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58417B1 - 음성 메모 장치 - Google Patents

음성 메모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58417B1
KR100358417B1 KR1019990047313A KR19990047313A KR100358417B1 KR 100358417 B1 KR100358417 B1 KR 100358417B1 KR 1019990047313 A KR1019990047313 A KR 1019990047313A KR 19990047313 A KR19990047313 A KR 19990047313A KR 100358417 B1 KR100358417 B1 KR 1003584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ice
recording
buffer
stored
memo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73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39086A (ko
Inventor
변동환
Original Assignee
변동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변동환 filed Critical 변동환
Priority to KR10199900473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58417B1/ko
Publication of KR200100390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90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84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841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4Automatic arrangements for answering calls; Automatic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for absent subscribers; Arrangements for recording conversations
    • H04M1/65Recording arrangements for recording a message from the calling party
    • H04M1/656Recording arrangements for recording a message from the calling party for recording convers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2Analogue recording or reproduc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도체 메모리를 이용한 통신 기기 음성 메모 장치의 녹음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녹음 개시 버튼을 누르기 전에 발생된 음성을 녹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음성 메모 장치의 메모리 중 RAM(10) 메모리의 일부를 임시 저장 영역인 버퍼로 할당하고 플래시메모리(30)를 주 저장 메모리로 한다. 통화가 시작됨과 동시에 자동으로 작동되거나 또는 버튼에 의해 작동되는 녹음 대기 기능을 음성 메모 장치에 설치한다. 음성 메모 장치가 녹음 대기 상태로 설정되어 있으면, 마이크로 입력된 음성을 변환한 디지털 데이터는 일정 시간 분량의 음성 데이터가 저장되는 상기 버퍼에 연속하여 순환 저장된다. 녹음 개시 버튼의 누름이 감지되면 버퍼에 저장을 중단하고, 버퍼에 저장되어 있는 음성 데이터를 새로운 녹음이 저장될 플래시메모리(30)의 신규 녹음 시작 영역에 옮기고 이어서 현재의 녹음 데이터를 저장한다.
본 발명은 반도체 메모리를 이용한 통신 기기 음성 메모 장치의 음성 녹음에 사용될 뿐만 아니라 MP3와 같은 디지털 녹음기에도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음성 메모 장치{.}
본 발명은 반도체 메모리를 저장 장치로 하는 통신 기기 음성 메모 장치의 녹음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녹음 개시 버튼을 누르기 전에 발생된 음성을 저장하는 방법에 관련된 것이다.
도 2는 일반적인 통신 기기 음성 메모 장치에 대한 블록도로서, RAM(10), ROM(20), 플래시메모리(30), 키입력부(40), 제어부(50), 음성 분석 처리부(60), 음성 합성부(70), 마이크(80), 스피커(90) 및 액정표시부(15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제어부(50)는 통신 기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RAM(10)은 프로그램 수행 시 작업 공간과 녹음 개시 전 버퍼로 사용되며, ROM(20)은 통신 기기의 작동 및 녹음 기능을 제어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고, 플래시메모리(30)는 음향 데이터와 사용자에 의해서 입력되는 정보를 저장한다.
한편, 키 입력부(40)는 제어부(50)에 각종 지시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녹음 개시 버튼(100)등 다수의 키를 구비하고 있으며, 음성 분석 처리부(60)는 마이크(80)를 통해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수신하여 디지털화하고 제어부(50)를 통해 메모리로 전송하여 저장하며, 음성 합성부(70)는 제어부(50)에서 인가된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화하여 스피커(90)를 통해 음성으로 외부에 출력한다.
상술한 구성을 갖는 디지털 음성 메모 장치의 종래 녹음 방법은 여러단계의 선택 버튼을 조작하여 녹음 기능을 선택하거나 전용 녹음 개시 버튼(100)을 누르면 제어부(50)는 녹음 개시 후에 마이크(80)로부터 입력된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음성 분석 처리부(60)에서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여 플래시메모리(30)에 저장한다.
이러한 녹음 방식은 사용자가 녹음 개시 버튼을 누르고 기계가 작동하여 녹음이 시작되기까지 진행된 이전의 음성에 대해서는 녹음이 불가능하다.
즉 반복해서 청취할 수 없는 강연회나 통화의 경우에 기록해야 할 상황이라 판단한 순간의 이전 내용은 녹음할 수 없고 녹음장치가 작동된 이후의 내용이 녹음되게 된다. 따라서 저장하고자 한 강연회나 통화 내용의 앞부분은 녹음으로 청취할 수 없게 된다.
이런 상황을 피하기 위해서는 처음부터 계속 녹음을 하는 방법이 있지만 음성 메모 장치에서 적용하려면 많은 메모리가 필요하게 된다. 제한된 메모리를 갖는 장치에서는 이에 대한 보완 방법으로 녹음 못한 부분은 사용자가 요약 구술하여 녹음하기도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녹음 개시 버튼을 누르기 전에 발생된 음성과 녹음 개시 버튼을 누른 후에 발생된 음성을 연속하여 녹음하는 방법을 제공하여 녹음 개시 버튼 작동 전, 후의 녹음을 이어서 청취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도 1 은 본 특허의 실시 예에 따른 음성 입력 흐름도
도 2 는 일반적인 음성 메모 장치의 블럭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RAM 20 : ROM 30 : 플래시메모리 40 : 키 입력부 50 : 제어부
60 : 음성 분석 처리부 70 : 음성 합성부 80 : 마이크 90 : 스피커
100 : 녹음 개시 버튼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통신 기기 음성 메모 장치의 메모리 중 RAM메모리 일부를 임시 저장 영역인 버퍼로 할당하고 플래시메모리(30)를 주 저장 메모리로 한다. 이때 버퍼는 수초에서 수백초 분량의 음성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크기로 할당한다. 통화가 시작됨과 동시에 자동으로 작동되거나, 또는 버튼의 누름에 의해 작동되는 녹음 대기 기능을 음성 메모 장치에 설치한다. 음성 메모 장치가 녹음 대기 상태로 설정되어 있으면,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음성을 실시간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여 버퍼에 연속적으로 순환 저장한다. 녹음 개시 버튼의 누름이 감지되면 버퍼에 저장을 중단하고, 새로운 녹음이 저장될 플래시메모리(30)의 신규 녹음 시작 번지에 버퍼에 저장되어 있는 음성 데이터를 차례로 이동 저장하고 저장 마지막 번지와 논리적 또는 물리적으로 연결하여 녹음 개시 직후의 음성 데이터를 저장해 나간다. 이러한 방법으로 녹음 개시 전후의 음성이 연속적으로 녹음될 수 있도록 한다.일반적으로 통신 기기의 통화 중에는 상대방이 말하는 음성과 사용자가 말하는 음성은 디지털 데이터화하여 계속 처리하고 있으므로 RAM(10)에 음성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한다고 해서 전력 소모의 차이는 미미하다. 따라서 한정된 전원 용량을 갖는 배터리로 작동되는 휴대폰 등의 통화중 녹음에는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또한 강연을 녹음하는 경우, 불필요한 내용으로 판단되면 녹음을 정지하고 녹음 대기 상태로 유지하여 버퍼에 순환 녹음하고 있다가 필요한 내용이 시작되었다고 판단되어 녹음 개시 버튼을 누르면 음성 녹음 장치는 녹음 개시 전에 버퍼에 저장된 내용을 주 저장 메모리로 이동 저장하고 녹음 개시 후의 음성을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필요한 내용을 놓지지 않고 녹음하면서도 불필요한 부분은 저장하지 않을 수 있어 사용자가 여유있게 판단하고 녹음할 수 있으며 플래시메모리를 좀더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휴대폰의 음성 저장 방법을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일반적인 휴대폰은 RAM(10), ROM(20), 플래시메모리(30), 키입력부(40), 제어부(50), 음성 분석 처리부(60), 음성 합성부(70), 마이크(80), 스피커(90) 및 액정표시부(15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제어부(50)는 휴대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RAM(10)은 프로그램 수행 시 작업공간과 녹음 개시 전 버퍼로 사용되며, ROM(20)은 통신 기기의 작동 및 녹음 기능을 제어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고, 플래시메모리(30)는 디지털 음향 데이터와 사용자에 의해서 입력되는 정보를 저장한다.한편, 키 입력부(40)는 제어부(50)에 각종 지시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녹음 개시 버튼(100) 및 녹음 대기 버튼 등 다수의 키를 구비하고 있으며-통화 개시와 동시에 녹음 대기 상태로 작동되는 기기에 있어서는 녹음 대기 버튼이 없을 수도 있다 -, 음성 분석 처리부(60)는 마이크(80)를 통해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수신하여 디지털화하고 제어부(50)를 통해 메모리로 전송하여 저장하며, 음성합성부(70)는 제어부(50)에서 인가된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화하여 스피커(90)를 통해 음성으로 외부에 출력한다.
상기와 같은 통신 기기에 있어서 통화가 시작됐거나 사용자의 키 조작에 의해 녹음 대기 상태가 되면, 통신 기기의 음성 메모 장치는 마이크(80)로부터 입력된 음성을 음성 분석 처리부(60)를 거쳐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고, RAM(10)의 환버퍼 영역에 순차적으로 저장한다(S110 단계). 환버퍼에 저장할 때는 버퍼로 할당된 메모리의 처음 번지에서 시작하여 순차적으로 저장하고, 버퍼 메모리의 끝 번지에 도달하게 되면, 버퍼 메모리의 처음 번지로 돌아가 새 데이터를 순환저장을 한다. 환버퍼의 크기는 저장하는 음성의 품질과 설정되어 있는 녹음 대기 시간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보통 휴대폰에서 사용되는 음성의 품질로 저장하기 위해서는 초당 1 ∼ 1.8 키로 바이트의 버퍼가 필요하며, 녹음 대기 시간이 20초로 설정되어 있다면, 버퍼의 크기는 20 ∼ 36키로 바이트이다.
녹음 대기 상태에서 디지털 음성 데이터를 버퍼에 저장 중 녹음 개시 버튼(100)이 작동되었는가를 판단하여(S120 단계) 녹음 개시 버튼(100)이 작동되지 않았으면(S120 단계의 NO) 계속해서 버퍼에 디지털 음성 데이터를 저장한다. 또한 녹음 개시 버튼(100)이 작동되었으면(S120 단계의 YES) 버퍼에 저장된 디지털 음성 데이터를 플래시메모리(30)의 신규 녹음 시작 번지로 이동 저장한다(S130 단계).
녹음 개시 버튼이 눌러진 후에 입력되어 변환된 디지털 음성 데이터(S140 단계)는 버퍼에서 이동한 데이터가 저장된 플래시메모리(30)의 다음 번지부터 저장한다(S150 단계). 이와 같은 물리적 연결 방법이외에 각각의 저장 번지를 기억하고 재생시 연결하여 음성 합성을 하는 논리적 연결도 가능하다.상기와 같이 녹음이 진행 중에 녹음개시 버튼이 꺼졌는가를 판단하여(S160 단계) 켜졌으면(S160 단계의 NO) 계속 플래시메모리에 음성 데이터를 저장하고(S140, S150 단계), 녹음개시 버튼이 꺼졌으면(S160 단계의 YES) 저장을 종료한다.
녹음 개시 버튼이 꺼진 상태에서(S160 단계의 YES) 계속 통화 중 이거나 녹음 대기 설정이 계속되면(S170 단계의 NO) 다시 녹음 대기 상태로 들어가 버퍼에 음성입력을 계속한다(S100 단계). 통화가 종료되었거나 녹음 대기 설정이 해제되면(S170 단계의 YES) 녹음 대기 상태를 종료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녹음 버튼을 누르기 전에 녹음 대기 상태로 음성을 미리 녹음하고 있다가 녹음 버튼을 눌렀을 때 미리 녹음된 음성과 현재의 음성을 연결하여 저장함으로써 기존의 녹음 장치에서 할 수 없었던 녹음 개시 버튼을 누르기 전, 후의 음성을 연속하여 녹음할 수 있는 실용적인 음성 메모 기능을 제공한다.그 결과 녹음 개시 버튼 작동 전,후의 녹음을 이어서 청취할 수 있게 된다.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내에서 변형이나 변경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당업자에게는 명백한 것이며, 그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첨부한 청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Claims (1)

  1. 반도체 메모리를 이용한 통신 기기 음성 메모 장치의 음성 메모 방법에 있어서, 임시 저장 영역인 버퍼와 주 저장 영역인 비휘발성 메모리와 상기 통신 기기의 입력장치로부터 인가되는 음성신호를 디지탈신호로 변환시키는 음성 분석 처리부와 인가되는 디지탈신호를 아나로그신호로 변환시키는 음성 합성부를 구비하고, 통화가 개시되거나 녹음 대기 버튼이 눌러지면 음성 분석 처리부에서 출력된 음성 데이터를 버퍼에 연속적으로 저장하는 단계, 녹음 버튼이 눌러지면 상기 버퍼에 들어 있는 내용을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에 이동 저장하는 단계, 녹음 버튼을 누른 후에 발생한 음성 데이터는 상기 버퍼로부터 이동 저장된 음성 데이터에 이어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는 단계를 가져 녹음 버튼을 누른 전후의 음성을 연속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통신 기기 음성 메모 장치의 녹음 방법.
KR1019990047313A 1999-10-28 1999-10-28 음성 메모 장치 KR1003584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7313A KR100358417B1 (ko) 1999-10-28 1999-10-28 음성 메모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7313A KR100358417B1 (ko) 1999-10-28 1999-10-28 음성 메모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9086A KR20010039086A (ko) 2001-05-15
KR100358417B1 true KR100358417B1 (ko) 2002-10-25

Family

ID=196175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7313A KR100358417B1 (ko) 1999-10-28 1999-10-28 음성 메모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5841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06722A (zh) * 2018-07-10 2020-01-17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录音方法及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0080A (ko) * 2000-06-21 2002-01-04 서승현 통화 녹음 장치
KR20030012421A (ko) * 2001-07-31 2003-02-12 김문근 언어학습 기능이 있는 디지털 오디오 녹음/재생기
KR20020003312A (ko) * 2001-08-28 2002-01-12 (주)메이즈텍 디지털 녹음기 및 그 녹음방법
KR20030025461A (ko) * 2001-09-21 2003-03-29 주식회사 인터매직 음성/영상의 프리레코딩 방법
WO2004070963A1 (en) * 2003-02-04 2004-08-19 Dong-Hwan Byun Retroactive recoding method of voice record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06722A (zh) * 2018-07-10 2020-01-17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录音方法及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9086A (ko) 2001-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72361B1 (en) Radio telephone
US6185537B1 (en) Hands-free audio memo system and method
JP2006217646A (ja) 無線電話
JP2001333153A (ja) ゲーム機能付き携帯電話機における着信処理方法
KR100358417B1 (ko) 음성 메모 장치
JPH08181769A (ja) デジタル式電話機アンサーセット
JP2001236095A (ja) 音声記録装置
KR970002348B1 (ko) 휴대용 전화기의 통화내용 녹음 및 재생장치와 그 방법
KR100644437B1 (ko) 음악 자동 정지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음악 정지방법
JPH1152995A (ja) 音声再生装置
KR100247016B1 (ko) 이동무선전화기의 통화 메세지 메모장치 및 방법
KR20030043896A (ko) 음성 메모 장치의 소급 녹음 방법
JPH082074B2 (ja) 通話録音装置
WO2004070963A1 (en) Retroactive recoding method of voice recorder
JPH07123147A (ja) 留守番電話装置
KR19990085983A (ko) 전화단말장치에서 휴지통 기능 수행방법
JPH01270192A (ja) Icカード
JPH03283865A (ja) 電話音声記録装置
JPH08153074A (ja) 情報読み上げ方法及び携帯型電子情報処理装置
JP2000132187A (ja) 音声記録再生装置
JPS6218858A (ja) 留守番電話装置
JPS63299561A (ja) メツセ−ジ送出機能付電話装置
KR19990042592A (ko) 전화 및 녹음기능이 추가된 키보드의 제어방법
JPH07193623A (ja) 録音機能付き電話機
KR19990042591A (ko) 전화 및 녹음기능이 추가된 키보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