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3638B1 - 암반 발파용 폭약튜브관 - Google Patents

암반 발파용 폭약튜브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3638B1
KR102243638B1 KR1020190068560A KR20190068560A KR102243638B1 KR 102243638 B1 KR102243638 B1 KR 102243638B1 KR 1020190068560 A KR1020190068560 A KR 1020190068560A KR 20190068560 A KR20190068560 A KR 20190068560A KR 102243638 B1 KR102243638 B1 KR 1022436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blasting
explosive
circumferential surface
r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85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41707A (ko
Inventor
이진성
Original Assignee
이진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진성 filed Critical 이진성
Priority to KR10201900685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3638B1/ko
Priority to PCT/KR2020/007434 priority patent/WO2020251235A2/ko
Publication of KR202001417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17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36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36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DBLASTING
    • F42D1/00Blasting methods or apparatus, e.g. loading or tamping
    • F42D1/08Tamping methods; Methods for loading boreholes with explosives; Apparatu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DBLASTING
    • F42D1/00Blasting methods or apparatus, e.g. loading or tamping
    • F42D1/08Tamping methods; Methods for loading boreholes with explosives; Apparatus therefor
    • F42D1/20Tamping cartridges, i.e. cartridges containing tamping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DBLASTING
    • F42D1/00Blasting methods or apparatus, e.g. loading or tamping
    • F42D1/08Tamping methods; Methods for loading boreholes with explosives; Apparatus therefor
    • F42D1/24Tamping methods; Methods for loading boreholes with explosives;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tamping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DBLASTING
    • F42D3/00Particular applications of blasting techniques
    • F42D3/04Particular applications of blasting techniques for rock blas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Drilling And Exploitation, And Mining Machines And Meth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암반 발파용 폭약튜브관에 관한 것으로, 암반 발파용 폭약튜브관을 길이방향으로 개폐가능하게 구성하고 아울러, 상부로 연결되는 다른 암반 발파용 폭약튜브관과 결합시켜 발파공 내측으로 삽입시킬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폭약의 발파 방향에 대하여 다수의 튜브관을 동일한 방향으로 유도할 수 있어서 적은 양의 폭약으로도 암반을 발파가능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내부에 고정돌기가 다수 형성하므로 인해 에멀젼계 폭약 충진시 튜브관 내부 중앙에 에멀젼계 폭약이 위치가능하도록 하여 폭발력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암반 발파용 폭약튜브관{Explosive tube for rock blasting}
본 발명은 암반 발파용 폭약튜브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암반 발파용 폭약튜브관을 길이방향으로 개폐가능하게 구성하고 아울러, 다른 암반 발파용 폭약튜브관과 결합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폭약의 발파 방향을 유도할 수 있어서 적은 양의 폭약으로도 암반을 발파가능하도록 한 암반 발파용 폭약튜브관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발파 공사(blasting construction)란 광산이나 채석장의 원석 절취을 비롯하여 암반 지대의 터널 공사, 콘크리트 구조물의 절취 공사 및 도로개설 공사 등에서 암반 등을 파쇄하는 공사를 의미하고, 최근에는 빌딩의 지하 터파기 공사, 전력구 및 관로 공사 및 지하철 공사 등 도심지에서도 빈번히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발파 공사를 위한 작업에는, 큰 덩어리의 암석을 잘게 부수는 것에서부터 일시에 수천에서 수만 톤에 이르는 암석을 폭파하는 대규모의 것까지 있으며, 이들은 각 패턴 별로 정의된 공법을 갖는 설계를 적용하여 시공이 이루어지고 있다.
종래에 널리 이용되던 암반 발파 방법으로는 암반에 발파공을 천공하고 발파공의 내부에 폭약과 전색물을 충진하여 발파하는 일반 발파방법과, 진동 감소를 위하여 천공된 구멍 내에 폭약과 전색물을 교대로 배열하여 발파하는 분산장약에 의한 발파방법과, 법면을 정리할 목적으로 하는 선균열 발파방법 등이 있다.
그리고, 발파시 안포 폭약, 벌크 폭약(bulk explosive), 함수 폭약 등이 사용되고 있는데, 이 중 안포(ANFO) 폭약은 질산암모늄을 주성분으로 하여 연료유를 혼합한 일종의 초안폭약으로서 경제적이어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나, 전폭약(primer, booster)이 필요하고, 흡수성이 있어 장기 저장이 어려우며, 내수성이 약하다.
상기한 폭약에 의한 일반적인 발파공법은. 암반의 장약공 내부에 기폭약, 뇌관, 안포 폭약 또는 벌크 폭약 등의 폭약을 장전하고, 나머지 공간을 전색물(5)로 전색시킨 후에 발파하는 방법이다.
다만, 이는 장약공 내부에 장전되는 기폭약이 장약공의 하부쪽으로 집중되어 발파됨으로써 진동과 폭음이 크게 발생되고, 비산의 위험이 있으며, 천공 깊이에 비하여 전색물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길어서 전색물 주변의 암반에는 폭발력이 미치지 않게 되어 큰 암석덩어리인 전석의 발생가능성이 높고, 과장약으로 인하여 폭약이 과다하게 사용되어 비경제적이며, 역기폭(indirect priming)이어서 각선의 길이가 길어지고 안포 폭약의 경우 정전기 위험성이 있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폭약에 의한 분산장약에 의한 발파공법이 개발된 바 있다.
즉, 상기한 분산 장약(deck charge)에 의한 발파 방법을 채택하는 경우, 장약공 내부에 기폭약, 뇌관, 안포폭약 또는 벌크 폭약 등의 폭약을 장전하고, 전색물로 전색하는 작업을 교대로 실시하여 층상 장약을 형성하게 되며, 뇌관을 층상 장약의 수만큼 개별로 장전하여 폭약이 동일한 천공 구멍 내에서 시차를 두고 분리 폭발되어 암반을 파쇄시킨다.
다만, 이는 층상 장약의 갯 수만큼 뇌관이 추가로 소요되어 비용이 많이 들고 번거로우며, 또한 폭약과 전색물을 교대로 장전하는 작업이 곤란하여 작업이 비효율적, 비경제적이고, 동일한 폭약량이 사용되어야 하기 때문에 진동이나 폭음의 감쇠 효과도 그리 높지 않은 문제가 있다.
더불어, 장약공의 내부에 폭약과 폭약 사이 또는 폭약과 전색물 사이에 에어데크 공간을 형성시킨 암석으로 충진된 에어데크를 이용한 암반 발파방법이 개발된 바 있으나, 이는 폭약과 전색물을 장약공의 내부에 직접 충진시키는 방식으로, 내수성이 약한 안포 폭약을 사용하는 경우 지하수나 공동이 많은 우리나라의 지형에는 쉽게 적용할 수 없으며, 폭약의 정량화가 곤란한 문제가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발파 작업은 암반을 파쇄하는데 있어 과도하게 하부 집중적으로 장약할 수 밖에 없고, 기존의 쿠션블라스팅(cushion blasting) 방식도 도폭선을 활용하여 도폭선에 화약을 일정 간격으로 묶어 발파하는 방법이어서 작업이 번거롭고 도폭선의 가격 부담으로 인해 비경제적이어서 널리 사용되고 있지는 않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본 출원인은 특허출원번호 10-2013-0162208호에 에어갭을 구비한 폭약 튜브관 및 이를 이용한 암반 발파 공법을 특허출원하여 특허등록받은 바 있다.
살펴보면, 종래의 일반적인 에어갭을 구비한 폭약 튜브관은, 암반에 천공된 발파공에 폭약이 충진된 복수 개를 서로 연결 삽입한 후 폭약을 발파시켜 암반을 파쇄하는데 이용되는 튜브관으로서, 내부에 폭약이 충진되는 충진공간을 구비한 충진관 및 상기 충진관 위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부에 다른 튜브관이 연결되어 내측에 에어갭의 공간이 형성되며, 바닥에 상기 충진공간으로 폭약이 투입되는 투입공이 형성된 에어관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튜브관은 외주에 발파 진행 방향을 유도하기 위한 유도홈이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구성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일반적인 에어갭을 구비한 폭약 튜브관은, 튜브관의 상부에 에어갭을 형성시킴으로써, 폭약을 정량화하고 폭약의 사용량을 감소시켜 발파 효율을 높이는 동시에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고, 동일한 약량 대비 폭약의 약장 길이가 증가되고 폭발시 투사면적이 확대되어 발파효과가 증대되며, 쿠션블라스팅(cushion blasting) 공법을 적용하여 발파시 발생하는 폭풍압, 비산석, 진동 및 소음 등의 발파공해를 감소시킬 수는 있으나, 튜브관의 상부에 또 다른 튜브관이 연결될 때, 상기 튜브관 외주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유도홈이 서로 일직선되게 연결되지 못하여 발파력이 떨어질 수 밖에 없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일반적인 에어갭을 구비한 폭약 튜브관 내부은 내부에 에멀젼계 폭약 충진시 상기 에멀젼계 폭약의 위치를 고정시키지 못하여 한 쪽방향으로 쏠리는 것에 의해 폭발시 폭발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출원번호 10-2013-0162208호, 출원일; 2013년12월24일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암반 발파용 폭약튜브관을 길이방향으로 개폐가능하게 구성하고 아울러, 상부로 연결되는 다른 암반 발파용 폭약튜브관과 결합시켜 발파공 내측으로 삽입시킬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폭약의 발파 방향에 대하여 다수의 튜브관을 동일한 방향으로 유도할 수 있어서 적은 양의 폭약으로도 암반을 발파가능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내부에 고정돌기가 다수 형성하므로 인해 에멀젼계 폭약 충진시 튜브관 내부 중앙에 에멀젼계 폭약이 위치가능하도록 하여 폭발력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 암반 발파용 폭약튜브관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기술이 진행되면서 명확해질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암반 발파용 폭약튜브관은, 내측 하단부는 막음판에 의해 막음되는 것에 의해 내부에 폭약을 충진시킬 수 있도록 충진공간부가 형성되어 구비되는 폭약충진부와, 상기 폭약충진부의 내측 상단부에 일체로 형성됨에 따른 다른 튜브관이 연결되는 것에 의해 공기가 저장가능하도록 상부가 개구된 공기저장편이 형성되고, 상기 공기저장편의 바닥면은 폭약을 상기 충진공간부로 충진시킬 수 있도록 충진용 홀이 천공되어 구비되는 에어저장부와, 상기 에어저장부 상부와 폭약충진부 하부에 일방향으로 각각 돌출 연장되어 다른 튜브관과 결합되어 서로 연결가능하도록 상부 및 하부연장부가 일체로 구성된 관 형상의 발파용튜브관으로 형성되되, 상기 발파용튜브관의 외주면은 발파시 발파 방향을 유도가능하도록 길이방향으로 절개되어 발파유도수단에 의해 개폐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발파유도수단에 대향되는 발파용튜브관의 내주면에는, 발파시 상기 발파유도수단이 형성된 외주면측으로 먼저 개방이 이루어져 발파 방향을 유지시킬 수 있도록 소정 깊이로 길이방향으로 절개된 것에 의해 어느 한 쪽면은 단턱진 것에 의해 안착면이 형성되고, 다른 한 쪽면은 상기 안착면에 포개어지면서 덮을 수 있도록 단턱진 것에 의해 덮개용돌출면이 형성된 확개부가 더 형성되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암반 발파용 폭약튜브관에 따르면, 폭약의 발파 방향에 대하여 다수의 튜브관을 동일한 방향으로 유도할 수 있어서 적은 양의 폭약으로도 암반을 발파가능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내부에 고정돌기가 다수 형성하므로 인해 에멀젼계 폭약 충진시 튜브관 내부 중앙에 에멀젼계 폭약이 위치가능하도록 하여 폭발력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암반 발파용 폭약튜브관의 외관 및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암반 발파용 폭약튜브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암반 발파용 폭약튜브관의 발파유도수단 의해 발파용튜브관이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암반 발파용 폭약튜브관이 서로 연결 고정되어 암반에 형성된 발파공에 삽입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암반 발파용 폭약튜브관의 일실시 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암반 발파용 폭약튜브관은, 폭약의 발파 방향에 대하여 다수의 튜브관을 동일한 방향으로 유도할 수 있어서 적은 양의 폭약으로도 암반을 발파가능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내부에 고정돌기가 다수 형성하므로 인해 에멀젼계 폭약 충진시 튜브관 내부 중앙에 에멀젼계 폭약이 위치가능하도록 하여 폭발력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암반 발파용 폭약튜브관(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하단부는 막음판(111a)에 의해 막음되는 것에 의해 내부에 폭약을 충진시킬 수 있도록 충진공간부(111b)가 형성되어 구비되는 폭약충진부(111)와, 상기 폭약충진부(111)의 내측 상단부에 일체로 형성됨에 따른 다른 튜브관이 연결되는 것에 의해 공기가 저장가능하도록 상부가 개구된 공기저장편(113a)이 형성되고, 상기 공기저장편(113a)의 바닥면은 폭약을 상기 충진공간부(111b)로 충진시킬 수 있도록 충진용 홀(113b)이 천공되어 구비되는 에어저장부(113)와, 상기 에어저장부(113) 상부와 폭약충진부(111) 하부에 일방향으로 각각 돌출 연장되어 다른 튜브관과 결합되어 서로 연결가능하도록 상부 및 하부연장부(115,117)가 일체로 구성된 관 형상의 발파용튜브관(110)으로 형성되되, 상기 발파용튜브관(110)의 외주면은 발파시 발파 방향을 유도가능하도록 길이방향으로 절개되어 발파유도수단(130)에 의해 개폐가능하게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한 발파유도수단(130)에 대향되는 발파용튜브관(110)의 내주면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파시 상기 발파유도수단(130)이 형성된 외주면측으로 먼저 개방이 이루어져 발파 방향을 유지시킬 수 있도록 소정 깊이로 길이방향으로 절개된 것에 의해 어느 한 쪽면은 단턱진 것에 의해 안착면(151)이 형성되고, 다른 한 쪽면은 상기 안착면(151)에 포개어지면서 덮을 수 있도록 단턱진 것에 의해 덮개용돌출면(153)이 형성된 확개부(150)가 더 형성되어 구비된다.
또한, 상기한 상부연장부(115)의 내주면에는, 첨부된 도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ㅜ"자 형상의 결합돌기(115a)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하부연장부(117)의 외주면에는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다른 튜브관의 상부연장부의 내주면에 형성된 결합돌기를 수용하여 결합가능하도록 "┏"자 형상의 결합홈(117a)이 형성되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한 암반 발파용 폭약튜브관은 습기가 있는 암반 발파시에는 수분이 폭약측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일면이 개구된 비닐재질의 방수부재에 삽입되어 사용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암반 발파용 폭약튜브관을 첨부된 도면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암반 발파용 폭약튜브관의 발파용튜브관(110)은, 폭약을 저장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폭약충진부(111)와, 상기 폭약충진부(111)의 내측 상단부에 일체로 형성됨에 따른 다른 튜브관이 연결되는 것에 의해 공기를 저장시켜 발파시 발생하는 폭풍압, 비산석, 진동 및 소음 등의 발파공해를 감소시킬 수 있는 에어저장부(113)와, 상기 에어저장부(113) 상부와 폭약충진부(111) 하부에 일방향으로 각각 돌출 연장되어 다른 튜브관과 결합되어 서로 연결가능하도록 형성된 상부 및 하부연장부(115,117)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한 폭약충진부(111)는 상기 발파유도수단(130)에 의해 외주면이 폐쇄되면, 내측 하단부 즉, 바닥면은 막음판(111a)에 의해 막음되고, 내부는 폭약을 충진시킬 수 있도록 충진공간부(111b)가 형성된 기둥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구비된다.
또한, 상기한 폭약충진부(111)의 내주면에는 에멀젼계 폭약을 충진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폭약충진부(111)의 내부 중앙부에 위치도록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복수개의 위치고정용 돌기(111c)가 더 돌출 형성되어 구비된다.
상기한 에어저장부(113)는 폭약충진부(111)의 상부에 일치로 형성되어 공기 저장 및 폭약을 폭약충진부(111)측으로 투입가능하도록 공기저장편(113a)이 형성되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한 공기저장편(113a)은 내주면이 상광하협(上廣下俠)의 형상이면서 하단부로 테이퍼지게 형성된 역사다리꼴 형상의 단면으로 형성되며, 바닥면은 폭약을 상기 폭약충진부(111)의 충진공간부(111b)로 충진시킬 수 있도록 충진용 홀(113b)이 천공되어 구비된다.
상기한 발파유도수단(130)은 폭약 충진시에는 상기 발파용튜브관(110)이 기둥체 형상을 유지하고 발파시 발파 방향을 유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한 발파유도수단(130)은 상기 발파용튜브관(110)의 외주면에 길이방향으로 절개된 것에 의해 형성된 한 쌍의 제1,2절개면(131,133) 중 상기 제1절개면(131)에는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 돌출된 걸림돌기(131a)가 형성되고, 상기 제2절개면(133)에는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상기 걸림돌기(131a)를 걸림시켜 결합가능하도록 걸림홈(133a)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한 제1절개면(131)과 제2절개면(133)은 상기 발파유도수단(130)의 걸림돌기(131a)와 걸림홈(133a)을 통하여 결합시 틈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여 폭약의 유출을 방지가능하도록 상기 발파용튜브관(110)의 외주면과 내주면으로 제1,2단턱부(131b,133b)가 더 형성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한 걸림돌기(131a)의 일측과 타측에는 상기 발파유도수단(130)에 의해 결합시 제2단턱부(133b)를 걸림시키는 것에 의해 제2절개면(133)이 발파용튜브관(110)의 외주면측으로 삽입되지 않도록 위치결정돌기(135)가 더 형성되어 구성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암반 발파용 폭약튜브관을 사용하여 소정의 깊이로 복수개의 발파공이 형성된 암반에 암반 발파용 폭약튜브관을 삽입시켜 발파시키고자 할 경우, 먼저, 발파용튜브관(110)의 폭약충진부(111)에 형성된 충진공간부(111b)에 에멀젼계폭약 및 안포폭약을 충진시킨다.
이때, 상기한 에멀젼계폭약을 충전시킨 때에는, 발파유도수단(130)을 통하여 발파용튜브관(110)을 개방시킨 후, 에멀젼계폭약을 충진공간부(111b)에 충진시킨다.
이후, 발파유도수단(130)을 통하여 발파용튜브관(110)을 닫은 후, 안포폭약을 충진시킨다.
그로 인해, 상기 에멀젼계폭약이 충진공간부(111b)의 중앙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에멀젼계폭약 및 안포폭약이 발파용튜브관(110)의 폭약충진부(111)에 형성된 충진공간부(111b)에 충진되면, 발파용튜브관(110)의 상부에 형성된 상부연장부(115)측으로 다른 발파용튜브관의 하부연결부를 삽입시켜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서로 고정 연결된다.
즉, 상기 상부연장부(115) 내측으로 다른 발파용튜브관의 하부연결부를 삽입시켜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내주면에 형성된 상부연장부(115)의 내주면에 형성된 "ㅜ"자 형상의 결합돌기(115a)가 상기 다른 발파용튜브관의 하부연결부 외주면에 형성된 "┏"자 형상의 결합홈(117a)에 삽입되어 걸림되는 것에 의해 서로 고정 연결된다.
이때, 발파유도수단(13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일직선을 이루게된다.
상기와 같이 발파용튜브관(110)이 서로 고정 연결되면, 암반에 형성된 복수개의 발파공측으로 삽입시킨다.
이후, 외부에서 발파기(blasting machine)로 뇌관을 기폭하는 것에 의해 발파유도수단(130)이 형성된 방향으로 암반이 발파된다.
즉, 뇌관 기폭시 폭약이 폭발하게 되면, 걸림돌기(131a)와, 상기 걸림돌기(131a)가 삽입 걸림되는 걸림홈(133a)으로 구성된 발파유도수단(130)에 의해 연결된 발파용튜브관(110)의 절개된 부분으로 폭발력이 방출되면서 암반이 발파된다.
따라서, 폭발력이 분산되지 않고 발파용튜브관(110)의 절개된 부분으로 폭발력이 방출되므로 인해 적은 양의 폭약으로도 암반의 발파가 가능하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암반 발파용 폭약튜브관 110 ; 발파용튜브관
111 ; 폭약충진부 113 ; 에어저장부
115 ; 상부연장부 117 ; 하부연장부
130 ; 발파유도수단 150 ; 확개부

Claims (7)

  1. 암반 발파용 폭약튜브관은,
    내측 하단부는 막음판(111a)에 의해 막음되는 것에 의해 내부에 폭약을 충진시킬 수 있도록 충진공간부(111b)가 형성되어 구비되는 폭약충진부(111)와, 상기 폭약충진부(111)의 내측 상단부에 일체로 형성됨에 따른 다른 튜브관이 연결되는 것에 의해 공기가 저장가능하도록 상부가 개구된 공기저장편(113a)이 형성되고, 상기 공기저장편(113a)의 바닥면은 폭약을 상기 충진공간부(111b)로 충진시킬 수 있도록 충진용 홀(113b)이 천공되어 구비되는 에어저장부(113)와, 상기 에어저장부(113) 상부와 폭약충진부(111) 하부에 일방향으로 각각 돌출 연장되어 다른 튜브관과 결합되어 서로 연결가능하도록 상부 및 하부연장부(115,117)가 일체로 구성된 관 형상의 발파용튜브관(110)으로 형성되되,
    상기 발파용튜브관(110)의 외주면은 발파시 발파 방향을 유도가능하도록 길이방향으로 절개되어 발파유도수단(130)에 의해 개폐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발파유도수단(130)은, 발파용튜브관(110)의 외주면에 길이방향으로 절개된 것에 의해 형성된 한 쌍의 제1,2절개면(131,133) 중 상기 제1절개면(131)에는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 돌출된 걸림돌기(131a)가 형성되고, 상기 제2절개면(133)에는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상기 걸림돌기(131a)를 걸림시켜 결합가능하도록 걸림홈(133a)이 형성되어 구성되며,
    상기 걸림돌기(131a)의 일측과 타측에는, 상기 발파유도수단(130)에 의해 결합시 제2단턱부(133b)를 걸림시키는 것에 의해 제2절개면(133)이 발파용튜브관(110)의 외주면측으로 삽입되지 않도록 위치결정돌기(135)가 더 형성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반 발파용 폭약튜브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파유도수단(130)에 대향되는 발파용튜브관(110)의 내주면에는, 발파시 상기 발파유도수단(130)이 형성된 외주면측으로 먼저 개방이 이루어져 발파 방향을 유지시킬 수 있도록 소정 깊이로 길이방향으로 절개된 것에 의해 어느 한 쪽면은 단턱진 것에 의해 안착면(151)이 형성되고, 다른 한 쪽면은 상기 안착면(151)에 포개어지면서 덮을 수 있도록 단턱진 것에 의해 덮개용돌출면(153)이 형성된 확개부(150)가 더 형성되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반 발파용 폭약튜브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연장부(115)의 내주면에는,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ㅜ"자 형상의 결합돌기(115a)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하부연장부(117)의 외주면에는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다른 튜브관의 상부연장부의 내주면에 형성된 결합돌기를 수용하여 결합가능하도록 "┏"자 형상의 결합홈(117a)이 형성되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반 발파용 폭약튜브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폭약충진부(111)의 내주면에는 에멀젼계 폭약을 충진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폭약충진부(111)의 내부 중앙부에 위치도록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복수개의 위치고정용 돌기(111c)가 더 돌출 형성되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반 발파용 폭약튜브관.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절개면(131)과 제2절개면(133)은 상기 발파유도수단(130)의 걸림돌기(131a)와 걸림홈(133a)을 통하여 결합시 틈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여 폭약의 유출을 방지가능하도록 상기 발파용튜브관(110)의 외주면과 내주면으로 제1,2단턱부(131b,133b)가 더 형성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반 발파용 폭약튜브관.
  7. 삭제
KR1020190068560A 2019-06-11 2019-06-11 암반 발파용 폭약튜브관 KR1022436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8560A KR102243638B1 (ko) 2019-06-11 2019-06-11 암반 발파용 폭약튜브관
PCT/KR2020/007434 WO2020251235A2 (ko) 2019-06-11 2020-06-09 암반 발파용 폭약튜브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8560A KR102243638B1 (ko) 2019-06-11 2019-06-11 암반 발파용 폭약튜브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1707A KR20200141707A (ko) 2020-12-21
KR102243638B1 true KR102243638B1 (ko) 2021-04-23

Family

ID=737818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8560A KR102243638B1 (ko) 2019-06-11 2019-06-11 암반 발파용 폭약튜브관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243638B1 (ko)
WO (1) WO2020251235A2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8964B1 (ko) * 2021-06-21 2022-02-08 정석호 안포 전용 방수 케이스 및 이를 이용한 발파공법
KR102428469B1 (ko) * 2021-09-16 2022-08-03 김동철 에멀젼 폭약 마감캡 구조
KR102534634B1 (ko) 2022-01-04 2023-05-26 주식회사 려원이엔씨 암반 발파용 폭약튜브 및 이를 이용한 암반의 발파공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964142B (zh) * 2021-03-04 2022-08-26 浙江安盛爆破工程有限公司 一种边坡爆破方法
CN113340168B (zh) * 2021-05-28 2022-05-17 北京工业大学 一种拉杆式装药间隔器及其使用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3319B1 (ko) * 2010-02-10 2012-05-09 원화코퍼레이션 주식회사 암반파쇄를 위한 발파용 카트리지 조립체
KR101384820B1 (ko) * 2013-12-24 2014-04-15 이진성 에어갭을 구비한 폭약 튜브관 및 이를 이용한 암반 발파 공법
JP2014085085A (ja) * 2012-10-26 2014-05-12 Institute Of National Colleges Of Technology Japan 装薬物および装薬物の設置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277354A1 (en) * 2008-05-06 2009-11-12 Robert Vincent T Blasting air tube with sleeve, and method
CN104019708B (zh) * 2014-06-16 2015-08-26 葛洲坝易普力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现场混装乳化炸药装药工序的拔管辅助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3319B1 (ko) * 2010-02-10 2012-05-09 원화코퍼레이션 주식회사 암반파쇄를 위한 발파용 카트리지 조립체
JP2014085085A (ja) * 2012-10-26 2014-05-12 Institute Of National Colleges Of Technology Japan 装薬物および装薬物の設置方法
KR101384820B1 (ko) * 2013-12-24 2014-04-15 이진성 에어갭을 구비한 폭약 튜브관 및 이를 이용한 암반 발파 공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8964B1 (ko) * 2021-06-21 2022-02-08 정석호 안포 전용 방수 케이스 및 이를 이용한 발파공법
KR102428469B1 (ko) * 2021-09-16 2022-08-03 김동철 에멀젼 폭약 마감캡 구조
KR102534634B1 (ko) 2022-01-04 2023-05-26 주식회사 려원이엔씨 암반 발파용 폭약튜브 및 이를 이용한 암반의 발파공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251235A2 (ko) 2020-12-17
WO2020251235A3 (ko) 2021-04-22
KR20200141707A (ko) 2020-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43638B1 (ko) 암반 발파용 폭약튜브관
KR101384820B1 (ko) 에어갭을 구비한 폭약 튜브관 및 이를 이용한 암반 발파 공법
AP88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ed small-charge blasting of hard rock and concrete by explosive pressurisation of the bottom of a drill hole.
KR102162731B1 (ko) 지관을 이용한 친환경 장약 튜브관과 이를 포함하는 분산 장약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발파 공법
WO1997006402A9 (en) Controlled small-charge blasting by explosive
KR20010027924A (ko) 에어튜브를 이용한 암반발파 방법
KR101042719B1 (ko) 고속 암석 충진식의 공기층을 이용한 암반발파방법
KR102520476B1 (ko) 발파용 지관을 이용한 발파공법
KR102009967B1 (ko) 다중 다단 분산 장약기법을 이용한 장공 발파 공법
KR101885869B1 (ko) 쏘일 테크를 이용한 암반발파방법
US20200248994A1 (en) Anti-static, folding container for blasting operations, which can be partially compressed, and associated accessories
AU784685B2 (en) A method of blasting
JP2001050700A (ja) 爆薬装填装置及び装填方法
US20160231091A1 (en) Improved directional gas pressure device
KR102621202B1 (ko) 발파용 튜브
KR102504139B1 (ko) 외부 방향유도부가 구비된 장약홀더 및 이를 이용한 발파공법
AU785047B2 (en) Explosive casing
RU2778746C1 (ru) Складной антистатический контейнер для размещения взрывчатого вещества
KR101193923B1 (ko) 터널 번컷 분산장약공법
Cunningham Blasting for construction some critical aspects: construction and project management
MXPA9800101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ed explosion of small load of rock and concrete, by explosive pressurization of the fund of a perforated ho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