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45556B1 - 가솔린 자동차에서의 유해전자파 감소장치 - Google Patents

가솔린 자동차에서의 유해전자파 감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5556B1
KR100345556B1 KR1019990059367A KR19990059367A KR100345556B1 KR 100345556 B1 KR100345556 B1 KR 100345556B1 KR 1019990059367 A KR1019990059367 A KR 1019990059367A KR 19990059367 A KR19990059367 A KR 19990059367A KR 100345556 B1 KR100345556 B1 KR 1003455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ground
power input
engine
ground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93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64932A (ko
Inventor
장준석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900593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45556B1/ko
Publication of KR200100649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49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55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555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8/0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 B60K28/1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vehicle 
    • B60K28/14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vehicle  responsive to accident or emergency, e.g. deceleration, tilt of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07Wire harn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60R16/03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al cells or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13Failsafe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Ignition Installation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 Combined Control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솔린 자동차에서의 유해전자파 감소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엔진 콘트롤 유니트(ECU)의 두 아이들 PRM 신호 입력단자(a,b)와 밧데리 전원 입력단자(d)에 페라이트 코어(FC1)에 감겨진 3코일의 일단부를 각각 연결하되, 상기 페라이트 코어(FC1)의 3코일 타단부는 노말형 쵸크코일(L1-L3)을 통해 엔진 와이어 하네스중 두개의 아이들 RPM 콘트롤선(A,B)과 밧데리 전원 입력선(D)에 각각 연결하고, 엔진 와이어 하네스중 메인 파워선(C)과 산소센서 접지선(E), 인젝터 접지선(F), 콘트롤 접지선(H), 아웃스테이지 접지선(J), 이그네이션 코일 + 및 접지선(K,L)은 엔진 콘트롤 유니트(ECU)에 설치되어 있는 각각의 연결단자(c, e, f, h, j, k, l)에 직접 연결하며, 상기 두 아이들 RPM 콘트롤선(A,B)과 밧데리 전원 입력선(D) 사이와, 메인 파워선(C)과 콘트롤 접지선(H) 사이, 이그네이션 코일 + 및 접지선(K)(L) 사이, 메인 파워선(C)과 밧데리 전원 입력단자(d) 사이, 상기 밧데리 전원 입력단자(d)와 아웃스테이지 접지선(J) 사이 및 이그네이션 코일 +선(K)과 접지 사이에는 각각 전해 및 마일러 콘덴서(C1,C2)(C3)(C4,C5)(C6,C7)(C8,C9) (C10,C11)를 설치하여 콘트롤 유니트와 엔진에서 발생되는 유해전자파 노이즈로 인한 엔진 콘트롤 유니트의 오동작 및 급발진, 급가속 등에 의한 차량 및 인명피해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가솔린 자동차에서의 유해전자파 감소장치{Device for reducing harmful electron wave of a gasoline vehicle}
본 발명은 가솔린 자동차에서의 유해전자파 감소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엔진의 점화장치 및 엑츄에이터와 엔진 콘트롤 유니트 사이에 3개의 권취 코일을 갖는 페라이트 코어와 수개의 쵸크코일을 포함하여 수개의 전해 및 마일러 콘덴서를 적절히 조합하여서 된 L-C 필터를 설치하여 MIC 방식의 가솔린 엔진 장착형 차량의 시동 직,후 및 운행중 엔진 콘트롤 유니트와 엔진에서 발생되는 유해전자파 노이즈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엔진 콘트롤 유니트의 오동작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발명한 것이다.
엔진 콘트롤 유니트에 의한 전자제어 시스템이 장착된 종래의 차량에는 유해전자파 노이즈에 의한 차량의 오동작을 방지 및 엔진에서 발생하는 유해전자파를 방지할 수 있는 어떠한 장치도 구비되어 있지 않고 있다.
따라서, 가솔린 차량의 엔진 및 엔진 콘트롤 유니트에서 발생하는 유해전자파 노이즈에 의한 차량의 오동작 및 라디오 등 차량 내부에 부착된 무선 수신기의 혼동등의 문제를 유발하고 있는 실정이며, 특히 최근에는 외부에서 발생되는 유해전자파에 의한 급발진, 급가속 등에 의한 차량 및 인명피해가 잇따르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이와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엔진 콘트롤 유니트와 엔진 와이어 하네스 사이에 페라이트 코어와 수개의 쵸크코일 및 수개의 전해 및 마일러 콘덴서를 적절히 조합하여서 된 L-C 필터를 설치하여 엔진의 점화 시스템 및 액츄에이터에서 발생하는 광대역성 유해전자파 노이즈와 엔진 콘트롤 유니트에서 발생하는 클럭 펄스 노이즈 형태의 협대역성 유해전자파 노이즈까지 차단시켜 콘트롤 유니트와 엔진에서 발생되는 유해전자파 노이즈로 인한 엔진 콘트롤 유니트의 오동작 및 급발진, 급가속 등에 의한 차량 및 인명피해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가솔린 자동차에서의 유해전자파 감소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엔진 콘트롤 유니트와 엔진 와이어 하네스 사이에 페라이트 코어와 수개의 쵸크코일 및 수개의 전해 및 마일러 콘덴서를 적절히 조합하여서 된 L-C 필터를 설치하여 주므로써 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엔진의 점화 시스템 및 액츄에이터에서 발생하는 광대역성 유해전자파 노이즈를 물론이거니와, 엔진 콘트롤 유니트에서 발생하는 클럭 펄스 노이즈 형태의 협대역성 유해전자파 노이즈까지도 차단시킬 수 있어 콘트롤 유니트와 엔진에서 발생되는 유해전자파 노이즈로 인한 엔진 콘트롤 유니트의 오동작 및 급발진, 급가속 등에 의한 차량 및 인명피해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장치의 상세 회로도.
*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C1,C2,C5,C6,C7,C9,C11 : 마일러 콘덴서 C3,C4,C8,C10 : 전해 콘덴서
ECU : 엔진 콘트롤 유니트 FC1 : 페라이트 코어
L1-L3 : 노말형 쵸크코일 A,B : 아이들 RPM 콘트롤선
C : 메인 파워선 D : 밧데리 전원 입력선
E : 산소센서 접지선 F : 인젝터 접지선
H : 콘트롤 접지선 J : 아웃스테이지 접지선
K : 이그네이션 코일 +선 L : 이그네이션 코일 접지선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장치의 상세 회로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따르면, 엔진 콘트롤 유니트(ECU)의 두 아이들 PRM 신호 입력단자(a,b)와 밧데리 전원 입력단자(d)에 페라이트 코어(FC1)에 감겨진 3코일의 일단부를 각각 연결하되,
상기 페라이트 코어(FC1)의 3코일 타단부는 노말형 쵸크코일(L1-L3)을 통해 엔진 와이어 하네스중 두개의 아이들 RPM 콘트롤선(A,B)과 밧데리 전원 입력선(D)에 각각 연결하고,
엔진 와이어 하네스중 메인 파워선(C)과 산소센서 접지선(E), 인젝터 접지선(F), 콘트롤 접지선(H), 아웃스테이지 접지선(J), 이그네이션 코일 + 및 접지선(K,L)은 엔진 콘트롤 유니트(ECU)에 설치되어 있는 각각의 연결단자(c, e, f, h, j, k, l)에 직접 연결하며,
상기 두 아이들 RPM 콘트롤선(A,B)과 밧데리 전원 입력선(D) 사이와, 메인 파워선(C)과 콘트롤 접지선(H) 사이, 이그네이션 코일 + 및 접지선(K)(L) 사이, 메인 파워선(C)과 밧데리 전원 입력단자(d) 사이, 상기 밧데리 전원 입력단자(d)와 아웃스테이지 접지선(J) 사이 및 이그네이션 코일 +선(K)과 접지 사이에는 각각 전해 및 마일러 콘덴서(C1,C2)(C3)(C4,C5)(C6,C7)(C8,C9)(C10,C11)를 설치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C1,C2,C5,C6,C7,C9,C11은 마일러 콘덴서이고, C3,C4,C8,C10은 전해 콘덴서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 장치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서 엔진 콘트롤 유니트(ECU)의 두 아이들 PRM 신호입력단자(a,b)와 밧데리 전원 입력단자(d)에 설치되어 있는 페라이트 코어(FC1)와 노말형 쵸크코일(L1-L3)은 엔진 RPM 신호에 포함된 유해전자파 노이즈와 밧데리 전압에 포함되어 있는 유해전자파 노이즈를 각각 감쇄시켜 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두 아이들 RPM 콘트롤선(A,B)과 밧데리 전원 입력선(D)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마일러 콘덴서(C1,C2)는 상기 두 아이들 RPM 콘트롤선(A,B)과 밧데리 전원 입력선(D)를 통해 유입되는 유해전자파들을 상호 바이패스시켜 감쇄시켜 주게 된다.
이밖에 메인 파워선(C)과 콘트롤 접지선(H), 이그네이션 코일 + 및 접지선(K)(L), 메인 파워선(C)과 밧데리 전원 입력단자(d), 밧데리 전원 입력단자(d)와 아웃스테이지 접지선(J) 및 이그네이션 코일 +선(K)과 접지 사이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 전해 및 마일러 콘덴서(C3)(C4,C5)(C6,C7)(C8,C9)(C10,C11)들은 차량의 시동 직,후 및 운행중 엔진 콘트롤 유니트와 엔진에서 발생되어 각 선들을 통해 유입되는 유해전자파 노이즈를 접지측으로 바이패스시켜 주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엔진의 점화 시스템 및 액츄에이터에서 발생하는 광대역성 유해전자파 노이즈를 물론이거니와, 엔진 콘트롤 유니트에서 발생하는 클럭 펄스 노이즈 형태의 협대역성 유해전자파 노이즈까지도 차단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과 같이 엔진 콘트롤 유니트와 엔진 와이어 하네스 사이에 페라이트 코어와 수개의 쵸크코일 및 수개의 전해 및 마일러 콘덴서를 적절히 조합하여서 된 L-C 필터를 설치하여 시험한 결과, 엔진의 점화 시스템 및 액츄에이터에서발생하는 광대역성 유해전자파 노이즈와 엔진 콘트롤 유니트에서 발생하는 클럭 펄스 노이즈 형태의 협대역성 유해전자파 노이즈까지 차단시켜 시킬 수 있었는데, 특히 150KHz에서 1GHz 사이의 유해전자파 노이즈의 세기를 최고 1/100(40dB)로 감소시킬 수 있었고, 또 민수규격 보다 최고 30dB 엄격한 미국 국방규격을 만족할 수 있었으며, 엔진의 오동작 역시 방지할 수 있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엔진 콘트롤 유니트와 엔진 와이어 하네스 사이에 페라이트 코어와 수개의 쵸크코일 및 수개의 전해 및 마일러 콘덴서를 적절히 조합하여서 된 L-C 필터를 설치하여 주므로써, 엔진의 점화 시스템 및 액츄에이터에서 발생하는 광대역성 유해전자파 노이즈와 엔진 콘트롤 유니트에서 발생하는 클럭 펄스 노이즈 형태의 협대역성 유해전자파 노이즈까지 차단시킬 수 있어 콘트롤 유니트와 엔진에서 발생되는 유해전자파 노이즈로 인한 엔진 콘트롤 유니트의 오동작 및 급발진, 급가속 등에 의한 차량 및 인명피해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등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1)

  1. 엔진 콘트롤 유니트(ECU)의 두 아이들 PRM 신호 입력단자(a,b)와 밧데리 전원 입력단자(d)에 페라이트 코어(FC1)에 감겨진 3코일의 일단부를 각각 연결하되,
    상기 페라이트 코어(FC1)의 3코일 타단부는 노말형 쵸크코일(L1-L3)을 통해 엔진 와이어 하네스중 두개의 아이들 RPM 콘트롤선(A,B)과 밧데리 전원 입력선(D)에 각각 연결하고,
    엔진 와이어 하네스중 메인 파워선(C)과 산소센서 접지선(E), 인젝터 접지선(F), 콘트롤 접지선(H), 아웃스테이지 접지선(J), 이그네이션 코일 + 및 접지선(K,L)은 엔진 콘트롤 유니트(ECU)에 설치되어 있는 각각의 연결단자(c, e, f, h, j, k, l)에 직접 연결하며,
    상기 두 아이들 RPM 콘트롤선(A,B)과 밧데리 전원 입력선(D) 사이와, 메인 파워선(C)과 콘트롤 접지선(H) 사이, 이그네이션 코일 + 및 접지선(K)(L) 사이, 메인 파워선(C)과 밧데리 전원 입력단자(d) 사이, 상기 밧데리 전원 입력단자(d)와 아웃스테이지 접지선(J) 사이 및 이그네이션 코일 +선(K)과 접지 사이에는 각각 전해 및 마일러 콘덴서(C1,C2)(C3)(C4,C5)(C6,C7)(C8,C9)(C10,C11)를 설치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솔린 자동차에서의 유해전자파 감소장치.
KR1019990059367A 1999-12-20 1999-12-20 가솔린 자동차에서의 유해전자파 감소장치 KR1003455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9367A KR100345556B1 (ko) 1999-12-20 1999-12-20 가솔린 자동차에서의 유해전자파 감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9367A KR100345556B1 (ko) 1999-12-20 1999-12-20 가솔린 자동차에서의 유해전자파 감소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4932A KR20010064932A (ko) 2001-07-11
KR100345556B1 true KR100345556B1 (ko) 2002-07-26

Family

ID=196272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9367A KR100345556B1 (ko) 1999-12-20 1999-12-20 가솔린 자동차에서의 유해전자파 감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4555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4932A (ko) 2001-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80948B2 (en) Band elimination filter providing attenuation within wide range of frequencies
JP6738381B2 (ja) Emcフィルタ
KR100598433B1 (ko) 듀플렉서 및 통신 장치
KR100345556B1 (ko) 가솔린 자동차에서의 유해전자파 감소장치
CN1707979A (zh) 降低来自电子模块的幅射发射的设备
JP5692903B2 (ja) 車載機器用高周波ノイズフィルタおよびフィルタ結線方法
JP5570055B2 (ja) 車載機器用コンデンサ型高周波ノイズフィルター
JPH08273950A (ja) 内燃機関用点火コイル
EP2700162B1 (de) Auslöschung parasitärer induktivitäten in zu elektrischen wandlern parallel geschalteten filterkondensatoren in einem bordnetz für ein fahrzeug
KR100324386B1 (ko) 가솔린 엔진의 이그네이션 시스템 유해전자파 감소장치
KR100345555B1 (ko) 가솔린 엔진의 전기식 연료펌프 유해전자파 방지장치
JP2002111424A (ja) ラインフィルタ
JPS636464Y2 (ko)
JPH09116367A (ja) ノイズフィルタ
JP2002217670A (ja) バラントランス
JP6406482B1 (ja) トラップフィルタおよびフィルタ回路
US20090058559A1 (en) Microprocessor common-mode emissions reduction circuit
JP2689133B2 (ja) 混合分波器
KR100513962B1 (ko) 전기식 릴레이의 전자파 차단회로
KR200183591Y1 (ko) 차량용 모터의 전자파 노이즈 흡수장치
JPH11289235A (ja) 通信濾波方法及び通信線用フィルタ
JP2006041803A (ja) ノイズフィルタ
JPH02183609A (ja) 雑音抑止線および雑音防止装置
JPH0543545Y2 (ko)
JP2004312473A (ja) サージ吸収用フィルタ回路及び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