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44135B1 - 와이어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와이어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4135B1
KR100344135B1 KR1019990034871A KR19990034871A KR100344135B1 KR 100344135 B1 KR100344135 B1 KR 100344135B1 KR 1019990034871 A KR1019990034871 A KR 1019990034871A KR 19990034871 A KR19990034871 A KR 19990034871A KR 100344135 B1 KR100344135 B1 KR 1003441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vibration
supply pipe
wire supply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48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18777A (ko
Inventor
김춘동
Original Assignee
김춘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춘동 filed Critical 김춘동
Priority to KR10199900348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44135B1/ko
Publication of KR200100187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87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41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413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FWORKING OR PROCESSING OF METAL WIRE
    • B21F23/00Feeding wire in wire-working machines or apparatu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eeding Of Articles To Conveyors (AREA)
  • Feeding And Watering For Cattle Raising And Animal Husband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납통에 수납된 가느다란 직경의 와이어를 하나씩 선별 분리하여 공급하는 와이어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케이스에 설치된 모터의 회전축에 설치되는 회전원판과; 상기 회전원판의 상면에 그 일측이 회전가능하게 편심 설치되는 크랭크 및 상기 크랭크의 타측이 고정설치되며 레일을 따라 직선 왕복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의 선단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고, 하나의 와이어만이 끼워지는 내경을 가지며, 그 선단부에 와이어의 초기 결합을 가이드함과 동시에 하나의 와이어가 끼워진 상태에서 주변의 다른 와이어들의 분리를 가이드하는 경사면이 형성되고, 내부에는 내경에 끼워진 와이어의 단부와 접촉되어 와이어의 삽입 깊이를 한정하는 스토퍼핀이 설치된 와이어 공급관과; 다수의 와이어가 수납되며 그 내부로 상기 와이어 공급관이 왕복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와이어 수납홈이 형성된 와이어 수납부재와; 상기 와이어 수납부재에 진동을 가하는 진동발생수단과, 상기 와이어 공급관에 끼워진 와이어의 유무를 감지하는 광센서와; 상기 와이어 공급관의 와이어 공급위치를 감지하는 리미트 스위치와; 상기 광센서와 리미트 스위치로부터 전달된 신호값에 따라 상기 모터와 진동발생수단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와이어 공급장치{WIRE SUPPLYING DEVICE}
본 발명은 와이어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가느다란 직경을 가지는 와이어들을 하나씩 선별 분리하여 공급하는데 적합한 와이어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의 와이어는 가느다란(fine) 직경을 가지는 곧은 형상의 와이어를 말하는 것으로, 이하에서는 CDP(compact disc play), DVD(digital vedeo disc) 등에 사용되는 광픽업(optical pick-up)의 핵심부품인 액튜에이어의 지지용으로 사용되는 와이어를 일예로 들어 설명한다.
종래에는 가느다란 다수의 와이어를 거즈나 스폰지판 위에 흩어 놓은 상태에서, 작업자가 핀셋 등의 도구를 사용하여 하나의 와이어를 집어서 액튜에이터 조립 지그의 와이어 조립공으로 공급하는 방식이 사용되었다.
따라서 작업자가 핀셋으로 거즈나 스폰지판 위에 흩어진 다수의 와이어들중에서 하나의 와이어를 핀셋으로 잡는 작업이 번거로워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므로 작업능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수납통에 수납된 가느다란 직경을 가지는 다수의 와이어를 용이하고도 신속하게 하나씩 선별 분리하여 공급할 수 있는 와이어 공급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바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설치되는 회전원판과; 상기 회전원판의 상면에 그 일측이 회전가능하게 편심 설치되는 크랭크와; 상기 크랭크의 타측이 고정설치되며 레일을 따라 직선 왕복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의 선단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고, 하나의 와이어만이 끼워지는 내경을 가지며, 그 선단부에 와이어의 초기 결합을 가이드함과 동시에 하나의 와이어가 끼워진 상태에서 주변의 다른 와이어들의 분리를 가이드하는 경사면이 형성되고, 내부에는 내경에 끼워진 와이어의 단부와 접촉되어 와이어의 삽입 깊이를 한정하는 스토퍼핀이 설치된 와이어 공급관과; 다수의 와이어가 수납되며 그 내부로 상기 와이어 공급관이 왕복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와이어 수납홈이 형성된 와이어 수납부재와; 상기 와이어 수납부재에 진동을 가하는 진동발생수단과; 상기 와이어 공급관에 끼워진 와이어의 유무를 감지하는 광센서와; 상기 와이어 공급관의 와이어 공급위치를 감지하는 리미트 스위치와; 상기 광센서와 리미트 스위치로부터 전달된 신호에 따라 상기 모터와 진동발생수단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공급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공급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덮개를 분리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단면도,
도 4는 도 3의 요부를 발췌하여 도시한 일부절제 분리사시도,
도 5는 도 3의 A방향에서 본 평면도,
도 6은 도 3의 B방향에서 본 일부절제 평면도,
도 7a, 7b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공급장치의 주요 작동 상태를 도시한 요부 발췌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공급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도 8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발췌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구동부 2 : 케이스
4 : 제어부 5,7 : 케이스의 경사면
6 : 덮개 6a : 와이어 인출공
8 : 구동버튼 9 : 모터
10 : 회전원판 11 : 슬라이더
12 : 레일 13 : 크랭크
14 : 와이어 공급관 14a : 경사면
14b : 스토퍼핀 15 : 와이어 수납부재
16 : 와이어 수납홈 17 : 가이드 판
18 : 물결 형상의 가이드 장공 20 : 진동발생수단
21 : 진동판 22 : 진동모터
23 : 편심추 24 : 광센서
25 : 리미트 스위치 26 : 작동핀
27 : 작동편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공급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덮개를 분리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공급장치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삼각형 형상의 케이스(2)를 구비하는 구동부(1)와, 상기 구동부(1)와 전선(3)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구동부(1)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4)로 대별된다.
그리고 삼각형 형상의 케이스(2) 일측 경사면(5)에는 덮개(6)가 개폐가능하게 설치되고, 이 덮개(6)의 상면에는 와이어 인출구멍(6a)이 형성된다.
그리고 케이스(2)의 타측 경사면(7)에는 구동버튼(8)이 설치되고, 케이스(2)의 일측 경사면(5)에는, 회전원판(10)이 모터(9)에 의해 회전되도록 설치되고, 회전원판(10)의 전방에는 슬라이더(11)가 레일(12)을 따라 직선 왕복이동 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회전원판(10)과 슬라이더(11)에는 크랭크(13)의 양측이 힌지핀에 의해 각각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모터(9)의 구동시 상기 슬라이더(11)가 레일(12)을 따라 직선 왕복 이동되도록 설치되고, 슬라이더(11)의 선단에는 하나의 와이어(W)만이 끼워지는 내경을 가지는 와이어 공급관(14)이 착탈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와이어 공급관(14)은, 도 7a와 도 7b에 도시된 바와같이, "ㄴ"자 형상을 가지며 그 선단부에 하나의 와이어(W)가 끼워지는 것을 가이드함과 동시에 주변의 다른 와이어들의 분리를 가이드하는 경사면(14a)이 형성되고, 내부에는 내경에 끼워진 와이어(W)의 단부와 접촉되어 와이어(W)의 삽입 깊이를 한정하는 스토퍼핀(14b)이 설치된다.
그리고 슬라이더(11)의 전방에는 다수의 와이어(W)가 수납되는 와이어 수납홈(16)이 형성된 와이어 수납부재(15)가 설치되고, 이 와이어 수납부재(15)의 와이어 수납홈(16)의 내부로 상기 와이어 공급관(14)이 왕복 이동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와이어 수납부재(15)에는 와이어 수납홈(16)에 수납된 다수의 와이어(W)들중 하나의 와이어가 와이어 공급관(14)의 내경으로 원할하게 끼워질 수 있도록 진동을 가하는 진동발생수단(20)이 마련된다.
그리고 진동발생수단(20)은 도 4에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케이스(2)의 일측 경사면(5) 상면에 형성된 관통공(5a)을 덮는 상태로 설치되고 그 상면에 상기 와이어 수납부재(15)가 설치되는 진동판(21)과, 상기 진동판(21)에 진동을 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진동판(21)의 하면에 설치되는 진동모터(22) 및 이 진동모터(22)의 회전축에 설치되는 편심추(23)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진동발생수단(20)의 진동모터(22)와 편심추(23) 대신에 진동판(21)의 하면에 압전소자를 설치하여 진동판(21)에 진동을 가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5와 도 6에 상세하게 도시된 바와같이 와이어 수납부재(15)의 와이어 수납홈(16)의 선단에는 와이어 공급관(14)에 끼워진 와이어(W)의 유무를 감지하는 광센서(24)가 설치되고, 슬라이더(11)의 전방에는 슬라이더(11)에 의해 작동되어 슬라이더(11)에 설치된 와이어 공급관(14)의 와이어 공급위치를 감지하는 리미트 스위치(25)를 동작시키는 작동핀(26)과 작동편(27)이 설치된다.
그리고 모터(9)와 진동모터(22) 및 압전소자의 구동은 광센서(24)와 리미트 스위치(25)로부터 전달된 신호값에 따라서 제어부(4)에서 제어하게 되며, 케이스(2)의 타측 경사면(7)에 설치된 구동버튼(8)은 상기 모터(9)와 진동모터(22) 및 압전소자를 직접 구동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도 8과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공급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와이어 수납부재(15)의 일측면에 물결형상의 가이드 장공(18)이 형성된 가이드 판(17)의 일측이 고정설치되고, 이 가이드 판(17)에 형성된 가이드 장공(18)에는 와이어 공급관(14)의 후단부가 이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공급장치는 다음과 같이 가느다란 직경을 가지는 와이어를 하나씩 선별 분리하여 공급하게 된다.
먼저, 와이어 수납부재(15)의 와이어 수납홈(16)에 다수의 와이어(W)를 수납시킨 상태에서 덮개(6)를 닫고, 케이스(2)의 타측 경사면(7)에 설치된 구동버튼(8)을 누르면, 모터(9)가 구동하여 회전원판(10)을 회전시키게 되고, 회전원판(10)의 상면에 일측이 힌지핀에 의해 연결된 크랭크(13)가 이동되면서 슬라이더(11)를 레일(12)을 따라 직선 왕복 이동시키게 된다.
따라서 슬라이더(11)의 선단에 설치된 와이어 공급관(14)이 와이어수납부재(15)의 와이어 수납홈(16) 내부로 직선 왕복 이동되면서 수납된 다수의 와이어들중 하나의 와이어(W)가 와이어 공급관(14)의 내경에 끼워진 상태로 덮개(6)의 와이어 인출공(6a)을 통해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외부로 공급되게 된다.
한편, 상술한 모터(9)의 구동과 동시에 진동발생수단(20)의 진동모터(22)가 구동되어 편심추(23)를 회전시킴으로써 진동을 발생시키게 되고, 이때 발생되는 진동은 진동모터(22)가 고정설치된 진동판(21)으로 전달되며, 진동판(21)으로 전달된 진동은 이 진동판(21)의 상면에 설치된 와이어 수납부재(15)로 전달되어 와이어 수납홈(15)에 수납된 다수의 와이어(W)들에 진동을 가하게 된다.
따라서 와이어 수납홈(16)에 수납된 다수의 와이어(W)들에 진동이 가하지면서 이들중 하나의 와이어(W)만이 와이어 공급관(14)의 내경으로 원할하게 끼워지게 된다.
즉, 도 7a와 도 7b에 도시된 바와같이 와이어 공급관(14)의 직경이 2개의 와이어가 동시에 끼워질 수 없는 크기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하나의 와이어만이 끼워지게 되고, 또한, 와이어 공급관(14)의 선단에 경사면(14a)이 형성되어 있고 와이어 공급관(14)이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방을 향하여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으므로, 와이어(W)의 초기 삽입이 원할하게 되고 주위의 다른 와이어가 와이어 공급관(14) 선단에 얹혀지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도 8과 도 9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와 같이, 물결 형상의 가이드 장공(18)이 형성된 가이드 판(17)의 일측이 와이어 수납부재(15)의 일측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와이어 공급관(14)의 후단부가 상기 물결 형상의 가이드장공(18)을 따라 이동되는 과정에서 도 9에 도시된 바와같이 와이어 공급관(14)의 선단부가 좌우로 회전하면서 전후진하게 됨에 따라 주위의 다른 와이어가 붙어서 함께 올라오는 것이 방지되므로 와이어 공급관(14)의 선단에 끼워진 하나의 와이어만이 덮개(6)의 와이어 인출공(6a)을 통해 외부로 공급되게 된다.
그리고, 와이어 수납홈(16)에 수납된 다수의 와이어(W)들에 진동이 가해지도록 되어 있으므로, 와이어 수납홈(16)에 수납된 와이어들이 진동에 의해 이동되면서 직선 왕복 이동되는 와이어 공급관(14)의 내경 선단에 용이하게 끼워지게 되고, 끼워진 상태에서는 진동과 자중에 의해서 와이어 공급관(14)의 내경을 따라 원할하게 이동되게 된다.
그리고 와이어 공급관(14)의 내경을 따라 이동되는 하나의 와이어(W)는 그 단부가 와이어 공급관(14)의 내부에 설치된 스토퍼핀(14b)에 접촉된 상태로 그 삽입 깊이가 한정되게 된다.
그리고 상술한 와이어 공급관(14)을 이동시키는 모터(9)의 구동과, 진동발생수단(20)의 진동모터(22)의 구동은, 광센서(24)에서 감지된 와이어 유무 신호와 리미트 스위치(25)의 ON/OFF 신호를 통해 제어부(4)에서 제어하게 된다.
즉, 와이어 공급관(14)에 끼워진 하나의 와이어(W)가 전진하면, 와이어 수납홈(16)의 선단에 설치된 광센서(24)가 와이어(W)를 감지하여 그 신호를 제어부(4)로 보내게 된다.
그리고 와이어 공급관(14)이 더 전진하여 와이어(W)가 덮개(6)의 인출공(6a)을 통해 외부로 소정길이 인출된 위치 즉, 와이어 공급위치에 도달하면, 도 5와 도6에 도시된 바와같이 와이어 공급관(14)을 이송시키는 슬라이더(11)의 선단이 작동핀(26)과 작동편(27)을 회전시켜 리미트 스위치(25)를 ON 시키게 되고, 리미트 스위치(25)는 그 신호를 제어부(4)로 보내게 된다.
따라서 제어부(4)에서는 상기 광센서(24)로부터 전달된 와이어 감지신호와, 리미트 스위치(25)로부터 전달된 ON 신호를 인식하여 모터(9)의 구동과 진동발생수단(20)의 진동모터(22)의 구동을 정지시킴으로써 와이어 공급관(14)을 와이어 공급위치에서 위치 고정시키게 된다.
그리고 작업자가 덮개(6)의 인출공(6a)을 통해 인출된 와이어 (W)를 즉, 공급위치에 있는 와이어(W)를 핀셋 등의 도구를 통해 인출하게 되면, 광센서(24)에서 와이어 없음을 감지하여 그 신호를 제어부(4)로 보내되게 되고, 제어부(4)에서는 모터(9)와 진동발생수단(20)의 진동모터(22)를 동시에 구동시켜 다른 하나의 와이어를 상술한 바와같이 와이어 공급관(14)에 끼워진 상태로 와이어 공급위치로 공급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 와이어 공급장치에 의하면, 와이어 수납홈에 수납된 가느다란 다수의 와이어를 용이하고도 신속하게 하나씩 선별 분리하여 공급할 수 있으므로, 종래 방식에 비하여 작업능률이 대폭 향상되게 된다.

Claims (6)

  1.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설치되는 회전원판과; 상기 회전원판의 상면에 그 일측이 회전가능하게 편심 설치되는 크랭크와; 상기 크랭크의 타측이 고정설치되며 레일을 따라 직선 왕복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의 선단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고, 하나의 와이어만이 끼워지는 내경을 가지며, 그 선단부에 와이어의 초기 결합을 가이드함과 동시에 하나의 와이어가 끼워진 상태에서 주변의 다른 와이어들의 분리를 가이드하는 경사면이 형성되고, 내부에는 내경에 끼워진 와이어의 단부와 접촉되어 와이어의 삽입 깊이를 한정하는 스토퍼핀이 설치된 와이어 공급관과; 다수의 와이어가 수납되며 그 내부로 상기 와이어 공급관이 왕복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와이어 수납홈이 형성된 와이어 수납부재와, 상기 와이어 수납부재에 진동을 가하는 진동발생수단과, 상기 와이어 공급관에 끼워진 와이어의 유무를 감지하는 광센서와, 상기 와이어 공급관의 와이어 공급위치를 감지하는 리미트스위치와, 상기 광센서와 리미트스위치로부터 전달된 신호에 따라 상기 모터와 진동발생수단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공급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발생수단은 진동모터와, 상기 진동모터의 회전축에 설치되는 편심추와, 상기 케이스에 형성된 관통공을 덮는 상태로 케이스의 상면에 고정설치되며 그 하면에 상기 진동모터가 설치되고 그 상면에 상기 와이어 수납부재가 설치되는 진동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공급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발생수단은, 상기 케이스의 관통공을 덮는 상태로 케이스의 상면에 고정설치되며 그 상면에 상기 와이어 수납부재가 설치되는 진동판과, 상기 진동판의 하면에 설치되어 진동을 발생시키는 압전소자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공급장치.
  5. 삭제
  6. 삭제
KR1019990034871A 1999-08-23 1999-08-23 와이어 공급장치 KR1003441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4871A KR100344135B1 (ko) 1999-08-23 1999-08-23 와이어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4871A KR100344135B1 (ko) 1999-08-23 1999-08-23 와이어 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8777A KR20010018777A (ko) 2001-03-15
KR100344135B1 true KR100344135B1 (ko) 2002-07-19

Family

ID=196082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4871A KR100344135B1 (ko) 1999-08-23 1999-08-23 와이어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4413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1249A (ko) 2018-05-16 2019-11-26 주식회사 새한마이크로텍 와이어 분리 공급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5387B1 (ko) * 2012-01-31 2013-10-07 엘앤텍 주식회사 미소 와이어 분리 공급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80815A (ja) * 1992-12-10 1994-06-28 Kenseishiya:Kk 磁気ヘッド巻線装置の細線供給装置
KR970063761U (ko) * 1996-05-31 1997-12-11 광픽업 액츄에이터용 서스펜션 와이어 공급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80815A (ja) * 1992-12-10 1994-06-28 Kenseishiya:Kk 磁気ヘッド巻線装置の細線供給装置
KR970063761U (ko) * 1996-05-31 1997-12-11 광픽업 액츄에이터용 서스펜션 와이어 공급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1249A (ko) 2018-05-16 2019-11-26 주식회사 새한마이크로텍 와이어 분리 공급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8777A (ko) 2001-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16772B2 (en) Biopsy device for removing tissue specimens using a vacuum
EP2254452B1 (en) Vacuum cleaner and dust separation apparatus thereof
KR20230013144A (ko) 진공 청소기와 도킹 스테이션을 포함하는 청소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EP3440972A1 (en) Vacuum cleaner
JP2009508606A (ja) 電動式体毛除去装置
KR100344135B1 (ko) 와이어 공급장치
JPH07163088A (ja) 小型モーターのギヤー押込固定装置
WO2010004823A1 (ja) 氷削機
EP0919340B1 (en) Safety device for a powered tape cutter
JP5034527B2 (ja) チューブポンプ
GB2355843A (en) Machine for cleaning compact disc
JP5252369B2 (ja) 打込機
JPH1099386A (ja) 注射針処理装置
JP2003136431A (ja) タッカー
JPH0262909B2 (ko)
KR100642241B1 (ko) 통장 정리기용 자기정보 인식장치
JP2570673Y2 (ja) 丸鋸の刃口板調整装置
JP2000094240A (ja) ねじ類供給装置
KR200275773Y1 (ko) 원심분리기
JP2022173706A (ja) 打込工具
JP2002134307A (ja) 可変抵抗自動調整方法及びその装置
JP4183482B2 (ja) ミラー用電動格納装置
JP3303372B2 (ja) 部品供給装置
JPH03170062A (ja) 自動化学処理装置
US6439568B1 (en) Remote sheet advance device an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27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