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58522B1 - 강구조물 발파해체를 위한 성형폭약 장착방법 - Google Patents

강구조물 발파해체를 위한 성형폭약 장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58522B1
KR100358522B1 KR1019990040737A KR19990040737A KR100358522B1 KR 100358522 B1 KR100358522 B1 KR 100358522B1 KR 1019990040737 A KR1019990040737 A KR 1019990040737A KR 19990040737 A KR19990040737 A KR 19990040737A KR 100358522 B1 KR100358522 B1 KR 1003585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plosives
steel
blasting
molding
dismant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07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28474A (ko
Inventor
박용원
신동혁
김양균
Original Assignee
코오롱건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오롱건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오롱건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900407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58522B1/ko
Publication of KR200100284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84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85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8522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2/00Methods or apparatus for repairing or strengthening existing bridges ; Methods or apparatus for dismantling bridges

Abstract

성형폭약을 이용하여 철골조 건축물, 트러스 교량 등에서 주 자재로 사용되는 강재를 용이하게 발파절단 할 수 있도록 된 강구조물 발파해체를 위한 성형폭약 장착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강구조물 발파해체를 위한 성형폭약 장착방법은, 형강재를 구성하는 웨브 또는 마주보는 임의의 두면을 절단하고 절단부의 양측에 구멍을 뚫은 후, 상기 구멍과 이 구멍의 외측면에 대향되는 자세로 위치되는 2쌍 이상의 성형폭약을 장착하여 형강재를 해체토록 하는 강구조물 발파해체를 위한 성형폭약 장착방법을 제공한다.
상기한 성형폭약은 발파 후 절단으로 분리된 형강재가 자중에 의해 붕괴 해체될 수 있도록 형강재의 수평면에 대하여 0°에서 90°내의 경사각을 가지며 장착되고, 발파부위에 장착된 성형폭약이 장착면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결속재로 결속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강구조물 발파해체를 위한 성형폭약 장착방법{THE SETTING METHOD OF SHAPED CHARGES FOR THE EXPLOSIVES DEMOLITION OF A STEEL STRUCTURE}
본 발명은 강구조물 발파해체를 위한 성형폭약 장착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성형폭약을 이용하여 철골조 건축물, 트러스 교량 등에서 주 자재로 사용되는 강재를 용이하게 발파절단 할 수 있도록 된 강구조물 발파해체를 위한 성형폭약 장착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토목공사 또는 건축공사에서는 암반을 폭파시키거나 대형 구조물을 해체할 때에는 거의 대부분이 폭약을 이용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고층건물이나 교량 등을 해체할 때 경제적이나 시간적으로 매우 유리한 발파해체공법을 이용하여 행하는 경우가 많다.
발파해체공법이란 아파트, 교량, 일반 건축물 등과 같은 구조물에 소량의 폭약을 장착하여 구조물의 주요 부위만을 절단시킴으로서 자중에 의해 구조물을 붕괴 해체시키는 공법이다.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을 발파해체할 때에는 발파부위에 천공을 실시하고 그 내부에 폭약을 장진하게 되지만 철골조 구조물에서는 천공이 불가능하므로 폭약을 철골 구조물에 장착하여 발파해체를 하도록 된다.
이러한 철골 구조물에 폭약을 장착하는 종래의 성형폭약 장착방법은 H빔을 예로 들면, 빔의 양쪽플랜지 외측면과 이들 플랜지 사이를 연결하는 웨브(web)에 모두 3개의 성형폭약을 장착한 후, 장착된 성형폭약을 발파기 등을 이용하여 발파시킴으로서 철골 구조물을 해체하도록 되어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성형폭약 장착방법은 철골 구조물의 두께가 얇을 경우에는 해체가 가능하지만, 철골 구조물의 두께가 두꺼울 경우에는 발파해체가 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한다.
또한 플랜지들 사이에 위치한 웨브에 장착되는 폭약은 빔이 길이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수평으로 설치되어야 함으로 성형폭약을 장착하여 고정시키기가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두께가 두꺼운 철골 구조물도 용이하게 발파해체할 수 있고, 성형폭약의 장착을 손쉽게 할 수 있는 강구조물 발파해체를 위한 성형폭약 장착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형강재를 구성하는 웨브 또는 마주보는 임의의 두면을 절단하고 절단부의 양측에 구멍을 뚫은 후, 상기 구멍과 이 구멍의 외측면에 대향되는 자세로 위치되는 2쌍 이상의 성형폭약을 장착하여 형강재를 해체토록 하는 강구조물 발파해체를 위한 성형폭약 장착방법을 제공한다.
상기한 성형폭약은 발파 후 절단으로 분리된 형강재가 자중에 의해 붕괴 해체될 수 있도록 형강재의 수평면에 대하여 0°에서 90°내의 경사각을 가지며 장착되고, 발파부위에 장착된 성형폭약이 장착면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결속재로 결속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성형폭약의 구조를 나타내는 일부절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강구조물 발파해체를 위한 성형폭약 장착방법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정면도.
도 4는 도 2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강구조물 발파해체를 위한 성형폭약 장착방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성형폭약을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부호2는 강구조물 발파해체를 위한 성형폭약을 나타낸다.
상기한 성형폭약(2)은 플라스틱 또는 구리재질로 이루어진 튜브(6)와, 이 튜브(6)에 내장되는 장약(8)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튜브(6)는 철골 구조물과 접하는 부분이 내측으로 절곡되어 홈(4)을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튜브(6)에는 뇌관(10)이 장약(8)과 접촉하여 설치되며, 이 뇌관(10)은 발파기와 연결된 발파전선(12)으로부터 발파신호를 전달받을 수 있게 연결된다.
도 2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성형폭약 장착방법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상기한 성형폭약(2)을 이용하여 H형강이나 I형강 또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홈형강의 강구조물을 발파해체하기 위하여 성형폭약이 장착된 구조를 나타내고 있는데, 상기 형강재는 구조가 유사함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H형강에 적용되는 것으로 나타낸다.
상기한 형강재(14)는 서로 대향되는 자세로 형성되는 한쌍의 플랜지부(16)와, 이들 플랜지부(16)들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웨브(18)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플랜지부(16)들 사이 즉, 웨브(18)에는 폭약을 장착하기 위한 전처리 단계로서 산소용접기 등을 이용하여 절단된 절단부(20)가 형성된다.
이 절단부(20)는 수평방향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절단 경로는 임의 형태의 직선이나 곡선으로 절단하여도 무방하고, 절단폭의 크기 또한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한 절단부(20)의 양측에는 플랜지부(16)와 접하여 뚫려지는 구멍(22)이 마련되는데, 이들 구멍(22)은 성형폭약(2)이 쉽게 장착될 수 있는 충분한 크기로 뚫어야 한다.
이러한 작업이 완료되면 상기 구멍(22)과 절단되지 않은 플랜지부(16)에 마주보는 상태에서 상기 플랜지부(16)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한 쌍의 성형폭약(2)을 장착하고, 이들 성형폭약(2)들 끼리는 예를 들어 고무밴드와 같이 신축성을 갖는 결속끈(24)으로 묶어 장착된 성형폭약(2)이 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그 다음 다른 한쪽의 구멍(22)과 다른 플랜지부(16)에도 상기한 과정과 동일하게 성형폭약(2)을 장착하면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2쌍의 성형폭약이 장착되는 것으로 나타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구조물의 종류와 두께에 따라서 2쌍 이상의 성형폭약을 장착할 수도 있다.
이때 각각의 성형폭약(2)은 정확하게 서로 마주보는 상태로 장착되어야하는데, 이것은 발파시 각 플랜지부(16)의 동일한 선상을 따라 성형폭약(2)이 상기 플랜지부(16)의 내부와 외부에서 폭발하도록 하여 확실한 발파효과를 얻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한 성형폭약(2)은 발파 후 절단된 구조물이 일정한 방향성을 갖고 자중에 의해 붕괴 및 해체가 자연스럽게 유도될 수 있도록 소정의 경사각(θ)으로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경사각(θ)은 형강재(14)의 수평면에 대하여 0°에서 90°내의 범위로 할 수 있고, 형강재의 종류와 두께 및 발파해체될 구조물이 위치한 주변의 여건에 따라서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형강재(14)에 장착된 성형폭약(2)은 발파전선(12)을 이용하여 발파기(28)에 연결되고 상기 발파기(28)의 작동에 의하여 형강재(14)가 발파해체 된다.
즉, 성형폭약(2)이 점화되어 폭발되면 형강재(14)의 양측에서 동시에 폭발이 일어나므로 형강재(14)의 구멍(22) 주위가 파괴되면서, 그 힘이 절단부(20)로 전달되어 형강재(14)를 가로방향으로 절단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형강재(14)가 가로방향으로 절단되면, 이 형강재(14)의 자중에 의해 상측 부분이 붕괴가 시작되는데, 이러한 붕괴는 성형폭약(2)을 경사지게 장착한 경우 더 자연스럽게 진행된다.
고층건물의 경우 같은 층을 가로방향이나 세로방향 또는 사선방향의 그룹으로 묶고, 각각의 그룹이 매우 짧은 시간차를 두고 늦어지도록 발파지연시간을 갖는 뇌관을 폭약에 장착하여 순차적으로 발파되도록 하면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성형폭약 장착방법을 나타내는데, 하기한 사항 이외에는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
즉, 제2실시예에서는 내부공간을 갖는 사각형상의 형강재(30)로 이루어진 경우 성형폭약을 장착하는 방법을 나타내고 있다.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의한 형강재(30)를 구성하는 4변 중 서로 마주보는 임의의 2개 변(32)에 성형폭약(2)이 소정의 경사각을 유지하며 장착될 수 있도록 서로 다른 높이를 갖는 절단부(34)를 형성하고, 이 절단부(34)의 양측에 구멍(36)을 뚫은 다음 상기 구멍(36)에 성형폭약(2)을 장착한 후 발파해체를 하면 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예시를 목적으로 설명되어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며,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강구조물 발파해체를 위한 성형폭약 장착방법은, 마주보는 2변에 성형폭약을 장착하여 폭발시키므로 두께가 비교적 두꺼운 어떠한 형강재도 용이하게 발파해체할 수 있고, 또 성형폭약을 비스듬히 장착시켜 폭발시키면 발파된 구조물이 일정한 방향성을 갖고 자중에 의한 붕괴 및 해체가 자연스럽게 유도됨으로 안전성이 확보된다.

Claims (3)

  1. 형강재를 구성하는 웨브 또는 마주보는 임의의 두면을 절단하고 절단부의 양측에 구멍을 뚫은 후, 상기 구멍과 이 구멍의 외측면에 대향되는 자세로 위치되는 2쌍 이상의 성형폭약을 장착하여 형강재를 해체토록 하는 강구조물 발파해체를 위한 성형폭약 장착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한 성형폭약은 발파 후 절단으로 분리된 형강재가 자중에 의해 붕괴 해체될 수 있도록 형강재의 수평면에 대하여 0°에서 90°내의 경사각을 가지며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구조물 발파해체를 위한 성형폭약 장착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한 성형폭약은 발파부위에 장착된 성형폭약이 장착면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결속재로 결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구조물 발파해체를 위한 성형폭약 장착방법.
KR1019990040737A 1999-09-21 1999-09-21 강구조물 발파해체를 위한 성형폭약 장착방법 KR1003585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0737A KR100358522B1 (ko) 1999-09-21 1999-09-21 강구조물 발파해체를 위한 성형폭약 장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0737A KR100358522B1 (ko) 1999-09-21 1999-09-21 강구조물 발파해체를 위한 성형폭약 장착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8474A KR20010028474A (ko) 2001-04-06
KR100358522B1 true KR100358522B1 (ko) 2002-10-30

Family

ID=196124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0737A KR100358522B1 (ko) 1999-09-21 1999-09-21 강구조물 발파해체를 위한 성형폭약 장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5852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31559A (zh) * 2018-05-24 2018-11-02 中钢集团武汉安全环保研究院有限公司 一种角钢钢结构焊接成筒水压爆破的方法
KR102152916B1 (ko) 2020-03-10 2020-09-07 한동훈 성형폭약을 이용한 수중의 선형구조물 절단공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0032B1 (ko) * 2000-08-11 2007-02-07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화약에 의한 건물발파해체 방법
JP6160859B2 (ja) * 2013-04-24 2017-07-12 株式会社カコー 鋼構造物の解体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31559A (zh) * 2018-05-24 2018-11-02 中钢集团武汉安全环保研究院有限公司 一种角钢钢结构焊接成筒水压爆破的方法
KR102152916B1 (ko) 2020-03-10 2020-09-07 한동훈 성형폭약을 이용한 수중의 선형구조물 절단공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8474A (ko) 2001-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20706B2 (ja) 解体方法
KR100358522B1 (ko) 강구조물 발파해체를 위한 성형폭약 장착방법
KR20120081408A (ko) 알루미늄 폼 패널과 콘크리트판의 합성 방폭벽체, 그 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방폭구조물
JP2005179924A (ja) 鉄筋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爆破解体方法
KR100450056B1 (ko) 폭약 발파장치 및 방법
JP2007332669A (ja) 発破制御用装薬容器及び発破制御方法
JP7262193B2 (ja) 軽量自立壁
KR102199682B1 (ko) 폭발력 집중과 진동소음 저감형 라이너 플러그를 포함하는 폭약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발파 공법
JP6310181B2 (ja) 解体方法
CN1046385A (zh) 大高宽比建筑物切口定向爆破技术
JP2018168545A (ja) 鉄筋コンクリート躯体の表面からコンクリートを除去する方法
RU2509893C1 (ru) Способ возведения сейсмостойкой бетонной крепи
JP4024489B2 (ja) 下地部材と係合する係合部材、下地部材組立体、及び、下地部材組立法
US20210348384A1 (en) Building block (variants)
RU94014762A (ru) Способ взрывного разделения бетонных и железобетонных строительных конструкций при их демонтаже
CN209877797U (zh) 一种格构柱炮孔布置结构
KR0185823B1 (ko) 형강재 절단용 성형폭약 장착방법
CN111854549A (zh) 一种大型岩质基坑爆破开挖体系及施工方法
KR102504139B1 (ko) 외부 방향유도부가 구비된 장약홀더 및 이를 이용한 발파공법
KR102119864B1 (ko) 방진 주름캡을 이용한 폭약 발파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폭발력 집중과 진동소음교란 발파 방법
KR200364941Y1 (ko) 강관말뚝 절단용 성형폭약 장착장치
CN115559560B (zh) 一种型钢混凝土立柱的拆除方法
CN218155796U (zh) 一种提高隧道爆破振动频率的低损伤光面爆破装置
JP7285184B2 (ja) 鉄骨鉄筋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解体方法
CN115523813B (zh) 一种水平与垂直切口相结合的烟囱原地坍塌爆破拆除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3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5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6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6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