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51363B1 - 자동차의 와이어 하니스 배선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와이어 하니스 배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51363B1
KR100351363B1 KR1020000052408A KR20000052408A KR100351363B1 KR 100351363 B1 KR100351363 B1 KR 100351363B1 KR 1020000052408 A KR1020000052408 A KR 1020000052408A KR 20000052408 A KR20000052408 A KR 20000052408A KR 100351363 B1 KR100351363 B1 KR 1003513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ration signal
wire harness
battery
vehicle body
wi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24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19243A (ko
Inventor
임택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524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51363B1/ko
Publication of KR200200192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92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13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136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07Wire harn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1Circuits relating to the driving or the functioning of the vehicl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1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dynamo-electric generators driven at varying speed, e.g. on vehicle
    • H02J7/1423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dynamo-electric generators driven at varying speed, e.g. on vehicle with multiple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4Arrangement of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 Insulated Condu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와이어 하니스 배선장치에 관한 것으로, 전방차체에서 후방차체 사이로 배선되는 와이어 하니스의 배선을 단일의 배선으로 단순화시키면서, 전/후방차체에 각각 위치되어 연관된 동작을 수행하는 각종 전장부품류의 작동을 무선 송/수신방식으로 동작될 수 있도록 하여, 와이어 하니스의 배선공정을 단순화시키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방차체에 구비된 배터리(10)와, 이 배터리(10)로부터 플로워 패널(16)을 지나 배선된 단일의 전원공급용 와이어 하니스(14)를 매개로 연결된 후방차체에 구비된 보조배터리(12), 상기 전방차체에 구비된 작동스위치류(S1,S2,....SN)로부터 작동신호를 감지하는 작동신호 검출기(18), 이 작동신호 검출기(18)로부터 해당 작동신호를 검출받아 이를 해당 신호로 송출하는 작동신호 송출기(20), 이 작동신호 송출기(20)로부터 송출되는 해당 작동신호를 수신받는 작동신호 수신기(22) 및, 이 작동신호 수신기(22)의 작동에 따라 상기 보조배터리(12)로부터의 동작전원을 선택적으로 후방차체에 구비된 각종 전장부품류(A1,A2,....AN)에 인가시키는 멀티 릴레이(2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와이어 하니스 배선장치{wire harness wiring device for automotive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의 와이어 하니스 배선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체의 내부에서 광범위한 경로로 배선되는 와이어 하니스의 배선경로를 단순화시킴으로써 배선작업의 공정을 단축시킴과 더불어 이에 따른 작업성을 개선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의 와이어 하니스 배선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 탑재된 각종 전장류의 부품은 크게 엔진의 시동계통과 동력전달계통, 제동계통, 조향계통 등의 전기 및 전자제어시스템류의 부품 내지 전조등과 방향지시등류의 시인성 전장부품 등으로 다양하게 구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전장류의 부품들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동력원으로서 차량내 탑재된 배터리(10)로부터 작동전원을 인가받기 위해 배터리(10)와 통상 와이어 하니스(14;wire harness)라 지칭되는 전선을 매개로 배선되어져 연결되어지는 데, 이러한 배선류의 와이어 하니스(14)는 배터리(10)로부터 차량내에 복잡하게 연결된 다수개의 전선들중에서 인접한 위치나 인접한 경로로 배치되는 다수개의 전선을 한 곳으로 묶은 다발형태로 배선되는 것이 통상적이다.
특히, 차체의 후방부위에 위치한 각종 전장부품류(A1,....AN)의 작동을 위해서는, 상기 와이어 하니스(14)가 통상 엔진룸내에 탑재된 배터리(10)로부터 출발하여 차체의 플로워 패널(16)을 지나 후방의 트렁크룸을 향해 길게 연장되어 배설되어야만 함은 물론, 중간에서 각종 전장부품들과의 배선을 위한 와이어 하니스(14)는 연결용 배선 및 콘넥터 조립체(14a,14b,14c....)를 매개로 연결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수많은 와이어 하니스(14)가 차량의 실내 플로워 패널(16)을 지나 차체의 후미측으로 배선되는 경우에는, 차실내의 플로워 패널(16)상으로 배설되는 와이어 하니스(14)의 전체 배선의 길이가 적지 않은 길이와 공간을 차지할 수 밖에 없으므로, 배선시 투여되는 공정이 과도할 뿐만 아니라, 배선의 중간에 각종 연결용 배선 및 콘넥터 조립체(14a,14b,14c....)를 사용해야 하므로 인해 과도한 부품의 사용에 따른 원가의 상승이 초래된다.
또한, 상기 와이어 하니스(14)를 차체에 배선함에 있어서, 차실내의 플로워 패널(16)상에 설치되는 시트와 콘솔박스 및 각종 차실내에 설치되는 주변의 부품들과의 간섭을 고려하여 이를 회피할 수 있는 경로로 배치하여야만 하므로, 차실내에 설치되는 부품들에 대한 설계시점에서 레이-아웃을 조절하는 데 제약조건이 있음과 더불어, 배선된 와이어 하니스(14)와 차실내의 플로워 패널(16)에 설치되는 주변의 부품들과의 간섭에 따른 와이어 하니스(14)의 피복의 손상시 접촉에 따른 단락(short)의 발생으로 인해 전장부품류의 손상을 초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와이어 하니스(14)는 주행중 차체로 전달되는 진동 등의 외부요인으로 인해 유동이 발생되어 이른 바, 래틀 노이즈(rattle noise)의 유발을 초래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전방차체에 위치한 엔진룸으로부터 후방차체에 위치한 트렁크룸 사이를 연결하여 각종 전장부품류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차실내의 플로워 패널을 지나도록 배선되는 와이어 하니스의배선을 단일화된 전원공급용 배선으로 단순화시킴과 더불어, 전/후방차체에 각각 위치되어 연관된 동작을 수행하는 각종 전장부품류의 작동시 연관작동을 무선 송/수신방식으로 동작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와이어 하니스의 배선공정을 단순화시킴은 물론 이에 따른 작업성 및 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전방차체에 구비된 배터리와, 이 배터리로부터 플로워 패널을 지나 배선된 단일의 전원공급용 와이어 하니스를 매개로 연결된 후방차체에 구비된 보조배터리, 상기 전방차체에 구비된 작동스위치류로부터 작동신호를 감지하는 작동신호 검출기, 이 작동신호 검출기로부터 해당 작동신호를 검출받아 이를 해당 신호로 송출하는 작동신호 송출기, 이 작동신호 송출기로부터 송출되는 해당 작동신호를 수신받는 작동신호 수신기 및, 이 작동신호 수신기의 작동에 따라 상기 보조배터리로부터의 동작전원을 선택적으로 후방차체에 구비된 각종 전장부품류에 인가시키는 멀티 릴레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자동차의 차체내부로 와이어 하니스가 배선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하니스 배선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멀티 릴레이의 구성을 도시한 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배터리 12-보조배터리
14-전원공급용 와이어 하니스 16-플로워 패널
18-작동신호 검출기 20-작동신호 송출기
22-작동신호 수신기 24-멀티 릴레이
A1,A2,...AN-전장부품류 S1,S2,...SN-작동스위치류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자동차의 전방차체의 엔진룸에서 플로워 패널을 지나 후방차체의 트렁크룸에 이르기까지 다수개로 배선되는 와이어 하니스의 배선을 단일화된 전원공급용 배선으로 단순화시킴과 더불어, 전/후방차체에 각각 위치되어 연관된 동작을 수행하는 각종 전장스위치 및 전장부품류의 작동시 상호 연관 스위칭작동을 무선 송/수신방식으로 제어하여 동작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본 발명은 도 2 내지 도 3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차체의 엔진룸내에 위치한 배터리(10)로부터 후방차체의 트렁크룸내에 위치한 보조배터리(12) 사이에서 단일화된 전원공급용 와이어 하니스(14)가 차실내의 플로워 패널(16)을 지나 배설된다.
그리고, 상기 전방차체에 설치되어 각종 전장부품류의 동작신호를 발생시키는 작동스위치류(S1,S2,....SN; 예컨대 방향지시등 스위치, 브레이크 작동감지 스위치, 라디오 작동 스위치, 엔진시동 스위치 등)와, 이 스위치류의 접속에 따라 작동전원을 인가받아 동작되는 후방차체에 설치된 각종 전장부품류(A1,....AN; 예컨대 방향지시등, 브레이크등, 후방 스피커, 연료펌프, 번호판 식별등 등) 사이의 작동전원의 공급을 위한 스위칭작동은 무선방식으로 송/수신되어 이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전방차체에는 이에 설치된 각종 전방차체 작동스위치류(S1,S2,...SN)로부터 작동신호를 감지하는 작동신호 검출기(18)와, 이 작동신호 검출기(18)로부터 해당 작동신호를 검출받아 이를 해당 신호로 송출하는 작동신호 송출기(20)가 각각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후방차체에는 상기 작동신호 송출기(20)로부터 송출되는 해당 작동신호를 수신받는 작동신호 수신기(22)와, 이 작동신호 수신기(22)의 작동에 따라 상기 보조배터리(12)로부터의 동작전원을 선택적으로 인가시키는 멀티 릴레이(24)및, 이 멀티 릴레이(24)의 작동에 따라 보조배터리(12)의 동작전원을 인가받아 작동되는 각종 전장부품류(A1,A2,....AN)가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작동신호 검출기(18)는 전방차체에 구비된 각종 작동스위치류의 접속을 검출하는 것으로, 이는 각종 작동스위치류의 접속시 더불어 통전되는 통상의 스위칭부품으로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작동신호 송출기(20)는 전방차체의 크래쉬 패드상에 설치되어 상기 작동신호 검출기(18)를 매개로 전방차체에 구비된 각종 작동스위치류의 접속을 감지하고서 이를 무선방식으로 후방차체에 송출하는 송신기의 일종인 것이다.
또한, 상기 작동신호 수신기(22)는 작동신호 송출기(20)로부터 해당 작동스위치의 접속신호를 인가받을 수 있는 수신기의 일종인 바, 상기 작동신호 송출기(20)와 작동신호 수신기(22)는 적외선 내지 전파 송/수신장치를 이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멀티 릴레이(24)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작동신호 수신기(22)의 해당 작동스위치의 접속신호의 수신에 따라 후방차체에 구비된 각종 전장부품류에 상기 보조배터리(12)로부터의 해당 작동전원을 인가하기 위해 구성된 스위칭부품으로서, 각각의 전장부품류와 개별적으로 연결된 접속단자(24a)와, 이 접속단자에 선택적으로 보조배터리(12)의 전원이 인가될 수 있도록 하는 스위칭단자(24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하니스 배선장치의 작동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전방차체의 엔진룸상에 구비된 배터리(10)는 차량의 시동시 알터네이터로부터 전원을 충전하게 되고, 후방차체의 트렁크룸에 구비된 보조배터리(12)는 상기 배터리(10)로부터 전원공급용 와이어 하니스(14)를 매개로 전원을 인가받아 이를 후방차체에 설치된 각종 전장부품류의 동작에 필요한 작동전원으로서 충전하게 된다.
한편, 주행중 운전자의 조작에 따라 전방차체에 구비된 각종 작동스위치류가 접속되면, 이를 상기 작동신호 검출기(18)가 검출하고서, 상기 작동신호 송출기(20)를 통해 후방차체에 위치한 상기 작동신호 수신기(22)로 해당 전장부품의 작동신호를 송출하게 된다.
이때, 상기 작동신호 수신기(22)에서는 해당 전장부품의 작동신호를 받아 이를 상기 멀티 릴레이(24)에 구비된 해당 스위칭단자(24b)를 접속시킴으로써, 이 스위칭단자(24b)의 접속에 따라 상기 멀티 릴레이(24)의 접속단자(24a)가 접속되면서 상기 보조배터리(12)의 전원이 후방차체에 구비된 해당 전장부품으로 공급되어 해당 전장부품의 작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와이어 하니스 배선장치에 의하면, 전방차체에 구비된 배터리(10)로부터 후방차체에 설치된 각종 전장부품류에 전원공급을 위해 차실내의 플로워 패널(16)을 지나 배선되는 와이어 하니스가 하나로 단일화된 전원공급용 와이어 하니스(14)를 매개로 배선될 수 있으므로, 상기 플로워 패널(16)상에 배선되는 와이어 하니스의 배선경로가 단일화에 따른 단순화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와이어 하니스의 배선이 단일화가 되면, 상기 플로워 패널(16)상에서 와이어 하니스와 주변 부품들과의 간섭을 회피함에 있어 용이함을 줄 수 있게 되고, 이는 설계상에 있어 차실내의 공간으로 각종 부품류의 배치를 설정함에 있어 레이-아웃의 선정을 편리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차실내의 플로워 패널(16)로 배선되는 와이어 하니스가 단일의 배선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배선공정이 단순화됨과 더불어 이에 따른 작업성이 개선될 수 있게 된다.

Claims (3)

  1. 전방차체에 구비된 배터리(10)와,
    이 배터리(10)로부터 플로워 패널(16)을 지나 배선된 단일의 전원공급용 와이어 하니스(14)를 매개로 연결된 후방차체에 구비된 보조배터리(12),
    상기 전방차체에 구비된 작동스위치류(S1,S2,....SN)로부터 작동신호를 감지하는 작동신호 검출기(18),
    이 작동신호 검출기(18)로부터 해당 작동신호를 검출받아 이를 해당 신호로 송출하는 작동신호 송출기(20),
    이 작동신호 송출기(20)로부터 송출되는 해당 작동신호를 수신받는 작동신호 수신기(22) 및,
    이 작동신호 수신기(22)의 작동에 따라 상기 보조배터리(12)로부터의 동작전원을 선택적으로 후방차체에 구비된 각종 전장부품류(A1,A2,....AN)에 인가시키는 멀티 릴레이(2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와이어 하니스 배선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 릴레이(24)는 후방차체에 구비된 각각의 전장부품류와 개별적으로 연결된 접속단자(24a)와, 이 접속단자에 선택적으로 보조배터리(12)의 전원이 인가될 수 있도록 하는 스위칭단자(24b)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와이어 하니스 배선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신호 송출기(20)와 작동신호 수신기(22)는 각각 적외선 내지 전파 송/수신장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와이어 하니스 배선장치.
KR1020000052408A 2000-09-05 2000-09-05 자동차의 와이어 하니스 배선장치 KR1003513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2408A KR100351363B1 (ko) 2000-09-05 2000-09-05 자동차의 와이어 하니스 배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2408A KR100351363B1 (ko) 2000-09-05 2000-09-05 자동차의 와이어 하니스 배선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9243A KR20020019243A (ko) 2002-03-12
KR100351363B1 true KR100351363B1 (ko) 2002-09-05

Family

ID=196874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2408A KR100351363B1 (ko) 2000-09-05 2000-09-05 자동차의 와이어 하니스 배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51363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9243A (ko) 2002-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28899B1 (en) Power supply network apparatus
JP3872814B2 (ja) 自動車内に配設可能な機能モジュール用の回路装置
EP3566910B1 (en) Wire harness, component module for wire harness, and vehicle component
KR100351363B1 (ko) 자동차의 와이어 하니스 배선장치
EP1140547B1 (en) An arrangement at an instrument panel for motor vehicles
JP2006515547A (ja) 自動車の車載電力システム
US10077753B2 (en) Retrofit relays for use in a motor vehicle and correspondingly equipped motor vehicle
EP0424878A2 (en) System and method applicable to automotive vehicles utilizing time division multiplex mode for communicating data between master and slave stations
JP3257685B2 (ja) 電源分配システム
JPH03171996A (ja) 加熱装置用無線遠隔制御装置並びに該無線制御装置を用いた加熱装置
JP2603261B2 (ja) 車両用多重伝送装置
CN218431118U (zh) 全地形车
KR200227862Y1 (ko) 자동차의원격전기배선장치
JPH0537718Y2 (ko)
JPH06276571A (ja) 多重伝送装置
CN214607375U (zh) 车辆
CN212243567U (zh) 带有车身控制模块的车身组件及其车辆
WO2021020175A1 (ja) 車載電源システム
JPH0824293B2 (ja) 車両用多重伝送装置
CN113815547A (zh) 车辆控制系统、设备及车辆
JPH11301375A (ja) 電源分配装置
KR100507092B1 (ko) 차량의 지능형 네트워크에서 전면부 등화장치 제어 통신모듈
KR100376688B1 (ko) 자동차의 와이어링 시스템
KR200265279Y1 (ko) 자동차용 오디오 작동 시스템
KR20000044690A (ko) 차량용 블랙박스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80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