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54825B1 - 호의적 감정의 촉각적 표현이 가능한 이동전화단말기 - Google Patents

호의적 감정의 촉각적 표현이 가능한 이동전화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54825B1
KR100354825B1 KR1020000069786A KR20000069786A KR100354825B1 KR 100354825 B1 KR100354825 B1 KR 100354825B1 KR 1020000069786 A KR1020000069786 A KR 1020000069786A KR 20000069786 A KR20000069786 A KR 20000069786A KR 100354825 B1 KR100354825 B1 KR 1003548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iss
lip
message
signal
proced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97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10434A (ko
Inventor
임성식
Original Assignee
임성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성식 filed Critical 임성식
Publication of KR200200104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04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48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482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4Automatic arrangements for answering calls; Automatic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for absent subscribers; Arrangements for recording conversations
    • H04M1/65Recording arrangements for recording a message from the calling party
    • H04M1/6505Recording arrangements for recording a message from the calling party storing speech in digital fo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호의적 감정의 촉각적 표현이 가능한 이동전화단말기에 관한 건으로, 그 목적은 통화당사자 상호간 호의적 감정의 촉각적인 표현을 가능하게 하는 수단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 호의적 감정의 촉각적 표현이 가능한 이동전화단말기는 모드선택 자료, 문자메시지, 음성메시지, 첨부된 Kiss Message, 소리데이터(Sound Data) 및 기타 통화관련 자료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와, 동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키스 송수신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운영소프트웨어, 그리고 Lip Pad S/W(105), Lip Pad S/W 증폭회로(301), Lip S/W(303), Kiss Signal 송신부(304), Kiss Signal 수신부(300), Kiss S/W(302) 및 Lip Vibrator(109) 등을 포함하는 이동전화 단말기 본체(100)로 구성된다. 이동전화 단말기간 통화중 입술을 Lip Pad S/W(105)에 접촉하면 Lip Pad S/W 증폭회로를 통하여 Lip S/W(303)가 "on"상태로 되고, Kiss Signal 송신부(304)를 통하여 통화 상대자의 단말기로 Kiss Signal을 송신하게 되는데, 이때 Kiss Signal 수신부(300)를 통하여 통화 상대자로부터 Kiss Signal이 수신되면 Kiss S/W(302)가 "on"상태로 되어 Lip Vibrator(109)를 작동시켜 Lip Pad S/W(105)의 접촉면을 통하여 진동을 전달함으로써 상호 Kiss를 교환하게 되는데, 진동과 함께 음성, 음악 등의 Sound, 향기(Perfume), 화상 등을 선택적으로 전달하게 된다.
현재의 시청각기능을 위주로 한 통화서비스에 통화당사자 상호간 호의적 감정의 촉각적인 표현을 가능하게 하는 기능을 추가하여 보다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관련산업의 활성화를 촉진시키는 효과가 기대된다.

Description

호의적 감정의 촉각적 표현이 가능한 이동전화단말기{Mobile Station able to make Touchable Love Expression}
본 발명은 호의적 감정의 촉각적 표현이 가능한 이동전화단말기에 관한 건으로, 현재 음성 또는 음성과 화상을 통한 시청각 중심의 통화서비스를 제공 또는 추진 중에 있으며, 통화당사자 상호간 호의적 감정의 촉각적인 표현을 가능하게 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이동전화단말기가 개발되어 있지 않고 또한 동 기능을 포함하는 이동통신서비스도 전무한 상태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통화당사자 상호간 호의적 감정의 촉각적인 표현을 가능하게 하는 수단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호의적 감정의 촉각적 표현이 가능한 이동전화단말기의 외형 사시도
도 2는 호의적 감정의 촉각적 표현이 가능한 이동전화단말기의 부분단면도
도 3은 호의적 감정의 촉각적 표현이 가능한 이동전화단말기의 작동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간략도
도 4는 메인 프로시저
도 5는 통화 프로시저
도 6은 문자메시지 전송 프로시저
도 7은 메시지 관리 프로시저
도 8은 문자메시지 확인 프로시저
도 9는 음성메시지 확인 프로시저
도 10은 메시지 삭제 프로시저
도 11은 모드선택 프로시저
도 12는 Sound녹음 프로시저
도 13은 특정 파형의 Kiss Signal 생성방식 Kiss송신 흐름도
도 14는 특정 파형의 Kiss Signal 생성방식 Kiss수신 흐름도
도 15는 Kiss Bit 추가방식의 Kiss송신 흐름도
도 16은 Kiss Bit 추가방식의 Kiss수신 흐름도
도 17은 Zero Level Signal 전송방식의 Kiss송신 흐름도
도 18은 Zero Level Signal 전송방식의 Kiss수신 흐름도
도 19는 Kiss Code 생성방식의 Kiss송신 흐름도
도 20은 Kiss Code 생성방식의 Kiss수신 흐름도
도 21은 Zero Level Signal 송수신 방식의 Logic Diagram
도 22는 Zero Level 송수신 방식의 Kiss Code 검색과정 예시도
도 23은 Kiss Code 생성방식의 Logic Diagram
도 24는 Kiss Code 생성방식의 Kiss Code 검색과정 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이동전화단말기 본체 105 : Lip Pad S/W
108 : Lip Vibrator Holder 109 : Lip Vibrator
114 : Perfume Pack 300 : Kiss Signal 수신부
301 : Lip Pad S/W 증폭회로 302 : Kiss S/W
303 : Lip S/W 304 : Kiss Signal 송신부
본 발명 호의적 감정의 촉각적 표현이 가능한 이동전화단말기는 Lip Vibrator 모드선택 자료, 문자메시지, 음성메시지, 첨부된 Kiss Message, 소리데이터(Sound Data) 및 기타 통화관련 자료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와, 동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키스 송수신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메인 프로시저(400), 통화 프로시저(500), 문자메시지 전송 프로시저(600), 메시지 관리 프로시저(700), 문자메시지 확인 프로시저(720), 음성메시지 확인 프로시저(750), 메시지 삭제프로시저(780), 모드선택 프로시저(1100), Sound녹음 프로시저(1200) 등으로 구성된 운영소프트웨어, 그리고 Lip Pad S/W(105), Lip Pad S/W 증폭회로(301), Lip S/W(303), Kiss Signal 송신부(304), Kiss Signal 수신부(300), Kiss S/W(302) 및 Lip Vibrator(109) 등을 포함하는 이동전화 단말기 본체(100)로 구성된다. 본 발명 호의적 감정의 촉각적 표현이 가능한 이동전화단말기의 하드웨어적인 구성과 운영소프트웨어의 각 단계별 프로시저의 실행 예, Kiss Signal 송수신 및 검출과정을 첨부도면을 기준으로 상술하고자 한다.
도 1은 호의적 감정의 촉각적 표현이 가능한 이동전화단말기의 외형 사시도로서, 이동전화단말기 본체(100), 수화기(101), 정보화면(102), 통화시도 시 또는 문자메시지 전송 시의 전송버튼기능 및 각 프로시저 수행시의 확인 또는 취소버튼의 기능 등을 담당할 기능버튼(103), 다이얼버튼(104), 송화기(106), 안테나(107), Kiss 기능 작동 시 Lip Vibrator(도2의 110)의 작동신호에 의해 전기적으로 향기를 발산하게 하기 위한 Perfume Pack(114) 및 Lip Pad S/W(105)의 조립된 상태를 도시하였다.
도 2는 호의적 감정의 촉각적 표현이 가능한 이동전화단말기의 부분단면도로서, Perfume Pack(114)이 홀더에서 해체된 상태와 Lip Pad S/W(105) 부분의 분해된 상태를 도시하였으며, Lip Vibrator(109)를 고정시키기 위한 Lip Pad S/W(105)의 홀더부분(108)에 Lip Vibrator(109)가 고정되고, 동 Lip Vibrator(109)는 전화연결 수신 음(벨소리)을 진동으로 선택하였을 때에도 사용된다.
도 3은 호의적 감정의 촉각적 표현이 가능한 이동전화단말기의 작동원리를설명하기 위한 간략도로서, Kiss Signal 수신부(300)에서는 수신된 Data의 복조, Channel Decoding, Source Decoding, D/A변환 및 음성사서함에 수신된 음성메시지 또는 이동통신단말기로 수신된 문자메시지의 열람 등을 수행하게 되는데, 통화중 통화상대로부터 수신된 Kiss Signal이 검출 될 경우나 Kiss Message가 첨부된 문자메시지를 열람(Open) 할 때 또는 Kiss Message가 첨부된 음성메시지를 음성사서함에 접속하여 열람할 때 Kiss Signal 수신부의 출력단자(300a)를 통하여 Kiss S/W의 컨트롤전원 입력단자(302c)로 컨트롤전원을 공급하게 되어 Kiss S/W(302)를 "on"의 상태(Default="off")전환한다. Lip Pad S/W 증폭회로(301)에서는 입술을 Lip Pad S/W(105)에 접촉함에 따라 동 접촉신호를 증폭하고 Lip Pad S/W 증폭회로의 출력단자(301a)에서 Kiss S/W의 입력단자(302a) 및 Kiss S/W의 출력단자(302b)를 통하여 Lip Vibrator(109)에 구동전력을 공급하고(통화상대로부터 수신된 Kiss Signal이 검출되어 Kiss S/W(302)가 "on"의 상태인 경우), Lip Pad S/W 증폭회로(301)의 출력단자(301b)에서 Lip S/W의 컨트롤전원 입력단자(303c)로 컨트롤전원을 공급하여 Lip S/W(303)를 "on"의 상태로 전환시켜(Lip S/W의 입력단자(303a)와 Lip S/W의 출력단자(303b)가 폐 회로를 구성) Kiss Signal의 송신을 수행한다. Kiss Signal의 송신방법에 따라 Lip S/W(303)의 컨트롤전원(303c)에 연동하여 Mic 입력차단 S/W를 "on-off" 하게되며 첨부도면을 예로 들어 상술하기로 한다. Kiss Signal 송신부(304)에서는 송신할 Data의 A/D변환, Source Coding, Channel Coding, Digital 변조 및 송신 등의 작업을 수행하는데, 통화중 Lip S/W(303)가 "on"상태이면 Kiss Signal을 송신한다.
통화당사자 쌍방이 모두 Lip Pad S/W(105)에 입술을 접촉하면 Lip Pad S/W 증폭회로(301)를 통하여 접촉신호가 증폭되고 Lip Pad S/W 증폭회로의 출력단자(301b)에서 Lip S/W의 컨트롤전원 입력단자(303c)로 컨트롤전원이 공급되어 Lip S/W의 입력단자(303a)와 Lip S/W의 출력단자(303b)가 폐 회로를 구성하여 Lip S/W(303)가 "on"의 상태로 되고 이에 따라 Kiss Signal 송신부(304)에서 Kiss Signal을 송신하며, Kiss Signal 수신부(300)를 통하여 통화상대방으로부터 Kiss Signal이 수신되면 Kiss Signal 수신부의 출력단자(300a)에서 Kiss S/W의 컨트롤전원 입력단자(302c)로 컨트롤전원이 공급되어 Kiss S/W의 입력단자(302a) 및 Kiss S/W의 출력단자(302b)가 폐 회로를 구성하여 Kiss S/W(302)를 "on"의 상태로 전환되고, Lip Pad S/W 증폭회로의 출력단자(301a)를 통하여 Lip Vibrator(109)에 구동전력을 공급하게 되어 Lip Vibrator(109)가 작동하면 Lip Pad S/W(105)에 접촉하고 있는 입술에 진동이 전달된다.
음성 또는 문자메시지에 첨부된 Kiss Message를 열람할 경우, Lip Pad S/W(105)에 입술을 접촉하면 Kiss Signal 수신부(300)의 출력단자(300a)를 통해 Kiss S/W(302)의 컨트롤 전력을 공급하여 Kiss S/W(302)가 "on"인 상태에서 Lip Pad S/W 증폭회로(301)의 출력단자(301a)를 통하여 Lip Vibrator(109)에 구동전력을 공급하여 Lip Vibrator가 작동한다. 이때는 Lip Pad S/W(301)의 출력단자(301b)에서 Lip S/W(303)로 컨트롤 전력을 공급하지 않으며 따라서 Kiss Signal의 송신도 이루어지지 않는다.
도 4는 메인 프로시저(400)로서, 이동전화단말기의 전원을 켜면(401 "on")통화대기 상태인 초기화면(402)으로 진입한다. 초기화면에서 Dialing을 할 경우(스텝 403 "Dialing") 통화 프로시저(500)를 수행하고, 모드작업일 경우(403 "모드작업")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모드선택(404)을 하게 되는데 선택 값이 "10"이면 문자메시지 전송 프로시저(600)를, "20"이면 메시지 관리 프로시저(700)를, "30"이면 모드선택 프로시저(1100)를, "40"이면 Sound녹음 프로시저(1200)를 수행하며 전원이 켜진 상태(스텝 406 "아니오")에서는 상기절차를 계속 수행할 수 있다.
도 5는 통화 프로시저(500)로서, 수신자의 다이얼을 입력하고(501) 전송키를 입력하여(502) 성공적으로 접속되어(스텝 503 "성공") 상호통화(508) 중에 상호간 동의에 따라 Kiss Signal전송을 할 경우(스텝 509 "예"), Lip Pad S/W(105)에 입술을 접촉하면 Lip S/W(303)가 "on"상태로 되어(510) Kiss Signal 송신부(304)를 통하여 Kiss Signal을 전송하게 되는데(스텝 511), 통화상대로부터 Kiss Signal이 수신되고 있는 상태(스텝 512 "예")에서 스텝 510에서의 Lip S/W(303) "on"상태가 유지된 상태(Lip Pad S/W에 지속적으로 입술을 접촉하고 있는 상태)인 경우(스텝 513 "on") 모드선택 프로시저(1100)에서 선택한 모드에 따라 "Lip Vibrator", "Lip Vibrator + Sound", "Lip Vibrator + Perfume", "Lip Vibrator + Sound + Perfume"의 방식 중 한가지로 작동한다.(스텝 514) 통화상대로부터 Kiss Signal이 수신되더라도(스텝 512 "예") Lip S/W(303)가 "on"상태가 아니면(스텝 513 또는 스텝 515의 "off") Lip Vibrator(109)는 작동하지 않아 동시성을 유지하는 방식과, 또한 통화상대로 부터 수신된 Kiss Signal(512)을 버퍼(임시기억 메모리)에 기억시키고, 수신자가 Lip Pad S/W에 지속적으로 입술을 접촉하고 있는 상태(스텝 513 "on")에서Lip Vibrator(109)가 작동하고, 이 후 수신자가 Lip Pad S/W에서 입술을 떼면 Lip Vibrator(109)의 동작을 멈추고 버퍼(임시기억 메모리)에서 수신된 Kiss Signal을 지우는 방식으로 Kiss Signal송수신이 이루어 지며, 통화종료를 할 경우(스텝 516 "예") 종료버튼을 입력하여(517) 메인 프로시저(400)로 리턴 한다.
통화중 또는 수신불능 상태로 인하여 수신자 이동전화단말기와의 접속이 실패할 경우(스텝 503 "실패") 음성사서함 서비스를 이용하여 메시지전송을 할 경우(스텝 504 "예"), 음성메시지를 입력한(505) 다음 선택적으로 Kiss Message를 첨부할 수 있는데, Kiss 전송을 할 경우(스텝 506 "예") Lip Pad S/W(105)에 입술을 접촉하는 방법으로 Kiss 전송키를 입력하여 Kiss Message를 첨부한다.(스텝 507)
도 6은 문자메시지 전송 프로시저(600)로서, 수신자의 전화번호를 입력하고(601) 회신 전화번호를 입력(602)한 다음 메시지 작업선택(603)을 하게 되는데 그 선택 값이 "11"이면 작업을 수행하지 않은 채 메인 프로시저(400)로 리턴하고, 선택 값이 "12"이면 새로운 문자메시지를 입력하는 모드를 실행하게 된다. 즉 새로운 문자메시지를 입력하고 필요에 따라 검토 수정을 한 다음 확인버튼을 눌러(605) DB에 입력자료를 반영하고 Kiss Message를 첨부할 것인지를 선택하게 되는데(스텝 606) 스텝 605에서 입력한 문자메시지에 Kiss Message를 첨부할 경우(스텝 607 "예") Kiss 첨부확인 버튼을 눌러(608) Kiss Message를 첨부한 후 전송키를 입력하여(609) Message를 전송하게 된다.(스텝 610) 이때 Lip Pad S/W(105)에 입술을 접촉하는 방법으로 스텝 608을 수행하게 할 수도 있다. 성공적으로 Message를 전송하면(스텝 611 "예") 메인 프로시저(400)로 리턴하고, Message의 전송이 실패하여(스텝 611 "아니오") 재전송을 할 경우(스텝 612 "예") 스텝 609로 복귀하여 다시 전송키를 입력하게 되고(609), 재전송을 하지 않을 경우(스텝 612 "아니오") 메인 프로시저(400)로 리턴 한다. 스텝 603에서의 메시지 작업선택 값이 "13"일 경우 DB에 등록되어 있는 메시지를 이용하게 되는데, DB 검색을 하여(613) 등록된 메시지가 없으면(스텝 614 "무") "등록된 메시지가 없습니다"라는 에러 메시지(615)와 함께 스텝 603으로 복귀하고, 등록된 메시지가 있으면(스텝 614 "유") 정보화면(102)에 보여지는 등록된 메시지 중 불러올 메시지를 선택한다.(스텝 616) 스텝 616에서 선택한 메시지를 수정할 경우(스텝 617 "예") 해당 메시지를 수정한 후 확인버튼을 눌러 확정하면(618) 해당 자료를 DB에 반영하고(606) 스텝 607에서 스텝 612까지의 절차에 따라 문자메시지를 전송하게 되며, 스텝 616에서 선택한 메시지를 수정하지 않고(스텝 617 "아니오") 바로 이용할 경우에는 스텝 607에서 스텝 612까지의 절차에 따라 문자메시지를 전송하게 된다.
도 7은 메시지 관리 프로시저(700)로서, 문자메시지와 음성메시지의 확인 및 메시지의 삭제를 위한 절차를 수행하게 된다. 작업선택을 하고(701) 그 선택 값에 따라 각각의 프로시저를 수행하는데, 선택 값이 "21"이면 문자메시지 확인 프로시저(720)를 수행하고, 선택 값이 "22"이면 음성메시지 확인 프로시저(750)를 수행하며, 선택 값이 "23"이면 메시지 삭제 프로시저(780)를 수행하고, 선택 값이 "24"이면 메시지 관리 프로시저(700)를 종료하고 메인 프로시저(400)로 리턴 한다. 선택 값이 "21", "22", "23"으로 각각의 해당 프로시저를 수행한 다음 계속해서 메시지 관리 프로시저(700)를 수행하고자 할 경우(스텝 703 "아니오") 스텝 701로 복귀하여 다음작업을 선택할 수 있는 상태로 되고, 메시지 관리 프로시저(700)를 종료할 경우(스텝 703 "예") 종료키를 입력하면(704) 상기 과정을 종료하고 메인 프로시저(400)로 리턴 한다.
도 8은 문자메시지 확인 프로시저(720)로서, DB 검색을 통하여(721) 수신된 메시지가 있으면(스텝 722 "유") 정보화면(102)에 나타난 수신 메시지를 선택하여 내용확인을 하는데(724), Kiss Message가 첨부표시(예 "♡"표시)를 확인하여 Kiss Message가 있는 문자메시지를 선택한 경우(스텝 725 "유") Kiss S/W(302)가 "on"상태가 되고(727) 이때 Lip Vibrator(109)를 작동시키기 위하여(스텝 728 "예") Lip Pad S/W(105)에 입술을 접촉. 유지하면(729), Lip Pad S/W 증폭회로의 출력단자(301a)에서 Kiss S/W(302 "on"상태)를 통해 Lip Vibrator(109)로 구동전력을 공급하여 Lip Vibrator(109)가 작동되는데, 이때 Lip S/W(303)는 "off"상태를 유지하여 Kiss Signal의 송신은 하지 않는다. Lip Vibrator(109)의 작동을 멈추어 Kiss를 종료하려면(스텝 730 "예") Lip Pad S/W(105)에서 입술을 떼어 접촉을 중단한다.(스텝 731) 계속해서 메시지확인 작업을 할 경우(스텝 732 "아니오") 스텝 724로 복귀하여 계속 작업을 수행하고, 메시지확인을 종료하고(스텝 732 "예") 선택하여 내용을 확인한 메시지를 삭제할 경우(스텝 733 "예") 메시지 삭제버튼을 입력한 후(734) 종료버튼을 입력하면(735) 해당 자료를 DB에 반영한 후(736) 메시지 관리 프로시저(700)로 리턴 한다. 선택하여 내용을 확인한 메시지를 삭제하지 않을 경우(스텝 733 "아니오") 종료버튼을 입력하여(735) 메시지 확인사실을 DB에 반영한 다음(736) 메시지 관리 프로시저(700)로 리턴 한다. 스텝 724 ~ 스텝 725에서Kiss Message첨부유무를 확인한 결과 Kiss Message가 첨부되지 않았을 경우(스텝 725 "무") 메시지확인만 하고 Kiss S/W(302)는 "off"상태(726)에서 스텝 732의 절차를 수행한다. 스텝 721에서 DB 검색을 한 결과 수신된 문자메시지가 없을 경우(스텝 722 "무") "수신된 문자메시지가 없습니다"라는 에러메시지(723)와 함께 메시지 관리 프로시저(700)로 리턴 한다.
도 9는 음성메시지 확인 프로시저(750)로서, 통화 프로시저(500)의 스텝 504 ~ 스텝 507의 절차에 따라 음성사서함에 수신된 음성메시지의 확인과정을 도시하였다. DB 검색을 하고(스텝 751) 수신된 음성메시지 유무를 확인하여 수신된 음성메시지가 없으면(스텝 752 "무") "수신된 음성메시지가 없습니다"라는 에러메시지(753)와 함께 메시지 관리 프로시저(700)로 리턴하고, 수신된 음성메시지가 있으면(스텝 752 "유") 정보화면(102)에서 메시지를 선택하게 되는데(스텝 754) 음성메시지 선택 후 음성사서함에 접속하여 해당 메시지를 청취한다.(스텝 755) 스텝 754에서 Kiss Message 첨부표시(예 "♡"표시)를 확인하여 Kiss Message가 첨부된 음성메시지를 선택한 경우(스텝 756 "유") Kiss S/W(302)가 "on"상태로 전환되는데(스텝 758), Lip Vibrator(109)를 작동시키고자 할 경우(스텝 759 "예") Lip Pad S/W(105)에 입술을 접촉하고 유지하면(760) Lip Pad S/W 증폭회로의 출력단자(301a)에서 Kiss S/W(302 "on"상태)를 통해 Lip Vibrator(109)로 구동전력을 공급하여 Lip Vibrator(109)가 작동되며, 이때 Lip S/W(303)는 "off"상태가 유지되어 Kiss Signal의 송신은 하지 않는다. Lip Vibrator(109)의 작동을 멈추어 Kiss를 종료하려면(스텝 761 "예") Lip Pad S/W(105)에서 입술을 떼어 접촉을 중단한다.(스텝 762) 계속해서 메시지확인 작업을 할 경우(스텝 763 "아니오") 스텝 754로 복귀하여 계속 작업을 수행하고, 메시지확인을 종료하고(스텝 763 "예") 선택하여 내용을 확인한 메시지를 삭제할 경우(스텝 764 "예") 메시지 삭제버튼을 입력한 후(765) 종료버튼을 입력하면(766) 해당 자료를 DB에 반영한 후(767) 메시지 관리 프로시저(700)로 리턴 한다. 선택하여 내용을 확인한 메시지를 삭제하지 않을 경우(스텝 764 "아니오") 종료버튼을 입력하여(766) 메시지 확인사실을 DB에 반영한 다음(767) 메시지 관리 프로시저(700)로 리턴 한다. 스텝 755 ~ 스텝 756에서 Kiss Message 첨부유무를 확인한 결과, Kiss Message가 첨부되지 않았을 경우(스텝 756 "무") Kiss S/W(302)는 "off"상태(757)에서 메시지확인만 하고 스텝 763의 절차를 수행한다. 스텝 751에서 DB 검색을 한 결과 수신된 음성메시지가 없을 경우(스텝 752 "무") "수신된 음성메시지가 없습니다"라는 에러메시지(753)와 함께 메시지 관리 프로시저(700)로 리턴 한다.
도 10은 메시지 삭제 프로시저(780)로서, 작업선택을 하여(781) 그 선택 값이 "231"이면 음성메시지 검색(783)을, "232"이면 문자메시지 검색(786)을, "233"이면 본 프로시저를 종료하고 메시지 관리 프로시저(700)로 리턴 한다.(스텝 782) 스텝 783의 음성메시지 검색결과 해당 자료가 없으면(스텝 784 "무") "자료가 없습니다"라는 에러메시지(785)와 함께 본 프로시저의 처음으로 복귀하고, 해당 자료가 있으면(스텝 784 "유") 다음 스텝으로 진행하며, 스텝 786 문자메시지 검색결과 해당 자료가 없으면(스텝 787 "무") "자료가 없습니다"라는 에러메시지(788)와 함께 본 프로시저의 처음으로 복귀하고, 해당 자료가 있으면(스텝 787 "유") 다음 스텝으로 진행한다. 음성메시지 및 문자메시지 검색결과 자료가 있으나(스텝 784 "유" 또는 스텝 787 "유") 해당 자료의 삭제를 원치 않을 경우(스텝 789 "아니오") 취소버튼을 입력하여(790) 본 프로시저의 처음으로 복귀하고, 해당 자료를 삭제하고자 할 때에는(스텝 789 "예") 정보화면(102)에서 자료를 선택하여 확인버튼을 입력하면(791) 해당 메시지를 삭제한 후 DB에 반영한다.(스텝 792) 작업을 종료하고자 할 경우(스텝 793 "예") 종료버튼을 입력하면(794) 본 프로시저를 종료한 후 메시지 관리 프로시저(700)로 리턴하고, 계속 작업을 수행할 경우에는 스텝 781에서 작업선택을 하여 진행한다.(스텝 793 "아니오")
도 11은 모드선택 프로시저(1100)로서, 통화당사자 상호간 Kiss Signal을 교신하거나, 수신된 음성 또는 문자메시지에 첨부된 Kiss Message를 확인할 때 Lip Vibrator(109) 작동모드를 Lip Vibrator의 작동만 ("Lip Vibrator" 단독모드) 실행시킬 것인지 아니면 Lip Vibrator의 작동과 선택한 Sound 재생 또는 Perfume의 작동 중 선택적으로 실행시킬 것인지를 선택하는 작업흐름을 도시하였다. Lip Vibrator 모드선택을 하여(1101) 그 선택 값이 "31"이면 "Lip Vibrator" 단독모드가(1103) 선택되고, 선택 값이 "32"이면 "Lip Vibrator + Sound" 혼합모드(1104) 상태에서 Sound의 시험과정을 통하여 마음에 드는 Sound를 선택하며(1105), 선택 값이 "33"이면 "Lip Vibrator + Perfume" 혼합모드(1106) 상태에서 Perfume의 시험과정을 통하여 마음에 드는 Perfume을 선택하고(1107), 선택 값이 "34"이면 "Lip Vibrator + Sound + Perfume" 혼합모드(1108) 상태에서 Sound 및 Perfume의 시험과정을 통하여 마음에 드는 Sound 및 Perfume을 선택한다.(스텝 1109) 그 다음 확인버튼을 입력하여(스텝 1110) 상기 과정을 종료하게 되는데, 버튼입력 선택이 "확인"이면(스텝 1111 "확인") DB 반영을 한(스텝 1112) 다음 메인 프로시저(400)로 리턴하고, 버튼입력 선택이 "취소"이면(스텝 1111 "취소") DB 반영을 하지 않고 메인 프로시저(400)로 리턴 한다. 각 선택모드(1103, 1104, 1106, 1108)에서 각 장치의 "on", "off"지정이 가능하며 "off"로 지정된 장치는 해당 모드에서 작동하지 않게 된다. 상기 모드 이외에 Kiss 전달 시 화상데이터를 함께 전송하는 것도 적용할 수 있을 것이며, 수신자 측의 Kiss 작동모드를 송신자의 Kiss Signal(또는 Kiss Message)에 포함시켜 보내는 방법으로 수신자가 좋아하는 음악, 향기, 화상 등을 미리 선택하여 보내는 것 또한 적용할 수 있다.
도 12는 Sound녹음 프로시저(1200)로서, 모드선택 프로시저(1100)에서 Sound가 포함된 혼합모드(도 11의 스텝 1104, 스텝 1108 참조)를 선택한 경우 이용될 Sound를 녹음하기 위한 과정을 도시하였다. 먼저 시작버튼을 입력하여(1201) 이동전화단말기의 Mic(송화기; 도 1 및 도 2의 106 참조)를 통하여 녹음을 진행(1202)하게 되는데, 녹음을 종료할 경우(스텝 1203 "예") 종료버튼을 입력한다.(스텝 1204) 상기 과정에서 녹음한 Sound를 저장할 경우(스텝 1205 "예") 확인버튼을 입력하여(1206) 해당 자료를 DB에 반영(1207)한 후 메인 프로시저(400)로 리턴하고, 저장하지 않을 경우(스텝 1205 "아니오") 취소버튼을 입력하면(1208) 해당 자료를 저장하지 않고 메인 프로시저(400)로 리턴 한다.
도 13은 특정 파형의 Kiss Signal 생성방식 Kiss송신 흐름도(1300)로서, 상대 이동전화단말기와 통신(1301) 중에 Lip Pad S/W(105)에 입술을 접촉하여 LipS/W(도 3의 303)가 "on"의 상태로 되면(스텝 1302 "on") Mic(송화기 ; 도 1 및 도 2의 106 참조)의 입력이 차단되고, 특정 파형의 Kiss Signal을 생성하여 A/D변환(1305), Source Coding(1306), Channel Coding(1307), Digital 변조(1308) 등의 과정을 수행하고 해당 정보를 전송한다.(스텝 1309) Lip Pad S/W(303)에 입술을 접촉하지 않아 Lip S/W(303)가 "off"인 상태(스텝 1302 "off")에서는 Mic(송화기 ; 도 1 및 도 2의 106 참조)를 통하여 입력된 Analog 정보(음성정보)를 스텝 1305에서 스텝 1309의 과정을 거쳐 정보를 전송한다. 특정 파형의 Kiss Signal 생성방식은 데이터 전송방식에 구애됨이 없이 적용이 용이한 Kiss Signal 송수신 방식이라 하겠다.
도 14는 특정 파형의 Kiss Signal 생성방식 Kiss수신 흐름도(1400)로서, 통화상대자의 이동전화단말기가 전송한 DATA(정보)를 수신하여(1401) Digital 복조(1402), Channel Decoding(1403), Source Decoding(1404), D/A변환(1405) 등의 과정을 거친 후 Kiss Signal 검출회로를 통하여 Kiss Signal을 검출하게 되는데(1406), 지속적인 Kiss Signal이 감지되면(스텝 1407 "유") Kiss S/W(302)를 "on"상태로 유지하고, Kiss Signal 검출한(1406) 결과 Kiss Signal이 감지되지 않을 경우(스텝 1407 "무") Kiss S/W(302)는 "off"상태를 유지한다.
도 15는 Kiss Bit 추가방식의 Kiss송신 흐름도(1500)로서, 상대 이동전화단말기와 통신(1501) 중에 Lip Pad S/W(105)에 입술을 접촉하여 Lip S/W(도 3의 303)가 "on"의 상태로 유지되면(스텝 1502 "on") Channel Coding시 Kiss bit의 값이 "1"로 유지되고(1504), Lip Pad S/W(105)에 입술을 접촉하지 않아 Lip S/W(도 3의303)가 "off"(default 값)의 상태이면(스텝 1502 "off") Channel Coding시 Kiss bit의 값은 "0"의 상태로 된다.(스텝 1503) 또한 Mic(송화기 ; 도 1 및 도 2의 106 참조)를 통하여 입력된 음성정보는 A/D변환(1505), Source Coding(1506), Channel Coding(1507), Digital 변조(1508)의 과정을 거쳐 전송(1509)되는데, 스텝 1503(Kiss bit="0") 또는 스텝 1504(Kiss bit="1")의 값은 스텝 1507의 Channel Coding시 반영하여 Digital 변조(1508)를 거쳐 전송(1509)한다. Kiss bit 추가방식은 24 채널 전부를 음성채널로 이용하는 PCM-24, 즉 NAS(North American Standard)와 같은 방식에 적용이 용이하다 하겠다.
도 16은 Kiss Bit 추가방식의 Kiss수신 흐름도(1600)로서, 상대 이동전화단말기가 전송한 DATA를 수신하여(1601) Digital 복조(1602)를 하고 Channel Decoding(1603)과정을 수행할 때 검출된 Kiss bit의 값이 "1"이면(스텝 1604 "1") Kiss S/W(302)는 "on"의 상태(1606)로 유지되고, 검출된 Kiss bit의 값이 "0"이면(스텝 1604 "0") Kiss S/W(302)는 "off"의 상태(1605)가 되며, Source Decoding(1607) 및 D/A변환(1608)을 수행하여 과정을 마치게 된다.
도 17은 Zero Level Signal전송방식의 Kiss송신 흐름도로서, 상대 이동전화단말기와 통신(1701) 중에 Lip Pad S/W(105)에 입술을 접촉하여 Lip S/W(도 3의 303)가 "on"의 상태로 되면(스텝 1702 "on") Mic(송화기 ; 도 1 및 도 2의 106 참조)의 입력이 차단되고, 음성입력 신호의 레벨이 "0"인 상태에서 A/D변환(1705), Source Coding(1706), Channel Coding(1707), Digital 변조(1708) 등의 과정을 수행하고 해당 정보를 전송한다.(스텝 1709) Lip Pad S/W(303)에 입술을 접촉하지 않아 Lip S/W(303)가 "off"인 상태(스텝 1702 "off")에서는 Mic(송화기 ; 도 1 및 도 2의 106 참조)를 통하여 입력된 Analog 정보(음성정보)를 스텝 1705에서 스텝 1709의 과정을 거쳐 정보를 전송한다.
도 18은 Zero Level Signal전송방식의 Kiss수신 흐름도로서, 통화상대자의 이동전화단말기가 전송한 DATA(정보)를 수신하여(1801) Digital 복조(1802), Channel Decoding(1803), Source Decoding(1804), D/A변환(1405) 등의 과정을 거친 후 출력단에서의 "출력레벨(A)"과 무 입력(입력신호의 레벨이 Zero인 상태) 시의 "최대잡음레벨(B)"을 비교하여 Kiss Signal을 검출하게 되는데(스텝 1806), 결과가 "A<=B"("A"가 "B"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이면 Kiss S/W(302)를 "on"(1809)상태로 유지하고, 결과가 "A>B"("A"가 "B"보다 클 경우)이면 Kiss S/W(302)를 "off"(1808)상태로 유지한다.
출력단에서의 출력비교가 아닌 Channel Decoding시의 연속 Zero Level Code검색을 통하여 Kiss Signal을 검색할 경우, 스텝 1803의 Channel Decoding Data를 Zero Code 검색(스텝 1810)을 통하여 Kiss Signal 유무를 판단하게 되는데, 검색결과(1807) 값이 H("1")이면 Kiss S/W는 "on"(1809), 값이 L("0")이면 Kiss S/W는 "off"(1808)가 된다.(도 21 "Zero Level 송수신 방식의 Logic Diagram" 및 도 23 "Zero Level 송수신 방식의 Kiss Code 검색과정 예시도" 참조)
도 19는 Kiss Code 생성방식의 Kiss송신 흐름도로서, 상대 이동전화단말기와 통신(1901) 중에 Lip Pad S/W(105)에 입술을 접촉하여 Lip S/W(도 3의 303)가 "on"의 상태로 되면(스텝 1902 "on") Kiss Code를 생성하게 되는데, 음성채널을 이용하여 Kiss Code를 전송할 경우에는 Mic(송화기 ; 도 1 및 도 2의 106 참조)의 입력을 차단한 후 Kiss Code를 생성하고(NAS 방식과 같이 전 채널을 음성채널로 이용할 경우에 적용이 용이함), 신호전용 채널을 이용하여 Kiss Code를 전송할 경우(CEPT 방식과 같이 음성채널과 신호채널을 분리하여 전송하는 경우에 적용이 용이함) Mic의 입력차단을 하지 않고 Kiss Code를 생성한다.(스텝 1904) 생성된 Kiss Code는 Channel Coding 시 반영하여(1908) Digital 변조(1909)를 거쳐 전송하게 된다.(스텝 1910) Lip Pad S/W(303)에 입술을 접촉하지 않아 Lip S/W(303)가 "off"인 상태(스텝 1902 "off")에서는 정상적인 통화를 하게되며(1905) A/D변환(1906), Source Coding(1907), Channel Coding(1908), Digital 변조(1909) 등의 과정을 거친 후 전송한다.(스텝 1910) 상기에서 신호채널을 이용하여 Kiss Code를 전송할 경우에는 음성신호와 Kiss Signal을 동시에 송수신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영상 및 음성데이터를 동시에 송수신 할 수 있는 시스템에서는 상기와 같은 방법을 적용하여 Kiss Signal을 영상데이터와 같이 송신하는 것도 용이하다 할 것이다.
도 20은 Kiss Code 생성방식의 Kiss수신 흐름도로서, 상대 이동전화단말기가 전송한 DATA를 수신하여(2001) Digital 복조(2002)를 하고 Channel Decoding(2003) 및 Kiss Code 검색(2004)을 하게 되는데, 검색결과 그 값이 "1"이면(스텝 2005 "1") Kiss S/W(302)는 "on"의 상태(2006)로 유지되고, 값이 "0"이면(스텝 2005 "0") Kiss S/W(302)는 "off"의 상태(2007)가 된다.
(도 22 "Kiss Code 생성방식의 Logic Diagram" 및 도 24는 "Kiss Code 생성방식의 Kiss Code 검색과정 예시도" 참조)
도 21은 Zero Level Signal 송수신 방식의 Logic Diagram으로서, Kiss Signal 송신 시 Mic차단(또는 입력신호를 차단)하는 방법으로 Zero Level Signal을 통화 상대방에게 송신하면(입력신호가 Zero인 상태의 Data 송신) 수신 측에서 Decoding된 Data bit를 Channel 또는 Frame 단위로 검색하여 Kiss Signal의 유무를 판정한다.
Active High(정논리)의 경우를 예로 설명하면, 한번의 Process에 처리하고자 하는 Channel(단수 또는 복수) 또는 Frame(단수 또는 복수)에 포함된 Data bit를 추출. 시차를 제거하여 "A1, A2, A3 ~ An"에 할당하면, Kiss Signal이 포함되었을 경우에는 추출된 Data bit의 값들이 모두 L인 상태(즉 "A1=0, A2=0, A3=0 ~ An=0"인 상태)가 되며, 추출된 각각의 Data bit는 일대일 대응하는 인버터를 통하여(예 : A1->2102, A2->2105, A3->2110 ~ An->2115) 모두 H("1")인 상태(즉 "A1=1, A2=1, A3=1 ~ An=1"인 상태)로 전환되고, 전환된 값(2102, 2105, 2110 ~ 2115의 출력 값)은 이에 일대일 대응하는 AND 게이트(2101, 2104, 2109 ~ 2114)에 입력 값이 된다. 이때 Kiss Signal 유무 판정을 위한 Mixing Code "B"(도 22 2203 참조)는 항상 H값을(즉 항상 B="1") 갖으며, 따라서 추출된 각각의 Data bit에 대응하는 AND 게이트(2101, 2104, 2109 ~ 2114)의 출력 값(2103, 2106, 2111, 2116의 값)은 H("1")인 상태가 되고, 2103과 2106을 입력 값으로 하는 AND 게이트 2107의 출력 값(2108의 값) 또한 H("1")인 상태가 되며 2108과 2111을 입력 값으로 하는 AND 게이트 2112의 출력 값(2113의 값) 또한 H("1")인 상태가 된다. 결국 최고 말단의 AND 게이트(n-1번째)인 2118의 입력 값 2116과 2117또한 H("1")가 되어 최종 결과 값(2119의 값)은 H("1")가 된다. 최종 결과 값이(2119의 값) H("1")인 경우 Kiss S/W(도 3의 302)의 컨트롤 입력단자에 컨트롤 전원이 전달되어 Kiss S/W(도 3의 302)를 "on"시켜 Lip Vibrator(109)를 작동시킴으로서 Kiss를 전달하게 된다.
Lip Pad S/W(105)에 입술을 접촉하지 않고 정상적인 통화를 할 경우에는 A1 ~ An에 대응하는 추출된 Data bit 모두가 각각 "0"의 값을 갖지는 않으며, 따라서 최고 말단의 AND 게이트(n-1번째)인 2118의 출력 값이 L("0")이 되어 Kiss S/W(302)가 "off"인 상태가 되므로 Lip Vibrator(109)는 작동하지 않게 된다.
도 22는 Zero Level Signal 송수신 방식의 Kiss Code 검색과정 예시도로서, 수신Kiss Code 중 한번의 Process에 처리하고자 하는 (단수 또는 복수의)Channel 또는 (단수 또는 복수)Frame(2201)에 포함된 Data bit를 추출. 시차를 제거하여 "A1, A2, A3 ~ An"에 할당된 일련의 Data bit(2202)와 Mixing Code(2203) 및 이들을 입력데이터로 하여 도 21의 Kiss Signal 검색과정을 통하여 Kiss Signal이 포함되었을 경우의 결과 값(2204)을 위에서부터 순차적으로 도시하였다.
도 23은 Kiss Code 생성방식의 Logic Diagram으로서, 도 19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음성채널을 통하여 Kiss Signal을 송신 할 경우에는 Mic차단(또는 입력신호를 차단)하고 Kiss Code를 생성하고, 신호채널을 이용하여 Kiss Signal을 송신 할 경우에는 Mic입력을 차단하지 않고 Kiss Code를 생성하여 통화 상대방에게 송신하면 수신 측에서 Decoding된 Data bit를 Channel 또는 Frame 단위로 검색하여 Kiss Signal의 유무를 판정한다.
이해를 돕기 위하여 "1"과 "0"의 반복되는 Data형태를 Kiss Signal로 설정하여(예 : "101010101010 .....10") Active High(정논리)의 경우를 예로 설명하면, 한번의 Process에 처리하고자 하는 Channel(단수 또는 복수) 또는 Frame(단수 또는 복수)에 포함된 Data bit를 추출. 시차를 제거하여 "a1, a2, a3 ~ an"에 할당하면, Kiss Signal이 포함되었을 경우에는 추출된 Data bit의 값들이 모두 H("1")와 L("0")의 반복인 상태(즉 "a1=1, a2=0, A3=1 ~ An=0"인 상태)가 되며, 추출된 각각의 Data bit 중 L("0")인 상태의 bit는 이에 대응하는 인버터(a2->2304 ~ an->2313)를 통하여 H("1")인 상태로 전환되어 추출된 각각의 모든 Data bit는 H("1")인 상태(즉 "a1=1, a2=1, a3=1 ~ an=1"인 상태)가 되고, 각각의 Data bit에 일대일 대응하는 AND 게이트(2301, 2303, 2308 ~ 2312)에 전달한다. 이때 Kiss Signal 유무 판정을 위한 Mixing Code "b"(도 24 2403 참조)는 항상 H값(즉 항상 b="1")을 갖으며, 따라서 AND 게이트 2301, 2303, 2308 ~ 2312의 출력 값은(2312, 2305, 2309, 2314의 값) H("1")인 상태가 되고, 2302와 2305를 입력 값으로 하는 AND 게이트 2107의 출력 값(2307의 값) 또한 H("1")인 상태가 되며 2307과 2309를 입력 값으로 하는 AND 게이트 2310의 출력 값(2311의 값) 또한 H("1")인 상태가 된다. 결국 최고 말단의 AND 게이트(n-1번째)인 2316의 입력 값 2315와 2314 또한 H("1")가 되어 최종 결과 값(2317의 값)은 H("1")가 된다. 최종 결과 값이(2317의 값) H("1")인 경우 Kiss S/W(도 3의 302)의 컨트롤 입력단자에 컨트롤 전원이 전달되어 Kiss S/W(도 3의 302)를 "on"시켜 Lip Vibrator(109)를 작동시킴으로서 Kiss를 전달하게 된다.
Lip Pad S/W(105)에 입술을 접촉하지 않고 정상적인 통화를 할 경우에는 a1~ an에 대응하는 추출된 Data bit 그룹의 순서가 "1"과 "0"의 순환구조(예 : "1010101010....1010")가 되지 않으므로 , 최고 말단의 AND 게이트(n-1번째)인 2316의 출력 값(2317의 값)이 L("0")이 되고 Kiss S/W(302)가 "off"인 상태가 되므로 Lip Vibrator(109)는 작동하지 않게 된다.
도 24는 Kiss Code 생성방식의 Kiss Code 검색과정 예시도로서, 수신Kiss Code 중 한번의 Process에 처리하고자 하는 (단수 또는 복수의)Channel 또는 (단수 또는 복수)Frame(2401)에 포함된 Data bit를 추출. 시차를 제거하여 "a1, a2, a3 ~ an"에 할당된 일련의 Data bit(2402)와 Mixing Code(2403) 및 이들을 입력데이터로 하여 도 23의 Kiss Signal 검색과정을 통하여 Kiss Signal이 포함되었을 경우의 결과 값(2404)을 위에서부터 순차적으로 도시하였다.
현재의 시청각기능을 위주로 한 통화서비스에 통화당사자 간 호의적 감정의 촉각적인 표현을 가능하게 하는 기능을 추가하여 보다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관련산업의 활성화를 촉진시키는 효과가 기대된다.

Claims (14)

  1. 일단의 입력버튼, 송.수화기, 정보 표시화면, 전원공급장치, 데이터 송.수신 및 처리장치, 몸체와,
    메시지 정보, Lip Vibrator 모드선택 정보, sound 녹음정보 및 기타 전화전호 등의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베이스와,
    처리를 위한 프로시저들을 구비한 운영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어,
    중계국을 통하여 사용자 상호간 무선통신을 용이하게 하는 이동전화(또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사용자의 입술접촉(전송키스)을 감지하는 키스감지 수단과,
    감지된 입술접촉 신호를 통화상대의 이동전화 단말기로 전송하기 위한 키스신호 전송수단과,
    통화상대의 입술접촉(응답키스)을 수신하기 위한 키스신호 수신수단과,
    상기 전송키스 신호 및 응답키스 신호의 존재상태에 따라 응답키스 신호를 감각적인 표현으로 출력하기 위한 키스출력수단을 을 더 구비하여,
    감각적인 표현으로 입술접촉(Kiss)을 송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의적 감정의 촉각적 표현이 가능한 이동전화 단말기.
  2. 제 1항에서 상기 키스감지 수단은,
    Lip Pad S/W, Lip Pad S/W 증폭회로로 구성되고,
    상기 Lip Pad S/W는 이동전화 단말기의 몸체의 외부에 노출하여 설치하고,
    상기 Lip Pad S/W 증폭회로의 출력신호는 상기 제 1항의 키스신호 전송수단 및 상기 제 1항의 키스출력수단을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호의적 감정의 촉각적 표현이 가능한 이동전화 단말기.
  3. 제 1항에서 상기 키스신호 전송수단은,
    Lip S/W, Kiss Signal(키스신호) 송신부로 구성되고,
    상기 Kiss Signal 송신부는 Lip S/W의 개폐에 따라 전송키스 분별신호를 전송신호에 반영하는 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제 1항 내지는 제 2항의 키스감지 수단으로부터의 Lip S/W 개폐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Lip S/W가 개폐되면, 동 Lip S/W의 개폐결과에 따라 상기 Kiss Signal 송신부를 통하여 전송키스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의적 감정의 촉각적 표현이 가능한 이동전화 단말기.
  4. 제 1항에서 상기 키스신호 수신수단은,
    Kiss Signal 수신단계;
    Kiss Signal 분리단계;
    Kiss Signal 출력단계;를 구비하여,
    상기 Kiss Signal 출력단계의 출력값으로 상기 키스출력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의적 감정의 촉각적 표현이 가능한 이동전화 단말기.
  5. 제 1항에서 상기 키스출력수단으로,
    Kiss S/W, Lip Vibrator 및 또는 Perfume Pack(향기 팩) 및 또는 정보 표시화면으로 구성되고,
    상기 Kiss S/W는 상기 제 4항의 Kiss Signal 출력단계에서의 Kiss Signal출력 값(도 3의 300a참조)과 상기 1항 내지는 상기 3항의 키스 감지수단의 출력 값(도 3의 301a참조)의 조합으로 제어됨을 특징으로 하는 호의적 감정의 촉각적 표현이 가능한 이동전화 단말기.
  6. 제 1항에서 상기 운영프로그램은,
    통화프로시저, 문자메시지 전송 프로시저, 메시지관리 프로시저, 모드선택 프로시저, Sound녹음 프로시저를 구비한 메인 프로시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호의적 감정의 촉각적 표현이 가능한 이동전화 단말기.
  7. 제 6항에서 상기 통화프로시저는,
    수신자가 다이얼을 입력하고 전송키를 입력하는 단계;
    통화상대와의 접속성공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접속성공 시의 통화단계;
    접속실패 시의 메시지 전송단계;
    통화종료 단계;를 구비하고,
    상기의 통화단계에 있어서
    Kiss전송 선택단계;
    Lip S/W를 "on" 시키고 Kiss Signal을 통화상대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통화상대로부터의 Kiss Signal 수신여부를 판단하고 Kiss Signal이 수신된 경우 Lip Vibrator를 작동시키는 단계;와
    상기의 메시지 전송단계에 있어
    메시지전송을 선택하는 단계; 및 Kiss Signal을 선택적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여 Kiss Signal의 송.수신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의적 감정의 촉각적 표현이 가능한 이동전화 단말기.
  8. 제 6항에서 상기 문자메시지 전송 프로시저는,
    수신자의 전화번호 및 회신 전화번호를 입력하는 단계;
    작업선택 단계;
    메인 프로시저로 리턴 하는 단계;
    메시지입력 단계;
    등록된 메시지 이용단계;로 구성되어,
    상기 작업선택 단계의 선택결과에 따라 상기 한 메인 프로시저로 리턴 하는 단계, 메시지입력 단계, 등록된 메시지 이용단계 중 수행되며,
    상기 메시지입력 단계는
    새로운 문자메시지를 입력하거나 등록된 메시지 중 선택하여 입력하는 단계;
    입력된 메시지를 데이터 베이스에 반영하는 단계;
    선택적으로 Kiss Message를 첨부하여 전송하는 단계;를 구비하고,
    상기 등록된 메시지 이용단계는
    데이터 베이스 검색단계;
    메시지를 선택하는 단계;
    선택적으로 메시지를 수정 또는 확인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여
    문자메시지 전송과 함께 선택적으로 Kiss Message를 첨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의적 감정의 촉각적 표현이 가능한 이동전화 단말기.
  9. 제 6항에서 상기 메시지관리 프로시저는,
    작업선택 단계;
    작업수행 단계;
    작업종료 단계;로 구성되고,
    상기 작업수행 단계는
    문자메시지 확인 프로시저, 음성메시지 확인 프로시저, 메시지 삭제 프로시저로 구성되며,
    상기 문자메시지 확인 프로시저는
    데이터 베이스를 검색하는 단계;
    메시지가 없으면 메시지관리 프로시저로 리턴하고, 메시지가 있으면 메시지를 선택하여 내용을 확인하는 단계;
    Kiss Message의 유무에 따라 Lip Vibrator를 동작시키는 단계;
    선택적으로 메시지를 삭제하는 단계;
    데이터 베이스에 정보를 반영하는 단계;로 구성되고,
    상기 음성메시지 확인 프로시저는
    데이터 베이스를 검색하는 단계;
    메시지가 없으면 메시지관리 프로시저로 리턴하고, 메시지가 있으면 음성사서함에 접속하여 메시지를 청취하는 단계;
    Kiss Message의 유무에 따라 Lip Vibrator를 동작시키는 단계;
    선택적으로 메시지를 삭제하는 단계;
    데이터 베이스에 정보를 반영하는 단계;로 구성되며,
    상기 메시지 삭제 프로시저는
    작업선택 단계;
    메시지 검색단계;
    메시지 삭제 또는 취소 중 선택하는 단계;
    삭제 메시지 데이터 베이스 반영단계;로 구성되고,
    상기의 Lip Vibrator를 동작시키는 단계는 첨부된 Kiss Message의 유무에 따라 Kiss S/W를 "on" 또는 "off"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의 Kiss S/W인 "on" 상태에서 Lip Pad S/W에 입술을 접촉하고 있으면 Lip Vibrator를 동작시키고, Lip Pad S/W에서 입술의 접촉을 단절하면 Lip Vibrator의 동작을 중단시키는 단계;를 더 구비하여 Kiss Message를 감각적인 표현으로 출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의적 감정의 촉각적 표현이 가능한 이동전화 단말기.
  10. 제 6항에서 상기 모드선택 프로시저는,
    Lip Vibrator 모드, "Lip Vibrator + Sound" 모드, "Lip Vibrator + Perfume" 모드, "Lip Vibrator + Sound + Perfume" 모드 중 선택하는 단계;
    상기 단계에서 선택한 모드를 시험재생 하는 단계;
    최종 선택에 따라 결과를 데이터 베이스에 반영하는 단계;로 구성되어 Kiss Message를 다양한 감각적 수단으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의적 감정의 촉각적 표현이 가능한 이동전화 단말기.
  11. 제 1항에서 Kiss Signal을 송수신 하는 방법으로,
    통화중 Lip S/W의 상태("on" 또는 "off")를 구별하여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
    A/D변환 단계;
    Source Coding 단계;
    Channel Coding 단계;
    Digital변조 단계;
    전송단계; 및,
    Data 수신 단계;
    Digital복조 단계;
    Channel Decoding 단계;
    Source Decoding 단계;
    D/A변환 단계;
    Kiss Signal 검출 단계;로 구성되고,
    상기 통화중 Lip S/W의 상태를 구별하여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에서 Lip S/W가 "on" 상태이면 Mic(송화기)의 입력을 차단하여 입력정보로 특정 파형의 Kiss Signal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Kiss Signal 검출 단계;에서 Kiss Signal이 검출되면 Kiss S/W를 "on"으로, Kiss Signal이 검출되지 않으면 Kiss S/W를 "off"로 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여,
    Kiss Signal의 송.수신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의적 감정의 촉각적 표현이 가능한 이동전화 단말기.
  12. 제 1항에서 Kiss Signal을 송수신 하는 방법으로,
    통화중 Lip S/W의 상태("on" 또는 "off")를 구별하여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
    A/D변환 단계;
    Source Coding 단계;
    Channel Coding 및 Kiss Bit 반영 단계;
    Digital변조 단계;
    전송단계; 및,
    Data 수신 단계;
    Digital복조 단계;
    Channel Decoding 단계;
    Kiss Bit 검출단계;
    Source Decoding 단계;
    D/A변환 단계;로 구성되고,
    상기 통화중 Lip S/W의 상태를 구별하여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에서 Lip S/W의 상태("on" 또는 "off")에 따라 Kiss Bit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Kiss Bit검출 단계;에서 Kiss Bit가 검출되면 Kiss S/W를 "on"으로, Kiss Bit가 검출되지 않으면 Kiss S/W를 "off"로 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여,
    Kiss Signal의 송.수신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의적 감정의 촉각적 표현이 가능한 이동전화 단말기.
  13. 제 1항에서 Kiss Signal을 송수신 하는 방법으로,
    통화중 Lip S/W의 상태("on" 또는 "off")를 구별하여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
    A/D변환 단계;
    Source Coding 단계;
    Channel Coding 단계;
    Digital변조 단계;
    전송단계; 및,
    Data 수신 단계;
    Digital복조 단계;
    Channel Decoding 단계;
    Source Decoding 단계;
    D/A변환 단계;
    Kiss Signal 검출단계;로 구성되고,
    상기 통화중 Lip S/W의 상태를 구별하여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에서 Lip S/W가 "on" 이면 Mic입력을 차단하여 입력신호가 없는 상태를 유지하는 단계;와,
    상기 Kiss Signal 검출단계;에서 출력레벨이 최대잡음레벨 이하인 경우를 Kiss Signal이 검출된 것(Kiss S/W를 "on"으로)으로 반영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여,
    출력레벨과 최대잡음레벨의 대소관계에 따라 Kiss Signal을 검출하여 Kiss Signal의 송.수신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의적 감정의 촉각적 표현이 가능한 이동전화 단말기.
  14. 제 1항에서 Kiss Signal을 송수신 하는 방법으로,
    통화중 Lip S/W의 상태("on" 또는 "off")를 구별하여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
    A/D변환 단계;
    Source Coding 단계;
    Channel Coding 단계;
    Digital변조 단계;
    전송단계; 및,
    Data 수신 단계;
    Digital복조 단계;
    Channel Decoding 단계;
    Kiss Code검색 단계;로 구성되고,
    상기 통화중 Lip S/W의 상태를 구별하여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에 있어서 Kiss Code 생성단계;를 더 구비하여 상기의 Channel Coding 단계에서 Kiss Signal을 반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의적 감정의 촉각적 표현이 가능한 이동전화 단말기.
KR1020000069786A 2000-07-28 2000-11-23 호의적 감정의 촉각적 표현이 가능한 이동전화단말기 KR1003548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00043660 2000-07-28
KR1020000043660 2000-07-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0434A KR20020010434A (ko) 2002-02-04
KR100354825B1 true KR100354825B1 (ko) 2002-09-30

Family

ID=196805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9786A KR100354825B1 (ko) 2000-07-28 2000-11-23 호의적 감정의 촉각적 표현이 가능한 이동전화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5482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4359B1 (ko) 2009-02-16 2011-08-04 한국과학기술원 근감각 피드백을 이용한 상호작용장치 및 이의 작동방법
KR101402243B1 (ko) * 2006-12-21 2014-06-02 삼성전자주식회사 촉각 서비스를 제공하는 휴대단말기 및 그 방법
KR102273759B1 (ko) 2021-01-27 2021-07-06 안중영 기록매체에 저장된 동작신호 전달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및 이를 이용한 동작신호 전달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2335B1 (ko) * 2004-06-18 2007-0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사용자의 감정 전달 및 표출 방법과, 그를위한 통신 시스템
KR101217818B1 (ko) * 2006-04-18 2013-01-18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진동 장치 및 방법
KR100883352B1 (ko) 2006-11-21 2009-02-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원격대화에서 감정 및 의사의 표현 방법과 이를 위한 리얼이모티콘 시스템
KR101470010B1 (ko) * 2008-08-25 2014-12-08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에서의 진동 전달 방법
KR101494388B1 (ko) 2008-10-08 2015-03-03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에서 감정 표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7384A (ko) * 2000-04-21 2000-07-05 주진용 통화 또는 통신중의 교감표시장치
KR20000054846A (ko) * 2000-05-16 2000-09-05 조석현 캐릭터용 핸드폰
KR20010109825A (ko) * 2000-06-02 2001-12-12 김연환 이동 통신 단말기 사용자의 감성 상태에 따른 메시지 전송장치 및 방법
KR20020009693A (ko) * 2000-07-26 2002-02-02 이정현 박막형 통보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7384A (ko) * 2000-04-21 2000-07-05 주진용 통화 또는 통신중의 교감표시장치
KR20000054846A (ko) * 2000-05-16 2000-09-05 조석현 캐릭터용 핸드폰
KR20010109825A (ko) * 2000-06-02 2001-12-12 김연환 이동 통신 단말기 사용자의 감성 상태에 따른 메시지 전송장치 및 방법
KR20020009693A (ko) * 2000-07-26 2002-02-02 이정현 박막형 통보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2243B1 (ko) * 2006-12-21 2014-06-02 삼성전자주식회사 촉각 서비스를 제공하는 휴대단말기 및 그 방법
KR101054359B1 (ko) 2009-02-16 2011-08-04 한국과학기술원 근감각 피드백을 이용한 상호작용장치 및 이의 작동방법
KR102273759B1 (ko) 2021-01-27 2021-07-06 안중영 기록매체에 저장된 동작신호 전달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및 이를 이용한 동작신호 전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0434A (ko) 2002-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54825B1 (ko) 호의적 감정의 촉각적 표현이 가능한 이동전화단말기
JP2002118689A (ja) 携帯電話の発信時相手応答に対する自動音声再生機能
KR100195435B1 (ko) 전화기의 보류음악 선택 녹음방법 및 장치
JPH01848A (ja) 多機能電話装置
JP2003061156A (ja) 音声伝送方法、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端末
JP2002164999A (ja) 移動局ユーザに関連する電話の呼びの一部を記録す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S6291061A (ja) 電話装置
KR20010056430A (ko) 이동전화 단말기의 음성 메시지 전송방법
JP4064216B2 (ja) 携帯電話端末
JP3046998U (ja) 携帯電話
KR100247052B1 (ko) 자동응답 전화기에서 통화중 음성메시지 전송방법
JP2004246777A (ja) 情報伝送システム並びにそのシステムの情報処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2647647B2 (ja) 留守番電話装置
KR970011424B1 (ko) 자동응답장치의 호출 자동 전환 방법
JP2573479Y2 (ja) ファクシミリ装置
JPH09200322A (ja) 携帯電話装置
JPH05300264A (ja) 救急コール機能付き電話機
JPH05130211A (ja) 留守番電話装置
JPH08237377A (ja) インターホン装置
JPH11205437A (ja) 電話の無声応答方式
JP2001177467A (ja) 携帯電話装置
KR20030064592A (ko) 메모리에 저장된 음성 송출기능을 가지는 휴대용 전화기
JPH0678048A (ja) 電話機の留守録音再生装置
JPH0530249A (ja) フアクシミリ通信装置とそれを用いた通信方式
JP2002033745A (ja) 通信システム、通信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憶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