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46347B1 - 유리표면등과같은큰표면을차폐하기위한장치및스크린의설치방법 - Google Patents

유리표면등과같은큰표면을차폐하기위한장치및스크린의설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6347B1
KR100346347B1 KR1019970005449A KR19970005449A KR100346347B1 KR 100346347 B1 KR100346347 B1 KR 100346347B1 KR 1019970005449 A KR1019970005449 A KR 1019970005449A KR 19970005449 A KR19970005449 A KR 19970005449A KR 100346347 B1 KR100346347 B1 KR 1003463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
curtain
suspension line
suspension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054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61056A (ko
Inventor
헤닝슨 괴란
안데르슨 한스
Original Assignee
루드비히 스벤쏜 인터내쇼날 비.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SE9600675A external-priority patent/SE9600675D0/xx
Application filed by 루드비히 스벤쏜 인터내쇼날 비.브이. filed Critical 루드비히 스벤쏜 인터내쇼날 비.브이.
Publication of KR9700610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610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63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63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2Shades or blinds for greenhous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2009/1484Glazing apparatu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rtains And 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AREA)
  • Greenhouses (AREA)
  • Surface Treatment Of Glass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By Optical Means (AREA)
  • Optical Measuring Cells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 Instrument Panels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리 표면 등과 같은 큰 표면을 차폐하기 위한 장치 및 스크린의 설치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장치는 다수의 지지 라인(12)에 의해 지지되는 온실 커튼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커튼(14)을 포함하며, 지지 라인을 따라 커튼을 개방 또는 폐쇄 이동시킬 수 있다. 커튼은 지지 라인(12)을 가로질러 커튼에 일체로 된 다수의 서스펜션 라인(26)을 포함하며, 서스펜션 라인은 커튼의 길이를 따라 자유롭게 이동 가능하다. 지지 라인은 연결기들을 통해 하나 또는 몇 개의 서스펜션 라인(26)에 의해 함께 결합될 수 있다. 커튼(14)에 일체로 된 서스펜션 라인(26)들 중의 적어도 일부는 지지 라인(12)들 중의 적어도 일부 사이에서 신장되어 있다. 서스펜션 라인이 신장될 때, 서스펜션 라인(26)은 커튼과 상기 연결기(15)에서 자유롭게 이동 가능하고, 연결기(15)들 중의 적어도 일부는 서스펜션 라인(26)에 부착 가능하다.

Description

유리 표면 등과 같은 큰 표면을 차폐하기 위한 장치 및 스크린의 설치 방법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커튼, 특히 온실 커튼을 포함하는 유리 표면과 같은 큰 표면을 차폐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온실 커튼은 다수의 지지 라인에 의해 지지되며, 커튼은 다수의 지지 라인을 따라 개방 또는 폐쇄 가능하며, 상기 커튼은 지지 라인을 가로질러 커튼에 일체로 된 다수의 서스펜션 라인을 포함하고 있다. 서스펜션 라인은 커튼의 길이를 따라 자유롭게 이동 가능하고, 지지 라인은 연결기를 사용하여 적어도 하나 또는 몇 개의 서스펜션 라인과 함께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폐용 장치의 조립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온실 커튼 또는 쉐이드(shade) 커튼은 유리 지붕에 인접한 온실의 길이를 따라 신장된 지지 라인에 걸쳐 있거나 지지 라인 하에 걸려져 있다. 비교적 다수의 지지 라인이 필요하고 지지 라인들 사이의 거리는 전형적으로 0,5 m 정도로서, 그로 인해 고가의 설치 비용, 장시간의 설치 시간 및 조명도의 감소를 야기하고, 온실의 구조가 특히 대규모 온실일 때에 다수의 강철 전선 또는 라인의 하중을 견뎌내기에 충분하도록 요구된다. 예를 들어 50 × 100 m는 일반적인 것이다.
지지 라인이 상호 단거리로 유지되어야 하는 이유는 온실 커튼이 너무 취약하며 직물 자체 내에 지지 후크를 포함할 수 없기 때문이다. 그렇지 않으면, 온실이 열려 있을 때에 공기 개구를 통한 바람에 의해 커튼이 뽑히게 된다. 지금까지, 이러한 문제점은 지지 라인을 따라 있는 커튼의 상부를 따라, 즉 커튼의 폭을 따라스트립을 재봉(sewing)함으로써 완화되어져 왔다. 또 다른 대안예는 스트립을 재봉하는 대신에 보강 테이프를 그곳에 접착시키는 것이다. 또한, 후크가 부착되어야 하는 영역에서 외부력을 더 양호하게 견디도록 재료를 더 두껍게 만든 다양한 변형예들이 있다. 이러한 대안예들은 모두 최적이지 않고, 시간과 비용이 소모적이며, 사용 환경하에 따라 강도가 제한된다.
WO 제32/12621호에서, 스트립 지지 후크가 부착된 재료에 일체로 된 스트립으로 길이를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보강된 온실 커튼이 이미 중지되어 있다. 그 재료는 지지 라인들 사이에 결려져 있지 않아야 하고 단지 중요하지 않은 색(sag)만이 허용될 수 있기 때문에, 지지 라인 사이의 거리는 보강 스트립에도 불구하고 증가될 수 없다.
또 다른 문제점은 직물이 제조시에 수축되었다 할지라도 직물의 길이를 따라 발생하는 필연적인 수축성의 문제이다. 온실 직물은 100 m까지 길게 만들어질 수 있고, 수축율이 0.5%로 작을지라도 총 수축 길이는 0.5 m에 달하게 되며, 그 길이는 수축의 발생시에 직물에 부착된 후크의 대부분이 뽑혀지기에 충분함으로써 그 구성의 적절한 조작을 방해하게 된다.
이러한 맥락에서, 커튼이 옆으로 당겨졌을 때에 형성되는 커튼 다발이 가능한한 좁은 공간을 차지하도록 하는 것이 또한 중요한 문제가 된다. 자루처럼 불룩해진 큰 다발은 빛을 가리고 불쾌한 인상을 주게 된다.
스웨덴 제9402522-8호에서는 외부 도어용 식물 보호용 구조물이 공지되어 있는 데, 이 식물 보호용 커튼은 온실용이 아니고, 온실용 커튼과는 반대의 물이 통하지 않아야 하는 식물 보호용 커튼이다. 빗물의 방향을 바꾸기 위해서, 지지 라인들은 캐리어를 통해 종방향 비임에 부착된 가이드 사이에서 신장되어 있고, 식물 보호용 커튼은 서스펜션 라인 사이에 경사 채널을 형성하도록 배열되어 있다. 지지 라인 및 서스펜션 라인은 전체 구조의 붕괴를 유발할 수 있는 수낭(water pocket)의 형성을 주로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된 단점들을 해결하는 것으로서, 온실 내의 지지 라인의 수를 감소시키고, 커튼 직물의 지지 지점들을 특별한 작업없이 보강하며, 직물의 길이를 따라 발생하는 수축성의 문제를 제거하고, 커튼이 옆으로 당겨져 있을 때에 커튼 다발의 크기를 감소시키고, 지지 라인을 조립하고 커튼을 부착하는데 요구되는 작업량을 현저히 감소시키는 것이다.
차폐용 장치에 관련된 상기 단점들은, 커튼에 일체로 된 적어도 일부의 서스펜션 라인을 적어도 일부의 지지 라인 사이에서 신장시킴으로씨, 서스펜션 라인이 신장 중에 커튼 및 연결기에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고 적어 일부의 연결기를 서스펜션 라인에 고정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제거되어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차폐용 장치의 조립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서스펜션 라인이 연결기에 대해 이동할 수 있도록 커튼에 일체로 된 서스펜션 라인에 연결기를 부착함으로써, 지지 라인에서 연결기를 사용하여 커튼 장착하거나 또는 연결기가 서스펜션 라인에 부착된 채로 지지 라인에 연결기를 배치함으로써 그리고 지지 라인들 중의 적어도 2개 사이에서 서스펜션 라인을 신장시키고 연결기들중 적어도일부로 신장된 서스펜션 라인을 고정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
도1은 폐쇄된 위치의 제1 커튼부와 인접부로서 개방 위치의 제2 커튼부를 구비한 온실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2는 도1의 선 II-II를 따라 확대 도시한 단면도.
도3은 도2의 선 III-III을 따라 온실 커튼을 확대 도시한 평면도.
도4는 지지 라인으로부터 현수된 부착식 이중 서스펜션 라인을 구비한 연결기를 도시하는 도면.
도5는 도4의 선 V-V를 따라 도시한 단면도.
도6은 부착된 개방 연결기를 갖는 커튼의 일부를 통한 개략 단면도.
도7은 풀링 라인으로서 기능을 하는 지지 라인에 대향한 2개의 지붕 트러스 사이의 커튼의 일 섹션을 도1의 선 VII-VII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
도8은 다른 형태의 연결기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
도9는 도8의 선 IX-IX를 따라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부호의 설명>
10 : 지붕 트러스
11 : 온실
12 : 지지 라인
12a : 지붕에서의 지지 라인
12b : 벽에서의 지지 라인
13 : 섹션
14 : 온실 커튼
15 : 연결기(후크)
16 : 제1 레그
17 : 제2 레그
18 : 중간부
19 : 루프
19a : 루프 구멍
20 : 루프
20a : 루프 구멍
21 : 포일 스트립
23 : 종방향 연결 라인
24, 25 : 횡방향 연결 라인
26 : 서스펜션 라인
27 : 보강 라인
31 : 풀링 라인
34 : 홈
본 발명은 다음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되고 예시될 것이다.
도1은 유리 부품들을 포함하나 유리 지붕 아래에서 벽들을 따라 위치한 지지 라인(12)을 갖는 온실의 한 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으로서, 상기 지지 라인(12)은 온실의 단부들(도시되지 않음) 사이 또는 지붕 트러스(10) 및 벽 포스트(9) 사이와 같은 다른 부분들 사이에서 신장되어 있다. 온실은 온실 커튼(14)의 최대 폭에 대응하는 섹션(13)으로 분할된다. 따라서, 커튼의 길이는 온실의 길이를 가로질러 향하게 된다. 공지된 방식에서, 커튼(14)은 도2에 도시된 지지 라인(12)에 의해 연결기(15)를 통해 지지된다.
도6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라, 온실 커튼(14)은 위빙(weaving) 또는 크로세잉(crocheting) 방식에 의해 제조된 실 골조(22)의 다수의 좁은 포일 스트립(21) 등으로 구성된다. 크로세잉의 경우에서, 실 골조는 포일 스트립이 커튼 밖으로 당겨지는 것을 방지하는 솔방향 및 횡방향 연결 라인(23, 24, 25)을 포함한다.
포일 스트립(21)은 투명, 반투명, 약흡수, 약반사성 등이거나, 이들을 혼합한 성질을 가질 수 있으며, 또한 부분적으로 빠져있어서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개방 신장부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0 내지 40 cm 의 일정한 간격으로 포일 스트립이 서스펜션 라인(26)에 제공되거나 혹은 시스펜션 라인(26)으로 대체될 수있으며, 이 서스펜션 라인의 폭은 포일 스트립의 폭과 동일하거나 다소 작게 이루어진다. 서스펜션 라인은 당겨질 때에 그 길이를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실 골조에 일체식으로 구성된다. 서스펜션 라인(26)은 커튼의 일부분을 따라 연결기(15)로부터의 힘을 흡수 및 분산하도록 구성된다. 연결기(15)는 연결기를 서스펜션 라인 둘레에 고정시켜 커튼에 적절히 부착된다. 서스펜션 라인의 재료는 고인장 강도와 저탄성을 구비하여야 하며, 폴리에스테르, 금속 등의 실(27)로 보강된 저밀도 폴리에틸렌으로 적절히 구성된다. 서스펜션 라인은 평평한 단면을 구비하는 것이 유리하다.
WO 제92/12621호로부터 이미 공지된 연결기(15)는 6형 후크로 구성되는데, 이 S형 후크에서 2개의 자유 레그(16, 17)는 개방 위치로부터 레그(16, 17)가 폐쇄된 루프(19, 20)를 형성하는 연결기의 중간부(18)에 연결된 폐쇄 위치로 탄성적으로 구부러짐 가능하다. 커튼(14)은 루프 구멍(19a)에 부착되고, 지지 라인(12)은 루프 구멍(20a)에 부착된다. 루프(19)의 내부 단면은 서스펜션 라인(26)의 단면보다. 충분히 더 커서, 서스펜션 라인이 루프에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고, 루프의 내부 단면이 서스펜션 라인의 부가적인 부분을 수용하기에 충분히 크도록 형성되어 있다.
커튼을 걸기 전에, 연결기(15)는 예를 들어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40 cm의 거리로 커튼에 일체의 된 서스펜션 라인(26) 주위에 걸림으로써, 루프(19)가 폐쇄된 후에 서스펜션 라인이 커튼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이 있게 된다. 루프(2O)를 개방함으로써, 루프가 폐쇄된 후에 후크(15) 및 부착된 커튼이 지붕 및벽의 지지 라인(12a, 12b) 상에 걸릴 수 있다. 기기 라인(1값) 및 가능한 일부의 지붕 지지 라인(12a)의 목적은 커튼을 신장시키는 것이다. 이는 후크들 사이에 비교적 직선의 "라인들"을 형성하도록 레버 기구를 사용하거나 지지 라인을 수작업으로 신장시켜 이루어질 수 있다. 신장된 서스펜션 라인(25)은 예를 들어 도4 및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의 레그(16) 둘레에 서스펜션 라인을 적어도 한번 완전히 감음으로써 지지 라인(12b) 상에 부착된 연결기(15)에 고정되어 루프(19)가 서스펜션의 2개 부분을 보유하도록 한다. 루프(19) 내의 루프 구멍(19a)은 루프가 폐쇄될 때에 루프가 가압되도록 서스펜션 라인의 이중 단면과 관련하여 치수가 정해지는데, 그것은 후크를 서스펜션 라인에 대해 고정시키기에 충분한 치수이다.
물론, 라인을 후크 둘레에 감고 루프 내에 라인을 핀으로 고정하는 이외의 다른 방식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다른 형태의 연결기들도 가능하다.
다른 예가 도3에 도시되어 있는데, 후크(15) 내의 루프(19)는 서스펜션 라인(26)이 라인을 따라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치수가 정해지며, 그것은 라인이 우측 위치에 걸리도록 커튼을 걸 때에 필요하다. 따라서, 걸려진 커튼(14)의 서스펜션 라인은 그 다음에 파단 지점(29)들 사이에서 섹션 대 섹션식으로 적절하게 신장되고, 그 이후에 후크(15) 또는 적어도 상기 파단 지점들에서의 후크가 신장력을 수용할 수 있도록 서스펜션 라인(26)에 고정된다. 온실의 유리 부분이 외부에서의 부착을 불가능하게 하기 때문에 온실의 내부에서 부착이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후크(15)가 특정한 운동성을 갖는 것이, 즉 서스펜션 라인(16)에 절대적으로 고정되지는 않고 온실 구성부에 접속이 더 양호하고 부드럽게 하는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부착되는 것이 유리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것은 화살표에 의해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장된 라인의 길이를 따라 후크(15)가 걸려진 직후에 스톱부(30)를 신장된 서스펜션 라인(26)에 핀으로 고정시킴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스톱부(30)는 특수한 집게를 사용하여 서스펜션 라인 둘레에 만곡되어 확실히 고정되는 금속 클립이 이용된다. 클립을 핀으로 고정하는 것은 온실 내부로부터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클립은 예를 들어 재신장이 필요란 경우에 클립을 절단하여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다.
또 다른 예가 도8 및 도9에 도시되며, 여기서 개방 가능한 루프(19)의 루프 구멍(19a)은 루프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에 서스펜션 라인(26)을 핀으로 고정하고 상호 대항하여 작용하는 2개의 핀 고정 슈즈(28)로 구성된다. 그러한 경우에서, 2 개의 상이한 유형의 연결기들이 필요한 데, 즉 서스펜션 라인이 그 길이를 따라 자유롭게 이동하게 하는 것과, 서스펜션 라인을 고정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서스펜션 라인(26)이 충분한 가요성을 가지면, 서스펜션 라인은 연결기(15)에 부착될 수 있다. 또 다른 실행 가능한 대안 연결기가 한 방향으로 당겨질 때는 서스펜션 라인을 체결시키고 반대 방향으로 당겨질 때는 해제하는 예를 들어 척 등의 형태의 공지된 셀프 로킹 부재를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연결기가 매우 좁게 형성되어, 지지 라인의 길이를 따라 최대한 3 내지 4 mm 이상의 많은 공간을 차지하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것은 후크의 두께가 접혀진 커튼 다발의 두께를 결정하기 때문에 중요한 데, 접혀진 커튼 다발의 두께가 상당히 넓은 경우에 불필요하게 빛을 가리개 되기 때문이다.
커튼(14)과 일체로 된 서스펜션 라인(25)은 과도하게 신장되어 유지될 필요가 없고, 커튼을 기본적으로 평평하게 유지하고 접힘부에서 커튼의 걸림을 방지하는 정도로 신장되어 유지되면 된다. 이러한 것은 후크(15)가 롤러 대신에 사용될 수 있음을 의미하며, 커튼이 개방 또는 폐쇄될 때에 후크 및 지지 라인 사이에 높은 마찰력이 유발되지 않는다.
서스펜션 라인(26)의 신장력과 그 전체 길이를 따라 커튼의 대부분에 걸쳐 힘을 분산하는 서스펜션 라인의 능력은 종전의 거리 0.5 m 내지 1.0-3.5 m로부터 지지 라인의 수를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음으로써, 온실 구조물에 대한 조명도의 증가, 낮은 경비, 낮은 하중, 용이한 설치 및 상당히 긴 커튼 수명의 이점을 제공한다.
커튼 재료의 수축의 문제점은, 신장시에 커튼 재료가 일체식 서스펜션 라인에 대해 이동할 수 있고, 필요한 수축 보정이 여분의 재료에 의해 제공될 수 있는 후크들 사이에 "여분의(extra)" 재료가 있기 때문에 해결되어져 왔다.
일부의 온실에서, 일부 또는 모든 지지 라인들이 수평면에 위치하고, 커튼이 지지 라인들 하의 후크들 상에 걸리는 대신에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라인의 상부에 배치되기도 한다. 또한, 이러한 경우에, 지지 라인들은 전술된 방법에 따라 신장되어 있다. 예를 들면 경사에 대해 수직으로부터 수평으로 커튼이 방향을 변경하는 파단 지점(29)들 사이의 거리가 매우 크면, 서스펜션 라인(26)을 파단 지점들에서 지지 라인에 부착된 후크에 연결하는 것이 유리해질 수 있게 된다.
커튼(14)에 일체로 된 신장된 서스펜션 라인(25)을 사용하는 것은 커튼을 개방 및 폐쇄하는 커튼의 한 단부에서의 비교적 무거운 풀링 기어가 상당히 간소화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풀링 라인에 용이한 조작으로 핀 고정될 수 있는 크로스 파스너(32)가 풀링 라인(31)으로 기능하 지지 라인(12)에 결합된다. 이러한 것은 풀링 라인(31)이 크로스 파스너를 통해 비선형으로 인도되도록 배열된 조향면(33)을 갖는 크로스 파스너를 형성함으로써 수행된다. 크로스 파스너는 풀링 라인의 횡방향을 따라 서스펜션 라인(26) 및 커튼의 일부분이 부착 가능한 홈(34)을 구비한다. 서스펜션 라인이 홈에서 이격되는 것을 풀링 라인(31)에 의해 방지하도록 홈이 가장 적절하게 배치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온실 내의 지지 라인의 수를 감소시키고, 커튼 직물의 지지 지점들을 특별한 작업없이 보강하며, 직물의 길이를 따라 발생하는 수축성의 문제가 해결되고, 커튼이 옆으로 당겨져 있을 때에 커튼 다발의 크기가 감소되며, 지지 라인을 조립하고 커튼을 부착하는데 요구되는 작업량이 현저히 감소된다.

Claims (13)

  1. 온실 커튼과 같은하나 이상의커튼(14)을 포함하며, 상기 커튼은다수의 지지 라인(12)에 의해 지지되고,커튼을 개폐하기 위해지지 라인(12)을 따라 이동 가능하며, 지지 라인(12)을 가로질러 일체로 되고커튼의 길이를따라 자유롭게 이동 가능한 다수의 서스펜션 라인(26)을 포함하고, 연결기(15)를 사용하여 하나 이상의 서스펜션라인(26)과함께 지지 라인이 결합될 수 있도록구성된 큰 표면을차폐시키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커튼(14)에 일체로 된하나 이상의 서스펜션 라인(26)은 둘 이상의 지지 라인(12)들 사이에서신장되고,
    신장시에 서스펜션 라인(26)이 커튼 및 상기 연결기(15)에서 자유롭게 이동 가능하고,
    하나 이상의 연결기(15)들은 서스펜션라인(26)에고정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온실 커튼과 같은하나 이상의커튼(14)을 포함하며, 상기 커튼은다수의 지지 라인(12)에 의해 지지되고,커튼을 개폐하기 위해지지 라인(l2)을 따라 이동 가능하며,지지 라인(12)을 가로질러 일체로 되고커튼의 길이를따라 자유롭게 이동 가능한 다수의 서스펜션 라인(25)을 포함하고, 연결기(15)를 사용하여 하나 이상의 서스펜션라인(26)과함께 지지 라인이 결합될 수 있도록구성된 큰 표면을차폐시키기 위한 장치를 조립하는 방법에 있어서,
    연결기(15)는 서스펜션 라인(26)이 연결기에 대해 이동 가능하도록 커튼에일체로 된서스펜션 라인(26)에 부착되고,
    커튼(14)은연결기(15)를 사용하여 지지 라인(12)에현수되고, 지지 라인에 결합된 연결기(15)를 통해 지지 라인에 배치되며,
    서스펜션 라인(26)은2개 이상의지지 라인 사이에서 신장되고,하나 이상의 연결기(15)에신장된 상태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연결기(15)는 후크를 포함하고,
    후크의 하나의 노치형 레그(15)는 탄성적으로 절곡 가능하고, 커튼(14)에일체로 된서스펜션 라인(26)과 함께 후크의 개방 루프(19)에서 삽입될 수 있는 제1 개방 위치와,서스펜션 라인(26)의 하나의 부분이 삽입될 때 그 길이를 따라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한편, 서스펜션 라인의 둘 이상의 부분들이 삽입될 때 연결기에 견고하게 고정되는제2 폐쇄 위치를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루프(19)의 루프 구멍(19a)은, 서스펜션 라인이 삽입될 수 있고, 폐쇄 위치에서보다 개방 위치에서 더 큰 영역을 갖고,서스펜션 라인의 몇개 부분의삽입 시에 폐쇄 구역 내에서가압되거나, 핀 고정되거나, 혹은 가압 및 고정되도록치수가 정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연결기(15)는 후크를 포함하고,
    후크의 하나의 노치형레그는탄성적으로 절곡 가능하고. 커튼(14)에일체로 된서스펜션 라인(26)과 함께후크의 개방 루프(19)에서삽입될 수 있는 제1 개방 위치를 갖고, 후크의 개방 가능한 루프(19)는 서스펜션 라인(26)이 삽입 가능한 루프의 개방 위치와 서스펜션 라인이 신장 슈즈 사이에 고정되기 쉬운 루프의 폐쇄 위치 사이에서 내측 상에 신장 슈즈(2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연결기(15)는 한 방향으로 당겨질 때는 서스펜션 라인(26)을 체결하고 반대 방향으로 당겨질 때는 서스펜션 라인을 해제하도록 배열된 적어도 하나의 셀프 로킹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1항 및 제3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양호하게는 폴리에스테르 또는 금속 등과 같은 고탄성율을 갖는또는 스트립 재료로 라인 보강된 PVC 또는 저밀도 폴리에틸렌 같은 연성 중합체인, 고인장 강도와 부드러운 표면을 구비한 재료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서스펜션 라인(26)은 평평한 스트립형 단면을 구비하고, 서스펜션 라인의 폭은 커튼(14)의 스트립(21)의 폭보다 다소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서스펜션 라인(26)은 연결기(15)에서 자유롭게 이동 가능하고, 연결기(15)들 중의 적어도 일부는 서스펜션 라인에 부착된 스톱부(30)에 의해 각각의 서스펜션 라인에 고정 가능하며, 스톱부는 연결기의 후방에서 직접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신장된 서스펜션 라인(26)에 그 길이 방향으로 부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스톱부(30)는 서스펜션 라인(26)에 견고하게 고정된 클립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클립(15)은 커튼의 이동 가능한 긴 모서리에서 풀링 라인(31)으로 사용된 지지 라인(12)에, 그리고 지지 라인에 근본적으로 수직으로 위치한 서스펜션 라인(26) 중 하나에 이동 불가능하게 고정되도록 배열된 크로스 파스너(3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각각의 크로스 파스너(32)는 지지 라인(12)을 비선형식으로 고정시키기 위한 조향면(33)을 포함하고, 크로스 파스너는 서스펜션 라인(26)과 커튼(14)의 일부분을 수용하여 고정시키도록 지지 라인에 근본적으로 수직으로 위치한 홈(3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3. 제2항에 있어서, 각각의 연결기(15)는 서스펜션 라인을 따라 반대 방향으로특정 운동성이 허용될 때에 연결기가 한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연결기 주위에 부착 가능한 클립(30)을 사용하여 서스펜션 라인(26)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19970005449A 1996-02-23 1997-02-22 유리표면등과같은큰표면을차폐하기위한장치및스크린의설치방법 KR1003463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E9600675-4 1996-02-23
SE9600675A SE9600675D0 (sv) 1996-02-23 1996-02-23 Anordning för avskärmning av stora glasytor eller liknande och sätt att montera sådan avskärmning
SE9601911-2 1996-05-21
SE9601911A SE509967C2 (sv) 1996-02-23 1996-05-21 Anordning för avskärmning av stora ytor innefattande en gardin, företrädesvis en växtskyddsgardin och sätt att montera sådan avskärmn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1056A KR970061056A (ko) 1997-09-12
KR100346347B1 true KR100346347B1 (ko) 2002-11-30

Family

ID=266625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05449A KR100346347B1 (ko) 1996-02-23 1997-02-22 유리표면등과같은큰표면을차폐하기위한장치및스크린의설치방법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1) US6170551B1 (ko)
EP (1) EP0896505B1 (ko)
JP (1) JP4017179B2 (ko)
KR (1) KR100346347B1 (ko)
CN (1) CN1091345C (ko)
AT (1) ATE208997T1 (ko)
AU (1) AU715196B2 (ko)
CA (1) CA2247292C (ko)
DE (1) DE69709724T2 (ko)
ES (1) ES2167712T3 (ko)
IL (1) IL120820A (ko)
PL (1) PL184774B1 (ko)
SE (1) SE509967C2 (ko)
TR (1) TR199801643T2 (ko)
WO (1) WO199703057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MI20012307A1 (it) * 2001-11-02 2003-05-02 Arrigoni S P A Elemento di schermatura in tessuto a rete e metodi per la realizzazione di schermature in tessuto a rete
US6662847B1 (en) * 2002-11-27 2003-12-16 American Sports International Ridge fold divider curtain
US20070051054A1 (en) * 2005-09-06 2007-03-08 John Devincenzo Retractable greenhouse
CA2592624C (en) * 2007-06-26 2017-01-10 Peter Westgarth Retractable sun shade
KR100784726B1 (ko) * 2007-08-30 2007-12-12 주식회사 캬라반이에스 확장가능한 다목적 차폐장치
US20100126673A1 (en) * 2008-11-26 2010-05-27 Whole Space Industries Ltd Window Covering Having at Least One Cord Release Device
US20100126677A1 (en) * 2008-11-26 2010-05-27 Whole Space Industries Ltd Window Covering
JP5420500B2 (ja) * 2010-08-19 2014-02-19 セイキ総業株式会社 スクリーン装置
CN102177824A (zh) * 2011-03-16 2011-09-14 上海赋民农业科技有限公司 气泡温室的遮阳系统
JP2014057567A (ja) * 2012-08-23 2014-04-03 Panasonic Corp 農業用ハウス
US9470012B2 (en) * 2013-09-06 2016-10-18 Afshin Shargani Canopy system
JP6322466B2 (ja) * 2014-04-17 2018-05-09 トーソー株式会社 遮蔽材の昇降コード用ガイドリング
US11185017B2 (en) * 2018-07-03 2021-11-30 Palram Applications (1995) Ltd.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light in a facility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899062A (en) * 1930-09-24 1933-02-28 Hough Shade Corp Splint shade support
US3418752A (en) * 1966-02-24 1968-12-31 John K. Stratton Removable covering
FR2254273A1 (en) * 1973-12-12 1975-07-11 Viart Pierre General purpose protective screen - 5 has reinforcement strips with openings passed over supports
WO1992012621A1 (en) 1991-01-24 1992-08-06 Ludvig Svensson International B.V. A cloth hanger clip and a fabric intended to be used together with the clip
US5581954A (en) * 1992-06-29 1996-12-10 Cravo Equipment Ltd. Drainage system for retractable roof
US5451445A (en) * 1993-11-16 1995-09-19 Wang; Tsu J. Foldable net assembly
SE503105C2 (sv) * 1994-07-18 1996-03-25 Svensson Ludvig Int Växtskyddsanordning med vikbar, vattentät växtskyddsgardin
US5761776A (en) * 1997-01-30 1998-06-09 532341 Ontario Inc. Locking hook with integral separ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0504591A (ja) 2000-04-18
DE69709724D1 (de) 2002-02-21
TR199801643T2 (xx) 1998-12-21
CA2247292C (en) 2005-08-09
KR970061056A (ko) 1997-09-12
PL328350A1 (en) 1999-01-18
CN1091345C (zh) 2002-09-25
AU2239197A (en) 1997-09-10
ATE208997T1 (de) 2001-12-15
EP0896505A1 (en) 1999-02-17
ES2167712T3 (es) 2002-05-16
CN1211897A (zh) 1999-03-24
DE69709724T2 (de) 2002-08-14
IL120820A (en) 2003-07-31
JP4017179B2 (ja) 2007-12-05
AU715196B2 (en) 2000-01-20
SE9601911L (sv) 1997-08-24
WO1997030578A1 (en) 1997-08-28
US6170551B1 (en) 2001-01-09
PL184774B1 (pl) 2002-12-31
IL120820A0 (en) 1999-10-28
CA2247292A1 (en) 1997-08-28
SE9601911D0 (sv) 1996-05-21
EP0896505B1 (en) 2001-11-21
SE509967C2 (sv) 1999-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46347B1 (ko) 유리표면등과같은큰표면을차폐하기위한장치및스크린의설치방법
JP3965211B2 (ja) 折畳み可能な防水作物保護カーテン付き作物保護装置
US4753281A (en) Adjustable shade
US5469607A (en) Cloth hanger clip
US4794971A (en) Awning
CA2101055C (en) A cloth hanger clip and a fabric intended to be used together with the clip
PL170723B1 (pl) Siatka przeciwko owadom, zwlaszcza do obiektów szklarniowych PL PL
US7185692B2 (en) Fabric blind slat for window blind
EP1561896A2 (en) Slat
EP1182319A3 (en) Insect screen arrangement and netting fabric therefor
GB2189135A (en) Curtain or blind pleating tape
JP3222131B2 (ja) 布ハンガー・クリップおよび該クリップと共に用いられる織布
JP2024066508A (ja) ハウス用遮光ネット
JPH0432410Y2 (ko)
JPH06173554A (ja) 網戸用網の撓み防止装置
KR970005611Y1 (ko) 자동차용 커튼
KR101383071B1 (ko) 차량용 커텐장치
KR200149865Y1 (ko) 오이망
JP2000287830A (ja) 簾状ローマンシェードの昇降コード挿通環取付構造
IE20030637A1 (en) Window blind
JPH09191997A (ja) カーテンの芯
JPH066467U (ja) カーテン芯地用織物
IT9053246U1 (it) Sistema di sospensione per tendaggi
CN107152235A (zh) 用于遮荫装置的遮帘布
JPH03289914A (ja) 伸縮性条片を用いたデザインカーテン及びそれを製作するためのデザインカーテン基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3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1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4

Year of fee payment: 15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