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43656B1 - 철근 절곡기 - Google Patents

철근 절곡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3656B1
KR100343656B1 KR1019990028570A KR19990028570A KR100343656B1 KR 100343656 B1 KR100343656 B1 KR 100343656B1 KR 1019990028570 A KR1019990028570 A KR 1019990028570A KR 19990028570 A KR19990028570 A KR 19990028570A KR 100343656 B1 KR100343656 B1 KR 1003436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nding
reinforcing bar
cylinder
bending cylinder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85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73465A (ko
Inventor
김재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태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태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태우
Priority to KR10199900285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43656B1/ko
Publication of KR199900734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34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36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365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7/00Bending rods, profiles, or tubes
    • B21D7/06Bending rods, profiles, or tubes in press brakes or between rams and anvils or abutments; Pliers with forming 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3/00Feeding, positioning or storing devices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aratus for working or processing sheet metal, metal tubes or metal profiles; Associations therewith of cutting devices
    • B21D43/003Position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ending Of Plates, Rods, And Pipes (AREA)
  • Wire Processing (AREA)

Abstract

본발명은 절곡실린더의 피스톤이 진퇴되는 행정거리를 자유로이 조절하고 정확하게 설정할 수 있도록 개선시켜서, 철근을 소망하는 각도로 정밀하게 절곡하여 주는 철근 절곡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본발명의 철근 절곡기는 철근(2)을 올려 놓을 수 있는 작업면을 가지는 상부 양측에 서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장착되는 복수의 고정금형(11)들을 가지는 절곡작업대(10)와, 상기 절곡작업대(10)와 일체로 조립되며 고정금형(11)들 사이의 중앙부를 향하여 진퇴동작되도록 장착되어 철근(2)을 가압하여 주는 가압절곡부재(21)을 가지는 절곡실린더(20)와, 상기 절곡실린더(20) 하부의 무게 중심부를 떠받쳐서 회전가능하게 지지하여 주는 회전받침대(30)로서 구성된 것에 있어서,상기 절곡실린더(20)의 일측에 위치조절이 가능하도록 결착된 제1 및 제2센서감응부재(B1)(B2)를 가지는 전진측 작동봉(22)을 배치하고, 상기 절곡실린더(20)의 타측에 위치조절이 가능하도록 결착된 후진센서감응부재(B3)를 가지는 후진측 작동봉(23)을 배치하여, 상기 전진측 및 후진측 작동봉(22)(23)이 상기 절곡실린더(20)의 피스톤(20a) 선단부에 연결되어서 일체로 동작되도록 하고, 상기 전진측 작동봉(22)의 제1 및 제2센서감응부재(B1)(B2)을 감지하도록 상기 절곡작업대(10)의 하부일측에 제1 및 제2감지센서(S1)(S2)을 설치하며, 상기 후진측 작동봉(23)의 후진센서감응부재(B3)를 감지하도록 상기 절곡작업대(10)의 하부 타측에 후진감지센서(S3)를 설치하여서 된 것이다.

Description

철근 절곡기{A bender for Reinforcing Bars in Construction Sites}
본발명은 건설현장에서 콘크리트구조물을 구축할 때에 사용되는 철근을 소망하는 형태로 절곡하여 주기 위한 철근 절곡기에 관한 것이다.
철근 절곡기는 콘크리트구조물의 단면내에 매립되어서 골격을 이루는 철근을 절곡하여 주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철근 절곡기 중의 하나는 전체를 지탱하여 주는 고정틀 내에서 동작되는 정역모터의 구동력을 감속하여서 전달하는 감속기를 가지는 동력전달수단과, 상기 동력전달수단의 감속기와 맞물려져서 정역회전하는 구동치차에 장착되어 상기 고정틀 상부에서 반원호형의 궤적으로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주행하는 가압절곡금형을 가지는 절곡구동수단과, 상기 절곡구동수단의 가압절곡금형이 주행하는 경로상의 중심부에 장착되는 고정금형 및 철근받이를 가지는 철근고정수단으로 구성되었다. 이 철근 절곡기는 고정틀의 상부에서 동력전달수단에 의하여 반원호형의 궤적으로 정역회전되는 절곡구동수단의 가압절곡금형이, 고정틀 상의 철근고정수단에 의하여 위치 고정되어 있는 철근을 절곡하여 주도록 구성됨으로써, 철근 절곡작업을 능률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는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철근 절곡기는 동력전달수단으로부터 전달되는 구동력으로 회동되는 구동치차로서 가압절곡금형을 동작시켜서 철근을 절곡하여 주는 기어구동식의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구성부품수가 증가될 뿐만 아니라 구조적으로 복잡하여서 제작비용이 과도하게 소요되어 고가로 제공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부피가 크고 중량이어서 취급 및 취급 및 운반이 용이하지 못한 등의 문제점을 수반하게 되었다.
한편, 본 발명자는 상기한 바와 같은 철근 절곡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연구 노력하여 왔으며, 그 결과 국내 실용신안등록출원 제94-6044호로서 "철근 절곡기"를 고안하고 출원하여서 실용신안출원공개번호 제95-26866호(1995. 10. 16)로서 출원공개된 사실이 있다.
본 발명자가 고안하여서 출원공개된 철근 절곡기는 대판의 중앙부에는 좌우에 받침간을 입설한 안내홈이 형성되고, 대판의 저면에는 좌우 지지대 및 유압기와 연결된 실린더를 설치하고, 실린더에 끼움된 피스톤의 로드 선단에는 연결간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연결간에 체결된 작동간의 좌우에 형성된 안내턱은 전기한 지지대의 안내홈에 끼움 안내되며, 작동간의 내선단에는 금형이 끼움되는 압압간이 입설되어 전기한 안내홈에 끼움 안내되면서 철근을 밴딩할 수 있게 함을 기술요지로 하였다.
이 유압식 철근 밴딩기는 대판의 중앙부에 형성된 안내홈을 사이에 두고 좌우에 받침간을 입설하고, 대판 저면에 실린더를 설치하되 그 실린더의 피스톤에 연결 설치되어서 안내홈을 따라 진퇴동작하는 작동간에 압압간을 입설한 구성으로서, 실린더 구동방식의 단수구조를 가지면서도 전체적인 부피와 중량을 감축시켜 줄 뿐만 아니라, 철근을 직각 또는 임의의 만곡된 각도로 밴딩하여 주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유압식 철근 밴딩기에 있어서는 실린더의 피스톤이 진퇴되는 행정거리에 따라 철근을 절곡하는 각도가 결정되는 점을 감안하여 볼 때, 종래의 유압식 철근 밴딩기는 실린더의 피스톤이 진퇴되는 행정거리를 정확하게 설정하거나 자유로이 조절할 수 있는 제어수단을 갖추지 못하였기 때문에, 실제로는 철근을 소망하는 각도로 정밀하게 절곡하여 주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 지적되어 왔다.
본발명은 절곡실린더의 피스톤이 진퇴되는 행정거리를 자유로이 조절하고 정확하게 설정할 수 있도록 개선시켜서, 철근을 소망하는 각도로 정밀하게 절곡하여 주는 철근 절곡기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도1은 본발명 철근 절곡기의 사시도
도2는 본발명 철근 절곡기의 일측면도
도3은 본발명 철근 절곡기의 일부절결 정면도
도4a, 도4b는 본발명 철근 절곡기의 작용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5는 본발명 고정금형의 변형예를 나타낸 것임
도6, 도7은 본발명 보조금형을 나타낸 것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철근 절곡기 10: 절곡작업대 11: 고정금형
12: 대판 13: 조립구멍 14: 슬라이드홈
20: 절곡실린더 20a: 피스톤 21: 가압절곡부재
22: 전진측 작동봉 B1, B2,: 제1 및 제2센서감응부재
23: 후진측 작동봉 B3: 후진센서감응부재
S1, S2: 제1 및 제2감지센서 S3: 후진감지센서
30: 회전받침대 31: 복원스프링 32: 회전축
33: 바닥판 34: 축받이
본발명도 철근(2)을 올려 놓을 수 있는 작업면을 가지는 상부 양측에 서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장착되는 복수의 고정금형(11)들을 가지는 절곡작업대(10)와, 상기 절곡작업대(10)와 일체로 조립되며 고정금형(11)들 사이의 중앙부를 향하여 진퇴동작되도록 장착되어 철근(2)을 가압하여 주는 가압절곡부재(21)을 가지는 절곡실린더(20)와, 상기 절곡실린더(20) 하부의 무게 중심부를 떠받쳐서 회전가능하게 지지하여 주는 회전받침대(30)로서 구성된 점에 있어서는 종래의 것과 기술개념을 같이 한다.
단, 본발명의 철근 절곡기(1)는 상기 절곡실린더(20)의 일측에 위치조절이 가능하도록 결착된 제1 및 제2센서감응부재(B1)(B2)를 가지는 전진측 작동봉(22)을 배치하고, 상기 절곡실린더(20)의 타측에 위치조절이 가능하도록 결착된 후진센서감응부재(B3)를 가지는 후진측 작동봉(23)을 배치하여, 상기 전진측 및 후진측 작동봉(22)(23)이 상기 절곡실린더(20)의 피스톤(20a) 선단부에 연결되어서 일체로 동작되도록 하고, 상기 전진측 작동봉(22)의 제1 및 제2센서감응부재(B1)(B2)을 감지하도록 상기 절곡작업대(10)의 하부 일측에 제1 및 제2감지센서(S1)(S2)을 설치하며, 상기 후진측 작동봉(23)의 후진센서감응부재(B3)를 감지하도록 상기 절곡작업대(10)의 하부 타측에 후진감지센서(S3)를 설치하여서 됨을 기술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다시 말해서, 본발명은 도1 내지 도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절곡실린더(20)의 피스톤(20a)에 부착되는 전진측 작동봉(22)을 통하여 위치조절이 가능하도록 결착된 제1 및 제2센서감응부재(B1)(B2)는 절곡작업대(10)의 하부 일측에 제1 및 제2 감지센서(S1)(S2)로 감지하고, 그 피스톤에 부착되는 후진측 작동봉(23)을 통하여 위치조절이 가능하도록 결착된 후진센서감응부재(B3)는 절곡작업대(10)의 하부 타측에 설치된 후진감지센서(S3)로 감지되게 하여, 절곡실린더(20)의 피스톤(20a)이 진퇴동작되는 행정거리를 자유로이 조절하면서도 정확하게 설정할 수 있게 하여 줌으로써, 철근을 임의의 각도로 선택하여서 절곡할 수 있게 하여 줄 뿐만 아니라, 선택된 각도로 정밀하게 절곡하여 주는 장점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이하, 첨부도면에 도시되는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발명의 기술내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절곡작업대(10)는 철근(2)을 상부의 절곡 작업위치에 올려 놓을 수 있도록 하며그 상부에 장착되는 복수의 고정금형(11)들을 가져서, 철근(2) 절곡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준다.
그리고, 상기 절곡작업대(10)는 일정한 크기의 평면적을 가지는 대판(12)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좌우 양측에 상하로 관통되게 뚫어지는 조립구멍(13)들을 형성하여서, 상기 대판(12) 상부 양측에 철근(2)을 절곡하기 위한 고정금형(11)들을 장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대판(12)에 형성된 조립구멍(13)들을 통하여 고정금형(11)들 사이의 간격을 넓게 설정하면 철근(2)의 절곡부위를 완만한 곡률로서 절곡하게 되고, 대판(12)에 형성된 조립구멍(13)들을 통하여 고정금형(11)들 사이의 간격을 좁게 설정하면 철근(2)의 절곡부위를 좁은 곡률로서 절곡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 상기 절곡작업대(10)는 그 대판(12) 중심선상의 전후방향으로 소정의 단면형상으로서 길게 트여지는 슬라이드홈(14)을 형성하여서, 상기 절곡실린더(20)의 가압절곡부재(21)가 끼워져서 원할하게 동작될 수 있도록 한다.
본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금형(11)은 원통형의 단면형상으로서 단면내에 결합되는 고정핀(11a)을 가져서, 상기 대판(12)에 형성된 조립구멍(13)에 끼워서 고정시킬 수 있게 한 것으로 예시하고 있다.
상기 고정금형(11)은 도5에서와 같이 그 하부에 고정키(11b)를 형성하여서 된 사각형의 단면형상으로서 단면내에 고정핀(11a)을 결합하여서 될 수도 있음을 밝혀 둔다. 이 사각형의 고정금형(11)은 상기 대판(12) 중심선상에 가까운 조립구멍(13)과 그 조립구멍의 주변에 나란히 형성된 키홈(13a)을 통하여 고정되도록 설치하여, 간격을 두고 대향되게 설치되는 원통형의 고정금형(11)과 함께 철근(2)의 자유단을 최대한 짧게 절곡하여 주는 데에 도움이 되도록 한다.
여기에서, 상기 절곡작업대(10)의 대판(12) 하부의 전후측 양단에 각각 힌지고정되어서 절첩가능하게 착설되는 전방 및 후방측 손잡이(15)(16)들을 가져서, 철근 절곡기(1)를 작업위치로 운반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절곡실린더(20)는 상기 절곡작업대(10)의 슬라이드홈(14) 직하부에 설치하여서 되며, 그 절곡실린더의 피스톤(20a)의 선단에 상기 절곡작업대(10)의 슬라이드홈(14)을 따라 상기 고정금형(11)들의 중간부를 향하여 진퇴동작되도록 가압절곡부재(21)를 장착하여서 철근(2)을 절곡하여 주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절곡실린더(20)의 일측에 위치조절이 가능하도록 결착된 제1 및 제2센서감응부재(B1)(B2)를 가지는 전진측 작동봉(22)을 배치하고, 상기 절곡실린더(20)의 타측에 위치조절이 가능하도록 결착된 후진센서감응부재(B3)를 가지는 후진측 작동봉(23)을 배치하여, 상기 전진측 및 후진측 작동봉(22)(23)이 상기 절곡실린더(20)의 피스톤(20a) 선단부에 연결되어서 일체로 동작되도록 하고, 상기 전진측 작동봉(22)의 제1 및 제2센서감응부재(B1)(B2)을 감지하도록 상기 절곡작업대(10)의 하부 일측에 제1 및 제2감지센서(S1)(S2)을 설치하며, 상기 후진측 작동봉(23)의 후진센서감응부재(B3)를 감지하도록 상기 절곡작업대(10)의 하부 타측에 후진감지센서(S3)를 설치하여서, 절곡실린더(20)의 피스톤(20a)이 진퇴동작되는 행정거리를 자유로이 조절하면서도 정확하게 설정할 수 있도록 함이 중요하다.
이와 같은 절곡실린더(20)는 도4a 및 도4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그 절곡실린더의 피스톤(20a)이 전진동작을 개시하면 전진측 및 후진측 작동봉(22)(23)이 함께 이동하게 된다. 이때, 제1감지센서(S1)와 후진감지센서(S3)를 ON시키고 제2감지센서(S2)를 OFF시키면, 제1감지센서(S1)가 동작되는 전진측 작동봉(22)의 제1센서감응부재(B1)와 접점되는 시점에서 상기 절곡실린더(20)의 가압절곡부재(21)가 철근(2)을 90°로 절곡하게 되고, 또 제2감지센서(S2)와 후진감지센서(S3)를 ON시키고 제1감지센서(S1)를 OFF시키면, 제2감지센서(S2)가 동작되는 전진측 작동봉(22)의 제2센서감응부재(B2)와 접점되는 시점에서 상기 절곡실린더(20)의 가압절곡부재(21)가 철근(2)을 45°로 절곡하게 된다. 이와 같이 철근(2)을 절곡한 후에는 후진되는 절곡실린더(20)의 피스톤(20a)과 함께 후진측 작동봉(23)이 동작함에 따라, 후진감지센서(S3)가 동작되는 후진측 작동봉(23)의 후진센서감응부재(B3)와 접점되면 상기 절곡실린더(20)의 피스톤(20a)이 정지하여서 철근(2)의 절곡작업을 완료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가압절곡부재(21)는 상기 절곡실린더(20)의 피스톤(20a) 선단에 결착되어서 상기 절곡작업대(10)의 슬라이드홈(14)내에서 동작되도록 결합되는 이동램(21a)과, 상기 이동램(21a)의 후단부에 상기 절곡작업대(10)의 상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고정금형(11)들 사이의 중간부를 향하여 가압동작되는 가압판(21b)으로 구성하여서, 상기 절곡작업대(10)의 고정금형(11)들 전방에 놓여진 철근(2)을 가압하여서 절곡하여 주도록 한다.또, 상기 가압절곡부재(21)의 가압판(21b)에 결착되도록 소정의 형상으로서 중앙부에 끼움홈(24a)을 형성하여서 된 보조금형(24)을 가져서, 그 보조금형(24)의 형상대로 철근(2)을 절곡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에서, 상기 보조금형(24)은 도6에서와 같이 원통형상으로 만들어질 수도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 도7에서와 같이 반원호로 만들어질 수도 있음을 밝혀 둔다.
회전받침대(30)는 상기 절곡실린더(20)의 무게 중심부를 떠받쳐서 그 절곡실린더(20)와 함께 절곡작업대(10)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여 주도록 구성된다.
이 회전받침대(30)는 상기 절곡실린더(20)의 하부에 일체로 고정 설치되는 회전축(32)과, 그 회전축(32)이 결합되도록 중앙에 축받이(34)를 형성하여서 된 바닥판(33)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절곡실린더(20)를 떠받쳐서 그 절곡실린더와 함께 절곡작업대(10)를 회전시켜 주도록 설치하여서 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받침대(30)의 바닥판(33) 상부면에 접지 고정되어서 상기 절곡실린더(20)의 후방측 하부에 설치된 결착편(35)에 연결되도록 한쌍의 복원스프링(31)을 설치하여서, 상기 회전받침대(30)에 의하여 회전되는 절곡실린더(20)와 함께 절곡작업대(10)가 원래의 위치로 복원되도록 한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발명은 절곡실린더의 피스톤이 진퇴되는 행정거리를 자유로이 조절하고 정확하게 설정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철근을 임의의 각도로 선택하여서 절곡할 수 있게 하여 줄 뿐만 아니라, 선택된 각도로 정밀하게 절곡하여 주는 유용한 효과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Claims (6)

  1. 철근(2)을 올려 놓을 수 있는 작업면을 가지는 상부 양측에 서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장착되는 복수의 고정금형(11)들을 가지는 절곡작업대(10)와, 상기 절곡작업대(10)와 일체로 조립되며 고정금형(11)들 사이의 중앙부를 향하여 진퇴동작되도록 장착되어 철근(2)을 가압하여 주는 가압절곡부재(21)을 가지는 절곡실린더(20)와, 상기 절곡실린더(20) 하부의 무게 중심부를 떠받쳐서 회전가능하게 지지하여 주는 회전받침대(30)로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절곡실린더(20)의 일측에 위치조절이 가능하도록 결착된 제1 및 제2센서감응부재(B1)(B2)를 가지는 전진측 작동봉(22)을 배치하고, 상기 절곡실린더(20)의 타측에 위치조절이 가능하도록 결착된 후진센서감응부재(B3)를 가지는 후진측 작동봉(23)을 배치하여, 상기 전진측 및 후진측 작동봉(22)(23)이 상기 절곡실린더(20)의 피스톤(20a) 선단부에 연결되어서 일체로 동작되도록 하고, 상기 전진측 작동봉(22)의 제1 및 제2센서감응부재(B1)(B2)을 감지하도록 상기 절곡작업대(10)의 하부 일측에 제1 및 제2감지센서(S1)(S2)을 설치하며, 상기 후진측 작동봉(23)의 후진센서감응부재(B3)를 감지하도록 상기 절곡작업대(10)의 하부 타측에 후진감지센서(S3)를 설치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절곡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19990028570A 1999-07-14 1999-07-14 철근 절곡기 KR1003436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8570A KR100343656B1 (ko) 1999-07-14 1999-07-14 철근 절곡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8570A KR100343656B1 (ko) 1999-07-14 1999-07-14 철근 절곡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3465A KR19990073465A (ko) 1999-10-05
KR100343656B1 true KR100343656B1 (ko) 2002-07-19

Family

ID=374883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8570A KR100343656B1 (ko) 1999-07-14 1999-07-14 철근 절곡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4365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7276B1 (ko) 2015-04-13 2015-11-06 김성완 밴딩기의 자동이송 제어장치
CN109365675A (zh) * 2018-11-30 2019-02-22 五邑大学 一种钢筋折弯机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9557B1 (ko) * 2002-08-16 2004-09-22 기득산업 주식회사 선박용 스티프너 벤딩장치
CN110479816A (zh) * 2019-08-05 2019-11-22 深圳市康振机械科技有限公司 全自动弯曲设备
CN114042826A (zh) * 2021-11-09 2022-02-15 安徽元昌建设工程有限公司 一种防护及便于上下料的建筑施工用钢筋折弯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7276B1 (ko) 2015-04-13 2015-11-06 김성완 밴딩기의 자동이송 제어장치
CN109365675A (zh) * 2018-11-30 2019-02-22 五邑大学 一种钢筋折弯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3465A (ko) 1999-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703097B2 (ja) 揺動支点型てこ装置および機械装置
CA1135178A (en) Cylinder operated swinging ram cutoff press
KR19980087301A (ko) 모듈러 다목적 벤딩머신 및 그것의 선형 위치결정 시스템
JPH02224821A (ja) 板材曲げ加工機械
CA1252706A (en) Bending apparatus
KR100343656B1 (ko) 철근 절곡기
CN205551318U (zh) 一种钢筋弯曲机角度控制装置
KR101533739B1 (ko) 다기능 절곡 장치
KR102151090B1 (ko) 철근 밴딩기
EP0999010A2 (en) Power operated positioning apparatus
CN209829942U (zh) 一种弯管机
PT1178864E (pt) Maquina para modelar chapa
JP2000271799A (ja) プレス機
US4875356A (en) Material fabricating mechanism
KR101554566B1 (ko) 다기능 절곡기의 복합 금형 장치
CN108927431B (zh) 型材正反弧滚弯机及其运行方式
CN213997307U (zh) 一种卷板机曲率跟踪器
KR100489932B1 (ko) 봉강재의 벤딩장치
CN216828065U (zh) 一种电机、液压驱动的型材折弯机
JP3159450B2 (ja) 2段階駆動型てこ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機械装置
KR200335586Y1 (ko) 금속바 굽힙가공장치
CN100469474C (zh) 用于将片材成形为多种形状的辊锻成形设备
CN217393390U (zh) 一种间距可调的三辊卷板机的卷辊
KR940008235B1 (ko) 프레스 기계용 금형세트
CN220635918U (zh) 一种扁材弧形折弯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