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51004B1 - 유압 관절식 저상 트레일러 - Google Patents

유압 관절식 저상 트레일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51004B1
KR100351004B1 KR1020000031111A KR20000031111A KR100351004B1 KR 100351004 B1 KR100351004 B1 KR 100351004B1 KR 1020000031111 A KR1020000031111 A KR 1020000031111A KR 20000031111 A KR20000031111 A KR 20000031111A KR 100351004 B1 KR100351004 B1 KR 1003510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aulic
front deck
trailer
low
j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11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111107A (ko
Inventor
김인식
Original Assignee
우신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신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우신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311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51004B1/ko
Publication of KR200101111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111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10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1004B1/ko

Links

Abstract

본 발명은 굴삭기 등과 같은 특수목적의 대형 중장비를 운송하는 유압 관절식 저상 트레일러에 관한 것으로, 중장비를 운송하는 저상 트레일러에 있어서, 상기 저상 트레일러의 탑재부와 프런트 데크부를 각각 분리하여 제작한 다음 상기 탑재부의 양측프레임 전단과 상기 프런트 데크부의 후단에 회전가능하게 양단이 힌지결합되어 상기 프런트 데크부를 수평상으로 높이 들어올리거나 지상에 내려놓는 작동을 담당하는 제1 및 제2 유압관절과, 상기 탑재부의 양측프레임 전단측에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타단은 지상에 지지되는 지지판에 힌지핀으로 연결되는 메인링크 및 상기 프런트 데크부의 하부 힌지축에 제2 유압관절과 함께 실린더 몸체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실린더 몸체에서 출몰작동하는 피스톤의 선단은 상기 지지판의 힌지핀에 상기 메인링크와 함께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유압장치를 구성하여 저상 트레일러가 자체적으로 프런트 데크부를 상,하로 이동시켜 중장비의 상,하차를 용이하게 하는 특징을 지닌 발명이다.

Description

유압 관절식 저상 트레일러{Low-Bed Trailer}
본 발명은 굴삭기 등과 같은 특수목적의 대형 중장비를 운송하는 유압 관절식 저상 트레일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크롤러 주행장치를 갖는 굴삭기, 브레이커, 불도저 등 특수목적의 대형 중장비는 저상 트레일러(Low-Bed Trailer)를 이용하여 운송하고 있으며, 상기한 저상 트레일러는 견인차량(Tractor)이 연결되는 부분이 오리의 목과 유사하게 형성되었다 하여 구스넥 트레일러(Goose Necx Trailer)라고 부르기도 한다.
종래 기술의 저상 트레일러는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된 것들이 있다.
도 11은 가장 일반적인 저상 트레일러(100)를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한 종래의 저상 트레일러(100)는 지상에서 낮은 높이로 설치되어 탑재된 대형 중장비를 안전하게 지지하는 탑재부(110)와, 상기 탑재부(110)를 기준하여 전방측에는 견인차량에 연결시킬 수 있도록 상기 탑재부(110) 보다 높은 높이로 프런트 데크부(120) 및 후방측에는 지상 트레일러(100)를 지지하면서 안전한 주행을 가능하게 하는 차륜부(130)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탑재부(110)의 메인프레임(111) 전단 양측에는 수동으로 작동되는 랜딩기어(Landing Gear : 112)가 장착되어 있고, 상기 프런트 데크부(120)의 선단 중앙부분에는 견인차량의 연결고리에 연결되는 킹핀(King Pin : 121)이 고정 설치되어 있는 바,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저상 트레일러(100)는 탑재부(110)의 후단이 차륜부(130) 위로 길게 연장된 상태로서 지상에서 일정한 높이를 가지고 있으므로 탑재부(110)의 후방에서 대형 중장비가 자체적으로 등판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뒤따르게 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탑재부(110) 후방에 경사로를 만들어주는 별도의 경사판을 준비하고 있다가 대형 중장비를 탑재부(110)에 상차시키고자 할 때 또는 하차시키고자 할 때마다 별도의 경사판을 설치해야 하는데, 상기한 별도의 경사판 자체는 대형 중장비를 지탱할 수 있는 강도를 지녀야 하므로 그 무게가 무거운 중량물인 관계로 상기한 종래의 저상 트레일러(100)의 경우는 대형 중장비를 상차 및 하차시키기 위하여 소요되는 시간과 인력이 많이든다는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되어 왔다.
도 12는 저상 트레일러(200)의 전술한 도 11과 같이 탑재부(210)를 기준하여 전방에는 프런트 데크부(220)를, 후방에는 차륜부(230)를 일체적으로 구성함에 있어 상기 탑재부(210)의 후방에 경사판(240)을 회전가능하게 부착시키는 구조로서 대형 중장비를 상,하차시키고자 할 때에는 상기 경사판(240)을 지상을 향해 회전시켜 경사지게 지지되게 하는 한편 대형 중장비가 상차 또는 하차한 후에는 상기한 경사판(240)을 탑재부(210)로 쪽으로 회전시켜 그 후방측에 올려놓는 구조로 되어 있는 바,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저상 트레일러(200)는 탑재부(210)의 후방에 경사판(240)을 구비하고 있어 전술한 종래 기술보다는 대형 트레일러(200)의 상,하차를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기는 하지만 대형 중장비를 상차한 다음에는 반드시 경사판(240)을 탑재부(210) 후방에 올려놓을 수 있는 공간 즉, 경사판(240)의 거치공간을 반드시 확보해 놓아야 하는 관계로 상기 탑재부(210)에 대형 중장비를 탑재시킬 수 있는 공간이 상대적으로 제한되어 경사판(240)의 크기만큼 탭재공간이 좁아지게 된다는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으며, 또한 상기한 경사판(240)을 인력으로 조작해야 하는 관계로 불편하고 또 작업자가 안전사고에 노출되어 있게 된다는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도 13에 도시된 종래 기술의 저상 트레일러(300)도 전기한 실시예들과 같이 탑재부(310)과 프런트 데크부(320)와 차륜부(330)으로 구성한 다음, 상기 탑재부(310)의 후방에 힌지(340)를 기점으로 하여 회전하는 별도의 유압식 경사상판(350)을 설치하여 유압실린더(360)의 피스톤을 출몰작동시키는 작동에 따라 상기 유압식 경사상판(350)이 탑재부(310)의 후방에서 기복되는 작동으로 지상에 대하여 경사지게 설치되거나 수평하게 설치되도록 하는 수단으로 중장비를 상,하차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은 중장비가 스스로 등판할 수 있도록 상기 유압식 경사상판(350)의 설치각도를 제한하여 설치하여야 한다는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으며, 또한 상기한 유압식 경사상판(350) 자체가 대형 중장비의 중량을 충분히 지탱해야 하므로 상기한 유압식 경사상판(350)이 허용하는 탑재하중보다 더 무거운 중량을 가지는 중장비의 경우에는 탑재할 수 없다는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는 바, 이러한 문제점은 각종 건설현장에 사용되고 있는 중·대형 중장비를 구별하여 탑재시켜야 하므로 저상 트레일러를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없게 된다는 것이 가장 큰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들에서 나타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한 것으로, 저상 트레일러의 탑재부와 상기 탑재부보다 높은 위치로 설치되는 프런트 데크부를 유압관절로 연결시키는 수단으로 상기 유압관절을 작동시키는 유압실린더의 피스톤 출몰작동으로 상기 프런트 데크부를 견인차량의 연결부 높이로 들어올리거나 또는 지상에 완만하게 경사지게 내려줄 수 있도록 하여 중장비의 상,하차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또한 프런트 데크부를 견인차량의 연결부 높이로 들어올릴 때 상기 프런트 데크부가 기 설정된 높이에서 정확하게 정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는 것이며, 또한 상기 프런트 데크부에는 상기 유압관절을 작동시키는 배터리와 유압모터 등을 내장하여 자체적으로 상기 프런트 데크부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하므로서 견인차량에의 연결작업 및 중장비의 상,하차 작업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을 두고 발명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중장비를 운송하는 저상 트레일러에 있어서,
상기 저상 트레일러의 탑재부와 프런트 데크부를 각각 분리하여 제작한 다음 상기 탑재부의 양측프레임 전단과 상기 프런트 데크부의 후단에 회전가능하게 양단이 힌지결합되어 상기 프런트 데크부를 수평상으로 높이 들어올리거나 지상에 내려놓는 작동을 담당하는 제1 및 제2 유압관절과;
상기 탑재부의 양측프레임 전단측에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타단은 지상에 지지되는 지지판에 힌지핀으로 연결되는 메인링크와; 및
상기 프런트 데크부의 하부 힌지축에 제2 유압관절과 함께 실린더 몸체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실린더 몸체에서 출몰작동하는 피스톤의 선단은 상기 지지판의 힌지핀에 상기 메인링크와 함께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유압장치;
를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며,
또한 상기 유압장치의 피스톤 출현작동으로 상기 제1, 제2 유압관절의 기립작동과 함께 상기 프런트 데크부를 상승작동시킬 때 상기 메인링크의 기립작동을 제어하여 상기 탑재부가 항시 수평높이까지만 상승시킬 수 있도록 상기 메인링크와 상기 탑재부의 양측프레임을 제어장치로 연결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며,
또한 상기 제1 유압관절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유압관절이 기립작동시에는 대체로 하향을 향해 개구되어 상기 탑재부의 양측프레임 전단 상측에 형성된 고정구멍에 삽입되는 고정핀에 지지되는 기립고정홈을 형성하여 상기 프런트 데크부를 상승작동시켰을 때 제1 유압관절이 고정핀에 지지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며,
또한 상기 제2 유압관절이 정해진 각도 범위내에서의 기복작동을 허용하는한편 상기 제2 유압관절이 설정된 각도로 기립되었을 때 상기 제2 유압관절의 하단과 수평상으로 접촉되어 상기 제2 유압관절이 설정된 각도범위를 벗어나게 기립되는 것을 제어할 수 있도록 상기 탑재부의 양측프레임 전단 하측에 정지판을 부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며,
또한 상기 프런트 데크부의 선단 중간부분에 상,하측으로 개방되게 부착된 원통의 상방에서 삽입 및 이완이 자유롭게 이루어지며, 자중에 의해 몸체의 중간 단부와 상단 플랜지가 상기 원통의 내부와 상단 주연부에 걸림되는 한편 하단의 연결부만 상기 프런트 데크부의 하측으로 돌출되도록 킹핀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며,
또한 상기 프런트 데크부의 중간부분에 상향으로 개폐되는 문과, 상기 유압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배터리와 유압모터 등의 장비를 장착시킬 수 있는 장비실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저상 트레일러를 견인차량 연결 대기상태로 작동시킨 상태
를 나타낸 전체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저상 트레일러를 견인차량 상,하차 대기상태로 작동시킨
상태를 나타낸 전체 측면도.
도 3은 도 1의 평면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요부인 유압 관절부의 작동상태 확대 측면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요부인 프런트 테크부의 궤적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의 실시예들.
도 8은 본 발명의 일요부인 프런트 데크부의 확대 평면도.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요부인 견인차량 연결용 킹핀의 작동상태
단면도.
도 11 내지 도 13은 종래 기술의 저상 트레일러의 측면도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저상 트레일러 2 : 탑재부
3 : 프런트 데크부 4 : 차륜부
5 : 제1 유압관절 6 : 제2 유압관절
7 : 킹핀 8 : 유압장치
9 : 메인링크 22 : 양측프레임
23,24,37,38 : 힌지핀 25 : 고정구멍
26 : 고정핀 27 : 정지판
31 : 원통 33 : 유압모터
34 : 배터리 35 : 장비실
36 : 문 51 ; 기립고정홈
83 : 지지판 91 : 제어장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저상 트레일러를 견인차량 연결 대기상태로 작동시킨 상태를 나타낸 전체 측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저상 트레일러를 견인차량 상,하차 대기상태로 작동시킨 상태를 나타낸 전체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평면도이며,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요부인 유압 관절부의 작동상태 확대 측면도이고,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요부인 프런트 테크부의 궤적을 제어하는 제어장치의 실시예들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요부인 프런트 데크부의 확대 평면도이고, 도 9 및도 10은 본 발명의 일요부인 견인차량 연결용 킹핀의 작동상태 단면도를 도시한 것으로,
도면부호 1은 저상 트레일러를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 저상 트레일러(1)는 중장비가 탑재되는 탑재부(2)와 견인차량에 연결되는 프런트 테크부(3) 및 상기 자상 트레일러(1)의 전체 하중과 탑재되는 중장비의 하중을 충분히 지탱할 수 있는 수쌍의 바퀴로 이루어진 차륜부(4)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탑재부(2)는 대체로 가운데 2개의 긴 프레임(21)은 후방의 차륜부(4)까지 길게 설치되어 있고 양측프레임(22)은 상기 차륜부(4) 앞쪽까지만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한 긴 프레임(21)과 양측프레임(22)의 상면들은 철판(23)으로 용접되어 있으며, 상기 탑재부(2)의 상면에는 두터운 목재를 깔아준다.
상기 프런트 데크부(3)는 상기 탑재부(2)와 분리된 상태로 제작되어 제1, 제2 유압관절(5)(6)에 의하여 연결되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또한 수개의 프레임과 철판이 용접된 상태에서 그 상면에는 목재가 깔려있다.
상기 프런트 데크부(3) 중간부분의 전단에는 상,하로 개방된 원통(31)이 용접되어 있으며, 상기 원통(31)의 내주면은 상,하부의 내경이 넓고 좁게 형성되어 그 중간부분에 단턱(3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원통(31)에는 킹핀(7)이 삽입되는데, 상기 킹핀(7)의 몸체(71)는 상기 원통(31)의 상방으로 이완이 용이하도록 삽입된 상태에서 중간단부(72)가 단턱(32)에 걸림되고 또 상단 플랜지(73)는 원통(31)의 상단 주연부에 걸림되는 것이며, 하단의 연결부(74)는 상기 원통(31)을 관통하여 상기 프런트 데크부(3) 하측으로 돌출되게 하므로서 견인차량(도시 없음)의 연결고리에 연결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킹핀(7) 상단에 형성된 머리(75)에는 손잡이(76)를 부착하여 작업자가 상기 킹핀(7)의 삽입작업과 이완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킹핀(7)의 분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프런트 데크부(3)의 상면에 용접된 고정고리에 연결된 연결줄을 손잡이(76)에 연결시켜 준다.
상기 프런트 데크부(3)의 중간부분에는 후술하는 유압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유압모터(33)와 배터리(34) 등의 장비를 수납하는 장비실(35)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장비실(35)은 상향으로 열고 닫는 문(36)에 의하여 복개되는 구조로 설치되어 상기한 유압모터(33)와 배터리(34) 등의 장비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또한 상기한 배터리(34)는 충전식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차륜부(4)는 종래 기술과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상기 탑재부(2)의 긴 프레임(21) 후방측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1, 제2 유압관절(5)(6)은 금속제 빔 구조로 제작되어 상기 탑재부(2)와 프런트 데크부(3)를 견고하게 연결하는 기능을 담당하는 한편, 상기 플런트 데크부(3)를 높이 들어올리는 작동과 바닥에 내려놓는 작동을 수행한다.
상기 제1, 제2 유압관절(5)(6) 각각의 일단은 상기 탑재부(2)의 양측프레임(22) 전단의 상,하단에 힌지핀(23)(24)으로 회전이 가능한 상태로 연결되는 것이며, 그들의 타단은 상기 프런트 데크부(3) 후단의 상,하단에 힌지핀(37)(38)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1, 제2 유압관절(5)(6)은 프런트 데크부(3) 후단의 하단에 결합되는힌지핀(38)에 연결되는 유압장치(8)에 의하여 기복작동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유압장치(8)는 양측의 제2 유압관절(6) 각각의 안쪽에 개별적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그 실린더 몸체(81)의 후단은 상기 프런트 데크부(3) 후단의 하단에 제2 유압관절(6)을 힌지결합시키는 힌지핀(38)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실린더 몸체(81)에 출몰작동을 하는 피스톤(82)의 선단은 지상 바닥에 지지되는 지지판(83)의 브라켓에 힌지핀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한편 상기 탑재부(2)의 양측프레임(22) 전단측에 핀축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메인링크(9)의 자유단 역시 상기 피스톤(82)의 선단과 함께 상기 지지판(83)의 브라켓에 힌지핀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유압장치(8)의 피스톤(82)이 실린더 몸체(81)로 몰입되었을 때에는 상기 제1, 제2 유압관절(5)(6)은 하향으로 눕혀지게 됨과 동시 상기 프런트 데크부(3)도 밑으로 내려앉는 작동에 따라 상기 탑재부(2)의 전단도 지상 바닥을 향해 기울어지게 되므로서 저상 트레일러(1) 자체는 프런트 데크부(3)의 전단이 지상 바닥에 닿은 상태에서 차륜부(4)를 향해 완만한 경사를 이루게 되는 것이며, 이와 같이 지상 바닥에 프런트 데크부(3)를 내려놓은 상태로 작동시킨 상태에서는 중장비 자체의 주행능력으로 상,하차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다음, 상기 유압장치(8)의 피스톤(82)이 실린더 몸체(81)에서 출현작동을 개시하게 되면 유압장치(8) 자체가 지상 바닥에 지지된 지지판(83)을 기점으로 하여 서서히 기립하게 되며, 이에 따라 제1, 제2 유압관절(5)(6)도 함께 기립하게 됨과 동시 프런트 데크부(3)는 수평을 유지하면서 상향으로 들려올라가게 되며, 이어서메인링크(9)도 기립하게 되어 탑재부(2)의 전단도 차륜부(4)의 앞쪽 바퀴를 기점으로 하여 수평상으로 기립되는데, 이때 탑재부(2)가 수평을 넘어서지 않도록 양측프레임(22)과 상기 메인링크(9)를 체인(91a)이나 링크구조(91b)로 된 제어장치(91)로 연결시키는 구조로서 상기 유압장치(8)를 제어한다. 즉, 상기 제어장치(91)는 메인링크(9)가 지상 바닥에 지지된 상태에서 탑재부(2)를 수평상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길이만을 가지도록 제한되게 구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어장치(91)가 최대로 펼쳐진 상태가 되면 상기 메인링크(9)는 더 이상 기립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유압장치(8)의 피스톤(82) 출현작동으로 탑재부(2)가 수평을 이루는 상태가 되면 이와 함께 제1, 제2 유압관절(6)(6)도 설정된 각도로 기립된 상태가 되는데, 이때 제2 유압관절(6)이 설정된 각도를 넘어서지 않도록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탑재부(2)의 전단 하측에 수평상으로 돌출되게 용접된 정지판(27)을 형성한다.
상기 정지판(27)은 힌지핀(24)에 결합된 제2 유압관절(6)이 정해진 각도 범위내에서 기복작동을 가능하게 하는 한편, 상기 제2 유압관절(6)이 설정된 각도로 기립된 상태에서는 그 하단과 면접촉하여 더 이상의 각도로 회전하는 것을 제어하는 작동을 담당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1 유압관절(5)이 정해진 각도로 기립되었을 때에는 그 기립상태를 고정시킬 필요가 있는데, 이를 위해 상기 제1 유압관절(5)의 하단 일측에 힌지핀(23)과 이격되게 돌출시킨 부분에 기립고정홈(51)을 형성하는 한편, 상기 제1 유압관절(5)이 정해진 각도로 기립하였을 때 상기 기립고정홈(51)이 탑재부(2)의 양측프레임(22) 전단 상측에 뚫려 있는 고정구멍(25)과 일치하도록 구성한 다음 상기 고정구멍(25)에 끼워지는 고정핀(26)이 기립고정홈(51)에 위치하여 제1 유압관절(5)을 지지하도록 하므로서 상기 지지판(83)을 지상 바닥에서 들어올리게 되더라도 상기 제1 유압관절(5)은 기립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게 된다.
상기 제1 유압관절(5)을 지지하는 고정핀(26)은 양측프레임(22)에 일단이 고정된 연결줄(26a)이 연결되어 있다.
한편, 상기 제1 유압관절(5)의 상면은 중장비를 지탱할 수 있는 철판이 용접되어 있으며, 또한 철판의 이면에는 금속 빔으로 된 보강리브가 설치되고 표면에는 목재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저상 트레일러(1)의 탑재부(2)에 상차된 중장비를 하차시키고자 할 때 또는 중장비를 저상 트레일러(1)에 상차시키고자 할 때에는 작업자는 프런트 데크부(3)의 일측 프레임에 설치된 콘트롤판넬(도시 생략)의 스위치를 조작하게 되면 장비실(35)에 장치된 유압모터(33)가 구동하여 유압장치(8)의 피스톤(82)을 몰입작동시켜 도 2와 같이 프런트 데크부(3)와 제1, 제2 유압관절(5)(6)을 지상 바닥에 닿도록 작동시키게 되는 것이며, 이와 같이 프런트 데크부(3)와 제1, 제2 유압관절(5)(6)이 지상 바닥에 닿은 상태가 되면 저상 트레일러(1) 자체는 지상 바닥에서 완만하게 경사진 상태가 되므로서 중장비는 자체의 주행능력으로 상차 또는 하차작업을 스스로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프런트 데크부(3)가 지상 바닥에 닿을 때에는 그 전단 중간부분에 설치된 킹핀(7) 하단의 연결부(74)가 도 5와 같이 원통(31)의 상부로 약간 들려올려진 상태가 되므로서 상,하차하는 중장비의 중량에 아무런 영향을 받지 않게 되는 것이며, 또한 상기 프런트 데크부(3)와 제2 유압관절(5) 그리고 탑재부(2) 각각의 상면에는 목재가 깔려 있어 중장비가 상,하차할 때 소음을 발생시키지 않고 안전하게 상,하차 작동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중장비가 상,하차 작동을 완료한 후 저상 트레일러(1)를 견인차량으로 운송하고자 할 때에는 상기 프런트 데크부(3)의 일측에 설치된 콘트롤판넬에서 해당 스위치를 조작하게 되면 유압모터(33)가 구동하여 유압장치(8)의 피스톤(82)을 출현작동시키게 되며, 이와 같이 유압장치(8)의 피스톤(82)이 출현작동하게 되면 상기 유압장치(8)는 지상 바닥에 지지된 지지판(83)을 기점으로 하여 서서히 상향으로 기립작동하게 되며, 이와 함께 메인링크(9)가 기립하면서 탑재부(2)를 수평상으로 들어올려 줌과 동시에 상기 제1, 제2 유압관절(5)(6)도 힌지핀(23)(24)를 기점으로 하여 기립작동을 개시하게 되는데, 상기 메인링크(9)는 제어장치(91)에 의하여 상기 탑재부(2)가 수평을 이루는 상태까지만 기립작동을 수행한 다음에는 더 이상 기립작동을 하지 않게 되는 한편 제1, 제2 유압관절(5)(6)은 제2 유압관절(6)의 하단이 정지판(27) 상면에 면접촉할 때까지 기립되다가 상기 제2 유압관절(6)의 하단이 정지판(27) 상면에 면접촉하게 되면 더 이상의 기립작동이 제어되며, 이때에는 상기 제1 유압관절(5)의 기립고정홈(51)은 상기 탑재부(2)의 양측프레임(22) 전단 상측에 형성된 고정구멍(25)과 일치하게 되므로서 작업자는 연결줄(26a)에 매달려 있는 고정핀(26)을 고정구멍(25)에 끼워줄 수 있게 되는것이며, 이와 같이 고정구멍(25)에 끼워진 고정핀(26)은 기립고정홈(51)을 지지하는 상태가 되어 상기 유압장치(8)의 피스톤(82)을 몰입작동시키더라도 상기 제1 유압관절(5)은 기립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게 되는 것이며, 이에 따라 제2 유압관절(6)도 기립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도 1 참조)
상기와 같이 제2 유압관절(6)의 기립고정홈(51)이 고정핀(25)에 의하여 기립상태가 고정될 때에는 상기 프런트 데크부(3)는 견인차량에 연결시킬 수 있는 정확한 높이까지 상승된 상태가 되며, 또한 상기 프런트 데크부(3) 전단의 원통(31)에 삽입되는 킹핀(7)은 자중에 의해 상기 원통(31)에 정확하게 안착되어 그 하단의 연결부(74)가 상기 프런트 데크부(3) 밑으로 돌출되므로서 상기 킹핀(7)을 견인차량의 연결고리에 연결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저상 트레일러의 탑재부와 프런트 데크부를 개별적으로 제작한 다음 제1, 제2 유압관절로서 연결시킴과 동시에 유압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제2 유압관절을 상향으로 기립작동시키거나 하향으로 복치작동시키는 구성으로서 중장비를 상,하차시킬 때에는 상기 제1, 제2 유압관절을 하향으로 복치작동시켜 프런트 데크부를 지상 바닥에 수평상으로 내려놓아 중장비 자체의 주행능력으로 상,하차 작동을 스스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중장비의 상,하차 작업을 보다 간편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견인차량으로 이송시키고자 할 때에는 유압장치를 작동시켜 프런트 데크부를 정확한 높이까지 상승시켜서 견인차량에 연결시킬 수 있는 효과를 지니고 있는데, 이와 같은효과는 중장비의 등판을 돕기 위하여 경사판 준비하는데 따른 인력과 장비의 동원이 어려운 오지의 건설현장 등에서 저상 트레일러 자체적으로 해결할 수 있으므로 중장비를 보다 신속하게 운송할 수 있게 하는 이점을 제공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6)

  1. 중장비를 운송하는 저상 트레일러에 있어서,
    상기 저상 트레일러의 탑재부와 프런트 데크부를 각각 분리하여 제작한 다음 상기 탑재부의 양측프레임 전단과 상기 프런트 데크부의 후단에 회전가능하게 양단이 힌지결합되어 상기 프런트 데크부를 수평상으로 높이 들어올리거나 지상에 내려놓는 작동을 담당하는 제1 및 제2 유압관절과;
    상기 탑재부의 양측프레임 전단측에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타단은 지상에 지지되는 지지판에 힌지핀으로 연결되는 메인링크와; 및
    상기 프런트 데크부의 하부 힌지축에 제2 유압관절과 함께 실린더 몸체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실린더 몸체에서 출몰작동하는 피스톤의 선단은 상기 지지판의 힌지핀에 상기 메인링크와 함께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유압장치;
    를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관절식 저상 트레일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장치의 피스톤 출현작동으로 상기 제1, 제2 유압관절의 기립작동과 함께 상기 프런트 데크부를 상승작동시킬 때 상기 메인링크의 기립작동을 제어하여 상기 탑재부가 항시 수평높이까지만 상승시킬 수 있도록 상기 메인링크와 상기 탑재부의 양측프레임을 제어장치로 연결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관절식 저상 트레일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압관절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유압관절이 기립작동시에는 대체로 하향을 향해 개구되어 상기 탑재부의 양측프레임 전단 상측에 형성된 고정구멍에 삽입되는 고정핀에 지지되는 기립고정홈을 형성하여 상기 프런트 데크부를 상승작동시켰을 때 제1 유압관절이 고정핀에 지지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관절식 저상 트레일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유압관절이 정해진 각도 범위내에서의 기복작동을 허용하는 한편 상기 제2 유압관절이 설정된 각도로 기립되었을 때 상기 제2 유압관절의 하단과 수평상으로 접촉되어 상기 제2 유압관절이 설정된 각도범위를 벗어나게 기립되는 것을 제어할 수 있도록 상기 탑재부의 양측프레임 전단 하측에 정지판을 부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관절식 저상 트레일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런트 데크부의 선단 중간부분에 상,하측으로 개방되게 부착된 원통의 상방에서 삽입 및 이완이 자유롭게 이루어지며, 자중에 의해 몸체의 중간 단부와 상단 플랜지가 상기 원통의 내부와 상단 주연부에 걸림되는 한편 하단의 연결부만 상기 프런트 데크부의 하측으로 돌출되도록 킹핀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관절식 저상 트레일러.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런트 데크부의 중간부분에 상향으로 개폐되는 문과, 상기 유압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배터리와 유압모터 등의 장비를 장착시킬 수 있는 장비실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관절식 저상 트레일러.
KR1020000031111A 2000-06-07 2000-06-07 유압 관절식 저상 트레일러 KR1003510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1111A KR100351004B1 (ko) 2000-06-07 2000-06-07 유압 관절식 저상 트레일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1111A KR100351004B1 (ko) 2000-06-07 2000-06-07 유압 관절식 저상 트레일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11107A KR20010111107A (ko) 2001-12-17
KR100351004B1 true KR100351004B1 (ko) 2002-08-30

Family

ID=459297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1111A KR100351004B1 (ko) 2000-06-07 2000-06-07 유압 관절식 저상 트레일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5100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191781B (zh) * 2011-04-11 2013-05-08 徐庭中 超功能铲运装卸多用车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11107A (ko) 2001-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700123A (en) Power lift and gate apparatus for truck
EP0597009A1 (en) Vehicle restraint
US4391379A (en) Lifting apparatus adapted for mounting in a vehicle trunk
US4087007A (en) Cargo platform system
US8910749B1 (en) Skid-mounted scissor lift platform
US6799935B1 (en) Lifting apparatus for user in the bed of a pickup truck
US8221048B2 (en) Lifting apparatus for use in a truck bed
WO1994023161A1 (en) Raising and lowering columns
CA1156614A (en) Bumper mounted hoist and movable hitch
KR100351004B1 (ko) 유압 관절식 저상 트레일러
JP2003041584A (ja) 杭打機及び杭打機のリーダ倒伏方法
KR102315209B1 (ko) 로딩 기능이 구비된 덤프트럭
US3217914A (en) Boom-type camper coach loader and unloader
JP3768066B2 (ja) 軌陸車の鉄輪揺動規制装置
KR102022044B1 (ko) 고소작업차량의 전복방지장치
US4378192A (en) Vehicular lift mechanism for transporting large structural members
CN207875798U (zh) 备胎锁紧自动翻转升降装置及车辆
AU2022100054B4 (en) A water standpipe assembly
CN215883475U (zh) 一种消防车取水设备的翻转液压爬梯
JP3034305U (ja) 車載リフト
CN214660204U (zh) 隧道可折叠施工台架
JPS63141846A (ja) 車両用レツキング装置
JPS6117861Y2 (ko)
US4966517A (en) Apparatus for rotating a vehicle through ninety degrees
JP2772669B2 (ja) カウンタウエイトの着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