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42038B1 - 적층형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적층형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2038B1
KR100342038B1 KR1020000069768A KR20000069768A KR100342038B1 KR 100342038 B1 KR100342038 B1 KR 100342038B1 KR 1020000069768 A KR1020000069768 A KR 1020000069768A KR 20000069768 A KR20000069768 A KR 20000069768A KR 100342038 B1 KR100342038 B1 KR 1003420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panel
electrode
intermediate substrate
electro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97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51880A (ko
Inventor
하마다료헤이
Original Assignee
가시오 가즈오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시오 가즈오,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시오 가즈오
Publication of KR200100518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18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20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203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5Flexible substrates, e.g. plastics, organic film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8Input devices, e.g. touch pane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층형 표시장치에 관련되고, 더욱 상세하게는 1장의 중간기판과, 이 중간기판을 끼우도록 배치된 일체형의 기판에 의해 구성된 적층형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소정부분에서 접어 구부러진 1장의 필름기판(41)의 사이에 1장의 중간기판(40)을 배치하고, 필름기판(41)의 접어 구부림부(41a)로부터 일단측을 중간기판(40)의 한쪽의 면에 대향시켜서 제 1 패널(31)을 구성하고, 접어 구부림부(41a)로부터 타단측을 중간기판(40)의 다른쪽의 면에 대향시켜서 제 2 패널(32)을 구성하며, 필름기판(41)의 어느 쪽인가 한쪽측의 단틀부(41b)를 중간기판(40)의 바깥쪽으로 돌출시키고 있고, 이 단틀부(41b)에 중간기판(40)의 양면 및 이들 면에 대향하는 필름기판(41)의 일단측과 타단측의 내면에 각각 설치된 제 1 패널용 전극(42, 43) 및 제 2 패널용 전극(46, 47)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단자전극(48)을 통합하여 설치했으며, 이에 따라 기판의 수가 2장으로 적기 때문에 제조가 용이하고 제조비용이 훨씬 저감되며, 또한 전체의 전극에 대응하는 단자전극이 1곳에 통합하여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실장할 때의 외부회로와의 배선접속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적층형 표시장치가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적층형 표시장치{STACKED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적층형 표시장치에 관련되고, 더욱 상세하게는 1장의 중간기판과, 이 중간기판을 끼우도록 배치된 일체형의 기판에 의해 구성된 적층형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예를 들면 액정표시패널 등을 이용한 전기광학표시장치로서 표시패널의 관찰측인 전면에 터치입력패널을 적층한 복합형의 것이나 전후 2개의 표시패널을 적층한 이층형의 것 등이 알려져 있다. 이들은 적층형 표시장치라 불리우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적층형 표시장치의 해칭을 생략한 단면도이며, 여기에서는 액정표시패널(1)의 전면에 터치입력패널(이하 터치패널이라 한다)(2)을 적층한 복합형의 표시장치를 나타내고 있다.
이 적층형 표시장치는 액정표시패널(1)과 터치패널(2)의 서로 인접하는 측의 기판을 1장의 중간기판(10)으로 겸용한 것으로, 중간기판(10)과, 이 중간기판(10)의 후면에 대향시켜서 배치된 표시패널용 기판(11)과, 중간기판(10)의 전면에 대향시켜서 배치된 터치패널용 기판(12)을 구비하고 있다.
중간기판(10)과 표시패널용 기판(11)은 유리로 이루어지는 투명기판이며, 중간기판(10)의 후면과 표시패널용 기판(11)의 내면(중간기판(10)과의 대향면)에는 각각 서로 대향하는 투명한 표시패널용 전극(13, 14)이 설치되는 동시에 전극(13,14)을 덮어서 배향막(15, 16)이 설치되어 있다.
또 중간기판(10)과 표시패널용 기판(11) 중의 한쪽의 기판, 예를 들면 표시패널용 기판(11)의 일단측의 단틀부는 다른쪽의 기판인 중간기판(10)의 바깥쪽으로 돌출해 있으며, 그 단틀부의 내면에 중간기판(10)의 후면 및 표시패널용 기판(11)의 내면에 설치된 표시패널용 전극(13, 14)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표시패널용 단자전극(17)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면에서는 생략하고 있지만, 표시패널용 기판(11)의 내면에는 이 표시패널용 기판(11)의 내면에 설치된 표시패널용 전극(14)과 단틀부에 설치된 복수의 표시패널용 단자전극(17) 중의 소정의 단자전극을 접속하는 리드배선과, 중간기판(10)의 후면에 설치된 표시패널용 전극(13)의 단자접속부에 대응하는 패드전극과, 이 패드전극과 복수의 표시패널용 단자전극(17) 중의 다른 소정의 단자전극을 접속하는 리드배선이 설치되어 있다.
중간기판(10)과 표시패널용 기판(11)은 제 1 테두리상 시일재(18)에 의해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여 접합되어 있다. 또 중간기판(10)의 후면에 설치된 표시패널용 전극(13)의 단자접속부와 표시패널용 기판(11)의 내면의 상기한 패드전극은 시일재(18)에 의한 기판접합영역내 또는 그 근처에 있어서, 도시하지 않는 도전부재를 통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중간기판(10)과 표시패널용 기판(11)의 사이의 시일재(18)에 의해 둘러싸여진 영역에 액정이 봉입되어 액정층(19)이 형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액정표시패널(1)은 구성되어 있다.
한편 중간기판(10)의 전면에 대향시켜서 배치된 터치패널용 기판(12)은 가요성을 갖는 투명한 수지필름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중간기판(10)의 전면과 수지필름으로 이루어지는 터치패널용 기판(이하 필름기판이라 한다)(12)의 내면(중간기판(10)과의 대향면)에는 각각 투명한 터치패널용 전극(20, 21)이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 중간기판(10)과 터치패널용 필름기판(12) 중의 한쪽의 기판, 예를 들면 중간기판(10)의 일단측의 단틀부는 다른쪽의 기판인 필름기판(12)의 바깥쪽으로 돌출해 있으며, 그 단틀부의 전면에, 중간기판(10)의 전면 및 필름기판(12)의 내면에 설치된 터치패널용 전극(20, 21)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터치패널용 단자전극(22)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면에서는 생략하고 있지만, 중간기판(10)의 전면에는 이 중간기판(10)의 전면에 설치된 터치패널용 전극(20)과 단틀부에 설치된 복수의 터치패널용 단자전극(22) 중의 소정의 단자전극을 접속하는 리드배선과, 필름기판(10)의 내면에 설치된 터치패널용 전극(21)의 단자접속부에 대응하는 패드전극과, 이 패드전극과 복수의 터치패널용 단자전극(22) 중의 다른 소정의 단자전극을 접속하는 리드배선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터치패널(2)은 중간기판(10)과 터치패널용 필름기판(12)을 제 2 테두리상 시일재(23)에 의해 접합하는 동시에 터치패널용 기판(12)의 내면에 설치된 표시패널용 전극(21)의 단자접속부를 테두리상 시일재(23)에 의한 기판접합영역내 또는 그 근처에 있어서, 도시하지 않는 도전부재를 통하여 중간기판(10)의 전면의 패드전극에 전기적으로 접속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또 이 적층형 표시장치는 TN(트위스티드·네마틱)방식의 액정표시장치이며, 액정표시패널(1)의 액정층(19)의 액정분자의 초기배향상태가 소정의 트위스트각(예를 들면 대략 90도)의 트위스트배향으로 되는 동시에, 액정표시패널(1)의 후면(표시패널용 기판(11)의 외면)과 터치패널(2)의 전면(터치패널용 필름기판(12)의 외면)에 각각 편광판(24, 25)이 각각의 투과축을 소정의 방향을 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 1에 나타낸 적층형 표시장치는 액정표시패널(1)의 전면에 터치패널(2)을 적층한 복합적인 편성인데, 적층형 표시장치에는 2개의 표시패널을 전후에 적층한 것도 있으며, 예를 들면 2개의 액정표시패널을 적층한 이층구조의 표시장치는 종래 도 1에 나타낸 적층형 표시장치의 터치패널(2)을 제 2 액정표시패널로 치환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적층형 표시장치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패널(도 1에서는 액정표시패널)(1)과 제 2 패널(도 1에서는 터치패널)(2)의 서로 인접하는 측의 기판을 겸용하는 중간기판(10)과, 이 중간기판(10)의 후면에 대향시켜서 배치된 제 1 패널용 기판(11)과, 중간기판(10)의 전면에 대향시켜서 배치된 제 2 패널용 기판(12)을 구비하고, 중간기판(10)의 한쪽의 면과 제 1 패널용 기판(11)의 내면에 각각 제 1 패널용 전극(13, 14)을 설치하고, 중간기판(10)의 다른쪽의 면과 제 2 패널용 기판(12)의 내면에 각각 제 2 패널용 기판(20, 21)을 설치한 것이다. 그 때문에 중간기판(10)과 제 1 패널용 기판(11)과 제 2 패널용 전극(12)의 3장의 기판을 제작할 필요가 있으며, 그 결과 제조공정수가 많아져서 제조비용이 비싸진다.
또한 종래의 적층형 표시장치는 제 1 패널(1)의 단자전극(17)을 중간기판(10)과 제 1 패널용 기판(11)의 어느 쪽인가 한쪽(도 1에서는 제 1 패널용 기판(11))의 단틀부에 설치하고, 제 2 패널(2)의 단자전극(22)을 중간기판(10)과 제 2 패널용 기판(12)의 어느 쪽인가 한쪽(도 1에서는 중간기판(10))의 단틀부에 설치한 것이기 때문에 제 1 패널(1)의 단자전극(17)에 접속되는 제 1 패널용의 구동회로와 제 1 패널(2)의 단자전극(22)에 접속되는 제 2 패널용의 구동회로를 각각 별도공정으로 접속하지 않으면 안된다. 따라서 이 적층형 표시장치를 전자기기에 실장할 때의 전기접속작업이 복잡하게 되어 실장단계수의 증가를 초래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하는 기판의 수를 삭감하여 적은 제조공정에 의해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제조되는 동시에 외부회로와의 배선접속에 알맞은 적층형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적층형 표시장치는 표시소자와 다른 소자를 적층배치하여 형성된 적층형 표시장치이며,
한쪽의 면과, 이 한쪽의 면의 뒤쪽의 다른쪽의 면의 양쪽에 전극이 형성된 1장의 제 1 기판과,
제 1 기판에 대하여 일단측을 제 1 기판의 한쪽의 면에 대향시키고 타단측을 제 1 기판의 다른쪽의 면에 대향시킨 1장의 제 2 기판으로 이루어지고, 이 제 2 기판은 제 1 기판의 한쪽의 면에 형성된 전극과 대향하는 제 1 패널용 전극부재와,제 1 기판의 다른쪽의 면에 형성된 전극과 대향하는 제 2 패널용 전극부재와, 제 1 패널용 전극부재 및 제 2 패널용 전극부재가 전기적으로 접속된 복수의 단자전극을 갖고,
제 1 기판과 제 2 기판의 일단측을 접합하여 제 1 패널을 구성하는 제 1 접합부재와,
제 1 기판과 제 2 기판의 타단측을 접합하여 제 2 패널을 구성하는 제 2 접합부재와,
제 1 패널과 제 2 패널 중의 적어도 한쪽의 패널의 제 1 기판과 제 2 기판의 사이에 설치된 전기광학효과를 구비하는 전기광학물질층에 의해 구성된다.
이 적층형 표시장치에 따르면, 1장의 기판을 U자형으로 형성하고 그 사이에 또 1장의 기판을 배치하여 2개의 패널이 적층된 적층형 표시장치를 구성하기 때문에 기판의 수가 2장으로 좋으며, 종래의 3장보다 적게 완료된다. 또 U자형으로 형성하는 기판에 2개의 패널의 양쪽의 전극을 일괄해서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적층형 표시장치를 제조하는 공정수 및 단계수가 저감되어 제조비용이 대폭으로 삭감된다.
또 1장의 기판에 제 1 패널용 전극부재와 제 2 패널용 전극부재를 일괄형성하기 때문에 그들 전극부재에 접속하는 단자전극을 1부위로 통합하여 설치할 수 있고, 전자기기에 실장할 때의 외부회로와의 배선접속작업이 매우 용이하게 된다.
상기 적층형 표시장치에 있어서는, 제 2 기판으로서는 제 1 기판의 양면에 대향하도록 소정부분에서 접어 구부려서 그 제 1 기판을 끼우는 것이 가능한 가요성 필름기판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이 제 2 기판은 어느 쪽인가 한쪽측의 단틀부를 제 1 기판의 바깥쪽으로 돌출시키고, 이 돌출시킨 단틀부에 제 1 패널용 전극부재에 접속되는 단자전극 및 제 2 패널용 전극부재에 접속되는 단자전극의 양쪽의 단자전극을 통합하여 설치함으로써 구동회로 등의 외부회로로의 배선접속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또 상기 적층형 표시장치에 있어서, 제 1 패널용 전극부재는 제 1 기판의 한쪽의 면에 형성된 전극과 서로 대향시켜서 설치된 제 1 패널용 전극과, 이 제 1 패널용 전극과 대응하는 단자전극을 접속하는 배선부재로 구성된다. 그리고 이 경우 제 1 기판의 한쪽의 면에는 이 한쪽의 면상의 전극에 접속된 복수의 단자접속부가 설치되고, 제 1 패널용 전극부재는 제 1 기판상의 상기 복수의 단자접속부에 각각 대응시켜서 접속된 복수의 패드전극과, 이들 패드전극과 대응하는 단자전극을 접속하는 배선부를 추가로 갖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제 1 패널용 전극에 대향하는 제 1 기판에 설치한 전극에 대응하는 단자전극도 제 2 기판의 소정의 단틀부에 통합하여 설치할 수 있어서 실장시의 외부회로로의 접속작업이 더욱 용이하게 된다.
또 상기 적층형 표시장치에 있어서, 제 2 패널용 전극부재는 제 1 기판의 다른쪽의 면에 형성된 전극과 서로 대향시켜서 설치된 제 2 패널용 전극과, 이 제 2 패널용 전극과 대응하는 단자전극을 접속하는 배선부재로 구성된다. 그리고 이 경우 제 1 기판의 다른쪽의 면에는 이 다른쪽의 면상의 전극에 접속된 복수의 단자접속부가 설치되고, 제 2 패널용 전극부재는 제 1 기판의 다른쪽의 면에 설치된 상기복수의 단자접속부에 각각 대응시켜서 접속된 복수의 패드전극과, 이들 패드전극과 대응하는 단자전극을 접속하는 배선부재에 의해 구성된다. 이에 따라 제 2 패널용 전극에 대향하는 제 1 기판의 전극에 대응하는 단자전극도 제 2 기판의 소정의 단틀부에 통합하여 설치할 수 있어서 실장시의 외부회로로의 접속작업이 훨씬 용이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적층형 표시장치에 있어서는, 제 1 패널과 제 2 패널 중 한쪽의 패널이, 제 1 기판과 제 2 기판의 사이에 전기광학물질층이 설치된 표시패널이며, 다른쪽의 패널이 터치입력패널인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그 경우의 전기광학물질층으로서는 액정이 바람직하다.
덧붙여서 상기 적층형 표시장치에 있어서는, 제 1 패널과 제 2 패널의 양쪽이, 제 1 기판과 제 2 기판의 사이에 전기광학물질층이 설치된 표시패널이어도 좋고, 그 경우도 전기광학물질층으로서는 액정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1장의 기판과, 이를 끼워서 설치된 1장의 가요성 기판에 의해 형성된 적층형 표시장치이며,
한쪽의 면과 이 한쪽의 면의 뒤쪽의 다른 쪽의 면의 양쪽에 전극이 형성된 1장의 중간기판과,
소정부분에서 접어 구부러져서 그 사이에 상기 중간기판을 끼우고, 그 접어 구부림부로부터 일단측을 중간기판의 한쪽의 면에 대향시키고 접어 구부림부로부터 타단측을 중간기판의 다른쪽의 면에 대향시키는 동시에, 어느 쪽인가 한쪽측의 단틀부를 중간기판의 바깥쪽으로 돌출시켜서 배치된 1장의 가요성 기판으로 이루어지고, 이 가요성 기판은 중간기판의 한쪽의 면에 형성된 전극과 대향하는 제 1 패널용 전극부재와 중간기판의 다른쪽의 면에 형성된 전극과 대향하는 제 2 패널용 전극부재 및 돌출시킨 단틀부에 설치되어 제 1 패널용 전극부재 및 제 2 패널용 전극부재가 전기적으로 접속된 복수의 단자전극을 갖고,
중간기판과 필름기판의 일단측을 접합하여 제 1 패널을 구성하는 제 1 접합부재와,
중간기판과 필름기판의 타단측을 접합하여 제 2 패널을 구성하는 제 2 접합부재와,
제 1 패널과 제 2 패널 중의 적어도 한쪽 패널의 중간기판과 필름기판의 사이에 설치된 전기광학효과를 구비하는 전기광학물질층을 갖는 적층형 표시장치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이 적층형 표시장치에 따르면, 1장의 가요성 기판을 둘로 접음으로 접어 구부려서 그 사이에 또 1장의 기판을 배치하여 2개의 패널이 적층된 적층형 표시장치를 구성하기 때문에 기판의 수가 2장으로 적게 완료되는 동시에, 1장의 가요성 기판을 접어 구부리는 것만으로 적층형 표시장치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또 1장의 가요성 기판에 2개의 패널의 양쪽 전극을 일괄하여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적층형 표시장치를 제조할 때의 제조공정수 및 단계수가 저감되어 제조비용이 대폭으로 삭감된다.
상기 적층형 표시장치에 있어서는, 제 1 패널용 전극부재를 중간기판의 한쪽의 면에 형성된 전극과 서로 대향시켜서 설치된 제 1 패널용 전극과, 이 제 1 패널용 전극과 대응하는 단자전극을 접속하는 배선부재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그 경우 중간기판의 한쪽의 면에는 이 한쪽의 면상의 전극에 접속된 복수의 단자접속부가 설치되고, 가요성 기판에 형성된 제 1 패널용 전극부재는 그들 복수의 단자접속부에 각각 대응시켜서 접속되는 복수의 패드전극과, 이들 패드전극에 대응하는 단자전극을 접속하는 배선부재를 갖도록 하는 것이 좋다.
또 상기 적층형 표시장치에 있어서는, 제 2 패널용 전극부재를 중간기판의 다른쪽의 면에 형성된 전극과 서로 대향시켜서 설치된 제 2 패널용 전극과, 이 제 2 패널용 전극과 대응하는 단자전극을 접속하는 배선부재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그 경우 중간기판의 다른쪽의 면에는 이 다른쪽의 면에 형성된 전극에 접속된 복수의 단자접속부가 설치되고, 가요성 기판에 형성된 제 2 패널용 전극부재는 중간기판에 설치된 복수의 단자접속부에 각각 대응시켜서 접속되는 복수의 패드전극과, 이들 패드전극과 대응하는 단자전극을 접속하는 배선부재를 갖도록 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적층형 표시장치에 있어서는, 제 1 패널과 제 2 패널 중 한쪽의 패널이 중간기판과 가요성 기판의 사이에 전기광학물질층이 설치된 표시패널이며, 다른쪽의 패널이 터치입력패널인 것이 바람직하다.
덧붙여서 상기 적층형 표시장치에 있어서는, 제 1 패널과 제 2 패널의 양쪽이, 중간기판과 가요성 기판의 사이에 전기광학물질층이 설치된 표시패널이도록 해도 좋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제 1 패널과 제 2 패널을 적층하여 이루어지는적층형 표시장치이며, 1장의 중간기판과, 이 중간기판에 대하여 일단측을 중간기판의 한쪽의 면에 대향시키고 타단측을 중간기판의 다른쪽의 면에 대향시킨 1장의 외장기판과, 이 외장기판의 어느 쪽인가 한쪽측의 단틀부에 설치된 복수의 단자전극과, 중간기판의 한쪽의 면과 외장기판의 일단측의 내면에 각각 적어도 일부가 서로 대향시켜서 설치되고, 복수의 단자전극 중의 미리 정해진 단자전극에 접속된 제 1 패널용 전극부재와, 중간기판의 다른쪽의 면과 외장기판의 타단측의 내면에 각각 적어도 일부가 서로 대향시켜서 설치되며, 복수의 단자전극 중의 다른 단자전극에 접속된 제 2 패널용 전극부재와, 중간기판과 외장기판의 일단측을 접합하여 제 1 패널을 구성하는 제 1 접합부재와, 중간기판과 외장기판의 타단측을 접합하여 제 2 패널을 구성하는 제 2 접합부재와, 제 1 패널과 제 2 패널 중의 적어도 한쪽의 패널의 중간기판과 외장기판의 사이에 설치된 전기광학효과를 구비하는 전기광학물질층을 갖는 적층형 표시장치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도 1은 종래의 적층형 표시장치를 나타내는 해칭을 생략한 단면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로서의 적층형 표시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와 그 해칭을 생략한 B-B′단면도.
도 3A 및 도 3B는 각각 상기 제 1 실시예의 적층형 표시장치에 이용한 중간기판을 전면측으로부터 본 평면도와 후면측으로부터 본 평면도.
도 4는 상기 제 1 실시예의 적층형 표시장치에 이용한 필름기판을 전개하여 나타내는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로서의 적층형 표시장치를 나타내는 해칭을 생략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1: 액정표시패널 32: 터치패널(터치입력패널)
40, 40′: 중간기판 41, 41′: 필름기판
41a: 접어 구부림부 41b: 단틀부
42, 43: 표시패널용 전극 42a, 46a: 단자접속부
46, 47: 터치패널용 전극 48, 64: 단자전극
55: 제 1 테두리상 시일재 56, 56′, 66: 액정층
[실시예]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A∼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으며, 도 2A, 도 2B는 그 제 1 실시예로서의 적층형 표시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와 B-B′단면도이다. 또한 설명의 형편에 의해 도 2A의 평면도에서는 전면측의 편광판을 생략하고, 도 2B의 단면도에서는 해칭을 생략하고 있다. 도 3A, 도 3B는 적층형 표시장치에 이용한 중간기판의 전면측 및 후면측으로부터 본 각 평면도, 도 4는 적층형 표시장치에이용한 필름기판의 전개평면도이다.
또한 이 실시예의 적층형 표시장치는 도면 중의 윗쪽향함을 관찰방향으로 하여 액정표시패널(31)의 표시의 관찰측인 전면에 좌표입력을 실시하는 터치입력패널(이하 터치패널이라 한다)(32)을 적층한 것이다.
이 적층형 표시장치는 도 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리로 이루어지는 1장의 투명한 중간기판(40)과 가요성을 갖는 투명한 수지필름으로 이루어지는 1장의 필름기판(41)을 구비하고 있다.
필름기판(41)은 도 4와 같이 중간기판(40)의 폭과 대략 같은 폭이고, 중간기판(40)의 길이의 적어도 2배보다 긴 길이를 갖는 가로로 긴 형상의 기판이며, 그 길이방향의 대략 중간부근의 접어 구부림부(41a)에서 둘로 접어 구부러져 있다. 이 접어 구부림부(41a)는 액정표시패널(31)과 터치패널(32)의 각 기판간간격과 중간기판(40)의 두께를 더한 분량의 길이를 구비하고 있다.
접어 구부러진 필름기판(41)의 사이에는 중간기판(40)이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여 배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필름기판(41)의 접어 구부림부로부터 일단측이 중간기판(40)의 후면에 대향하고 접어 구부림부로부터 타단측이 중간기판(40)의 전면에 대향하는 배치로 된다. 그리고 필름기판(41)의 어느 쪽인가 한쪽측의 단틀부, 예를 들면 중간기판(40)의 후면에 대향하는 일단측의 단틀부(41b)를 중간기판(40)의 바깥쪽으로 돌출시키고 있다.
중간기판(40)의 후면과 필름기판(41)의 중간기판(40)의 후면에 대향하는 일단측의 내면에는 각각 복수의 투명한 표시패널용 전극(42, 43)이 설치되는 동시에표시패널용 전극(42, 43)을 덮어서 배향막(44, 45)이 설치되어 있다.
본 예의 액정표시패널(31)은 예를 들면 단순매트릭스형의 것이다. 따라서 도 3B 및 도 4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표시패널용 전극(42, 43) 중 한쪽의 전극, 예를 들면 필름기판(41)의 일단측의 내면에 설치된 표시패널용 전극(43)은 행방향(화면의 좌우방향)을 따르게 하여 서로 평행하게 설치된 복수의 주사전극, 다른쪽의 전극인 중간기판(40)의 후면에 설치된 표시패널용 전극(42)은 열방향(화면의 상하방향)을 따르게 하여 서로 평행하게 설치된 복수의 신호전극이며, 중간기판(40)의 후면에 설치된 표시패널용 전극(42)의 일단에는 각각 후술하는 제 1 테두리상 시일재(55)에 의한 기판접합영역 또는 그 근처에 연장돌출되는 단자접속부(42a)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중간기판(40)의 전면과 필름기판(41)의 중간기판(40)의 전면에 대향하는 타단측의 내면에는 각각 복수의 투명한 터치패널용 전극(46, 47)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터치패널(32)은 그 전면측, 즉 좌표입력면측의 기판인 필름기판(41)이 손가락끝 등으로 눌러내려져서 부분적으로 내면측으로 휨변형하고, 그 부분에서 필름기판(41)의 내면의 터치패널용 전극(47)이 중간기판(40)의 전면의 터치패널용 전극(46)에 접촉하는 접촉형 터치패널이며, 도 3A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터치패널용 전극(46, 47) 중 한쪽의 전극, 예를 들면 중간기판(40)의 전면에 설치된 터치패널용 전극(46)은 행방향을 따르게 하여 서로 평행하게 설치된 복수의 x좌표전극, 다른쪽의 전극인 필름기판(41)의 타단측의 내면에 설치된 터치패널용 전극(47)은 열방향을 따르게 하여 서로 평행하게 설치된 복수의 y좌표전극이며, 중간기판(40)의 전면에 설치된 터치패널용 전극(46)의 일단에는 각각 후술하는 제 2 테두리상 시일재(57)에 의한 기판접합영역 또는 그 근처에 연장돌출되는 단자접속부(46a)가 형성되어 있다.
또 필름기판(41)의 중간기판(40)의 외측으로 돌출하는 단틀부(41b)의 내면에는 표시패널용 전극(42, 43) 및 터치패널용 전극(46, 47)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단자전극(48)이 설치되어 있다. 즉 본 예의 적층형 표시장치에서 표시에 관여하는 전체의 전극의 접속단자가 외부회로와의 접속에 가장 알맞은 하나의 장소에 집약되어 설치되어 있다.
또한 필름기판(41)의 내면에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필름기판의 내면에 설치된 표시패널용 전극(43) 및 터치패널용 전극(47)과 단틀부(41b)에 설치된 복수의 단자전극(48) 중의 소정의 단자전극을 각각 접속하는 복수의 리드배선(49, 50)과, 중간기판의 후면과 전면에 설치된 표시패널용 전극(42) 및 터치패널용 전극(46)의 단자접속부(42a, 46a)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패드전극(51, 52)과, 이들 패드전극(51, 52)과 복수의 단자전극(48) 중의 다른 소정의 단자전극을 각각 접속하는 복수의 리드배선(53, 54)이 설치되어 있다.
중간기판(40)과 필름기판(41)의 중간기판(40)의 후면에 대향하는 일단측은 제 1 테두리상 시일재(55)에 의해 도 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합되어 있다. 또 중간기판(40)의 후면에 설치된 표시패널용 전극(42)의 단자접속부(42a)와 필름기판(41)의 내면의 패드전극(51)이 시일재(55)에 의한 기판접합영역내 또는 그근처에 있어서, 도시하지 않는 도전부재를 통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중간기판(40)의 후면과 필름기판(41)의 사이에서 시일재(55)에 의해 둘러싸여진 영역에 액정이 봉입되어 액정층(56)이 설치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하여 액정표시패널(31)은 구성되어 있다.
또 터치패널(32)은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중간기판(40)과, 필름기판(41)의 중간기판(40)의 전면에 대향하는 타단측은 제 2 테두리상 시일재(57)에 의해 도 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합되어 있다. 그리고 시일재(57)에 의한 기판접합영역내 또는 그 근처에 있어서 중간기판(40)의 전면에 설치된 터치패널용 전극(46)의 단자접속부(46a)와 필름기판(41)의 내면의 패드전극(52)이 도전부재(57a)를 통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 경우의 도전부재(57a)는 테두리상 시일재(57) 속에 균일하게 분산혼합되어 있는 도전성 입자이다. 이 도전성 입자는 패드전극(52)과 단자접속부(46a)가 대향하는 영역에는 항상 확실한 도통이 얻어지는 만큼의 도전성 입자가 존재하는 분포밀도로 테두리상 시일재(57) 속에 균일하게 혼합되어 있다. 또한 터치패널(32)을 구성하는 시일재는 반드시 테두리상으로 형성하여 내부를 밀봉할 수 있도록 형성할 필요는 없다. 예를 들면 시일재를 코너부 등이 필요한 장소에 복수로 나누어 설치해도 좋으며, 요는 시일재가 필요한 중간기판(40)과, 필름기판(41)의 중간기판(40)의 전면에 대향하는 타단측을 확실하게 접합할 수 있으면 좋다.
이 실시예의 액정표시패널(31)은 TN(트위스티드·네마틱)방식의 액정표시패널이며, 액정층(56)의 액정분자의 초기배향상태, 즉 표시패널용 전극(42, 43) 간에구동전압이 인가되어 있지 않은 무전계상태에서의 배향상태가 소정의 트위스트각(예를 들면 대략 90도)의 트위스트배향을 이루고 있다. 따라서 도 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액정표시패널(31)의 후면(필름기판(41)의 중간기판(40)의 후면에 대향하는 일단측의 외면)과 터치패널(32)의 전면(필름기판(41)의 중간기판(40)의 전면에 대향하는 일단측의 외면)에 각각 편광판(58, 59)이 각각의 투과축을 소정의 방향을 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제 1 패널과 제 2 패널인 액정표시패널(31)과 터치패널(32)이 적층된 적층형 표시장치를 1장의 가요성필름기판을 둘로 접어 구부리고, 그 사이에 1장의 중간기판을 배치함으로써 구성할 수 있다. 즉 적층형 표시장치를 2장뿐이라는 적은 기판의 수로 구성할 수 있다. 또 필름기판(41)에 액정표시패널(31)과 터치패널(32)의 한쪽편의 전극이나 단자전극, 리드배선 등의 전극부재를 형성하는 작업은 도 4에 나타낸 접어 구부림전의 평평한 상태로 일괄하여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적층형 표시장치를 제조하는 제조공정 및 제조단계수가 대폭으로 삭감되어 그 제조비용을 현저하게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예의 적층형 표시장치에 있어서는, 1장의 필름기판(41)의 내면에 액정표시패널(31)의 한쪽편의 표시패널용 전극(43) 및 터치패널(32)의 한쪽편의 터치패널용 전극(47)을 설치하고 있다. 이에 따라 표시패널전극(42, 43) 및 터치패널용 전극(46, 47)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단자전극(48)을 필름기판(41)의 단틀부(41b)의 1곳에 통합하여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적층형 표시장치를 전자기기에 실장할 때에 있어서 액정표시패널(31)용의 구동회로와 터치패널(32)용의 구동회로를 일괄하여 용이하게 접속할 수 있다. 그 결과 본 적층형 표시장치의 전자기기에 실장할 때의 작업능률이 대폭으로 상승한다.
또한 상기 실시예의 적층형 표시장치에서는 중간기판측의 각 전극을 필름기판측의 리드배선에 도전부재를 통하여 접속하는 구성으로 했는데, 이에 한정되지 않고 중간기판의 안쪽단면을 필름기판의 내면에 맞닿게 하고 중간기판측의 각 전극을 필름기판측의 리드배선에 직접 전기접속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상기 실시예의 적층형 표시장치에서는 액정표시패널(31)을 단순매트릭스형으로 하고 있는데, 이 액정표시패널(31)은 단순매트릭스형에 한정되지 않고 액티브매트릭스형이나 세그먼트형으로 해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예의 적층형 표시장치는 TN방식의 액정표시장치인데, 본 발명은 액정분자의 트위스트각을 180∼270도(통상은 230∼250도)로 한 STN(슈퍼·트위스티드·네마틱)방식의 적층형 액정표시장치나 강유전성 또는 반강유전성 액정, 또는 고분자분산형 액정을 사용하는 적층형 액정표시장치 등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 상기 실시예의 적층형 표시장치에서는 터치패널(32)을 접촉형 터치패널로 하고 있는데, 이 터치패널(32)은 손가락끝 등의 도전성 물체의 접촉에 의해 용량이 변화하는 용량형 터치패널이어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예의 적층형 표시장치에서는 제 1 패널과 제 2 패널 중 후면측의 패널(31)을 액정표시패널로 하고 전면측의 패널(32)을 터치패널로 한 것인데, 본 발명은 제 1 패널과 제 2 패널의 양쪽을 액정표시패널 등의 표시패널로 한 2층구조의 적층형 표시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내는 적층형 표시장치의 해칭을 생략한 단면도이며, 이 실시예는 제 1 패널(31′)과 제 2 패널(33)의 양쪽을 각각 액정표시패널로 한 것이다.
즉 이 실시예의 적층형 표시장치는 1장의 중간기판(40′)과 소정부분에서 접어 구부러지고, 그 접어구부림부(41′)로부터 일단측을 중간기판(40′)의 후면에 대향시키고 접어구부림부(41′a)로부터 타단측을 중간기판(40′)의 전면에 대향시키는 동시에, 어느 쪽인가 한쪽측의 단틀부, 예를 들면 중간기판(40′)의 후면에 대향하는 일단측의 단틀부(41′b)를 중간기판(40′)의 바깥쪽으로 돌출시켜서 배치된 필름기판(41′)을 구비하고 있다.
또 이 실시예에서는 중간기판(40′)의 후면과 필름기판(41′)의 중간기판(40′)의 후면에 대향하는 일단측의 내면에 각각 서로 부분적으로 대향하는 제 1 표시패널용 전극(42′, 43′)과 전극(42′, 43′)을 덮는 배향막(44′, 45′)을 설치하고, 중간기판(40′)의 전면과 필름기판(41′)의 중간기판(40′)의 전면에 대향하는 타단측의 내면에 각각 서로 부분적으로 대향하는 제 2 표시패널용 전극(60, 61)과 전극(60, 61)을 덮는 배향막(62, 63)을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필름기판(41′)의 중간기판(40′)으로부터 돌출시킨 한쪽의 단틀부(41′b)에 제 1 표시패널용 전극(42′, 43′) 및 제 2 표시패널용 전극(60, 61)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단자전극(64)을 통합하여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이 실시예에서는 중간기판(40′)과 필름기판(41′)의 일단측을 제 2 테두리상 시일재(55′)에 의해 접합하는 동시에 중간기판(40′)과 필름기판(41′)의 일단측의 사이에 액정층(56′)을 설치함으로써 제 1 액정표시패널(31′)을 구성하고, 중간기판(40′)과 필름기판(41′)의 타단측을 제 2 테두리상 시일재(65)에 의해 접합하는 동시에 중간기판(40′)과 필름기판(41′)의 타단측의 사이에 액정층(66)을 설치함으로써 제 2 액정표시패널(33)을 구성하고 있다.
또한 이 실시예는 제 1 액정표시패널(31′)을 상기 제 1 실시예에 있어서의 액정표시패널(31)과 똑같은 단순매트릭스형 액정표시패널로 하고, 제 2 액정표시패널(33)을 시분할구동되는 세그먼트형으로 한 것이다. 세그먼트형 액정표시패널(33)에서는 중간기판(40′)의 전면과 필름기판(41′)의 타단측의 내면에 각각 설치된 제 2 표시패널용 전극(60, 61) 중 한쪽의, 예를 들면 중간기판(40′)의 전면에 설치된 전극(60)은 표시패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 복수의 세그먼트전극이고, 필름기판(41′)의 타단측의 내면에 설치된 전극(61)은 복수로 분할된 커먼전극이다.
또 이 적층형 표시장치는 TN방식의 액정표시장치이며, 제 1과 제 2 액정표시패널(31′, 33)의 액정층(56′, 66)의 액정분자의 초기배향상태가 각각 소정의 트위스트각(예를 들면 대략 90도)의 트위스트배향으로 되는 동시에, 제 1 액정표시패널(31′)의 후면과 제 2 액정표시패널(33)의 전면에 각각 편광판(58′, 59′)이 각각의 투과축을 소정방향을 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이 실시예의 적층형 표시장치도 상기의 제 1 실시예의 것과 똑같이 1장의 중간기판(40′)과 소정부분에서 접어 구부러져서 사이에 중간기판(40′)을 끼우도록 수용하는 1장의 필름기판(41′)에 의해 2개의 패널, 즉 제 1 액정표시패널(31′)과제 2 액정표시패널(33)을 적층한 적층형 표시장치를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필름기판(41′)의 한쪽의 단틀부(41′b)에, 제 1 및 제 2 표시패널용 전극(42′, 43′, 60, 61)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단자전극(64)을 통합하여 설치하고 있다.
따라서 사용하는 기판수가 필름기판(41′)과 중간기판(40′)의 2장으로 적으며, 또한 1장의 필름기판(41′)에 제 1 및 제 2 표시패널용 전극의 한쪽편의 전극이나 리드배선 등의 전극부재를 일괄하여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제조공정 및 제조단계수가 대폭으로 삭감된다. 또 전자기기로의 실장시에 1곳에 통합하여 설치된 단자전극(64)에 대하여 제 1 패널용의 구동회로와 제 2 패널용의 구동회로를 일괄하여 용이하게 접속할 수 있어서 실장작업능률이 대폭으로 향상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도 도시하지 않지만 필름기판(41′)의 내면에 이 필름기판(41′)의 내면에 설치된 제 1 및 제 2 표시패널용 전극(43′, 61)과 필름기판(41′)의 단틀부에 설치된 복수의 단자전극(64) 중의 소정의 단자전극을 각각 접속하는 복수의 리드배선과, 중간기판(40′)의 후면과 전면에 설치된 제 1 및 제 2 표시패널용 전극(42′, 60)의 단자접속부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패드전극과, 이들의 패드전극과 복수의 단자전극 중의 다른 소정의 단자전극을 각각 접속하는 복수의 리드배선을 설치하고, 중간기판(40′)의 후면과 전면에 설치된 제 1 및 제 2 표시패널용 전극(42′, 60)의 단자접속부를 각각 필름기판(41′)의 내면의 복수의 패드전극에 도전부재를 통하여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와 같이 함으로써 제 1 및 제 2 표시패널용 전극(42′, 43′, 60, 61)을 각각 필름기판(41′)의 단틀부에 통합하여 설치된 복수의 단자전극(64)에 용이하게 접속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실시예에서는 후면측의 제 1 표시패널(31′)을 단순매트릭스형 액정표시패널로 하고 전면측의 제 2 표시패널(33)을 세그먼트형 액정표시패널로 하고 있는데, 후면측의 제 1 표시패널(31′)은 단순매트릭스형에 한정되지 않고 액티브매트릭스형이나 세그먼트형으로 해도 좋으며, 또 전면측의 제 2 표시패널(33)도 세그먼트형에 한정되지 않고 단순매트릭스형이나 액티브매트릭스형으로 해도 좋다. 또한 전면측의 제 2 표시패널(33)은 터치입력기능을 구비한 표시패널로 해도 좋다.
또 상기 제 1 실시예에서는 후면측의 제 1 패널인 표시패널(31)을 액정표시패널로 하고, 제 2 실시예에서는 제 1과 제 2 표시패널(31′, 33)을 각각 액정표시패널로 하고 있는데, 표시패널(31, 31′, 33)은 중간기판(40 또는 40′)과 필름기판(41 또는 41′)의 사이에 액정 이외의 전기광학물질, 예를 들면 일렉트로크로믹이나 전기영동물질 등의 전기광학물질층을 설치한 표시패널로 해도 좋다.

Claims (20)

  1. 표시소자와 다른 소자를 적층배치하여 형성된 적층형 표시장치이고,
    한쪽의 면과, 이 한쪽의 면의 뒤쪽의 다른쪽의 면의 양쪽에 전극이 형성된 1장의 제 1 기판과,
    상기 제 1 기판에 대하여 일단측을 상기 제 1 기판의 한쪽의 면에 대향시키고 타단측을 상기 제 1 기판의 다른쪽의 면에 대향시킨 1장의 제 2 기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2 기판은 상기 제 1 기판의 한쪽의 면에 형성된 전극과 대향하는 제 1 패널용 전극부재와, 상기 제 1 기판의 다른쪽의 면에 형성된 전극과 대향하는 제 2 패널용 전극부재와, 상기 제 1 패널용 전극부재 및 상기 제 2 패널용 전극부재가 전기적으로 접속된 복수의 단자전극을 갖고,
    상기 제 1 기판과 상기 제 2 기판의 상기 일단측을 접합하여 제 1 패널을 구성하는 제 1 접합부재와,
    상기 제 1 기판과 상기 제 2 기판의 상기 타단측을 접합하여 제 2 패널을 구성하는 제 2 접합부재와,
    상기 제 1 패널과 상기 제 2 패널 중의 적어도 한쪽의 패널의 상기 제 1 기판과 상기 제 2 기판의 사이에 설치된 전기광학효과를 구비하는 전기광학물질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표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기판은 소정부분에서 접어 구부러져서 그 사이에 상기 제 1 기판을 끼우는 가요성 필름기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표시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기판은 어느 쪽인가 한쪽측의 단틀부를 상기 제 1 기판의 바깥쪽으로 돌출시키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표시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시킨 단틀부에는 상기 복수의 단자전극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표시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패널용 전극부재는 상기 제 1 기판의 한쪽의 면에 형성된 전극과 서로 대향시켜서 설치된 제 1 패널용 전극과, 해당 제 1 패널용 전극과 대응하는 상기 단자전극을 접속하는 배선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표시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판의 한쪽의 면에는 이 한쪽의 면상의 전극에 접속된 복수의 단자접속부가 설치되고,
    상기 제 2 기판상의 상기 제 1 패널용 전극부재는 상기 제 1 기판의 내면에 설치된 상기 복수의 단자접속부에 각각 대응시켜서 접속된 복수의 패드전극과, 이들 패드전극과 대응하는 단자전극을 접속하는 배선부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표시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패널용 전극부재는 상기 제 1 기판의 다른쪽의 면에 형성된 전극과 서로 대향시켜서 설치된 제 2 패널용 전극과, 해당 제 2 패널용 전극과 상기 단자전극을 접속하는 배선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표시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판의 다른쪽의 면에는 이 다른쪽의 면에 형성된 전극에 접속된 복수의 단자접속부가 설치되고,
    상기 제 2 기판상의 상기 제 2 패널용 전극부재는 상기 제 1 기판에 설치된 상기 복수의 단자접속부에 각각 대응시켜서 접속되는 복수의 패드전극과, 이들 패드전극과 대응하는 단자전극을 접속하는 배선부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표시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패널과 상기 제 2 패널 중 한쪽의 패널이, 상기 제 1 기판과 상기제 2 기판의 사이에 상기 전기광학물질층이 설치된 표시패널이며, 다른쪽의 패널이 터치입력패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표시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광학물질층은 액정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표시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패널과 상기 제 2 패널의 양쪽이, 상기 제 1 기판과 제 2 기판의 사이에 상기 전기광학물질층이 설치된 표시패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표시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광학물질층은 액정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표시장치.
  13. 1장의 기판과, 이를 끼워서 설치된 1장의 가요성 기판에 의해 형성된 적층형 표시장치이고,
    한쪽의 면과, 이 한쪽의 면의 뒤쪽의 다른쪽의 면의 양쪽에 전극이 형성된 1장의 중간기판과,
    소정부분에서 접어 구부러져서 그 사이에 상기 중간기판을 끼우고, 그 접어구부림부로부터 일단측을 상기 중간기판의 한쪽의 면에 대향시키고, 상기 접어구부림부로부터 타단측을 상기 중간기판의 다른쪽의 면에 대향시키는 동시에, 어느 쪽인가 한쪽측의 단틀부를 상기 중간기판의 바깥쪽으로 돌출시켜서 배치된 1장의 가요성 기판으로 이루어지고, 이 가요성 기판은 상기 중간기판의 한쪽의 면에 형성된 전극과 대향하는 제 1 패널용 전극부재와, 상기 중간기판의 다른쪽의 면에 형성된 전극과 대향하는 제 2 패널용 전극부재 및 상기 돌출시킨 단틀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 1 패널용 전극부재로 및 상기 제 2 패널용 전극부재가 전기적으로 접속된 복수의 단자전극을 갖고,
    상기 중간기판과 상기 필름기판의 상기 일단측을 접합하여 제 1 패널을 구성하는 제 1 접합부재와,
    상기 중간기판과 상기 필름기판의 상기 타단측을 접합하여 제 2 패널을 구성하는 제 2 접합부재와,
    상기 제 1 패널과 상기 제 2 패널 중의 적어도 한쪽 패널의 상기 중간기판과 상기 필름기판의 사이에 설치된 전기광학효과를 구비하는 전기광학물질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표시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패널용 전극부재는 상기 중간기판의 한쪽의 면에 형성된 전극과 서로 대향시켜서 설치된 제 1 패널용 전극과, 해당 제 1 패널용 전극과 상기 단자전극을 접속하는 배선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표시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기판의 한쪽의 면에는 이 한쪽의 면상의 전극에 접속된 복수의 단자접속부가 설치되고,
    상기 가요성 기판에 형성된 상기 제 1 패널용 전극부재는 상기 중간기판의 내면에 설치된 상기 복수의 단자접속부에 각각 대응시켜서 접속되는 복수의 패드전극과, 이들 패드전극에 대응하는 단자전극을 접속하는 배선부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표시장치.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기판에 형성된 상기 제 2 패널용 전극부재는 상기 중간기판의 다른쪽의 면에 형성된 전극과 서로 대향시켜서 설치된 제 2 패널용 전극과, 해당 제 2 패널용 전극과 상기 단자전극을 접속하는 배선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표시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기판의 다른쪽의 면에는 이 다른쪽의 면에 형성된 전극에 접속된 복수의 단자접속부가 설치되고,
    상기 가요성 기판에 형성된 상기 제 2 패널용 전극부재는 상기 중간기판에 설치된 상기 복수의 단자접속부에 각각 대응시켜서 접속되는 복수의 패드전극과, 이들 패드전극과 대응하는 단자전극을 접속하는 배선부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표시장치.
  18.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패널과 상기 제 2 패널 중 한쪽의 패널이, 상기 중간기판과 상기 가요성 기판의 사이에 상기 전기광학물질층이 설치된 표시패널이며, 다른쪽의 패널이 터치입력패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표시장치.
  19.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패널과 상기 제 2 패널의 양쪽이, 상기 중간기판과 상기 가요성 기판의 사이에 상기 전기광학물질층이 설치된 표시패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표시장치.
  20. 제 1 패널과 제 2 패널을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적층형 표시장치이고,
    1장의 중간기판과,
    상기 중간기판에 대하여 일단측을 상기 중간기판의 한쪽의 면에 대향시키고 타단측을 상기 중간기판의 다른쪽의 면에 대향시킨 1장의 외장기판과,
    상기 외장기판의 어느 쪽인가 한쪽측의 단틀부에 설치된 복수의 단자전극과,
    상기 중간기판의 한쪽의 면과 상기 외장기판의 상기 일단측의 내면에 각각 적어도 일부를 서로 대향시켜서 설치하고, 상기 복수의 단자전극 중의 미리 정한 단자전극에 접속된 제 1 패널용 전극부재와,
    상기 중간기판의 다른쪽의 면과 상기 외장기판의 상기 타단측의 내면에 각각 적어도 일부를 서로 대향시켜서 설치하고, 상기 복수의 단자전극 중의 다른 단자전극에 접속된 제 2 패널용 전극부재와,
    상기 중간기판과 상기 외장기판의 상기 일단측을 접합하여 제 1 패널을 구성하는 제 1 접합부재와,
    상기 중간기판과 상기 외장기판의 상기 타단측을 접합하여 제 2 패널을 구성하는 제 2 접합부재와,
    상기 제 1 패널과 상기 제 2 패널 중의 적어도 한쪽 패널의 상기 중간기판과 상기 외장기판의 사이에 설치된 전기광학효과를 구비하는 전기광학물질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표시장치.
KR1020000069768A 1999-11-26 2000-11-23 적층형 표시장치 KR1003420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99-336422 1999-11-26
JP33642299A JP3986225B2 (ja) 1999-11-26 1999-11-26 積層型表示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1880A KR20010051880A (ko) 2001-06-25
KR100342038B1 true KR100342038B1 (ko) 2002-06-27

Family

ID=182989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9768A KR100342038B1 (ko) 1999-11-26 2000-11-23 적층형 표시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501528B1 (ko)
JP (1) JP3986225B2 (ko)
KR (1) KR100342038B1 (ko)
CN (1) CN1165798C (ko)
TW (1) TW52636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63607B2 (en) 2004-05-06 2010-02-16 Apple Inc. Multipoint touchscreen
JP2001290135A (ja) * 2000-01-31 2001-10-19 Nitto Denko Corp タッチ式液晶表示装置及び入力検出方法
US6771327B2 (en) * 2000-09-18 2004-08-03 Citizen Watch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ith an input panel
TW520780U (en) * 2001-05-08 2003-02-11 Turbotouch Technology Inc E Liquid crystal panel with current touch control
TW579019U (en) * 2001-06-13 2004-03-01 Eturbotouch Technology Inc Flexible current type touch film
KR100432009B1 (ko) * 2001-12-03 2004-05-22 주식회사 팬택 이동형 정보통신 기기용 양방향 디스플레이형 액정표시장치
US6734776B2 (en) * 2002-03-13 2004-05-1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Flex circuit relay
USRE41914E1 (en) 2002-05-10 2010-11-09 Ponnusamy Palanisamy Thermal management in electronic displays
US6849935B2 (en) 2002-05-10 2005-02-01 Sarnoff Corporation Low-cost circuit board materials and processes for area array electrical interconnections over a large area between a device and the circuit board
US20040017346A1 (en) * 2002-07-26 2004-01-29 Ming-Wei Chuang Application structure of bicolor liquid crystal display
JP4496713B2 (ja) * 2003-03-31 2010-07-0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表示装置、電子機器及び表示方法
JP2005010186A (ja) * 2003-06-16 2005-01-13 Nanox Corp 液晶表示素子
EP1669965A4 (en) * 2003-09-30 2008-02-27 Seiko Epson Corp IMAGE DISPLAY DEVICE
US7295189B2 (en) 2003-12-29 2007-11-13 Nokia Corporation Printable electromechanical input means and a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such input means
JP4052287B2 (ja) * 2004-06-22 2008-02-2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電子機器、電気光学装置の製造方法
US7767543B2 (en) * 2005-09-06 2010-08-03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Method for manufacturing a micro-electro-mechanical device with a folded substrate
JP5084134B2 (ja) * 2005-11-21 2012-11-28 日本電気株式会社 表示装置及びこれらを用いた機器
KR20070054285A (ko) * 2005-11-23 2007-05-29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20070159574A1 (en) * 2006-01-06 2007-07-12 Eastman Kodak Company Common transparent electrode for reduced voltage displays
EP1808756A1 (en) * 2006-01-12 2007-07-18 TrendON Touch Technology Corp. Display panel having touching circuit
KR101328624B1 (ko) * 2006-05-11 2013-11-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GB2455208B (en) 2006-06-09 2010-08-11 Apple Inc Touch screen liquid crystal display
CN104965621B (zh) 2006-06-09 2018-06-12 苹果公司 触摸屏液晶显示器及其操作方法
CN108563366B (zh) 2006-06-09 2022-01-25 苹果公司 触摸屏液晶显示器
US8243027B2 (en) 2006-06-09 2012-08-14 Apple Inc. Touch screen liquid crystal display
JP4187015B2 (ja) * 2006-06-15 2008-11-26 エプソンイメージングデバイス株式会社 液晶表示パネル
JP4330021B2 (ja) 2006-10-31 2009-09-09 シチズン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表示装置
US20080150903A1 (en) * 2006-12-21 2008-06-26 Inventec Corporation Electronic apparatus with dual-sided touch device
US8493330B2 (en) 2007-01-03 2013-07-23 Apple Inc. Individual channel phase delay scheme
US9710095B2 (en) 2007-01-05 2017-07-18 Apple Inc. Touch screen stack-ups
DE102007021078A1 (de) * 2007-05-03 2008-11-13 KREUTZER, André Flache Anzeige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flacher Anzeigen
US20100007627A1 (en) * 2008-07-09 2010-01-14 Chi Hsin Electronics Corp. Touch signal transmission circu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using the same
KR101323434B1 (ko) * 2009-06-08 2013-10-2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CN101963855B (zh) * 2009-07-24 2012-11-21 群康科技(深圳)有限公司 用于触摸屏的多点触摸辨识方法
KR101589750B1 (ko) * 2009-09-08 2016-01-2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CN102770894A (zh) * 2010-02-23 2012-11-07 夏普株式会社 显示装置
TWI419094B (zh) * 2010-09-10 2013-12-11 Au Optronics Corp 可撓性顯示面板
CN102593095B (zh) * 2010-09-25 2014-03-12 友达光电股份有限公司 可挠性显示面板
CN102013429B (zh) * 2010-09-25 2012-06-27 友达光电股份有限公司 可挠性显示面板
FR2968103B1 (fr) * 2010-11-26 2013-04-26 Stantum Capteur tactile transparent et procédé de fabrication associe
US8804056B2 (en) * 2010-12-22 2014-08-12 Apple Inc. Integrated touch screens
KR101968552B1 (ko) * 2011-11-18 2019-04-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표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터치 위치 검출 방법
US8981230B2 (en) * 2012-07-24 2015-03-17 Htc Corporation Electronic apparatus and touch cover
KR101971201B1 (ko) * 2012-08-20 2019-04-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양면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작 방법
US20140111953A1 (en) * 2012-10-19 2014-04-24 Apple Inc. Electronic Devices With Components Mounted to Touch Sensor Substrates
KR101940187B1 (ko) * 2012-10-25 2019-01-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양면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40054790A (ko) * 2012-10-29 2014-05-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가요성 표시 장치
TWI478327B (zh) * 2012-11-01 2015-03-21 Sipix Technology Inc 顯示裝置
TWI481933B (zh) * 2012-12-28 2015-04-21 Ye Xin Technology Consulting Co Ltd 觸控顯示裝置
KR102101362B1 (ko) 2013-07-05 2020-05-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JP6207341B2 (ja) * 2013-10-24 2017-10-04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US9195358B1 (en) * 2014-04-16 2015-11-24 Eastman Kodak Company Z-fold multi-element substrate structure
US9516744B2 (en) * 2014-04-16 2016-12-06 Eastman Kodak Company Wrap-around micro-wire circuit method
KR102244074B1 (ko) 2014-10-15 2021-04-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 조명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20160351648A1 (en) * 2015-05-27 2016-12-01 Sony Mobile Communications Inc. Dual display technologies display
CN104849900A (zh) * 2015-06-03 2015-08-1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面板的制备方法及显示面板、显示装置
KR102426433B1 (ko) * 2015-11-09 2022-07-2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17111903A1 (en) * 2015-12-21 2017-06-29 Intel Corporation Integrating system in package (sip) with input/output (io) board for platform miniaturization
JP6664278B2 (ja) * 2016-05-31 2020-03-13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JP6625933B2 (ja) * 2016-06-06 2019-12-25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JP7011902B2 (ja) * 2017-07-10 2022-01-27 スタンレー電気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US20210004101A1 (en) * 2017-11-24 2021-01-07 Huawei Technologies Co., Ltd. Touch Display Panel, Flexibl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ouch Display Panel
KR101940798B1 (ko) 2018-03-06 2019-01-21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필름 안테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9888B1 (ko) * 2019-04-05 2019-11-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표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터치 위치 검출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134299B (en) * 1982-12-23 1986-04-30 Epson Corp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5436744A (en) * 1993-09-03 1995-07-25 Motorola Inc. Flexible liquid crystal display with integrated driver circuit and display electrodes formed on opposite sides of folded substra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526368B (en) 2003-04-01
CN1298114A (zh) 2001-06-06
US6501528B1 (en) 2002-12-31
CN1165798C (zh) 2004-09-08
KR20010051880A (ko) 2001-06-25
JP3986225B2 (ja) 2007-10-03
JP2001154178A (ja) 2001-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42038B1 (ko) 적층형 표시장치
US5164853A (en)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with plural substrates
US7710406B2 (en) Touch panel
KR920007166B1 (ko) 멀티패널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9360719B2 (en) Display device
JP3503597B2 (ja) 液晶パネ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630116B2 (ja) 電気光学ユニットおよび電子機器
KR20010085352A (ko) 반도체 장치의 실장 구조, 전기 광학 장치 및 전자 기기
CN211149139U (zh) 调光面板
JP4815081B2 (ja) 画像装置
JP2880186B2 (ja) 液晶表示装置
KR100554923B1 (ko) 1개의 구동ic에 의해 구동되는 액정표시장치
JP4275937B2 (ja) 液晶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CN113156719A (zh) 调光面板及其制造方法
JP2973202B2 (ja) 液晶装置
JP3508723B2 (ja) 液晶表示装置
JP3861530B2 (ja) 液晶表示装置の製造方法
JP3192409B2 (ja) 液晶表示装置
JP3291423B2 (ja) 表示パネルの実装方法および実装構造
JPS6021083A (ja) 表示装置
JPH11202364A (ja) 液晶表示装置
JP4765424B2 (ja) 液晶表示パネル及びこれを使用した液晶表示装置
JP3954152B2 (ja) パネルの基板とフレキシブル配線板の接続構成及びそれ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
JP2000111936A (ja) 複層式の液晶パネ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1311960A (ja) 液晶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5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7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