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51287B1 - 엘리베이터의 고장검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고장검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51287B1
KR100351287B1 KR1019990047584A KR19990047584A KR100351287B1 KR 100351287 B1 KR100351287 B1 KR 100351287B1 KR 1019990047584 A KR1019990047584 A KR 1019990047584A KR 19990047584 A KR19990047584 A KR 19990047584A KR 100351287 B1 KR100351287 B1 KR 1003512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upply
control panel
operation control
failure
microcompu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75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39272A (ko
Inventor
박성준
Original Assignee
엘지 오티스 엘리베이터 유한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 오티스 엘리베이터 유한회사 filed Critical 엘지 오티스 엘리베이터 유한회사
Priority to KR10199900475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51287B1/ko
Publication of KR200100392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92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12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128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06Monitoring devices or performance analysers
    • B66B5/0018Devices monitoring the operating condition of the elevator system
    • B66B5/0025Devices monitoring the operating condition of the elevator system for maintenance or rep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3/00Applications of devices for indicating or signalling operating conditions of elevators
    • B66B3/002Indicators

Landscapes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에서 별도의 정전감시 회로를 사용하지 않고 운전제어반에 탑재되어 있는 마이크로컴퓨터가 주전원의 정전과 무관하게 다운되는 것을 검출하는 고장검출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입력전원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고장검출 방법 및 장치{ERROR DETEC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ELEVATOR}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에서 운전제어반의 다운 원인을 검출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별도의 정전감시 회로를 사용하지 않고도 운전제어반에 탑재되어 있는 마이크로컴퓨터가 주전원의 정전과 무관하게 다운되는 것을 검출하는데 적당하도록한 엘리베이터의 고장검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의 운전 제어반에서는 각 층상의 승강장에서 대기중인 승객에 의한 홀부름 또는 카에 탑승한 승객에 의한 카부름에 따라 카를 해당 층상으로 주행하기 위한 각종 제어동작을 관장한다. 다시말해서, 운전 제어반에서는 목표 층상을 향해 카를 안전하게 운행하기 위해 시스템 각부의 안전동작 여부를 점검하고 운행 거리 및 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각종 연산기능을 수행하게 되는데, 이를 위해 상기 운전 제어반에는 통상적으로 마이크로컴퓨터가 탑재된다.
이러한 운전 제어반에 안정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별도의 전원공급장치(SMPS: Switching Mode Power Supply)가 사용된다. 따라서, 상기 전원공급장치는 운전제어반의 정상적인 동작에 절대적인 영향을 미치게 되며, 이러한 점을 감안해서 종래의 엘리베이터에 있어서는 별도의 정전검출회로를 사용하여 그 전원공급장치의 정전 여부를 검출하게 되어 있었다.
이와 같이 종래의 엘리베이터에 있어서는 별도의 정전검출회로를 이용하여 주전원과 무관하게 운전제어반에 설치되어 있는 마이크로컴퓨터가 다운되는 원인을 검출하게 되어 있으므로 그에 따른 원가 상승이 유발되고, 생산 공정이 복잡해 지는 결함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별도의 정전검출회로를 사용하지 않고 마이크로컴퓨터의 플래그 체크를 통해 주전원 정전과 무관한 마이크로컴퓨터의 다운 원인을 검출하는 엘리베이터의 고장검출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고장검출 장치의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고장검출 방법의 신호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주전원부 2 : 정전감시부
3 : 전원공급기 4 : 운전제어반
4A : 마이크로컴퓨터 다운검출부 4B : 백업용 램
4C : 정상신호 백업부 4D : 인터페이스부
5 : 출력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엘리베이터의 고장검출 방법은 운전제어반이 정상적으로 동작되고 있는 상태에서 주전원 정전에 의한 인터럽트신호가 입력될 때 정상전원플래그를 리세트시키고 그때의 운행정보를 저장하는 제1단계와; 복전시 상기 정상전원플래그를 체크하여 세트된 것으로 판명되면 운전제어반의 마이크로컴퓨터가 주전원과 무관하게 다운된 것으로 판단하여 백업용 램의 일정 어드레스에 기록된 에러 카운트 값을 하나 증가시킴과 아울러 에러 발생시각을 저장하고, 리세트된 것으로 판명되면 주전원부의 정전에 의해 마이크로컴퓨터가 다운된 것으로 판단하여 그 정상운전플래그를 세트시킨 후 운전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제2단계와; 복전시 상기 운전제어반의 고장이력을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제3단계로 이루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고장검출 장치의 일실시 구현예를 보인 엘리베이터의 블록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력전원을 공급받아 시스템 각부에서 필요로 하는 전압 레벨로 변환하는 주전원부(1)와; 상기 주전원부(1)의 정전을 감시하여 그에 따른 인터럽트신호를 출력하는 정전 감시부(2)와; 상기 주전원부(1)를 통해 입력전원을 공급받아 운전제어반(4)에서 필요로 하는 각 레벨의 구동전압을 공급하는 전원공급기(3)와; 홀부름등록 또는 카부름등록에 따른 고유의 운전제어기능을 수행함과 아울러 상기 인터럽트신호가 입력될 때 내부의 정상전원플래그를 리세트시키고, 복전시 그 플래그를 근거로 고장 원인을 분석하여 마이크로컴퓨터의 정상동작시간, 에러발생 시간 및 횟수를 기록관리하는 운전제어반(4)과; 상기 운전제어반(4)의 고장이력을 화면에 디스플레이하거나 프린트하는 출력부(5)로 구성하였다.
상기 운전제어반(4)은 시스템의 구동 초기에 정상전원플래그(FLAG)를 체크하여 이전에 발생된 마이크로컴퓨터의 다운이 주전원부(1)의 정전에 의한 것인지 전원공급기(3)의 정전에 의한 것인지를 판단하는 마이크로컴퓨터 다운검출부(4A)와; 상기 마이크로컴퓨터 다운검출부(4A)의 고장검출에 따른 마이크로컴퓨터의 정상동작시간, 에러발생 시간 및 횟수가 저장되는 백업용 램(4B)와; 정전에 의해 상기 정상전원플래그(FLAG)가 리세트될 때의 각종 운행정보가 저장되는 정상신호 백업부(4C)와; 상기 백업용 램(4B)에 기록된 고장이력 정보를 외부로 출력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부(4D)와; 상기 정전감시부(2)로부터 입력되는 인터럽트신호(INT)에 의해 리세트되는 정상전원플래그(FLAG)로 구성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의 작용을 첨부한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입력전원이 주전원부(1)의 트랜스에 의해 시스템 각부에서 필요로 하는 전압 레벨로 변환된다. 또한, 전원공급기(3)에서는 상기 주전원부(1)를 통해 일정 레벨의 전원(110V/220V)을 공급받아 운전 제어반(4)에서 필요로 하는 각 레벨의 구동전압(5V/15V/24V)을 공급하게 되는데, 이 중에서 5V의 전원이 운전 제어반(4)의 마이크로컴퓨터에 공급된다.
상기 운전 제어반(4)은 상기 전원공급기(3)로부터 상기의 구동전원을 공급받아 운전 제어기능을 수행한다. 즉, 각 층상의 승강장에서 대기중인 승객에 의한 홀부름 또는 카에 탑승한 승객에 의한 카부름이 등록될 때, 카를 해당 층상으로 서비스하기 위해 운전제어반(4)의 마이크로컴퓨터에서 시스템 각부의 안전동작 여부를 확인한 후 운행 거리 및 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각종 연산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운전제어반(4)에서 전송되는 부름등록신호에 의해 카 또는 승강장의 해당 부름버튼이 점등되고, 이와 함께 운행 방향, 카 위치 표시정보 등과 같은 운행정보가 승강장 표시기에 전송되어 표시되므로 승강장에서 대기중인 승객들은 자신이 요청한 승강장부름이 등록되었음을 인식함과 아울러, 현재 엘리베이터의 운행 상황을 인식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운전제어반(4)이 정상적으로 동작할 때, 그 운전제어반(4)의 마이크로컴퓨터는 백업용 램(4B)의 소정 어드레스에 정상동작시간을 소정 주기로 갱신 기록한다.
한편, 정전 감시부(2)에서는 상기 주전원부(1)의 정전 여부를 감시하여 정전이 발생될 때 상기 운전제어반(4)에 인터럽트신호(INT)를 출력하고, 이때, 운전 제어반(4)의 마이크로컴퓨터에서는 정상전원플래그(FLAG)를 리세트시킨다. 이와 함께 상기 마이크로컴퓨터는 정상 복귀시 정상 운행에 필요한 각종 운행정보 예를 들어, 현재의 위치 정보나 방향 등의 정보를 정상신호 백업부(4C)에 저장한다.
하지만, 상기 주전원부(1)에 정전이 발생되지 않아 상기 정전 감시부(2)로부터 인터럽트신호(INT)가 출력되지 않은 상태에서 전원공급기(3)의 정전 등으로 인하여 상기 운전제어반(4)의 마이크로컴퓨터가 다운되는 경우에는 상기 정상전원플래그(FLAG)가 세트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마이크로컴퓨터 다운검출부(4A)에서는 시스템의 구동 초기(복전시)에 상기 정상전원플래그(FLAG)를 체크하여 이전에 발생된 마이크로컴퓨터의 다운이 주전원부(1)의 정전에 의한 것인지 전원공급기(3)의 정전에 의한 것인지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즉, 시스템의 구동 초기 상태에서 마이크로컴퓨터 다운검출부(4A)는 상기 정상전원플래그(FLAG)를 체크하여 리세트되었으면, 이는 주전원부(1)의 정전에 의한 마이크로컴퓨터의 다운으로 판단하여 그 정상전원플래그(FLAG)를 세트시킨 후 통상의 제어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하지만, 상기의 체크 결과 정상전원플래그(FLAG)가 세트되어 있으면, 이는 주전원부(1)의 정전이 발생되지 않은 상태에서 전원공급기(3)의 정전에 의한 마이크로컴퓨터의 다운으로 판단한다. 이때, 상기 마이크로컴퓨터는 백업용 램(4B)의 일정 어드레스에 기록된 에러 카운트 값을 하나 증가시키고 에러 발생시각을 저장한다.
따라서, 관리자는 출력부(5)를 통해 상기 운전제어반(4)의 고장 이력을 상세히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즉, 관리자가 키이입력장치를 통해 상기 운전제어반(4)에 고장이력 출력명령을 입력하면, 그 운전제어반(4)의 마이크로컴퓨터가 상기 백업용 램(4B)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의 정상동작시간, 에러발생 시간 및 횟수를 인터페이스부(4D)를 통해 출력부(5)에 디스플레이하거나 프린트하게 되므로 관리자는 그 출력 내용을 보고 운전제어반(4)에 장착된 마이크로컴퓨터의 고장 이력을 상세히 파악할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운전제어반에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기의 정전을 검출하기 위한 정전검출회로를 별도로 사용하지 않고, 주전원의 정전을 체크하는 정상전원플래그를 근거로 운전제어반의 마이크로컴퓨터의 다운 원인이 주전원의 정전에 의한 것인지 전원공급기의 정전에 의한 것인지 판단하여 그에 따른 마이크로컴퓨터의 정상동작시간, 에러발생 시간 및 횟수를 기록 관리하고, 필요시 그 고장이력을 외부에 출력함으로써 별도의 비용을 추가하지 않고도 마이크로컴퓨터의 고장 이력을 상세히 파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운전제어반이 정상적으로 동작되고 있는 상태에서 주전원 정전에 의한 인터럽트신호가 입력될 때 정상전원플래그를 리세트시키고 그때의 운행정보를 저장하는 제1단계와; 복전시 상기 정상전원플래그가 세트되어 있으면 운전제어반의 마이크로컴퓨터가 주전원과 무관하게 다운된 것으로 판단하여 백업용 램에 기록된 에러 카운트 값을 하나 증가시킴과 아울러 에러 발생시각을 저장하고, 리세트되어 있으면 주전원부의 정전에 의해 마이크로컴퓨터가 다운된 것으로 판단하여 그 정상운전플래그를 세트시킨 후 운전제어기능을 수행하는 제2단계와; 복전시 운전제어반의 에러카운트값, 에러 발생시간 등의 고장이력 정보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고장검출 방법.
  2. 엘리베이터에 설치되어 있는 주전원부(1)의 정전을 감시하여 그에 따른 인터럽트신호를 출력하는 정전 감시부(2)와; 운전제어반(4)에서 필요로 하는 각 레벨의 구동전압을 공급하는 전원공급기(3)와; 상기 인터럽트신호가 입력될 때 내부의 정상전원플래그를 리세트시킨 후 내부 마이크로컴퓨터의 정상동작시간, 에러발생 시간 및 횟수 등의 운행정보를 기록하고 복전시 그 플래그를 근거로 하여 마이크로컴퓨터의 다운 원인이 주전원부에 의한 것인지 주전원부에 무관한 것인지 판단하는 운전제어반(4)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고장검출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제어반(4)의 고장이력을 화면에 디스플레이하거나 프린트하기 위한 출력부(5)를 더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고장검출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제어반(4)은 복전시 상기 정상전원플래그를 체크하여 이전에 발생된 마이크로컴퓨터의 다운이 주전원부(1)의 정전에 의한 것인지 전원공급기(3)의 정전에 의한 것인지를 판단하는 마이크로컴퓨터 다운검출부(4A)와; 상기 마이크로컴퓨터 다운검출부(4A)의 고장검출에 따른 마이크로컴퓨터의 정상동작시간, 에러발생 시간 및 횟수가 저장되는 백업용 램(4B)와; 정전에 의해 상기 정상전원플래그가 리세트될 때의 각종 운행정보가 저장되는 정상신호 백업부(4C)와; 상기 백업용 램(4B)에 기록된 고장이력 정보를 외부로 출력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부(4D)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고장검출 장치.
KR1019990047584A 1999-10-29 1999-10-29 엘리베이터의 고장검출 방법 및 장치 KR1003512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7584A KR100351287B1 (ko) 1999-10-29 1999-10-29 엘리베이터의 고장검출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7584A KR100351287B1 (ko) 1999-10-29 1999-10-29 엘리베이터의 고장검출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9272A KR20010039272A (ko) 2001-05-15
KR100351287B1 true KR100351287B1 (ko) 2002-09-10

Family

ID=196177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7584A KR100351287B1 (ko) 1999-10-29 1999-10-29 엘리베이터의 고장검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5128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1526U (ko) 2015-10-22 2017-05-04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압전소자를 이용한 엘리베이터의 결함 감지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9618B1 (ko) * 2016-08-17 2018-12-14 주식회사 이피코 승강기 운행기록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22225A (ko) * 1994-12-31 1996-07-18 이종수 엘리베이터의 승강로 상태 표시장치
JPH0977391A (ja) * 1995-09-19 1997-03-25 Hitachi Ltd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KR19990075981A (ko) * 1998-03-26 1999-10-15 이종수 정전시 엘리베이터 절대위치 표시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22225A (ko) * 1994-12-31 1996-07-18 이종수 엘리베이터의 승강로 상태 표시장치
JPH0977391A (ja) * 1995-09-19 1997-03-25 Hitachi Ltd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KR19990075981A (ko) * 1998-03-26 1999-10-15 이종수 정전시 엘리베이터 절대위치 표시장치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1526U (ko) 2015-10-22 2017-05-04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압전소자를 이용한 엘리베이터의 결함 감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9272A (ko) 2001-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80806B1 (ko) 하역 차량의 결함 진단방법
KR100351287B1 (ko) 엘리베이터의 고장검출 방법 및 장치
JPH0496677A (ja) エレベータ用ダイナミックブレーキ回路の動作確認装置
JPH02501960A (ja) 計算機により制御される操作素子の監視方法及び回路装置
JP2013256143A (ja)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制御装置
JPH0776072A (ja) 印刷機用の制御装置
KR101202511B1 (ko)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
US7283898B2 (en) Seating sensor system, failure state detecting method using seating sensor and industrial vehicle with seating sensor system
JP2010222139A (ja) エレベータの運転装置
WO2013178285A1 (en) Car panel and elevator
JP4642455B2 (ja) マンコンベア用安全装置の動作表示装置
JPH05270114A (ja) プリンタ装置における給紙切れ検出方式
JP2005178968A (ja) エレベーターの呼び登録装置の点検装置
KR970004767B1 (ko) 엘리베이터의 보조운전 제어회로 및 방법
JP3256273B2 (ja) 駆動回路の異常検出装置
KR100275577B1 (ko) 엘리베이터의 구출모드 설정방법
JPH10268823A (ja) 表示装置
JP2002116851A (ja) Cpu監視回路
JPH04266378A (ja) エレベータの監視制御装置
JPH05147848A (ja) エレベータの監視装置
JPS622214Y2 (ko)
JP3475430B2 (ja) エレベーターの運転装置
JP2001130114A (ja) 印写装置および印写システム
JPS5953378A (ja) エレベ−タの位置表示装置
JPS6298368A (ja) 複写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