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7862Y1 - 자동차의원격전기배선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원격전기배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7862Y1
KR200227862Y1 KR2019980007926U KR19980007926U KR200227862Y1 KR 200227862 Y1 KR200227862 Y1 KR 200227862Y1 KR 2019980007926 U KR2019980007926 U KR 2019980007926U KR 19980007926 U KR19980007926 U KR 19980007926U KR 200227862 Y1 KR200227862 Y1 KR 20022786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control
electric
wiring
control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79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25273U (ko
Inventor
주진용
Original Assignee
주진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진용 filed Critical 주진용
Priority to KR20199800079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7862Y1/ko
Publication of KR1998002527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527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786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7862Y1/ko

Links

Landscapes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전기배선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전기장치에 전원을 공급하고 제어신호를 입/출력하기 위하여 자동차의 전장에 걸쳐서 설치되는 전기배선의 길이를 최소화하여 공장에서의 배선작업을 용이하게 하고, 일선 자동차 정비소에서 정비작업을 용이하게 하며, 전기배선을 길이를 절감함으로써 자동차의 원가를 감소시키고 중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자동차의 원격전기배선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자동차의 원격전기배선장치는, 전기장치를 구비한 자동차에 있어서, 자동차의 전기장치를 설치위치에 따라서 다수의 그룹으로 분리하고 각각의 분리된 그룹을 연결하는 제어함(10); 상기 제어함(10)에 연결된 각각의 전기장치에 특정제어신호를 입력하고 전기장치로부터 신호를 수신받기 위한 주제어장치(20); 상기 주제어장치(20)와 제어함(10)과의 신호송수신을 위한 연결장치인 제어선(60); 및 자동차의 전장에 걸쳐서 설치되어 있는 전기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각각의 제어함(10)에 전원을 공급하는 축전지(40)로 구성되며, 상기 연결장치인 제어선은 전선 또는 리모콘장치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원격전기배선장치 {REMOTE ELECTRIC-WIRE DEVICE FOR VEHICLE}
본 고안은 자동차의 전기배선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전기장치에 전원을 공급하고 제어신호를 입/출력하기 위하여 자동차의 전장에 걸쳐서 설치되는 전기배선의 길이를 최소화하여 공장에서의 배선작업을 용이하게 하고, 일선 자동차 정비소에서 정비작업을 용이하게 하며, 전기배선의 길이를 절감함으로써 자동차의 원가를 감소시키고 또한 중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자동차의 원격전기배선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엔진과 자동차의 주행시에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하여 축전지를 사용하고 있다. 축전지로부터 공급되는 전기에 의하여 방향지시등, 차폭등, 계기표시 등과 같은 제어부가 작동하므로 자동차에 있어서 전기공급은 필수불가결한 것이 되고 있다. 이러한 경향은 자동차가 더욱 복잡해지고 사용자에게 더욱 편리한 기능, 예를 들어서 인공위성을 이용한 차량항법장치, 도로표시장치 등을 이용한 기능향상에 따라서 수요가 더욱 증가하고 있다.
도 1은 종래 자동차의 전기배선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후면에 설치되는 후미등(100), 번호판등(102)에는 축전지로부터 전기배선(120)이 운전석을 통하여 연결되어서 길이가 매우 길게 연장됨을 알 수 있다. 또한 자동차의 전면에 설치되는 앞방향지시등(112), 전조등(110), 옆방향지시등(114)에도 역시 전기배선(120)이 운전석을 통과하여 배치되므로 필요이상으로 길게 된다. 또한 운전석에 설치되어 있는 각종 스위치 및 계기판등(106)도 역시 복잡한 전기배선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미설명부호 116은 자동차의 도어(door)이다.
상기와 같이 종래의 자동차에 있어서의 전기배선은 전원을 공급하는 축전지로부터 운전석의 제어장치 및 계기류까지 전기배선을 통하여 전원이 공급된 후에운전석으로부터 각종 전기장치가 설치된 위치에까지 전원이 연결되고 다시 운전석의 제어장치 및 계기류까지 연결되는 등 매우 복잡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차량의 전장에 걸쳐서 전기배선이 복잡하게 설치되고(복선화) 이러한 구조로 인하여 공장에서의 조립공정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강구된 것중의 하나가 축전지의 (+) 또는 (-)쪽을 자동차의 프레임이나 차체에 접속하고 각 전장품이나 부품등에는 1개의 전선(단선)을 사용하고 있으나, 전선의 피복이 파손되어서 노출되거나 벗겨질 경우에 누전이나 단락등이 발생되고 이에 따라서 자동차의 제어가 불가능해져 사고발생의 위험이 항상 도사리고 있었던 것이다. 따라서 종래에도 기동전동기, 전조등, 배전기등 큰 전류가 흐르는 부품의 배선은 복선식을 이용하고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전기장치에 전원을 공급하고 제어신호를 입/출력하기 위하여 자동차의 전장에 걸쳐서 설치되는 전기배선의 길이를 최소화하여 공장에서의 배선작업을 용이하게 하고, 일선 자동차 정비소에서 정비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자동차의 원격전기배선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전기배선을 길이를 절감함으로써 자동차의 원가를 감소시키고 또한 자동차의 중량을 감소시켜 운행효율을 높일 수 있는 자동차의 원격전기배선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자동차의 원격전기배선장치는, 전기장치를 구비한 자동차에 있어서, 자동차의 전기장치를 설치위치에 따라서 다수의 그룹으로 분리하고 각각의 분리된 그룹을 연결하는 제어함; 상기 제어함에 연결된 각각의 전기장치에 특정제어신호를 입력하고 전기장치로부터 신호를 수신받기 위한 주제어장치; 상기 주제어장치와 제어함과의 신호송수신을 위한 연결장치; 및 자동차의 전장에 걸쳐서 설치되어 있는 전기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각각의 제어함에 전원을 공급하는 축전지로 구성되며, 상기 연결장치는 전선 또는 리모콘장치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사용되는 자동차의 일반적인 배선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자동차의 배선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원격전기배선장치의 블록회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제어함, 20: 주제어장치,
40: 축전지,
50: 전선, 60: 제어선,
100: 후미등, 102: 번호판등,
104: 도움등, 106: 스위치 및 계기판등,
108: 퓨저블링크, 110: 전조등,
112: 앞방향지시등, 114: 옆방향지시등,
116: 도어, 120: 전기배선.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의 자동차의 원격전기배선장치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자동차의 전기배선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 자동차의 전장(全長)에 걸쳐서 복잡하게 배선되던 것을 간단하게 구성하여 조립 및 정비작업을 용이하게 하고 원가절감 및 중량감소를 달성한다.
본 고안에 의한 자동차의 원격전기배선장치는, 도 2를 참고하면, 운전석에 인접한 위치에 주제어장치(20)가 설치되고, 자동차의 특정부분에 다수의 제어함(10)등이 설치되며, 제어함(10)과 주제어장치(20)는 신호를 송수신하는 연결장치인 제어선(60)에 의하여 결합된다. 상기 제어함(10)은 전기장치의 분포에 따라서 3∼5개 정도 설치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서 인접하게 위치된 전기장치들을 모두 하나의 제어함(10)에서 통제할 수 있도록 위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서 제어함(10)은 자동차의 후미, 운전석에 인접한 위치, 그리고 자동차의 전방에각각 설치됨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주제어장치(20)에는 운전자로부터 입력되는 자동차 주행제어신호를 입력받아서 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마이컴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제어함(10)들이 상기 주제어장치(20)의 마이컴으로부터 전송되는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특정 전장품들을 제어하기 위한 마이컴을 포함하고 있다.
각각의 제어함(10)에는 주제어장치(20)로부터 연장된 제어선(60)이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어선(60)은 전원을 공급하는 것이 아니라, 운전자로부터 출력되는 자동차 제어신호와 각 전장품, 예를 들어서 엔진, 자동차속도 등의 주행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들, 발전기상태, ABS브레이크 등의 상태신호를 주제어장치(20)에 입력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제어선(60)은 종래와 같은 다수의 전기배선을 사용할 필요없이 제어신호를 입/출력시킬 수 있는 2가닥의 전선을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전기배선을 종래에 비하여 매우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각 전장품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전기배선은 종래와 같이 운전석을 통과하는 것이 아니라 축전지로부터 직접 각각의 제어함(10)에 연결된다. 즉 축전지(40)로부터 연장된 전원공급용 전선(50)(점선으로 도시됨)은 운전석을 통과하지 않고 직접 자동차 후미에 설치되어 있는 제어함(10), 운전석에 인접한 제어함(10), 그리고 자동차의 전방에 설치된 제어함(10)에 직접 연결된다. 이렇게 공급된 상태에서 제어함(10)에 설치된 별도의 배전반(미도시됨)에 의하여 각각의 전장품들(후미등, 전조등, 계기등, 스위치등)에 공급된다.
각각의 제어함(10)에는 종래와 같이 전장품들이 연결된다. 그러나 이 때에는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방식과 비교하여 보면 전기배선의 길이가 매우 단축되었으며배선 자체가 단순화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목적이 매우 잘 수행된다.
제어함(10)은 그 목적상 전원공급과 각 전장품의 제어라는 2가지 작동을 수행하여야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어함(10)의 내부에는 각 전장품에 공급되는 전원을 단속하기 위한 장치가 요구된다. 본 고안에서는 전원 온/오프단속에 많이 사용되는 릴레이(Relay)들을 사용하여 구성한다. 즉 전장품들에 공급되는 전원의 중간에 설치되어서 전회로를 연결하는 릴레이들은 사용함으로서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비교적 약한 전류가 흐르는 전장품에는 트랜지스터를 이용하여 스위칭회로를 구성함으로서 릴레이와 동일한 효과를 거둘수 있음을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의 당업자에게는 명백한 것이다.
상기 릴레이들의 제어를 위하여 제어함(10)에는 마이컴(미도시됨)등이 설치된다. 상기 마이컴은 주제어장치(20)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서 특정전장품의 작동을 위하여 사용된다. 이러한 마이컴의 이용은 종래 기술에 의하여 용이하게 달성될 수 있다.
전원공급선의 제거는 실제로 불가능하지만 제어선(60)은 원격상태에서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리모콘장치 등에 의하여 대체될 수 있다. 즉 통상의 전선인 제어선(60) 대신에 무선전파를 이용하거나 단거리에서 매우 효과적인 적외선송수신장치들은 사용하여 제어신호들을 전송할 수 있음을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의 당업자에게는 명백하며, 이러한 수단들은 모두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또한 무선전파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종래 사용되는 트랜시이버 등을 사용할수 있으며 적외선송수신장치의 경우에는 차량의 내부에서 폐쇄적인 상태로 사용되므로 외부의 영향이 적어서 신뢰할 만한 수준으로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무선신호는 특성상 외부로 전파되므로 주행중에 인접한 차량 등에 영향을 주지 않을 정도로 전계강도를 미약하게 설정하여 주행상 안정성을 확보하는 것이 요구된다. 이에 비하여 적외선송수신장치는 장시간 사용에도 안정성을 가질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리모콘장치는 전선에 비하여 가격이 고가인 단점이 있다.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자동차의 원격전기배선장치의 배선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주제어장치(20)에 다수의 제어함(10)들이 연결되어 있으며, 각 제어함(10) 들에는 전원공급을 위한 축전지(40)로부터 전선(50)(파선으로 표시됨)에 의하여 직접 전원이 공급됨을 알 수 있다.
각 제어함(10)들에는 서로 인접하여 설치된 전장품들이 하나의 군(群)을 이루어서 연결되어 있으며, 제어함1에는 전조등, 차폭등, 방향지시등이 연결되어 있으며, 제어함2에는 센서, 시동전동기, 발전기, 및 파워스티어링이 연결되고, 제어함3에는 후미등, 번호판등, 차폭등이 연결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상기의 제어함과 전장품들의 연결상태는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예시적인 것으로 이해하여야 하며 본 고안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님을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의 당업자들은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에서는 승용차를 예로 들었지만 대형트럭, 레저용차량, 버스등에도 역시 적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자동차의 전장에 걸쳐서 설치되는 전기배선의길이를 최소화하여 공장에서의 배선작업을 용이하게 하고, 일선 자동차 정비소에서 정비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전기배선을 길이를 절감함으로써 자동차의 원가를 감소시키고 또한 자동차의 중량을 감소시켜 운행효율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고안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의 사상과 범위내에서 변형이나 변경할 수 있음은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의 당업자에게는 명백한 것이며, 그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첨부한 청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Claims (1)

  1. 전기장치를 구비한 자동차에 있어서,
    전기장치가 분포되어 있는 자동차의 특정 부분에 각각 설치되어 그 부근의 전기장치들을 각각 통제할 수 있도록 마이컴을 구비한 다수의 제어함(10);
    운전자로 부터 입력되는 자동차 주행 제어신호를 입력받아서 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마이컴을 구비하여 상기 제어함(10)들이 전송되는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특정 전장품들을 제어하는 주제어장치(20);
    상기 제어함(10)과 주제어장치(20)를 연결시키는 연결장치로서 운전자로 부터 출력되는 자동차 제어신호와 각 전장품의 상태신호를 입출력시키도록 전선으로 구성된 제어선(60);
    축전지로 부터 직접 각각의 제어함(10)에 연결되어 각 전장품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전기배선인 전원공급용 전선(50); 및
    상기 전선(50)을 통해 자동차의 전장에 걸쳐 설치되어 있는 전기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각각의 제어함(10)에 연결되는 축전지(40);를 포함한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원격전기배선장치.
KR2019980007926U 1998-05-14 1998-05-14 자동차의원격전기배선장치 KR20022786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7926U KR200227862Y1 (ko) 1998-05-14 1998-05-14 자동차의원격전기배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7926U KR200227862Y1 (ko) 1998-05-14 1998-05-14 자동차의원격전기배선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5273U KR19980025273U (ko) 1998-07-25
KR200227862Y1 true KR200227862Y1 (ko) 2001-07-19

Family

ID=695115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7926U KR200227862Y1 (ko) 1998-05-14 1998-05-14 자동차의원격전기배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7862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68585B2 (en) 2012-11-02 2015-10-27 Mueller International, Llc Coupling with extending parting l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5273U (ko) 1998-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28899B1 (en) Power supply network apparatus
JP3234861B2 (ja) 乗物の電源供給装置及び集約配線装置
US5491383A (en) Motor vehicle light controlling device
US9150167B2 (en) Vehicle auxiliary light control unit
US10518722B2 (en) Automotive power supply device
US7983050B2 (en) Pluggable system for reading inputs, controlling outputs and communicating with another module for power distribution unit
JPH06171438A (ja) 車両用電源線配索構造
JPH07257233A (ja) メータモジュール組立体
KR200227862Y1 (ko) 자동차의원격전기배선장치
JP2006515547A (ja) 自動車の車載電力システム
CN109484331B (zh) 汽车驾驶舱智能电器盒
US4017772A (en) Turn signal wiring replacement harness
JPH0537718Y2 (ko)
JPH05146080A (ja) 車載用電源分配システム
GB2346352A (en) Electrical wiring in the dashboard of a vehicle
JPH11301375A (ja) 電源分配装置
JP7470546B2 (ja) 電源システム
JP7470549B2 (ja) 電源システム
JPH09118182A (ja) 自動車における電装品制御装置
CN210416486U (zh) 汽车中央电器数据采集控制盒
KR100507091B1 (ko) 차량의 지능형 네트워크에서 멀티 펑션 스위치 신호통신모듈
KR100351363B1 (ko) 자동차의 와이어 하니스 배선장치
JP3235202B2 (ja) 車載用電装機器
EP0713807B1 (en) A system for distributing electrical energy in motor vehicles, particularly motor cars
KR100507092B1 (ko) 차량의 지능형 네트워크에서 전면부 등화장치 제어 통신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41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