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45872B1 - 자동차의 연료분사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연료분사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5872B1
KR100345872B1 KR1019990047058A KR19990047058A KR100345872B1 KR 100345872 B1 KR100345872 B1 KR 100345872B1 KR 1019990047058 A KR1019990047058 A KR 1019990047058A KR 19990047058 A KR19990047058 A KR 19990047058A KR 100345872 B1 KR100345872 B1 KR 1003458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erence value
fuel injection
equal
engine speed
thrott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70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38890A (ko
Inventor
이천효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900470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45872B1/ko
Publication of KR200100388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88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58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5872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30Controlling fuel inj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2Circuit arrangement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s
    • F02D41/04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 F02D41/045Detection of accelerating or decelerating st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2200/00Input parameters for engine control
    • F02D2200/50Input parameters for engine control said parameters being related to the vehicle or its components
    • F02D2200/501Vehicle spe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al Control Of Air Or Fuel Supplied To Internal-Combustion Engine (AREA)

Abstract

동작이 시작되면 스로틀 전폐 감속상태이고 엔진 회전수가 제1 기준치 이상이고 차속이 기준치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스로틀 전폐 감속상태이고 엔진 회전수가 제1 기준치 이상이며 차속이 기준치 이상인 경우에 연료분사를 일차적으로 중지하는 단계와, 스로틀 점폐감속상태이고 차속이 기준치 이상인 상태에서 엔진 회전수가 제1 기준치 이하인지를 판단하여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 연료분사를 개시함과 동시에 타이머를 작동시키는 단계와, 일정시간이내에 다시 스로틀 전폐 감속상태이고 엔진 회전수가 제2 기준치 이상이고 차속이 기준치 이상인지를 판단하여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 연료분사를 이차적으로 중지하는 단계와, 스로틀 전폐감속상태이고 차속이 기준치 이상인 상태에서 엔진 회전수가 제2 기준치 이하인지를 판단하여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 연료분사를 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스로틀 전폐 감속이 되면 일차적으로 연료분사 중지가 이루어지도록 한 뒤에 일정한 시간내에서는 상대적으로 높은 엔진 회전수 이상이 되는 경우에만 이차적으로 연료분사 중지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엔진 출력이 극도로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자동차의 연료분사 제어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연료분사 제어방법{INJECTION CONTROL METHOD FOR THE CAR}
이 발명은 자동차의 연료분사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 말하자면 스로틀 전폐 감속이 되면 일차적으로 연료분사 중지가 이루어지도록 한 뒤에 일정한 시간내에서는 상대적으로 높은 엔진 회전수 이상이 되는 경우에만 이차적으로 연료분사 중지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엔진 출력이 극도로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자동차의 연료분사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에서, 기화기 대신에 전자식 연료분사장치(인젝터)가 점차적으로 기본 사양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상기한 인젝터를 구동하기 위한 종래의 연료분사 제어장치는, 주행중 스로틀 전폐 감속시 일정한 엔진 회전수 이상이면 연비저감 및 배출가스의 저감을 위하여 연료분사를 일시적으로 중지시킨 후, 일정한 엔진 회전수 이하로 저하되면 다시 연료분사를 개시하여 엔진의 연소를 행함으로써 안정된 아이들 회전수로의 복귀를 도모하고 엔진의 정지를 방지하게 되는 동작특성을 갖는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연료분사 제어장치는 스로틀 전폐 감속 상태에서 일정 엔진회전수 이상이 되면 무조건 연료분사가 중지됨으로써, 스로틀 전폐 감속으로 인하여 연료분사 중지가 이루어져 엔진출력이 저하되어 있는 상태에서, 운전자가 엔진 브레이크를 사용하기 위하여 클러치를 떼게 되면 부하가 저감됨과 동시에 엔진 회전수가 상승하게 되고 이와 같이 상승된 엔진 회전수에 따라 재차 연료분사 중지가 발생하게 됨으로써 엔진 출력이 극도로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스로틀 전폐감속 후에 운전자가 엔진 브레이크를 걸기 위하여 저단 변속을 하게 되면, 저단 변속으로 인하여 부하가 증가하게 됨으로써 이를 구동하기 위해서는 증가된 엔진출력을 필요로 함에도 불구하고, 종래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오히려 엔진출력이 저하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됨으로써 저하된 엔진출력이 증가된 부하를 감당해내지 못하고 엔진이 정지해 버리거나 차체가 울컥하고 진동하게 되는 부조현상을 발생시키는 단점이 있다.
이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스로틀 전폐 감속이 되면 일차적으로 연료분사 중지가 이루어지도록 한 뒤에 일정한 시간내에는 상대적으로 높은 엔진 회전수 이상이 되는 경우에만 이차적으로 연료분사 중지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엔진 출력이 극도로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자동차의 연료분사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연료분사 제어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연료분사 제어방법의 동작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아이들 스위치 20 : 엔진 회전수 센서
30 : 차속센서 40 : 제어부
50 : 타이머 60 : 인젝터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이 발명의 장치의 구성은, 스로틀 전폐 감속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아이들 스위치와, 엔진의 회전수를 감지하기 위한 엔진 회전수 센서와, 차속을 감지하기 위한 차속 센서와, 시간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타이머와, 스로틀 전폐 감속이 되면 일차적으로 연료분사 중지가 이루어지도록 한 뒤에 일정한 시간내에는 상대적으로 높은 엔진 회전수 이상이 되는 경우에만 이차적으로 연료분사 중지가 되도록 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수단과, 상기한 제어수단으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연료가 실린더내로 분사되도록 하는 인젝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이 발명의 방법의 구성은, 동작이 시작되면 스로틀 전폐 감속상태이고 엔진 회전수가 제1 기준치 이상이고 차속이 기준치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스로틀 전폐 감속상태이고 엔진 회전수가 제1 기준치 이상이며 차속이 기준치 이상인 경우에 연료분사를 일차적으로 중지하는 단계와, 스로틀 전폐감속상태이고 차속이 기준치 이상인 상태에서 엔진 회전수가 제1 기준치 이하인지를 판단하여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 연료분사를 개시함과 동시에타이머를 작동시키는 단계와, 일정시간이내에 다시 스로틀 전폐 감속상태이고 엔진 회전수가 제2 기준치 이상이고 차속이 기준치 이상인지를 판단하여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 연료분사를 이차적으로 중지하는 단계와, 스로틀 전폐감속상태이고 차속이 기준치 이상인 상태에서 엔진 회전수가 제2 기준치 이하인지를 판단하여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 연료분사를 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이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연료분사 제어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연료분사 제어장치의 구성은, 스로틀 전폐 감속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아이들 스위치(10)와, 엔진의 회전수를 감지하기 위한 엔진 회전수 센서(20)와, 차속을 감지하기 위한 차속 센서(30)와, 시간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타이머(50)와, 상기한 아이들 스위치(10)와 엔진 회전수 센서(20)와 차속 센서(30)와 타이머(5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스로틀 전폐 감속이 되면 일차적으로 연료분사 중지가 이루어지도록 한 뒤에 일정한 시간내에는 상대적으로 높은 엔진 회전수 이상이 되는 경우에만 이차적으로 연료분사 중지가 되도록 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40)와, 상기한 제어부(40)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연료가 실린더내로 분사되도록 하는 인젝터(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2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연료분사 제어방법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연료분사 제어방법의 구성은, 전원이 인가되면 동작이 시작되는 단계(S10)와, 아이들 스위치가 온됨으로써 스로틀 전폐 감속상태이고 엔진 회전수가 제1 기준치(RPM1) 이상이고 차속이 기준치(VS1)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20)와, 스로틀 전폐 감속상태이고 엔진 회전수가 제1 기준치(RPM1) 이상이며 차속이 기준치(VS1) 이상인 경우에 연료분사를 일차적으로 중지하는 단계(S30)와, 스로틀 전폐감속상태이고 차속이 기준치(VS1) 이상인 상태에서 엔진 회전수가 제1 기준치(RPM1) 이하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40)와, 스로틀 전폐감속상태이고 차속이 기준치(VS1) 이상인 상태에서 엔진 회전수가 제1 기준치(RPM1) 이하인 경우에 연료분사를 개시함과 동시에 타이머를 작동시키는 단계(S50)와, 일정시간(Δt)이내에 아이들 스위치가 온됨으로써 스로틀 전폐 감속상태이고 엔진 회전수가 제2 기준치(RPM2) 이상이고 차속이 기준치(VS1)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60)와, 일정시간(Δt)이내에 스로틀 전폐 감속상태이고 엔진 회전수가 제2 기준치(RPM2) 이상이며 차속이 기준치(VS1) 이상인 경우에 연료분사를 이차적으로 중지하는 단계(S70)와, 스로틀 전폐감속상태이고 차속이 기준치(VS1) 이상인 상태에서 엔진 회전수가 제2 기준치(RPM1) 이하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80)와, 스로틀 전폐감속상태이고 차속이 기준치(VS1) 이상인 상태에서 엔진 회전수가 제2 기준치(RPM2) 이하인 경우에 연료분사를 개시함과 동시에 타이머를 작동시키는 단계(S90)와, 동작을 종료하는 단계(S1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연료분사 제어방법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전원이 인가되면 제어부(40)의 내부 메모리에 프로그램화되어 저장되어 있는 도2의 동작수순이 제어부(40)에 의해 실행됨으로써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연료분사 제어장치의 동작이 시작된다(S10). 동작이 시작되면, 제어부(40)는 아이들 스위치(1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스로틀 전폐 감속상태인지, 엔진 회전수 센서(20)로부터 들어오는 신호를 이용하여 엔진 회전수가 제1 기준치(RPM1) 이상인지, 차속센서(3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차속이 기준치(VS1) 이상인지를 판단한다(S20). 만약, 스로틀 전폐 감속상태이고 엔진 회전수가 제1 기준치(RPM1) 이상이며 차속이 기준치(VS1) 이상이라고 판단되면, 제어부(40)는 인젝터(60)를 구동하여 연료분사를 일차적으로 중지한다(S30).
다음에, 제어부(40)는 스로틀 전폐감속상태이고 차속이 기준치(VS1) 이상인 상태에서 엔진 회전수가 저하되어 제1 기준치(RPM1) 이하로 되는지를 판단한다(S40). 스로틀 전폐감속상태이고 차속이 기준치(VS1) 이상인 상태에서 엔진 회전수가 제1 기준치(RPM1) 이하로 저하되었다고 판단되면, 제어부(40)는 연료분사를 다시 개시함과 동시에 타이머(50)를 작동시킨다(S50).
이어서, 제어부(40)는 타이머(50)의 시간(CT)이 일정시간(Δt)이내인 경우에 아이들 스위치(10)가 온됨으로써 스로틀 전폐 감속상태이고 엔진 회전수가 제2 기준치(RPM2) 이상이고 차속이 기준치(VS1) 이상인지를 판단한다(S60). 상기한 제2 기준치(RPM2)는 제1 기준치(RPM1)보다 높게 설정되어 있어서 엔진의 회전수가 일차 연료분사 중지때보다 상대적으로 높아야만 다음 단계로 진입됨을 의미한다. 일정시간(Δt)이내에 스로틀 전폐 감속상태이고 엔진 회전수가 제2 기준치(RPM2) 이상이며 차속이 기준치(VS1) 이상인 경우에 제어부(40)는 연료분사를 이차적으로 중지하게 되는데, 이 경우에 일차적으로 연료분사를 중지할 때보다 엔진 회전수가 높은 상태에서 이차적으로 연료분사가 중지되기 때문에 엔진 출력이 극도로 저하되는 일은 발생하지 않는다(S70).
다음에, 제어부(40)는 스로틀 전폐감속상태이고 차속이 기준치(VS1) 이상인 상태에서 엔진 회전수가 저하되어 제2 기준치(RPM1) 이하로 되는지를 판단한다(S80). 스로틀 전폐감속상태이고 차속이 기준치(VS1) 이상인 상태에서 엔진 회전수가 제2 기준치(RPM2) 이하로 저하되었다고 판단되면, 제어부(40)는 연료분사를 개시함과 동시에 타이머를 작동시키고(S90), 동작을 종료하게 된다(S100).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이 발명의 실시예에서, 스로틀 전폐 감속이 되면 일차적으로 연료분사 중지가 이루어지도록 한 뒤에 일정한 시간내에는 상대적으로 높은 엔진 회전수 이상이 되는 경우에만 이차적으로 연료분사 중지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엔진 출력이 극도로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여 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 자동차의 연료분사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가 있다. 이 발명의 이와 같은 효과는 자동차 연료분사장치 분야에서 이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형되어 이용될 수가 있다.

Claims (3)

  1. 삭제
  2. 동작이 시작되면 스로틀 전폐 감속상태이고 엔진 회전수가 제1 기준치 이상이고 차속이 기준치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스로틀 전폐 감속상태이고 엔진 회전수가 제1 기준치 이상이며 차속이 기준치 이상인 경우에 연료분사를 일차적으로 중지하는 단계와, 스로틀 전폐감속상태이고 차속이 기준치 이상인 상태에서 엔진 회전수가 제1 기준치 이하인지를 판단하여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 연료분사를 개시함과 동시에 타이머를 작동시키는 단계와, 일정시간이내에 다시 스로틀 전폐 감속상태이고 엔진 회전수가 제2 기준치 이상이고 차속이 기준치 이상인지를 판단하여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 연료분사를 이차적으로 중지하는 단계와, 스로틀 전폐감속상태이고 차속이 기준치 이상인 상태에서 엔진 회전수가 제2 기준치 이하인지를 판단하여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 연료분사를 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연료분사 제어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엔진 회전수의 제2 기준치는 제1 기준치부다 높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연료분사 제어방법.
KR1019990047058A 1999-10-28 1999-10-28 자동차의 연료분사 제어방법 KR1003458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7058A KR100345872B1 (ko) 1999-10-28 1999-10-28 자동차의 연료분사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7058A KR100345872B1 (ko) 1999-10-28 1999-10-28 자동차의 연료분사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8890A KR20010038890A (ko) 2001-05-15
KR100345872B1 true KR100345872B1 (ko) 2002-07-27

Family

ID=196173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7058A KR100345872B1 (ko) 1999-10-28 1999-10-28 자동차의 연료분사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4587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0456B1 (ko) * 2000-12-04 2003-04-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엔진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33018A (ko) * 1994-05-06 1995-12-22 요시후미 쓰지 내연기관의 연료공급 제어장치
KR970011339A (ko) * 1995-08-15 1997-03-27 기따오까 다까시 내연 기관용 스로틀 밸브의 전폐 검출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33018A (ko) * 1994-05-06 1995-12-22 요시후미 쓰지 내연기관의 연료공급 제어장치
KR970011339A (ko) * 1995-08-15 1997-03-27 기따오까 다까시 내연 기관용 스로틀 밸브의 전폐 검출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8890A (ko) 2001-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99768B2 (en) Automatic shutdown control for vehicular internal combustion
US20020017260A1 (en) Engine start-stop control system
US4940034A (en) Control circuit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peed of an electric fuel pump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equipped with fuel injection
US6324459B1 (en) Abrupt start prevention system for vehicles
US5551932A (en) Engine idle control during braking with lockup clutch being released
KR100345872B1 (ko) 자동차의 연료분사 제어방법
JPS61291741A (ja) 内燃機関の運転特性制御方法
JP2004183519A (ja) 自動車のエンジン停止制御装置
JPH0350355A (ja) 走行速度制限方法及び装置
JP2002061536A (ja) 内燃機関の運転方法および装置
EP3770418A1 (en) Control method for isg of vehicle equipped with manual transmission
KR100579219B1 (ko) 주행 상태에 따른 스모크 저감 방법
KR100569441B1 (ko)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의 발진성능 향상을 위한 제어방법
EP2006519B1 (en) Controller for a vehicle
KR970036281A (ko) 자동 변속기 자동차의 급 출발 방지방법
JPH09112328A (ja) 内燃機関の制御方法および制御装置
JP4480300B2 (ja) 内燃機関のスロットル制御装置
JP3777910B2 (ja) 自動停止機能付き内燃機関制御装置
US11440526B2 (en) Control method for SSC and ISG of vehicle and vehicle to which the control method is applied
JP2004019448A (ja) 内燃機関の自動停止制御装置
KR100231470B1 (ko) 슬립 방지기능을 갖는 자동차의 점화시기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0748647B1 (ko) 자동차 엔진의 공연비 및 점화 제어방법
JP3066897B2 (ja) 定速走行制御装置
KR100224352B1 (ko) 감속시 연료 차단 제어 방법
KR19980044805A (ko) 엔진공회전시 연료차단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70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