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4139B1 - 외부 방향유도부가 구비된 장약홀더 및 이를 이용한 발파공법 - Google Patents

외부 방향유도부가 구비된 장약홀더 및 이를 이용한 발파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4139B1
KR102504139B1 KR1020210099834A KR20210099834A KR102504139B1 KR 102504139 B1 KR102504139 B1 KR 102504139B1 KR 1020210099834 A KR1020210099834 A KR 1020210099834A KR 20210099834 A KR20210099834 A KR 20210099834A KR 102504139 B1 KR102504139 B1 KR 1025041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e holder
bent
external
bent part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98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18089A (ko
Inventor
이규항
Original Assignee
관악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관악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관악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998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4139B1/ko
Publication of KR202300180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80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41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41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DBLASTING
    • F42D1/00Blasting methods or apparatus, e.g. loading or tamping
    • F42D1/08Tamping methods; Methods for loading boreholes with explosives; Apparatus therefor
    • F42D1/22Methods for holding or positioning for blasting cartridges or tamping cartrid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DBLASTING
    • F42D1/00Blasting methods or apparatus, e.g. loading or tamping
    • F42D1/08Tamping methods; Methods for loading boreholes with explosives; Apparatus therefor
    • F42D1/14Hand-operated tamping or loading
    • F42D1/16Tamping too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DBLASTING
    • F42D1/00Blasting methods or apparatus, e.g. loading or tamping
    • F42D1/08Tamping methods; Methods for loading boreholes with explosives; Apparatus therefor
    • F42D1/20Tamping cartridges, i.e. cartridges containing tamping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DBLASTING
    • F42D3/00Particular applications of blasting techniques
    • F42D3/04Particular applications of blasting techniques for rock blas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Drilling And Exploitation, And Mining Machines And Method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외부 방향유도부가 구비된 장약홀더는 판형 부재가 길이방향으로 구비된 내부 격벽부(100); 1개의 내각을 가지도록 구비된 각 절곡부(210)가 상기 내부 격벽부(100)의 양 측에서 상호 대향되도록 결합되는 외부 방향유도부(200); 및 상기 외부 방향유도부(200)의 각 절곡부(210)의 단부가 상호 이격되면서 형성된 개구부(30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외부 방향유도부가 구비된 장약홀더 및 이를 이용한 발파공법{Charge Holder having external directional induction element and Blasting method thereby}
본 발명은 장약홀더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외부 방향유도부가 구비된 장약홀더 및 이를 이용한 발파공법에 관한 것이다.
건설 및 토목 공사는 국가의 기간 산업으로서, 산업이 발달함에 따라 공사의 규모나 횟수가 많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건설 및 토목 공사를 수행하기 위한 기초 공사로서 발파 작업은 도로건설, 터널, 도심지 인접구조물이 위치한 장소 등의 다양한 공사현장에서 자주 수행되는 작업이다.
발파작업(blasting operation)은 암반을 제거하기 위한 작업으로서, 일반적으로 폭약을 이용하여 수행되고 있다.
암반사면 보호 목적으로 대형 브레이커를 사용한 정밀깎기 공법이 대부분 적용되고 있다. 보통암, 경암, 극경암 암반의 정밀깎기 공법 적용시 암반사면 정리에 따른 공기 증가로 타 공정 공기지연 및 비용 증가, 장기간 브레이커 소음 발생으로 민원 발생이 증가되고 있다.
이에, 원 암반에 영향을 최소화하고 소정의 계획한 방향으로만 균열을 발생시켜 정밀깎기 구간에서 폭약을 사용한 발파공법으로 대체하여 사면정리 공기 단축 및 전체공기 단축으로 비용 절감, 브레이커 소음 최소화로 민원발생 억제할 수 있는 발파공법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일반적 발파는 안정성과 경제성을 고려하여 폭약의 폭발 위력을 집중 사용하여 계획한 암반을 파쇄하므로, 계획된 절취면보다 많은 양의 암석이 절취 되거나 과잉균열이 발생하여 사면 안정성을 저해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폭압을 제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제어발파는 터널굴착 및 노천굴착에서 여굴을 적개하여 굴착면의 안정성을 높이고, 불필요한 굴착에 따른 추가보강을 감소시키기 위해 실시하는 작업이다. 이러한 제어발파법에는 천공 및 장약방법과 기폭방법에 따라 프리스플리팅, 쿠션블라스팅, 스무스블라스팅, 라이드릴링 등과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전통적인 방법이 있다. 또한, 발파공에 인공균열을 만든 장약공 노치를 이용하거나 특수한 형태로 제작되어 폭발력을 한 방향으로 유도하도록 고안된 장약홀더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기존에도 한국특허등록 제10-1296273호와 같이, 장약홀더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기술은 암반 아래로 깊이 천공된 발파공에 장약홀더가 삽입될때, 암반의 경도를 고려하여 장약홀더의 형상을 달리하지 못하고, 동일한 형상을 채택함으로써, 보다 정밀한 제어가 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문헌 1) 한국특허등록 제10-1296273호 (2013.08.07)
본 발명에 따른 외부 방향유도부가 구비된 장약홀더 및 발파공법은 다음과 같은 해결과제를 가진다.
첫째, 발파암 절토사면에 불필요한 폭압을 장약홀더로 제어하고자 한다.
둘째, 계획한 절토선으로 폭압을 유도하여, 절토면의 배면 충격을 감소시켜, 안정적인 사면절취를 하고자 한다.
셋째, 장약홀더 내부에서 발생된 폭발압을 원하는 방향의 외부로 배출하고자 한다.
넷째, 암반의 깊이에 따른 경도 차이를 장약홀더의 구조에 반영하여, 정밀한 제어를 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외부 방향유도부가 구비된 장약홀더로서, 판형 부재가 길이방향으로 구비된 내부 격벽부; 1개의 내각을 가지도록 구비된 각 절곡부가 상기 내부 격벽부의 양 측에서 상호 대향되도록 결합되는 외부 방향유도부; 및 상기 외부 방향유도부의 각 절곡부의 단부가 상호 이격되면서 형성된 개구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내부 격벽부는 판형 부재의 길이방향으로 이격 형성된 장약거치홈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내부 격벽부의 일측에는 장약거치 보조홈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외부 방향유도부의 각 절곡부는 동일한 형상으로 구비되되, 각 내각이 마주보도록 상호 반대 방향으로 대향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장약홀더의 하측에 배치된 일 절곡부의 내각이, 일 절곡부보다 상측에 배치된 타 절곡부의 내각보다 크게 구비되고, 하측에 구비된 일 절곡부의 개구부의 갭 간격이 상측에 구비된 타 절곡부의 개구부의 갭 간격보다 크게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장약홀더의 하측에 배치된 일 절곡부의 길이는 일 절곡부보다 상측에 배치된 타 절곡부의 길이보다 짧게 구비되고, 하측에 구비된 일 절곡부의 개구부의 갭 간격이 상측에 구비된 타 절곡부의 개구부의 갭 간격보다 크게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외부 방향유도부의 절곡부의 각 단부에는 외측으로 절곡된 제1 추가절곡부가 연장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외부 방향유도부의 절곡부의 각 단부에는 내측으로 절곡된 제2 추가절곡부가 연장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외부 방향유도부가 구비된 장약홀더를 이용한 발파공법으로서, 암반에 아래 방향으로 천공부를 형성하는 S1 단계; 및 상기 천공부에 청구항 1에 따른 장약홀더를 삽입하는 S2 단계; 및 상기 장약홀더에 장착된 화약에 의해 발파가 이루어지는 S3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외부 방향유도부가 구비된 장약홀더 및 발파공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발파암 절토사면에 불필요한 폭압을 장약홀더로 제어하는 효과가 있다.
둘째, 계획한 절토선으로 폭압을 유도하여, 절토면의 배면 충격을 감소시켜, 안정적인 사면절취를 하는 효과가 있다.
셋째, 외부 방향유도부를 이용하여, 장약홀더 내부에서 발생된 폭발압을 원하는 방향의 외부로 배출하는 효과가 있다.
넷째, 암반 천공부에 삽입되는 장약홀더의 높이별로 절곡부의 구조를 다르게 조정하여, 폭발압의 배출을 더욱 정밀하게 제어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외부 방향유도부가 구비된 장약홀더의 일 실시예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장약홀더의 다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장약홀더의 일 부분을 나타낸다.
도 4는 도 3의 장약홀더의 분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장약홀더의 다른 각도의 실시예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장약홀더의 장약거치홈에 거치된 장약이 폭발한때의 폭파유동을 나타낸다.
도 7은 암반에 형성된 천공부에 본 발명에 따른 장약홀더가 삽입된 상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장약홀더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장약홀더의 하측에 구비된 개구부의 갭 간격이, 상측에 구비된 개구부의 갭 간격보다 큰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10 및 도 11은 장약홀더의 하측에 구비된 일 절곡부의 개구부의 갭 간격이 상측에 구비된 타 절곡부의 개구부의 갭 간격보다 큰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외부 방향유도부(200)의 절곡부(210)의 각 단부에는 외측으로 절곡된 제1 추가절곡부(220)가 연장형성되는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외부 방향유도부(200)의 절곡부(210)의 각 단부에는 내측으로 절곡된 제2 추가절곡부(230)가 연장형성되는 실시예를 나타낸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후술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가능한 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은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는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방향에 관한 표현, 예를 들어 전/후/좌/우의 표현, 상/하의 표현, 종방향/횡방향의 표현은 도면에 개시된 방향을 참고하여 해석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고자 한다. 참고로, 도면은 본 발명의 특징을 설명하기 위하여, 일부 과장되게 표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본 명세서의 전 취지에 비추어 해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외부 방향유도부가 구비된 장약홀더의 일 실시예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장약홀더의 다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외부 방향유도부가 구비된 장약홀더(10)는 내부 격벽부(100), 외부 방향유도부(200) 및 개구부(30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장약홀더(10)는 판형 부재가 길이방향으로 구비된 내부 격벽부(100); 1개의 내각을 가지도록 구비된 각 절곡부(210)가 상기 내부 격벽부(100)의 양 측에서 상호 대향되도록 결합되는 외부 방향유도부(200); 및 상기 외부 방향유도부(200)의 각 절곡부(210)의 단부가 상호 이격되면서 형성된 개구부(3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내부 격벽부(100)는 판형 부재가 길이방향으로 구비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 내부 격벽부(100)는 판형 부재의 길이방향으로 이격 형성된 장약거치홈(110)이 구비될 수 있다.
장약거치홈(110)의 양 방향으로는 개구부(300)가 구비된다. 따라서, 장약거치홈(110)에 거치된 화약(20)이 폭발하면, 폭발압은 장약거치홈(110)의 양방향으로 구비된 개구부로 배출되는 구조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장약홀더의 일 부분을 나타낸다. 도 4는 도 3의 장약홀더의 분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내부 격벽부(100)의 일측에는 장약거치 보조홈(120)이 더 구비될 수 있다(도 4 참조). 장약거치홈(110)에 거치되는 화약(20)을 더욱 안정적으로 고정하기 위하여, 장약거치 보조홈(120)이 활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화약(20)과 연결된 결합끈 등의 단부에 결합고리(미도시)가 형성되고, 결합고리가 장약거치 보조홈(120)에 걸리는 방식 등으로 활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외부 방향유도부(200)는 1개의 내각을 가지도록 구비된 각 절곡부(210a)(210b)가 상기 내부 격벽부(100)의 양 측에서 상호 대향되도록 결합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외부 방향유도부(200)의 각 절곡부(210a)(201b)는 동일한 형상으로 구비되되, 각 내각이 마주보도록 상호 반대 방향으로 대향배치될 수 있다(도 3 및 도 4 참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장약홀더의 다른 각도의 실시예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장약홀더의 장약거치홈에 거치된 장약이 폭발한때의 폭파유동을 나타낸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격벽부(100)의 장약거치홈에 거치된 화약(20)이 폭발하면, 폭발압은 상하좌우 등 모든 방향으로 향하게 될 것이다. 이때, 양 쪽에 구비된 개구부(300)로 우선 배출될 수 있다. 또한, 각 절곡부(210a)(210b)의 내각 쪽으로 향하는 폭발압도 절곡부(210)의 경사에 의해 개구부(300)로 안내될 것이다. 따라서, 모든 폭발압은 개구부(300) 방향으로 배출되는 것이다.
도 7은 암반(30)에 형성된 천공부(310)에 본 발명에 따른 장약홀더가 삽입된 상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장약홀더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암반은 연암 내지 경암에 해당되고, 사용폭약은 에뮤라이트 32mm이고, 천공 깊이는 6.0m이고, 천공부의 간격은 0.8m이고, 장약홀더의 길이는 3.0m로 하여 각 장약홀더를 연결하여 실시할 수 있다(도 8 참조). 이때, 폭발압이 계획한 방향으로 작용하여 원하는 파단선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암반의 상측보다는 하측의 강도가 더욱 강하다. 또한, 암반의 형상과 특성상 강도가 서로 상이한 부분이 발생될 수도 있을 것이다.
기존의 기술은 이러한 암반의 강도 차이가 있음에도, 장약홀더의 개구부의 갭 간격 등이 동일하게 구비된 장약홀더를 사용하여 왔다. 따라서, 폭발압도 동일하게 개구부를 통해 배출되는 방식으로 수행되어 왔다.
하지만, 전술한 암반의 특성을 고려하여, 강도가 강한 부분에 더욱 강한 폭발압이 배출되도록 하면, 더욱 더 정밀한 제어가 가능할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장약홀더의 하측에 구비된 개구부의 갭 간격이, 상측에 구비된 개구부의 갭 간격보다 큰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10 및 도 11은 장약홀더의 하측에 구비된 일 절곡부의 개구부의 갭 간격이 상측에 구비된 타 절곡부의 개구부의 갭 간격보다 큰 실시예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있어서,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약홀더의 하측에 배치된 일 절곡부(210_2)의 내각(A2)이, 일 절곡부보다 상측에 배치된 타 절곡부(210_1)의 내각(A1)보다 크게 구비되고, 하측에 구비된 일 절곡부(210_2)의 개구부(300)의 갭 간격(gap2)이 상측에 구비된 타 절곡부(210_1)의 개구부(300)의 갭 간격(gap1)보다 크게 구비되는 실시예가 가능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도 11a 및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약홀더의 하측에 배치된 일 절곡부(210_3)의 길이(L3)는 일 절곡부보다 상측에 배치된 타 절곡부(210_1)의 길이(L1)보다 짧게 구비되고, 하측에 구비된 일 절곡부(210_3)의 개구부(300)의 갭 간격(gap3)이 상측에 구비된 타 절곡부(210_1)의 개구부(300)의 갭 간격(gap1)보다 크게 구비되는 실시예가 가능하다.
도 10 및 도 11의 실시예와 같이, 만약 암반의 강도가 하측보다 상측이 강하다고 조사된 경우, 암반의 하측에 배치된 개구부로부터는 상측보다 더 많은 폭발압이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암반의 파쇄를 더욱 효과적이고,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외부 방향유도부(200)의 절곡부(210)의 각 단부에는 외측으로 절곡된 제1 추가절곡부(220)가 연장형성될 수 있다(도 12 참조).
본 발명에 있어서, 외부 방향유도부(200)의 절곡부(210)의 각 단부에는 내측으로 절곡된 제2 추가절곡부(230)가 연장형성될 수 있다(도 13 참조).
제1 추가절곡부(220) 및 제2 추가절곡부(230)는 함께 구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제1 추가절곡부(220) 및 제2 추가절곡부(230)를 활용하여, 폭발압을 원하는 방향과 원하는 양으로 배출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장약홀더를 이용한 발파공법으로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발파공법은 암반에 아래 방향으로 천공부를 형성하는 S1 단계; 상기 천공부에 청구항 1에 따른 장약홀더를 삽입하는 S2 단계; 및 상기 장약홀더에 장착된 화약에 의해 발파가 이루어지는 S3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방향유도부가 구비된 장약홀더를 이용한 발파공법으로 구현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장약홀더의 경우, 절리 발달 암반에서 절리군의 관찰 및 기록을 통하여 예정 파단선을 예상하고, 파단선을 사면 절취선 전방에 적용하고 대형 브레이커와 병행 시공함으로써, 사면보호 목적에 부합하면서 사면정리 공기를 단축 시킬 수 있다.
보통암 및 경암에서 대형 브레이커가 적용된 정밀깎기 적용시 제한적인 일일 시공물량으로 공기지연 및 장비 과투입에 따른 공사원가 상승으로 공사비용이 증가하나, 본 발명에 따른 장약홀더를 이용한 발파공법 적용시 일일 시공물량 증가 및 공기 단축으로 공사원가를 줄일 수 있으므로 공사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장시간 대형 브레이커 사용시 높은 소음에 따른 민원이 발생하여 2중, 3중의 방음시설을 설치하여야 하는 불필요한 공종 및 비용 발생, 관할 관공서의 제재 등으로 원할한 공사를 수행하지 못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므로 소음발생 시간을 최소화하여 민원발생을 억제하고 원할한 공사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장약홀더 20 : 화약
30 : 암반 31 : 천공부
100 : 내부 격벽부 110 : 장약거치홈
120 : 장약거치 보조홈
200 : 외부 방향유도부 210 : 절곡부
220 : 제1 추가 절곡부 230 : 제2 추가 절곡부
300 : 개구부

Claims (9)

  1. 판형 부재가 길이방향으로 구비된 내부 격벽부; 1개의 내각을 가지도록 구비된 각 절곡부가 상기 내부 격벽부의 양 측에서 상호 대향되도록 결합되는 외부 방향유도부; 및 상기 외부 방향유도부의 각 절곡부의 단부가 상호 이격되면서 형성된 개구부를 포함하며,
    장약홀더의 하측에 배치된 일 절곡부의 내각이, 일 절곡부보다 상측에 배치된 타 절곡부의 내각보다 크게 구비되고, 하측에 구비된 일 절곡부의 개구부의 갭 간격이 상측에 구비된 타 절곡부의 개구부의 갭 간격보다 크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방향유도부가 구비된 장약홀더.
  2. 판형 부재가 길이방향으로 구비된 내부 격벽부; 1개의 내각을 가지도록 구비된 각 절곡부가 상기 내부 격벽부의 양 측에서 상호 대향되도록 결합되는 외부 방향유도부; 및 상기 외부 방향유도부의 각 절곡부의 단부가 상호 이격되면서 형성된 개구부를 포함하며,
    장약홀더의 하측에 배치된 일 절곡부의 길이는 일 절곡부보다 상측에 배치된 타 절곡부의 길이보다 짧게 구비되고, 하측에 구비된 일 절곡부의 개구부의 갭 간격이 상측에 구비된 타 절곡부의 개구부의 갭 간격보다 크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방향유도부가 구비된 장약홀더.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내부 격벽부는 판형 부재의 길이방향으로 이격 형성된 장약거치홈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방향유도부가 구비된 장약홀더.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내부 격벽부의 일측에는 장약거치 보조홈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방향유도부가 구비된 장약홀더.
  5.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외부 방향유도부의 각 절곡부는 동일한 형상으로 구비되되, 각 내각이 마주보도록 상호 반대 방향으로 대향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방향유도부가 구비된 장약홀더.
  6. 삭제
  7.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외부 방향유도부의 절곡부의 각 단부에는 외측으로 절곡된 제1 추가절곡부가 연장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방향유도부가 구비된 장약홀더.
  8.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외부 방향유도부의 절곡부의 각 단부에는 내측으로 절곡된 제2 추가절곡부가 연장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방향유도부가 구비된 장약홀더.
  9. 암반에 아래 방향으로 천공부를 형성하는 S1 단계;
    상기 천공부에 청구항 1 또는 2에 따른 장약홀더를 삽입하는 S2 단계; 및
    상기 장약홀더에 장착된 화약에 의해 발파가 이루어지는 S3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방향유도부가 구비된 장약홀더를 이용한 발파공법.
KR1020210099834A 2021-07-29 2021-07-29 외부 방향유도부가 구비된 장약홀더 및 이를 이용한 발파공법 KR1025041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9834A KR102504139B1 (ko) 2021-07-29 2021-07-29 외부 방향유도부가 구비된 장약홀더 및 이를 이용한 발파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9834A KR102504139B1 (ko) 2021-07-29 2021-07-29 외부 방향유도부가 구비된 장약홀더 및 이를 이용한 발파공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8089A KR20230018089A (ko) 2023-02-07
KR102504139B1 true KR102504139B1 (ko) 2023-02-27

Family

ID=852216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9834A KR102504139B1 (ko) 2021-07-29 2021-07-29 외부 방향유도부가 구비된 장약홀더 및 이를 이용한 발파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413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021744A (ja) 2016-08-05 2018-02-08 株式会社Skテック 爆薬の分散装薬方法
CN209945165U (zh) * 2019-04-09 2020-01-14 山东科技大学 一种新型深孔爆破聚能管
US20200149854A1 (en) 2017-07-19 2020-05-14 Tbs Mining Solutions Pty Ltd. A method and apparatus for preventing rock fragments from entering or collapsing into a blast hole
CN213238642U (zh) 2020-09-03 2021-05-18 中铁二局集团有限公司 一种用于预裂爆破的装药连线装置
CN113073978A (zh) 2021-04-08 2021-07-06 中国矿业大学(北京) 一种厚煤层约束混凝土支柱切顶成巷无煤柱开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6273B1 (ko) 2013-05-24 2013-08-14 조금원 폭약 장전이 용이한 장약홀더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021744A (ja) 2016-08-05 2018-02-08 株式会社Skテック 爆薬の分散装薬方法
US20200149854A1 (en) 2017-07-19 2020-05-14 Tbs Mining Solutions Pty Ltd. A method and apparatus for preventing rock fragments from entering or collapsing into a blast hole
CN209945165U (zh) * 2019-04-09 2020-01-14 山东科技大学 一种新型深孔爆破聚能管
CN213238642U (zh) 2020-09-03 2021-05-18 中铁二局集团有限公司 一种用于预裂爆破的装药连线装置
CN113073978A (zh) 2021-04-08 2021-07-06 中国矿业大学(北京) 一种厚煤层约束混凝土支柱切顶成巷无煤柱开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8089A (ko) 2023-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P88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ed small-charge blasting of hard rock and concrete by explosive pressurisation of the bottom of a drill hole.
JP2611157B2 (ja) 一自由面トンネル掘鑿の分鑿式多段発破工法
KR102162731B1 (ko) 지관을 이용한 친환경 장약 튜브관과 이를 포함하는 분산 장약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발파 공법
KR102243638B1 (ko) 암반 발파용 폭약튜브관
KR102504139B1 (ko) 외부 방향유도부가 구비된 장약홀더 및 이를 이용한 발파공법
CN111595214A (zh) 一种小孔加强致裂药柱和单面环向切缝药柱联合掏槽方法
KR101392158B1 (ko) 발파 진동의 전파를 차단하는 발파공의 진동차단 방향 조절부재 및 이를 이용한 발파공법
KR102128932B1 (ko) 저진동 및 저소음형 분할 발파 공법
CN108050902A (zh) 一种隧道爆破开挖方法
KR100362014B1 (ko) 터널 암굴착 굴착선공부 선균열 발파방법
CN110332861A (zh) 城市地铁复杂环境控制爆破施工方法
KR102199682B1 (ko) 폭발력 집중과 진동소음 저감형 라이너 플러그를 포함하는 폭약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발파 공법
JP2000213900A (ja) 発破方法
KR100507303B1 (ko) 도폭선을 사용한 안전한 진동제어발파방법
KR100373493B1 (ko) 터널 굴착방법
KR0182394B1 (ko) 인장파괴를 이용한 암반절단방법
KR100317825B1 (ko) 미진동 암반파쇄방법
KR20040105317A (ko) 스플릿튜브, 스플릿튜브와 공기층을 이용한 균열제어발파방법
JPH05247939A (ja) 深い地中障害物の解体方法
JP3059621B2 (ja) 岩盤等の爆破方法
KR102525652B1 (ko) 암반 발파를 위한 데크차지 공법용 다단 장약 보호 프로텍터 및 이를 이용한 암반 발파공법
KR102621202B1 (ko) 발파용 튜브
KR100358522B1 (ko) 강구조물 발파해체를 위한 성형폭약 장착방법
CN219387888U (zh) 一种隧道爆破减震孔
CN109099806A (zh) 一种光面爆破或预裂爆破用爆炸切割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