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47626B1 - 디지털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 - Google Patents

디지털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7626B1
KR100347626B1 KR1020000014209A KR20000014209A KR100347626B1 KR 100347626 B1 KR100347626 B1 KR 100347626B1 KR 1020000014209 A KR1020000014209 A KR 1020000014209A KR 20000014209 A KR20000014209 A KR 20000014209A KR 100347626 B1 KR100347626 B1 KR 1003476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digital
recording
error correction
err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142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62968A (ko
Inventor
가나이히로후미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200000629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29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76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762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6Storage of analogue signals in digital stores using an arrangement comprising analogue/digital [A/D] converters, digital memories and digital/analogue [D/A] conver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14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detecting or protecting against malicious traffic
    • H04L63/14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detecting or protecting against malicious traffic by monitoring network traffic
    • H04L63/1425Traffic logging, e.g. anomaly dete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50Monitoring users, programs or devices to maintain the integrity of platforms, e.g. of processors, firmware or operating systems
    • G06F21/55Detecting local intrusion or implementing counter-measures
    • G06F21/552Detecting local intrusion or implementing counter-measures involving long-term monitoring or repor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2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221/2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21/00 and subgroups addressing additional information or applications relating to 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221/2153Using hardware token as a secondary aspe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Error Detection And Corre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계열(時系列) 진행 신호 데이터와 그 데이터의 에러 정정용 데이터를 함께 비휘발성 메모리 카드(25)에 기록하고, 기록된 시계열 진행 신호 데이터를 에러 정정용 데이터로 에러 정정하여 재생할 때, 상기 에러 정정용 데이터로 정정 불가능한 시계열 진행 신호 데이터가 존재하면, 제어부(24A)는 그 에러 정정 불가능 부분을 에러가 있는 상태로 재생하거나 또는 에러 정정 불가능 부분을 스킵 또는 뮤트(mute)시켜서 에러가 없는 부분으로부터 재생하여 원하는 파일 데이터의 최초 데이터에서 종료 데이터까지를 재생 출력 가능하도록 하는 데 있다. 이것에 의해, 에러 정정용 데이터로 정정 불가능한 시계열 진행 신호 데이터가 존재하면, 그 시점 이후의 시계열 진행 데이터의 재생이 불가능하다고 하는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지털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DIGITAL DATA RECORDING AND REPRODUCING DEVICE}
본 발명은 각종 정보를 디지털 부호화 압축하여 그 부호화 압축된 데이터를 비휘발성 반도체 메모리 카드에 기록 및 재생하는 디지털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동화상이나 음성 등의 시계열로 진행하는 정보 데이터를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 카드에 기록할 때, 정보 데이터와 함께 에러 정정용 데이터를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 카드에 기록하고, 이 기록된 에러 정정용 데이터를 이용하여도 에러 정정이 불가능한 정보 데이터의 재생에 적합한 디지털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비휘발성 반도체 메모리의 기록 용량의 증대가 도모되어 대량의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게 되었다. 이 비휘발성 반도체 메모리를 카드화하여 은염(銀鹽) 필름이나 음성을 기록하는 자기 테이프를 대신하는 기록 매체로서 이용하여 정지 화상을 기록하는 디지털 스틸 카메라나 음성 기록 기기가 개발되어 실용화되고 있다.
상기 디지털 스틸 카메라나 음성 기록 기기는 촬영 카메라나 마이크로폰 등으로 수신하여 생성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이 디지털 신호를 부호화 압축하여 소정의 데이터 포맷 구성의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비휘발성 반도체 메모리에 기록하고 있다. 상기 비휘발성 반도체 메모리는 데이터 기억 영역을 소정의 데이터량마다 복수의 물리적 블록으로 분할하여 데이터의 기록 또는 소거를 상기 물리 블록마다 관리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비휘발성 반도체 메모리는 컴퓨터 기기에서의 기록 데이터의 판독이나 편집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일반적으로는 컴퓨터 기기의 OS인 MS-DOS에 기초한 데이터 포맷이 채용되고 있다.
상기 부호화 압축된 기록 데이터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로 상기 MS-DOS의 데이터 포맷으로 변환하고, 또 기록 데이터의 관리 파일 데이터를 작성하여 상기 비휘발성 반도체 메모리의 물리 블록에 기록한다. 이것에 의해, 상기 관리 파일 데이터를 이용하여 복수의 물리 블록에 기록되어 있는 기록 데이터의 독출이나 소거가 행해지도록 되어 있다.
상기 비휘발성 반도체 메모리를 이용한 디지털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의 구체예를 도 5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 5는 음성용 디지털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에 도시된 음성용 디지털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20)의 음성 입력 회로(21)는 음악이나 사람의 소리 등의 음성을 모아서 아날로그 전기 신호를 생성하는 도시하지 않은 마이크로폰과 마이크로폰으로 생성된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증폭하는, 도시하지 않은 증폭 회로로 구성되어 있다.
기록시, 이 음성 입력 회로(21)에서 생성된 아날로그 음성 신호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회로(이하, A/D 회로라 함: 22)에 의해 디지털 음성 신호로 변환되어 부호화 압축 회로(23)로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이 부호화 압축 회로(23)는 상기 디지털 음성 신호를 부호화하여 데이터 압축을 행하고, 소정의 디지털 압축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되어 있다. 이 부호화 압축 회로(23)에서의 부호화 압축은 ITU(국제 전기 통신 연합) 규격인 G729A의 압축 기술을 이용하고 있다. 이 부호화 압축 회로(23)에서 생성된 디지털 부호화 압축 데이터는 예컨대 마이크로 프로세서(MPU)로 구성되는 제어부(24)를 통해 비휘발성 반도체 메모리를 탑재한 카드(이하, 비휘발성 메모리 카드라 함: 25)에 기록되도록 되어 있다. 마이크로 프로세서는 주지와 같이 산술이나 논리 연산을 행하는 연산 장치, 명령의 해석이나 제어 신호의 생성을 행하는 제어 장치, 기억 장치 등을 하나의 칩으로 통합하여 구성되어 있으며, CPU와 동일하다. 이 제어부(24)는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 카드(25)에 상기 디지털 부호화 압축 데이터의 기록 및 독출 제어를 행하는 동시에 상기 기록된 디지털 부호화 압축 데이터의 관리 데이터도 생성하도록 되어 있다.
재생시, 상기 제어부(24)의 제어를 기초로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 카드(25)로부터 독출된 디지털 부호화 압축 데이터는 복호화 신장 회로(26)에서 데이터 신장(伸張)하고, 복호화하여 디지털 음성 신호로 변환하도록 되어 있다. 이 복호화 신장 회로(26)에서 생성된 디지털 음성 신호는 디지털/아날로그 변환 회로(이하, D/A 회로라 함: 27)에 의해 아날로그 음성 신호로 변환되어 도시하지 않은 증폭 회로와 스피커로 구성되는 출력단으로서의 음성 출력 회로(28)로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제어부(24)에는 이 디지털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20)의 음성 녹음이나 음성 재생 또는 동작 전원 오프 등의 조작 입력용 스위치를 가진 조작 입력부로서의 조작 스위치(29)와, 이 조작 스위치(29)로부터의 입력에 따라 디지털 데이터 기록 장치(20)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액정 표시부(30)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 카드(25)는 디지털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20)의 도시되지 않은 하우징에 설치한 카드 슬롯에 착탈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A/D 회로(22), 부호화 압축 회로(23), 복호화 신장 회로(26) 및 D/A 회로(27)는 1개 칩의 음성 처리 집적 소자(이하, 음성 처리 IC라 함: 31)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디지털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20)에 이용하는 비휘발성 메모리 카드(25)는 예컨대, 8M 바이트의 기록 용량을 갖고 있는 경우,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기록 영역으로서 1024의 물리 블록(1블록은 8K 바이트)으로 분할 관리되도록 되어 있다. 이 물리 블록은 각 블록 단위로 복수 페이지(페이지0 내지 페이지 끝)까지 구분(8M 바이트의 경우는 1블록 당 0 내지 15의 16 페이지로 구분되어 있음)되어 관리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 카드(25)의 물리 블록의 각 페이지는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영역으로서 512 바이트가 할당되고, 용장부로서 16 바이트가 할당되어 있다. 상기 데이터 영역은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0 ~ 255 바이트의 데이터 영역-1과, 256 ~ 511 바이트의 데이터 영역-2의 256 바이트분으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용장부의 16 바이트는 도 6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512 ~ 515 바이트에 리저브 영역, 516 바이트에 데이터 스테이터스 영역, 517 바이트에 블록 스테이터스 영역, 518 ~ 519 바이트에 블록 어드레스 영역-1, 520 ~ 522 바이트에 에러 정정용 데이터 영역(이하, ECC 영역이라 함)-2, 523 ~ 524 바이트에 블록 어드레스 영역-2 및 525 ~ 527 바이트에 ECC 영역-1이 할당되어 있다. 상기 데이터 영역-1과 데이터 영역-2에 대하여, ECC 영역-1과 ECC 영역-2이 대응하고 있다.
이러한 데이터 기록 영역을 갖는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 카드(25)를 이용하여 상기 디지털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20)에 의해 디지털 부호화 압축 데이터를 기록할 때에는 상기 음성 입력 회로(21)로부터 입력된 아날로그 음성 신호는 상기 음성 처리 IC(31)로 부호화 압축되어 디지털 부호화 압축 데이터로 변환되고, 제어부(24)에 의해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 카드(25)의 기록 영역의 물리 블록 페이지마다의 데이터 영역에 기록되도록 제어된다. 동시에 제어부(24)는 상기 데이터 영역에 기록한 디지털 부호화 압축 데이터의 용장부용 데이터도 생성하여 용장부에기록한다.
한편,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 카드(25)에 기록된 데이터를 판독 재생할 때에는 상기 제어부(24)로,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 카드(25)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를 물리 블록 페이지 순서로 독출하여 각 페이지의 데이터 영역의 데이터 에러를 용장부의 ECC 영역의 데이터로 확인한다. 상기 데이터 영역의 데이터에 에러가 있는 경우에는 ECC 영역의 데이터로 에러가 정정된다. 데이터 영역에 에러가 없던 데이터 또는 에러 정정된 데이터는 상기 음성 처리 IC(31)에 의해 복호화 신장되어 음성 출력 회로(28)를 통해 출력된다.
그러나,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 카드(25)에 기록된 데이터의 각 물리 블록의 각 페이지 단위마다의 ECC 영역에 기록되어 있는 에러 정정용 데이터는 기본적으로 상기 데이터 영역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의 에러 정정을 행하도록 설정되어 있지만, 상기 데이터 영역에 기록된 데이터의 에러 내용에 따라서는 반드시 정정 불가능한 경우도 있다.
이 용장부의 ECC 영역의 데이터로 데이터 영역의 데이터의 에러 정정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24)는 데이터 에러가 있는 동일한 페이지를 반복하여 데이터 판독을 행하기 때문에, 에러 데이터가 있는 페이지 이후의 데이터의 판독 재생이 불가능하게 되어 버리는 경우가 발생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 시계열적으로 연속 진행되는 정보를 기초로 디지털 부호화 압축한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 카드에 기록하고,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 카드에 기록된 디지털 부호화 압축 데이터를 독출하며, 복호 신장하여 재생 출력하는 디지털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에 있어서,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 카드에 기록할 때, 상기 디지털 부호화 압축 데이터와 함께 에러 정정용 데이터를 기록하고, 이 에러 정정용 데이터를 이용하여 디지털 부호화 압축 데이터의 에러 정정을 행하고 있지만, 상기 에러 정정용 데이터로 정정 불가능한 에러가 상기 디지털 부호화 압축 데이터에 존재하면, 그 에러 정정 불가능한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는 기록 영역의 데이터를 반복 독출하여 에러 정정을 행하도록 동작하기 때문에, 그 에러가 있는 기록 영역 이후의 디지털 부호화 압축 데이터의 독출 재생이 불가능하게 되고, 기록되어 있는 디지털 부호화 압축 데이터의 재생이 불능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 카드에 기록된 상기 디지털 부호화 압축 데이터를 재생할 때, 에러 정정용 데이터로 상기 디지털 부호화 압축 데이터의 에러를 정정할 수 없는 상태가 생겨도 그 정정 불가한 디지털 부호화 압축 데이터 이후의 데이터의 독출 재생을 가능하게 한 디지털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디지털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도 3은 본 발명의 디지털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도 4는 본 발명의 디지털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도 5는 종래의 디지털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6의 (a) 내지 (c)는 종래의 디지털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의 문제점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디지털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
11 : 마이크로폰
12, 13 : 음성 증폭 회로
14 : 스피커
22 : A/D 회로(아날로그/디지털 변환 회로)
23 : 부호화 압축 회로
24A : 제어부
M1 : 디지털 데이터 기록 제어부
M2 : 디지털 데이터 복호 제어부
25 : 비휘발성 메모리 카드
26 : 복호화 신장 회로
27 : D/A 회로(디지털/아날로그 변환 회로)
29 : 조작 스위치
30 : 액정 표시부
제1 발명에 따른 디지털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는 시계열로 계속되는 아날로그 정보를 디지털 부호화 압축 데이터로 변환하는 디지털 부호화 압축부 및 이 부호화 압축된 데이터를 복호하고 또 신장하는 디지털 복호화 신장부와, 디지털 부호화 압축 데이터가 기록되는 비휘발성 메모리 카드 사이에서 디지털 부호화 압축 데이터의 교환을 행하여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 카드의 소정 기록 영역으로 상기 디지털 부호화 압축 데이터를 기록하고, 또한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 카드로부터 디지털 부호화 압축 데이터를 독출하는 기록 재생 제어부와, 상기 디지털 부호화 압축부에서 생성된 디지털 부호화 압축 데이터의 기록시에, 그 디지털 부호화 압축 데이터의 에러 정정용 데이터를 생성하고, 또한 상기 디지털 부호화 압축 데이터와 에러 정정용 데이터를 소정 포맷의 파일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 카드의 소정 기록 영역에 기록하는 상기 기록 재생 제어부에 설치된 디지털 데이터 기록 제어부와,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 카드에 기록된 파일 데이터의 재생시에 상기 파일 데이터를 독출하고, 상기 파일 데이터에 포함되는 에러 정정용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디지털 부호화 압축 데이터의 에러 정정 처리를 행하며, 그 에러 정정 처리에 의해 데이터에 에러가 없다고 되었거나 또는 에러가 정정되었는지 여부에 상관없이 그 에러 정정 처리 후의 디지털 부호화 압축 데이터를 상기 디지털 복호 신장부에서 복호하고 신장하여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상기 기록 재생 제어부에 설치된 디지털 데이터 복호 제어부와, 그리고, 상기 복호되어 신장된 디지털 신호를 변환한 아날로그 신호를 시계열로 계속하여 출력하는 출력부를 가지고 있다.
제1 발명에 있어서는, 디지털 부호화 압축부에서 생성된 디지털 부호화 압축 데이터의 기록시에, 그 디지털 부호화 압축 데이터의 에러 정정용 데이터를 생성하는 동시에 상기 디지털 부호화 압축 데이터와 에러 정정용 데이터를 소정 포맷의 파일 데이터로 변환하여 비휘발성 메모리 카드의 소정 기록 영역에 기록하는 한편, 비휘발성 메모리 카드에 기록된 파일 데이터의 재생시에 파일 데이터를 독출하고,파일 데이터에 포함되는 에러 정정용 데이터에 기초하여 디지털 부호화 압축 데이터의 에러 정정 처리를 행하며, 데이터에 에러가 없다고 되었거나 또는 에러가 정정되었는지 여부에 상관없이 에러 정정 처리 후의 디지털 부호화 압축 데이터를 상기 디지털 복호 신장부에서 복호하여 신장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비휘발성 메모리 카드에 기록된 디지털 부호화 압축 데이터를 재생할 때에, 에러 정정용 데이터로 디지털 부호화 압축 데이터의 에러를 정정할 수 없는 상태가 생겨도 그 정정 불가한 디지털 부호화 압축 데이터를 반복하여 판독하지 않고, 그대로 복호 및 신장 처리하여 재생하며, 정정 불가 이외의 데이터에 대해서는 정상적으로 독출하여 재생할 수 있다.
제2 발명은, 제1 발명에 따른 디지털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데이터 기록 제어부는 상기 디지털 부호화 압축 데이터와 그 데이터의 에러 정정용 데이터를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 카드의 기록 영역의 기록 페이지 단위로 생성하여 상기 소정의 파일 데이터로 변환하고, 상기 디지털 데이터 복호 제어부는 상기 파일 데이터를 상기 페이지 단위로 독출하여 상기 재생된 에러 정정용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디지털 부호화 압축 데이터의 에러 정정을 행하며, 데이터에 에러가 없다고 되었거나 또는 에러가 정정되었는지 여부에 상관없이 그 에러 정정 처리 후의 디지털 부호화 압축 데이터를 상기 디지털 복호 신장부에서 복호하고, 신장하여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제2 발명에 있어서는, 비휘발성 메모리 카드로의 파일 데이터의 기록 및 메모리 카드로부터의 파일 데이터의 재생을 메모리 카드를 물리적으로 분할한 페이지단위로 행하고, 또한, 재생된 디지털 부호화 압축 데이터의 에러 정정도 페이지 단위로 행하도록 하며, 또한, 재생시에, 재생된 에러 정정용 데이터에 기초하여 디지털 부호화 압축 데이터의 에러 정정을 행하고, 데이터에 에러가 없다고 되었거나 또는 에러가 정정되었는지 여부에 상관없이 에러 정정 처리 후의 디지털 부호화 압축 데이터를 디지털 복호 신장부에서 복호하여 신장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에러 정정용 데이터로 디지털 부호화 압축 데이터의 에러를 정정할 수 없는 상태가 생겨도 그 정정 불가한 페이지 데이터를 반복하여 판독하지 않고, 에러 데이터 상태로 복호 및 신장 처리하여 재생을 행하는 한편, 정정 불가 이외의 데이터에 대해서는 정상적으로 독출하여 재생을 행할 수 있다. 정정 불가 데이터는 페이지 단위의 소단위로 복호 및 신장 처리되고, 페이지 단위의 짧은 기간 때문에, 사용자는 에러 데이터에 기초한 의미 불명음은 알아차리기 어렵고, 혹은 의미 불명음을 전후 음성으로부터 추측할 수 있는 것이다.
제3 발명은 제1 발명에 따른 디지털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에 있어서, 또한, 상기 변환된 아날로그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와, 그 출력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뮤트부를 구비하고, 상기 디지털 데이터 복호 제어부는 상기 에러 정정 처리에 의한 에러 정정이 불가능한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던 경우, 상기 뮤트부에 의해 상기 아날로그 출력을 저지하도록 제어한다.
제3 발명에 있어서는 재생시, 상기 에러 정정의 결과, 에러 정정이 불가능한 데이터가 포함되는 경우에 아날로그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에 설치한 뮤트부에 의해 아날로그 출력을 저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제4 발명에 따른 디지털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는 시계열로 계속되는 아날로그 정보를 디지털 부호화 압축 데이터로 변환하는 디지털 부호화 압축부 및 이 디지털 부호화 압축된 데이터를 복호하고 또 신장하는 디지털 데이터 복호화 신장부와, 디지털 부호화 압축 데이터가 기록되는 비휘발성 메모리 카드 사이에서 디지털 부호화 압축 데이터 교환을 행하여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 카드의 소정 기록 영역으로 상기 디지털 부호화 압축 데이터를 기록하고, 또한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 카드로부터 디지털 부호화 압축 데이터를 독출하는 기록 재생 제어부와, 상기 디지털 부호화 압축부에서 생성된 디지털 부호화 압축 데이터의 기록시에 그 디지털 부호화 압축 데이터의 에러 정정용 데이터를 생성하고, 또한 상기 디지털 부호화 압축 데이터와 에러 정정용 데이터를 소정 포맷의 파일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 카드의 소정 기록 영역에 기록하는 기록 재생 제어부에 설치된 디지털 데이터 기록 제어부와,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 카드에 기록된 파일 데이터의 재생시에 상기 파일 데이터를 독출하고, 상기 파일 데이터에 포함되는 에러 정정용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디지털 부호화 압축 데이터의 에러 정정 처리를 행하며, 그 에러 정정 처리에 의해 데이터의 오류가 정정 불가능한 경우, 그 에러 정정 불가능한 데이터의 처리를 스킵하여 그 에러 정정 처리로 오류가 없다고 되었거나 또는 오류가 정정된 상기 디지털 부호화 압축 데이터를 상기 디지털 복호 신장부에서 복호하고 신장하여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상기 기록 재생 제어부에 설치된 디지털 데이터 복호 제어부와, 그리고, 상기 복호되어 신장된 디지털 신호를 변환한 아날로그 신호를 시계열로 계속하여 출력하는 출력부를 가지고 있다.
제4 발명에 있어서는, 디지털 부호화 압축부에서 생성된 디지털 부호화 압축 데이터의 기록시에, 그 디지털 부호화 압축 데이터의 에러 정정용 데이터를 생성하는 동시에 상기 디지털 부호화 압축 데이터와 에러 정정용 데이터를 소정 포맷의 파일 데이터로 변환하여 비휘발성 메모리 카드의 소정 기록 영역에 기록하는 한편, 비휘발성 메모리 카드에 기록된 파일 데이터의 재생시에, 파일 데이터를 독출하고, 파일 데이터에 포함되는 에러 정정용 데이터에 기초하여 디지털 부호화 압축 데이터의 에러 정정 처리를 행하며, 데이터의 오류가 불가능한 경우, 에러 정정 불가능한 데이터의 처리를 스킵하여 데이터에 오류가 없다고 되었거나 또는 오류가 정정된 디지털 부호화 압축 데이터를 상기 디지털 복호 신장부에서 복호하여 신장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비휘발성 메모리 카드에 기록된 디지털 부호화 압축 데이터를 재생할 때에, 에러 정정용 데이터로 디지털 부호화 압축 데이터의 오류를 정정할 수 없는 상태가 생겨도 그 정정 불가한 디지털 부호화 압축 데이터를 반복하여 판독하지 않고 정정 불가 데이터를 스킵하며, 정정 불가 이외의 데이터에 대해서는 정상적으로 독출하여 재생할 수 있다. 또한, 정정 불가 데이터를 스킵하기 때문에, 의미 불명음을 재생하는 경우가 없다.
제5 발명은, 제4 발명의 디지털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데이터 기록 제어부는 상기 디지털 부호화 압축 데이터와 그 데이터의 에러 정정용 데이터를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 카드의 기록 영역의 기록 페이지 단위로 생성하여 상기 소정의 파일 데이터로 변환하고, 상기 디지털 데이터 복호 제어부는 상기 파일 데이터를 상기 페이지 단위로 독출하여 상기 재생된 에러 정정용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디지털 부호화 압축 데이터의 에러 정정을 행하며, 에러 정정이 불가능한 데이터가 포함되는 페이지를 스킵하여 오류가 없다고 되었거나 에러 정정이 행해진 페이지만의 디지털 부호화 압축 데이터를 상기 디지털 복호 신장부에서 복호하고 신장하여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제5 발명에 있어서는, 비휘발성 메모리 카드로의 파일 데이터의 기록 및 메모리 카드로부터의 파일 데이터의 재생을 메모리 카드를 물리적으로 분할한 페이지 단위로 행하고, 또한 재생된 디지털 부호화 압축 데이터의 에러 정정도 페이지 단위로 행하도록 하며, 또한 재생시에 재생된 에러 정정용 데이터에 기초하여 디지털 부호화 압축 데이터의 에러 정정을 행하고, 에러 정정이 불가능한 데이터가 포함되는 페이지를 스킵하여 오류가 없다고 되었거나 에러 정정이 행해진 페이지만의 디지털 부호화 압축 데이터를 상기 디지털 복호 신장부에서 복호하여 신장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에러 정정용 데이터로 디지털 부호화 압축 데이터의 오류를 정정할 수 없는 상태가 생겨도 그 정정 불가한 페이지 데이터를 반복하여 판독하지 않게 스킵하고, 정정 불가 이외의 데이터에 대해서는 정상적으로 독출하여 재생을 행할 수 있다. 정정 불가의 데이터는 페이지 단위의 소단위로 스킵되어 사용자는 스킵 지점의 누락을 알아차리기 어렵거나 혹은 스킵 지점을 전후의 음성으로부터 추측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디지털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또한, 도 5와 동일 부분은 동일 부호를 붙이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 도 1의 디지털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10)가 도 5와 서로 다른점은 상기 음성 처리 IC(31)와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 카드(25) 사이의 데이터 교환을 제어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MPU)로 구성되는 기록 재생 제어부(이하, 단순히 제어부라 함: 24A)에 후술하는 디지털 데이터 기록 제어부(M1)로서의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처리를 행하는 프로그램과, 디지털 데이터 복호 제어부(M2)로서의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처리를 행하는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는 것과, 상기 음성 처리 IC(31)의 A/D 회로(22)에 마이크로폰(11)으로부터 공급되는 음성 신호를 증폭하는 음성 증폭 회로(12)가 접속되고, D/A 회로(27)에 D/A 변환된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증폭하는 음성 증폭 회로(13)와 스피커(14)가 접속되며, 또한, 상기 음성 증폭 회로(13)와 스피커(14)의 접속점에 상기 제어부(24A)로부터 공급되는 제어 신호를 기초로 상기 스피커(14)로 공급되는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뮤트하는 뮤트 회로(15)가 접속되어 있는 것에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24A)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동일한 기능을 갖는다면, 마이크로 프로세서 이외의 회로로 구성하여도 좋다. 상기 음성 증폭 회로(13)와 상기 스피커(14)는 출력부로서 기능한다. 뮤트 회로(15)는 예컨대, 제어 신호로 온/오프되는 트랜지스터(Q1)와, 그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제어부(24A)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베이스 저항(R1)으로 구성되어 있다. 트랜지스터(Q1)가 제어 신호에 의해 온되면, 음성 증폭 회로(13)의 출력단이 기준 전위점(접지)에 단락함으로써, 음성 증폭 회로(13)로부터 스피커(14)로의 출력을 저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 밖의 구성은 도 5와 동일하다.
다음에, 도 1의 장치의 기록 및 재생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기록(녹음)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조작 스위치(29)로써 기록 모드가 설정되어 있으면, 상기 마이크로폰(11)으로 모아진 음성은 아날로그 음성 신호로 변환되고, 이 아날로그 음성 신호는 상기 음성 증폭 회로(12)에 의해 소정의 음성 신호로 증폭되어 상기 음성 처리 IC(31)의 A/D 회로(22)로 공급된다. 그리고, 상기 A/D 회로(22)에 의해 디지털 신호로 변환되어 상기 부호화 압축 회로(23)로 소정의 부호화 압축 데이터로 변환되어 상기 제어부(24A)로 공급된다. 상기 제어부(24A)는 상기 디지털 데이터 기록 제어부(M1)에 의해 이 부호화 압축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 카드(25)에 기록할 수 있는 데이터 구조로 변환되는 동시에 에러 정정용 데이터를 생성하고, 비휘발성 메모리 카드(25)의 기록 영역의 물리 블록에 있어서의 페이지마다의 데이터 영역에 디지털 부호화 압축 데이터를, 또한, 용장부에 에러 정정용 데이터를 각각 기록한다.
다음에, 재생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조작 스위치(29)로써 재생 모드를 설정하는 신호가 입력되고, 또한 재생하는 데이터 파일명이 입력되면,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 카드(25)의 각 물리 블록 페이지에 기록된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24A)의 디지털 데이터 복호 제어부(M2)에 의해 독출한다. 이 디지털 데이터 복호 제어부(M2)는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 카드(25)의 물리 블록 페이지에 기록된 데이터를 판독하고, 상기 물리 블록 페이지 단위마다의 데이터 영역의 디지털 부호화 압축 데이터와 상기 용장부의 ECC 영역의 데이터를 비교하여 상기 디지털 부호화 압축 데이터의 에러 데이터의 유무를 확인한다. 에러 데이터가 있는 경우에 에러 정정용 데이터에 기초하여 데이터의 에러 정정을 행하는 이 오류의 유무 확인이 행해지고, 그것에 기초하여 에러 정정이 실행된 물리 블록의 페이지 단위의 디지털 부호화 압축 데이터는 상기 음성 처리 IC(31)의 복호화 신장 회로(26)로 공급되어 부호 데이터가 복호되고, 또한 신장 처리되어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다. 이때, 상기 제어부(24A)의 디지털 데이터 복호 제어부(M2)는 상기 뮤트 회로(15)를 오프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 공급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복호화 신장 회로(26)에서 복호되고, 또 신장된 디지털 신호는 D/A 회로(27)에 의해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되어 상기 음성 증폭 회로(13)에 의해 소정의 레벨로 증폭되어 스피커(14)로부터 음성으로서 재생 출력된다.
다음에, 상기 제어부(24A)의 디지털 데이터 복호 제어부(M2)로,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 카드(25)로부터 판독한 디지털 부호화 압축 데이터 내에 상기 에러 정정용 데이터를 이용하여도 정정할 수 없는 오류가 존재하는 경우의 처리 동작에 대해서, 도 2의 플로우차트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상기 디지털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10)의 조작 스위치(29)로부터 재생 모드를 설정하는 신호가 입력되고, 또한 재생하는 데이터 파일명이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24A)는 단계 S1에서 상기 디지털 데이터 복호 제어부(M2)의 처리 동작 준비(초기화)를 행하여 단계 S2에서 상기 조작 스위치(29)로부터의 입력이 재생 모드인 것의 확인을 행한다. 상기 단계 S2에서 재생 모드 입력이 확인되면, 단계 S3에서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 카드(25)에 기록되어 있는 상기 데이터 파일명의 디지털 부호화 압축 데이터의 최초 물리 블록의 최초 페이지의 데이터를 판독한다. 상기 단계 S3에서 판독한 페이지의 데이터는 단계 S4에서 상기 판독한 페이지의 데이터 영역의 디지털 부호화 압축 데이터와 용장부의 ECC 영역에 기록되어 있는 에러 정정용 데이터와 비교하여 에러 데이터의 유무 확인을 행하고, 에러 데이터가 있는 경우에는 에러 정정용 데이터에 기초하여 에러 정정을 행한다. 이 단계 S4의 확인과 에러 정정 결과, 상기 페이지의 용장부인 ECC 영역의 에러 정정용 데이터로서는 상기 데이터 영역의 디지털 부호화 압축 데이터의 오류를 정정할 수 없는 오류가 존재하는 경우(이하, ECC 확인 NG라 함)는 단계 S5로 이행하여 상기 제어부(24A)는 상기 뮤트 회로(15)의 동작을 오프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뮤트 회로(15)로 공급한다. 다음에, 단계 S6에서, 상기 단계 S4에서 ECC 확인 NG로 판정된 페이지의 디지털 부호화 압축 데이터를 에러 정정 불가능한 데이터를 포함한 상태로 상기 음성 처리 IC(31)의 복호화 신장 회로(26)로 공급한다. 이 복호화 신장 회로(26)는 에러 데이터가 포함된 상태로 공급된 디지털 부호화 압축 데이터를 복호하고, 신장하여 디지털 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D/A 회로(27)로써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한 후, 상기 음성 증폭 회로(13)를 통해 스피커(14)로부터 출력한다. 즉, 단계 S6에서는 동일 페이지의 데이터의 반복 판독을, 예컨대 소정 횟수로 행하여도 에러 정정 불가능한 경우는 그 에러 데이터를 그대로 복호하고, 신장하여 D/A 회로(27)로 송출한 후, 다음 페이지 데이터의 판독 동작으로 이행한다.
즉, 상기 단계 S4에서 ECC 확인 NG로 판정된 페이지의 데이터 영역의 디지털 부호화 압축 데이터에 에러 데이터를 포함한 데이터를 기초로 생성된 음성이 상기 스피커(14)로 공급된다. 또한, 상기 단계 S5에서 상기 뮤트 회로(15)의 동작을 오프시키기 때문에, 에러 데이터를 포함한 데이터로부터 생성한 음성 신호에 의한 음성이 뮤트 처리를 받지 않고 스피커(14)로부터 출력된다.
한편, 상기 단계 S4에서 ECC 확인한 결과, 상기 데이터 영역의 디지털 부호화 압축 데이터에 오류가 없거나 또는 상기 용장부의 ECC 영역의 에러 정정용 데이터로 에러 정정된 경우(이하, ECC 확인 OK라 함)는 단계 S7로 이행하고, 이때에도 상기 제어부(24A)는 상기 뮤트 회로(15)의 동작을 오프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뮤트 회로(15)로 공급한다. 다음에, 단계 S8에서 ECC 확인 OK로 판정된 페이지의 디지털 부호화 압축 데이터를 상기 음성 처리 IC(31)의 복호화 신장 회로(26)로 공급하여 디지털 부호화 압축 데이터를 복호하고, 신장하여 디지털 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D/A 회로(27)에 의해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한 후, 상기 음성 증폭 회로(13)를 통해 스피커(14)로부터 출력한다.
즉, 상기 단계 S4에서 ECC 확인 OK로 판정된 데이터는 상기 단계 S7에서 상기 뮤트 회로(15)의 동작을 오프하기 때문에, 상기 복호화 신장 회로(26)에 의해 복호되어 스피커(14)로부터 오류가 없는 음성으로서 출력된다.
다음에, 상기 단계 S6 또는 S8이 종료되면, 단계 S9에서 재생 대상 파일 데이터의 각 물리 블록의 모든 페이지의 독출과 ECC 확인이 종료되었는지, 또는 조작 스위치(29)로부터 정지 모드로 설정하기 위한 입력이 있었는지가 확인되며, 정지 모드의 입력이 없고, 아직 나머지 페이지가 있는 경우에는, 상기 단계 S3으로 복귀하여 다음 페이지의 데이터를 동일하게 ECC 확인하는 동시에 그 ECC 확인의 판정에 의해 전술한 처리를 반복 실행한다.
즉,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 카드의 기록 영역의 물리 블록 페이지에 에러 정정 불가능한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어도 에러 정정 불가능했던 데이터에 대해서는 그 에러 데이터가 있는 상태로 재생하도록 함에 따라 상기 에러 데이터를 포함하여 정정할 수 없었던 페이지의 음성 내용은 판독하기 어려운 음성으로서 출력되지만, 그 에러 데이터를 포함하여 정정할 수 없었던 페이지에 이어서 다음 페이지 이후의 오류가 없는 데이터 또는 에러 정정된 데이터는 복호되고 신장되어 음성으로서 계속 재생된다.
또한, 상기의 경우에 에러 데이터를 포함하여 정정할 수 없었던 페이지의 음성 내용은 판독하기 어려운 음성으로서 출력되지만, 그 1 페이지분의 음성 데이터가 시간이 짧으면 재생음으로서는 우려되지 않는다.
즉, 단위 페이지 당 데이터 영역은 상술한 바와 같이 예컨대 512 바이트로 정해져 있지만, 재생시, 데이터 영역의 기록 데이터의 에러 정정이 동 페이지의 용장부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페이지 단위로 행해지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1 페이지 당 데이터 영역(512 바이트)에 기록하는 음성 데이터의 크기를 작게(즉, 음성 기록 시간을 짧게) 하면, 페이지 데이터에 오류가 있어 정정할 수 없던 경우에도 음성으로서는 짧은 시간이 되어 사용자가 오류를 알아차리기 어렵게 된다.
예컨대,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 카드(25)가 8M 바이트의 기억 용량을 갖는 경우, 현재 상기 물리 블록 페이지 당 데이터량은 시계열로 연속 진행되는 음성 신호의 데이터로서, 약 0.5초간의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 카드(25)의 기억 용량이 8M 바이트 이상으로 확대됨에 따라 상기 물리 블록당 페이지 수는 증가하고, 또한, 제어부(24A)나 비휘발성 메모리 카드(25) 등의 동작 속도가 고속화됨으로써, 페이지(512 바이트) 당 기록하는 음성 데이터의 기록 시간을 짧게 하여도 모든 페이지에 기록되는 음성 데이터량이 적어지는 경우는 없다. 즉, 페이지 당 기록 시간을 단축하여도 최근의 비휘발성 메모리 카드(25)의 용량 증대에 따라 메모리 카드를 이용한 기록 재생 장치의 전체로서의 음성 기록 시간이 줄어드는 경우는 없다.
이상으로부터, 상기 8M 바이트의 비휘발성 메모리 카드(25)의 경우에도, 어떤 페이지에 에러 정정 불가능한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음으로써, 0.5초간의 미불명 음성이 출력되지만, 그 에러 정정 불가능한 페이지 이후의 페이지의 음성 재생이 계속되어 행해짐으로써, 상기 의미 불명 음성의 내용도 전후의 음성으로부터 추측 판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페이지 당 기록 시간(기록량)이 단축되면, 페이지 당 재생 시간도 줄어들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그 의미 불명음을 알아차리게 할 새도 없이 다음 소리가 재생되어 아무런 위화감이 없는 재생 음성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다음에, 본 발명의 디지털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10) 제어부(24A)의 디지털 데이터 복호 제어부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서 도 3의 플로우차트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이 밖의 실시예의 동작인 단계 S11 내지 S14의 처리 동작은 도 2의 상기 단계 S1 내지 S4의 처리 동작과 동일하다. 상기 단계 S14에서 ECC 확인한 결과, ECC 확인 NG로 판정되면, 단계 S17로 이행하여 상기 단계 S14에서 판정된 페이지의 데이터 영역의 디지털 부호화 압축 데이터의 복호 및 신장 처리를 행하지 않고, 단계 S17에서 모든 페이지의 데이터 판독이 종료했는지 판정하고, 재차 상기 단계 S13으로 되돌아가서, 다음 페이지의 디지털 부호화 압축 데이터를 독출하여 그 페이지의 단계 S14 내지 S17의 처리 동작을 반복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단계 S14에서 ECC 확인하여 OK로 판정되면, 단계 S15에서, 상기 뮤트 회로(15)의 동작을 오프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 공급하여 단계 S16에서 상기 음성 처리 IC(31)의 복호화 신장 회로(26)에서 복호하고, 또한 신장하여 상기 D/A 회로(27)에 의해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한 후, 상기 음성 증폭 회로(13)를 거쳐 스피커(14)로부터 음성으로서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즉, 이 밖의 실시예의 처리 동작은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 카드(25)의 물리 블록 페이지마다 에러 정정을 행하고, 에러 정정 불가능한 데이터가 존재하는 페이지는 스킵하여 복호 및 신장 처리를 행하지 않으며, 다음 에러 정정이 없거나 또는 에러 정정된 페이지의 데이터를 복호하고, 또 신장하여 재생 출력하도록 한 것이다.
이것에 의해, 에러 정정 불가능한 데이터를 갖는 페이지는 스킵되어 재생 출력되지 않지만, 상기 에러 정정 불가능 페이지 이후의 페이지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의 재생 출력이 가능해진다.
다음에, 본 발명의 디지털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10)의 제어부(24A)의 디지털 데이터 복호 제어부(M2)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해서 도 4의 플로우차트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4의 단계 S21에서 S24는 도 1의 상기 단계 S1 내지 S4와 동일한 처리 동작이다. 단계 S24에서,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 카드(25)의 물리 블록의 페이지 단위로 독출한 디지털 부호화 압축 데이터의 ECC 확인하여, NG인 경우는 단계 S25로 이행하여 상기 제어부(24A)로부터 상기 뮤트 회로(15)의 동작을 온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공급한다. 다음에, 단계 S27에서, 상기 단계 S24에서 ECC 확인하여 NG로 판정된 페이지의 데이터 영역의 에러 정정 불가능 데이터를 포함하는 디지털 부호화 압축 데이터가 상기 음성 처리 IC(31)의 복호화 신장 회로(26)로 공급되어 복호 및 신장 처리되어 상기 D/A 회로(27)로써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한 후, 상기 음성 증폭 회로(13)를 거쳐 스피커(14)로 공급된다. 단계 S27은 도 2의 단계 S6과 동일 처리를 행하고, 에러 데이터를 그대로 복호하여 신장한다. 그러나 이때, 상기 뮤트 회로(15)는 단계 S25에서 동작이 온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음성 증폭 회로(13)로부터 공급되는 음성 신호는 뮤트 회로(15)에 의해 뮤트되어 상기 스피커(14)로 공급되지 않고, 음성 출력되지 않는다.
한편, 상기 단계 S24에서 ECC 확인하여 OK로 판정되면, 단계 S26에서 상기 제어부(24A)로부터 상기 뮤트 회로(15)의 동작을 오프하는 제어 신호가 공급된다. 다음에, 단계 S27에서, 상기 단계 S24에서 ECC 확인하여 OK로 판정된 페이지의 디지털 부호화 압축 데이터가 상기 음성 처리 IC(31)의 복호화 신장 회로(26)에서 복호 및 신장 처리되고, 상기 D/A 회로(27)로써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되어 상기 음성 증폭 회로(13)를 거쳐 스피커(14)로부터 오류가 없는 음성으로서 재생 출력된다. 이때, 상기 뮤트 회로(15)는 상기 단계 S26에서, 뮤트 회로(15)의 동작 오프 제어되기 때문에, 상기 복호화 신장 회로(26)에서 복호되고, 또한 신장된 음성이 출력된다.
다음에, 상기 단계 S27이 종료하면, 단계 S28에서 재생 대상 파일 데이터의 각 물리 블록의 모든 페이지의 독출과 ECC 확인이 종료했는지 또는 조작 스위치(29)로부터 정지 모드로 설정하기 위한 입력이 있었는지가 확인되고, 정지 모드의 입력이 없고 아직 나머지 페이지가 있는 경우에는, 상기 단계 S23으로 귀환하여 다음 페이지의 데이터를 동일하게 ECC 확인하는 동시에 그 ECC 확인의 판정에 의해 전술한 처리를 반복 실행한다.
즉, 이 실시예는 ECC 확인의 결과, 물리 블록의 페이지에 기록되어 있는 에러 정정용 데이터로서는 정정할 수 없는 오류를 포함하는 디지털 부호화 압축 데이터가 기록된 페이지는 상기 복호화 신장 회로(26)에서 복호 및 신장 처리를 행하여 음성 증폭 회로(13)로 공급하지만, 상기 뮤트 회로(15)의 동작을 온 상태로 제어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에러 정정 불가능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물리 블록 페이지의 데이터는 재생 출력되지 않는다. 그러나, 이 에러 정정 불가능 데이터를 포함하는 페이지의 다음 페이지는 독출과 에러 정정 처리를 행할 수 있고, 따라서 복호 및 신장 처리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며, 재생 대상의 파일 데이터의 최종 페이지까지 재생이 가능해진다. 또한, 에러 정정 불가능 데이터를 포함하는 페이지는 재생 음성은 스피커로부터 출력되지 않지만, 그 무출력 시간은 단시간이며, 음성의 전후 재생 음성으로부터 내용의 추정도 가능해지고, 또는 무시할 수 있을 정도의 무음 상태가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에러 정정용 데이터로 정정 불가능한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그 정정 불가능 데이터 부분은 에러 데이터를 포함한 상태로 재생시키거나 또는 정정 불가능 데이터 부분을 스킵, 또는 출력부를 뮤트(mute)하여 정정 불가능 데이터 부분을 비출력 상태로 하여 재생 동작을 계속하는 것이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디지털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10)의 제어부(24A)의 디지털 데이터 복호 제어부(M2)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 2 및 도 3의 플로우차트에서는, 항상 뮤트 회로(15)의 동작을 정지시키거나 또는 뮤트 회로(15)의 동작에 관계없이 처리를 진행시키기 때문에, 도 2 및 도 3의 동작을 실현시키는데 있어서, 디지털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10)로부터 뮤트 회로(15)를 제거하여도 지장이 없다. 또한, 뮤트 회로(15)를 제거한 경우는, 디지털 데이터 복호 제어부(M2)에 뮤트 회로(15)의 동작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기능을 포함시킬 필요도 없어지는 것은 분명하다.
이상 기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시계열로 연속 진행되는 정보를 소정의 디지털 부호화 압축 데이터로 변환하고, 또한, 그 변환한 디지털 부호화 압축 데이터의 에러 정정용 데이터를 생성하여 양 데이터를 모두 비휘발성 메모리 카드에 기록하며,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 카드에 기록된 데이터를 판독하고, 상기 에러 정정용 데이터를 기초로 에러 정정된 디지털 부호화 압축 데이터를 복호 및 신장하여 재생할 때에, 상기 에러 정정용 데이터로 정정 불가능한 데이터가 상기 디지털 부호화 압축 데이터 중에 존재하여도 그 에러 정정 불가능 부분을 스킵 또는 뮤트하거나, 또는 오류가 존재하는 상태로 재생시킴으로써, 원하는 파일 데이터를 처음부터 종료까지 재생 출력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가 기록 내용을 재생 확인할 수 있는 효과를 갖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상 기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 가능하다.

Claims (5)

  1. 시계열로 계속되는 아날로그 정보를 디지털 부호화 압축 데이터로 변환하는 디지털 부호화 압축부(23)와, 이 부호화 압축된 데이터가 기록되는 비휘발성 메모리 카드(25)와, 디지털 부호화 압축 데이터를 복호하는 동시에 신장하는 디지털 복호화 신장부(26)와, 상기 복호되어 신장된 디지털 신호를 변환한 아날로그 신호를 시계열로 계속하여 출력하는 출력부(13, 14)를 갖는 디지털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부호화 압축부(23) 및 디지털 데이터 복호화 신장부(26)와,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 카드(25)의 사이에서 디지털 부호화 압축 데이터의 교환을 행하여,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 카드(25)의 소정의 기록 영역으로 상기 디지털 부호화 압축 데이터를 기록하고,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 카드(25)로부터 디지털 부호화 압축 데이터를 독출하는 기록 재생 제어부(24A)와;
    상기 디지털 부호화 압축부(23)에서 생성된 디지털 부호화 압축 데이터의 기록시에, 상기 디지털 부호화 압축 데이터의 에러 정정용 데이터를 생성함과 동시에 상기 디지털 부호화 압축 데이터와 에러 정정용 데이터를 소정 포맷의 파일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 카드(25)의 소정의 기록 영역에 기록하는 상기 기록 재생 제어부(24A)에 설치된 디지털 데이터 기록 제어부(M1)와;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 카드(25)에 기록된 파일 데이터의 재생시에 상기 파일 데이터를 독출하고 상기 파일 데이터에 포함되는 에러 정정용 데이터에 기초하여상기 디지털 부호화 압축 데이터의 에러 정정 처리를 행하며, 상기 에러 정정 처리에 의해 데이터에 오류가 없다고 판정되거나 또는 오류가 정정되었는지의 여부에 상관없이 상기 에러 정정 처리 후의 디지털 부호화 압축 데이터를 상기 디지털 복호 신장부(26)에서 복호하고, 신장하여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상기 기록 재생 제어부(24A)에 설치된 디지털 데이터 복호 제어부(M2)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데이터 기록 제어부(M1)는 상기 디지털 부호화 압축 데이터와 그 데이터의 에러 정정용 데이터를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 카드(25)의 기록 영역의 기록 페이지 단위로 생성하여 상기 소정의 파일 데이터로 변환하고, 상기 디지털 데이터 복호 제어부(M2)는 상기 파일 데이터를 상기 페이지 단위로 독출하여 상기 재생된 에러 정정용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디지털 부호화 압축 데이터의 에러 정정을 행하며, 데이터에 오류가 없다고 판정되거나 또는 오류가 정정되었는지의 여부에 상관없이 상기 에러 정정 처리 후의 디지털 부호화 압축 데이터를 상기 디지털 복호 신장부(26)에서 복호하고, 신장하여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인 디지털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된 아날로그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13, 14)와, 상기 출력부(13, 14)의 동작을 제어하는 뮤트부(15)를 더 구비하고, 상기 디지털 데이터 복호 제어부(M2)는 상기 에러 정정 처리에 의한 에러 정정이 불가능한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뮤트부(15)에 의해 상기 아날로그 출력을 저지하도록 제어하는 것인 디지털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
  4. 시계열로 계속되는 아날로그 정보를 디지털 부호화 압축 데이터로 변환하는 디지털 부호화 압축부(23)와, 이 부호화 압축된 데이터가 기록되는 비휘발성 메모리 카드(25)와, 디지털 부호화 압축 데이터를 복호하는 동시에 신장하는 디지털 복호화 신장부(26)와, 상기 복호되어 신장된 디지털 신호를 변환한 아날로그 신호를 시계열로 계속하여 출력하는 출력부(13, 14)를 갖는 디지털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부호화 압축부(23) 및 디지털 데이터 복호화 신장부(26)와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 카드(25)의 사이에서 디지털 부호화 압축 데이터 교환을 행하여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 카드(25)의 소정 기록 영역으로 상기 디지털 부호화 압축 데이터를 기록하고,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 카드(25)로부터 디지털 부호화 압축 데이터를 독출하는 기록 재생 제어부(24A)와;
    상기 디지털 부호화 압축부(23)에서 생성된 디지털 부호화 압축 데이터의 기록시에 그 디지털 부호화 압축 데이터의 에러 정정용 데이터를 생성함과 동시에 상기 디지털 부호화 압축 데이터와 에러 정정용 데이터를 소정 포맷의 파일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 카드(25)의 소정 기록 영역에 기록하는 상기 기록 재생 제어부(24A)에 설치된 디지털 데이터 기록 제어부(M1)와;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 카드(25)에 기록된 파일 데이터의 재생시에 상기 파일데이터를 독출하고, 상기 파일 데이터에 포함되는 에러 정정용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디지털 부호화 압축 데이터의 에러 정정 처리를 행하며, 상기 에러 정정 처리에 의해 데이터의 오류가 정정 불가능한 경우에 상기 에러 정정 불가능한 데이터의 처리를 스킵하여 상기 에러 정정 처리로 오류가 없다고 판정되거나 또는 오류가 정정된 상기 디지털 부호화 압축 데이터를 상기 디지털 복호 신장부(26)에서 복호하고, 신장하여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상기 기록 재생 제어부(24A)에 설치된 디지털 데이터 복호 제어부(M2)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데이터 기록 제어부(M1)는 상기 디지털 부호화 압축 데이터와 그 데이터의 에러 정정용 데이터를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 카드(25)의 기록 영역의 기록 페이지 단위로 생성하여 상기 소정의 파일 데이터로 변환하고, 상기 디지털 데이터 복호 제어부(M2)는 상기 파일 데이터를 페이지 단위로 독출하여 상기 재생된 에러 정정용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디지털 부호화 압축 데이터의 에러 정정을 행하며, 에러 정정이 불가능한 데이터가 포함되는 페이지를 스킵하여 오류가 없다고 판정되거나 또는 에러 정정이 행해진 페이지만의 디지털 부호화 압축 데이터를 상기 디지털 복호 신장부(26)에서 복호하고, 신장하여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인 디지털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
KR1020000014209A 1999-03-23 2000-03-21 디지털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 KR1003476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1078391A JP2000278142A (ja) 1999-03-23 1999-03-23 デジタルデータ記録再生装置
JP99-078391 1999-03-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2968A KR20000062968A (ko) 2000-10-25
KR100347626B1 true KR100347626B1 (ko) 2002-08-07

Family

ID=136607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4209A KR100347626B1 (ko) 1999-03-23 2000-03-21 디지털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738944B1 (ko)
EP (1) EP1039474A3 (ko)
JP (1) JP2000278142A (ko)
KR (1) KR100347626B1 (ko)
UA (1) UA51809C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62269B2 (ja) * 2008-06-06 2011-08-3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再生装置、集積回路及び再生方法
US9098519B2 (en) * 2008-09-16 2015-08-04 File System Labs Llc Methods and apparatus for distributed data storage
JP2011060217A (ja) * 2009-09-14 2011-03-24 Toshiba Corp データ蓄積装置及びデータ書込み/読出し方法
WO2011060603A1 (zh) * 2009-11-19 2011-05-26 青岛海信移动通信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txt文件的解码、阅读方法及装置
JP5789767B2 (ja) * 2009-11-25 2015-10-07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半導体記録装置及び半導体記録装置の制御方法
KR102081588B1 (ko) 2013-08-08 2020-02-26 삼성전자 주식회사 Ecc 디코더의 동작 방법 및 그것을 포함하는 메모리 컨트롤러
KR102495915B1 (ko) 2018-04-30 2023-02-03 삼성전자 주식회사 스토리지 장치 및 상기 스토리지 장치를 포함하는 서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35356A (en) * 1991-09-09 1996-07-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gital data recording/playback system utilizing EEPROM and ROM memories as a storage medium
KR19990072945A (ko) * 1998-02-25 1999-09-27 가나이 쓰도무 실시간데이타기록방법
KR19990074049A (ko) * 1998-03-02 1999-10-05 구자홍 기록매체의 결함영역 관리자료 생성방법 및 생성장치 그리고 이에 의한 광기록매체
KR20000015754A (ko) * 1998-08-17 2000-03-15 구자홍 실시간 기록/재생시의 결함 영역 관리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76965A (en) * 1989-09-14 1994-12-27 Olympus Optical Co., Ltd. Electronic imaging system capable of recording/reproducing images with any one of several possible recording media
JPH03232029A (ja) * 1989-12-08 1991-10-16 Fuji Photo Film Co Ltd メモリカードの記憶管理方式
US6084630A (en) * 1991-03-13 2000-07-04 Canon Kabushiki Kaisha Multimode and audio data compression
JP3134392B2 (ja) * 1991-08-29 2001-02-13 ソニー株式会社 信号符号化装置及び方法、信号復号装置及び方法、信号記録装置及び方法、並びに信号再生装置及び方法
KR100258921B1 (ko) * 1994-03-31 2000-06-15 윤종용 광디스크 기록/재생장치
KR0182939B1 (ko) * 1995-06-28 1999-04-15 김광호 특정 기록포멧을 갖는 아이씨 카드 메모리 및 그로부터의 디지탈음성 기록 및 재생방법
US5920833A (en) * 1996-01-30 1999-07-06 Lsi Logic Corporation Audio decoder employing method and apparatus for soft-muting a compressed audio signal
JPH10187199A (ja) 1996-12-24 1998-07-14 Oki Electric Ind Co Ltd 半導体記憶媒体記録装置及び半導体記憶媒体再生装置
JP3596841B2 (ja) * 1997-01-24 2004-12-02 株式会社ルネサステクノロジ 受信データ伸長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35356A (en) * 1991-09-09 1996-07-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gital data recording/playback system utilizing EEPROM and ROM memories as a storage medium
KR19990072945A (ko) * 1998-02-25 1999-09-27 가나이 쓰도무 실시간데이타기록방법
KR19990074049A (ko) * 1998-03-02 1999-10-05 구자홍 기록매체의 결함영역 관리자료 생성방법 및 생성장치 그리고 이에 의한 광기록매체
KR20000015754A (ko) * 1998-08-17 2000-03-15 구자홍 실시간 기록/재생시의 결함 영역 관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039474A3 (en) 2001-02-07
US6738944B1 (en) 2004-05-18
EP1039474A2 (en) 2000-09-27
KR20000062968A (ko) 2000-10-25
JP2000278142A (ja) 2000-10-06
UA51809C2 (uk) 2002-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92440B1 (en) MP3 car player
US2001004956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udio output in a mobile terminal
KR100347626B1 (ko) 디지털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
JP4012976B2 (ja) 口述録音及び録音再生装置
JP2000278142A5 (ko)
JP3585816B2 (ja) ディジタル式記録再生装置
US7023789B2 (en) Playback device and storage medium for selective storage of data as a function of data compression method
JP4003362B2 (ja) アナログ入力装置及びアナログ出力装置
KR20090098683A (ko) 디지털 데이터 재생 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JP3923594B2 (ja) 音声記録再生装置
US20050197830A1 (en) Method for calculating a frame in audio decoding
US20050259964A1 (en) Information reproduction apparatus, information reproduction method, information reproduction program, and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having the program recorded thereon
KR200298904Y1 (ko) 휴대용 반주기
KR100785206B1 (ko) 디빅스 재생 장치에서의 자막 언어 표시 장치 및 그 방법
JPH0279549A (ja) 音声信号符号化蓄積装置
JP3490655B2 (ja) オーディオ信号復号器
KR940008879B1 (ko) 집적회로(ic) 메모리 카드 오디오 시스템
JP2002358098A (ja) データ再生装置
JPH09288500A (ja) 音声記録再生装置
JP5945448B2 (ja) 電子装置、記録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H09146594A (ja) 音声記録再生装置
JPS63175895A (ja) 無音圧縮音声録音装置
JP2006343740A (ja) 音声情報変換装置及び方法
JPH05334893A (ja) Icメモリ音声録音再生装置
JPH07129199A (ja) 音声記録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63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