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50603B1 - 슬라이드 파스너의 역개방가능한 바닥 단부 정지부 - Google Patents

슬라이드 파스너의 역개방가능한 바닥 단부 정지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50603B1
KR100350603B1 KR1019990041442A KR19990041442A KR100350603B1 KR 100350603 B1 KR100350603 B1 KR 100350603B1 KR 1019990041442 A KR1019990041442 A KR 1019990041442A KR 19990041442 A KR19990041442 A KR 19990041442A KR 100350603 B1 KR100350603 B1 KR 1003506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x
pin
stop
fastener
bottom e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14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23476A (ko
Inventor
구사야마마사히로
Original Assignee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000234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34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06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060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9/00Slide fasteners
    • A44B19/24Details
    • A44B19/26Sliders
    • A44B19/30Sliders with means for locking in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9/00Slide fasteners
    • A44B19/24Details
    • A44B19/38Means at the end of stringer by which the slider can be freed from one stringer, e.g. stringers can be completely separated from each other
    • A44B19/382"Two-way" or "double-acting" separable slide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9/00Slide fasteners
    • A44B19/24Details
    • A44B19/38Means at the end of stringer by which the slider can be freed from one stringer, e.g. stringers can be completely separated from each oth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25Zipp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 Y10T24/2593Zipp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including complementary, aligning means attached to ends of interlocking surfaces
    • Y10T24/2595Zipp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including complementary, aligning means attached to ends of interlocking surfaces having specific mounting connection or reinforcing structure at connection

Landscapes

  • Slide Fasteners (AREA)
  • Bag Fra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닥 단부 정지부가 용이하게 지지될 수 있고 바닥 단부 정지부의 부드러운 역개방 동작을 얻을 수 있는 역개방가능한 바닥 단부 정지부에 관한 것이다. 슬라이드 파스너의 상향 개방형이나 양방향 개방형은 요구에 신속하게 응답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바닥 단부 정지부에 있어서, 보강부(8)는 열가소성 수지 필름 등을 파스너 테이프(2)의 단부에 용접하므로써 형성되며, 박스핀(3)과 분리가능한 핀(4)은 보강부(8)의 내측 엣지에 성형되고, 슬라이더의 플랜지가 안내부(5)에서 미끄러질 수 있는 폭을 갖는 얇은 안내부(5)는 박스핀(3)에 인접하여 성형되며, 박스핀(3)이나 분리가능한 핀(4)보다 낮으며 장방형의 평행사변형의 보강 스트릭부(6)와 분리가능한 핀(4)은 안내부(5)에 인접하여 성형되며, 박스핀(3)의 팁 단부와 보강 스트릭부(6)의 팁 단부로부터 연장되며 박스핀(3)보다 낮고 보강 스트릭부(6)보다 높은 V 형 정지부(7)는 안내부(5)의 표면상에 성형된다. 요구에 따라, 슬라이드 파스너의 상향 개방형이나 양방향 개방형을 형성하기 위해 역개방을 위한 슬라이더나 박스(18)가 장착될 수도 있다.

Description

슬라이드 파스너의 역개방가능한 바닥 단부 정지부{REVERSELY OPENABLE BOTTOM END STOP OF SLIDE FASTENER}
본 발명은 상향 개방을 위한 바닥 단부 정지부를 갖는 슬라이드 파스너나, 또는 슬라이드 파스너의 바닥 단부 정지부에서 역전 개방을 위한 슬라이더나 박스를 사용하므로써 양방향 개방을 위한 바닥 단부 정지부를 구비한 스라이드 파스너로서 이중사용가능한 개방형 슬라이드 파스너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러한 형태의 개방향 슬라이드 파스너에서는 일본 실개소55-44494 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역개방가능한 바닥 단부 정지부가 있으며, 플라스틱으로 제조된 보강판(108)이 파스너 스트링거(101)의 좌우측 단부에 형성되며, 분리가능한 핀(104)과 박스핀(103)은 보강판(108)의 측부 단부에 각각 장착되고, 돌출부(130)는 상기 박스핀(103)의 상부면상에 형성되고, 돌기는 상기 돌출부(130)의 하단부에 형성되며, 사각형 삽입 오목부(133)는 상기 박스핀(103)의 측부상에서 보강판(108)상에 형성되며, 격벽판(132)은 박스(118)의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보강판(108)의 삽입 오목부(133)에 삽입되며, 오목부 계단부(131)는 박스(118)의 상부판의 후방면의 외단부에 형성되며, 박스핀(103)의 하단부에 형성된 돌기는 오목부 계단부(131)에 삽입되므로써, 도 1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박스핀(103)과 박스(118)를 고정한다.
또한, 일본 실개소 61-44647 호에는 열가소성 수지로 제조된 역전 개방을 위한 바닥 단부 정지부가 기재되어 있는데, 이에 따르면 L 형태로 돌출되는 정지부(7')는 박스핀(3')의 측부에서 외측 엣지부(25')의 단부와 일체로 성형되므로, 역전 개구(16')를 위한 슬라이더의 플랜지(17')의 팁 단부는 도 1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지부(7')와 접촉될 수 있다.
도 11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술한 역개방가능한 바닥 단부 정지부에 있어서, 박스핀(103)과 바닥 단부 정지부의 박스(118)는 박스(118)의 측면에 형성된 격벽판(132)의 하단부를 박스핀(103)의 측부상에서 보강판(108)상에 형성된 삽입 오목부(133)에 삽입하므로써, 또한 박스핀(103)의 상부면에 형성된 돌기를 박스(118)의 상부판의 후방면에 형성된 삽입 오목부(131)에 삽입하므로써 서로에 대해 고정될 수 있다. 그러나, 고정 메카니즘은 단순한 삽입수단이기 때문에, 상기 고정 메카니즘은 안정스럽지 못하며 거친 사용에 매우 약하다. 단부 정지부가 역개방을 위한 바닥 단부 정지부로 사용될 때, 역개방을 위해 사용된 슬라이더는 박스핀의 상부면에 형성된 돌기에 대해 삽입되는 오목 계단부를 구비한 슬라이더의 상부 날개판의 후방면에 형성된 특정의 슬라이더야만 한다. 따라서, 바닥 단부 정지부가역개방 형태의 제품에 적용될 때, 정상적인 슬라이더와 동일한 형태의 슬라이더 즉, 상방향 개방용 슬라이더는 사용될 수 없다.
또한, 도 12 에 도시된 바닥 단부 정지부는 역개방을 위한 것이기 때문에, 바닥 단부 정지부는 박스(118)가 부착된 바닥 단부 정지부에 즉각적으로 응답할 수 없다. 또한, 박스핀(3')의 측부상에서의 외측 엣지부와 분리가능한 핀(4')이 평탄하기 때문에, 파스너 체인을 바닥 단부 정지부에 지지하는 것이 어려우며, 부드러운 동작도 기대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상술한 단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주요한 목적은 양방향 개방향의 슬라이드 파스너와 상향 개방향 슬라이드 파스너가 요구에 즉시 응답하도록 제공되는 역개방가능한 바닥 단부 정지부를 제공하는 것이다. 각각의 슬라이드 파스너에 있어서, 바닥 단부 정지부가 배치되어 파스너 체인의 일부는 용이하게 지지되며, 역개방 동작이나 개방 단부 동작은 부드럽게 실행되며, 역개방을 위한 슬라이더는 적절하게 정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역개방을 위한 슬라이더가 바닥 단부를 폐쇄방향으로 즉, 측방향으로 파스너 체인의 단부에서 양호한 신뢰성으로 안내하고, 역개방용 슬라이더의 정지 기능이 개선되며, 단부의 외관이 양호한 역개방가능한 슬라이드 파스너 바닥 단부 정지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역개방을 위한 슬라이더의 부드러운 동작이 얻어지며 박스 장착을 방해하지 않는 역개방가능한 슬라이드 파스너 바닥 단부 정지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박스의 장착 동작이 촉진되어 박스가 박스핀내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고 역개방을 위한 슬라이더의 정지 기능이 방해받지 않는 역개방가능한 슬라이드 파스너 바닥 단부 정지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바닥 단부 정지부가 부착된 파스너 체인의 일부가 보강되며, 상기 파스너 체인의 일부의 단부는 용이하게 지지될 수 있으며, 부드러운 바닥 단부 정지부의 작동을 얻을 수 있고, 바닥 단부 정지부는 파스너 요소가 파스너 테이프의 한쪽 표면에 장착되는 형태의 슬라이드 파스너에 적합한 역개방가능한 바닥 단부 정지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바닥 단부 정지부가 장착되는 파스너 체인의 일부가 보강되고, 상기 파스너 체인의 일부의 단부는 용이하게 지지될 수 있으며, 부드러운 바닥 단부 정지부의 작동을 얻을 수 있고, 바닥 단부 정지부는 파스너 요소가 각각의 파스너 테이프의 대향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장착되는 형태의 슬라이드 파스너에 적합한 역개방가능한 바닥 단부 정지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박스가 파스너 스트링거의 단부에 단단히 고정되는 바닥 단부 정지부에 장착되는 슬라이드파스너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역개방을 위한 슬라이더와 상향 개방을 위한 슬라이더가 모두 사용될 수 있는 바닥 단부 정지부에 장착되는 슬라이드 파스너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 1 특징에 따르면, 열가소성 수지로 제조된 분리가능한 핀(4)과 박스핀(3)은 파스너 스트링거(1)의 단부에 장착되며, 얇은 안내부(5)는 상기 분리가능한 핀(4)과 박스핀(3)의 측부에 형성되며, 돌출된 보강 스트릭부(6)는 안내부(5)의 측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박스핀(3)의 팁 단부로부터 상기 보강 스트릭부(6)의 팁 단부로 연장되는 정지부(7)는 상기 안내부(5)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파스너의 역개방가능한 바닥 단부 정지부가 제공된다.
박스핀(3)과 보강 스트릭부(6) 사이에 측방향으로 형성된 상기 정지부(7)는 V 형태로 돌출되고 상기 보강 스트릭부(6)보다 높게 돌출되며, 상기 보강 스트릭부(6)는 파스너 테이프(2)의 전후방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일체로 성형된다.
분리가능한 핀(4)과 박스핀(3)의 측부에 형성된 얇은 안내부(5)는 슬라이더(16)의 플랜지(17)가 상기 안내부(5)에서 미끄러질 수 있도록 박스핀(3)과 보강 스트릭부(6) 사이 그리고 분리가능한 핀(4)과 보강 스트릭부(6) 사이에서 일체로 성형된다.
박스핀(3)과 보강 스트릭부(6) 사이에 일체로 형성되는 정지부(7)는 계단부(10)를 갖는 정지부(7)의 중간부에 형성되며, 보강 스트릭부(6)상에서 높게 돌출되고 박스핀(3)상에서 낮게 돌출된다.
상기 보강부(8)는 초음파 장치 등에 의해 열가소성 수지 필름을 파스너 테이프(2)의 단부의 대향부에 용접하므로써 형성되고, 상기 보강 스트릭부(6)는 좌우측 파스너 스트링거(1)의 보강부(8)의 전후방면에 형성되며, 박스핀(3)과 안내부(5)와 정지부(7)는 파스너 스트링거(1)의 보강부(8)의 표면상에 일체로 성형되며, 상기 분리가능한 핀(4)과 안내부(5)는 다른 파스너 스트링거(1)의 보강부(8)의 표면상에 일체로 성형된다.
상기 보강부(8)는 초음파 장치 등에 의해 열가소성 수지 필름을 파스너 테이프(2)의 쌍의 단부의 대향부에 용접하므로써 형성되고, 박스핀(3)과 안내부(5)와 보강 스트릭부(6)는 파스너 테이프 평면에 대해 대칭이 되도록 한쪽 파스너의 보강부(8)의 전후방면상에 일체로 성형되며, 상기 분리가능한 핀(4)과 안내부(5)와 보강 스트릭부(6)는 파스너 테이프 평면에 대해 대칭이 되도록 다른쪽 파스너 스트링거(1)의 보강부(8)의 전후방면상에 일체로 성형된다.
상기 박스(18)는 격벽부(19)를 갖는 박스(18)의 중앙에 형성되며, 박스핀 삽입구멍(22)은 상기 격벽부(19)의 한쪽에 형성되고, 분리가능한 핀 삽입구멍(23)은 다른쪽 격벽부(19)에 형성되며, 파스너 테이프(2)를 위한 삽입 홈(21)은 박스핀 삽입구멍(22)과 분리가능한 핀 삽입구멍(23)에 형성되며, 상기 삽입 홈(21)보다 넓은 정지부(7)를 위한 로킹 구멍(24)은 핀 삽입구멍(22)의 삽입 홈(21)의 팁 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박스핀(3)은 박스(18)에 삽입되고, 정지부(7)는 박스(18)의 로킹 구멍(24)에 로킹되며, 박스핀(3)과 박스(18)의 대향면은 초음파 장치 등에 의해 서로 용접된다.
역개방을 위한 슬라이더(16)와 상향 개방을 위한 슬라이더(16)는 서로에 대해 역방향으로 즉, 서로 역방향으로 대면하도록 박스핀(3)에 장착된 파스너 스트링거(1)로 미끄러져서 삽입되며, 역개방을 위한 슬라이더(16)의 플랜지(17)의 팁 단부는 안내부(5)의 평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된 정지부(7)상에 접합될 수 있다.
도 1 은 역개방가능한 바닥 단부 정지부의 사시도.
도 2 는 절결부를 갖는 박스에 장착된 역개방가능한 바닥 단부 정지부의 정면도.
도 3 은 도 2 의 선 A-A 을 따른 단면도.
도 4 는 도 2 의 선 B-B 를 따른 단면도.
도 5 는 절결부를 갖는 역개방용 슬라이더에 장착된 역개방가능한 바닥 단부 정지부의 정면도.
도 6 은 다른 실시예의 정지부를 도시한 파스너 스트링거의 사시도.
도 7 은 절결된 부분을 갖는 박스를 구비한 파스너 체인의 정면도.
도 8 은 절결된 부분을 갖는 역개방용 슬라이더를 구비한 파스너 체인의 정면도.
도 9 는 절결된 부분을 갖는 파스너 테이프 평면에 대해 대칭인 바닥 단부 정지부를 구비한 파스너 체인의 정면도.
도 10 은 도 9 의 바닥 단부 정지부의 박스만 절결한 부분의 배면도.
도 11 은 슬라이드 파스너의 공지의 바닥 단부 정지부의 사시도.
도 12 는 절결된 부분을 갖는 역개방용 공지의 바닥 단부 정지부의 정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파스너 스트링거 3 : 박스핀
4 : 핀 5 : 안내부
6 : 보강 스트릭부 7 : 정지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하기에 본 발명의 슬라이드 파스너의 역개방가능한 바닥 단부 정지부가 상세히 서술될 것이다.
본 발명의 바닥 단부 정지부는 역개방을 위한 바닥 단부 정지부로서 이중으로 작용할 수 있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측 파스너 스트링거(1)는 파스너 테이프(2)의 단부상에 박스핀(3)과 분리가능한 핀(45)을 각각 성형하기 위해 열가소성 수지액을 파스너 테이프(2)에 침투시킨 후 상기 수지액을 경화시켜 파스너 테이프(2)의 보강 단부를 단단히 고정하거나, 또는 폴리아미드와 폴리에틸렌 또는 라미네이트된 열가소성 수지 필름을 초음파 장치 등에 의해 파스너 테이프(2)에 용접하므로써 보강부(8)로 형성된다.
보강 처리는 다음과 같이 실행된다. 코일형 파스너 요소(12)는 재봉 얀(26)을 사용하여 각각의 파스너 테이프(2)의 길이방향 엣지부상에 바느질된다. 상기 코일형 파스너 요소(12)는 폴리아미드나 폴리에스테르 등으로 제조된 합성 섬유인 모노필라멘트로 형성된다. 코일형 파스너 요소(12)의 팁 단부는 파스너 테이프로부터 절단되어 제거되며, 각각의 보강부(8)는 열가소성 수지 필름이 코어 스레드(25)와 상기 절단부에 남아있는 재봉 얀(26)을 감싸도록 성형된다.
보강부(8)의 각각의 내측부 즉, 코일형 파스너 요소(12)의 측부상에서 보강부(8)의 팁 단부는 적절한 크기로 노치되며, 분리가능한 핀(4)이나 박스핀(3)은 상기 노치된 부분에 성형된다. 상기 박스핀(3)은 장방형의 평행사변형이며, 코일형 파스너 요소(12)와 동일한 높이를 가지며, 코일형 파스너 요소(12)의 연결부(14)의외측과 일치된다. 박스핀(3)의 측단부는 파스너 테이프(2)의 길이방향 엣지와 일치한다. 박스핀(3)의 측부에 인접하고 슬라이더(16)의 플랜지(17)가 안내부(5)에서 자유롭게 미끄러질 수 있는 폭을 갖는 얇은 안내부(5)가 성형된다. 파스너 테이프(2)의 전후방면으로부터 돌출되고 박스핀(23)보다 낮은 장방형의 평행사변형 형태를 취하는 보강 스트릭부(6)는 박스핀(3)과 평행하게 안내부(5)의 측부에 인접하여 성형된다. 박스핀(3)의 팁 단부와 보강 스트릭부(6)의 팁 단부로부터 연장되며 보강 스트릭부(6)보다 높고 박스핀(3)보다 낮은 V 형 정지부는 상기 안내부(5)의 상부면에 성형된다.
복수개의 작은 돌기(9)는 박스핀(3)의 상부면의 팁 단부 측부의 절반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작은 돌기(9)는 역개방을 위한 슬라이더(16)가 간섭없이 자유롭게 미끄러질 수 있고 박스(18)에 용융되어 이에 결합될 수 있는 높이를 갖도록 성형된다. 상기 박스핀(3)의 팁 단부는 박스핀(18)의 플랜지(20)나 슬라이더(16)의 플랜지(17)를 안내하기 위해 내측으로 미세하게 굴곡된다.
박스핀(3)과 안내부(5)와 보강 스트릭부(6)와 정지부(7)는 폴리아세탈, 폴리아미드, 폴리프로필렝,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등과 같은 열가소성 수지를 사출성형이나 압출에 의해 일체로 성형된다.
한편, 박스핀(3)과 마찬가지로, 코일형 파스너 요소(12)를 제거하므로써 파스너 테이프(2)의 단부에 형성된 보강부(8)의 일부는 노치되며, 장방형의 평행사변형 형태를 취하는 분리가능한 핀(4)은 코일형 파스너 요소(12)와 동일한 높이를 가지며, 상기 코일형 파스너 요소(12)의 연결부(14)의 외측과 일치하게 된다. 분리가능한 핀(4)의 측단부는 파스너 테이프(2)의 길이방향 엣지와 일치한다. 핀(4)의 측부에 인접하여 형성되고 슬라이더(16)의 플랜지(17)가 안내부(5)에서 자유롭게 미끄러질 수 있는 폭을 갖는 얇은 안내부(5)가 성형된다. 파스너 테이프(2)의 전후방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장방형의 평행사변형 형태를 취하는 보강 스트릭부(6)는 핀(4)보다 낮고 안내부(5)보다 높으며, 안내부(5)의 측부에 인접하여 상기 핀(4)에 평행하게 성형된다.
성형된 분리가능한 핀(4)의 팁 단부는 내측으로 미세하게 굴곡되었으며, 상기 핀(4)과 대면하는 보강 스트릭부(6)의 벽은 팁 단부와 대향의 벽이 역개방을 위해 상기 박스(18)나 슬라이더(16)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미세하게 오목하게 형성된다. 상기 핀(4)과 안내부(5)와 보강 스트릭부(6)는 상술한 박스핀(3) 등과 유사한 열가소성 수지를 사용하므로써 사출성형 처리나 압출 처리 등에 의해 일체로 성형된다.
도 2 내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스핀(3)에 삽입된 박스(18)는 거의 사각형의 외형을 가지며, 상기 파스너 테이프(2)는 박스(18)의 대향측에서 플랜지(20)에 삽입된다. 상기 박스(18)는 정지부(7)의 두께보다 미세하게 협소한 삽입 홈(21)과, 박스핀 삽입 구멍(22)과, 격벽부(19)의 좌우측부에 있는 분리가능한 핀 삽입구멍(23)으로 형성된다. 박스(18)의 표면을 향해 연장되는 로킹 구멍(24)은 박스핀 삽입 구멍(2)에서 플랜지(20)의 삽입 홈(21)의 가장 깊은 부분에 형성된다. 상기 로킹 구멍(24)은 안내부(5)의 상부면으로부터 돌출되고 박스핀(3)으로부터 보강 스트릭부(6)로 연장되는 정지부(7)가 로킹 구멍(24)에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또한 작은 돌출부가 박스핀(3)상에 형성되도록 박스(18)의 박스핀 삽입구멍(22)의 천정부상에 작은 돌출부의 스트릭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만일 작은 돌출부(9)가 박스핀(3)의 상부면에 형성되지 않을 경우에는, 박스(18)와 박스핀(3)은 서로 초음파 용접될 수 있다.
박스(18)를 박스핀(3)에 장착하는 수단이 하기에 서술될 것이다. 상기 박스핀(3)은 박스(18)의 박스핀 삽입구멍(22)으로 가압되며, 안내부(5)의 단부로부터 돌출되는 정지부(9)는 박스핀 삽입구멍(22)의 플랜지(20)에 형성된 삽입 홈(21)으로 가압되며, 상기 박스(18)는 삽입 홈(21)을 힘에 의해 개방할 동안 가압 및 삽입된다. 삽입 홈(21)의 가장 깊은 부분에 형성된 로킹 구멍(24)이 박스(18)를 고정하기 위해 정지부에 삽입된 후에, 박스핀(3)의 상부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된 작은 돌기(9)는 초음파 장치에 의해 박스(18)를 박스(18)의 표면에 용접할 수 있다. 따라서, 박스(18)는 박스 핀(3)에 단단히 고정되며, 바닥 단부 정지부가 완성된다.
슬라이드 파스너의 바닥 단부 정지부의 작동은 다음과 같다. 상향 개방을 위한 슬라이더(16)는 미끄러져서 한쪽 파스너 스트링거(1)에 고정된 박스(18)로 가압된다. 다른쪽 파스너 스트링거(1)에 장착된 보강 스트릭부(6)는 상향 개방을 위해 숄더 개방부로부터 분리가능한 핀(4)에 삽입된다. 분리가능한 핀(4)을 박스(18)의 핀 삽입구멍(23)에 삽입한 후, 상향 개방을 위한 슬라이더(16)는 슬라이드 파스너를 폐쇄하기 위해 상부 정지부를 향해 미끄러진다.
슬라이드 파스너의 개방 동작은 다음과 같다. 상향 개방용 슬라이더(16)가 미끄러져서 박스(18)로 가압된 후, 보강 스트릭부(6)는 슬라이드 파스너를 좌우측 파스너 스트링거(1)로 분리하기 위해 박스(18)와 상향 개방용 슬라이더(16)로부터 핀(4)을 인출하도록 지지된다.
이어서, 역개방을 위한 바닥 단부 정지부에 있어서, 상향 개방용 슬라이더(16)와 역개방용 슬라이더(16)는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스핀(3)에 장착된 파스너 스트링거(1)로 미끄러져서 이에 삽입된다. 상향 개방용 슬라이더와 역개방용 슬라이더를 위해 동일한 형태의 슬라이더가 사용될 수 있다. 역개방을 위한 슬라이더(16)는 박스핀(3)에 장착된 파스너 스트링거(1)의 상부 정지측으로부터 박스핀(3)을 향해 역개방용 슬라이더(16)의 솔더 개방부로 미끄러져서 이에 삽입된다. 역개방용 슬라이더(16)의 플랜지(17)는 정지부(7)상에서 접촉하기 위해 안내부(5)를 따라 삽입된다. 상향 개방용 슬라이더(16)는 슬라이더(16)의 후방 개구로부터 파스너 스트링거(1)위로 미끄러져서 이에 삽입되며, 역개방으로 위해 슬라이더에 대해 역방향으로 대면하므로써, 역개방을 위한 바닥 단부 정지부를 완성한다.
슬라이드 파스너의 역개방 바닥 단부 정지부의 작동은 다음과 같다. 한쪽 파스너 스트링거(1)상에 삽입된 역개방용 슬라이더(16)는 플랜지가 박스핀(3)으로부터 보강 스트릭부(6)로 연장되고 안내부(5)상에서 돌출되는 정지부(7)와 접촉하여 이 위치에서 정지될 때까지 미끄러진다. 상향 개방용 슬라이더(16)는 상향 개방용 슬라이더(16)가 역개방용 슬라이더(16)상에서 접촉할 때까지 역개방용 슬라이더(16)로 미끄러져서 이에 가압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다른 파스너 스트링거(1)의 분리가능한 핀(4)이 상향 개방을 위해 슬라이더(16)의 숄더 개구로부터 삽입되어, 상기 핀(4)이 정지될 때까지 역개방용 슬라이더(16)의 후방 개구로부터 삽입된다. 삽입후, 상향개방용 슬라이더(16)는 상부 정지부를 향해 미끄러지거나, 역개방용 슬라이더(16)는 미끄러진다.
슬라이드 파스너의 개방 동작은 다음과 같다. 역개방용 개구의 슬라이더(16)는 정지부(7)로 미끄러져 내려가거나, 또는 상향 개방용 슬라이더(16)는 역개방용 슬라이더(16)로 가압된다. 그후, 상기 분리가능한 핀(4)이 양 슬라이더(16)로부터 인출되므로써, 슬라이드 파스너를 좌우측 파스너 스트링거(1)로 분리시킨다.
도 6 에는 바닥 단부 정지부에서 다른 실시예의 정지부가 도시되어 있다. 박스핀(3)의 팁 단부로부터 보강 스트릭부(6)의 팁 단부로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상기 정지부(7)는 계단부(10)와의 중간부에 형성된다. 상기 계단부(10)는 박스핀(3)보다 낮고 보강 스트릭부(6)보다는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박스(18)는 도 7 에 도시된 것과 동일한 형태를 취하며, 박스(18)는 이와 유사한 단계를 거쳐 장착된다. 플랜지(20)에 형성된 삽입 홈(21)은 정지부(7)내로 가압되고, 삽입홈(21)의 가장 깊은 부분에 형성된 로킹 구멍(24)은 정지부(7)에 삽입된다. 박스(18)의 상부면으로부터 초음파 장치가 가하므로써, 박스핀(3)의 상부면상에 작은 돌기(9)를 용접하여 박스(18)를 박스핀(3)에 고정할 수 있다.
역개방용 슬라이더(16)가 파스너 스트링거(1)상으로 미끄러져서 이에 삽입되고 분리가능한 핀(4)이 역개방용 슬라이더(16)에 삽입될 때, 역개방용 슬라이더(16)의 플랜지(17)의 팁 단부는 정지부(7)의 돌출부로 가압되므로써,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역개방용 슬라이더(16)를 적절하고 단단히 지지할 수 있으며, 상기 돌출부는 보강 스트릭부(6)상에 두껍게 형성된다.
다른 실시예의 바닥 단부 정지부가 서술될 것이다. 도 10 및 도 1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 단부 정지부는 슬라이드 파스너에 적절하며, 각 파스너 테이프(2)의 대향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단일 몸체인 파스너 요소(13)는 파스너 테이프(2)의 길이방향 엣지에 파스너 요소(11)로서 장착된다. 바닥 단부 정지부는
열가소성 수지 필름을 단일 몸체인 파스너 요소(13)가 제거되는 파스너 테이프에 용접하므로써 형성된 보강부(8)를 갖는 좌우측 파스너 스트링거의 단부에 형성된다.
사각형 단면을 가지며 단일 몸체 파스너 요소(13)에 연결되는 박스핀(3)은 파스너 테이프(2)의 후방면과 표면으로부터 돌출되기 위해 한쪽 파스너 스트링거의 보강부(8)에 성형된다. 박스핀(3)의 측부에 인접하며 역개방용 슬라이더(16)의 플랜지(17)가 안내부(5)에서 자유롭게 미끄러질 수 있는 폭을 갖는 박스핀(3)보다 얇은 안내부(5)는 파스너 테이프(2)의 전후방면에 성형된다. 박스핀(3)보다 얇고 안내부(5)보다 두꺼우며 파스너 테이프 평면에 대해 대칭인 보강 스트릭부(6)는 안내부의 측부에 인접하여 파스너 테이프(2)의 전후방면상에 성형된다. 박스핀(3)의 팁 단부로부터 보강 스트릭부(6)의 팁 단부까지 연장되며, 박스핀(3)보다 얇고 보강 스트릭부(6)만큼 두꺼우며, 그 중앙에 계단부(10)가 형성되며, V 형태로 돌출되는 정지부(7)는 파스너 테이프(2)의 전후방면상에서 안내부(5)의 표면상에 성형된다.
단일 몸체 파스너 요소(13)에 연결되며 사각형 단면을 갖는 분리가능한 핀(4)은 예를 들어 박스핀(3)과 마찬가지로 도 10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스너 테이프(2)의 후방면과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다른쪽 파스너 스트링거(1)의 보강부(8)에 성형된다. 분리가능한 핀(4)의 측부에 인접하며 역개방용 슬라이더(16)의 플랜지(17)가 안내부(5)에서 자유롭게 미끄러질 수 있는 폭을 갖는 얇은 판형 안내부(5)는 파스너 테이프(2)의 후방면과 표면상에 성형된다. 상기 안내부(5)보다 두꺼우며 분리가능한 핀(4)보다 얇은 보강 스트릭부(6)는 안내부(5)의 측부에 인접하여 형성되므로써, 분리가능한 핀(4)이 구비된 파스너 스트링거(1)를 형성하게 된다. 박스핀(3)과, 안내부(5)와, 보강부(6)와, 한쪽 파스너 스트링거(1)의 보강부(8)상에 성형되는 정지부(7)와, 분리가능한 핀(4)과, 안내부(5)와, 다른쪽 파스너 스트링거(1)의 보강부(8)상에 성형되는 보강 스트릭부(6)는 열가소성 수지를 사용하여 사출 성형처리나 압출처리에 의해 파스너 테이프 평면에 대해 대칭으로 일체로 성형된다.
박스핀(3)에 삽입되는 박스(18)는 사각형 외관을 가지며, 정지부(7)의 두께보다 미세하게 좁으며 도 9 및 도 10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부(5)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 홈(21)을 갖는 대향 플랜지(20)의 중앙에 형성된다. 상향 및 하향으로 연장되며 정지부(7)가 삽입될 수 있는 로킹 구멍(24)은 박스핀(3)상에서 삽입 홈(21)의 가장 깊은 부분에 형성된다.
상기 박스(18)는 상술의 실시예와 유사한 단계를 거쳐 박스핀(3)에 장착된다. 박스(18)의 플랜지(20)에 형성된 삽입 홈(21)은 정지부(7)내로 가압되어 이에 삽입되며, 상기 정지부(7)는 상향 및 하향으로 연장되는 삽입 홈(21)의 가장 깊은 부분에 형성된다. 상기 박스(3)와 박스핀(3)은 초음파 장치에 의해 용접되어 서로 고정되므로써, 상향 개방형 바닥 단부 정지부를 완성하게 된다.
파스너 테이프 평면에 대해 대칭인 상향 개방용 슬라이더(16)와 역개방용 슬라이더(16)를 슬라이더(16)가 서로 대면하는 상태로 박스핀(3)이 구비된 파스너 스트링거로 미끄러트려 삽입하므로써, 단일 몸체 파스너 요소(13)와 양방향 개방을 위한 바닥 단부 정지부를 갖는 슬라이드 파스너가 쉽게 완성될 수 있다. 바닥 단부 정지부의 동작은 상술한 실시예와 유사한 단계를 거쳐 실행된다.
각각의 실시예에서, 상부 정지부는 상향개방용 슬라이더와 역개방용 슬라이더를 파스너 스트링거(1)로 미끄러트려 삽입한 후 파스너 스트링거(1)에 장착된다.
본 발명의 슬라이드 파스너의 역개방가능한 바닥 단부 정지부는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가지며 이러한 구성에 따라 하기와 같은 효과를 발휘한다.
본 발명의 제 1 특징에 따르면, 열가소성 수지로 제조된 분리가능한 핀과 박스핀은 파스너 스트링거의 단부에 각각 장착되며, 얇은 안내부는 박스핀과 분리가능한 핀의 측부에 각각 형성되며, 돌출된 보강 스트릭부는 안내부의 측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박스핀의 팁 단부로부터 보강 스트릭부의 팁 단부까지 연장되는 정지부는 안내부의 상부면상에 형성된다. 따라서, 통상적인 슬라이더, 즉 상향 개방용슬라이와 동일한 형태인 슬라이는 특정한 형태의 슬라이더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역개방용 슬라이더로 적용될 수 있다. 그 결과, 바닥 단부 정지부를 갖는 상향 개방용이나 양방향 개방용 슬라이드 파스너는 요구에 증각 응답하여 공급될 수 있으므로 생산성이 개선된다. 또한, 바닥 단부 정지부의 작동에 있어서, 파스너 스트링거는 작동을 부드럽게 실행하기 위해 용이하게 지지될 수 있다.
정지부가 V 형태이고, 보강 스트릭부보다 높이 돌출되기 때문에, 또한 보강 스트릭부는 파스너 테이프의 전후방면으로부터 돌출되기 때문에, 역개방용 슬라이더는 바닥 단부 정지부를 측방향으로 조이게 되고, 파스너 체인의 단부에서 적절히 정지되며, 파스너 스트링거는 용이하게 지지될 수 있다.
박스핀과 분리가능한 핀의 측부에 형성된 안내부는 슬라이더의 플랜지가 안내부에서 미끄러질 수 있는 폭을 갖기 때문에, 박스는 방해를 받지 않고 장착될 수 있으며, 역개방용 슬라이더는 파스너 체인의 단부에서 안정스럽게 미끄러질 수 있으며, 부드러운 바닥 단부 정지부 동작과 양방향 개방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박스핀과 보강 스트릭부 사이에 측방향으로 형성된 정지부가 계단부를 갖는 정지부의 중간부에 형성되고 보강 스트릭부상에서 높이 돌출되고 박스핀측상에서 낮게 돌출되므로, 역개방용 슬라이더의 로킹 기능은 방해를 받지 않아, 박스는 박스핀에 용이하게 연결될 수 있으며, 바닥 단부 정지부를 쉽게 생산할 수 있다.
보강부는 열가소성 수지 필름을 파스너 테이프의 단부의 대향면에 용접하므로써 형성되며, 상기 보강 스트릭부는 보강부와 박스핀과 안내부와 정지부의 전후방면상에 일체로 성형되며, 분리가능한 핀과 안내부는 보강부의 표면에 일체로 성형가능하다. 따라서, 파스너 테이프의 한쪽 면에 파스너 요소가 장착되는 파스너 체인의 단부는 보강되며, 상기 파스너 체인의 단부는 용이하게 지지되고, 바닥 단부 정지부의 작동과 양방향 개방 동작은 부드럽게 실행될 수 있다.
상기 보강부는 열가소성 수지 필름을 보강 스트릭부와 정지부와 안내부와 박스핀과 파스너 테이프의 단부의 대향면에 용접하므로써 형성되거나 또는 분리가능한 핀과 안내부와 보강 스트릭부는 파스너 테이프 평면에 대해 대칭이 되도록 보강부의 전후방면상에 일체로 성형되기 때문에, 파스너 테이프의 대향면상에 파스너 요소가 형성되는 파스너 체인의 단부는 보강이 되며, 파스너 체인의 단부는 용이하게 지지될 수 있으며, 바닥 단부 정지부의 동작과 양방향 개방 동작이 부드럽게 실행될 수 있다.
상기 박스는 격벽부를 갖는 박스의 중앙에 사각형으로 형성되며, 박스핀 삽입구멍은 격벽부의 한쪽에 형성되며, 상기 분리가능한 핀 삽입구멍은 격벽부의 다른쪽에 형성되고, 파스너 테이프를 위한 삽입 홈은 박스핀 삽입구멍과 분리가능한 핀 삽입구멍에 형성되며, 상기 삽입 홈보다 넓으며 정지부를 위한 로킹 구멍은 박스핀 삽입구멍의 삽입 홈 팁 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박스핀은 박스에 삽입되고, 정지부는 로킹구멍에 로킹되며, 박스핀과 박스의 대향면은 서로 용접된다. 따라서, 박스는 파스너 스트링거의 단부에 단단히 고정되며, 바닥 단부 정지부의 생산이 용이하게 된다.
역개방용 슬라이더와 상향 개방용 슬라이더가 서로 대면하도록 박스핀에 장착된 파스너 스트링거로 미끄러져서 이에 삽입되고, 또한 역개방용 슬라이더의 플랜지 팁 단부가 안내부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된 정지부상에서 접촉되기 때문에, 상향 개방용 슬라이더와 역개방용 슬라이더가 파스너 스트링거로 미끄러져서 이에 삽입되고 역개방용 슬라이더가 슬라이더는 플랜지의 팁 단부에 의해 정지되는 기능을 갖게 되는 양방향의 편리한 슬라이드 파스너를 용이하게 생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양호한 실시예를 참조로 서술되었기에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기술분야의 숙련자라면 첨부된 청구범위로부터의 일탈없이 본 발명에 다양한 변형과 수정이 가해질 수 있음을 인식해야 한다.

Claims (8)

  1. 슬라이드 파스너의 역개방가능한 바닥 단부 정지부에 있어서,
    열가소성 수지로 제조된 분리가능한 핀(4)과 박스핀(3)은 파스너 스트링거(1)의 단부에 장착되며, 얇은 안내부(5)는 상기 분리가능한 핀(4)과 박스핀(3)의 측부에 형성되며, 돌출된 보강 스트릭부(6)는 안내부(5)의 측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박스핀(3)의 팁 단부로부터 상기 보강 스트릭부(6)의 팁 단부로 연장되는 정지부(7)는 상기 안내부(5)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파스너의 역개방가능한 바닥 단부 정지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부(7)는 V 형태를 취하며 상기 보강 스트릭부(6)보다 높이 돌출되고, 상기 보강 스트릭부(6)는 파스너 테이프(2)의 전후방면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파스너의 역개방가능한 바닥 단부 정지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핀과 분리가능한 핀(4)의 측부에 형성된 안내부(5)는 슬라이더(16)의 플랜지(17)가 안내부(5)에서 미끄러질 수 있는 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파스너의 역개방가능한 바닥 단부 정지부.
  4. 제 1 항에 있어서, 보강 스트릭부(6)와 박스핀(3) 사이에 측방향으로 형성된정지부(7)는 계단부(10)를 갖는 정지부(7)의 중간부에 형성되고 상기 보강 스트릭부(6)보다 높이 돌출되고 박스핀(3)보다 낮게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파스너의 역개방가능한 바닥 단부 정지부.
  5.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보강부(8)는 열가소성 수지 필름을 파스너 테이프(2)의 단부의 대향면에 용접하므로써 형성되고, 상기 보강 스트릭부(6)는 보강부(8)와 박스핀(3)과 안내부(5)와 정지부(7)의 전후방면상에 일체로 성형되며, 상기 분리가능한 핀(4)과 안내부(5)는 보강부(8)의 표면에 일체로 각각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파스너의 역개방가능한 바닥 단부 정지부.
  6.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보강부(8)는 파스너 테이프(2)와 박스핀(3)과 안내부(5)와 정지부(7)와 보강부(6)의 단부의 대향면에 열가소성 수지 필름을 용접하므로써 형성되고, 상기 분리가능한 핀(4)과 안내부(5)와 보강 스트릭부(6)는 파스너 테이프의 평면에 대해 대칭이 되도록 보강부(8)의 전후방면상에 일체로 각각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파스너의 역개방가능한 바닥 단부 정지부.
  7.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18)는 격벽부(19)를 갖는 박스(18)의 중앙에 형성되며, 박스핀 삽입구멍(22)은 상기 격벽부(19)의 한쪽에 형성되고, 분리가능한 핀 삽입구멍(23)은 다른쪽 격벽부(19)에 형성되며, 파스너 테이프(2)를 위한 삽입 홈(21)은 박스핀 삽입구멍(22)과 분리가능한 핀 삽입구멍(23)에 형성되며, 상기 삽입 홈(21)보다 넓은 정지부(7)를 위한 로킹 구멍(24)은 핀 삽입구멍(22)의 삽입 홈(21)의 팁 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박스핀(3)은 박스(18)에 삽입되고, 정지부(7)는 박스(18)의 로킹 구멍(24)에 로킹되며, 박스핀(3)과 박스(18)의 대향면은 서로 용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파스너의 역개방가능한 바닥 단부 정지부.
  8.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역개방을 위한 슬라이더(16)와 상향 개방을 위한 슬라이더(16)는 서로에 대해 역방향으로 대면하도록 박스핀(3)에 장착된 파스너 스트링거(1)로 미끄러져서 이에 삽입되며, 역개방을 위한 슬라이더(16)의 플랜지(17)의 팁 단부는 상기 안내부(5)의 평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된 정지부(7)상에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파스너의 역개방가능한 바닥 단부 정지부.
KR1019990041442A 1998-09-30 1999-09-28 슬라이드 파스너의 역개방가능한 바닥 단부 정지부 KR1003506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8-278600 1998-09-30
JP27860098A JP3620973B2 (ja) 1998-09-30 1998-09-30 スライドファスナーの開離嵌挿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3476A KR20000023476A (ko) 2000-04-25
KR100350603B1 true KR100350603B1 (ko) 2002-08-28

Family

ID=175995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1442A KR100350603B1 (ko) 1998-09-30 1999-09-28 슬라이드 파스너의 역개방가능한 바닥 단부 정지부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6195852B1 (ko)
EP (1) EP0992201B1 (ko)
JP (1) JP3620973B2 (ko)
KR (1) KR100350603B1 (ko)
CN (1) CN1155319C (ko)
DE (1) DE69925347T2 (ko)
ES (1) ES2239431T3 (ko)
HK (1) HK1025887A1 (ko)
TW (1) TW463589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21006B2 (ja) * 1999-09-30 2005-02-16 Ykk株式会社 開離嵌挿具付スライドファスナーの開離嵌挿具およびスライダー
JP3621040B2 (ja) * 2000-10-31 2005-02-16 Ykk株式会社 スライドファスナーの逆開き開離嵌挿具
JP3733327B2 (ja) * 2001-12-20 2006-01-11 Ykk株式会社 隠しスライドファスナーの開離嵌挿具
JP3736755B2 (ja) 2002-03-26 2006-01-18 Ykk株式会社 スライドファスナー用開離嵌挿具
JP4062617B2 (ja) * 2003-10-17 2008-03-19 Ykk株式会社 線条スライドファスナーの上止
MXPA04012809A (es) * 2003-12-19 2005-06-23 Ykk Corp Tope extremo sujetador corredizo.
JP4155933B2 (ja) * 2004-03-05 2008-09-24 Ykk株式会社 スライドファスナー用逆開き具
TWI309094B (en) * 2004-03-19 2009-04-21 Neoconix Inc Electrical connector in a flexible host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US20060075612A1 (en) * 2004-10-13 2006-04-13 Unitech Zipper And Machinery Co., Ltd. Lower stop arrangement for concealed zipper
JP4726876B2 (ja) * 2007-10-15 2011-07-20 Ykk株式会社 逆開きスライドファスナー
JP5220117B2 (ja) * 2008-10-06 2013-06-26 Ykk株式会社 スライドファスナー
WO2010067459A1 (ja) 2008-12-12 2010-06-17 Ykk株式会社 スライドファスナー用開離嵌挿具
WO2010089846A1 (ja) * 2009-02-03 2010-08-12 Ykk株式会社 スライドファスナー
TWM373139U (en) * 2009-04-15 2010-02-01 Chung Chwan Entpr Co Ltd Insertion pin and insertion pin set of zipper
US20100299887A1 (en) * 2009-06-02 2010-12-02 Yu-Pau Lin Insertion pin and insertion pin assembly for zipper
KR101265865B1 (ko) * 2009-07-29 2013-05-20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슬라이드 파스너
EP2904922B1 (en) * 2009-07-30 2017-09-20 YKK Corporation Slide fastener
US20120167354A1 (en) * 2009-09-11 2012-07-05 Ykk Corporation Reverse Opening Slide Fastener
WO2011077544A1 (ja) * 2009-12-25 2011-06-30 Ykk株式会社 逆開きスライドファスナー
US8782859B2 (en) * 2010-04-28 2014-07-22 Ykk Corporation Concealed slide fastener
US20130074293A1 (en) 2010-05-31 2013-03-28 Ykk Corporation Slide Fastener
CN101878982A (zh) * 2010-06-08 2010-11-10 江苏博豪拉链制造有限公司 具有牢固性销箱方块的拉链
WO2011161784A1 (ja) * 2010-06-23 2011-12-29 Ykk株式会社 スライドファスナー
EP2692262B1 (en) * 2011-03-30 2016-10-19 YKK Corporation Slide fastener with openable/meshable strips
CN103156339B (zh) * 2011-12-14 2015-05-13 福建浔兴拉链科技股份有限公司 开口拉链下止及使用该下止的开口拉链
CN103799774A (zh) * 2012-11-14 2014-05-21 睡眠科技有限公司 身体覆盖物和促使使用该覆盖物的方法以及搭扣带
WO2015010414A1 (zh) 2013-07-25 2015-01-29 浙江伟星实业发展股份有限公司 一种拉链用方块及拉链
CN104337133B (zh) * 2013-07-25 2017-07-21 浙江伟星实业发展股份有限公司 一种拉链用方块及拉链
CN104736011B (zh) * 2013-12-27 2017-05-31 Ykk株式会社 增强膜粘着装置及具有可分离式嵌插件的拉链
CN108606418B (zh) * 2018-05-29 2021-06-04 天津浔兴拉链科技有限公司 一种便于更换拉链头的拉链
IT201800008104A1 (it) * 2018-08-16 2020-02-16 Ykk Corp Chiusura lampo del tipo ad apertura inversa.
CN112351670B (zh) * 2019-08-09 2022-03-18 Ykk株式会社 部件供给装置
CA3111535A1 (en) * 2020-03-16 2021-09-16 Michael Benjamin Mchugh Two-way slide fastener
US11432622B2 (en) * 2020-03-17 2022-09-06 Nike, Inc. Releasable coupling device
JP7164655B2 (ja) * 2021-03-30 2022-11-01 Ykk株式会社 ファスナーテープ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28691A1 (de) * 1969-06-06 1971-03-25 Opti Holding Ag Teilbarer Reissverschluss
US3892017A (en) 1974-02-22 1975-07-01 Textron Inc Separable slide fastener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
JPS5925225Y2 (ja) 1978-05-19 1984-07-25 ワイケイケイ株式会社 スライドフアスナ−の開離嵌插具
GB2033469B (en) 1978-10-09 1983-03-30 Yoshida Kogyo Kk Separable slide fastener chain
JPS5932329Y2 (ja) * 1979-06-21 1984-09-11 ワイケイケイ株式会社 開離嵌插具付きスライドフアスナ−
JPS6144647Y2 (ko) * 1980-08-20 1986-12-16
JPS6144647A (ja) 1984-08-10 1986-03-04 松下電工株式会社 樹脂含浸基材の製法
JP3285453B2 (ja) 1994-09-30 2002-05-27 ワイケイケイ株式会社 スライドファスナー用合成樹脂製開離嵌挿具
GB2310247A (en) * 1996-02-15 1997-08-20 Ykk Europ Ltd Zip fastener engagement indicator for heavy duty clothing
JP3439603B2 (ja) * 1996-06-28 2003-08-25 ワイケイケイ株式会社 スライドファスナー用開離嵌挿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925347D1 (de) 2005-06-23
ES2239431T3 (es) 2005-09-16
HK1025887A1 (en) 2000-12-01
TW463589U (en) 2001-11-11
JP2000106917A (ja) 2000-04-18
CN1155319C (zh) 2004-06-30
CN1249153A (zh) 2000-04-05
KR20000023476A (ko) 2000-04-25
JP3620973B2 (ja) 2005-02-16
EP0992201A1 (en) 2000-04-12
US6195852B1 (en) 2001-03-06
DE69925347T2 (de) 2006-02-02
EP0992201B1 (en) 2005-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50603B1 (ko) 슬라이드 파스너의 역개방가능한 바닥 단부 정지부
KR100298803B1 (ko) 감침슬라이드파스너의분리형하부멈춤조립체
KR100983163B1 (ko) 슬라이드 파스너용 상부 고정부
US7415753B2 (en) Slide fastener
KR100421396B1 (ko) 선형 슬라이드 파스너용 슬라이더
US20020050030A1 (en) Slider for airtight and watertight slide fastener
EP2332435B1 (en) Slide fastener
US4742603A (en) Separable bottom-end-stop assembly for separable slide fastener
KR100300680B1 (ko) 슬라이드파스너의로킹기구를갖는슬라이더와분리가능한바닥단부정지부
KR20010050789A (ko) 분리식 저부 정지 조립체를 가진 슬라이드 파스너
JP3589442B2 (ja) ファスナーテープの開離嵌挿具取付部
JP3439603B2 (ja) スライドファスナー用開離嵌挿具
KR100563203B1 (ko) 슬라이드 파스너의 상부 정지구
KR100517572B1 (ko) 은폐형 슬라이드 파스너
US5638585A (en) Separable bottom-end-stop assembly of synthetic resin for slide fastener
US5359754A (en) Top end stop for concealed slide fastener
EP1459643B1 (en) Slide fastener with separable bottom end stop
US4414718A (en) Separable slide fastener
KR100464604B1 (ko) 슬라이드 파스너용 개방이탈 삽입구
JPH09313219A (ja) 開離型隠しスライドファスナーおよびその縫着取付方法とミシンフ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6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0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9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8

Year of fee payment: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