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56899B1 - 궤양성 대장염 및/또는 크론병 예방 및 치료제 - Google Patents

궤양성 대장염 및/또는 크론병 예방 및 치료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56899B1
KR100356899B1 KR1019997009214A KR19997009214A KR100356899B1 KR 100356899 B1 KR100356899 B1 KR 100356899B1 KR 1019997009214 A KR1019997009214 A KR 1019997009214A KR 19997009214 A KR19997009214 A KR 19997009214A KR 100356899 B1 KR100356899 B1 KR 1003568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ease
crohn
konagenin
group
administ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92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06136A (ko
Inventor
이시즈카마사아키
마에다켄지
타케우치토미오
시라이시타다요시
후쿠시마마사카즈
Original Assignee
다이호야쿠힌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자이단 호진 비세이부츠 카가쿠 켄큐카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호야쿠힌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자이단 호진 비세이부츠 카가쿠 켄큐카이 filed Critical 다이호야쿠힌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061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61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68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689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61K31/195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n amino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61K31/195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n amino group
    • A61K31/197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n amino group the amino and the carboxyl groups being attached to the same acyclic carbon chain, e.g. gamma-aminobutyric acid [GABA], beta-alanine, epsilon-aminocaproic acid or pantothenic acid
    • A61K31/198Alpha-amino acids, e.g. alanine or edetic acid [EDT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04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ulcers, gastritis or reflux esophagitis, e.g. antacids, inhibitors of acid secretion, mucosal protecta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Meat, Egg Or Seafood Products (AREA)
  • Soy Sauces And Products Related Thereto (AREA)
  • Saccharide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코나게닌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그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궤양성 대장염 및/또는 크론병 예방 및 치료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높은 치료 효과를 갖고, 또한 안전한 궤양성 대장염 및/또는 크론병 예방 및 치료제가 얻어진다.

Description

궤양성 대장염 및/또는 크론병 예방 및 치료제{PREVENTIVES AND REMEDIES FOR ULCEROUS COLITIS AND/OR CROHN'S DISEASE}
궤양성 대장염 및 크론병은 보건복지부의 특정 난치성 질환으로 지정되어 있으며, 그의 치료법으로서는 궤양성 대장염에 관하여는 살라조술파피리딘과 프레드니솔론을 증상에 따라 투약량을 증감하여 투여하는 것(일본국 후생성 특정질환·난치성 염증성 장관장해 조사연구반 1988년도 사업집 38페이지), 크론병에 관하여는 그의 활동기의 소장형 질환에서는 부신피질 호르몬, 대장형 질환에서는 살라조술파피리딘을 대량 투여하고, 그의 완화기에는 살라조술파피리딘의 상용량을 투여하는 것(일본국 후생성 특정질환·난치성 염증성 장관장해 조사연구반 1988년도 사업집 34페이지)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살라조술파피리딘에는 부작용의 빈도가 높고, 이로 인해 연용할 수 없는 환자(불내성 환자)의 문제가 있는 외에, 프레드니솔론에도 스테로이드의 부작용에 의해 연용이 곤란하다는 문제가 있다.
이 부작용을 경감하기 위해 개발된 것이 메살라진이지만, 부작용 발현율이 약간 저하되나 완전히 소실하지는 않는다. 또한 임상효과에는 큰 차이가 없어 문제를 충분히 해결했다고 하기 어렵다. 또한, 메살라진의 살라조술파피리딘을 대조약으로 한 이중 맹검 비교시험(Japanese Pharmacology & Therapeutics, 별책 vol. 22, pp S2555-S2583(1994))의 결과는 전반적 개선도는 메살라진에서 68.8%, 살라조술파피리딘 63.5%, 부작용 발현률이 메살라진에서 11.5%, 살라조술파피리딘에서 28.1% 이었다.
염증성 장질환의 원인에 대해서는 지금까지 불명확한 점이 많았다. 그러나, 환자의 환부 조직의 사이토카인 분석과 면역 담당세포에 의한 사이토카인 생산에 관련한 연구에 의해, IL-1α, TNF-α, IL-6 및 IL-8 등의 염증성 사이토카인이 병의 형태와 진행을 강하게 관여하고 있는 것이 시사되어 있고(Gastroenterology, vol. 106, pp 533-539(1992)), 염증성 장질환이 면역 담당세포로부터 이상하게 높은 수치로 생산되는 염증성 사이토카인에 의해 야기되는 조직장해로 보여지고 있다. 최근, 새로운 시험으로서, TNF-α키메라 항체투여(Gastroenterology, vol. 109, pp 129-135(1995)) 또는 IL-10 직장투여(Gastroenterology, vol. 108, pp 1434-1444(1995))에 의한 항사이토카인 요법이 시도되었으나, 이 요법은 치료가 간편하지 않고, 또한 코스트가 높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살라조술파피리딘 또는 스테로이드제의 치료에 따른 부작용의 문제가 극복되며, 또한 TNF-α키메라 항체요법과 IL-10의 직장요법시의 치료상 편리성의 문제와 치료 코스트의 문제가 해결되고, 또한 높은 치료효과를 갖는 궤양성 대장염 및/또는 크론병의 예방 및 치료제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궤양성 대장염 및/또는 크론병의 예방 및 치료에 유효한 의약품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실정을 감안하여 본 발명자들은 랫트를 사용한 ⅰ) 아세트산 유발 모델, ⅱ) 트리니트로벤젠술폰산 유발 모델 및 ⅲ) 덱스트란황산 유발 모델(Scand J Gastroenterol, vol. 27, pp 529-537(1992)) 등의 염증성 장질환 모델 등에 의해 여러 가지 약물에 대해 연구한 결과, 코나게닌이 궤양성 대장염 및 크론병의 예방·치료제로서 유용하다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즉, 본 발명은 코나게닌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그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궤양성 대장염 및/또는 크론병의 예방 및 치료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코나게닌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그의 염 및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함유하는 궤양성 대장염 및/또는 크론병의 예방 및 치료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궤양성 대장염 및/또는 크론병의 예방 및 치료제를 제조하기 위한 코나게닌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그의 염의 사용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코나게닌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그의 염의 유효량을 환자에 투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궤양성 대장염 및/또는 크론병의 처치방법에 관한 것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코나게닌은 다음 구조식으로 나타내어지는 화합물로서, 그 화학명은 (2S)N-[(2R,3S,4R)2,4-디히드록시-3-메틸-펜타노일]-2-메틸세린이다.
코나게닌은 공지 화합물로서, 물질과 제법에 관하여는 본 발명자들에 의해 일본국 특개평2-306953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으며, 또한 혈소판·백혈구 감소증의 치료 용도에 관하여는 일본국 특개평 5-229939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고, 암 화학치료제 및/또는 방사선 치료에 따른 부작용의 경감제로서의 용도에 관하여는 일본국 특개평6-65072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고, 설사 예방과 치료에 관한 용도에 관하여는 일본국 특개평8-165236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으나, 궤양성 대장염 및/또는 크론병에 대한 작용에 대해서는 전혀 알려진 바가 없다.
코나게닌의 염으로서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그의 카르복실기의 금속염, 특히 나트륨, 칼륨 등의 알카리 금속염, 칼슘, 마그네슘 등의 알카리토류금속염 또는 암모늄염 등을 들 수 있다.
코나게닌은 스트렙토미세스속에 속하는 코나게닌 생산균의 배양물에서 채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상기의 일본국 특개평2-306953호 공보에 기재된 제조법에 의해 얻을 수 있다.
코나게닌은 독성이 낮고, 예를 들면 랫트 급성독성 시험에 있어서, 경구, 피하, 복강내, 정맥내 어느 것의 투여 경로에서도 코나게닌의 LD50치는 500 mg/kg 이상이었다.
본 발명의 궤양성 대장염 및/또는 크론병의 예방 및 치료제는 코나겐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상용의 제제용 담체와 적정량 배합하여 의약 조성물로하여 제제화할 수 있다. 여기서 담체로서는 통상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각종의 것, 예를 들면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활택제, 착색제, 교미(矯味)제, 교취제, 계면활성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예방 및 치료제의 제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목적에 따라 적의 결정하면 좋으나, 구체적으로는 정제, 피복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세립제, 캡슐제, 액제, 현탁제, 유제 등의 경구제 및 주사제, 좌제, 연고제, 경고제, 첩부제, 에어졸제 등의 비경구제가 예시되며, 이들은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정제를 조제함에는 담체로서 예를 들면 락토스, 슈크로우즈, 염화나트륨, 글루코스, 요소, 전분, 탄산칼슘, 카오린, 결정셀룰로오스, 실리카산 등의 부형제; 단순 시럽, 글루코스 용액, 전분액, 젤라틴용액,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셀락, 메틸셀룰로오스, 인산칼륨 또는 폴리비닐피롤리돈 등의 결합제; 건조 전분, 알긴산나트륨, 한천분말, 라미나란 분말, 탄산수소나트륨, 탄산칼슘, 폴리옥시에틸렌소비탄지방산에스테르류, 라우릴황산나트륨, 스테아르산모노글리세라이드, 전분 또는 락토스 등의 붕해제; 슈크로우즈, 스테아르산, 카카오버터 또는 수소첨가유 등의 붕해 억제제; 제4급암모늄염, 라우릴황산나트륨 등의 흡수촉진제; 글리세린, 전분 등의 보습제; 전분, 락토스, 카오린, 벤토나이트 또는 콜로이드 실리카산 등의 흡착제; 정제 탈크, 스테아르산염, 붕소산 분말 또는 폴리에틸렌글리콜 등의 활택제 등을 사용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정제화 등을 행하면 좋다. 또한 정제는 필요에따라 통상의 제피를 실시한 정제, 예를 들면 당의정, 젤라틴, 피포정, 장용피정, 필름-코팅정, 이중정, 다층정 등으로 할 수 있다.
환제는 담체로서 예를 들면 글루코스, 락토스, 전분, 카카오버터, 경화식물유, 카오린, 탈크 등의 부형제, 아라비아 고무분말, 트라간트 분말, 젤라틴 등의 결합제, 라미나란, 한천 등의 붕해제 등을 사용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조제할 수 있다.
캡슐제는 통상의 방법에 따라 본 발명 화합물을 상기에서 예시한 각종의 담체와 혼합하여 경화 젤라틴 캡슐, 연질캡슐 등에 충진하여 조제된다.
또한, 본 발명의 유효성분에 교미제, 완충제, 안정화제, 교취제 등의 담체를 가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내복액제, 시럽제, 에릭실제 등의 경구용 액체 제제를 제조할 수 있다. 이 경우 교미제로서는 슈크로오즈, 오렌지 껍질, 시트르산, 타르타르산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완충제로서는 시트르산나트륨 등이, 안정화제로서는 트라간트, 아라비아고무, 젤라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주사제를 조제하는 경우, 액제, 유제 및 현탁제는 살균하는 것이 필요하며, 혈액과 등장인 것이 바람직하고, 조제에는 희석제로서 예를 들면 물, 에틸알코올, 맥크로골, 프로필렌글리콜, 에톡시화 이소스테아릴알코올, 폴리옥시화 이소스테아릴알코올 또는 폴리옥시에틸렌소비탄지방산에스테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 이 경우 등장성 용액을 조제함에 충분한 양의 식염, 글루코스 또는 글리세롤을 의약제제 중에 함유시켜 사용하여도 좋고, 또한 pH 조정제, 완충제, 안정화제, 국소마취제 등을 첨가하여도 좋다. 여기서 pH 조정제 및 완충제로서는 시트르산나트륨, 아세트산나트륨, 인산나트륨, 중탄산나트륨 등이, 안정화제로서는 피로아황산나트륨, 에틸렌디아민4아세트산, 티오글리콜산, 티오락트산 등을 들 수 있다. 국소마취제로서는 염산프로가인, 염산리도카인 등을 들 수 있다.
좌제는 본 발명의 유효성분에 기제, 또한 필요에 따라 계면활성제 등을 가한 후, 통상의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기제로서는 예를들면 라놀린, 카카오버터, 지방산트리글리세라이드, 위텝솔(다이나미트 노벨사제품) 등의 유성 기제나, 마크로골 등의 수용성 기제를 사용할 수 있다.
연고제는 본 발명 화합물에 통상사용되는 기제, 안정제, 습윤제, 보존제 등의 담체를 필요에 따라 배합하고 통상의 방법으로 혼합하여 제제화하면 좋다. 기제로서는 유동파라핀, 백색 바셀린, 표백 밀납, 옥틸도데실알코올, 파라핀 등을 들 수 있다. 보존제로서는 메틸 p-히드록시벤조에이트, 에틸 p-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 p-히드록시벤조에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첩부제를 제조하는 경우에는 통상의 지지체에 전기 연고, 페이스트, 크림, 겔 등을 통상의 방법으로 도포하면 좋다. 지지체로서는 면, 레이온, 화학섬유로 된 직포, 부직포 또는 연질염화비닐, 폴리에틸렌, 폴리우레탄 등의 필름 또는 발포체 시트가 적당하다.
또한, 상기 각 제제에는 필요에 따라 착색제, 보존제, 향료, 풍미제, 감미제 등이나 기타 의약품을 함유시켜도 좋다.
본 발명의 의약제제 중에 함유하는 코나게닌 또는 그의 염의 양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광범위하게 선택되지만, 통상 의약제제 중 0.2∼90 중량%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의약제제의 투여방법은 특별히 제한은 없으며, 각종 제제형태, 환자의 연령, 성별, 그외 조건, 질환의 정도 등에 따라 적의 결정하면 좋다. 예를 들면 정제, 환제, 과립제, 캡슐제, 액제, 현탁제, 유제는 경구 투여되어진다. 주사제는 단독으로 또는 글루코스, 아미노산 등의 통상의 보액과 혼합하여 정맥내 투여되고, 또한 필요에 따라 단독으로 근육내, 피부내, 피하 또는 복강내 투여된다. 좌제는 직장내 투여된다. 연고제는 피부, 구강내 점막 등에 도포된다.
또한, 코나게닌의 투여량은 환자의 증상, 체중, 연령, 성별, 그외 조건 등에 따라 적의 선택되지만, 통상 성인 1일당, 비경구 투여의 경우 코나게닌으로서 약 0.1 mg∼5 g, 경구투여의 경우 0.5 mg∼5 g 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것을 1일 1회 또는 2∼4회 정도로 나누어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다음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시험예 1 랫트의 아세트산 유발 궤양모델에 대한 효과
6주령 돈류(Donryu): CRJ계 수컷 랫트(1군 9마리)를 24시간 절식한 후, 에테르 마취하에서 개복하여 결장을 결찰한 후, 25G의 주사바늘을 장착한 주사기로 10% 아세트산 수용액 2 ㎖를 소화관강 내에 주입한 후, 3 ㎖의 공기를 다시 주입하여 아세트산 용액을 배출한 후, 술창(術創)을 봉합·폐쇄하여 병태 모델을 작성하였다. 코나게닌을 50 ㎎/kg으로 모델 작성 24시간 전, 처치직 후에 정맥 내 투여하여 24시간 후에 도살하고, 결장 및 직장을 적출하였다. 이들의 장기의 항문 위 10㎝를 절개하여 내용물을 제거 후, 중량을 측정하면서 육안으로 점막장해의 정도를 관찰하였다. 조직의 장해도의 평가로서는 '가벼움', '중간' 및 '심각함'을 사용하였다. 표 1에 그의 결과를 나타낸다.
랫트의 아세트산 유발궤양모델에서의 장염증에 대한 코나게닌의 억제효과
염증의 정도 대조군 코나게닌 투여군
가벼움(1) 중간(2) 심각함(3) 가벼움(1) 중간(2) 심각함(3)
동물의 개체수 1 5 3 5 3 1
염증의 정도 평균±SD 2.38±0.67 1.50±0.73
표 1로부터 대조군(생리식염수 투여군)에 비교하여 코나게닌 투여군에서 아세트산 투여에 의해 발생한 염증성 궤양에 대한 높은 억제효과를 나타내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시험예 2 트리니트로벤젠술폰산으로 유발한 궤양 모델에 대한 효과
6주령 위스터계 수컷 랫트(1군 7마리)를 48시간 절식한 후, 펜토바르비탈 마취하에서, 항문을 통해 카테테르를 8 ㎝ 삽입하여 2,4,6-트리니트로벤젠술폰산을 50% 에탄올에 80 ㎎/㎖로 용해한 것의 0.25 ㎖를 주입한 후, 항문을 약 10분간 막고, 그 후 방치하여 병태모델을 작성하였다.
코나게닌을 50 ㎎/kg 정맥 내 투여하였다. 대조약으로서 사라조술파피리딘 300 ㎎/kg을 경구 투여하였다. 이들 피험약의 투약은 2,4,6-트리니트로벤젠술폰산 투여의 전날로부터 투여후 4일째 걸쳐 매일 행하고, 5일째에 도살하여 직장(8 ㎝)의 습중량 변화와 병리학적 소견에 따는 판정을 하였다.
조직의 장해도 평가로서는 '변화없음', '가벼움', '중간', '심각함'을 사용하였다. 결과를 표 2 및 표 3에 나타낸다.
트리니트로벤젠술폰산(TNBS) 유발 랫트 대장염 모델에서의 염증변화(대장 중량의 팽대화)에 대한 코나게닌의 억제효과
투여군 대장습중량(g) 습중량변화률(%)/대 무처치군
무처치군 1.571±0.161 100
TNBS와 생리식염수를 투여한 군 1.723±0.167 110
TNBS와 코나게닌을 투여한 군 1.572±0.099 100
TNBS와 살라조술파피리딘을 투여한 군 1.641±0.140 104
트리니트로벤젠술폰산(TNBS) 유발 랫트 대장염 모델에서의 장관의 염증성 병리변화에 대한 코나게닌의 억제 효과
투여군 무처치군 TNBS+식염수 투여군
정도 변화없음 가벼움 중간 심각함 변화없음 가벼움 중간 심각함
결장의 병리소견·궤양형성의 소견·심화도의 소견점막고유층에 대해점막하조직에 대해근육층에 대해·염증성 변화 77777 33373 22 242 22
투여군 TNBS+코나게닌투여군 TNBS+살라조술파피리딘 투여군
정도 변화없음 가벼움 중간 심각함 변화없음 가벼움 중간 심각함
결장의 병리소견·궤양형성의 소견·심화도의 소견점막고유층에 대해점막하조직에 대해근육층에 대해·염증성 변화 55776 221 33574 2222 221
표 중의 숫자는 전부 동물(랫트)의 마리수를 나타낸다.
염증변화의 크기와 상관하는 대장 습중량 변화(표 2)에 관하여, 대조군(생리식염수 투여군)은 10% 증가한 것에 대해, 대조약으로서 사용한 살라조술파피리딘군에서는 4% 증가하였다. 코나게닌 투여군에서는 증가가 전혀 관찰되지 않았다.
병리적 소견(표 3)에 관하여는, 궤양의 심화도가 생리식염수군과, 살라조술파피리딘군에서 점막 고유층과 점막하조직에 관한 병리소견 판정에서 '중간'이었던 것에 대해, 코나게닌 투여군에서는 '가벼움'이었다. 즉, 코나게닌의 효과가 확인되었다. 병 변화 단계에 대해서도 생리식염수군, 살라조술파피리딘군에서는 아급성 단계에 도달한 것이 4마리였던 것에 대해, 코나게닌 투여군에서는 2마리에 그쳤다. 염증성 변화에 관하여도 코나게닌 투여군에서는 거의 동일하게 양호한 결과가 얻어졌다.
이상의 결과에 의해, 코나게닌은 대조약의 살라조술파피리딘과 비교해 현저히 치료효과가 있는 것이 판명되었다.
시험예 3 단회 투여 독성실험
코나게닌 500 ㎎/kg을 쥐 및 랫트에 정맥, 복강내, 피하, 경구에 단회 투여하여 독성을 조사하였다. 결과를 표 4에 나타낸다.
코나게닌의 단회투여 독성실험 결과
동물 투여경로 LD50(㎎/kg)
랫트 정맥복강내피하경구 500500500500
정맥 500
투약한 쥐, 랫트의 어떠한 것도 사망하지 않았고, 또한 일반 증상의 이상 소견도 관찰되지 않았다. 이상에 의해 코나게닌은 단회투여에 있어서 안전한 약제임이 확인되었다.
시험예 4 반복투여 독성 시험
6주령 위스터계 수컷 랫트(1군 3마리)의 복강내에 코나게닌 100 ㎎/kg을 3개월간 반복투여하고, 생리식염수 투여군을 대조로서 독성을 평가하였다. 일반 증상, 요검사, 혈액검사, 혈액 생화학 검사, 부검, 장기 중량, 병리검사에 대해 시험하였다. 결과를 표 5에 나타낸다.
코나게닌의 랫트로의 복강내 투여에 의한 3개월간 반복투여 독성시험 결과
투여군검사항목 생리식염수 투여(대조)군 코나게닌 투여군
사망일반상태혈액학적 검사혈액 생화학적 검사요검사병리학적 검사 없음정상정상정상정상정상 없음대조군과 비교해 큰변화없음대조군과 비교해 큰변화없음대조군과 비교해 큰변화없음대조군과 비교해 큰변화없음대조군과 비교해 큰변화없음
검사항목의 판정법에 대해서는 '독성시험법 가이드라인'에 따랐다.
조사한 전체 항목의 일반 증상, 요검사, 혈액검사, 혈액 생화학검사, 부검, 장기 중량, 병리검사에 관하여, 코나게닌 투여군에서는 대조의 생리식염수 투여군과 비교하여 유의한 변화를 거의 관찰되지 않았다. 즉, 코나게닌은 장기간 연속투여에 있어서도 극히 높은 안전성을 나타내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살라조술파피리딘과 비교하여 안전성 면에서 우수하다고 여겨지는 메살라진은 랫트의 13주 연속투여 독성시험의 결과, 약효 용량에 가까운 용량의 200,400 ㎎/kg에서 사망예, 빈사예 등이 관찰되고 있는(Oyo Yakuri(pharmacometrics), vol. 48, pp 277-278(1994)) 것에 대해, 코나게닌에서는 약효용량의 100 ㎎/kg에서는 랫트의 3개월 반복투여 독성시험에 있어서 독성 발현이 거의 관찰되지 않았다. 즉, 코나게닌은 기존의 약제와 비교해 훨씬 높은 안전성을 갖는 것이 판명되었다.
실시예 1 정제
코네게닌 300 ㎎
전분 112 ㎎
스테아린산마그네슘 18 ㎎
락토스 45 ㎎
1정당 475 ㎎
상기 배합 조성으로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정제를 조제하였다.
실시예 2 주사제
코나게닌 50 ㎎
주사용 증류수 적량
1바이알(사용시 용해)중 5 ㎖상기 배합 조성으로 통상의 방법에 따라 주사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좌제
코나게닌 300 ㎎
위텝솔 W-35(등록상표, 1400 ㎎
Dynamite Nobel사 제품)
1개당 1,700 ㎎
상기 배합 조성으로 통상의 방법에 따라 좌제를 조제하였다.
본 발명의 궤양성 대장염 및/또는 크론병의 예방 및 치료제는 종래 제품에 비해 높은 치료 효과를 가지며, 또한 부작용이 적고, 매우 안정성이 높다.

Claims (4)

  1. 코나게닌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그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궤양성 대장염 또는 크론병의 예방 및 치료제.
  2. 코나게닌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그의 염 및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함유하는 궤양성 대장염 또는 크론병의 예방 및 치료제 조성물.
  3. (삭제)
  4. (삭제)
KR1019997009214A 1997-04-09 1998-04-08 궤양성 대장염 및/또는 크론병 예방 및 치료제 KR1003568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090688 1997-04-09
JP9068897 1997-04-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6136A KR20010006136A (ko) 2001-01-26
KR100356899B1 true KR100356899B1 (ko) 2002-10-31

Family

ID=140054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9214A KR100356899B1 (ko) 1997-04-09 1998-04-08 궤양성 대장염 및/또는 크론병 예방 및 치료제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6160017A (ko)
EP (1) EP0987022B1 (ko)
JP (1) JP4019158B2 (ko)
KR (1) KR100356899B1 (ko)
AT (1) ATE316373T1 (ko)
AU (1) AU727289B2 (ko)
CA (1) CA2288966C (ko)
DE (1) DE69833317D1 (ko)
HU (1) HUP0000716A3 (ko)
NO (1) NO994930L (ko)
WO (1) WO199804491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253794A1 (en) * 2005-07-22 2009-10-08 Jun Tomono Fibroblast Activator, Collagen Production Promoter, Collagen Contraction Promoter, Hyaluronic Acid Production Promoter, ATP Production Promoter, Melanin Formation Inhibitor, and Agent for External Application to the Skin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78397B2 (ja) * 1994-10-14 2008-04-23 財団法人微生物化学研究会 下痢の予防及び治療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987022B1 (en) 2006-01-25
AU6746898A (en) 1998-10-30
JP4019158B2 (ja) 2007-12-12
EP0987022A4 (en) 2004-03-31
CA2288966A1 (en) 1998-10-15
ATE316373T1 (de) 2006-02-15
HUP0000716A3 (en) 2000-10-30
DE69833317D1 (de) 2006-04-13
EP0987022A1 (en) 2000-03-22
KR20010006136A (ko) 2001-01-26
HUP0000716A2 (hu) 2000-09-28
NO994930L (no) 1999-12-08
US6160017A (en) 2000-12-12
NO994930D0 (no) 1999-10-08
CA2288966C (en) 2004-03-16
AU727289B2 (en) 2000-12-07
WO1998044916A1 (fr) 1998-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26282B2 (en) Phenoxyalkylcarboxylic acid derivatives in the treatment of irritable bowel syndrome
CA2139851A1 (en) Method of treating hyperproliferative vascular disease
JPH02202817A (ja) ビス(3,5―ジー第三ブチル―4―ヒドロキシフェニルチオ)メタンの血液コレステロール低下及び抗アテローム性動脈硬化症剤としての用途
JP3041232B2 (ja) 癌転移抑制剤
FR2482093A1 (fr) Nouveaux derives d'ocytocine et compositions pharmaceutiques contenant ces derives
JP4033936B2 (ja) 一酸化窒素産生抑制剤
JPS5841821A (ja) 最少化された胃の損傷を示す抗炎症組成物
JP2010506908A (ja) グルコサミンまたはグルコサミン誘導体を含むアトピー性皮膚炎治療用組成物およびこれらを使用しアトピー性皮膚炎を治療する方法
EP0612733B1 (en) Use of 5-amino-Phthaloylhydrazide as Anti-Hypoxic and defensive Agent
CA2139209A1 (en) Therapeutic agent for hemorrhoidal diseases
KR100207356B1 (ko) 암 전이 억제제
KR100356899B1 (ko) 궤양성 대장염 및/또는 크론병 예방 및 치료제
JP4635339B2 (ja) 心拡張障害治療剤
JPH1017478A (ja) 潰瘍性大腸炎の予防又は治療剤
Su Cell protection mechanism of antishock action of anisodamine
WO1998009628A1 (en) Methods for inhibiting cardiac fibroblast growth and cardiac fibrosis
US3852454A (en) Treatment of rheumatoid arthritis
IE903914A1 (en) Pyrimidine biosynthesis inhibitors useful as¹immunosuppressive agents
JPH0381219A (ja) 胃粘膜障害治療剤
JPS6248622A (ja) 癌転移抑制剤
JP2893903B2 (ja) 虚血―再灌流障害予防、治療剤
JP2665564B2 (ja) 細胞防護剤
EP0559728A1 (en) Aromatic aldehydes and derivatives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thereof useful for the treatment of skin diseases and arthritis
JP2834507B2 (ja) 芳香族誘導体を活性成分とする疾患治療剤
JPH11302178A (ja) 脂肪肝予防及び治療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91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