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43624B1 - 유압식 다단 드로잉 머신 - Google Patents

유압식 다단 드로잉 머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3624B1
KR100343624B1 KR1020000015197A KR20000015197A KR100343624B1 KR 100343624 B1 KR100343624 B1 KR 100343624B1 KR 1020000015197 A KR1020000015197 A KR 1020000015197A KR 20000015197 A KR20000015197 A KR 20000015197A KR 100343624 B1 KR100343624 B1 KR 1003436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nch
movable plate
hydraulic cylinder
guide post
di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151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90334A (ko
Inventor
김영호
Original Assignee
김영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호 filed Critical 김영호
Priority to KR10200000151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43624B1/ko
Publication of KR200100903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03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36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362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2/00Shaping without cutting, by stamping, spinning, or deep-drawing
    • B21D22/20Deep-drawing
    • B21D22/206Deep-drawing articles from a strip in several steps, the articles being coherent with the strip during the op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7/00Tools as parts of machines covered by this subclass
    • B21D37/10Die sets; Pillar guides
    • B21D37/12Particular guiding equipment, e.g. pliers; Special 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or cooperation of dies

Abstract

본 발명은 평판에서 이음매가 없는 밑바닥이 달린 비교적 깊이가 깊은 용기를 성형하는 유압식 다단 드로잉 머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유압식 다단 드로잉 머신은 중공인 제 1 펀치(11)의 내주면에 상기 제 1 펀치(11)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진 중공의 제 2 펀치(21)가 겹쳐지고, 중공인 제 2 펀치(21)의 내주면에 상기 제 2 펀치(21)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진 제 3 펀치(31)가 겹쳐지도록 설치하여 구동원에 의하여 상기 펀치들이 다이스에 하강하도록 함에 있어서,
다이스 고정판(41)의 다이스 (43)에 놓인 가공물을 3개의 펀치(11, 21, 31)로 1차 드로잉 가공하고, 이어서 1차 드로잉 가공된 가공물을 가공물을 제 2펀치(21) 및 제3펀치(31)로 2차 드로잉 가공하고, 이어서 2차 드로잉 가공된 가공물을 제 3 펀치(31)만으로 최종 드로잉 가공하도록 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유압식 다단 드로잉 머신{HYDRAULIC MULTI-STAGE DRAWING MACHINE}
본 발명은 평판에서 이음매가 없는 밑바닥이 달린 비교적 깊이가 깊은 용기를 성형하는 유압식 다단 드로잉 머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중공의 제 1 펀치 내주면에 중공의 제 2 펀치가 겹쳐지고, 제 2 펀치의 내주면에 제 3 펀치가 겹쳐지는 방식으로 펀치가 구성되어, 가공물을 상기 3개의 펀치로 1차 가공하고, 그 후 제 1 펀치를 제외한 제 2 펀치 및 제 3 펀치로 다시 2차 가공한 후, 제 3 펀치로 최종적으로 가공하는 유압식 다단 드로잉 머신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디프 드로잉 방법 및 장치는 지퍼 라이터 케이스와 같이 비교적 깊이가 깊은 용기를 가공하기 위해 먼저 큰 직경으로 가공물을 1차적으로 가공하고, 그 후 수평으로 가공물을 이동시켜 보다 직경이 작고 깊이가 깊게 제품을 재가공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디프 드로잉 방법 및 장치는 가공물을 재가공하기 위해 수평으로 이송시켜야 하기 때문에 별도의 이송설비를 필요로 하며, 가공물을 다이스 고정판에 다시 세팅시켜야 하기 때문에 가공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금형 및 장비를 개별적으로 모두 구비해야 하기 때문에 금형 및 장비가 점유하는 공간이 증가하여 공간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별도의 이송설비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가공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금형 및 장비의 점유 공간을 절감하여 공간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유압식 다단 드로잉 머신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유압식 다단 드로잉 머신은 중공인 제 1 펀치의 내주면에 상기 제 1 펀치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진 중공의 제 2 펀치가 겹쳐지고, 중공인 제 2 펀치의 내주면에 상기 제 2 펀치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진 제 3 펀치가 겹쳐지므로서, 깊이가 얕고 밑면적이 넓게 다이스 고정판의 다이스 어셈블리에 놓인 가공물을 3개의 펀치로 1차 가공하고, 그 후 깊이가 1차 가공된 가공물의 깊이보다 상대적으로 깊고 밑면적이 적게 1차 가공된 가공물을 제 2 펀치 및 제 3 펀치로 2차 가공하고, 다시 2차 가공된 가공물보다 깊이가 더 깊고 밑면적이 적게 2차 가공된 가공물을 제 3 펀치만으로 최종 가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중공인 제 1 펀치(11)의 내주면에 상기 제 1 펀치(11)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진 중공의 제 2 펀치(21)가 겹쳐지고, 중공인 제 2 펀치(21)의 내주면에 상기 제 2 펀치(21)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진 제 3 펀치(31)가 겹쳐지도록 설치하여 구동원에 의하여 상기 펀치들이 다이스에 하강하도록 함에 있어서,다이스 고정판(41)의 다이스 (43)에 놓인 가공물을 3개의 펀치(11, 21, 31)로 1차 드로잉 가공하고, 이어서 1차 드로잉 가공된 가공물을 가공물을 제 2펀치(21) 및 제3펀치(31)로 2차 드로잉 가공하고, 이어서 2차 드로잉 가공된 가공물을 제 3 펀치(31)만으로 최종 드로잉 가공하도록 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펀치가동장치는 고정판의 상면에 고정되고 하방으로 장착되어 피스톤 로드가 상기 고정판을 관통하는 제 1 유압 실린더와, 상기 제 1 유압 실린더의 피스톤 로드의 단부에 부착되어 제 1 가이드 포스트를 따라 상하로 이동할 수 있는 제 1 가동판과, 상기 제 1 가동판에 상단이 부착된 제 2 가이드 포스트와, 상기 제 2 가이드 포스트의 하단에 부착되며 제 1 펀치가 장착된 제 1 펀치홀더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2 가이드 포스트는 제 2 가동판 하부에 2개의 단차부가 형성되어, 상부 단차부에 의해 제 3 펀치홀더의 상부 운동이 한정되고, 하부 단차부에 의해 제 2 펀치홀더의 상부 운동이 한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2 펀치가동장치는 제 1 가동판의 하부면에 피스톤 로드가 장착된 제 2 유압 실린더와, 상기 제 1 가동판의 하부면에 부착된 고정블록과, 상기 제 2 유압 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제 2 가이드 포스트를 따라 상하로 이동할 수 있는 제 2 가동판과, 상기 제 2 가동판의 하부면에 장착된 제 3 가이드 포스트와, 상기 제 3 가이드 포스트의 하단에 장착되며 제 2 펀치가 장착된 제 2 펀치홀더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3 펀치가동장치는 제 2 가동판의 하부면에 부착된 제 3 유압 실린더와, 상기 제 3 유압 실린더에 부착된 제 3 가동판과, 상기 제 3 유압 실린더의 피스톤 로드에 부착되며 제 3 펀치가 장착된 제 3 펀치홀더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압식 다단 드로잉 머신의 정면도
도 2a 내지 도 2c는 작동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 1의 유압식 다단 드로잉 머신을 도시한 정도면
도 3a 내지 도 3c는 펀치에 의해 가공물이 성형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 3a 내지 도 3c의 상세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21, 31 : 펀치 13, 24, 33 : 유압 실린더
15, 26, 35 : 가동판 16, 27, 57 : 가이드 포스트
17, 28, 36 : 펀치홀더 25 : 고정블록
41 : 다이스 고정판 43 : 다이스 어셈블리
44 : 1차 다이스 45 : 2차 다이스
46 : 3차 다이스 47 : 스톱퍼
53 : 공압 실린더 59 : 고정판
도 1에 도시된 유압식 다단 드로잉 머신은 작동전의 대기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유압식 다단 드로잉 머신(1)은 중공인 제 1 펀치(11)의 내주면에 상기 제 1 펀치(11)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진 중공의 제 2 펀치(21)가 겹쳐지고, 중공인 제 2 펀치(21)의 내주면에 상기 제 2 펀치(21)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진 제 3 펀치(31)가 겹쳐지므로서, 깊이가 얕고 밑면적이 넓게 다이스 고정판(41)의 다이스 어셈블리(43)에 놓인 가공물을 3개의 펀치(11, 21, 31)로 1차 가공하고, 그 후 깊이가 1차 가공된 가공물의 깊이보다 상대적으로 깊고 밑면적이 적게 1차 가공된 가공물을 제 2 펀치(21) 및 제 3 펀치(31)로 2차 가공하고, 다시 2차 가공된 가공물보다 깊이가 더 깊고 밑면적이 적게 2차 가공된 가공물을 제 3 펀치(31)만으로 최종 가공한다.
이와같이 가공된 최종 제품은 펀치의 형상에 따라 횡단면이 원형, 타원형, 직사각형 등 여러 가지 형상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가공물을 가공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유압식 다단 드로잉 머신(1)은 제 1 펀치(11)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제 1 펀치가동장치(12)와, 상기 제 1 펀치가동장치(12)의 내측에 배치되어 제 2 펀치(21)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제 2 펀치가동장치(22)와, 상기 제 2 펀치가동장치(22)의 내측에 배치되어 제 3 펀치(31)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제 3 펀치가동장치(32)와, 피스톤 로드(51)가 패드 역할을 하는 공압 실린더(53)를 구비한 베이스(55)와, 상기 베이스(55)에 지지된 제 1 가이드 포스트(57)와, 다이스 고정판(41)의 상면에 장착되는 다이스 어셈블리(43) 및 스톱퍼(47)와, 상기 제 1 가이드 포스트(57)의 상단에 고정된 고정판(59)으로 구성된다.상기 다이스 어셈블리(43)는 제1다이스(44), 제2다이스(45) 및 제3다이스(46)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제 1 펀치가동장치(12)는 고정판(59)의 상면에 고정되고 하방으로 장착되어 피스톤 로드(14)가 상기 고정판(59)을 관통하는 제 1 유압 실린더(13)와, 상기 제 1 유압 실린더(13)의 피스톤 로드(14)의 단부에 부착되어 제 1 가이드 포스트(57)를 따라 상하로 이동할 수 있는 제 1 가동판(15)과, 상기 제 1 가동판(15)에 상단이 부착된 제 2 가이드 포스트(16)와, 상기 제 2 가이드 포스트(16)의 하단에 부착되며 제 1 펀치(11)가 장착된 제 1 펀치홀더(17)로 구성된다.
제 2 가이드 포스트(16)는 2개의 단차부(16a, 16b)가 형성되어, 상부 단차부(16a)에 의해 제 3 펀치홀더(36)의 상부 운동이 한정되고, 하부 단차부(16b)에 의해 제 2 펀치홀더(28)의 상부 운동이 한정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 1 펀치가동장치(12)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제 1 유압 실린더(13)가 작동하여 피스톤 로드(14)가 상기 제 1 유압 실린더(13)로부터 인출됨에 따라 상기 피스톤 로드(14)의 하단에 장착된 제 1 가동판(15)이 제 1 가이드 포스트(57)를 따라 하강하게 된다. 이것에 의해 제 1 펀치(11)가 장착된 제 1 펀치홀더(17)가 도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이스 고정판(41)의 스톱퍼(47)에 의해 정치될 때까지 하강하게 된다. 이 때, 제2펀지홀더(28)와 제3펀치홀더(36)도 함꼐 하강하여 상기 제 1 펀치(11)가 다이스 어셈브리(43)의 제1다이스(44)에 놓인 가공물을 성형하게 되고, 이것에 의해 소재가 도3a와 같이 제 1 펀치(11)의 외주 형상과 같은 형상으로 1차 가공물(100)로 성형된다.
상기 제 2 펀치가동장치(22)는 제 1 가동판(15)의 하부면에 피스톤 로드(23)가 장착된 제 2 유압 실린더(24)와, 상기 제 1 가동판(15)의 하부면에 부착된 고정블록(25)과, 상기 제 2 유압 실린더(24)의 작동에 의해 제 2 가이드 포스트(16)를 따라 상하로 이동할 수 있는 제 2 가동판(26)과, 상기 제 2 가동판(26)의 하부면에 장착된 제 3 가이드 포스트(27)와, 상기 제 3 가이드 포스트(27)의 하단에 장착되며 제 2 펀치(21)가 장착된 제 2 펀치홀더(28)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블록(25)은 제 1 유압 실린더(13)의 작동에 의해 제 1 가동판(15)이 하강할 때 제 1 가동판(15)이 하강하는 힘을 제 2 펀치가동장치(22)로 전달하고, 상기 제 2 펀치가동장치(22)의 상승 운동을 한정한다.
상기 제 3 가이드 포스트(27)에는 단차부(27a)가 형성되어, 상부 단차부(27a)에 의해 제 3 펀치 홀더(36)의 상부 운동이 한정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 2 펀치가동장치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제 2 유압 실린더(24)가 제 1 유압 실린더(13)와 대칭되게 장착되어 있어, 피스톤 로드(23)의 상단이 고정단이 되기 때문에 제 2 유압 실린더(24)가 작동하면 상기 제 2 유압 실린더(24)가 하강하게 된다. 이것에 의해 제 2 펀치(21)가 장착된 제 2 펀치홀더(28)가 제 1 펀치홀더(17)의 상부면에 안착될 때까지 제 2 가동판(26)이 하강하게 된다. 이 때, 도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펀치(11)에 의해 1차 가공된 가공물이 제 2 펀치(21)에 의해 2차 가공물(200)로 성형된다.
상기 제 3 펀치가동장치(32)는 제 2 가동판(26)의 하부면에 부착된 제 3 유압 실린더(33)와, 상기 제 3 유압 실린더(33)에 부착된 제 3 가동판(35)과, 상기 제 3 유압 실린더(33)의 피스톤 로드(34)에 부착되며 제 3 펀치(31)가 장착된 제 3 펀치홀더(36)로 구성된다.
상기 제 3 유압 실린더(33)는 제 2 유압 실린더(24)와 대칭되게 배치되어, 제 2 유압 실린더(24)에 의해 발생한 힘을 제 3 가동판(35)으로 전달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 3 펀치가동장치(32)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제 3 유압 실린더(33)가 작동하면 상기 제 3 유압 실린더(33)에서 피스톤 로드(34)가 인출되면서 제 3 펀치홀더(36)를 하부로 밀게 된다. 이것에 의해 제 3 펀치(31)가 장착된 제 3 펀치홀더(36)가 제 2 펀치홀더(28)에 안착될 때까지 하강하게 된다. 이 때, 제 3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3 펀치(31)가 제 2 펀치(21)에 의해 2차 성형된 가공물을 최종 제품(300)으로 성형한다.
상기 펀치(11, 21, 31)들은 일반적인 스텝 헤드 펀치로 각각의 펀치홀더(17, 28, 36)에 공지의 방법으로 장착되며, 각 펀치의 하단은 서로 수평하게 일치된다.
상기 다이스 어셈블리(43)는 순차적으로 단차져 있으며, 1차 다이스 (44)의 내측 에지가 제 1 펀치(11)의 외주면에 대응되고, 2차 다이스(45)가 1차 다이스(44)보다 제 1 펀치(11)의 두께만큼 내측으로 돌출되어 제 2 펀치(21)의 외주면에 대응하고, 3차 다이스(46)는 2차 다이스(45)보다 제 2 펀치(21)의 두께만큼 내측으로 돌출되어 제 3 펀치(31)의 외주면과 일치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유압식 다단 드로잉 머신은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도 2a 및 도 3a에 도시된 바와같이, 제 1 유압 실린더(13)가 작동하면, 상기 제 1 유압 실린더(13)에서 피스톤 로드(14)가 인출되면서 제 1 가동판(15)을 하부로 밀게 된다. 이것에 의해 제 1 , 제 2 및 제 3 펀치가동장치(12, 22, 32)가 하강하게 된다. 이와 같은 제 1 , 제 2 및 제 3 펀치가동장치(12, 22, 32)의 하강운동은 제 1 펀치홀더(17)가 스톱퍼(47)에 의해 정지될 때까지 이루어진다. 이 때, 펀치(11, 21, 31)가 다이스 어셈블리(43)의 2차 다이스(45)까지 하강하게 되므로서, 상기 펀치(11, 21, 31)에 의해 다이스 어셈블리(43)의 1차 다이스(44)에 안착된 소재가 다이스 어셈블리(43)의 2차 다이스(45)에서 1차적으로 직경이 크고 깊이가 적은 형상의 1차 가공물(100)로 성형된다. 그리고, 이때 공압 실린더(53)의 피스톤 로드(51)는 패드 역할을 수행하며 펀치들의 높이에 일치되게 하강한다.
그 후, 도 2b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같이, 제 2 유압실린더(24)가 작동하면, 피스톤 로드(23)의 상단이 제 1 가동판(15)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제 2 유압실린더(24)가 하강운동하면서 제 2 가동판(25)을 하부로 밀게된다. 이것에 의해, 제 2 펀치홀더(28)가 제 1 펀치홀더(17)에 안착될 때까지 하강하게 된다. 이때, 제 1 펀치(11)는 다이스 어셈블리(43)의 2차 다이스(45)에 안착되어 2차 가공물(65)이 성형될 때 발생할 수 있는 주름을 방지하고, 제 2 펀치(21) 및 제 1 펀치(31)는 3차 다이스(46)까지 하강하여 1차 성형된 가공물을 보다 깊은 깊이를 갖는 2차 가공물(200)로 재차 성형한다. 그리고, 이때 공압 실린더(53)의 피스톤 로드(51)는 패드 역할을 수행하며 제 2 펀치(21) 및 제 3 펀치(31)의 높이에 일치되게 하강한다.
마지막으로, 도 2c 및 도 3c에 도시된 바와같이, 제 3 유압실린더(33)가 작동하여 실린더 로드(34)가 상기 제 3 유압실린더(33)에서 인출되면서 제 3 펀치홀더(36)를 하부로 밀게된다. 이것에 의해, 제 3 펀치홀더(36)가 제 2 펀치홀더(28)에 안착될 때까지 하강하게 된다. 이때, 제 2 펀치(21)는 다이스 어셈블리(43)의 3차 다이스(46)에 안착되어 최종 제품(300)이 성형될 때 발생할 수 있는 주름을 방지하고, 제 3 펀치(47)는 다이스 고정판(41)의 구멍 하부까지 하강하여 2차 가공물을 보다 더 깊은 깊이를 갖는 완성된 제품(300)을 성형한다. 성형된 제품(300)은 다이스 고정판(61)의 구멍(63)으로 하부로 배출된다. 그리고, 이때 공압 실린더(53)의 피스톤 로드(51)는 패드 역할을 수행하며 제 3 펀치(31)의 높이에 일치되게 하강한다.
도 1, 도 3에 도시된 유압식 다단 드로잉 머신은 하나의 장치에서 작업이 이루어지는 것이 설명되어 있다. 그러나, 아주 깊은 깊이를 갖는 제품을 성형할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유압식 다단 드로잉 머신은 다수개가 1 세트로 사용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압식 다단 드로잉 머신은 하나의 장치만으로도 별도의 이송설비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가공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금형 및 장비의 점유 공간을 절감하여 공간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아주 깊이가 깊은 제품을 성형할 경우, 가공단계가 하나의 기계에서 다수의 공정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이송 설비 및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위의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유압식 다단 드로잉 머신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위에서 설명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위에서 설명한 실시예는 3단 성형가공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외에 4단 및 5단 등 여러 가지 다단 성형가공방식에 대하여, 이 분야에 기술을 가진 자라면,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벗어남 없이 본 발명에 따른 유압식 다단 드로잉 머신을 변형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6)

  1. 중공인 제 1 펀치(11)의 내주면에 상기 제 1 펀치(11)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진 중공의 제 2 펀치(21)가 겹쳐지고, 중공인 제 2 펀치(21)의 내주면에 상기 제 2 펀치(21)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진 제 3 펀치(31)가 겹쳐지도록 설치하여 구동원에 의하여 상기 펀치들이 다이스에 하강하도록 함에 있어서,
    다이스 고정판(41)의 다이스 (43)에 놓인 가공물을 3개의 펀치(11, 21, 31)로 1차 드로잉 가공하고, 이어서 1차 드로잉 가공된 가공물을 가공물을 제 2펀치(21) 및 제3펀치(31)로 2차 드로잉 가공하고, 이어서 2차 드로잉 가공된 가공물을 제 3 펀치(31)만으로 최종 드로잉 가공하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다단 드로잉 머신.
  2. 제 1 펀치(11)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제 1 펀치가동장치(12)와, 상기 제 1 펀치가동장치(12)의 내측에 배치되어 제 2 펀치(21)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제 2 펀치가동장치(22)와, 상기 제 2 펀치가동장치(22)의 내측에 배치되어 제 3 펀치(31)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제 3 펀치가동장치(32)와, 피스톤 로드(51)가 패드 역할을 하는 공압 실린더(53)를 구비한 베이스(55)와, 상기 베이스(55)에 지지된 제 1 가이드 포스트(57)와, 다이스 고정판(41)의 상면에 장착되는 다이스 어셈블리(43) 및 스톱퍼(47)와, 상기 제 1 가이드 포스트(57)의 상단에 고정된 고정판(59)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다단 드로잉 머신.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펀치가동장치(12)는 고정판(59)의 상면에 고정되고 하방으로 장착되어 피스톤 로드(14)가 상기 고정판(59)을 관통하는 제 1 유압 실린더(13)와, 상기 제 1 유압 실린더(13)의 피스톤 로드(14)의 단부에 부착되어 제 1 가이드 포스트(57)를 따라 상하로 이동할 수 있는 제 1 가동판(15)과, 상기 제 1 가동판(15)에 상단이 부착된 제 2 가이드 포스트(16)와, 상기 제 2 가이드 포스트(16)의 하단에 부착되며 제 1 펀치(11)가 장착된 제 1 펀치홀더(17)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다단 드로잉 머신.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펀치가동장치(22)는 제 1 가동판(15)의 하부면에 피스톤 로드(23)가 장착된 제 2 유압 실린더(24)와, 상기 제 1 가동판(15)의 하부면에 부착된 고정블록(25)과, 상기 제 2 유압 실린더(24)의 작동에 의해 제 2 가이드 포스트(16)를 따라 상하로 이동할 수 있는 제 2 가동판(26)과, 상기 제 2 가동판(26)의 하부면에 장착된 제 3 가이드 포스트(27)와, 상기 제 3 가이드 포스트(27)의 하단에 장착되며 제 2 펀치(21)가 장착된 제 2 펀치홀더(28)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다단 드로잉 머신.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펀치가동장치(32)는 제 2 가동판(26)의 하부면에 부착된 제 3 유압 실린더(33)와, 상기 제 3 유압 실린더(33)에 부착된 제 3 가동판(35)과, 상기 제 3 유압 실린더(33)의 피스톤 로드(34)에 부착되며 제 3 펀치(31)가 장착된 제 3 펀치홀더(36)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다단 드로잉 머신.
  6. 삭제
KR1020000015197A 2000-03-24 2000-03-24 유압식 다단 드로잉 머신 KR1003436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5197A KR100343624B1 (ko) 2000-03-24 2000-03-24 유압식 다단 드로잉 머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5197A KR100343624B1 (ko) 2000-03-24 2000-03-24 유압식 다단 드로잉 머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0334A KR20010090334A (ko) 2001-10-18
KR100343624B1 true KR100343624B1 (ko) 2002-07-20

Family

ID=196583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5197A KR100343624B1 (ko) 2000-03-24 2000-03-24 유압식 다단 드로잉 머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4362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7813B1 (ko) * 2018-12-13 2020-09-01 주식회사 예성인더스트리 다단실린더를 이용한 딥드로잉방식의 탄미부 신관 라이너의 제조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56452A (ja) * 1997-12-01 1999-06-15 Asahi Seiki Mfg Co Ltd 多段絞り加工方法及び多段絞りプレス機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56452A (ja) * 1997-12-01 1999-06-15 Asahi Seiki Mfg Co Ltd 多段絞り加工方法及び多段絞りプレス機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0334A (ko) 2001-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266092A1 (en) Apparatus and method of producing battery case
JP2002001595A (ja) 粉末材料から環状物品を形成する装置
KR20080017231A (ko) 리니어 모터가 탑재된 프레스 기계
US4996864A (en) Drawing machine
KR100343624B1 (ko) 유압식 다단 드로잉 머신
JPH0857563A (ja) バーリング加工方法
JPH08164431A (ja) プレス孔明け装置
JP4129621B2 (ja) プレス金型
JP2001321840A (ja) プレス成形装置
KR100436006B1 (ko) 한 행정에서 다단으로 성형이 가능한 드로잉 금형장치
CN210098684U (zh) 一种复合型盖杯成型模具
JPH08215770A (ja) プレス成形方法及びそのプレス装置
KR100255313B1 (ko) 복합 성형용 금형
JP3764252B2 (ja) カップ成型方法並びに複動機械プレスに使用される工具装置
JPH09239740A (ja) アンダーカット部のある成形品の金型装置
JPS5855848B2 (ja) ヘルメット型被加工物に対する逆紋り加工用金型装置
KR20150009801A (ko) 다층 금형 장치
CN214214711U (zh) 一种用于注拉吹机的新型吹芯合模装置和注拉吹机
KR200363973Y1 (ko) 드로오잉 금형장치
KR200332906Y1 (ko) 프레스 성형용 트윈 금형장치
KR100626210B1 (ko) 드로오잉 금형장치
KR20170117288A (ko) 드로잉 가공장치
KR100216406B1 (ko) 앵커볼트의 헤드부 가공방법 및 그 장치
KR19990010196U (ko) 순차이송형 프레스 금형
JPH0760374A (ja) プレス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62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