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2999B1 - 박판부저 - Google Patents

박판부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2999B1
KR100362999B1 KR1020000066263A KR20000066263A KR100362999B1 KR 100362999 B1 KR100362999 B1 KR 100362999B1 KR 1020000066263 A KR1020000066263 A KR 1020000066263A KR 20000066263 A KR20000066263 A KR 20000066263A KR 100362999 B1 KR100362999 B1 KR 1003629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magnet
coil
frame
solde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62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16122A (ko
Inventor
김낙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부커뮤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부커뮤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부커뮤닉스
Priority to KR10200000662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62999B1/ko
Publication of KR200100161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61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29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299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9/00Devices in which sound is produced by vibrating a diaphragm or analogous element, e.g. fog horns, vehicle hooters or buzzers
    • G10K9/12Devices in which sound is produced by vibrating a diaphragm or analogous element, e.g. fog horns, vehicle hooters or buzzers electrically operated
    • G10K9/13Devices in which sound is produced by vibrating a diaphragm or analogous element, e.g. fog horns, vehicle hooters or buzzers electrically operated using electromagnetic driving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Electrostatic, Electromagnetic, Magneto- Strictive, And Variable-Resistance Transduc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판 위의 납땜부가 상기 기판을 상하로 관통하는 관통공을 매개로 상기 기판 주변의 납땜패드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기판에 안착되며 철심에 코일이 감겨진 프레임의 주변에는 상기 납땜부를 노출시키기 위한 하나 이상의 절개홈이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에 안착되는 마그네트의 하단부에는 상기 프레임의 절개홈과 같은 위치에 납땜부가 마그네트에 닿지 않도록 이격시키기 위한 터널이 형성되며, 상기 마그네트 및/또는 링과 분리된 마그네트에는 진동판이 안착되고 상기 기판에는 커버가 씌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박판부저의 코일을 접속하기 위한 별도의 공간을 확보하지 않아도 되므로 박판부저의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코일의 단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코일의 단락이나 쇼트(short)를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박판부저{buzzer}
본 발명은 휴대전화나 무선 호출기 등과 같은 단말기나 각종 전자제품 내에 내장되어 부저음을 출력하도록 된 박판부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링(ring)과 마그네트(magnet)가 분리 및/또는 일체화으로 된 박판부저 내의 코일의 단부를 외부로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도록 박판부저의 구조를 개선한 박판부저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휴대전화나 PCS폰(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 phone), 무선 호출기 등에는 기지국을 매개로 하여 상대방으로부터의 착신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부저(buzzer) 등이 내장되어 있는 데 위와 같은 통신기기를 비롯한 각종 전자제품의 부피가 작아지는 추세에 있어 그 내부에 내장되는 이들 부품들의 부피 역시 극소형으로 작아지는 추세에 있다.
도 1은 종래의 박판부저의 일 예를 나타낸 것으로, 비전도성 재질로 성형된 기판(101)의 주변에는 다수개의 납땜패드(102)가 노출되어 있고, 기판(101)의 윗면에는 코일(103)의 단부를 납땜하기 위한 납땜부(104)가 노출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기판(101)의 윗면에는 철심(105)을 가지는 프레임(106)과 원통형의 마그네트(107)가 부착되어 있으며, 프레임(106)의 철심(105)에는 코일(103)이 원통형으로 감겨 있다. 또한, 마그네트(107)의 윗면에는 도시되지 않은 진동판이 안착되어 있으며,기판(101)에는 도시되지 않은 커버가 씌워 있다. 물론, 납땜패드(102)와 납땜부 (104)는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그러나 코일의 단부를 납땜패드, 즉 납땜부에 납땜하기 위해서는 기판 위에 별도의 공간을 확보해야 하므로 박판부저의 부피가 커지는 결점이 있으며, 코일의 단부를 마그네트를 거쳐 납땜부까지 인출해야 하므로 박판부저의 조립작업이 어려워지는 결점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결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박판부저는, 링과 마그네트가 분리 및 일체형으로 된 박판부저의 구조를 변경하여 박판부저의 코일을 접속하기 위한 별도의 공간을 확보하지 않아도 되므로 박판부저의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코일의 단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코일의 단락이나 쇼트 (short)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박판부저의 주요부분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박판부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박판부저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의 관통공을 보인 단면도이다.
도 5a,b,c는 도 3에서의 터널의 여러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박판부저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박판부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8a,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박판부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커버 2 : 진동판
3 : 보강턱 4,17 : 마그네트
5,5a,5b,5c : 터널 6 : 코일
7 : 철심 8 : 코일 단부
9 : 프레임 10,10a : 절개홈
11 : 기판 12 : 납땜패드
13 : 관통공 14,14a : 납땜부
15,15a : 패턴 16 :링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박판부저는, 기판 위의 납땜부가 상기 기판을 상하로 관통하는 관통공 또는 기판 상의 동판으로 된 패턴을 매개로 상기 기판 주변의 납땜패드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기판에 안착되며 철심에 코일이 감겨진 프레임의 주변에는 상기 납땜부를 노출시키기 위한 하나 이상의 절개홈이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에 안착되는 마그네트의 하단부에는 상기 프레임의 절개홈과 같은 위치에 납땜부가 마그네트에 닿지 않도록 이격시키기 위한 터널이 형성되며, 상기 마그네트 및/또는 링과 분리된 마그네트에 진동판이 안착되고 상기 기판에는 커버가 씌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코일 단부를 납땜패드에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구성으로서는, 상기 코일의 양단에 접속되는 두 개의 납땜부가 기판의 전면에 형성되고, 상기 납땜부에 대응되게 프레임의 전방에 하나의 절개홈이 형성되며, 상기 납땜부에 대응되게 마그네트의 하단부의 전방에 납땜부와 마그네트를 이격시키기 위한 터널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뿐만 아니라 상기한 구성의 다른 예로서는 상기 코일의 양단을 접속하기 위한 두 개의 납땜부가 기판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납땜부에 대응되게 프레임의 양측에 절개홈이 형성되고, 상기 납땜부에 대응되게 마그네트의 하단부 양측에 납땜부와 마그네트를 이격시키기 위한 터널이 각각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여기서, 상기 마그네트와 납땜부를 이격시키기 위한 터널의 구조로서는 원호 형상이나 사각형 형상 또는 삼각형 형상 등으로 형성할 수 있다.
특히, 상기 기판의 납땜부와 상기 기판 외곽의 납땜패드는 상기 기판의 밑면 및/또는 윗면에 형성된 패턴에 의해 상기 관통공을 선택적으로 통과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도면과 함께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박판부저는 도 2에 도시한 것처럼, 직육면체 형상의 커버(1)에는 부저음을 출력하기 위한 부저음 출력구가 형성되어 있고, 커버(1) 내에는 진동판과 마그네트, 코일, 프레임, 기판 등이 내설되어 있고, 기판의 밑면과 기판의 주변에형성된 납땜 패드(12)만이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여기서, 납땜 패드(12)의 형상은 곧은 모양, 절곡된 모양 등 다양하게 응용 가능하다.
보다 구체적인 박판부저는 도 3에 도시한 것처럼, 기판(11)의 외곽에는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진 다수개의 납땜패드(12)가 기판(11)의 밑면과 동일한 높이로 수평지게 형성되어 있고, 기판(11)의 전면에 형성된 두 개의 납땜부(14)는 도 4와 같은 전도성 재질의 관통공(13)에 의해 기판(11)의 밑면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이 관통공(13)은 다시 패턴(15)에 의해 납땜패드(12)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물론, 납땜부(14)와 납땜패드(12)와의 전기적인 단선을 줄이기 위해 기판(11)의 밑면 뿐만 아니라 기판(11)의 윗면에도 이들을 연결하는 패턴을 형성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뿐만 아니라 위에서는 기판(11)의 윗면과 밑면을 관통공(13)을 이용하여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것에 대해서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기판(11)의 측면, 즉 코일 납땜부(14)의 측면을 도금하여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물론, 기판(11)의 윗면과 밑면에 패턴을 형성하여 납땜부(14)와 납땜패드 (12)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때 기판(11)의 밑면 및/또는 윗면에 형성된 패턴에 의해 관통공을 선택적으로 통과하여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기판(11)의 중앙과 후방에는 각각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프레임 (9)의 밑면에 형성된 철심(7)의 연장단부 및 고정돌기와 결합되어 기판(11)에 장착되는 프레임(9)의 위치 및 방향을 지정해 주는 역할을 한다.
위와 같이 밑면에 고정돌기가 형성된 프레임(9)의 전방에는 프레임(9)을 기판(11)에 장착할 때 납땜부(14)가 노출될 수 있는 크기의 절개홈(10)이 형성되어 있으며, 프레임(9)의 중앙에는 철심(7)이 서 있는데, 이 철심(7)의 아랫부분, 즉 연장단부는 기판(11)에 형성된 통공과 결합 가능하도록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철심(7)에는 코일(6)이 원통형으로 감겨 있으며, 이 코일(6)의 단부(8)가 기판(11)의 납땜부 (14)에 납땜되어 납땜패드(12), 즉 외부전원과 전기적으로 접속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프레임(9)의 윗면 외곽에는 도넛 형상의 마그네트(4)가 고정되어 있는데, 프레임(9)에 안착되는 마그네트(4)의 하단부에는 프레임(9)의 절개홈(10)과 같은 위치에 납땜부(14)가 마그네트(4)에 닿지 않도록 이격시키기 위한 터널(5)이 형성되어 있으며, 마그네트(4)의 윗면 외곽에는 마그네트(4) 윗면에 안착되어 진동하는 진동판(2)의 진동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보강턱(3)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납땜부(14)가 마그네트(4)에 닿지 않도록 이격시키기 위한 터널(5)은 도 5a,b,c에서와 같이, 코일 단부(8)를 납땜하기 위한 충분한 공간을 확보하면서 납땜부(14)가 마그네트(4)의 밑면에 닿지 않을 정도의 높이의 원호, 사각 또는 삼각형 등의 형상으로 다양하게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물론,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이나 조립공정 수행시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마그네트(4)의 터널(5) 부분이 절단되지 않도록 터널(5)의 너비나 높이를 감안해야 함은 당연하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위에서와 같이 일체형의 플라스틱 마그네트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을뿐더러 링(ring)과 Nd-Fe-B나 페라이트(ferrite) 및 알리코(Al-Ni-Co) 등의 재질의 마그네트가 분리된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8a,b에서와 같이 링(16)과 마그네트(17)가 분리된 경우에는 마그네트(17)에만 터널(5b)(5c)을 형성할 수도 있지만, 마그네트 (17)와 링(16)에 각각 터널을 형성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는 링(16)에 형성된 터널은 박판부저의 조립공정 완료 후 별도의 마감재를 이용하여 막아야 한다.
이러한 마그네트(4)의 윗면에는 진동판(2)이 안착되어 있으며, 프레임(9)과 코일 (6), 마그네트(4) 및 진동판(2) 등이 순차적으로 안착되어 있는 기판(11)에는 이들을 보호하면서 공명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커버(1)가 씌워져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박판부저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로서, 기판(11) 위에 프레임(9)과 코일(6), 마그네트(4) 및 진동판(2)이 순차적으로 장착된 후 커버 (1)가 씌워지는 것은 동일하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코일(6)의 단부(8)를 인출하기 위한 절개홈(10a)이 프레임(9)의 양측에 위치하고 있으며, 코일 단부(8)를 납땜하기 위한 납땜부(14a) 역시 기판(11)의 양측에 형성되어 있다.
물론, 납땜부(14a)와 납땜패드(12)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패턴(15a)은 기판 (11)의 밑면에 형성됨은 물론이고, 일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납땜부(14a)와 납땜패드(12)의 전기적인 단선을 줄이기 위한 패턴이 기판(11)의 윗면에도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마그네트(4)에 형성되는 터널(5a)도 납땜부(14a)와 절개홈(10a)이 기판 (11)과 프레임(9)의 양측에 형성됨에 따라 이에 맞게 마그네트(4)의 양측에 위치함은 당연하다. 여기서, 터널(5a)은 일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원호형, 사각형 및 삼각형 등의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렇게 구성된 박판부저는 도 6에서와 같이 외부로부터 입력되어 코일(6)에 흐르는 전류의 세기와 주파수에 의해 진동판(2)의 선택적인 진동으로 부저음이 결정되고, 이 부저음은 커버(1)의 부저음 출력구를 통해 외부로 출력된다.
위의 설명이나 도면에서는 사각형 형상의 박판부저만을 실시예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형상에 제한받지 않고 원형이나 RP(백열 전구형)형 등에도 적용 가능함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박판부저의 코일을 접속하기 위한 별도의 공간을 확보하지 않아도 되므로 박판부저의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코일의 단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코일의 단락이나 쇼트(short)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 예에 한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7)

  1. 기판 위의 납땜부가 상기 기판을 상하로 관통하는 관통공과 기판의 윗면 및/또는 밑면에 형성된 매턴을 매개로 상기 기판 주변의 납땜패드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기판에 안착되며 철심에 코일이 감겨진 프레임의 전면 또는 양측면에는 상기 납땜부를 노출시키기 위한 하나 이상의 절개홈이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에 안착되는 마그네트의 하단부에는 상기 프레임의 절개홈과 같은 위치에 납땜부가 마그네트에 닿지 않도록 이격시키기 위한 다양한 형상의 터널이 형성되며;
    상기 마그네트 및/또는 링과 분리된 마그네트에는 진동판이 안착되고 상기 기판에는 커버가 씌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판부저.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000066263A 2000-11-08 2000-11-08 박판부저 KR1003629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6263A KR100362999B1 (ko) 2000-11-08 2000-11-08 박판부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6263A KR100362999B1 (ko) 2000-11-08 2000-11-08 박판부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6122A KR20010016122A (ko) 2001-03-05
KR100362999B1 true KR100362999B1 (ko) 2002-11-29

Family

ID=196979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6263A KR100362999B1 (ko) 2000-11-08 2000-11-08 박판부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6299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2914U (ko) * 1996-10-31 1997-01-24 주식회사삼부물산 소형말굽 자석을 이용한 박판버저
JPH09281972A (ja) * 1996-04-10 1997-10-31 Shichizun Denshi:Kk 表面実装型電磁発音体のケース構造
JPH11194779A (ja) * 1997-12-29 1999-07-21 Citizen Electronics Co Ltd 表面実装型電磁発音体
KR20000035449A (ko) * 1998-11-17 2000-06-26 나카스기 로쿠로 전자형 발음체
JP2000295693A (ja) * 1999-04-05 2000-10-20 Citizen Electronics Co Ltd 電磁発音体のヨークおよ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81972A (ja) * 1996-04-10 1997-10-31 Shichizun Denshi:Kk 表面実装型電磁発音体のケース構造
KR970002914U (ko) * 1996-10-31 1997-01-24 주식회사삼부물산 소형말굽 자석을 이용한 박판버저
JPH11194779A (ja) * 1997-12-29 1999-07-21 Citizen Electronics Co Ltd 表面実装型電磁発音体
KR20000035449A (ko) * 1998-11-17 2000-06-26 나카스기 로쿠로 전자형 발음체
JP2000295693A (ja) * 1999-04-05 2000-10-20 Citizen Electronics Co Ltd 電磁発音体のヨークおよ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6122A (ko) 2001-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29663B1 (ko) 마이크로스피커
EP1476918B1 (en) Built-in antenna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
KR100960587B1 (ko) 인덕터
KR20020011141A (ko) 통합가능한 듀얼-밴드 안테나
US6842530B2 (en) Electric acoustic converter having a rear surface terminal
US7583986B2 (en) Actuator module of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s
US6570994B1 (en) Field layer speaker for consumer products
USRE36828E (en) Electroacoustic transducer
JP2011024022A (ja) 携帯無線機
JP2001267826A (ja) 送受信ユニットのチップ型アンテナの取付構造
KR100362999B1 (ko) 박판부저
US7151492B2 (en) Antenna and portable wireless device
JP2001189615A (ja) 移動無線用アンテナおよび、それを用いた携帯型無線機
US5721785A (en) Small-sized sound generator
US7010142B2 (en) Electrical acoustic converter
JP2003304592A (ja) スピーカ
KR100328486B1 (ko) 전자기기의 소형 스피커
JP2003347818A (ja) 無線通信機用内蔵アンテナ
JP2001053460A (ja) 送受信ユニット
KR20150101281A (ko) 필름형 안테나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JP2006135450A (ja) 高周波モジュール
CN1839513B (zh) 天线装置上部件的放置
JP3455021B2 (ja) 携帯電話機
JPH08222928A (ja) アンテナ装置
KR101168812B1 (ko) 라디에이터 및 이를 구비하는 안테나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10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