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2916B1 - 성형폭약을 이용한 수중의 선형구조물 절단공법 - Google Patents

성형폭약을 이용한 수중의 선형구조물 절단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2916B1
KR102152916B1 KR1020200029366A KR20200029366A KR102152916B1 KR 102152916 B1 KR102152916 B1 KR 102152916B1 KR 1020200029366 A KR1020200029366 A KR 1020200029366A KR 20200029366 A KR20200029366 A KR 20200029366A KR 102152916 B1 KR102152916 B1 KR 1021529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plosive
molding
explosives
linear structure
ch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93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동훈
최원석
배상남
이승규
Original Assignee
한동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동훈 filed Critical 한동훈
Priority to KR10202000293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29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29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29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DBLASTING
    • F42D3/00Particular applications of blasting techniqu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6Constructions, or methods of constructing, in w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BEXPLOSIVE CHARGES, e.g. FOR BLASTING, FIREWORKS, AMMUNITION
    • F42B1/00Explosive charges characterised by form or shape but not dependent on shape of container
    • F42B1/02Shaped or hollow char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DBLASTING
    • F42D1/00Blasting methods or apparatus, e.g. loading or tamping
    • F42D1/08Tamping methods; Methods for loading boreholes with explosives; Apparatu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61Production methods for working underw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erforating, Stamping-Out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성형폭약을 이용한 수중의 선형구조물 절단공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체인, 해저케이블, 철판 등 수중에 방치된 선형구조물에 성형폭약을 설치하고 성형폭약의 폭발력으로 손쉽게 선형구조물이 절단되게 하여 수중에 방치된 선형구조물을 안전하고 신속하게 회수할 수 있도록 하는 성형폭약을 이용한 수중의 선형구조물 절단공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성형폭약을 이용한 수중의 선형구조물 절단공법은 수중에 방치된 선형구조물(20)인 체인, 해저케이블 및 철판의 원하는 절단부위에 성형폭약을 한 개 이상 설치한 후 폭파하여 선형구조물(20)을 절단시키며,
상기 성형폭약은 내부에 폭약(12A)이 수용되며 하측으로 힌지핀(100A)이 설치되어 힌지핀(100A)을 중심으로 양측이 회동되고 양측으로 각 뇌관(13A)이 설치되는 원형링 형상의 외관(11A)을 갖는 제1성형폭약(10A),
내부에 폭약(12B)이 수용되며 하측으로 힌지핀(100B)이 설치되어 힌지핀(100B)을 중심으로 양측이 회동되며 양측 상하로 각 뇌관(13B)이 설치되는 오뚜기링 형상의 외관(11B)을 갖는 제2성형폭약(10B),
내부에 폭약(12C)이 수용되며 양 상단에 자석(100C)이 설치되고 하부 중앙으로 원통형 돌출바(110C)와 뇌관(13C)이 설치되는 상부 U자형의 외관(11C)을 갖는 제3성형폭약(10C),
내부에 폭약(12D)이 수용되며 하부는 원추형구조이고 상부에는 상부 일측으로 힌지핀(140D)이 설치되어 일측으로 회동되는 걸림고리(14D)가 설치되며 하부 중앙으로 뇌관(13D)이 설치되는 원통형의 외관(11D)을 갖는 제4성형폭약(10D),
사각형 또는 다각형의 형상으로 일정길이 연장되고 내부에 폭약(12E)이 수용되되, 하부면에 중앙부는 내측을 향하며 양단부가 외측으로 돌출되게 V형 라이너(100E))가 설치되며 일측으로 뇌관(13E)이 설치되는 사각 또는 다각기둥형의 외관(11E)을 갖는 제5성형폭약(10E)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성형폭약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성형폭약을 이용한 수중의 선형구조물 절단공법{Cutting method for linear structures of underwater using shape charge loading}
본 발명은 성형폭약을 이용한 수중의 선형구조물 절단공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체인, 해저케이블, 철판 등 수중에 방치된 선형구조물에 성형폭약을 설치하고 성형폭약의 폭발력으로 손쉽게 선형구조물이 절단되게 하여 수중에 방치된 선형구조물을 안전하고 신속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성형폭약을 이용한 수중의 선형구조물 절단공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 또는 해상에 부양되는 각종 구조물에는 정박을 목적으로 하는 닻이 필수적으로 구비되어 있으며, 선박을 계류시키기 위해서 닻을 바다 속에 하강시켜 바다의 바닥에 고정시킨다. 닻은 그 사용 목적상 풍랑이나 조류에 대처하도록 충분한 무게를 갖추면서 해저에 원활히 박힐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즉, 해상에 계류되는 선박 또는 해상구조물은 선체에 연결된 체인을 통해 해저면에 정착된 닻에 연결됨으로써, 풍랑이나 조류에 따라 유동없이 안정적으로 특정장소에 정박하여 선박이 표류되면서 발생될 수 있는 좌초 및 충돌 등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수중에는 암초 등에 걸려서 절단되거나 선박 또는 해상구조물에서 정박을 위해 사용한 후 절단하여 버린 로프, 체인뿐만 아니라 방치된 해저케이블 등이 완전히 제거되지 않고 다량으로 쌓이면서 후속으로 정박하는 선박들은 방치된 체인이나 닻에 걸려서 인양할 수 없어 계속적으로 절단할 수 밖에 없는 악순환이 발생하고, 항해하는 선박들의 안전을 위협하거나 환경오염을 유발시키고 있다.
따라서, 수중에 쌓인 다량의 체인, 해저케이블 등의 회수를 위해 현재는 대형의 해상크레인을 이용해 회수작업을 실시할 수 있으나, 해상크레인만으로 무게가 있는 체인, 해저케이블 등의 회수작업이 수행되면서 회수효율이 낮고 작업시간이 오래걸리며 그로인해 작업비용이 상승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특허문헌 0001) 국내등록실용신안 제20-0364941호(2004.10.05.등록)
(특허문헌 0002) 국내등록등록특허 제10-0358522호(2002.10.14.등록)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수중에 폐기되어 방치된 체인, 해저케이블, 철판 등의 선형구조물에 설치가 용이하고 폭발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구조로 형성한 성형폭약을 사용하여 성형폭약의 폭발력으로 절단물을 파쇄시켜 절단물의 원하는 부위를 손쉽게 절단시킴으로써 선형구조물의 제거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성형폭약을 이용한 수중의 선형구조물 절단공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성형폭약을 이용한 수중의 선형구조물 절단공법은 수중에 방치된 선형구조물(20)인 체인, 해저케이블 및 철판의 원하는 절단부위에 성형폭약을 한 개 이상 설치한 후 폭파하여 선형구조물(20)을 절단시키며,
상기 성형폭약은 내부에 폭약(12A)이 수용되며 하측으로 힌지핀(100A)이 설치되어 힌지핀(100A)을 중심으로 양측이 회동되고 양측으로 각 뇌관(13A)이 설치되는 원형링 형상의 외관(11A)을 갖는 제1성형폭약(10A),
내부에 폭약(12B)이 수용되며 하측으로 힌지핀(100B)이 설치되어 힌지핀(100B)을 중심으로 양측이 회동되며 양측 상하로 각 뇌관(13B)이 설치되는 오뚜기링 형상의 외관(11B)을 갖는 제2성형폭약(10B),
내부에 폭약(12C)이 수용되며 양 상단에 자석(100C)이 설치되고 하부 중앙으로 원통형 돌출바(110C)와 뇌관(13C)이 설치되는 상부 U자형의 외관(11C)을 갖는 제3성형폭약(10C),
내부에 폭약(12D)이 수용되며 하부는 원추형구조이고 상부에는 상부 일측으로 힌지핀(140D)이 설치되어 일측으로 회동되는 걸림고리(14D)가 설치되며 하부 중앙으로 뇌관(13D)이 설치되는 원통형의 외관(11D)을 갖는 제4성형폭약(10D),
사각형 또는 다각형의 형상으로 일정길이 연장되고 내부에 폭약(12E)이 수용되되, 하부면에 중앙부는 내측을 향하며 양단부가 외측으로 돌출되게 "V"형 라이너(100E))가 설치되며 일측으로 뇌관(13E)이 설치되는 사각 또는 다각기둥형의 외관(11E)을 갖는 제5성형폭약(10E)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성형폭약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수중에 폐기되어 방치된 선형구조물인 체인, 해저케이블, 침몰된 폐선박의 철판 등에 성형폭약의 설치가 간단하여 수중작업으로 인한 작업자의 잠수병 등 사고피해를 줄일 수 있고 폭약의 폭발력으로 선형구조물의 절단효율을 높일 수 있어 선형구조물의 원하는 절단부위를 정확하고 안전하게 절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수중의 선형구조물을 절단하기 위한 불필요한 작업없이 성형폭약만으로 선형구조물을 절단하여 수중에 폐기되어 방치된 선형구조물의 제거작업이 안전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성형폭약을 이용한 수중 선형구조물 절단공법의 제1성형폭약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성형폭약을 이용한 수중 선형구조물 절단공법의 제2성형폭약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성형폭약을 이용한 수중 선형구조물 절단공법의 제3성형폭약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성형폭약을 이용한 수중 선형구조물 절단공법의 제4성형폭약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성형폭약을 이용한 수중 선형구조물 절단공법의 제5성형폭약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성형폭약을 이용한 수중 선형구조물 절단공법의 제1성형폭약 설치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성형폭약을 이용한 수중 선형구조물 절단공법의 제2성형폭약 설치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성형폭약을 이용한 수중 선형구조물 절단공법의 제3성형폭약 설치 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성형폭약을 이용한 수중 선형구조물 절단공법의 제4성형폭약 설치 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성형폭약을 이용한 수중 선형구조물 절단공법의 제5성형폭약 설치 상태도
본 발명의 성형폭약을 이용한 수중의 선형구조물 절단공법은 수중에 방치된 선형구조물(20)인 체인, 해저케이블 및 철판의 원하는 절단부위에 성형폭약을 한 개 이상 설치한 후 폭파하여 선형구조물(20)을 절단시키며,
상기 성형폭약은 내부에 폭약(12A)이 수용되며 하측으로 힌지핀(100A)이 설치되어 힌지핀(100A)을 중심으로 양측이 회동되고 양측으로 각 뇌관(13A)이 설치되는 원형링 형상의 외관(11A)을 갖는 제1성형폭약(10A),
내부에 폭약(12B)이 수용되며 하측으로 힌지핀(100B)이 설치되어 힌지핀(100B)을 중심으로 양측이 회동되며 양측 상하로 각 뇌관(13B)이 설치되는 오뚜기링 형상의 외관(11B)을 갖는 제2성형폭약(10B),
내부에 폭약(12C)이 수용되며 양 상단에 자석(100C)이 설치되고 하부 중앙으로 원통형 돌출바(110C)와 뇌관(13C)이 설치되는 상부 U자형의 외관(11C)을 갖는 제3성형폭약(10C),
내부에 폭약(12D)이 수용되며 하부는 원추형구조이고 상부에는 상부 일측으로 힌지핀(140D)이 설치되어 일측으로 회동되는 걸림고리(14D)가 설치되며 하부 중앙으로 뇌관(13D)이 설치되는 원통형의 외관(11D)을 갖는 제4성형폭약(10D),
사각형 또는 다각형의 형상으로 일정길이 연장되고 내부에 폭약(12E)이 수용되되, 하부면에 중앙부는 내측을 향하며 양단부가 외측으로 돌출되게 V형 라이너(100E))가 설치되며 일측으로 뇌관(13E)이 설치되는 사각 또는 다각기둥형의 외관(11E)을 갖는 제5성형폭약(10E)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성형폭약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성형폭약을 이용한 수중의 선형구조물 절단공법은 수중에 폐기되어 방치된 체인, 해저케이블, 폐선박의 철판 등으로된 선형구조물(20)에 성형폭약을 설치하고 성형폭약을 폭발시켜 선형구조물(20)의 원하는 절단부위를 수중에서 손쉽게 절단하기 위한 공법으로서, 수중의 선형구조물(20)을 절단하기 위해 사용되는 성형폭약은 폭발성을 갖는 폭약과 폭약이 내부에 수용되는 외관과 외관에 설치되는 발파용 뇌관으로 이루어지되 수중의 선형구조물(20)인 체인, 해저케이블, 폐선박의 철판 등에 설치가 용이하고 폭발력을 높일 수 있는 구조의 제1성형폭약(10A), 제2성형폭약(10B), 제3성형폭약(10C), 제4성형폭약(10D), 제5성형폭약(10E)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구성된다.
더욱 상세히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성형폭약(10A)은 외관(11A)이 원형링 형상으로 외관(11A)의 하측으로 힌지핀(100A)이 설치되어 힌지핀(100A)을 중심으로 외관(11A)이 양측으로 회동되며 외관(11A)의 내부에는 폭발성을 갖는 폭약(12A)이 수용되고 폭약(12A)을 점화하기 위한 뇌관(13A)이 외관(11A)의 양 외측으로 설치된다.
상기 외관(11A)에는 힌지핀(100A)을 중심으로 회동되는 외관(11A)을 결속시킬 수 있게 상측으로 잠금고리(15A)가 설치되며, 상기 잠금고리(15A)는 외관(11A)의 일측 상단부에 힌지결합되어 외관(11A)의 타측을 향해 회동될 수 있는 고리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잠금고리(15A)가 걸려 고정될 수 있게 상기 외관(11A)의 타측 상단은 상부로 일정높이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1성형폭약(10A)의 외관(11A)은 수중에 방치된 체인(선형구조물(20))의 원하는 절단부위에 유격없이 둘러져 설치되어 절단력을 높이기 위해 체인의 두께와 내경이 동일하거나 체인의 두께보다 넓은 내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1성형폭약(10A)은 체인의 원하는 절단부 위치에서 상기 제1성형폭약(10A)이 양측으로 각각 둘러지게 설치하여 양측의 각 제1성형폭약(10A)이 발파되면서 체인의 양측 두곳이 절단이 이루어지게 사용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성형폭약(10B)은 상기 제1성형폭약(10A)이 상,하 2중으로 연결되어 형성되는 구조의 오뚜기링 형상의 외관(11B)으로 형성되며, 상기 외관(11B)에도 하부측에 힌지핀(100B)이 설치되고, 상단부에는 외관(11B)을 결속시키기 위한 잠금고리(15B)가 설치되며 외관(11B)의 타측 상단부는 잠금고리(15B)가 고정될 수 있게 상부로 소정높이 돌출되어 상기 힌지핀(100B)을 중심으로 외관(11B)이 양측으로 회동되며, 잠금고리(15B)로 외관(11B)의 결속을 단속시킬 수 있게 한다.
상기 제2성형폭약(10B)의 외관(11B) 내부에는 폭발성을 갖는 폭약(12B)이 수용되고 폭약(12B)을 점화하기 위한 뇌관(13B)이 외관(11B)의 양측 상,하부로 각각 설치된다.
상기 제1성형폭약(10A)은 외관(10A)이 원형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체인를 절단시 두 개의 제1성형폭약(10A)이 체인의 절단부 위치에 설치되어야 하는 반면, 상기 제2성형폭약(10B)의 외관(10B)은 오뚜기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두 개의 원형공간이 형성되므로 체인의 양측을 모두 둘러 쌓을 수 있어 하나의 제2성형폭약(10B)으로 체인의 원하는 절단부위를 절단시킬 수 있게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3성형폭약(10C)은 하부 중앙에 일정길이의 원통형 돌출바(110C)가 형성되고 원통형관 양측이 절곡된 상부 U자형의 외관(11C)으로 형성되며, 상기 외관(11C)과 돌출바(110C)는 내부 연통되는 구조로 내부에 폭약(12C)이 수용되고, 돌출바(110C)의 하측으로 뇌관(13C)이 설치된다.
U자형의 상부를 갖는 상기 외관(11C)의 양 상단부에는 자석(100C)이 각각 설치되며, 상기 제3성형폭약(10C)은 자석(100C)에 의해 두 개의 제3성형폭약(10C)이 상호간에 마주하여 결합될 수 있어 두 개의 제3성형폭약(10C)을 한쌍으로 별도의 잠금이나 결속수단 없이 체인의 원하는 절단부위에 손쉽게 고정시킬 수 있게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4성형폭약(10D)은 내부 폭약(12D)이 수용되며 하부는 원추형구조를 갖는 원통형의 외관(11D)으로 형성되며, 외관(11D)의 상부면에는 체인의 절단부 위치에 외관(11D)을 손쉽게 설치할 수 있게 걸림고리(14D)가 설치된다.
상기 걸림고리(14D)는 걸고리형으로 외관(11D)의 상부면에서 일측으로 회동될 수 있게 외관(11D)의 상부 일측으로 설치된 힌지핀(140D)과 결합되며 일측으로 회동된느 상기 걸림고리(14D)가 외관(11D)과 결속될 수 있게 상기 외관(11D)의 상부 일측으로 힌지결합되어 회동되는 고리형의 잠금고리(15D)가 설치되고 잠금고리(15D)가 걸리도록 상기 걸림고리(14D)의 단부는 일정길이 돌출되어 형성되어 잠금고리(15D)에 의해 걸림고리(14D)와 외관(11D)의 결속을 단속시킬 수 있게 한다.
상기 외관(11D)의 하부 중앙으로는 원통형의 돌출바(110D)와 돌출바(110D)의 하측으로 뇌관(13D)이 설치되며, 외관(11D)의 내부에는 상측으로 공간부(S)가 형성되게 상측에 구리(Cu) 또는 밀도가 낮은 금속재질인 원추형의 라이너(16D)가 형성되고, 상기 원추형의 라이너(16D)의 하측으로 폭약(12A)이 수용된다.
상기 제4성형폭약(10D)은 체인의 절단부 위치에 설치하며 폭발시 외관(11D)의 내부에 설치된 원추형의 라이너(16D) 의해 노이만(Neuman) 효과가 발생되면서 폭약(12A)의 폭발방향이 외관(10D)의 상측에 위치하고 있는 절단물로 집중되며 폭속이 빨라지면서 폭발력이 향상되어 체인의 절단효율을 높일 수 있게 한다.
상기 제4성형폭약(10D)은 체인의 원하는 절단부 위치에서 상기 제4성형폭약(10D)을 양측으로 각각 걸어 설치하여 양측의 각 제4성형폭약(10D)이 발파되면서 체인의 양측 두곳이 절단이 이루어지게 사용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5성형폭약(10E)은 사각형 또는 다각형의 형상을 하며 일정길이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사각형 또는 다각형의 외관(11E) 내부에 폭약(12E)이 수용되는 구성이되, 선형구조물(20)을 절단시 노이만효과에 의해 폭약의 폭발력과 폭발방향이 절단물로 집중될 수 있게 외관(11E)의 하부면에는 중앙부가 외관(11E)의 내측 중앙부를 향해 80~90ㅀ각도로 절곡되며 양단부는 외관(11E)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구리(Cu) 또는 밀도가 낮은 금속재질인 V형 라이너(100E)가 설치되며, 외관(11E)의 일측으로 뇌관(13E)이 설치되어 구성된다.
즉, 상기 제5성형폭약(10E)은 중앙부가 외관(11E)의 내측을 향하면서 양단부는 외관(11E)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V형 라이너(100E)에 의해 선형구조물(20)에 설치시 폭약이 절단대상물과 스탠드오프(Stand Off) 거리를 둠으로써 노이만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어 원하는 선형구조물(20)에서 원하는 절단부위를 정확하고 신속하게 절단시킬 수 있게 한 구성으로 제5성형폭약(10E)은 체인의 절단시 사용되지만, 수중에 침몰되어 방치된 폐선박을 해체하기 위한 철판의 절단작업시 주로 사용된다.
상기 제1,2,3,4,5성형폭약(10A,10B,10C,10D,10E)의 외관(11A,11B,11C,11D,11E)는 수중에서 사용되므로 방수성을 갖으며 주철, 강플라스틱, 알루미늄, 구리 등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수용되는 폭약(12A,12B,12C,12D,12E)은 에멀전 계열 또는 다이너마이트 계열의 폭약을 사용할 수 있으며 뇌관(13A,13B,13C,13D)은 전기식, 비전기식, 전자식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2,3성형폭약(10A,10B,10C)은 노이만효과를 이용하여 폭발효율을 높이기 위해 외관(11A,11B,11C)의 내부에 라이너(L)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이하, 상기 제1,2,3,4,5성형폭약(10A,10B,10C,10D,10E)을 이용하여 수중의 선형구조물(20)을 절단하는 공법을 설명한다.(대표적으로 체인을 예로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선박 또는 해상구조물에서 사용하고 수중에 폐기하여 방치된 체인을 회수하기 위해 해상크레인을 이용해 수중의 체인 뭉치를 수중에서 일정높이로 상승(끌어올려)시켜 수중 바닥에 뭉쳐져 있던 체인들이 다수의 가닥으로 풀어져 수직 또는 일정 각도로 나열되게 한다.
그후 다수의 가닥으로 풀어져 수직 또는 일정 각도로 나열된 체인들의 절단부위를 결정한 후 각 체인의 원하는 절단부위에 잠수부가 상기 제1성형폭약(10A), 제2성형폭약(10B, 제3성형폭약(10C), 제4성형폭약(10D), 제5성형폭약(10E) 중 어느 하나의 성형폭약을 설치하되,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성형폭약(10A)은 원하는 절단부위의 체인에서 체인의 양측으로 각 외관(11A)이 둘러지게 설치 후 잠금고리(15A)로 외관(11A)을 결속시켜 각 제1성형폭약(10A)을 체인의 원하는 절단부위에 설치하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성형폭약(10B)은 원하는 절단부위의 체인에서 체인의 양 외측으로 하나의 외관(11A)이 둘러지게 설치 후 잠금고리(15B)로 외관(11B)을 결속시켜 제2성형폭약(10B)을 체인의 원하는 절단부위에 설치하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3성형폭약(10C)은 체인에 두 개의 제3성형폭약(10C)이 자석(100C)에 의해 결착되도록 체인의 양측 방향에서 각 외관(11C)의 상부가 마주보게 끼운 후 자석(100C)간에 부착시켜 각 제3성형폭약(10C)을 체인의 원하는 절단부위에 설치하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성형폭약(10D)은 원하는 절단부위의 체인에서 체인의 양측으로 각 걸림고리(14D)를 걸고 잠금고리(15D)로 걸림고리(14D)와 외관(11D)을 결속시켜 각 제4성형폭약(10D)을 체인의 원하는 절단부위에 설치하고,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5성형폭약(10E)은 체인의 원하는 절단부위에 "V"형 라이너(100E)가 체인을 향하며 체인의 가로 방향으로 외관(11E)이 설치되게 케이블타이나 끈 등을 이용하여 제5성형폭약(10E)을 체인에 고정시켜 설치한 후 뇌관(13A,13B,13C,13D,13E)을 작동시켜 폭약(12A,12B,12C,12D,12E)이 폭발하면서 성형폭약이 설치되었던 각 체인이 파쇄되어 체인의 절단이 이루어지게 한다.
성형폭약의 폭발에 의해 각 체인들이 절단되면 해상크레인으로 체인들을 끌어올려 제거가 이루어지게 한다.
상기 해상크레인에 설치되어 체인 뭉치를 들어올리기 위한 상승수단으로는 집게장치가 이용되는 것으로, 통상의 상승수단으로 이용되는 후크타입의 걸고리를 이용할 경우에는 체인이 걸고리에 단순히 걸쳐져 있게되는 상태이므로 체인들이 절단이 이루어진 후에는 체인의 무게에 의해 걸고리에 체인이 걸려져 있지 못하고 걸고리에서 미끄러져 이탈되어 절단된 체인의 회수가 곤란해지는 문제가 집게장치는 체인을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잡고있는 상태가 되므로 절단된 체인의 이탈 없이 회수가 용이한 장점이 있어 체인 뭉치를 들어올리기 위한 상승수단으로 집게장치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과 상세한 설명에 제1성형폭약(10A), 제2성형폭약(10B), 제3성형폭약(10C), 제4성형폭약(10D) 중 어느 하나의 성형폭약을 이용하여 선형구조물(20)을 절단하기 위해 체인을 예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체인 외에도 해저케이블, 침몰된 폐선박의 철판 등 절단을 원하는 선형구조물에 성형폭약을 설치하여 성형폭약의 폭파력으로 체인, 해저케이블, 철판 등의 원하는 절단부위를 안전하고 신속하게 절단하여 절단물의 제거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게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게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A-제1성형폭약
11A-외관 12A-화약
13A-뇌관 15A-잠금고리
10B-제2성형폭약
11B-외관 12B-화약
13B-뇌관 15B-잠금고리
10C-제3성형폭약
11C-외관 12C-화약
13C-뇌관
10D-제4성형폭약
10D-외관 12D-화약
13D-뇌관 14D-걸림고리
15D-잠금고리
10E-제5성형폭약
10E-외관 100E-V형 라이너

Claims (5)

  1. 수중에 방치된 선형구조물(20)인 체인, 해저케이블, 철판 중 어느 하나의 원하는 절단부위에 성형폭약을 한 개 이상 설치한 후 폭파하여 선형구조물(20)을 절단시키며,
    상기 성형폭약은 내부에 폭약(12A)이 수용되며 하측으로 힌지핀(100A)이 설치되어 힌지핀(100A)을 중심으로 양측이 회동되고 양측으로 각 뇌관(13A)이 설치되는 원형링 형상의 외관(11A)을 갖는 제1성형폭약(10A),
    내부에 폭약(12B)이 수용되며 하측으로 힌지핀(100B)이 설치되어 힌지핀(100B)을 중심으로 양측이 회동되며 양측 상하로 각 뇌관(13B)이 설치되는 오뚜기링 형상의 외관(11B)을 갖는 제2성형폭약(10B),
    내부에 폭약(12C)이 수용되며 양 상단에 자석(100C)이 설치되고 하부 중앙으로 원통형 돌출바(110C)와 뇌관(13C)이 설치되는 상부 U자형의 외관(11C)을 갖는 제3성형폭약(10C),
    내부에 폭약(12D)이 수용되며 하부는 원추형구조이고 상부에는 상부 일측으로 힌지핀(140D)이 설치되어 일측으로 회동되는 걸림고리(14D)가 설치되며 하부 중앙으로 뇌관(13D)이 설치되는 원통형의 외관(11D)을 갖는 제4성형폭약(10D)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성형폭약이며,
    상기 제1성형폭약(10A)과 제2성형폭약(10B)의 상단에는 힌지결합되어 회동되는 고리형의 잠금고리(15A,15B)가 설치되고, 잠금고리(15A,15B)가 걸리도록 외관(11A,11B)의 상단은 상부로 일정높이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3성형폭약(10C)은 자석(100C)으로 결합되어 두 개가 한쌍으로 선형구조물에 설치되고,
    상기 제4성형폭약(10D)은 상부 일측으로 힌지결합되어 회동되는 고리형의 잠금고리(15D)가 설치되고, 잠금고리(15D)가 걸리도록 상기 걸림고리(14D)의 단부는 일정길이 돌출되어 형성되며, 외관(11D)의 내부에는 상측에 원추형 라이너(16D)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폭약을 이용한 수중의 선형구조물 절단공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체인 또는 해저케이블은 성형폭약을 설치하기전 해상크레인으로 수중에 일정높이로 상승시킨 후 성형폭약을 선형구조물의 절단부위에 설치하며, 선형구조물은 해상크레인에 설치된 집게장치로 상승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폭약을 이용한 수중의 선형구조물 절단공법.
KR1020200029366A 2020-03-10 2020-03-10 성형폭약을 이용한 수중의 선형구조물 절단공법 KR1021529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9366A KR102152916B1 (ko) 2020-03-10 2020-03-10 성형폭약을 이용한 수중의 선형구조물 절단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9366A KR102152916B1 (ko) 2020-03-10 2020-03-10 성형폭약을 이용한 수중의 선형구조물 절단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2916B1 true KR102152916B1 (ko) 2020-09-07

Family

ID=724719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9366A KR102152916B1 (ko) 2020-03-10 2020-03-10 성형폭약을 이용한 수중의 선형구조물 절단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291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4907A (ko) * 2021-07-21 2023-01-31 (주) 금강지오테크 해상 부유구조물 고정앵커 및 이를 이용한 앵커공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501147A (ja) * 1989-08-15 1993-03-04 アルフォード,シドニー クリストファー 直線状の切断・破砕を行う爆破装置
JPH07164398A (ja) * 1993-12-07 1995-06-27 Nippon Steel Corp 鋼管等の切断用成形爆薬及び切断方法
KR100358522B1 (ko) 1999-09-21 2002-10-30 코오롱건설주식회사 강구조물 발파해체를 위한 성형폭약 장착방법
KR200364941Y1 (ko) 2004-07-23 2004-10-15 대림산업 주식회사 강관말뚝 절단용 성형폭약 장착장치
KR101515919B1 (ko) * 2014-08-20 2015-05-04 주식회사 코리아카코 수중 강재 절단용 성형폭약 장약용기 및 이를 이용한 수중 강재 절단 공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501147A (ja) * 1989-08-15 1993-03-04 アルフォード,シドニー クリストファー 直線状の切断・破砕を行う爆破装置
JPH07164398A (ja) * 1993-12-07 1995-06-27 Nippon Steel Corp 鋼管等の切断用成形爆薬及び切断方法
KR100358522B1 (ko) 1999-09-21 2002-10-30 코오롱건설주식회사 강구조물 발파해체를 위한 성형폭약 장착방법
KR200364941Y1 (ko) 2004-07-23 2004-10-15 대림산업 주식회사 강관말뚝 절단용 성형폭약 장착장치
KR101515919B1 (ko) * 2014-08-20 2015-05-04 주식회사 코리아카코 수중 강재 절단용 성형폭약 장약용기 및 이를 이용한 수중 강재 절단 공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4907A (ko) * 2021-07-21 2023-01-31 (주) 금강지오테크 해상 부유구조물 고정앵커 및 이를 이용한 앵커공법
KR102556184B1 (ko) * 2021-07-21 2023-07-20 (주)금강지오테크 해상 부유구조물 고정앵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78137B2 (en) Torpedo pile with enhanced clamping strength for anchoring floating structures and method of installation
EP0972114B1 (en) Position penetrated anchor system and its use
CN107600326B (zh) 一种用于深海浮标的可释放式重力锚系统
KR20190011716A (ko) 해저 지지 유닛 및 천수 천공 터미널을 제공하는 방법
KR102152916B1 (ko) 성형폭약을 이용한 수중의 선형구조물 절단공법
RU96115003A (ru)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швартовки плавучих наливных судов
CN205035824U (zh) 一种吸力式悬浮隧道固定装置
NO812498L (no) Temporaer fortoeyning for strekkstagplattform.
CN217227844U (zh) 一种多用途浮体锚泊装置
CN217435989U (zh) 一种浮式风电装备浅水系泊系统
CN101879937A (zh) 水下打捞抓斗
CN113937709B (zh) 一种插入海底的海缆防锚害装置
CN112356987B (zh) 一种浮标
CN109958114B (zh) 水下拦阻网的施工方法
JPH02214404A (ja) 浮上プラント用長尺体立上げ布設方法
CN211442685U (zh) 一种水上拼接平台
CN212533918U (zh) 一种柔性网消浪装置
KR20170055631A (ko) 침몰 선박을 인양하는 방법
AU725166B2 (en) Position penetrated anchor system
CN111535247A (zh) 一种柔性网消浪装置及其使用方法
CN207311773U (zh) 一种用于深海浮标的可释放式重力锚系统
CN213442966U (zh) 一种新型浮标
JPS6231594A (ja) 冷海の海底鉱脈の探索および/または採掘のための半分潜水可能な平甲板
CN216056258U (zh) 一种插入式海缆防锚害装置
CN220948406U (zh) 一种浅水系泊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