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85823B1 - 형강재 절단용 성형폭약 장착방법 - Google Patents

형강재 절단용 성형폭약 장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85823B1
KR0185823B1 KR1019970017415A KR19970017415A KR0185823B1 KR 0185823 B1 KR0185823 B1 KR 0185823B1 KR 1019970017415 A KR1019970017415 A KR 1019970017415A KR 19970017415 A KR19970017415 A KR 19970017415A KR 0185823 B1 KR0185823 B1 KR 01858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plosives
cutting
molding
web
fl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174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79219A (ko
Inventor
최수일
박용원
김양균
류창하
Original Assignee
공용조
코오롱건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공용조, 코오롱건설주식회사 filed Critical 공용조
Priority to KR10199700174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85823B1/ko
Publication of KR199800792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92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858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858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DBLASTING
    • F42D3/00Particular applications of blasting techniqu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DBLASTING
    • F42D1/00Blasting methods or apparatus, e.g. loading or tamping
    • F42D1/02Arranging blasting cartridges to form an assembly

Abstract

본 발명은 형강재 절단용 성형폭약 장착방법에 관한 것으로, 형강재(100)를 구성하는 상부플랜지(110)의 상부면(111)에 일측단으로부터 타측단까지 일직선상으로 상부성형폭약(210)을 장착하고, 상기 상부성형폭약(210)과 그 중심선이 일치되도록 일직선상으로 웨브(120)의 일측면(121)에 하단부로부터 상단부까지 웨브성형폭약(220)을 장착하며, 상기 웨브성형폭약(220)과 그 중심선이 일치되도록 일직선상으로 하부플랜지(130)의 하부면(131)에 일측단으로부터 타측단까지 하부성형폭약(230)을 장착함으로써, 형강재(100)로 이루어진 모든 형강 구조물의 발파에 의한 절단시 적용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형강재 절단용 성형폭약 장착방법
제1도는 형강재 발파절단용 성형폭약을 도시한 사시도.
제2도는 형강재 발파절단용 성형폭약을 구성하는 홈판을 도시한 사시도.
제3도는 형강재 발파절단용 성형폭약을 구성하는 장전튜브를 도시한 사시도.
제4도는 종래 기술d 따라 형강재 절단용 성형폭약이 H비임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제5도는 종래 기술에 따라 형강재 절단용 성형폭약이 H비임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일측단면도.
제6도는 본 발명에 따라 형강재 절단용 성형폭약이 H비임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제7도는 본 발명에 따라 형강재 절단용 성형폭약이 H비임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일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H비임 110 : 상부플랜지
111 : 상부면 120 : 하부플랜지
121 : 하부면 130 : 웨브
131 : 일측면 200 : 성형폭약
201 : 홈판 202 : 장전튜브
203 : 폭약 210 : 상부성형폭약
220 : 웨브성형폭약 230 : 하부성형폭약
[산업상 이용분야]
본 발명은 형강재 절단용 성형폭약 장착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H비임과 I비임 및 레일과 같은 형강재의 발파에 의한 절단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한 형강재 절단용 성형폭약 장착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구조물 해체공법은 기둥이나 내력벽과 같은 주요 구조 부재중 일부에만 폭약을 장착한 후 파괴함으로써 구조물의 안정성을 와해시키거나 구조물의 강성들 떨어뜨려 구조물을 자중에 의해 전도 또는 자유낙하 시켜 짧은 시간에 구조물을 붕괴 해체시키는 공법이다.
그러나, H비임과 I비임 및 철도레일과 같은 형강재일 경우에는 일반 폭약으로는 파쇄가 불가능하므로 특별히 제조된 성형폭약을 사용하여 이들을 발파절단을 시켜야 한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은 H비임과 I비임 및 철도레일의 발파절단에 사용되는 성형폭약(200)은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발파시 노이만 효과를 이용하여 금속제트(metal jet)를 형성시키기 위해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하나의 평판으로 구리재질이며 그 아래부분이 트여지고 내부각도를 가지도록 절곡되어 있는 홈판(201)과, 상기 홈판(201)의 상부외면에 걸쳐서 덮여지고 그 내부공간에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헥소겐(Hexogen) 50%와 TNT(Trinitrotoluene)50%을 적절하게 혼합하여 분말 상태 인 폭약(203)이 장전되는 금속제 또는 견고한 플라스틱으로 된 장전튜브(202)로 구성되어 진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제조된 성형폭약으로 H비임과 I비임 및 철도레일을 절단하는데 사용하는 종래의 형강재 절단용 성형폭약 장착방법은 제4도 및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H비임(100)의 상부플랜지(110)와 하부플랜지(120) 및 웨브(130)의 외측면을 따라 성형폭약(200)을 장착한 후 이를 기폭 시키게 되면 H비임(100)의 상부플랜지(110)와 하부플랜지(120) 부분은 어느 정도의 절단만 일어날 뿐 전체적으로 H비임(100)이 완전히 발파절단 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H비임(100)의 상부플랜지(110)와 하부플랜지(120)의 부분만 발파절단되고, H비임(100)의 웨브(130)부분은 발파절단이 안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H비임(100)에 장착된 성형폭약(200)을 폭굉시키면 장전튜브(202)의 붕괴와 함께 금속미립자가 방출되어 제트가 형성되며, 이 제트는 H비임(100)에 충돌되고 깊은 천공을 이루게 되어 H비임(100)을 절단하게 되는 바, 이때 H비임(100)의 상부플랜지(110)와 하부플랜지(120) 부분에 장착된 성형폭약(200)은 폭발력이 성형폭약이 장착된 플랜지의 반대방향으로 향하게 되어 원하는 대로 절단이 이루어지나, 상기 H비임(100)의 우브(130)에 좌우로 대칭되게 장착된 성형폭약(200)은 폭발력이 상호간에 상쇄되어져 웨브(130)의 절단이 쉽게 되지 않는다.
[발명의 목적]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성형폭약을 이용하여 형강재의 발파에 의한 절단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한 형강재 절단용 성형폭약 장착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문제점을 해결하려는 수단]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형강재 절단용 성형폭약 장착방법은 형강재를 구성하는 상부플랜지의 상부면에 일측단으로부터 타측단까지 일직선상으로 상부성형폭약을 장착하고, 상기 상부성형폭약과 그 중심선이 일치되도록 일직선상으로 웨브의 일측면에 하단부로부터 상단부까지 웨브성형폭약을 장착하며, 상기 웨브성형폭약과 그 중심선이 일치되도록 일직선상으로 하부플랜지의 하부면에 일측단으로부터 타측단까지 하부성형폭약을 장착함으로써, 형강재로 이루어진 모든 형강 구조물의 발파에 의한 절단시 적용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발명의 구성 및 작용]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제6도는 본 발명에 따라 형강재 절단용 성형폭약이 H비임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제7도는 본 발명에 따라 형강재 절단용 성형폭약이 H비임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일측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강구조물 발파해체용 성형폭약 장착방법은 형강재(100)를 구성하는 상부플랜지(110)의 상부면(111)에 일측단으로부터 타측단까지 일직선상으로 상부성형폭약(210)을 장착하고, 상기 상부성형폭약(210)과 그 중심선이 일치되도록 일직선상으로 웨브(130)의 일측면(131)에 하단부로부터 상단부까지 웨브성형폭약(220)을 장착하며, 상기 웨브성형폭약(220)과 그 중심선이 일치되도록 일직선상으로 하부플랜지(120)의 하부면(212)에 일측단으로부터 타측단까지 하부성형폭약(230)을 장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강재 절단용 성형폭약 장착한다.
즉, 제6도 및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플랜지(110)와 하부플랜지(120) 및 웨브(130)로 구성되는 형강재(100)에 성형폭약을 장착하되, 상부플랜지(110)의 상부면(111)과 하부플랜지(120)의 하부면(121)에 서로 대향되게 상부성형폭약(210)과 하부성형폭약(230)을 장착하고, 형강재(100)의 웨브(130)에는 일측면(131)에만 웨브성형폭약(220)을 장착하여, 상기 상부플랜지(110)의 상부성형폭약(210)과 하부플랜지(120)에 장착된 하부성형폭약(230)과 웨브(130)에 장착된 웨브성형폭약(220)이 중심선이 일치하도록 일직선상에 장착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여기서, H비임과 I비임 및 철도레일과 같이 횡단면의 외부면이 평평한 상태가 아닌 굴곡상태로 되어있는 형강재(100)를 발파절단시는 장약량보다는 성형폭약(210,220,230)의 장착위치에 따라 발파효과가 좌우되는 바, 본 발명에 따른 성형폭약 장착방법은 제6도 및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단대상인 형강재(100)를 구성하는 상부플랜지(110)의 상부면(111)과 하부플랜지(120)의 하부면(121) 및 웨브(130)의 일측면(131)에만 성형폭약(210,220,230)을 장착함으로써, 성형폭약(210,220,230)의 폭발시 폭발력이 서로 상쇄되지 않고 성형폭약(210,220,230)이 장착된 부위의 반대편으로 폭발력이 발생되어 발파절단하도록 하였다.
상기한 바와 같이 장착하는 이유는 절단대상물인 형강재(100)의 구조적 형상과 이에 장착되는 성형폭약(210,220,230)과 상기 성형폭약(210,220,230)의 폭굉시 폭발력에 의해 발생되는 휨모멘트와 압축력을 최대한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 성형폭약(210,220,230)의 장약량을 최소한도로 적게 사용하더라도 형강재(100)의 완전한 발파절단이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또한, 절단대상물인 형강재(100)의 상부플랜지(110) 상부면(111)에 장착되는 상부성형폭약(210)과 하부플랜지(120)의 하부면(121)에 장착되는 하부성형폭약(230) 및 웨브(130)의 일측면(131)에 장착되는 웨브성형폭약(220)이 반드시 일직선상에 장착하도록 하여 절단면이 일치되어야 하여야만 완전한 발파절단이 이루어지게 된다.
[발명의 효과]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형강재 절단용 성형폭약 장착방법은 H비임이나 I비임 및 철도레일과 같은 모든 형강재 구조물의 발파에 의한 절단에 널리 적용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 서술된 것은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불과한 것이고, 이를 가지고 한정적으로 해석해서는 안되며, 단지 본 발명의 진정한 정신 및 범위 내에 존재하는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포함되는 것이다.

Claims (4)

  1. 형강재(100)를 구성하는 상부플랜지(110)의 상부면(111)에 일측단으로부터 타측단까지 일직선상으로 상부성형폭약(210)을 장착하고, 상기 상부성형폭약(210)과 그 중심선이 일치되도록 일직선상으로 웨브(120)의 일측면(121)에 하단부로부터 상단부까지 웨브성형폭약(220)을 장착하며, 상기 웨브성형폭약(220)과 그 중심선이 일치되도록 일직선상으로 하부플랜지(130)의 하부면(131)에 일측단으로부터 타측단까지 하부성형폭약(230)을 장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강재 절단용 성형폭약 장착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형강재(100)는 상부플랜지와 하부플랜지가 동일한 크기를 가지도록 단면상 H비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강재 절단용 성형폭약 장착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형강재(100)는 상부플랜지와 하부플랜지가 웨브에 비해 다소 작으며 동일한 크기를 가지도록 단면상 I비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강재 절단용 성형폭약 장착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형강재(100)는 상부플랜지와 하부플랜지가 서로 상이한 크기를 가지도록 단면상 레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강재 절단용 성형폭약 장착방법.
KR1019970017415A 1997-04-30 1997-04-30 형강재 절단용 성형폭약 장착방법 KR01858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7415A KR0185823B1 (ko) 1997-04-30 1997-04-30 형강재 절단용 성형폭약 장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7415A KR0185823B1 (ko) 1997-04-30 1997-04-30 형강재 절단용 성형폭약 장착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9219A KR19980079219A (ko) 1998-11-25
KR0185823B1 true KR0185823B1 (ko) 1999-05-01

Family

ID=195050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17415A KR0185823B1 (ko) 1997-04-30 1997-04-30 형강재 절단용 성형폭약 장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8582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30218B (zh) * 2018-05-24 2021-09-07 中钢集团武汉安全环保研究院有限公司 一种免打孔爆破拆除角钢的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9219A (ko) 1998-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87031B2 (en) Motor vehicle frame structure and crashbox therefor
JPH05501147A (ja) 直線状の切断・破砕を行う爆破装置
US3165057A (en) Linear shaped charge unit
KR0185823B1 (ko) 형강재 절단용 성형폭약 장착방법
KR101292696B1 (ko) 폭약튜브 조립체 및 조절발파를 위한 이의 시공방법
DE2904155C2 (de) Einlagen für Schneidladungen
DE3623240C1 (en) Shaped charge for disarming ammunition
RU2119398C1 (ru) Способ взрывного разрезания твердых материалов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KR100295320B1 (ko) 두개의자유면을갖는벤치의발파공법
DE2841040C2 (de) Sprengkörper mit einer durch einen Zünder zündbaren Sprengladung
KR100358522B1 (ko) 강구조물 발파해체를 위한 성형폭약 장착방법
DE1950091A1 (de) Treibsatzpackung und Bolzengeraet zum Eintreiben eines Rammbolzens
DE10318492B4 (de) Vorrichtung zum Schutz eines Objekts
JP6383395B2 (ja) 発破による切断方法
JP2000144900A (ja) 座屈拘束ブレース材
US4112845A (en) Apparatus for detonating across a gap
RU2144172C1 (ru) Линейный заряд
RU2210724C2 (ru) Способ дробления цельнометаллической оболочки, примыкающей к разрывному заряду боевой части, и боевая часть
EP2434251A1 (en) Explosive cutting
RU2107885C1 (ru) Удлиненный кумулятивный заряд
CA1161675A (en) Mine roof plate
JP2992797B2 (ja) 構造物転倒時の柱の回転中心の形成方法
JPH04138600U (ja) スムースブラステイング用爆薬薬筒及び連結ジヨイント
RU2116874C1 (ru) Способ сварки металлических заготовок взрывом
EP0831079A1 (en) Porous prilled ammonium nitra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31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6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5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6

Year of fee payment: 1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6

Year of fee payment: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