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51786B1 - 우수한유동성을갖는투명한내충격성성형재료 - Google Patents

우수한유동성을갖는투명한내충격성성형재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51786B1
KR100351786B1 KR1019950029069A KR19950029069A KR100351786B1 KR 100351786 B1 KR100351786 B1 KR 100351786B1 KR 1019950029069 A KR1019950029069 A KR 1019950029069A KR 19950029069 A KR19950029069 A KR 19950029069A KR 100351786 B1 KR100351786 B1 KR 1003517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olymerization
components
mixture
refractive inde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290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0760A (ko
Inventor
크리스틴티펜제에
노르베르트귄터베르크
라이너노이만
Original Assignee
바스프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스프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바스프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9600107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07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17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178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L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L25/08Copolymers of styrene
    • C08L25/12Copolymers of styrene with unsaturated nitri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which oxygen atoms are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8L3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acrylic acid esters
    • C08L33/1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1/00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1/04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grafted on to rubb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Graft Or Block Polym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 (A1) (A)에 대해, 80 내지 93 중량%의 메타크릴산 메틸 및
(A2) (A)에 대해, 7 내지 20 중량%의 아크릴산의 C1-C8-알킬 에스테르로 이루어진 혼합물의 중합에 의해 얻을 수 있는 15 내지 70 중량%의 메타크릴산 메틸 중합체(점도가는 55 내지 60ml/g(23℃에서 디메틸포름아미드 중의 0.5 중량% 농도 용액에서 측정)에서 선택됨), 및
(B) (B1) (B)에 대해, 78 내지 88 중량%의 비닐 방향족 단량체 및
(B2) (B)에 대해, 12 내지 22 중량%의 시안화 비닐로 이루어지는 혼합물의 중합에 의해 얻을 수 있는 10 내지 50 중량%의 공중합체(점도가는 60 내지 80ml/g(23℃에서 디메틸포름아미드 중의 0.5 중량% 농도 용액에서 측정)에서 선택됨), 및
(C) (C1) (C11) 50 내지 100 중량%의 1,3-디엔 및
(C12) 0 내지 50 중량%의 비닐 방향족 단량체로 이루어지는 단량체 혼합물의 중합에 의해 얻을 수 있는 50 내지 80 중량%의 코어 및
(C2) 코어(C1)의 존재하에,
(C21) 40 내지 100 중량%의 메타크릴산 또는 아크릴산의 C1-C8-알킬 에스테르 및
(C22) 0 내지 60 중량%의 비닐 방향족 단량체로 이루어지는 단량체 혼합물의 중합에 의해 얻을 수 있는 20 내지 50 중량%의 그라프트 쉘로부터 얻을 수 있는 20 내지 50 중량%의 그라프트 공중합체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평균 입자 크기(d50)는 40 내지 500nm에서 선택됨), 및
(D) 0 내지 20 중량%의 통상적인 첨가제(여기에서, 상기 성분 (A), (B) 및 (C)의 규정된 중량%의 합이 100중량%이고, 성분 (C)의 굴절 지수와 성분 (A)및 (B)의 혼합물의 굴절 지수 또는 성분 (A), (B) 및 (D)의 혼합물의 굴절 지수의 차는 0.005 미만임)로 이루어진 블렌드를 함유하는 열가소성 성형 재료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우수한 유동성을 갖는 투명한 내충격성 성형 재료
본 발명은,
(A) (A1) (A)에 대해, 80 내지 93 중량%의 메타크릴산 메틸 및
(A2) (A)에 대해, 7 내지 20 중량%의 아크릴산의 C1-C8-알킬 에스테르를 필수 성분으로 하는 혼합물의 중합에 의해 얻을 수 있는 15 내지 70 중량%의 메타크릴산 메틸 중합체로서, 점도가는 55 내지 60ml/g(23℃에서 디메틸포름아미드 중의 0.5 중량% 농도 용액에서 측정)에서 선택되는 메타크릴산 메틸 중합체, 및
(B) (B1) (B)에 대해, 78 내지 88 중량%의 비닐계 방향족 단량체 및
(B2) (B)에 대해, 12 내지 22 중량%의 시안화 비닐을 필수 성분으로 하는 혼합물의 중합에 의해 얻을 수 있는 10 내지 50중량%의 공중합체로서, 점도가는 60 내지 80ml(23℃에서 디메틸포름아미드 중의 0.5 중량% 농도 용액에서 측정)에서 선택되는 공중합체, 및
(C) (C1) (C11) 50 내지 100 중량%의 1,3-디엔 및
(C12) 0 내지 50 중량%의 비닐계 방향족 단량체를 필수 성분으로 하는 단량체 혼합물의 중합에 의해 얻을 수 있는 50 내지 80 중량%의 코어 및
(C2) 코어(C1)의 존재하에,
(C21) 40 내지 100 중량%의 메타크릴산 또는 아크릴산의 C1-C8-알킬 에스테르 및
(C22) 0 내지 60 중량%의 비닐계 방향족 단량체를 필수성분으로 하는 단량체 혼합물의 중합에 의해 얻을 수 있는 20 내지 50 중량%의 그라프트 쉘로부터 얻을 수 있는 20 내지 50 중량%의 그라프트 공중합체로서, 평균 입자 크기(d50)가 40 내지 500nm 범위에서 선택되는 그라프트 공중합체, 및
(D) 성분 A, B 및 C의 합을 100중량%로 하여, 0 내지 20 중량%의 통상적인 첨가제 (여기에서, 성분 (C)의 굴절 지수와 성분 (A) 와 (B)의 혼합물의 굴절 지수 또는 성분 (A), (B) 및 (D)의 혼합물의 굴절 지수의 차는 0.005 미만임)를 필수 성분으로 하는 블렌드를 함유하는 열가소성 성형 재료에 관한 것이다.
EP-A 62 223호에는 경질 메타크릴산 메틸 중합체, 경질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중합체, 및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의 연질 그라프트 공중합체 및, 필요하다면, 고무상의 스티렌을 포함하는 투명한 내충격성 열가소성 성형 재료가 기술되어 있다. 상기 성형 재료의 단점은 길고/거나 복잡한 유동경로를 갖는 물품의 생성에서의 이것의 유동성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PMMA(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및 SAN(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중합체를 기재로 하고, 다른 특성(광학 특성, 내변형성 등)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개선된 유동성을 갖는 열가소성 성형 재료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특히, 노치 충격 강도는 적어도 2 kJ/㎡이어야 하고, 내변형 온도(Vicat B)는 적어도 87℃이어야 한다.
본 발명자들은 이러한 목적이 서두에서 정의한 열가소성 성형 재료에 의해 달성됨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자들은 또한 상기 열가소성 성형 재료의 제조 방법, 성형물의 제조를 위한 이것의 사용 방법 및 신규의 열가소성 성형 재료로부터 생성된 성형물을 발견하였다.
신규의 열가소성 성형 재료는 필수적으로,
(A) (A1) (A)에 대해, 80 내지 93 중량%, 바람직하게는 85 내지 93 중량%의 메타크릴산 메틸 및
(A2) (A)에 대해, 7 내지 20 중량%, 바람직하게는 7 내지 15 중량%의 아크릴산의 C1-C8-알킬 에스테르로 이루어진 혼합물의 중합에 의해 얻을 수 있는 15 내지 70 중량%,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60 중량%의 메타크릴산 메틸 중합체로서, 점도가가 55 내지 60, 바람직하게는 56 내지 58ml/g(23℃에서 디메틸포름아미드 중의 0.5 중량% 농도 용액에서 측정) 범위내에서 선택되는 메타크릴산 메틸 중합체 및
(B) (B1) (B)에 대해, 78 내지 88 중량%, 바람직하게는 78 내지 84 중량%의 비닐계 방향족 단량체 및
(B2) (B)에 대해, 12 내지 22 중량%, 바람직하게는 16 내지 22 중량%의 시안화 비닐로 이루어지는 혼합물의 중합에 의해 얻을 수 있는 10 내지 50 중량%,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40 중량%의 공중합체로서, 점도가가 60 내지 80ml/g, 바람직하게는 65 내지 75ml/g(23℃에서 디메틸포름아미드중의 0.5 중량% 농도 용액에서 측정) 범위에서 선택되는 공중합체 및
(C) (C1) (C11) 50 내지 100 중량%,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80 중량%의 1,3-디엔 및
(C12) 0 내지 50 중량%,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40 중량%의 비닐계 방향족 단량체로 이루어지는 단량체 혼합물의 중합에 의해 얻을 수 있는 50 내지 80 중량%, 바람직하게는 55 내지 70 중량%의 코어 및
(C2) 코어(C1)의 존재하에,
(C21) 40 내지 100 중량%,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80 중량%의 메타크릴산 또는 아크릴산의 C1-C8-알킬 에스테르 및
(C22) 0 내지 60 중량%,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50 중량%의 비닐계 방향족 단량체로 이루어지는 단량체 혼합물의 중합에 의해 얻을 수 있는 20 내지 50 중량%,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45 중량%의 그라프트 쉘로부터 얻을 수 있는 20 내지 50 중량%,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40 중량%의 그라프트 공중합체로서, 평균 입자 크기(d50)가 40 내지 500nm,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300nm에서 선택되는 그라프트 공중합체 및
(D) 상기 성분 (A), (B) 및 (C)의 합을 100중량%로 하여 0 내지 20 중량%,바람직하게는 0 내지 10 중량%의 통상적인 첨가제를 함유하며, 여기에서 성분 (C)의 굴절 지수와 성분 (A)와 (B)의 혼합물의 굴절 지수 또는 성분 (A), (B) 및 (D)의 혼합물의 굴절 지수의 차는 0.005 미만이다.
아크릴산의 C1-C8-알킬 에스테르(성분 A2)로서, 아크랄산 메틸, 아크릴산 에틸, 아크릴산 프로필, 아크릴산 n-부틸, 아크릴산 n-펜틸, 아크릴산 n-헥실, 아크릴산 n-헵틸, 아크릴산 n-옥틸 및 아크릴산 2-에틸헥실 및 이것들의 혼합물, 바람직하게는 아크릴산 메틸, 아크릴산 n-부틸, 아크릴산 2-에틸헥실 또는 이것들의 혼합물, 특히 바람직하게는 아크릴산 메틸이 사용될 수 있다.
메타크릴산 메틸(MMA) 중합체는 공지된 방법(참조예: Kunststoff-Handbuck, Volume IX, Polymethacrylate, Vieweg/Esser, Carl-Hanser-Verlag 1975)에 의해 괴상, 용액 및 비이드 중합에 의해 제조를 수 있으며, 현재 시판되고 있다.
치환되지 않은 스티렌, 또는 p-메틸스티렌 또는 3차-부틸스티렌과 같이 C1-C8-알킬에 의해 단일 내지 삼중 치환된 스티렌, 및 α-메틸스티렌, 바람직하게는 스티렌이 비닐계 방향족 단량체(성분 B1)로서 사용될 수 있다.
아크릴로니트릴 및/또는 메타크릴로니트릴, 바람직하게는 아크릴로니트릴이 시안화 비닐(성분 C1)로서 사용될 수 있다.
성분(B)의 조성물의 상기 언급된 범주 밖에서는, 일반적으로 240℃초과의 온도에서 연결선을 갖는 불투명 성형재료가 얻어진다.
유동성은 (B)에 대한 점도가에 대한 규정된 범위 이상으로 단지 불충분하게변화하고, 유동성은 일반적으로 규정된 범위 아래의 바람직한 정도까지 증가하지만, 인성은 상당히 저하된다.
공중합체(B)는 공지된 방법에 의해, 예를 들어 괴상, 용액, 현탁 또는 에멀션 중합, 바람직하게는 용액 중합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참조: GB-A 1 472 195호).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코어(성분 C1)의 1,3-디엔(성분 C11)으로서 부타디엔 및/또는 이소프렌이 사용될 수 있다.
하나의 C1-C8-알킬기, 바람직하게는 메틸기에 의해 α-위치에 또는 바람직하게는 핵에(또는 다수의 C1-C8-알킬기에 의해 핵에서)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스티렌이 비닐계 방향족 단량체(성분 C12)로서 사용될 수 있다.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코어는 바람직하게는 0℃ 미만의 유리 전이 온도를 갖는다.
코어는 일반적으로, 에멀션 중합반응에 의해 제조된다[참조예: Encyclopedia of Polymer Science and Engineering, Vol. 1, page 401 ete.].
본 발명에 따라, 메타크릴산 메틸(MMA), 메타크릴산 에틸, 메타크릴산 n-프로필, 메타크릴산 이소프로필, 메타크릴산 n-부틸, 메타크릴산 이소부틸, 메타크릴산 2차-부틸, 메타크릴산 3차-부틸, 메타크릴산 펜틸, 메타크릴산 헥실, 메타크릴산 헵틸, 메타크릴산 옥틸 또는 메타크릴산 2-에틸헥실, 특히 바람직하게는 메타크릴산 메틸, 및 이들 단량체들의 혼합물, 아크릴산 메틸(MA), 아크릴산 에틸, 아크릴산 프로필, 아크릴산 n-부틸, 아크릴산 이소부틸, 아크릴산 2차-부틸, 아크릴산 3차-부틸, 아크릴산 펜틸, 아크릴산 헥실, 아크릴산 헵틸, 아크릴산 옥틸 또는 아크릴산 2-에틸헥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아크릴산 n-부틸, 및 이것들 서로간의 혼합물 및 이것들과 메타크릴레이트의 혼합물이 메타크릴산 또는 아크릴산의 C1-C8-알킬 에스테르(성분 C21)로서 사용된다.
치환되지 않은 스티렌, 또는 p-메틸스티렌 또는 3차-부틸스티렌과 같이 C1-C8-알킬에 의해 단일 내지 삼중 치환된 스티렌, 및 α-메틸스티렌, 바람직하게는 스티렌이 비닐계 방향족 단량체(성분 C22)로서 사용될 수 있다.
그라프트 쉘을 위해 하나 이상의 단량체가 사용되는 경우, 쉘 형태가 바람직할 수 있다. 여러가지 쉘은 서로 다른 조성물을 가질 수 있다. 이것은 중합반응 동안 서로 다른 시간에 서로 다른 단량체 또는 단량체 혼합물을 첨가함으로써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그라프트 쉘(C2)은 예를 들어 문헌[Encyclopedia of Polymer Science and Engineering, Vol. 1, page 401 etc.]에 기술된 방법에 의해 코어(C1)의 존재하에 제조된다.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예를 들어, 분무 건조에 의해 또는 응고에 의해 분리될 수 있다. 신규한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40 내지 500nm,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300nm의 평균 입자 크기(d50)를 갖는다. 이러한 생성물은 시판되고 있다.
바람직한 첨가제는 성분(A) 및 (B) 중에 용해되어 맑은 용액을 제공하는 첨가제이다. 그 예로는 염료, 안정화제, 윤활제 및 대전 방지제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성분(A), (B), (C) 및, 필요하다면, (D)는 200 내지 300℃, 바람직하게는 220 내지 280℃에서 용융물로 혼합된다.
신규한 성형 재료의 투명성에 대해, (연질) 성분 (C)의 굴절 지수와 두가지의 (경질) 성분 (A) 및 (B) 및, 필요하다면, 충전제 (D)의 혼합물의 굴절 지수의 차는 본질적으로 0.005 미만이어야 한다. 경질 성분 (A)와 (B)의 혼합물의 굴절 지수는 개별적 성분들의 굴절 지수와 이것들의 중량 부분의 선형 결합으로부터 얻어진다. 연질 성분 (C)의 주어진 굴절 지수에 대해, 경질 성분의 굴절 지수는 A:B의 비를 적합하게 선택함으로써 조절된다. 처리온도로부터의 투명도의 독립에 대한 추가의 중요한 요건은 성분(B)의 규정된 조성에 따른다.
성형물은 신규의 성형 재료로부터 주로 사출 성형 또는 취입 성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성형 재료는 또한 압축 성형, 캘린더링, 압출 또는 진공 성형될 수 있다. 상기 성형 재료는 매우 광범위한 재료와 함께 자동차 미등, 투명한 가정 용품, 장난감 및 피복물에서 통상적인 투명 플라스틱의 유동성이 불충분한 경우에 언제든지 사용될 수 있다.
신규의 투명한 열가소성 수지 블렌드의 200℃ 초과의 가공 범위는 상반된 현상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블렌드는 투명도의 저하 없이, 현저한 황색화 없이 그리고 지독한 냄새 없이 200 내지 300℃에서 가공될 수 있다. 사출 성형에 의해 생성되는 성형물을 연결선을 전혀 드러내지 않으며, 높은 투명성 및 높은 표면 광택을 갖는다.
[실시예]
하기 실시예 및 비교 실험에서 비 및 %는 중량비 및 중량%이다.
굴절 지수 nD 25는 고체의 굴절 지수를 측정하기 위한 방법에 의해 아베(Abbe) 굴절 측정기를 사용하여 결정하였다[참조예 : Ullmanns Encyklopadie der technischen Chemie, Volume 2/1, page 486, editor W. Foerst ; Urban & Schwarzenberg, Munich-Berlin 1961].
노치 충격 강도(ak)는 DIN 53453에 따라 23℃에서 측정하였다. 부피유동성(MVI 220/10)은 DIN 53735에 따라 측정하였다. 내열변형성(Vicat B)은 DIN 53460에 따라 측정하였다.
광학 특성은 하기와 같이 측정하였다:
투명도: DIN 5033(발광체: D 65)와 유사하게,
스캐터: ASTM D 1003과 유사하게.
적분형 질량 분포로부터 평균 입자 크기 및 입자 크기 분포를 측정하였다. 평균 입자 크기는 모든 경우에 입자 크기의 중량 평균인데, 이는 문헌[W. Scholtan and H. Lange, Kolloid-Z, und Z. Polymere250(1972), 782-796]에 따른 방법에 의해 분석용 초원심 분리기에 의해 결정된다. 초원심 분리기에 의한 측정은 샘플의 입자 직경의 적분형 질량 분포를 제공한다. 이로부터, 일정 크기 보다 작거나 같은 크기의 직경을 갖는 입자의 중량%를 측정할 수 있다. 적분형 질량 분포의 d50값으로도 언급되는 평균 입자 직경은, 50 중량%의 입자가 d50값에 상응하는 직경 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입자 직경으로서 정의된다.
마찬가지로, 50 중량%의 입자는 d50값 보다 큰 직경을 갖는다.
하기에 정의되는 중합체가 실시예 및 비교예를 위해 사용되었다:
A1: 94:6 비의 메타크릴산 메틸(MMA)과 아크릴산 메틸(MA)의 공중합체(점도가 (VN) = 56ml/g, nD 25= 1.4881);
A2: 91:9 비의 MMA와 MA의 공중합체(VN=58ml/g, nD 25=1.4877);
A3: 85:15 비의 MMA와 MA의 공중합체(VN=56ml/g, nD 25=1.4870):
B1: 81:19 비의 스티렌(S)과 아크릴로니트릴(AN)의 공중합체(VN=100ml/g(약 250,000g/mol의 분자량), nD 25= 1.5783, EP-A 62 223호와 유사한 비교 성분);
B2: 81:19 비의 S와 AN의 공중합체(VN=70ml/g(약 150,000g/mol의 분자량), nD 25= 1.5783);
B3: 81:19 비의 S와 AN의 공중합체(VN=83ml/g(약 195,000g/mol의 분자량), nD 25= 1.5783);
B4: 81:19 비의 S와 AN의 공중합체(VN=57ml/g(약 112,000g/mol의 분자량),nD 25= 1.5783);
C: 72 중량부의 부타디엔과 28 중량부의 스티렌을 중합반응시킴으로써 얻을 수 있는 55 중량부의 코어의 존재하에 중합되는, 51 중량부의 MMA, 44 중량부의 스티렌 및 5 중량부의 아크릴산 n-부틸로 구성되는 45 중량부의 혼합물로부터 제조되는 그라프트 공중합체(nD 25= 1.5400).
주 : 번호 1 내지 5는 비교 실험이고, 6 및 7은 본 발명에 따른 실험이다.

Claims (4)

  1. (A) (A1) (A)에 대해, 80 내지 93 중량%의 메타크릴산 메틸 및
    (A2) (A)에 대해, 7 내지 20 중량%의 아크릴산의 C1-C8-알킬 에스테르를 필수 성분으로 하는 혼합물의 중합에 의해 얻을 수 있는 15 내지 70 중량%의 메타크릴산 메틸 중합체로서, 점도가가 55 내지 60ml/g(23℃에서 디메틸포름아미드 중의 0.5 중량% 농도 용액에서 측정)에서 선택되는 메타크릴산 메틸 중합체 및
    (B) (B1) (B)에 대해, 78 내지 88 중량%의 비닐계 방향족 단량체 및
    (B2) (B)에 대해, 12 내지 22 중량%의 시안화 비닐을 필수 성분으로 하는 혼합물의 중합에 의해 얻을 수 있는 10 내지 50 중량%의 공중합체로서, 점도가가 60 내지 80ml/g(23℃에서 디메틸포름아미드 중의 0.5 중량% 농도 용액에서 측정)에서 선택되는 공중합체, 및
    (C) (C1) (C11) 50 내지 100 중량%의 1,3-디엔 및
    (C12) 0 내지 50 중량%의 비닐계 방향족 단량체를 필수 성분으로 하는 단량체 혼합물의 중합에 의해 일을 수 있는 50 내지 80 중량%의 코어 및
    (C2) 코어(C1)의 존재하에,
    (C21) 40 내지 100 중량%의 메타크릴산 또는 아크릴산의 C1-C8-알킬 에스테르 및
    (C22) 0 내지 60 중량%의 비닐계 방향족 단량체를 필수성분으로 하는 단량체혼합물의 중합에 의해 얻을 수 있는 20 내지 50 중량%의 그라프트 쉘로부터 얻을 수 있는 20 내지 50 중량%의 그라프트 공중합체로서, 평균 입자 크기(d50)가 40 내지 500nm 범위에서 선택되는 그라프트 공중합체, 및
    (D) 성분 A, B 및 C의 합을 100중량%로 하여, 0 내지 20중량%의 통상적인 첨가제(여기에서, 성분 (C)의 굴절 지수와 성분 (A) 및 (B)의 혼합물의 굴절 지수 또는 성분 (A), (B) 및 (D)의 혼합물의 굴절 지수의 차는 0.005 미만임)로 이루어진 블렌드를 함유하는 열가소성 성형 재료.
  2. (A) (A1) (A)에 대해, 80 내지 93중량%의 메타크릴산 메틸 및
    (A2) (A)에 대해, 7 내지 20 중량%의 아크릴산의 C1-C8-알킬 에스테르로 이루어진 혼합물의 중합에 의해 얻을 수 있는 15 내지 70 중량%의 메타크릴산 메틸 중합체로서, 점도가가 55 내지 60ml/g(23℃에서 디메틸포름아미드 중의 0.5 중량% 농도 용액에서 측정)에서 선택되는 메타크릴산 메틸 및
    (B) (B1) (B)에 대해, 78 내지 88 중량%의 비닐계 방향족 단량체 및
    (B2) (B)에 대해, 12 내지 22 중량%의 시안화 비닐을 필수 성분으로 하는 혼합물의 중합에 의해 얻을 수 있는 10 내지 50 중량%의 공중합체로서, 점도가가 60 내지 80ml/g(23℃에서 디메틸포름아미드 중의 0.5 중량% 농도 용액에서 측정)에서 선택되는 공중합체, 및
    (C) (C1) (C11) 50 내지 100 중량%의 1,3-디엔 및
    (C12) 0 내지 50 중량%의 비닐계 방향족 단량체를 필수 성분으로 하는 단량체 혼합물의 중합에 의해 얻을 수 있는 50 내지 80 중량%의 코어 및
    (C2) 코어(C1)의 존재하에,
    (C21) 40 내지 100 중량%의 메타크릴산 또는 아크릴산의 C1-C8-알킬 에스테르 및
    (C22) 0 내지 60 중량%의 비닐계 방향족 단량체를 필수 성분으로 하는 단량체 혼합물의 중합에 의해 얻을 수 있는 20 내지 50 중량%의 그라프트 쉘로부터 얻을 수 있는 20 내지 50 중량%의 그라프트 공중합체로서, 평균 입자 크기(d50)가 40 내지 500nm에서 선택되는 그라프트 공중합체, 및
    (D) 성분 A, B 및 C의 합을 100중량%로 하여, 0 내지 20 중량%의 통상적인 첨가제(여기에서, 성분 (C)의 굴절 지수와 성분 (A) 및 (B)의 혼합물의 굴절 지수 또는 성분 (A), (B) 및 (D)의 혼합물의 굴절 지수의 차는 0.005 미만임)를 200 내지 300℃에서 혼합시키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제 1 항에 따른 열가소성 성형 재료를 제조하는 방법.
  3. 제 1항에 따른 열가소성 성형 재료를 사출, 취입 또는 압축성형, 캘린더링, 압출 또는 진공 성형시켜 성형물을 제조하는 방법.
  4. 제 3항에 따른 방법에 의해 수득될 수 있는 성형물.
KR1019950029069A 1994-09-06 1995-09-06 우수한유동성을갖는투명한내충격성성형재료 KR1003517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P4431733.6 1994-09-06
DE4431733A DE4431733A1 (de) 1994-09-06 1994-09-06 Transparente, schlagzähe Formmassen mit hoher Fließfähigkei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0760A KR960010760A (ko) 1996-04-20
KR100351786B1 true KR100351786B1 (ko) 2003-01-24

Family

ID=65275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29069A KR100351786B1 (ko) 1994-09-06 1995-09-06 우수한유동성을갖는투명한내충격성성형재료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0700967B1 (ko)
JP (1) JPH0873685A (ko)
KR (1) KR100351786B1 (ko)
CN (1) CN1136575A (ko)
DE (2) DE4431733A1 (ko)
ES (1) ES2108529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3103B1 (ko) * 2002-11-21 2009-12-21 테크노 폴리머 가부시키가이샤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차량 외장용 성형품용 열가소성수지 조성물, 차량 외장용 성형품 및 차량 외장용 성형품의제조 방법
CN101838435B (zh) * 2010-05-19 2011-12-21 浙江工业大学 用于pvc型材共挤表层的pmma/asa合金材料及其制备
CN101935424B (zh) * 2010-08-06 2013-11-06 四川长虹电器股份有限公司 Abs热塑性树脂及其制备方法
CN101942155A (zh) * 2010-09-10 2011-01-12 美的集团有限公司 一种制作风扇风叶的材料及其制作工艺
KR102535966B1 (ko) 2019-03-15 2023-05-26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스티렌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스티렌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제조 방법, 성형품 및 성형품의 제조 방법
EP4023717A4 (en) 2019-08-30 2023-09-27 Toray Industries, Inc. TRANSPARENT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PRODUCTION METHOD THEREFOR, MOLDED ARTICLE OBTAINED BY MOLDING TRANSPARENT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PRODUCTION METHOD FOR MOLDED ARTICL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113627A1 (de) * 1981-04-04 1982-10-21 Basf Ag, 6700 Ludwigshafen Transparente, schlagzaehe formmasse
DE4233386A1 (de) * 1992-10-05 1994-04-07 Basf Ag Transparente Formmasse
DE4239436A1 (de) * 1992-11-24 1994-05-26 Basf Ag Transparente Formmasse
DE4244510A1 (de) * 1992-12-30 1994-07-07 Basf Ag Transparente, schlagzähe Formmass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59500908D1 (de) 1997-12-04
JPH0873685A (ja) 1996-03-19
DE4431733A1 (de) 1996-03-07
KR960010760A (ko) 1996-04-20
CN1136575A (zh) 1996-11-27
ES2108529T3 (es) 1997-12-16
EP0700967A1 (de) 1996-03-13
EP0700967B1 (de) 1997-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3055B1 (ko) 기계적 및 광학적 특성이 향상된 열가소성 성형 물질
US6087449A (en) Thermoplastic moulding materials having little haze
KR101945593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JP6655529B2 (ja) 耐候性及び耐熱性に優れた低光沢asa系樹脂組成物
KR100351337B1 (ko) 높은응력균열저항성및무딘표면을갖는투명한내충격성성형재료
US4393164A (en) Transparent impact-resistant molding material
KR100380526B1 (ko) 내충격성이우수한수지조성물
US5969042A (en) Transparent molding materials resistant to stress cracking and having improved toughness/rigidity ratio
BR112017003999B1 (pt) Composição de moldagem e artigo moldado
KR100351786B1 (ko) 우수한유동성을갖는투명한내충격성성형재료
US4159288A (en) Acrylic molding powders with improved flow
KR20080068037A (ko) 개선된 광학 성질을 갖는 열가소성 플라스틱 성형 조성물
KR101146840B1 (ko) 증진된 내화학성을 나타내는 열가소성 성형 조성물
JP3933277B2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
CN107709455B (zh) 热塑性树脂组合物和由该组合物制造的模制品
JPH1160882A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
WO2003102076A1 (fr) Composition de resine thermoplastique
JP4156403B2 (ja) 耐衝撃性補強材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耐衝撃性補強ポリスチレン組成物
JP5043257B2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5534289B2 (ja) エンジニアリングプラスチック用溶融張力向上剤、熱可塑性樹脂組成物及び成形体
JPH107854A (ja) ブロー成形用熱可塑性樹脂組成物およびそれからなるブロー成形品
KR101764961B1 (ko) 투명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투명 열가소성 수지의 제조방법
JPH04320441A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H04145151A (ja) 難燃性樹脂組成物
JPS63278957A (ja) 発色性に優れる熱可塑性樹脂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