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50436B1 - 에어컨용 실내기의 토출풍향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에어컨용 실내기의 토출풍향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50436B1
KR100350436B1 KR1019990065194A KR19990065194A KR100350436B1 KR 100350436 B1 KR100350436 B1 KR 100350436B1 KR 1019990065194 A KR1019990065194 A KR 1019990065194A KR 19990065194 A KR19990065194 A KR 19990065194A KR 100350436 B1 KR100350436 B1 KR 1003504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indoor unit
installation position
room
ch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651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65321A (ko
Inventor
김석균
Original Assignee
만도공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만도공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만도공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900651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50436B1/ko
Publication of KR200100653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53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04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0436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5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in or on a wal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5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with parallel simultaneously tiltable lamella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어컨 실내기의 토출풍향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에어컨 실내기의 설치 위치에 따라 토출되는 냉기의 풍향을 달리 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토출풍량의 손실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실내기의 설치 위치에 따른 위치모드를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설치 위치가 실내의 좌측편일 경우 토출 풍향을 정하는 각 수직날개(15)의 좌, 우 변화각이 좌측보다는 우측으로 더 크게 이루어지도록 상기 각 수직날개를 반복하여 회동시키고, 설치위치가 실내의 우측편일 경우 토출 풍향을 정하는 각 수직날개(15)의 좌, 우 변화각이 우측보다는 좌측으로 더 크게 이루어지도록 상기 각 수직날개를 반복하여 회동시키며, 설치 위치가 실내의 중앙일 경우 토출 풍향을 정하는 각 수직날개(15)의 좌, 우 변화각이 동일하게 이루어지도록 상기 각 수직날개를 반복하여 회동시키는 단계;를 순차적으로 수행하되, 설정된 각 수직날개의 좌우 변화각에 따른 각 수직날개의 좌우 회동은 각 수직날개간을 연결하는 연결대의 좌우 이동거리를 각 위치모드의 선택에 따라 서로 다르게 설정함으로써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용 실내기의 토출풍향 제어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에어컨용 실내기의 토출풍향 제어방법{Method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blowing from inner unit for air-conditioner}
본 발명은 실내의 냉방을 위해 사용되는 에어컨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에어컨을 구성하는 실내기의 설치위치에 따라 그 토출풍향을 적절히 제어할 수 있도록 한 토출풍향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에어컨(air-conditioner)은 실내의 더운 공기를 흡입하여 이의 온도를 저하시키고, 온도가 저하된 찬 공기를 실내로 재 송풍함으로써 실내를 냉방시키는 기기이다.
이와 같은 에어컨은 그 설치 위치에 따라 벽에 부착시키는 벽부착형과 천장에 설치되는 천장형과 실내의 바닥에 세워진 상태로써 설치되는 거치형 에어컨 등으로 그 종류가 구분된다.
도시한 도 1 및 도 2는 전술한 바와 같은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지는 에어컨 중 실내에 거치형 에어컨을 나타낸 것으로써 본체(10)의 전면 하부측에는 공기의 흡입이 이루어지도록 개구된 흡입그릴(11)을 갖고 그 상부측에는 냉방된 공기의 토출이 이루어지도록 개구된 토출그릴(12)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토출그릴의 후방측인 본체(10)의 내부에는 모터(도시는 생략함)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면서 흡입력을 발생시키도록 크로스팬(13 : cross-flow fan)이 설치되며, 상기 크로스팬(13)과 흡입그릴(11)의 사이인 본체(10)의 내부에는 냉방싸이클을 구성하는 열교환기(14)가 설치되어 이를 통과하게 되는 공기의 온도를 저하시킬 수 있도록 동작하게 된다.
그리고, 토출그릴(12)에는 토출되는 냉기의 토출방향을 좌측 혹은 우측으로 유도하기 위하여 상기 토출그릴의 개구된 토출구(12a)에 상, 하단이 회동 가능하게 힌지(15a) 결합된 다수의 평판형 수직날개(15 : blade)가 설치되어 있다.
이 때, 상기 각 수직날개(15)의 후면에는 좌, 우측으로 반복적인 이동을 수행하는 연결대(16)가 상기 각 수직날개의 형상 방향에 대하여 직교된 방향을 따라 일체화되어 있음으로써 상기 각 수직날개를 동시적으로 회동시키게 됨이 가능하다.
그러나, 종래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이루면서 냉기의 토출방향을 안내하는 수직날개(15)의 회동각도는 필요한 각도만큼만 회동하는 것이 아니라 항상 설정된 각도(;일반적으로 ±80°)만큼 그 회동을 수행하면서 스윙운전을 진행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은 단순히 에어컨 실내기의 설치 위치가 항상 실내의 중앙측에 위치되었음을 가정한 구성임에 따라 많은 문제점을 유발하게 된 것이다.
즉, 일반적으로 사용자는 실내의 공간을 고려하여 에어컨 실내기를 실내의 어느 한 측 구석 부분에 주로 설치됨을 고려할 때 실내기의 좌측 혹은 우측에는 벽면이 위치하게 된다.
하지만, 종래 실내기의 풍향 조절은 전술한 바와는 상관없이 항상 좌, 우 동일한 각도로써 회동하게 됨으로써 도시한 도 3과 같이 실내기가 실내의 좌측편(혹은, 우측편) 모서리에 위치될 경우 그 좌측(혹은, 우측)은 벽면임에도 불구하고 이 벽면에까지 냉기의 토출이 이루어지게 되어 토출되는 공기의 심한 압력손실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이로 인해 토출 풍량의 손실 역시 야기됨으로써 실내에 있는 사용자는 고른 토출바람을 받지 못하게 되어 사용자의 불만 역시 유발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써, 에어컨 실내기의 설치 위치에 따라 토출되는 냉기의 풍향을 달리 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토출풍량의 손실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 은 일반적인 에어컨의 실내기를 나타낸 단면도,
도 2 는 종래 기술에 따른 에어컨 실내기가 실내의 중앙측에 설치된 상태로서, 냉기가 토출되는 상태를 평면에서 본 개략적인 구성도,
도 3 은 종래 에어컨 실내기가 실내의 좌측편에 설치된 상태로써 냉기가 토출되는 상태를 평면에서 본 개략적인 구성도,
도 4 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토출풍향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에어컨 실내기가 실내의 좌측편에 설치된 상태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도,
도 5 는 도 4에 도시된 에어컨 실내기가 실내의 우측편에 설치된 상태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도,
도 6 은 도 4에 도시된 에어컨 실내기가 실내의 중앙측에 설치된 상태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본체 11 : 흡입그릴
12 : 토출그릴 13 : 크로스팬
14 : 열교환기 15 : 수직날개
16 : 연결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어 방법은 실내기의 설치 위치에 따른 위치모드를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설치 위치가 실내의 좌측편일 경우 토출 풍향을 정하는 각 수직날개의 좌, 우 변화각이 좌측보다는 우측으로 더 크게 이루어지도록 상기 각 수직날개를 반복하여 회동시키고, 설치위치가 실내의 우측편일 경우 토출 풍향을 정하는 각 수직날개의 좌, 우 변화각이 우측보다는 좌측으로 더 크게 이루어지도록 상기 각 수직날개를 반복하여 회동시키며, 설치 위치가 실내의 중앙일 경우 토출 풍향을 정하는 각 수직날개의 좌, 우 변화각이 동일하게 이루어지도록 상기 각 수직날개를 반복하여 회동시키는 단계;를 순차적으로 수행하되,설정된 각 수직날개의 좌우 변화각에 따른 각 수직날개의 좌우 회동은 각 수직날개간을 연결하는 연결대의 좌우 이동거리를 각 위치모드의 선택에 따라 서로 다르게 설정함으로써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은 실내기의 각 설치 위치에 상관없이 토출되는 냉기의 방향을 실내의 중앙측으로 원활히 보내기 위해 각 수직날개의 변화각을 상기 실내기의 설치 위치에 따라 적절히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에어컨용 실내기의 토출 풍향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후술하는 바와 같다.
도시한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토출풍향 제어과정에 의해 각 수직날개의 제어가 이루어지는 상태를 그 평면에서 본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즉, 본 발명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기의 설치 위치가 실내의 좌측편일 경우 각 수직날개(15)의 좌, 우 변화각은 그 중심을 기준으로하여 평면에서 봤을 때 좌측으로 30°, 우측으로 80°를 이룰 수 있도록 연결대(16)의 좌, 우 이동거리를 설정하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기의 설치 위치가 실내의 우측편일 경우 각 수직날개(15)의 좌, 우 변화각은 그 중심을 기준으로하여 평면에서 봤을 때 좌측으로 80°, 우측으로 30°를 이룰 수 있도록 연결대(16)의 좌, 우 이동거리를 설정하며, 실내기의 설치 위치가 실내의 중앙일 경우 각 수직날개(15)의 좌, 우 변화각은 그 중심을 기준으로하여 평면에서 봤을 때 좌측으로 80°, 우측으로 80°를 이룰 수 있도록 연결대(16)의 좌, 우 이동거리를 설정하여서 된 것이다.
이와 같이 설정된 각 수직날개(15)의 변화각을 기준으로하여 본 발명에 따른토출풍향의 제어를 수행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실내기가 실내의 소정 위치 즉, 좌측편 및 우측편 혹은 중간에 설치한 상태로써 에어컨의 가동을 수행할 경우에는 상기 실내기의 설치 위치에 따른 위치모드를 선택한다.
이 때, 위치모드는 좌측(L;Left), 우측(R;Right), 중간(M;Middle) 등 3가지의 버튼을 가지며 만일 실내기가 좌측편에 위치되어 있을 경우 위치모드의 "L"버튼을 눌러 그 위치를 지정하게 되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위치모드의 "L"버튼이 선택되면 에어컨의 전체적인 운전제어를 수행하는 컨트롤러가 감지하여 이 실내기의 위치에 따른 운전을 수행할 수 있도록 운전을 제어하게 된다.
즉, 에어컨 실내기가 좌측편에 설치되어 있을 경우에는 도시한 도 4와 같이 각 수직날개(15)의 좌, 우 변화각을 그 중심을 기준으로하여 평면에서 봤을 때 좌측으로 30°, 우측으로 80°를 이룰 수 있도록 연결대(16)의 좌, 우 이동거리를 설정하게 되는 것이다.
이 때, 상기 연결대(16)의 좌, 우 이동거리는 그 중심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 좌측으로의 이동거리가 우측으로의 이동거리보다 크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토출되는 냉기의 양이 실내기 좌측편 보다는 우측편으로 보다 많은 양이 흐를 수 있도록 한다.
이는, 실내기의 좌측편에 위치된 벽면으로의 냉기토출을 방지하여 토출 풍량을 최소화하고, 실내의 전 부분이 고르게 냉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실내기가 실내의 우측편에 설치된 상태로써 에어컨의 운전을 수행하고자 할 경우에는 그 위치모드의 "R"버튼을 눌러 실내기의 위치를 지정하게 된다.
이에 따른 각 수직날개(15)의 좌, 우 변화각은 도시한 도 5와 같이 그 중심을 기준으로하여 평면에서 봤을 때 좌측으로 80°, 우측으로 30°를 이룰 수 있도록 컨트롤러에 의해 설정된다.
이는, 연결대(16)의 좌, 우 이동거리를 설정함으로써 가능하며, 이에 따라 연결대(16)의 좌, 우 이동거리가 그 중심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 우측으로의 이동거리가 좌측으로의 이동거리보다 크게 이루어지도록 설정되는 것이다.
이로 인해 각 수직날개(15)는 토출되는 냉기의 유동방향을 실내의 좌측편으로 더욱 많이 안내하도록 변화됨으로써 실내의 전부분이 고르게 냉방될 수 있다.이때, 도 4와 도 5의 θ는 110°를 이루게 된다.
한편, 실내기가 실내의 중앙측에 설치된 상태로써 에어컨의 운전을 수행하고자 할 경우에는 그 위치모드의 "M"버튼을 눌러 실내기의 위치를 지정하게 된다.
이에 따라 각 수직날개(15)의 좌, 우 변화각은 도시한 도 6과 같이 그 중심을 기준으로하여 평면에서 봤을 때 좌측으로 80°, 우측으로 80°를 이룰 수 있도록 컨트롤러에 의해 설정된다.
이는, 연결대(16)의 중심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 좌, 우 이동거리를 동일하게 설정함으로써 가능하다.그러므로, 이때의 θ는 160°를 이루게 된다.
이에 따라 각 수직날개(15)를 통과하는 냉기의 토출방향은 전술한 바와 같이 이동하는 연결대(16)에 의한 각 수직날개(15)의 좌우 회동에 따른 유동의 안내를 받아 실내의 전부분으로 원활한 냉기의 공급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운전 제어과정 중 각 수직날개(15)의 변화각은 굳이 기 전술한 범위대(평면에서 봤을 때 좌측으로 80°, 우측으로 80°)에서만 그 설정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즉, 필요에 따라 그보다 더 작은 각도 혹은 더 큰 각도 범위대를 이루도록 제어를 수행할 수 있음은 당업자라면 쉽게 수행 가능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과 같은 토출풍향의 제어방법은 그 실시예로 도시되고 있는 거치형 에어컨에만 적용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벽걸이형 등에도 그 적용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이해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실내기의 각 설치 위치에 상관없이 토출되는 냉기의 방향을 실내의 중앙측으로 원활히 보내기 위해 각 수직날개의 변화각을 상기 실내기의 설치 위치에 따라 적절히 제어할 수 있도록 그 운전을 제어함으로써 보다 원활한 실내의 냉방을 이룰 수 있게 됨과 함께 토출 냉기의 손실을 방지할 수 있게된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실내기의 설치 위치에 따른 위치모드를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설치 위치가 실내의 좌측편일 경우 토출 풍향을 정하는 각 수직날개의 좌, 우 변화각이 좌측보다는 우측으로 더 크게 이루어지도록 상기 각 수직날개를 반복하여 회동시키고, 설치위치가 실내의 우측편일 경우 토출 풍향을 정하는 각 수직날개의 좌, 우 변화각이 우측보다는 좌측으로 더 크게 이루어지도록 상기 각 수직날개를 반복하여 회동시키며, 설치 위치가 실내의 중앙일 경우 토출 풍향을 정하는 각 수직날개의 좌, 우 변화각이 동일하게 이루어지도록 상기 각 수직날개를 반복하여 회동시키는 단계;를 순차적으로 수행하되,
    설정된 각 수직날개의 좌우 변화각에 따른 각 수직날개의 좌우 회동은 각 수직날개간을 연결하는 연결대의 좌우 이동거리를 각 위치모드의 선택에 따라 서로 다르게 설정함으로써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용 실내기의 토출풍향 제어방법.
  2. 삭제
  3. 삭제
KR1019990065194A 1999-12-29 1999-12-29 에어컨용 실내기의 토출풍향 제어방법 KR1003504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5194A KR100350436B1 (ko) 1999-12-29 1999-12-29 에어컨용 실내기의 토출풍향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5194A KR100350436B1 (ko) 1999-12-29 1999-12-29 에어컨용 실내기의 토출풍향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5321A KR20010065321A (ko) 2001-07-11
KR100350436B1 true KR100350436B1 (ko) 2002-08-28

Family

ID=196323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65194A KR100350436B1 (ko) 1999-12-29 1999-12-29 에어컨용 실내기의 토출풍향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5043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5321A (ko) 2001-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32009B2 (ja) 空気調和機の室内ユニット
US8834242B2 (en) Ceiling-embedded type air conditioner,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CN106958866B (zh) 空调器室内机
CN110160239B (zh) 空调器及用于空调器制冷的导风板控制方法
JP2004012060A (ja) 空気調和機の室内ユニット及び空気調和機
US20120171948A1 (en) Air flow direction changing device for air conditioning device
JPWO2004040204A1 (ja) 空気調和装置の室内機
JP6668552B2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US20230417448A1 (en) Air outlet device and air conditioning apparatus
JP2002195642A (ja) 空気調和機
JPH11248223A (ja) 空気調和機の運転制御装置およびその方法
KR100350436B1 (ko) 에어컨용 실내기의 토출풍향 제어방법
US10724759B2 (en) Indoor unit for air-conditioning apparatus
WO2020172940A1 (zh) 空调室内机、空调器及空调器的控制方法
JPH07158933A (ja) 空気調和機の風向制御装置
JP3953218B2 (ja) 空気調和機
CN209341399U (zh) 空调器
JP4467214B2 (ja) 空気調和機及びその吹出し空気制御方法
CN110160242B (zh) 空调器及用于空调器制冷的导风板控制方法
JPH0960949A (ja) 空気調和装置およびその起動方法
CN218846285U (zh) 空调室内机和空调器
JP2011094877A (ja) 空気調和装置の室内機
JPH0419394Y2 (ko)
JPH06147627A (ja) 空気調和装置の室内ユニット
JP2000329370A (ja) 壁埋込型空気調和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7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2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6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3

Year of fee payment: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