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8394Y1 - 오존살균 가습기 - Google Patents

오존살균 가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8394Y1
KR200288394Y1 KR2020020018146U KR20020018146U KR200288394Y1 KR 200288394 Y1 KR200288394 Y1 KR 200288394Y1 KR 2020020018146 U KR2020020018146 U KR 2020020018146U KR 20020018146 U KR20020018146 U KR 20020018146U KR 200288394 Y1 KR200288394 Y1 KR 20028839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zone
discharge passage
discharge
blower
f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81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성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아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아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아텍
Priority to KR20200200181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839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839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8394Y1/ko

Links

Landscapes

  • Air Humidification (AREA)

Abstract

오존을 배출통로 쪽으로 공급하여 무화된 미세 물입자에 오존이 접촉하면서 배출되므로 살균효과가 우수하고 구조가 간단하며 경량화가 가능하도록, 한쪽에는 물이 저장되는 저수조가 설치되고 다른쪽에는 무화된 미세 물입자가 배출되는 배출통로가 형성되는 통형상의 몸체와, 몸체의 배출통로 바닥쪽에 설치되고 저수조쪽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무화시키는 무화장치와, 배출통로에 연결되어 설치되고 무화된 미세 물입자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공기의 흐름을 발생시키는 송풍기와, 송풍기의 흡입구쪽에 설치되고 오존을 발생시켜 공급하는 오존발생장치와, 몸체의 배출통로 내부에 설치되고 송풍기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기의 흐름을 안내하여 무화된 미세 물입자의 배출에 소요되는 시간을 증가시키는 유로안내부재를 포함하는 오존살균 가습기를 제공한다.
유로안내부재는 스크류형상 또는 지그재그형상으로 다수의 굴곡을 갖는 관으로 형성하여 배출 유로의 길이를 증대시키는 것에 의하여 무화된 미세 물입자의 배출에 소요되는 시간을 증가시키도록 구성한다.

Description

오존살균 가습기 {Ozone Sterilization Humidifier}
본 고안은 오존살균 가습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무화되어 토출되는 미세 물입자를 오존을 이용하여 살균처리한 다음 배출시키므로 살균이 확실하게 이루어지고 소형 경량화가 가능한 오존살균 가습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습기는 실내의 습도를 적정한 수준으로 유지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기기로서, 공급된 물을 히터로 가열하여 수증기를 발생시켜 무화시키는 가열방식과 초음파발생장치를 이용하여 물을 무화시켜 배출시키는 초음파방식, 상기한 가열방식과 초음파방식을 함께 사용하는 복합방식 등이 있다.
상기한 가습기에는 무화된 미세 물입자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송풍기가 배출통로에 설치된다.
상기에서 초음파방식의 경우에는 가습기 내부에 저장된 물의 온도가 실온으로 유지될뿐만 아니라, 초음파진동이 이루어지는 부분은 물의 온도가 세균번식에 알맞는 대략 30∼40℃ 정도를 유지하므로, 각종 세균이 활발하게 번식하게 되고, 이들 세균이 무화된 미세 물입자에 묻어서 실내로 토출되어 사용자의 위생에 크게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또 가열방식의 경우에도 물을 끓이는 과정에서 살균이 이루어지지만, 수증기로 무화되어 배출되는 과정에서 다시 세균에 오염될 우려가 높다. 즉 히터가 설치되어 물이 끓는 부분에서는 살균이 행해지지만, 배출통로 부분은 살균에 필요한 80℃ 이상의 온도를 유지하지 못하므로, 배출통로 부분에 각종 세균이 번식하여 수증기에 세균이 포함되어 토출된다. 일반적으로 가열방식의 경우 초음파방식에 비하여 세균의 번식정도가 대략 30%로 낮다고 알려져 있다.
상기와 같이 사용자의 건강을 위하여 실내 습도의 적정하게 유지하는 가습기가 오히려 세균이 번식하는 장소를 제공하여 사용자의 건강을 해치는 경우가 많으므로, 최근에는 살균력이 우수한 것으로 알려진 오존을 이용하여 가습기 내부에서 살균을 행하는 방식이 많이 개발되고 있다.
종래 오존을 이용하여 살균을 행하는 가습기는 오존발생장치로부터 발생된 오존을 공기펌프를 이용하여 저수조의 바닥쪽에서 기포로 공급하도록 이루어진다. 저수조의 물 속에 기포로 공급되는 오존은 물에 용해되어 물 속의 세균에 대한 살균을 수행한다.
종래 가습기에 있어서는 오존을 저수조에 저장된 물 속에 공급하므로, 오존에 물에 용해되어 전체로 확산되는 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작동후 일정 시간이 지날 때까지는 살균효과가 제대로 발휘되지 않는다.
또 종래 가습기는 저수조에 저장된 물의 수압을 이겨내고 기포를 토출할 수 있는 정도의 압력을 필요로 하므로, 반드시 공기펌프를 사용하여야 하며, 이로 인하여 비용, 무게, 부피 등의 면에서 악영향을 미치게 되고, 상용화하기 어려운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그리고 종래 가습기는 오존발생장치를 통한 오존공급부가 저수조의 물 속에 잠겨 있으므로,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공기압이 발생하지 않아 저수조 내의 물이 오존공급부 내로 역류할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일부에서는 밸브를 설치하기도 하지만, 원가상승의 부담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오존을 배출통로 쪽으로 공급하여 무화된 미세 물입자에 오존이 접촉하면서 배출되도록 구성하므로 살균효과가 우수하고 구조가 간단하며 경량화가 가능한 오존살균 가습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오존살균 가습기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오존살균 가습기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유로안내부재를 나타내는 부분확대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유로안내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부분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유로안내부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부분단면도.
본 고안이 제안하는 오존살균 가습기는 한쪽에는 물이 저장되는 저수조가 설치되고 다른쪽에는 무화된 미세 물입자가 배출되는 배출통로가 형성되는 통형상의몸체와, 상기한 몸체의 배출통로 바닥쪽에 설치되고 상기한 저수조쪽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무화시키는 무화장치와, 상기한 배출통로에 연결되어 설치되고 무화된 미세 물입자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공기의 흐름을 발생시키는 송풍기와, 상기한 송풍기의 흡입구 또는 토출구쪽에 연결 설치되고 오존을 발생시켜 공급하는 오존발생장치와, 상기한 몸체의 배출통로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한 송풍기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기의 흐름을 안내하여 무화된 미세 물입자의 배출에 소요되는 시간을 증가시키는 유로안내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유로안내부재는 스크류형상으로 형성되어 공기의 흐름을 나선형으로 안내하므로 배출 유로의 길이를 증대시키는 것에 의하여 무화된 미세 물입자의 배출에 소요되는 시간을 증가시키도록 구성한다.
또 상기한 유로안내부재는 배출 유로의 길이를 증대시키도록 지그재그형상으로 다수의 굴곡을 갖는 관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본 고안에 따른 오존살균 가습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고안에 따른 오존살균 가습기의 일실시예는 도 1∼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쪽에는 물이 저장되는 저수조(4)가 설치되고 다른쪽에는 무화된 미세 물입자가 배출되는 배출통로(6)가 형성되는 통형상의 몸체(2)와, 상기한 몸체(2)의 배출통로(6) 바닥쪽에 설치되고 상기한 저수조(4)쪽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무화시키는 무화장치(10)와, 상기한 배출통로(6)에 연결되어 설치되고 무화된 미세 물입자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공기의 흐름을 발생시키는 송풍기(40)와, 상기한송풍기(40)의 흡입구 또는 토출구쪽에 설치되고 오존을 발생시켜 공급하는 오존발생장치(20)와, 상기한 몸체(2)의 배출통로(6)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한 송풍기(40)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기의 흐름을 안내하여 무화된 미세 물입자의 배출에 소요되는 시간을 증가시키는 유로안내부재(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오존발생장치(20)로부터 공급되는 오존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한 송풍기(40)의 토출구쪽으로 유입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며,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한 송풍기(40)의 흡입구쪽으로 유입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상기한 송풍기(40)의 흡입구쪽으로 오존이 공급되도록 연결하는 경우에는 송풍기(40)의 흡입력에 의하여 오존이 빨려들어와 배출통로(6)로 배출되고, 상기한 송풍기(40)의 토출구쪽으로 오존이 공급되도록 연결하는 경우에는 상기한 송풍기(40)로부터 토출되는 공기의 흐름에 의한 교축작용에 의하여 오존이 빨려들어와 배출통로(6)로 배출된다.
상기한 저수조(4)는 상기한 몸체(2)에 일체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별도의 부품으로 제작하여 조립하여 사용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상기한 저수조(4)를 물탱크로 제작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한 배출통로(6)는 상기한 몸체(2)에 일체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별도의 부품으로 제작하여 상기한 몸체(2)에 조립하여 형성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한 저수조(4) 및 배출통로(6)의 구성은 일반적으로 가습기에 사용하는 구성을 적용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한 무화장치(10)는 물을 무화시켜 미세한 물입자로 만들 수 있는 다양한 장치가 모두 적용가능하며, 가열에 의하여 수증기를 발생시키는 히터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초음파를 이용하여 물을 무화시키는 초음파발생장치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가열과 초음파를 겸용하여 사용하는 방식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한 무화장치(10)의 히터 및 초음파발생장치의 구체적인 구성은 일반적으로 가습기에 사용하는 히터 및 초음파발생장치를 적용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한 몸체(2)에는 무화된 미세 물입자가 외부로 토출되는 분무구(8)가 상기한 배출통로(6)와 연통되어 설치된다.
상기한 유로안내부재(30)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크류축과 같은 형상으로 형성하여 상기한 배출통로(6)에 삽입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유로안내부재(30)를 스크류축과 같은 형상으로 형성하여 배출통록(6)에 삽입하는 경우에는 스크류축 형상의 유로안내부재(30)와 배출통로(6) 사이에 나선형상의 배출 유로가 형성되고, 상기한 송풍기(40)에 의하여 강제 송풍되어 형성되는 공기의 흐름을 나선형의 배출 유로를 따라 형성된다. 따라서 직선으로 배출되는 것에 비하여 배출 유로의 길이가 크게 증대되고, 무화된 미세 물입자의 배출에 소요되는 시간이 많이 지체된다. 예를 들면 유로안내부재(30)를 스크류축 형상으로 형성하는 경우에는 직선으로 배출되는 것에 비하여 배출 유로의 길이가 대략 10배 정도 길어지게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상기한 유로안내부재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출 유로의 길이를 증대시키기 위하여 지그재그형상으로 다수의 굴곡을 갖는 관(32)으로 형성하여 상기한 배출통로(6)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한 유로안내부재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한 배출통로(6)의 내면에 나선형상으로 돌출하여 형성되는 나선돌기(34)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 중앙부가 공동(빈공간)으로 형성되어도 상기한 나선돌기(34)를 따라 공기의 흐름이 형성되므로 무화된 미세 물입자가 공동으로 형성된 중앙부를 따라 직접 외부로 배출되는 일은 발생하지 않는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따른 오존살균 가습기에 있어서 살균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가 전원을 온시켜 작동을 개시하면, 상기한 무화장치(10)의 히터가 가열되어 물을 증발시켜 무화시키거나 초음파발생장치가 초음파진동하여 물을 무화시키게 되고, 무화된 미세 물입자는 상기한 배출통로(6)로 유입된다. 그리고 상기한 오존발생장치(20)가 작동하여 오존을 생성하고, 생성된 오존은 상기한 송풍기(40)의 강제 송풍에 의한 공기의 흐름을 따라 배출통로(6)쪽으로 유입된다.
상기와 같이 배출통로(6)로 유입되는 무화된 미세 물입자와 오존은 서로 혼합되면서 송풍기(40)에 의하여 발생하는 공기의 흐름을 따라 상기한 유로안내부재(30)의 안내대로 이동하여 분무구(8)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에서 유로안내부재(30)에 의하여 형성되는 긴 배출 유로를 따라 무화된 미세 물입자와 오존이 함께 이동하는 동안, 오존과 미세 물입자 사이에 서로 충분하게 접촉이 이루어지고, 완전하게 오존에 의한 살균이 이루어진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오존살균 가습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와 고안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에 따른 오존살균 가습기에 의하면, 미세한 물입자에 오존이 접촉하므로 물입자 전체에 오존이 용해되어 확산되는 데 매우 짧은 시간이 소요되어 작동 초기부터 확실하게 살균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오존살균 가습기에 의하면, 무화된 미세 물입자가 배출되는 유로가 길게 형성되므로 모든 물입자가 오존과 접촉할 수 있는 시간을 충분하게 가질 수 있어 거의 완벽하게 살균이 이루어진다.
또 본 고안에 따른 오존살균 가습기에 의하면, 오존을 저수조에 저장된 물 속에 공급하는 것이 아니므로, 공기펌프를 설치할 필요가 없고, 기존에 무화된 미세 물입자를 배출하기 위하여 사용하던 송풍기를 이용하여 오존을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여 부품의 절감이 이루어지고, 공기펌프를 설치하기 위한 공간이 필요하지 않아 소형화 및 경량화가 가능하다.
그리고 종래 가습기의 경우에는 오존을 공급하기 위한 구성이 물 속에 설치되므로, 유기물에 의해 오존공급구멍이 막힐 우려가 있고, 주기적으로 미세한 구멍에 대한 청소를 행하여야 했지만, 본 고안에 따른 오존살균 가습기의 경우에는 이러한 우려 및 번거로움이 전혀 없다.
또 종래 가습기의 경우에는 배출통로의 중간에 필터를 장착하여 더욱 미세하게 물입자를 분해하고 배출통로에 지체하는 시간을 길게 하여 오존의 미세 물입자에 대한 용해도를 높이는 방식도 채택하고 있지만, 이 경우에는 필터를 사용하더라도 지체시간을 충분하게 길게하는 효과가 미흡하고 청소를 주기적으로 해주어야만 하며 자주 필터를 교체해주어야 한다. 그러나 본 고안에 따른 오존살균 가습기의 경우에는 필터를 사용하지 않고도 배출통로에서의 지체시간을 충분하게 길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여 미세 물입자와 오존의 접촉이 충분하게 이루어지며, 완전한 살균이 이루어진다.

Claims (4)

  1. 한쪽에는 물이 저장되는 저수조가 설치되고 다른쪽에는 무화된 미세 물입자가 배출되는 배출통로가 형성되는 통형상의 몸체와,
    상기한 몸체의 배출통로 바닥쪽에 설치되고 상기한 저수조쪽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무화시키는 무화장치와,
    상기한 배출통로에 연결되어 설치되고 무화된 미세 물입자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공기의 흐름을 발생시키는 송풍기와,
    상기한 송풍기의 흡입구 또는 토출구쪽에 연결 설치되고 오존을 발생시켜 공급하는 오존발생장치와,
    상기한 몸체의 배출통로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한 송풍기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기의 흐름을 안내하여 무화된 미세 물입자의 배출에 소요되는 시간을 증가시키는 유로안내부재를 포함하는 오존살균 가습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유로안내부재는 스크류축 형상으로 형성하여 상기한 배출통로에 삽입 설치되는 오존살균 가습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유로안내부재는 배출 유로의 길이를 증대시키기 위하여 지그재그형상으로 다수의 굴곡을 갖는 관으로 형성하여 상기한 배출통로에 설치하는 오존살균 가습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유로안내부재는 상기한 배출통로의 내면에 나선형상으로 돌출하여 형성되는 나선돌기로 이루어지는 오존살균 가습기.
KR2020020018146U 2002-06-14 2002-06-14 오존살균 가습기 KR20028839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8146U KR200288394Y1 (ko) 2002-06-14 2002-06-14 오존살균 가습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8146U KR200288394Y1 (ko) 2002-06-14 2002-06-14 오존살균 가습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8394Y1 true KR200288394Y1 (ko) 2002-09-09

Family

ID=731247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8146U KR200288394Y1 (ko) 2002-06-14 2002-06-14 오존살균 가습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839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6093B1 (ko) 2018-07-18 2018-12-06 주식회사 숲에서 개선된 초미세 피톤치드 휘산장치
KR20210127584A (ko) * 2020-04-14 2021-10-22 권오범 가습기의 습기 가열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6093B1 (ko) 2018-07-18 2018-12-06 주식회사 숲에서 개선된 초미세 피톤치드 휘산장치
KR20210127584A (ko) * 2020-04-14 2021-10-22 권오범 가습기의 습기 가열장치
KR102474015B1 (ko) * 2020-04-14 2022-12-05 권오범 가습기의 습기 가열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57751B2 (en) Sterilizing apparatus and method using high pressure steam
WO2012132596A1 (ja) プラズマ発生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洗浄浄化装置
KR101743032B1 (ko) 초음파 가습기
US10036565B2 (en) Humidifying apparatus
US10144561B2 (en) Humidifying apparatus
KR20100011542U (ko) 살균수 분무 장치
JP2003169842A (ja) 次亜塩素酸水溶液による殺菌方法および殺菌装置
KR200288394Y1 (ko) 오존살균 가습기
CN107744909A (zh) 一种雾化器
JP2007162997A (ja) ドライフォグ発生装置
KR100660651B1 (ko) 세정노즐 살균기능을 구비하는 비데기
KR102370130B1 (ko) 오존수를 활용한 세정장치
KR101457063B1 (ko) 공기청정기 및 그 공기청정기를 이용한 공기청정화 방법
JP2020051701A (ja) 超音波加湿器
JPH0332364B2 (ko)
US20230069531A1 (en) Bidet, toilet cover plate, and intelligent toilet
KR20080101663A (ko) 사우나용 마이너스 이온 미스트 발생장치
JP2007313437A (ja) 気体混入水生成装置及び加湿装置
KR20110037432A (ko) 휴대용 약액 분무장치
KR200270028Y1 (ko) 음료수용기를 수조로 이용하는 가습기
CN220689259U (zh) 一种用于空气净化设备的加湿雾化组件
CN215507499U (zh) 一种便于清洁污垢的雾化箱
JP4527483B2 (ja) ネブライザー、ネブライザーを搭載した環境調整装置及びネブライザーの殺菌方法
CN212975646U (zh) 一种液体雾化器
CN216130290U (zh) 一种马桶循环除臭系统及马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