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1874B1 - 액체용기용풀탭 - Google Patents

액체용기용풀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1874B1
KR100361874B1 KR1019970703508A KR19970703508A KR100361874B1 KR 100361874 B1 KR100361874 B1 KR 100361874B1 KR 1019970703508 A KR1019970703508 A KR 1019970703508A KR 19970703508 A KR19970703508 A KR 19970703508A KR 100361874 B1 KR100361874 B1 KR 1003618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nter
line
container
pull tab
connect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7035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미치 가네코
히데토시 곤노
준이치 사토요시
Original Assignee
테트라 라발 홀딩스 앤드 피낭스 소시에떼아노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테트라 라발 홀딩스 앤드 피낭스 소시에떼아노님 filed Critical 테트라 라발 홀딩스 앤드 피낭스 소시에떼아노님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18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18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7/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 B65D17/50Non-integral frangible members applied to, or inserted in, preformed openings, e.g. tearable strips or plastic plugs
    • B65D17/501Flexible tape or foil-like material
    • B65D17/505Flexible tape or foil-like material applied to the external and internal part of the container w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7/00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piercing or tearing of wall portions, e.g. preserving cans or tins
    • B65D2517/0001Details
    • B65D2517/001Action for opening container
    • B65D2517/0013Action for opening container pull-out tear panel, e.g. by means of a tear-tab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7/00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piercing or tearing of wall portions, e.g. preserving cans or tins
    • B65D2517/0001Details
    • B65D2517/0058Other details of container end panel
    • B65D2517/0059General cross-sectional shape of container end panel
    • B65D2517/0061U-shap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7/00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piercing or tearing of wall portions, e.g. preserving cans or tins
    • B65D2517/0001Details
    • B65D2517/0058Other details of container end panel
    • B65D2517/008Materials of container end panel
    • B65D2517/0083Rigid plast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7/00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piercing or tearing of wall portions, e.g. preserving cans or tins
    • B65D2517/0001Details
    • B65D2517/0058Other details of container end panel
    • B65D2517/008Materials of container end panel
    • B65D2517/0085Foil-like, e.g. paper or cardboar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7/00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piercing or tearing of wall portions, e.g. preserving cans or tins
    • B65D2517/50Non-integral frangible members applied to, or inserted in, a preformed opening
    • B65D2517/5002Details of flexible tape or foil-like material
    • B65D2517/5016Details of flexible tape or foil-like material with means for maintaining the tape fixed to the upper surface after initial opening
    • B65D2517/5018Details of flexible tape or foil-like material with means for maintaining the tape fixed to the upper surface after initial opening the other side of the tape being attached to the container to keep the tear panel in the open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7/00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piercing or tearing of wall portions, e.g. preserving cans or tins
    • B65D2517/50Non-integral frangible members applied to, or inserted in, a preformed opening
    • B65D2517/5002Details of flexible tape or foil-like material
    • B65D2517/5024Material
    • B65D2517/5027Single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7/00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piercing or tearing of wall portions, e.g. preserving cans or tins
    • B65D2517/50Non-integral frangible members applied to, or inserted in, a preformed opening
    • B65D2517/5072Details of hand grip, tear- or lift-tab
    • B65D2517/5083Details of hand grip, tear- or lift-tab with means facilitating initial lifting of tape, e.g. lift or pull-tabs
    • B65D2517/5086Tape having a U-shaped peripheral section which forms the pull-tab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7/00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piercing or tearing of wall portions, e.g. preserving cans or tins
    • B65D2517/50Non-integral frangible members applied to, or inserted in, a preformed opening
    • B65D2517/5094Details of frangible member hinge
    • B65D2517/5097Hinge line off-set from longitudinal axis of opening, i.e. 0 deg.<angle<90 de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Opened By Tearing Frangible Portion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Cartons (AREA)

Abstract

뚜껑 표면의 유출 개구용 손잡이(10)는 연결 부분(15)이 절단되지 않고 남아있는 상태로 탭 부분(20)과 본체 부분(30)이 각각 절단선의 외측과 내측에 형성되도록 링 형태로 절단되는 주변부를 구비한 시이트 형태로 형성된다. 본체 부분(30)은 연결 부분(15)으로부터 멀리 이격되어 있는 단부를 구비하며 이 단부는 단부와 연결 부분 사이를 연장하는 선에 대해 45°각도로 비스듬하게 연장하는 접힘선(33)을 따라 본체 부분의 뒷면을 향해 접힌다. 손잡이(10)는 유출 개구(83)에 배치되며, 접힌 부분(31)의 저면은 접힌 고정부(31)와 연결 부분(15) 사이에 배치된 본체 부분(30)의 밀봉 부분이 유출 개구(83)를 덮도록 윗뚜껑(81)의 표면에 접합된다.

Description

액체 용기용 풀 탭{PULL-TAB FOR A LIQUID CONTAINER}
종래에는, 종이 또는 플라스틱을 주소재로 하여 형성되는 액체 용기에 주입구가 설치되고, 이 주입구에 박막형 시이트나 수지제의 풀 탭 등의 뚜껑 부재가 부착되어 밀봉되었다. 이러한 용기는 뚜껑 부재 전체를 벗겨냄으로써 개봉되었다.
그러나, 뚜껑 부재 전체를 벗겨내면, 주입구가 항상 개봉된 상태로 남아 있게 되어, 주스 등의 내용물이 엎질러지기 쉽다. 또한, 벗겨낸 뚜껑 부재가 액체 용기와는 별개의 쓰레기가 되어 버려 그 뚜껑 부재를 별도로 폐기하여야 하므로 쓰레기 처리 문제가 증가된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뚜껑 부재의 일부분만을 벗겨내면 되도록 뚜껑 부재를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 소비자가 그 일부분만을 벗겨낸 뚜껑 부재에서 손을 떼면, 뚜껑 부재가 그 자체의 복원력[이른바 인성(靭性)]에 의해 다시 주입구를 덮는다는 부적절함이 있었다.
또한, 뚜껑 부재의 일부분만을 벗겨내는 구조에 있어서는, 소비자가 주입구에 직접 입을 대고 내용물을 마실 때. 벗겨낸 뚜껑 부재가 코에 닿아 방해가 되는또 다른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액체 용기의 주입구에 부착되는 액체 용기용 풀 탭(pull-tab)에 관한 것이다.
도 1A 내지 도 1C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액체 용기용 풀 탭의 사시도와, 평면도, 그리고 측면도로서, 또한 도 1C는 도 1B의 선 1C-1C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액체 용기용 풀 탭의 개봉 조작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풀 탭이 개봉되어 고정 유지된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풀 탭의 사시도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풀 탭의 제조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구조가 단순하고 제조가 용이하며, 개봉 후 풀 탭이 용기에 남은 채로도 충분한 개봉 상태를 유지하여 주입구를 덮는 일이 없고, 또한 마실 때 방해가 되지 않는 액체 용기용 풀 탭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형태에 따르면, 액체 용기의 주입구를 덮어 밀봉하는 풀 탭이 제공되며, 이 풀 탭은 그 내부에 링형 절단선을 구비하는 시이트를 포함한다. 절단선은 비절단 연결부에 의해 분리되어 있는 두 개의 단부를 구비하며, 절단선의 외측 부분을 탭부, 내측 부분을 본체부로서 형성한다. 이 본체부의 연결부와 반대측의 단부는 이 단부의 중심과 연결부의 중심을 연결하는 선에 대하여 비스듬하게 연장하는 절곡선을 따라 시이트의 뒷면을 향해 접힌다. 이 접힌 단부의 저면을 용기 표면에 접착시키는 동시에, 접힌 부분과 연결부 사이의 본체부의 밀봉 부분에 의해 주입구를 덮어 밀봉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절단선은 실질적으로 U자형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U자형의 절단선의 다리부는 상기 단부의 중심과 연결부의 중심 사이를 연장하는 선의 방향으로 연장한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르면, 용기가 제공되며, 이 용기는 그 내부에 주입구를 구비하는 윗뚜껑을 포함한다. 용기는 그 내부에 링형 절단선을 구비하는 시이트 형태의 풀 탭을 추가로 포함한다. 절단선은 비절단 연결부에 의해 분리되어있는 두 개의 단부를 구비하며, 절단선의 외측 부분을 탭부, 내측 부분을 본체부로서 형성한다. 이 본체부의 연결부와 반대측의 단부는 이 단부의 중심과 연결부의 중심을 연결하는 선에 대하여 비스듬하게 연장하는 절곡선을 따라 시이트의 뒷면을 향해 접힌다. 이 접힌 단부의 저면을 용기 표면에 접착시키는 동시에, 접힌 부분과 연결부 사이의 본체부의 밀봉 부분에 의해 주입구를 덮어 밀봉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절단선은 실질적으로 U자형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U자형의 절단선의 다리부는 상기 단부의 중심과 연결부의 중심 사이를 연장하는 선의 방향으로 연장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주입구는 길이방향 길이가 횡방향 길이보다 길며, 상기 절곡선은 상기 길이방향에 대하여 45°각도로 연장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형태에 따르면, 풀 탭을 구비하는 용기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이 방법에 따르면, 링형 절단선이 시이트에 형성된다. 절단선은 비절단 연결부에 의해 분리되어 있는 두 개의 단부를 구비하며, 절단선의 외측 부분을 탭부, 내측 부분을 본체부로서 형성한다. 이 본체부의 연결부와 반대측의 단부는 이 단부의 중심과 연결부의 중심을 연결하는 선에 대하여 비스듬하게 연장하는 절곡선을 따라 시이트의 뒷면을 향해 접힌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용기 제조 방법은 수지제 박막이 용기의 주입구를 덮도록 액체 용기의 내면에 수지제 박막을 부착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용기 제조 방법은 시이트의 단부를 용기에 부착하고 접힌 부분과 연결부 사이에 배치되는 본체부의 밀봉 부분을 주입구 위와 수지제 박막에부착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용기 제조 방법은 시이트의 단부를 용기에 부착하고 접힌 부분과 연결부 사이에 배치되는 본체부의 밀봉 부분을 주입구 위에 부착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풀 탭을 개봉했을 때, 본체부의 접힌 부분이 신장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므로, 풀 탭이 주입구를 다시 폐쇄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일이 없고(또는 풀 탭이 상기 폐쇄 방향으로 이동하게끔 풀 탭에 작용하는 힘이 작고), 따라서 충분한 개봉 상태를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체부의 연결부와 반대측에 위치한 단부는 이 단부와 연결부를 연결하는 선에 대하여 비스듬하게 연장하는 선을 따라 본체부의 뒷면을 향해 접혀 있으므로, 개봉된 풀 탭은 횡방향을 향하여 고정 유지된다. 따라서, 소비자가 주입구에 직접 입을 대고 내용물을 마시는 경우에도, 상기 상방으로 당겨져 고정 유지된 풀 탭이 코에 닿아 방해가 되는 일은 없다.
도 1A 내지 도 1C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액체 용기용 풀 탭을 도시한 것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풀 탭(10)은 종이 또는 플라스틱을 주된 소재로 하여 형성된 액체 용기(80)의 윗뚜껑(81)에 부착되어 그 윗뚜껑에 설치되어 있는 주입구(83)를 덮어 밀봉한다.
풀 탭(10)은 그 외형이 거의 타원형인 수지제 시이트로 형성되며, 외주부가 연결부(15)를 남겨 두고 절단선(17)을 따라 링형으로 절단되어, 그 외측 부분의 탭부(20)와 내측 부분의 본체부(30)를 형성하고 있다.
본체부(30)의 연결부(15)와 반대측의 단부는 이 단부와 연결부(15)를 연결하는 풀 탭(1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선에 대하여 약 45°각도로 비스듬하게 연장하는 절곡선(33)을 따라 본체부의 뒷면을 향해 접힌다. 이 접힌 부분이 고정부(31)(점선으로 도시)가 된다.
다시 말해, 절곡선(33)은 소비자가 용기의 주입구에 입을 대고 내용물을 마실 때에 주입구(83)를 기울이는 방향[도 1B의 선(A)의 방향]에 대하여 약 45°각도로 비스듬하게 연장하는 선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절곡선(33)의 중앙에는 아치형으로 돌출하는 지지 부재(35)가 설치되어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풀 탭(10)이 제조되어 액체 용기(80)에 부착된다. 우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풀 탭(10)의 외형이 시이트에 펀칭되고 절단선(17, 19)이 형성된다. 그 다음, 절단선(19)(도 1A와 도 1B 참조)의 양단을 연결하는 절곡선(33)을 따라 고정부(31)가 본체부(30)의 뒷면을 향해(도 4의 화살표 방향으로) 접힌다.
그 후, 도 1A 내지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렇게 형성된 풀 탭(10)이 액체 용기(80)의 윗뚜껑(81)의 위에 배치된다. 접힌 고정부(31)와 연결부(15) 사이에 배치되는 본체부(30)의 밀봉 부분으로 주입구(83)를 덮은 상태로 풀 탭(10)의 고정부(31)의 저면이 윗뚜껑(81)에 접착 또는 용착에 의해 고정된다. 고정되는 저면은 도 1B에 점선의 사선으로 도시된 부분이다.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체 용기(80)의 내면과 풀 탭 저면의 주입구(83)의 부분에는 얇은 수지제 박막(87)이 밀착 부착되어 주입구(83)를 밀봉한다. 이렇게 해서, 풀 탭(10)의 부착 작업이 완료된다.
도 2A 내지 도 2C는 풀 탭(10)의 개봉 조작을 도시하고 있다. 우선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풀 탭(10)의 탭부(20)를 연결부(15)를 중심으로 하여 상방으로 당긴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탭부(20)를 더욱 상방으로 당기면, 본체부(30)가 고정부(31)의 절곡선(33) 부근을 중심으로 윗뚜껑(81)으로부터 상방으로 당겨짐과 동시에, 본체부(30)의 저면에 부착되어 있는 박막(87)(도 1C 참조)도 주입구(83)의 형태를 따라 벗겨내어져, 주입구(83)가 개봉된다.
이 상태에서, 탭부(20)를 상방으로 당기면서 윗뚜껑(81)의 외주부의플랜지(85)를 향해 잡아당겨,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랜지(85)에 걸리게 한다. 이 때, 지지 부재(35)의 선단은 윗뚜껑(81) 상에서 회전하여 고정부(31)측으로 들어가 윗뚜껑(81)에 접촉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풀 탭(10)을 개봉하였을 때, 본체부(30)의 접힌 부분이 신장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려고 하므로, 풀 탭(10)이 다시 주입구(83)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려고 하는 일은 없고(또는 풀 탭이 폐쇄 방향으로 이동하게끔 풀 탭에 작용하는 힘이 작고), 따라서 충분한 개봉 상태를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풀 탭이 다시 주입구(83)를 덮는 일은 없다.
또한, 본 실시예의 경우, 절곡선(33)에 인접하여 지지 부재(35)를 설치하였으므로, 전술한 바와 같이 풀 탭(10)을 상방으로 당겼을 때 지지 부재(35)가 고정부(31)측으로 들어가 윗뚜껑(81)에 접촉되므로, 풀 탭(10)의 충분한 개봉 상태를 보다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본체부(30)는 절곡선(33) 부근을 중심으로 상방으로 당겨진다. 이 경우에, 절곡선이 풀 탭(10)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약 45°각도로 비스듬하게 연장하기 때문에, 상방으로 당겨진 본체부(30)는 도 2C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풀 탭(10)의 당초 길이방향과는 약 90°상이한 횡방향을 향해 고정 유지된다.
따라서, 소비자가 주입구(83)에 직접 입을 대고 내용물을 마실 때, 상방으로 당겨져 고정 유지된 풀 탭이 코에 닿아 방해가 되는 일은 없다.
상세히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액체 용기용 풀 탭은 아래와 같은 우수한 장점을 갖는다.
(1) 개봉 후 풀 탭이 액체 용기에 부착된 상태에서도 충분한 개봉 상태를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풀 탭이 다시 주입구(83)를 덮는 일은 없다.
(2) 풀 탭이 액체 용기와 별도의 폐기물이 되지 않는다.
(3) 풀 탭을 개봉 상태로 하여 내용물을 마실 때, 풀 탭이 주입구(83)의 횡방향에 위치하므로, 풀 탭이 코에 닿지 않아 방해가 되지 않는다.
(4) 풀 탭을 시이트를 절단하는 것만으로도 제조할 수 있으므로, 그 제조가 용이하다.
필요에 따라, 주입구(83)를 풀 탭(20)에 의해 밀봉하는 구조는 전술한 구조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른 여러 가지 밀봉 구조가 적용될 수도 있다. 또한, 절곡선(33)의 경사각이 약 45°이외의 소정의 각도일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 및 기술하였지만, 그 변형 및 변경이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을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이루어질 수도 있음을 알 수 있다.

Claims (16)

  1. 액체 용기의 주입구를 덮어 밀봉하는 풀 탭으로서,
    그 내부에 링형 절단선을 구비하는 시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절단선은 비절단 연결부에 의해 분리되어 있는 두 개의 단부를 구비하고, 절단선의 외측 부분이 탭부를 내측 부분이 본체부를 형성하며, 이 본체부의 연결부와 반대측의 단부는 이 단부의 중심과 연결부의 중심을 연결하는 선에 대하여 비스듬하게 연장하는 절곡선을 따라 시이트의 뒷면을 향해 접히고,
    접힌 상기 단부의 저면을 용기 표면에 접착시키는 동시에, 접힌 부분과 연결부 사이의 본체부의 밀봉 부분에 의해 주입구를 덮어 밀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용기용 풀 탭.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선은 실질적으로 U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용기용 풀 탭.
  3. 제2항에 있어서, U자형의 상기 절단선의 다리부는 상기 단부의 중심과 연결부의 중심 사이를 연장하는 선의 방향으로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용기용 풀 탭.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선은 단부의 중심과 연결부의 중심 사이를 연장하는 선에 대하여 45°각도로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용기용 풀 탭.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선은 단부의 중심과 연결부의 중심 사이를 연장하는 선에 대하여 45°각도로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용기용 풀 탭.
  6. 그 내부에 주입구를 구비하는 윗뚜껑과,
    그 내부에 링형 절단선을 구비하는 시이트 형태의 풀 탭을 포함하며,
    상기 절단선은 비절단 연결부에 의해 분리되어 있는 두 개의 단부를 구비하고, 절단선의 외측 부분을 탭부, 내측 부분을 본체부로서 형성하며, 이 본체부의 연결부와 반대측의 단부는 이 단부의 중심과 연결부의 중심을 연결하는 선에 대하여 비스듬하게 연장하는 절곡선을 따라 시이트의 뒷면을 향해 접히고,
    접힌 상기 단부의 저면을 용기 표면에 접착시키는 동시에, 접힌 부분과 연결부 사이의 본체부의 밀봉 부분에 의해 주입구를 덮어 밀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선은 실질적으로 U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8. 제7항에 있어서, U자형의 상기 절단선의 다리부는 상기 단부의 중심과 연결부의 중심 사이를 연장하는 선의 방향으로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선은 단부의 중심과 연결부의 중심 사이를 연장하는 선에 대하여 45°각도로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선은 단부의 중심과 연결부의 중심 사이를 연장하는 선에 대하여 45°각도로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11. 제6항에 있어서, 용기의 내면에 부착되는 수지제 박막을 추가로 포함하며, 밀봉 부분은 상기 수지제 박막에 밀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12.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구는 길이방향 길이가 횡방향 길이보다 길며, 상기 절곡선은 상기 길이방향에 대하여 45°각도로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13. 풀 탭을 구비하는 용기의 제조 방법으로,
    비절단 연결부에 의해 분리되어 있는 두 개의 단부를 구비하며, 절단선의 외측 부분을 탭부, 내측 부분을 본체부로서 형성하는 링형 절단선을 시이트에 형성하는 단계와.
    본체부의 연결부와 반대측의 단부를 이 단부의 중심과 연결부의 중심을 연결하는 선에 대하여 비스듬하게 연장하는 절곡선을 따라 시이트의 뒷면을 향해 접는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의 제조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수지제 박막이 용기의 주입구를 덮도록 액체 용기의 내면에 수지제 박막을 부착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의 제조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시이트의 단부를 용기에 부착하고 접힌 부분과 연결부 사이에 배치되는 본체부의 밀봉 부분을 주입구 위와 수지제 박막에 부착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의 제조 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시이트의 단부를 용기에 부착하고 접힌 부분과 연결부 사이에 배치되는 본체부의 밀봉 부분을 주입구 위에 부착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의 제조 방법.
KR1019970703508A 1994-11-29 1995-11-29 액체용기용풀탭 KR1003618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1904694A JP3561307B2 (ja) 1994-11-29 1994-11-29 液体収納容器用プルタブ
JP94-319046 1994-11-2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61874B1 true KR100361874B1 (ko) 2003-02-19

Family

ID=181059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703508A KR100361874B1 (ko) 1994-11-29 1995-11-29 액체용기용풀탭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0793602B1 (ko)
JP (1) JP3561307B2 (ko)
KR (1) KR100361874B1 (ko)
AU (1) AU4370496A (ko)
DE (1) DE69515326T2 (ko)
TW (1) TW304929B (ko)
WO (1) WO199601687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02236A (en) * 1997-01-31 2000-08-15 Tetra Laval Holdings & Finance S.A. Lid of a container for beverages
PL2062828T3 (pl) * 2007-11-21 2011-10-31 Impress Group Bv Pojemnik
JP5428453B2 (ja) * 2009-03-30 2014-02-26 凸版印刷株式会社 紙製液体容器
DE102013003154B3 (de) * 2013-02-25 2014-01-16 Euro-Cap Gmbh Dosenverschluss
ITRM20130676A1 (it) * 2013-12-06 2015-06-07 Celli Holding S P A Contenitore ad apertura perfezionata e linguetta per l¿apertura di un contenitor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627700A5 (de) * 1978-04-17 1982-01-29 Tetra Pak Dev Wiederverschliessbare oeffnungsvorrichtung in einer wand eines verpackungsbehaelters, und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US4516689A (en) * 1984-06-22 1985-05-1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Easy open/reclosable container with pouring lip and hold-open feature
US4582216A (en) * 1984-06-22 1986-04-1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Easy open-reclosable container with pouring lip/drain surfa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515326D1 (de) 2000-04-06
JPH08151042A (ja) 1996-06-11
EP0793602A4 (en) 1998-01-21
TW304929B (ko) 1997-05-11
JP3561307B2 (ja) 2004-09-02
EP0793602B1 (en) 2000-03-01
WO1996016870A1 (en) 1996-06-06
AU4370496A (en) 1996-06-19
EP0793602A1 (en) 1997-09-10
DE69515326T2 (de) 2000-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202873A (en) Weldable tear-off capping film for sealing packages
US5647500A (en) Pull-tab for liquid container
KR20010072231A (ko) 포장용기
EP0312816B1 (en) Pouring spout for a liquid container
KR100361874B1 (ko) 액체용기용풀탭
GB1600353A (en) Containers
US5772060A (en) Pull-tab for a liquid container
US6431384B1 (en) Closing device
JP2000264358A (ja) 包装容器
JP3409964B2 (ja) 注出口組合体
JPH11314652A (ja) 液体包装容器
JP7456417B2 (ja) 蓋体
JPS60172638A (ja) 合成樹脂製容器
JPH0454917Y2 (ko)
JPS6112336Y2 (ko)
JP2002225911A (ja) プルリング付取出口栓
JPS6145007Y2 (ko)
JPS5834049Y2 (ja) 密封容器の開口構造
JP3102265B2 (ja) 液体容器の口部の封止構造
KR0138356Y1 (ko) 지류로 제작되어지는 종이팩의 마개
KR960002882Y1 (ko) 개봉이 용이한 합성수지 밀봉지를 가진 캔마개
JPH0726329U (ja) 内付け口栓付き紙容器
JP5203254B2 (ja) プラスチックキャップ
JPH0426352Y2 (ko)
JP3300091B2 (ja) 注出口取付け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10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