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6093B1 - 개선된 초미세 피톤치드 휘산장치 - Google Patents

개선된 초미세 피톤치드 휘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6093B1
KR101926093B1 KR1020180083505A KR20180083505A KR101926093B1 KR 101926093 B1 KR101926093 B1 KR 101926093B1 KR 1020180083505 A KR1020180083505 A KR 1020180083505A KR 20180083505 A KR20180083505 A KR 20180083505A KR 101926093 B1 KR101926093 B1 KR 1019260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ytoncide
vapor
water
duct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35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재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숲에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숲에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숲에서
Priority to KR10201800835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60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60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60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61L9/12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61L9/013Deodorant compositions containing animal or plant extracts, or vegetabl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including air-liquid contact proces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18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22Ionis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1/02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for inducing sleep or relaxation, e.g. by direct nerve stimulation, hypnosis, analges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3Dispensing or storing means for active compounds
    • A61L2209/132Piezo or ultrasonic elements for dispens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3Dispensing or storing means for active compounds
    • A61L2209/134Distributing means, e.g. baffles, valves, manifolds, nozz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4Filter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021/0005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 A61M2021/0016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by the smell sen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B01D46/0028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provided with antibacterial or antifungal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syc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Botany (AREA)
  • Zo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선된 초미세 피톤치드 휘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피톤치드를 휘산시키는 피톤치드 휘산장치로서, 휘산장치 주변의 공기를 흡입하여 배출시키는 흡기구를 갖는 본체; 본체의 상부에 결합되고 그 내부에는 물이 충전되어 저장되는 저수조; 저수조 내에 구비되어 초음파 진동으로 저수조 내의 물을 기화시키는 초음파 진동자; 저수조에 구비되어 저장된 물의 저수량을 센싱하는 저수량 센서; 저수조의 상부에 결합되고 그 내부에는 피톤치드 희석액이 공급되는 한편 피톤치드 희석액에서 피톤치드의 휘산 증기를 발생시켜 휘산시키는 휘산실을 갖는 휘산조; 휘산조의 상부에 결합되고 그 내부에는 휘산조에서 휘산되는 피톤치드의 휘산 증기가 토출되는 휘산관을 갖는 덕트부재; 본체에 결합되어 본체의 상부를 개폐시키고 피톤치드의 휘산 증기가 배출되는 배출구를 갖는 덮개;를 포함하는 피톤치드 휘산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개선된 초미세 피톤치드 휘산장치{Apparatus for spraying phytoncide}
본 발명은 피톤치드 휘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피톤치드 희석액을 휘산시킴에 있어 큰 입자의 휘산 증기는 걸러내고 초미립자의 휘산 증기만을 휘산시켜 피톤치드 희석액을 멀리 휘산시킬 수 있도록 한 개선된 초미세 피톤치드 휘산장치에 관한 것이다.
피톤치드란 나무가 자기 주위에 각종 해충이나 박테리아 등으로부터 자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내뿜는 방향성 물질로서, 주성분은 테르펜(Terpene) 계통의 유기화합물이며, 항균작용, 진정작용, 탈취작용, 스트레스 해소작용 등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피톤치드를 흡입할 경우, 스트레스 호르몬인 코르티졸의 농도가 획기적으로 줄어든다고 연구결과가 보고된 바가 있으며, 중추신경계에 진정작용을 하여 쾌적한 느낌을 가지게 하며, 수면시간을 연장하고 편안한 숙면을 취하는데 도움을 준다고 알려져 있다.
이러한 효능을 가지는 피톤치드를 수목으로부터 인공적으로 추출하는 방법의 연구가 근래 들어 활발히 시행되고 있고, 상기와 같이 추출된 피톤치드를 소비자가 가정에서 손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제품이 개발되고 있으며, 일례로서 피톤치드 성분을 함유한 비누, 로션, 크림 , 화장품, 방향제 등 다양한 분야의 제품이 개발되고 있다.
이에, 본 출원인은 집안이나 사무실에서 누구나 손쉽게 피톤치드를 즐길 수 있도록 한 실내용 피톤치드 휘산장치를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38092호(이하 '선행기술문헌'이라 한다)에서 제안한 바 있다.
이와 같이 선행기술문헌에 개시된 피톤치드 휘산장치는 피톤치드 희석액이 저수조에서 진동자에 의해 증기(즉 오일이 포함된 유증기)화되고, 증기화된 모든 증기(유분 입자)는 블로워의 송풍압에 의해 실내로 휘산되어 발산된다.
하지만, 이와 같은 선행기술문헌에 개시된 피톤치드 휘산장치는 좁은 실내 공간에서 사용하기 위해 소형으로 제작되는 휘산장치로서, 진동자에 의해 발생되는 피톤치드 희석액의 증기는 큰 입자의 증기와 작은 입자의 증기가 혼합된 상태로 휘산되는데, 이 과정에서 작은 입자의 증기는 큰 입자의 증기보다 상대적으로 멀리까지 날아가 휘산되지만, 큰 입자의 증기는 휘산장치 주변으로 휘산되므로 인해 피톤치드의 효과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고, 휘산장치 주변으로 휘산된 큰 입자의 증기로 인해 휘산장치는 물론 휘산장치 주변까지 끈적거리게 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소형이면서도 피톤치드 희석액의 증기를 실내 공간 멀리까지 휘산시킬 수 있는 피톤치드 휘산장치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38092호
따라서, 본 발명은 피톤치드 희석액을 휘산시킴에 있어 초음파 진동자에 의해 휘산되는 피톤치드 희석액의 휘산 증기 중 큰 입자의 증기는 걸러내 휘산시키지 않고 초미립자의 증기만을 휘산시켜 실내 공간 멀리까지 퍼질 수 있도록 하여 피톤치드의 휘산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개선된 초미세 피톤치드 휘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으로는, 초음파 진동자와 희석액을 격리되게 구비하여 초음파 진동자의 오작동을 방지하고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도록 한 개선된 초미세 피톤치드 휘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개선된 초미세 피톤치드 휘산장치는, 피톤치드를 휘산시키는 피톤치드 휘산장치로서, 휘산장치 주변의 공기를 흡입하여 배출시키는 흡기구를 갖는 본체; 본체의 상부에 결합되고 그 내부에는 물이 충전되어 저장되는 저수조; 저수조 내에 구비되어 초음파 진동으로 저수조 내의 물을 기화시키는 초음파 진동자; 저수조에 구비되어 저장된 물의 저수량을 센싱하는 저수량 센서; 저수조의 상부에 결합되고 그 내부에는 피톤치드 희석액이 공급되는 한편 피톤치드 희석액에서 피톤치드의 휘산 증기를 발생시켜 휘산시키는 휘산실을 갖는 휘산조; 휘산조의 상부에 결합되고 그 내부에는 휘산조에서 휘산되는 피톤치드의 휘산 증기가 토출되는 휘산관을 갖는 덕트부재; 본체에 결합되어 본체의 상부를 개폐시키고 피톤치드의 휘산 증기가 배출되는 배출구를 갖는 덮개;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휘산조의 휘산실은 그 하부가 저수조 내측으로 돌출되어 물에 잠기도록 구비되되, 돌출된 휘산실의 하부는 저수조의 초음파 진동자와 인접하게 구비되어, 초음파 진동에 의해 휘산실 내의 피톤치드 희석액이 휘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토출덕트의 휘산관 내주면에는 피톤치드 희석액의 휘산 증기를 가이드하는 나선형 블레이드가 구비되고, 나선형 블레이드는 초미립자의 휘산 증기가 통과할 수 있는 메쉬 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본체의 흡기구에는 흡입되는 외기 중의 미세먼지는 걸러내고 휘산된 초미립자의 휘산 증기는 통과되는 통기성을 갖는 헤파필터가 구비될 수 있다.
게다가, 저수조의 양측에는 흡기구의 헤파필터를 통해 흡입된 외기가 배출되는 배출관부가 형성되고, 덕트부재는 그 중앙부에 휘산관이 관통되게 구비되는 중앙덕트와, 중앙덕트의 양측에 저수조의 배출관부에 결합되어 흡입된 외기를 배출시키는 측부덕트가 구비될 수 있으며, 본체의 흡기구에서 측부덕트까지 외기가 이송되는 이송로에는 외기를 멸균 처리하는 멸균램프 또는 플라즈마 또는 이들이 조합되어 구비될 수 있다.
또,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개선된 초미세 피톤치드 휘산장치는, 피톤치드 희석액이 공급되고 공급된 피톤치드 희석액에서 피톤치드를 휘산시키는 휘산부를 갖는 본체와, 본체에 결합되어 휘산부를 개폐시키는 덮개를 포함하는 피톤치드 휘산장치로서, 본체의 휘산부에는 피톤치드 희석액을 휘산시키는 휘산실이 구비되고, 휘산실에는 피톤치드 희석액의 휘산 증기가 유동되어 배출되는 사이클론 커버가 구비되며, 사이클론 커버 내의 휘산실에는 사이클론 커버의 내주면으로 송풍을 제공하는 덕트가 구비되어, 휘산실 내의 휘산 증기는 원심력에 의해 사이클론 커버의 내주면을 따라 유동되면서 초미립자의 휘산 증기가 분리되어 사이클론 커버의 외측으로 배출되어 휘산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사이클론 커버는 그 내주면에 원심력에 의해 유동되는 피톤치드 희석액의 휘산 증기를 가이드하는 나선형 블레이드가 구비되고, 나선형 블레이드는 초미립자의 휘산 증기가 통과할 수 있는 메쉬 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사이클론 커버는 그 내주면에 원심력에 의해 유동되는 피톤치드 희석액의 휘산 증기 중 초미립자의 휘산 증기가 통과할 수 있는 메쉬 구조의 수직형 블레이드가 구비될 수 있다.
게다가, 사이클론 커버는 그 내주면에 원심력에 의해 유동되는 피톤치드 희석액의 휘산 증기를 가이드하는 한편 초미립자의 휘산 증기가 통과할 수 있는 메쉬 구조를 갖는 나선형 블레이드가 구비되고, 상하의 나선형 블레이드 사이에는 원심력에 의해 유동되는 피톤치드 희석액의 휘산 증기 중 초미립자의 휘산 증기가 통과할 수 있는 메쉬 구조의 수직형 블레이드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본체에는 외기를 흡입하여 휘산실 내로 공급하는 블로워가 구비되고, 블로워에 의해 외기가 흡입되는 본체의 흡기구에는 헤파필터가 구비되며, 본체의 흡기구에서 휘산실까지 외기가 이송되는 이송로에는 외기를 멸균 처리하는 멸균램프 또는 플라즈마 또는 이들이 조합되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개선된 초미세 피톤치드 휘산장치에 따르면, 초음파 진동자에 의해 휘산되는 피톤치드 희석액의 휘산 증기를 사이클론 방식으로 휘산시킴으로써, 큰 입자의 증기는 사이클론 통체 내의 나선형 블레이드에 접촉되어 걸러지고 초미립자의 증기만이 사이클론 통체를 통해 외부로 휘산되어 실내 공간 멀리까지 퍼져 확산되므로 피톤치드의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초음파 진동자는 저수조에 구비되고 피톤치드 희석액은 휘산조에 구비되어 초음파 진동자와 피톤치드 희석액을 격리시켜 구비함으로써, 오일이 함유된 피톤치드 희석액으로부터 초음파 진동자의 오염 및 이로 인한 초음파 진동자의 손상을 방지하여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고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피톤치드 휘산장치의 결합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피톤치드 휘산장치의 분리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피톤치드 휘산장치의 휘산부를 분리 도시한 평면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피톤치드 휘산장치의 휘산부를 분리 도시한 저면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피톤치드 휘산장치의 휘산부를 도시한 단면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피톤치드 휘산장치의 휘산부를 도시한 단면 구성도로서, 휘산관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피톤치드 휘산장치의 결합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피톤치드 휘산장치의 분리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피톤치드 휘산장치의 본체 내부 구성을 보인 구성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휘산장치에 구성되는 휘산부의 구성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휘산장치의 단면 구성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휘산부의 다른 예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상에 형성" 및 "측면에 형성" 등은, 당해 구성요소들이 직접 접하여 적층 형성되는 것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고, 당해 구성요소들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가 더 형성되어 있는 의미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에 형성된다" 라는 것은 제 1 구성요소에 제 2 구성요소가 직접 접하여 형성되는 의미는 물론, 제 1 구성요소와 제 2 구성요소의 사이에 제 3 구성요소가 더 형성될 수 있는 의미를 포함한다.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피톤치드 휘산장치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먼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피톤치드 휘산장치(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톤치드 희석액이 공급되고 공급된 피톤치드 희석액을 휘산 증기 형태로 휘산시키는 휘산부(40)를 갖는 본체(20)와, 본체(20)에 결합되어 휘산부(40)를 개폐시키는 덮개(80)를 포함한다.
본체(20)는 그 전면부에 휘산장치(10)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해 구비되는 패널부(30)와, 패널부(30)의 후방부에 구비되어 피톤치드 희석액을 증기 형태로 휘산시키는 휘산부(40)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휘산부(40) 하부의 본체(20) 내부에는 외기를 흡입하여 휘산부(40)로 공급하기 위한 블로워(24)가 구비되고, 블로워(24)의 입구부와 연결되는 본체(20)의 후면에는 외기가 흡입되는 흡기구(21)가 구비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의 블로워(24)는 시로코팬을 일례로 예시하여 설명하지만, 시로코팬 이외의 다른 송풍팬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흡기구(21)에는 그릴 형태의 커버(이하 "그릴커버"라 한다)(23)가 착탈가능하게 구비되고, 이 그릴커버(23)에 의해 흡기구(21)로 흡입되는 외기 중의 이물질은 1차 필터링된다.
그리고, 그릴커버(23) 후방의 흡기구(21) 내측에는 흡입되는 외기 중의 이물질을 필터링하기 위한 헤파필터(22)가 구비되고, 이와 같은 헤파필터(22)는 흡입되는 외기 중의 미세먼지는 걸러내고 실내로 휘산된 초미립자의 휘산 증기는 통과시킬 수 있는 통기성을 갖도록 구비된다. 이로써, 헤파필터(22)에 의해 흡기구(21)로 흡입되는 외기 중의 미세먼지는 필터링되어 걸러지고 초미립자의 휘산 증기를 포함한 청정의 공기만이 흡입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흡입된 외기는 블로워(24)의 배출구(25)를 통해 배출되어 후술될 휘산부(40)의 배출관부(55)와 덕트부재(70)의 측부덕트(74)를 통해 외부로 다시 토출되어 공급되는데, 이 과정에서 외기가 이동하는 이동 유로 상에는 흡입된 외기 중의 유해한 세균을 살균하여 멸균 처리하기 위한 멸균수단이 구비된다.
이러한 멸균수단은 흡입된 외기가 이동되는 본체(20)의 이동 유로 상에 후술될 제 2 실시예에서와 같은 멸균램프 또는 플라즈마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비될 수 있다.
멸균램프는 멸균 효과가 우수한 UV-C 램프로서, 이동 유로를 따라 나열되게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UV-C 램프는 오존램프라고도 하며, 오존 음이온을 발생시켜 외부 공기 중의 곰팡이 등의 세균을 살균 처리하여 세균 번식을 방지하고 악취를 탈취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플라즈마는 이동 유로의 관로에 플라즈마 램프가 스크린 형태(이동 유로의 축방향과 수직한 방향)로 구비될 수 있고, 플라즈마 램프에서 플라즈마를 외부 공기 중으로 방출하여 공기 중의 각종 세균을 살균 처리하고, 먼지 등의 유해물질을 제거하게 된다. 즉, 공기 중으로 플라즈마가 방출되면 양이온과 음이온이 생성되고, 생성된 이온은 각종 유해물질을 포위하여 세포를 파괴하여 제거하게 된다.
또한, 본체(20)에 구성되는 휘산부(4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부(30) 후방의 본체(20) 상면에 구성되어 덮개(80)에 의해 개폐되는 부분으로서, 물이 담수되어 저장되는 저수조(50)와, 저수조(50) 상부에 구비되어 피톤치드 희석액을 휘산시키는 휘산조(60)와, 휘산조(60) 상부에 구비되어 휘산된 휘산 증기를 안내하여 외부로 토출시키는 덕트부재(70)를 포함한다.
저수조(50)는 본체(20)의 상면에 직접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부분으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상면 중앙부에는 물을 저장할 수 있도록 하방으로 함몰된 저수부(51)가 구비되고, 저수부(51)의 양측부에는 상방으로 돌출된 배출관부(55)가 구비된다.
그리고, 저수부(51)의 바닥면에는 저수부(51) 내의 물을 초음파 진동으로 기화시키는 초음파 진동자(52)와, 저수부(51)에 저장된 물의 저수량을 센싱하여 물의 보충 시기를 패널부(30)를 통해 표시하여 나타내는 저수량 센서(53)가 구비된다.
게다가, 저수부(51)의 일측에는 저수부(51)에 저장되는 물의 수위보다 높게 위치되는 접속단자(54)가 구비되고, 이 접속단자(54)에는 후술될 휘산조(60)의 접속단자(66)가 접속되게 구비된다. 이와 같이 양 접속단자(54)(66)가 접속되면 초음파 진동자(52)와 저수량 센서(53)로 전원이 공급되고, 이에 더하여 초음파 진동자(52)에서 발생되는 초음파 진동을 휘산조(60)에 구비되는 진동 막대 등을 통해 휘산조(60) 내부로 직접 전달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저수부(51)와 이격된 양측에는 본체(20)의 흡기구(21)를 통해 흡입된 외기가 배출되는 배출관부(55)가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이 배출관부(55)에는 후술될 덕트부재(70)의 측부덕트(75)가 연통되게 결합된다. 이러한 배출관부(55)는 그 상면이 완전히 개구되게 형성될 수도 있고, 또는 다수의 배출구멍이 천공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휘산조(6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수조(50)의 상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부분으로서, 저수조(50) 상면의 저수부(51)에 형상 맞춤된 상태로 결합되어 구비된다.
이러한 휘산조(60)는 그 상면에 피톤치드 희석액이 공급되는 공급실(61)과, 공급실(61)과 연통되어 피톤치드 희석액이 휘산되는 휘산실(64)이 구비된다.
이와 같은 공급실(61)과 휘산실(64)이 형성되는 휘산조(60)의 상면은 각각 공급실(61)과 휘산실(64)의 테두리를 형성하는 거치대(63)에 의해 구획되게 형성된다. 이러한 거치대(63)는 희석액 용기(67)와 후술될 덕트부재(70)의 중앙덕트(71)를 그 내부로 수용하여 유동되지 않도록 고정시킬 수 있도록 각각 희석액 용기(67)와 중앙덕트(71)에 대응한 형상으로 돌출 형성된다. 이로써, 공급실(61)에는 피톤치드 희석액이 저장되어 있는 희석액 용기(67)가 안착되어 구비되고, 휘산실(64)에는 후술될 덕트부재(70)가 결합되어 구비된다.
그리고, 공급실(61)의 내측에는 희석액 용기(67)의 입구에 구비된 알루미늄 박을 뚫고 희석액 용기(67) 내부로 진입되는 쐐기(62)가 구비되고, 이 쐐기(62)는 십자 형태로 형성되어 용기(67)의 입구부와 이격된 간격이 형성되므로 이 간격을 통해 용기(67) 내부에 저장된 희석액이 공급실(61)로 용이하게 배출된다.
한편, 공급실(61)과 연통되는 휘산실(64)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수부(51) 내측으로 더 돌출되게 형성되어 휘산실(64)의 바닥면이 공급실(61)의 바닥면보다 더 낮게(즉 깊게) 구비된다.
즉, 휘산실(64)은 그 하면이 저수부(51)의 물에 잠긴 상태로 저수부(51) 바닥면의 초음파 진동자(52)와 인접하게 구비됨으로써, 초음파 진동자(52)에 의한 초음파 진동이 물을 매개로 전달되어 휘산실(64) 내의 피톤치드 희석액을 휘산시킬 수 있도록 구비된다.
이와 같은 휘산실(64)과 공급실(61)은 공급로(65)를 통해 연통되게 구비되고, 이 공급로(65)에는 접속단자(66)가 구비되어, 전술한 저수조(50)의 접속단자(54)와 접속됨으로써, 초음파 진동자(52)와 저수량 센서(53)에 전원이 공급된다.
게다가, 상기와 같은 공급로(65)에는 후술될 덕트부재(70)의 돌출부(74)가 삽입되어 구비되되, 돌출부(74)는 공급로(65)의 바닥면과 이격되게 구비되고, 이 이격공간을 통해 희석액이 공급됨으로써 공급되는 희석액의 양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공급로(65)는 희석액의 원활한 공급을 위해 그 바닥면이 공급실(61)에서 휘산실(64) 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덕트부재(70)는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부에 구비되어 휘산실(64)을 덮도록 휘산조(60)의 상면에 결합되는 중앙덕트(71)와, 중앙덕트(71)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저수조(50)의 배출관부(55)를 덮도록 결합되는 측부덕트(75)를 포함한다.
이러한 중앙덕트(71)는 그 내측 중앙부에 휘산실(64)에서 휘산되는 피톤치드의 휘산 증기가 토출되는 휘산관(72)이 구비되고, 휘산관(72)은 원통형상의 관으로서 중앙덕트(71)의 상면을 관통하여 개구된 상태로 구비된다.
이와 같은 휘산관(72) 내부에는 도 5에서와 같이, 송풍되는 풍력에 의해 휘산실(64) 내의 휘산 증기가 원심력에 의한 사이클론 방식으로 선회되면서 상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사이클론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도 6에서와 같이 휘산관(72)의 내주면에는 휘산 증기가 휘산관(72) 내에서 선회되도록 한 나선형 블레이드(73)를 더 구비하였고, 나선형 블레이드(73)는 초미립자의 휘산 증기가 통과할 수 있는 메쉬 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나선형 블레이드(73)는 피톤치드 희석액의 휘산 증기와 충분히 접촉될 수 있는 넓은 접촉면적을 갖도록 구비되어, 나선형 블레이드(73)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선회 이동되는 휘산 증기 중 무겁고 큰 입자의 휘산 증기는 휘산관(72)의 내주면과 나선형 블레이드(73)에 각각 접촉되어 걸러지고, 가볍고 작은 입자의 휘산 증기는 휘산관(72)의 중심부를 통해 배출되어 실내 공간 멀리까지 휘산되게 된다.
특히, 상기와 같은 나선형 블레이드(73)는 메쉬 구조로 구비됨이 바람직하고, 이는 무겁고 큰 입자의 휘산 증기는 나선형 블레이드(73)에 의해 걸러지지만, 5∼10㎛의 가벼운 초미립자의 휘산 증기는 나선형 블레이드(73)의 메쉬 구멍을 통과하여 휘산될 수 있으므로 초미립자 휘산 증기의 휘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를 만족하기 위해, 나선형 블레이드(73)의 메쉬 입도는 300∼500 메쉬 이하로 구비됨이 바람직하고, 300 메쉬 이하에서는 큰 입자의 휘산 증기를 걸러낼 수 있고, 500 메쉬 이하에서는 큰 입자는 물론 중간 크기 입자의 휘산 증기까지 걸러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휘산관(72) 전방의 중앙덕트(71) 하부에는 돌출부(74)가 하향 돌출되게 형성되고, 이 돌출부(74)는 휘산조(60)의 공급로(65)에 삽입되어 공급로(65)의 관로를 막아 일부 제한하게 됨으로써 공급로(65)를 통해 공급되는 희석액의 공급양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양 측부덕트(75)는 저수조(50)의 배출관부(55)에 끼임 결합되는 중공관으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덕트(71)와 연통되게 구비된고, 그 내주면에는 전술한 바와 같은 멸균수단이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멸균수단으로의 전원 공급은 전술한 바와 같은 접속단자(54)(66)의 접속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덮개(80)는 본체(20)의 휘산부(40)를 덮어 가릴 수 있도록 구비되고, 그 상면에는 덕트부재(70)의 휘산관(72)과 측부덕트(75)와 각각 연통되는 배출구(81)(82)가 형성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피톤치드 휘산장치의 작동관계를 설명한다.
먼저, 휘산장치(10)의 사용시는 본체(20)로부터 덮개(80)를 분리하여 개방한 상태에서 덕트부재(70)와, 휘산조(60)를 차례로 분리시켜 낸 후, 저수조(50)의 저수부(51) 내에 해당 표시 눈금만큼 물을 공급하여 저장한다.
이후, 저수조(50)의 상면에 휘산조(60)를 안착시켜 결합하면, 휘산조(60)에 구비된 접속단자(66)가 저수조(50)의 접속단자(54)에 안착되어 접속되고, 접속단자(54)(66) 간의 접속에 의해 저수조(50) 내의 초음파 진동자(52)와 저수량 센서(53)에는 전원공급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저수조(50) 상면에 구비된 휘산조(60)의 공급실(61)에 피톤치드 희석액이 저장되어 있는 희석액 용기(67)를 구비하되, 희석액 용기(67)의 입구부를 공급실(61)의 쐐기(62)에 꽂으면서 거치대(63)에 결합시키면, 쐐기(62)가 희석액 용기의 알루미늄 박을 뚫어 입구를 개방시키게 된다.
그러면, 희석액 용기(67)로부터 희석액이 흘러나와 공급로(65)로 공급되고, 이는 다시 공급로(65)를 통해 휘산실(64) 내로 유입되어 담수된다.
이 상태에서 개방한 덮개(80)를 다시 본체(20)에 씌워 결합한 후, 패널부(30)의 전원스위치를 눌러 휘산장치(10)를 작동시키면, 본체(20)의 내측 하부에 구비된 블로워(24)와, 저수조(50)의 저수부(51)에 구비된 초음파 진동자(52) 및 저수량 센서(53)에 전원이 공급되어 작동된다.
그러면, 저수량 센서(53)가 센싱 작동을 개시함과 동시에 초음파 진동자(52)가 진동을 시작하여 저수조(50)의 저수부(51)에 담수된 물을 초음파 진동으로 진동시키고, 그 진동 효과로 물을 기화시키게 된다.
이 과정에서 저수부(51)에 잠겨 초음파 진동자(52)와 근접하게 구비된 휘산조(60)의 휘산실(64)에 초음파 진동이 물을 매개로 전달되고, 이의 진동 효과에 의해 휘산실(64)에 담수된 피톤치드 희석액이 진동되면서 미세한 물방울(水滴) 상태로 기화되어 휘산된다.
이때, 블로워(24)의 작동에 의해 본체(20) 하단부의 흡기구(21)로 외기가 흡입되면서 바람(송풍)이 발생되고, 발생된 바람은 저수조(50)의 배출관부(55)를 통해 도 5 및 도 6에서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덕트부재(70)의 측부덕트(75) 내로 공급되며, 측부덕트(75)로 공급된 바람 중 일부는 중앙덕트(71)로 유입되어 휘산관(72) 내부로 공급되고, 나머지는 측부덕트(75)를 통해 실내 공간으로 배출된다.
이 과정 중에, 본체(20)의 흡기구(21)로 흡입되는 외기는 헤파필터(22)를 통과하면서 외기 중의 미세먼지와 같은 이물질은 걸리지고 실내 공간으로 휘산된 피톤치 입자는 통과되어 필터링된 깨끗한 공기와 같이 흡입되고, 헤파필터(22)를 통과한 공기는 측부덕트(75)를 통해 배출되는 과정 중에 멸균램프와 플라즈마를 차례로 통과하면서 공기 중의 세균이 멸균 처리되며, 악취가 탈취되고, 공기 중의 유해물질이 제거된다.
한편, 덕트부재(70)의 중앙덕트(71) 내로 공급되는 외기의 바람은 풍력에 의해 휘산실(64) 내에서 기화되는 휘산 증기를 휘산관(72)의 내주면을 따라 상방향으로 선회 이동시키고, 이 과정 중에 휘산관(72)의 내주면에 구비되는 메쉬 구조의 나선형 블레이드(73)에 의해 무겁고 큰 입자의 휘산 증기는 각 블레이드(73)와 접촉되어 걸러지고, 가벼운 초미립자 휘산 증기는 블레이드(73)의 메쉬 구멍을 통과하여 휘산관(72)의 내측 상부로 이동되어 배출된다.
따라서, 휘산관(72)과 연통되는 덮개(80)의 중앙 배출구(8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공기 중에 산포된 상태로 멀리 퍼져 확산되므로 피톤치드의 효과가 향상된다.
그리고, 측부덕트(75) 내로 공급되는 외기는 피톤치드 입자를 포함한 공기로서, 측부덕트(75)와 연통되는 덮개(80)의 측부 배출구(8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재순환됨으로써 피톤치드의 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피톤치드 휘산장치(100)는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톤치드 희석액이 공급되고 공급된 피톤치드 희석액을 휘산 증기 형태로 휘산시키는 휘산부(240)를 갖는 본체(200)와, 본체(200)에 결합되어 휘산부(240)를 개폐시키는 덮개(300)를 포함한다.
본체(200)는 그 전면부에 휘산장치(100)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해 구비되는 패널부(230)와, 패널부(230)의 후방에 구비되어 피톤치드 희석액을 증기 형태로 휘산시키는 휘산부(240)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휘산부(240) 하부의 본체(200) 내부에는 외기를 흡입하여 휘산부(240)로 공급하기 위한 블로워(205)가 구비되고, 블로워(205)의 입구부와 연결되는 본체(200)의 하면 또는 후면에는 외기가 흡입되는 흡기구(201)가 구비된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는 흡기구(201)가 본체(200)의 후면에 형성된 것을 일례로 예시하여 설명한다.
이와 같은 흡기구(201)에는 그릴 형태의 커버(이하 "그릴커버"라 한다)(203)가 착탈가능하게 구비되고, 이 그릴커버(203)에 의해 흡기구(201)로 흡입되는 외기 중의 이물질은 1차 필터링된다.
그리고, 흡기구(201) 내부에는 외기 중의 이물질을 필터링하기 위한 헤파필터(202)가 구비되고, 이 헤파필터(202)에 의해 흡기구(201)로 흡입되는 외기 중에 섞여 있는 미세먼지와 같은 이물질은 필터링되어 걸러지고 휘산된 피톤치드 입자는 통과되므로 흡기구(201)에는 피톤치드 입자가 포함된 깨끗한 공기만이 흡입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필터링된 청정의 공기는 흡기구(201)와 후술될 휘산실(260)의 공급구(264)를 연결하는 이송로(204)를 유동하게 되고, 이송로(204)에는 미립자의 이물질이 걸러진 청정 공기 중의 유해한 세균을 살균하여 멸균 처리하기 위한 멸균수단이 구비된다.
이러한 멸균수단은 본체(200)의 이송로(204)에 멸균램프(210) 또는 플라즈마(220)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비될 수 있다.
멸균램프(210)는 멸균 효과가 우수한 UV-C 램프로서 이송로(204)의 관로를 따라 나열되게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UV-C 램프는 오존램프라고도 하며, 오존 음이온을 발생시켜 외부 공기 중의 곰팡이 등의 세균을 살균 처리하여 세균 번식을 방지하고 악취를 탈취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플라즈마(220)는 이송로(204)의 관로에 플라즈마 램프가 스크린 형태(이송로(204)의 축방향과 수직한 방향)로 구비될 수 있고, 플라즈마 램프에서 플라즈마를 외부 공기 중으로 방출하여 공기 중의 각종 세균을 살균 처리하고, 먼지 등의 유해물질을 제거하게 된다. 즉, 공기 중으로 플라즈마가 방출되면 양이온과 음이온이 생성되고, 생성된 이온은 각종 유해물질을 포위하여 세포를 파괴하여 제거하게 된다.
또한, 본체(200)의 휘산부(240)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부(230) 후방의 본체(200) 상면에 구성되어 덮개(300)에 의해 개폐되는 부분으로서, 피톤치드 희석액을 공급하는 희석액 공급실(250)과, 공급된 피톤치드 희석액을 휘산시키는 희석액 휘산실(260)을 포함한다.
희석액 공급실(250)은 피톤치드 희석액이 담수되는 희석액 용기(253)와, 희석액 용기(253)를 거치시키는 거치대(251)와, 희석액 용기(253)의 입구와 결합되어 용기(253)에 담수된 희석액을 후술될 휘산실(260)로 안내하여 공급하는 공급로(252)를 포함한다.
거치대(251)는 희석액 용기(253)를 그 내부로 수용하여 유동되지 않도록 고정시킬 수 있도록 희석액 용기(253)와 대응한 타원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고, 공급로(252)는 희석액의 원활한 공급을 위해서 바닥면이 휘산실(260) 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희석액 휘산실(260)은 희석액 공급실(250)의 공급로(252)를 통해 유입된 희석액이 담수되는 저수조(261)와, 희석액의 보충 시기를 패널부(230)에 표시하여 나타내기 위하여 저수조(261)에 담수된 희석액의 저수량을 센싱하는 저수량 센서(263)와, 저수조(261)에 담수된 희석액을 진동 효과를 이용하여 미세한 물방울 상태 즉 증기로 만드는 초음파 진동자(262)와, 초음파 진동자(262)에 의해 발생된 미세한 희석액의 휘산 증기를 실내의 대기 중으로 배출시키기 위한 바람이 공급되는 공급구(264)를 포함한다.
공급구(264)는 전술한 바와 같이, 본체(200)의 이송로(204)를 통해 흡기구(201)와 연통되게 형성된다.
이러한 공급구(264)에는 저수조(261)에 담수된 희석액의 유입을 방지하고 바람을 후술될 사이클론 커버(290)의 내주면으로 토출시켜 공급하는 덕트(280)가 결합되어 구비된다.
이와 같은 덕트(280)는 휘산실(260)의 공급구(264)에 끼워져 결합되는 결합부(281)와, 결합부(281)와 연통되게 형성되는 한편 사이클론 커버(290)의 내주면을 향해 절곡 형성된 토출부(282)를 포함한다.
이로써, 블로워(205)에 의해 본체(200) 내부로 흡입된 공기가 바람의 형태로 공급구(264)를 통해 덕트(280) 내부로 공급되고 토출부(282)를 통해 사이클론 커버(290)의 내주면으로 토출되어 공급됨으로써 사이클론 커버(290) 내부로 공급된 바람에 의해 휘산 증기의 사이클론 효과는 극대화된다.
이때, 덕트(280)의 토출부(282)는 사이클론 커버(290)의 내주면과 동일한 곡률로 절곡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휘산실(260)과 근접한 휘산부(240)의 일측에는 휘산실(260)과 격리된 예비공간(270)이 구비될 수 있고, 예비공간(270)에는 휘산장치(100)의 청소를 위한 브러쉬 등과 같은 도구 등이 보관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휘산실(260)에는 휘산실(260)을 덮는 사이클론 커버(290)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구비되고, 사이클론 커버(290)는 상하면이 개구된 원통의 중공관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사이클론 커버(290)는 휘산실(260) 내부의 덕트(280)로부터 송풍되는 바람의 풍력에 의하여 휘산 증기를 원심력에 의한 사이클론 방식으로 선회시켜 상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방향으로 이동된 휘산 증기는 사이클론 커버(290)의 천장면에 형성된 배출구(293)를 통해 배출되어 휘산된다.
특히, 상기와 같이 사이클론 커버(290)의 내부에서 원심력에 의해 선회되는 피톤치드 희석액의 휘산 증기 중 무겁고 큰 입자의 휘산 증기는 사이클론 커버(290)의 내주면과 접촉되어 걸러지고, 가볍고 작은 입자의 휘산 증기는 사이클론 커버(290)의 중심부를 통해 배출구(293)로 배출되어 실내 공간 멀리까지 휘산될 수 있다.
게다가, 사이클론 커버(290)는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내주면에 원심력에 의해 선회 이동되는 피톤치드 희석액의 휘산 증기와 접촉되는 넓은 접촉면적을 갖음과 아울러 선회 이동되는 휘산 증기를 가이드하는 나선형 블레이드(291)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나선형 블레이드(291)에 의해 사이클론 커버(290)의 내부에서 원심력에 의해 선회 이동되는 휘산 증기 중 큰 입자의 휘산 증기는 사이클론 커버(290)의 내주면과 나선형 블레이드(291)에 각각 접촉되어 걸러지므로 큰 입자의 휘산 증기가 배출되어 휘산되는 것을 효율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나선형 블레이드(291)를 메쉬 구조로 구비할 수 있고, 이 경우에는 무겁고 큰 입자의 휘산 증기는 나선형 블레이드(291)에 의해 걸러지지만, 5∼10㎛의 가벼운 초미립자의 휘산 증기는 나선형 블레이드(291)의 메쉬 구멍을 통과하여 휘산될 수 있으므로 휘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사이클론 커버(290)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내주면에 원심력에 의해 선회 이동되는 피톤치드 희석액의 휘산 증기 중 큰 입자의 휘산 증기는 걸러내고 초미립자의 휘산 증기는 통과시키는 수직형 블레이드(292)가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수직형 블레이드(292)는 사이클론 커버(290)의 내주면 하단부에서 상단부를 잇는 하나의 부재로 구비될 수도 있고, 또는 일정 길이를 갖는 다수의 수직형 단위 블레이드가 사이클론 커버(290)의 내주면 하단부에서 상단부 측으로 선회되는 나선 방향을 따라 구비될 수도 있다.
이러한 수직형 블레이드(292) 역시도 메쉬 구조로 구비하여, 무겁고 큰 입자의 휘산 증기는 수직형 블레이드(292)에 의해 걸러지고, 가벼운 초미립자의 휘산 증기는 수직형 블레이드(292)를 통과하여 휘산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는 도 10의 나선형 블레이드(291)와 도 12의 수직형 블레이드(292)를 조합하여 구비할 수도 있다.
즉, 나선형 블레이드(291)에 의해 형성되는 나선형 유로를 수직형 블레이드(292)가 가로막도록 구비되면, 사이클론 커버(290)의 내부를 원심력에 의해 선회 이동하는 휘산 증기 중 무겁고 큰 입자의 휘산 증기는 원심력에 의해 사이클론 커버(290)의 내주면과 나선형 블레이드(291)에서 걸러지고, 중간 크기 입자의 휘산 증기는 나선형 블레이드(291)와 수직형 블레이드(292)에서 걸러지며, 가벼운 초미립자의 휘산 증기는 나선형 블레이드(291)와 수직형 블레이드(292)의 메쉬 구멍을 통과하여 휘산되게 된다.
따라서, 무겁고 큰 입자는 물론 중간 크기 입자의 휘산 증기마저도 사이클론 커버(290) 내에서 확실히 걸러내 초미립자의 휘산 증기만 외부로 휘산되도록 함으로써 휘산된 피톤치드 희석액에 의한 휘산장치(100) 및 휘산장치(100) 주변의 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메쉬 구조의 나선형 블레이드(291)와 수직형 블레이드(292)는 동일한 메쉬 입도를 갖도록 구비될 수도 있지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나선형 블레이드(291)는 300 메쉬 이하로, 수직형 블레이드(292)는 500 메쉬 이하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나선형 블레이드(291)에서는 큰 입자의 휘산 증기를 걸러내고, 수직형 블레이드(292)에서는 중간 크기 입자의 휘산 증기를 걸러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덮개(300)는 본체(200)의 휘산부(240)를 덮어 가릴 수 있도록 형성되고, 그 상면에는 사이클론 커버(290)의 배출구(293)와 연통되는 배출구(301)가 형성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피톤치드 휘산장치의 작동관계를 설명한다.
먼저, 휘산장치(100)의 사용시는 본체(200)로부터 덮개(300)를 분리하여 개방한 상태에서 피톤치드 희석액이 담겨져 있는 희석액 용기(253)의 입구부를 공급실(250)의 거치대(251) 바닥면을 향하도록 하여 거치대(251)에 끼워 결합시킨다.
그러면, 희석액 용기(253)로부터 흘러나오는 희석액이 공급로(252)를 통해 휘산실(260)의 저수조(261)로 유입되어 담수된다.
이 상태에서 개방한 덮개(300)를 다시 본체(200)에 씌워 결합한 후, 패널부(230)를 통해 휘산장치(100)를 작동시키면, 본체(200)의 내측 하부에 구비된 블로워(205)와, 휘산실(260)의 초음파 진동자(262) 및 저수량 센서(263)에 전원이 공급되어 작동된다.
그러면, 저수량 센서(263)가 센싱 작동을 개시함과 동시에 초음파 진동자(262)가 진동을 시작하여 저수조(261)에 담수된 피톤치드 희석액을 진동시키고, 그 진동의 효과로 피톤치드 희석액이 미세한 물방울(水滴) 상태로 변환되면서 이 물방울들이 희석액 표면 상에 수렴된다
또한, 블로워(205)의 작동에 의해 본체(200) 하단부의 흡기구(201)를 통해 외기가 흡입되어 바람을 발생시키고, 발생된 바람은 본체(200)의 이송로(204)를 따라 휘산실(260)의 공급구(264)를 통해 배출된다.
이 과정 중에, 본체(200)의 흡기구(201)로 흡입되는 외기는 헤파필터(202)를 통과하면서 외기 중의 미세먼지는 걸러지고 피톤치드 입자는 공기 중에 포함되어 통과되므로 피톤치드 입자를 포함한 깨끗한 공기로 흡입되고, 헤파필터(202)를 통과한 공기는 본체(200) 내부의 이송로(204)를 통하는 과정 중에 멸균램프(210)와 플라즈마(220)를 차례로 통과하면서 공기 중의 세균이 멸균 처리되며, 악취가 탈취되고, 공기 중의 유해물질이 제거된다.
이와 같이 정화된 외기의 바람은 공급구(264)에 결합된 덕트(280)의 토출부(282)를 통해 사이클론 커버(290)의 내주면으로 토출되면서 휘산실(260) 내의 저수조(261)로 송풍된다.
이로써, 초음파 진동자(262)의 진동 작용에 의해 저수조(261)에 담수된 희석액의 표면 상에 수렴되어 있던 미세한 물방울들이 덕트(280)로부터 송풍되는 바람의 풍력에 의하여 사이클론 커버(290)의 내주면을 따라 본체(200)의 상부로 선회 이동된다.
이 과정 중에 사이클론 커버(290)의 내주면에 구비되는 메쉬 구조의 나선형 블레이드(291) 또는 수직형 블레이드(292)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한 나선형 블레이드(291)와 수직형 블레이드(292)에 의해 무겁고 큰 입자의 휘산 증기는 각 블레이드(291)(292)와 접촉되어 걸러지고, 가벼운 초미립자 휘산 증기는 블레이드(291)(292)의 메쉬 구멍을 통과하여 본체(200)의 내측 상부로 이동된다.
따라서, 사이클론 커버(290)의 천장면에 형성된 배출구(293)와 덮개(300)의 배출구(30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공기 중에 산포된 상태로 멀리 퍼져 확산되므로 피톤치드의 효과가 향상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
10 : 휘산장치 20 : 본체
21 : 흡기구 22 : 헤파필터
23 : 그릴커버 24 : 블로워
25 : 배출구 30 : 패널부
40 : 휘산부 50 : 저수조
51 : 저수부 52 : 초음파 진동자
53 : 저수량 센서 54 : 접속단자
55 : 배출관부 60 : 휘산조
61 : 공급실 62 : 쐐기
63 : 거치대 64 : 휘산실
65 : 공급로 66 : 접속단자
67 : 희석액 용기 70 : 덕트부재
71 : 중앙덕트 72 : 휘산관
73 : 나선형 블레이드 74 : 돌출부
75 : 측부덕트 80 : 덮개
81,82 : 배출구
100 : 휘산장치 200 : 본체
201 : 흡기구 202 : 헤파필터
203 : 그릴커버 204 : 이송로
205 : 블로워 210 : 멸균램프
220 : 플라즈마 230 : 패널부
240 : 휘산부 250 : 희석액 공급실
251 : 거치대 252 : 공급로
253 : 희석액 용기 260 : 희석액 휘산실
261 : 저수조 262 : 초음파 진동자
263 : 저수량 센서 264 : 공급구
270 : 예비공간 280 : 덕트
281 : 결합부 282 : 토출부
290 : 사이클론 커버 291 : 나선형 블레이드
292 : 수직형 블레이드 293 : 배출구
300 : 덮개 301 : 배출구

Claims (11)

  1. 피톤치드를 휘산시키는 피톤치드 휘산장치로서,
    휘산장치 주변의 공기를 흡입하여 배출시키는 흡기구를 갖는 본체;
    본체의 상부에 결합되고 그 내부에는 물이 충전되어 저장되는 저수조;
    저수조 내에 구비되어 초음파 진동으로 저수조 내의 물을 기화시키는 초음파 진동자;
    저수조에 구비되어 저장된 물의 저수량을 센싱하는 저수량 센서;
    저수조의 상부에 결합되고 그 내부에는 피톤치드 희석액이 공급되는 한편 피톤치드 희석액에서 피톤치드의 휘산 증기를 발생시켜 휘산시키는 휘산실을 갖는 휘산조;
    휘산조의 상부에 결합되고 그 내부에는 휘산조에서 휘산되는 피톤치드의 휘산 증기가 토출되는 휘산관을 갖는 덕트부재;
    본체에 결합되어 본체의 상부를 개폐시키고 피톤치드의 휘산 증기가 배출되는 배출구를 갖는 덮개;를 포함하고,
    저수조의 양측에는 흡기구의 헤파필터를 통해 흡입된 외기가 배출되는 배출관부가 형성되고,
    덕트부재는 그 중앙부에 휘산관이 관통되게 구비되는 중앙덕트와, 중앙덕트의 양측에 저수조의 배출관부에 결합되어 흡입된 외기를 배출시키는 측부덕트가 구비되는 피톤치드 휘산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휘산조의 휘산실은 그 하부가 저수조 내측으로 돌출되어 물에 잠기도록 구비되되,
    돌출된 휘산실의 하부는 저수조의 초음파 진동자와 인접하게 구비되어, 초음파 진동에 의해 휘산실 내의 피톤치드 희석액이 휘산되도록 구비되는 피톤치드 휘산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토출덕트의 휘산관 내주면에는 피톤치드 희석액의 휘산 증기를 가이드하는 나선형 블레이드가 구비되고, 나선형 블레이드는 초미립자의 휘산 증기가 통과할 수 있는 메쉬 구조로 구비되는 피톤치드 휘산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본체의 흡기구에는 흡입되는 외기 중의 미세먼지는 걸러내고 휘산된 초미립자의 휘산 증기는 통과되는 통기성을 갖는 헤파필터가 구비되는 피톤치드 휘산장치.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본체의 흡기구에서 측부덕트까지 외기가 이송되는 이송로에는 외기를 멸균 처리하는 멸균램프 또는 플라즈마 또는 이들이 조합되어 구비되는 피톤치드 휘산장치.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180083505A 2018-07-18 2018-07-18 개선된 초미세 피톤치드 휘산장치 KR1019260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3505A KR101926093B1 (ko) 2018-07-18 2018-07-18 개선된 초미세 피톤치드 휘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3505A KR101926093B1 (ko) 2018-07-18 2018-07-18 개선된 초미세 피톤치드 휘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6093B1 true KR101926093B1 (ko) 2018-12-06

Family

ID=646714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3505A KR101926093B1 (ko) 2018-07-18 2018-07-18 개선된 초미세 피톤치드 휘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609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64178A (ko) 2022-11-04 2024-05-13 박재영 피톤치드 항균액 분사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52355A (ja) * 2000-08-08 2002-02-19 Hayashi Seiko:Kk 微小ミスト発生装置
KR200288394Y1 (ko) 2002-06-14 2002-09-09 주식회사 코아텍 오존살균 가습기
JP2005131546A (ja) 2003-10-30 2005-05-26 Fulta Electric Machinery Co Ltd 超微粒子拡散装置
KR200438092Y1 (ko) * 2006-11-15 2008-01-21 주식회사 숲에서 소규모 공간용 피톤치드 휘산장치
KR100932543B1 (ko) 2009-09-07 2009-12-29 코코제니 피톤치드 휘산기능을 겸한 가습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52355A (ja) * 2000-08-08 2002-02-19 Hayashi Seiko:Kk 微小ミスト発生装置
KR200288394Y1 (ko) 2002-06-14 2002-09-09 주식회사 코아텍 오존살균 가습기
JP2005131546A (ja) 2003-10-30 2005-05-26 Fulta Electric Machinery Co Ltd 超微粒子拡散装置
KR200438092Y1 (ko) * 2006-11-15 2008-01-21 주식회사 숲에서 소규모 공간용 피톤치드 휘산장치
KR100932543B1 (ko) 2009-09-07 2009-12-29 코코제니 피톤치드 휘산기능을 겸한 가습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64178A (ko) 2022-11-04 2024-05-13 박재영 피톤치드 항균액 분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13073B2 (ja) ラビリンス効果に基づいて回転気化器及びらせん状構造物を利用した遠心湿式空気清浄機
JP4347012B2 (ja) 空気清浄化装置
US8728208B2 (en) Air cleaner
JP6473910B2 (ja) 除菌機能付き加湿空気清浄装置
RU2395755C2 (ru) Увлажнитель воздуха
KR102162454B1 (ko) 음이온방출, 살균 및 방향휘산 다기능 차량용 공기청정기
JP2006288453A (ja) 空気処理装置
KR102179834B1 (ko) 싸이클론 미스트 분사방식을 갖는 공기정화장치
EP3579733B1 (en) Multifunction vacuum cleaner
KR102409348B1 (ko) 공기청정 기능 및 바이러스 사멸 기능을 포함하는 워터 분사방식의 공기정화장치
KR101926093B1 (ko) 개선된 초미세 피톤치드 휘산장치
JPWO2003084671A1 (ja) ミスト供給装置
JP7174584B2 (ja) 超音波加湿器
KR101565094B1 (ko) 공기정화기
CN111417466B (zh) 液体微细化装置及换气装置、空气净化器、空气调节器
EP1843827A1 (en) Centrifugal wet type air cleaner utilizing a spin vaporizer and a spiral on the basis of a labyrinth effect
JP2020180777A (ja) 次亜塩素酸発生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空気清浄機
KR100688622B1 (ko) 가습기 및 아로마테라피 기능을 겸비한 공기 청정기
KR102328529B1 (ko) 살균 장치
KR102453466B1 (ko) 가습과 아로마 테라피 기능이 구비된 공기청정기
EP3934500B1 (en) Multifunction machine for cleaning and sanitizing surfaces and environments
KR100432064B1 (ko) 방제(防除)기능을 갖는 진공청소기
KR20090124200A (ko) 향 분사장치
KR200381109Y1 (ko) 가습기 및 아로마테라피 기능을 겸비한 공기 청정기
KR200447044Y1 (ko) 살균기능을 향상시킨 가습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