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46291B1 - 광 픽업 - Google Patents

광 픽업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6291B1
KR100346291B1 KR1019990051541A KR19990051541A KR100346291B1 KR 100346291 B1 KR100346291 B1 KR 100346291B1 KR 1019990051541 A KR1019990051541 A KR 1019990051541A KR 19990051541 A KR19990051541 A KR 19990051541A KR 100346291 B1 KR100346291 B1 KR 1003462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riage
optical
adhesive
lens
side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15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35583A (ko
Inventor
이와나가아쯔시
Original Assignee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000355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55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62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629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9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 G11B7/0925Electromechanical actuators for lens positioning
    • G11B7/0933Details of stationary par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35Means for guiding the beam from the source to the record carrier or from the record carrier to the detector
    • G11B7/1359Single prism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35Means for guiding the beam from the source to the record carrier or from the record carrier to the detector
    • G11B7/1362Mirro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2007/0003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r type of the carrier
    • G11B2007/0006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r type of the carrier adapted for scanning different types of carrier, e.g. CD & DVD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35Means for guiding the beam from the source to the record carrier or from the record carrier to the detector
    • G11B7/1372Lenses
    • G11B2007/13727Compound lenses, i.e. two or more lenses co-operating to perform a function, e.g. compound objective lens including a solid immersion lens, positive and negative lenses either bonded together or with adjustable spac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tical Head (AREA)
  • Moving Of The Head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 픽업의 캐리지 (24) 에 콜리메이터 렌즈 (45) 등의 광학부재를 확실히 부착 고정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캐리지 (24) 와, 이 캐리지 (24) 의 일부를 절곡한 제 2 절기편 (39) 과, 제 2 절기편에 접착제 (13) 를 넣을 수 있는 홈부 (39c) 를 형성하고, 홈부 (39c) 에 콜리메이터 렌즈 (45) 를 배치하며, 콜리메이터 렌즈 (45) 를 접착제 (13) 를 통해 제 2 절기편 (39) 에 부착 고정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광 픽업 {AN OPTICAL PICK UP}
본 발명은, 광 자기디스크 등의 광 디스크를 이용한 광 디스크 장치에 적합한 광 픽업에 관한 것으로, 특히 광 픽업의 광학부재의 고정구조에 관한 것이다.
도 6 내지 도 8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래의 광 픽업 (50) 은, 금속제의 판금으로 이루어진 캐리지 (24) 내에 수납되는, 대물 렌즈 (14) 를 구비한 렌즈 액츄에이터 (15) 와, 상기 대물 렌즈 (14) 에 미러 (60) 를 통해 레이저광을 출사하고, 또 대물 렌즈 (14) 로부터 되돌아온 광을 입사하는 투수광부 (18) 로 주로 구성되어 있다.
캐리지 (24) 는, 직사각형 형상을 한 바닥면부 (26a) 와, 바닥면부 (26a) 의 길이방향의 양 가장자리를 따라 각각 대향하여 입설된 측벽부 (26b, 26c) 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측벽부 (26b) 의 일단이 바닥면부 (26a) 에서 길이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그 선단에는 걸어맞춤 구멍 (28) 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측벽부 (26b, 26c) 와 마찬가지로 입설된 제 2 측벽부 (29a, 29b) 는, 이들 측벽부 (26b, 26c) 의 길이방향으로, 일정한 공간을 두고 바닥면부 (26a) 와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제 2 측벽부 (29a, 29b) 에는, 관통한 환형 구멍 (30) 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환형 구멍 (30) 의 내경을 도시하지 않은 하나의 샤프트봉이 삽입 통과되는 크기로 각각 형성되어 있다.
바닥면부 (26a) 는, 거의 중앙에 형성된 대략 사각형 형상을 한 제 1 개구부 (36) 와, 제 1 개구부 (36) 에 인접하여 형성된 H 자 형상을 한 제 2 개구부 (37) 와, 외측 가장자리부에 형성된 대략 직사각형 형상을 한 노치부 (40) 를 구비하고 있다.
제 1 개구부 (36) 에 면한 가장자리 일부에는, 대향하여 입설된 한쌍의 제 1 절기편 (38) 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대향면은 측벽면 (38b) 으로 되어 있다.
각 제 1 절기편 (38) 에는, 상기 측벽면 (38b) 의 외측 구석부를 비스듬히 커팅하여 이루어진 경사부 (38a) 가 형성되어 있고, 버르 (burr) 등이 없도록 정밀도가 양호하게 가공 형성되어 있다.
제 2 개구부 (37) 에 면한 가장자리 일부에는, 측벽부 (26b, 26c) 를 따르도록 대향하여 입설된 한쌍의 절곡편인 제 2 절기편 (39) 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대향면은 측벽면 (39b) 으로 되어 있다.
노치부 (40) 의 대향하는 측의 가장자리부에는, 측벽부 (26b, 26c) 를 따르도록 대향하여 입설된 한쌍의 제 3 절기편 (41) 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그 대향면은 측벽면 (41b) 으로 되어 있다.
제 1, 제 2 및 제 3 절기편 (38, 39, 41) 은 절곡 지그 (도시 생략) 에 의해 바닥면부 (26a) 에서 서로 반대 방향으로 세워지며, 거의 직각으로 절곡하여 형성된 것이다.
또, 노치부 (40) 의 남은 가장자리부에는, 제 3 절기편 (41) 의 대향하는 측벽면 (41b) 과 직교방향으로 받이부 (42) 가 약간 융기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제 3 절기편 (41) 에는, 환형 구멍 (43) 이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받이부 (42) 에는, 비스듬한 방향으로 직사각형의 홈 (42a) 이 형성되어 있다.
렌즈 액츄에이터 (15) 는, 수지제의 액츄에이터 베이스 (15a) 와, 이 액츄에이터 베이스 (15a) 와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된 대물 렌즈 (14) 를 구비한 렌즈 홀더 (15b) 와, 이들 액츄에이터 베이스 (15a) 와 렌즈 홀더 (15b) 사이에 배치된 코일부 (17) 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액츄에이터 베이스 (15a) 와 렌즈 홀더 (15b) 사이에는, 상기 코일부 (17) 를 둘러싸도록, 매우 가는 형상을 한 금속 환형 선으로 이루어진 4 개의 와이어 (100) 가 감겨 있다.
상기 렌즈 홀더 (15b) 에는, 자성재료로 이루어진 4 각 링형상을 한 요크 (16) 가 일체적으로 부착되어 있으며, 이 요크 (16) 의 내벽에는 자석 (도시 생략) 이 붙어 있다.
그리고, 액츄에이터 베이스 (15a) 는, 캐리지 (24) 의 제 1 개구부 (36) 위에 부착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렌즈 홀더 (15b) 가 4 개의 와이어 (100) 를 통해 상하, 좌우방향으로 가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코일부 (17) 는, 요크(16) 에 대해 자기적으로 쇄교하는 위치가 되도록, 캐리지 (24) 위에 접착제로 부착되어 있다.
액츄에이터 베이스 (15a) 의 바닥면에서는, 코일부 (17) 의 일부와 전기신호를 공급하는 플렉서블 기판 (19) 의 일부가 납땜 고정되어 있다.
미러 (60) 는 광학 유리 또는 광학 수지부재에 금속막을 증착한 사각형판을 하고 있으며, 제 1 절기편 (38) 의 측벽면 (38b) 사이에 경사부 (38a) 를 따라 장착되어 있다. 즉, 미러 (60) 및 렌즈 액츄에이터 (15) 는, 미러 (60) 에 입사된 레이저광이 바로 위로 반사하여, 렌즈 홀더 (15b) 에 지지된 대물 렌즈 (14) 의 중앙으로 출사하도록 각각 캐리지 (24) 에 부착되어 있다.
콜리메이터 렌즈 (45) 는 유리 또는 수지로 이루어져 있고, 입사된 레이저를 평행광으로 변환하는 광학 렌즈 (46) 와, 원통형 형상을 한 금속제의 경통 (47) 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경통 (47) 내에 광학 렌즈 (46) 를 강고하게 끼워 붙이고 있다.
그리고, 콜리메이터 렌즈 (45) 는 캐리지 (24) 의 제 2 절기편 (39) 의 측벽면 (39b)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자외선 경화 타입 등의 접착제 (13) 를 이용하여 부착 고정되어 있다.
투수광부 (18) 는, 대략 직사각형 형상을 한 금속판의 기초부 (23) 와, 레이저광을 발생하는 레이저 다이오드 등의 발광소자, 및 레이저광을 검지하는 수광소자 등으로 이루어진 광집적소자 (25) 로 구성되고, 기초부 (23) 의 양단에 아암부 (23a) 를 직각으로 절곡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광집적소자 (25) 는 기초부(23) 위에 붙어 있으며, 상기 플렉서블 기판 (19) 의 일부와 전기적으로 접속하도록 납땜 고정되어 있다. 또한, 아암부 (23a) 에는 환형 구멍 (23b) 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 환형 구멍 (23b) 과 캐리지 (24) 의 제 3 절기편 (41) 의 환형 구멍 (43) 이 겹치도록 하여, 접착제 (13) 로 부착 고정되어 있다.
평판 렌즈 (49) 는 광학 유리 또는 광학 수지부재에 금속막을 증착한 것으로, 받이부 (42) 의 홈 (42a) 에 끼워져, 투수광부 (18) 와 콜리메이터 렌즈 (45) 사이에서, 투수광부 (18) 및 콜리메이터 렌즈 (45) 에 대해 비스듬히 배치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평판 렌즈 (49) 는 입사된 레이저광의 광학 수차를 보정하고 있다.
이어서, 각 구성부품의 조립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캐리지 (24) 에 각 구성부품을 장착하기 위한 지그 (도시 생략) 를 준비한다. 여기에서, 지그는, 직육면체를 한 기초대와, 기초대에서 상측으로 돌출 형성된 복수의 돌기부와, 이들 돌기부 중 하나를 대략 V 자형으로 형성한 노치부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콜리메이터 렌즈 (45) 를 캐리지 (24) 에 부착하기 위해서는, 먼저 캐리지 (24) 를 반대로 한 상태에서, 지그에 캐리지 (24) 를 얹어놓고, 움직이지 않도록 정확히 위치결정하여 고정시킨다. 이 때, 캐리지 (24) 의 각 개구부 (36, 37) 내에는 기초대에서 상측으로 돌출된 돌기부가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노치부에는 캐리지 (24) 를 지그에 장착하기 전에 미리 미러 (60) 를 제 1 절기편 (38) 의 경사부 (38a) 를 따르도록 지그의 노치부의 경사면에 얹어놓는다.
이어서, 도 8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캐리지 (24) 의 제 2 개구부 (37) 내로 상측 (바닥면부 (26a) 측) 에서 콜리메이터 렌즈 (45) 를 끼워넣어, 콜리메이터 렌즈 (45) 를 제 2 절기편 (39) 의 각 측벽면 (39b) 사이에 끼워둔다. 제 2 절기편 (39) 의 측벽면 (39b) 과 콜리메이터 렌즈 (45) 의 경통 (47) 의 외주벽의 간극에, 자외선 경화형의 접착제 (13) 를 주입 충전한다. 이 간극 부분에 콜리메이터 렌즈 (45) 를 맞닿게 한 상태에서, 자외선을 조사하여 접착시킨다.
마찬가지로, 평판 렌즈 (49) 에 대하여는, 지그에 캐리지 (24) 를 반대로 부착한 상태에서, 평판 렌즈 (49) 를 받이부 (42) 의 홈 (42a) 사이에 상측에서 끼워넣어, 상술한 콜리메이터 렌즈 (45) 를 장착했을 때와 동일하게 접착제 (13) 로 고착시킨다.
미러 (60) 에 대하여는, 지그의 부착기준면인 돌기부의 노치부에 얹어놓은 미러 (60) 와 제 1 절기편 (38) 의 위치결정을 이루고, 상술한 콜리메이터 렌즈 (45) 를 접착한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부착 고정시킨다.
이어서, 도 7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캐리지 (24) 를 반대로 한 상태에서 원래 상태로 되돌린 후, 렌즈 액츄에이터 (15) 는 대물 렌즈 (14) 가 미러 (60) 로부터의 출사광의 중심에 위치하도록, 캐리지 (24) 의 제 1 개구부 (36) 바로 위에 걸쳐 배치되고, 위치결정 조정하여 접착제 (13) 로 부착 고정된다.
투수광부 (18) 는 지그를 이용하여 캐리지 (24) 의 제 3 절기편 (41) 과 그 받이부 (42) 에서 둘러싸인 공간 (노치부 (40)) 내에 띄운 상태에서 배치된다.이때, 투수광부 (18) 의 광집적소자 (25) 와, 받이부 (42) 의 측벽과를 약간 간극을 두고 대향 배치시킨다.
투수광부 (18) 로부터 출사되는 레이저광이 렌즈 홀더 (15b) 의 대물 렌즈 (14) 의 중앙에 출사되도록 부착위치를 조정하고, 그 조정 후에 제 3 절기편 (41) 의 단면 (31a) 과 투수광부 (18) 의 기초부 (23) 의 아암부 (23a) 가 겹치도록 한 상태에서, 각 환형 구멍 (23b, 43) 에 자외선 경화형의 접착제 (13) 를 주입 충전시켜 캐리지 (24) 에 투수광부 (18) 를 부착 고정시킨다.
장착이 완성된 광 픽업 (50) 에서, 투수광부 (18) 의 광집적소자 (25) 로부터 나온 레이저광은, 받이부 (42) 에 설치된 평판 렌즈 (49) 를 통과하고, 다시 콜리메이터 렌즈 (45) 에서 평행광으로 변환되고, 미러 (60) 를 통해, 직각으로 절곡되어, 대물 렌즈 (14) 에 입사된다.
그리고, 상기 대물 렌즈 (14) 로부터 출사한 레이저광은, 도시되지 않은 광디스크면에서 집광되어, 광디스크에 기록된 정보를 판독한다.
또한, 광디스크면으로부터 상기 정보에 따라 반사된 되돌아온 광은, 동일한 광로를 거쳐, 투수광부 (18) 내의 광집적소자 (25) 에 입사된다.
그리고, 상기 되돌아온 광의 광량에 따라, 필요한 전기신호로 변환되어, 광디스크의 정보를 판독할 수 있다.
또, 광디스크면의 정보에 추종하여, 광 픽업 (50) 의 캐리지 (24) 는, 광디스크 장치에 이동할 수 있게 지지되며, 장치의 샤프트봉을 따라 제어된 움직임을 한다.
이렇게 구성된 광 픽업에서는, 콜리메이터 렌즈 (45) 와 캐리지 (24) 의 제 2 절기편 (39) 과의 접착제 (13) 의 도포 영역이 적기 때문에, 콜리메이터 렌즈 (45) 가 확실히 고정된 상태가 되지 않았다.
접착제 (13) 의 도포 영역을 넓히기 위해, 제 2 절기편 (39) 의 선단을 상측으로 연장하여, 접착제 (13) 의 도포 영역을 늘려도, 반대 상태에 있는 캐리지 (24) 의 바닥면부 (26a) 측으로부터 접착제 (13) 를 도포한 것은, 고착 강도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제 2 절기편 (39) 과 콜리메이터 렌즈 (45) 와의 접점부분에서 제 2 절기편 (39) 의 선단측에 걸친 영역에 접착제 (13) 가 침투되거나 또는 이동하지 않아, 그 결과로 강고하게 고착시키는 것이 어려웠다.
또한, 상기 콜리메이터 렌즈 (45) 의 경우에 한하지 않고, 다른 광학부재를 캐리지에 형성한 한쌍의 절기편 사이에 고착하는 경우에도 동일한 어려움이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의 과제를 해결하는 것으로, 광 픽업의 캐리지에 각 부품의 하나인 콜리메이터 렌즈 등의 광학부재를 확실히 부착 고정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도 1 은 측벽부 하나를 제거한 상태에서의 본 발명의 광 픽업의 사시도이다.
도 2 는 도 1 의 광 픽업의 일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광 픽업을 뒤집은 캐리지에 각 부품을 부착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광 픽업의 캐리지에 콜리메이터 렌즈를 부착한 상태를 나타낸, 도 2 의 3-3 선에서 본 일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광 픽업의 캐리지에 각 부품을 부착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 은 측벽부 하나를 제거한 상태에서의 종래의 광 픽업의 사시도이다.
도 7 은 종래의 광 픽업의 캐리지에 각 부품을 부착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8 은 종래의 광 픽업의 캐리지에 콜리메이터 렌즈를 부착한 상태를 나타낸, 도 6 의 7-7 선에서 본 일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9 는 본 발명의 광 픽업의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것으로, 광 픽업의 캐리지에 각 광학부재를 부착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3 : 접착수단 (접착제) 24, 124 : 캐리지
26a, 126a : 바닥면부 39 : 절곡편 (제 2 절기편)
138, 139 : 절곡편 (절기편) 39c, 138c, 139c : 홈부
39d : 수평부 39e : 수직부
45 : 콜리메이터 렌즈 160 : 미러
200 : 프리즘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 1 해결수단으로서, 캐리지와, 이 캐리지의 일부를 절곡한 한쌍의 절곡편과, 이 절곡편에 접착수단을 넣을 수 있는 홈부를 형성하고, 이 홈부에 광학부재를 배치하며, 상기 광학부재를 상기 접착수단을 통해 상기 절곡편 사이에 부착 고정하여 구성한다.
또, 제 2 해결수단으로서, 절곡편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잘라 세워 대향 배치되고, 홈부는 수평부와 이 수평부의 거의 중앙에서 수직으로 연장된 수직부로 형성된다.
또한, 제 3 해결수단으로서, 홈부는 캐리지의 절곡편으로부터 바닥면부에 걸쳐 형성된다.
또, 제 4 해결수단으로서, 캐리지는 판금으로 형성된다.
또한, 제 5 해결수단으로서, 홈부는 절곡편과 광학부재와의 접촉부분에서 선단부측으로 연장 형성된다.
그리고, 제 6 해결수단으로서, 광학부재는 렌즈 또는 미러 혹은 프리즘인 것이다.
발명의 실시형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인 광 픽업 (10) 에 대해, 도 1 내지 도 5 를 이용하여 이하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광 픽업 (10) 은 특히 MD (미니·디스크) 용 광 픽업에 관한 것이다.
광 픽업 (10) 은, 금속제의 판금으로 이루어진 캐리지 (24) 내에 수납되는, 대물 렌즈 (14) 를 구비한 렌즈 액츄에이터 (15) 와, 상기 대물 렌즈 (14) 에 미러 (60) 을 통해 레이저광을 출사하고, 또 대물 렌즈 (14) 로부터 되돌아온 광을 입사하는 투수광부 (18) 로 주로 구성되어 있다.
캐리지 (24) 는, 직사각형 형상을 한 바닥면부 (26a) 와, 바닥면부 (26a) 의길이방향의 양 가장자리를 따라 각각 대향하여 입설된 측벽부 (26b, 26c) 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측벽부 (26b) 의 일단이 바닥면부 (26a) 에서 길이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그 선단에는 걸어맞춤 구멍 (28) 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측벽부 (26b, 26c) 와 마찬가지로 입설된 제 2 측벽부 (29a, 29b) 는, 이들 측벽부 (26b, 26c) 의 길이방향으로, 일정한 공간을 두고 바닥면부 (26a) 와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제 2 측벽부 (29a, 29b) 에는, 관통한 환형 구멍 (30) 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환형 구멍 (30) 의 내경은 도시하지 않은 하나의 샤프트봉이 삽입 통과되는 크기로 각각 형성되어 있다.
바닥면부 (26a) 는, 거의 중앙에 형성된 대략 사각형 형상을 한 제 1 개구부 (36) 와, 제 1 개구부 (36) 에 인접하여 형성된 H 자 형상을 한 제 2 개구부 (37) 와, 외측 가장자리부에 형성된 대략 직사각형 형상을 한 노치부 (40) 를 구비하고 있다.
제 1 개구부 (36) 에 면한 가장자리의 일부에는, 대향하여 입설된 한쌍의 제 1 절기편 (38) 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대향면은 측벽면 (38b) 으로 되어 있다.
각 제 1 절기편 (38) 에는, 상기 측벽면 (38b) 의 외측 구석부를 비스듬히 커팅하여 이루어진 경사부 (38a) 가 형성되어 있으며, 버르 (burr) 등이 없도록 정밀도가 양호하게 가공 형성되어 있다.
제 2 개구부 (37) 에 면한 가장자리의 일부에는, 측벽부 (26b, 26c) 를 따르도록 대향하여 입설된 한쌍의 절곡편인 제 2 절기편 (39) 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대향면은 측벽면 (39b) 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각 제 2 절기편 (39) 에는, 대략 T 자형을 한 홈부 (39c) 가 측벽면 (39b) 을 관통하여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홈부 (39c) 는 수평부 (39d) 와 수직부 (39e) 로 이루어져 있다. 수평부 (39d) 는 제 2 절기편 (39) 에 대해 거의 수평이 되도록 노치 형성되어 있고, 수직부 (39e) 는 제 2 절기편 (39) 에 대해 거의 수직으로 노치 형성되어 있어, 수직부 (39e) 의 일단이 수평부 (39d) 의 거의 중앙으로 연결되어 있다. 또, 수직부 (39e) 의 타단이 제 2 절기편 (39) 의 절곡부분으로부터 바닥면부 (26a) 의 일부에 걸쳐 위치하도록 노치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홈부 (39c) 에는 접착제가 주입 충전되어, 제 2 절기편 (39) 의 측벽면 (39b) 사이에 후술하는 광학부재인 렌즈, 즉 콜리메이터 렌즈가 부착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도 3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노치부 (40) 의 대향하는 측의 가장자리부에는, 측벽부 (26b, 26c) 를 따르도록 대향하여 입설된 한쌍의 제 3 절기편 (41) 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그 대향면은 측벽면 (41b) 으로 되어 있다.
제 1, 제 2 및 제 3 절기편 (38, 39, 41) 은 절곡 지그 (도시 생략) 에 의해 바닥면부 (26a) 에서 서로 반대 방향으로 세워져, 거의 직각으로 절곡하여 형성된 것이다.
또, 노치부 (40) 의 남은 가장자리부에는, 제 3 절기편 (41) 의 대향하는 측벽면 (41b) 과 직교방향으로, 받이부 (42) 가 약간 융기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제 3 절기편 (41) 에는, 환형 구멍 (43) 이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받이부 (42) 에는, 비스듬한 방향으로 직사각형의 홈 (42a) 이 형성되어 있다.
렌즈 액츄에이터 (15) 는, 수지제의 액츄에이터 베이스 (15a) 와, 이 액츄에이터 베이스 (15a) 와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된 대물 렌즈 (14) 를 갖는 렌즈 홀더 (15b) 와, 이들 액츄에이터 베이스 (15a) 와 렌즈 홀더 (15b) 사이에 배치된 코일부 (17) 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액츄에이터 베이스 (15a) 와 렌즈 홀더 (15b) 사이에는, 상기 코일부 (17) 를 둘러싸도록, 매우 가는 형상을 한 금속 환형 선으로 이루어진 4 개의 와이어 (100) 가 감겨 있다.
상기 렌즈 홀더 (15b) 에는, 자성재료로 이루어진 4 각 링형상을 한 요크 (16) 가 일체적으로 부착되어 있으며, 이 요크 (16) 의 내벽에는 자석 (도시 생략) 이 붙어 있다.
그리고, 액츄에이터 베이스 (15a) 는, 캐리지 (24) 의 제 1 개구부 (36) 위에 부착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렌즈 홀더 (15b) 가 4 개의 와이어 (100) 를 통해 상하, 좌우방향으로 가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코일부 (17) 는, 요크 (16) 에 대해 자기적으로 쇄교하는 위치가 되도록, 캐리지 (24) 위에 접착제로 부착되어 있다.
액츄에이터 베이스 (15a) 의 바닥면에서는, 코일부 (17) 의 일부와 전기신호를 공급하는 플렉서블 기판 (19) 의 일부가 납땜 고정되어 있다.
미러 (60) 는, 광학 유리 또는 광학 수지부재에 금속막을 증착한 사각형판을 하고 있으며, 제 1 절기편 (38) 의 측벽면 (38b) 사이에, 경사부 (38a) 를 따라 장착되어 있다. 즉, 미러 (60) 및 렌즈 액츄에이터 (15) 는, 미러 (60) 에 입사된 레이저광이 바로 위로 반사하여, 렌즈 홀더 (15b) 에 지지된 대물 렌즈 (14) 의 중앙으로 출사하도록 각각 캐리지 (24) 에 부착되어 있다.
콜리메이터 렌즈 (45) 는, 유리 또는 수지로 이루어져 있고, 입사된 레이저를 평행광으로 변환하는 광학 렌즈 (46) 와, 원통형 형상을 한 금속제의 경통 (47) 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경통 (47) 내에 광학 렌즈 (46) 를 강고하게 끼워 붙이고 있다.
그리고, 콜리메이터 렌즈 (45) 는, 캐리지 (24) 의 제 2 절기편 (39) 의 측벽면 (39b)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홈부 (39c) 와 경통 (47) 의 외주벽을 맞닿게 하고, 접착수단의 하나로서, 자외선 경화 타입 등의 접착제 (13) 를 이용하여 부착 고정되어 있다.
투수광부 (18) 는, 대략 직사각형 형상을 한 금속판의 기초부 (23) 와, 레이저광을 발생하는 레이저 다이오드 등의 발광소자, 및 레이저광을 검지하는 수광소자 등으로 이루어진 광집적소자 (25) 로 구성되고, 기초부 (23) 의 양단에 아암부 (23a) 를 직각으로 절곡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광집적소자 (25) 는 기초부 (23) 위에 붙어 있으며, 상기 플렉서블 기판 (19) 의 일부와 전기적으로 접속하도록 납땜 고정되어 있다. 또한, 아암부 (23a) 에는 환형 구멍 (23b) 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 환형 구멍 (23b) 과 캐리지 (24) 의 제 3 절기편 (41) 의 환형 구멍 (43) 이 겹치도록 하여, 접착제 (13) 를 이용하여 부착 고정되어 있다.
평판 렌즈 (49) 는 광학 유리 또는 광학 수지부재에 금속막을 증착한 것으로, 받이부 (42) 의 홈 (42a) 에 끼워져, 투수광부 (18) 와 콜리메이터 렌즈 (45) 사이에서, 투수광부 (18) 및 콜리메이터 렌즈 (45) 에 대해 비스듬히 배치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평판 렌즈 (49) 는 입사된 레이저광의 광학 수차를 보정하고 있다.
이어서, 각 구성부품의 조립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캐리지 (24) 에 각 구성부품을 장착하기 위한 지그 (도시 생략) 를 준비한다. 여기에서, 지그는, 직육면체를 한 기초대와, 기초대에서 상측으로 돌출 형성된 복수의 돌기부와, 이들 돌기부 중 하나를 대략 V 자 형상으로 형성한 노치부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콜리메이터 렌즈 (45) 를 프레스 가공하여 소정의 형상으로 절곡된 캐리지 (24) 에 부착하기 위해서는, 먼저 캐리지 (24) 를 반대로 한 상태에서, 지그에 캐리지 (24) 를 얹어놓고, 움직이지 않도록 정확히 위치결정하여 고정시킨다. 이 때, 캐리지 (24) 의 각 개구부 (36, 37) 내에는 기초대에서 상측으로 돌출된 돌기부가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노치부의 경사면에는 캐리지 (24) 를 장착하기 전에, 미러 (60) 를 제 1 절기편 (38) 의 경사부 (38a) 를 따르도록, 미리 얹어놓는다.
이어서, 도 3 및 도 4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시하지 않은 지그에 부착한 상태에서, 캐리지 (24) 의 제 2 개구부 (37) 내로 상측 (바닥면부 (26a) 측) 에서 콜리메이터 렌즈 (45) 를 끼워넣어, 콜리메이터 렌즈 (45) 를 제 2 절기편 (39) 의 각 측벽면 (39b) 사이에 끼워둔다. 각 측벽면 (39b) 의 홈부 (39c) 는, 제 2절기편 (39) 과 콜리메이터 렌즈 (45) 와의 접촉부분에서 선단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어서, 각 측벽면 (39b) 의 홈부 (39c) 와 콜리메이터 렌즈 (45) 의 경통 (47) 의 외주벽과의 접촉부분 및 그 이동의 간극 부분에, 자외선 경화형의 접착제 (13) 를 주입 충전한다. 이 때, 바닥면부 (26a) 에 면한 홈부 (39c) 의 수직부 (39e) 에서 접착제가 주입되고, 접착제 (13) 의 점성에 따라, 이 접착제 (13) 가 수직부 (39e) 에서 수평부 (39d) 로 흘러가, 수평부 (39d) 에 접착제가 고이게 된다. 따라서, 수평부 (39d) 내와, 이 수평부 (39d) 와 콜리메이터 렌즈 (45) 의 경통 (47) 의 외주벽과의 접촉부분 및 간극 부분에 접착제 (13) 가 충분히 도포된다. 상기 접착제 (13) 가 충분히 도포된 상태에서, 상기 접촉부분 및 간극 부분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콜리메이터 렌즈 (45) 를 캐리지 (24) 의 제 2 절기편 (39) 에 고착시킨다.
마찬가지로, 평판 렌즈 (49) 에 대하여는, 지그에 캐리지 (24) 를 반대로 부착한 상태에서, 평판 렌즈 (49) 를 받이부 (42) 의 홈 (42a) 사이에 상측에서 끼워넣어, 상술한 콜리메이터 렌즈 (45) 를 장착하였을 때와 동일하게 접착제 (13) 로 고착시킨다.
미러 (60) 에 대하여는, 지그의 부착 기준면인 돌기부의 노치부에 얹어놓은 미러 (60) 와 제 1 절기편 (38) 의 위치결정을 이루고, 상술한 콜리메이터 렌즈 (45) 를 접착한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부착 고정시킨다.
이어서, 도 5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캐리지 (24) 를 반대로 한 상태에서 원래 상태로 되돌린 후, 렌즈 액츄에이터 (15) 는, 대물 렌즈 (14) 가 미러 (60) 로부터의 출사광의 중심에 위치하도록, 캐리지 (24) 의 제 1 개구부 (36) 바로 위에 걸쳐 배치되고, 위치결정 조정하여 접착제 (13) 로 부착 고정된다.
투수광부 (18) 는, 지그를 이용하여 캐리지 (24) 의 제 3 절기편 (41) 과 그 받이부 (42) 로 둘러싸인 공간 (노치부 (40)) 내에 띄운 상태에서 배치된다. 이 때, 투수광부 (18) 의 광집적소자 (25) 와, 받이부 (42) 의 측벽과를 약간 간극을 두고 대향 배치시키고 있다.
투수광부 (18) 로부터 출사되는 레이저광이 렌즈 홀더 (15b) 의 대물 렌즈 (14) 의 중앙에 출사되도록 부착위치를 조정하고, 그 조정후에 제 3 절기편 (41) 의 단면 (31a) 과 투수광부 (18) 의 기초부 (23) 의 아암부 (23a) 가 겹쳐지도록 한 상태에서, 각 환형 구멍 (23b, 43) 에 자외선 경화형의 접착제 (13) 를 주입 충전시켜 캐리지 (24) 에 투수광부 (18) 를 부착 고정시킨다.
장착이 완성된 광 픽업 (10) 에서, 투수광부 (18) 의 광집적소자 (25) 로부터 나온 레이저광은, 받이부 (42) 에 배치된 평판 렌즈 (49) 를 통과하고, 다시 콜리메이터 렌즈 (45) 에서 평행광으로 변환되고, 미러 (60) 를 통해, 직각으로 절곡되어, 대물 렌즈 (14) 에 입사된다.
그리고, 상기 대물 렌즈 (14) 로부터 출사한 레이저광은, 도시하지 않은 광디스크면에서 집광되어, 광디스크에 기록된 정보를 판독한다.
또한, 광디스크면으로부터 상기 정보에 따라 반사된 되돌아온 광은, 동일한 광로를 거쳐, 투수광부 (18) 내의 광집적소자 (25) 에 입사된다.
그리고, 상기 되돌아온 광의 광량에 따라 필요한 전기신호로 변환되어, 광디스크의 정보를 판독할 수 있다.
또, 광디스크면의 정보에 추종하여, 광 픽업 (50) 의 캐리지 (24) 는, 광디스크 장치에 이동할 수 있게 지지되며, 장치의 샤프트봉에 따라 제어된 움직임을 한다.
이렇게 구성되어 조립된 광 픽업 (10) 은, 콜리메이터 렌즈 (45) 의 광축 방향의 이동에 대해, 홈부 (39c) 의 수직부 (39e) 의 나머지 측면이 벽이 되고, 또 콜리메이터 렌즈 (45) 의 캐리지 (24) 에의 끼어넣기와는 반대 방향으로의 이동에 대해, 수평부 (39d) 의 나머지 측면이 벽이 되어, 접착제 (13) 를 통해 고착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홈부 (39c) 의 수직부 (39e) 가 바닥면부 (26a) 까지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지그에 캐리지 (24) 를 부착하여, 접착제 (13) 를 단순히 위에서 늘어뜨릴 뿐아니라, 간단히 필요한 부분에 도포할 수 있어, 도포 작업이 매우 간단하다.
또, 접착제 (13) 에 점성이 높은 것을 사용해도 되고, 필요에 따라 접착제 (13) 의 종류를 폭넓게 변경할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대해 도 9 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9 는 DVD (digital versatile disk 또는 digital video disk) 용의 광 픽업의 캐리지에 광학부재를 부착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콜리메이터 렌즈 (45) 의 캐리지 (24) 에의 부착 고정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실시형태에서는 다른 광학부재, 즉 미러 및 프리즘의 부착 고정에 대해 설명한다.
도 9 는 간소화를 위해 캐리지 (124) (도 1 의 캐리지 (24) 에 상당함) 와 이 캐리지 (124) 에 탑재된 광학부재, 즉 콜리메이터 렌즈 (145), 미러 (160) (도 1 의 미러 (60) 에 상당함) 및 프리즘 (200) 만 나타내고 있다.
먼저, 캐리지 (124) 는 프레스 가공으로 형성된 판금으로 이루어지고, 만곡부 (124a) 와 돌출부 (124b) 를 일부 갖는 대략 직사각형을 한 바닥면부 (126a) 와, 바닥면부 (126a) 의 길이방향의 양 가장자리를 따라 캐리지 (124) 의 일부를 절곡하여 각각 대향하여 입설시킨 측벽부 (126b, 126c) 와, 돌출부 (124b) 의 선단부에서 바닥면부 (126a) 의 길이방향을 따라 입설한 측벽부 (129) 와, 측벽부 (126b 및 129) 와 연결하도록 바닥면부 (126a) 의 만곡부 (124a) 를 따라 입설한 측벽부 (170) 와, 측벽부 (126b) 와 측벽부 (126c) 사이를 연결시키도록 바닥면부 (126a) 에서 입설시킨 측벽부 (171) 로 주로 구성되어 있다.
또, 측벽부 (126b, 126c) 의 일단은, 바닥면부 (126a) 에서 돌출되어 있으며, 그 선단에는 각각 노치홈 (128a, 128b) 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측벽부 (126c) 에 있어서의 노치홈 (128b) 을 형성한 일단과는 반대측인 단부와, 측벽부 (129) 에는, 관통한 환형 구멍 (130, 130) 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환형 구멍 (130, 130) 의 내경은 도시하지 않은 하나의 샤프트봉에 의해 삽입 통과되는 크기로 각각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바닥면부 (126a) 의 거의 중앙부에는, 대략 사각형 형상의 제 1 개구부 (136) 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제 1 개구부 (136) 에 면한 가장자리부의 일부에는, 측벽부 (126c) 를 따르도록 대향하여 입설된 2 쌍의 절곡편, 즉 절기편(138, 138 및 138', 138') 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의 대향면은 각각 측벽면 (138b, 138b 및 138'b, 138'b) 으로 되어 있다. 또한, 절기편 (138, 138) 에는, 상기 측벽면 (138b, 138b) 의 외측 구석부를 비스듬히 커팅하여 이루어진 경사부 (138a, 138a) 가 형성되어 있으며, 버르 등이 없도록 정밀도가 양호하게 가공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절기편 (138, 138) 에는, 홈부 (138c, 138c) 가 측벽면 (138b, 138b) 을 관통하여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홈부 (138c) 는 절기편 (138) 의 폭방향으로 거의 중앙에 위치하고, 바닥면부 (126a) 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노치 형성되어 있으며, 그 하단부는 절기편 (138) 의 절곡 부분으로부터 바닥면부 (126a) 의 일부에 걸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홈부 (138c) 에는 접착제가 주입 충전되고, 절기편 (138, 138) 의 측벽면 (138b, 138b) 사이에 후술하는 미러 (160) 가 배치되어 접착제로 부착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절기편 (138', 138') 의 측벽면 (138'b, 138'b) 사이에는 후술하는 콜리메이터 렌즈 (145) 가 배치되어 접착제로 부착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한편, 바닥면부 (126a) 에 대하여 제 1 개구부 (136) 와 측벽부 (171) 근처에 인접한 위치에는, H 자 형상을 한 제 2 개구부 (137) 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제 2 개구부 (137) 에 면한 가장자리부의 일부에는, 측벽부 (126b, 126c) 를 따르도록 대향하여 입설된 한쌍의 절곡편, 즉 절기편 (139) 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대향면은 측벽면 (139b, 139b) 으로 되어 있다. 또한, 절기편 (139, 139) 에는,상기 측벽면 (139b, 139b) 의 외측 구석부를 비스듬히 커팅하여 이루어진 경사부 (139a, 139a) 가 형성되어 있으며, 버르 등이 없도록 정밀도가 양호하게 가공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절기편 (139, 139) 에는, 홈부 (139c, 139c) 가 측벽면 (139b, 139b) 을 관통하여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홈부 (139c) 는 절기편 (139) 의 거의 중앙에 위치하면서 바닥면부 (126a) 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노치 형성되어 있으며, 그 하단부는 절기편 (139) 의 절곡 부분으로부터 바닥면부 (126a) 의 일부에 걸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홈부 (139c) 에는 접착제가 주입 충전되고, 절기편 (139, 139) 의 측벽면 (139b, 139b) 사이에 후술하는 프리즘 (200) 이 배치되어 접착제로 부착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미러 (160) 는, 상술한 실시형태에서 사용된 미러 (60) 와 같이, 광학 유리 또는 광학 수지부재의 표면에 금속막 등의 광학 박막을 형성한 사각판 형상을 하고 있으며, 절기편 (138, 138) 의 측벽면 (138b, 138b) 사이에 간극을 사이에 두고, 그리고 경사부 (138a, 138a) 를 따라 배치되며, 접착수단의 하나로서, 자외선 경화 타입 등의 접착제를 이용하여 부착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미러 (160) 의 기능에 대해서는, 상술한 실시형태의 미러 (60) 와 동일하므로 여기에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콜리메이터 렌즈 (145) 는, 유리 또는 수지로 이루어지고, 상술한 실시형태에서 사용된 콜리메이터 렌즈 (45) 와 동일한 기능을 갖는다. 그리고, 콜리메이터 렌즈 (145) 는, 캐리지 (124) 의 절기편 (138', 138') 의 측벽면 (138'b, 138'b) 사이에 간극을 사이에 두고 배치되고, 접착수단의 하나로서, 자외선 경화 타입 등의 접착제를 이용하여 부착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콜리메이터 렌즈 (145) 는 원통형상의 경통내에 광학 렌즈를 끼워붙인 것이어도 된다.
프리즘 (200) 은, 삼각주 형상의 광학 유리 또는 수지를 2개 접합하여 직육면체 형상으로 구성한 광학부재이다. 접합면에는 파장선택 기능을 갖는 광학 박막 (다이크로익막) 이 적층코팅되어 있다. 상기 다이크로익막은, CD (콤팩트·디스크) 용의 레이저광을 반사하여, DVD (digital versatile disk 또는 digital video disk) 용의 레이저광을 투과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9 에 나타낸 캐리지에는, CD 및 DVD 용의 파장을 갖는 광원을 각각 설치한 2 개의 광집적소자 (모두 도시생략) 가 탑재되도록 되어 있다. 광집적소자의 기능에 대해서는 상술한 실시형태에서 사용된 광집적소자 (25) 와 동일하므로 여기에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렇게, CD 및 DVD 용의 2 개의 광집적소자를 탑재함으로써, 본 실시형태의 광 픽업은 DVD 의 기록 또는 재생 뿐만아니라, CD 의 기록 또는 재생이 가능해진다.
DVD 용의 광집적소자는 프리즘 (200) 의 캐리지 (124) 의 측벽부 (171) 측에, 또한, CD 용의 광집적소자는 프리즘 (200) 의 도면상에서 상면 위에 배치되도록 되어 있다. 이렇게 하여, CD 용의 광집적소자로부터의 레이저광은 프리즘 (200) 에 형성한 다이크로익막에서 반사하고, 반사한 레이저광은 콜리메이터 렌즈 (145) 에 입사한다. 한편, DVD 용의 광집적소자로부터의 레이저광은 다이크로익막을 투과하고, 투과한 레이저광은 콜리메이터 렌즈 (145) 에 입사한다.
이렇게, 프리즘 (200) 은 CD/DVD 용의 광집적소자로부터 출사된 쌍방의 파장이 다른 레이저광을 콜리메이터 렌즈 (145) 방향의 동일 광로에 안내하는 작용을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의 다이크로익막 대신에, CD/DVD 용의 레이저광을 각각 대략 50 퍼센트 반사하고, 대략 50 퍼센트 투과하는 기능을 갖는 반투명막으로 하여도 된다. 또, 광집적소자는 CD/DVD 용의 레이저광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파장을 갖는 광원을 갖는 것이어도 된다.
그리고, 프리즘 (200) 은, 캐리지 (124) 의 절기편 (139, 139) 의 측벽면 (139b, 139b) 사이에 간극을 사이에 두고 배치되고, 접착수단의 하나로서, 자외선 경화 타입 등의 접착제를 이용하여 부착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이어서, 미러 (160) 와 프리즘 (200) 의 조립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캐리지 (124) 에 각 광학부재를 장착하기 위한 지그 (도시생략) 를 준비한다. 여기에서, 지그는, 직육면체를 한 기초대와, 기초대에서 상측으로 돌출형성된 복수의 돌기부를 구비하고 있다. 이들의 돌기부 중 하나는 대략 V 자형상으로 형성된 노치부를 구비하고, 다른 하나는 평탄부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미러 (160) 와 프리즘 (200) 을 캐리지 (124) 에 부착하기 위해서는, 먼저 캐리지 (124) 를 도 9 의 상태에서 상하를 반대로 한 상태로 하여, 지그에 캐리지 (124) 를 얹어놓고, 움직이지 않도록 정확하게 위치결정하여 고정시킨다. 이 때, 캐리지 (124) 의 각 개구부 (136, 137) 내에는, 노치부를 구비한 돌기부와, 평탄부를 구비한 돌기부가 각각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캐리지 (124) 를 장착하기 전에, 상기 노치부의 경사면에는 미러 (160) 가 절기편 (138, 138) 의 경사부 (138a, 138a) 를 따르도록, 미리 위치결정된 상태에서 얹어놓여 있고, 또, 상기 평탄부에는 프리즘 (200) 이 미리 위치결정된 상태에서 얹어놓여 있다.
그리고, 캐리지 (124) 를 도시하지 않은 지그에 부착한 상태에서는, 캐리지 (124) 의 개구부 (136, 137) 내로 각각 미러 (160) 와 프리즘 (200) 이 배치되며, 절기편 (138, 138 및 139, 139) 의 각 측벽면 (138b, 138b 및 139b, 139b) 사이에 소정의 위치로 되도록 위치결정된다.
이어서, 미러 (160) 에 대하여는, 측벽면 (138b, 138b) 에 형성된 홈부 (138c, 138c) 와, 미러 (160) 의 양 가장자리부와 측벽면 (138b, 138b) 과의 간극 부분에, 자외선 경화형의 접착제가 주입 충전된다 (접착제 및 이 접착제의 충전상태는 도시생략). 이 때, 바닥면부 (126a) 에 면한 홈부 (138c) 로부터 접착제가 주입되고, 접착제의 점성에 의해, 이 접착제가 홈부 (138c, 138c) 전체에 흘러 들어가 접착제가 고이게 된다. 이 때문에, 홈부 (138c, 138c) 와, 이 홈부 (138c, 138c) 와 미러 (160) 의 양 가장자리부와의 간극 부분에 접착제가 충분히 도포된다. 이 접착제가 충분히 도포된 상태에서, 상기 홈부 (138c, 138c) 및 상기 간극 부분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미러 (160) 를 캐리지 (124) 의 절기편 (138, 138) 에 고착한다.
이렇게, 미러 (160) 와 측벽면 (138b, 138b) 과의 간극 부분만이 아니라, 홈부 (138c, 138c) 에 접착제를 충전함으로써, 미러 (160) 와 절기편 (138, 138) 을연결하며, 또한, 보강하는 접착제 고임을 형성하였으므로, 미러 (160) 의 절기편 (138, 138) 에의 접착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 홈부 (138c, 138c) 는, 캐리지 (124) 의 절기편 (138, 138) 에서 바닥면부 (126a) 에 걸쳐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홈부 (138c, 138c) 의 바닥면부 (126a) 에 배치된 부분으로부터 접착수단을 간단하게 주입 장착할 수 있으므로, 도포작업을 간단하게 실시할 수 있음과 동시에, 보다 확실하게 접착수단을 도포하여, 절기편 (138, 138) 에 미러 (160) 를 고착시킬 수 있다.
동일하게, 프리즘 (200) 에 대하여는, 측벽면 (139b, 139b) 에 형성된 홈부 (138c, 139c) 와, 프리즘 (200) 의 양측벽과 상기 측벽면 (139b, 139b) 과의 간극 부분에, 자외선 경화형의 접착제가 주입 충전된다 (접착제 및 이 접착제의 충전상태는 도시생략). 이 때, 바닥면부 (126a) 에 면한 홈부 (139c) 로부터 접착제가 주입되고, 접착제의 점성에 의해, 이 접착제가 홈부 (139c, 139c) 전체에 흘러 들어가 접착제가 고이게 된다. 따라서, 홈부 (139c, 139c) 와, 이 홈부 (139c, 139c) 와 프리즘 (200) 의 양 측벽과의 간극 부분에 접착제가 충분히 도포된다. 이 접착제가 충분히 도포된 상태에서, 상기 홈부 (139c, 139c) 및 상기 간극 부분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프리즘 (200) 을 캐리지 (124) 의 절기편 (139, 139) 에 고착한다.
이렇게, 프리즘 (200) 과 측벽면 (139b, 139b) 과의 간극 부분만이 아니라, 홈부 (139c, 139c) 에 접착제를 충전함으로써, 프리즘 (200) 과 절기편 (139, 139) 과를 연결하며, 또한, 보강하는 접착제 고임을 형성하였으므로, 프리즘 (200) 의절기편 (139, 139) 에의 접착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홈부 (139c, 139c) 는, 캐리지 (124) 의 절기편 (139, 139) 으로부터 바닥면부 (126a) 에 걸쳐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홈부 (139c, 139c) 의 바닥면부 (126a) 에 배치된 부분으로부터 접착수단을 간단하게 주입 장착할 수 있기 때문에, 도포작업을 간단하게 실시할 수 있음과 동시에, 보다 확실하게 접착수단을 도포하여, 절기편 (139, 139) 에 프리즘 (200) 을 고착시킬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와 같이, 미러 (160) 및 프리즘 (200) 을 캐리지 (124) 에 부착 고정하는 경우라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콜리메이터 렌즈 (145) 를 부착 고정하기 위한 절기편 (138', 138') 에는 홈부가 없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 상술한 MD 용 또는 DVD 용 광 픽업에 한정하지 않고 다른 방식으로 사용되는 광 픽업이더라도, 본 발명은 적용할 수 있다.
또, 이상 설명한 콜리메이터 렌즈 (45), 미러 (160) 나 프리즘 (200) 의 광학부재에 한정하지 않고, 레이저광을 출사하는 레이저 다이오드 등의 발광소자, 레이저광을 수광하는 포토다이오드 등의 수광소자, 레이저광의 출사 및 수광을 행하는 광집적소자, 파장판, 광학보정소자, 대물 렌즈를 갖는 2축 액츄에이터 등의 광학부재를 캐리지에 부착 고정하는 경우에 대해서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광 픽업은, 캐리지와, 이 캐리지의 일부를 절곡한 한쌍의 절곡편과, 이 절곡편에 접착수단을 넣을 수 있는 홈부를 형성하고, 이 홈부에광학부재를 배치하며, 광학부재를 접착수단을 통하여 상기 절곡편의 사이에 부착 고정시킴으로써, 홈부의 형상이 광학부재의 이동을 규제함과 동시에, 홈부내에 주입 충전된 접착수단이 충분히 고여, 절곡편에 광학부재를 강고하게 고착시킬 수 있다.
또, 절곡편은, 서로 반대반향으로 절기하여 대향 배치되고, 홈부는 수평부와 이 수평부의 대략 중앙에서 수직으로 연장된 수직부로 형성됨으로써, 홈부의 수평부가 광학부재의 상하의 움직임을, 또한 수직부가 전후의 움직임을 규제함과 동시에, 홈부내로의 접착수단의 도포량을 충분히 고이게 할 수 있으므로, 절곡편에 광학부재를 강고하게 고착시킬 수 있다.
또한, 홈부는, 캐리지의 절곡편에서 바닥면부에 걸쳐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홈부의 바닥면부에 배치된 부분으로부터 접착수단을 간단하게 주입 장착할 수 있으므로, 도포작업을 간단히 실시할 수 있음과 동시에, 보다 확실하게 접착수단을 도포하여, 절곡편에 광학부재를 고착시킬 수 있다.
또한, 캐리지는, 판금으로 형성됨으로써, 가공이 쉬워져 홈부의 형상을 자유롭게 설계할 수 있으므로, 접착수단의 도포량을 늘리는 소정의 형상을 홈부에 노치 가공하여, 홈부의 형상이 광학부재의 이동을 규제함과 동시에, 절곡편에 광학부재를 강고하게 고착시킬 수 있다.
또한, 홈부는, 절곡편과 광학부재와의 접촉부분에서 선단부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바닥면부로부터 접착제를 주입한 경우에 접착제를 절곡편과 광학부재와의 접촉부분에서 상측 (접착제 주입측과는 반대측) 으로 넣을 수 있으므로,보다 강고하게 광학부재를 고정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상측에 대한 충격, 진동 등의 외부작용에 대하여 한층 더 강해진다.
또한, 상기 광학부재는, 렌즈 또는 프리즘 혹은 미러이므로, 광학 유리 또는 광학 수지부재로 이루어진 렌즈, 미러, 프리즘에도 본 발명을 적합하게 적용할 수 있다.

Claims (6)

  1. 캐리지와, 이 캐리지의 일부를 절곡하여 서로 반대 방향으로 잘라 세워 대향 배치한 한쌍의 절곡편과, 이 절곡편에 접착수단을 넣을 수 있으며, 또한 수평부와 이 수평부의 거의 중앙에서 수직으로 연장된 수직부로 이루어지는 홈부를 형성하고, 이 홈부에 광학부재를 배치하며, 상기 광학부재를 상기 접착수단을 통해 상기 절곡편 사이에 부착 고정시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픽업.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홈부는 상기 캐리지의 절곡편으로부터 바닥면부에 걸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픽업.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지는 판금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픽업.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홈부는 상기 절곡편과 상기 광학부재와의 접촉부분에서 선단부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픽업.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부재는 렌즈 또는 미러 혹은 프리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픽업.
KR1019990051541A 1998-11-19 1999-11-19 광 픽업 KR1003462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2914198 1998-11-19
JP98-329141 1998-11-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5583A KR20000035583A (ko) 2000-06-26
KR100346291B1 true KR100346291B1 (ko) 2002-07-26

Family

ID=182181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1541A KR100346291B1 (ko) 1998-11-19 1999-11-19 광 픽업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346291B1 (ko)
TW (1) TW460874B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14528A (ko) * 1987-05-21 1988-12-24 이반 밀러 레르너 제2요소가 접착제로 고정되는 제1요소를 포함하는 조립체와 그를 포함한 장치
JPH06124455A (ja) * 1992-08-25 1994-05-06 Toshiba Corp 光学装置及び光学装置の組立方法
JPH07153098A (ja) * 1993-12-01 1995-06-16 Ricoh Co Ltd 対物レンズ駆動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14528A (ko) * 1987-05-21 1988-12-24 이반 밀러 레르너 제2요소가 접착제로 고정되는 제1요소를 포함하는 조립체와 그를 포함한 장치
JPH06124455A (ja) * 1992-08-25 1994-05-06 Toshiba Corp 光学装置及び光学装置の組立方法
JPH07153098A (ja) * 1993-12-01 1995-06-16 Ricoh Co Ltd 対物レンズ駆動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5583A (ko) 2000-06-26
TW460874B (en) 2001-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30043728A1 (en) Structure for connecting a lens to a lens holder without using an adhesive
KR100296678B1 (ko) 대물렌즈구동장치,이대물렌즈구동장치를이용한광픽업장치및광디스크기록및재생장치
JP3819599B2 (ja) 対物レンズ駆動装置の製造方法
JP3449769B2 (ja) 光ピックアップ装置
KR100346291B1 (ko) 광 픽업
JP2000215466A (ja) 光ピックアップ
JP2001143294A (ja) 光ピックアップ装置及びその組み立て方法
JPH10283639A (ja) フォーカスオフセット調整用光学素子の取り付け機構
JP2007294004A (ja) 光ピックアップ装置
JP3799228B2 (ja) 樹脂成形光学部品及びそれを備えた光ピックアップ装置
JP2007058900A (ja) 光ヘッド
JPH1021568A (ja) 光学ピックアップ装置及び光学ピックアップ装置の製造方法
US6798819B1 (en) Optical pickup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7116494B2 (en) Optical apparatus and method for adjusting amount of light of the same
KR100357919B1 (ko) 광픽업 및 그 조립방법
JPH11339299A (ja) 光ピックアップ及びその組み込み方法
JP2001307371A (ja) 光ピックアップ装置
JP3518904B2 (ja) 光ピックアップ
JP2002182104A (ja) 樹脂成形光学部品
KR100206363B1 (ko) 틸트조성이 용이한 광픽업장치
KR100503009B1 (ko) 광픽업장치의 액추에이터 스큐조정장치 및 방법
JP2637292B2 (ja) 光学式情報記録再生装置
JP2001291271A (ja) 光ヘッド装置
KR0166238B1 (ko)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서스펜션 와이어 끼움구조
JPS5982640A (ja) 光学ヘツ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