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0106B1 - 공간 살균 방역용 휴대형 살균방역 장치 - Google Patents

공간 살균 방역용 휴대형 살균방역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0106B1
KR102350106B1 KR1020210032366A KR20210032366A KR102350106B1 KR 102350106 B1 KR102350106 B1 KR 102350106B1 KR 1020210032366 A KR1020210032366 A KR 1020210032366A KR 20210032366 A KR20210032366 A KR 20210032366A KR 102350106 B1 KR102350106 B1 KR 1023501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rilization
device body
disinfection
chemical solution
chem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23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철규
Original Assignee
(주)엘지에스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지에스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엘지에스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10202100323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0106B1/ko
Priority to US17/383,473 priority patent/US20220096689A1/en
Priority to CN202110991970.2A priority patent/CN114322183A/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01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01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22Phase substances, e.g. smokes, aerosols or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08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 B05B12/12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responsive to conditions of ambient medium or target, e.g. humidity, temperature position or movement of the target relative to the spray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02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24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with means, e.g. a container,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a discharge device
    • B05B7/2489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with means, e.g. a container,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a discharge device an atomising fluid, e.g. a gas, being supplied to the discharge device
    • B05B7/2491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with means, e.g. a container,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a discharge device an atomising fluid, e.g. a gas, being supplied to the discharge device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producing or supplying the atomising fluid, e.g. air hoses, air pumps, gas containers, compressors, fans, ventilators, their dr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24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with means, e.g. a container,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a discharge device
    • B05B7/2489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with means, e.g. a container,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a discharge device an atomising fluid, e.g. a gas, being supplied to the discharge device
    • B05B7/2494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with means, e.g. a container,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a discharge device an atomising fluid, e.g. a gas, being supplied to the discharge device a liquid being supplied from a pressurized or compressible container to the discharge devi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5Biocide distribution means, e.g. nozzles, pumps, manifolds, fans, baffles, spray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단순 살충 방역이 아닌 공간 살균 방역을 행할 수 있고, 초미세화 분무와 정확한 지향 분무 및 분무 거리의 확장이 가능하고, 휴대가 가능하여 자유롭게 공간 이동하면서 효과적으로 살균 방역할 수 있는 공간 살균 방역용 휴대형 살균방역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살균방역 약액을 저장하고, 저장된 살균방역 약액을 하기 살균방역 장치부로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약액 공급 장치부; 및 약액 공급 라인을 통해 상기 약액 공급 장치부와 연결되어 상기 약액 공급 장치부로부터 살균방역 약액을 공급받아 분무화하여 토출하도록 구성되는 살균방역 장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살균 방역용 휴대형 살균방역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공간 살균 방역용 휴대형 살균방역 장치 {PORTABLE DISINFECTION APPARATUS CAPABLE OF DISINFECTING SPACE}
본 발명은 공간 살균 방역이 가능한 휴대형 분무 살균방역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단순 살충 방역이 아닌 공간 살균 방역을 행할 수 있고, 초미세화 분무와 정확한 지향 분무 및 분무 거리의 확장이 가능하고, 휴대가 가능하여 자유롭게 공간 이동하면서 효과적으로 살균 방역할 수 있는 공간 살균 방역용 휴대형 살균방역 장치에 관한 것이다.
살균은 바이러스, 박테리아, 세균류 또는 미생물을 사멸시키는 것으로 일반적인 살균 방법은 살균 대상물을 열 또는 증기를 이용하여 가열하여 살균하는 가열방식을 포함하는 물리적 방법과 살균제, 살균성 가스 등을 이용하여 살균하는 화학적 방법이 있다. 최근 일반인들 사이에서 세균 등에 대한 인식도가 높아지고,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살균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는 장치 또는 방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바이러스, 박테리아, 세균류 또는 미생물을 제거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방법으로 사용되고 있는 물리적 방법은 살균 대상물에 고온의 온도를 가지는 열 또는 증기를 인가하여 미생물 등을 제거하는 방법이나, 고온의 온도를 확보하기 위한 시간 및 연료 등이 필요하여 살균하는 데 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가 있다. 또한, 사용자가 고온의 온도를 가지는 열 또는 증기에 다치는 경우가 있어 다루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한편, 다른 방법으로는 살균제, 살균성 가스 등을 이용하는 화학적 방법으로서, 일반적으로 살균 효과를 갖는 화학 물질로 이루어지는 살균제 또는 살균성 가스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이러한 화학적 방법을 이용하여 살균하는 방식에서 분사면적이 적은 경우에는, 저장통과 펌프장치가 일체로 연결된 분무기를 어깨에 메고 펌핑하면서 분사시키는 방법이 있으나, 사용방법이 번거롭고 소량의 분무에 한정되는 것이며, 최근들어 대용량의 공간을 살균 방역하기에는 한계가 따르는 문제가 있었다.
대용량의 공간에 대한 방역을 실시하기 위한 일환으로, 분무 방역장치를 차량이나 손수레에 탑재하여 이용하는 방식이 있으나, 이 또한 이동의 제한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보편적으로 일직방향으로 설치된 분사관을 통해 일방향으로만 방역 작업이 이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대용량 방역을 위해 대용량의 분무가 가능하고, 분무 방향에 대한 지향성이 자유로우며, 효과적인 살균을 위한 분무 입자 크기를 확보하면서 살균 방역할 수 있는 장치의 연구와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254086(2001.11.26. 공고)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6-0099198(2016.08.22. 공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173003(2012.08.09. 공고)
따라서,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단순 살충 방역이 아닌 공간 살균 방역을 행할 수 있고, 초미세화 분무와 정확한 지향 분무 및 분무 거리의 확장이 가능하고, 휴대가 가능하여 자유롭게 공간 이동하면서 효과적으로 살균 방역할 수 있는 공간 살균 방역용 휴대형 살균방역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들 및 다른 특징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살균방역 약액을 저장하고, 저장된 살균방역 약액을 하기 살균방역 장치부로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약액 공급 장치부; 및 약액 공급 라인을 통해 상기 약액 공급 장치부와 연결되어 상기 약액 공급 장치부로부터 살균방역 약액을 공급받아 분무화하여 토출하도록 구성되는 살균방역 장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살균 방역용 휴대형 살균방역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약액 공급 장치부는, 함체형의 장치 바디; 상기 장치 바디에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는 바디 커버; 상기 장치 바디에 구비되는 약액 저장 탱크; 상기 장치 바디에 구비되며, 상기 약액 저장 탱크로부터 살균방역 약액을 펌핑하여 상기 살균방역 장치부로 공급하는 펌프; 상기 장치 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펌프의 작동에 필요 전력을 제공하는 배터리 수단; 및 상기 장치 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펌프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장치 바디는, 상단 일측 또는 후면 상단에는 텔레스코핑(telescoping) 방식으로 연장되고 수축되어 수납되는 핸들 부재, 및 하단에 구름 가능하게 구비되는 구름 바퀴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바디 커버는 상기 장치 바디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개폐되게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수단은, 상기 장치 바디의 하부 일측에 구비되는 배터리 거치대, 및 상기 배터리 거치대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 거치대는 장치 바디의 하부 일측 내벽에 90° 각도로 접철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살균방역 장치부는, 양단부 각각에 외부와 공기 유동가능한 제1 그릴 부재와 제2 그릴 부재가 구비되는 장치 케이싱; 상기 장치 케이싱의 일측에 형성되어 파지할 수 있게 형성되는 손잡이 프레임; 상기 장치 케이싱의 일단부에 구비되어 공급받은 살균방역 약액를 분무화시키고, 분무화된 살균방역제를 토출하도록 구성되는 분무화-송풍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분무화-송풍 수단은, 상기 장치 케이싱의 일단부에 구비되고, 약액 공급 라인에 연결되는 연결구를 갖고 형성되는 분배 배관; 상기 분배 배관에 구비되어 살균방역 약액을 분무화시켜 분무화된 살균방역제를 토출하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노즐; 상기 장치 케이싱의 타단부에 구비되고, 하기 팬속도 제어 스위치의 조작에 따른 제어 신호로 송풍 동작하는 송풍팬; 상기 손잡이 프레임에 구비되어 상기 송풍팬의 온/오프 및 속도를 제어하는 팬속도 제어 스위치; 및 상기 장치 케이싱에 구비되며, 상기 송풍팬의 동작에 필요한 전력을 제공하는 팬용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분배 배관은 링형 관으로 형성되고, 그 외연은 상기 장치 케이싱의 내벽으로부터 이격되어 고정되며, 상기 장치 케이싱에 구비되는 온습도 센서와, 상기 온습도 센서에서 센싱된 온습도를 전달받는 제어 회로 모듈; 및 상기 장치 케이싱의 내부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제어 회로 모듈의 신호에 의해 히팅하는 히팅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간 살균 방역용 휴대형 살균방역 장치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본 발명은 입자경 5~50um 분포의 입자크기를 가져 부유시간이 증가함으로써 공기 중의 세균 및 바이러스와의 접촉 확률을 높여 살균효율이 증대시키며, 단순 살충 방역에 한정되지 않고 넓은 대용량 공간의 살균 방역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둘째, 본 발명은 초고압을 사용하여 분무량을 증가시키고, 살균에 유효한 분무 입자의 비율이 높아 살균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본 발명은 초미세화 분무가 가능하여 분무의 액적화로 인해 주변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방역제의 낭비를 막고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본 발명은 살균 분무 방향에 대한 자유로운 지향 분무가 가능하여 공간 살균 방역뿐만 아니라, 타겟 방역 지점이나 구역에 대한 집중 살균 방역을 행할 수 있어 보다 효과적인 살균 방역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섯째, 본 발명은 분무 거리의 확장이 가능하여 작업자가 다가갈 수 없는 원 거리에 있는 공간에 대한 살균 방역도 실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여섯째, 본 발명은 경량화로 휴대가 가능하여 어떠한 지역과 공간으로 이동하여 용이하게 살균 방역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일곱째, 본 발명은 주위 온도와 습도에 따라 살균 방역을 자동 제어할 수 있어 더욱 효과적인 공간 살균방역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간 살균 방역용 휴대형 살균방역 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간 살균 방역용 휴대형 살균방역 장치를 구성하는 약액 공급 장치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간 살균 방역용 휴대형 살균방역 장치를 구성하는 약액 공급 장치부의 다른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간 살균 방역용 휴대형 살균방역 장치를 구성하는 약액 공급 장치부의 개폐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간 살균 방역용 휴대형 살균방역 장치를 구성하는 약액 공급 장치부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공간 살균 방역용 휴대형 살균방역 장치를 구성하는 살균방역 장치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각각 본 발명에 따른 공간 살균 방역용 휴대형 살균방역 장치를 구성하는 살균방역 장치부를 일부 개방하여 나타내는 도면으로 일측 및 타측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공간 살균 방역용 휴대형 살균방역 장치를 구성하는 살균방역 장치부의 노즐과 이의 분사 영역을 도식화하여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공간 살균 방역용 휴대형 살균방역 장치를 구성하는 살균방역 장치부의 그릴 부재의 실시 형태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도면으로부터 보다 명료하게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도모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아래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예시들은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공간 살균 방역용 휴대형 살균방역 장치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간 살균 방역용 휴대형 살균방역 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간 살균 방역용 휴대형 살균방역 장치를 구성하는 약액 공급 장치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간 살균 방역용 휴대형 살균방역 장치를 구성하는 약액 공급 장치부의 다른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간 살균 방역용 휴대형 살균방역 장치를 구성하는 약액 공급 장치부의 개폐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간 살균 방역용 휴대형 살균방역 장치를 구성하는 약액 공급 장치부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공간 살균 방역용 휴대형 살균방역 장치를 구성하는 살균방역 장치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 및 도 8은 각각 본 발명에 따른 공간 살균 방역용 휴대형 살균방역 장치를 구성하는 살균방역 장치부를 일부 개방하여 나타내는 도면으로 일측 및 타측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공간 살균 방역용 휴대형 살균방역 장치를 구성하는 살균방역 장치부의 노즐과 이의 분사 영역을 도식화하여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공간 살균 방역용 휴대형 살균방역 장치를 구성하는 살균방역 장치부의 그릴 부재의 실시 형태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공간 살균 방역용 휴대형 살균방역 장치는, 도 1 내지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크게 저장된 살균방역 약액을 하기 살균방역 장치부로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약액 공급 장치부(100); 및 약액 공급 라인(L)을 통해 상기 약액 공급 장치부(100)와 연결되어 상기 약액 공급 장치부(100)로부터 살균방역 약액을 공급받아 분무화하여 토출하도록 구성되는 살균방역 장치부(200);를 포함한다.
상기 약액 공급 장치부(100)는, 일면 개방된 함체형의 장치 바디(110)와, 상기 장치 바디(110)의 개방부에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는 바디 커버(120)와, 상기 장치 바디(110)의 내부에 구비되는 약액 저장 탱크(130)와, 상기 장치 바디(110)의 내측에 구비되며, 입수부(141)를 통해 상기 약액 저장 탱크(130)로부터 살균방역 약액을 공급받아 약액 공급 라인(L)에 연결되는 출수부(142)를 통해 살균방역 약액을 펌핑하는 펌프(140)와, 상기 장치 바디(110) 내부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펌프(140)의 작동에 필요 전력을 제공하는 배터리 수단(150), 및 상기 장치 바디(110)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펌프(140)의 동작을 온/오프하는 제어 스위치(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장치 바디(110)는 예를 들면 일측 벽면이 개방된 사각 함체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장치 바디(110)의 상단 일측 또는 후면 상단에는 텔레스코핑(telescoping) 방식으로 연장되고 수축되어 수납되는 방식의 핸들 부재(111)를 포함하며, 하단에는 지면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구름 바퀴(112)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치 바디(110)에는 작업자가 백팩과 같이 한 쌍의 어깨끈(113)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바디 커버(120)는 상기 장치 바디(110)의 개방부를 개폐할 수 있게 구비되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 나타낸 예시에서, 상기 바디 커버(120)는 장치 바디(110)의 개방부를 슬라이딩 방식으로 개폐할 수 있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디 커버(120)는 일변에 힌지 결합되고 그 힌지 결합축으로 회전하여 장치 바디(110)의 개방부를 개폐하며, 클램핑 수단으로 폐쇄상태를 고정할 수 있게 구성될 수도 있다.
계속해서, 상기 약액 저장 탱크(130)는 상기 장치 바디(110) 내부에서 상부 측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약액 저장 탱크(130)에 저장된 살균방역 약액이 자중으로 펌프(140)의 입수부(141)로 공급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약액 저장 탱크(130)는 살균방역 약액을 투입할 수 있도록 상면 측에 투입구 및 개폐 마개(131)가 구성된다. 이때, 상기 장치 바디(110)는 상기 개폐 마개(131)가 장치 바디(110)의 상면에서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펌프(140)는 상기 장치 바디(110)의 내측에 구비되며, 입수부(141)를 통해 상기 약액 저장 탱크(130)로부터 살균방역 약액을 공급받아 출수부(142)를 통해 펌핑하여 약액 공급 라인(L)을 통해 살균방역 장치부(200)로 공급하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 동작 압력이 50bar 내지 100bar을 갖는 고압 펌프(예를 듬련, 플런저 펌프)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펌프(140)는 장치 바디(110)의 하단에 무게중심에 맞게 센터링 되어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계속해서, 상기 배터리 수단(150)은 상기 장치 바디(110) 내부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펌프(140)의 작동에 필요 전력을 제공하는 구성부로서, 상기 장치 바디(110)의 하부 일측에 구비되는 배터리 거치대(151), 및 상기 배터리 거치대(151)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배터리(152)를 포함한다.
상기 배터리 거치대(151)는 장치 바디(110)의 하부 일측 내벽에 구비되되, 90° 각도로 접힐 수 있게, 즉 접철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는 배터리(152)의 탈락 후 배터리 거치대(151)를 접어 올림으로써 유지보수 작업시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배터리(152)가 배터리 거치대(151)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구성은, 공지의 착탈 고정 구조(예를 들면, 억지끼움 고정 구조, 클램핑 착탈 고정 구조 등)를 채용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어 스위치는 상기 장치 바디(110)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펌프(140)의 동작을 온/오프하는 것으로, 장치 바디(110)의 일면 일측에 구비될 수 있으며, 케이블 라인을 통해 연장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 스위치가 케이블 라인을 통해 연장되어 구성되는 경우, 작업자가 약액 공급 장치부(100)를 등에 맨 상태에서도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살균방역 장치부(200)는 약액 공급 라인(L)을 통해 상기 약액 공급 장치부(100)와 연결되어 상기 약액 공급 장치부(100)로부터 살균방역 약액을 공급받아 분무화하여 토출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약액 공급 장치부(100)로부터 공급되는 살균방역 약액을 분무화하고 송풍시키면서 살균방역할 수 있게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살균방역 장치부(200)는, 공기 흐름을 형성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관형의 장치 케이싱(210); 상기 장치 케이싱(210)의 일측에 형성되어 파지할 수 있게 형성되는 손잡이 프레임(220); 상기 장치 케이싱(210)의 일단부(공기 흐름 방향으로의 하류 측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살균방역 장치부(200)로부터 공급되는 살균방역 약액를 분무화시키고, 분무화된 살균방역제를 토출하도록 구성되는 분무화-송풍 수단(230);을 포함한다.
상기 장치 케이싱(210)은 콘(cone) 형상의 제1 확관부(211)와, 상기 제1 확관부(211)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는 콘 형상의 제2 확관부(212)와, 상기 제1 확관부(211)의 개방 단을 커버하도록 구비되는 제1 그릴 부재(grill member)(213), 및 상기 제2 확관부(212)의 개방 단을 커버하도록 구비되는 제2 그릴 부재(214)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제1 확관부(211)와 제2 확관부(212)는 그 사이에 선형 관형부에 의해 연결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확관부(211, 212)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나, 유지 보수를 위하여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선형 관형부가 구성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상기 제1 그릴 부재(213) 및/또는 제2 그릴 부재(214)는, 도 9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자 방사형의 반경 그릴부를 갖는 형태로 이루어지거나, 도 9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로리 방사형의 반경 그릴부를 갖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분무된 입자의 직진성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형태라면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계속해서, 상기 손잡이 프레임(220)은 상기 장치 케이싱(210)의 일측, 구체적으로는 상기 장치 케이싱(210)의 상부 측에 형성되어 작업자가 파지할 수 있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손잡이 프레임(220)에는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되는 분무화-송풍 수단(230)을 구성하며, 전력 제어가 요구되는 구성부(들)의 동작을 조작 제어할 수 있는 제어 스위치(송풍팬의 속도를 조절하는 팬속도 제어 스위치)가 구성된다. 이에 대해서는 아래 분무화-송풍 수단(230)의 설명에서 설명한다.
또한, 상기 손잡이 프레임(220)에는 약액 공급 장치부(100)의 배터리와 전원 케이블로 연결되고 전원을 전달받아 송풍팬과 히터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연결되는 전원 연결 포트가 형성될 수 있으며, 별도의 어깨끈 등을 연결하여 어깨에 맬 수 있는 체결부가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분무화-송풍 수단(230)은 상기 장치 케이싱(210) 내에 구비되어 살균방역 장치부(110)에서 공급되는 살균방역 약액을 분무화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크게 분배 배관(231)과, 노즐(232)과, 송풍팬(233)과, 팬속도 제어 스위치(234), 및 배터리(미도시)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분무화-송풍 수단(230)은, 상기 장치 케이싱(210)의 일단부, 즉 상기 장치 케이싱(210)의 제1 확관부(211) 내에 구비되고, 약액 공급 라인(L)에 연결되는 연결구를 갖고 형성되는 분배 배관(231)과, 상기 분배 배관(231)에 구비되어 살균방역 약액을 분무화시켜 분무화된 살균방역제를 토출하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노즐(232)과, 상기 장치 케이싱(210)의 타단부, 즉 상기 장치 케이싱(210)의 제2 확관부(212) 내에 구비되고, 하기 팬속도 제어 스위치의 조작에 따른 제어 신호로 송풍 동작하는 송풍팬(233)과, 상기 손잡이 프레임에 구비되어 상기 송풍팬(233)의 속도를 선택하도록 조작하는 팬속도 제어 스위치(234), 및 상기 장치 케이싱(210) 내에 구비되며, 상기 송풍팬(233)의 동작에 필요한 전력을 제공하는 팬용 배터리(미도시)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팬속도 제어 스위치(234)는 온/오프 기능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팬용 배터리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원 연결 포트를 통해 약액 공급 장치부(100)의 배터리와 전원 케이블로 연결되어 그로부터 필요 전력을 전달받는 경우, 상기 팬용 배터리는 생략될 수 있다.
상기 분배 배관(231)은 링형 관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외연은 상기 장치 케이싱(210)의 제1 확관부(211)의 내벽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게 고정되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배 배관(231)이 상기와 같이 제1 확관부(211)의 내벽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게 형성됨으로써,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은 위치에 위치하게 되며, 이에 따라 노즐(232)에서 분무화된 살균방역제는 제1 확관부(211)에 부딪히는 일이 최소화되며, 송풍팬(233)에 의해 송풍되어 살균방역할 공간 전체로의 분사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분배 배관(231)은 아래에서 설명될 히팅부재에 의해 히팅가능한 열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노즐(232)은 상기 분배 배관(231)에서 간격과 위치 및 갯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상기 송풍팬(233)은 분무의 직진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목표하는 방향과 지점으로의 살균방역을 보다 확실하게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공간 살균 방역용 휴대형 살균방역 장치는, 상기 장치 케이싱(210)에 구비되는 온습도 센서와, 상기 온습도 센서에서 센싱된 온습도를 전달받는 제어 회로 모듈, 및 상기 장치 케이싱(210)의 내부 일측(바람직하게는, 분배 배관(231)에 가까운 측)에 구비되며, 상기 온습도 센서의 검출에 기반하여 상기 제어 회로 모듈의 신호에 의해 자동 히팅하는 히팅 부재(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온습도 센서 및 히팅 부재를 더 포함함으로써, 주위의 온습도에 따라 분무 입자의 기화 속도를 증대시킬 수 있어 보다 효과적인 공간 살균방역을 행할 수 있게 되며, 이는 동절기 사용 등 계절에 따른 온습도 대응을 가능하게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공간 살균 방역용 휴대형 살균방역 장치에 의하면, 입자경 5~50um 분포의 입자크기를 가져 부유시간이 증가함으로써 공기 중의 세균 및 바이러스와의 접촉 확률을 높여 살균효율이 증대시키며, 단순 살충 방역에 한정되지 않고 넓은 대용량 공간의 살균 방역이 가능하며, 초고압을 사용하여 분무량을 증가시키고, 살균에 유효한 분무 입자의 비율이 높아 살균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초미세화 분무가 가능하여 분무의 액적화로 인해 주변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방역제의 낭비를 막고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으며, 살균 분무 방향에 대한 자유로운 지향 분무가 가능하여 공간 살균 방역뿐만 아니라, 타겟 방역 지점이나 구역에 대한 집중 살균 방역을 행할 수 있어 보다 효과적인 살균 방역을 도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분무 거리의 확장이 가능하여 작업자가 다가갈 수 없는 원 거리에 있는 공간에 대한 살균 방역도 실행할 수 있으며, 경량화로 휴대가 가능하여 어떠한 지역과 공간으로 이동하여 용이하게 살균 방역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L: 약액 공급 라인
100: 약액 공급 장치부
110: 장치 바디
111: 핸들 부재
112: 구름 바퀴
113: 어깨끈
120: 바디 커버
130: 약액 저장 탱크
131: 개폐 마개
140: 펌프
141: 입수부
142: 출수부
150: 배터리 수단
151: 배터리 거치대
152: 배터리
200: 살균방역 장치부
210: 장치 케이싱
211: 제1 확관부
212: 제2 확관부
213: 제1 그릴 부재
214: 제2 그릴 부재
220: 손잡이 프레임
230: 분무화-송풍 수단
231: 분배 배관
232: 노즐
233: 송풍팬
234: 팬속도 제어 스위치
240: 히팅 부재

Claims (7)

  1. 살균방역 약액을 저장하고, 저장된 살균방역 약액을 하기 살균방역 장치부로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약액 공급 장치부; 및
    약액 공급 라인을 통해 상기 약액 공급 장치부와 연결되어 상기 약액 공급 장치부로부터 살균방역 약액을 공급받아 분무화하여 토출하도록 구성되는 살균방역 장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약액 공급 장치부는,
    함체형의 장치 바디;
    상기 장치 바디에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는 바디 커버;
    상기 장치 바디에 구비되는 약액 저장 탱크;
    상기 장치 바디에 구비되며, 상기 약액 저장 탱크로부터 살균방역 약액을 펌핑하여 상기 살균방역 장치부로 공급하는 펌프;
    상기 장치 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펌프의 작동에 필요 전력을 제공하는 배터리 수단; 및
    상기 장치 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펌프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펌프의 동작 압력은 50bar 내지 100bar이고,
    상기 장치 바디는, 상단 일측 또는 후면 상단에는 텔레스코핑(telescoping) 방식으로 연장되고 수축되어 수납되는 핸들 부재, 및 하단에 구름 가능하게 구비되는 구름 바퀴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바디 커버는 상기 장치 바디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개폐되게 구비되고,
    상기 배터리 수단은, 상기 장치 바디의 하부 일측에 구비되는 배터리 거치대, 및 상기 배터리 거치대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 거치대는 장치 바디의 하부 일측 내벽에 90° 각도로 접철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살균방역 장치부는,
    양단부 각각에 외부와 공기 유동가능한 제1 그릴 부재와 제2 그릴 부재가 구비되는 장치 케이싱;
    상기 장치 케이싱의 일측에 형성되어 파지할 수 있게 형성되는 손잡이 프레임;
    상기 장치 케이싱의 일단부에 구비되어 공급받은 살균방역 약액를 분무화시키고, 분무화된 살균방역제를 토출하도록 구성되는 분무화-송풍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분무화-송풍 수단은,
    상기 장치 케이싱의 일단부에 구비되고, 약액 공급 라인에 연결되는 연결구를 갖고 형성되는 분배 배관;
    상기 분배 배관에 구비되어 살균방역 약액을 분무화시켜 분무화된 살균방역제를 토출하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노즐;
    상기 장치 케이싱의 타단부에 구비되고, 하기 팬속도 제어 스위치의 조작에 따른 제어 신호로 송풍 동작하는 송풍팬;
    상기 손잡이 프레임에 구비되어 상기 송풍팬의 온/오프 및 속도를 제어하는 팬속도 제어 스위치; 및
    상기 장치 케이싱에 구비되며, 상기 송풍팬의 동작에 필요한 전력을 제공하는 팬용 배터리;를 포함하고,
    상기 분배 배관은 링형 관으로 형성되고, 그 외연은 상기 장치 케이싱의 내벽으로부터 이격되어 고정되며,
    상기 장치 케이싱에 구비되는 온습도 센서와, 상기 온습도 센서에서 센싱된 온습도를 전달받는 제어 회로 모듈; 및 상기 장치 케이싱의 내부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제어 회로 모듈의 신호에 의해 히팅하는 히팅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살균 방역용 휴대형 살균방역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210032366A 2020-09-29 2021-03-12 공간 살균 방역용 휴대형 살균방역 장치 KR1023501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2366A KR102350106B1 (ko) 2021-03-12 2021-03-12 공간 살균 방역용 휴대형 살균방역 장치
US17/383,473 US20220096689A1 (en) 2020-09-29 2021-07-23 Portable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apparatus for sterilizing and disinfecting space
CN202110991970.2A CN114322183A (zh) 2020-09-29 2021-08-27 空间杀菌防疫用便携型杀菌防疫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2366A KR102350106B1 (ko) 2021-03-12 2021-03-12 공간 살균 방역용 휴대형 살균방역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0106B1 true KR102350106B1 (ko) 2022-01-11

Family

ID=793553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2366A KR102350106B1 (ko) 2020-09-29 2021-03-12 공간 살균 방역용 휴대형 살균방역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010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164340A (zh) * 2022-07-05 2022-10-11 广东开利暖通空调股份有限公司 一种空调的杀菌控制方法、装置、空调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4086Y1 (ko) 2001-08-04 2001-11-26 이효심 이동식 방역장치
KR101173003B1 (ko) 2011-09-21 2012-08-09 이종민 분사방향조작이 용이한 분무 연막방역장치
KR101230753B1 (ko) * 2010-11-25 2013-02-06 오상복 휴대용 분무기
KR20160099198A (ko) 2015-02-12 2016-08-22 최지희 살균기능을 갖는 분무장치
KR20170045858A (ko) * 2015-10-20 2017-04-28 배경주 휴대용 전동식 연무기
KR101901609B1 (ko) * 2018-05-24 2018-09-27 윤태영 과열증기를 이용한 이동식 멸균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4086Y1 (ko) 2001-08-04 2001-11-26 이효심 이동식 방역장치
KR101230753B1 (ko) * 2010-11-25 2013-02-06 오상복 휴대용 분무기
KR101173003B1 (ko) 2011-09-21 2012-08-09 이종민 분사방향조작이 용이한 분무 연막방역장치
KR20160099198A (ko) 2015-02-12 2016-08-22 최지희 살균기능을 갖는 분무장치
KR20170045858A (ko) * 2015-10-20 2017-04-28 배경주 휴대용 전동식 연무기
KR101901609B1 (ko) * 2018-05-24 2018-09-27 윤태영 과열증기를 이용한 이동식 멸균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164340A (zh) * 2022-07-05 2022-10-11 广东开利暖通空调股份有限公司 一种空调的杀菌控制方法、装置、空调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5164340B (zh) * 2022-07-05 2023-10-24 广东开利暖通空调股份有限公司 空调的杀菌控制方法、装置、空调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02511B2 (ja) 空中散布装置
KR20100133171A (ko) 입자 분무형 몸소독기
KR102350106B1 (ko) 공간 살균 방역용 휴대형 살균방역 장치
CN210992017U (zh) 一种畜牧场用雾化消毒装置
US20080099934A1 (en) Nebulization Fan
CN106524343A (zh) 用于控制室内有害物质的清洁系统以及方法
JP2021526919A (ja) 少なくとも1つの部屋、特に、人々のための住空間を、噴霧器により、消毒するための装置
KR101157641B1 (ko) 고주파를 이용한 연무 소독 장치
US20220096689A1 (en) Portable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apparatus for sterilizing and disinfecting space
EP1906106A1 (en) Nebulization fan
KR20180006275A (ko) 배부식 초미립자 살포기
KR102422731B1 (ko) 공간 살균 방역이 가능한 휴대형 분무 살균방역 장치
KR101669894B1 (ko) 액제 타격분무 방식의 소독장치
WO2021245685A1 (en) A system for disinfecting human orobject from microbes using pressurized steam
CN213642283U (zh) 驾驶式消杀一体机
KR200459438Y1 (ko) 약제 분무장치
KR100927792B1 (ko) 약제 분무장치
KR20220040276A (ko) 초미세입자 미스트 분사 방역 및 미세먼지 제거 장치
KR20000058687A (ko) 진공청소분무기
CN208116018U (zh) 弥雾机
KR20100134158A (ko) 히터를 이용한 연무장치
KR20110037432A (ko) 휴대용 약액 분무장치
KR20100047778A (ko) 초미립자 분무기
JP5084009B2 (ja) 植物の害虫防除方法
CN219896489U (zh) 一种智能消杀机器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