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55355B1 - 탈취방법과탈취장치 - Google Patents

탈취방법과탈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55355B1
KR100355355B1 KR1019950036736A KR19950036736A KR100355355B1 KR 100355355 B1 KR100355355 B1 KR 100355355B1 KR 1019950036736 A KR1019950036736 A KR 1019950036736A KR 19950036736 A KR19950036736 A KR 19950036736A KR 100355355 B1 KR100355355 B1 KR 1003553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st
air
aqueous solution
tank
deodoriz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367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0953A (ko
Inventor
미하라야수노리
Original Assignee
윤효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효숙 filed Critical 윤효숙
Publication of KR9600309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09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53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535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including air-liquid contact proces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61L9/12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 A61L9/122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comprising a fa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7/00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 B05B17/04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operating with special methods
    • B05B17/06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operating with special methods using ultrasonic or other kinds of vibrations
    • B05B17/0607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operating with special methods using ultrasonic or other kinds of vibrations generated by electrical means, e.g. piezoelectric transduc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1Apparatus for controlling air treatment
    • A61L2209/111Sensor means, e.g. motion, brightness, scent, contaminant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3Dispensing or storing means for active compounds
    • A61L2209/132Piezo or ultrasonic elements for dispens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20Method-related aspects
    • A61L2209/21Use of chemical compounds for treating air or the like
    • A61L2209/211Use of hydrogen peroxide, liquid and vaporou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Special Spraying Apparatus (AREA)

Abstract

의복이나 분위기 등의 탈취를 손쉽고도 안전하게 실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식물액스 혼합탈취액(상품명 F118)으로 대표되는 탈취제 수용액을 초음파발진으로 무화시키고, 3미크론 이하의 초미립자미스트, 바람직하게는 1미크론 이하의 초미립자미스트를 선택해서 공기류와 함께 탈취해야 할 분위기 속에 분사시킨다. 무화미스트를 합류시킨 공기류를 하부 쪽을 향해서 배치된 초미립자 선택플레이트에 부딪치게 하면 3미크론을 초과한 조립자 무화미스트를 자체의 무게에 의해 낙하시킬 수 있다. 무화미스트를 상부 쪽을 횡단하는 공기류로 흡인하면, 1미크론 이하의 극초미립자 미스트만을 공기류에 합류시킬 수 있다. 분위기 내의 미스트농도는 5∼15㎖/㎥가 바람직하다.

Description

탈취방법과 탈취 장치
본 발명은, 탈취방법과 탈취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탈취액의 초미립자 미스트욕(浴)에 의해서 의복이나, 실내에 끈끈하게 달라붙이지 않고, 분해탈취하도록 한 방법과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병원, 유기오락장, 불고기점 등에 있어서 의복에 침투된 냄새나, 실내의 악취를 탈취할 필요가 있는 곳은 많다. 그러나, 현재의 탈취방법에는, 의복이나 실내에 방향제를 살포하는 방법과, 의복이나 실내에 오존공기류를 살포하는 방법 등이 있지만, 전자는 발취성분이 그냥 그대로 잔류하기 때문에 탈취효과는 작고, 후자는 충분히 탈취할 수 있는 농도는 인체에 악영향을 준다. 그래서, 종래의 탈취방법 대신에, 손쉽고 안전하게 의복의 탈취를 할 수 있는 방법과 그 장치가 요망되고 있다.
본 발명자는 탈취방법에 대해서 여러가지 검토한 바, 식물액스를 118종을 혼합한 상품명 F118의 100∼500배 희석이라고 하는 극히 엷은 농도의 수용액을 사용하여 약 3미크론 정도 이하의 초미립자로 미스트(mist)화 해서 5∼15㎖/㎥의 미스트를 함유하는 탈취공간을 형성하면, 삼림욕(森林浴)을 받고 있는 시원하고도 상쾌한 방향성분이 있을 뿐아니라, 악취성분이 신속하게 분해되어서 탈취시키는 효과가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은, F118로 대표되는 식물액스 혼합탈취제의 희석액을 사용해서 의복이나 방 등을 손쉽고도 안전하게 탈취할 수 있도록 한 탈취방법과 탈취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그래서, 본 발명에 의한 탈취방법은, 분위기 속의 발취성분을 분해탈취하는 방법으로, 발취성분을 분해 탈취할 수 있는 식물액스 혼합탈취제의 수용액을 초음파발진에 의해 미스트로 무화(霧化)시켜서 무화미스트로부터 3미크론 이하의 초미립자미스트를 선택해서 공기류와 함께, 탈취해야 할 분위기 속에 살포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초음파발진에 의한 무화미스트를 그냥 그대로 탈취해야할 분위기에 살포했을 경우, 분위기의 습도나, 기온 등의 조건에 따라서는 조립자(粗粒予)미스트가 피부나 의복 혹은, 벽면에 부착하여 끈끈하게 달라붙으므로 3미크론 이하의 초미립자미스트를 공기류와 함께 분위기에 살포하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초음파발진에 의해서 3미크론 이하의 초미립자를 직접 무화시키는 방법도 고려할 수 있지만, 그 경우에는 무화조(霧化槽)의 액면변동에 기인되는 입자지름의 분산(dispersion) 등도 있어서 초음파발진의 제어가 대단히 번잡하게 된다. 그래서, 초음파발진으로 소정의 입경, 예를 들면 4∼5미크론 정도의 미립자로 무화시켜서 무화미스트로부터 3미크론이하의 초미립자미스트를 선택하도록 하고 있다.
미립자미스트의 선택은, 초음파발진에 의한 무화미스트를 실은 공기류를 하부쪽으로 향해서 배치된 미립자선택플레이트에 대어서 3미크론을 넘는 조미립자 무화미스트를 자기무게에 의해 낙하시켜서 공기류로부터 제거하도록 해도 되고, 또, 초음파발진에 의한 무화미스트를 적당한 유속의 공기류에 의해 흡인하고, 조미립자미스트는 자기무게에 의해 공기류에 도달시키지 않고, 1미크론 이하의 극초미립자 미스트만을 공기류에 싣도록 해도 된다.
의복 등에 부착한 발취성분을 분해탈취시킬 경우, 공기류에 실은 3미크론 이하의 초미립자미스트를 에어커튼으로 출입구를 차단된 분위기의 상부쪽으로부터 분사시켜서 분위기내에서 미스트욕을 받도록 하는 것이 좋다. 이 경우, 미스트욕을 받고 있는 것을 실감할 수 있도록 2∼3미크론의 초미립자가 바람직하다.
식물액스혼합탈취액(상품명 F118)을 희석수로 100∼500배로 희석한 탈취제 수용액을 사용할 경우, 분위기내의 미스트농도를 5∼15㎖/㎥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에 관한 탈취장치는 출입구가 에어커튼으로 차단되고, 옷을 입은 인간이 기립할 수 있는 치수를 보유하는 처리실과, 탈취제 수용액을 저류시키는 저류조와, 저류조의 탈취제 수용액이 펌프수단에 의해 공급되는 동시에 공급된 탈취제 수용액을 초음파발진에 의해서 무화시키는 무화조와 한쪽 끝이 무화조의 소정액면에, 그리고 다른 한쪽 끝이 저류조에 연통되고, 무화조의 오우버플로우 탈취제 수용액을 저류조에 환류시켜서 무화조를 소정액면으로 유지시키는 오우버플로우관과, 송풍기로부터 공급되는 소정의 공기류를 초음파발진에 의해서 무화되는 무화조의 주요액면을 향해서 안내하며, 무화조로부터 무화되어서 비산하는 미스트를 실질적으로 응집시키는 일 없이 공기류에 실은 혼합조와, 처리실의 천정부 또는 그 근방에 개구하여서 혼합조와 연통하여 미스트공기류를 처리실로 상부쪽으로부터 공급하는 배출구와, 처리실내의 인간을 검지해서 펌프수단, 초음파발진기, 시로코팬과 에어커튼의 형성수단을 작동시키는 제어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초음파발진에 의한 무화미스트로부터 3미크론 이하의 초미립자미스트를 선택할 경우, 혼합조내에 초미립자선택플레이트를 상하방향의 소정높이로 무화조의 주요액면으로 대면하여 공기류의 흐름을 규제하도록 설치하고, 무화미스트가 합류된 공기류를 초미립자선택플레이트에 대어서 3미크론을 초과한 조미립자를 자기 무게에 의해 낙하시켜서 공기류로부터 제거하여 미립자미스트를 선택하는 것이 좋다.
또, 본 발명에 관한 탈취장치는, 상부쪽 부분에 공기배출구를 보유하는 하우징과, 하우징내에 수납되어서 탈취제 수용액을 저류하여, 하단에 탈취제 수용액의 공급구를 보유하는 밀폐구조의 저류조와, 하우징내의 하부쪽에 수납되고, 저류조의 공급구가 소정액면의 높이로 배치되어서 저류조로부터 탈취제 수용액이 소정액면으로 자연공급되며, 공급된 탈취제 수용액을 초음파발진에 의해서 무화시키는 무화조와, 하우징내의 공기배출구의 배후에 설치되어서 공기배출구로 향해서 공기를 송급하는 송풍기와, 하우징내에 설치되어서, 무화조의 주요액면과 공기배출구에 연통하며, 무화조로부터 무화비산하는 미스트를 송풍기의 공기류로 흡인시켜서 실질적으로 응집시키는 일 없이 1미크론 이하의 극초미립자미스트를 공기류에 합류시키는 가이드조(槽)와, 초음파발진기와 송풍기를 작동시키는 제어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초음파발진에 의한 무화미스트는, 송풍기로부터의 공기류에 의해서 1미크론 이하의 극초미립자 미스트 만이가 흡인되어서 공기류에 합류되지만 희석액의 액면으로부터의 비말(飛洙)이 상부쪽까지 비산하면, 비말이 공기류에 합류되어버릴 우려가 있다. 그래서, 가이드실의 둘레벽을 상부쪽으로 향해서 조단면적을 감소시키도록 경사시켜서 비말은 둘레벽을 부딪치게 하여 자기무게에 의해 낙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탈취제로서 F118을 사용할 경우, 시판되고 있는 것을 100∼500배로 희석시키면, 삼림욕(森林浴)의 방향을 발생시킨다. 그 뿐아니라, 그 미스트론 3미크론 이하, 바람직하게는 1미크론 이하로 하면, 5∼15㎖/㎥의 농도로 의복의 발취성분이나, 실내의 발취성분을 신속하게 분해시킨다. 그 분해속도는 30초 전후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농도의 미스트론 기류에 합류시켜서 탈취해야할 분위기에 투입하면, 삼림욕을 흠뻑 쬐어받으면서 손쉽게 의복이나 분위기내의 탈취를 할 수가 있다.
탈취제 수용액을 미스트화하여 5∼15㎖/㎥의 농도인 미스트공기류를 형성하려면 탈취제 수용액을 초음파발진에 의해 무화시키고, 무화미스트를 공기류에 합류 또는 공기류에 흡인시켜서 공기류에 합류시킨다. 무화미스트가 3미크론을 초과하는조립자미스트를 포함하는 경우, 분위기내의 습도나 온도 등에 의해서, 피부, 의복, 분위기의 벽면 등에 부착되어서 끈끈하게 달라붙기가 쉬운데, 3미크론 이하의 초미립자미스트, 바람직하게는 1미크론 이하의 극초미립자 미스트를 선택해서 공기류에 합류시키면 무화미스트가 합류된 공기류 자체도 건조된 느낌을 부여하고, 또한 피부, 의복, 분위기의 벽면에 끈끈하게 달라붙는 일이 없다.
청구항7기재의 탈취장치에서는, 처리실의 출입구가 에어커튼으로 차단되기 때문에 해방감을 부여하고, 또한 처리실에 충만된 미스트가 외기로부터 차단되므로 처리효율이 우수하다. 처리실내에 인간이 들어가고, 이것이 검지되면, 제어장치에 의해 펌프수단, 초음파발진기, 송풍기 및 에어커튼의 형성수단이 작동되어서 초음파발진에 의한 탈취제 수용액의 무화, 무화미스트의 공기류에의 합류와, 소정농도의 미스트공기류의 처리실에의 공급 등, 필요한 동작이 실시되어서 손쉽게 의복탈취를 위한 미스트욕을 받을 수가 있다. 제어장치는, 적외선 등의 빛검지수단을 구비하여, 처리실내의 인간의 출입을 검지해서, 상기한 동작을 실시하게 하는 동시에 필요한 처리시간, 그 동작을 유지시키고, 소정시간이 경과하면 정지시킨다.
청구항9기재의 탈취장치에서는, 저류조의 공급구로부터 무화조에 탈취제 수용액이 자연공급되어서, 무화조가 소정액면으로 유지되어 있으며 제어장치에 의해 송풍기 및 초음파발진기가 작동되면, 공기분출구로 향해서 공기가 공급되는 한편, 무화조의 탈취제 수용액이 초음파발진에 의해 무화되고, 무화미스트중에서 초미립자미스트만이가 송풍기로부터의 공기류에 의해 흡인되어서 공기류에 합류되고, 공기배출구로부터 분위기에 배출되어서 미스트욕분위기가 형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단시간으로 간단하게 탈취가 가능할 뿐아니라, F118의 초미립자가 악취성분만을 분해해서 탈취하기 때문에 신체나 의복, 분위기내에는 그냥 그대로 시원하고 상쾌하게 되고, 삼림욕을 흠뻑쬐어받은 신선한 기분이 된다. 그 결과, 약품냄새 등의 병원특유의 악취, 공장 등의 작업속의 냄새, 유기장의 담배냄새 등을 간단하게 지을 수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 도면에 표시하는 구체적 예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탈취장치의 전체를 가리키는 사시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처리실을 구성하는 부우스(1)는 한사람의 인간이 설 수 있는 치수를 보유하는 대략 원통형을 하고, 전방에는 출입구(11)가 형성되어 있다. 출입구(11)의 천정부에는 에어커튼(13)을 위한 공기류를 공급하는 송풍기(에어커튼의 형성수단)가 내장되고, 원호형상을 한 슬릿(12)으로부터 하부쪽으로 공기가 배출되어서 에어커튼(13)이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부우스(1)의 내부전면에는 스모크미러(14)가 설치되고, 그 상부에는 F118 희석액 미스트가 공기류에 합류되어 배출되는 배출구(15)가 형성되어 있다.
부우스(1) 내의 하부쪽에는 약쪽으로 개폐하는 문(16)이 설치되고, 내부에는 광센서(도면에서의 표시는 생략)의 신호를 받아서 작동하는 미스트공기류의 분출기구가 내장되어 있다. 이 미스트공기류의 분출기구는 제2도에 표시하듯이 구성되어 있다. 즉, 저류조(2) 내에는 F118을 소정의 희석율로 희석한 액(탈취제 수용액)이 저류되어 있고, 저류조(2)의 희석액은, 펌프수단(3)에 의해 액공급호오스(31)를 경유하여 상부쪽에 위치하는 무화조(4)에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무화조(4)의 소정액면에는 오우버플로우관(5)의 한쪽 끝이 개구되고, 다른 한쪽 끝은 저류조(2)에 연통되어 있으며, 무화조(4)의 희석액면이 소정의 수준을 넘으면 무화조(4)로부터 저류조(2)로 희석액이 환류되어서 무화조(4) 내의 액면이 소정의 수준으로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무화조(4)의 저면부에는 초음파발진기(41)가 설치되고, 무화조(4)의 상부쪽에는 혼합조(6)가 희석액면과 연통되어 설치되며, 혼합조(6)의 대략 중앙측쪽으로는 시로코팬(61)이 부착되고, 시로코팬(61)의 전방에는 통과구를 보유하는 가속플레이트(63)가 설치되어서 시로코팬(61)으로부터의 공기류의 유속이 가속되도록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시로코팬(61)을 최대용량으로 작동시키지 않아도 충분한 양과, 속도의 공기류를 안정하게 공급할 수 있으므로 소형의 시로코팬(61)을 사용하여 장치의 정숙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동시에 전기의 사용량을 경감시킬 수 있다. 시로코팬(61)은, 제어장치(7)에 접속된 풍량조정기(62)에 의해서 무화조(6)로부터의 무화량에 대응하여 적정한 송풍량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가속된 공기류는 하부쪽의 희석액의 액면방향으로 안내된 다음 배출구(15)로 향해서 흐르도록 되어 있으며, 무화조(4)로부터 무화비선되는 미스트는, 공기류에 합류되어 배출구(15)에 공급된다. 탈취제의 희석액은 초음파발진에 의해 용이하게 약 10미크론 이하의 입자로된 미스트로서 형성되지만, 이 미스트가 발생되는 액면에 공기류를 직접 송풍하면 미스트는 응집되기 쉬우므로 미스트를 공기류에 합류시켜서 송출시키는 형식이 바람직하다.
또, 혼합조(6)의 대략 중앙에는 초미립자선택플레이트(65)가 혼합조(6)의 옆단면적을 감소시키도록 하부쪽을 향해서 희석액면측으로부터 상승하는 공기류가 초미립자선택플레이트(65)에 부딪쳐서 희석액면으로부터의 비말과 미크론을 초과한 조립자미스트가 자기무게에 의해 낙하하여 공기류로부터 제거되도록 되어있다.
부우스(1)의 천정부 또는 그 근방에 개구되는 배출구(15)는, 혼합조(6)의 상부쪽과 연통되어서 무화미스트가 합류된 공기류를 부우스(1) 내로 그 상부쪽으로부터 공급하도록 되어 있다.
부우스(1)에 인간이 들어가면 광센서(8)가 그것을 검지해서 제어장치(7)가 설정처리시간 동안에, 펌프수단(3), 초음파발진기(41), 시로코팬(61) 및 에어커튼(13)의 송풍기를 작동시킨다.
그렇게 하면, 슬릿(12)으로부터 공기류가 배출되어서 에어커튼(13)이 형성되어서 부우스(1)의 출입구(11)가 외기로부터 차단되고, 또, 펌프수단(3)에 의해서 저류조(2)로부터 탈취제인 F118의 수용액이 무화조(4)에 공급된다. 또, 시로코팬(61)으로부터 공기가 공급되며 가속플레이트(63)의 통과구가 통과면적의 교축에 의해서 가속되어서 혼합조(6)에 이송된다. 무화조(4) 내지 F118수용액은, 초음파발진기(41)에 의해 무화되고, 무화된 F118수용액은 미스트형상이 되어서 기류에 합류되어 상승하고, 초미립자선택플레이트(65)에 부딪쳐서 희석액면으로부터의 비말과, 미크론을 초과한 조립자미스트가 자기무게에 의해 낙하하여 공기류로부터 제거되며, 3미크론 이하의 초미립자미스트만이가 합류된 공기류가 분출구(15)로부터 부우스(1) 내로 상부쪽으로부터 분출되고, 출입구(11)는, 에어커튼(13)에 의해서 차단되어 있으므로 부우스(1) 내는 탈취액이 수용액의 미스트가 충만되게 된다. 이 F118미스트에 의한 의복의 탈취는 대략 30초 전후로 종료되기 때문에 소정시간이 경과하면 펌프수단(3), 초음파발진기(41), 시로코팬(61) 및 에어커튼(13)의 송풍기가 정지된다.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무화조(4)의 탈취제 수용액의 무화토출량이 26㎖/min일 경우에는, 미스트공기류의 토출풍량은 1.9㎥/min으로 하는 것이 적당하며, 에어커튼풍량은 24㎥/min으로 조정되므로써, 출입구를 충분히 차단할 수가 있다.
대조(수) 및 F118(주식회사 파인·투우)의 200배 희석액을 사용해서 그 1g탈지면에 침지해서, 냄새자루(25×35cm, 아렉크스상사제)에 넣어서 히이트시일을 한 다음 질소베이스의 암모니아, 트리메틸아민, 톨루엔(각 약 500ppm)을 봉입하여 이것을 온실에서 방치하여 0.5, 1, 6 및 24시간후에 가스검지관(가스텍크제)에 의해 냄새자루내의 잔존가스농도를 측정했다. 암모니아, 트리메틸아민, 톨루엔에 대한 탈취효과를 시험한 바, 암모니아에 대해서는 제3도에, 트리메틸아민에 대해서는 제4도에, 톨루엔에 대해서는 제5도에 표시한 바와 같은 탈취효과를 나타내었다.
제65도∼제8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탈취장치를 표시한다.
도면에 있어서 합성수지제 하우징(100)은, 평면이 대략 타원형상을 하고, 그 상면벽은 착탈자재하게 설치되고, 또, 하우징(100)의 정면벽에는 정류날개(102)가 설치되어 있다. 하우징(100)의 정면벽 하부쪽 부위에는 급수, 전원, 설정시간, 미스트무화량의 각 표시램프(103, 104, 105, 106)와, 전원, 작동시간, 미스트무화량의 각 스위치(107, 108, 109)가 레이아웃되고, 각 표시램프(103∼106) 및 각 스위치(107∼109)는, 제어장치(도면표시 않음)에 접속되어 있다.
또, 하우징(100) 내에는, 공기배출구(101)의 배우에 송풍기(110)가 배치되어서, 하우징(100)의 측부에 형성된 슬릿(111)으로부터 받아들인 공기를 공기배출구(101)로 향해서 송급하도록 되어 있다.
하우징(100) 내의 측방부위에는 저류조(112)가 상부쪽으로부터 해체할 수 있도록 설치되고, 저류조(112)는, 하단에 공급구(113)를 보유하는 밀폐구조를 하고 있으며, 내부에는 F118을 소정의 희석율로 희석한 액(탈취 수용액)이 저류되어 있다. 하우징(100)의 하부쪽 부위에는 무화조(114)가 부착되고, 무화조(114)내에는 소정액면에 위치하여 저류조(112)의 공급구가 위치되며, 무화조(114)의 액면이 무화되므로써 저하되었을때에 저류조(112)의 공급구(113)로부터 희석액이 자연공급되어서 소정의 액면으로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무화조(114)의 측방에는 플로우트(115)가 설치되어서, 저류조(112) 내의 희석액이 비게 되면, 무화조(114)가 소정액면 이하로 저하된 것을 검지하여 급수램프(103)가 점등하여 저류조(112)에의 희석액의 급수를 알리도록 되어 있다. 무화조(114)의 저면부에는 초음파발진기(116)가 부착되어서 무화조(114) 내의 희석액을 약 5미크론이하의 미스트로 무화비산시키도록 되어 있다.
무화조(114)의 상부쪽에는 가이드조(117)가 부착되며, 그 가이드조(117)는 상하방향으로 뻗어나는 통형상을 하고, 하단은 무화조(114)의 액면에 연통되며, 상단은 공기배출구(101)에 연통되어서 초음파발진에 의한 무화미스트중에서 1미크론 이하의 극초미립자미스트만이가 송풍기(110)로부터의 송풍에 의해 흡인되어서 공기류에 합류되도록 되어 있다. 또, 가이드조(117)의 배면벽은 옆단면적을 감소시키기위하여 경사지게 되어서 무화조(114)의 액면으로부터 비말을 받아서 낙하시키도록 되어 있다.
저류조(112)가 하우징(100) 내에 세트되면, 그 공급구(113)로부터 무화조(114) 내에 희석액이 공급되어서, 무화조(114)가 소정의 액면이 되면, 액면의 작용에 의해 희석액의 공급이 자동적으로 정지되어서 무화조(114)는 소정액면으로 유지된다. 전원스위치(107)가 온(ON)되면, 제어장치(도면표시 않음)가 설정된 처리시간 동안에 초음파발진기(116)와 플로우(110)를 작동시킨다.
그렇게 하면, 무화조(114) 내의 희석액이 초음파발진기에 기해 5미크론 이하로 무화되며, 그와 동시에 비말이 비산하지만, 비말은 가이드조(117)의 경사벽면에 부딪쳐서 자기무게에 의해서 액면으로 낙하한다. 가이드조(117)의 상부쪽에는 송풍기(110)로부터의 송풍에 의해 공기가 흐르고 있고, 무화미스트는 송풍에 의해서 상부쪽으로 흡인되지만 1미크론 이하의 극초미립자미스트만이가 저류조(112) 내의 희석액이 없어지면 플로우트(115)에 의해서 그것이 검지되어서 급수램프(103)가 점등되기 때문에, 저류조(112)를 집어내어서 희석액을 급수하면 되고, 또, 설정시간은 설정스위치(108)에 의해 연속해서 10분, 20분, 30분의 어느 하나로 설정할 수 있으며, 또, 미스트량은 품절, 약, 중, 강의 4단계로 설정할 수 있다.
제1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있어서의 탈취장치의 전체를 표시하는 사시도이다.
제2도는 미스트 공급장치의 구성도이다.
제3도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암모니아에 대한 탈취효과의 비교그래프이다.
제4도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트리메탈아민에 대한 탈취효과의 비교그래프이다.
제5도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톨루엔에 대한 탈취효과의 비교그래프이다.
제6도는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의 탈취장치를 표시하는 정면도이다.
제7도는 상기한 탈취장치를 표시하는 정면 단면 구성도이다.
제8도는 상기한 탈취장치를 표시하는 측면 단면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처리실,
(2) --------------------------- 저류조,
(3) --------------------------- 펌프수단,
(4),(114) ----------------------- 무화조,
(5) --------------------------- 오우버플로우관,
(6) --------------------------- 혼합조,
(7) --------------------------- 제어장치,
(100) ---------------------------하우징,
(101) --------------------------- 공기배출구,
(110) --------------------------- 송풍기,
(112) --------------------------- 저류조,
(116) --------------------------- 초음파발진기,
(117) --------------------------- 가이드조.

Claims (6)

  1. 분위기 속의 발취성분을 분해 탈취하는 방법에 있어서,
    발취성분을 분해 탈취할 수 있는 탈취제 수용액을 초음파발진에 의해 미스트로 무화하고, 상기 초음파 발진에 의한 무화 미스트를 합류시킨 공기류를 하부 쪽을 향해서 배치된 초미립자 선택 플레이트에 부딪치게 해서 3미크론을 초과하는 거친 미립자 미스트를 자체의 무게에 의해 낙하시켜서 공기류로부터 제거함으로써 무화미스트로부터 3미크론 이하의 초미립자 미스트를 선택해서 공기류와 함께 탈취해야 할 분위기 속에 불어넣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취방법.
  2. 분위기 속의 발취성분을 분해 탈취하는 방법에 있어서,
    발취성분을 분해 탈취할 수 있는 탈취제 수용액을 초음파 발진에 의해 미스트로 무화하고, 상기 초음파 발진된 탈취제 수용액의 액면의 상부 쪽에 주변이 상부 측을 향해서 횡단면적을 감소시키도록 경사진 통 형상의 가이드 조를 설치하고, 탈취제 수용액의 액면으로부터 비산하는 비말을 통 형상의 가이드 조의 경사 벽면에 부딪혀서 자중에 의해 낙하시키는 한편, 상기 통 형상 가이드조의 상단 개구를 횡단하듯이 공기를 흘려서, 무화 미스트로부터 1미크론 이하의 극 초미립자 미스트만을 흡인해서 공기류와 함께 탈취해야 할 분위기 중에 불어넣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취방법.
  3. 제1, 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식물 액기스 혼합 탈취액(상품명 F118)을 희석수로 100∼500배로 희석한 탈취제 수용액을 사용해서 분위기 내의 미스트 농도를 5∼15㎖/㎥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취 방법.
  4. 출입구가 에어커튼(13)으로 차단되고, 옷을 입는 인간이 기립할 수 있는 치수를 보유하는 처리실(1)과, 탈취제 수용액을 저류시키는 저류조(2)와,
    상기 저류조(2)의 탈취제 수용액이 펌프수단(3)에 의해 공급되는 동시에, 공급된 탈취제 수용액을 초음파발진에 의해서 무화시키는 무화조(4)와,
    한 쪽 끝이 무화조(4)의 소정 액면에, 그리고, 다른 한 쪽 끝이 저류조(2)에 연통되어서, 무화조(4)의 오버플로우 수용액을 저류조(2)에 환류시켜 무화조(4)를 소정 액면으로 유지하는 오버플로우 관(5)과,
    팬(61)으로부터 공급되는 소정의 공기류를 초음파발진기(41)에 의해서 무화되는 무화조(4)의 주요 액면으로 향해서 안내하고, 무화조(4)로부터 무화 비산하는 미스트를 실질적으로 응집시키지 않고 공기류에 합류시키는 혼합조(6)와,
    처리실(1) 내의 천정부 또는 그 근방에 개구하여, 혼합조(6)와 연통해서 무화미스트가 합류된 공기류를 처리실(1)로 상부에서 공급하는 배출구(15)와,
    처리실(1)내의 인간을 검지해서 펌프수단(3), 초음파발진기(41), 팬(61) 및 에어커튼(13)의 형성수단을 작동시키는 제어장치(7)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취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혼합조(6)는, 상하 방향의 소정의 높이로 무화조(4)의 주요액면에 대면하여 공기류의 흐름을 규제하는 초미립자 선택플레이트(65)를 보유하고 초음파발진에 의한 무화 미스트를 합류시킨 공기류를 초미립자 선택플레이트(65)에 부딪치게 하여 3미크론을 초과하는 초미립자 무화미스트를 자체의 무게에 의해 낙하시켜서 공기류로부터 제거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취장치.
  6. 상부 쪽에 공기배출구(101)를 보유하는 하우징(100)과,
    상기 하우징(100)내에 수용되어서 탈취제 수용액을 저류시키고, 하단에 탈취제 수용액의 공급구(113)를 보유하는 밀폐구조의 저류조(112)와,
    상기 하우징(100)내의 하부 쪽에 수납되고, 저류조(112)의 공급구(113)가 소정액면 높이로 매치되어서 저류조(112)로부터 탈취제 수용액이 소정의 액면까지 자연 공급되고, 공급된 탈취액 수용액을 초음파발진에 의해서 무화시키는 무화조(114)와,
    상기 하우징(100)내의 공기배출구(101)의 배후에 설치되어서 공기배출구(101)로 향해서 공기를 송급하는 팬(110)과,
    하우징(100)내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되며, 무화조(114)의 주요액면과 공기배출구(101)에 연통되어 주벽이 상부 측을 향해서 횡단면적을 감소시키도록 경사지게 되어 무화조(114)의 액면에서 비산하는 비말을 부딪혀서 자중에 의해 낙하시키는 한편, 무화조에서 무화 비산하는 미스트를 팬(110)의 공기류로 흡인시켜서 실질적으로 응집시키지 않고, 1미크론 이하의 극초미립자 미스트를 공기류에 합류시키는 가이드 조(117)와,
    초음파발진기(116)와 팬(110)을 작동시키는 제어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취장치.
KR1019950036736A 1995-02-17 1995-10-24 탈취방법과탈취장치 KR1003553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5-53605 1995-02-17
JP5360595 1995-02-17
JP95-255506 1995-09-06
JP7255506A JP3067089B2 (ja) 1995-02-17 1995-09-06 消臭方法及び消臭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0953A KR960030953A (ko) 1996-09-17
KR100355355B1 true KR100355355B1 (ko) 2002-12-26

Family

ID=263943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36736A KR100355355B1 (ko) 1995-02-17 1995-10-24 탈취방법과탈취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3067089B2 (ko)
KR (1) KR10035535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33527B1 (ja) * 2017-02-01 2017-05-24 有限会社 セイケン九州 消臭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64256A1 (fr) * 2000-03-01 2001-09-07 Kao Corporation Procede permettant de dissiper des composants volatils et appareil correspondant
KR100428954B1 (ko) * 2001-04-24 2004-04-29 주식회사 대현하이테크 자동분무탈취기
JP2003083562A (ja) * 2001-09-07 2003-03-1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空気調和機
KR100496882B1 (ko) * 2001-10-19 2005-06-28 (주)수도프리미엄엔지니어링 에어 샤워 시스템
WO2003033040A1 (en) * 2001-10-19 2003-04-24 Sudo Premium Engineering Co., Ltd. Air shower system
JP4550670B2 (ja) * 2005-06-06 2010-09-22 リンナイ株式会社 ミスト機能付き浴室暖房装置
AT513810B1 (de) * 2012-12-18 2015-02-15 Harald Ing Rauchenschwandtner Ein Verfahren und eine Vorrichtung zum Ausbringen von wässrigen polymerhaltigen Bioziden mittels Ultraschalltechnologie im Raum
JP2016034608A (ja) * 2014-08-01 2016-03-17 株式会社シーメイダ 霧化溶剤吐出装置
GB2545685A (en) * 2015-12-21 2017-06-28 Warren Eric Pathogen killing apparatus
JP6756359B2 (ja) * 2018-12-14 2020-09-16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薬液噴霧装置
CN113405206A (zh) * 2021-06-29 2021-09-17 陕西呱呱蛙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型除臭机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49312A (ja) * 1988-11-30 1990-06-07 Toshiba Corp 脱臭装置
JPH02209147A (ja) * 1989-02-07 1990-08-20 Shimizu Corp 超音波式香り発生装置
JPH03198863A (ja) * 1989-12-28 1991-08-30 Tsuchiya Seiko Kk 消臭方法及び消臭装置
KR920002307A (ko) * 1990-07-29 1992-02-28 프랭크 씨이.로오트 쥬니어 엠보싱 장치 및 그 방법
JPH04174674A (ja) * 1990-11-06 1992-06-22 Naizu Saat:Kk 消臭方法及び装置
JPH06237983A (ja) * 1993-02-18 1994-08-30 Riide Shohin Kaihatsu:Kk 消臭剤等の多目的ミスト送出装置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49312A (ja) * 1988-11-30 1990-06-07 Toshiba Corp 脱臭装置
JPH02209147A (ja) * 1989-02-07 1990-08-20 Shimizu Corp 超音波式香り発生装置
JPH03198863A (ja) * 1989-12-28 1991-08-30 Tsuchiya Seiko Kk 消臭方法及び消臭装置
KR920002307A (ko) * 1990-07-29 1992-02-28 프랭크 씨이.로오트 쥬니어 엠보싱 장치 및 그 방법
JPH04174674A (ja) * 1990-11-06 1992-06-22 Naizu Saat:Kk 消臭方法及び装置
JPH06237983A (ja) * 1993-02-18 1994-08-30 Riide Shohin Kaihatsu:Kk 消臭剤等の多目的ミスト送出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33527B1 (ja) * 2017-02-01 2017-05-24 有限会社 セイケン九州 消臭方法
JP2018123088A (ja) * 2017-02-01 2018-08-09 有限会社 セイケン九州 消臭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067089B2 (ja) 2000-07-17
JPH08280785A (ja) 1996-10-29
KR960030953A (ko) 1996-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55355B1 (ko) 탈취방법과탈취장치
JP4719428B2 (ja) 柔軟性を有する自律的液体霧化カートリッジにより空気を芳香化し、殺菌する方法及びシステム、ならびに、そのネットワーク
US7073731B2 (en) Method and system for ambient air scenting and disinfecting based on flexible, autonomous liquid atomizer cartridges and an intelligent networking thereof
US20190290797A1 (en) Atomization separating and silencing apparatus and method
US20040096354A1 (en) Ozone deodorizing and sterilizing method and device
US20110226868A1 (en) Ultrasonic humidifier for repelling insects
JP2007082419A (ja) 動物の飼育舎管理方法とオゾン水製造装置
KR102132887B1 (ko) 탈취 장치
US20080029614A1 (en) Mist-Spraying Apparatus
JP2007181654A (ja) 霧放出装置
US7341701B2 (en) Method, apparatus and plant for treating culinary gaseous effluents
KR100432064B1 (ko) 방제(防除)기능을 갖는 진공청소기
KR100771212B1 (ko) 피톤치드 휘산 장치
KR101926093B1 (ko) 개선된 초미세 피톤치드 휘산장치
CA2211978A1 (en) A device for fumigation with a fluid product
JP2005144096A (ja) 照明付き噴霧器
JP2007130555A (ja) 噴霧装置
KR200438092Y1 (ko) 소규모 공간용 피톤치드 휘산장치
CN215395253U (zh) 雾化装置和消毒机器人
JPH0910641A (ja) 液体用の超微粒子噴霧装置
KR102621861B1 (ko) 자동 분무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차량용 공조 장치
JPH0626281Y2 (ja) 芳香発生装置
KR20040036319A (ko) 발향장치
JP2001232256A (ja) 霧発生装置
CN118139654A (zh) 空气处理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5

Year of fee payment: 11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