목하게 되어 있고 광축방향으로 뻗어있는 기어하우징(12c)이 도 7 또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공된다. 기어하우징(12c)내에는 광축방향으로 뻗어있는 구동피니언(15)이 회전가능하게 유지된다. 구동 피니언(15)의 축방향 축(7)의 양 끝은 고정렌즈배럴블록(12)내에 제공된 지지중공부(4)와 멈춤나사(도시안됨) 각각에 의해서 고정렌즈배럴블록(12)상에 고정된 기어지지판(31)상에서 제공되는 지지중공부(31a)에 의해서 회전되게 지지된다. 구동피니언(15)의 톱니부분이 고정렌즈배럴블록(12)의 원통형부분(12p)의 내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하여 구동피니언(15)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이동배럴(16)의 외주기어(16b)와 정합한다.
제3이동배럴(16)의 내주상에는 각각이 광축(0)에 평행하게 각각 뻗어있는 복수의 선형안내홈(16c)이 형성된다. 제3이동배럴(16)의 후방 끝의 외주에는 숫나선체(16a)와 상술된 외주기어(16b)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공된다. 숫나선체(16a)는 고정렌즈배럴블록(12)의 암나선체(12a)와 맞물린다. 외주기어(16b)는 구동피니언(15)과 맞물린다. 구동 피니언(15)은 광축방향으로의 제3이동배럴(16)의 전체범위를 통하여 외주기어(16b)와 맞물릴수 있는 충분한 축방향 길이를 가지고 있다.
도 12 또는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형안내배럴(17)은 그 외주의 후방부분 상에서 후방끝플랜지(17d)를 구비한다. 후방끝플랜지(17d)는 광축(0)으로부터 방사상 방향으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각각 돌출한 복수의 맞물림 돌출부(17c)를 가지고 있다. 선형안내배럴(17)은 후방끝플랜지(17d)의 전방에서 유지플랜지(17e)를 더 구비하고 있다. 원주홈(17g)은 후방끝플랜지(17d)와 유지플랜지(17e)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유지플랜지(17e)는 후방끝플랜지(17d) 보다 더 작은 반경을 가지고 있다. 유지플랜지(17e)는 복수의 절취부분(17f)을 구비하고 있다. 각각의 절취부분(17f)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응 맞물림 돌출부(16d)가 원주홈(17g)내로 삽입되도록 되어 있다.
제3이동배럴(16)은 그 후방 끝의 내주상에 복수의 맞물림 돌출부(16d)를 구비하고 있다. 각각의 맞물림 돌출부(16d)는 광축(0)을 향하여 방사상 방향으로 돌출하고 있다. 대응절취부분(17f)을 통하여 맞물림 돌출부(16d)를 원주홈(17g)에 끼움으로써 맞물림 돌출부(16d)는 플랜지(17d, 17e) 사이의 원주홈(17g) 내에 위치된다(도 11 참조). 제3이동배럴(16)을 선형안내배럴(17)에 대해 회전시킴으로써, 맞물림 돌출부(16d)는 선형안내배럴(17)과 맞물려진다.
선형안내배럴(17)의 후방 끝 상에는 구멍(14a)과 대략 동일한 형상을 한 장방형 구멍(23a)을 가진 구멍판(23)이 고정된다.
고정렌즈배럴블록(12)에 대한 선형안내배럴(17)의 상대회전은 광축(0)에 평행하게 형성된 대응선형안내홈(12b)과의 복수의 맞물림 돌출부(17c)의 미끄럼이동가능한 맞물림에 의해서 제한된다.
접촉단자(9)는 맞물림 돌출부(17c)중 하나, (즉 17c')에 고정된다. 접촉단자(9)는 선형안내홈의 바닥(12b') 에 고정된 코드판(13a)과 미끄럼이동가능한 접촉상태로 되어 있어서 줌밍동안에 초점길이정보에 대응하는 신호를 발생시킨다.
선형안내배럴(17)의 내주상에는 광축(0)으로 평행하게 각각 뻗어있는 복수의 선형안내홈(17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복수의 리드슬롯(17b)은 도 12 또는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형안내배럴(17) 상에 형성되어 있다. 리드슬롯(17b)은 광축(0)에 대해 비스듬히(경사지게) 각각 형성되어 있다.
제2이동배럴(19)은 선형안내배럴(17)의 내주와 맞물린다. 제2이동배럴(19)의 내주상에는 복수의 리드홈(19c)이 리드슬롯(17b)에 대향으로 경사진 방향으로 제공되어 있다. 제2이동배럴(19)의 후방 끝의 외주상에는 복수의 종동자 돌출부(19a)가 제공된다. 각각의 종동자 돌출부(19a)는 방사상 방향으로 광축(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한 사다리꼴 단면형상을 가지고 있다. 종동자핀(18)은 종동자 돌출부(19a)에 위치되어 있다. 각각의 종동자핀(18)은 링부재(18a) 및 대응 종동자 돌출부(19a) 상에 링부재(18a)를 지지하는 중심고정나사(18b)로 이루어진다. 종동자 돌출부(19a)는 선형안내배럴(17)의 리드슬롯(17b)과의 미끄럼이동가능한 맞물림 상태로 되어 있으며 종동자핀(18)은 제3이동배럴(16)의 선형안내홈(16c)과의 미끄럼이동 맞물림 상태로 되어 있다. 이러한 배열에 있어서, 제3이동배럴(16)이 회전하면, 제2이동배럴(19)은 회전하는 동안에 광축방향으로 선형적으로 이동한다.
제2이동배럴(19)의 내주상에는 제1이동배럴(20)이 맞물린다.제1이동배럴(20)은 그 후방의 외주상에서 대응내부리드홈(19c)과 각각 맞물리는 복수의 종동자핀(24)을 구비하고 있으며 동시에 제1이동배럴(20)은 선형안내부재(22)에 의해서 선형적으로 안내된다. 제1이동배럴(20)은 그 전방 끝에서 거기에 체결되는 장식판(41)을 구비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형안내부재(22)는 환형의 부재(22a), 한쌍의 안내레그(22b) 및 복수의 맞물림 돌출부(28)를 구비하고 있다. 한쌍의 안내레그(22b)는 광축방향으로 환형의 부재(22a)로부터 돌출한다. 복수의 맞물림 돌출부(28) 각각은 방사상방향으로 광축(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환형의 부재(22a)로부터 돌출한다. 맞물림 돌출부(28)는 선형안내홈(17a)과 미끄럼이동가능하게 맞물린다. 안내레그(22b)는 제1이동배럴(20)의 내주표면과 AF/AE 셔터 유니트(21) 사이의 선형안내부(40c)내로 각각 삽입된다.
선형안내부재(22)의 환형의 부재(22a)는 선형안내부재(22)와 제2이동배럴(19)이 전체로서 광축(0)을 따라 이동할 수 있고, 또한 광축(0) 둘레에서 상대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제2이동배럴(19)의 후방에 연결된다. 선형안내부재(22)는 후방 끝의 외주상에 후방끝플랜지(22d)를 더 구비하고 있다. 선형안내부재(22)는 후방끝플랜지(22d)의 전방에 유지플랜지(22c)를 더 구비한다. 원주홈(22f)은 후방끝플랜지(22d)와 유지플랜지(22c) 사이에 형성된다. 유지플랜지(22c)는 후방끝플랜지(22d)보다 더 작은 반경을 가지고 있다. 유지플랜지(22C)는, 각각이 대응 맞물림 돌출부(19b)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주홈(22f)내로 삽입되도록 하는 도 1 또는 도 2에 도시된 복수의 절취부분(22e)을 구비하고 있다.
제2이동배럴(19)은 그후방 끝의 내주상에서 각각이 광축(0)을 향하여 방사상 방향으로 돌출하는 복수의 맞물림 돌출부(19b)를 구비하고 있다. 대응절취부분(22e)을 통하여 맞물림 돌출부(19b)를 원주홈(22f)내로 삽입시킴으로써 맞물림 돌출부(19b)는 플랜지(22c, 22d) 사이의 원주홈(22f)내에 위치된다. 제2이동배럴(19)을 선형안내부재(22)에 대해 회전시킴으로써, 맞물림 돌출부(19b)는 선형안내부재(22)와 맞물린다. 상기 구조에 있어서, 제2이동배럴(19)이 정회전 또는 역회전 방향으로 회전하면 제1이동배럴(20)은 광축(0)을 따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직선적으로 이동하지만 회전이 제한된다.
제1이동배럴(20)의 전방에는 배리어 블레이드(48a, 48b)를 가진 배리어 장치(35)가 장치된다. 제1이동배럴(20)의 내주면 상에는 3개의 셔터 블레이드(27a)로 이루어진 셔터(27)를 가지고 있는 AF/AE 셔터 유니트(21)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맞물려서 고정된다. AF/AE 셔터 유니트(21)는 등각 간격으로 셔터 장착 스테이지(40)의 외주상에 형성된 복수의 고정구멍(40a)을 구비하고 있다. 고정구멍(40a)중의 단지 하나만이 도 1 내지 도 5의 각각에 도시되어 있다.
내부리드홈(19c)과 맞물리는 상술된 복수의 종동자핀(24)은 AF/AE 셔터 유니트(21)를 제1이동배럴(20)에 고정하기 위한 장치로서 사용된다. 종동자핀(24)은 제1이도배럴(20) 상에 형성된 구멍(20a)내에 삽입되고 고정구멍(40a)내에 고정된다. 이러한 배열에 있어서, AF/AE 셔터 유니트(2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이동배럴(20)에 체결된다. 도 4에 있어서 제1이동배럴(20)은 가상선으로 표시된다. 종동자핀(24)은 접착제에 의해서 고정될 수 있으며 또는 종동자핀(24)은 고정구멍(40a)내에서 나사결합되는 나사로서 형성될 수 있다.
도 5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AF/AE 셔터 유니트(21)는, 셔터 장착스테이지(40), 셔터 장착 스테이지(40) 내측에 위치되도록 셔터 장착 스테이지(40)의 후방상에 고정된 셔터 블레이드 지지링(46) 및 셔터 장착 스테이지(40)에 대해 이동할 수 있는 상태로 지지되는 렌즈지지배럴(50)을 구비한다. 셔터 장착 스테이즈(40) 상에는 렌즈지지배럴(34), AE 모터(29), 및 후방렌즈그룹 구동모터(30)가 지지된다. 셔터 장착 스테이지(40)는 원형구멍(40d)을 가진 환형의 부재(40f)를 구비한다. 셔터 장착 스테이지(40)는 환형의 부재(40f)로부터 후방으로 돌출한 3개의 레그(40b)를 또한 구비한다. 3개의 슬릿은 3개의 레그(40b) 사이에 형성된다. 2개의 슬릿은 선형안내부재(22)의 운동을 안내하도록 선형안내부재(22)의 각쌍의 안내레그(22b)와 미끄럼이동가능하게 맞물리는 상술된 선형안내부(40c)를 포함하고 있다.
셔터 장착 스테이즈(40)는 AE 모터(29)의 회전을 셔터(27)에 전달하는 AE 기어열(45), 후방렌즈그룹 구동모터(30)의 회전을 나사축(이송나사축)(43)에 전달하는 렌즈구동기어열(42), 가요성 프린트 회로판(6)에 연결된 광차단기(56, 57), 원주방향으로 제공되고 방사상으로 형성된 복수의 슬릿을 가진 회전 디스크(58, 59)를 지지한다. 후방렌즈그룹 구동모터(30)가 회전하는지를 검출하고 후방렌즈그룹 구동모터(30)의 회전량을 검출하는 인코더(제2인코더)는 광차단기(57)와 회전디스크(59)로 이루어진다. 이런 인코더로 셔터장착스테이지(40)에 대한 렌즈지지배럴(50)의 위치 즉, 광축(0)으로 제1렌즈그룹(L1)에 대한후방렌즈그룹(L2)의 위치가 검출될 수 있다. AE 모터(29)가 회전하는지를 검출하고 AE 모터(29)의 회전량을 검출하는 AE 모터 인코더(제1인코더)는 광차단기(56)와 회전디스크(58)로 이루어졌다. 이런 인코더로 셔터(27)에 의해서 형성된 다이어프램의 크기와 셔터(27)가 개방 또는 폐쇄되었는지가 검출될 수 있다.
셔터(27), 셔터(27)의 3개의 셔터 블레이드(27a)를 피벗식으로 지지하는 지지부재(47), 및 회전동력을 셔터 블레이드(27a)에 전달하는 원형구동부재(49)는 셔터 장착 스테이지(40)와 셔터 장착 스테이지(40)에 체결된 셔터 블레이드 지지링(46) 사이에 위치된다. 원형구동부재(49)는 등각간격으로 3개의 셔터 블레이드(27a)의 각각에 각각 맞물리는 3개의 작동 돌출부(49a)를 구비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셔터 블레이드 지지링(46)은 그 전방 끝에 원형구멍(46a)과 원형구멍(46a) 둘레에서 등각간격으로 위치된 3개의 지지구멍(46b)을 구비한다. 2개의 편향제한표면(46c)은 셔터 블레이드 지지링(46)의 외주상에 형성된다. 각각의 편향제한표면(46c)은 대응선형안내부(40c)로부터 외측으로 노출되고 대응안내레그(22b)의 내주면을 미끄럼이동가능하게 지지한다.
셔터 블레이드 지지링(46)의 전방에 위치된 지지부재(47)는 셔터 블레이드 지지링(46)의 원형구멍(46a)과 정렬된 원형구멍(47a)과 3개의 지지구멍(46b)에 대향한 각각의 위치에 있는 3개의 피벗축(47b)(이 피벗축중의 단지 하나만 도 5에 도시되어 있음)을 구비하고 있다. 각각의 셔터 블레이드(27a)는 그 한쪽끝에서 대응 피멋축(47b)이 삽입되는 구멍(27b)을 구비하여 각각의 셔터 블레이드(27a)가 대응피벗축(47b)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도록 한다. 피벗 끝으로부터 광축(0)에 수직으로 뻗어있는 각각의 셔터 블레이드(27a)의 주부분은 광차단부분으로 형성된다. 셔터 블레이드(27a)의 3개의 광차단부분 모두는 셔터 블레이드(27a)가 폐쇄될 때 전방렌즈그룹(L1)에 들어가는 주위의 빛이 원형구멍(46a, 47a)에 들어가는 것을 함께 방지한다. 각각의 셔터 블레이드(27a)는 구멍(27b)과 그 광차단부분 사이에서 대응작동돌출부(49a)가 삽입되는 슬롯(27c)을 더 구비한다. 지지부재(47)는 대응 셔터 블레이드(27a)를 지지하는 각각의 축(47b)이 셔터 블레이드 지지링(46)의 대응 지지구멍(46b)가 맞물리는 방식으로 셔터 블레이드 지지링(46)에 고정된다.
기어부분(49b)은 원형구동부재(49)의 외주의 일부분상에 형성된다. 기어부분(49b)은 기어열(45)내의 복수의 기어중의 하나와 정합하여 기어열(45)에서의 회전을 수용한다. 지지부재(47)는 3개의 피벗축(47b)에 가까운 각각의 위치에서 원주방향에 따라 각각 아치형으로된 3개의 아치형홈(47c)을 구비하고 있다. 원형구동링(49)의 3개의 작동 돌출부(49a)는 각각의 아치형홈(47c)을 통하여 각각의 셔터 블레이드(27a)의 슬롯(27c)과 맞물린다. 셔터 블레이드 지지링(46)은 셔터 장착 스테이지(40)의 후방으로부터 삽입되어, 원형구동링(49), 지지부재(47) 및 셔터(27)를 지지하며 셔터 블레이드 지지링(46)상에 제공된 구멍(46x)을 통하여 각각 삽입되는 멈춤나사(90)에 의해서 셔터 장착 스테이지(40)상에 고정된다.
셔터 블레이드 지지링(46) 뒤에는 안내축(51, 52)을 통하여 셔터 장착 스테이지(40)에 대해 이동될 수 있게 지지되는 렌즈지지배럴(50)이 위치된다. 셔터 장착 스테이지(40)와 렌즈지지배럴(50)은 안내축(51)상에 끼워진 코일스프링(가압압축스프링)(3)에 의해서 서로 멀어지는 반대방향으로 가압되며 그러므로 셔터 장착스테이지(40)와 렌즈지지배럴(50) 사이의 틈은 감소된다. 또한, 기어열(42)내의 기어중의 하나로서 제공되는 구동기어(42a)는 그 축방향 중심에 암나사부 구멍(도시안됨)을 구비하고 축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제공한다. 한쪽 끝이 렌즈지지배럴(50)에 고정되는 나사축(43)은 암나사부 구멍과 맞물린다. 따라서, 구동기어(42a)와 나사축(43)은 이송나사기구를 함께 구성한다. 이러한 방식에 있어서, 구동기어(42a)가 후방렌즈그룹 구동모터(30)에 의해서 구동되므로 인해 전방 또는 역으로 회전되면, 나사축(43)은 구동기어(42a)에 대해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하며 그러므로 후방렌즈그룹(L2)을 지지하는 렌즈지지배럴(50)은 전방렌즈그룹(L1)에 대해 이동한다.
유지부재(53)는 셔터 장착 스테이지(40)의 전방에 고정된다. 유지부재(53)는 유지부재(53)와 셔턴 장착 스테이지(40) 사이에서 모터(29, 30)를 유지한다. 유지부재(53)는 멈춤나사(99)에 의해서 그 전방 끝에 고정된 금속유지판(55)을 가진다. 모터(29, 30)와 광차단기(56, 57)는 가요성 프린트 회로판(6)에 연결된다. 가요성 프린트 회로판(6)의 한쪽 끝은 셔터 장착 스테이지(40)에 고정된다.
제1, 제2 및 제3이동배럴(20, 19, 16)과 AF/AE 셔터 유니트(21) 등이 조립된 후, 구멍판(23)은 선형안내배럴(17)의 후방에 고정되며 환형의 유지부재(33)는 고정렌즈배럴블록(12)의 전방에 고정된다.
광축(0)을 따라서 제1렌즈그룹(L1)에 대하여 후방렌즈그룹(L2)을 이동시키는 상술된 구동기구가 구비되어 있는 것 외에 AF/AE 셔터유니트(21)도 또한 후방렌즈그룹(L2)이 제1렌즈그룹(L1)에 대하여 소정의 초기위치에 도달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초점조정작동에서 후방렌즈그룹(L2)은 그 초기위치로부터 초점조정에 필요한 양만큼 광축(0)을 따라서 제1렌즈그룹(L1)으로부터 떨어져서 후방으로 이동하도록 먼저 구동된다. 그 결과, 후방렌즈그룹(L2)은 셔터릴리즈작동이 완료되어진후 초기위치로 되돌려지도록 구동된다. 후방렌즈그룹(L2)은 각각의 다음상태에서, 다시 말해서 카메라의 메인스위치가 ON으로 된 직후, 셔터릴리즈 작동이 완료되어진 직후, 그리고 카메라의 메인스위치가 OFF 상태로 있을 때 초기위치로 위치되어지도록 제어된다.
후방렌즈그룹(L2)이 초기위치에 도달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장치는 도 14 내지 도 17을 참고로 하여 논의될 것이다.
렌즈지지배럴(50)은 안내축(51, 52)을 통하여 광축(0)을 따라서 안내된다. 안내축(51, 52)의 후방끝은 각각 렌즈지지배럴(50)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보스(50b, 50c)내에 고정된다. 안내축(51)은 광축방향으로 안내되어지도록 셔터장착스테이지(40)에 고정된 베어링(51a)내로 미끄럼이동가능하게 삽입된다. 안내축(52)의 전방끝은 프리상태로 있고, 그리고 안내축(52)은 셔터장착스테이지(40)에 형성되고 셔터장착스테이지(40)의 방사상의 방향으로 내측으로 오목하게 된 지지홈(40i)(도 5, 도 16 및 도 17 참조)내에 미끄럼이동가능하게 끼워진다.
안내축(52)이 지지홈(40i)내에 위치되어 있는 그러한 구조로 인하여 렌즈지지배럴(50)이 셔터장착스테이지(40)에 대하여 광축(0)을 따라서 이동하면 렌즈지지배럴(50)이 셔터장착스테이지(40)에 대하여 나사축(43)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이방지된다. 다시 말하면, 안내축(52)이 없다면 렌즈지지배럴(50)은 안내축(51)이 나사축(43)에 평행하게 제공되더라도 나사축(43)이 구동기어(42a)의 회전에 의해서 광축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동되면 셔터장착스테이지(40)에 대하여 나사축(43)을 중심으로 회전시킨다. 이것은 나사축(43) 및 안내축(51)이 서로 평행하게 근접하게 배열되어 있기 때문이다.
안내축(51, 52), 나사축(43), 구동기어(42a) 등은 셔터장착스테이지(40)에 대하여, 즉 제1렌즈그룹(L1)에 대하여 광축(0)을 따라서 안에서 후방렌즈그룹(L2)을 지지하는 렌즈지지배럴(50)을 안내하는 렌즈안내기구를 구성한다.
나사축(43)의 후방끝은 보스(50b)의 부근에서 셔터장착스테이지(40)에 형성된 보스(50a)에 체결되어 있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축방향중심에서 암사나구멍(도시안됨)을 가지고 있는 구동기어(42a)는 암나사구멍이 나사축(43)에 형성된 수나사와 맞물리는 상태로 나사축(43)에 회전가능하게 끼워진다. 나사축(43)을 따라서 구동기어(42a)의 후진운동은 셔터장착스테이지(40)에 의해서 제한된다. 한편 나사축(43)을 따라서 구동기어(42a)의 전진운동은 도 14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유지부재(53)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지지링(53a)에 의해서 제한된다. 이런 구조로 인하여, 구동기어(42a)가 셔터장착스테이지(40)에 대하여 나사축(43)을 따라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된다. 다시 말해서, 구동기어(42a)와 셔터장착스테이지(40)간의 거리는 일정하다.
구동기어(42a)가 후방렌즈그룹구동모터(30)에 의해서 회전하도록 구동되면 나사축(43)은 렌즈지지배럴(50)에 의해서 지지된 후방렌즈그룹(L2)이제1렌즈그룹(L1)에 대하여 광축(0)을 따라서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하게 하는 구동기어(42a)에 대하여 축방향을 따라서 즉, 광축방향을 따라서 이동한다. 나사축(43)과 구동기어(42a)간의 백래시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코일스프링(3)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어링(51a)과 보스(50b) 사이의 안내축(51)에 끼워진다. 코일스프링(3)으로 인하여, 렌즈지지배럴(50)은 항상 광축(0)을 따라서 셔터장착스테이지(40)로부터 떨어져서 후방으로 가압된다. 이것은 나사축(43)과 구동기어(42a) 사이에서 백래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광차단기(301)와 광차단부재(302)는 금속유지판(55)의 부근에서 셔터장착스테이지(40)의 전방끝에서 서로에 인접하게 제공되어 있다. 광차단기(301)와 광차단부재(302) 모두는 후방렌즈그룹(L2)이 전방렌즈그룹(L1)에 대하여 앞서 언급된 초기위치에 도달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검출기를 구성한다. 광차단기(301)는 가요성회로판(6)의 일부분에 장착되어 있고 셔터장착스테이지(40)에 고정되어 있다. 광차단부재(302)는 원통형몸체를 가지고 그 후방끝 및 전방끝에는 광차단판(302a)과 맞물림돌출부(302b)가 각각 거기에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광차단부재(302)는 축(303)에 미끄럼이동가능하게 끼워져 있다. 축(303)의 전방 및 후방끝은 도 16 또는 도 1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지지판(55)과 유지부재(53) 각각에 의해서 지지된다. 코일스프링(가압압축스프링)(304)은 금속유지판(55)과 광차단부재(302)의 전방끝 사이에서 유지되어지도록 축(303)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광차단부재(302)는 항상 광축방향으로 셔터장착스테이지(40)를 향하여 후방으로 가압된다.
광축방향으로 뻗어 있는 슬릿(301a)은 도 1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광차단기(301)에 형성되어 있다. 광차단판(302a)은 슬릿(301a)의 거의 중간에서 형성된 광진로(OP)를 차단하도록 슬릿(301a)에서 이동가능하다. 즉, 광차단판(302a)의 전방부분은 코일스프링(304)의 가압력으로 인하여 광차단부재(302)가 수축위치(도 17에 도시된 위치)에서 위치될 때 광진로(OP)의 바깥쪽을 제외한 슬릿(301a)의 안쪽에 위치된다. 그런데, 광차단판(302a)의 전방부분은 광차단부재(302)가 도 15 또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스프링(304)의 가압력에 대하여 소정의 위치로 전방으로 이동할 때 광진로(OP)를 차단하도록 슬릿(301a) 안쪽에 위치된다.
스토퍼판(306)은 와셔(305)를 통하여 각각의 나사축(43)과 안내축(51)의 전방끝에 체결되어 있다. 맞물림핀(306a)은 스토퍼판(306)에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맞물림핀(306a)은 광차단부재(302)의 맞물림돌출부(302b)와 맞물림가능하다. 다시 말해서, 후방렌즈그룹(L2)을 지지하는 렌즈지지배럴(50)이 셔터장착스테이지(40)에 대하여 렌즈지지배럴(50)의 이동가능한 범위의 전방말단에 근접한 소정의 위치로 전방으로 이동하면 맞물림핀(306a)은 맞물림돌출부(302b)와 맞물린다. 그후 렌즈지지배럴(50)이 한층 더 전방으로 이동하면 맞물림핀(306a)은 코일스프링(304)의 가압력에 대하여 전방으로 맞물림돌출부(302b)를 이동시키도록 한층 더 전진한다. 그후, 후방렌즈그룹(L2)이 전방렌즈그룹(L1)에 대하여 초기위치에 도달하면, 즉 렌즈지지배럴(50)이 셔터장착스테이지(40)에 대하여 초기위치에 도달하면 광차단판(302a)은 광질로(OP)를 차단한다.
후방렌즈그룹(L2)이 초기위치에 도달했는지의 여부, 즉 렌즈지지배럴(50)이 초기위치에 도달했는지의 여부가 광차단기(301)의 출력을 모니터함으로써 다양한 작동(초점조정작동, 광측정작동 등)을 제어하는 카메라에 제공된 CPU(도시안됨)에 의해서 검출된다. CPU가 후방렌즈그룹(L2)이 초기위치에 도달했는지를 검출하면 CPU는 제1렌즈그룹(L1)에 대하여 전방으로 후방렌즈그룹(L2)을 한층 더 이동하지 않도록 정지하게 후방렌즈그룹구동모터(30)를 제어한다.
고무같은 탄성부재로 만들어진 O-링(충격흡수부재)(307)은 스토퍼판(306)과 베어링(51a) 사이에서 안내축(51)에 끼워진다. 또한, O-링(307)은 다른 타입의 탄성재료로 형성될 수도 있다.
셔터장착스테이지(40)에 대하여 광축(O)을 따라서 렌즈지지배럴(50)을 지지하는 앞서 언급된 렌즈안내기구의 상세는 도 16과 도 17을 참고로 하여 이하에 논의될 것이다.
중심에서 촬영구멍을 가지고 있는 셔터장착스테이지(40)는 도 16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광차단기(56, 57)는 광차단기(56)의 슬릿(56a)과 광차단기(57)의 슬릿(57a)이 도 1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반대방향으로 대면하고 있는 상태로 광축(O)에 평행한 방향을 따라서 실질적으로 서로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있다. 회전디스크(58)는 그것과 함께 일체형으로 형성된 회전축(58a)이 제공되어 있다. 회전축(58a)은 회전디스크(58)가 슬릿(56a)안에 위치되어 있는 상태로 광차단기(56)에 인접하게 위치되어 있고, 광축(O)에 평행하게 뻗어 있다. 마찬가지로, 회전디스크(59)는 그것과 일체형으로 형성된회전축(59a)이 구비되어 있다. 회전축(59a)은 회전디스크(59)가 슬릿(57a)안에 위치되어 있는 상태로 광차단기(57)에 인접하게 위치되어 있고 광축(O)에 평행하게 뻗어 있다. 이런 배열로 인하여, 광차단기(56, 57) 및 회전디스크(58, 59)는 AF/AE 셔터유니트(21)에 공간효율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서로 평행하게 근접하게 배열된 나사축(43) 및 안내축(51)은 도 1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구멍(40d)에 대하여 광 차단기(56, 57)에 대해 실질적으로 마주보게 배치되어 있다. 안내축(51)은 셔터장착스테이지(40)에 대하여 구동피니언(42a)의 회전에 의해서 축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동된 나사축(43)에 근접하게 배치되어 있으므로 렌즈지지배럴(50)은 셔터장착스테이지(40)에 대하여 광축(O)을 따라서 선형적으로 이동하도록 안정하게 구동된다.
안내축(52)은 상기 논의된 바와 같이 지지홈(40i)내에 미끄럼이동가능하게 끼워진다. 지지홈(40i)의 폭은 도 1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축(52)의 직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고(그 직경보다 약간 더 크고), 그리고 지지홈(40i)의 깊이는 안내축(52)의 직경보다 더 깊다. 이런 구조를 가지고 있는 지지홈(40i)으로 인하여 안내축(52)은 셔터장착스테이지(40)의 원주방향으로의 이동을 제한하지만, 도 16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지지홈(40i)을 따라서 셔터장착스테이지(40)의 방사상의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이동하는 것이 허용된다. 이런 구조로, 렌즈지지배럴(50)이 셔터장착스테이지(40)에 대하여 광축(O)을 따라서 이동하면 렌즈지지배럴(50)은 AF/AE 셔터유니트(21)의 구성요소, 예를 들면 셔터장착스테이지(40), 렌즈지지배럴(50), 유지부재(53) 등의 크기가 정확하게 형성(성형)되지 않더라도,및/또는 안내축(51, 52)이 서로 평행하게 정확하게 뻗지 않더라도 부드럽게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안내축(52)이 지지홈(40i)내에 위치되어 있는 이러한 구조로 인하여 렌즈지지배럴(50)이 셔터장착스테이지(40)에 대하여 광축(O)을 따라서 이동하면 렌즈지지배럴(50)은 셔터장착스테이지(40)에 대하여 나사축(43)을 중심으로 한 회전이 방지된다. 다시 말해서, 안내축(52)이 없다면 렌즈지지배럴(50)은 안내축(51)이 나사축(43)에 평행하게 제공되더라도 나사축(43)이 구동기어(42a)의 회전에 의한 광축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동되면 셔터장착스테이지(40)에 대하여 나사축(43)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이것은 나사축(43) 및 안내축(51)이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서로 평행하게 근접하에 배열되어 있기 때문이다.
도 1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홈(40i)은 안내축(52)이 회전디스크(58, 59) 사이에서 뻗도록 광축(O)에 평행한 방향으로 회전디스크(58, 59) 사이의 위치에서 셔터장착스테이지(40)에 형성된다. 이 배열은 안내축(52)이 회전디스크(58, 59) 사이의 좁은 공간내에 배치되므로 공간효율적이고 작은 크기의 AF/AE 셔터유니트(21)의 실현에 기여한다.
줌렌즈배럴(10)의 상술된 실시예에 있어서, 줌렌즈광학시스템이 2개의 이동가능한 렌즈그룹, 즉 전방렌즈그룹(L1)과 후방렌즈그룹(L2)으로 이루어지더라도, 본 발명은 상술된 이 실시예로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은 또한 하나 또는 그이상의 고정렌즈그룹을 포함하는 줌렌즈광학시스템의 다른 타입에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후방렌즈그룹(L1)은 AF/AE 셔터 유니트(21)의 구성요소로 제공되며 AE 모터(29)와 후방렌즈그룹 구동모터(30)는 AF/AE 셔터 유니트(21)에 장착된다. 이러한 구조에 있어서, 전방 및 후방렌즈그룹(L1, L2)을 지지하기 위한 구조와 후방렌즈그룹(L2)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조는 둘다 간단화된다. 이러한 구조를 채택하는 대신에, 줌렌즈배럴(10)은 또한 후방렌즈그룹(L2)을 셔터 장착 스테이지(40), 환형구동부재(49), 지지부재(47), 셔터 블레이드(27), 셔터 블레이드 지지링(46) 등을 구비한 AF/AE 셔터 유니트(21)로부터 분리함으로써 후방렌즈그룹(L2)이 AF/AE 셔터 유니트(21)와는 다른 어떤 지지부재에 의해서 지지되는 방식으로 실행될 수 있다.
이 실시예의 줌렌즈카메라에 있어서, 전체광학유니트 구동모터(25)와 후방렌즈그룹 구동모터(30)의 회전에 의한 작동은 도 8, 도 9,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도 9 또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줌렌즈배럴(10)이 가장 수축(후퇴)된 위치, 즉 렌즈수납상태에 있을 때, 파워스위치가 ON일 때 전체광학유니트 구동모터(25)는 그 구동축을 작은 양만큼 전방회전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하여 구동된다. 모터(25)의 이러한 회전은 고정렌즈배럴블록(12)과 일체로 형성된 지지부재(32)에 의해서 지지되는 기어열(26)을 통하여 구동피니언(15)에 전달되어 광축(O)을 따라 전방으로 전진하도록 제3이동배럴(16)을 하나의 소정의 회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러므로 제2이동배럴(19)과 제1이동배럴(20)은 제3이동배럴(16)과 함께 작은 양만큼 광축방향으로 각각 전진한다. 그결과, 카메라는 줌렌즈가 최대광각위치, 즉 광각 끝에 위치되는 상태에서 촬영할 수 있는 상태로 된다. 이러한 단계에서, 고정렌즈배럴블록(12)에 대한 선형안내배럴(17)의 운동량이 코드판(13a)과 접촉단자(9) 사이의 상대적인 미끄럼이동을 통해 검출되는 사실로 인해, 줌렌즈배럴(10), 즉 전방 및 후방렌즈그룹(L1, L2)의 초점길이는 검출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촬영가능한 상태에 있어서, 상술된 줌작동레버가 "망원" 측을 향하여 수동으로 이동되거나 또는 "망원" 줌버튼이 ON되도록 수동으로 눌러지면, 전체광학유니트 구동모터(25)가 전체광학유니트 구동모터제어기(60)를 통하여 그 구동축을 전방회전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해 구동되어 제3이동배럴(16)이 회전방향으로 회전하여 구동피니언(15)과 외주기어(16b)를 통하여 광축(O)을 따라 전진한다. 그러므로, 제3이동배럴(16)은 암나선체(12a)와 숫나선체(16a) 사이의 관계에 따라 고정렌즈배럴블록(12)으로부터 전진된다. 동시에, 선형안내배럴(17)은 맞물림 돌출부(17c)와 선형안내홈(12b) 사이의 관계에 따라 고정렌즈배럴블록(12)에 대한 상대적인 회전없이 제3이동배럴(16)과 함께 광축방향으로 전방으로 이동한다. 이때 각각의 리드슬롯(17b)과 선형안내홈(16c)과의 종동자핀(18)의 동시 맞물림은 제3이동배럴(16)과 함께 고정렌즈배럴블록(12)에 대해 동회전방향으로 회전하는 동안에 제2이동배럴(19)이 제3이동배럴(16)에 대해 광축방향으로 전방으로 이동하도록 한다. 제1이동배럴(20)은 제1이동배럴(20)이 선형안내부재(22)에 의해 선형안내부재(22)에 의해서 직선적으로 안내되고 종동자핀(24)이 리드홈(19c)에 의해서 안내되는 상술된 구조로 인해 고정렌즈배럴블록(12)에 대한 상대적인 회전없이 AF/AE 셔터 유니트(21)와 함께 제2이동배럴(19)로부터 광축방향 전방으로 이동한다. 이러한 이동중에, 고정렌즈배럴블록(12)에 대한 선형안내배럴(17)의 이동위치가 코드판(13a)과 접촉단자(9) 사이에서 상대적인 미끄럼이동을 통하여 검출되는 사실에 따라 줌작동장치(62)에 의해 설정된 초점길이가 검출된다.
역으로, 줌작동레버가 "광각"측을 향하여 수동으로 이동하거나 또는 "광각"줌버튼이 ON되도록 수동으로 눌러지면, 전체광학유니트 구동모터(25)가 전체광학유니트 구동모터제어기(60)를 통하여 그 구동축을 역회전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구동되어 제3이동배럴(16)이 선형안내배럴(17)과 함께 고정렌즈배럴블록(12)내로 수축하도록 회전방향으로 회전한다. 동시에, 제2이동배럴(19)은 제3이동배럴(16)의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동안에 제3이동배럴(16)내로 수축되며 제1이동배럴(20)은 AF/AE 셔터 유니트(21)와 함께 회전하는 제2이동배럴(19)내로 수축된다. 상기 수축구동중에, 상술된 바와 같이 전진구동의 경우에는 후방렌즈그룹 구동모터(30)가 구동되지 않는다.
줌렌즈배럴(10)이 줌작동중에 구동되면, 후방렌즈그룹 구동모터(30)가 구동되지 않으므로 전방렌즈그륩(L1)과 후방렌즈그룹(L2)은 전체로서 이동하고 도 8 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간에 일정한 거리를 유지한다. 줌코드판(13a)과 접촉단자(9)를 통하여 입력된 초점길이는 카메라 본체상에 제공된 LCD 패널(도시안됨)상에 표시된다.
줌작동장치(62)에 의한 어떤 초점길이설정에 있어서, 릴리즈 버튼이 절반단계만큼 눌러지면, 대물거리측정장치(64)는 현재의 피사체 거리를 측정하도록 작동된다. 동시에 광측정장치(65)는 현재의 피사체 광도를 측정하도록 작동된다. 그후, 릴리즈 버튼이 완전하게 눌러지면, 전체광학유니트 구동모터(25)와 후방렌즈그룹 구동모터(30)가 사전에 설정된 초점길이정보와 대물거리측정장치(64)로부터 얻어진 피사체 거리정보에 따라 표시된 각각의 양만큼 각각 구동되어 전방 및 후방렌즈그룹(L1, L2)이 특정초점길이를 얻도록 특정위치로 각각 이동되며 이에따라 피사체에 초점이 맞춰진다. AE 모터제어기(66)를 통하여 피사체에 초점이 맞춰진 직후, AE 모터(29)가 광측정장치(65)로부터 얻어진 피사체 광도에 대응하는 양만큼 원형구동부재(49)를 회전시키도록 구동되어 셔터(27)가 필요한 노출에 만족하는 특정양만큼 셔터 블레이드(27a)를 개방하도록 구동된다. 3개의 셔터 블레이드(27a)가 개방되고 그다음에 폐쇄되는 이러한 셔터 릴리즈 작동이 완료된 직후, 전체광학 유니트 구동모터(25)와 후방렌즈그룹 구동모터(30) 양자는 전방렌즈그룹(L1)과 후방렌즈그룹(L2)을 전방 및 후방렌즈그룹이 셔터 릴리즈 이전에 있는 각각의 초기위치로 이동하도록 구동된다.
줌렌즈배럴(10)의 이 실시예에 있어서, "Fantas Coat SF-6"는 코팅(72e)으로서 사용된다. 그러나 다른 타입의 코팅은 방수가 되고 원형맞닿음표면(72b)이 원형맞닿음표면(72b)과 원주부분(fp) 사이에서 실질적으로 갭을 없게 형성하도록 매끄러운 표면으로 되는한 코팅(72e)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명백한 변화는 여기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특정실시예에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변화는 청구된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내에 있다. 여기에서 포함된 모든 사항은 실례가 되는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지 않는다.
다른 하나의 부재에 대하여 이동가능하도록 소정의 방향(예를 들어, 렌즈그룹의 광축)을 따라서 하나의 부재(예를 들어, 렌즈그룹을 지지하는 렌즈프레임)를 안내하는 렌즈안내기구가 있는 렌즈셔터타입의 카메라에 있어서,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여, 렌즈안내기구를 설치하고서도 카메라의 부피가 별로 커지지 않게 된다.

Claims (16)

  1. 렌즈안내기구에 있어서,
    서로 인접하게 위치되어 있는 제1부재(40)와, 렌즈그룹(L2)을 지지하고 렌즈그룹의 광축을 따라서 제1부재에 대하여 이동가능한 제2부재(50);
    상기 제1부재로부터 상기 제2부재로 상기 광축방향으로 뻗어 있고 한쪽끝이 상기 제2부재(50)에 체결되어 있는 제1안내축(52);
    상기 제1부재에 제공된 렌즈셔터(27);
    제1광센서(56)와 상기 제1광센서와 결합된 제1회전디스크(58)를 포함하고 있는, 상기 렌즈셔터에 의해서 형성된 다이어프램의 크기를 검출하는 상기 제1부재에 제공된 제1인코더; 및
    제2광센서(57)와 상기 제2광센서와 결합된 제2회전디스크(59)를 포함하고 있는, 상기 렌즈그룹의 축방향위치를 검출하는 상기 제1부재에 제공된 제2인코더;를 포함하고 있으며,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회전디스크가 상기 제1안내축이 상기 제1과 제2회전디스크 사이에 위치되어 있는 상태로 상기 안내축에 인접하게 위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안내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제1 및 제2광센서는 광차단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안내기구.
  3. 제 1 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제1 및 제2회전디스크는 복수의 슬릿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안내기구.
  4. 제 1 항에 있어서, 제1나사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광축방향으로 뻗어 있고 한쪽끝이 상기 제2부재에 체결되어 있는 나사축(43)을 더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안내기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축방향으로 뻗어 있고 상기 광축방향으로 안내되어지도록 상기 제1부재에 의해서 지지되고 한쪽끝이 상기 제2부재에 체결되어 있는 제2안내축(51)을 더 포함하고 있으며,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안내축이 상기 광축에 대하여 서로 실질적으로 마주보게 위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안내기구.
  6. 제 5 항에 있어서, 제1나사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광축방향으로 뻗어 있고 한쪽끝이 상기 제2부재에 체결되어 있는 나사축(43)을 더 포함하고 있으며, 여기서 상기 나사축이 상기 제2안내축에 인접하게 위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기구.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축 및 상기 제2안내축의 다른끝이 공통지지판(306)에 의해서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기구.
  8. 상기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안내축(52)은 상기 제2부재가 상기 제1부재에 대하여 상기 나사축을 중심으로 한 회전을 방지하도록 상기 광축방향으로 상기 제1부재에 미끄럼이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기구.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재는 상기 제1부재상에 형성되고 상기 제1부재의 방사상방향으로 내측으로 오목하게 된 지지홈(40i)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여기서 상기 제1안내축은 상기 광축방향으로 미끄럼이동가능한 방식으로 상기 지지홈에서 끼워맞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안내기구.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재는 다른 하나의 렌즈그룹(L1)을 지지하는 렌즈지지배럴(34)을 지지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안내기구.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재에 대하여 상기 광축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상기 제1부재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축방향중심에서 내주상에 제2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는 구멍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제2나사부가 상기 제1나사부와 맞물림한 상태로 상기 나사축에 회전가능하게 끼워맞춤되어 있는 기어(42a)를 더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안내기구.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재는 상기 렌즈셔터를 구동하는 모터(29)를 지지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안내기구.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재는 상기 나사축에 회전하도록 상기 기어를 구동하는 모터(30)를 지지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안내기구.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재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광축방향으로 상기 제2안내축을 지지하고 안내하는 베어링(51a)을 더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안내기구.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광축을 따라서 상기 제1부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일정한 방향으로 상기 제2부재를 가압하도록 상기 베어링과 상기 제2부재 사이에서 상기 제2안내축에 끼워맞춤된 코일스프링(3)을 더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안내기구.
  16. 전방 및 후방렌즈그룹을 포함하며, 상기 제1렌즈그룹에 대하여 상기 후방렌즈그룹을 광축을 따라 이동시키는 후방렌즈그룹구동기구가 구비되어 있는 줌렌즈에 있어서,
    복수의 셔터블레이드를 포함하는 렌즈셔터를 지지하는 셔터장착스테이지(40);
    상기 후방렌즈그룹를 지지하고 상기 광축에 대한 회전 없이 상기 셔터장착스테이지에 대하여 상기 광축을 따라 이동가능한 렌즈지지부재(50);
    상기 광축방향으로 상기 제1부재로부터 상기 제2부재로 뻗어 있으며, 후방끝은 상기 제2부재(50)에 체결되며, 상기 제1부재에 대하여 상기 광축방향으로는 이동이 가능하고 상기 제1부재의 원주방향으로는 이동이 불가능하도록 상기 제1부재 상에 지지되는 제1안내축(52);
    상기 광축방향으로 안내되도록 상기 셔터장착스테이지 상에 지지되며, 상기 광축방향으로 뻗어 있으며, 후방 끝은 상기 렌즈지지부재(50)에 체결되는 제2안내축(51);
    상기 셔터장착스테이지에 대하여 상기 광축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상기 셔터장착스테이지 상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축방향 중심에서 내주 상에 암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는 구멍을 포함하는 기어(42a);
    수나사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광축방향으로 뻗어 있으며, 후방 끝은 상기 렌즈지지부재에 체결되어 있으며, 상기 암나사부가 상기 수나사부와 맞물림한 상태로 상기 기어가 끼워맞춤되어 있는 나사축(43);
    상기 렌즈셔터에 의해 형성된 다이어프램의 크기를 검출하기 위한 상기 셔터장착스테이지 상에 구비되며, 제1광센서 및 상기 제1광센서와 결합된 제1회전디스크를 포함하는 제1인코더; 및
    상기 후방렌즈그룹의 축방향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상기 셔터장착스테이지 상에 구비되며, 제2광센서 및 상기 제2광센서와 결합된 제2회전디스크를 포함하는 제2인코더;를 포함하고 있으며,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안내축은 상기 광축에 대하여 서로 실질적으로 마주보게 위치되며,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회전디스크는 상기 제1안내축이 상기 제1 및 제2회전디스크 사이에 위치되어 있는 상태로 상기 제1안내축에 인접하게 위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줌렌즈.
KR1019970001094A 1996-01-26 1997-01-16 렌즈셔터타입의 카메라의 렌즈안내기구 KR10036444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231796 1996-01-26
JP96-12317 1996-01-26
JP96-31081 1996-02-19
JP3108196A JPH09222545A (ja) 1996-02-19 1996-02-19 ズームレンズ鏡筒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2795A KR970062795A (ko) 1997-09-12
KR100364449B1 true KR100364449B1 (ko) 2003-03-15

Family

ID=263479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01094A KR100364449B1 (ko) 1996-01-26 1997-01-16 렌즈셔터타입의 카메라의 렌즈안내기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812889A (ko)
KR (1) KR100364449B1 (ko)
DE (1) DE19702512A1 (ko)
FR (1) FR274424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19410A (ja) * 1999-12-30 2003-06-17 アプライド、サイエンス、フィクシャン、インク 可視光を使用してデジタルフィルムを現像するための改良された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6909464B2 (en) * 2000-01-31 2005-06-21 Pentax Corporation Zoom lens and a movable lens hood mounting mechanism of the zoom lens
JP2001215589A (ja) * 2000-01-31 2001-08-10 Asahi Optical Co Ltd 一眼レフカメラ用レンズユニット
JP2001215385A (ja) 2000-02-01 2001-08-10 Asahi Optical Co Ltd 直進レンズのカム駆動機構
JP3762602B2 (ja) 2000-02-01 2006-04-05 ペンタックス株式会社 ズームレンズ鏡筒のレンズ枠案内装置
JP3450780B2 (ja) 2000-02-01 2003-09-29 ペンタックス株式会社 環状部材のバヨネット固定装置及びズームレンズ鏡筒
US6570718B2 (en) 2000-02-01 2003-05-27 Pentax Corporation Zoom lens having a cam mechanism
JP3569478B2 (ja) 2000-02-01 2004-09-22 ペンタックス株式会社 ズームレンズ鏡筒
JP2001215392A (ja) 2000-02-01 2001-08-10 Asahi Optical Co Ltd ズームレンズ鏡筒のカム環回転機構
JP3548479B2 (ja) 2000-02-03 2004-07-28 ペンタックス株式会社 ズームレンズ鏡筒の分解機構
US6795251B2 (en) 2000-09-22 2004-09-21 Pentax Corporation Lens drive mechanism
US6853503B2 (en) 2000-09-22 2005-02-08 Pentax Corporation Eccentricity-prevention mechanism for a pair of lens-supporting rings
US6728045B2 (en) 2000-09-22 2004-04-27 Pentax Corporation Zoom lens barrel
US6707620B2 (en) 2000-09-22 2004-03-16 Pentax Corporation Zoom lens mechanism
US6680804B2 (en) 2000-09-22 2004-01-20 Pentax Corporation Zoom lens mechanism
US6891668B2 (en) 2000-09-22 2005-05-10 Pentax Corporation Lens barrel
US6807016B2 (en) * 2000-09-22 2004-10-19 Pentax Corporation Lens barrel
US6661586B2 (en) 2000-09-22 2003-12-09 Pentax Corporation Ring member shift mechanism and lens group shift mechanism
US6798582B2 (en) 2000-09-22 2004-09-28 Pentax Corporation Reduction gear mechanism
US6871017B2 (en) 2000-09-22 2005-03-22 Pentax Corporation Lens drive control apparatus for zoom lens system having a switching lens group
US6657793B2 (en) 2000-09-27 2003-12-02 Pentax Corporation Lens barrel
JP2002277930A (ja) * 2001-03-21 2002-09-25 Asahi Optical Co Ltd レンズバリヤを備えたカメラ
JP2002277926A (ja) * 2001-03-21 2002-09-25 Asahi Optical Co Ltd 遮光部材開閉機構
JP2002277925A (ja) 2001-03-21 2002-09-25 Asahi Optical Co Ltd レンズシャッタ機構
JP2002277712A (ja) 2001-03-21 2002-09-25 Asahi Optical Co Ltd レンズガイド機構
JP2002277924A (ja) * 2001-03-21 2002-09-25 Asahi Optical Co Ltd レンズシャッタ機構
US6665129B2 (en) 2001-03-22 2003-12-16 Pentax Corporation Lens barrel and a zoom lens barrel
US6636362B2 (en) 2001-03-22 2003-10-21 Pentax Corporation Lens barrel
JP3742562B2 (ja) 2001-03-22 2006-02-08 ペンタックス株式会社 レンズ鏡筒のストッパ構造
JP2002277923A (ja) 2001-03-22 2002-09-25 Asahi Optical Co Ltd レンズシャッタのfpc配設構造及びfpc配設構造
US6788475B2 (en) * 2001-03-22 2004-09-07 Pentax Corporation Lens barrel having a lens barrier mechanism
US6519096B2 (en) 2001-03-22 2003-02-11 Pentax Corporation Lens barrel
JP3679724B2 (ja) * 2001-03-22 2005-08-03 ペンタックス株式会社 ズームレンズ鏡筒
JP2002277708A (ja) * 2001-03-22 2002-09-25 Asahi Optical Co Ltd レンズブロック
JP3655865B2 (ja) 2001-10-31 2005-06-02 ペンタックス株式会社 レンズ鏡筒
JP5015201B2 (ja) * 2009-06-26 2012-08-29 Hoya株式会社 レンズ鏡筒の直進案内機構
TW201316072A (zh) * 2011-10-03 2013-04-16 Asia Optical Co Inc 提高耐衝擊力的投影伸縮鏡頭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484414A (en) * 1974-05-28 1977-09-01 Schneider Co Optische Werke Adjusting device for variable-focus lenses
DE2827857C2 (de) * 1978-06-24 1983-01-20 Prontor-Werk Alfred Gauthier Gmbh, 7547 Wildbad Objektivverschluß zur Erzielung extrem kurzer Belichtungszeiten
US5237357A (en) * 1988-05-31 1993-08-17 Asahi Kogaku Kogyo Kabushiki Kaisha Aperture and focus adjusting device for a camera
US5231449A (en) * 1988-06-03 1993-07-27 Asahi Kogaku Kogyo Kabushiki Kaisha Zoom lens barrel and camera incorporating such barrel
JPH0727450Y2 (ja) * 1988-10-04 1995-06-21 旭光学工業株式会社 ズームレンズカメラの開放f値検出装置
JPH04211231A (ja) * 1990-03-20 1992-08-03 Ricoh Co Ltd 可変焦点式レンズ
JP2894659B2 (ja) * 1991-11-05 1999-05-24 オリンパス光学工業株式会社 ズームエンコーダ
JP3120886B2 (ja) * 1992-01-13 2000-12-25 富士写真光機株式会社 ズームレンズ装置の組立方法
JPH05215951A (ja) * 1992-02-03 1993-08-27 Olympus Optical Co Ltd エンコーダ装置
US5339194A (en) * 1992-08-17 1994-08-16 Ram Optical Instrumentation, Inc. Power zoom optical unit with encoder
JP3034171B2 (ja) * 1994-10-20 2000-04-17 富士写真光機株式会社 カメラ用レンズ鏡胴の駆動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2795A (ko) 1997-09-12
DE19702512A1 (de) 1997-07-31
FR2744241B1 (fr) 1998-10-09
FR2744241A1 (fr) 1997-08-01
US5812889A (en) 1998-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64449B1 (ko) 렌즈셔터타입의 카메라의 렌즈안내기구
US5991097A (en) Lens barrel having a linear guide mechanism
KR100334700B1 (ko) 렌즈구동기구
KR100371774B1 (ko) 렌즈지지구조
US6023376A (en) Lens barrel having a linear guide mechanism
US5765048A (en) Telescoping type of zoom lens and cam mechanism therefor
KR100364151B1 (ko) 셔터가설치된렌즈배럴
KR100276164B1 (ko) 가요성 인쇄회로보드
US5821531A (en) Dual sensor encoder for detecting forward/reverse rotation having light modulating patterns with a predetermined phase different
KR100370813B1 (ko) 렌즈셔터 타입 카메라
KR100276801B1 (ko) 망원형줌렌즈
GB2344661A (en) Lens barrel having a linear guide mechanism
KR100371769B1 (ko) 카메라용렌즈셔터형의광차단장치
US5784206A (en) Moving lens position detecting device
GB2309551A (en) Lens barrel having a linear guide groove
US5886836A (en) Lens barrel having a cam mechanism
KR100371770B1 (ko) 방수구조를가진렌즈배럴
US5809348A (en) Zoom compact camera
GB2344662A (en) Lens cam mechanism with tapered slot and follower and stopper
KR100383694B1 (ko) 카메라용렌즈지지기구
JP3260290B2 (ja) レンズ鏡筒の防水構造
GB2309543A (en) Moving lens extreme position detecting device
KR100300821B1 (ko) 렌즈셔터타입의카메라
GB2309518A (en) Encoder for detecting forward/reverse rotation
GB2309547A (en) Lens drive mechanism with impact absorb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