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51005B1 - 고속 경주용 자동차의 타이어 트레드용 고무 조성물 - Google Patents

고속 경주용 자동차의 타이어 트레드용 고무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51005B1
KR100351005B1 KR1020000027675A KR20000027675A KR100351005B1 KR 100351005 B1 KR100351005 B1 KR 100351005B1 KR 1020000027675 A KR1020000027675 A KR 1020000027675A KR 20000027675 A KR20000027675 A KR 20000027675A KR 100351005 B1 KR100351005 B1 KR 1003510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rubber
carbon black
rubber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76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106737A (ko
Inventor
정해광
Original Assignee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276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51005B1/ko
Publication of KR200101067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67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10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1005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njugated diene hydrocarbons
    • C08L9/06Copolymers with styr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00Tyre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composition or the physical arrangement or mixture of the composition
    • B60C1/0016Compositions of the trea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20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 C08J3/22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using masterbatch techniqu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4Carb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3/36Silica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1Hydrocarb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02Physical properties
    • C08K2201/006Additives being defined by their surface area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2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10/00Masterbatch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속 경주용 자동차의 타이어 트레드용 고무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통상의 타이어 트레드 고무 조성물에 투입되는 카본블랙에 비하여 입경이 작은 카본블랙을 사용하고 가공오일의 첨가량을 늘리고, 용액중합 스티렌-부타디엔 고무를 유화중합 스티렌-부타디엔 고무와 혼용하고, 실리카를 충진제로서 첨가한 고무 조성물로서, 이는 발열상승 속도를 향상시키고, 동적손실계수 또한 향상시켜 젖은 노면에서의 그립력은 유지하면서 동시에 젖은 노면에서의 최고 그립력이 빠른 시간에 나타나도록 함으로써 젖은 노면에서의 고속 경주용 타이어 트레드용 고무로 적합하다.

Description

고속 경주용 자동차의 타이어 트레드용 고무 조성물{A rubber composition for racing tire tread}
본 발명은 타이어 트레드용 고무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젖은 노면에서의 제동성능을 향상시킨 고속 경주용 자동차의 타이어 트레드용 고무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속 경주용 자동차에 사용되는 타이어 트레드는 대부분 마른 노면에서 사용될 수 있도록 고무를 조성하였다.
마른 노면에서 사용하는 고속 경주용 자동차 타이어 트레드의 경우, 경주용 타이어 트레드가 갖추어야 할 많은 성능 중에서도 그립 성능을 최우선으로 둔다.
이러한 그립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입자경이 작고 구조가 발달된 카본 블랙을 사용하거나, 통상의 타이어 트레드 고무 조성물에 투입하는 카본 블랙의 양과 가공오일의 첨가량 보다 많은 양을 첨가하여 트레드 고무의 발열 속도를 높이고 노면과의 접지력을 향상시키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이렇게 마른 노면에서 최대 그립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제조된 고속경주용 자동차 타이어가 젖은 노면에서 주행할 경우, 마른 노면에서의 그립력을 최대한 발휘하기 위해 트레드 고무 조성물에 최대한으로 넣은, 입자경이 작고 구조가 매우 발달된 카본블랙은 마른 노면에서의 그립력을 표현하는 20∼100℃에서의 동적손실계수는 높지만 젖은 노면에서의 그립력을 표현하는 0℃에서의 동적 손실계수는 낮아지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젖은 노면에서 주행하는 고속 경주용 자동차 트레드 고무 조성물의 경우에는 0℃에서의 동적손실계수를 향상시키기 위해 카본블랙과 가공오일의 첨가량을 마른 노면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제조된 트레드 고무 조성물에 투입하는 것보다 적게한다.
그런데, 카본블랙과 가공오일의 첨가량을 낮출 경우, 0℃에서의 동적손실계수는 높아지지만, 카본블랙과 가공오일의 첨가량이 줄어듬에 따라 고무 온도 상승 속도가 늦어져서 최고의 그립력에 도달되는 데 걸리는 시간이 길어지게 되어서, 결과적으로 최고의 랩 타임(best lab time)에 도달하는 데 걸리는 시간이 늦어지는 단점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자는 카본블랙과 가공오일의 첨가량을 조절하여 제동성능을 향상시키는 종래의 방법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연구노력하던 중, 통상적으로 젖은 노면에서 사용되는 트레드 고무 조성물에서 투입되는 카본블랙보다 입경이 작은 카본블랙을 사용하고, 가공오일의 첨가량을 늘리고, 여기에 실리카 충진제와 용액중합 스티렌-부타디엔 고무를 첨가한 결과, 발열 상승속도가 상승되어 노면과의 접지력이 향상되고, 동적손실계수 또한 향상되어 젖은 노면에서의 그립력은 유지하면서 동시에 젖은 노면에서의 최고 그립력이 빠른시간에 나타날 수 있음을 알게되어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젖은 노면에서의 제동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고속 경주용 자동차의 타이어 트레드용 고무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고속 경주용 자동차의 타이어 트레드용 고무 조성물은 스티렌 함량이 35∼45중량%인 유화중합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55∼85중량부(가공오일 37.5% 혼입); 스티렌 함량이 40중량%인 유화중합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100중량부, 질소흡착 비표면적 135∼155㎡/g이고 DBP 흡유량 120∼140cc/100g인 카본블랙 140중량부 및 방향족 가공오일 140중량부로 이루어진 마스터 배치 60∼90중량부; 스티렌 함량 20중량%이고 부타디엔부의 비닐 결합 함량이 전체 부타디엔부 함량 중 60중량%인 용액중합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20∼40중량부; 질소흡착 비표면적 135∼155㎡/g 이고 DBP 흡유량 120∼140cc/100g인 카본블랙 55∼85중량부; 질소 흡착 비표면적 155∼190㎡/g이고 CTAB 150∼190㎡/g인 실리카 20∼40중량부; 및 커플링제로 이루어지되, 고무 중 함유된 총 방향족 가공오일의 함량이 90∼110중량부인 것임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와같은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0℃에서의 동적손실계수와 발열 상승 속도를 동시에 향상시켜 젖은 노면에서의 제동성능을 향상시킴으로써, 젖은 노면 상태의 고속 주행 경주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고안된 타이어 트레드 고무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타이어 트레드용 고무 조성물에서의 마스터 배치는 통상 타이어 트레드용 고무 조성물에서 사용되는 폴리머/카본블랙/오일로 이루어진 습식 마스터 배치로서, 구체적으로는 스티렌 함량이 40중량%인 유화중합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100중량부, 질소흡착 비표면적 135∼155㎡/g이고 DBP 흡유량 120∼140cc/100g인 카본블랙 140중량부 및 방향족 가공오일 140중량부로 이루어진 것이다. 그 함량은 전체 고무 조성물 중 60∼90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주성분 고무는 스티렌-부타디엔 고무로서, 구체적으로는 유화중합 스티렌-부타디엔 고무와 용액중합 스티렌-부타디엔 고무를 혼합사용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스티렌 함량이 35∼45중량%인 유화중합 스티렌-부타디엔 고무를 전체 고무 조성 중 55∼85중량부(가공오일 37.5% 혼입)로 사용하고, 스티렌 함량 20중량%이고 부타디엔부의 비닐 결합 함량이 부타디엔부 전체 함량 중 60중량%인 용액중합 스티렌-부타디엔 고무를 전체 고무 조성 중 20∼40중량부로 사용한다.
용액중합 스티렌-부타디엔 고무를 사용할 경우 유화중합 스티렌-부타디엔 고무만을 사용한 것에 비하여 0℃에서의 동적손실계수와 제동성능은 향상된다. 그러나, 최고 랩 타임에 도달하는 데 걸리는 시간은 유화중합 스티렌-부타디엔 고무를 사용한 것에 비하여 달라지지는 않는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카본블랙을 종래의 것에 비하여 입경이 작은 것을 사용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 사용된 카본블랙은 질소흡착 비표면적 135∼155㎡/g 이고 DBP 흡유량 120∼140cc/100g인 카본블랙 55∼85중량부로서, 통상 질소흡착 비표면적이 100㎡/g인 것보다 그 입자경이 작다.
이와같이 입자경이 작은 카본블랙을 사용할 경우 최고 랩 타임에까지 도달하는 데 걸리는 시간이 짧아진다.
입자경이 작은 카본블랙의 첨가량은 전체 고무 조성 중 55∼85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한 바, 과다하게 사용할 경우 발열상승 속도는 유리하나 젖은 노면에서의 제동성능을 떨어뜨린다.
이와 더불어, 발열상승 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전체 고무 조성 중 배합되는 방향족 가공오일의 첨가량을 통상의 것에 비하여 늘려 전체 고무 조성중 90∼110중량부 되도록 첨가한다.
그런데, 방향족 가공오일의 첨가량이 이보다 과다할 경우 젖은 노면에서의 제동성이 불리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카본 블랙과 가공 오일의 첨가로 인한 동적손실계수의 손실을 줄이기 위해서 상기 용액중합 스티렌-부타디엔 고무의 사용과 더불어 동적 손실계수 향상에 유리한 실리카 충진제를 첨가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 사용된 실리카는 질소 흡착 비표면적 155∼190㎡/g이고 CTAB 150∼190㎡/g인 실리카를 전체 고무 조성중 20∼40중량부 되도록 첨가한다.
그런데, 실리카를 40중량부를 초과하여 과다하게 첨가하면 발열상승 속도면에서는 유리하나 젖은 노면에서의 제동성능 면에서 불리하다.
그리고, 실리카를 첨가함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고무와 실리카에 동시에 반응할 수 있는 커플링제를 첨가하는 바, 구체적으로는 비스(3-트리에톡시 실릴 프로필 테트라설파이드) 또는 머캅토 프로필 트리에톡시 실란을 첨가한다. 이때, 커플링제의 첨가량은 전체 고무 조성 중 3.0∼6.5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밖에 본 발명의 타이어 트레드용 고무 조성물에는 통상의 트레드용 고무 조성물에 첨가되는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은 바,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2 및 비교예 1∼5
다음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조성으로 통상의 방법에 따라 고무 조성물을 배합하였다. 그리고, 통상의 고속 주행용 타이어 트레드용 고무 조성물도 다음 표 1에 예시하였다.
(단위: 중량부)
종래 실시예1 비교예
1 2 3 4 5 6
마스터배치 76 76 76 76 76 76 76 76
고무 E-SBR 110 68.75 89.34 68.75 68.75 68.75 68.75 68.75
S-SBR - 30 15 30 30 30 30 30
카본블랙 (1) 67 - 67 67 - - - -
(2) - 67 - - 67 67 67 67
실리카 - 30 - - - 45 - 15
가공오일 19.5 56.25 25.16 30.75 19.5 70.25 56.25 42.25
커플링제 - 4.8 - - - 7.2 - 2.4
산화아연 3 3 3 3 3 3 3 3
노화방지제 5 5 5 5 5 5 5 5
유화 2 2 2 2 2 2 2 2
가류촉진제 3 3 3 3 3 3 3 3
총 충진제 함량 95 125 95 95 95 140 125 110
총 가공오일 함량 77.5 103 77.5 77.5 77.5 117 103 89
(주)마스터배치: 스티렌 함량이 40중량%인 유화중합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100중량부, 질소흡착 비표면적 147㎡/g이고 DBP 흡유량 130cc/100g인 카본블랙 140중량부 및 방향족 가공오일 140중량부로 이루어진 polymer/carbon black/oil wet master batchE-SBR: 스티렌 함량이 40중량%인 유화중합 스티렌-부타디엔 고무로서, 가공오일 37.5중량부 혼입되어 있음.S-SBR: 스티렌 함량 20중량%이고 부타디엔부의 비닐 결합 함량이 부타디엔부 전체 함량 중 60중량%인 용액중합 스티렌-부타디엔 고무카본블랙(1): 질소흡착 비표면적 96㎡/g 이고 DBP 흡유량 120cc/100g인 카본블랙카본블랙(2): 질소흡착 비표면적 140 ㎡/g이고 DBP 흡유량 120∼140cc/100g인 카본블랙실리카: 질소 흡착 비표면적 175㎡/g이고 CTAB 165㎡/g인 실리카커플링제: 상품명 X50S(비스(3-트리에톡시 실릴 프로필 테트라설파이드) 또는 머캅토 프로필 트리에톡시 실란
실험예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6에 따라 제조된 고무에 대하여 제동성능의 예측이 가능한 동적손실계수값(tanδ)과 시험용 타이어에 대한 젖은 노면의 일정 서킷 주행시 걸리는 랩타임, 및 젖은 노면에서의 제동거리를 시험하여 그 결과를 다음 표 2에 나타내었다.
동적손실계수(0℃ tanδ)는 0.5% 인장으로 10Hz Frequecy로 측정한 값이며, 측정 방법은 Temperature Sweep 방식으로 토션 타입의 점탄성 시험기를 사용하였다. 0℃ tanδ는 젖은 노면에서의 제동거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험적 데이터로서, 값이 클수록 젖은 노면에서의 제동거리를 짧아지는 경향을 나타낸다.
그리고, 실차 젖음 제동거리 지수는 타이어를 실제 차량에 취부하여 젖은 노면에서 60km/hr 속도에서의 제동시 측정되는 제동거리를 지수로 환산한 값으로서, 종래의 것을 100으로 하고 상대적 값으로 나타낸 것이며, 이 지수가 클수록 젖음 제동성능이 유리함을 나타낸다. 이때, 제조 타이어는 205/50R 15Z이다.
그리고, 최고 랩 타임까지 도달하는 데 걸리는 랩 수는 타이어를 실체 차량에 취부하여 일정한 젖은 노면의 서킷 주행시 걸리는 시간 중 최단시간에 도달하는 데(best lab time) 필요한 랩 수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 값은 트레드 고무의 발열상승 속도를 측정할 수 있는 데이터이며, 랩수가 적을수록 발열상승 속도가 빠른 것을 나타낸다. 이때, 제조 타이어는 205/50R 15Z이다.
종래 실시예1 비교예
1 2 3 4 5 6
0℃ tanδ 0.410 0.440 0.419 0.431 0.390 0.425 0.389 0.428
실차 젖음 제동거리 지수 100 113 102 108 94 103 95 105
최고 랩타임까지 도달하는데 걸리는 랩수 10 3 10 9 6 2 2 5
상기 표 2의 결과로부터, 용액중합 SBR을 사용한 비교예 1과 2의 경우는 종래의 것에 비하여 0℃에서의 동적손실계수와 실차 젖음 제동거리 지수가 높았으나, 최고 랩타임까지 도달하는 데 걸리는 랩수는 종래와 비슷한 수준으로서 발열상승 속도면에서는 개선되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비교예 3의 경우, 용액중합 SBR을 사용하고 입경이 작은 카본블랙을 첨가함으로써 최고 랩타임까지 도달하는 데 걸리는 랩수는 짧아지나, 0℃에서의 동적손실 계수값이 종래의 것에 비하여 작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 실시예 1과 비교예 6의 경우는, 종래에 비하여 입경이 작은 카본블랙을 사용하고, 실리카나 가공오일을 증량함으로써 최고 랩타임까지 도달하는 데 걸리는 랩수가 짧아지고, 아울러 용액중합 SBR 및 실리카를 사용함으로써 젖음제동성능도 향상됨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실리카의 함량이 15중량부인 비교예 6에 비하여 그 함량이 30중량부인 실시예 1이 가장 우수한 성능을 나타냄을 알 수 있다.
반면, 비교예 4의 경우는 실리카를 과다하게 첨가함으로 인해, 그리고 비교예 5의 경우 역시 지나치게 카본블랙과 가공오일을 첨가함으로 인해서 발열상승 속도면에서는 실시예 1에 비하여 유리하나, 젖은 노면에서의 제동성면에서는 불리함을 나타내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통상의 타이어 트레드 고무 조성물에 투입되는 카본블랙에 비하여 입경이 작은 카본블랙을 사용하고 가공오일의 첨가량을 늘리고, 용액중합 스티렌-부타디엔 고무를 유화중합 스티렌-부타디엔 고무와 혼용하고, 실리카를 충진제로서 첨가한 고무 조성물의 경우, 발열상승 속도를 향상시키고, 동적손실계수 또한 향상시켜 젖은 노면에서의 그립력은 유지하면서 동시에 젖은 노면에서의 최고 그립력이 빠른 시간에 나타나도록 함으로써 젖은 노면에서의 고속 경주용 타이어 트레드용 고무로 적합하다.

Claims (2)

  1. (정정)스티렌 함량이 35∼45중량%인유화중합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55∼85중량부(가공오일 37.5% 혼입);
    스티렌 함량이 40중량%인유화중합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100중량부, 질소흡착 비표면적 135∼155㎡/g이고 DBP 흡유량 120∼140cc/100g인 카본블랙 140중량부 및 방향족 가공오일 140중량부로 이루어진 마스터 배치 60∼90중량부;
    스티렌 함량이 20중량%이고, 부타디엔부의 비닐 결합 함량이 전체 부타디엔부 함량 중 60중량%인용액중합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20∼40중량부;
    질소흡착 비표면적 135∼155㎡/g 이고 DBP 흡유량 120∼140cc/100g인 카본블랙 55∼85중량부;
    질소 흡착 비표면적 155∼190㎡/g이고 CTAB 150∼190㎡/g인 실리카 20∼40중량부; 및
    커플링제로 이루어지되,
    고무 중 함유된 총 방향족 가공오일의 함량이 90∼110중량부인 고속 경주용 자동차의 타이어 트레드용 고무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커플링제는 비스(3-트리에톡시 실릴 프로필 테트라설파이드) 또는 머캅토 프로필 트리에톡시 실란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 경주용 자동차의 타이어 트레드용 고무 조성물.
KR1020000027675A 2000-05-23 2000-05-23 고속 경주용 자동차의 타이어 트레드용 고무 조성물 KR1003510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7675A KR100351005B1 (ko) 2000-05-23 2000-05-23 고속 경주용 자동차의 타이어 트레드용 고무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7675A KR100351005B1 (ko) 2000-05-23 2000-05-23 고속 경주용 자동차의 타이어 트레드용 고무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6737A KR20010106737A (ko) 2001-12-07
KR100351005B1 true KR100351005B1 (ko) 2002-08-30

Family

ID=196697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7675A KR100351005B1 (ko) 2000-05-23 2000-05-23 고속 경주용 자동차의 타이어 트레드용 고무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5100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3471B1 (ko) 2010-11-26 2013-08-07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타이어 트레드용 고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타이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6012B1 (ko) * 2002-05-29 2005-03-10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정전기 방지용 트레드 고무조성물
KR20040038335A (ko) * 2002-10-31 2004-05-08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Wcmb를 함유하는 실리카 트레드 고무조성물
KR100775684B1 (ko) 2006-06-14 2007-11-09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실리카를 적용한 타이어 트레드용 고무 조성물
KR101457858B1 (ko) 2012-12-14 2014-11-04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타이어 트레드용 고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타이어
KR102208967B1 (ko) 2016-09-30 2021-01-28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프로세스 오일 대체 수지를 포함하는 타이어 트레드용 조성물
CN107828097B (zh) * 2016-11-21 2020-04-28 赛轮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可用于漂移比赛的uhpt胎面胶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3471B1 (ko) 2010-11-26 2013-08-07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타이어 트레드용 고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타이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6737A (ko) 2001-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795581B1 (en) Starch composite reinforced rubber composition and tire with at least one component thereof
JP4813845B2 (ja) 空気入りタイヤ用ゴム組成物及び空気入りタイヤ
KR100357504B1 (ko) 고무조성물
KR20050057207A (ko) 타이어 트레드용 고무 조성물
MXPA02011975A (es) Composicion de caucho para banda de rodadura de nuematico y neumatico.
JP3933207B2 (ja) ゴム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及び該組成物を用いたタイヤ
US5851321A (en) Pneumatic tire including cap tread portion
JP3350291B2 (ja) タイヤトレッド用ゴム組成物
DE102008051556A1 (de) Kautschukzusammensetzung für eine Reifenlauffläche
KR100360937B1 (ko) 타이어 트레드용 고무 조성물
KR100228208B1 (ko) 타이어 트레드용 고무조성물
JP4643207B2 (ja) 空気入りタイヤ用ゴム組成物及び空気入りタイヤ
KR100351005B1 (ko) 고속 경주용 자동차의 타이어 트레드용 고무 조성물
JPH11228747A (ja) シリカ入りトレツド用配合物におけるカオリン粘土
KR100894452B1 (ko) 타이어 트레드용 고무 조성물
JP2003155384A (ja) タイヤトレッド用ゴム組成物
KR100608139B1 (ko) 실리카 친화형 타이어 트레드 고무 조성물
JP4438336B2 (ja) トレッド用ゴム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タイヤ
KR100432128B1 (ko) 스터드리스 타이어 트레드용 고무 조성물
KR100869256B1 (ko) 타이어 트레드 고무조성물
JP2002179844A (ja) タイヤ用ゴム組成物
JP2002226631A (ja) タイヤ用ゴム組成物
KR100445830B1 (ko) 타이어 트레드용 고무 조성물
KR100570266B1 (ko) 실리카 및 실란커플링제가 보강된 실리카 고무조성물
KR102546478B1 (ko) 타이어 트레드용 고무조성물 및 그의 타이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73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01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