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45257B1 - 디옵터링을가진광학기 - Google Patents

디옵터링을가진광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5257B1
KR100345257B1 KR1019950028881A KR19950028881A KR100345257B1 KR 100345257 B1 KR100345257 B1 KR 100345257B1 KR 1019950028881 A KR1019950028881 A KR 1019950028881A KR 19950028881 A KR19950028881 A KR 19950028881A KR 100345257 B1 KR100345257 B1 KR 1003452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rel
diopter ring
diopter
ring
engag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288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8360A (ko
Inventor
야마모토미쯔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콘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콘
Publication of KR9600083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83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52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525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3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permitting adjustmen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5/00Eyepieces; Magnifying glasses
    • G02B25/001Eyepie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Telesc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세트비스를 사용치 않고 디옵터링을 경통에 고정할 수 있는 디옵터링을 가진 광학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구성에 있어 쌍안경(1)은 관찰에 필요한 광학계를 비치한 본체부(10)와 접안 렌즈(21)를 수용하고, 접안 렌즈(21)의 광축(22)을 상기 광학계의 광축(12)과 합치시킨 상태로 본체부(10)에 장착된 경통(20)과, 이용자에 의한 경통(20)이 본체부(10)에 대한 회전 운동에 따라, 경통(20)의 접안 렌즈(21)를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디옵터 보정을 하는 기구와, 경통(20)에 외삽된 디옵터링(30)과, 디옵터링(30)의 일부와 경통(20)의 일부와에 각각 맞물린 상태로 끼워진 걸어맞춤 부재(40)를 갖는다.

Description

디옵터링을 가진 광학기
산업상의 이용분야
본 발명은 디옵터링을 가진 광학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
광학기로서 예를들어, 쌍안경중에는 이용자의 좌우눈의 디옵터 차이를 보정할 수 있는 디옵터 보정 기구를 설치한 것이 있다. 이러한 디옵터 보정 기구를 제 10 도에 나타낸다.
이용자의 한쪽눈에 상을 나타 내기 위한 광학계를 내장하는 본체 케이스 (101)에는 원통상의 개구부(102)가 설치되어 있다. 접안 렌즈(103)를 수용하는 경통(鏡筒)(104)은 이 개구부(102)에 미끄러져 이동가능하게 끼워 넣어져 있다. 본체 케이스(101)의 외측에는 이용자의 다른쪽 눈에 상을 나타 내기 위한 광학계를 내장하는 본체 케이스에 접속하고 있는 프레임(105)이 설치되어 있다. 또, 경통(104)에는 개구부(102)에서 돌출한 부분의 외주면에 숫나사(106)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프레임(105)에는 숫나사(106)에 맞물리는 암나사(107)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나사 작용에 의하여, 경통(104)이 프레임(105)에 대한 회전에 따라서 광축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러한 이동에 따라, 경통(104)의 접안 렌즈(103)의 위치가 광축 방향으로 변화하여 이용자에 대한 디옵터 보정이 행하여진다.
경통(104)의 단부면(108)에 가까운 외주면에는 경통(104)을 회전시키기 위한 디옵터링(109)이 끼워져 있다. 이 디옵터링(109)에는 경통(104)의 회전에 의한 디옵터 보정의 정도를 표시하는 마크가 설치되어 있다. 디옵터링(109)은 몇자루의 세트비스(제 1 도에서는 세트비스(110)만 표시되어 있다)에 의하여 경통(104)에 고정되어 있다. 또, 디옵터링(109)에는 고무제의 접안부(111)가 장치되어 있다.
이용자는 디옵터링(109)을 접안 렌즈의 광축 둘레에 회전시키므로서, 디옵터 보정을 하고, 또, 디옵터링(109)에 설치되어 있는 마크를 보아 보정의 정도를 확인할 수가 있다.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
그런데, 종래의 쌍안경의 디옵터링은 전술한 바와같이, 세트비스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었다. 따라서, 디옵터링을 성형한 후, 후 가공으로서 이 세트비스를 삽입하기 위한 비스 구멍을 디옵터링에 설치할 필요가 있었다. 또, 이 비스 구멍은 소정의 치수에 뚫혀져 있지 않다든가, 비스 구멍에 가공에 의하여 부스러기가 남겨지는 일이 있다. 이런 경우, 세트비스가 경통까지 닿지 않고 디옵터링을 경통에 고정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세트 비스가 삽입된 후, 디옵터링이 경통에 확실히 고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필요가 있었다.
또, 디옵터링은 통상 몰드이기 때문에 웰드부(성형시에 있어서, 둘 이상의 탕의 흐름이 충돌하는 부분)가 존재한다. 이 웰드부는 일반적으로 내구성이 부족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웰드부 부근에 비스 구멍을 가공할 경우, 세트비스의 고정시에 작용하는 디옵터링의 내부 응력에 의하여, 비스 구멍에서 크랙이 생기는 일이 있었다.
본 발명은 세트비스를 사용하지 않고, 디옵터링을 경통에 확실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광학기(예컨대, 쌍안경)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 목적은, 관찰에 필요한 광학계를 구비한 본체부와 접안 렌즈를 수용하고, 상기 접안 렌즈의 광축(光軸)을 상기 광학계의 광축에 합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본체부에 장치되는 경통(鏡筒)과, 상기 경통의 외주에 장치되는 디옵터링과, 상기 디옵터링을 회전시키므로서, 상기 경통을 상기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디옵터 보정을 하는 디옵터 보정 기구를 가진 광학기에 있어서, 상기 디옵터링은 그 내주면에 돌출한 돌기부와 주위방향(周方向)으로 나열된 복수의 제 1 걸어맞춤부를 갖고, 상기 경통은 그 외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돌기부가 삽입되는 주위방향 홈과, 상기 돌기부를 상기 경통의 단부면에서 상기 주위방향 홈으로 도입하는 도입홈과 주위방향에 나열된 복수의 제 2 걸어맞춤부를 갖고, 다시 상기 광학기기는 상기 디옵터링의 제 1 걸어맞춤부와 상기 경통의 상기 제 2 걸어맞춤부와에 각각 걸어맞춤하는 걸어맞춤 부재를 갖고 상기 돌기부와 상기 주위방향 홈과의 걸어맞춤에 의하여 상기 디옵터링의 상기 광축 방향의 움직임을 규제하고, 상기 걸어맞춤 부재와 상기 디옵터링의 제 1 걸어맞춤부와의 걸어맞춤 및 상기 걸어맞춤 부내와 상기 경통의 제 2 걸어맞춤부와의 걸어맞춤에 의하여 상기 디옵터링의 주위방향의 움직임을 규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기에 의하여 달성된다.
또, 상기 디옵터링의 제 1 걸어맞춤부는 상기 디옵터링의 내주면에 설치된 내부를 향한 이빨이며, 상기 경통의 제 2 걸어맞춤부는 상기 주위방향 홈과 상기 경통의 단부면과의 사이에서, 동시에 상기 도입 홈과 동일 원주상에 설치된 외부를 향한 이빨이며, 상기 걸어맞춤 부재는 상기 디옵터링과 상기 경통과의 사이에 끼워넣어진 원환상의 부재이며, 상기 걸어맞춤부재 외주에는 상기 디옵터링의 내주면에 설치된 내부로 향한 이빨과 맞물리는 외부로 향한 이빨이 형성되고 상기 걸어맞춤 부재의 내주에는 상기 경통에 설치된 외부를 향한 이빨과 맞물려는 내부로 향한 이빨이 형성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다시, 상기 디옵터링의 제 1 걸어맞춤부는 상기 디옵터링의 상기 광축과 직교하는 단부면에 설치된 것이며, 상기 경통의 제 2 걸어맞춤부는 상기 주위방향 홈과 상기 경통의 단부면과의 사이에서, 동시에 상기 도입 홈과 동일 원주상에 설치된 외부를 향한 이빨이며, 상기 걸어맞춤 부재는 상기 디옵터링과 상기 경통의 사이에 끼워 넣어진 원환상의 부재이며, 상기 걸어맞춤 부재의 한쪽의 단부면에는 상기 디옵터링의 단부면에서 설치된 이빨과 맞물리는 이빨이 형성되고, 상기 걸어맞춤 부재의 내주에는 상기 경통에 설치되어 외부를 향한 이빨과 맞물리는 내부를 향한 이빨이 형성되어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에 관한 일실시예에 대하여 도면과 더불어 설명한다.
제 1 도는 제 1 실시예로서 쌍안경의 디옵터 보정 기구에 관한 부분을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제 1 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본 실시예인 쌍안경(1)은 본체부(10)와 접안 렌즈(21)를 수용하는 경통(20)과, 경통(20)에 외측에 설치되는 디옵터링(30)과, 경통(20)과 디옵터링(30)과의 사이에 끼워 넣어진 상태로 디옵터링 (30)을 경통(20)에 대하여 고정하는 걸어맞춤 부재(40)를 비치하였다. 그리고, 본체부(10)는 이용자의 한쪽 눈에 상을 나타내기 위하여 도시치 않은 광학계(예컨대,폴로프리즘)를 내장하고 있으며, 제 1 도에는 쌍안경의 접안부의 일부분을 나타낸다.
본체부(10)에는 경통(20)을 유지하기 위한 원통형의 경통 유지부(11)가 설치되어 있다. 경통(20)은 접안 렌즈(21)의 광축(22)을 상기 광학계의 광축(12)에 합치시킨 상태에서, 이 경통 유지부(11)에 접촉되어 미끄러져 이동 가능하게 끼워 넣어져 있다.
경통(20)의 상세는 제 2A 도 내지 제 2C 도에 나타내어져 있다. 제 2A 도는 경통(20)의 단면도, 제 2B 도는 경통(20)의 정면도, 제 2C 도는 제 2B 도의 화살표 A 방향에서 경통(20)의 상면도이다.
경통(20)은 경통 유지부(11)에 끼워 넣어졌을 때에 상기 경통 유지부(11)에서 그 일부가 돌출되는 길이를 갖고 돌출된 부분의 외주면에는 사다리꼴 나사(23)가 절삭되어 있다. 또, 사다리꼴 나사(23)와 단부면(25)과의 사이에는 주위방향에 따라 형성된 홈(주위방향 홈(24))과 주위방향으로 나열된 복수의 외향된 이빨(28, 29)이 형성되었다. 또, 이빨(28, 29)과는 동일 원주상에 형성되어 있고, 이빨(28)과 이빨(29) 사이에는 주위방향 홈(24)의 깊이와 같은 깊이의 두개의 홈[(도입 홈 (26, 27)]이 형성되었다. 주위방향 홈(24)에는 디옵터링(30)의 두개의 돌기부(31, 32) (제 3A 도, 제 3B도 참조)가 느슨히 넣어져 이들의 돌기부(31, 32)는 이 도입홈(26, 27)에서 주위방향 홈(24)에 안내된다. 즉, 상술한 두개의 도입 홈(26, 27)은 두개의 돌기부(31, 32)의 각각을 주위방향 홈(24)까지 도입하기 위한 홈이다.
그리고, 제 2A 도 내지 제 2C 도는 주위방향 홈(24)의 폭을 La, 이빨(28,29)의 이빨 폭은 Lb, 주위방향 홈(24)에는 경통(20)의 외경을 Lc, 이빨(28, 29)의 경통(20)의 외경을 Ld, 도입 홈(26) 도입 홈(27)의 폭은 (a + α) ˚로 되어 있다.
한편, 경통(20)의 외측에는 제 1 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상술된 사다리꼴 나사(23)와 이빨이 맞물리는 사다리꼴 나사(13)가 형성되어 있는 프레임(14)이 설치되어 있다. 이 프레임(14)은 도시하지 않은 다른 쪽의 본체 케이스에 접속되어 있다. 또, 경통(20)의 사다리꼴 나사(23)와 프레임(14)의 사다리꼴 나사(13)와는 숫나사와 암나사의 관계에 있다. 따라서, 경통(20)은 예컨대, 프레임(14)에 대하여 우측으로 회전하면서 경통 유지부(11)에 밀어 넣게되며 좌측으로 회전하면서 경통 유지부(11)로부터 인출되게 된다. 접안 렌즈(21)는 경통(20)과 함께 광축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술의 광학기에 대한 상대 위치가 변화한다. 이 상대 위치의 변화에 응하여 이용자에 대한 디옵터 보정이 있게 된다.
디옵터링(30)의 상세는 제 3A 도 내지 제 3C 도에 나타나 있다. 제 3A 도는 디옵터링(30)의 단면도, 제 3B 도는 디옵터링(30)의 정면도, 제 3C 도는 제 3B 도의 화살표 B 방향에서 본 디옵터링(30)의 측면도이다.
디옵터링(30)은 원환상의 부재이며, 그 내주면에 주위방향으로 소정의 길이 (각도 a˚에 대응하는 길이)를 갖는 두개의 돌기부(31, 32)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돌기부(31, 32)의 두께는 경통(20)의 주위방향 홈(24)의 폭과 동일하고, La를 갖는다. 또, 돌기부(31, 32)에 있어서 디옵터링(30)의 내경은 Lc를 갖으며, 경통(20)의 주위방향 홈(24) 외경과 동일하게 되어 있다. 한편, 돌기부(31, 32)가 설치되어 있지 않는 부분의 디옵터링(30)의 내경은 경통(20)의 외부를 향한 이빨(28, 29)이 통과될 수 있도록 Ld+a로 되어 있다. 또, 돌기부(31, 32)와 단부면(33)과의 사이에는 경통(20)의 반경 방향으로 울퉁불퉁하고 동시에 주위방향에 나열된 복수의 내부를 향한 이빨(3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이빨(34)의 이빨 폭은 Lb이며, 경통(20)의 이빨(28) [이빨29]의 이빨 폭과 동일하게 되어 있다. 또, 이빨(34)의 내경은 Le 로 되어 있다.
디옵터링(30)의 외측에는 플랜지(35)가 형성되어 있다. 이 플랜지(35)에는 고무제의 접안부(50)가 장치된다(제 1 도 참조). 또, 디옵터링(30)의 외측 표면에는 디옵터 보정의 정도를 표시하기 위한 마크('+', '0', '-' )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프레임(14, 제 1 도 참조)의 외측 표면에도(도시하지 않음) 기준을 표시하는 마크(예컨대, '-', ' ˚')가 그려져 있다. 이용자는 디옵터링(30)을 회전시켰을 때에 기준을 표시하는 마크가 ('+', '0', '-') 중에서 어느 근처에 위치하는가를 확인함으로써 디옵터 보정의 정도를 알 수가 있다.
걸어맞춤 부재(40)의 상세는 제 4A 도, 제 4B 도에 나타나 있다. 제 4A 도는 걸어맞춤 부재(40)의 단면도, 제 4B 도는 걸어맞춤 부재(40)의 정면도이다.
걸어맞춤 부재(40)는 원환상의 부재이며, 그 외주에는 디옵터링(30)에 설치되고 내향된 이빨(34)과 맞물리고 외향된 이빨(41)이 형성되고, 그 내주에는 경통(20)에 설치되고 외향된 이빨(28, 29)의 각각과 맞물리는 내향된 이빨(42)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걸어맞춤 부재(40)의 외경은 디옵터링(30)의 내향된 이빨(34)에 맞물릴 수 있도록 Le로 되어 있고, 결어맞춤 부재(40)의 내경은 경통(20)의 외향된 이빨(28, 29)에 맞물리도록 Ld로 되어 있다. 또, 걸어맞춤 부재(40)의 두께는 경통(20)의 이빨(28, 29) 및 디옵터링(30)의 이빨(34) 각각의 이빨 폭과 동일한 Lb이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있어서 걸어맞춤 부재(40)을 비롯하여 경통(20) 및 디옵터링(30)의 각각은 수지로 되어 있으며 형(型)성형으로 제작 가능하다.
다음에, 디옵터링(30)의 고정 방법은, 제 2A 도 내지 제 2C 도, 제 3A 도 내지 제 3C 도, 제 4A 도와 제 4B 도를 가지고 설명한다. 그리고, 디옵터링(30)의 경통(20)에 고정되어 있는 완성 상태는 제 1 도 및 제 5 도에 나타나 있다.
먼저, 무조정의 정시안(正視眼)으로 무한원에 핀트가 맞는 광학적 배치에 있어 디옵터링(30)을 경통(20)의 외측에 삽입하기 위하여 디옵터링(30)의 두개의 돌기부(31, 32) 각각을 경통(20)의 도입 홈(26, 27)의 위치에 맞춘다. 위치 맞추기가 끝나면 이들 돌기부(31, 32)를 도입 홈(26, 27)에 끼우고, 디옵터링(30)을 광축방향으로 밀어 넣는다. 디옵터링(30)이 속까지 들어가면, 디옵터링(30)을 주위방향으로 회전시켜 돌기부(31, 32)를 주위방향 홈(24)에 걸어맞춤시킨다. 즉, 디옵터링(30)의 돌기부(31, 32)와 경통(20)의 이빨(28, 29)에 대향되어 돌기부(31, 32)가 주위방향 홈(24)에 따라 안내되므로, 디옵터링(30)의 광축 방향의 움직임이 규제된다. 이 상태에서 디옵터링(30)을 임의의 방향으로 회전시켜 디옵터링(30)의 마크가 프레임(14)의 마크에 맞도록 조정한다. 이때 제 5 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디옵터링(30)의 돌기부(31, 32)와 경통(20)의 이빨(28, 29)이 반드시 포개지도록디옵터링(30)의 돌기부(31, 32)의 길이(각도 a˚)와 마크의 위치를 정하여 둔다. 마크의 위치 조정이 끝나면 디옵터링(30)의 주위방향의 움직임을 규제하기 위하여 디옵터링(30)과 경통(20)과의 사이에 걸어맞춤 부재(40)를 끼워 넣는다. 걸어맞춤 부재(40)가 끼워 넣어지면, 제 5 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걸어맞춤 부재(40)의 외향된 이빨(41)과 디옵터링(30)의 내향된 이빨(34)이 맞물림과 동시에 걸어맞춤 부재(40)의 내향된 이빨(42)과 경통(20)의 외향된 이빨(28, 29)이 맞물리게 된다. 따라서, 디옵터링(30)은 경통(20)에 대하여 회전하는 일은 없다. 그후, 상술의 접안부(50)를 디옵터링(30)의 플랜지(35)에 장치하고 걸어맞춤 부재(40)가 빠져나가지 않도록 고정한다.
이상, 본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기술하였으나, 이와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디옵터링(30)을 경통(20)에 고정할때, 세트비스를 사용하지 않았다. 결국, 디옵터링(30)에 세트비스를 삽입하기 위한 비스 구멍은 천공할 필요가 없다. 또, 경통(20)에 세트비스의 선단과 걸어맞춤하는 V 홈을 설치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이들에 요하던 스페이스를 없앨 수가 있고, 결과로서 접안 부재(50)를 접어서 반대쪽으로 절곡할 때의 단부면(51)과 접안 렌즈(21)중에 최단부에 있는 렌즈와의 거리(L2, 제 1 도 참조)를 종래(제 10 도의 L1) 보다도 단축할 수가 있다.
그런데, 쌍안경에는 접안 렌즈를 들여다 볼 때에 전시야가 보이는 아이 포인트(제 1 도에 있어서는 P 점, 실제로는 접안부의 단면에서 2~3mm 정도의 위치)라는 위치가 있다. 이용자는 이 아이 포인트 부근에 눈을 가지고 가서 쌍안경을 사용한다. 그러나 안경을 끼고 있는 사람은 아이 포인트 부근에 눈을 가까이 하면 안경이접안부에 닿아서 그 접안부가 방해물이 된다. 따라서, 이 접안부를 경통측으로 접어 절곡하고서 쌍안경을 사용한다.
그러나, 상술한 거리(L2), [접안부(50)을 절곡하여 접었을 때의 단부면(51)과 최단부에 있는 접안 렌즈와의 거리]가 긴 경우, 안경을 끼고 있는 이용자는 접안부를 접어 절곡하여도 안경의 일부가 접안부를 접어 절곡할 때의 단부면에 닿아서 아이 포인트 보다도 먼 위치에서 접안 렌즈를 들여다 보아야 할 경우가 있다.
그래서, 본 실시예와 같이, 경통(20)의 단부면(25)과 최단부에 있는 접안 렌즈와의 거리(L2)를 작게 하면, 안경이 접안부(50)를 접어 절곡할 때의 단부면(51)에 접하는 일 없이 아이 포인트까지 눈을 접근할 수가 있게 된다.
다음에, 본 발명을 쌍안경에 적용한 경우의 제 2 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 제 6A 도, 제 6B 도, 제 6C 도, 제 6D 도 내지 제 9 도를 가지고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디옵터링은 도면 제 6A 도 내지 제 6D 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 6A 도는 본 실시예의 디옵터링의 단면도, 제 6B 도는 본 실시예의 디옵터링의 정면도, 제 6C 도는 제 6B 도의 화살표 C 방향에서 본 디옵터링의 측면도, 제 6D 도는 제 6A 도의 화살표 D 가 가리키는 부분의 확대도이다.
본 실시예의 디옵터링(60)은 단부면(63)에서 일단 내측으로 형성된 광축과 직교하는 단부면을 갖는다. 이 단부면에는 광축 방향에 울퉁불퉁하고 동시에 주위방향으로 나열된 복수의 이빨(64)이 형성되어 있다. 또, 이 단부면에 형성된 이빨(54)의 외경은 Le이며, 이빨(64)의 내경은 Ld+α이다. 그리고, 돌기부(61, 62)나 플랜지(65)를 비롯하여 그 밖의 형상에 대해서는 제 1 의 실시예의 디옵터링과 동일하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제 2A 도 내지 제 2C 도에 나타낸 제 1 의 실시예의 경통을 사용할 수가 있다.
본 실시예의 걸어맞춤 부재는 제 7A 도 내지 제 7C 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 7A 도는 본 실시예의 걸어맞춤 부재의 단면도, 제 7B 도는 본 실시예의 걸어맞춤 부재의 정면도. 제 7C 도는 제 7A 도의 화살표가 가리키는 부분의 확대도이다.
걸어맞춤 부재(70)는 한편의 단부면에는 디옵터링(60)에 설치된 이빨(64)과 맞물리는 이빨(71)이 형성되어 있다. 걸어맞춤 부재(70)의 내주에는 경통(20)에 설치된 외향된 이빨(28, 29)과 맞물리는 내향된 이빨(72)이 형성되어 있다. 다시 걸어맞춤 부재(70)에는 외주면에서 돌출한 3 개의 돌기부(73, 74, 75)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걸어맞춤 부재(70)의 돌기부(73, 74, 75) 이외 부분의 외경은 Le이며, 이빨(64)의 외경과 동일하게 되어 있다. 또, 걸어맞춤 부재(70)의 내경은 경통(20)의 이빨(28, 29)에 맞물릴 수 있도록 Ld 되어 있다. 걸어맞춤 부재(70)의 두께는 제 1 의 실시예의 걸어맞춤 부재(40)와 동일 Lb이다. 그리고 제 6D 도 및 제 7C 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이빨(64) 및 이빨(71)의 각각의 각도는 60˚가 좋다. 이 각도가 지나치게 크면 걸어맞춤 부재(70)가 디옵터링(60)에 대하여 회전 방향으로 달아나기 쉽게 된다.
다음에, 본 실시예의 디옵터링의 고정 방법에 대하여, 도면 제 2A 도 내지제 2C 도, 제 6A 도 내지 제 6D 도 및 제 7A 도 내지 제 7C 도를 가지고 설명한다. 그리고, 경통에 디옵터링이 고정된 상태는 제 8 도 및 제 9 도에 나타나 있다.
먼저, 무조정의 정시안으로 무한원에 핀트가 맞는 광학적 배치에 있어서, 디옵터링(60)은 경통(20)에 외삽하기 위하여 디옵터링(60)의 두개의 돌기부(61, 62)를 경통(20)의 도입 홈(26, 27)에 맞추고, 이후 상기 돌기부를 도입홈에 따라 이동시키면서 디옵터링(50)을 경통(20)에 끼워 넣어간다. 상기 돌기부(61, 62)가 주위 방향 홈(24)에 도달하면, 디옵터링(60)을 주위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돌기부(61, 62)를 주위방향 홈(24)에 걸어맞춤시킨다. 여기까지는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다.
다음에, 걸어맞춤 부재(70)를 디옵터링(60)과 경통(20)과의 사이에 끼워 넣지만, 이때는 먼저, 걸어맞춤 부재(70)를 조금만 밀어넣고, 걸어맞춤부(70)의 내향된 이빨(72)을 경통(20)의 외향된 이빨(28, 29)에 맞물리게 한다. 이때 걸어맞춤 부재(70)는 경통(20)과 함께 디옵터링(50)에 대하여 자유로 회전할 수 있는 상태에 있다. 이후, 걸어맞춤 부재(70)를 다시 밀어 넣고, 걸어맞춤 부재(70)의 단부면의 이빨(71)을 디옵터링(60)의 단부면의 이빨(64)과 맞물리게 한다.
이와같이, 이빨의 맞물림을 2 단계로 하는 것이 제 1 실시예와 같이 걸어맞춤 부재의 2 개 이 각각은, 디옵터링의 이빨과 경통의 이빨에 맞물리게 하는 경우 보다도 걸어맞춤 부재(70)의 끼워 넣기 작업이 간단해진다.
또, 걸어맞춤 부재(70)는 3 개의 돌기부(73, 74, 75)에 의하여 디옵터링(60)에 압입된다. 따라서, 디옵터링(60) 및 경통(20)에서 결어맞춤 부재(70)가 빠지는 일이 없다. 그리고, 디옵터링(60)의 측면에는 2 개의 구멍(66, 67)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걸어맞춤 부재(70)가 압입되어도 상기 구멍에서 봉형태의 부재를 사용하여 걸어맞춤 부재(70)를 긁어 낼 수가 있다.
제 1 도는 본 발명에 관한 제 1 실시예의 쌍안경의 디옵터 보정 기구에 관한 부분의 부분 단면도.
제 2A 도 내지 제 2C 도는 본 발명에 관한 제 1 실시예의 쌍안경의 경통(鏡筒)에 관한 설명도.
제 3A 도 내지 제 3C 도는 본 발명에 관한 제 1 실시예의 쌍안경의 디옵터링에 관한 설명도.
제 4A 도 내지 제 4B 도는 본 발명에 관한 제 1 실시예의 쌍안경의 걸어맞춤 부재에 관한 설명도.
제 5 도는 본 발명에 관한 제 1 실시예의 걸어맞춤 부재가 디옵터링과 경통과의 이빨이 맞물린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
제 6A 도 내지 제 6D 도는 본 발명에 관한 제 2 실시예의 쌍안경의 디옵터링에 관한 설명도.
제 7A 도 내지 제 7C 도는 본 발명에 관한 제 2 실시예의 쌍안경의 걸어맞춤 부재에 관한 설명도.
제 8 도는 본 발명에 관한 제 2 실시예의 쌍안경의 디옵터 보정 기구에 관한 부분의 부분 단면도.
제 9 도는 본 발명에 관한 제 2 의 실시예의 걸어맞춤 부재가 디옵터링과 경통과의 이빨이 맞물린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
제 10 도는 종래의 쌍안경의 디옵터 보정 기구에 관한 부분의 부분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2, 100 : 쌍안경 10 : 본체부
11 : 경통 유지부 12, 22 : 광축
13, 23 : 사다리꼴 나사 14, 105 : 프레임
20, 104 : 경통 21, 103 : 접안 렌즈
24 : 주위방향 홈 25, 33, 51, 63, 108 : 단부면
26, 27 : 도입 홈
28, 29, 34, 41, 42, 64, 71, 72 : 이빨
30, 60, 109 : 디옵터링
31, 32, 61, 62, 73, 74, 75 : 돌기부
35, 65 : 플랜지 40, 70 : 걸어맞춤 부재
50 : 접안부 66, 67 : 구멍
101 : 본체 케이스 102 : 개구부
106 : 숫나사 107 : 암나사
110 : 세트비스
본 발명에 의하면, 세트비스를 쓰지 않고 디옵터링을 경통에 확실하게 고정할 수가 있다. 그래서 세트비스를 위한 비스 구멍을 후가공할 필요가 없다. 또 비스 구멍을 설치안하였음으로 비스 구명에 의한 크랙이 발생하는 일이 없다.

Claims (3)

  1. 관찰에 필요한 광학계를 비치한 본체부와 접안 렌즈를 수용하고, 상기 접안 렌즈의 광축을 상기 광학계의 광축에 합치시킨 상태로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는 경통과, 상기 경통의 외주에 설치되는 디옵터링과, 상기 디옵터링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경통을 상기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켜 디옵터 보정을 하는 디옵터 보정 기구를 가지는 광학기에 있어서,
    상기 디옵터링은 그 내주면에 돌출한 돌기부와 주위방향으로 나열된 복수의 제 1 걸어맞춤부를 구비하고,
    상기 경통은 그 외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돌기부가 삽입되는 주위방향 홈과, 상기 돌기부를 상기 경통의 단부면에서 상기 주위방향 홈으로 도입하는 도입 홈과, 주위방향으로 나열된 복수의 제 2 걸어맞춤부를 구비하며,
    상기 광학기는 상기 디옵터링의 제 1 걸어맞춤부와 상기 경통의 제 2 걸어맞춤부에 각각 걸어맞춤하는 걸어맞춤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돌기부와 상기 주위방향 홈과의 걸어맞춤에 의하여, 상기 디옵터링의 상기 광축 방향의 움직임을 규제하고, 상기 걸어맞춤 부재와 상기 디옵터링의 제 1 걸어맞춤부와의 걸어맞춤 및 상기 걸어맞춤 부재와 상기 경통의 제 2 걸어맞춤 부재와의 걸어맞춤에 의하여, 상기 디옵터링의 주위방향 움직임을 규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옵터링을 가진 광학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옵터링의 제 1 걸어맞춤부는 상기 디옵터링의 내주면에 설치되고 내향된 이빨이며,
    상기 경통의 제 2 걸어맞춤부는 상기 주위방향 홈과 상기 경통의 단부면과의 사이에서, 상기 도입 홈과 동일 원주상에 설치된 외향된 이빨이며,
    상기 걸어맞춤 부재는 상기 디옵터링과 상기 경통과의 사이에 끼워 넣어진 원환상의 부재이며, 상기 걸어맞춤 부재의 외주에는, 상기 디옵터링의 내주면에 설치된 내향된 이빨과 맞물리는 외향된 이빨이 형성되고, 상기 걸어맞춤 부재의 내주에는, 상기 경통에 설치된 외향된 이빨과 맞물리는 내향된 이빨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옵터링을 가진 광학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옵터링의 제 1 걸어맞춤부는, 상기 디옵터링의 상기 광축과 직교하는 단부면에 설치된 이빨이며,
    상기 경통의 제 2 걸어맞춤부는, 상기 주위방향 홈과 상기 경통의 단부면의 사이에서, 상기 도입 홈과 동일 원주상에 설치된 외향된 이빨이며,
    상기 걸어맞춤 부재는, 상기 디옵터링과 상기 경통과의 사이에 끼워넣어진 원환상의 부재이며, 상기 걸어맞춤 부제의 한쪽 단부면에는, 상기 디옵터링의 단부면에 설치된 이빨과 맞물리는 이빨이 형성되고, 상기 걸어맞춤 부재의 내주에는, 상기 경통에 설치된 외향된 이빨과 맞물리는 내향된 이빨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옵터링을 가진 광학기.
KR1019950028881A 1994-08-31 1995-08-31 디옵터링을가진광학기 KR1003452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724694A JP3521492B2 (ja) 1994-08-31 1994-08-31 視度環を有する光学機器
JP94-207246 1994-08-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8360A KR960008360A (ko) 1996-03-22
KR100345257B1 true KR100345257B1 (ko) 2002-11-30

Family

ID=165366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28881A KR100345257B1 (ko) 1994-08-31 1995-08-31 디옵터링을가진광학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3521492B2 (ko)
KR (1) KR100345257B1 (ko)
CN (1) CN1056928C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58622A (zh) * 2019-08-19 2020-01-07 深圳市矽赫科技有限公司 一种自动调节的微显示器光学目镜及其调整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01078A (ja) * 2004-04-14 2005-10-27 Kamakura Koki Kk 視度調節装置
CN104965382B (zh) * 2015-05-26 2017-03-22 歌尔科技有限公司 一种微投影模组和显示设备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58622A (zh) * 2019-08-19 2020-01-07 深圳市矽赫科技有限公司 一种自动调节的微显示器光学目镜及其调整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868947A (ja) 1996-03-12
CN1150653A (zh) 1997-05-28
KR960008360A (ko) 1996-03-22
CN1056928C (zh) 2000-09-27
JP3521492B2 (ja) 2004-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25126B2 (en) Eye cup adjustment device for optical apparatus such as binoculars
US6580555B2 (en) Adjustable eyepiece for a viewing device
KR100345257B1 (ko) 디옵터링을가진광학기
WO2007043540A1 (ja) 目当て
US8437078B2 (en) Binoculars
JP4796864B2 (ja) 遮光装置
JP2001356280A (ja) 光学機器の目当て機構
KR100316678B1 (ko) 쌍안경
JPH0659808U (ja) 双眼鏡の調整機構
US20090273832A1 (en) Binoculars
KR100304039B1 (ko) 광학기기의접안렌즈커버
KR100389718B1 (ko) 엘씨디 프로젝터의 줌링과 포커스링의 고정구조
KR100293605B1 (ko) 쌍안경시도보정기구
US8167443B2 (en) Optical observation apparatus
JP3515647B2 (ja) 双眼鏡の目当て環の係止構造
KR920004748Y1 (ko) 쌍안경의 접안렌즈 촛점거리 조절장치
JP3787196B2 (ja) 変倍機構における連動部材の係止構造
JP4843199B2 (ja) 双眼鏡目当て機構
JP3634518B2 (ja) 変倍式双眼鏡における連動部材の位置規制構造
JP4440200B2 (ja) 双眼鏡の目当て機構
JP2007279133A (ja) 観察光学装置
US6735025B2 (en) Holding device for an image-influencing optical component of an optical image-forming device and image-forming device in corporating such a holding device
JP3689199B2 (ja) 双眼鏡の組み付け構造
JPH0449610Y2 (ko)
KR930005969B1 (ko) 시력보정기구가 구비된 고정촛점식 쌍안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6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