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37432A - 휴대용 약액 분무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약액 분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37432A
KR20110037432A KR1020090094873A KR20090094873A KR20110037432A KR 20110037432 A KR20110037432 A KR 20110037432A KR 1020090094873 A KR1020090094873 A KR 1020090094873A KR 20090094873 A KR20090094873 A KR 20090094873A KR 20110037432 A KR20110037432 A KR 201100374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emical liquid
ultrasonic vibrator
chemical
sprayed
sp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48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치현
조진환
Original Assignee
김치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치현 filed Critical 김치현
Priority to KR10200900948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37432A/ko
Publication of KR201100374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743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03Atomisers or mist blowers
    • A01M7/0017Portable atomisers, e.g. knapsack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0012Apparatus for achieving spraying before discharge from the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03Atomisers or mist blow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82Undercarriages, frames, mountings, couplings, tanks
    • A01M7/0085Tan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including air-liquid contact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7/00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 B05B17/04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operating with special methods
    • B05B17/06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operating with special methods using ultrasonic or other kinds of vibrations
    • B05B17/0607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operating with special methods using ultrasonic or other kinds of vibrations generated by electrical means, e.g. piezoelectric transducers
    • B05B17/0615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operating with special methods using ultrasonic or other kinds of vibrations generated by electrical means, e.g. piezoelectric transducers spray being produced at the free surface of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n a container and subjected to the vib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3Dispensing or storing means for active compoun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00Fishing, trapping, and vermin destroying
    • Y10S43/90Liquid insecticide spraye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pecial Spray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체의 한쪽에는 팬을 설치하면서 중앙에는 약액통을 설치하여 약액통의 하단으로 통로가 형성되도록 하고, 하면에는 몰딩 형성한 초음파 진동자 유니트를 설치하여 미립자의 상태로 분무되는 약액이 팬에 의해 다른 쪽의 배출구를 경유하여 입구에 철크롬망을 설치한 분사관을 통하여 전방으로 분무되도록 함으로써 초음파 진동자 유니트의 수명이 연장되고 팬에 의해 분무되는 약액의 양이 많아지도록 하며 열을 발생하는 철크롬망에 의해 분무되는 약액의 입자가 분리되면서 안개와 같은 상태로 전방에 골고루 퍼져 소독의 효과가 커지도록 한 휴대용 약액 분무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본 발명은,
본체의 한쪽에는 팬을 설치하고,
상기 본체의 중앙 위쪽에는 보충구를 구비한 약액통을 설치하고,
상기 약액통의 하단에 형성한 공급구를 통해 일정한 양의 약액이 공급되도록 하고,
상기의 공급구를 통해 공급되는 약액은 본체의 하면에 설치한 초음파 진동자 유니트에 의해 미립자의 상태로 분무되도록 하고,
상기 초음파 진동자 유니트는 진동구동장치와 크리스털로 코팅한 진동자를 케이스의 내부에 일체로 몰딩하면서 형성하여 조립공정 및 A/S가 용이하면서 진동자의 수명이 연장되도록 하고,
상기의 분무되는 약액은 초음파 진동자 유니트와 약액통 사이의 통로를 통해 흐르는 팬에 의한 공기의 흐름에 의해 배출구를 통해 상승되도록 하고,
상기의 배출구를 통해 상승한 분무되는 약액은 분무관의 입구에 설치된 철크롬망의 발열하는 열에 의해 철크롬망을 경유하여 중에 물방울로 뭉쳐지지 않으면서 더 작은 미립자로 분리되어 분무관을 통해 전방으로 분사되도록 함으로써 전방의 넓은 범위를 소독할 수 있으며 약액을 분무한 후 약액통에 물을 부어 진동자를 세척할 수 있으며 분사관을 통하여 안개와 같은 상태로 전방에 골고루 퍼져 소독의 효과가 커지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약액통, 초음파 진동자, 철크롬망, 분무

Description

휴대용 약액 분무장치{liquid sprayer}
본 발명은 휴대용 약액 분무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본체의 한쪽에는 팬을 설치하면서 중앙에는 약액통을 설치하여 약액통의 하단으로 통로가 형성되도록 하고, 하면에는 몰딩 형성한 초음파 진동자 유니트를 설치하여 미립자의 상태로 분무되는 약액이 팬에 의해 다른 쪽의 배출구를 경유하여 입구에 철크롬망을 설치한 분사관을 통하여 전방으로 분무되도록 함으로써 초음파 진동자 유니트의 수명이 연장되고 팬에 의해 분무되는 약액의 양이 많아지도록 하며 열을 발생하는 철크롬망에 의해 분무되는 약액의 입자가 분리되면서 안개와 같은 상태로 전방에 골고루 퍼져 소독의 효과가 커지도록 한 휴대용 약액 분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환경의 오염이나 별충해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많은 노력이 있어 왔으며 그의 한 가지 방법으로 주변에 사람이나 가축에 해를 입히는 해로운 인자들을 없애거나 막기 위하여 살충제 등의 약액을 살포하는 것이다.
그러나 약액을 살포하여야 하는 범위가 너무 넓어서 큰 압력으로 분무하는 방법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한 분무는 가정이나 사무실 등의 공간에서도 이루어져야 하며 이 경우에 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많은 휴대용 분무기가 제공되고 있는 실정이다.
종래에는 가스로 작동되는 약액분무시스템이 제안되어 사용되었으며,
이는, 약액을 프로판, 프로펠렌, 부탄 등과 같은 저급 탄화수소와 함께 압력용기에 함께 넣고, 사용시에 노즐을 열면, 저급탄화수소와 약액이 노즐을 통하여 함께 분출되어 공기 중으로 분사시켜서 사용하여 왔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시스템에서는 폭발성이 크고, 인화성이 대단히 클 뿐만 아니라, 인체에 해로운 저급 탄화수소를 사용하기 때문에 그 취급에 대단히 주의를 요하였으며, 넓은 공간에서는 그 사용이 제한되어 왔다.
그리고 2005년05월06일 출원번호 10-2005-0037803호(플래쉬 분무공정)가 제안되었으며,
이는, 펌프를 이용하여 대상 액체를 포화 압력으로 가압하여 가열 장치로 이송하고, 상기 가열 장치에서 대상 액체를 포화 압력 상태로 포화증기온도까지 가열하는 단계와;
상기 가열된 대상 액체를 포화압력 및 포화증기온도 상태에서 노즐까지 이송하여, 대상 액체를 노즐 출구에서 정한 분무각으로 분무실로 분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하였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분무장치에 의하여서는 보일러에서 액액이나 물을 가열시키면서 발생하는 압력으로 약액을 직접 가열하여 분무하는 방법이므로 일부 약액을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2006년 06월 16일자 특허출원 제10-2006-0054286호(분무장치)가 제안되 었으며,
이는, 물통과 펌프가 제 1 급수관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펌프와 보일러가 제 2 급수관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보일러와 스팀분사노즐이 스팀관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스팀분사노즐에 대해 90도 각도로 약액노즐이 근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약액노즐이 약액 이송관에 의해 약액통과 연결하여 구성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분무장치에 의하여서는 보일러에서 물을 가열시키면서 발생하는 압력으로 증기와 약액을 혼합하여 분무하도록 하였으나, 보일러에서 분무되기 위한 노즐과 약액에서 약액을 공급하는 출구가 직각으로 교차하여야 하므로 약액을 공급하는 흡입력이 충분하지 못하여 약액의 원활한 공급이 용이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므로 필요한 펌핑 압력을 얻기 위하여 많은 에너지가 필요하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그리고 1999년 09월 27일자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1999-0020727호(휴대용 살충약액 분무기)가 제안되었으며,
이는, 손잡이를 형성한 본체의 내부에 약액통과 운무통을 내장하도록 하고,
상기 약액통에는 펌프로 약액을 직접분사하도록 하며,
상기 운무통은 그 하단에 초음파진동자를 내장하고 팬을 연결하여 상기 약액통으로부터 공급받는 약액을 초음파진동자로 진동시키면서 팬의 풍력으로 구름형의 약액을 분무하도록 하여 필요에 따라 손잡이에 형성한 스위치의 조작으로 약액을 미립자 또는 운무 형태로 분무하도록 하여 약액의 살충효과를 높이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휴대용 살충약액 분무기에 의하여서는 단순히 초음파진동자로 약액을 분무하는 상태에서는 멀리 분무되지 않으면서 분무하는 주위에 물방울 상태의 약액이 떨어지게 되는 현상이 발생함은 물론, 약액만 분무하는 중에 초음파 진동자가 약액의 입자로 인해 진동자의 수명이 짧아지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2005년 06월 22일자 특허출원 제10-2005-0054051호(살균형 가습기)가 제안되었으며,
이는, 무화입자를 제조하기 위한 물을 공급하는 수조;
열풍연결공급구가 노출되고 저면에 필요에 따라 초음파 진동자 및/또는 히터가 배치된 무화조;
상기 수조에서 무화조에 적절한 수량의 물을 흘러보내기 위한 유로수단;
상기 무화조에 살균된 공기를 송풍하기 위하여 한 개 이상의 종방향 통로를 가진 길다란 보디와 상기 보디의 종방향 통로 입구측에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팬으로 된 공기유입수단;
상기 보디의 종방향 통로 출구와 밀봉연결되고 상기 무화조에 개구부가 노출된 열풍 연결공급구;
상기 무화조에 설치된 무화입자 배출구;
전원부;
상기 전원부로부터 전기로 작동하는 부위에 전류를 공급하는 전류회로;
상기 전기로 작동하는 부위에 전류흐름을 제어하는 전기제어수단들로 구성함 으로써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서 적용이 용이하면서도 지속적으로 실내의 공기를 살균하고 가습기내의 세균번식을 막아 무균 상태의 무화 입자를 분무하여 실내의 생활 환경을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으므로 가습기가 가지는 세균번식이란 본질적인 문제를 완전하게 해결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살균형 가습기에 의하여서는 분무되는 물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외부를 살균할 수 없음은 물론 팬에 의해 외부로 배출되는 무화입자의 양을 극대화할 수 없으며 분무되는 물이 수결되어 주변에 습도가 많아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본체의 한쪽에는 팬을 설치하면서 중앙에는 약액통을 설치하여 약액통의 하단으로 통로가 형성되도록 하고, 하면에는 몰딩 형성한 초음파 진동자 유니트를 설치하여 미립자의 상태로 분무되는 약액이 팬에 의해 다른 쪽의 배출구를 경유하여 입구에 철크롬망을 설치한 분사관을 통하여 전방으로 분무되도록 함으로써 초음파 진동자 유니트의 수명이 연장되고 팬에 의해 분무되는 약액의 양이 많아지도록 하며 열을 발생하는 철크롬망에 의해 분무되는 약액의 입자가 분리되면서 안개와 같은 상태로 전방에 골고루 퍼져 소독의 효과가 커지도록 한 휴대용 약액 분무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휴대용 약액 분무장치는,
상기 본체의 중앙 위쪽에는 보충구를 구비한 약액통을 설치하고,
상기 약액통의 하단에 형성한 공급구를 통해 일정한 양의 약액이 공급되도록 하고,
상기의 공급구를 통해 공급되는 약액은 본체의 하면에 설치한 초음파 진동자 유니트에 의해 미립자의 상태로 분무되도록 하고,
상기 초음파 진동자 유니트는 진동구동장치와 크리스털로 코팅한 진동자를 케이스의 내부에 일체로 몰딩하면서 형성하여 조립공정 및 A/S가 용이하면서 진동자의 수명이 연장되도록 하고,
상기의 분무되는 약액은 초음파 진동자 유니트와 약액통 사이의 통로를 통해 흐르는 팬에 의한 공기의 흐름에 의해 배출구를 통해 상승되도록 하고,
상기의 배출구를 통해 상승한 분무되는 약액은 분무관의 입구에 설치된 철크롬망의 발열하는 열에 의해 철크롬망을 경유하여 중에 물방울로 뭉쳐지지 않으면서 더 작은 미립자로 분리되어 분무관을 통해 전방으로 분사되도록 함으로써 전방의 넓은 범위를 소독할 수 있으며 약액을 분무한 후 약액통에 물을 부어 초음파 진동자 유니트를 세척할 수 있으며 분사관을 통하여 안개와 같은 상태로 전방에 골고루 퍼져 소독의 효과가 커지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약액 분무장치에 의하여서는 본체의 한쪽에 설치한 팬에 의해 발생하는 공기의 흐름이 약액통과 초음파 진동자 유니트의 사이 를 통과하는 중에 초음파 진동자 유니트에서 분무되는 약액을 배출구를 통해 상승시키도록 하여 분무되는 약액의 보다 많은 양을 배출하도록 하고,,
상기 초음파 진동자 유니트는 진동구동장치와 크리스털로 코팅한 진동자를 케이스의 내부에 일체로 몰딩하면서 형성하여 조립공정 및 A/S가 용이하면서 진동자의 수명이 연장되도록 하고,
상기의 배출구를 통해 상승한 분무되는 약액은 분무관의 입구에 설치된 철크롬망의 발열하는 열에 의해 철크롬망을 경유하여 중에 물방울로 뭉쳐지지 않으면서 더 작은 미립자로 분리되어 분무관을 통해 전방으로 분사되므로 안개와 같은 상태로 전방에 골고루 퍼져 소독의 효과가 커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약액 분무장치는,
본체(1)의 한쪽에는 팬(2)을 설치하고,
상기 본체(1)의 중앙에는 보충구(4)를 구비한 약액통(3)을 설치하고,
상기 약액통(3)의 하단에 형성한 공급구(5)를 통해 일정한 양의 약액이 공급되도록 하고,
상기의 공급구(5)을 통해 공급되는 약액은 초음파 진동자 유니트(10)에서 약액을 미립자의 상태로 분무하도록 하고,
상기 초음파 진동자 유니트(10)는 진동구동장치(11)와 크리스털로 코팅한 진 동자(12)를 케이스(13)의 내부에 일체로 몰딩하면서 설치하여 조립공정 및 A/S가 용이하면서 진동자(12)의 수명이 연장되도록 하고,
상기 초음파 진동자 유니트(10)의 상면에는 격자형 격벽(14)을 설치하여 이동시에도 약액의 출렁거림으로 인한 약액의 수위가 너무 높거나 약액이 없는 상태에서 진동자(13)가 작동하게 되는 현상을 방지하도록 하고,
상기의 분무되는 약액은 초음파 진동자 유니트(10)와 약액통(3) 사이의 통로(6)를 통해 흐르는 팬(2)에 의한 공기의 흐름에 의해 배출구(7)를 통해 상승되도록 하고,
상기의 배출구(7)를 통해 상승한 분무되는 약액은 토출부(20)의 분무관(21)의 입구에 설치된 철크롬망(22)의 발열하는 열에 의해 철크롬망(22)을 경유하여 중에 물방울로 뭉쳐지지 않으면서 더 작은 미립자로 분리되어 분무관을 통해 전방으로 멀리 그리고 넓게 분사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약액통(3)이 설치되는 위치의 본체(1)에는 받침편(8)을 형성하여 그 하단에 통로(6)가 형성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초음파 진동자 유니트(10)의 설치위치에는 배수구(9)를 형성하여 약액의 분무를 마친 후에 물을 분무시키면서 배수구(9)를 통해 배수시키면서 청소를 할 수 있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동작을 위한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서,
전원키와 시작키 및 종료키의 키입력부(31)를 통하여 사용자의 선택 사양을 입력받으면서 전원공급부(32)를 통한 전원으로 동작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30)는 발열부(33)를 통하여 철크롬망(22)에 전류를 공급하여 발열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동시에 구동부(34)에 의하여 전원공급부(32)를 통한 전원이 초음파 진동자 유니트(10)로 공급되도록 하여 진동구동장치(11)를 거쳐 진동자(12)를 작동하여 약액의 분무가 행하여 지도록 하고,
팬 구동부(35)를 통하여 팬(2)을 구동하면서 분무되는 약액을 배출시키도록 구성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의 휴대용 약액 분무장치는,
본체(1)의 중앙에 설치하는 약액통(3)에 보충구(4)를 통하여 약액을 보충하여 본체(1)의 받침편(8)에 고정 설치하여 하단에 통로(6)가 형성되도록 한다.
그 상태에서 키입력부(31)의 전원키와 시작키 및 종료키를 통하여 선택 사양을 입력받는 마이크로 프로세서(30)에 처음 전원키와 시작키가 온 됨을 인식하면 발열부(33)를 통하여 철크롬망(22)에 전류를 공급하여 발열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의 발열부(33)를 통하여 철크롬망(22)에 공급되는 전원은 철크롬망(22)이 50∼60℃ 정도의 온도를 유지할 수 있을 정도의 저전류를 공급하므로 분무되는 약액을 통한 부작용은 없게 된다.
상기 공급구(5)을 통해 약액을 공급받는 초음파 진동자 유니트(10)에는 구동부(34)를 통한 전원이 공급되어 약액을 미립자의 상태로 분무하도록 한다.
즉, 초음파 진동자 유니트(10)는 전원공급부(32)를 통한 전원이 진동구동장치(11)로 공급되어 크리스털로 코팅한 진동자(12)로 전달되면서 진동자(12)의 떨림에 의한 분무가 일어나도록 한다.
상기 초음파 진동자 유니트(10)의 진동구동장치(11)와 크리스털로 코팅한 진동자(12)를 케이스(13)에 내장하면서 몰딩하면서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조립공정 및 A/S가 용이하면서 진동자(12)의 수명이 연장되도록 한다.
그러므로 일반 초음파 진동자의 수명이 1200시간 정도이었으나, 케이스(13)에 진동자(12)를 일체로 몰딩한 초음파 진동자 유니트(10)를 사용한 결과 그 수명이 2500시간으로 연장된다.
상기 초음파 진동자 유니트(10)의 상면에 형성한 격자형 격벽(14)에는 항상 일정한 양의 약액이 존재하게 되므로 이동시에 진동이 발생하여도 약액이 없거나 많아지면서 발생하게 되는 오류를 없앤 것이다.
그러므로 팬 구동부(35)에 의해 회전하는 팬(2)에 의해 발생하는 공기의 흐름이 초음파 진동자 유니트(10)에 의해 생성되는 약액의 분무가 배출구(7)를 통해 상승되도록 한다.
상기의 배출구(7)를 통해 이동하는 약액의 분무는 토출부(20)의 분무관(21)의 입구에 설치된 철크롬망(22)의 발열하는 열에 의해 철크롬망(22)을 경유하여 중에 물방울로 뭉쳐지지 않으면서 더 작은 미립자로 분리된 후 분무관(21)을 통해 전방으로 멀리 그리고 넓게 분사된다.
소독을 마치면서 사용자가 약액통(3)에 물을 넣은 후 종료키를 온 시키면, 이를 인식한 마이크로 프로세서(30)가 초음파 진동자 유니트(10)에 의해 분무되는 물의 분무가 배출구(7)와 토출부(20)를 세척하도록 하면서 일부는 진동자(12)에 묻은 약액 성분을 세척하여 배수구(9)로 배수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초음파 진동자 유니트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본체 2 : 팬
3 : 약액통 6 : 통로
7 : 배출구 10 : 초음파 진동자 유니트
13 : 케이스 14 : 격자형 격벽
20 : 토출부 21 : 분무관
22 : 철크롬망

Claims (4)

  1. 본체(1)의 한쪽에는 팬(2)을 설치하고,
    상기 본체(1)의 중앙에는 보충구(4)를 구비한 약액통(3)을 설치하고,
    상기 약액통(3)의 하단에 형성한 공급구(5)를 통해 일정한 양의 약액이 공급되도록 하고,
    상기의 공급구(5)을 통해 공급되는 약액은 초음파 진동자 유니트(10)에서 미립자의 상태로 분무하도록 하고,
    상기 초음파 진동자 유니트(10)와 약액통(3) 사이의 통로(6)와 연결된 배축구(7)를 통해 팬(2)에 의한 공기의 흐름이 약액을 이동시키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약액 분무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 진동자 유니트(10)의 상면에는 격자형 격벽(14)을 설치하여 이동 중에도 안정된 약액의 수위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약액 분무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7)를 통해 상승한 분무되는 약액은 토출부(20)의 분무관(21)의 입구에 설치된 철크롬망(22)을 경유하는 중에 더 작은 미립자로 분리되 구성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약액 분무장치.
  4. 초음파 진동자 유니트(10)는 진동구동장치(11)와 크리스털로 코팅한 진동자(12)를 케이스(13)의 내부에 일체로 몰딩하면서 형성하여 조립공정 및 A/S가 용이하면서 진동자(12)의 수명이 연장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약액 분무장치.
KR1020090094873A 2009-10-07 2009-10-07 휴대용 약액 분무장치 KR2011003743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4873A KR20110037432A (ko) 2009-10-07 2009-10-07 휴대용 약액 분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4873A KR20110037432A (ko) 2009-10-07 2009-10-07 휴대용 약액 분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7432A true KR20110037432A (ko) 2011-04-13

Family

ID=440449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4873A KR20110037432A (ko) 2009-10-07 2009-10-07 휴대용 약액 분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3743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396928A (zh) * 2014-12-05 2015-03-11 重庆利贞元农林科技有限公司 一种小车式果树定向喷药装置
KR20190079933A (ko) 2017-12-28 2019-07-08 광주대학교산학협력단 분말소금 분사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396928A (zh) * 2014-12-05 2015-03-11 重庆利贞元农林科技有限公司 一种小车式果树定向喷药装置
KR20190079933A (ko) 2017-12-28 2019-07-08 광주대학교산학협력단 분말소금 분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9977B1 (ko) 입자 분무형 몸소독기
US7959859B2 (en) Ultrasonic sanitation device and associated methods
KR101389823B1 (ko) 살균가습 및 공기정화 기능을 갖는 가습기
KR20120106417A (ko) 차량용 살균 소독장치
KR101157641B1 (ko) 고주파를 이용한 연무 소독 장치
KR20210001365U (ko) 멸균제 분해장치가 구비된 공간 및 표면 소독 시스템
KR20160097491A (ko) 약제 희석기능을 갖는 휴대용 분무기
CN112618760A (zh) 一种喷洒装置
KR20110037432A (ko) 휴대용 약액 분무장치
CN214260125U (zh) 一种消毒机
US20080029614A1 (en) Mist-Spraying Apparatus
KR101346651B1 (ko) 살균 가습기
CN207445243U (zh) 一种温控雾化处理装置
JP2001033070A (ja) 加湿器
US20220096689A1 (en) Portable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apparatus for sterilizing and disinfecting space
CN113456869B (zh) 一种烟雾消毒、杀虫方法及装置
KR20140034356A (ko) 살균 가습 기능을 갖는 가습기
KR102350106B1 (ko) 공간 살균 방역용 휴대형 살균방역 장치
JP2023545226A (ja) ポータブル除菌器
KR102355430B1 (ko) 마이크로버블 고압분무기
KR102345583B1 (ko) 비가열식 방제기 시스템
JP3916935B2 (ja) 空調設備
JP3236063U (ja) 寒冷地対応型除菌液霧化装置
KR20100134158A (ko) 히터를 이용한 연무장치
CN214129648U (zh) 一种喷洒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